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777A -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 조절기 - Google Patents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777A
KR20190052777A KR1020170148477A KR20170148477A KR20190052777A KR 20190052777 A KR20190052777 A KR 20190052777A KR 1020170148477 A KR1020170148477 A KR 1020170148477A KR 20170148477 A KR20170148477 A KR 20170148477A KR 20190052777 A KR20190052777 A KR 20190052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ain body
low frequency
facial
adjust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우영
Original Assignee
장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우영 filed Critical 장우영
Priority to KR1020170148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2777A/ko
Publication of KR20190052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치아로 무는 부분으로써 미소 교정시 기준이 되는 정렬 기준부를 포함하며,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의 몸통이 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윗입술 받침대 및 아랫입술 받침대; 상기 본체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좌 입꼬리 교정부 및 우 입꼬리 교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 입꼬리 교정부 및 우 입꼬리 교정부의 각각의 선단에는 착탈식 전기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는 전기패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포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 조절기{Facial paralysis low frequency muscle instrument}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정의>
일반적으로 안면 마비란, 어떤 원인에 의해서 얼굴의 근육을 움직이는 안면신경의 기능에 문제가 생겨 얼굴의 마비가 생기는 것을 말한다. 얼굴 마비가 생기면 한쪽 얼굴 근육의 움직임의 정도가 감소하여 얼굴을 움직일 때 양쪽이 서로 비대칭 모양이 된다. 위치에 따라 중추신경마비는 뇌의 외상, 출혈, 감염증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여 양측성의 구순, 비근, 안근 마비증상을 보이며 말초신경마비는 저작 곤란 등의 증상이 편측으로 보일 수 있다.
<원인>
안면 마비 환자의 경우 특별한 원인을 찾을 수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가 있다. 갑자기 얼굴 마비가 생긴 환자의 경우 진찰과 검사를 받아도 특별한 원인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경우를 특발성 얼굴 마비 또는 벨 마비라고 한다. 벨 마비는 영국 의사인 찰스 벨의 이름을 따라 붙여진 진단명이며 얼굴 마비의 원인 중 가장 흔하기 때문에 널리 쓰이는 의학용어이다.
얼굴 마비의 원인을 찾을 수 있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이런 경우는 마비의 원인에 맞는 치료를 하게 된다. 램지 헌트 증후군이라는 병은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얼굴의 대상포진과 함께 얼굴 마비가 발생하는 것이다. 교통 사고나 추락에 의한 머리의 충격으로 인해 머리뼈의 골절과 더불어 얼굴 마비가 생기기도 한다. 뇌졸중이나 뇌종양 같은 뇌신경 질환으로 인해 얼굴 마비가 나타나기도 한다.
드물게 급성 중이염이나 만성 중이염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얼굴 마비가 발생하기도 한다.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논란이 있고 임상에서 보면 대개 몸이 피로하거나 스트레스 및 신경을 쓴 후 또는 찬바람을 쏘인 후 발생되어 내원하는 환자들이 많다. 그리고 동맥의 부종 등으로 인한 신경의 압박, 안면이 추위로 인한 면역학적 염증, 정신적 충격이나 감정적 불안 등이 원인이 될 수 있고, 흔히 고혈압 환자에게서 약 4~5배 정도 많이 발생한다고 한다.
<증상>
안면 마비는 원인에 따라 갑자기 생기기도 하며 서서히 생기기도 한다. 가장 흔한 벨 마비의 경우는 몇 시간이나 몇 일에 걸쳐 갑자기 발생한다. 한쪽 눈이 잘 감기지 않고 이마에 한쪽 주름이 적어지며 한쪽 입꼬리를 올리기 힘들게 된다. 얼굴 마비가 발생한 쪽 얼굴이 덜 움직거나 안 움직이기 때문에 얼굴을 움직이면 얼굴이 일그러지거나 한쪽으로 돌아간 것처럼 보인다.
눈이 잘 감기지 않으므로 눈물이 흐르거나 눈이 뻑뻑해진다. 물을 마실 때 입술이 덜 움직이는 쪽으로 물이 샐 수 있다. 한쪽 혀의 맛이 예전과 다르게 둔해지기도 한다. 마비가 생긴 쪽의 감각은 그대로지만 얼굴이 부어 있는 듯한 느낌이 있을 수 있다. 증상은 수시간 내 또는 수일 내에 나타나는 특징이 있고 완전마비 또는 부분마비로 나타난다. 코를 찡끗하지 못하고 입은 옆으로 벌리지 못하게 되어 음식을 먹을 때 음식물을 흘리게 되며, 휘파람을 불지 못하고, 말을 해도 발음이 새어 정확한 발음을 하지 못하게 된다.
<진단>
얼굴 마비를 일으킨 심각한 원인이 있는지를 우선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얼굴 마비가 생긴 환자는 귀와 신경 기능에 대한 자세한 진찰을 받고 이상이 있는지를 확인받아야 한다. 원인을 찾기 위해서 환자에 따라 필요한 경우 CT나 MRI와 같은 검사를 받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쳤는데도 얼굴 마비의 다른 특별한 원인이 발견되지 않는다면 벨 마비로 진단을 할 수 있다.
라임병을 의심할 만한 노출 병력이 있으면 혈청검사 시행하고, 외래에서 신경전도검사를 시행한다. 얼굴의 움직임에 대한 자세한 진찰이 진단에 중요하며 마비의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신경전도 검사나 근전도 검사를 받기도 한다.
<치료>
얼굴 마비의 원인이 무엇인지에 따라 치료가 달라진다. 뇌신경 질환에 의해 얼굴 마비가 발생한 경우 원인에 맞는 추가적인 검사와 치료가 필요하고 머리의 충격에 의해 발생한 경우 수술을 받아야 하는 경우도 있다. 중이염의 합병증으로 발생하였다면 중이염에 대한 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
특별한 원인이 없는 가장 흔한 벨 마비의 경우 약물 투여와 함께 전기 자극 등의 물리 치료를 받으면서 몇 개월간 경과를 지켜본다. 드물기는 하지만 얼굴이 완전히 마비된 경우에는 조기에 수술을 받기도 한다. 벨 마비의 경우 열 명 중에 여덟 명 이상의 환자가 약물 투여 및 전기 자극 등의 물리 치료와 경과 관찰 중에 얼굴의 움직임이 완전히 정상으로 돌아오게 된다. 그러나 보통 몇 개월씩 걸려 서서히 회복되고 일부 환자는 얼굴 마비가 어느 정도 남는 경우도 있다. 경과 관찰 중에 눈물 부족 때문에 눈의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약 사용 교육을 받는다.
대상포진으로 인해 발생하는 램지 헌트 증후군의 경우는 추가적으로 항바이러스 약물과 진통제를 투여받는다. 초기 집중치료를 잘 받으시면 심해지는 양상을 억제할 수 있다. 우선 일반적인 치료는 눈에 안대를 착용하여 눈을 보호하고, 물리요법으로 마비 부분에 대하여 치료를 한다. 약물 요법은 스테로이드제제를 사용하여 안면신경손상 부위의 염증으로 나타나는 것인데, 가능하면 발병 후 즉시 또는 늦어도 4일 안에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이로 인하여 안면신경으로의 혈액공급을 원활하게 해 준다. 이를 보존 요법이라고 한다.
수술 요법으로는 외과적으로 발병 후 2~4일 내에 안면 신경 감압술을 시행한. 수술 후유증으로 안면 신경이 단순히 절단된 경우에는 안면 근육의 쇠약이 심하지만 대개 결과가 좋아진다. 예후가 좋은 안면마비는 2개월 내에 완치가 가능하지만, 예후가 불량한 안면마비는 수개월에서 수년 이상까지 후유증을 남길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06186호
본 발명은 입꼬리근의 근조절과 볼근 및 신경학적 습관의 재교정을 위한 것이며 스트레스성 및 신경전도 불리성의 안면근육의 경직 및 마비를 풀어주는 역할을 하는 장치로 안면 신경마비환자와 아름다운 미소를 원하는 여성들에게 효과적인 얼굴미용에 도움을 주는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로 무는 부분으로써 미소 교정시 기준이 되는 정렬 기준부를 포함하며,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의 몸통이 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윗입술 받침대 및 아랫입술 받침대; 상기 본체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좌 입꼬리 교정부 및 우 입꼬리 교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 입꼬리 교정부 및 우 입꼬리 교정부의 각각의 선단에는 착탈식 전기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는 전기패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포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윗입술 받침대는 윗입술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윗입술 받침대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조절하는 전후 방향 이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 입꼬리 교정부 및 우 입꼬리 교정부는 본체와 연결되는 길이조절나사와, 일측은 상기 길이조절나사와 연결되고 타측은 구각을 지지하는 "U"자형 구각 지지부가 형성된 입꼬리 받침 날개와; 상기 "U"자형 구각 지지부의 각각의 선단에 장착된 착탈식 전기패드; 및 상기 길이조절나사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조정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나사의 회전으로 길이조절나사가 본체의 내외부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입꼬리 받침 날개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기패드는 반원형, 타원형, 원형, 다각형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전기패드의 전기자극점은 복수개 구비되며 형상에 따라 달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는 입력 신호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전기패드의 전기세기, 전기 자극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본체의 양측에 연결되고 대상물에 착용 가능하게 하는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입꼬리 교정부에 장착된 전기패드의 타입에 대응되는 제어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 및 본체의 양측에 연결되고 대상물에 착용 가능하게 하는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로 단순 반복습관에 관한 근이완의 습관적 조절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로 근육의 자극점에 자극을주고 받쳐주는 역할로 외부 마사지시의 근육의 이완효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부분 마비환자의 경우 운동시에 자극효과로 인한 치료의 극대화 현상유도하는 부분적 작용 반작용의 원리에 의한 치료용으로도 이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의 다른 각도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8은 도 1의 육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주요부 동작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드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요부 구성도.
본 발명은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기존의 치료도구와 다른점은 구강의 근육을 밀어주면서 교정하는 상태에서의 전기치료와 울트라사운드(US) 치료를 같이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런부분에서 여러 가지를 따로따로 치료해야되는 문제점과 더불어 치료시에 돌아간 안면의 근육을 보정해주는 부분이나 치료의 분활성으로 인한 치료비용의 확산성의 부분을 줄이고자 개발하게 되었으며, 이와 같이 얼굴의 모습은 사람의 인상을 좌우하기도하고 인생을 좌우하기도 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저주파 치료기기는 아름다운 미소를 만들수있게 교정해주기도 하며 기초적인 피부에 혈액순환과 더불어 근육의 활성화 효과를 주는 것은 저주파 치료기기의 관련 논문과 특허(기존 제품들) 들에 의해 증명된 사실이다.
기존의 치료기기와 헬스케어의 제품과 다른점은 구강 내부에서의 저주파 치료와 더불어 외부의 변칙적 전기치료가 동시에 변칙적 변환식으로 이루어 진다는 점이다. 이점이 세계최초의 치료기법인 부분이다. 더불어 구강의 당김과 틀어짐을 부분 조율하면서 치료를 할수있으며 기존의 치료도구와 차별화를 둔다는 점이다.
상태에 따른 패드의 모형별로 구강안을 잡아줄 수 있고 받쳐줄 수 있으며 치료적 효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안면 근육의 이완과 자극을 주는 부분은 삼차신경 설인신경 설하신경 부차신경 등의 문제로 인해 안면근육의 혈액순환과 신경전도의 문제를 일으키는데 그부분의 문제를 뇌신경의 대처 신경전도현상을 유도해 치료하는 기법의 일환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의 좌,우 입꼬리 교정부를 통해 입꼬리를 인위적으로 늘려 고정시키고, 동시에 좌,우 입꼬리 교정부에 장착된 패드 부분 자체에서 특정 패턴으로 저주파의 전기적 자극, 또는 초음파(US, 울트라사운드) 자극을 발생시킴으로 인해 혈액순환 효과 및 신경손상된 부분의 대처 뉴런 신경 세포형성 효과, 그리고 잘못된 습관형의 볼근과 깨물근 입꼬리 당김근육, 입꼬리 내림근 TM조인트의 안정화 효과와 더불어 운동성 맛사지 효과를 가져오도록 하여 근육 이완과 과긴장의 부분의 조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는 치아로 무는 부분으로써 미소 교정시 기준이 되는 정렬 기준부(11)를 포함하며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의 몸통이 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윗입술 받침대(20) 및 아랫입술 받침대(30)와, 상기 본체(10)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좌 입꼬리 교정부(40) 및 우 입꼬리 교정부(50)와, 상기 좌 입꼬리 교정부(40) 및 우 입꼬리 교정부(50)의 각각의 선단에는 착탈식 전기패드(41,42,51,52)와, 상기 윗입술 받침대에 구비된 것으로써 윗입술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 및 윗입술 받침대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조절하는 전후 방향 이동수단과, 입력 신호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전기패드의 전기세기 및/또는 전기자극주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본체(10)의 양측에 연결되고 대상물에 착용 가능하게 하는 밴드(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정렬 기준부(11)는 사용자의 입안으로 들어가 치아로 무는 부분이며 본체(10)의 후방에 형성된 것으로, 곡선으로 형성된 본체 후방의 중앙부위와 본체(1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본체 후방의 양측부위, 그리고 치아로 물어서 착용할 수 있도록 본체 후방의 상,하부위로 구분된다. 정렬 기준부(11)는 본체 후방의 중앙부위가 곡선으로 형성되고, 본체 후방의 양측부위가 그 양측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혀로 중앙부위 및 양측부위를 인지하여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를 바른자세로 착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정렬 기준부(11)는 실리콘 패드나 본체(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교체형으로 할 수 있다. 즉, 치아로 물 때 상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재활용 실리콘이나 소독가능한 기타 인체 무해한 탈부착 교체형 재질일 수 있다.
본체(10)는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의 몸통이 되는 구성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형상의 정렬 기준부(11)를 기본적으로 형성하거나 구비하고, 그 외의 부위는 자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8과 같은 형상으로 하였다.
윗입술 받침대(20) 및 아랫입술 받침대(30)는 본체(10)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구성으로, 아랫입술 받침대(30)의 경우는 고정된 형태로 구비되고, 윗입술 받침대(20)의 경우는 사람의 얼굴 모양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높이조절 및 전,후 이동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윗입술 받침대(20)에는 윗입술 받침대(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윗입술 받침대(20)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조절하는 전후 방향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윗입술 받침대(20)는 본체(10)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수직 나사(25)가 구비된 윗입술 받침 기초부(21)와, 윗입술 받침 기초부(21)의 수직 나사(25)와 연결되어 연동되는 수평 나사(24)를 포함하는 높이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조절부의 수평 나사(24)의 일측에 고정된 손잡이(23)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수평 나사(24)가 회전되고, 수평 나사(24)의 회전과 연동되는 수직 나사(25)의 회전으로 윗입술 받침 기초부(21)가 승강된다.
또한,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 방향 이동수단은 윗입술 받침 기초부(21)의 하부에 형성된 후크(22) 및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함몰 부위(12)의 걸림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후크식 형태로 이동 및 이동제한에 대한 메카니즘은 공지의 기술이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다만, 윗입술 받침대(20)가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 상황일 때에도 높이조절부의 동작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전후 방향 이동수단이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만을 제안하는 것이고, 상,하 이동까지 제한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즉, 윗입술 받침대(20)의 윗입술 받침 기초부(21)는 윗꼬리 입술 받침대로 앞뒤 위아래 조절이 가능하며, 미소짖는 얼굴 혹은 근이완이 심한 경우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윗입술 받침대(20)의 상부 일측은 윗입술 받침턱(26)이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시킬 수 있고, 윗입술 받침턱(26), 높이조절부, 전후 방향 이동수단에 의해 윗입술을 가압하여 윗입술의 앞부분까지도 교정이 가능하다.
본체(10)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좌 입꼬리 교정부(40) 및 우 입꼬리 교정부(50)는 본체(10)와 연결되는 길이조절나사(44,54)와, 일측은 상기 길이조절나사(44,54)와 연결되고 타측은 구각(입꼬리, 입의 양쪽 구석)을 지지하는 "U"자형 구각 지지부가 형성된 입꼬리 받침 날개(43,53)와, 상기 "U"자형 구각 지지부의 각각의 선단에 장착된 착탈식 전기패드(41,42,51,52)와, 상기 길이조절나사(44,54)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조정나사(45,55)를 포함한다.
상기 조정나사(45,55)의 회전으로 길이조절나사(44,54)가 본체(10)의 내외부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입꼬리 받침 날개(43,53)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진다.
전기패드(41,42,51,52)는 다양한 형상, 즉 반원형, 타원형, 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에 장착되는 전기패드(41,42,51,52)는 이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도 11과 같이 전기패드의 전기자극점(P)은 복수개 구비되며 전기패드의 형상에 따라 달리 배치된다. 전기패드(41,42,51,52)의 동작을 위해서는 전원이 요구되기 때문에 본체(10)에는 전기패드(41,42,51,52)에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포트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포트와 전기패드(41,42,51,52) 간 사이에 있는 구성(입꼬리 받침 날개(43,53), "U"자형 구각 지지부 등)들에는 리드선이 내장될 수 있다.
한편, 전기패드(41,42,51,52)는 울트라 사운드(US) 치료를 위한 초음파패드일 수 있다. 이때 도 11의 P는 초음파 프로브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초음파 프로브는 순차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것으로, 입력 신호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전기패드의 전기세기 및/또는 전기자극주기를 제어한다. 또는 초음파패드의 초음파세기 및/또는 초음파자극주기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본체(10)에는 버튼 타입의 입력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입꼬리 교정부에 장착된 전기패드의 타입에 대응되는 제어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서로 다른 형상 및 서로 다른 전기자극점 배치타입의 전기패드에 대응하는 처리 프로세스가 구비되며, 장착된 전기패드의 타입에 대응되는 처리 프로세스만 활성화하여 동작시킨다. 이 같은 경우는 사용자가 별도로 입력을 수행할 필요 없이 단순히 패드만 장착하고 전원만 공급하면 제어부가 장착된 전기패드의 타입에 대응되는 처리 프로세스만 활성화하여 동작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특정 전기패드가 장착되면 전기패드의 타입을 인식하고, 전기패드의 타입에 대응하는 제어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제어모드에 따라 메모리에 기 저장된 전기패드 타입에 대응하는 구동정보(처리프로세서)를 활성화하여 전기패드를 동작하게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동작관계는 초음파패드에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에 전기패드와 초음파패드를 장착하여 이들을 활용하여 치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패드는 입 안에 위치되도록 설치하고, 초음파패드는 입 밖에 위치되도록 설치하여 전기패드만 구동하거나, 초음파패드만 구동하거나, 둘다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또는 좌측의 전기패드만 구동하거나, 우측의 초음파패드만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밴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체(10)의 양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게 한다. 기본적으로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는 치아로 물어서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게 한 것이나, 치악력이 약하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제대로 착용할 수 없는 경우에 착용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용자의 목에 별도의 전기치료용 전기패드를 부착 시켜 미소 교정과 병행하는 경우 전기패드를 밀착시켜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본체
11: 정렬 기준부
20: 윗입술 받침대
30: 아랫입술 받침대
40: 좌 입꼬리 교정부
50: 우 입꼬리 교정부
41,42,51,52: 전기패드

Claims (7)

  1. 치아로 무는 부분으로써 미소 교정시 기준이 되는 정렬 기준부를 포함하며,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의 몸통이 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윗입술 받침대 및 아랫입술 받침대;
    상기 본체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좌 입꼬리 교정부 및 우 입꼬리 교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 입꼬리 교정부 및 우 입꼬리 교정부의 각각의 선단에는 착탈식 전기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는 전기패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포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윗입술 받침대는
    윗입술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윗입술 받침대는
    윗입술 받침대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조절하는 전후 방향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 입꼬리 교정부 및 우 입꼬리 교정부는
    본체와 연결되는 길이조절나사와, 일측은 상기 길이조절나사와 연결되고 타측은 구각을 지지하는 "U"자형 구각 지지부가 형성된 입꼬리 받침 날개와;
    상기 "U"자형 구각 지지부의 각각의 선단에 장착된 착탈식 전기패드; 및
    상기 길이조절나사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조정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나사의 회전으로 길이조절나사가 본체의 내외부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입꼬리 받침 날개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읕 특징으로 하는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패드는 반원형, 타원형, 원형, 다각형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전기패드의 전기자극점은 복수개 구비되며 형상에 따라 달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
  6. 제5항에 있어서,
    입력 신호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전기패드의 전기세기, 전기 자극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본체의 양측에 연결되고 대상물에 착용 가능하게 하는 밴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꼬리 교정부에 장착된 전기패드의 타입에 대응되는 제어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 및
    본체의 양측에 연결되고 대상물에 착용 가능하게 하는 밴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조절기.
KR1020170148477A 2017-11-09 2017-11-09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 조절기 KR20190052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477A KR20190052777A (ko) 2017-11-09 2017-11-09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 조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477A KR20190052777A (ko) 2017-11-09 2017-11-09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 조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777A true KR20190052777A (ko) 2019-05-17

Family

ID=66678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477A KR20190052777A (ko) 2017-11-09 2017-11-09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 조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27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583B1 (ko) * 2020-02-20 2021-08-1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글로브 및 부츠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행동장애 및 인지장애에 대한 재활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186B1 (ko) 2011-05-20 2012-11-28 하영빈 미소 교정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186B1 (ko) 2011-05-20 2012-11-28 하영빈 미소 교정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583B1 (ko) * 2020-02-20 2021-08-1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글로브 및 부츠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행동장애 및 인지장애에 대한 재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0940B2 (ja) 口腔内装置およびこれ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キット
Svensson et al. Associations between pain and neuromuscular activity in the human jaw and neck muscles
GoozÉe et al. Lingual kinematic strategies used to increase speech rate: Comparison between younger and older adults
CN107789154B (zh) 采用加速度运动促进脑神经康复的训练装置
CN106136736A (zh) 可调节颈椎牵引枕
Heinrich The role of physical therapy in craniofacial pain disorders: an adjunct to dental pain management
KR20190052777A (ko) 안면 마비 저주파 근육 조절기
CN210673742U (zh) 一种鸣天鼓治疗椅
KR20060103821A (ko) 물리치료용 헤드레스터
CN105943223A (zh) 非手术颈椎减压治疗***
WO2011019301A2 (en) A method for treating cerebral palsy
KR20190011067A (ko) 연하장애 개선용 밴드
CN202409420U (zh) 一种支架式颈椎牵引器
Gillespie Dental considerations of the craniosacral mechanism
EP3442478A1 (en) Cervical trac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RU2695770C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ительного лечения пациентов в вегетативном состоянии
RU2379009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больных с атрофией зрительного нерва
US20180071130A1 (en) Method for stimulation of endogenous craniofacial osteogenesis via stem cell activation
RU2249443C2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патологии позвоночника
KR101630918B1 (ko) 경혈자극 비염치료기
RU2226381C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работоспособности организма человека и лечения синдрома хронической усталости
Ostrom Massage and the original Swedish movements
RU2801025C2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задержки психо-речевого и моторного развития у детей при нервно-психических заболеваниях
Tache-Codreanu et al. The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associated with speech therapy exercises in dysphagia and dysarthria after stroke (clinical case)
US9968774B1 (en) Method and system for cranial suture rel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