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5350A - Attachable smart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Attachable smart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5350A
KR20190055350A KR1020170151960A KR20170151960A KR20190055350A KR 20190055350 A KR20190055350 A KR 20190055350A KR 1020170151960 A KR1020170151960 A KR 1020170151960A KR 20170151960 A KR20170151960 A KR 20170151960A KR 20190055350 A KR20190055350 A KR 20190055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ayer
color
display device
sola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9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94540B1 (en
Inventor
이상주
김대환
성시준
이용민
강진규
양기정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51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540B1/en
Publication of KR20190055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3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5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02F1/13324Circuits comprising solar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63Operation of electrochromic cells, e.g. electrodeposition cells; Circuit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G02F2001/1332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smart display device comprises: an adhesive layer; a first electrode arranged on the adhesive layer; a discoloration element part and a solar battery part arrang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laminated and arranged with each other; the second electrode being arranged on a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the discoloration element part and the solar battery part are laminated, and having a permeability with respect to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200-1000 nm; and a reference color layer arranged on an upper part of at least one among the adhesive layer, the first electrode, the discoloring element part, the solar battery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changing the color of light emitted to the outside by reflecting or transmitting light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erefore,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adhesive smart display device capable of changing color or contrast with solar light alone and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or a secondary battery, and being easily removable and attachable.

Description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ATTACHABLE SMART DISPLAY DEVICE}[0001] ATTACHABLE SMART DISPLAY DEVICE [0002]

본 발명은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착층, 변색소자부, 태양전지부 및 기준색상층을 포함하여 외부의 광원 조건에 따라 표시되는 이미지를 변경함으로써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icky smart display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hesive smart display device including an adhesive layer, a discoloring element portion, a solar cell portion, and a reference color layer, and maximizing a visual effect by changing an image displayed according to an external light source condition.

최근 다양한 형태의 표시장치들이 개발되면서 다방면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데, 옥외의 광고 표시 장치 등도 전자표시장치를 이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광고 장치는 때때로 고립된 지역에 설치되기도 하고 건물의 옥상 등에 설치되어 쉽게 전지를 교환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는 선을 연결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자체적으로 발전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표시장치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These advertising devices are sometimes installed in an isolated area, installed on the roof of a building, etc., and may not be able to easily exchange batteries or connect power supply lines. Therefore, development of self-developed display devices supplied with power has been actively performed.

전기변색 소자(electrochromic device)는 전기화학반응에 의하여 색의 변화를 가져오는 소자이다. 전기변색소자는, 외부의 전기 자극에 의해 전위차가 발생하면, 전해질층에 포함되어 있는 이온이나 전자가 전기변색층 내부로 이동하여 산화 및 환원반응이 일어난다. 상기 전기변색층의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전기변색소자의 색깔이 변하게 된다. 최근 전기변색소자는 자동차, 건물의 창 및 비행기 등에 적용하여 태양광을 차단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아직까지 반사형 디스플레이, 특히 대형 옥외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또한, 전기변색소자는 외부의 전압에 의한 전력공급이 필수적이다An electrochromic device is a device that changes color by an electrochemical reaction.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when a potential difference is generated by external electrical stimulation, ions or electrons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layer migrate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to cause an oxidation and reduction reaction. The color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changed by the redox reaction of the electrochromic layer. Recently, electrochromic devices have been applied to automobiles, windows of buildings and airplanes to block sunlight. However, it has not yet been applied to reflective displays, especially large outdoor displays. In addition, electric power supply by an external voltage is essential for the electrochromic device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태양전지를 장착하고, 이러한 태양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표시장치는 태양전지 패널과 표시소자 패널이 각각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에 조립되기 때문에, 부피가 크게 증가하고, 태양전지와 표시소자 사이의 상호 연결을 위한 배선 및 회로 구성으로 인하여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For example, a display device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solar cell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a display device and power is supplied from such a solar cell. However, since such a display device is assembled after the solar cell panel and the display device panel are individually manufactured, the volume is greatly increas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due to the wiring and circuit configuration for interconnecting the solar cell and the display device Has a problem.

미국특허 제6,104,372호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변색소자와 적어도 하나의 광전화학소자를 구비하는 표시소자, 태양전지 및 배터리가 일체로 형성된 태양전지에 의해 구동되는 표시소자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표시소자에서는 표시소자 부분이 리튬 전해질을 포함하여 충전 시에는 청색으로 표시되고, 방전 시에는 백색으로 표시된다.U.S. Patent No. 6,104,372 discloses a display device that is driven by a display device having at least one electrochromic device and at least one photochemical device, a solar cell, and a solar cell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ttery. In such a display element, the display element portion includes a lithium electrolyte and is displayed in blue when charged, and white when discharged.

기존의 태양전지 및 전기변색소자 융합 기술은 두 종류의 소자를 단순히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술이므로 소자 구조가 복잡하고 내구성에 취약하다. 또한, 염료감응태양전지 및 액체전해질을 기반으로 한 융합기술은 유기계 및 액상 소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안정성 및 내구성이 취약하고 필름형 소자 제작에 불리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은 이온전달층과 전하전달층을 공유함으로써 소자 일체화 및 단순화가 가능하며, 무기 박막을 기반으로 하여 소자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필름형 소자 제작에도 적합하다.Conventional solar cell and electrochromic device fusion technology is a technology for simply connecting two types of devices electrically, which complicates the device structure and weakens durability. In addition, the fusion technology based on a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a liquid electrolyte is poor in stability and durability due to the use of an organic or liquid material, and is disadvantageous in manufacturing a film-type device. However,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element integration and simplification by sharing an ion transport layer and a charge transport layer, and is excellent in stability and durability of an element based on an inorganic thin film and is also suitable for manufacturing a film-type element.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3049호는 홀로그램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홀로그램 셀로판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셀로판지 원단에 홀로그램(엠보) 처리를 하여 외부에서 홀로그램 이미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기술은 전원을 이용하여 능동적으로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는 표시방법을 제공하지 못한다.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73049 relates to a hologram cellophane tape capable of displaying a hologram image. The prior art document provides a technique for performing a hologram (emboss) process on a cellophane fabric to observe hologram images from the outside. However,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e above prior art document does not provide a display method that can actively change an image using a power source.

미국특허 제6,104,372호U.S. Patent No. 6,104,372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3049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73049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는 별도의 전원이나 2차 전지 없이 태양광만으로도 색 또는 명암을 변경할 수 있고,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한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A sticky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sticky smart display device capable of changing color or contrast even with solar light alone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or secondary battery, and being easily removable and attachable.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는 능동적으로 표시되는 이미지를 변경함으로써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The sticky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visual effect by changing the image actively displayed.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 상에 배치된 제1전극; 상기 제1전극 상에 배치되고 상호 적층되어 배치된 변색소자부 및 태양전지부; 상기 변색소자부 및 태양전지부가 적층된 적층 구조 상에 배치되고, 200 내지 1000 nm 파장의 빛에 대하여 투과성을 갖는 상기 제2전극; 및 상기 접착층, 제1전극, 변색소자부, 태양전지부 및 제2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빛이 반사 또는 투과함으로써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색상을 변경하는 기준색상층;을 포함한다. An adhesive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hesive layer;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the adhesive layer; A color change element unit and a solar battery unit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disposed one above the other; The second electrode being disposed on a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the color-changing element unit and the solar cell unit are stacked, the second electrode being transparent to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200 to 1000 nm; And a reference color changing unit that is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adhesive layer, the first electrode, the color-changing element unit, the solar battery unit,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changes the color of light emitted from the outside, Layer.

또한, 상기 기준색상층은 일면 상에서 구별되는 적어도 2 이상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2 이상의 영역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에 대한 투과율, 반사율 및 굴절율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lso, the reference color layer may include at least two regions separated on one surface, and the at least one of the two or more regions may have at least one of transmittance, reflectance, and refractive index for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또한, 상기 변색소자부 상에 태양전지부가 배치될 수 있다. Further, the solar cell section may be disposed on the color-changing element section.

또한, 상기 태양전지부 상에 변색소자부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loring element portion may be disposed on the solar cell portion.

또한, 상기 접착층 및 제1전극 사이에 배치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ubstrate may further include a substrate disposed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first electrode.

또한, 상기 태양전지부는 광흡수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흡수층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Further, the solar cell unit may include a light absorbing layer, and the light absorbing layer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화학식 1>&Lt; Formula 1 >

(AmSb1-m)x(On(SzSe1-z)1-n)y (A m Sb 1-m ) x (O n (S z Se 1-z ) 1 -n ) y

A = Bi, Cu, Ag, Zn 또는 Sn, 0≤m≤ 0.5, 0≤x≤ 2, 0≤n≤ 0.75, 0≤z≤ 1 및 0≤y≤ 3.A = Bi, Cu, Ag, Zn or Sn, 0? M? 0.5, 0? X? 2, 0? N? 0.75, 0? Z? 1 and 0?

또한, 상기 변색소자부는 전기변색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층은 환원형 전기변색층 또는 산화형 전기변색층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lor shift element section may include an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may be at least one of a reduced electrochromic layer and an oxidized electrochromic layer.

또한, 상기 환원형 전기변색층은 WO3, MoO3, Nb2O5 또는 TiO2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Also, the reduced electrochromic layer may be at least one of WO 3 , MoO 3 , Nb 2 O 5 , and TiO 2 .

또한, 상기 산화형 전기변색층은 NiO2, CoO2, FeO2, MnO2 또는 Cr2O5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Also, the oxidizing electrochromic layer may be at least one of NiO 2 , CoO 2 , FeO 2 , MnO 2, and Cr 2 O 5 .

또한, 상기 접착층 및 제1전극 사이에 배치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ubstrate may further include a substrate disposed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first electrode.

또한, 상기 태양전지부에서 발생한 전자 또는 정공이 상기 변색소자부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변색소자부의 색상 또는 명암이 변경되도록 하는 제3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hird electrode for changing the hue or lightness of the color changing element by moving electrons or holes generated in the solar cell to the coloring element.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는 별도의 전원이나 2차 전지 없이 태양광만으로도 표시소자 기능을 발휘할 수 있어 고립된 지역이나 건물외부의 대형 광고판 등의 표시 소자로 응용시 유지비용 절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sticky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the display device function only by the sunlight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or secondary battery, thereby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when applied to a display device such as a large billboard outside an isolated area or a building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는 간단한 구성으로 복잡한 글씨, 도형 또는 도형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표시소자로 사용될 수 있다.Further, the sticky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display device which can easily implement complicated text, graphics, or graphics with a simple configu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외부의 환경에 따라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에서 표현하는 이미지가 변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의 작동을 예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의 작동을 예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의 작동을 예시한 것이다.
도 11은 복수의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한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shows an adhesive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llustrates a sticky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llustrates a sticky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llustrates a sticky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llustrates a sticky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llustrates a sticky smart display device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image represented by the sticking smart display device changes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Figure 8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a sticky smart display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llustrates operation of a sticky smart display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a sticky smart display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n image using a plurality of sticky smart display elem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and the element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are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In addition, " including " a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Sticky smart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를 도시한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shows an adhesive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 상에 배치된 제1전극; 상기 제1전극 상에 배치되고 상호 적층되어 배치된 변색소자부 및 태양전지부; 상기 변색소자부 및 태양전지부가 적층된 적층 구조 상에 배치되고, 200 내지 1000 nm 파장의 빛에 대하여 투과성을 갖는 상기 제2전극; 상기 접착층, 제1전극, 변색소자부, 태양전지부 및 제2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빛이 반사 또는 투과함으로써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색상을 변경하는 기준색상층; 및 상기 제1전극, 변색소자부, 태양전지부, 제2전극 및 기준색상층이 적층된 적층 구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보호층;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sticky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hesive layer;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the adhesive layer; A color change element unit and a solar battery unit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disposed one above the other; The second electrode being disposed on a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the color-changing element unit and the solar cell unit are stacked, the second electrode being transparent to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200 to 1000 nm; A reference color layer which is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adhesive layer, the first electrode, the discoloring element, the solar cell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changes the color of light emitted to the outside by reflection or transmission of light introduced from the outside, ; And a protective layer surrounding at least a part of the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the color-changing element part, the solar battery part,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reference color layer are laminated.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가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부재에 접촉되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는 유리 창, 교통 표지판, 건물 외벽 등 다양한 곳에 부착될 수 있고, 태양전지 또는 외부 광원에 의해 상기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는 작동할 수 있다. The adhesive layer may be attached in contact with various members to which the adhesive smart display device can be applied. For example, the adhesive smart display device can be attached to various places such as a glass window, a traffic sign, a building outer wall, and the adhesive smart display device can be operated by a solar cell or an external light source.

상기 접착층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의 종류는 수지 조성물일 수 있고,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by applying a commonly used adhesive agent, and the adhesive agent may be a resin composition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접착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may be disposed on the adhesive layer.

상기 제1 전극은 도전성을 지닌 재료로써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전극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다. 상기 전극층의 비제한적인 예시로는 금속,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ZO(aluminum zinc oxide), IZTO(indium zinc tin oxide) 등의 투명전도성산화물(TCO), 도전성 폴리머, 그래핀 또는 그래파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금속은 Ag, Au, Ni, Ti, Cr 등일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is a conductive material and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usually use it as an electrode. Non-limiting examples of the electrode layer include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such as metal,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aluminum zinc oxide (AZO), and indium zinc tin oxide (IZTO) , Graphene or graphite, or the like can be used. For example, the metal may be Ag, Au, Ni, Ti, Cr, or the like.

상기 변색소자부 및 태양전지부는 상기 제1전극 상에 배치되고 상호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color-changing element unit and the solar cell unit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stacked one on the other.

상기 변색소자부는 전기변색층, 전해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lor-changing element unit may include an electrochromic layer and an electrolyte layer.

상기 전기변색층은 전원 인가에 의한 전류의 흐름에 따라 색이 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의 투과도나 반사도를 조절할 수 있고, 무기변색물질 또는 유기변색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변색물질에는 환원변색물질과 산화변색물질이 있다. 환원변색물질은 환원반응이 일어날 때 색이 발현되고, 산화반응 일어날 때 색이 사라지는 환원발색에 의하여 변색될 수 있다. 환원변색물질은 바나듐(V) 산화물, 크롬(Cr) 산화물, 망간(Mn) 산화물, 철(Fe) 산화물, 코발트(Co), 산화물, 니켈(Ni) 산화물, 로듐(Rh) 산화물, 이리듐(Ir)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원변색물질은 WO3, TiO2, MO3일 수 있다. 산화변색물질은 산화반응일때 색이 발현되고 환원반응이 일어날 때 색이 사라지는 산화발색에 의하여 변색될 수 있다. 산화변색물질은 티타늄(Ti) 산화물, 구리(Cu) 산화물, 몰리브덴(Mo) 산화물, 텅스텐(W) 산화물, 나이오븀(Nb) 산화물, 탄탈륨(Ta)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산화변색물질은 Ni(OH)2, CoO2, IrO2일 수 있다. The color of the electrochromic layer may change depending on the flow of current due to power application. Accordingly, the transmittance and reflectivity of light can be controlled, and an inorganic or organic discoloring substance can be included. The inorganic coloring materials include a reducing coloring material and an oxidizing coloring material. Reduced coloring materials can be discolored by the reduction of color when the reduction reaction occurs and the color disappears when the oxidation reaction occurs. The reducing coloring material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anadium (V) oxide, chromium (Cr) oxide, manganese (Mn) oxide, iron (Fe) oxide, cobalt (Co), oxide, nickel (Ni) oxide, ) Oxide. &Lt; / RTI &gt; For example, the reducing coloring material may be WO3, TiO2, MO3. The oxidative discoloring substance can be discolored by the oxidative coloring which disappears when the oxidation reaction occurs and the reduction reaction occurs. The oxidative discoloring substance may be at least one of a titanium (Ti) oxide, a copper (Cu) oxide, a molybdenum (Mo) oxide, a tungsten (W) oxide, a niobium (Nb) oxide and a tantalum It may be a Ni (OH) 2, CoO 2 , IrO 2.

상기 전기변색층은 다양한 색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은 태양광이 입사되는 방향에 색을 구현할 수 있고, 상기 전기변색층에서 구현된 색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서 인지될 수 있다. The electrochromic layer may have various colors. The electrochromic layer may emit light in a direction in which sunlight is incident, and the color implement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may be perceiv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상기 전해질층은 전기 전해질층은 전기 변색 물질과 반응하는 산화/환원 물질을 공급할 수 있다. 전해질층은 고체 전해질층일 수 있고, 오산화 탄탈럼(Tantalum pentoxide, Ta2O5) 또는 LiPON계 전해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전해질층은 액제전해질, 이온성 액체 전해질, 이온성 젤 전해질 또는 고분자 전해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질층은 전자 주개 및 전자 받개 역할을 하는 화합물을 더 포함하여 산화 및 환원 속도를 높일 수 있다.The electrolyte layer may supply an oxidation / reduction material that reacts with the electrochromic material. The electrolyte layer may be a solid electrolyte layer, and may be at least one of tantalum pentoxide (Ta 2 O 5 ) and LiPON-based electrolyt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electrolyte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iquid electrolyte, an ionic liquid electrolyte, an ionic gel electrolyte or a polymer electrolyte. In addition, the electrolyte layer may further include a compound serving as an electron donor and an electron acceptor to increase the oxidation and reduction rate.

또한, 상기 변색소자부는 전하전달층 및 이온전달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하전달층 및 이온전달층은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하전달층 및 이온전달층은 전기변색소자에 필요한 이온전달층과 박막태양전지의 전하전달층을 공통으로 활용하여 소자 구조를 단순화시키며, 일체화가 가능할 수 있다. The color shifting element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charge transport layer and an ion transport layer, and the charge transport layer and the ion transport layer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The charge transport layer and the ion transport layer can be integrated by simplifying the device structure by utilizing the ion transport layer necessary for the electrochromic device and the charge transport layer of the thin film solar cell in common.

상기 태양전지부는 광흡수층, 전자전달층 또는 정공전달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olar cell portion may include a light absorb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or a hole transporting layer.

상기 태양전지부는 전자전달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자전달층은 상기 광흡수층의 일측에 접하여, 상기 광흡수층에서 여기된 전자를 제1 전극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자전달층은 TiO2, ZnO 또는 Zn(O,S)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무기 박막 태양전지에서 전자 전달층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다.The solar cell portion may include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and the electron transporting layer may contact one side of the light absorbing layer to transmit electrons excited in the light absorbing layer to the first electrode.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may be at least one of TiO 2 , ZnO, and Zn (O, S), bu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use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in an inorganic thin film solar cell.

상기 광흡수층에 태양광이 입사되면, 전자-정공 쌍이 발생된다. 상기 발생된 전자-정공이 이동하여 전기적 에너지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전기적 에너지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각각 인가되어 그 사이에 전계가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접착형 스마트 표시소자는 외부 전원없이 자가발전 가능할 수 있다. When sunlight is incident on the light absorbing layer, electron-hole pairs are generated. The generated electron-holes may move and electrical energy may be generated. The generated electrical energy may b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o form an electric field therebetween, and the adhesive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lf-powered without an external power source.

상기 태양전지부의 광흡수층은 투명 또는 반투명 태양전지에 사용되는 무기 화합물 기반 광흡수층일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부의 광흡수층은 하기 화학식 1을 만족하는 화합물 반도체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황화 안티몬(Sb2S3)일 수 있다. The light absorbing layer of the solar cell portion may be an inorganic compound-based light absorbing layer used in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solar cell. The light absorption layer of the solar cell unit may be a compound semiconductor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 (1), for example, antimony sulphide (Sb 2 S 3 ).

<화학식 1>&Lt; Formula 1 >

(AmSb1-m)x(On(SzSe1-z)1-n)y A=Bi, Cu, Ag, Zn, Sn, 0≤m≤ 0.5, 0≤x≤ 2, 0≤n≤ 0.75, 0≤z≤ 1 및 0≤y≤ 3. (A m Sb 1-m) x (O n (S z Se 1-z) 1-n) y A = Bi, Cu, Ag, Zn, Sn, 0≤m≤ 0.5, 0≤x≤ 2, 0 0.75, 0? Z? 1, and 0? Y? 3.

상기 광흡수층은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이 1 내지 50%일 수 있다.The light absorption layer may have a transmittance of 1 to 50% with respect to visible light.

상기 광흡수층의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이 1% 미만인 경우 표시소자의 불투명성으로 응용이 제한될 수 있고, 상기 광흡수층의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이 50% 초과하는 경우 광전변환효율의 저하로 변색소자로의 전원공급이 어려울 수 있다. If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absorbing layer to the visible light is less than 1%, the application of the display device may be limited due to the opacity of the display device. If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absorbing layer to visible light exceeds 50% May be difficult to supply.

상기 정공 전달층은 상기 광흡수층의 일측에 접하여, 상기 광흡수층에서 생성된 정공을 제1 전극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정공 전달층은 NiO, SnO2, SnO, Cu2O, CuO, CuSCN, CuI 또는 P3HT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무기 박막 태양전지에서 정공 전달층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다.The hole transport layer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light absorption layer, and can transfer holes generated in the light absorption layer to the first electrode. The hole transport layer can be used without NiO, SnO 2, may be a SnO, Cu2O, CuO, CuSCN, at least one of CuI or P3HT, so long as those skilled in the art typically used as a hole transport layer on the inorganic thin film solar cell restricted .

상기 정공 전달층은 상기 광흡수층의 일측에 접하여, 상기 광흡수층에서 생성된 정공을 제1 전극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정공 전달층은 NiO, SnO2, SnO, Cu2O, CuO, CuSCN, CuI 또는 P3HT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무기 박막 태양전지에서 정공 전달층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다.The hole transport layer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light absorption layer, and can transfer holes generated in the light absorption layer to the first electrode. The hole transport layer is used without NiO, SnO 2, SnO, Cu 2 O, CuO, CuSCN, but can be at least one of CuI or P3HT, so long as those skilled in the art typically used as a hole transport layer on the inorganic thin film solar cell restricted It is possible.

상기 제2전극은 상기 변색소자부 및 태양전지부가 적층된 적층 구조 상에 배치되고, 200 내지 1000 nm 파장의 빛에 대하여 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의 변색소자부 및 태양전지부는 가시광선을 포함하는 주변 광원에 대해 변색하고, 이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제2전극은 200 내지 1000 nm 파장의 빛에 대하여 투과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may be disposed on a laminate structure in which the color-changing element unit and the solar cell unit are stacked, and may have transparency to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200 to 1000 nm. The color fading portion and the solar cell portion of the sticky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olored with respect to a peripheral light source including a visible light and the second electrode is light of a wavelength of 200 to 1000 nm It may be preferable that it has transparency with respect to the above.

상기 제2 전극은 도전성을 지닌 재료로써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전극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다. 상기 전극층의 비제한적인 예시로는 금속,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ZO(aluminum zinc oxide), IZTO(indium zinc tin oxide) 등의 투명전도성산화물(TCO), 도전성 폴리머, 그래핀 또는 그래파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금속은 Ag, Au, Ni, Ti, Cr 등일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is a conductive material and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usually use it as an electrode. Non-limiting examples of the electrode layer include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such as metal,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aluminum zinc oxide (AZO), and indium zinc tin oxide (IZTO) , Graphene or graphite, or the like can be used. For example, the metal may be Ag, Au, Ni, Ti, Cr, or the like.

상기 태양전지부에서 태양광의 흡수에 의해 형성된 전기에너지는 전기변색부로 공급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공급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전기변색부는 변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electric energy formed by the absorption of sunlight in the solar cell portion can be supplied to the electrochromic portion, whereby the electrochromic portion can be discolored by the supplied electric energy.

이때, 상기 태양전지부의 광전변환효율, 투과도 및 상기 전기변색부의 색상 및 투과도 조절을 통해 다양한 색 조합 및 기능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전지부의 광전변환효율을 향상시켜 다량의 전기에너지를 상기 전기변색부로 공급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신속하고 빠른 변색이 가능할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realize various color combinations and functions through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the transmittance of the solar cell unit, and the color and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uni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unit and supply a large amount of electric energy to the electrochromic unit, thereby enabling quick and quick color change.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는 상기 접착층 및 제1전극 사이에 배치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ticky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bstrate disposed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first electrode.

상기 기판은 투명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판은 유리기판, 플라스틱기판, 산화인듐주석(Indium Tin Oxide, ITO)기판, 또는 불소가 도핑된 산화주석(Fluorine containing tinoxide, FTO)기판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ubstrate may be a transparent substrate. For example, the first substrate may be a glass substrate, a plastic substrate, an indium tin oxide (ITO) substrate, or a fluorine containing tin oxide (FTO) substrate. no.

또한, 상기 태양전지부에서 발생한 전자 또는 정공이 상기 변색소자부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변색소자부의 색상 또는 명암이 변경되도록 하는 제3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hird electrode for changing the hue or lightness of the color changing element by moving electrons or holes generated in the solar cell to the coloring element.

상기 제3전극은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전기변색소자 및 무기 박막 태양전지 소자의 공통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전극의 일 측에는 변색소자부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3 전극의 다른 일 측에는 태양전지부가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electrod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may be used as a common electrod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nd the inorganic thin film solar cell device. In addition, the coloring element section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third electrode, and the solar cell section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ird electrode.

상기 제3 전극은 도전성을 지닌 재료로써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전극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다. 상기 전극층의 비제한적인 예시로는 금속,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ZO(aluminum zinc oxide), IZTO(indium zinc tin oxide) 등의 투명전도성산화물(TCO), 도전성 폴리머, 그래핀 또는 그래파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금속은 Ag, Au, Ni, Ti, Cr 등일 수 있다. The third electrode is a conductive material and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usually use it as an electrode. Non-limiting examples of the electrode layer include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such as metal,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aluminum zinc oxide (AZO), and indium zinc tin oxide (IZTO) , Graphene or graphite, or the like can be used. For example, the metal may be Ag, Au, Ni, Ti, Cr, or the like.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제1전극, 변색소자부, 태양전지부, 제2전극 및 기준색상층이 적층된 적층 구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The protective layer may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the color fading element, the solar cell,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reference color layer are laminated.

상기 보호층은 무기 조성물 또는 유기 조성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전극, 변색소자부, 태양전지부, 제2전극 및 기준색상층을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대해 보호할 수 있고, 내온 및 내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제1전극, 변색소자부, 태양전지부, 제2전극 및 기준색상층이 적층된 적층 구조의 적어도 일부를 보호함으로써, 본 발명의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organic composition or an organic composition and may protect the first electrode, the color fading portion, the solar cell,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reference color layer against external physical impac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internal temperature and humidity function. The protective layer protects at least a part of the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the color-changing element part, the solar battery part,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reference color layer are laminated so that the adhesive smart display ele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rability can be improved.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2 illustrates a sticky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3 illustrates a sticky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4 illustrates a sticky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5 illustrates a sticky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준색상층은 상기 접착층, 제1전극, 변색소자부, 태양전지부 및 제2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2 to 5, the reference color layer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adhesive layer, the first electrode, the color fading portion, the solar battery, and the second electrod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6 illustrates a sticky smart display device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는 상기 기준색상층에 의해서 일면 상에서 구별되는 적어도 2 이상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2 이상의 영역은 선형, 원형, 사각형, 문자 또는 부정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고,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준색상층은 문자, 도형, 그림 또는 복잡한 형상 등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색상층은 일면 상에서 구별되는 적어도 2 이상의 영역은 입사되는 광의 조도, 태양전지부에서 생성된 전기량 등 특정 조건에서만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색상층은 색의 변색 후 태양전지부의 전원 공급 없이도 변색 후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 sticky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two regions distinguished on one side by the reference color layer, and the two or more regions may be linear, circular, rectangular, At least one of the shapes may be formed, and the shape may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reference color layer can express various shapes without limitation such as characters, figures, figures, or complex shapes. In addition, the reference color layer may be distinguished only on specific conditions such as the illuminance of incident light and the amount of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solar battery section, which are distinguished on one surface. In addition, the reference color layer can maintain the state after discoloration without power supply to the solar cell portion after discoloration of the color.

상기 기준색상층은 일면 상에서 구별되는 적어도 2 이상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2 이상의 영역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에 대한 투과율, 반사율 및 굴절율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의 색상, 채도 및 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외부의 환경(특히 광원에 관련된 환경)에 의해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가 표시하는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The reference color layer includes at least two regions that are distinguished on one surface, and the at least one of the two or more regions may have different transmittance, reflectance, and refractive index for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This makes it possible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hue, saturation and brightness of the sticky smart display device, and change the image displayed by the sticky smart display device by the external environment (especially the environment related to the light source).

상기 기준색상층은 투명 또는 반투명성 고분자 필름에 유기 또는 무기 염료가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유기 또는 무기 염료를 필요에 따라 변경함으로써 기준색상층의 전부 또는 일부의 투과율, 반사율 및 굴절율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색상층은 적어도 일부에 세라믹 또는 금속박막을 포함함으로써 투과율 또는 반사율을 제어할 수 있다. The reference color layer may be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polymer film containing an organic or inorganic dye. By changing the organic or inorganic dye as necessary, at least one of transmittance, reflectance and refractive index of all or a part of the reference color layer can be controlled. In addition, the reference color layer may include a ceramic or a metal thin film at least in part to control transmittance or reflectance.

또는, 상기 기준색상층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의 색상, 채도 및 명도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기준색상층 중 일부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기준색상층의 일부의 투과율, 반사율 및 굴절율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를 수 있다.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hue, saturation and brightness of the sticky smart display element by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the reference hue layer, and by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a part of the reference hue layer, the transmittance, reflectance and refractive index At least one may be different.

상기 기준색상층은 유기물 및 무기물 등 다양한 재료를 단일 또는 복수로 혼합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광원의 투과율, 반사율 또는 굴절율을 제어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The reference color layer may be a mixture of a plurality of materials such as an organic material and an inorganic material, and may be a commonly used material for controlling the transmittance, the reflectance, or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sourc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 기준색상층의 일면 상에서 구별되는 적어도 2 이상의 영역은 투과율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특정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의 환경에 따라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의 전체 색상을 상이하게 보이게 할 수 있으며,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에 특정한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At least two or more regions distinguished on one surface of the reference color layer may selectively transmit or block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by making the transmittance different. Accordingly, the overall color of the sticky smart display device can be made different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a specific image can be displayed on the sticky smart display device.

상기 기준색상층의 일면 상에서 구별되는 적어도 2 이상의 영역은 굴절율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각 영역에서 표시하는 이미지의 원근이 다르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준색상층 전체의 굴절율을 제어함으로써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의 전체의 원근감을 다른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와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At least two or more regions distinguished on one surface of the reference color layer may have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so that the perspective of the image displayed in each region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Further, by controlling the refractive index of the entire reference color layer, the entire perspective of the sticky smart display device can be controlled differently from other sticky smart display devices.

상기 기준색상층의 일면 상에서 구별되는 적어도 2 이상의 영역은 반사율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준색상층 전체의 반사율을 제어함으로써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의 전체의 시각적 느낌이 다른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와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At least two or more regions distinguished on one side of the reference color layer may provide various visual effects by differentiating the reflectance. Further, by controlling the reflectance of the entire reference color layer, the overall visual feeling of the sticky smart display element can be controlled differently from that of other sticky smart display elements.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는 상기 기준색상층에 의해서 일면 상에서 구별되는 적어도 2 이상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2 이상의 영역은 선형, 원형, 사각형, 문자 또는 부정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고,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준색상층은 문자, 도형, 그림 또는 복잡한 형상 등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색상층은 일면 상에서 구별되는 적어도 2 이상의 영역은 입사되는 광의 조도, 태양전지부에서 생성된 전기량 등 특정 조건에서만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색상층은 색의 변색 후 태양전지부의 전원 공급 없이도 변색 후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The sticky smart display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two areas separated on one side by the reference color layer, and the at least two areas may have at least one shape of linear, circular, square, And may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reference color layer can express various shapes without limitation such as characters, figures, figures, or complex shapes. In addition, the reference color layer may be distinguished only on specific conditions such as the illuminance of incident light and the amount of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solar battery section, which are distinguished on one surface. In addition, the reference color layer can maintain the state after discoloration without power supply to the solar cell portion after discoloration of the color.

도 7은 외부의 환경에 따라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에서 표현하는 이미지가 변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일몰 후, 도 7(b)는 흐린 날씨의 경우, 도 7(c)는 맑은 날씨의 경우 각각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에서 표시되는 이미지를 일 예로서 표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는 외부의 환경, 특히 광원의 세기 등의 조건에 따라 표시하는 이미지를 변경하기 때문에 시각, 날씨 등에 따라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7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image represented by the sticking smart display device changes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FIG. 7 (a) shows an image displayed by the sticky smart display device after sunset, FIG. 7 (b) shows cloudy weather, and FIG. 7 (c) shows clear images. Referring to FIG. 7, since the sticky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an image displayed according to conditions of an external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intensity of a light source, it can provide various visual effects according to time, .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는 상기 변색소자부 상에 상기 태양전지부가 배치될 수 있고 또는 상기 태양전지부 상에 상기 변색소자부 배치될 수 있다. The sticky smart display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solar cell section is disposed on the color fading element section or the color fading element section is disposed on the solar battery sec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변색소자부 및 태양전지부는 상호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변색소자부 상에 태양전지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태양전지가 외부의 광원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어 태양전지의 발전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changing element portion and the solar cell portion may be arranged stacked one on the other. In one example, the solar cell section may be disposed on the color-changing element section. As a result, the solar cell can easily accommodate the external light source, thereby increasing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다른 예로, 상기 태양전지부 상에 변색소자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변색소자부에서 표시하는 색상, 명도 또는 채도가 태양전지부의 간섭없이 외부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discoloring element portion may be disposed on the solar cell por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display the color, lightness or saturation displayed on the discoloring element section without the interference of the solar cell section.

또한, 상기 태양전지부 및 변색소자부는 고유의 색상, 명도 또는 채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태양전지부 및 변색소자부를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의 색상, 명도 또는 채도를 제어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solar cell portion and the color-changing element portion have inherent color, lightness or saturation, the color, brightness or saturation of the sticking smart display element can be controlled by suitably arranging the solar cell portion and the color-changing element por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의 작동을 예시한 것이다. Figure 8 illustrates operation of a sticky smart display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는 태양전지부의 광흡수층의 투과도 및 변색소자의 변색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는 변색/비변색의 개조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8, the sticky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absorbing layer of the solar cell unit and the discoloration degree of the discoloration device, and through this, the sticky smart display device Can adjust the range of color change / non-color chang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의 작동을 예시한 것이다. Figure 9 illustrates operation of a sticky smart display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는 태양전지부의 광흡수층의 투과도 및 변색소자의 변색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는 변색/비변색의 개조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9, the sticky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absorbing layer of the solar cell unit and the discoloration degree of the discoloration device, and through this, the sticky smart display device Can adjust the range of color change / non-color change.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의 작동을 예시한 것이다. Figure 10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a sticky smart display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는 태양전지부의 광흡수층의 투과도 및 변색소자의 변색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는 변색/비변색의 개조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10, the sticky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absorbing layer of the solar cell unit and 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the discoloration device, and through this, the sticky smart display device Can adjust the range of color change / non-color change.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는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이 서로 태양전지부, 변색소자부 등이 서로 다른 조건을 갖도록 형성하여 이를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를 단위 화소로 제작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 구현에 활용할 수 있으므로 주변 광량에 따라 다양한 기호 및 이미지 표시가 가능한 무전원 스마트 표시소자의 제작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sticky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the solar battery part, the color fading part, and the like have mutually different conditions to manufacture the sticky smart display device as a unit pixel,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non-power smart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symbols and imag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ambient light.

도 11은 복수의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한 것이다. 11 shows an image using a plurality of sticky smart display elements.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는 변색소자 및 태양전지를 일체형으로 제조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다양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고, 접착제를 통해 설치영역에 용이하게 설치함으로써, 다수의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를 이용하여 다양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The sticky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various images without separate power supply by integrally manufacturing the color discoloration device and the solar cell and easily installed in an installation area through an adhesive, A variety of images can be provided using display devices.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s intended to be limit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omething to do.

Claims (11)

접착층;
상기 접착층 상에 배치된 제1전극;
상기 제1전극 상에 배치되고 상호 적층되어 배치된 변색소자부 및 태양전지부;
상기 변색소자부 및 태양전지부가 적층된 적층 구조 상에 배치되고, 200 내지 1000 nm 파장의 빛에 대하여 투과성을 갖는 상기 제2전극; 및
상기 접착층, 제1전극, 변색소자부, 태양전지부 및 제2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빛이 반사 또는 투과함으로써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색상을 변경하는 기준색상층; 을 포함하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
Adhesive layer;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the adhesive layer;
A color change element unit and a solar battery unit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disposed one above the other;
The second electrode being disposed on a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the color-changing element unit and the solar cell unit are stacked, the second electrode being transparent to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200 to 1000 nm; And
A reference color layer which is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adhesive layer, the first electrode, the discoloring element, the solar cell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changes the color of light emitted to the outside by reflection or transmission of light introduced from the outside, ; And the adhesive smart display el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색상층은 일면 상에서 구별되는 적어도 2 이상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2 이상의 영역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에 대한 투과율, 반사율 및 굴절율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erence color layer includes at least two areas separated on one surface, and the at least one of the two or more areas is different in at least one of transmittance, reflectance, and refractive index for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소자부 상에 태양전지부가 배치된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olar cell section is disposed on the color-changing element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부 상에 변색소자부 배치된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loring element portion is disposed on the solar cell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부는 광흡수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흡수층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

<화학식 1>
(AmSb1-m)x(On(SzSe1-z)1-n)y
A = Bi, Cu, Ag, Zn 또는 Sn, 0≤m≤ 0.5, 0≤x≤ 2, 0≤n≤ 0.75, 0≤z≤ 1 및 0≤y≤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lar cell part comprises a light absorbing layer, and the light absorbing layer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Lt; Formula 1 >
(A m Sb 1-m ) x (O n (S z Se 1-z ) 1 -n ) y
A = Bi, Cu, Ag, Zn or Sn, 0? M? 0.5, 0? X? 2, 0? N? 0.75, 0? Z? 1 and 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소자부는 전기변색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층은 환원형 전기변색층 또는 산화형 전기변색층 중 적어도 하나인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lor-changing element section includes an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is at least one of a reduced-type electrochromic layer and an oxidized-type electrochromic lay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형 전기변색층은 WO3, MoO3, Nb2O5 또는 TiO2 중 적어도 하나인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reduced electrochromic layer is at least one of WO 3 , MoO 3 , Nb 2 O 5 , and TiO 2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형 전기변색층은 NiO2, CoO2, FeO2, MnO2 또는 Cr2O5 중 적어도 하나인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oxidation type electrochromic layer is at least one of NiO 2 , CoO 2 , FeO 2 , MnO 2, and Cr 2 O 5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 및 제1전극 사이에 배치된 기판을 더 포함하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ubstrate disposed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first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부에서 발생한 전자 또는 정공이 상기 변색소자부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변색소자부의 색상 또는 명암이 변경되도록 하는 제3전극을 더 포함하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hird electrode for changing the color or lightness of the color-changing element part by moving electrons or holes generated in the solar battery part to the color-changing element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변색소자부, 태양전지부, 제2전극 및 기준색상층이 적층된 적층 구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layer surrounding at least a part of the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the color fading portion, the solar battery portion,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reference color layer are laminated.
KR1020170151960A 2017-11-15 2017-11-15 Attachable smart display device KR1019945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960A KR101994540B1 (en) 2017-11-15 2017-11-15 Attachable smart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960A KR101994540B1 (en) 2017-11-15 2017-11-15 Attachable smart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350A true KR20190055350A (en) 2019-05-23
KR101994540B1 KR101994540B1 (en) 2019-06-28

Family

ID=66681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960A KR101994540B1 (en) 2017-11-15 2017-11-15 Attachable smart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54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4372A (en) 1995-02-13 2000-08-15 Lindquist; Sten-Eric Arrangement for solar cell driven display
KR200273049Y1 (en) 2002-01-15 2002-04-20 김상수 Hologram cellophane tape
KR20140003783A (en) * 2012-06-28 2014-0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elf-powered electrochromic devices using silicon solar cell
KR20140089416A (en) * 2011-11-07 2014-07-14 아크레오 스웨디쉬 아이씨티 에이비 Vertical electrochromic display
KR101656490B1 (en) * 2015-03-23 2016-09-0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Adhesive Smart Window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4372A (en) 1995-02-13 2000-08-15 Lindquist; Sten-Eric Arrangement for solar cell driven display
KR200273049Y1 (en) 2002-01-15 2002-04-20 김상수 Hologram cellophane tape
KR20140089416A (en) * 2011-11-07 2014-07-14 아크레오 스웨디쉬 아이씨티 에이비 Vertical electrochromic display
KR20140003783A (en) * 2012-06-28 2014-0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elf-powered electrochromic devices using silicon solar cell
KR101656490B1 (en) * 2015-03-23 2016-09-0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Adhesive Smart Window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540B1 (en)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34145B (en) A kind of lamination electrochomeric glass and its application
Granqvist et al. Electrochromic coatings and devices: survey of some recent advances
Granqvist Electrochromic devices
CN202563220U (en) Electrochromic device
KR101853790B1 (en) Electrochromic device
CN100460974C (en) Pressure electrochromism assembl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onnadieu Electrochromic materials
US7158276B1 (en) Pressure sensitive electrochromic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1927865B2 (en) Electrochromic device with side-by-side structure and application thereof
Hu et al. High contrast all-solid-state electrochromic device with 2, 2, 6, 6-tetramethyl-1-piperidinyloxy (TEMPO), heptyl viologen, and succinonitrile
KR102001611B1 (en) Electrochromic Device
CN104614914A (en) Electrochromic glass with solar cell
WO2022262463A1 (en) Electrochromic apparatus based on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s, and prepar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204667022U (en) A kind of lamination electrochomeric glass
KR20150076778A (en) A electrochromic device and methods of driving the same
KR101773817B1 (en) A display device which can be transformed as a mirror
TWI432866B (en) Electrochromic device and storag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6414886A (en) Active building window
KR101994540B1 (en) Attachable smart display device
Kobayashi Electrochromic Display
CN110235056A (en) Transparent photovoltaic coating for electrochromic device
KR101448673B1 (en) Electrochromic film and method for the same
CN112180647B (en) Device comprising a multicoloured film structure
EP3929657A1 (en) Electrochromic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20173065A1 (en) Optical film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