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198A - Float glass manufacturing method, and float glass - Google Patents

Float glass manufacturing method, and float gla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198A
KR20190062198A KR1020180139583A KR20180139583A KR20190062198A KR 20190062198 A KR20190062198 A KR 20190062198A KR 1020180139583 A KR1020180139583 A KR 1020180139583A KR 20180139583 A KR20180139583 A KR 20180139583A KR 20190062198 A KR20190062198 A KR 20190062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molten metal
glass ribbon
float glass
molt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5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 이노우에
데츠시 다키구치
다케시 야마자키
가츠유키 나카노
다쿠야 니시노
쥰이치 미즈노
Original Assignee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62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19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8/00Shaping glas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a liquid
    • C03B18/02Forming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8/00Shaping glas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a liquid
    • C03B18/02Forming sheets
    • C03B18/16Construction of the float tank; Use of material for the float tank; Coating or protection of the tank wal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8/00Shaping glas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a liquid
    • C03B18/02Forming sheets
    • C03B18/18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the float bath; Composition or purification of the float bath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5/00Annealing glass products
    • C03B25/04Annealing glass products in a continuous way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 C03C3/08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 C03C3/087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containing calcium oxide, e.g. common sheet or container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9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91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at glass manufacturing method capable of acquiring a large float glass with a small thickness var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at glass manufacturing method continuously supplies molten glass on molten metal in a bath, forms a glass ribbon while moving the molten glass on the molten metal, and performs annealing for the glass ribbon while moving the glass ribbon in an annealing furnace. When a zone, in which the viscosity in the lateral center of the glass ribbon on the molten met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10^4.5 dPa·s, and is equal to or less than 10^7.5 dPa·s, is called as a forming zone, formula (1), D0 >= 1.0×V+30, is satisfied, wherein D0 (unit: mm) is the depth of the molten metal in the forming zone and V (unit: m/min) is the transfer speed of the glass ribbon in the annealing furnace.

Description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및 플로트 유리{FLOAT GLASS MANUFACTURING METHOD, AND FLOAT GLASS}FLOAT GLASS MANUFACTURING METHOD, AND FLOAT GLASS [0002]

본 발명은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및 플로트 유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 glass manufacturing method and a float glass.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용 유리 기판의 면내 전체에서의 판 두께 편차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서의 노광기의 초점 어긋남에 영향을 미친다. FPD용 유리 기판,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LCD)용 유리 기판은, 판 두께 편차에 대한 요구가 엄격하여, 예를 들어 1500mm의 범위에서 20㎛ 이하일 것이 요구된다. 판 두께 편차란, 판 두께의 최댓값과 판 두께의 최솟값의 차이다.The devi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glass substrate for a flat panel display (FPD) over the entire plane influences the focal shift of the exposure apparatus in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Glass substrates for FPD, particularly glass substrates for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are required to have a strict thickness deviation requirement, for example, in the range of 1500 mm to 20 μm or less. The plate thickness deviation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value of the plate thickness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plate thickness.

판 두께 편차를 저감하는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플로트 배스의 히터 영역을 유리 리본의 유동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구획하고, 각 구획에 복수의 히터를 마련하고, 복수의 히터를 구획별로 제어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method for reducing the plate thickness deviation in which a heater region of a float bath is divided into a flow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a glass ribbon and a plurality of heaters are provided in each partition, Technology has been proposed.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398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2-1398

근년, FPD의 대형화의 수요가 높아지고, FPD용 유리 기판의 대형화가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유리 기판의 대형화와 판 두께 편차의 저감을 양립시키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enlargement of the FPD has increased, and it has been desired to increase the size of the glass substrate for FPD. However, it is not easy to make both the enlargement of the glass substrate and the reduction of the plate thickness deviation compatible.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대형이면서 판 두께 편차가 작은 플로트 유리가 얻어지는,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의 제공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s main object is to provide a float glass manufacturing method which is capable of producing a float glass that is large but has a small plate thickness deviation.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용융 유리를 욕조내의 용융 금속 상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용융 금속 상에서 상기 용융 유리를 유동시키면서 유리 리본으로 성형하고, 상기 유리 리본을 서냉로내에서 반송하면서 서냉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이며,A method for producing a float glass in which a molten glass is continuously supplied onto a molten metal in a bathtub, the molten glass is flowed on the molten metal to form a glass ribbon, and the glass ribbon is slowly cooled while being conveyed in a gradual cooling furnace,

상기 용융 금속의 상에 있어서의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 중심의 점도가 104.5dPa·s 이상 107.5dPa·s 이하인 영역을 성형 영역이라 칭할 때에,When a region where the viscosity at the center of the glass ribbon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molten metal is not less than 10 4.5 dPa · s and not more than 10 7.5 dPa · s is called a forming region,

상기 성형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용융 금속의 깊이를 D0(단위: mm)라 하고, 상기 서냉로에 있어서의 상기 유리 리본의 반송 속도를 V(단위: m/min)라 하여, 하기 식 (1)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Wherein a depth of the molten metal in the forming region is denoted by D0 (unit: mm), and a conveying speed of the glass ribbon in the annealing furnace is V (unit: m / min) Is satisfied. ≪ / RTI >

D0≥1.0×V+30…(1)D0? 1.0 x V + 30 ... (One)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대형이면서 판 두께 편차가 작은 플로트 유리가 얻어지는,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oat glass manufacturing method, wherein a float glass which is large but has a small plate thickness deviation is obtained.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른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욕조, 유리 리본 및 톱 롤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의한 용융 금속의 깊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변형예에 의한 욕조, 유리 리본, 톱 롤 및 장벽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되는 장벽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히터 제어 구획의 배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에 있어서의 반송 속도 V와 깊이 D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loat glass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oat glass production apparatus taken along line II-II in Fig. 1;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bath, a glass ribbon and a top ro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pth of the molten met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5 is a plan view showing a bathtub, a glass ribbon, a top roll, and a barrier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rrier shown in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heater control s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veying speed V and the depth D in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Fig.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or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의 개략)(Outline of a float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른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되는 톱 롤(60)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3은,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욕조, 유리 리본 및 톱 롤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각 도면에 있어서, X 방향은 유리 리본(6)의 유동 방향, Y 방향은 유리 리본(6)의 폭 방향, Z 방향은 연직 방향이다.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은, 서로 수직인 방향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loat glass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oat glass production apparatus taken along line II-II in Fig. 1; Fig. In Fig. 1 and Fig. 2, the illustration of the top roll 60 shown in Fig. 3 is omitted. 3 is a plan view showing a bath, a glass ribbon and a top ro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each drawing, the X direction is the flow direction of the glass ribbon 6, the Y direction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glass ribbon 6, and the Z direction is the vertical direction. The X direction, Y direction and Z direction are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10)는 용융 유리(4)가 부유 용융 금속(2)을 수용하는 욕조(20)를 갖는다. 용융 금속(2)으로서는, 대표적으로는 용융 주석 또는 용융 주석 합금이 사용된다. 용융 유리(4)는 욕조(20)에 수용되는 용융 금속(2) 상에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용융 금속(2) 상에 있어서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유동되면서 판형 유리 리본(6)으로 성형된다. 유리 리본(6)은 용융 금속(2)의 액면상을 화살표 A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서서히 냉각되어 단단해진다. 유리 리본(6)은 욕조(20)의 하류 영역에 있어서 용융 금속(2)으로부터 끌어 올려지고, 계속하여 서냉로(70)의 입구로부터 출구로 향하여 서냉로(70) 내를 반송되면서 서냉된다. 서냉로(70)에서 서냉된 유리 리본(6)을 소정 치수로 절단함으로써, 유리판(플로트 유리)이 제조된다.The float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10 has a bath 20 in which the molten glass 4 receives the floating molten metal 2. As the molten metal 2, molten tin or a molten tin alloy is typically used. The molten glass 4 is continuously supplied onto the molten metal 2 accommodated in the bath 20 and is formed into the plate-shaped glass ribbon 6 while flowing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on the molten metal 2. The glass ribbon 6 is gradually cooled and hardened while flow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on the liquid surface of the molten metal 2. The glass ribbon 6 is pulled up from the molten metal 2 in the region downstream of the bath 20 and slowly cooled while being conveyed in the annealing furnace 70 from the entrance to the exit of the annealing furnace 70. A glass plate (float glass) is produced by cutting the glass ribbon 6 slowly cooled in the gradual cooling furnace 70 to a predetermined size.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10)는 욕조(20) 상방에 마련되는 천장(30)과, 천장(30)으로부터 매달리는 복수의 히터(40)와, 복수의 히터(40)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기(50)를 갖는다. 복수의 히터(40)는 복수의 제어기(50)의 제어하에서, 하방을 통과하는 유리 리본(6)을 가열한다. 각 히터(40)에는, 예를 들어 통전 가열되는 전기 히터가 사용된다. 각 히터(4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막대형이어도 된다. 각 히터(40)의 발열량을 제어함으로써, 유리 리본(6)의 온도 분포가 제어된다. 복수의 제어기(50)는 복수의 히터(40)의 발열량을 제어하는 기기이다. 각 제어기(50)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된다.The float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10 includes a ceiling 30 provided above the bath 20, a plurality of heaters 40 suspended from the ceiling 30, a plurality of controllers 50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heaters 40 ). The plurality of heaters (40) heat the glass ribbon (6) passing under the control of the plurality of controllers (50). For each heater 40, for example, an electric heater which is heated by energization is used. The shape of each heater 4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a rod shape.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each heater 40,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glass ribbon 6 is controlled. The plurality of controllers (50) are devices that control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heaters (40). Each controller 50 is constituted by a microcomputer or the like.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10)는 유리 리본(6)의 유동 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마련되고, 유리 리본(6)의 폭 방향 양단부를 지지하는 복수 쌍의 톱 롤(60)(도 3 참조)을 갖는다. 복수 쌍의 톱 롤(60)은 유리 리본(6)의 폭 방향 양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유리 리본(6)의 폭이 표면 장력에 의해 좁아지는 것을 억제한다. 각 톱 롤(60)은 유리 리본(6)의 폭 방향 단부를 지지하는 원반형 톱 롤 본체(61)와, 톱 롤 본체(61)에 연결되는 회전축(62)으로 구성된다. 원반형 톱 롤 본체(61)와 회전축(62)은 동축적으로 마련된다. 회전축(62)을 전기 모터 등의 구동 장치로 회전 구동시키면, 톱 롤 본체(61)가 회전하여 유리 리본(6)을 하류측으로 송출한다.The float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airs of top rolls 60 (see FIG. 3) that are provided at intervals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glass ribbon 6 and support both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lass ribbon 6 . The plurality of pairs of top rolls 60 support both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lass ribbon 6, thereby suppressing the width of the glass ribbon 6 from being narrowed by the surface tension. Each saw roll 60 comprises a disc-shaped saw roll body 61 for supporting the widthwise end of the glass ribbon 6 and a rotary shaft 62 connected to the saw roll body 61. The disk-shaped saw roll body 61 and the rotating shaft 62 are provided coaxially. When the rotary shaft 62 is rotationally driven by a driving device such as an electric motor, the top roll body 61 rotates to feed the glass ribbon 6 to the downstream side.

(욕조)(tub)

욕조(20)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류단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해서, 욕조(20)의 폭 방향 치수가 일정한 내로우 영역(A1), 욕조(20)의 폭 방향 치수가 점점 커지는 중간 영역(A2), 욕조(20)의 폭 방향 치수가 내로우 영역(A1)보다도 크고 일정한 와이드 영역(A3)을 이 순으로 갖는다. 와이드 영역(A3)의 X 방향 치수 X1은, 예를 들어 욕조(20)에 수용되어 있는 용융 금속(2)의 X 방향 치수 X0의 30% 이상 80% 이하이다.3, the bath 20 is provided with a narrow region A1 in which the width dimension of the bath 20 is constant, a narrow region A1 in which the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th 20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downstream end toward the upstream side, The area A2 and the bath 20 have a wide area A3 whose width direction dimension is larger and constant than the narrow row area A1 in this order. The dimension X1 in the X direction of the wide area A3 is 30% or more and 80% or less of the dimension X0 in the X direction of the molten metal 2 contained in the bath 20, for example.

복수 쌍의 톱 롤(60)은 와이드 영역(A3)에 있어서 유리 리본(6)의 폭 방향 양단부를 지지한다. 각 톱 롤 본체(61)와 유리 리본(6)의 접촉점은, 성형 영역(A4)의 상류단으로부터 성형 영역(A4)의 하류단까지 사이에 간격을 두고 마련된다. 성형 영역(A4)이란, 유리 리본(6)의 폭 방향 중심(Y 방향 중심)의 점도가 104.5dPa·s 이상 107.5dPa·s 이하인 영역이다.The plurality of pairs of top rolls 60 support both end portions of the glass ribbon 6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wide region A3. The contact points of the top roll body 61 and the glass ribbon 6 are provided at intervals from the upstream end of the forming area A4 to the downstream end of the forming area A4. The forming area A4 is a region where the viscosity at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Y-direction center) of the glass ribbon 6 is not less than 10 4.5 dPa · s and not more than 10 7.5 dPa · s.

욕조(20)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자형 금속 케이싱(21)과, 금속 케이싱(21)의 저면에 적재되어 용융 금속(2)의 측면에 접하는 복수의 사이드 벽돌(22)과, 금속 케이싱(21)의 저면에 적재되어 용융 금속(2)의 하면에 접하는 복수의 보텀 벽돌(23)을 갖는다. 복수의 사이드 벽돌(22)은 금속 케이싱(21)의 측면에 근접하여 배열되고, 복수의 보텀 벽돌(23)은 복수의 사이드 벽돌(22)의 내측에 X 방향 및 Y 방향으로 배열된다.2, the bath 20 includes a box-shaped metal casing 21, a plurality of side bricks 22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etal casing 21 and contacting the side surface of the molten metal 2, And a plurality of bottom bricks 23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etal casing 21 and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molten metal 2. A plurality of side bricks 22 are arranged close to the side surface of the metal casing 21 and a plurality of bottom bricks 23 are arranged inside the side bricks 22 in the X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Y 방향으로 인접하는 보텀 벽돌(23) 사이에는, 줄눈(24)이 형성된다. 줄눈(24)이란 간극이다. 줄눈(24)으로의 용융 금속(2)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은 어렵다. 줄눈(24)으로 유입된 용융 금속(2)은 금속 케이싱(21)의 저면까지 달한다.Between the bottom bricks 23 adjacent in the Y direction, a joint 24 is formed. The joint (24) is a gap.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molten metal 2 from flowing into the joint 24. The molten metal (2) flowing into the joint (24) reaches the bottom surface of the metal casing (21).

금속 케이싱(21)과 용융 금속(2)의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서, 금속 케이싱(21) 하방에는 금속 케이싱(21)의 하면에 공기 등의 냉각 가스를 분사하는 냉각 노즐(25)이 마련된다. 냉각 노즐(25)은 냉각 가스를 화살표 B 방향(상향)으로 분사한다. 이에 의해, 금속 케이싱(21)의 온도를 용융 금속(2)의 융점 이하로 저감할 수 있고, 용융 금속(2)과 금속 케이싱(21)의 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A cooling nozzle 25 for spraying cooling gas such as air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etal casing 21 below the metal casing 21 in order to suppress the reaction between the metal casing 21 and the molten metal 2. The cooling nozzle 25 injects the cooling gas in the direction of arrow B (upward). Thereby, the temperature of the metal casing 21 can be reduced to the melting point of the molten metal 2 or lower, and the reaction between the molten metal 2 and the metal casing 21 can be suppressed.

도 4는, 실시예 1에 의한 용융 금속의 깊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금속 케이싱(21) 및 보텀 벽돌(23)의 하부를 생략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융 금속(2)의 깊이 D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용융 금속(2)의 액면(상면)으로부터 보텀 벽돌(23)의 상면까지의 거리이며, 유리 리본(6)과 사이드 벽돌(22) 사이(보다 상세하게는 유리 리본(6)의 폭 방향 외측이며 또한 사이드 벽돌(22)의 폭 방향 내측)에 있어서 측정한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pth of the molten met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4 shows the lower part of the metal casing 21 and the bottom brick 23 omitted. The depth D of the molten metal 2 in this specification is the distance from the liquid surface (upper surface) of the molten metal 2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brick 23 as shown in Fig. 2, (More specifically, the widthwise outer side of the glass ribbon 6 and the widthwise inner side of the side bricks 22).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용융 금속(2)의 깊이 D는, 용융 금속(2)의 상류 단으로부터 용융 금속(2)의 하류단에 걸쳐서 변화해도 된다. 용융 금속(2)의 깊이 D는, 가능한 한 얕게 설정된다. 용융 금속(2)의 사용량을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플로트 유리의 제조 비용을 저감하기 위해서이다.The depth D of the molten metal 2 may vary from the upstream end of the molten metal 2 to the downstream end of the molten metal 2 as shown in Fig. The depth D of the molten metal 2 is set as shallow as possible. The amount of the molten metal 2 to be used is minimized and the production cost of the float glass is reduced.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성형 영역(A4)에 있어서의 용융 금속(2)의 깊이 D0(도 4 참조)는 서냉로(70)에 있어서의 유리 리본(6)의 반송 속도 V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하기 식 (1)을 만족시키도록 설정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pth D0 (see Fig. 4) of the molten metal 2 in the molding area A4 is set based on the conveying speed V of the glass ribbon 6 in the annealing furnace 70, Is set to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 (1).

D0≥1.0×V+30…(1)D0? 1.0 x V + 30 ... (One)

상기 식 (1)에 있어서, D0의 단위는 mm이며, V의 단위는 m/min이다. V는, 플로트 유리의 두께 등에 따라서 설정되어, 예를 들어 3 내지 11m/min이다. D0는, 예를 들어 35 내지 60mm이다. 바람직하게는, V는 4 내지 8m/min이며, 또한 D0는 35 내지 50mm이다. D0은, 더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mm이다.In the above formula (1), the unit of D0 is mm, and the unit of V is m / min. V is set in accordance with the thickness of the float glass, and is, for example, 3 to 11 m / min. D0 is, for example, 35 to 60 mm. Preferably, V is 4 to 8 m / min and D0 is 35 to 50 mm. D0 is more preferably 35 to 45 mm.

상기 식 (1)이 성립하면, 유리 리본(6)의 치수나 형상을 정돈하는 성형 영역(A4)에 있어서, 도 3에 화살표 C로 나타내는 용융 금속(2)의 역류하는 유속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용융 금속(2)의 역류에 의한 유리 리본(6)의 치수나 형상의 붕괴를 억제할 수 있고, 대형이면서 판 두께 편차가 작은 플로트 유리를 얻을 수 있다.When the above formula (1) is satisfi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low velocity of the molten metal 2 flowing backward in the molding area A4, which is shown by the arrow C in Fig. 3, in order to trim the dimension and shape of the glass ribbon 6 .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collapse of the dimension and the shape of the glass ribbon 6 caused by the back flow of the molten metal 2,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a float glass that is large and has small plate thickness deviation.

우선, 도 3에 화살표 C로 나타내는 용융 금속(2)의 역류가 발생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냉로(70)에 있어서 유리 리본(6)을 반송 속도 V로 반송하면, 성형 영역(A4)보다도 하류에서는 반송 속도 V와 동일한 속도로 유리 리본(6)이 용융 금속(2) 상에서 서냉로(70)로 향하여 유동한다. 이때, 유리 리본(6) 바로 아래의 용융 금속(2)이 유리 리본(6)에 이끌려, 유리 리본(6)과 동일한 속도로 서냉로(70)를 향하여 유동한다. 그 용융 금속(2)의 흐름은, 욕조(20)의 하류단에 있어서 차단되고, 방향이 반전된다. 그 결과, 유리 리본(6)의 폭 방향 외측에 있어서, 용융 금속(2)의 역류가 발생한다.First, the reason why backflow of the molten metal 2 shown by the arrow C in Fig. 3 occurs will be described. When the glass ribbon 6 is conveyed at the conveying speed V in the gradual cooling path 70, the glass ribbon 6 is slowly cooled on the molten metal 2 at a speed lower than the forming area A4 at the same speed as the conveying speed V 70 < / RTI > At this time, the molten metal 2 immediately below the glass ribbon 6 is attracted by the glass ribbon 6 and flows toward the slow cooling path 70 at the same speed as the glass ribbon 6. The flow of the molten metal 2 is blocked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bath 20 and the direction is reversed. As a result, backflow of the molten metal 2 occurs outside the glass ribbon 6 in the width direction.

이어서, 용융 금속(2)이 역류하는 체적 유량 Q에 대하여 설명한다. 용융 금속(2)의 역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리 리본(6)이 용융 금속(2)을 이끄는 것에 의해 발생한다. 그 때문에, 체적 유량 Q는, 유리 리본(6)의 반송 속도 V 및 유리 리본(6)의 폭 방향 치수에 비례한다. 체적 유량 Q는, 용융 금속(2)의 깊이 D에는 거의 의존하지 않는다. 용융 금속(2) 중, 유리 리본(6)에 이끌리는 것은, 유리 리본(6) 근방 부분뿐이기 때문이다.Next, the volume flow Q at which the molten metal 2 flows backward will be described. The backflow of the molten metal 2 is caused by the glass ribbon 6 leading the molten metal 2,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volume flow rate Q is proportional to the conveying speed V of the glass ribbon 6 and the widthwise dimension of the glass ribbon 6. [ The volume flow rate Q hardly depends on the depth D of the molten metal 2. This is because, in the molten metal 2, only the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glass ribbon 6 is caught by the glass ribbon 6.

이어서, 용융 금속(2)이 역류하는 유속 u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유속 u와 단면적 SA의 곱이 체적 유량 Q(=u×SA)이다. 여기서, Q의 단위는 m3/s이며, u의 단위는 m/s이며, SA의 단위는 m2이다. 용융 금속(2)이 역류하는 유로의 단면적 SA는, 용융 금속(2)의 깊이 D(도 2 참조)와, 유리 리본(6)과 사이드 벽돌(22)의 Y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W(도 2 참조)의 곱의 2배(SA=D×W×2×10-3)로 표현된다. 또한, 이 식에 있어서의 D의 단위는 mm이며, W의 단위는 m이다. D와 W의 곱을 2배하는 것은, 용융 금속(2)이 역류하는 유로가 유리 리본(6)을 폭 방향으로 사이에 두고 양측에 마련되기 때문이다. 그렇게 하면, 체적 유량 Q=u×D×W×2×10-3으로 된다. 한편, 체적 유량 Q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리 리본(6)의 반송 속도 V에 비례한다. 따라서, W가 일정한 경우, 유속 u는 V/D에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다.Next, the flow velocity u at which the molten metal 2 flows backward will be described. Generally, the product of the flow velocity u and the cross-sectional area SA is the volume flow Q (= u x SA). Here, the unit of Q is m 3 / s, the unit of u is m / s, and the unit of SA is m 2 . The cross sectional area SA of the flow path in which the molten metal 2 flows backward is set so that the depth D (see FIG. 2) of the molten metal 2 and the interval W 2) (SA = D x W x 2 x 10 -3 ). In this equation, the unit of D is mm, and the unit of W is m. The reason why the product of D and W is doubled is that the flow path in which the molten metal 2 flows back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glass ribbon 6 in the width direction. Then, the volume flow rate Q = u x D x W x 2 x 10 -3 . On the other hand, the volume flow rate Q is proportional to the conveying speed V of the glass ribbon 6,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when W is constant, it can be seen that the flow velocity u is proportional to V / D.

본 발명자는, 유속 u가 V/D에 비례하는 점에 착안하여, 용융 금속(2)의 역류에 의한 유리 리본(6)의 치수나 형상의 붕괴를 억제하기 위한 V와 D의 관계를 1차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고 생각하고, 실험 등에 의해 상기 식 (1)의 관계식을 얻었다. 또한, 구체적인 실험에 대해서는, 실시예 란에서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focused on the point that the flow velocity u is proportional to V / D, so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V and D for suppressing the collapse of the dimension and shape of the glass ribbon 6 due to the back flow of the molten metal 2, (1) is obtained by an experiment or the like. Specific experiments are described in the Examples section.

상기 식 (1)이 성립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유리 리본(6)의 치수나 형상을 정돈하는 성형 영역(A4)에 있어서, 도 3에 화살표 C로 나타내는 용융 금속(2)이 역류하는 유속 u를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용융 금속(2)의 역류에 의한 유리 리본(6)의 치수나 형상의 붕괴를 억제할 수 있고, 대형이면서 판 두께 편차가 작은 플로트 유리를 얻을 수 있다.When the above formula (1) is satisfied, as described above, in the molding area A4 in which the dimensions and shape of the glass ribbon 6 are adjusted, the flow velocity of the molten metal 2, u can be reduc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collapse of the dimension and the shape of the glass ribbon 6 caused by the back flow of the molten metal 2,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a float glass that is large and has small plate thickness deviation.

이 효과는, 유리 리본(6)의 폭 방향 치수가 클수록 현저하게 얻어진다. 용융 금속(2)이 역류하는 체적 유량 Q는, 유리 리본(6)의 폭 방향 치수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세로 방향 치수가 2100mm 이상, 가로 방향 치수가 2200mm 이상 및 평균 판 두께가 0.75mm 이하의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형 플로트 유리이며, 면내 전체에 있어서의 판 두께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가 12 ㎛ 이하인 플로트 유리가 얻어진다. 여기서, 세로 방향 치수란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형 플로트 유리의 짧은 변 방향 치수이며, 가로 방향 치수란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형 플로트 유리의 긴 변 방향 치수이다. 평면으로 보아란, 도 3 등에서는 Z 방향에서 보는 것을 의미한다.This effect is remarkably obtained as the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lass ribbon 6 is larger. This is because the volume flow rate Q at which the molten metal 2 flows backward is proportional to the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lass ribbon 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ctangular float glass has a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2100 mm or more, a lateral dimension of 2200 mm or more, and an average plate thickness of 0.75 mm or les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plate thickness in the entire plane is 12 탆 or less can be obtained. Here, the vertical dimension is a dimension in the short side direction of the rectangular float glass in plan view, and the horizontal dimension is a dimension in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rectangular float glass in plan view. The view in plan view means viewing in the Z direction in Fig. 3 and the like.

본 실시 형태에서는, HOT 영역(A5)(도 4 참조)에 있어서의 용융 금속(2)의 깊이 D1(도 4 참조)은 예를 들어 성형 영역(A4)에 있어서의 용융 금속(2)의 깊이 D0의 1.6배 이상 2.0배 이하이다. HOT 영역(A5)이란, 용융 유리(4)가 중력 작용에 의해 용융 금속(2) 상에서 퍼지는 영역이다. D1이 D0의 1.6배 이상이면 용융 유리(4)의 주입에 의한 용융 유리(4)와 보텀 벽돌(23)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D1이 D0의 2.0배 이하이면, 불필요한 용융 금속(2)의 사용을 억제할 수 있고, 플로트 유리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pth D1 (see Fig. 4) of the molten metal 2 in the HOT area A5 (see Fig. 4) 1.6 times or more and 2.0 times or less of D0. The HOT area A5 is a region where the molten glass 4 spreads on the molten metal 2 by gravity. The contact between the molten glass 4 and the bottom brick 23 due to the injection of the molten glass 4 can be suppressed. Further, when D1 is 2.0 times or less of D0, the use of unnecessary molten metal 2 can be suppressed, and the production cost of the float glass can be reduced.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로우 영역(A1)(도 4 참조)의 상류단에 있어서의 용융 금속(2)의 깊이 D2(도 4 참조)는 예를 들어 성형 영역(A4)에 있어서의 용융 금속(2)의 깊이 D0의 2.0배 이상 2.5배 이하이다. D2가 D0의 2.0배 이상이면 열전도율이 높은 용융 금속(2)의 깊이 D가 깊어지고, 열전도율이 낮은 보텀 벽돌(23)의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보텀 벽돌(23) 하방에 마련되는 냉각 노즐(25)(도 1 및 도 2 참조)에 의해 유리 리본(6)이 냉각되기 쉬워 굳어지기 쉽다. 또한, D2가 D0의 2.5배 이하이면, 불필요한 용융 금속(2)의 사용을 억제할 수 있고, 플로트 유리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pth D2 (see Fig. 4) of the molten metal 2 at the upstream end of the narrow row area A1 (see Fig. 4) 2) of not less than 2.0 times and not more than 2.5 times the depth D0. The depth D of the molten metal 2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is deeper and the thickness of the bottom brick 23 having a low thermal conductivity is reduced so that the cooling nozzles 25) (see Figs. 1 and 2), the glass ribbon 6 tends to be easily cooled and hardened. Further, when D2 is 2.5 times or less D0, the use of unnecessary molten metal 2 can be suppress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float glass can be reduced.

도 5는, 변형예에 의한 욕조, 유리 리본, 톱 롤 및 장벽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되는 장벽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되는 욕조(20)는 도 4에 도시되는 욕조(20)와는 장벽(27)이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하, 상위점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5 is a plan view showing a bathtub, a glass ribbon, a top roll, and a barrier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rrier shown in Fig. The bathtub 20 shown in Figs. 5 and 6 differs from the bathtub 20 shown in Fig. 4 in that a barrier 27 is removably installed. Hereinafter, the difference will be mainly described.

장벽(27)은 용융 금속(2) 상에 있어서의 유리 리본(6)의 폭 방향 외측에 있어서 용융 금속(2)의 흐름을 가로막고, 성형 영역(A4)에 있어서의 용융 금속(2)이 역류하는 유속을 저감한다. 그 결과, 용융 금속(2)의 역류에 의한 유리 리본(6)의 치수나 형상의 붕괴를 보다 억제할 수 있고, 대형이면서 판 두께 편차가 작은 플로트 유리를 얻을 수 있다. 장벽(27)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와이드 영역(A3) 중, 성형 영역(A4)보다도 하류에 마련되어도 된다.The barrier 27 interrupts the flow of the molten metal 2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lass ribbon 6 on the molten metal 2 and the molten metal 2 in the forming region A4 flows in the reverse direction .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further suppress the collapse of the dimension and shape of the glass ribbon 6 due to the back flow of the molten metal 2, and to obtain a float glass which is large and has small plate thickness deviation. The barrier 27 may be provided in the wide area A3 downstream of the molding area A4 as shown in Fig.

장벽(27)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텀 벽돌(23)의 상면으로부터 용융 금속(2)의 액면까지 용융 금속(2)의 Z 방향 전체에 걸쳐서 마련되고, 추가로 용융 금속(2)의 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서 마련된다. 또한, 장벽(27)은 용융 금속(2)의 Z 방향 일부에만 마련되어도 된다. 그 경우, 장벽(27)은 보텀 벽돌(23)의 상면과 접하도록 마련되어도 된다. 용융 금속(2)의 역류는, 용융 금속(2)을 이끄는 유리 리본(6)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에서 발생하기 쉽고, 보텀 벽돌(23)의 상면 부근에서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The barrier 27 is provided over the entire Z direction of the molten metal 2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brick 23 to the liquid level of the molten metal 2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barrier 27 may be provided only in a part of the molten metal 2 in the Z direction. In this case, the barrier 27 may be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brick 23. This is because the backflow of the molten metal 2 is likely to occur in a region remote from the glass ribbon 6 leading to the molten metal 2 and is likely to occur near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brick 23. [

장벽(27)은 예를 들어 카본 등으로 형성되고, 용융 금속(2)에 침지된다. 장벽(27)의 밀도가 용융 금속(2)의 밀도보다도 낮은 경우, 밀도 차에 의해 장벽(27)이 들뜨지 않도록 장벽(27)을 억제하는 누름 부재(28)(도 6 참조)가 사이드 벽돌(22)에 고정되어도 된다.The barrier 27 is formed of, for example, carbon or the like, and is immersed in the molten metal 2. When the density of the barriers 27 is lower than the density of the molten metal 2, a pressing member 28 (see Fig. 6) for restricting the barriers 27 to prevent the barriers 27 from being lifted by the difference in density, 22).

(히터)(heater)

도 7은,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히터 제어 구획의 배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에는, 와이드 영역(A3)에 있어서의 히터 제어 구획의 배치를 도시하고, 중간 영역(A2)이나 내로우 영역(A1)에 있어서의 히터 제어 구획의 배치의 도시를 생략한다. 와이드 영역(A3) 뿐만 아니라, 중간 영역(A2)이나 내로우 영역(A1)에도 히터(40)를 마련해도 된다.7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heater control s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7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heater control section in the wide area A3 and the arrangement of the heater control section in the middle area A2 and the narrow row area A1 is omitted. The heater 40 may be provided not only in the wide area A3 but also in the middle area A2 and the narrow row area A1.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히터(40)를 마련하는 히터 영역은, X 방향으로 복수의 히터 제어열(41)로 분할된다. 각 히터 제어열(41)은 Y 방향으로 복수의 히터 제어 구획(42)으로 구분된다. 또한, 히터 제어열(41)의 수는, 도 7에 도시되는 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각 히터 제어열(41)에 있어서의 히터 제어 구획(42)의 수는, 도 7에 도시되는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s shown in Fig. 7, the heater regions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heaters 40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heater control lines 41 in the X direction. Each heater control row 4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heater control zones 42 in the Y direction. The number of the heater control lines 41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The number of the heater control zones 42 in each heater control row 41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각 히터 제어 구획(42)에는, 각각, 복수의 히터(40)가 마련되어 있고, 대응하는 하나의 제어기(50)(도 1 참조)에 의해 일괄 제어된다. 이에 의해, 제어기(50)의 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히터 제어 구획(42)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히터(40)는 각각의 발열량이 대략 동일해지도록, 대응하는 하나의 제어기(50)에 의해 일괄 제어된다.Each of the heater control sections 4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eaters 40 and is collectively controlled by a corresponding one of the controllers 50 (see FIG. 1). Thereby, the number of the controllers 50 can be reduced. Further, the plurality of heaters 40 provided in one heater control section 42 are collectively controlled by the corresponding one controller 50 so that the amounts of heat generated are substantially equal to each other.

X 방향에 인접하는 두 히터 제어열(41)은 하나의 분할선(45)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 분할선(45)은 X 방향으로 인접하는 실제의 히터(40) 사이의 거의 중앙에 위치한다. 한편, Y 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히터 제어 구획(42)은 하나의 구분선(46)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 구분선(46)은 Y 방향으로 인접하는 실제의 히터(40) 사이의 거의 중앙에 위치한다.The two heater control lines 41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X direction are divided into one dividing line 45. The dividing line 45 is positioned substantially at the center between the actual heaters 40 adjacent in the X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two heater control sections 42 adjacent in the Y direction are divided into one dividing line 46. The dividing line 46 is located approximately at the center between the actual heaters 40 adjacent in the Y direction.

그런데, 하나의 히터 제어열(41)에 있어서, Y 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히터 제어 구획(42)에서, 단위 면적당의 발열량이 상이하면, 구분선(46) 부근에 있어서 Y 방향으로 급격한 온도 변화가 발생한다.In the case where the amount of heat per unit area differs in the two heater control zones 42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Y direction in the one heater control row 41, a sudden temperature change occurs in the Y direction in the vicinity of the dividing line 46 do.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선(45)에 있어서, 상류측의 히터 제어열(41)의 구분선(46)과, 하류측의 히터 제어열(41)의 구분선(46)이 한군데 이상에서 불연속으로 되고, 한군데 이상에서 어긋난다. 예를 들어, 상류측(도 7에서는 좌측)으로부터 m번째의 분할선(45-m)에 있어서, 상류측에서 m번째의 히터 제어열(41-m)의 구분선(46)과, 상류측으로부터 m+1번째의 히터 제어열(41-m+1)의 구분선(46)이 한군데 이상에서 불연속으로 되고, 한군데 이상에서 어긋난다. 여기서, m은, 1 이상의 적어도 하나의 자연수이며, 예를 들어 도 7에서는 1 이상 6 이하인 임의의 자연수이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dividing line 46 of the heater control line 41 on the upstream side and the dividing line 46 of the heater control line 41 on the downstream side are located at one side of the at least one dividing line 45 It is discontinuous from above, and it is out of one or more. For example, in the m-th dividing line 45-m from the upstream side (left side in Fig. 7), the dividing line 46 of the m-th heater control line 41-m from the upstream side, the dividing line 46 of the (m + 1) -th heater control line 41-m + 1 becomes discontinuous at more than one point and deviates from one or more of them. Here, m is at least one natural number of 1 or more, for example, any natural number of 1 to 6 in Fig.

유리 리본(6) 중, m번째의 히터 제어열(41-m)에 있어서 온도 변화가 급격한 구분선(46) 하방을 통과한 부위는, 계속되는 m+1번째의 히터 제어열(41-m+1)에 있어서 온도 변화가 완만한 히터 제어 구획(42) 하방을 통과한다. 따라서, 유리 리본(6)의 Y 방향에 있어서의 온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고, 유리 리본(6)의 Y 방향에 있어서의 판 두께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The portion of the glass ribbon 6 that passes under the abrupt dividing line 46 in the mth heater control sequence 41-m is the m + 1th heater control sequence 41-m + 1 ) Passes under the heater control section 42 where the temperature change is gentl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temperature unevenness of the glass ribbon 6 in the Y direction, and to reduce the unevenness of the thickness of the glass ribbon 6 in the Y direction.

본 실시 형태에서는, Z ?향에서 보아, 와이드 영역(A3)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분할선(45)에서는, 상류측의 히터 제어열(41)의 구분선(46)과, 하류측의 히터 제어열(41)의 구분선(46)이 한군데 이상에서 불연속으로 되고, 한군데 이상에서 어긋난다. 와이드 영역(A3)은 중간 영역(A2)이나 내로우 영역(A1)에 비교하여 고온이어서, 와이드 영역(A3)에 있어서 유리 리본(6)의 치수나 형상의 조정이 행하여지기 때문이다. 중간 영역(A2)이나 내로우 영역(A1)에서는, 유리 리본(6)의 점도가 높기 때문에, 유리 리본(6)의 치수나 형상의 조정은 곤란하다.The dividing line 46 of the heater control line 41 on the upstream side and the dividing line 46 of the heater control on the downstream side ar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dividing lines 45 in the wide area A3 in the Z- The dividing line 46 of the row 41 becomes discontinuous at more than one point and is displaced from one point or more. The wide area A3 is at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middle area A2 and the narrow area A1 so that the dimension and shape of the glass ribbon 6 are adjusted in the wide area A3.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dimensions and shape of the glass ribbon 6 because the viscosity of the glass ribbon 6 is high in the middle area A2 and the narrow row area A1.

본 실시 형태에서는, Z ?향에서 보아, 성형 영역(A4)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분할선(45)에서는, 상류측의 히터 제어열(41)의 구분선(46)과, 하류측의 히터 제어열(41)의 구분선(46)이 한군데 이상에서 불연속으로 되고, 한군데 이상에서 어긋난다. 와이드 영역(A3) 중에서도 성형 영역(A4)에 있어서, 톱 롤(60)을 사용하여 유리 리본(6)의 치수나 형상의 조정이 행하여지기 때문이다.The dividing line 46 of the heater control row 41 on the upstream side and the dividing line 46 of the heater control on the downstream side ar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dividing lines 45 in the forming region A4 in the Z- The dividing line 46 of the row 41 becomes discontinuous at more than one point and is displaced from one point or more. This is because the size and shape of the glass ribbon 6 are adjusted using the top roll 60 in the molding area A4 among the wide area A3.

각 히터 제어열(41)에 있어서, 복수의 구분선(46)은 욕조(20)의 Y 방향 중심선(20L)을 중심으로 선 대칭으로 마련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용융 금속(2)의 온도 분포, 나아가서는 유리 리본(6)의 온도 분포를, 욕조(20)의 Y 방향 중심선(20L)을 중심으로 선대칭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유리 리본(6)의 판 두께 분포의 제어가 용이하다.In each heater control row 41, a plurality of dividing lines 46 may be provided in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Y-direction center line 20L of the bath 20. Thereby,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molten metal 2, and hence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glass ribbon 6, can be mad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Y-direction centerline 20L of the bathtub 20 as a center. As a result, the control of the plate thickness distribution of the glass ribbon 6 is easy.

(플로트 유리)(Float glass)

플로트 유리는, 평면으로 보아 형상이 직사각형, 세로 방향 치수가 2100mm 이상, 가로 방향 치수가 2200mm 이상 그리고 평균 판 두께가 0.75mm 이하이다. 플로트 유리의 면내 전체에 있어서의 판 두께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는, 12㎛ 이하이다. 이 플로트 유리를 FPD용 유리 기판에 사용하면, 대면적의 면내 전체에서의 판 두께 편차를 저감할 수 있고, 노광 장치의 초점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형 플로트 유리는, 코너 컷용 지석에 의해 모퉁이부가 연삭 가공된 플로트 유리를 포함한다. 이 연삭 가공 부분을 코너 컷부라 칭하고, 코너 컷부의 크기는, 예를 들어 몇 mm이다.The float glass has a rectangular shape in a plan view, a longitudinal dimension of 2100 mm or more, a lateral dimension of 2200 mm or more, and an average plate thickness of 0.75 mm or le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plate thickness in the whole in-plane of the float glass is 12 占 퐉 or less. When this float glass is used for a FPD glass substrate, it is possible to reduce a deviation of a thickness of a large-area in-plane whole surface, and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focal shift of an exposure apparatus. Further, the rectangular float glass in plan view includes a float glass in which a corner is additionally ground by a corner cutting grinding stone. This grinding portion is called a corner cut portion, and the size of the corner cut portion is, for example, several mm.

플로트 유리는, 바람직하게는 세로 방향 치수가 2900mm 이상이며, 가로 방향 치수가 3000mm 이상이다.The float glass preferably has a longitudinal dimension of 2900 mm or more and a lateral dimension of 3000 mm or more.

플로트 유리의 평균 판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45mm 이하이다.The average plate thickness of the float glass is preferably 0.45 mm or less.

플로트 유리는, 예를 들어 산화물 기준의 질량% 표시에서, SiO2: 54 내지 66%, Al2O3: 10 내지 23%, B2O3: 0 내지 12%, MgO: 0 내지 12%, CaO: 0 내지 15%, SrO: 0 내지 16%, BaO: 0 내지 15%, MgO+CaO+SrO+BaO: 8 내지 26%를 함유하는 무알칼리 유리로 구성된다. 여기서, 「MgO+CaO+SrO+BaO」란, MgO, CaO, SrO 및 BaO의 총 함유량을 의미한다. 또한, 「무알칼리 유리 」란, Li2O, Na2O 및 K2O 등의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총 함유량이 0.1질량% 미만인 것을 의미한다. 무알칼리 유리는, 바람직하게는 산화물 기준의 질량% 표시로, B2O3의 함유량이 5% 이하이다.The float glass can be obtained, for example, in an amount expressed by mass% based on the oxide, of 54 to 66% of SiO 2 , 10 to 23% of Al 2 O 3 , 0 to 12% of B 2 O 3 , 0 to 12% Alkali glass containing 0 to 15% of CaO, 0 to 16% of SrO, 0 to 15% of BaO and 8 to 26% of MgO + CaO + SrO + BaO. Here, "MgO + CaO + SrO + BaO" means the total content of MgO, CaO, SrO and BaO. Further, "non-alkali glass" means that the total content of alkali metal oxides such as Li 2 O, Na 2 O and K 2 O is less than 0.1% by mass. The alkali-free glass is preferably expressed in mass% based on the oxide, and the content of B 2 O 3 is 5% or less.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더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세로 방향은 X 방향, 가로 방향은 Y 방향에 각각 대응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descriptions. In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X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Y direction.

도 8은,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에 있어서의 반송 속도 V와 깊이 D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실험 조건 및 실험 결과를 표 1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사용된 글래스재 1 내지 3의 화학 조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8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veying speed V and the depth D in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Experimental conditions and experimental results of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re shown in Table 1 and FIG.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glass materials 1 to 3 used in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re shown in Table 2.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실시예 1 내지 5][Examples 1 to 5]

실시예 1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욕조(20)를 갖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10)를 사용하여, 폭 방향 치수가 4000mm 이상의 유리 리본(6)을 제조하였다. 유리 리본의 원료인 글래스재는, 표 2에 나타내는 글래스재(1)를 사용하였다. 용융 금속(2)인 용융 주석의 성형 영역(A4)에서의 깊이 D0는 38mm로 하였다. 또한, 서냉로(70)에 있어서의 유리 리본(6)의 반송 속도 V는 4.2m/min으로 하였다.In Example 1, a glass ribbon 6 having a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4000 mm or more was manufactured by using the float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10 having the bath 20 shown in Figs. 3 and 4. The glass material used as the raw material of the glass ribbon was the glass material (1) shown in Table 2. The depth D0 in the molding area A4 of the molten tin as the molten metal 2 was 38 mm. In addition, the conveying speed V of the glass ribbon 6 in the gradual cooling path 70 was 4.2 m / min.

제조된 유리 리본(6)으로부터, 가로 방향 치수 2500mm의 플로트 유리 및 가로 방향 치수 3500mm의 플로트 유리를 잘라냈다. 각 플로트 유리는, 유리 리본의 폭 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잘라냈다. 각 플로트 유리의 평균 판 두께는 0.50mm였다.A float glass with a lateral dimension of 2500 mm and a float glass with a lateral dimension of 3500 mm were cut out from the produced glass ribbon (6). Each float glass was cut out in a left-right symmetry about the center li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lass ribbon. The average plate thickness of each float glass was 0.50 mm.

실시예 2 내지 4에서는, 각각, 용융 주석의 사용량을 증감시켜서 용융 주석의 성형 영역(A4)에서의 깊이 D0을 37mm, 39mm, 40mm로 설정 변경함과 함께, 서냉로(70)에 있어서의 유리 리본(6)의 반송 속도 V를 크게 해서 4.9m/min, 5.3m/min, 6.7m/min으로 설정 변경한 것 이외에, 실시예 1과 동일 조건에서 플로트 유리를 얻었다.In Embodiments 2 to 4, the depth D0 in the molten tin molding region A4 is changed to 37 mm, 39 mm, and 40 mm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amount of molten tin used, and the glass in the annealing furnace 70 Float glass was obtain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eeding speed V of the ribbon 6 was increased to 4.9 m / min, 5.3 m / min, and 6.7 m / min.

실시예 5에서는, 글래스재로서 표 2에 나타내는 글래스재(3)을 사용하고, 용융 주석의 사용량을 증가시켜서 용융 주석의 성형 영역(A4)에서의 깊이 D0을 45mm로 설정 변경함과 함께, 서냉로(70)에 있어서의 유리 리본(6)의 반송 속도 V를 크게 해서 10m/min으로 설정 변경한 것 이외에, 실시예 1과 동일 조건에서 플로트 유리를 얻었다.In Example 5, the glass material 3 shown in Table 2 is used as the glass material, the amount of the molten tin used is increased, the depth D0 in the molten tin molding region A4 is changed to 45 mm, A float glass was obtain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eeding speed V of the glass ribbon 6 in the furnace 70 was increased to 10 m / min.

[비교예 1 내지 3][Comparative Examples 1 to 3]

비교예 1에서는, 용융 주석의 사용량을 저감시켜서 용융 주석의 성형 영역(A4)에서의 깊이 D0을 33mm로 설정 변경함과 함께, 서냉로(70)에 있어서의 유리 리본(6)의 반송 속도 V를 크게 해서 4.9m/min으로 설정 변경한 것 이외에, 실시예 1과 동일 조건에서 플로트 유리를 얻었다.In Comparative Example 1, the amount of molten tin used was reduced so that the depth D0 in the molten tin molding region A4 was changed to 33 mm, and the transfer speed V of the glass ribbon 6 in the annealing furnace 70 Was changed to 4.9 m / min, the float glass was obtain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

비교예 2에서는, 글래스재로서 표 2에 나타내는 글래스재(2)을 사용하고, 용융 주석의 사용량을 저감시켜서 용융 주석의 성형 영역(A4)에서의 깊이 D0를 35.5mm로 설정 변경함과 함께, 서냉로(70)에 있어서의 유리 리본(6)의 반송 속도 V를 크게 해서 7.6m/min으로 설정 변경한 것 이외에, 실시예 1과 동일 조건에서 플로트 유리를 얻었다.In Comparative Example 2, the glass material 2 shown in Table 2 was used as the glass material, the amount of the molten tin used was reduced, the depth D0 in the molten tin molding region A4 was changed to 35.5 mm, A float glass was obtain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eeding speed V of the glass ribbon 6 in the gradual cooling path 70 was increased to 7.6 m / min.

비교예 3에서는, 글래스재로서 표 2에 나타내는 글래스재(3)를 사용하고, 서냉로(70)에 있어서의 유리 리본(6)의 반송 속도 V를 크게 해서 10.3m/min으로 설정 변경한 것 이외에, 실시예 1과 동일 조건에서 플로트 유리를 얻었다.In Comparative Example 3, the glass material 3 shown in Table 2 was used as the glass material, and the feeding speed V of the glass ribbon 6 in the annealing furnace 70 was increased to 10.3 m / min. In addition, float glass was obtain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정리][theorem]

표 1 및 도 8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에서는, 비교예 1 내지 3과는 상이하고, 상기 식 (1)을 만족시키는 조건 실험을 행했기 때문에, 대형이면서 판 두께 편차가 작은 플로트 유리를 얻을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가로 방향 치수 2500mm의 플로트 유리 및 가로 방향 치수 3500mm의 플로트 유리에서, 판 두께 편차가 12㎛ 이하였다.As evident from Table 1 and Fig. 8, in Examples 1 to 5, the conditions were different from those in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nd the condition experiment satisfying the above formula (1) was carried out. A float glass could be obtained. Specifically, in a float glass having a lateral dimension of 2500 mm and a float glass having a lateral dimension of 3500 mm, the plate thickness deviation was 12 占 퐉 or less.

이상,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및 플로트 유리 등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 등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 개량이 가능하다.While the embodiments of the float glass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float glass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lik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

10: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20: 욕조
21: 금속 케이싱
22: 사이드 벽돌
23: 보텀 벽돌
25: 냉각 노즐
30: 천장
40: 히터
41: 히터 제어열
42: 히터 제어 구획
45: 분할선
46: 구분선
50: 제어기
60: 톱 롤
70: 서냉로
10: Float glass manufacturing device
20: Bathtub
21: Metal casing
22: Side brick
23: bottom brick
25: Cooling nozzle
30: Ceiling
40: heater
41: heater control column
42: Heater control compartment
45: Splitting line
46: divider
50:
60: saw roll
70: slow cooling

Claims (11)

용융 유리를 욕조내의 용융 금속 상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용융 금속 상에서 상기 용융 유리를 유동시키면서 유리 리본으로 성형하고, 상기 유리 리본을 서냉로내에서 반송하면서 서냉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이며,
상기 용융 금속 상에 있어서의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 중심의 점도가 104.5dPa·s 이상 107.5dPa·s 이하인 영역을 성형 영역이라 칭할 때에,
상기 성형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용융 금속의 깊이를 D0(단위: mm)라 하고, 상기 서냉로에 있어서의 상기 유리 리본의 반송 속도를 V(단위: m/min)라 하여, 하기 식 (1)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D0≥1.0×V+30…(1)
A method for producing a float glass in which a molten glass is continuously supplied onto a molten metal in a bathtub, the molten glass is flowed on the molten metal to form a glass ribbon, and the glass ribbon is slowly cooled while being conveyed in a gradual cooling furnace,
When a region where the viscosity at the center of the glass ribbon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molten metal is not less than 10 4.5 dPa · s and not more than 10 7.5 dPa · s is called a forming region,
Wherein a depth of the molten metal in the forming region is denoted by D0 (unit: mm), and a conveying speed of the glass ribbon in the annealing furnace is V (unit: m / min) Is satisfied. ≪ / RTI >
D0? 1.0 x V + 30 ... (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속도 V가 3 내지 11m/min인,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conveying speed V is 3 to 11 m / mi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 D0가 35 내지 60mm인,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epth D0 is 35 to 60 m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속도 V가 4 내지 8m/min이며, 또한, 상기 깊이 D0가 35 내지 50mm인,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nveying speed V is 4 to 8 m / min, and the depth D0 is 35 to 50 m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금속 상에 있어서의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 외측에 있어서, 상기 용융 금속에 침지된 장벽으로 상기 용융 금속의 흐름을 가로막는,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flow of the molten metal is blocked by a barrier immersed in the molten metal on an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lass ribbon on the molten meta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금속 상방에 마련되는 복수의 히터를 마련하는 히터 영역을 상기 유리 리본의 흐름 방향으로 복수의 열로 분할하고, 각 열을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으로 구분하여 이루어지는 구획별로, 복수의 상기 히터를 제어기로 제어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plurality of heaters for dividing the respective rows of the glass ribb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lass ribbon and dividing the plurality of heaters into a plurality of rows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glass ribb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oat glass, comprising the steps of:
세로 방향 치수가 2100mm 이상, 가로 방향 치수가 2200mm 이상 및 평균 판 두께가 0.75mm 이하인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형 플로트 유리이며,
면내 전체에 있어서의 판 두께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가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유리.
A rectangular float glass as viewed from a plane having a longitudinal dimension of 2100 mm or more, a lateral dimension of 2200 mm or more, and an average plate thickness of 0.75 mm or less,
Where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plate thickness in the entire plane is 12 占 퐉 or less.
제7항에 있어서,
세로 방향 치수가 2900mm 이상, 가로 방향 치수가 3000mm 이상인, 플로트 유리.
8. The method of claim 7,
A float glass having a longitudinal dimension of 2900 mm or more and a lateral dimension of 3000 mm or more.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판 두께가 0.45mm 이하인, 플로트 유리.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Wherein the average plate thickness is 0.45 mm or less.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산화물 기준의 질량% 표시로,
SiO2: 54 내지 66%
Al2O3: 10 내지 23%
B2O3: 0 내지 12%
MgO: 0 내지 12%
CaO: 0 내지 15%
SrO: 0 내지 16%
BaO: 0 내지 15%
MgO+CaO+SrO+BaO: 8 내지 26%
를 함유하는 무알칼리 유리로 구성되는, 플로트 유리.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In terms of mass% based on oxide,
SiO 2 : 54 to 66%
Al 2 O 3 : 10 to 23%
B 2 O 3 : 0 to 12%
MgO: 0 to 12%
CaO: 0 to 15%
SrO: 0 to 16%
BaO: 0 to 15%
MgO + CaO + SrO + BaO: 8 to 26%
Alkali glass which contains an alkali-free glas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알칼리 유리는, 산화물 기준의 질량% 표시로, B2O3의 함유량이 5% 이하인, 플로트 유리.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said alkali-free glass has a content of B 2 O 3 of 5% or less, expressed as mass% based on an oxide.
KR1020180139583A 2017-11-27 2018-11-14 Float glass manufacturing method, and float glass KR2019006219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27069 2017-11-27
JP2017227069A JP2019094245A (en) 2017-11-27 2017-11-27 Float glass production method and float gla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198A true KR20190062198A (en) 2019-06-05

Family

ID=66844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583A KR20190062198A (en) 2017-11-27 2018-11-14 Float glass manufacturing method, and float glas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9094245A (en)
KR (1) KR20190062198A (en)
CN (2) CN115784575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75031A (en) * 2020-08-18 2022-02-22 Agc株式会社 Float glass manufacturing device and float glass manufacturing method
CN113233736A (en) * 2021-04-25 2021-08-10 中国建材国际工程集团有限公司 Float glass melting furnace with contraction type clarification are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1398A (en) 2010-06-17 2012-01-05 Asahi Glas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lat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44284A (en) * 1976-11-30 1979-04-19 Pilkington Brothers Ltd Manufacture of flat glass
US4131446A (en) * 1976-11-30 1978-12-26 Pilkington Brother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at glass on molten metal
JP2005289795A (en) * 2004-03-11 2005-10-20 Asahi Glas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float plate glass
JP2009107913A (en) * 2007-11-01 2009-05-21 Central Glass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float plate glass
JP5565062B2 (en) * 2010-04-15 2014-08-06 旭硝子株式会社 Float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float glass manufacturing method
KR101226032B1 (en) * 2012-03-19 2013-01-24 쇼오트 아게 Float glass process for making thin flat glass and thin flat glass substrate made with the same
JP2015105216A (en) * 2013-12-02 2015-06-08 旭硝子株式会社 Float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float glass manufacturing method
JP2016098161A (en) * 2014-11-25 2016-05-30 旭硝子株式会社 Float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float glass manufacturing method
JP6315011B2 (en) * 2016-03-15 2018-04-25 旭硝子株式会社 Alkali-free glass substrate and method for producing alkali-free glass substra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1398A (en) 2010-06-17 2012-01-05 Asahi Glas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84575A (en) 2023-03-14
JP2019094245A (en) 2019-06-20
CN110028228B (en) 2022-12-20
CN110028228A (en) 2019-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33514B (en) Production method for glass sheet and glass sheet production device
TWI374861B (en)
TWI401221B (en) Float glass process for making thin flat glass and thin flat glass substrate made with same
TW201247563A (en) Production method for glass plate and glass plate production device
TWI515171B (en) Manufacture of glass plates
WO2014203569A1 (en) Float glass production method and float glass production device
JP6144740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substrate for display
KR201900775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Glass Ribbons
KR20190062198A (en) Float glass manufacturing method, and float glass
KR19990063969A (en) Float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7012922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the edge of a glass ribbon
CN102285752A (en) Glass plat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glass plate
JP5668088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plate
JP6675849B2 (en) Glass plate manufacturing method and glass plate manufacturing apparatus
KR101453629B1 (en) Molten glass manufacturing device, molten glass manufacturing method, and sheet glass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device and the method
JP6489783B2 (en) Glass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and glass substrate manufacturing apparatus
KR20190058303A (en) Float glass manufacturing device, float glass manufacturing method, and float glass
CN105461193A (en) Method for making glass substrate for display
US3871854A (en) Manufacture of flat glass ribbons on a molten metal bath
JP6498933B2 (en)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glass substrate for display
US3485617A (en)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float glass utilizing buoyant depressible barrier means
WO2013154140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glass plate
US10377654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glass articles
JP5651634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plate
JP2024047906A (en) Glass melting method and glass article manufacturing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