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5611A - PCB busbars used in assembling Lithium battery pack - Google Patents

PCB busbars used in assembling Lithium battery p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5611A
KR20190045611A KR1020170138399A KR20170138399A KR20190045611A KR 20190045611 A KR20190045611 A KR 20190045611A KR 1020170138399 A KR1020170138399 A KR 1020170138399A KR 20170138399 A KR20170138399 A KR 20170138399A KR 20190045611 A KR20190045611 A KR 20190045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frame
terminal
lithium battery
pcb
battery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3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61747B1 (en
Inventor
양기일
Original Assignee
(주)엠피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피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엠피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138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747B1/en
Publication of KR20190045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6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7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2/20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105
    • H01M2/1077
    • H01M2/20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CB booth bar for a lithium battery pack, which comprises: a first outer frame in which battery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so that four lithium battery cells are respectively inserted in parallel, and a plurality of circular slots are provided therein to assist an air flow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grooves; a second outer frame which has a battery insertion groove so that an opposite electrode of the cell is inserted on the opposite side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in the same form as the first outer frame; a pair of outer frame covers which has four terminal grooves of a terminal form so that electrode terminals for bolt connection can be seated respectively, and is respectively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outer frame to be coupled to the outer frame; and four terminal electrodes each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groove in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frame cover and is provided with a terminal bolt groove engaged with a spring so as to receive power of the battery cell through the spring in contact with the outer frame. The PCB booth bar is equipped with a copper foil board having a terminal hole for fastening with the electrode terminal and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frame cov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battery cells and the outer frame cover in which the electrode terminal is seated and fastened on the outer frame into which the lithium battery cells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fastened, such that the terminal hole and the electrode terminal are fastened through a male screw.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maintain and manage performance of a battery pack at low costs.

Description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PCB busbars used in assembling Lithium battery pack}[0003]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4] A PCB busbars used in a lithium battery pack are disclosed in,

본 발명은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박 기판으로 형성되어 리튬배터리 셀과의 체결을 위한 다수개의 단자홀과 수나사를 통해 외부 프레임과 일체로 체결할 수 있어 리튬이온 전지를 직렬과 병렬로 연결하는 작업을 통해 작업자가 부스바 연결에 따른 오류해소, 체결작업 중 부스바를 고정하여 작업의 편리성, 연결작업에 따른 자동화가 가능한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CB bus bar for use in a lithium battery pa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PCB bus bar which is formed of a copper foil board and can be integrally fastened to an outer frame through a plurality of terminal holes and male screws for fastening with a lithium battery cell PCB booth used for lithium battery pack which enables the operator to solve errors due to connection of booth bar by connecting the lithium ion battery in parallel with the serial, convenient for work by fixing the booth bar during the tightening work, and automating the connection work Bar.

또한, 본 발명은 일체의 동박 기판으로 구비된 PCB 부스바로 형성됨으로서 종래의 초음파 용접, 점 용점(Spot Welding) 또는 레이저 용접을 통한 직/병렬 연결을 통해 발생하는 셀의 열손실 및 내부저항 증가의 문제의 발생을 개선하고 전체 배터리 팩의 성능저하에 따른 배터리 셀을 교체, 분리가 용이한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에 관한 것이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heat loss and increase the internal resistance of a cell generated through serial / parallel connection through conventional ultrasonic welding, spot welding or laser we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PCB bus bar used for a lithium battery pack that can easily replace and detach a battery cell due to a decrease in performance of the entire battery pack.

현재 많은 곳에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장치로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으며, 1차 전지와 2차 전지 대부분은 원통형(Cylindrical), 각형(Prismatic), 파우치 (Pouch)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재충전하여 사용이 가능한 2차 전지는 스마트폰, 노트북 등 휴대용 전자기기부터 배터리를 이용한 충전 가능한 전기차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여러 개의 배터리 셀을 직/병렬로 연결하여 태양광, 풍력 등에서 만들어진 전기를 저장하여 사용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Currently, batteries are used as storage devices for electric energy in many places, and most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batteries are in the form of cylindrical, prismatic, and pouch.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ies are widely used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notebooks, and electric vehicles that can be recharged by batteries. Recently,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 or in parallel, ESS (Energy Storage System) that stores and uses energy.

일반적으로 부스바는 복수의 배터리 셀들이 적층되어 형성될 때,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 사용된다. 즉 부스바(bus bar)는 전기적 연결 및 전류통로의 역할을 하는 판재형태의 전기 부품을 칭한다. In general, a bus bar is used to electrically connect battery cells when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nd formed. That is, a bus bar refers to an electric component in the form of a plate that serves as an electrical connection and a current path.

원통형 배터리 셀을 직/병렬 형태로 연결하는 방법에는 배터리 셀의 양극과 음극 단자를 외부의 부스바(Bus Bar)를 이용하여 용접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때 병렬연결(양극끼리 또는 음극끼리의 연결)을 통해 전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직렬연결(양극과 다른 전지의 음극을 연결)을 통해 전압을 올릴 수 있다. 주로 배터리셀의 양극과 음극과 동일한 소재인 니켈판을 이용하여 용접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In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cylindrical battery cells in a straight / parallel manner, most of the anode and cath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 are welded using an external bus bar. At this time, the current capacity can be increased through the parallel connection (connection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the voltage can be increased through the series connection (connecting the anode to the cathode of the other battery). Mostly, welding is performed using a nickel plate, which is the same material as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of a battery cell.

즉, 리튬배터리 팩은 필요한 전압과 용량을 달성하기 위해 다수 내지 수천 개의 소용량 리튬이온 전지를 직렬과 병렬로 연결해야하는데, 연결하는 방법에 따라 부스바가 다르게 사용되고 있고, 일반적으로 스폿 용접이나 초음파 용접에는 얇은 니켈판이나 알루미늄판이 사용되고 있고, 와이어 본딩에는 알루미늄 와이어 등이 사용되고 있다.That is, in order to achieve the required voltage and capacity, a lithium battery pack has to be connected in parallel with a series of small-capacity lithium-ion batteries in a small capacity. Depending on the connection method, the booth bar is used differently. Generally, A thin nickel plate or aluminum plate is used, and an aluminum wire or the like is used for wire bonding.

종래의 방법으로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의 양극과 음극을 직렬과 병렬로 연결할 때 별도의 극판과 배터리 전극 사이를 순간적으로 전압을 가하는 점(Spot)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 등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형태로 다수의 셀을 직렬과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when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of a battery are connected in series and in series, spot welding or laser welding, which applies an instantaneous voltage between a separate electrode plate and a battery electrode, And a plurality of cells can b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erial.

그러나, 소용량 원통 셀 다수개를 직/병렬로 연결해서 사용하는 전지팩의 구조에서는 경우에 따라 수천 개를 직렬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배터리 셀을 Spot 용접을 통해 결합시키는 경우 진동으로 인한 접점 불량 또는 용접불량 등이 다수 발생하며, 배터리 셀이 병렬로 연결된 경우에도 하나의 셀 내부에서 (+)와 (-)를 분리해주는 분리판이 손상될 경우 셀 하나뿐만 아니라 하나의 셀과 병렬 연결된 배터리 모듈 전체가 (+)와 (-)가 연결되어 쇼트 상태가 발생하여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배터리 셀이 정상 작동하더라도 쇼트 상태에 있는 배터리 셀로 인해 나머지 병렬 연결된 전체 배터리 모듈에서 전기에너지를 소모하게 되어 정상적인 배터리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structure of a battery pack in which a plurality of small-capacity cylindrical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in parallel, several thousand batteries may be connected in series and in parallel. When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coupled through spot welding, (+) And (-) in one cell are damaged, even if the battery cells are connected in parallel. In addition, when a battery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one cell as well as a cell (+) And (-)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ause a short-circuit state. Even if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nected in parallel operate normally, the battery cells in a short state consume electric energy in the remaining battery modules connected in paralle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attery can not be used.

이로 인해 다수의 셀이 결합된 전체 배터리 팩의 수명이 이를 구성하고 있는 몇 개의 배터리 셀에서 노화 및 단자저항 증가 등으로 인한 수명 단축이 발생할 경우 배터리 팩을 구성하고 있는 나머지 정상적인 배터리 셀들은 그 수명을 다할 때까지 사용하지 못하고 가장 문제가 되는 셀과 같이 수명을 다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Therefore, if the lifetime of the entire battery pack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are combined is shortened due to aging and terminal resistance increase in some of the battery cells constituting the remaining battery pack, the remaining normal battery cells constituting the battery pack have a service life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life span is exhausted as the most problematic cell can not be used until it is exhausted.

또한, spot 용접된 배터리 셀의 경우 불량발생시 접점 불량 부위를 찾아내기도 어렵고, 다시 Spot 용접을 통해 결합하는 작업은 전기적으로 쇼트 발생가능성과 대형 배터리 팩 자체의 고중량 등 때문에 매우 어려운 작업이므로 각 원통 셀을 직/병렬로 연결할 때 직/병렬 체결 후 손쉽게 분리하는 방법을 해결해야 한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find a defective contact point in the case of a spot welded battery cell, and the work of joining through spot welding is very difficult due to the possibility of electric short-circuit and the heavy weight of the large battery pack itself. In the case of direct / parallel connection,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method of easily separating after serial / parallel connection.

즉, 리튬배터리 팩은 필요한 전압과 용량을 달성하기 위해 다수 내지 수천 개의 소용량 리튬이온 전지를 직렬과 병렬로 연결을 통해 사용되는 데, 이를 연결하기 위해 리튬배터리 팩에 적용되는 방법에 따라 사용하는 부스바가 달라지게 되고, 일반적으로 스폿 용접이나 초음파 용접에는 얇은 니켈판이나 알루미늄판이 사용되고 있고, 와이어 본딩에는 알루미늄 와이어 등이 사용되고 있다.That is, in order to achieve the required voltage and capacity, a lithium battery pack is used by connecting several small-sized lithium-ion batteries in series and in parallel. In order to connect them, a booth A thin nickel plate or an aluminum plate is used for spot welding or ultrasonic welding, and an aluminum wire or the like is used for wire bonding.

한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리튬전지의 원통형 셀의 다수개를 직/병렬로 연결하기 위해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리튬전지가 삽입되는 외부프레임의 각 끝단에 조립홈이 구비된 소정 길이의 일자 형태로 구성된 부스바(1)를 고안하였고, 조립홈(2)을 통해 각 외부프레임과 체결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ound that, in order to connect a plurality of cylindrical cells of a lithium battery in series or in parallel, as shown in FIG. 3 attached to each end of an outer frame into which a cylindrical lithium battery is inserted A bus bar 1 having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a shape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designed, and a method of tightening the bus bar 1 with each outer frame through the assembly groove 2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첨부된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정의 길이로 각 끝단에 조립홈(2)이 구비된 부스바(1)의 경우 외부프레임(3)과 볼트(4)로 조립이 용이하지만, 다수개의 리튬전지 셀의 외부프레임(3)과 조립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많이 들고, 용량에 따라 수십 내지 수백개의 리튬이온 전지를 연결하는 작업이 복잡하여 부스바를 잘못 연결할 경우 배터리의 성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전지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불량으로 인한 전지교체를 위해 외부프레임을 분해할 시 각각 볼트를 풀어야 하는 사용상의 제약이 있어 불편함이 발생한다.However, as shown in FIGS. 4 to 6, in the case of the bus bar 1 having the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assembly groove 2 at each end thereof, the assembly can be easily assembled by the outer frame 3 and the bolts 4 However, it takes a lot of time to assemble with the outer frame (3) of a plurality of lithium battery cells, and the operation of connecting several tens to several hundreds of lithium ion batteries depending on the capacity is complicated. And there is a restriction in the use of each bolt when disassembling the outer frame for replacing the battery due to a failure occurring when the battery is used, which is inconvenient.

따라서, 본 발명은 리튬전지를 셀케이스에 삽입되고 리튬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리튬이온 전지 셀을 형성하는 외부프레임에 따라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부스바를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s bar which is inserted into a cell case of a lithium battery and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ccording to an outer frame forming a lithium ion battery cell constituting a lithium battery pack.

1. 필름 커패시터용 클래드메탈 부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커패시터(CLAD METAL BUS BAR FOR FILM CAPACITOR FOR CAR VEHICLE AND FILM CAPACITOR FOR CAR VEHICLE THEREOF)(특허등록번호 제10-1532229호)1. CLAD METAL BUS BAR FOR FILM CAPACITOR AND FILM CAPACITOR CONTAINING THE SAME (CLAD METAL BUS BAR FOR FILM CAPACITOR FOR CAR VEHICLE AND FILM CAPACITOR FOR CAR VEHICLE THEREOF) (Patent Registration No. 10-1532229) 2. 배터리 연결용 부스바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연결용 부스바(METHOD FOR MANUFACTURING BUSBAR FOR CONNECTING BATTERY AND BUSBAR MANUFACTURED THEREOF)(특허출원번호 제10-2015-0104195호)2. METHOD FOR MANUFACTURING BUSBAR FOR CONNECTING BATTERY AND BUSBAR MANUFACTURED THEREOF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104195) 3. 전류센서용 클래드메탈 부스바(CLAD METAL BUS BAR FOR CURRENT SENSOR)(특허출원번호 제10-2013-0111956호)3. CLAD METAL BUS BAR FOR CURRENT SENSOR FOR CURRENT SENSOR (Patent Application No. 10-2013-0111956)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동박 기판으로 형성되어 리튬배터리 셀과의 체결을 위한 다수개의 단자홀과 수나사를 통해 외부 프레임과 일체로 체결할 수 있어 리튬이온 전지를 직렬과 병렬로 연결하는 작업을 통해 작업자가 부스바 연결에 따른 오류해소, 체결작업 중 부스바를 고정하여 작업의 편리성, 연결작업에 따른 자동화가 가능한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hich can be integrally formed with an outer frame through a plurality of terminal holes and male screws for fastening with a lithium battery cell,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CB bus bar for use in a lithium battery pack capable of eliminating an error caused by a connection of a bus bar by a worker connecting the bus bar, fixing the bus bar during a fastening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일체의 동박 기판으로 구비된 PCB 부스바로 형성됨으로서 종래의 초음파 용접, 점 용접(Spot Welding) 또는 레이저 용접을 통한 직/병렬 연결을 통해 발생하는 셀의 열손실 및 내부저항 증가의 문제의 발생을 개선하고 전체 배터리 팩의 성능저하에 따른 배터리 셀을 교체, 분리가 용이한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heat loss and increase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cell caused by the serial / parallel connection through the conventional ultrasonic welding, spot welding or laser weld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CB booth bar for use in a lithium battery pack that improves the occurrence of problems and facilitates replacement and detachment of the battery cell due to deterioration of performance of the entire battery pack.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는, 4개의 리튬 배터리 셀이 나란하게 각각 삽입되도록 배터리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의 원주를 따라 공기의 유동을 돕도록 내부에 다수개의 원형 슬롯이 구비된 제 1 외부프레임과 제 1 외부프레임과 동일한 형태로 원통형 배터리 셀의 반대편에서 셀의 반대 전극이 삽입되도록 배터리 삽입홈을 구비한 제 2 외부프레임, 볼트 결합을 위한 전극 단자가 각각 안착될 수 있도록 단자형태의 4개의 단자홈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외부 프레임의 양쪽 끝단에 각각 위치하여 외부 프레임과 결속되는 한 쌍의 외부 프레임 커버, 상기 외부 프레임 커버의 하부에서 단자홈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외부 프레임과 각각 접촉하는 스프링을 통해 배터리 셀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스프링과 결속되는 단자 볼트홈이 구비된 4개의 전극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에 있어서, 리튬 배터리 셀이 삽입되어 각각 체결되는 외부프레임에 전극단자가 안착되어 결속된 외부프레임커버와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외부프레임커버와 밀착되고 전극단자와 체결을 위하여 단자홀이 형성된 동박 기판으로 수나사를 통해 단자홀과 전극단자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CB booster bar for use in a lithium battery pack, comprising: a battery insertion groov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four lithium battery cells are inserted side by side; A second outer frame having a battery insertion groove for inserting the opposite electrode of the cell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in the same form as the first outer frame, a first outer frame having a plurality of circular slots therein to assist flow, A pair of outer frame covers each having four terminal grooves so that electrode terminals for bolt connection can be seated, respectively, and are respectively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outer frame and coupled with the outer frame; Respectively, and the power of the battery cell is supplied through the springs,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outer frame, respectively A PCB bus bar used for a lithium battery pack including four electrode terminals provided with a terminal bolt groove engaged with a spring, wherein the electrode terminal is seated and bound to an outer frame, And a terminal hole and an electrode terminal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rough a male screw with a copper foil board having a terminal hole for tightening with the electrode terminal and closely contacting the outer frame cov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outer frame cover and the battery cell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는 상기 동박 기판은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에 회로를 구성하거나 회로 구성없이 동박 전체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단자와 수나사로 체결을 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단자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CB bus bar used in a lithium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ircuit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CB, or the entire copper foil may be formed without a circuit configuration. And a plurality of terminal holes are formed in the terminal ho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는 상기 동박 기판의 양쪽 면에 부착된 동박 전체를 부스바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CB booth bar used in the lithium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ire copper foil attached to both surfaces of the copper foil board is used as a booth ba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는 리튬 배터리 셀이 나란하게 각각 삽입되도록 배터리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의 원주를 따라 공기의 유동을 돕도록 내부에 다수개의 원형 슬롯이 구비된 제 1 외부프레임과 제 1 외부프레임과 동일한 형태로 원통형 배터리 셀의 반대편에서 셀의 반대 전극이 삽입되도록 배터리 삽입홈을 구비한 제 2 외부프레임, 볼트 결합을 위한 전극 단자가 각각 안착될 수 있도록 단자형태의 4개의 단자홈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외부 프레임의 양쪽 끝단에 각각 위치하여 외부 프레임과 결속되는 한 쌍의 외부 프레임 커버, 상기 외부 프레임 커버의 하부에서 단자홈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외부 프레임과 각각 접촉하는 스프링을 통해 배터리 셀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스프링과 결속되는 단자 볼트홈이 구비된 4개의 전극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에 있어서, 리튬 배터리 셀이 삽입되어 각각 체결되는 외부프레임에 전극단자가 안착되어 결속된 외부프레임커버의 2개를 하나로 연결하기 위해 각 외부프레임커버와 밀착되고 각 전극단자와 체결을 위하여 단자홀이 형성된 동박 기판으로 수나사를 통해 각 단자홀과 전극단자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한다.The PCB booth bar used in the lithium battery p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attery insertion grooves for inserting the lithium battery cells side by side, A second outer frame having a battery insertion groove such that the opposite electrode of the cell is inser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in the same form as the first outer frame having the slot and the electrode terminal for the bolt connection, A pair of outer frame covers respectively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outer frame and coupled to the outer frame, and a pair of outer frame covers inserted into the terminal groove at the bottom of the outer frame cover, respectively A terminal connected to the spring for receiving power of the battery cell through a spring in contact with the outer frame, A PCB bus bar for use in a lithium battery pack comprising four electrode terminals provided with bolt grooves, the PCB bus bar comprising two outer frame covers, each of which has an electrode terminal secured to an outer frame, Each terminal hole and the electrode terminal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rough a male screw through a copper-clad board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frame cover and has a terminal hole for fastening to each electrod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는, PCB의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에 부착된 동박에 회로를 구성하거나 회로 구성없이 동박 전체를 부스바로 사용함으로써 리튬이온 전지를 직렬과 병렬로 연결하는 작업을 단순화함으로써 작업자가 부스바를 잘못 연결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배터리 성능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CB booth bar used in the lithium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ructed by forming a circuit on a copper foil attach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a PCB or by using a copper foil as a whole without a circuit configuration, By simplifying the task of connecting in parallel,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operator connecting the booth bar incorrectly, thereby solving the possibility of the battery performance proble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는 다수개의 배터리 모듈이 결합된 배터리 팩에서 낱개의 배터리 셀에 문제가 발생시 문제가 되는 몇 개의 배터리 셀만 분해하여 교체하면 전체 배터리 패의 성능을 유지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어 적은 비용으로 배터리 팩의 성능을 효율적으로 유지하고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CB booth bar used in the lithium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tery pack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are combined. When a problem occurs in a single battery cell,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pack can be maintained and used continuously. Thu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aintain and manage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pack at a low cos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는 동박 기판으로 형성되고 리튬배터리 셀과의 체결을 위한 다수개의 단자홀과 수나사를 통해 외부 프레임과 일체로 체결할 수 있어 리튬이온 전지를 직렬과 병렬로 연결하는 작업을 통해 작업자가 부스바 연결에 따른 오류를 해결할 수 있고, 체결할 위치에 장착하고 체결작업 중 부스바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 간단하여 연결작업에 따른 자동화를 유도할 수 있어 시간 절약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CB bus bar used in the lithium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copper foil board and can be integrally fastened to the outer frame through a plurality of terminal holes and male screws for fastening with the lithium battery cell, By connecting the ion battery in parallel with the serial, it is possible to solve the error caused by the connection of the bus bar by the operator, and it is possible to mount it at the position to be fastened and to fix the bus bar so that the bus bar does not move during the fastening operation. The time can be saved and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는 일체의 동박 기판으로 구비된 PCB 부스바로 형성됨으로서 종래의 초음파 용접, 점 용접(Spot Welding) 또는 레이저 용접을 통한 직/병렬 연결을 통해 발생하는 셀의 열손실 및 내부저항 증가의 문제의 발생을 개선하고 전체 배터리 팩의 성능저하에 따른 배터리 셀을 교체, 분리가 용이하여 배터리 팩의 부분 교체 또는 수리의 편리성을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the PCB booth bar used in the lithium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s a PCB booth bar made of a single copper foil board, it can be manufactured by a conventional method such as ultrasonic welding, spot welding,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eat loss and increase of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cell caused by the connection and to easily replace or disassemble the battery cell due to the deterioration of performance of the entire battery pack, .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는 기판의 한쪽 면이나 양쪽 면에 부착된 동박에 회로를 구성하거나 회로 구성없이 동박 전체를 부스바로 사용함으로써 리튬배터리 팩의 전압과 용량에 의해 직렬과 병렬로 연결하는 리튬이온 전지의 숫자를 달리하여 필요에 따라 그 정격전원을 가변적으로 자유롭게 조정이 가능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한다.In addition, a PCB bus bar used in a lithium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structed by forming a circuit on a copper foil attach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a substrate, or by using the entire copper foil without a circuit configuration, By varying the number of lithium ion batteries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by voltage and capacity, the rated power can be freely adjusted freely according to need, providing ease of use.

도 1은 종래의 방식인 Spot 용접을 통해 제작된 리튬이온 배터리팩 구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로서 리튬이온 배터리팩의 구조의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배터리 팩을 연결하는 부스바의 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부스바를 통해 배터리 팩을 연결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PCB 부스바가 적용되는 배터리 팩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PCB 부스바가 적용되는 배터리 팩이 결합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의 구성도.
도 10은 도 9의 PCB 부스바를 통해 배터리 팩을 연결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의 구성도.
도 12는 도 10의 PCB 부스바를 통해 배터리 팩을 연결한 상태도.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thium ion battery pack structure manufactured through a conventional spot weldin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ucture of a lithium ion battery pack as another conventional exampl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us bar connecting a conventional battery pack.
FIGS. 4 to 6 ar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pack is connected through the bus bar of FIG. 3;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to which a PCB booth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pack to which a PCB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9 is a schematic view of a PCB bus bar used in a lithium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pack is connected through the PCB bus bar of FIG. 9;
11 is a schematic view of a PCB bus bar used in a lithium battery p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pack is connected through the PCB bus bar of FIG. 10;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첨부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PCB 부스바의 체결을 위한 배터리 팩의 구조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배터리 팩 구조는 크게 외부프레임(10a,10b), 외부프레임 커버(20), 전극단자(30) 및 스프링(4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외부 프레임은 서로 체결구조를 갖는 제 1 외부프레임(10a) 및 제 2 외부프레임(10b)로 구성된다. 제 1 외부프레임(10a)은 4개의 소형 원통 배터리 셀(70)이 나란하게 각각 삽입되도록 배터리 삽입홈(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되고 삽입홈의 원주를 따라 공기의 유동을 돕도록 내부에 다수개의 원형 슬롯(도면부호 미도시)이 구비되고, 제 2 외부프레임(10b)은 제 1 외부프레임(10a)과 제 1 외부프레임(10a)과 동일한 형태로 원통형 배터리 셀(70)의 반대편에서 셀의 반대 전극이 삽입되도록 배터리 삽입홈이 구비되어 제 1 외부프레임(10a)과 체결된다.7 and 8 illustrate a structure of a battery pack for fastening a PCB booth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pack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uter frames 10a and 10b, an outer frame cover 20, A terminal 30 and a spring 40. The outer frame is composed of a first outer frame 10a and a second outer frame 10b having a fastening structure. The first outer frame 10a is formed with a battery insertion groove (not shown) so that four small cylindrical battery cells 70 are inserted in parallel,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internal And a second outer frame 10b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70 in the same form as the first outer frame 10a and the first outer frame 10a, And a battery insertion groove is provided to insert the opposite electrode of the battery pack 10 into the first outer frame 10a.

상기 외부프레임 커버(20a,20b)는 각각 볼트 결합을 위해 커버 하부에 전극단자(30)가 안착되는 단자형태의 4개의 단자홈(21)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1 외부 프레임(10a)의 끝단에 위치하여 제 1 외부 프레임(10a)과 결속되는 제 1 외부 프레임 커버(20a), 제 2 외부 프레임(10b)의 끝단에 위치하여 제 2 외부 프레임(10b)과 결속되는 제 2 외부 프레임 커버(20b)가 형성된다.Each of the outer frame covers 20a and 20b is provided with four terminal grooves 21 each having a terminal shape in which an electrode terminal 30 is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cover for bolt connection, A first outer frame cover 20a positioned at an end of the first outer frame 10b and engaged with the first outer frame 10a and a second outer frame cover 20b positioned at an end of the second outer frame 10b and engaged with the second outer frame 10b, (20b) are formed.

상기 전극단자(30)는 각각 4개의 단자로 구성되고, 외부프레임 커버(20a,20b)의 하부에서 단자홈(21)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외부 프레임(10a,10b)와 각각 접촉하는 스프링(40)을 통해 배터리 셀(70)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스프링(40)과 결속되는 단자 볼트홈(31)이 구비된다.The electrode terminal 30 is formed of four terminals and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groove 21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frame covers 20a and 20b and connected to the outer frame 10a and 10b, The terminal bolt groove 31 is connected to the spring 40 to receive the power of the battery cell 70 through the terminal bolt 40.

상기의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의 구성 및 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PCB 부스바(100)에 의해 연결되어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된다.9 and 10 illustrate the structure and the state of the PCB bus bar used in the lithium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connected by the PCB bus bar 100 to supply power to the battery.

이하, 첨부된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PCB 부스바의 특징 및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PCB 부스바(100)는 원통 리튬배터리 셀(70)이 삽입되어 각각 체결되는 외부프레임(10a, 10b)에 전극단자(30)가 안착되어 결속된 외부프레임커버(20a,20b)와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외부프레임커버(20a,20b)와 밀착되고 전극단자(30)와 체결을 위한 동박 기판으로 형성되고 단자홀(130)이 구비되어 수나사(120)을 통해 단자홀(130)과 전극단자(30)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9 and 10, a PCB bus ba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rical lithium battery cell 70 inserted therein, The outer frame covers 20a and 20b in which the electrode terminals 30 are seated and attached to the outer frames 10a and 10b and the outer frame covers 20a and 20b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battery cells, And a terminal hole 130 is formed to fasten the terminal hole 130 and the electrode terminal 30 through the male screw 120. [

즉, 상기 PCB 부스바(100)의 동박 기판은 상기 외부프레임커버(20a,20b)에 밀착되고 상기 외부프레임커버(20a,20b) 하부의 전극단자(30)와 단자홀(130)에 삽입되는 수나사(120)을 통해 일체로 체결되는 구조이다.That is, the copper foil board of the PCB bus bar 100 is closely attached to the outer frame covers 20a and 20b and inserted into the electrode terminals 30 and the terminal holes 130 below the outer frame covers 20a and 20b And is integrally fastened through the male screw 120.

상기 단자홀(130)은 외부프레임커버(20a, 20b)하부의 전극단자와 체결을 위해 동일한 수의 단자홀이 형성된다.The terminal holes 130 are formed with the same number of terminal holes for fastening to the electrode terminals under the outer frame covers 20a and 20b.

한편, 상기 PCB 부스바(100)의 동박 기판은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에 회로를 구성하거나 회로 구성없이 동박 전체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단자(30)와 수나사(120)로 체결을 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단자홀(130)이 형성된다.The copper foil board of the PCB booth bar 100 may have a circuit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circuit board or the entire copper foil may be formed without a circuit configuration. Terminal holes 130 are formed.

첨부된 도 10과 같이 4개의 리튬배터리가 삽입되어 4S의 배터리 셀의 구성과 같이 외부프레임커버(20a,20b)과 PCB 부스바(100)가 수나사(120)을 통해 체결되어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사용된다.As shown in FIG. 10, four lithium batteries are inserted and the outer frame covers 20a and 20b and the PCB bus bar 100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rough the male screw 120 as in the structure of the battery cell of the 4S, It is used in connection.

상기의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 및 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다수개의 리튬배터리 셀의 연결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11 and 12 illustrate a structure and a st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CB bus bar used in the lithium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lithium battery cells.

즉, 다수개의 리튬배터리 셀을 PCB 부스바(200)에 의해 연결되어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동작되는데, 상기 PCB 부스바(200)는 원통 배터리 셀(70)이 삽입되어 각각 체결되는 외부프레임(10a, 10b)에 전극단자(30)가 안착되어 결속된 외부프레임커버(20a,20b)의 2개를 하나로 연결하기 위해 각 외부프레임커버(20a,20b)와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각 외부프레임커버(20a,20b)와 밀착되고 각 전극단자(30)와 체결을 위한 동박 기판으로 형성되고 단자홀(230)이 구비되어 수나사(220)을 통해 단자홀(230)과 전극단자(30)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That is, a plurality of lithium battery cells are connected to the PCB bus bar 200 to supply power to the battery. The PCB bus bar 200 includes an outer frame (not shown) 20b and the outer frame covers 20a, 20b to connect the outer frame covers 20a, 20b to the outer frame covers 20a, 20b by connecting the outer frame covers 20a, 20b with the electrode terminals 30, The terminal holes 230 and the electrode terminals 30 are formed through the male screws 220. The terminal holes 230 are formed by a copper foil board for tightening the frame covers 20a and 20b and fastened to the electrode terminals 30, Respectively.

즉, 상기 PCB 부스바(200)의 동박 기판은 상기 각 외부프레임커버(20a,20b)에 밀착되고 상기 외부프레임커버(20a,20b) 하부의 각 전극단자(30)와 단자홀(230)에 삽입되는 수나사(220)를 통해 일체로 체결되는 구조이다.That is, the copper-clad board of the PCB bus bar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frame covers 20a and 20b, and the electrode terminals 30 and the terminal holes 230 under the outer frame covers 20a and 20b And is integrally fastened through the inserted male screw 220.

상기 단자홀(130)은 외부프레임커버(20a, 20b)하부의 전극단자와 체결을 위해 동일한 수의 단자홀이 형성된다.The terminal holes 130 are formed with the same number of terminal holes for fastening to the electrode terminals under the outer frame covers 20a and 20b.

한편, 상기 PCB 부스바(200)의 동박 기판은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에 회로를 구성하거나 회로 구성없이 동박 전체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단자(30)와 수나사(220)로 체결을 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단자홀(230)이 형성된다.The copper foil board of the PCB booth bar 200 may have a circuit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circuit board or the entire copper foil may be formed without a circuit configuration. Terminal holes 230 are formed.

첨부된 도 12와 같이 2개의 리튬배터리 셀이 외부프레임커버(20a,20b)과 PCB 부스바(200)와 수나사(220)을 통해 체결되어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사용된다.12, the two lithium battery cells are coupled through the outer frame covers 20a and 20b, the PCB bus bar 200 and the male screw 220 to electrically connect the battery cells.

또한, PCB 부스바(200)를 통해 체결된 리튬배터리 셀은 사용되는 전원의 용량에 따라 다수개의 배터리 셀이 결합키(도면부호 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목적에 따라 다단으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Also, the lithium battery cells fastened through the PCB bus bar 200 may be connected in multiple stages depending on the purpos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by a coupling key (not shown)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a power source to be used .

본 발명에 따른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100,200)는 기판의 한쪽 면이나 양쪽 면에 부착된 동박에 회로를 구성하거나 회로 구성없이 동박 전체를 부스바로 사용하는 것으로, 리튬이온 전지(70)와 스프링(미도시)을 통해 접촉하면서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단자(30)와 수나사(120,220)로 체결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단자홀(130,230)이 형성되고, 리튬배터리 팩의 전압과 용량에 의해 직렬과 병렬로 연결하는 리튬이온 전지의 숫자가 달라지며, 그에 따라 PCB 부스바의 형상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PCB bus bars 100 and 200 used in the lithium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structed by forming a circuit on a copper foil attach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a substrate or using a copper foil as a whole without a circuit configuration. A plurality of terminal holes 130 and 230 are formed so as to be able to be tightened with the terminals 30 and the male screws 120 and 220 having a female screw formed therein and a spring (not shown) The number of lithium ion batteries connected in series and in parallel can be changed by using the shape of the PCB bus bar.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70 : 리튬이온 전지
100, 200 : 기판
120, 220 : 수나사
130, 230 : 단자홀
70: Lithium ion battery
100, 200: substrate
120, 220: Male thread
130, 230: Terminal hole

Claims (6)

4개의 리튬 배터리 셀(70)이 나란하게 각각 삽입되도록 배터리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의 원주를 따라 공기의 유동을 돕도록 내부에 다수개의 원형 슬롯이 구비된 제 1 외부프레임(10a)과 제 1 외부프레임(10a)과 동일한 형태로 원통형 배터리 셀(70)의 반대편에서 셀의 반대 전극이 삽입되도록 배터리 삽입홈을 구비한 제 2 외부프레임(10b), 볼트 결합을 위한 전극 단자(30)가 각각 안착될 수 있도록 단자형태의 4개의 단자홈(21)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외부 프레임(10a, 10b)의 양쪽 끝단에 각각 위치하여 외부 프레임과 결속되는 한 쌍의 외부 프레임 커버(20a, 20b), 상기 외부 프레임 커버(20a, 20b)의 하부에서 단자홈(21)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외부 프레임(10a,10b)와 각각 접촉하는 스프링(40)을 통해 배터리 셀(70)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스프링(40)과 결속되는 단자 볼트홈(31)이 구비된 4개의 전극단자(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에 있어서,
리튬 배터리 셀(70)이 삽입되어 각각 체결되는 외부프레임(10a, 10b)에 전극단자(30)가 안착되어 결속된 외부프레임커버(20a,20b)와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외부프레임커버(20a,20b)와 밀착되고 전극단자(30)와 체결을 위하여 단자홀이 형성된 동박 기판으로 수나사(120)를 통해 단자홀(130)과 전극단자(30)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
A first outer frame 10a in which a battery insertion groove is formed so that four lithium battery cells 70 are inserted side by side and a plurality of circular slots are provided in the inner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to assist air flow, 1, a second outer frame 10b having a battery insertion groove such that the opposite electrode of the cell is inser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70 in the same form as the outer frame 10a, and an electrode terminal 30 for bolt connection And a pair of outer frame covers 20a and 20b which ar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outer frames 10a and 10b and are coupled to the outer frames, respectively, The power source of the battery cell 70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groove 21 at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frame covers 20a and 20b and through the springs 40 contacting the outer frames 10a and 10b, A terminal (not shown) A PCB booth bar used for a lithium battery pack, comprising four electrode terminals (30) provided with bolt grooves (31)
The outer frame covers 20a and 20b to which the electrode terminals 30 are seated and attached to the outer frames 10a and 10b to which the lithium battery cells 70 are inserted, And the terminal hole 130 and the electrode terminal 30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rough the male screw 120 by a copper foil board having a terminal hole for tightening with the electrode terminal 30, PCB booth bar used for battery pac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박 기판은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에 회로를 구성하거나 회로 구성없이 동박 전체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단자(30)와 수나사(120)로 체결을 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단자홀(1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pper-clad substrate may have a circuit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circuit board, or the entire copper foil may be formed without a circuit configuration, and a plurality of terminal holes 130 may be formed so as to be fastened with the terminals 30 and the male screws 120 The PCB booth bar used in the lithium battery pac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박 기판의 양쪽 면에 부착된 동박 전체를 부스바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hole of the copper foil attached to both surfaces of the copper foil board is used as a booth bar.
4개의 리튬 배터리 셀(700)이 나란하게 각각 삽입되도록 배터리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의 원주를 따라 공기의 유동을 돕도록 내부에 다수개의 원형 슬롯이 구비된 제 1 외부프레임(10a)과 제 1 외부프레임(10a)과 동일한 형태로 원통형 배터리 셀(70)의 반대편에서 셀의 반대 전극이 삽입되도록 배터리 삽입홈을 구비한 제 2 외부프레임(10b), 볼트 결합을 위한 전극 단자(30)가 각각 안착될 수 있도록 단자형태의 4개의 단자홈(31)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외부 프레임(10a, 10b)의 양쪽 끝단에 각각 위치하여 외부 프레임과 결속되는 한 쌍의 외부 프레임 커버(20a, 20b), 상기 외부 프레임 커버(20a, 20b)의 하부에서 단자홈(21)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외부 프레임(10a,10b)과 각각 접촉하는 스프링(40)을 통해 배터리 셀(70)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스프링(40)과 결속되는 단자 볼트홈(31)이 구비된 4개의 전극단자(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에 있어서,
리튬 배터리 셀(70)이 삽입되어 각각 체결되는 외부프레임(10a, 10b)에 전극단자(30)가 안착되어 결속된 외부프레임커버(20a,20b)의 2개를 하나로 연결하기 위해 각 외부프레임커버(20a,20b)과 밀착되고 각 전극단자(30)와 체결을 위하여 단자홀이 형성된 동박 기판으로 수나사(220)를 통해 각 단자홀(230)과 전극단자(30)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
A first outer frame 10a in which a battery insertion groove is formed so that four lithium battery cells 700 are inserted side by side and a plurality of circular slots are provided in the inner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to assist air flow, 1, a second outer frame 10b having a battery insertion groove such that the opposite electrode of the cell is inser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70 in the same form as the outer frame 10a, and an electrode terminal 30 for bolt connection And a pair of outer frame covers 20a and 20b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outer frames 10a and 10b and coupled to the outer frame, The power source of the battery cell 70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groove 21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frame covers 20a and 20b and through the springs 40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outer frames 10a and 10b, A terminal (not shown) A PCB booth bar used for a lithium battery pack, comprising four electrode terminals (30) provided with bolt grooves (31)
In order to connect two of the outer frame covers 20a and 20b to which the electrode terminals 30 are seated and connected to the outer frames 10a and 10b to which the lithium battery cells 70 are inserted and respectively fastened, And the terminal holes 230 and the electrode terminals 30 are fastened to the copper foil board through the male thread 220 in close contact with the electrode terminals 20a and 20b, The PCB booth bar used for the lithium battery pack.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박 기판은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에 회로를 구성하거나 회로 구성없이 동박 전체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단자(30)와 수나사(220)로 체결을 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단자홀(2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
5. The method of claim 4,
A plurality of terminal holes 230 may be formed in the copper-clad substrate to form a circuit on one or both sides of the copper-clad board, or to form a whole of the copper foil without a circuit configuration and to fasten the terminal 30 and the male- The PCB booth bar used in the lithium battery pack.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박 기판의 양쪽 면에 부착된 동박 전체를 부스바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배터리 팩에 사용하는 PCB 부스바.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whole of the copper foil attached to both surfaces of the copper foil board is used as a booth bar.
KR1020170138399A 2017-10-24 2017-10-24 PCB busbars used in assembling Lithium battery pack KR1020617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399A KR102061747B1 (en) 2017-10-24 2017-10-24 PCB busbars used in assembling Lithium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399A KR102061747B1 (en) 2017-10-24 2017-10-24 PCB busbars used in assembling Lithium battery pa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611A true KR20190045611A (en) 2019-05-03
KR102061747B1 KR102061747B1 (en) 2020-02-20

Family

ID=6658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399A KR102061747B1 (en) 2017-10-24 2017-10-24 PCB busbars used in assembling Lithium battery pa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74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969B1 (en) * 2020-03-04 2021-11-04 (주)엠피에스코리아 A Cell Case Structure for cylindrical battery Cells
KR20230047263A (en) 2021-09-30 2023-04-0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A surface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564A (en) * 1995-04-18 1997-01-10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Battery holder
JP2008034318A (en) * 2006-07-31 2008-02-14 Sanyo Electric Co Ltd Power supply device
CN203445178U (en) * 2013-08-30 2014-02-19 山东神工海特电子科技有限公司 Power lithium ion battery pack
KR101441900B1 (en) * 2013-09-17 2014-09-22 (주)엠피에스코리아 A battery pack
KR20150054545A (en) * 2013-11-12 2015-05-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JP2016072039A (en) * 2014-09-29 2016-05-09 豊田合成株式会社 Bus bar module
KR20170025628A (en) * 2015-08-31 2017-03-08 (주)엠피에스코리아 A battery pack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564A (en) * 1995-04-18 1997-01-10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Battery holder
JP2008034318A (en) * 2006-07-31 2008-02-14 Sanyo Electric Co Ltd Power supply device
CN203445178U (en) * 2013-08-30 2014-02-19 山东神工海特电子科技有限公司 Power lithium ion battery pack
KR101441900B1 (en) * 2013-09-17 2014-09-22 (주)엠피에스코리아 A battery pack
KR20150054545A (en) * 2013-11-12 2015-05-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JP2016072039A (en) * 2014-09-29 2016-05-09 豊田合成株式会社 Bus bar module
KR20170025628A (en) * 2015-08-31 2017-03-08 (주)엠피에스코리아 A battery pack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필름 커패시터용 클래드메탈 부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커패시터(CLAD METAL BUS BAR FOR FILM CAPACITOR FOR CAR VEHICLE AND FILM CAPACITOR FOR CAR VEHICLE THEREOF)(특허등록번호 제10-1532229호)
2. 배터리 연결용 부스바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연결용 부스바(METHOD FOR MANUFACTURING BUSBAR FOR CONNECTING BATTERY AND BUSBAR MANUFACTURED THEREOF)(특허출원번호 제10-2015-0104195호)
3. 전류센서용 클래드메탈 부스바(CLAD METAL BUS BAR FOR CURRENT SENSOR)(특허출원번호 제10-2013-0111956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1747B1 (en)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10450B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1919943B1 (en) A Cell Case Structure for cylindrical battery Cells
JP7045591B2 (en) Battery module with busbar assembly
US8974950B2 (en) Connection structure for battery module,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connecting terminals of battery modules
US7609028B2 (en) Sensing board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module
KR102172519B1 (en) Bus bar assembly for connecting electrode lead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1106544B1 (en) Cell cartridge
EP2150997B1 (en) Battery pack
EP2562842B1 (en) Battery module
EP2624335B1 (en) Rechargeable battery assembly and pack including the same
US20120196174A1 (en) Electrical energy storage cell and cell block,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and the vehicle comprising the same
US11251505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US10096865B2 (en) Secondary cell module
KR20150031861A (en) Battery module
JP4275670B2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module
KR20130129838A (en) Method for producing electric storage device, and spacer and electric storage device
KR20190045611A (en) PCB busbars used in assembling Lithium battery pack
JP2019117732A (en) Power storage device
KR101822879B1 (en) Secondary battery module
JP2020064733A (en) Battery module
CN114678644A (en) Battery p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KR20220012037A (en) Battery module having a simpl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ell lead and voltage sensing membe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10060239A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KR20220065605A (en) Battery Pack, Electric Device, Vehicle,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