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334A -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및 스택 배열부 - Google Patents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및 스택 배열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334A
KR20190065334A KR1020197012383A KR20197012383A KR20190065334A KR 20190065334 A KR20190065334 A KR 20190065334A KR 1020197012383 A KR1020197012383 A KR 1020197012383A KR 20197012383 A KR20197012383 A KR 20197012383A KR 20190065334 A KR20190065334 A KR 20190065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ructure
box
engaging means
processing unit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2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86076B1 (ko
Inventor
도미닉 리하르트 엔더
Original Assignee
페스툴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스툴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페스툴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65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6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6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2Boxes
    • B25H3/021Boxes comprising a number of connected storag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7/0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frames; of guiding arrangements for work-table or saw-carrier
    • B23D47/025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frames; of guiding arrangements for work-table or saw-carrier of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06Storage means specially adapted for one specific hand apparatus, e.g. an electric dri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구(1)를 이용하여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특히 원형 톱 벤치에 관한 것으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은 기저부 상에 세울 수 있으며 하단부(3)를 구비한 상자형 지지 구조물(2)로서, 하단부는 가공할 공작물의 안착을 위해 사용 가능한 공작물-안착 플레이트(4)를 제공하는, 상자형 지지 구조물(2) 및 공구(1)의 기계적 구동을 위한 구동 장치(5)를 포함하고, 구동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단부(3) 내에 배치되고, 하단부에 구동 준비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구동 장치(5)는 구동 장치(5)에 의해 구동된 공구(1)에 의한 공작물의 가공 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단부(3) 내에 잔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구조물(2)은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을 포함하고,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은 지지 구조물(2)이 적어도 하나의 상자형 몸체(21; 22)와 함께 수직 스택을 형성하는 상태에서 아러한 적어도 하나의 상자형 몸체(21; 22)와 분리 가능하면서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및 스택 배열부
본 발명은 공구를 이용하여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특히 원형 톱 벤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원형 톱 벤치는 기저부 상에 세울 수 있으며 하단부를 구비한 상자형 지지 구조물로서 이러한 하단부는 가공할 공작물의 안착을 위해 사용 가능한 공작물-안착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상자형 지지 구조물, 및 공구의 기계적 구동을 위한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구동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단부 내에 배치되고, 하단부에서 구동 준비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구동 장치는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공구에 의한 공작물의 가공 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단부 내에 잔류한다.
DE 20 2004 009 123 U1은 하우징을 포함하는 원형 톱 벤치를 설명하고, 하우징은 둘레측 및 하측에서 실질적으로 닫힌 외부면들을 구비한다. 하우징은 안착면을 포함하는 작업 플레이트를 지지한다. 모터 및 톱날을 수용하기 위한 기계 프레임은 작업 플레이트의 아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서두에 언급한 종류의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취급 가능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제 1 항의 특징부에 기재된 특징들에 의하여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구조물은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을 제공하고,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은 지지 구조물이 적어도 하나의 상자형 몸체와 함께 수직 스택을 형성하는 상태에서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상자형 몸체와 분리 가능하면서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은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은 예컨대 상자형 용기들 및/또는 다른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들과 같은 상자형 몸체들로 구성된 수직 스택 내에서 안정적으로 부속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은 매우 실용적인 방식으로 보관 또는 적재될 수 있다.
또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은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으로 인하여 효율적이고 안전한 방식으로 이송될 수 있다.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은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을 위해 적합하므로, 이러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과 함께 하나의 스택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스택의 개별 스택 요소들은 서로 간에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며 결합된다. 이와 연관하여,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이란, 특히 수직 방향으로 고정적이면서 힘을 전달하는 연결을 의미한다. 그러한 스택 내에 부속하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은 스택이 수직으로 들어 올려질 때에도 고정적으로 스택의 다른 요소들에 결합된 채로 유지되어서, 결국 효율적이고 안전한 방식으로 스택 내에서 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취급 가능성은 특히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적재 및 이송과 관련하여 개선될 수 있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기본 형상은 특히 상자형 지지 구조물에 의하여 규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구조물의 외부면들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하우징 또는 외부의 하우징 면들을 나타낸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하우징 또는 기본 형상은 특히 시스템 박스의 형상을 포함한다. 하나의 시스템의 시스템 박스들은 이러한 시스템 내에 규정되는 밑면을 제공하고, 이러한 시스템 내에 규정된 결합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시스템의 시스템 박스들은 하나의 안정적인 스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시스템 박스들은 예컨대 수동 전동 공구, 부자재 및/또는 소모재의 보관을 위한 모듈형 공구 박스들로서 더 확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유닛의 하우징 또는 기본 형상이 시스템 박스의 형상으로 형성되면,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은 실용적인 방식으로 시스템 박스들로 구성된 스택 내에서 적재 및 이송될 수 있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지지 구조물은 여러 목적을 충족한다. 한편으로,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 구조물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기본 형상을 규정하고, 다른 상자형 몸체들 또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들로 구성된 스택 내에서 이러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보관 또는 이송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지지 구조물은 공작물-안착 플레이트를 제공하고, 이러한 공작물-안착 플레이트 상에서 공작물은 가공 시 안착된다. 마지막으로, 지지 구조물 내에 구동 장치, 예컨대 전기 모터는 구동 준비된 상태로 부속되어 고정됨으로써,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은 적합한 방식으로 구동 장치의 개조 없이 스택으로부터 취출되어 구동되거나 구동 후 스택 내에 부속될 수 있다. 이때, 구동 장치는 항상 구동 준비된 배열로 지지 구조물 내에 잔류한다. 특히, 구동 장치는 구동 상태 - 즉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이 공작물의 가공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상태 - 뿐만 아니라 이송 상태 - 즉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이 스택 내에 부속될 수 있는 상태 - 에서도 구동 준비된 배열로 지지 구조물 내에 잔류한다. 따라서, 이송 상태와 구동 상태 사이에 소모적인 개조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은 매우 신속하고 간단하게 구동될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은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으로 인하여 상자형 몸체들로 구성된 스택 내에 부속될 수 있다. 상자형 몸체들은 예컨대 용기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들을 가리킬 수 있다. 서로 함께 하나의 스택을 형성하는 상자형 몸체들은 본원에서 스택 요소들로 지칭된다.
유리한 발전 형태들은 종속항들의 주제이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은 상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을 포함하고, 상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은 상자형 몸체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상에 적층된 상태에서 이러한 상자형 몸체와 분리 가능하면서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이에 대해 대안적 또는 부가적으로,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은 하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을 포함하고, 하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이 상자형 몸체 상에 적층된 상태에서 이러한 상자형 몸체와 분리 가능하면서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은 스택 내에서 안정적으로 상자형 몸체의 위 및/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상자형 몸체에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며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를 위해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은 복수의 공간 방향, 특히 전체 공간 방향에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은 특히, 상자형 몸체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되고 이러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과 하나의 스택을 형성할 때, 이러한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이 지지 구조물-결합 요소들에 대해 동일하게 형성되는 상자형 몸체의 몸체-결합 수단과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한 형성예에 따르면,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 바람직하게는 상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잠금 요소를 포함하고, 잠금 요소는 특히 지지 구조물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볼트를 포함한다. 적합한 방식으로, 회전 축은 회전 볼트가 배치되는 지지 구조물의 둘레 벽에 대하여 직교한다.
잠금 요소는 예컨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자형 몸체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되면, 결합 위치에 있을 때, 상자형 몸체에 구비되는 잠금 앵커 윤곽과 맞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잠금 요소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둘레 벽에 취부된다.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은 하나 이상의 잠금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요소는 서로 상이하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예컨대 회전 가능하게, 회동 가능하게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미 전술한 회전 볼트로서의 잠금 요소 버전에 대하여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잠금 요소는 또한 잠금 러그(locking lug)를 포함할 수 있고, 잠금 러그는 회동 가능하게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경우, 회동 축은 적합한 방식으로 잠금 러그가 배치되는 이동 가능한 가공 유닛의 둘레 벽에 대하여 평행하다.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될 때의 슬라이딩 축은 적합한 방식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잠금 요소를 이용하여,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은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상자형 몸체에 결합되거나 이러한 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잠금 요소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볼트로서 형성되면, 결합/분리는 회전 볼트를 돌려서 가능하다.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 바람직하게는 하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은 적합한 방식으로 지지 구조물에 위치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앵커 윤곽을 포함한다.
잠금 앵커 윤곽은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잠금 돌출부로서 형성될 수 있고, 잠금 돌출부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둘레 벽으로부터 돌출해 있다.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은 하나 이상의 잠금 앵커 윤곽 또는 잠금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논의한 잠금 요소 및 잠금 앵커 윤곽에 대해 부가적으로,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은 맞물림 구조물들을 포함할 수 있고, 맞물림 구조물들은 예컨대 용기 또는 다른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과 같은 상자형 몸체의 대응 맞물림 구조물들과 맞물리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이 상자형 몸체와 함께 스택을 형성하는 상태에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및 상자형 몸체가 수직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방지되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맞물림 구조물들은 수직 방향에서의 결합을 위해서도 기여할 수 있다. 이는 맞물림 구조물들의 리어 그립 구성 요소들이 맞물리며 잠김으로써 일어날 수 있고, 이러한 잠김 맞물림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이 상자형 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은 지지 구조물의 상측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함몰부로 구성되는 제1 맞물림 구조물을 포함하고, 하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은 지지 구조물의 하측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돌출부로 구성되는 제2 맞물림 구조물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돌출부는 예컨대 스탠드형 받침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탠드형 받침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한 전술한 리어 그립 구성 요소들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형성예에 따르면, 지지 구조물은 제거 가능하게 하단부에 취부되는 상단부를 포함하고, 상단부는 수직 방향에서 공작물-안착 플레이트를 넘어 위쪽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한다.
프레임 구조물은 공작물-안착 플레이트와 함께 적재 공간을 규정하고, 따라서 부자재를 위한 보관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구동 상태에서, 공작물-안착 플레이트 및 공구에 양호하게 접근 가능하기 위해, 상단부는 하단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이송 상태에서 상단부는 하단부에 취부되어 적재 공간을 제공한다.
가능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프레임 구조물은 상단부를 나타낸다.
적합한 방식으로, 상단부에는 상단부-결합 수단이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하단부-결합 수단이 구비되며, 이러한 결합 수단들은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어서,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을 제공한다. 상단부-결합 수단 및 하단부-결합 수단은 예컨대 이동 가능한 잠금 요소 및/또는 잠금 앵커 윤곽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단부의 수평 횡단면,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구조물의 수평 횡단면은 하단부의 수평 횡단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부 윤곽을 포함한다. 상단부 및 하단부 또는 프레임 구조물 및 하단부는 서로 함께 상자형 몸체를 형성한다.
적합한 방식으로, 공구는 구동 장치에 취부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작물-안착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구조물은 수직 방향에서 위쪽으로 구동 장치에 취부된 공구를 넘어 연장된다.
프레임 구조물이 수직 방향에서 위족으로 구동 장치에 취부된 공구를 넘어 연장됨으로써, 스택 내의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은 상자형 몸체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공구를 제거할 필요 없이 그러하다. 프레임 구조물은 특히,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작물-안착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공구를 이송 상태에서도 구동 장치에 그대로 둘 수 있기 위해, 필요한 공간을 수직 공간에서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구는 이송 상태에서도 구동 준비된 상태로 배치되어 유지될 수 있다.
상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은 특히 상단부에 구비된다. 이에 대해 대안적 또는 부가적으로, 하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은 하단부에 구비된다.
바람직한 형성예에 따르면, 상단부는 캡 형상의 커버로서 형성되고, 이러한 캡 형상의 커버는 지지 구조물에 취부된 상태에서 공구-안착 플레이트를 덮는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구조물 및 공구-안착면은 서로 함께 적재 공간을 한정한다. 특히, 상단부는 제거 가능한 및/또는 회동 가능한 덮개를 제공하고, 이러한 덮개는 프레임 구조물에 취부되고, 개방 위치에서 적재 공간으로의 접근을 허용한다.
적합한 방식으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은 운반용 손잡이(carrying handle)을 제공하고, 운반용 손잡이는 지지 구조물에, 바람직하게는 상단부에, 특히 덮개에 구비된다. 지지 구조물은 특히,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을 운반용 손잡이를 이용하여 들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및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되어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과 함께 수직 스택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자형 몸체를 포함하는 스택 배열부가 제공되며, 상자형 몸체는 몸체-결합 수단을 포함하고, 몸체-결합 수단은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과 연동하여, 상자형 몸체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사이에 분리 가능하면서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형성예에 따르면, 상자형 몸체는 용기 또는 전술한 종류에 따르는 다른 가공 유닛이다. 다른 가공 유닛인 경우, 몸체-결합 수단은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수평 횡단면은 상자형 몸체의 수평 횡단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부 윤곽을 포함한다. 특히,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은 상자형 몸체와 일직선상에 배치됨으로써,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및 상자형 몸체는 서로 함께 직육면체형 스택을 형성한다.
이하,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예시적 실시 형태가 도면을 참조로 설명된다.
도 1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전방에서 관찰한, 상단부가 제거된 상태의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후방에서 관찰한, 상단부가 제거된 상태의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덮개가 개방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및 2개의 상자형 용기로 구성되는 스택 배열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하부에서 관찰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어 장치(101)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이 부속된 스택 배열부(20)를 도시한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도면들에 표시된 z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직 방향, 도면들에 표시된 x축에 대해 평행하게 진행하는 종 방향 및 도면들에 표시된 y축에 대해 평행하게 진행하는 횡 방향으로 연장된다.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하여 정렬된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도시된 도면들에서 예시적으로 원형 톱 벤치로서 형성된다. 이에 대해 대안적으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예컨대 라우터, 스크롤쏘(scroll saw) 또는 에지 그라인더(edge grinder)와 같은 다른 반고정식 기계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연관하여, 반고정식 기계로서 특히 공작물 가공 시 기저부 상에 세워지며 이송 시 사람이 들기에 적합한 가공 유닛을 지칭해야 한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도면들에 미도시된 공작물을 공구(1)를 이용하여 가공하기 위해 역할한다. 공구(1)는 도면들에서 예시적으로 톱날로서 형성된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기저부 상에 세울 수 있는 상자형 지지 구조물(2)을 포함하고, 이러한 상자형 지지 구조물은 가공할 공작물의 안착을 위해 사용 가능한 공작물-안착 플레이트(4)를 제공하는 하단부(3)를 포함한다. 상자형 지지 구조물(2)은 적합한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직육면체형 구조물을 가리키며, 이러한 직육면체형 구조물에서 외부면들, 바람직하게는 전체 외부면들은 실질적으로 닫혀 있다.
또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도 7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동 장치(5)를 포함한다. 구동 장치(5)는 예컨대 공구(1)의 기계적 구동을 위한 전기 모터를 포함한다. 구동 장치(5)는 논의된 예시에서 완전히 하단부(3) 내에 배치되고, 하단부(3)에서 구동 준비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구동 장치(5)는 구동 장치(5)에 의해 구동된 공구(1)에 의하여 공작물의 가공 시 하단부(3) 내에 잔류한다.
지지 구조물(2)은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을 제공한다.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은 지지 구조물(2)이 적어도 하나의 상자형 몸체(21, 22)와 함께 수직 스택을 형성하는 상태에서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상자형 몸체와 분리 가능하면서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으로 인하여 안정적으로, 예컨대 상자형 용기들 및/또는 다른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들(10)과 같은 상자형 몸체들(21, 22)로 구성되는 스택 내에 부속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스택 내에서 매우 실용적으로 적재되고 및/또는 안전하게 이송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개선된 취급 가능성을 가진다.
도면들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특히 시스템 박스의 기본 형상을 가진다. 도면들에 도시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다른 시스템 박스들의 스택 내에 부속되도록 형성되며, 이는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하,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예시적 구성들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지지 구조물(2)은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서로 직교하여 정렬되는 4개의 둘레 벽을 포함한다. 둘레 벽들은 전면 벽(12), 후면 벽(13), 및 측벽들(25, 26)을 포함한다. 전면 벽(12) 및 후면 벽(13)은 종 방향(x)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되고, 측벽들(25, 26)은 횡 방향(y)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된다.
도면들에 도시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지지 구조물(2)은 제거 가능하게 하단부(3)에 취부되는 상단부(16)를 포함한다. 도 1은 상단부(16)가 하단부(3) 상에 안착하여 이러한 하단부에 결합되는 상태에서 가공 유닛(10)을 도시한다. 도 2에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상단부(16)가 하단부(3)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대안적으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상단부(16)를 포함하지 않고도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적합한 방식으로 하단부(3)는 전체의 지지 구조물을 나타낼 수 있다.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은 모두 하단부(3)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은 상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7)을 포함하고, 상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은 예시적으로 상단부(16)에 구비된다. 상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7)은 상자형 몸체(21)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상에 적층된 상태에서 상자형 몸체(21)와 분리 가능하면서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상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7)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잠금 요소(9)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잠금 요소(9)는 지지 구조물(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볼트(11)를 포함한다. 회전 볼트(11)는 지지 구조물(2)의 전면 벽(12)에 배치된다. 회전 볼트(11)의 회전 축은 전면 벽(12)에 대하여 직교한다.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은 하단부(3)에 구비되는 하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8)을 더 포함한다. 하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8)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이 상자형 몸체(22) 상에 적층된 상태에서 이러한 상자형 몸체(22)와 분리 가능하면서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하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8)은 지지 구조물(2)에 위치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잠금 앵커 윤곽(14)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1 잠금 앵커 윤곽(14)은 지지 구조물(2)의 하단부(3)에 배치된다. 제1 잠금 앵커 윤곽(14)은 지지 구조물(2)의 전면 벽(12)에 위치하고, 종 방향(x)과 관련하여 중앙에서 지지 구조물(2)에 배치된다. 제1 잠금 앵커 윤곽(14)은 잠금 돌출부로서 형성되고, 전면 벽(12)으로부터 돌출해 있다.
잠금 요소(9) 및 제1 잠금 앵커 윤곽(14)은, 서로 포개어 수직으로 적층되는 2개의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에서 하나의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잠금 요소(9)가 다른 가공 유닛(10)의 제1 잠금 앵커 윤곽(14)과 맞물리며 결합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도시된 예시에서, 하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8)은 제1 잠금 앵커 윤곽(14)에 대해 부가적으로 또한 제2 잠금 앵커 윤곽들(15)을 더 포함한다. 제2 잠금 앵커 윤곽들(15)은 또한 잠금 돌출부들로서 형성되나, 제1 잠금 앵커 윤곽(14)과 다르게 전면 벽(12)의 하부 모서리 영역들, 및 후면 벽(13)에 위치하는, 측벽들(25, 26)의 하부의 모서리 영역들 내에 배치된다. 제2 잠금 앵커 윤곽들(15)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을 제2 잠금 앵커 윤곽들(15)에 보완적인 잠금 요소들을 제공하는 용기들 또는 다른 물체들에 결합되게 하는 역할이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이 그와 같은 용기들 또는 물건들에 결합되어야 하는 것이 고려되지 않는다면, 제2 잠금 앵커 윤곽들(15)은 생략될 수 있다.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은 서두에 언급한 종류의 맞물림 구조물들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7)은 지지 구조물(2)의 상측에 분포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맞물림 함몰부들(32)을 더 포함한다. 맞물림 함몰부들(32)은 전면 벽(12)의 근방에 배치되는 2개의 제1 맞물림 함몰부들(33) 및 후면 벽(13)의 근방에 배치되는 1개의 제2 맞물림 함몰부(34)를 포함한다.
하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8)은 스탠드형 받침부로서 형성되는 4개의 맞물림 돌출부들(82)을 포함하고, 이러한 맞물림 돌출부들은 지지 구조물(2)의 하측의 4개의 모서리 영역들 내에 배치된다. 맞물림 돌출부들(82)은 예컨대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맞물림 돌출부들(82) 및 맞물림 함몰부들(33, 34)은, 서로 포개어 수직으로 적층되는 2개의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에서 상부의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맞물림 돌출부들(82)이 하부의 가공 유닛의 맞물림 함몰부들(32)과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맞물림 돌출부들(82) 및 맞물림 함몰부들(32)은 수직 방향에서의 결합을 위해서도 기여한다. 이는 맞물림 돌출부들(82) 및/또는 맞물림 함몰부들(32)의 리어 그립 구성 요소들이 서로 잠겨지며 맞물림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예컨대 EP 2315701 B1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다. 예컨대 제2 맞물림 함몰부(34)는 언더컷된 횡단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맞물림 함몰부(34) 내에 물려 들어가는 대응 맞물림 구조물들(82)은 이에 상응하여 프로파일링된, 예컨대 웨지형으로 프로파일링된 리어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구조물(2)의 상단부(16)는 캡 형상의 커버로서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단부(16)는 공구-안착 플레이트(4)를 예컨대 완전히 덮는다. 상단부(16)는 수직 방향에서 공작물-안착 플레이트(4)를 넘어 위쪽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구조물(17)을 포함한다. 상단부(16) 또는 프레임 구조물(17)의 수평 횡단면은 하단부(3)의 수평 횡단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부 윤곽을 포함한다. 상단부(16)는 하단부(3)와 일직선상에 배치됨으로써, 상단부는 하단부(3)와 함께 상자형 지지 구조물(2)을 형성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구조물(17)은 실질적으로 직육면체의 옆면의 형태를 가진다; 즉 프레임 구조물(17)은 서로 직교하여 정렬되는 4개의 둘레벽들을 포함하고, 개방된 하측 및 개방된 상측을 제공한다. 프레임 구조물(17) 및 공구-안착면(4)은 서로 함께 하나의 적재 공간(18)을 한정한다.
상단부(16)는 덮개(19)를 포함하고, 이러한 덮개는 프레임 구조물(17)의 개방된 상측에 연관된다. 덮개(19)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16)를 닫기 위해 닫힘 위치로 이동할 수 있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를 열어 적재 공간(18)으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덮개(19)는 후면 벽(13)의 영역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프레임 구조물(17)에 힌지된다. 덮개(19)는 프레임 구조물(17) 상에 완전하게 안착한다. 덮개(19)의 수평 횡단면의 외부 윤곽은 프레임 구조물(17)의 수평 횡단면의 외부 윤곽에 상응한다. 덮개(19)의 상부의 외부면은 지지 구조물(2)의 상측을 나타낸다.
앞에서 이미 언급하였으며 예시적으로 회전 볼트(11)로서 형성되는 잠금 요소(9)는 덮개(19)에서 지지된다.
논의된 실시 형태에서, 잠금 요소(9)는 지지 구조물(2)과 이러한 지지 구조물(2) 상에 안착한 스택 요소 사이에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역할할 뿐만 아니라, 또한, 덮개(19)를 잠궈서 이러한 덮개가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없도록 역할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잠금 요소(9)는 T 형상의 회전 볼트(11)로서 형성되고, 이러한 회전 볼트는 적어도 3개의 서로 다른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회전 볼트(11)의 제1 위치를 도시하고, 이러한 제1 위치에서 T 형상의 회전 볼트(11)는 회전 볼트(11)의 하부에서 프레임 구조물(17)에 배치되는 잠금 앵커 윤곽(35)과 맞물리며 결합되지 않는다. 이러한 위치에서 덮개(19)는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이 위치에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상에 안착된 (도 4에 미도시된) 스택 요소와의 결합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회전 볼트(11)의 제2 위치를 도시하고, 이러한 제2 위치에서 회전 볼트(11)는 프레임 구조물(17)에 배치되는 잠금 앵커 윤곽(35)과 결합되어 맞물리나, 스택 요소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상에 안착되면 (도 2에 미도시된) 스택 요소와 맞물리며 결합되지 않는다. 제2 위치에서, 덮개(19)는 잠기고,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상에 안착된 스택 요소는 분리되며 제거될 수 있다.
도 5는 회전 볼트(11)의 제3 위치를 도시하고, 이러한 제3 위치에서 회전 볼트(11)는 프레임 구조물(17)에 구비되는 잠금 앵커 윤곽(35)과 맞물리며 결합됨과 동시에, 안착된 스택 요소(본원에서 상자형 용기(21))에 구비되는 잠금 앵커 윤곽과도 맞물리며 결합된다. 제3 위치에서 덮개(19)는 잠기고,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상에 안착된 스택 요소(본원에서 상자형 용기(21))는 이러한 스택 요소에 결합된다.
덮개(19)에는 운반용 손잡이(24)가 더 구비된다. 도시된 예시에서, 운반용 손잡이(24)는 덮개(19)의 상측에 배치된다. 운반용 손잡이(24)는 유리한 방식으로, 이러한 운반용 손잡이가 선택적으로 덮개(19)의 상측 쪽으로 회동하며 접근하는 비사용 위치를 차지할 수 있거나 위쪽으로 회동되어 결국 위쪽으로 상측을 넘어 돌출하는 사용 위치를 차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U 형상의 기본 형상을 가지는 활 형상의 운반용 손잡이를 가리킨다.
지지 구조물(2)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을 운반용 손잡이(24)를 이용하여 들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단부(16)는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도록 하단부(3)에 결합됨으로써, 운반용 손잡이(24)를 이용하여 상단부(16)가 들어 올려질 때 또한 하단부도 같이 들어 올려져 상단부(16)에 안정적으로 잔류한다. 도시된 예시에서, 특히 덮개(19)는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도록 프레임 구조물(17)에 결합될 수 있고, 프레임 구조물(17)은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도록 하단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적합한 방식으로, 프레임 구조물(17)은 전체의 공간 방향에서 인장 강도를 가지도록 하단부(3)에 결합되고 및/또는 덮개(19)는 전체의 공간 방향에서 인장 강도를 가지도록 프레임 구조물(17)에 결합된다.
덮개(19)의 하측에는 예컨대 교체용 톱날과 같은 교체용 공구의 보관을 위한 보관 배열부(27)가 위치한다. 이에 대해 대안적 또는 부가적으로, 덮개(19)의 하측에는 부자재를 위한 보관 배열부가 구비될 수 있고, 예컨대 스플리팅 웨지(splitting wedge)를 위한 보관 배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 보관 배열부(27)는 평편한 직사각형의 기본 형상을 포함하고, 후면 벽(13)의 근방에서 덮개(19)의 하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힌지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톱날로서 형성되는 공구(1)는 부분적으로 공작물-안착 플레이트(4)의 상부에 배치된다. 공구(1)는 공작물-안착 플레이트(4)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물려 들어감으로써, 공구(1)의 일부분은 공작물-안착 플레이트(4)의 상부에 위치한다. 공작물-안착 플레이트(4)의 하부에서 공구(1)는 구동 장치(5)에 취부되거나, 이러한 구동 장치와 결합됨으로써, 이러한 공구는 구동 장치(5)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프레임 구조물(17)은 수직 방향에서 위쪽으로, 구동 장치(5)에 취부된 공구(1)를 넘어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이 스택 내에 배치되고, 덮개(19)가 닫혀 있을 때에도, 공구(1)는 구동장치(5)에 잔류할 수 있다.
상단부(16)는 상단부-결합 수단(28)을 제공하고, 하단부(3)는 하단부-결합 수단(29)을 제공한다. 상단부-결합 수단(28) 및 하단부-결합 수단(29)을 이용하여, 상단부(16)는 분리 가능하면서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도록 하단부(3)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상단부-결합 수단(28) 및 하단부-결합 수단(29)은 힌지 배열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면들에서, 상단부-결합 수단(28)은 예시적으로 지지 구조물(2)의 전면측(12)에 취부되며 예컨대 회전 볼트로서 형성되고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잠금 요소(31)를 포함한다. 회전 볼트는 전면 벽(12)에 대해 직교하여 정렬되는 회전 축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예시적으로, 회전 볼트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전면 벽(12)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단부-결합 수단(28)은 예컨대 후면 벽(13)에 힌지된 2개의 러그(lugs)(36)를 더 포함한다. 러그들(36)은 예컨대 횡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되며 평편한 직사각형인 각각 하나의 기본 몸체(37)를 포함하고, 이러한 기본 몸체의 하측 에지에는 종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정렬되는 베어링 연장부들(38)이 구비된다.
하단부-결합 수단(29)은 예시적으로, 하단부(3)에서 전면 벽(12)에서 잠금 앵커 윤곽(39)을 포함한다. 잠금 앵커 윤곽(39)은 전면 벽(12)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하고, 상단부(16)가 하단부(3)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잠금 요소(31)가 결합 위치에 있을 때 잠금 앵커 윤곽(39)과 결합되며 맞물릴 수 있도록 배치된다.
하단부-결합 수단(28)은 수용부 배열부들(41)을 하단부(3)에서 더 포함한다. 수용부 배열부들(41)은 지지 구조물(2)의 후면 벽(13)에 배치된다. 수용부 배열부들(41)은, 상단부(15)를 하단부(3)에 결합시키기 위한 베어링 연장부들(39)이 수용부 배열부들(41) 내에 걸려 들어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러그들(36) 및 수용부 배열부들(41)을 이용하여 수직 방향(z)에서 서로 이격되며 종 방향(x)으로 정렬되는 2개의 회동 축을 가지는 힌지 배열부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 배열부를 이용하여, 상단부(16)는 적어도 후면 벽(13)의 영역 내에서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도록 하단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앞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톱날로서 형성되는 공구(1)는 공작물-안착 플레이트(4) 내에 구비된 개구부를 관통하며 물려 들어간다. 톱날은 횡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지지 구조물(2)의 측벽들(25, 26)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된다. 톱날은 보호 캡(42)에 의해 덮인다. 보호 캡(42)은 스플리팅 웨지(43)에 고정되고, 스플리팅 웨지는 개구부를 관통하며 물려 들어가고, 공작물-안착 플레이트(4)의 하부에 배치되는 고정 장치(44)에 고정된다. 톱날 및/또는 스플리팅 웨지(42)는 바람직하게는 후면 벽(13) 내에서 하단부(3)에 구비되는 개구부(46)를 통하여 접근 가능하며, 예컨대 신속 클램핑 시스템(45)을 이용하여 교체될 수 있다.
공작물-안착 플레이트(4)의 상측은 도시된 예시에서 그루브들을 구비한다. 이에 대해 대안적으로, 공작물-안착 플레이트(4)의 상측은 그루브들을 포함하지 않거나 평편하거나 또는 다른 구조화를 포함할 수 있다.
톱날은 횡 방향(y)으로 연장되는 가상 선분 위에 놓이며, 이러한 가상 선분은 공작물-안착 플레이트(4)를 종 방향에서 2개의 플레이트부(47, 48)로 분할한다. 톱날은 바람직하게는 종 방향에서 공작물-안착 플레이트(4)에 대해 편심으로 배치됨으로써, 제2 플레이트부(48)는 제1 플레이트부(47) 보다 더 길다. 예컨대, 제2 플레이트부(48)는 종 방향에서 제1 플레이트부(47)의 약 2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플레이트부(47)는 공구(1)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되는 반면, 제2 플레이트부(48)는 적어도 횡 방향(y)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이러한 제2 플레이트부는 공구(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횡 방향(y)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플레이트부(48)를 이용하여, 공작물은 가공 시 공구(1)에 대해 상대적으로 안내되거나 이동될 수 있다. 미도시된 록 오프 장치(lock-off device)를 이용하여, 제2 플레이트부(48)는 공구(1) 또는 하단부(3)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은 예컨대 측벽(26)에서 하단부(3)에 구비된 회전 버튼(49)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부(48)는 특히 이송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 위치에서 제2 플레이트부는 하단부(3) 또는 상단부(16)와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도면들에서 제2 플레이트부(48)는 이송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특히, 이송 위치에서 공작물-안착 플레이트(4)의 수평 횡단면은 하단부(3) 및/또는 상단부(16)의 수평 횡단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부 윤곽을 포함한다.
제2 플레이트부(48) 내에서 홈 배열부(51)가 구비되고, 이러한 홈 배열부 내에서 스토퍼 장치(52)가 안내될 수 있다. 스토퍼 장치(52)는 예컨대 앵글 스토퍼(angle stopper)로서 형성되고, 특히 홈 배열부(51) 내에서 안내될 수 있는 고정 요소(53), 고정 요소(53)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한 각도 요소(54) 및 각도 요소(54)에 취부된 가이드 레일(55)을 포함한다. 스토퍼 장치(52)는, 이러한 스토퍼 장치가 적재 공간(18) 내에 부합하고, 특히 스토퍼 장치(52)가 홈 배열부(51) 내에서 안내되는 상태에서 그러하도록 치수 결정된다.
지지 구조물(2)의 전면 벽(12)은 종 방향(x)에서 2개의 측면의 벽 부들(56, 57) 및 중앙의 벽 부(58)를 포함하고, 이러한 중앙의 벽 부는 측면의 벽 부들(56, 57)에 비해 뒤쪽으로 물러나 있어서 - 즉 횡 방향(y)에서 후면 벽(13) 쪽으로 -, 전면 벽(12)은 종 방향(x)에서 중앙에서 함몰부를 횡 방향(y)에서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함몰부는 전면 벽(12)의 전체 수직 영역에 걸쳐 지지 구조물(2)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에 이르기까지, 이로써 하단부(3) 및 상단부(16)에 걸쳐 연장된다. 앞에서 논의된 잠금 요소들(11, 31) 및 잠금 앵커 윤곽들(14, 35, 39)은 바람직하게는 중앙의 벽 부(58)에 또는 논의된 함몰부 내에 구비되며, 이는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다.
중앙의 벽 부(58)에는 조작 장치(59)가 더 구비된다. 조작 장치(59)는 하단부(3)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구동을 위한 파라미터의 조절을 위해 회전 휠들(102, 104) 및/또는 키들(105, 106, 107, 108)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시에서와 같이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원형 벤치 톱을 가리키므로, 조작 장치(59)를 이용하여 예컨대 톱날의 높이 조절 및/또는 각도 조절이 수행될 수 있다. 조작 장치(59)는 특히, 이러한 조작 장치가 횡 방향에서 측면의 벽 부들(56, 57)을 넘어 연장되지 않도록 치수 결정된다.
전면 벽(12)에는 켜짐 버튼(61) 및 꺼짐 버튼(62)을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가 구비된다. 도시된 예에서, 스위치 장치는 측면의 벽 부(56)에 구비된다. 스위치 장치는 하단부(3)에 배치된다. 꺼짐 버튼(62)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서로 다른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 꺼짐 버튼(62)이 전면 벽(12) 내에 박히거나 전면벽(12)과 동일 평면으로 배치되는 이송 위치 및 꺼짐 버튼(62)이 전면 벽(12)으로부터 횡 방향으로 앞쪽으로 연장되거나 전면 벽으로부터 횡 방향으로 돌출해 있는 (도면들에 미도시된) 비상 차단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비상 차단 위치에서, 꺼짐 버튼(62)은 매우 용이하게 발견되고 작동될 수 있어서, 비상 차단 스위치로서 역할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전용 비상 차단 스위치가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스위치 장치는 특히, 켜짐 버튼(61)을 누를 때 이러한 꺼짐 버튼(62)이 비상 차단 위치를 점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스위치 장치(62)는 적합한 방식으로 이러한 꺼짐 버튼(62)이 강하게 눌리면 이송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강하게 또는 약하게 눌림 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또는 이러한 가공 유닛의 구동 장치(5)의 차단이 야기되도록 형성된다.
측벽(26)에서 하단부(3) 내에 수용 챔버(63)가 종결되고, 이러한 수용 챔버 내에서 포집 용기(64)가 배치된다. (도면들에 미도시된) 관 배열부에 의하여 공구(1)에서 발생하는 먼지 또는 공작물로부터 떨어져 나온 물질이 포집 용기(64) 내에 안내될 수 있다. 포집 용기(64)는 직접적으로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므로 이러한 포집 용기는 매우 간단하게 비워질 수 있다.
도 5에는 예시적으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이 2개의 다른 상자형 몸체들(21, 2)을 포함하는 스택 내에 어떻게 배치되는지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스택 배열부(20)는 앞에서 논의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상에 배치되는 상부의 상자형 몸체(21) 및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아래에 배치되는 하부의 상자형 몸체(22)를 포함한다. 2개의 상자형 몸체(21, 22)는 도 5에서 예시적으로 상자형 용기들로서 형성된다. 이에 대해 대안적으로, 상자형 몸체들(21, 22) 각각은 추가적 가공 유닛(10)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상자형 몸체들(21, 22)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과 함께 수직 스택을 형성한다. 상자형 몸체들(21, 22)은 몸체-결합 수단(23)을 포함하고, 이러한 몸체-결합 수단은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과 연동하여, 상자형 몸체들(21, 22)과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사이에 분리 가능하면서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을 제공한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수평 횡단면은 상자형 몸체들(21, 22)의 수평 횡단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부 윤곽을 포함한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상자형 몸체들(21, 22)과 일직선상에 배치됨으로써,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및 상자형 몸체들(21, 22)은 서로 함께 실질적으로 직육면체형인 스택을 형성한다.
몸체-결합 수단(23)은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몸체-결합 수단(23)과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 사이의 결합은 2개의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들(10)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들(6) 사이에서의 전술한 결합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몸체-결합 수단(23)은 바람직하게는 회전 볼트로서 형성되는 잠금 요소(65), 잠금 앵커 윤곽(66) 및 맞물림 구조물들(67)을 포함한다.
도 5에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상에 안착된 상부의 상자형 몸체(2)의 잠금 앵커 윤곽(55)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잠금 요소(9)와 맞물리면서 결합된다. 또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잠금 요소(9)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잠금 앵커 윤곽(35)과 맞물리면서 결합된다. 상단부(16)에 구비되는 잠금 요소(31)는 하단부(3)에 구비되는 잠금 앵커 윤곽(39)과 맞물리며 결합된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잠금 앵커 윤곽(14)은 하부의 상자형 몸체(22)의 잠금 요소(65)와 맞물리며 결합된다.
또한, 예시적 스택 배열부(20)에서, 앞에서 이미 설명한 맞물림 구조물들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과 상자형 몸체들(21, 22) 사이의 결합을 위해 기여한다. 특히, 상부의 상자형 몸체(21)는 이러한 몸체의 하측에서 맞물림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맞물림 돌출부들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전술한 맞물림 돌출부들(82)에 상응하고,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맞물림 함몰부들(32) 내에 물려 들어간다. 또한, 하부의 상자형 몸체(22)는 이러한 몸체의 상측에서 맞물림 함몰부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맞물림 함몰부들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전술한 맞물림 함몰부들(32)에 상응하며,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맞물림 돌출부들(82)과 맞물린다.
도 7은 제어 장치(101)의 개략적 블록도로, 이러한 제어 장치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제어 장치(101)는 앞에서 논의된 조작 장치(59) 및 구동 장치(5)뿐만 아니라 제어 유닛(112) 및 전기적 조절 장치(103)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 장치(101)는 전술한 켜짐 버튼(61) 및 꺼짐 버튼(6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장치(59)는 다수의 조작 요소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조작 장치(59)는 제1 회전 휠(102) 및 제2 회전 휠(104)을 포함한다. 또한, 조작 장치(59)는 예시적으로 신속 선택 키들(105, 106, 107, 108), 캘리브레이션 키(109) 및 디스플레이(111)를 포함한다.
제어 유닛(112)은 예컨대 마이크로컨트롤러로서 형성된다. 조작 장치(59) 또는 이러한 조작 장치의 조작 요소들은 제어 유닛(112)에 연결된다. 또한, 예시적으로 구동 장치(5) 및 전기적 조절 장치(103)는 제어 유닛(112)에 연결된다. 또한, 켜짐 버튼(61) 및 꺼짐 버튼(62)은 제어 유닛(112)에 연결될 수 있다.
전기적 조절 장치(103)는 예시적으로 선형 구동부(114) 및 회동 구동부(115)를 포함하고, 이러한 구동부들은 제어 유닛(112)에 의한 제어에 따라 공구(1)를 공작물-안착 플레이트(4)에 대해 상대적으로 포지셔닝하도록 형성된다. 공구(1)의 위치는 예컨대 회전 휠들(102, 104) 및/또는 신속 선택 키들(105, 106, 107, 108)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구동 장치(5)는 예컨대 전기 모터로서, 특히 회전 구동부로서 형성되고, 공구(1)의 기계적 구동을 위해 역할한다. 구동 장치(5)는 하단부(3)에 구동 준비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구동 장치(5)는 구동 장치(5)에 의해 구동된 공구(1)에 의한 공작물(1)의 가공 시 하단부(3) 내에 잔류한다. 구동 장치에 의한 공구(1)의 구동은 예컨대 켜짐 버튼(61)의 작동에 의해 시작될 수 있고, 꺼짐 버튼(62)의 작동에 의해 정지될 수 있다.

Claims (14)

  1. 공구(1)를 이용하여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특히 원형 톱 벤치로서,
    기저부 상에 세울 수 있으며 하단부(3)를 구비한 상자형 지지 구조물(2)로서, 상기 하단부는 가공할 공작물의 안착을 위해 사용 가능한 공작물-안착 플레이트(4)를 제공하는, 상기 상자형 지지 구조물(2) 및
    상기 공구(1)의 기계적 구동을 위한 구동 장치(5)로서, 상기 구동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단부(3)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하단부에 구동 준비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구동 장치(5)는 상기 구동 장치(5)에 의해 구동된 공구(1)에 의한 상기 공작물의 가공 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단부(3) 내에 잔류하는, 상기 구동 장치(5)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구조물(2)은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을 제공하고, 상기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은 상기 지지 구조물(2)이 적어도 하나의 상자형 몸체(21; 22)와 함께 수직 스택을 형성하는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자형 몸체(21; 22)와 분리 가능하면서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은 상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7)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은 상자형 몸체(21)가 상기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상에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상자형 몸체(21)와 분리 가능하면서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을 제공하기에 적합하고, 및/또는 상기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은 하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8)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은 상기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이 상자형 몸체(22) 상에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상자형 몸체(22)와 분리 가능하면서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 바람직하게는 상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7)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잠금 요소(9)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요소는 특히 상기 지지 구조물(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볼트(11)를 포함하고, 회전 축은 상기 회전 볼트가 배치되는 상기 지지 구조물(2)의 둘레 벽(12)에 대해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7)은 상기 지지 구조물(2)에 위치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앵커 윤곽(14; 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2)은 제거 가능하게 상기 하단부(3)에 취부되는 상단부(16)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부는 수직 방향에서 상기 공작물-안착 플레이트(4)를 넘어 위쪽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구조물(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16)의 수평 횡단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 구조물(17)의 수평 횡단면은 상기 하단부(3)의 수평 횡단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부 윤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1)는 상기 구동 장치(5)에 취부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공작물-안착 플레이트(4)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구조물(17)은 수직 방향에서 위쪽으로 상기 구동 장치(5)에 취부된 공구(1)를 넘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7)은 상기 상단부(16)에 구비되고 및/또는 하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8)은 상기 하단부(3)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3)는 캡 형상의 커버로서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는 상기 지지 구조물(2)에 취부된 상태에서 공구-안착 플레이트(4)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10.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17) 및 공구-안착면(4)은 서로 함께 적재 공간(18)을 한정하고, 상기 상단부(16)는 제거 가능한 및/또는 회동 가능한 덮개(19)를 제공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프레임 구조물(17)에 취부되고, 상기 덮개는 개방 위치에서 상기 적재 공간(18)으로의 접근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11. 제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은 상기 지지 구조물(2)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단부(16)에, 특히 상기 덮개(19)에 구비되는 운반용 손잡이(24)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구조물(2)은 상기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을 상기 운반용 손잡이(24)를 이용하여 들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및 상기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과 함께 수직 스택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자형 몸체(21, 22)를 포함하는 스택 배열부(20)로서,
    상기 상자형 몸체(21, 22)는 몸체-결합 수단(23)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결합 수단은 상기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과 연동하여, 상기 상자형 몸체(21; 22)와 상기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사이에 분리 가능하면서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 배열부(20).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형 몸체(21; 22)는 용기 또는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다른 가공 유닛(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 배열부(20).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수평 횡단면은 상기 상자형 몸체(21; 22)의 수평 횡단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부 윤곽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상지 상자형 몸체(21; 22)와 일직선상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및 상기 상자형 몸체(21; 22)는 서로 함께 실질적으로 직육면체형인 스택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 배열부(20).
KR1020197012383A 2016-10-05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및 스택 배열부 KR102686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6/073743 WO2018065042A1 (de) 2016-10-05 2016-10-05 Transportable bearbeitungseinheit und stapelanord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334A true KR20190065334A (ko) 2019-06-11
KR102686076B1 KR102686076B1 (ko) 2024-07-17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23077B1 (de) 2023-08-30
US20190232484A1 (en) 2019-08-01
JP6895514B2 (ja) 2021-06-30
WO2018065042A1 (de) 2018-04-12
CN110023017B (zh) 2024-04-02
CN110023017A (zh) 2019-07-16
EP3523077A1 (de) 2019-08-14
JP2019529144A (ja)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7571B1 (en) Tool and task box storage, transport, and workbench system
DK2020188T3 (en) Suitcase like container, in particular for receiving portable tools
KR20190065333A (ko)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구조물 및 스택 배열부
US7108131B2 (en) Case, particularly a machine tool case
CN101522376A (zh) 安装电动工具以提供工作站的工具箱设备
CN110072659B (zh) 台式锯和碎片防护元件
CA2156087A1 (en) Multipurpose storage bin
JP3558880B2 (ja) 卓上マルノコ盤
US20240217084A1 (en) Rotary tool
US20240123601A1 (en) Workbench-hand truck assembly
CN210162144U (zh) 工具支撑装置
US20240001529A1 (en) Modular work station
KR20190065334A (ko)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및 스택 배열부
KR102686076B1 (ko)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및 스택 배열부
US20190283154A1 (en) Transportable machining unit
JP2023113580A (ja) 鋸装置、スタックユニット、カバーユニット、搬送ユニット及び方法
EP0799115A1 (en) A storage device, preferably for tools, and accessories for mounting on the storage device
JP2022089613A (ja) 工具収納ケース
KR20000009066A (ko) 목재용 회전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