KR20190071916A - 복합음을 활용한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 - Google Patents

복합음을 활용한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1916A
KR20190071916A KR1020170172828A KR20170172828A KR20190071916A KR 20190071916 A KR20190071916 A KR 20190071916A KR 1020170172828 A KR1020170172828 A KR 1020170172828A KR 20170172828 A KR20170172828 A KR 20170172828A KR 20190071916 A KR20190071916 A KR 20190071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tinnitus
shielding
generating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6250B1 (ko
Inventor
진인기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72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250B1/ko
Publication of KR20190071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5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8Audiometering evaluating tinni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는 자연음 또는 인공음으로부터 이명차폐음을 생성하는 이명차폐음 생성부; 배경음악으로부터 집중력분산용 음원을 생성하는 집중력분산용 음원 생성부; 및 상기 이명차폐음과 상기 집중력분산용 음원을 혼합하여 복합음을 생성하는 복합음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음을 활용한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 {TINNITUS REHABILITATION SOUND THERAPY DEVICE USING COMPOUND SOUND}
본 발명은 복합음을 활용한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이명 재활을 위한 복합음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갖는 소리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귀에서 들리는 소음에 대한 주관적인 느낌을 이명(Tinnitus)이라고 하며 외부로부터 청각적인 자극이 없는 상황에서 소리가 들린다고 느끼게 되다. 대부분의 경우 상황에 따라 느끼는 이명은 임상적으로 이명으로 불리지 않으며 괴롭힘의 수준이 되는 경우 이명이라고 한다. 이명의 원인이 명확하지 않으므로 실질적으로 치료 방법이 정립되어 있지 아니하며 이명에 동반된 증상을 완화시키는 약물 요법, 상담 치료, 이명 차폐 기능을 가지는 보청기의 사용 또는 정신과 치료와 같은 치료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소리치료(Sound Therapy)’는 이명 치료의 가장 대표적인 재활 방법이며 가장 효과가 좋은 방법 중 하나이다. 이명치료에서의 ‘소리치료’는 외부 소음을 이용하여 이명소리를 차폐함으로써 이명에 대한 환자들의 인식이나 반응을 수정하는데 이용된다.
‘차폐를 통한 치료’는 이명의 크기를 줄여주고, 이명에 대한 집중을 분산시켜준다고 보고된 바 있다. 차폐는 이명 소리 전체를 자극음으로 차폐하여 이명소리가 들리지 않게 하는 완전 차폐(total masking)와 자극음이 이명소리를 부분적으로 덮는 부분 차폐(partial masking)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차폐를 위해서, 종래의 자극음으로서, 소음 형태의 광대역 또는 협대역 잡음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약 20초간 4kHz의 이명이 들리게 되면, 중간에 협대역 소음이 개입하여 이명의 차폐를 시도할 수 있다. 이러한 자극음은, 치료대상자의 집중을 이명에서 소음으로 옮겨주기 위해, 이명주파수의 강도 정도로 틀어줄 수 있다.
다른 종래의 차폐용 자극음으로서, 이명음 주변의 순음을 지속적으로 교차시킨 변조음, 다시 말해 이명음의 순음을 포함하여 다른 주파수의 순음을 교차시킨 변조음이 사용되었다.
또 다른 종래의 차폐용 자극음으로서, 바다소리, 매미소리 등과 같은 자연음이 사용된 바 있다.
그러나, 소음 형태의 자극음이나 변조음은 지속적으로 듣기에는 거부감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자연음의 경우에는 특정 주파수대역의 이명을 차폐하기 위해서 해당 주파수에 대한 음의 강도를 매우 높게 설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거부감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비교적 낮은 강도로 청취하여도 이명을 효과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는 음원을 발생하는 장치는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이와 연관된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시적 목적은, 이명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는 음원을 발생하는 소리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목적은, 이명 치료 대상자에 따라 다른 이명 특성에 맞춰서 음원을 제공할 수 있는 소리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는 자연음 또는 인공음으로부터 이명차폐음을 생성하는 이명차폐음 생성부; 배경음악으로부터 집중력분산용 음원을 생성하는 집중력분산용 음원 생성부; 및 상기 이명차폐음과 상기 집중력분산용 음원을 혼합하여 복합음을 생성하는 복합음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명차폐음 생성부는, 상기 자연음 또는 인공음에 밴드패스 필터(band-pass filter)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이명차폐음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밴드패스 필터의 주파수 범위는 이명 주파수를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자연음 또는 인공음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명차폐음 생성부는, 상기 설계된 밴드패스 필터의 주파수 범위에 대응되는 범위에서 피크값을 갖는 자연음 또는 인공음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는, 상기 이명 주파수를 획득하기 위한 이명 검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중력분산용 음원 생성부는, 상기 배경음악에 저주파 통과 필터(low-pass filter)를 적용함으로써 집중력분산용 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는, 상기 복합음 생성부에서 생성된 복합음을 수신하는 리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치료기에서 생성된 복합음은 이명 대상자의 이명을 효과적으로 차폐하면서 동시에 지속적인 청취에 따른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경음악은 다양한 주파수 영역을 다양하게 자극함으로써 이명 소리가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대상자의 집중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치료기는, 이명 치료 대상자에 최적화된 이명 차폐음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기존 음원에 비해 높은 차폐 효과를 갖는다.
한편, 앞서 기재된 효과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부터 예측되거나 기대되는 효과들 또한 본원발명 고유의 효과에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차폐음을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의 이명차폐음을 생성하는 방법의 일부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중력 분산용 음원을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음을 생성 및 이용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연음과 이명소리의 주파수 분석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10)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차폐음을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10)는 이명차폐음 생성부(100), 집중력분산용 음원 생성부(200) 및 복합음 생성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명차폐음 생성부(100)는 자연음 또는 인공음으로부터 이명차폐음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이명차폐음 생성부(100)에서 이명차폐음을 생성하는 방법(S110)에 대하여 자세히 살핀다.
단계 S111에서는, 자연음 또는 인공음을 준비할 수 있다.
자연음이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소리 중 일반적으로 듣기 편안한 소리로 인식되는 소리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도 소리, 바람에 나뭇잎이 흔들리는 소리, 귀뚜라미 소리, 매미 소리 등이 있을 수 있다.
인공음이란 인공적으로 발생하는 소리 중 일반적으로 듣기 편안한 소리로 인식되는 소리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소리, 장작불을 필 때 발생하는 소리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자연음과 인공음을 기술적으로 특별히 구별하지 않으며, 제1음으로 통칭하여 지칭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음은 기설정된 주파수 범위에 소리 에너지가 기설정된 범위 이상 분포하는 음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범위 및 기설정된 범위는 사용자에 의해 조정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음은, 200~500Hz 영역에 50% 이상의 에너지가 집중되어 있는 음을 의미할 수도 있고, 4000~8000Hz 영역에 40 % 이상의 에너지가 집중되어 있는 음을 의미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1음은 기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서 소리 에너지의 피크값(진폭, amplitude)을 갖는 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범위는 복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음은 12개의 옥타브/반옥타브 (중심주파수로 125, 250, 500, 750, 1000, 1500, 2000, 3000, 4000, 6000, 8000, 11,000 Hz) 기준으로 나뉜 각 주파수대역에 피크값이 생성되는 음일 수 있다. 이는, 이명소리가 한 주파수가 아니라 여러 주파수에 걸쳐 발생할 수 있어, 다주파수에서 피크가 유지되는 음을 고려하기 위함이다.
단계 S112에서는, 상기 자연음 또는 인공음에 밴드패스 필터(band-pass filter)를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밴드패스 필터(band-pass filter)는 특정 주파수 사이의 신호만 통과시키는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음(자연음 또는 인공음)이 기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서 소리에너지의 피크값을 갖는 음인 경우, 상기 밴드패스 필터의 대역은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범위와 대응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의 의미는, 완전히 일치,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포함, 또는 일부분이 중복되지 않더라도 중복되는 부분이 특정 범위 이상인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단계 S113에서는, 이명차폐음을 생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치료기는, 이명치료 대상자에 최적화된 이명차폐음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의 이명차폐음을 생성하는 방법의 일부(S120)의 흐름도이다.
S121 단계에서는, 이명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명 주파수는, 순음청력검사 기기를 사용하여 환자의 이명과 가장 가까운 주파수 매칭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명 주파수의 측정에는 125 Hz, 250 Hz, 500 Hz, 750 Hz, 1 kHz, 1.5 kHz, 2 kHz, 3 kHz, 6 kHz, 8 kHz, 10 kHz, 12 kHz의 순음, 협대역잡음 및 백색잡음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는 이명 주파수를 획득하기 위한 이명 검사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명 검사부(500)는, 이명 검사를 위한 기설정된 주파수의 소리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주파수는 상기 기재한 125 Hz, 250 Hz, 500 Hz, 750 Hz, 1 kHz, 1.5 kHz, 2 kHz, 3 kHz, 6 kHz, 8 kHz, 10 kHz, 12 kHz의 순음, 협대역잡음 및 백색잡음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이명 검사부(500)는, 출력된 소리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를 들어, 이명 검사부에서 2, 4, 8 kHz를 갖는 소리가 순차적으로 출력되었는데, 대상자가 4 kHz 소리가 출력될 때 다른 주파수 소리가 출력될 때와 다른 반응을 보인다면 이명 검사부는 이를 감지하고, 4 kHz를 이명 주파수로 결정할 수 있다.
S122 단계에서는, 밴드패스 필터의 대역(주파수 범위)를 설계할 수 있다.
이때, 밴드패스 필터의 대역은 이명 주파수를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된 이명 주파수가 4 kHz인 경우, 밴드패스 필터의 대역은 2 내지 6 kHz로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제시한 밴드패스 필터의 대역은 임의로 설정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상기 대역의 적절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S123 단계에서는, 설계된 밴드패스 필터의 주파수 범위(대역)에 기초하여 자연음 또는 인공음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는 복수의 자연음 또는 인공음(제1음)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연음 또는 인공음은 기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서 소리 에너지의 피크값(진폭, amplitude)을 갖는 음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자연음 또는 인공음은 각각 서로 다른 기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서 상기 피크값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이명차폐음 생성부(100)는, 상기 설계된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적절한 자연음 또는 인공음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명차폐음 생성부(100)는, 설계된 밴드패스 필터의 주파수 범위(대역)에 대응되는 범위에서 피크값을 갖는 자연음 또는 인공음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대응의 의미는 포함의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다.
이후, 선택된 자연음 또는 인공음에 상기 설계된 밴드패스 필터가 적용되어 이명차폐음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생성된 이명 차폐음은, 이명 주파수에 대응되는 범위의 주파수 소리로서, 이명 소리를 차폐(차단)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선택된 자연음 또는 인공음(501)은 이명소리(502)의 이명주파수(예를 들어, 약 4kHz)를 포함하는 대역(w)에서 피크값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집중력분산용 음원 생성부(200)에서 집중력분산용 음원을 생성하는 방법(S210)에 대하여 자세히 살핀다.
S211 단계에서는, 배경음악을 준비할 수 있다.
여기서 배경음악이란, 광범위 주파수로 구성된 음악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여기서 배경음악이란 기설정된 주파수 범위 이상의 범위에서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진폭을 갖는 음악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경음악이란 악기의 소리로만 구성되어 있는 음악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배경음악을 상기 자연음 또는 인공음(제1음)과 구별하기 위하여, 제2음으로 지칭할 수도 있다.
S212 단계에서는, 상기 배경음악에 저주파 통과 필터(low-pass filter)를 적용할 수 있다.
저주파 통과 필터는 사전설정된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의 신호는 통과시키고 그보다 높은 주파수는 저지하는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전설정된 주파수는 11,000 Hz일 수 있다.
S213 단계에서는, 저주파 통과 필터의 적용으로 인해 집중력분산용 음원이 생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음을 생성 및 이용하는 방법(S310)을 설명한다.
S311 단계에서는, 생성된 이명차폐음과 집중력분산용 음원을 합성(혼합)하여 복합음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는 상기 복합음 생성부(300)에서 생성된 복합음을 수신하는 리시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312 단계에서는, 상기 리시버(400)를 통해 생성된 복합음을 수신할 수 있다.
생성된 복합음은 이명 대상자의 이명을 효과적으로 차폐하면서 동시에 지속적인 청취에 따른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경음악은 다양한 주파수 영역을 다양하게 자극함으로써 이명소리가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대상자의 집중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제어 방법과 관련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소리치료기
100: 이명차폐음 생성부
200: 집중력분산용 음원 생성부
300: 복합음 생성부
400: 리시버
500: 이명 검사부

Claims (7)

  1. 자연음 또는 인공음으로부터 이명차폐음을 생성하는 이명차폐음 생성부;
    배경음악으로부터 집중력분산용 음원을 생성하는 집중력분산용 음원 생성부; 및
    상기 이명차폐음과 상기 집중력분산용 음원을 혼합하여 복합음을 생성하는 복합음 생성부를 포함하는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명차폐음 생성부는,
    상기 자연음 또는 인공음에 밴드패스 필터(band-pass filter)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이명차폐음을 생성하는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패스 필터의 주파수 범위는 이명 주파수를 포함하도록 설계되는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자연음 또는 인공음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명차폐음 생성부는,
    상기 설계된 밴드패스 필터의 주파수 범위에 대응되는 범위에서 피크값을 갖는 자연음 또는 인공음을 선택하는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명 주파수를 획득하기 위한 이명 검사부를 더 포함하는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력분산용 음원 생성부는,
    상기 배경음악에 저주파 통과 필터(low-pass filter)를 적용함으로써 집중력분산용 음원을 생성하는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음 생성부에서 생성된 복합음을 수신하는 리시버를 더 포함하는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
KR1020170172828A 2017-12-15 2017-12-15 복합음을 활용한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 KR102006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828A KR102006250B1 (ko) 2017-12-15 2017-12-15 복합음을 활용한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828A KR102006250B1 (ko) 2017-12-15 2017-12-15 복합음을 활용한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916A true KR20190071916A (ko) 2019-06-25
KR102006250B1 KR102006250B1 (ko) 2019-08-01

Family

ID=67065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828A KR102006250B1 (ko) 2017-12-15 2017-12-15 복합음을 활용한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2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649B1 (ko) * 2019-12-05 2020-11-30 (주)힐링사운드 치과 치료용 소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6233A (ko) * 2005-01-26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간의 청각특성에 따른 주파수 특성을 갖는 신호 출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명 치료 장치
KR20150083663A (ko) * 2014-01-10 2015-07-20 주식회사 메디스윙 이명 치료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6233A (ko) * 2005-01-26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간의 청각특성에 따른 주파수 특성을 갖는 신호 출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명 치료 장치
KR20150083663A (ko) * 2014-01-10 2015-07-20 주식회사 메디스윙 이명 치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250B1 (ko)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on et al. What is temporal fine structure and why is it important?
Henry et al. Comparison of custom sounds for achieving tinnitus relief
EP3255901A1 (en) System for self-managed sound enhancement
US73478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monofrequency tinnitus utilizing sound wave cancellation techniques
JP2016515838A (ja) 聴力検査及び聴覚評価用の装置
US20150005661A1 (en) Method and process for reducing tinnitus
Brännström et al. Acceptance of background noise, working memory capacity, and auditory evoked potentials in subjects with normal hearing
Bennett et al. Simulating environmental and psychological acoustic factors of the operating room
Li et al. Perceptual time-frequency subtraction algorithm for noise reduction in hearing aids
Burke et al. Detection thresholds for combined infrasound and audio-frequency stimuli
KR102006250B1 (ko) 복합음을 활용한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
Sullivan et al. Amplification for listeners with steeply sloping, high-frequency hearing loss
Zhang Psychoacoustics
Kurakata et al. Sensory unpleasantness of high-frequency sounds
Wiegrebe et al. Quantifying the distortion products generated by amplitude-modulated noise
Tecca et al. Effect of low-frequency hearing aid response on four measures of speech perception
Genuit The use of psychoacoustic parameters combined with A-weighted SPL in noise description
Leek et al. Pitch strength and pitch dominance of iterated rippled noises in hearing-impaired listeners
Summers Effects of hearing impairment and presentation level on masking period patterns for Schroeder-phase harmonic complexes
Lentz et al. The effect of hearing loss on identification of asynchronous double vowels
Humes Masking of tone bursts by modulated noise in normal, noise-masked normal, and hearing-impaired listeners
Pierzycki et al. Indications for temporal fine structure contribution to co-modulation masking release
Terry et al. Preference for potential tinnitus maskers: Results from annoyance ratings
Hall III et al. Monaural envelope correlation perception in listeners with normal hearing and cochlear impairment
Ding et al. Relationships among temporal fine structure sensitivity, transient storage capacity, and ultra-high frequency hearing thresholds in tinnitus patients and normal adults of different 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