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378A -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 - Google Patents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378A
KR20190048378A KR1020170143294A KR20170143294A KR20190048378A KR 20190048378 A KR20190048378 A KR 20190048378A KR 1020170143294 A KR1020170143294 A KR 1020170143294A KR 20170143294 A KR20170143294 A KR 20170143294A KR 20190048378 A KR20190048378 A KR 20190048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t
unit
connection pipe
bidet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3055B1 (ko
Inventor
조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온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온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온수텍
Priority to KR1020170143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055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2Parts, details or accessories with toilet facil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에 비데장치를 설치한 후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부와 사용한 세척수 및 용변을 저장하는 오물저장부 및 오물저장부에 저장된 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호스부를 형성함으로써, 쉽게 오물처리가 가능하고, 용변 후 사용자의 뒷처리가 용이하며, 필요시에는 구성요소들을 탈, 부착함으로써, 유지보수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A wheelchair with a toilet seat}
본 발명은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비데장치(10)가 설치되고, 변기기능이 포함되는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1)에 있어서, 상부에 상기 비데장치(10)가 구비되고, 손잡이부(110), 팔거치부(120), 발판부(130) 및 이동바퀴부(140)가 포함되되, 타측에 제1 거치부(150)가 형성되며, 하부에 제2 거치부(160)가 형성되는 본체프레임(100);과, 상기 비데장치(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깔대기부(200);와, 상기 제1 거치부(150)에 안착되어 상기 비데장치(1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부(300);와, 상기 제2 거치부(16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깔대기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비데장치(100)를 통해 배출되는 오물을 저장하는 오물저장부(400);와, 상기 오물저장부(400)와 연결되어 상기 오물저장부(400)의 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호스부(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Wheel chair)란, 기립, 보행에 장애가 있거나, 안정을 요하는 환자가 앉은 채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 보통 4륜의 바퀴가 달린 의자용 탈 것을 말한다.
상기 휠체어는 보조자가 밀던가, 스스로 구동하거나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형태는 타입은 후륜 2개가 크고 작은 차륜(캐스터)은 앞에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접는 것이 가능한 것, 한손 구동이 가능한 것, 수동체인이 달린 것, 모터의 힘을 통해 구동되는 것 등 그밖에 목적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이러한 휠체어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 또는 장애인의 이동을 편리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움직임이 원활치 못한 휠체어 사용자의 특성상 대변 또는 소변 등의 용변을 볼 경우 어려움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기 특허문헌 1의 “환자용 간이좌변기가 설치된 휠체어(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실0121580호)”에서는 휠체어(1)의 시트(2)에 있어서, 시트(2) 중앙의 원형공(3) 저면주연으로 커버체(4)를 지퍼(5)로 봉착하여 개폐시키고, 지퍼(5)에 연접봉착된 벨크로화스너(6)에는 비닐주머니(7) 내둘레에 접착된 동일한 벨크로화스너(8)를 착탈되게 형성함으로써,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주위의 시선 등을 느끼지 않으면서 편리하게 배변을 할 수 있으며, 간병인도 힘들고 고통스러움에서 탈피하여 배변을 위생적으로 처리하면서 쉽게 환자를 간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환자용 간이좌변기가 설치된 휠체어”는 오물의 무게가 일정 이상 넘게 되면 비닐주머니가 처지게 됨으로써, 거버체로부터 벨크로화스너가 분리되어 비닐주머니 내의 오물이 외부로 쏟아져 관리가 어렵고 위생상으로 비위생적인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물이 저장된 비닐주머니를 휠체어로부터 분리하여 오물을 처리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용변 후 사용자의 뒷처리가 용이하지 않아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실012158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휠체어에 비데장치를 설치한 후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부와 사용한 세척수 및 용변을 저장하는 오물저장부 및 오물저장부에 저장된 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호스부를 형성함으로써, 쉽게 오물처리가 가능하고, 용변 후 사용자의 뒷처리가 용이하며, 필요시에는 구성요소들을 탈, 부착함으로써, 유지보수관리가 용이한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는, 비데장치(10)가 설치되고, 변기기능이 포함되는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1)에 있어서, 상부에 상기 비데장치(10)가 구비되고, 손잡이부(110), 팔거치부(120), 발판부(130) 및 이동바퀴부(140)가 포함되되, 타측에 제1 거치부(150)가 형성되며, 하부에 제2 거치부(160)가 형성되는 본체프레임(100);과, 상기 비데장치(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깔대기부(200);와, 상기 제1 거치부(150)에 안착되어 상기 비데장치(1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부(300);와, 상기 제2 거치부(16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깔대기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비데장치(100)를 통해 배출되는 오물을 저장하는 오물저장부(400);와, 상기 오물저장부(400)와 연결되어 상기 오물저장부(400)의 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호스부(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수공급부(300)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제1 저장통(310)이 형성되고, 상기 세척수를 순환시키는 제1 구동장치부(320)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저장통(310)과 상기 제1 구동장치부(320)를 연결하는 제1 연결관(330)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구동장치부(320)와 상기 비데장치(10)의 비데호스(12) 사이에 연결되되, 상기 제1 구동장치부(320)의 구동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저장통(310)에 저장된 세척수가 상기 비데장치(10)에 공급되도록 제2 연결관(3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수공급부(300)는, 상기 제1 저장통(310)보다 높은 위치에 제2 저장통(350)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저장통(310)과 상기 제2 저장통(350)을 연결하는 제3 연결관(360)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관(340)과 연결되되, 상기 제1 저장통(310)에 저장된 세척수가 상기 제2 연결관(340)을 통해 상기 비데장치(10)에 공급된 후 남는 세척수를 상기 제2 저장통(350)으로 이동시키도록 제4 연결관(37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물저장부(400)는 상기 깔대기부(200)와 연결되어 오물이 저장되는 제1 오물통(410)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호스부(500)에는 구동을 통한 흡입력에 의해 상기 제1 오물통(410)의 오물을 상기 배출호스부(500)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장치부(6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물저장부(400)는, 상기 제1 오물통(410)과 수평한 위치에 제2 오물통(420)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오물통(410)과 상기 제2 오물통(420)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5 연결관(430, 430`)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5 연결관(430, 43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배출호스부(50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휠체어에 비데장치를 설치한 후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부와 사용한 세척수 및 용변을 저장하는 오물저장부 및 오물저장부에 저장된 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호스부를 형성함으로써, 쉽게 오물처리가 가능하고, 용변 후 사용자의 뒷처리가 용이하며, 필요시에는 구성요소들을 탈, 부착함으로써, 유지보수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의 측면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의 평면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의 배면 모습을 보인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의 구성 중 세척수공급부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의 구성 중 세척수공급부의 배면 모습을 보인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의 구성 중 세척수공급부의 우측면 모습을 보인 우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의 구성 중 세척수공급부의 좌측면 모습을 보인 좌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의 구성 중 오물저장부 및 배출호스부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의 구성 중 오물저장부의 저면 모습을 보인 저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1)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1)는 크게 본체프레임(100), 깔대기부(200), 세척수공급부(300), 오물저장부(400) 및 배출호스부(500)로 구성된다.
먼저, 본체프레임(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프레임(100)은 도 1,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1)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기존의 일반휠체어 또는 전동휠체어를 일부 개량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상부에는 비데장치(10)가 설치되어 의자 및 비데기능을 동시에 구현한다.
이때, 상기 비데장치(10)는 기존의 비데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비데장치(10)는 실내 또는 화장실 등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콘센트에 상기 비데장치(10)에 구비된 플러그(미도시)를 꽂아 조작부(11)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1)에 배터리(미도시)를 추가적으로 구비한 후 상기 비데장치(10)의 전원선(미도시)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본체프레임(100)은 기존의 일반휠체어 또는 전동휠체어와 마찬가지로 간병인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1)을 끌고 다닐 수 있도록 손잡이부(110)가 형성되고,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1)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팔이 거치되는 팔거치부(120) 및 사용자의 다리가 거치되는 발판(130)이 각각 형성되며, 이동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이동바퀴부(1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타측 하부에는 후술할 세척수공급부(300)가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레일타입 또는 판형상 등의 제1 거치부(150)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중앙 하부에는 후술할 오물저장부(400)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레일타입 또는 판형상 등의 제2 거치부(16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깔대기부(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깔대기부(200)는 도 1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비데장치(100)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오물저장부(40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용변을 상기 오물저장부(400)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구성요소이다.
다음으로, 세척수공급부(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세척수공급부(300)는 도 4, 도 5, 도 6, 도 7 또는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 거치부(15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비데장치(10)와 연결되어 상기 비데장치(1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 저장통(310), 제1 구동장치부(320), 제1 연결관(330), 제2 연결관(340), 제2 저장통(350), 제3 연결관(360) 및 제4 연결관(3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저장통(310)은 세척수가 저장되는 일종의 물통으로서, 상기 제1 저장통(310)의 상부에는 제1 통공(311)을 형성하여 상기 제1 저장통(310) 내부에 대기압이 가해져 사이펀효과를 통해 상기 제1 저장통(310)과 연결되는 제2 저장통(350) 내의 세척수를 상기 제1 저장통(310)으로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상기 제1 구동장치부(320)는 후술할 제1 연결관(330)에 의해 상기 제1 저장통(310)과 연결되는 일종의 순환모터로서,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1 저장통(310) 내의 세척수를 상기 비데장치(1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1 구동장치부(320)는 상기 비데장치(10)와 마찬가지로 실내 또는 화장실 등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콘센트에 상기 제1 구동장치부(320)에 구비된 플러그(미도시)를 꽂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1)에 배터리(미도시)를 추가적으로 구비한 후 상기 제1 구동장치부(320)의 전원선(미도시)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연결관(330)은 상기 제1 저장통(310)과 상기 제1 구동장치부(320)를 연결하는 일종의 관(管)이다.
상기 제2 연결관(240)은 상기 제1 구동장치부(320)와 상기 비데장치(10)의 비데호스(12) 사이에 연결되는 일종의 관(管)으로서, 상기 제1 구동장치부(320)의 구동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저장통(310)에 저장된 세척수가 상기 제1 연결관(330)을 지나고 상기 제1 구동장치부(320)을 통과하여 상기 비데장치(10)에 공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제2 연결관(240)은 상기 비데호스(12)와의 연결 외에도 별도의 세척기구(예컨대, 욕실 샤워기 등을 말한다)와 연결한 후 상기 제1 구동장치부(320)의 구동에 의해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비데장치(10)의 내부 또는 상기 오물저장부(400)의 내부 등을 청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상기 제2 저장통(350)은 상기 비데장치(10)에 세척수 공급이 끝난 후 남은 물을 저장하는 일종의 물통으로서, 사이펀효과를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저장통(31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연결관(360)은 상기 제1 저장통(310)과 상기 제2 저장통(350)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연결하는 일종의 관(管)으로서, 사이펀효과에 의해 상기 제1 저장통(310) 및 상기 제2 저장통(350)의 물을 이동시켜 수위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4 연결관(370)은 상기 제2 연결관(240)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저장통(350)에 연결되는 일종의 관(管)으로서, 상기 제1 저장통(310)에 저장된 세척수가 상기 제2 연결관(340)을 통해 상기 비데장치(10)에 공급된 후 남는 세척수를 상기 제2 저장통(350)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오물저장부(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오물저장부(400)는 도 9 또는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2 거치부(16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깔대기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비데장치(100)를 통해 배출되는 오물을 저장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 오물통(410), 제2 오물통(420), 제5 연결관(430, 430`) 및 보조바퀴부(4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오물통(410)은 상기 깔대기부(200)와 연결되어 오물이 저장되는 일종의 통(桶)으로서, 상기 제1 오물통(410)의 상부에는 상기 깔대기부(200)가 삽입되는 연결공(4110)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오물통(420)은 상기 제1 오물통(410)이 가득 찰 경우을 대비하여 구비되는 보조통(桶)으로서, 상기 제1 오물통(410)과 수평한 위치에 제2 오물통(42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5 연결관(430, 430`)은 상기 제1 오물통(410)과 상기 제2 오물통(420)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일종의 관(管)으로서, 상기 제1 오물통(410)에 저장된 오물을 상기 제2 오물통(420)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오물통(410)에 오물의 양을 줄여 주는 것을 가이드 해 준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제5 연결관(430, 430`) 중 어느 하나는 후술할 배출호스부(500)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배출호스부(500)에 의해 상기 제1 오물통(410)에 저장된 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배출호스부(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배출호스부(500)는 도 1, 도 9 또는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오물저장부(400)와 연결되어 상기 오물저장부(400)의 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배출호스부(500)의 손잡이(미도시) 부근에는 상기 배출호스부(500)의 노즐을 개폐하는 작동스위치(510)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배출호스부(500)에는 구동을 통한 흡입력에 의해 상기 제1 오물통(410)의 오물을 상기 배출호스부(500)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장치부(60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구동장치부(600) 또한 상기 제1 구동장치부(320)와 마찬가지로 실내 또는 화장실 등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콘센트에 상기 제2 구동장치부(6000)에 구비된 플러그(미도시)를 꽂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1)에 배터리(미도시)를 추가적으로 구비한 후 상기 제2 구동장치부(600)의 전원선(미도시)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전력공급이 이루어져야만 구동되는 상기 비데장치(10), 상기 제1, 2 구동장치부(320, 600)는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멀티탭 기능을 하는 온/오프스위치(20)을 더 설치하여 각각의 플러그(미도시)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온/오프스위치(20)의 플러그(미도시)를 실내 또는 화장실 등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콘센트에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온/오프스위치(20)의 조작에 따라 작동이 가능해져 간단하게 연결이 이루어져 사용이 편리하고, 전력소모도 줄여주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배출호스부(500)에는 상기 배출호스부(500)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밸브(520)를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2 구동장치부(600)가 고장 날 경우, 상기 개폐밸브(520)를 잠가 상기 제1 오물통(410)에 저장된 오물이 상기 제5 연결관(430, 430`)를 따라 상기 제2 구동장치부(600)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제2 구동장치부(600)를 수리하거나 교체를 용이하게 해 주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
10: 비데장치 11: 조작부
12: 비데호스
20: 온/오프스위치
100: 본체프레임 110: 손잡이부
120: 팔거치부 130: 발판부
140: 이동바퀴부 150: 제1 거치부
160: 제2 거치부
200: 깔대기부
300: 세척수공급부 310: 제1 저장통
311: 제1 통공
320: 제1 구동장치부 330: 제1 연결관
340: 제2 연결관 350: 제2 저장통
360: 제3 연결관 370: 제4 연결관
400: 오물저장부 410: 제1 오물통
411: 연결공
420: 제2 오물통 421: 제2 통공
430, 430`: 제5 연결관 440: 보조바퀴부
500: 배출호스부 510: 작동스위치
520: 개폐밸브
600: 제2 구동장치부

Claims (5)

  1. 비데장치(10)가 설치되고, 변기기능이 포함되는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1)에 있어서,
    상부에 상기 비데장치(10)가 구비되고, 손잡이부(110), 팔거치부(120), 발판부(130) 및 이동바퀴부(140)가 포함되되, 타측에 제1 거치부(150)가 형성되며, 하부에 제2 거치부(160)가 형성되는 본체프레임(100);
    상기 비데장치(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깔대기부(200);
    상기 제1 거치부(150)에 안착되어 상기 비데장치(1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부(300);
    상기 제2 거치부(16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깔대기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비데장치(100)를 통해 배출되는 오물을 저장하는 오물저장부(400);
    상기 오물저장부(400)와 연결되어 상기 오물저장부(400)의 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호스부(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1).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공급부(300)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제1 저장통(310)이 형성되고,
    상기 세척수를 순환시키는 제1 구동장치부(320)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저장통(310)과 상기 제1 구동장치부(320)를 연결하는 제1 연결관(330)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구동장치부(320)와 상기 비데장치(10)의 비데호스(12) 사이에 연결되되, 상기 제1 구동장치부(320)의 구동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저장통(310)에 저장된 세척수가 상기 비데장치(10)에 공급되도록 제2 연결관(3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1).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공급부(300)는,
    상기 제1 저장통(310)보다 높은 위치에 제2 저장통(350)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저장통(310)과 상기 제2 저장통(350)을 연결하는 제3 연결관(360)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관(340)과 연결되되, 상기 제1 저장통(310)에 저장된 세척수가 상기 제2 연결관(340)을 통해 상기 비데장치(10)에 공급된 후 남는 세척수를 상기 제2 저장통(350)으로 이동시키도록 제4 연결관(37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1).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저장부(400)는 상기 깔대기부(200)와 연결되어 오물이 저장되는 제1 오물통(410)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호스부(500)에는 구동을 통한 흡입력에 의해 상기 제1 오물통(410)의 오물을 상기 배출호스부(500)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장치부(6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1).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저장부(400)는,
    상기 제1 오물통(410)과 수평한 위치에 제2 오물통(420)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오물통(410)과 상기 제2 오물통(420)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5 연결관(430, 430`)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5 연결관(430, 43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배출호스부(50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1).
KR1020170143294A 2017-10-31 2017-10-31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 KR102033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294A KR102033055B1 (ko) 2017-10-31 2017-10-31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294A KR102033055B1 (ko) 2017-10-31 2017-10-31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378A true KR20190048378A (ko) 2019-05-09
KR102033055B1 KR102033055B1 (ko) 2019-10-16

Family

ID=66545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294A KR102033055B1 (ko) 2017-10-31 2017-10-31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0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67144A (zh) * 2020-04-27 2020-07-31 宿州学院 一种用于大小便收集处理的多功能轮椅的自动感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427B1 (ko) 2020-05-07 2022-02-14 오승욱 환자용 이동식 양변기
KR20210136361A (ko) 2020-05-07 2021-11-17 오승욱 환자용 이동식 양변기
KR102214760B1 (ko) 2020-10-28 2021-02-15 이병제 이동 보행기
KR102402692B1 (ko) 2021-08-25 2022-05-30 노운규 다기능 보행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580Y1 (ko) 1995-04-07 1999-03-20 홍길영 환자용 간이좌변기가 설치된 휠체어
JP2003319975A (ja) * 2002-04-30 2003-11-11 Shuichi Suehiro 車椅子型介護用トイレ
KR20040042767A (ko) * 2002-11-12 2004-05-20 테츠아키 가와모토 휠체어에 장착되는 배변배뇨 자동처리변기
JP3181671U (ja) * 2012-08-06 2013-02-21 涼一 中尾 洗浄機能付きポータブルトイレ一体型車椅子
US20130091626A1 (en) * 2011-10-12 2013-04-18 Ahmed I.S.I. Al-Jafar Wheelchair with toilet, bidet, waste storage tank and discharg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580Y1 (ko) 1995-04-07 1999-03-20 홍길영 환자용 간이좌변기가 설치된 휠체어
JP2003319975A (ja) * 2002-04-30 2003-11-11 Shuichi Suehiro 車椅子型介護用トイレ
KR20040042767A (ko) * 2002-11-12 2004-05-20 테츠아키 가와모토 휠체어에 장착되는 배변배뇨 자동처리변기
US20130091626A1 (en) * 2011-10-12 2013-04-18 Ahmed I.S.I. Al-Jafar Wheelchair with toilet, bidet, waste storage tank and discharge
JP3181671U (ja) * 2012-08-06 2013-02-21 涼一 中尾 洗浄機能付きポータブルトイレ一体型車椅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67144A (zh) * 2020-04-27 2020-07-31 宿州学院 一种用于大小便收集处理的多功能轮椅的自动感应***
CN111467144B (zh) * 2020-04-27 2022-02-01 宿州学院 一种用于大小便收集处理的多功能轮椅的自动感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055B1 (ko)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8378A (ko)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
US5918323A (en) Hospital liquid sanitation cart
CN103735376B (zh) 一种智能护理床垫
KR101579889B1 (ko)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컵유닛 분사노즐
US8966677B1 (en) Baby bath station
WO2017202235A1 (zh) 洁身便盆及装有洁身便盆的轮椅、坐便椅和坐便床
KR20210020948A (ko) 비데 샤워기를 갖는 변기
CN206486957U (zh) 一种免水冲蹲坐两用便器
KR101052024B1 (ko) 대소변 배출기
CN107242941A (zh) 具有冲水集便功能的护理机器人
CN204246052U (zh) 一种多用途可移动便携式马桶
JP2558894B2 (ja) 駆動便器
JP4492479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US20220154442A1 (en) Personal Perineal Cleansing System and Methods
JP3181671U (ja) 洗浄機能付きポータブルトイレ一体型車椅子
CN205923878U (zh) 洁身便盆及装有洁身便盆的轮椅、坐便椅和坐便床
KR20160097533A (ko)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모드제어방법
TWI640287B (zh) Nursing robot with flushing and collecting function
CN209172165U (zh) 坐便椅
CN203677425U (zh) 一种智能护理床垫
JP4591774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WO1995004513A1 (fr) Procede et appareil d'elimination des excrements
JPH09192194A (ja) 身体洗浄装置及びその椅子
CN213851509U (zh) 可进行清洗和风干的护理轮椅
CN108175615A (zh) 一种隔离式免清洗医用便盆及其免清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