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0267A -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0267A
KR20190060267A KR1020170158305A KR20170158305A KR20190060267A KR 20190060267 A KR20190060267 A KR 20190060267A KR 1020170158305 A KR1020170158305 A KR 1020170158305A KR 20170158305 A KR20170158305 A KR 20170158305A KR 20190060267 A KR20190060267 A KR 20190060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ression
questionnaire
dds
index
elder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성주
박종욱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58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0267A/ko
Publication of KR20190060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사용자 단말에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와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와 상기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에 대응되는 사용자 답변을 기반으로 우울 지수(GD) 및 주거 불만족 지수(DDS)를 산출하는 단계; "GDDI={GD-(나이-65)×0.55}+DDS"의 식에 따라 노인주거 우울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DDS Ratio=(GD+DDS)÷DDS"의 식에 따라 주거불만족 설명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노인주거 우울 지수가 상위 5% 이상이고, 상기 주거불만족 설명비가 평균값 이하이면, 설문 대상자를 노인 주거 우울 상태라고 판정 및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ating dwelling depression of senior citizens}
본 발명은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인의 주거 환경을 고려하여 노인 주거 우울 상태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령자의 주거문화에 대한 국내 연구는 주로 노년기의 생리적ㅇ신체적 변화를 보완할 수 있는 주거환경 개발에 초점을 두고 주거자의 장애유무 및 연령 등 신체적 조건과 행위패턴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헬스케어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스마트홈 케어 시스템 연구에 집중되어 왔고, 개인의 감성적 만족도에 기반한 수요자 맞춤형 주거환경 개선에 관한 논의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주거환경과 노인자살률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허지정, 최막중, 2013)에서는 노인의 자실이 개인적 요인뿐만 아니라 환경적 요인이 함께 작용하는 사회적 문제임을 인식할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이는 개인적 속성까지는 반영하지 못한 통계적 분석의 결과이므로, 추후 노인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과 환경적 특성을 통합 분석하여 상호영향력을 비교해 볼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기존의 노인 단독 가구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다양한 가구형태 중 일부로 노인 단독 가구를 검토하고 있어 구체적인 삶의 양상이 잘 드러나지 않으므로 단독가구로 생활하는 노인들의 구체적 일상을 파악하기 위해 양적 자료 분석은 물론 질적 연구를 통해 생활상을 심도 있게 이해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고령자의 우울 등 부정정서에 대한 연구는 과거 노년기의 변화하는 생리ㅇ신체적 요인에 중점을 두던 경향에서 최근 경제적ㅇ사회적 환경변화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독거노인의 자살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고재욱 등의 연구(2011)를 보면, 자살개념을 단순한 사건이 아니라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과정으로 이해할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그 요인을 정신건강ㅇ사회경제적 요인 등 영역별로 파악하여 개인 맞춤형 사례관리서비스를 구축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
그러나 단독가구 고령자에 관한 국내 특허는 대부분 다양한 감지방법을 활용한 응급상황 판별 및 지원, 스마트홈 시스템, 원격 모니터링 및 진료시스템에 관한 내용으로, 거주자의 감성 측정을 통한 맞춤형 주거환경 개선방법에 관한 기술에 대해서는 제안되지 못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799665호 등에서는 노인의 욕구 사정에 기초한 복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특허를 등록했으며, 몇몇 기업에서 모니터링 중심 시스템 특허가 등록되었으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노인의 주거 환경을 고려하여 감성 측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1.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005494호(공개일자 : 2010.01.15.) 2. 국내등록특허 제10-0799665호(등록일자 : 2008.01.24.)
1. 지역의 주거환경 특성이 노인자살률에 미치는 영향(저자: 허지정, 최막중, 주택연구 2013년 21권 4호, pp.49-62 ISSN 1226-2676)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노인의 주거 환경을 고려하여 노인 주거 우울 상태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와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와 상기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에 대응되는 사용자 답변을 기반으로 우울 지수(GD) 및 주거 불만족 지수(DDS)를 산출하는 단계; "GDDI={GD-(나이-65)×0.55}+DDS"의 식에 따라 노인주거 우울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DDS Ratio=(GD+DDS)÷DDS"의 식에 따라 주거불만족 설명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노인주거 우울 지수가 상위 5% 이상이고, 상기 주거불만족 설명비가 평균값 이하이면, 설문 대상자를 노인 주거 우울 상태라고 판정 및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와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5점 척도 형식의 설문문항 다수개를 가지는 상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와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를 각각 생성 및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울 지수(GD) 및 주거 만족 지수(DDS)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와 상기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에 대응되는 사용자 답변을 5점 척도 형식으로 합산하여 상기 우울 지수(GD)와 상기 주거 만족 지수 각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와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를 제공하는 설문지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와 상기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에 대응되는 사용자 답변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답변을 기반으로 우울 지수(GD) 및 주거 불만족 지수(DDS)를 산출하는 기본 지수 산출부; "GDDI={GD-(나이-65)×0.55}+DDS"의 식에 따라 노인주거 우울 지수를 산출하는 노인주거 우울 지수 산출부; "DDS Ratio=(GD+DDS)÷DDS"의 식에 따라 주거불만족 설명비를 산출하는 주거불만족 설명비 산출부; 및 상기 노인주거 우울 지수가 상위 5% 이상이고, 상기 주거불만족 설명비가 평균값 이하이면, 설문 대상자를 노인 주거 우울 상태라고 판정하는 판정부를 포함하는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우울증 진단 및 주거 불만족도 진단을 위한 설문을 진행한 후, 설문 결과를 수집 및 분석함으로써, 노인의 주거 환경에 고려한 노인 주거 우울 상태를 객관적으로 판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D값 DDS값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 및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 및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장치(10) 및 다수의 사용자 단말(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장치(10)는 사용자 단말에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와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를 제공하는 설문지 제공부(11),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와 상기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에 대응되는 사용자 답변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답변을 기반으로 우울 지수(GD) 및 주거 불만족 지수(DDS)를 산출하는 기본 지수 산출부(12), "GDDI={GD-(나이-65)×0.55}+DDS"의 식에 따라 주거 우울 지수를 산출하는 주거 우울 지수 산출부(13), "DDS Ratio=(GD+DDS)÷DDS"의 식에 따라 주거불만족 설명비를 산출하는 주거불만족 설명비 산출부(14) 및 상기 노인주거 우울 지수가 상위 5% 이상이고, 상기 주거불만족 설명비가 평균값 이하이면, 설문 대상자를 노인 주거 우울 상태라고 판정하는 판정부(15), 사용자 단말(20)과의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은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장치(10)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21),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장치(10)의 설문지를 사용자 안내하고, 이에 대응되는 사용자 답변을 획득 및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장치(10)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22), 사용자 또는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장치(10)의 요청에 따라 통신부(21) 및 어플리케이션(22)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20)은 설문 조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다운로드 및 설치하는 대신에, 구글 설문지 등과 같이 포탈 사이트가 제공하는 앱 기능을 차용하여 상기의 설문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는 총 12문항, 총점 60점으로 이루어진 5점 척도 설문이며,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 또한 역시 총 12문항, 총점 60점으로 이루어진 5점 척도 설문이다. 단, 이하에서는 편의를 위해 주거만족도 문항 점수를 역응답으로 계산하여 '주거불만족' 점수를 산출하도록 한다. 즉, 우울 지수는 높은 점수로 응답할수록 더 심한 우울감을 느끼는 것이고, 주거 불만족도 지수 또한 높은 점수일수록 더 주거에 불만족하는 것이다.
GDDI(Geriatric Dwelling Depression Index) = 노인 주거우울 지수
GD(Geriatric Depression) = 우울 지수
DDS(Dwelling Dissatisfaction) = 주거 불만족 지수
본 발명의 우울 지수 및 주거 불만족 지수는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와 상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에 대응되는 사용자 답변을 5점 척도 형식으로 합산하여 상기 우울 지수(GD)와 상기 주거 만족 지수 각각을 산출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설문 데이터로 연구한 결과 65세 이상의 노인들은 연령이 1세 증가함에 따라 GD설문 총점 값이 0.55점씩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고려하여, 연령으로 인한 일반적 우울감 증가를 상쇄시키도록 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은 GD와 DDS의 합산 총점으로 이루어진 노인 주거 우울 지수를 이하의 수학식 1에 따라 산출하도록 한다.
[수학식 1]
GDDI={GD-(나이-65)×0.55}+DDS
그리고 우울 지수 대비 주거 불만족 지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주거불만족 설명비'는 이하의 수학식 2에 따라 산출하도록 한다.
[수학식 2]
DDS Ratio=(GD+DDS)÷DDS
이 두 지표인 총점에 해당하는 GDDI와 비율에 해당하는 DDS Ratio의 조합으로 노인 주거우울 유형을 정의하자면 아래와 같다. 이렇게 두 지표의 조합으로 보는 이유는, 도 2에서와 같이 우울감인 GD값과 주거불만족인 DDS값은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어서, GD와 DDS가 항상 함께 증가하는 양상을 보는 이유는 지수 총합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주거불만족의 영향 요인이 낮은 그룹을 구분하여 제외하기 위함이다.
이에 본 발명은 GDDI 전체(평균 56.6점, 표준편차 15.6점) 에 있어서 상위 5% 이상치라고 할 수 있는 82점 초과 (z-value > 1.64) 집단이면서, DDS ratio에 있어서 평균값인 2.5 이하의 조건을 충족시켜서 주거불만족과 우울감이 긴밀하게 상호 연관되어 있는 65세 이상 집단을, '노인 주거우울 유형'이라고 정의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노인주거 우울 지수가 상위 5% 이상이고, 주거불만족 설명비가 평균값 이하이면, 설문 대상자를 노인 주거 우울 상태라고 판정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 및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3는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도 4은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이다.
도 3 및 도 4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 및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5 점 척도 형식의 설문문항 다수개로 구성됨을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를 고려하여,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와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에 대응되는 사용자 답변을 5점 척도 형식으로 합산하여 우울 지수(GD)와 주거 만족 지수 각각을 산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설문 항목이 제공된 경우, 사용자가 1번을 선택하면 1점, 2번을 선택하면 2점, 3번을 선택하면 3점, 4번을 선택하면 4점, 5번을 선택하면 5점이 해당 설문 항목의 개별 점수가 산출하도록 하고, 이들 점수를 설문 항목 모두에 대해 합산하여 우울 지수(GD)와 주거 만족 지수 각각을 산출하도록 한다.
Q2. 전에 하던 활동이나 흥미가 떨어졌다.
(1) 전혀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다
(3) 그저 그렇다
(4) 그런 편이다
(5) 매우 그렇다
또한 설문문항의 의도를 고려하여, 긍정적 의도를 가진 설문 문항에 대해서는 역평가 방식으로 설문 점수를 산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답변을 그대로 이용하여 우울 지수 및 불만족 지수 각각에 대응되는 총점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하와 같은 설문 항목을 역평가하는 경우, 사용자가 1번을 선택하면 5점, 2번을 선택하면 4점, 3번을 선택하면 3점, 4번을 선택하면 2점, 5번을 선택하면 1점이 해당 설문 항목의 개별 점수가 산출하도록 한다.
Q5. 대부분의 생활이 활기에 차 있다. * 역평가
(1) 전혀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다
(3) 그저 그렇다
(4) 그런 편이다
(5) 매우 그렇다
더하여, 본 발명은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 신상 정보, 건강 상태 정보, 주택 정보, 경제력 정보 등을 추가 질문하고, 이를 기반으로 신상 상태, 건강 상태, 주택 상태, 경제력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노인 주거 우울 상태의 참고 분석 자료로써 추가 제공할 수도 있도록 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에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와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를 제공하도록 한다(S1).
그러면 사용자 단말(20)은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와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를 화면 표시하여, 사용자에 이에 대응되는 답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답변을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장치(10)에 제공하도록 한다(S2).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장치(10)는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에 대응되는 사용자 답변을 기반으로 우울 지수(GD)를 산출하고,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에 대응되는 사용자 답변을 기반으로 주거 불만족 지수(DDS)를 산출하도록 한다(S3).
그리고 "GDDI={GD-(나이-65)×0.55}+DDS"의 식에 따라 노인주거 우울 지수를 산출하고(S4), "DDS Ratio=(GD+DDS)÷DDS"의 식에 따라 주거불만족 설명비를 산출하도록 한다(S5).
그리고 상기 노인주거 우울 지수가 상위 5% 이상이고, 상기 주거불만족 설명비가 평균값 이하이면, 설문 대상자를 노인 주거 우울 상태라고 판정 및 통보하도록 한다(S6).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사용자 단말에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와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와 상기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에 대응되는 사용자 답변을 기반으로 우울 지수(GD) 및 주거 불만족 지수(DDS)를 산출하는 단계;
    "GDDI={GD-(나이-65)×0.55}+DDS"의 식에 따라 노인주거 우울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DDS Ratio=(GD+DDS)÷DDS"의 식에 따라 주거불만족 설명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노인주거 우울 지수가 상위 5% 이상이고, 상기 주거불만족 설명비가 평균값 이하이면, 설문 대상자를 노인 주거 우울 상태라고 판정 및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와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5점 척도 형식의 설문문항 다수개를 가지는 상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와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를 각각 생성 및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우울 지수(GD) 및 주거 만족 지수(DDS)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와 상기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에 대응되는 사용자 답변을 5점 척도 형식으로 합산하여 상기 우울 지수(GD)와 상기 주거 만족 지수 각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방법.
  4. 사용자 단말에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와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를 제공하는 설문지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와 상기 주거 불만족도 진단용 설문지에 대응되는 사용자 답변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답변을 기반으로 우울 지수(GD) 및 주거 불만족 지수(DDS)를 산출하는 기본 지수 산출부;
    "GDDI={GD-(나이-65)×0.55}+DDS"의 식에 따라 노인주거 우울 지수를 산출하는 노인주거 우울 지수 산출부;
    "DDS Ratio=(GD+DDS)÷DDS"의 식에 따라 주거불만족 설명비를 산출하는 주거불만족 설명비 산출부; 및
    상기 노인주거 우울 지수가 상위 5% 이상이고, 상기 주거불만족 설명비가 평균값 이하이면, 설문 대상자를 노인 주거 우울 상태라고 판정하는 판정부를 포함하는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장치.
KR1020170158305A 2017-11-24 2017-11-24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방법 및 장치 KR20190060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305A KR20190060267A (ko) 2017-11-24 2017-11-24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305A KR20190060267A (ko) 2017-11-24 2017-11-24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267A true KR20190060267A (ko) 2019-06-03

Family

ID=66849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305A KR20190060267A (ko) 2017-11-24 2017-11-24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026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665B1 (ko) 2007-04-10 2008-01-30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노인 복지 서비스를 위한 욕구 사정 예측 방법 및 상기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20100005494A (ko) 2008-07-07 2010-01-15 주식회사 엠유비정보통신 독거노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665B1 (ko) 2007-04-10 2008-01-30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노인 복지 서비스를 위한 욕구 사정 예측 방법 및 상기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20100005494A (ko) 2008-07-07 2010-01-15 주식회사 엠유비정보통신 독거노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지역의 주거환경 특성이 노인자살률에 미치는 영향(저자: 허지정, 최막중, 주택연구 2013년 21권 4호, pp.49-62 ISSN 1226-267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onstra et al. Using mobile phone sensor technology for mental health research: integrated analysis to identify hidden challenges and potential solutions
Suryadevara et al. Forecasting the behavior of an elderly using wireless sensors data in a smart home
CN109416820B (zh) 对用户满意度进行自动确定和响应的方法和***
Kleinberger et al. Ambient intelligence in assisted living: enable elderly people to handle future interfaces
Shen et al. The implementation of a smartphone-based fall detection system using a high-level fuzzy Petri net
Franzini et al. The association of subjective social status and health in low-income Mexican-origin individuals in Texas
JP7051704B2 (ja) 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won et al. Single activity sensor-based ensemble analysis for health monitoring of solitary elderly people
Cook et al. Detection of social interaction in smart spaces
JP558856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Goonawardene et al. Sensor-driven detection of social isolat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Hayes et al. Distributed healthcare: Simultaneous assessment of multiple individuals
Caroux et al. Towards context-aware assistive applications for aging in place via real-life-proof activity detection
Vaid et al. Smartphones in personal informatics: a framework for self-tracking research with mobile sensing
Ponizovskiy et al. Sticking to common values: Neighbourhood social cohesion moderates the effect of value congruence on life satisfaction
KR102073204B1 (ko) 자아 투사 이미지 기반으로 한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및 장치
Nazário et al. Quality of context evaluating approach in AAL environment using IoT technology
Kwek et al. The determinants of fake news adaptation during COVID-19 pandemic: A social psychology approach
Brgulja et al. Measuring the probability of correctness of contextual information in context aware systems
Opoku-Ware et al. Modeling the structural effects of residential instability, family disruptions, and social support on neighborhood crime perceptions: A partial test of 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Dimitrov et al. Social activity modelling and multimodal coaching for active aging
Degenholtz et al. Long-term care case managers’ out-of-home placement decisions: an application of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KR20190060267A (ko) 노인 주거 우울 상태 판정 방법 및 장치
Mingo et al. Individual and community socioeconomic status: impact on mental health in individuals with arthritis
Zaad et al. The influence of control on the acceptance of ambient intelligence by elderly people: An explorative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