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867A - 독거 세대 관제 장치 - Google Patents

독거 세대 관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867A
KR20190044867A KR1020170137339A KR20170137339A KR20190044867A KR 20190044867 A KR20190044867 A KR 20190044867A KR 1020170137339 A KR1020170137339 A KR 1020170137339A KR 20170137339 A KR20170137339 A KR 20170137339A KR 20190044867 A KR20190044867 A KR 20190044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ehavior pattern
emergency situation
elderly
motion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엔스
Priority to KR1020170137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4867A/ko
Priority to CN201711057425.6A priority patent/CN109697829A/zh
Publication of KR20190044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8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an emergency event, e.g. a fal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2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deviation from an expected pattern of behaviour or schedu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거 세대 관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생활 미침해영역과 사생활 침해영역으로 구분되어 설치된 센서 및 카메라를 이용하여 독거노인의 재실 여부 및 응급상황을 판단하는 독거 세대 관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독거 세대의 감시 지역에 설치되어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복수의 움직임 감지부, 독거 세대의 전등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전등 감지부, 움직임 감지부의 신호를 기초로 감지 대상체인 사람과 애완동물의 행동 패턴을 서로 비교하여 구별하는 행동패턴 구별부, 움직임 감지부의 신호를 기초로 대상체의 위치정보와 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확인부, 수의 움직임 감지부, 전등 감지부, 행동패턴 구별부, 및 위치 확인부의 신호를 기초로 대상체의 재실 여부를 판단하는 재실 판단부, 및 위치 확인부에서 생성된 위치정보와 시간정보를 바탕으로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응급상황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 세대 관제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독거 세대 관제 장치{Apparatus for elderly people who lives alone}
본 발명은 독거 세대 관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생활 미침해영역과 사생활 침해영역으로 구분되어 설치된 센서 및 카메라를 이용하여 독거노인의 재실 여부 및 응급상황을 판단하는 독거 세대 관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행기술은 독거 세대의 전기 사용량을 감지하거나, 독거 세대에 각종 센서를 설치하거나, 독거노인에게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장착하여 재실여부 및 긴급상황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선행기술은 사생활 침해영역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불편할 뿐만 아니라 독거노인의 긴급상황 발생을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KR 10-0980426, KR 10-1039626, KR 10-1409299, KR 10-1639954, KR 10-1654609, KR 10-1735540, KR 10-2010-0058272, KR 10-2013-0137976, KR 10-2014-0134109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생활 비침해영역과 침해영역에 각각 카메라 및 동작감지 센서를 설치하고, 동작감지 센서에 의해서도 응급상황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독거 세대의 감시 지역에 설치되어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복수의 움직임 감지부, 독거 세대의 전등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전등 감지부, 움직임 감지부의 신호를 기초로 감지 대상체인 사람과 애완동물의 행동 패턴을 서로 비교하여 구별하는 행동패턴 구별부, 움직임 감지부의 신호를 기초로 대상체의 위치정보와 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확인부, 수의 움직임 감지부, 전등 감지부, 행동패턴 구별부, 및 위치 확인부의 신호를 기초로 대상체의 재실 여부를 판단하는 재실 판단부, 및 위치 확인부에서 생성된 위치정보와 시간정보를 바탕으로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응급상황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 세대 관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움직임 감지부는 사생활 미침해영역으로 설정된 제1 구획영역에 설치되어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움직임 감지부, 및 사생활 침해영역으로 설정된 제2 구획영역에 설치되어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 움직임 감지부를 포함하며,
응급상황 판단부는 대상체가 제1 구획영역에서 제2 구획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구획영역에 기 설정된 시간정보와 제2 움직임 감지부에서 생성된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복수의 움직임 감지부는 사생활 미침해영역으로 설정된 제1 구획영역에 설치되어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움직임 감지부, 및 사생활 침해영역으로 설정된 제2 구획영역에 설치되어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 움직임 감지부를 포함하며,
응급상황 판단부는 대상체가 제1 구획영역 또는 제2 구획영역에 지속적으로 머무르는 경우 낮과 밤에 따라 서로 달리 설정된 각 구획영역에 기 설정된 시간정보와 제1,2 움직임 감지부에서 생성된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행동패턴 구별부는 애완동물의 음성과 대상체의 음성을 인식하여 인식된 음성을 대상체 또는 애완동물에 매칭하는 음성 매칭부, 및 대상체의 행동패턴과 애완동물의 행동패턴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는 행동패턴 특징 분석부를 포함하며, 음성 매칭부 또는 행동패턴 특징 분석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사람과 애완동물을 구별하며, 재실 판단부는 행동패턴 구별부의 구별신호에 따라 재실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서로 그룹화된 독거 세대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지킴이 통신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그룹화 된 상대방 독거 세대의 대상체의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 또는 동영상 정보가 제공되는 지킴이 디스플레이부, 및 위치정보, 시간정보, 및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에 따라 상대방 독거 세대에 응급상황이 발생했다고 판단시에 누르는 지킴이 벨부를 더 포함하며,
응급상황 판단부는 지킴이 벨부의 신호를 감지하여 그룹화된 상대방 독거 세대의 응급상황을 판단하고 이를 상위단으로 알린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생활 비침해영역과 침해영역에 각각 카메라 및 동작감지 센서를 설치함에 의해서도 동작감지 센서가 설치된 사생활 침해영역에서의 응급상황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독거세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독거세대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의 이동시에 사생활 침해영역에서 응급상황이 발생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독거 세대 관제 시스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독거 세대 관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거 세대에 거주하는 1인 이상의 독거노인(1, 대상체)의 재실 감지와 응급상황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독거노인(1)은 각각의 구획된 공간으로 이동하거나 머무르게 된다. 일실시예에 따라 도 1에는 거실, 발코니, 부엌, room1, room2, 화장실로 구분 구획된다. 거실은 독거노인(1)이 낮 시간동안 주로 머무르는 공간이고, room1은 밤 시간동안 주로 머무르는 공간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거실 및 room1은 메인 룸이고, 나머지는 서브 룸일 수 있다. 거실에는 카메라(10) 및 동작감지 센서부(11,12)가 설치되며, 나머지 구획영역에는 동작감지 센서부(13,14,15,16,17)가 각각의 출입영역(또는 출입문)에 설치되어 독거노인(1)의 출입 여부를 감지한다. 이때, 카메라(10)가 설치된 영역은 사생활 미침해영역이고, 동작감지 센서부(13,14,15,16,17)가 설치된 영역은 사생활 침해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생활 미침해영역으로 설정된 구획영역에 카메라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독거노인(10)은 독거 세대에 머무르면서 제1 경로(21), 제2 경로(22) 또는 다양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거나 이동된 장소에서 머무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인식부는 독거 세대에 거주하는 사람이나 애완동물의 음성을 감지하고, 감지된 음성에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한다. 침대 센서부는 침대에 부착되어 독거노인의 압력 또는 무게를 감지한다. 전등 감지부는 독거 세대에 점등되는 전등의 온/오프 상태나 밝기를 감지한다. 음성 인식부, 침대 센서부, 및 전등 감지부에서 생성된 신호는 시간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며, 재실 판단부로도 입력된다. 움직임 감지부는 카메라 또는 동작감지 센서부로서 독거노인을 동영상으로 촬영하거나 또는 각 구획영역의 출입문에 설치되어 각 구획영역으로 출입하는 독거노인을 감지한다. 움직임 감지부의 신호는 행동패턴 구별부와 위치 확인부로 입력되며,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와 서로 매칭되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다.
행동패턴 구별부의 음성 매칭부는 애완동물의 음성과 독거노인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을 독거노인 오브젝트 또는 애완동물 오브젝트에 매칭한다. 즉, 동일한 공간에 독거노인과 고양이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독거노인의 음성은 독거노인 오브젝트에 매칭되고, 고양이의 음성은 고양이 오브젝트에 매칭된다. 따라서 독거 세대에 고양이와 독거노인이 동시에 거주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행동패턴 구별부의 행동패턴 특징 분석부는 독거노인의 행동패턴과 애완동물의 행동패턴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서로를 구별한다. 행동패턴 특징 분석부는 카메라에서 전송되는 동영상을 통해 독거노인과 애완동물의 행동패턴을 구별하거나 또는 동작감지 센서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의해 서로를 구별할 수도 있다. 즉, 애완견과 독거노인이 거실에 상주하는 경우 서로 간의 행동패턴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거실에 설치된 복수의 동작감지 센서부에서 획득된 신호를 기초로 독거노인과 애완견을 서로 구별한다. 독거노인과 애완견의 행동패턴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학습될 수 있다.
위치 확인부는 복수의 움직임 감지부의 신호를 바탕으로 독거노인 또는 애완동물의 위치정보와 시간정보를 생성한다. 즉, 도 1에서 독거노인(1)이 제1 경로(21)를 따라 거실에서 화장실로 이동한다고 가정하면, 위치 확인부는 거실에 설치된 카메라(10) 또는 동작감지 센서부(11,12)의 신호를 기초로 거실에 머무르고 있는 동안의 위치정보와 시간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부에 실시간 기록한다. 또한 독거노인(1) 화장실로 들어가면 위치 확인부는 동작감지 센서부(17)의 신호를 기초로 화장실에 머무르고 있는 동안의 위치정보와 시간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부에 실시간 기록한다. 이때, 위치정보는 각 동작감지 센서부가 설치된 장소의 장소정보일 수 있다. 재실 판단부는 상술한 전체 내용을 바탕으로 독거노인이 독거 세대에 거주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하에서는 독거노인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했음을 판단하고 이를 상위 단으로 알리는 것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독거 세대에 발생한 화재나 가스누출 또는 장마철에 침수가 발생한 경우에 이를 인식하여 응급상황 판단부는 상위 단으로 응급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재실 판단부에서 판단한 재실 여부를 기초로 응급상황을 판단할 수도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거노인이 제1 경로(21)를 따라 거실에서 화장실로 이동한 경우에 화장실에서 예기치 않은 긴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도 3에서 독거노인이 거실에 위치한 경우에 재실 판단부는 카메라로부터 생성된 동영상 이미지(110,120,130)를 위치 확인부로부터 제공받아 분석함으로써 독거노인(1)의 재실 여부를 알 수 있다. 이때, 독거노인(1)이 화장실로 제1 경로(21)를 따라 이동하면 t3 시간에서 획득된 제3 동영상 이미지(130)에서는 독거노인(1)이 감지되지 않는다. 또한, 독거노인(1)이 화장실로 들어서면 동작감지 센서부(17)의 동작 감지신호가 t4 시간에 생성된다. 제어부는 생성된 동작 감지신호 및 카메라로부터의 동영상 이미지를 바탕으로 독거노인(1)의 이동 경로를 파악한다. 이때, 제어부는 거실에서 화장실로 들어선 순간(t4)부터 시간을 카운팅하고, 이 카운팅 시간정보와 화장실에서 최대 머무를 수 있는 기 설정된 시간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이를 초과하는 경우 비상상황이 발생했음을 감지한다(기 설정된 시간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에 각 구획영역별로 달리 저장된다). 물론 이때, 음성 인식부가 각 구획영역에 설치되어 있으면 음성을 분석하여 긴급상황이 발생했음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각 구획영역의 기 설정된 시간정보는 독거노인이 머무를 수 있는 시간이 다르므로 서로 달리 저장될 수 있다. 화장실을 나가서 다시 제1 경로(21)를 따라 거실로 돌아오면 t5 시간에 카메라로부터 동영상 이미지(140)가 획득되고, 독거노인(1)이 감지된다.
상술한 예에서, 만약 독거노인(1)이 거실에서 이동했지만 복수의 동작감지 센서부 중 어느 하나에도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다면 제어부는 비상 알람을 먼저 울리고, 일정시간 이후에도 비상 알람이 독거노인(1)에 의해 꺼지지 않는다면 응급상황 판단부는 긴급상황이 발생했음을 상위단으로 알리도록 한다.
한편, 독거노인(1)이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을 하는 경우가 아니라 예를 들어 room1에 지속적으로 머물고 있는 경우에는 응급상황 판단부는 낮과 밤에 따라 서로 달리 설정된 room1의 기 설정된 시간정보와 제2 움직임 감지부에서 생성된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긴급상황(또는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room1에서 독거노인(1)이 움직이고 있다면 동작감지 센서부(15)에서 지속적으로 동작감지 신호가 생성될 것이기 때문에 시간정보의 비교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더라도 보완적으로 동작감지 신호의 패턴을 분석하여 응급상황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는 이러한 동작감지 신호의 패턴을 분석하여 독거노인(1)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독거노인(1)이 room1에서 쓰러진 경우와 room1에서 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패턴은 다를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생활 미침해영역에서는 카메라를 통해 독거노인(1)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재실 여부 및 긴급상황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사생활 침해영역에서는 동작감지 센서부를 설치하여 재실 여부를 판단한다. 다만, 이때 동작감지 센서부에 의해서는 긴급상황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인식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시간정보와 동작감지 센서부가 설치된 구획영역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긴급상황의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독거 세대 간을 서로 그룹화를 하여 독거노인 상호 간을 서로 연결하여 준다면 서로를 지켜줄 수 있는 지킴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지킴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지킴이 통신부는 서로 그룹화된 독거 세대 상호 간을 네트워크 연결한다. 지킴이 디스플레이부는 지킴이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그룹화 된 상대방 독거 세대의 독거노인의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 또는 동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지킴이 벨부는 위치정보, 시간정보, 및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에 따라 상대방 독거 세대에 응급상황이 발생했다고 판단시에 상대방 독거노인에 의해 눌려진다. 응급상황 판단부는 지킴이 벨부의 신호를 감지하여 그룹화된 상대방 독거 세대의 응급상황을 판단하고 이를 상위단으로 알린다.
또한, 지킴이 통신부는 독거노인 상호 간의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독거노인의 경우에는 휴대전화가 없을 수도 있으므로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에 의해 상호간의 안부와 고독을 해결할 수도 있다.
한편, 독거 세대에 2명 이상의 독거노인이 존재하는 경우에 제어부는 각각의 독거노인을 분리하여 태그 관리함으로써 개별적으로 독거노인의 재실 여부 및 응급상황 여부를 상술한 원리에 따라 관리할 수 있다. 일예로서 1인의 독거노인은 거동이 불편하여 몸 져 누워있고, 다른 1인의 독거노인은 거동이 가능한 경우 독거노인의 상태에 따라 개별 관리한다. 거동이 불편한 독거노인은 카메라를 설치하여 감시함으로써 재실 여부 및 응급상황 여부를 판단한다. 거동이 자유로운 독거노인은 상술한 원리에 따라 재실여부 및 응급상황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 : 독거노인
10 : 카메라(또는 제1 움직임 감지부)
11,12,13,14,15,16,17 : 동작감지 센서부(또는 제2 움직임 감지부)
21 : 제1 경로
22 : 제2 경로
110 : 제1 동영상 이미지
120 : 제2 동영상 이미지
130 : 제3 동영상 이미지
140 : 제4 동영상 이미지

Claims (5)

  1. 독거 세대의 감시 지역에 설치되어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복수의 움직임 감지부,
    독거 세대의 전등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전등 감지부,
    상기 움직임 감지부의 신호를 기초로 감지 대상체인 사람과 애완동물의 행동 패턴을 서로 비교하여 구별하는 행동패턴 구별부,
    상기 움직임 감지부의 신호를 기초로 상기 대상체의 위치정보와 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확인부,
    상기 복수의 움직임 감지부, 전등 감지부, 행동패턴 구별부, 및 위치 확인부의 신호를 기초로 대상체의 재실 여부를 판단하는 재실 판단부, 및
    상기 위치 확인부에서 생성된 위치정보와 시간정보를 바탕으로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응급상황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 세대 관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움직임 감지부는,
    사생활 미침해영역으로 설정된 제1 구획영역에 설치되어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움직임 감지부, 및
    사생활 침해영역으로 설정된 제2 구획영역에 설치되어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 움직임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응급상황 판단부는,
    상기 대상체가 제1 구획영역에서 제2 구획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구획영역에 기 설정된 시간정보와 상기 제2 움직임 감지부에서 생성된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 세대 관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움직임 감지부는,
    사생활 미침해영역으로 설정된 제1 구획영역에 설치되어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움직임 감지부, 및
    사생활 침해영역으로 설정된 제2 구획영역에 설치되어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 움직임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응급상황 판단부는,
    상기 대상체가 제1 구획영역 또는 제2 구획영역에 지속적으로 머무르는 경우 낮과 밤에 따라 서로 달리 설정된 각 구획영역에 기 설정된 시간정보와 상기 제1,2 움직임 감지부에서 생성된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 세대 관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동패턴 구별부는,
    상기 애완동물의 음성과 상기 대상체의 음성을 인식하여 인식된 음성을 대상체 또는 애완동물에 매칭하는 음성 매칭부, 및
    상기 대상체의 행동패턴과 애완동물의 행동패턴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는 행동패턴 특징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 매칭부 또는 행동패턴 특징 분석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사람과 애완동물을 구별하며,
    상기 재실 판단부는,
    상기 행동패턴 구별부의 구별신호에 따라 재실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 세대 관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그룹화된 독거 세대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지킴이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그룹화 된 상대방 독거 세대의 대상체의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 또는 동영상 정보가 제공되는 지킴이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위치정보, 시간정보, 및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에 따라 상대방 독거 세대에 응급상황이 발생했다고 판단시에 누르는 지킴이 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응급상황 판단부는,
    상기 지킴이 벨부의 신호를 감지하여 그룹화된 상대방 독거 세대의 응급상황을 판단하고 이를 상위단으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 세대 관제 장치.
KR1020170137339A 2017-10-23 2017-10-23 독거 세대 관제 장치 KR2019004486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339A KR20190044867A (ko) 2017-10-23 2017-10-23 독거 세대 관제 장치
CN201711057425.6A CN109697829A (zh) 2017-10-23 2017-11-01 独居住房管控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339A KR20190044867A (ko) 2017-10-23 2017-10-23 독거 세대 관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867A true KR20190044867A (ko) 2019-05-02

Family

ID=66229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339A KR20190044867A (ko) 2017-10-23 2017-10-23 독거 세대 관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44867A (ko)
CN (1) CN1096978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6712A (ko) * 2020-11-16 2022-05-24 주식회사 산들정보통신 빅데이터 인공지능 기반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637001B1 (ko) * 2022-11-09 2024-02-15 주식회사 다바 고독사 감지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75926A (zh) * 2020-01-21 2020-06-12 星络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家庭成员监控方法、智能家居控制器及存储介质
CN112347834B (zh) * 2020-06-30 2023-09-19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基于人员类别属性的远程看护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3807388B (zh) * 2021-08-02 2022-10-28 滁州学院 基于多元传感器数据的独居老人行为规律发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7247A (ja) * 2000-04-20 2001-11-02 Showa Kiki Kogyo Co Ltd 異常監視システム
KR101039626B1 (ko) * 2008-10-24 2011-06-08 (주)브이아이소프트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3931100U (zh) * 2013-12-30 2014-11-05 杨松 检测人体跌倒的终端
CN105700488B (zh) * 2014-11-27 2018-08-21 ***通信集团公司 一种目标人体活动信息的处理方法及***
KR101782327B1 (ko) * 2015-11-27 2017-09-29 대한민국 응급 상황 경보 시스템 및 방법
CN105788171A (zh) * 2016-04-19 2016-07-20 暨南大学 基于分级报警的多功能老年人监护方法及其监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R 10-0980426, KR 10-1039626, KR 10-1409299, KR 10-1639954, KR 10-1654609, KR 10-1735540, KR 10-2010-0058272, KR 10-2013-0137976, KR 10-2014-0134109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6712A (ko) * 2020-11-16 2022-05-24 주식회사 산들정보통신 빅데이터 인공지능 기반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637001B1 (ko) * 2022-11-09 2024-02-15 주식회사 다바 고독사 감지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97829A (zh)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4867A (ko) 독거 세대 관제 장치
EP1782406B1 (en) Monitoring devices
US8908034B2 (en) Surveillance systems and methods to monitor, recognize, track objects and unusual activities in real time within user defined boundaries in an area
JP5167791B2 (ja) 監視装置、監視方法、及び、監視プログラム
JP6336709B2 (ja) 警備装置、警備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457148B2 (ja) 警備システム
US10834363B1 (en) Multi-channel sensing system with embedded processing
JP2009016926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US20040008254A1 (en) Object protection device
US110110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tatus output based on sound emitted by an animal
KR101415848B1 (ko) 차량 및 보행자 검지를 이용한 스쿨존 방범장치
US9507050B2 (en) Entity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 area
WO2023022429A1 (ko) 딥러닝 기반 비식별화 데이터 분석을 통한 이상행동감지 시스템
CN106683328A (zh) 一种家居安防***
US20240046702A1 (en) Deep learning-based abnormal behavior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nonymized data
JPH1091879A (ja) 高齢者安否確認システム
CN212411255U (zh) 带有体温检测功能的门禁***
KR101596015B1 (ko)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독립건물 침입방지 시스템
JP5363234B2 (ja) 警備システム
JP4220322B2 (ja) 侵入者監視方法及び装置
JP2011227675A (ja) 通報装置
KR102503343B1 (ko) 조명 장치를 이용한 침입 감지 및 경보 시스템
KR20240079545A (ko) 개인정보보호를 강화한 인공지능 인체 감지장치
KR20220114344A (ko) 알림 및 보안 기능이 있는 스마트 도어매트
IT202100009362A1 (it) Dispositivo rilevatore di effrazi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