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235A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235A
KR20190052235A KR1020170147739A KR20170147739A KR20190052235A KR 20190052235 A KR20190052235 A KR 20190052235A KR 1020170147739 A KR1020170147739 A KR 1020170147739A KR 20170147739 A KR20170147739 A KR 20170147739A KR 20190052235 A KR20190052235 A KR 20190052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female
female terminal
terminal
joint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7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54878B1 (en
Inventor
김문종
장영윤
조홍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7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878B1/en
Publication of KR20190052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2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8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onnector which comprises: a joint bus bar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female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second female terminals respective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wires to electrically connect to the outside; and a holder arranging the joint bus bar and the second female terminal with a preset structure. The joint bus bar forms an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nected second female terminal as the joint bus bar connects to one of the second female terminals without directly connecting to the wire for the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outside.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Connector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내부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인트 버스바를 구비함으로써 커넥터 외부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요구되는 연결 회로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capable of reducing the number of connection circuits required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outside of a connector by having a joint bus bar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side the connector.

차량 등에 구비되는 전기 부품은 신호, 접지, 전원 등을 인가하고 주고 받기 위해 커넥터 구조를 적용하고 있다. 특히, 동일한 용도로 여러 위치에 설치되는 센서는 센서에 마련된 다수의 핀을 선택적으로 접지함에 의해 그 위치를 인식하게 하고 있다.Electrical components such as vehicles apply a connector structure to receive and transmit signals, ground, and power. Particularly, a sensor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for the same purpose allows the position of the sensor to be recognized by selectively grounding a plurality of pins provided in the sensor.

예를 들어, 차량의 전방/후방 주차보조 센서는 각 센서의 위치를 인지하기 위해 복수의 LID 핀을 가지며 센서에 커넥터를 연결하여 복수의 LID 핀 중 일부를 접지에 연결함으로써 센서의 위치를 인식하게 한다.For example, the vehicle's front / rear parking assist sensor has a plurality of LID pins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each sensor and connects the connector to the sensor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sensor by connecting some of the plurality of LID pins to the ground do.

이와 같은 종래의 센서 연결용 커넥터는 센서에 마련된 각각의 핀과 커넥터 단자가 1:1로 접촉 연결되고, 커넥터의 각각 단자가 연결회로를 통해 조인트 커넥터와 체결되어 조인트 커넥터 내의 버스바와 연결됨으로써 접지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센서 연결용 커넥터는 접지가 요구되는 단자마다 조인트 커넥터와 연결을 위한 연결회로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연결회로 수의 증가에 따른 와이어링 굵기 증대에 의한 조립 작업성 저하, 원가 및 중량 상승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커넥터에서 나오는 개별 연결 회로를 하나로 접속시키기 위한 별도의 조인트 커넥터가 차량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게 되고, 특히 실외측에 조인트 커넥터를 장착하여야 하므로 많은 연결 회로를 커버할 수 있는 방수 타입의 대형 사이즈를 갖는 조인트 커넥터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In the conventional connector for sensor connection, each pin and a connector terminal provided in the sensor are contact-connected at a ratio of 1: 1, and each terminal of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joint connector through the connection circuit and is connected to the bus bar in the joint connector, . Therefore, the conventional sensor connection connector must have a connection circuit for connection with the joint connector for each terminal requiring grounding. Therefore, the assembly workability due to the increase in the wiring thickness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onnection circuits, . In addition, a separate joint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individual connection circuits coming out of the connector is locat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and in particular, the joint connector must be mounted at the outdoor side, so that a waterproof type large size There arises a problem in that a joint connecto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used.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art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an admission that the prior art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KR 10-2014-0107070 AKR 10-2014-0107070A JP 1998-172651 AJP 1998-172651 A

이에 본 발명은, 커넥터의 내부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인트 버스바를 구비함으로써 커넥터 외부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요구되는 연결 회로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capable of reducing the number of connection circuits required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outside of a connector by providing a joint bus bar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connector.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1 암단자를 갖는 조인트 버스바A joint bus bar having a plurality of first female terminals mutually electrically connected

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And a connector.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조인트 버스바는 상기 복수의 제1 암단자 사이를 물리적으로 결합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oint bus bar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member for physically coupling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female terminals.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암단자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제2 암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2 암단자 중 상기 조인트 버스바에 이웃한 제2 암단자는 상기 조인트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second female terminals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first female terminal, wherein a second female terminal adjacent to the joint bus bar of the plurality of second female terminals is connected to the joint The bus bar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조인트 버스바는, 상기 제1 암단자 중 상기 제2 암단자와 이웃한 제1 암단자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암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oint bus bar further includes a contact member formed on a first female terminal of the first female terminal adjacent to the second female terminal, for contacting the second female terminal .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2 암단자의 일단은 외부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와이어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암단자는 와이어와 직접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female terminals may be connected to a wire for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outside, and the first female terminal may not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wir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1 암단자를 포함하는 조인트 버스바;A joint bus bar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female terminals mutually electrically connected;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복수의 와이어와 각각 직접 접속하는 복수의 제2 암단자; 및A plurality of second female terminals directly connecting with a plurality of wires for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outside; And

상기 조인트 버스바와 상기 제2 암단자를 사전 설정된 구조로 배치하는 홀더;를 포함하며,And a holder for disposing the joint bus bar and the second female terminal in a predetermined structure,

상기 조인트 버스바는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와이어와 직접 접속하지 않고 제2 암단자 중 하나와 접촉함으로써 접촉된 제2 암단자를 통해 외부와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Wherein the joint bus bar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a wire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outside but is in contact with one of the second arm terminals to 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outside through a second arm terminal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utside .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조인트 버스바는 상기 복수의 제1 암단자 사이를 물리적으로 결합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oint bus bar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member for physically coupling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female terminals.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홀더는 사전 설정된 간격으로 나란하게 돌출된 복수의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사이에 상기 제1 암단자 및 상기 제2 암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s projected in parallel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first arm terminal and the second arm terminal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guides.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조인트 버스바는, 상기 제2 암단자와 이웃한 제1 암단자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암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oint bus bar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member formed on the first arm terminal adjacent to the second arm terminal, for contacting the second arm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접촉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 암단자와 결합되고 타단이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기 위한 이웃의 제2 암단자 방향으로 제1 암단자와 이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member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emale terminal in the direction of a second second female terminal for one end to be coupled with the first female terminal and the other end to 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홀더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 사이에 대응되는 영역 상부에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암단자를 고정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at an upper portion of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guides to fix the first arm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암단자는 그 상면에 상기 고정돌기의 걸림을 형성하는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emale terminal may include a groove portion which forms an engagement of the fixing protrusion on an upper surface thereof.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고정돌기는 수단자가 삽입되는 방향에 가까울수록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더 높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rotrusion may have a relatively higher height as the direction toward which the means is inserted is relatively high.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홀더가 고정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슈커넥터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을 개방하는 전면부와, 상기 복수의 와이어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서브되는 후면부를 갖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ir styling apparatus having a front portion having an inner space to which the holder is fixed and opening the inner space so as to be able to engage with the shoe connector, And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암단자의 위치와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may have different colors depending on the position and the number of the first female terminals.

상기 커넥터에 따르면, 커넥터 내부에서 동일한 전기적 상태가 되는 단자를 미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커넥터에서 외부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회로(와이어)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에 따르면, 연결 회로 개수의 감소를 통한 원가/중량 절감이 가능하며, 커넥터 적용에 따른 작업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necto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connection circuits (wires) for connecting to the outside from the connector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erminals which become the same electrical state inside the connector in advance. Thus, according to the connector, the cost / weight reduction can be achieved by reducing the number of connection circuits, and the workability of the connector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일부를 투과 도시한 투과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적용된 조인트 버스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적용된 조인트 버스바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적용된 홀더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적용된 홀더에 형성된 고정 돌기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적용된 홀더와 제1 암단자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적용된 하우징의 후면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적용된 하우징에서 조인트 버스바와 제2 암단자가 전기적 연결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상호 비교를 위해 각각 종래의 커넥터 연결 구조 및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상호 비교를 위해 각각 종래의 커넥터를 적용한 차량 전/후방 주차 보조 센서 연결 구조와 및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적용한 차량 전/후방 주차 보조 센서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transpare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bus bar applied to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joint bus bar applied to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a holder applied to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xing protrusion formed on the holder applied to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holder and the first arm terminal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showing a rear portion of a housing applied to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joint bus bar and a second female terminal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housing applied to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0 and 11 ar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and a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or mutual comparison.
12 and 13 show a vehicle front / rear parking assist sensor connection structure to which a conventional connector is applied for mutual comparison, and a vehicle front / rear parking assist sensor connection structure to which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necto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일부를 투과 도시한 투과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transpare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connector through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0)는, 서로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1 암단자를 포함하는 조인트 버스바(14)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0)는 하우징(11)과 홀더(12) 및 제2 암단자(13)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connec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joint bus bar 14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female terminals that 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each other. The connec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housing 11, a holder 12, and a second female terminal 1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적용된 조인트 버스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적용된 조인트 버스바를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bus bar applied to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joint bus bar applied to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조인트 버스바(14)는 복수의 제1 암단자(14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암단자(141)가 서로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조인트 버스바(14)는 제1 암단자(141) 사이를 서로 물리적으로 결합하는 연결부재(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joint bus bar 14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female terminals 141. The joint bus bar 14 further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142 for physically coupling the first female terminals 141 to each other so that the plurality of first female terminals 141 can 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each other .

복수의 제1 암단자(141)는 상호 동일한 전기적 상태를 가져야 하는 수단자에 체결되는 단자로서, 커넥터 내부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암단자(141)와 제2 암단자(13)은 커넥터가 연결되는 대상이 갖는 핀(수단자)의 배치 구조에 대응되는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암단자(13)는 커넥터 연결 대상에 따라 적절한 배치 구조로 배치되며 상호 간에 연결 부재(142)를 배치함으로써 상호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게 된다. 제조 과정에서 제2 암단자(13)와 연결 부재(142)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female terminals 141 are terminals to be fastened to male terminals which must have the same electrical state,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side the connector. The first female terminal 141 and the second female terminal 13 may have an arrangement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ins (male terminals) of the object to which the connector is connected. The second female terminals 13 are arranged in a proper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connector connection object, and the connecting members 142 are disposed to each other to form a mutual electrical connection. The second female terminal 13 and the connecting member 142 may be integrally formed.

제1 암단자(141)의 외부 상면에는 홈부(14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홈부(143)는, 후술하는 홀더(12) 내에 조인트 버스바(14)가 설치될 때 그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홀더(12)에 마련된 고정돌기가 홈부(143) 내로 안착되게 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A groove 143 may be formed on the outer upper surface of the first female terminal 141. The groove portion 143 is provided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provided on the holder 12 can be seated in the groove portion 143 so that the position of the joint bus bar 14 can be fixed when the joint bus bar 14 is installed in the holder 12 .

조인트 버스바(14)는 제1 암단자(14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이웃한 제2 암단자(13) 방향으로 제1 암단자(141)로부터 이격된 접촉 부재(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부재(144)는 연결된 제1 암단자(141)에 이웃한 제2 암단자(13)와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부재이다. The joint bus bar 14 further includes a contact member 144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arm terminal 141 and the other e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rm terminal 141 in the direction of the adjacent second arm terminal 13 can do. The contact member 144 is a member for forming a contact with the second arm terminal 13 adjacent to the first arm terminal 141 connected thereto.

접촉 부재(144)는 그 일단이 제1 암단자(141)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접촉을 형성하게 되는 제2 암단자(13) 방향으로 제1 암단자(141)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됨으로써, 제1 암단자(141)와 제2 암단자(13)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때 탄성에 의해 접촉 부재(144)의 타단에서 제2 암단자(13) 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접촉 부재(144)와 제2 암단자(13)의 접촉이 더욱 강건하게 유지되게 할 수 있다.The contact member 144 is installed so that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first arm terminal 14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rm terminal 141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rm terminal 13, When the first female terminal 141 and the second female terminal 13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pressing force acts from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member 144 toward the second female terminal 13 by elasticity. With such a structure, the contact between the contact member 144 and the second female terminal 13 can be made more robust.

조인트 버스바(14)는 커넥터(10)에 서브되는 와이어와 직접 연결되지 않고 접촉 부재(144)에 의해 접촉된 제2 암단자(13)와 연결된 와이어에 의해 외부와 전기적 접속을 형성할 수 있다.The joint bus bar 14 can make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outside by means of a wire connected to the second arm terminal 13 contacted by the contact member 144 without being directly connected to the wire serving as the connector 10 .

홀더(12)는 제1 암단자(141)와 제2 암단자(13)가 사전 설정된 배치 구조로 배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 요소이다.The holder 12 is an element serving to guide the first arm terminal 141 and the second arm terminal 13 to b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structur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적용된 홀더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5 is a front view showing a holder applied to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홀더(12) 구조를 참조하면, 홀더(12)는 중공(122)을 갖는 사각 기둥의 형상을 가지며, 홀더(12)의 중공에는 제1 암단자(141)와 제2 암단자(13)가 사전 설정된 배치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structure of the holder 12 shown in Figures 1, 2 and 5, the holder 12 has the shape of a quadrangular pole with a hollow 122, 141 and the second female terminal 13 can b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structure.

홀더(12)의 중공에는 사전 설정된 배치 구조에 상응하도록 사전 설정된 간격으로 나란하게 돌출된 복수의 가이드(1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복수의 가이드(123) 사이에 제1 암단자(141) 및 제2 암단자(13)가 배치될 수 있다.The hollow of the holder 12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s 123 protruding in parallel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arrangement structure. A first female terminal 141 and a second female terminal 1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guides 123.

또한, 홀더(12)는 제1 암단자(141)가 배치되는 상부, 즉 복수의 가이드(123) 사이에 대응되는 영역 상부에 하부로 돌출되어 제1 암단자를 고정하는 고정돌기(124)를 더 포함The holder 12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124 protruding downward at an upper portion where the first arm terminal 141 is disposed, that is, an upper portion corresponding to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guides 123, More includ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적용된 홀더에 형성된 고정 돌기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적용된 홀더와 제1 암단자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FIG.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protrusion formed on a holder applied to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er and a first arm terminal And FIG.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고정 돌기(124)는 홀더(12)의 중공(122) 내 상부에서 하부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며, 제1 암단자(141)의 전방 즉 제1 암단자와 접촉하는 수단자가 삽입되는 방향에 가까울수록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고정 돌기(124)의 후방측 단부의 높이(h1)는 그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암단자(141)의 상단과 접촉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며, 고정 돌기(124)의 전방측 단부의 높이(h2)는 제1 암단자(141)의 상단보다 조금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6 and 7, the fixing protrusions 124 ar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llow 122 of the holder 12, and are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arm terminals 141, The closer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of the means for contacting, the higher the height can be formed. The height h1 of the rear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124 is set to a height that does not contact the upper end of the first arm terminal 141 disposed below the fixing protrusion 124 and the height h1 of the front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124 (h2) may be formed slightly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first female terminal 141.

이러한 고정 돌기(124)의 구조는, 커넥터 제작 시 홀더(12)의 후방에서 전방(수단자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조인트 버스바(14)를 밀어 넣어 설치할 때, 제1 암단자(141) 전방 단부가 고정 돌기(124)의 후단과 접촉하지 않고 지나간 후 고정 돌기의 전방 단부가 제1 암단자(141)에 설치된 홈부(143)의 전방에 걸려 위치가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의 전방에서 수단자가 삽입되어 후방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홈부(143)의 전방에 고정 돌기(124)의 전방이 걸린 상태로 고정되므로 조인트 버스바(14)의 설치 상태를 강건하게 유지되게 할 수도 있다. The structure of the fixing protrusion 124 is such that when the joint bus bar 14 is pushed in front of the holder 12 in the backward direction The front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may be hooked in front of the groove 143 provided on the first arm terminal 141 to fix the position. In addition, since the front of the fixing protrusion 124 is fixed in front of the groove portion 143, even if a forward pushing force is applied to the connector, the joint bus bar 14 is securely installed .

하우징(11)은 홀더(12)가 고정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수커넥터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내부공간을 개방하는 전면부와, 복수의 와이어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서브되는 후면부를 가질 수 있다. The housing 11 may have a front portion that opens the inner space so that the holder 12 can be coupled with the male connector and a rear portion where the plurality of wires serve as the inner spac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적용된 하우징의 후면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showing a rear portion of a housing applied to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후면부에는 복수의 와이어가 서브되는 와이어 서브홀(15)이 제공되어 복수의 와이어가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8, a wire sub-hole 15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provided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1 so that a plurality of wires can be provided 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 [

하우징(11)의 내부공간으로 연장된 복수의 와이어는 각각 제2 암단자(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암단자(13)는 각각 개별적으로 복수의 와이어와 전기적 연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ires extending 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female terminals 13, respectively. Each of the second female terminals 1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wires individually.

제2 암단자(13) 중 제1 암단자(141)와 인접하는 제2 암단자(13)는 인접하는 제1 암단자(141)에 설치된 접촉부재(144)와 접촉하여 제1 암단자(141) 또는 조인트 버스바(14)와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arm terminal 13 adjacent to the first arm terminal 141 of the second arm terminal 13 contacts with the contact member 144 provided on the adjacent first arm terminal 141, 141 or the joint bus bar 14, as shown in FIG.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적용된 하우징에서 조인트 버스바와 제2 암단자가 전기적 연결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joint bus bar and a second female terminal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housing applied to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암단자(13)가 배치된 상태에서, 홀더(12)에 고정된 조인트 버스바(14)가 홀더(12)와 함께 커넥터의 후방으로 이동하면, 접촉 부재(144)가 회동하여 접촉 부재(144) 타단이 점점 조인트 버스바(14)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The joint bus bar 14 fixed to the holder 12 moves together with the holder 12 to the rear of the connector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emale terminal 13 is arranged as shown in Figure 9 (a) The contact member 144 is rotated, and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member 144 is gradually moved toward the joint bus bar 14 side.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이 완료되면 접촉 부재(144)의 타단은 거의 조인트 버스바(14) 측으로 접촉되면서 탄성에 의해 제2 암단자(14) 방향으로 미는 힘을 발현하게 된다. 이에 의해 조인트 버스바(14)는 제2 암단자(14)와 강건하게 접촉을 유지하게 되며, 조인트 버스바(14)는 직접적인 와이어와의 연결을 형성하지 않고서 이웃의 접촉하는 제2 암단자(14)와 동일한 전기적 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9 (b), when the coupling is completed,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member 144 is almost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joint bus bar 14 side, and a pressing force is generated by the elasticity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rm terminal 14 . This allows the joint bus bar 14 to be in robust contact with the second female terminal 14 and the joint bus bar 14 can be connected to the adjacent second female terminal 14). ≪ / RTI >

도 10 및 도 11은 상호 비교를 위해 각각 종래의 커넥터 연결 구조 및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s. 10 and 11 ar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and a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or mutual comparison.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에는 센서(200)와 연결되는 커넥터(100)의 서로 나란히 인접한 네 개의 단자가 접지로 연결되어야 하는 경우, 각 단자에서 모두 접지 연결을 위한 연결 회로(와이어)가 결선되어야 한다.As shown in FIG. 10, when four terminals adjacent to each other of the connector 100 connected to the sensor 200 are to be grounded, a connection circuit (wire) for ground connection is provided at each terminal It should be connected.

그러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커넥터(10)의 내부에서 네 개의 단자가 전기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접지로 연결되는 와이어는 하나만 존재하게 된다.However, as shown in Fig. 1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are four terminals in the inside of the connector 10 can 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only one wire is connected to the ground.

도 12 및 도 13은 상호 비교를 위해 각각 종래의 커넥터를 적용한 차량 전/후방 주차 보조 센서 연결 구조와 및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적용한 차량 전/후방 주차 보조 센서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12 and 13 show a vehicle front / rear parking assist sensor connection structure to which a conventional connector is applied for mutual comparison, and a vehicle front / rear parking assist sensor connection structure to which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차량의 전/후방 주차 보조 센서는 각각에 구비된 LID 핀(LID1-LID3)를 선택적으로 접지함으로써 위치를 구별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제1 전방센서는 세개의 LID 핀을 모두 접지되게 하고, 제2 전방 센서는 1, 3번 LID 핀을 접지되게 하는 방식이다.The front / rear parking assistant sensors of the vehicle distinguish the positions by selectively grounding the LID pins (LID1 to LID3) provided in each of them. For example, the first front sensor causes all three LID pins to be grounded, and the second front sensor causes the LID pins 1 and 3 to be grounded.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각 센서에 연결되는 커넥터(101 내지 108)에서 접지 연결을 위한 연결 회로가 모두 접지와 연결된 버스바를 갖는 조인트 커넥터(300)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센서 시스템의 경우 각 커넥터에서 조인트 커넥터(300)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회로가 총 20개 필요하였다.As shown in FIG. 12, conventionally, the connection circuits for ground connection in the connectors 101 to 108 connected to the respective sensors must be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joint connector 300 having the bus bars connected to the ground.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sensor system shown in FIG. 12, a total of 20 connection circuits are required for connection to the joint connector 300 in each connector.

그러나,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 커넥터(10-1 내지 10-8) 마다 접지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 회로를 하나씩만 구비하면 되므로 총 8 개의 연결회로만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종래의 커넥터에 비해 총 12개의 회로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one connection circuit for connecting to the ground is provided for each connector 10-1 to 10-8, only eight connection circuits Is required.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tal of 12 circuit saving effects can be obtain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onnector.

한편, 핀 배치구조나 해당 핀의 접지 연결 여부에 따라 조인트 버스바(14)의 제1 암단자(141)의 배치 구조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조인트 버스바(14)의 제1 암단자(141)의 개수나 배치 위치에 따라 전술한 홀더(12)의 색상을 다르게 설정하여, 홀더(12)의 색상 만으로 접지되는 핀의 위치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arrangement of the first arm terminals 141 of the joint bus bar 14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in arrangement structure and whether or not the pins are grounded. The color of the holder 12 described above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first arm terminals 141 of the joint bus bar 14 so that only the color of the holder 12 The position of the pin to be grounded can be distinguish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는, 커넥터 내부에서 동일한 전기적 상태가 되는 단자를 미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커넥터에서 외부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회로(와이어)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는, 연결 회로 개수의 감소를 통한 원가/중량 절감이 가능하며, 커넥터 적용에 따른 작업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o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number of connection circuits (wi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from the connector by making the terminals, which become the same electric state inside the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in advance . Accordingly, the connecto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cost / weight by reducing the number of connection circuits, and can improve workability upon application of the connector.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nd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커넥터 11: 하우징
12: 홀더 122: 중공
123: 가이드부 124: 고정돌기
13: 제2 암단자 14: 조인트 버스바
141: 제1 암단자 142: 연결 부재
143: 홈부 144: 접촉 부재
15: 와이어 서브홀
10: connector 11: housing
12: holder 122: hollow
123: Guide part 124: Fixing projection
13: second arm terminal 14: joint bus bar
141: first arm terminal 142: connecting member
143: groove portion 144: contact member
15: wire sub-hole

Claims (15)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1 암단자를 갖는 조인트 버스바
를 포함하는 커넥터.
A joint bus bar having a plurality of first female terminals mutually electrically connected
≪ / RTI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버스바는 상기 복수의 제1 암단자 사이를 물리적으로 결합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joint bus bar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member for physically coupling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female terminal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암단자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제2 암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2 암단자 중 상기 조인트 버스바에 이웃한 제2 암단자는 상기 조인트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second female terminals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first female terminal, wherein a second female terminal adjacent to the joint bus bar of the plurality of second female terminal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joint bus bar Connecto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버스바는, 상기 제1 암단자 중 상기 제2 암단자와 이웃한 제1 암단자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암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joint bus bar further comprises a contact member formed on a first female terminal of the first female terminal adjacent to the second female terminal for contacting the second female terminal.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암단자의 일단은 외부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와이어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암단자는 와이어와 직접 연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female terminals is connected to a wire for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outside, and the first female terminal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wire.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1 암단자를 포함하는 조인트 버스바;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복수의 와이어와 각각 직접 접속하는 복수의 제2 암단자; 및
상기 조인트 버스바와 상기 제2 암단자를 사전 설정된 구조로 배치하는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 버스바는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와이어와 직접 접속하지 않고 제2 암단자 중 하나와 접촉함으로써 접촉된 제2 암단자를 통해 외부와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A joint bus bar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female terminals mutually electrically connected;
A plurality of second female terminals directly connecting with a plurality of wires for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outside; And
And a holder for disposing the joint bus bar and the second female terminal in a predetermined structure,
Wherein the joint bus bar is in direct contact with a wire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outside and contacts the one of the second female terminals to 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female terminal contacted.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버스바는 상기 복수의 제1 암단자 사이를 물리적으로 결합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joint bus bar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member for physically coupling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female terminal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사전 설정된 간격으로 나란하게 돌출된 복수의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사이에 상기 제1 암단자 및 상기 제2 암단자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holder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s projected in parallel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first arm terminal and the second arm terminal ar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guides.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버스바는, 상기 제2 암단자와 이웃한 제1 암단자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암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joint bus bar further comprises a contact member formed on a first female terminal adjacent to the second female terminal, for contacting the second female terminal.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 암단자와 결합되고 타단이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기 위한 이웃의 제2 암단자 방향으로 제1 암단자와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act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emale terminal in the direction of the adjacent second female terminal for one end to be coupled with the first female terminal and the other end to 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 사이에 대응되는 영역 상부에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암단자를 고정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holder further comprises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ly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guides to fix the first arm terminal.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암단자는 그 상면에 상기 고정돌기의 걸림을 형성하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female terminal includes a groove portion which forms an engagement of the fixing protrusion on an upper surface thereof.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수단자가 삽입되는 방향에 가까울수록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xing protrusions are relatively higher in height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eans is inserted.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홀더가 고정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수커넥터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을 개방하는 전면부와, 상기 복수의 와이어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서브되는 후면부를 갖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the holder is fixed and having a front portion that opens the inner space to allow coupling with the male connector and a rear por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wires are served as the inner spa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암단자의 위치와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holder has a different color depending on the position and the number of the first female terminals.
KR1020170147739A 2017-11-08 2017-11-08 Connector KR1025548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739A KR102554878B1 (en) 2017-11-08 2017-11-08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739A KR102554878B1 (en) 2017-11-08 2017-11-08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235A true KR20190052235A (en) 2019-05-16
KR102554878B1 KR102554878B1 (en) 2023-07-12

Family

ID=66671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739A KR102554878B1 (en) 2017-11-08 2017-11-08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87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31378A (en) * 2019-09-18 2021-03-1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20102352A (en) * 2021-01-13 2022-07-20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Joint connector
KR20230100401A (en) *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Male connector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2651A (en) 1996-12-12 1998-06-26 Sumitomo Wiring Syst Ltd Separate type connector
JPH11135208A (en) * 1997-10-28 1999-05-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Joint terminal and joint connector
KR20000016100U (en) * 1999-01-25 2000-08-25 최연학 female connector
JP2010146852A (en) * 2008-12-18 2010-07-0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Joint connector
KR200473811Y1 (en) * 2014-01-27 2014-08-05 이승민 Safety connector for illuminator
KR20140107070A (en) 2013-02-27 2014-09-04 타이코에이엠피(유) Joint connector assembly
KR20170000213A (en) * 2015-06-23 2017-01-02 (주)우주일렉트로닉스 Joint Connector with busbar
JP2017091704A (en) * 2015-11-06 2017-05-25 住友電装株式会社 Joint terminal and joint connecto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2651A (en) 1996-12-12 1998-06-26 Sumitomo Wiring Syst Ltd Separate type connector
JPH11135208A (en) * 1997-10-28 1999-05-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Joint terminal and joint connector
KR20000016100U (en) * 1999-01-25 2000-08-25 최연학 female connector
JP2010146852A (en) * 2008-12-18 2010-07-0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Joint connector
KR20140107070A (en) 2013-02-27 2014-09-04 타이코에이엠피(유) Joint connector assembly
KR200473811Y1 (en) * 2014-01-27 2014-08-05 이승민 Safety connector for illuminator
KR20170000213A (en) * 2015-06-23 2017-01-02 (주)우주일렉트로닉스 Joint Connector with busbar
JP2017091704A (en) * 2015-11-06 2017-05-25 住友電装株式会社 Joint terminal and joint connec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31378A (en) * 2019-09-18 2021-03-1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20102352A (en) * 2021-01-13 2022-07-20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Joint connector
KR20230100401A (en) *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Mal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878B1 (en) 202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95978C (en) Push-in wire connector
CN201018089Y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JPH0357018Y2 (en)
CN103270652B (en) The syndeton of electronic unit
KR20190052235A (en) Connector
US20180131117A1 (en) Joint connector
JPH09134764A (en) Electric connector with outer wall structure made of metal
US5564953A (en) Divided-type multi-pole connector
CN103581519A (en) In-vehicle camera device
KR200494760Y1 (en) Non-directional wire-to-board connector
US10971849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H09115612A (en) Joint connector
JP3085691B2 (en) Joint connector
CN102623813B (en) Terminal mounting construction and electronic device
JP2017092020A (en) Module connector
CN107425356B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for vehicle
KR100952434B1 (en) Multi-directional joint apparatus
JP6630051B2 (en) Wire harness and branch structure
US9796346B2 (en) Motor vehicle plastic panel having an integral electrical unit
JP2987539B2 (en) Bus bar connector
KR100790332B1 (en) Connector assembly of electric vehicle
US20170222352A1 (en) Connector unit, sub-connector with frame and sub-connector with cap
KR100860907B1 (en) inter-connecting member of multi-function connector for vehicle
KR101803530B1 (en) Connector
JPS5813586Y2 (en) cabl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