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1472A - 개선된 약시 치료용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개선된 약시 치료용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1472A
KR20190071472A KR1020170172547A KR20170172547A KR20190071472A KR 20190071472 A KR20190071472 A KR 20190071472A KR 1020170172547 A KR1020170172547 A KR 1020170172547A KR 20170172547 A KR20170172547 A KR 20170172547A KR 20190071472 A KR20190071472 A KR 20190071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image
display
display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에스
Priority to KR1020170172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1472A/ko
Publication of KR20190071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4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A61H5/005Exercisers for training the stereoscopic vi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informative content of the displa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에 코받이(111)가 형성되고 양측단에는 안경다리(112)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는 바디부(110); 상기 바디부(110) 상에서 사용자의 두 안구와 각각 대향하는 전방위치에 배치되어 안구를 향해 영상을 출력하는 좌안디스플레이(121) 및 우안디스플레이(122)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20);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게임이 진행되는 게임컨텐츠의 게임영상(I1)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 화면표시되도록 영상제어하되, 두 디스플레이(121,122)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에는 선명한 게임영상(I1)이 표시되고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에는 게임영상(I1)이 흐리게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게 블라인드 처리되도록 영상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개선된 약시 치료용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EYEGLASSES-TYPE WEARABLE DEVICE PROVIDING GAME CONTENTS FOR TREATMENT OF AMBLYOPIA}
본 발명은 약시 치료용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과 같이 약시 환자의 안면에 착용된 상태로 시력이 저하된 약시 안구에는 선명한 영상을 보여주고 정상 안구에는 흐린 영상을 보여주거나 영상출력을 차단하여 약시 안구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가림치료 방식으로 약시를 치료할 수 있으며, 약시 유아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게임영상을 제공하여 가림치료에 대한 동기유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약시 치료용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반적으로 안과적 검사상 특별한 이상을 발견할 수 없으나 양 안구의 시력이 크게 차이가 있을 때 시력이 낮은 쪽을 약시(Amblyopia)라고 한다. 이러한 약시는 시력이 발달하는 유아기에 주로 발견되는데 8세가 되면 시기능이 완성되어 교정이 어려우므로 그 이전에 조기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약시를 치료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시력이 높은 정상 안구측에 안대를 착용하거나 패치를 부착하여 정상 안구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약시 안구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환경을 부여함으로써 시력을 교정하는 가림 치료 방식이 이용되고 있으며, 통상 정상 안구와 시력이 동일해질 때까지 수개월에서 수년에 이르기 까지 장기간 동안 치료가 이어진다.
그러나, 안대나 패치는 피부 위에 직접 장착되어 접척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이질감으로 인한 불편함을 발생하고 피부가 예민한 경우 알레르기가 유발할 수 있으며 약시환자가 대부분 감수성이 예민하고 참을성이 부족한 유아이기 때문에 불편함이나 창피함을 이기지 못해 쉽게 벗어버려 치료효과가 미비한 경우가 많았다.
관련한 특허출원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31991호(1997.12.05 등록, 발명의 명칭 : 약시 및 복시 치료용 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에서, "렌즈 몸체에 있어 착용자의 안구측 전면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된 오목부와 볼록부로 이루어진 요철이 형성되며, 오목부는 소정의 곡률 R을 가지고 볼록부는 소정의 곡률 r을 가지며, R≫r의 관계를 갖는다. 이에 따라 내측(안구측)에서는 외측의 물체가 보이지 않고 외측에서는 착용자의 안구가 보이도록 한다. 이 렌즈를 약시의 경우는 정상안쪽에, 복시의 경우는 복시안쪽에 끼우고, 각각 타측에는 통상의 렌즈를 끼워서 형성한 안경을 안대 대신 사용하여 약시 및 복시의 치료효과를 높인다"라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다루고 있는, 안경과 같이 약시 환자의 안면에 착용된 상태로 시력이 저하된 약시 안구에는 선명한 영상을 보여주고 정상 안구에는 흐린 영상을 보여주거나 영상출력을 차단하여 약시 안구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가림치료 방식으로 약시를 치료할 수 있으며, 약시 유아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게임영상을 제공하여 가림치료에 대한 동기유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약시치료용 게임컨텐츠 제공기능이 구비된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131991호(1997.12.05), 약시 및 복시 치료용 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상의 안경과 외형이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져 착용하는 것에 대한 불편함이나 거부감이 느껴지지 않으며 피부와 접촉되지 않아 피부가 예민한 경우에도 알레르기가 발생하지 않고 유아가 흥미를 느낄 수 있는 게임컨텐츠의 게임영상을 제공하여 장시간 착용에 대한 흥미유발로 가림치료에 대한 동기유발을 제공할 수 있는 약시치료용 게임컨텐츠 제공기능이 구비된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단어를 제시하고 상기 단어의 빈 철자를 표적화하여 상기 표적화된 철자의 출현 패턴 및 이동 패턴에 불규칙성을 부여하거나, 또는 상기 표적의 투명도를 상기 게임 컨텐츠 배경의 상황에 따라 변화를 주는 것이 가능하여 치료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개선된 약시 치료용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중앙에 코받이(111)가 형성되고 양측단에는 안경다리(112)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는 바디부(110); 상기 바디부(110) 상에서 사용자의 두 안구와 각각 대향하는 전방위치에 배치되어 안구를 향해 영상을 출력하는 좌안디스플레이(121) 및 우안디스플레이(122)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20);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게임이 진행되는 게임컨텐츠의 게임영상(I1)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 화면표시되도록 영상제어하되, 두 디스플레이(121,122)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에는 선명한 게임영상(I1)이 표시되고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에는 게임영상(I1)이 흐리게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게 블라인드 처리되도록 영상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의 두 디스플레이(121,122) 중 상기 블라인드 처리될 디스플레이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30)는 조작부(140)의 입력신호에 따라 선택된 디스플레이가 블라인드 처리되도록 영상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게임컨텐츠의 게임영상(I1)이 디스플레이부(120)에 입체적으로 화면표시되도록 제어하여 가상현실(virtual reality) 방식의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110)에 장착되어 전방을 향해 촬영구동하며 주변사물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투명디스플레이이며, 상기 제어부(130)는 카메라(150)로부터 수신된 주변사물의 영상데이터를 영상분석하여 주변사물의 위치를 판단하며 게임컨텐츠의 게임영상(I1)이 주변사물과 매칭되게 디스플레이부(120)에 화면표시되도록 제어하여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방식의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증강현실 방식의 게임영상(I1)이 디스플레이부(120)에 화면표시되면서 두 디스플레이(121,122) 중 선택된 디스플레이가 블라인드 처리되도록 영상제어하는 게임모드 또는, 상기 게임영상(I1)이 디스플레이부(120)에 화면표시되지 않으며 두 디스플레이(121,122) 중 선택된 디스플레이가 블라인드 처리되도록 영상제어하는 일반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컨텐츠는, 게임영상(I1)에 포함된 캐릭터나 배경에 대한 각 객체가 서로 이웃한 객체간에 서로 보색(Complementary Color)이 되는 색상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양단이 두 안경다리(112)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중앙부가 U자 형태로 만곡되어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며,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60)가 내부에 장착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20) 및 회로부가 바디부(110)의 전방위치에 장착되면서 전방측으로 편중된 무게중심의 밸런스가 유지되도록 하는 후두부지지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시치료용 게임컨텐츠 제공기능이 구비된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하면,
첫째,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부(110)의 경우 중앙에 코받이(111)가 형성되고 양측단에는 안경다리(112)가 형성된 통상의 안경과 외형이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됨으로써, 착용하는 것에 대한 불편함이나 거부감이 느껴지지 않고 피부와 직접적인 접촉이 유지되지 않아 피부가 예민한 경우에도 알레르기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둘째, 시력이 저하된 약시 안구에는 선명한 영상을 보여주고 정상 안구에는 흐린 영상을 보여주거나 영상출력을 차단하여 약시 안구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가림치료 방식으로 약시를 치료할 수 있음은 물론, 유아가 흥미를 느낄 수 있는 게임컨텐츠의 게임영상(I1)을 제공함으로써 장시간 감림치료에 대한 흥미유발로 가림치에 대한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게임컨텐츠의 게임영상(I1)이 디스플레이부(120)에 입체적으로 화면표시되도록 제어하여 가상현실(Virtual Reality) 방식의 게임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게임에 대한 몰입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장시간 착용을 유지시키기 위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넷째, 디스플레이의 배면으로 주변사물의 이미지가 투과되지 않는 종래의 차폐형 광학계의 경우 과도한 몰입감으로 어지럼증이나 두통 등의 멀미현상이 발생하고 제품의 무게나 부피가 커지며 주변 장애물을 인지하지 못해 게임중에 신체가 부딛혀 부상을 입을 수 있는 단점이 있으나,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주변사물의 이미지가 투과되어 안구로 입사되는 투명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투과형 광학계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종래의 멀미현상을 방지하고 무게나 부피를 감축할 수 있으며 게임중에 주변 장애물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게임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바디부(110)에 장착되어 전방을 향해 촬영구동하는 카메라(150)로부터 수신된 주변사물의 영상데이터를 영상분석하여 주변사물의 위치를 판단하며 게임컨텐츠의 게임영상(I1)이 주변사물과 매칭되게 디스플레이부(120)에 화면표시되면서 증강현실 방식의 게임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하고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게임방식의 게임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여섯째, 사용자 조작에 따라 증강현실 방식의 게임영상(I1)이 디스플레이부(120)에 화면표시되는 게임모드나 상기 게임영상(I1)이 화면표시되지 않는 일반모드로 동작될 수 있으므로, 게임을 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일반모드로 설정하여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로 학습이나 TV시청 등의 일상적인 활동을 하면서 가림치료를 지속할 수 있다.
일곱째, 상기 게임컨텐츠는 게임영상(I1)에 포함된 캐릭터나 배경에 대한 각 객체(Object)가 서로 이웃한 객체간에 서로 보색(Complementary Color)이 되는 색상을 갖도록 설정되어 각 객체의 이미지의 색상이 더욱 뚜렷해지면서 선명하게 보이는 보색대비(Complementary Contrast)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가림치료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여덟째, 상기 바디부(110)의 후방측에는 양단이 두 안경다리(112)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중앙부가 U자 형태로 만곡되어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며,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60)가 내부에 장착되면서 디스플레이부(120) 및 회로부가 바디부(110)의 전방위치에 장착되면서 전방측으로 편중된 무게중심의 밸런스가 유지되록 할 수 있으므로, 전방으로 편중된 무게중심으로 사용자가 고개를 숙이는 동작에 의해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쉽게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홉째, 본 발명에 따른 약시 치료용 게임 컨텐츠에서는, 사용자에게 단어를 제시하고 상기 단어의 빈 철자를 표적화하여 상기 표적화된 철자의 출현 패턴 및 이동 패턴에 불규칙성을 부여하거나, 또는 상기 표적의 투명도를 상기 게임 컨텐츠 배경의 상황에 따라 변화를 주는 것이 가능하여 치료 효과를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가상현실 방식의 게임영상이 블라인드 처리되면서 화면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증강현실 방식의 게임영상이 블라인드 처리되면서 화면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게임영상에 포함된 캐릭터나 배경에 대한 각 객체가 서로 이웃한 객체간에 서로 보색이 되는 색상을 갖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약시 치료용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의 약시 치료용 게임 컨텐츠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시치료용 게임컨텐츠 제공기능이 구비된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바디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상기 바디부(110)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골조를 형성하는 베이스 부재로서, 전방측 중앙에는 사용자의 콧등에 지지되는 코받이(111)가 형성되고 양측단에는 귀부분에 지지되는 안경다리(112)가 형성되면서 통상의 안경과 외형이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된다. 여기서,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130)를 포함한 전기회로부품이 내부에 실장된다.
또한,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바디부(110)에는 제공되는 게임컨텐츠의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70) 및 상기 게임컨텐츠의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190)가 실장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20)에 화면표시되는 게임영상(I1)과 음향을 동기화시켜 출력함으로써 게임의 몰입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약시치료 및 게임제공을 위한 게임영상(I1)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영상출력수단으로서, 상기 바디부(110) 상에서 사용자의 두 안구와 각각 대향하는 전방 위치에 배치되어 안구를 향해 영상을 출력하는 좌안디스플레이(121) 및 우안디스플레이(12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도면에서와 같이 하나의 패널형태로 구비되되 좌안과 대향하는 좌측부분에는 좌안디스플레이(121)가 배치되는 영역 및, 우안과 대향하는 우측부분에는 우안디스플레이(122)가 배치되는 영역으로 구획되어 각 디스플레이(121,122)별로 동일한 게임컨텐츠의 게임영상(I1)이 영상분리되어 개별적으로 영상입력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상기 좌안디스플레이(121)와 우안디스플레이(122)가 각각의 패널형태로 구비되어 통상의 안경에 두 개의 렌즈가 장착되는 구조와 같이 바디부(110) 상에 두 디스플레이(121,122)가 이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중앙제어하는 마이컴수단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게임이 진행되는 게임컨텐츠의 게임영상(I1)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 화면표시되도록 영상제어하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디스플레이(121,122)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에는 선명한 게임영상(I1)이 표시되고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에는 게임영상(I1)이 흐리게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게 블라인드 처리되도록 영상제어한다.
여기서, 블라인드 처리는 약시 증상이 있는 사용자의 정상 안구측에 게임영상(I1)이 가려지도록 하여 정상 안구의 시기능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의 좌안디스플레이(121)에 화면표시되는 것과 같이 게임영상(I1)과 해당 게임영상(I1)을 흐리게 표시하기 위한 블라이드 영상(I2)을 함께 화면출력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 밖에 게임영상(I1)의 화면출력없이 블라이드 영상(I2)만 화면출력하는 방식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반대쪽의 약시 안구측에 대향하는 우안디스플레이(122)에는 정상적으로 선명한 게임영상(I1)만이 화면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약시 안구의 시기능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도 3과 같이 게임컨텐츠의 게임영상(I1)이 디스플레이부(120)에 입체적으로 화면표시되도록 제어하여 가상현실(virtual reality) 방식의 게임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게임에 대한 몰입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장시간 착용을 유지시키기 위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디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및 제어부(130)의 조합된 구성을 통해,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부(110)의 경우 중앙에 코받이(111)가 형성되고 양측단에는 안경다리(112)가 형성된 통상의 안경과 외형이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됨으로써, 착용하는 것에 대한 불편함이나 거부감이 느껴지지 않고 피부와 직접적인 접촉이 유지되지 않아 피부가 예민한 경우에도 알레르기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시력이 저하된 약시 안구에는 선명한 영상을 보여주고 정상 안구에는 흐린 영상을 보여주거나 영상출력을 차단하여 약시 안구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가림치료 방식으로 약시를 치료할 수 있음은 물론, 유아가 흥미를 느낄 수 있는 게임컨텐츠의 게임영상(I1)을 제공함으로써 장시간 감림치료에 대한 흥미유발로 가림치에 대한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불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의 두 디스플레이(121,122) 중 상기 블라인드 처리될 디스플레이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14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조작부(140)의 입력신호에 따라 선택된 디스플레이가 블라인드 처리되도록 영상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설정으로 좌안 약시인 사용자나 우안 약시인 사용자 모두 하나의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 가림치료가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140)는 블라인드 처리되는 디스플레이를 설정하는 것 이외에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각종 조작 및 설정을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바디부(110)의 일측에 배치되거나 별도의 모듈형태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어부(130)와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신호연결되어 사용자입력신호를 제어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더불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조작 및 설정을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1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작부(140)는 바디부(110)의 일측에 구현되거나 별도의 모듈형태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어부(130)와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신호연결되어 사용자입력신호를 제어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로 배면으로 주변사물의 이미지가 투과되지 않는 차폐형 광학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과도한 몰입감으로 어지럼증이나 두통 등의 멀미현상이 발생하고 제품의 무게나 부피가 커지며 주변 장애물을 인지하지 못해 게임중에 신체가 부딛혀 부상을 입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투과형 광학계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바디부(110)의 전방위치에는 전방을 향해 촬영구동하며 주변사물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150)가 장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주변사물의 이미지가 투과되어 안구로 입사되는 투명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투과형 광학계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카메라(150)로부터 수신된 주변사물의 영상데이터를 영상분석하여 주변사물의 위치를 판단하며 게임컨텐츠의 게임영상(I1)이 주변사물과 매칭되게 디스플레이부(120)에 화면표시되도록 제어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방식의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차폐형 투광계 구조와 달리 멀미현상을 방지하고 무게나 부피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게임중에 장애물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게임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증강현실 방식의 게임을 진행함으로써 보다 다양하고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게임방식의 게임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조작부(140)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증강현실 방식의 게임영상(I1)이 디스플레이부(120)에 화면표시되면서 두 디스플레이(121,122) 중 선택된 디스플레이가 블라인드 처리되도록 영상제어하는 게임모드 또는, 상기 게임영상(I1)이 디스플레이부(120)에 화면표시되지 않으며 두 디스플레이(121,122) 중 선택된 디스플레이가 블라인드 처리되도록 영상제어하는 일반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게임을 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일반모드로 설정하여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로 학습이나 TV시청 등의 일상적인 활동을 하면서 가림치료를 지속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게임컨텐츠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영상(I1)에 포함된 캐릭터나 배경에 대한 각 객체(Object)가 서로 이웃한 객체간에 서로 보색(Complementary Color)이 되는 색상을 갖도록 설정되어 각 객체의 이미지의 색상이 더욱 뚜렷해지면서 선명하게 보이는 보색대비(Complementary Contrast)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가림치료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10)의 후방측에는 양단이 두 안경다리(112)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중앙부가 U자 형태로 만곡되어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며,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60)가 장착되는 후두부지지부(180)가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20) 및 회로부가 장착되어 전방측으로 편중된 무게중심의 밸런스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두부지지부(180)는 바디부(110)의 전방측 무게와 대응되는 무게를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전방측과 후방측의 무게가 균형을 이루어 편중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방으로 편중된 무게중심으로 사용자가 고개를 숙이는 동작에 의해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쉽게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약시 치료용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의 약시 치료용 게임 컨텐츠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에 약시와 무관한 교육용 콘텐츠에서는 화면상에서 단순히 적합한 내용을 선택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음에 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약시 치료용 게임 콘텐츠는, 약시 치료 대상자의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알파벳, 도형, 연산내용등을 표적화하고, 이와 같은 다수의 표적을 사용하되, 표적 출현 및 표적 이동에 불규칙성을 부여하여 시각적 지각 학습 기능 부여한다.
도 6은 단어를 제시하고 빈 철자를 표적화하여 표적화된 철자의 출현 패턴 및 이동 패턴에 불규칙성을 부여하여 몰입감 유지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동일한 형상의 다각형을 찾는 것을 표적화하여 표적의 출현 패턴이나 이동 패턴에 불규칙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도 8도 사칙 연산을 표적화하고, 이와 같은 표적에 대해서 표적 출현 및 표적 이동에 불규칙성을 부여하여 시각적 지각 학습 기능 부여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적의 투명도 변화를 통해 약시 증상에 따른 치료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불규칙하게 이동하는 표적의 투명도를 변화시켜서 사용자의 몰입감를 증대하는 것이다. 약시 환자에게 적합한 투명도를 전문의 처방을 통해 설정하여 단계별 치료효과를 증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콘텐츠 구동 중 투명도가 변화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9는 해가 있는 경우에 표적의 투명도를 미적용한 것이고, 도 10은 달이 있는 경우에 표적의 투명도를 적용한 것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바디부
111...코받이 112...안경다리
120...디스플레이부 121...좌안디스플레이
122...우안디스플레이 130...제어부
140...조작부 150...카메라
180....후두부지지부

Claims (6)

  1. 중앙에 코받이(111)가 형성되고 양측단에는 안경다리(112)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는 바디부(110);
    상기 바디부(110) 상에서 사용자의 두 안구와 각각 대향하는 전방위치에 배치되어 안구를 향해 영상을 출력하는 좌안디스플레이(121) 및 우안디스플레이(122)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20);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게임이 진행되는 게임컨텐츠의 게임영상(I1)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 화면표시되도록 영상제어하되, 두 디스플레이(121,122)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에는 선명한 게임영상(I1)이 표시되고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에는 게임영상(I1)이 흐리게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게 블라인드 처리되도록 영상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30)는, 약시 치료용 게임 컨텐츠의 게임영상(I1)이 디스플레이부(120)에 입체적으로 화면표시되도록 제어하여 게임을 제공하되,
    상기 약시 치료용 게임 컨텐츠에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단어를 제시하고 상기 단어의 빈 철자를 표적화하여 상기 표적화된 철자의 출현 패턴 및 이동 패턴에 불규칙성을 부여하거나, 또는 상기 표적의 투명도를 상기 게임 컨텐츠 배경의 상황에 따라 변화를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약시 치료용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의 두 디스플레이(121,122) 중 상기 블라인드 처리될 디스플레이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30)는 조작부(140)의 입력신호에 따라 선택된 디스플레이가 블라인드 처리되도록 영상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약시 치료용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10)에 장착되어 전방을 향해 촬영구동하며 주변사물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투명디스플레이이며,
    상기 제어부(130)는 카메라(150)로부터 수신된 주변사물의 영상데이터를 영상분석하여 주변사물의 위치를 판단하며 게임컨텐츠의 게임영상(I1)이 주변사물과 매칭되게 디스플레이부(120)에 화면표시되도록 제어하여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방식의 게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약시 치료용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증강현실 방식의 게임영상(I1)이 디스플레이부(120)에 화면표시되면서 두 디스플레이(121,122) 중 선택된 디스플레이가 블라인드 처리되도록 영상제어하는 게임모드 또는, 상기 게임영상(I1)이 디스플레이부(120)에 화면표시되지 않으며 두 디스플레이(121,122) 중 선택된 디스플레이가 블라인드 처리되도록 영상제어하는 일반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약시 치료용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컨텐츠는,
    게임영상(I1)에 포함된 캐릭터나 배경에 대한 각 객체가 서로 이웃한 객체간에 서로 보색(Complementary Color)이 되는 색상을 갖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개선된 약시 치료용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단이 두 안경다리(112)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중앙부가 U자 형태로 만곡되어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며,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60)가 내부에 장착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20) 및 회로부가 바디부(110)의 전방위치에 장착되면서 전방측으로 편중된 무게중심의 밸런스가 유지되도록 하는 후두부지지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약시 치료용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0170172547A 2017-12-14 2017-12-14 개선된 약시 치료용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900714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547A KR20190071472A (ko) 2017-12-14 2017-12-14 개선된 약시 치료용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547A KR20190071472A (ko) 2017-12-14 2017-12-14 개선된 약시 치료용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472A true KR20190071472A (ko) 2019-06-24

Family

ID=67056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547A KR20190071472A (ko) 2017-12-14 2017-12-14 개선된 약시 치료용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147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0651A (zh) * 2020-12-14 2021-01-15 宁波圻亿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康复训练的可穿戴设备的***和可穿戴设备
CN113936327A (zh) * 2021-12-17 2022-01-14 上海宝意医疗健康科技有限公司 弱视训练的监管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终端
KR20230016870A (ko) * 2021-07-27 2023-02-03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텐츠 이미지에 의한 시력 훈련장치
GB2619367A (en) * 2022-05-23 2023-12-06 Leetz Vincent Extended reality headset, system and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991B1 (en) 1994-07-06 1998-04-13 Park Jong Duk Therapeutic lense of amblyopia and diplopia and glasses using 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991B1 (en) 1994-07-06 1998-04-13 Park Jong Duk Therapeutic lense of amblyopia and diplopia and glasses using i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0651A (zh) * 2020-12-14 2021-01-15 宁波圻亿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康复训练的可穿戴设备的***和可穿戴设备
KR20230016870A (ko) * 2021-07-27 2023-02-03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텐츠 이미지에 의한 시력 훈련장치
CN113936327A (zh) * 2021-12-17 2022-01-14 上海宝意医疗健康科技有限公司 弱视训练的监管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终端
CN113936327B (zh) * 2021-12-17 2022-04-15 上海宝意医疗健康科技有限公司 弱视训练的监管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终端
GB2619367A (en) * 2022-05-23 2023-12-06 Leetz Vincent Extended reality headset, system and apparatus
GB2619367B (en) * 2022-05-23 2024-06-26 Leetz Vincent Extended reality headset, system and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8686B2 (en) Eye-protective shade for augmented reality smart glasses
Sabelman et al. The real-life dangers of augmented reality
KR102256992B1 (ko) 착용자에게 적응된 헤드 장착형 전자-광학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20190071472A (ko) 개선된 약시 치료용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US651117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amblyopia
KR101934019B1 (ko) 고령자를 위한 혼합현실 기반 인지훈련 시스템 및 방법
CN107219641A (zh) 用于控制近视、延长焦深和矫正老花眼的脉冲正镜片设计
EP3413116A1 (en) Eye-protective shade for augmented reality smart glasses
US20150302773A1 (en) See Through Display enabling the correction of visual deficits
Peli Visual issues in the use of a head-mounted monocular display
KR101971937B1 (ko) 고령자를 위한 혼합현실 기반 인지훈련 시스템 및 방법
US10416462B2 (en) See through display enabling the correction of visual deficits
CN107632414A (zh) 一种智能远视降度镜
CN104407437A (zh) 变焦头戴设备
JP2011528814A (ja) めがね型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948778B1 (ko)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Peli 2017 Charles F. Prentice Award Lecture: Peripheral Prisms for Visual Field Expansion: A Translational Journey
CN206453898U (zh) 一种智能光电治疗近视、弱视视力调节装置
KR20180066532A (ko) 약시치료용 게임컨텐츠 제공기능이 구비된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CN109276420A (zh) 治疗近视的虚拟现实装置
US4059347A (en) Optical instrument and viewing method
CN201184934Y (zh) 小孔眼镜
CN113413265A (zh) 视功能障碍者视觉辅助方法、***及智能ar眼镜
US20200301172A1 (en) Method and Portable Aid for Mindfulness Meditation
JP2018189711A (ja) 拡張現実のスマートグ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