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752A - 세펨 화합물, 그의 제조 및 용도 - Google Patents

세펨 화합물, 그의 제조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752A
KR20190042752A KR1020197010752A KR20197010752A KR20190042752A KR 20190042752 A KR20190042752 A KR 20190042752A KR 1020197010752 A KR1020197010752 A KR 1020197010752A KR 20197010752 A KR20197010752 A KR 20197010752A KR 20190042752 A KR20190042752 A KR 20190042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methyl
compound
pyrrolo
pyrid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5230B1 (ko
Inventor
사마렌드라 네이스 마이티
다이 꾸옥 응위엔
안드에 브이.엔. 레디
주디 입
찬 민 하
롱 링
루동 산
마드하바 레디 마달라
Original Assignee
나에자-알지엠 파마슈티칼스 유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에자-알지엠 파마슈티칼스 유엘씨 filed Critical 나에자-알지엠 파마슈티칼스 유엘씨
Publication of KR20190042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2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 C07D501/14Compounds having a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7
    • C07D501/16Compounds having a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7 with a double bond between positions 2 and 3
    • C07D501/207-Acylaminocephalosporanic or substituted 7-acylaminocephalosporanic acids in which the acyl radicals are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 C07D501/247-Acylaminocephalosporanic or substituted 7-acylaminocephalosporanic acids in which the acyl radicals are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atoms or hetero rings, attached in position 3
    • C07D501/48Methylene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rings
    • C07D501/56Methylene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rings with the 7-amino radical acylated by carboxylic acids containing hetero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Oxazoles
    • A61K31/423Ox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61K31/428Thi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s the ring hetero atoms, e.g. sulthiame
    • A61K31/54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s the ring hetero atoms, e.g. sulthiame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545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cefaclor, or cephalexine
    • A61K31/546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cefaclor, or cephalex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cephalo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9Bor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 C07D501/02Preparation
    • C07D501/04Preparation from compounds already containing the ring or condensed ring systems, e.g. by dehydrogenation of the ring, by introduction, elimination or modification of substituents

Abstract

3-위치에서 4급 암모니오메틸 기로서 비시클릭 질소-함유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고리 및 스페이서를 통해 3-측쇄에서 4급 질소-함유 비시클릭 고리의 유리 N-원자에 추가로 부착되어 있는 아릴 또는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 기 (치환 또는 비치환됨)에 부착되어 있는 말단 아미딘 잔기 (치환 또는 비치환됨), 또는 스페이서를 통해 3-측쇄에서 4급 질소-함유 비시클릭 고리의 유리 N-원자에 추가로 부착되어 있는 아릴 또는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 기 (치환 또는 비치환됨)에 부착되어 있는 말단 구아니딘 잔기 중 1개 또는 둘 다를 갖는 세펨 화합물,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그의 사용 방법.

Description

세펨 화합물, 그의 제조 및 용도{CEPHEM COMPOUNDS, THEIR PRODUCTION AND US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5년 12월 10일에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Cephem Derivatives As Broad-Spectrum Antibacterial Agents"인 미국 특허 가출원 번호 62/265,625를 우선권 주장하며, 이는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 분야
새로운 세펨 화합물,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그의 용도, 및 이들 새로운 화합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개선된 항박테리아 활성을 갖는 세펨 화합물, 및 본 발명의 세펨 항생제와 다수의 내성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 활성인 β-락타마제 억제제의 조합물이 제공된다.
세펨 항생제는 병원 및 일반 대중 둘 다에서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이, 그람-양성 및 그람-음성 박테리아 둘 다에 대한 활성을 나타내는 세펨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불행하게도, 다중-약물 내성 그람-음성 및 그람-양성 유기체의 존재로 인해, 많은 박테리아가 다수의 β-락탐 약물에 고도로 내성이 되었고, 이는 일반적으로 하기 6종의 병원체에 의해 포괄되는 ESKAPE 유기체를 구성하는 박테리아를 포함한다: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Enterococcus faecium),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클레브시엘라 뉴모니아(Klebsiella pneumonia), 아시네토박터 바우만니이(Acinetobacter baumanii),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및 엔테로박터(Enterobacter) 종. 이는 기지의 세펨에 대한 내성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박테리아는 확장된 기질 스펙트럼을 갖는, 클래스 A (ESBL) 및 클래스 D (세린 β-락타마제) 유형을 포함하는 β-락타마제를 생산한다. 그 결과, 병원 및 집단 환경 둘 다에서 박테리아 감염에 의해 유발된 이환율 및 사망률은 계속해서 상승하고, 중요한 공중 보건 관심사가 되었다.
보다 강력한 항미생물 활성을 나타내는, 특히 다양한 β-락타마제 생산 그람-양성 및 그람-음성 박테리아에 대해 보다 효과적인 새로운 세펨 화합물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3-측쇄에서 4급 암모늄 기 및 7-위치에서 2-(2-아미노티아졸-4-일)-2-히드록시-(또는 치환된 히드록실)아미노아세트아미도 기를 갖는 다양한 세펨 화합물이 예컨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4,864,022, 미국 특허 번호 5,173,485, 미국 특허 번호 5,215,982, 미국 특허 번호 5,071,979, 미국 특허 번호 4,406,899, 미국 특허 번호 4,910,301, 미국 특허 번호 4,748,171, 미국 특허 번호 5,010,188, 국제 특허 출원 번호 PCT/JP2003/013684, PCT/JP2007/056136, PCT/IB2013/002423, 유럽 특허 출원 번호 2 703 406, 유럽 특허 출원 번호 2 557 082; 유럽 특허 번호 2 341 053; 유럽 특허 출원 번호 2 70606, 미국 특허 출원 번호 2013/0079319 (시오노기(Shionogi)), 미국 특허 출원 번호 2012/0264727, 및 유럽 특허 출원 번호 2706062에 공개되었다.
상기 언급된 특허 및 특허 출원은 3-위치에서 4급 암모니오메틸 기가 말단 잔기로서 벤즈아미딘, 헤테로아릴 아미딘, 아릴구아니딘 및 헤테로아릴 구아니딘 이외의 유기 기로 임의로 치환된 모노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질소-함유 헤테로시클릭 또는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갖는 세펨 화합물을 개시한다.
특히 고도의 내성 그람-양성 및 그람-음성 박테리아에서 증가된 항생제 효능을 갖는 새로운 세펨 화합물, 상기 인용된 특허 참고문헌에 기재된 화합물과 유의하게 상의한 구조적 특색을 갖는 화합물에 대한 필요가 남아있다.
본원의 실시양태에 따라, 3-위치에서 4급 암모니오메틸 기로서 비시클릭 질소 함유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고리 및 1 또는 2개의 탄소 스페이서를 통해 벤즈아미딘, 헤테로아릴아미딘, 아릴구아니딘 및 헤테로아릴 구아니딘과 같은 잔기 또는 유사한 염기성 관능기 보유 말단 잔기에 추가로 부착되어 있는, 상기 비시클릭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고리의 유리 N-원자를 갖는 세펨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특히 1종 이상의 β-락타마제 억제제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개선된 항박테리아 활성을 제공하는, 기지의 세펨 화합물과 상이한 구조적 특징을 포함한다. 그람-음성 및 그람-양성 균주를 포함하는 "제3 세대" 및 "제4 세대" 세팔로스포린-내성 박테리아에 대한 항박테리아 활성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이점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세펨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하기 구조적 특색을 포함할 수 있다:
(1) 3-위치에서 4급 암모니오메틸 기로서 비시클릭 질소 함유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고리, 및
(2) 스페이서를 통해 3-측쇄에서 4급 질소 함유 비시클릭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고리의 유리 N-원자에 추가로 부착되어 있는 아릴 또는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 기 (치환 또는 비치환됨)에 부착되어 있는 말단 아미딘 잔기 (치환 또는 비치환됨), 또는
(3) 스페이서를 통해 3-측쇄에서 4급 질소 함유 비시클릭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고리의 유리 N-원자에 추가로 부착되어 있는 아릴 또는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 기 (치환 또는 비치환됨)에 부착되어 있는 말단 구아니딘 잔기.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세펨 화합물은 화학식 (I)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Figure pat00001
따라서,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펨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즉,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일부 측면에서, 이들 화합물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활성을 나타낼 수 있고, 따라서 인간 또는 동물에서 단독으로 또는 다른 β-락탐 및/또는 비 β-락탐 β-락타마제 억제제와 조합하여 박테리아 감염을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1종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부 측면에서, 이들 조성물은 병원성 유기체에 대한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새로운 세펨 화합물 및 그의 염, 즉,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i) 1종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ii) 1종 이상의 β-락타마제 억제제, 및 (iii)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부 측면에서, 이들 화합물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i) 1종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치료 유효량;
(ii) 1종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치료 유효량;
(iii) (a) 1종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b) 1종 이상의 β-락타마제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합물의 치료 유효량; 또는
(iv) (a) 1종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b) 1종 이상의 β-락타마제 억제제, 및 (c)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치료 유효량
을 제공하거나 또는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박테리아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대상체에서의 박테리아 감염에 대한 화학식 (I)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용도가 제공된다. 일부 측면에서, 화합물은 β-락타마제 억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치료상 유효한 의약의 제조에 수반될 수 있다. 본원의 실시양태에 따라, 본 발명의 대상체는 인간 또는 동물,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조성물이 유익한 항박테리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유기체일 수 있다.
본원의 실시양태에 따라, 화학식 (I)의 세펨 화합물 및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제공되며, 여기서 화합물은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를 위해 단독으로 또는 β-락타마제 억제제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데 적합한 항생제를 포함한다. 용어 "항생제"는 미생물의 생존율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미생물의 성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지칭하고 추가로 항미생물제, 정박테리아제 또는 살박테리아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세펨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하기 화학식 (I)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Figure pat00002
화학식 (I)에서, A는 화학식 (Ia)에 의해 정의되고:
Figure pat00003
여기서 X는 N, C(H), C(F) 또는 C(Cl)이고;
B는 수소, 메틸, 에틸로 정의되거나 또는 화학식 (Ib)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Figure pat00004
여기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거나, 또는 R1 및 R2는 함께 3 내지 6-원 스피로 고리계를 형성할 수 있고;
m은 0 또는 1이다.
C는 4급화된 비시클릭 질소 함유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고리로 정의된다. 추가로, 대상 (1a)과 관련하여, 상기 대상은 신 이성질체 (Z 형태), 안티 이성질체 (E 형태)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C를 나타내는 4급화된 비시클릭 질소 함유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고리는 (Ic - Iz)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여기서 D는 CH2, CH2CH2 또는 CH2CO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E는 임의로 치환된 벤젠 고리 또는 O, S 및 N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임의로 치환된 5- 또는 6-원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의미한다. 이러한 헤테로방향족 고리는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트리아졸릴, 이속사졸릴, 옥사졸릴, 옥사디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티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푸릴, 티에닐 등을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 (I)에서, E는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하기 나타낸 바와 같은 아릴 또는 5- 및 6-원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고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Figure pat00007
상기 정의에서, 임의적인 치환기는 클로로, 플루오로, 시아노, 히드록시, 아미노, 카르복시, 아세틸, 메톡시, 에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 피롤리디닐옥시, 피페리디닐옥시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치환기는 클로로, 플루오로, 히드록시, 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 피롤리디닐옥시로부터 선택된다.
추가로 화학식 (I)와 관련하여, E의 정의에서 아릴 또는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고리는 F, Cl, CH3, C2H5, CF3, NH2, NHCH3, CONH2, CONHCH3, OCH3으로부터 선택된 최대 3개의 치환기를 수용할 수 있다.
화학식 (I)에서, F는 임의로 치환된 아미딘 또는 임의로 치환된 구아니딘이고,
G는 수소, 메틸, 에틸, C3-6 알킬, C3-6 시클로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5- 또는 6-원 지방족 또는 임의로 치환된 5- 또는 6-원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고리이고, 여기서 헤테로시클릭 고리는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2개의 헤테로 원자로 치환된다 (α 또는 β).
화학식 (I)에서, "-C-D-E-F"의 일부 바람직한 예는 하기 제시된 바와 같은 단편 (1 내지 277)을 포함한다.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화학식 (I)의 화합물과 관련하여, 상기 화합물은 신-이성질체, 안티-이성질체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모든 호변이성질체가 예시의 목적을 위해, 대상 화합물 (I)에 고려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이성질체'는 동일한 분자식을 갖지만 원자의 배열 및 배위가 상이한, 상이한 화합물, 예컨대 기하 이성질체 및 광학 이성질체를 지칭한다. 본원의 주어진 화합물에 대해, 치환기는 탄소 원자의 키랄 중심에 부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화합물의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라세미체가 고려된다.
추가로 1개 이상의 원자가 자연에서 우세하게 발견되는 원자 질량 또는 질량수와 상이한 원자 질량 또는 질량수를 갖는 원자에 의해 대체된 사실을 제외하고는 화학식 (I)에 열거된 것과 동일한 동위원소 표지된 화합물이 또한 고려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혼입될 수 있는 동위원소의 예는 수소, 탄소, 질소, 산소, 인, 플루오린 및 염소의 동위원소,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각각 2H, 3H, 13C, 14C, 15N, 18O, 17O, 31P, 32P, 35S 및 18F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동위원소 및/또는 다른 원자의 다른 동위원소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 그의 전구약물, 및 상기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고려된다. 동위원소 표지된 화합물 및 그의 전구약물은 일반적으로 용이하게 입수가능한 동위원소 표지된 시약으로 치환하여 하기 반응식 및/또는 실시예에 개시된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용어 "β-락타마제 억제제"는 β-락타마제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화합물을 지칭하며, 여기서 β-락타마제 활성을 억제하는 것은 클래스 A, C 또는 D β-락타마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β-락타마제"는 세펨 항생제와 같은 β-락탐 항생제를 불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소를 나타낸다. β-락타마제 억제제는 하기 군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군 1: 화학식 (II)의 옥사페남 유도체,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pat00024
여기서 R3은 OR4, S(O)nR4 또는 5-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의미하며 이는 알킬, 히드록실, 알콕시, 아미노,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및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5개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여기서 n = 0, 1, 또는 2이고 R4는 수소, 알킬, (C2 - C7)알켄, (C2 - C7)알킨 또는 5-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이며 이는 알킬, 히드록실, 알콕시, 아미노,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및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5개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군 1로부터의 구체적 화합물의 예는 클라불란산 (IIa)이다.
Figure pat00025
군 2: 화학식 (III)의 페남 술폰 유도체,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pat00026
여기서 R5는 수소 또는 할로겐을 의미하고; R6은 CH2R7; CH=CHR7 (여기서 R7은 수소, 할로겐, 시아노, 카르복실산, 아실 예컨대 아세틸, 치환될 수 있는 카르복스아미드, 알콕시카르보닐 또는 5-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이며 이는 알킬, 히드록실, 알콕시, 아미노,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및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5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거나; 또는 5-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와 임의로 융합됨); CH=NR8 (여기서 R8은 아미노,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아미노카르보닐, 아실아미노 예컨대 아세틸아미노, 히드록실, 알콕시임)을 의미한다. 군 2로부터의 2종의 구체적 화합물의 예는 술박탐 (IIIa) 및 타조박탐 (IIIb)이다.
Figure pat00027
군 3: 화학식 (IV)의 페남 유도체,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pat00028
여기서 R9는 5-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의미하며 이는 알킬, 히드록실, 알콕시, 아미노,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및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5개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거나; 또는 5-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와 임의로 융합된다. 군 3으로부터의 구체적 화합물의 예는 BRL-42,715 (IVa)이다.
Figure pat00029
군 4: 화학식 (V)의 시클릭 보론산 유도체,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pat00030
여기서, R10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카르보시클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시클릴을 의미한다. 치환기는 알킬, 히드록실, 알콕시, 아미노,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및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된다. 군 4로부터의 구체적 화합물의 예는 RPX-7009 (Va)이다.
Figure pat00031
군 5: 화학식 (VI)의 시클릭 보론산,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pat00032
여기서 R11은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티오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된 카르복스아미드를 의미한다. 군 5로부터의 구체적 화합물의 예는 RPX 7262 (VIa), RPX 7282 (VIb), RPX 7381 (VIc), 및 RPX 7400 (VId)이다:
Figure pat00033
군 6: 화학식 (VII)의 디아자비시클로옥탄 유도체,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pat00034
여기서, R12는 카르복실산, 알콕시카르보닐, 헤테로아릴, 니트릴, 또는 치환될 수 있는 카르복스아미드를 의미한다. 군 6으로부터의 여러 구체적 화합물의 예는 (VIIa - VIIg)이다.
Figure pat00035
그람-음성 박테리아에 대한 본원의 화학식 (I)의 세펨 화합물의 효능은 화학식 (II) 내지 (VII)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선택된 β-락타마제 억제제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화학식 (I)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모 화합물의 목적하는 약리학적 활성을 보유하는 염을 지칭한다.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형성하는 기의 예는 무기 염기 염, 암모늄 염, 유기 염기 염, 염기성 아미노산 염, 무기 산 부가염, 및 유기 산 부가염을 포함한다. 무기 염기 염을 형성할 수 있는 무기 염기는 알칼리 금속 (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및 리튬) 및 알칼리 토금속 (예를 들어, 칼슘 및 마그네슘)을 포함한다. 유기 염기 염을 형성할 수 있는 유기 염기는 n-프로필아민, n-부틸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벤질아민, 옥틸아민,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프로카인, 콜린, 피콜린,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N-메틸글루카민, 모르폴린, 피롤리딘, 피리딘, 피페리딘, N-에틸피페리딘 및 N-메틸모르폴린을 포함한다. 염기성 아미노산 염을 형성할 수 있는 염기성 아미노산은 리신, 아르기닌, 오르니틴 및 히스티딘을 포함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인지될 바와 같이, 염기성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산 부가염을 형성할 수 있다. 제약상 허용되는 산과의 이러한 염이 본원에 포함된다. 이러한 산의 예는 염산, 브로민화수소산, 인산, 황산, 시트르산, 옥살산, 말레산, 푸마르산, 글리콜산, 만델산, 타르타르산, 아스파르트산, 숙신산, 말산,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이다.
더욱이, 염기성 기 예컨대 NH, NH2 또는 피리딘 등을 함유하는 경우 화학식 (I)의 일부 화합물은 COOH 기와 내부 쯔비터이온성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염이 또한 본원에 고려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용매화물이 본원에 고려된다. '제약상 허용되는 용매화물'은 화학량론적 또는 비-화학량론적 양의 1개 이상의 용매 분자와의 화합물의 분자 복합체를 지칭한다. 이러한 용매 분자는 수용자에게 무해한 것으로 공지된, 제약 기술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 예를 들어, 물, 에탄올 등이다.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모이어티와 용매의 분자 복합체는 비-공유 분자내 힘 예컨대, 예를 들어, 정전기력, 반 데르 발스 힘 또는 수소 결합에 의해 안정화될 수 있다. 용어 수화물은 1개 이상의 용매 분자가 물인 복합체를 지칭한다.
1종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과 1종 이상의 β-락타마제 억제제의 조합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β-락타마제 억제제는 화학식 (II) 내지 (VII)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조합물은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에 사용되는 경우에 상승작용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1종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조합물이 제공된다. 추가로, (i) 1종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ii) 1종 이상의 β-락타마제 억제제, 및 (iii)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이 또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β-락타마제 억제제는 화학식 (II) 내지 (VII)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원의 조성물 및 조합물 중 임의의 것은 대상체에게 예컨대, 예를 들어, 비경구, 특히 근육내 경로, 경구, 설하, 직장, 에어로졸에 의해 또는 피부 및 점막 상의 국소 적용의 국부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적합한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및 희석제는 부형제 예컨대 전분, 글루코스, 락토스, 수크로스, 젤라틴, 아라비아 검, 맥아, 벼, 밀가루, 백악, 실리카 겔, 스테아르산나트륨,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활석, 염화나트륨, 건조 탈지유,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물, 에탄올 등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원하는 경우에, 또한 미량의 습윤제, 분산제 또는 유화제, 또는 pH 완충제, 및 보존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보조제, 안정화제, 증점제, 윤활제, 및 착색제가 포함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적절한 제제는 선택된 투여 경로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주사가능한 제제, 현탁액, 에멀젼, 당-코팅된 정제, 펠릿, 젤라틴-캡슐, 액체 함유 캡슐, 분말, 과립, 지속-방출 제제, 좌제, 에어로졸, 스프레이, 연고, 크림의 형태 또는 사용하는 데 적합한 임의의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 중에서, 활성 성분 대 담체의 중량비는 일반적으로 1:20 내지 20:1의 범위일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i) 1종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치료 유효량;
(ii) 1종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치료 유효량;
(iii) (a) 1종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b) 1종 이상의 β-락타마제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합물의 치료 유효량; 또는
(iv) (a) 1종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b) 1종 이상의 β-락타마제 억제제, 및 (c)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치료 유효량
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박테리아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대상체에서 박테리아 감염을 예방하는 본 방법은 박테리아 감염의 예방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i) 1종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치료 유효량;
(ii) 1종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치료 유효량;
(iii) (a) 1종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b) 1종 이상의 β-락타마제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합물의 치료 유효량; 또는
(iv) (a) 1종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b) 1종 이상의 β-락타마제 억제제, 및 (c)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치료 유효량
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상체에서 박테리아 감염을 치료하거나 또는 예방하는 본 방법은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 또는 예방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i) 치료 유효량의 1종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ii) 치료 유효량의 1종 이상의 β-락타마제 억제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박테리아 감염을 치료하거나 또는 예방하는 데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β-락타마제 억제제가 대상체에게 동일한 제약 제제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 β-락타마제 억제제, 및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또는 상이한 제약 제제 (예를 들어, 제1 제약 조성물 -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담체 또는 희석제 포함; 및 제2 제약 조성물 - β-락타마제 억제제 및 담체 또는 희석제 포함)로 투여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상이한 제제로 투여되는 경우에, 제1 및 제2 제약 조성물은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시간상 분리되어 투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활성 성분으로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가 제공되며, 여기서 활성 성분은 담체와 혼합되어 항박테리아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의 용도는 담체와 혼합된 항박테리아 조성물 중에서 활성 성분으로서의 1종 이상의 β-락타마제 억제제와 조합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의 용도는 담체와 혼합된 항박테리아 조성물 중에서 활성 성분으로서의 1종 이상의 항생제 β-락타마제 억제제와 조합된, 또는 활성 성분으로서의 1종 이상의 항생제 (예를 들어, β-락탐 항생제 또는 일부 다른 항생제)와 조합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근육내, 복강내, 피하 및 정맥내 사용을 포함하는 비경구 투여를 위해, 활성 성분의 멸균 용액은 통상적으로 제조되고 용액의 pH는 적합하게 조정되고 완충된다. 정맥내 사용을 위해, 용질의 총 농도는 제제가 등장성이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적합한 용매는 염수 용액 (예를 들어, 0.9% NaCl 용액) 및 발열성 멸균수를 포함한다. 경구 전달을 위한 제약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정제, 로젠지,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과립, 분말, 에멀젼,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시르의 형태일 수 있다. 경구로 투여되는 조성물은 제약상 맛우수한 제제를 제공하기 위해 1종 이상의 임의적인 작용제, 예를 들어, 감미제 예컨대 프룩토스, 아스파르탐, 또는 사카린, 향미제 예컨대 페퍼민트, 윈터그린 오일, 체리, 착색제, 및 보존제를 함유할 수 있다. 더욱이, 정제 형태인 경우에, 조성물은 위장관에서의 붕해 및 흡수를 지연시키기 위해 코팅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연장된 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경구 조성물은 표준 비히클 예컨대 만니톨, 락토스, 전분,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사카린나트륨, 셀룰로스, 탄산마그네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구 액체 제제, 예를 들어, 현탁액, 엘릭시르, 및 용액을 위해, 적합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물, 염수, 알킬렌글리콜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글리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오일, 알콜, 약 pH 4 내지 약 pH 6 범위의 약간 산성 완충제 (예를 들어, 약 5 mM 내지 약 50 mM 범위의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아스코르베이트) 등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향미제, 보존제, 착색제, 담즙 염, 아실카르니틴 등이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국소 제제를 위해, 크림, 겔, 연고 또는 점성 로션이 적절한 전달 형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국소 전달 시스템은 또한 투여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피 패치를 포함한다. 피부를 통한 전달은 확산에 의해 또는 보다 능동적인 에너지원 예컨대 이온영동 또는 전기이동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국소 사용을 위한, 예컨대 크림, 연고, 및 겔 내의 본원의 화합물의 제제는 유질 또는 수용성 연고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국소 조성물은 식물성 오일, 동물 지방을 포함할 수 있고, 특정 실시양태에서, 석유로부터 수득된 반고체 탄화수소를 포함할 수 있다. 국소 조성물은 백색 연고, 황색 연고, 세틸 에스테르 왁스, 올레산, 올리브 오일, 파라핀, 페트롤라툼, 백색 페트롤라툼, 경랍, 스타치 글리세라이트, 백색 왁스, 황색 왁스, 라놀린, 및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글리콜 에테르 및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옥실 40 스테아레이트, 및 폴리소르베이트를 포함하는 다양한 수용성 연고 베이스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펨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 중에서, 활성 성분 대 담체의 중량비는 일반적으로 1:20 내지 20:1의 범위일 것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치료 유효량 및 본원에 개시된 방법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양은 대상체의 물리적 특징, 대상체의 증상의 중증도, 약물을 투여하는 데 사용되는 제제 및 수단, 및 실시되는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주어진 대상체를 위한 구체적 용량은 통상적으로 담당 의사의 판단에 의해 설정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의 화합물 및 염의 치료상 유효한 및/또는 충분한 양은 전형적으로 제제와 상관없이 1 내지 100 mg/kg, 1 내지 75 mg/kg, 1 내지 50 mg/kg, 1 내지 25 mg/kg, 25 내지 150 mg/kg, 25 내지 125 mg/kg, 25 내지 100 mg/kg, 25 내지 75 mg/kg, 25 내지 50 mg/kg, 50 내지 150 mg/kg, 50 내지 125 mg/kg, 및 50 내지 100 mg/kg을 포함하는 약 1 mg/kg 체중 내지 500 mg/kg 체중이다. 동등하게 바람직한 측면에서, 치료 유효량은 제제와 상관없이 약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또는 35 mg/kg 체중이다. 일부 상황에서, 1 mg/kg 체중 미만 또는 500 mg/kg 체중 초과의 용량이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특정한 경구 제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화합물 또는 염을 함유하는 캡슐의 형태일 수 있다. 화합물 또는 염의 적합한 양은 약 10 내지 약 3000 mg의 범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한 양은 약 100, 125, 150, 175, 200, 225, 250, 275, 300, 350, 400, 450, 500, 550,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1000, 1050, 1100, 1150, 1200, 1250, 1300, 1350, 1400, 1450 및 1500 mg을 포함한다.
본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특정한 정맥내 (IV) 제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1, 2, 3, 4, 5, 6, 7, 8, 9, 10일 또는 그 초과 동안 6, 12, 18 또는 24시간마다 대략 60, 90, 120분 또는 그 초과에 걸친 IV 주입에 의해 약 100 mg 내지 2000 mg, 바람직하게는 약 100, 125, 150, 175, 200, 225, 250, 275, 300, 325, 350, 375, 400, 45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 1200, 1300, 1400, 1500 mg 또는 그 초과의 투여량으로 투여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멸균 주사용수 (WFI) 중에 재구성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물 중 5% 덱스트로스 중에 희석될 수 있다.
용어 "용량", "단위 용량", "단위 투여량", 또는 "유효 용량"은 목적하는 치료 효과를 생성하도록 계산된 미리 결정된 양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물리적 이산 단위를 지칭한다. 이들 용어는 치료 유효량 및 본원에 개시된 방법의 언급된 목적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양과 동의어이다.
'치료 유효량'은 질환, 또는 질환의 임상 증상 중 적어도 1종을 치료하기 위해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경우에, 질환, 장애, 또는 증상의 이러한 치료에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화합물의 양을 지칭한다. 치료 유효량은, 예를 들어, 화합물, 질환, 장애, 및/또는 질환의 증상, 질환, 장애, 및/또는 질환의 증상의 중증도, 치료될 환자의 연령, 체중, 및/또는 건강, 및 처방 의사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를 위한 용량의 투여 빈도는 1일 4, 3, 2 또는 1회, 격일, 3일마다, 4일마다, 5일마다, 6일마다, 매주 1회, 8일마다, 9일마다, 10일마다, 격주, 매월 및 격월을 포함한다. 투여 수단에 따라, 투여량은 모두 한 번에, 예컨대 캡슐 내의 경구 제제로, 또는 일정 기간에 걸쳐 천천히, 예컨대 정맥내 투여로 투여될 수 있다. 보다 느린 투여 수단의 경우, 투여 기간은 수분, 예컨대 약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115, 120분 또는 그 초과, 또는 수시간, 예컨대 약 0.5, 1, 1.5, 2, 2.5, 3, 3.5, 4, 4.5, 5시간 또는 그 초과일 수 있다.
(i) 본 발명의 화합물 대 (ii) β-락타마제 억제제 또는 항생제 (β-락타마제 억제제 또는 항생제, 예를 들어, β-락탐 항생제 또는 일부 다른 항생제와 투여되는 경우)의 중량비는 일반적으로 약 1:20 내지 약 20:1의 범위일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β-락타마제 생산 박테리아에 의해 유발된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치료 유효량의 적어도 1종의 화학식 (I)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단독으로 또는 상기 제공된 화학식 (II) 내지 (VII)의 β-락타마제 억제제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β-락타마제 억제제와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환자에서 β-락타마제 생산 박테리아에 의해 유발된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를 위한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β-락타마제 감수성 β-락탐 항생제의 항박테리아 유효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즉, 이들은 포유동물 대상체, 특히 인간에서 β-락타마제 생산 미생물에 의해 유발된 감염에 대한 항생제의 유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β-락타마제 억제제와의 공-투여에 대해 가치있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염은 β-락타마제 억제제와 혼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2종의 작용제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2종의 작용제는 순차적으로, 1종이 투여된 직후 다른 것이 투여되거나 또는 1, 5, 10, 15, 30, 45 또는 60분, 또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시간 또는 그 초과, 또는 1, 2, 3, 4, 5일 또는 그 초과만큼 시간상 분리되어 투여될 수 있다. β-락타마제 억제제와 공-투여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화합물 및 β-락타마제 억제제는, 조합되어, 상승작용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용어 '상승작용적 효과'는 2종 이상의 작용제가 공-투여되는 경우에 생성된 효과가 작용제가 개별적으로 투여되는 경우에 생성된 효과보다 크다는 것을 지칭한다. 대안적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β-락타마제 억제제를 사용한 치료 과정 동안 별개의 작용제로서 투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β-락타마제 생산 박테리아에 의해 유발된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치료 유효량의 적어도 1종의 화학식 (I)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단독으로 또는 β-락탐 항생제 및 비 β-락탐 항생제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항생제와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환자에서 β-락타마제 생산 박테리아에 의해 유발된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를 위한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β-락타마제 감수성 β-락탐 항생제의 항박테리아 유효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즉, 이들은 포유동물 대상체, 특히 인간에서 β-락타마제 생산 미생물에 의해 유발된 감염에 대한 항생제의 유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β-락탐 항생제와의 공-투여에 대해 가치있을 수 있다.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염은 β-락탐 항생제와 혼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2종의 작용제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2종의 작용제는 순차적으로, 1종이 투여된 직후 다른 것이 투여되거나 또는 1, 5, 10, 15, 30, 45 또는 60분, 또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시간 또는 그 초과, 또는 1, 2, 3, 4, 5일 또는 그 초과만큼 시간상 분리되어 투여될 수 있다. β-락탐 항생제와 공-투여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화합물 및 항생제의 조합물은 상승작용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용어 '상승작용적 효과'는 2종 이상의 작용제가 공-투여되는 경우에 생성된 효과가 작용제가 개별적으로 투여되는 경우에 생성된 효과보다 크다는 것을 지칭한다. 대안적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항생제를 사용한 치료 과정 동안 별개의 작용제로서 투여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예는, 명시된 화합물로 제한되지 않으면서, 하기 표 1에 제공된다.
표 1
Figure pat00036
Figure pat00037
Figure pat00038
Figure pat00039
Figure pat00040
Figure pat00041
Figure pat00042
Figure pat00043
Figure pat00044
Figure pat00045
Figure pat00046
Figure pat00047
Figure pat00048
Figure pat00049
Figure pat00050
제조 방법: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단지 일반적 제조 방법만을 예시하고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특정한 화합물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 하기 반응식 (반응식 1 및 반응식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51
공정 I (반응식 1):
(a) 커플링 단계:
(VIII, q = 0, Y = 클로라이드)와 중간체 (IX)의 반응은 통상적인 용매 예컨대 물, 알콜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등), 아세톤, 디옥산, 아세토니트릴, 클로로포름,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렌 클로라이드, 테트라히드로푸란, 에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 피리딘 또는 반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임의의 다른 유기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이들 통상적인 용매는 또한 물과 혼합되어 공-용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반응에서, Y = Cl인 경우에,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인 알칼리 금속 할로겐화물 예컨대 아이오딘화칼륨의 존재 하에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반응은 통상적으로 -20℃ 내지 40℃ 범위에서 수행된다.
(b) 가수분해 단계:
가수분해는 바람직하게는 염기 또는 루이스 산을 포함하는 산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적합한 염기는 무기 염기 예컨대 알칼리 금속 (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등); 알칼리 토금속 (예를 들어, 마그네슘, 칼슘 등), 그의 히드록시드 또는 카르보네이트 또는 비카르보네이트, 및 유기 염기 트리알킬아민 (예를 들어,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등), 피콜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산은 유기 산 (예를 들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및 무기 산 (예를 들어, 염산, 브로민화수소산, 황산)을 포함할 수 있다. 루이스 산 예컨대 트리할로아세트산 (예를 들어,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을 사용하는 가수분해 및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양이온 포획제 (예를 들어, 아니솔, 페놀 등)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루이스 산 예컨대 삼염화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가수분해는 니트로메탄과 같은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가수분해 반응은 통상적으로 비-수성 용매 예컨대 메틸렌 클로라이드, 테트라히드로푸란, 그의 용매의 혼합물, 또는 반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임의의 다른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반응 온도는 실온, 또는 적절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온도일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pat00052
공정 II (반응식 2):
(a) 커플링 단계:
(VIII, q = 1, Y = 아이오다이드)와 중간체 (IX)의 반응은 통상적인 용매 예컨대 물, 알콜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등), 아세톤, 디옥산, 아세토니트릴, 클로로포름,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렌 클로라이드, 테트라히드로푸란, 에틸 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 피리딘 또는 반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임의의 다른 유기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이들 통상적인 용매는 또한 물과 혼합되어 공-용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반응에서, Y = Cl인 경우에,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인 알칼리 금속 할로겐화물 예컨대 아이오딘화칼륨의 존재 하에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반응 온도는 중요하지 않고, 통상적으로 실온으로의 냉각 하에,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범위에서 수행된다.
(b) 환원 단계:
환원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수행된다. 화학적 환원에 사용되는 적합한 환원제는 금속 (예를 들어, 주석, 아연, 철 등) 및 유기 또는 무기 산 (예를 들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p-톨루엔술폰산, 염산, 브로민화수소산 등)의 조합물이다. 환원은 또한 알칼리 금속 할로겐화물 (예를 들어, 아이오딘화칼륨) 및 아세틸 클로라이드의 조합물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환원은 통상적으로 반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통상적인 용매 예컨대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에틸 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등 또는 그의 용매의 혼합물 중에서 수행된다. 환원은 냉각에서 가온 하에, 보다 구체적으로 -40℃ 내지 0℃ 범위에서 수행된다.
(c) 가수분해 단계:
가수분해는 바람직하게는 염기 또는 루이스 산을 포함하는 산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적합한 염기는 무기 염기 예컨대 알칼리 금속 (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등); 알칼리 토금속 (예를 들어, 마그네슘, 칼슘 등), 그의 히드록시드 또는 카르보네이트 또는 비카르보네이트, 및 유기 염기, 트리알킬아민 (예를 들어,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등), 피콜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산은 유기 산 (예를 들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및 무기 산 (예를 들어, 염산, 브로민화수소산, 황산)을 포함할 수 있다. 루이스 산 예컨대 트리할로아세트산 (예를 들어,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을 사용하는 가수분해 및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양이온 포획제 (예를 들어, 아니솔, 페놀 등)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루이스 산 예컨대 알루미늄 트리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가수분해는 니트로메탄과 같은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가수분해 반응은 통상적으로 비-수성 용매 예컨대 메틸렌 클로라이드, 테트라히드로푸란, 그의 용매의 혼합물 또는 반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임의의 다른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반응 온도는 중요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실온에서 수행된다.
화학식 (VIII)에서, A 및 B는 앞서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정의를 갖는다.
따라서, 화학식 (VIII)에서, A는 화학식 (Ia)에 의해 정의되고;
Figure pat00053
대상 (1a)은 신 이성질체 (Z 형태), 안티 이성질체 (E 헝태)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X는 N, C(H), C(F) 또는 C(Cl)이고;
B는 수소, 메틸, 에틸로 정의되거나 또는 화학식 (Ib)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Figure pat00054
여기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거나, 또는 R1 및 R2는 함께 3 내지 6-원 스피로 고리계를 형성할 수 있고;
m은 0 또는 1이다.
또한, 화학식 (Ib)에서, R1 및 R2는 함께 3- 내지 6-원 스피로 고리계를 형성할 수 있고;
Y는 할로겐,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클로로 또는 아이오도이고;
q는 0 또는 1이다.
(IX)에 의해 지정된 바와 같은 유기 잔기에서, 대상 C, D, E 및 F는 앞서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정의를 갖고, 따라서 C는 화학식 (Ic) 내지 (Iz)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하기 4급화된 비시클릭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고리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pat00055
Figure pat00056
D는 CH2, CH2CH2 또는 CH2CO를 나타내고;
E는 하기 제시된 바와 같은 아릴 또는 5- 내지 6-원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고리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pat00057
F는 임의로 치환된 아미딘 또는 임의로 치환된 구아니딘이고;
G는 수소, 메틸, 에틸, C3-6 알킬, C3-6 시클로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5- 또는 6-원 지방족 또는 임의로 치환된 5- 또는 6-원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고리이고, 여기서 헤테로시클릭 고리는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2개의 헤테로 원자로 치환된다 (α 또는 β).
화학식 (VIII)에서, P1은 β-락탐 화학에 빈번하게 사용되는 적합한 카르복시 보호기이다. 적합한 예는 저급 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부틸, 펜틸, t-펜틸, 헥실, 1-시클로프로필에틸 등); 저급 알케닐 에스테르 (예를 들어, 비닐, 알릴); 저급 알키닐 에스테르 (예를 들어, 에티닐, 프로피닐); 저급 알콕시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톡시메틸, 에톡시메틸, 이소프로폭시메틸, 1-메톡시에틸, 1-에톡시에틸 등); 저급 알킬티오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틸티오메틸, 에틸티오메틸, 에틸티오에틸, 이소프로필티오메틸); 모노 (또는 디 또는 트리-) 할로(저급)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어, 2-아이오도에틸, 2,2,2-트리클로로에틸 등);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어, 아세톡시메틸, 프로피오닐옥시메틸, 부티릴옥시메틸, 발레릴옥시메틸, 피발로일옥시메틸, 헥사노일옥시메틸, 2-아세톡시에틸, 2-프로피오닐옥시에틸 등); 저급 알칸술포닐(저급)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실메틸 에스테르, 2-메실에틸 에스테르 등); 1개 이상의 적합한 치환기(들)를 가질 수 있는 아르(저급)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어, 페닐(저급)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어, 벤질, 4-메톡시벤질, 4-니트로벤질, 페네틸, 트리틸, 벤즈히드릴, 비스(메톡시페닐)메틸, 3,4-디메톡시벤질, 4-히드록시-3,5-디-t-부틸벤질 등); 1개 이상의 적합한 치환기(들)를 가질 수 있는 아릴 에스테르 예컨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 에스테르 (예를 들어, 페닐, 톨릴, t-부틸 페닐, 크실릴, 메시틸, 4-클로로페닐, 4-메톡시페닐 등); 트리(저급)알킬 실릴 에스테르; 저급 알킬티오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틸티오에스테르, 에틸티오에스테르 등) 등과 같은 것일 수 있다.
화학식 (VIII)에서, 아미노 기가 분자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이는 β-락탐 화학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합한 보호기 예컨대 벤질, 트리틸, t-부톡시카르보닐 등으로 보호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유사하게, 화학식 (VIII)에서, 카르복실 기가 분자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이는 상기 P1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은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합한 보호기로 보호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하기는 단지 예시적 목적을 위해 제공되고,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에서 하기 약어가 사용되었다.
Boc: N-tert-부톡시카르보닐
Br s: 넓은 단일선
CDCl3: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CD3OD: 중수소화 메탄올
CH3NO2: 니트로메탄
D2O: 산화중수소
d: 이중선
DCM: 디클로로메탄
DMAP: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SO-d6: 중수소화 디메틸술폭시드
ES: 전자 분무
g: 그램
h: 시간
HP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z: 헤르츠
J: 커플링 상수
m: 다중선
mmol: 밀리몰
MHz: 메가헤르츠
MS: 질량 분광측정법
실시예 1 (표 1, 화합물 1):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벤질)-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58
단계 1: 4-(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벤조니트릴
Figure pat00059
질소 하에 0℃에서 DMF (40 mL) 중 1H-피롤로[3,2-c]피리딘 (1.0 g, 8.5 mmol)의 용액에 NaH (미네랄 오일 중 60%, 0.51 g, 12.8 mmol)를 여러 부분으로 첨가하고 15분 동안 교반한 후 4-(브로모메틸)벤조니트릴 (2.5 g, 12.8 mmol)을 여러 부분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이어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으로 켄칭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 및 물 (100 mL)로 희석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염수 (3 x 10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메탄올 (5:3:2)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4-(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벤조니트릴 (1.2 g, 60%)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5.38 (s, 2H), 6.68 (d, 1H, J = 3.2 Hz), 7.11-7.17 (m, 4H), 7.54 (d, 2H, J = 8.0 Hz), 8.27 (d, 1H, J = 5.6 Hz), 8.94 (s, 1H).
단계 2: 메틸 4-(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at00060
0℃에서 압력 용기에서 무수 메탄올 (25 mL) 중 4-(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벤조니트릴 (단계 1로부터임, 0.7 g, 3.0 mmol)의 용액을 통해 무수 염화수소 기체의 스트림을 10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반응 용기를 마개로 막고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내용물을 플라스크로 옮기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에테르로 연화처리한 다음, 진공 하에 건조시켜 메틸 4-(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0.85 g, 94%)를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4.34 (s, 3H), 5.50 (s, 2H), 7.20 (s, 1H), 7.50 (d, 2H, J = 8.0 Hz), 7.96-8.11 (m, 4H), 8.39 (d, 1H, J = 6.8Hz), 9.22 (s, 1H). 1개의 양성자가 CD3OD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단계 3: 4-(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Figure pat00061
메탄올 (25 mL) 중 메틸 4-(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단계 2로부터임, 0.9 g, 2.85 mol)의 현탁액을 함유하는 압력 용기를 암모니아 기체로 포화시키고 마개로 막았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과량의 암모니아를 배출시키고 내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헥산으로 연화처리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4-(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1.0 g)를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5.76 (s, 2H), 7.05 (d, 1H, J =3.2 Hz), 7.45 (d, 2H, J = 8.0 Hz), 7.79-7.89 (m, 4H), 8.30 (s, 1H), 9.08 (s, 1H). 3개의 양성자가 CD3OD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단계 4: tert-부틸 {[4-(1H-피롤로[3,2-c]피리딘-일메틸)페닐]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Figure pat00062
1,4-디옥산 (30 mL) 중 4-(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단계 3으로부터임, 0.25 g, 1.0 mmol)의 용액을 포화 탄산나트륨 용액 (20 mL)에 이어서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1.1 g, 5.0 mmol)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4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고 나머지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60 mL) 중에 용해시킨 다음, 물 (60 mL), 염수 용액 (6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용리액으로서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수산화암모늄 (60:39:1)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tert-부틸 {[4-(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페닐]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0.12 g, 34%)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54 (s, 9H), 5.36 (s, 2H), 6.60 (br s, 1H), 6.66 (d, 1H, J = 3.6 Hz), 7.11-7.14 (m, 5H), 7.79 (d, 2H, J = 8.4Hz), 8.23 (d, 1H, J = 6.0Hz), 8.93 (s, 1H).
단계 5: 5-{[(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3-티아졸-4-일}-2-{[(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벤질}-1H-피롤로[3,2-c]피리딘-5-윰 아이오다이드
Figure pat00063
디메틸아세트아미드 (1.3 mL) 중 tert-부틸 {[4-(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페닐]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단계 4로부터임, 0.07 g, 0.20 mmol)의 용액에 0℃에서 4-메톡시벤질 (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3-티아졸-4-일}-2-{[(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클로로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0.156 g, 0.20 mmo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0.5시간 동안 탈기하고 아이오딘화나트륨 (0.06 g, 0.40 mmol)을 첨가하였다. 1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5% 수성 염화나트륨에 천천히 첨가하고 티오황산나트륨 용액을 얼음 하에 냉각시켰다. 이어서, 현탁액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고체를 진공 건조시켜 황색 고체 (0.22 g)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6: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벤질)-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64
-40℃에서 건조 디클로로메탄 (4.5 mL) 중 5-{[(6R,7R)-7-{[(2Z)-2-{5-[(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2,4-티아디아졸-3-일}-2-{[(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벤질}-1H-피롤로[3,2-c]피리딘-5-윰 아이오다이드 (단계 5로부터임, 0.22 g)의 용액에 아니솔 (0.36 mL, 3.34 mmol)에 이어서 CH3NO2 중 2M AlCl3 (1.7 mL, 3.52 mmol)을 첨가하였다. 액체를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5 mL) 및 물 (0.5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교반하여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상청액을 경사분리에 의해 제거하였다. 용기에 부착된 불용성 물질에 묽은 수성 염산 용액 (2 mL) 및 아세토니트릴 (5 mL)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물질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그에 HP20 수지 (0.5 g)를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동결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정제하여 (6R,7R)-7-{[(2Z)-2-(5-아미노-1,2,4-티아디아졸-3-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벤질)-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를 포름산 염 (0.02 g, 15.5%)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D2O): δ 1.25 (s, 6H), 2.94 (d, 1H, J =17.6 Hz), 3.38 (d, 1H, J =18.0 Hz), 5.08-5.13 (m, 2H), 5.33 (d, 1H, J = 14.4 Hz), 5.53 (s, 2H), 5.63 (d, 1H, J = 4.8Hz), 6.76 (s, 1H), 6.94 (s, 1H), 7.22 (d, 2H, J = 7.2 Hz), 7.55 (d, 2H, J = 7.6 Hz), 7.68 (m, 2H), 8.23 (d, 1H, J = 7.2 Hz), 9.06 (s, 1H). 7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2 (표 1, 화합물 9):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벤질)-2,3-디히드로-1H-이미다조[1,2-b]피라졸-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65
단계 1: 4-((2,3-디히드로-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벤조니트릴
Figure pat00066
디메틸 포름아미드 (10 mL) 중 2,3-디히드로-1H-이미다조[1,2-b]피라졸 (1.399 g, 12.84)의 용액에 4-(브로모메틸)벤조니트릴 (2.86 g, 12.84 mmol)에 이어서 탄산칼륨 (2.66 g, 19.26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질소 하에 20시간 교반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 및 물 (100 mL)로 희석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물 (3 x 100 mL)에 이어서 염수 용액 (200 mL)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용리액으로서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4-((2,3-디히드로-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벤조니트릴 (2.1 g, 72.9%)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3.66 (t, 2H), 4.07 (t, 2H), 4.31 (s, 2H), 5.22 (d, 2H, J = 2.0 Hz), 7.19 (d, 1H, J = 1.5 Hz), 7.58 (d, 2H, J = 8.2 Hz), 7.85 (d, 2H, J = 8.2 Hz)
단계 2: 에틸 4-(2,3-디히드로-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at00067
0℃에서 압력 용기에서 무수 메탄올 중 4-((2,3-디히드로-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벤조니트릴 (단계 1로부터임, 1.5 g, 6.69 mmol)의 용액을 통해 무수 염화수소 기체의 스트림을 15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반응 용기를 마개로 막고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고, 내용물을 플라스크로 옮기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에테르로 연화처리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에틸 4-(2,3-디히드로-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1.8 g, 87.8%)를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49 (t, 3H), 3.77 (dd, 2H, J = 4.2 Hz), 4.17 (t, 2H), 4.43 (dd, 2H, 10.0 Hz), 4.63 (q, 2H, J = 7.1 Hz), 5.51 (d, 1H, J = 2.3 Hz), 6.00 (br s, 2H), 7.63 (d, 2H, J = 8.0 Hz), 8.14 (d, 2H, J = 8.0 Hz), 12.20 (br s, 2H).
단계 3: 4-(2,3-디히드로-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Figure pat00068
메탄올 (25 mL) 중 에틸 4-(2,3-디히드로-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단계 2로부터임, 1.8 g, 5.87 mol)의 현탁액을 함유하는 압력 용기를 암모니아 기체로 포화시키고 마개로 막았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과량의 암모니아를 배출시키고 내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헥산으로 연화처리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4-(2,3-디히드로-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0.95 g, 66.9%)를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3.66 (t, 2H), 4.06 (t, 2H), 4.31 (t, 2H), 5.22 (d, 1H, J = 2.0 Hz), 7.17 (d, 1H, J = 1.6 Hz), 7.71 (d, 2H, J = 8.2 Hz), 7.83 (d, 2H, J = 8.2 Hz)
질량: ES+ 242.10
단계 4: tert-부틸 {[4-(2,3-디히드로-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페닐]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Figure pat00069
중탄산나트륨 (1.60 g, 19.7 mmol), 1,4-디옥산 (25 mL) 및 물 (10 mL)의 혼합물 중 4-(2,3-디히드로-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단계 3으로부터임, 0.95 g, 3.94 mmol)의 현탁액에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2.74 g, 12.54 mmo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고 나머지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80 mL) 중에 용해시키고, 물 (80 mL), 염수 용액 (8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용리액으로서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tert-부틸 {[4-(2,3-디히드로-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페닐]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0.45 g, 33.5%)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42 (s, 9H), 3.63 (t, 2H), 4.24 (t, 2H), 5.18 (d, 1H, J = 2.0 Hz), 7.16 (d, 1H, J = 2.0 Hz), 7.45 (d, 2H, J = 8.0 Hz), 7.92 (d, 2H, J = 8.0 Hz).
단계 5: 5-{[(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3-티아졸-4-일}-2-{[(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벤질}-2,3-디히드로-1H-이미다조[1,2-b]피라졸-5-윰 아이오다이드
Figure pat00070
실온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 (8 mL) 중 4-메톡시벤질 (6R,7R)-7-((Z)-2-(((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옥시)이미노)-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0.35 g, 0.449 mmol)의 용액에 아이오딘화칼륨 (0.149 g, 0.898 mmol)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한 후 tert-부틸 {[4-(2,3-디히드로-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페닐]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단계 4로부터임, 153 mg, 0.449 mmo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질소 하에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티오황산나트륨 및 염수 (15 mL) 용액의 1:1 혼합물로 희석하였다. 이어서, 현탁액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고체를 진공 건조시켜 황색 고체 (0.448 g)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6: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벤질)-2,3-디히드로-1H-이미다조[1,2-b]피라졸-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71
질소 하에 실온에서 건조 디클로로메탄 (15 mL) 중 5-{[(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3-티아졸-4-일}-2-{[(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벤질}-2,3-디히드로-1H-이미다조[1,2-b]피라졸-5-윰 아이오다이드 (단계 5로부터임, 0.45g)의 용액에 아니솔 (0.8 mL)에 이어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 mL)을 1 부분으로 첨가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증류수 (20 mL) 중에 현탁시키고, 20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동결건조시키고 생성물을 HPLC에 의해 정제하여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벤질)-2,3-디히드로-1H-이미다조[1,2-b]피라졸-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를 포름산 염 (0.022g, 8.4%)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2O): δ 1.33 (s, 6H), 3.08 (d, 1H, J = 18.0 Hz), 3.31 (d, 1H, J = 18.0 Hz), 3.86 (t, 2H), 4.12 (q, 1H, J = 8.6 Hz), 4.22 (q, 1H, J = 8.2 Hz), 4.44 (q, 2H, J = 3.5 Hz), 4.85 (dd, 2H, J = 15.6 및 19.7 Hz), 5.07 (d, 1H), 5.64 (d, 1H), 5.66 (d, 1H), 6.87 (s, 1H), 7.42 (d, 2H), 7.63 (d, 2H), 7.81 (1H, d), 8.17 (1H, s).
질량: ES+ 709.19
실시예 3 (표 1, 화합물 2):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8-옥소-3-{[1-(4-{N-[(3R)-피페리딘-3-일]카르밤이미도일}벤질)-1H-피라졸로[4,3-c]피리딘-5-윰-5-일]메틸}-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72
단계 1: 4-(1H-피라졸로[4,3-c]피리딘-1-일메틸)벤조니트릴
Figure pat00073
DMF (75 mL) 중 1H-피라졸로[4,3-c]피리딘 (0.72 g, 6.04 mmol), 4-(브로모메틸)벤조니트릴 (1.57 g, 8.01 mmol) 및 탄산칼륨 (1.67 g, 12.08 mmol)의 혼합물을 6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와 물 (10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염수 (3 x 10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용리액으로서 에틸 아세테이트: 메탄올 (9:1)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4-(1H-피라졸로[4,3-c]피리딘-1-일메틸)벤조니트릴 (0.42 g, 30.5%)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5.66 (s, 2H), 7.24-7.28 (m, 3H), 7.61 (d, 2H, J = 8.4 Hz), 8.23 (s, 1H), 8.43 (d, 1H, J = 6.4 Hz), 9.15 (s, 1H).
단계 2: 에틸 4-(1H-피라졸로[4,3-c]피리딘-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at00074
0℃에서 압력 용기에서 무수 에탄올 (30 mL) 중 4-(1H-피라졸로[4,3-c]피리딘-1-일메틸)벤조니트릴 (단계 1로부터임, 0.7 g, 3.0 mmol)의 용액을 통해 무수 염화수소 기체의 스트림을 10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반응 용기를 마개로 막은 다음,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내용물을 플라스크로 옮기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에테르로 연화처리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에틸 4-(1H-피라졸로[4,3-c]피리딘-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0.8 g, 84%)를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1.59 (t, 3H, J = 6.6 Hz), 4.63 (q, 2H, J = 6.2 Hz), 6.03 (s, 2H), 7.60 (d, 2H, J = 6.8 Hz), 8.04 (d, 2H, J = 7.2 Hz), 8.37 (s, 1H), 8.58 (s, 1H), 8.84 (s, 1H), 9.59 (s, 1H). 1개의 양성자가 CD3OD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단계 3: tert-부틸 (3R)-3-({[4-(1H-피라졸로[4,3-c]피리딘-1-일메틸)페닐]카르보노이미도일}아미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75
메탄올 (5 mL) 중 에틸 4-(1H-피라졸로[4,3-c]피리딘-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단계 2로부터임, 0.57 g, 1.8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56 mL, 4.0 mmol)의 용액에 0℃에서 메탄올 (1 mL) 중 tert-부틸 (3R)-3-아미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0.36 g, 1.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일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용리액으로서 메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1:4)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tert-부틸 (3R)-3-({[4-(1H-피라졸로[4,3-c]피리딘-1-일메틸)페닐]카르보노이미도일}아미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0.5 g, 64%)를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28 (s, 9H), 1.57-1.80 (m, 3H), 2.12 (s, 1H), 3.08-3.30 (m, 2H), 3.36-4.10 (m, 3H), 5.83 (s, 2H), 7.45 (d, 2H, J = 8.8 Hz), 7.67-7.69 (m, 3H), 8.33 (d, 1H, J = 6.0 Hz), 8.37 (s, 1H), 9.10 (s, 1H). 2개의 양성자가 CD3OD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단계 4: tert-부틸 (3R)-3-[(tert-부톡시카르보닐){[4-(1H-피라졸로[4,3-c]피리딘-1-일메틸)페닐]카르보노이미도일}아미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76
1,4-디옥산 (20 mL) 중 tert-부틸 (3R)-3-({[4-(1H-피라졸로[4,3-c]피리딘-1-일메틸)페닐]카르보노이미도일}아미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단계 3으로부터임, 0.5 g, 1.15 mmol)의 용액을 포화 탄산나트륨 용액 (10 mL)에 이어서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1.26 g, 5.78 mmol)로 처리한 다음, 실온에서 4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고 나머지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 중에 용해시키고 물 (100 mL), 염수 용액 (10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용리액으로서 에틸 아세테이트: 메탄올: 수산화암모늄 (60:39:1)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tert-부틸 (3R)-3-[(tert-부톡시카르보닐){[4-(1H-피라졸로[4,3-c]피리딘-1-일메틸)페닐]카르보노이미도일}아미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0.48 g, 78%)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24-2.05 (m, 22H), 3.05-3.71 (m, 4H), 4.09-4.10 (m, 1H), 5.08 (br s, 1H), 5.62 (s, 2H), 7.22-7.28 (m, 3H), 7.39 (d, 2H, J = 8.4 Hz), 8.19 (s, 1H), 8.38 (d, 1H, J = 6.0 Hz), 9.12 (s, 1H).
단계 5: 5-{[(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3-티아졸-4-일}-2-{[(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N-[(3R)-1-(ter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3-일]카르밤이미도일}벤질)-1H-피라졸로[4,3-c]피리딘-5-윰 아이오다이드
Figure pat00077
디메틸아세트아미드 (2 mL) 중 tert-부틸 (3R)-3-[(tert-부톡시카르보닐){[4-(1H-피라졸로[4,3-c]피리딘-1-일메틸)페닐]카르보노이미도일}아미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단계 4로부터임, 0.16 g, 0.30 mmol)의 용액에 0℃에서 4-메톡시벤질 (6R,7R)-7-{[(2Z)-2-{5-[(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2,4-티아디아졸-3-일}-2-{[(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클로로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0.23 g, 0.30 mmo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0.5시간 동안 탈기하고, 그에 아이오딘화나트륨 (0.09 g, 0.60 mmol)을 첨가하였다. 1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5% 수성 염화나트륨에 천천히 첨가하고 티오황산나트륨 용액을 얼음 하에 냉각시켰다. 이어서, 현탁액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고체를 진공 건조시켜 황색 고체 (0.33 g)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6: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8-옥소-3-{[1-(4-{N-[(3R)-피페리딘-3-일]카르밤이미도일}벤질)-1H-피라졸로[4,3-c]피리딘-5-윰-5-일]메틸}-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78
-40℃에서 건조 디클로로메탄 (6 mL) 중 5-{[(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3-티아졸-4-일}-2-{[(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N-[(3R)-1-(ter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3-일]카르밤이미도일}벤질)-1H-피라졸로[4,3-c]피리딘-5-윰 아이오다이드 (단계 5로부터임, 0.33 g)의 용액에 아니솔 (0.50 mL, 4.64 mmol)에 이어서 니트로메탄 중 2M 염화알루미늄 (2.33 mL, 4.66 mmol)을 첨가하였다. 액체를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10 mL) 및 물 (0.8 mL)을 첨가하고, 생성물을 교반하여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상청액을 경사분리에 의해 제거하였다. 용기에 부착된 불용성 물질에 묽은 수성 염산 용액 (4 mL) 및 아세토니트릴 (15 mL)을 첨가하였다. 생성물을 교반하여 물질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그에 HP20 수지 (0.8 g)를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동결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정제하여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8-옥소-3-{[1-(4-{N-[(3R)-피페리딘-3-일]카르밤이미도일}벤질)-1H-피라졸로[4,3-c]피리딘-5-윰-5-일]메틸}-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를 포름산 염 (0.025 g, 12.5%)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2O): δ 1.17 (s, 6H), 1.58-1.70 (m, 2H), 1.88-1.92 (m, 1H), 2.08-2.09 (m, 1H), 2.85-2.98 (m, 3H), 3.20 (d, 1H, J =12.0 Hz), 3.45-3.49 (m, 2H), 3.96 (m, 1H), 5.08-5.11 (m, 2H), 5.43 (d, 1H, J = 14.8 Hz), 5.58 (d, 1H, J = 4.4 Hz), 5.72 (s, 2H), 6.65 (s, 1H), 7.26 (d, 2H, J = 8.0 Hz), 7.50 (d, 2H, J = 7.2 Hz), 7.90 (d, 1H, J = 6.8 Hz), 8.50 (d, 1H, J = 7.2 Hz), 8.58 (s, 1H), 9.49 (s, 1H). 7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802.20
실시예 4 (표 1, 화합물 5):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벤질)-1H-이미다조[1,2-b]피라졸-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79
단계 1: 4-(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벤조니트릴
Figure pat00080
질소 하에 0℃에서 DMF (30 mL) 중 1H-이미다조[1,2-b]피라졸 (2.158 g, 20.146 mmol)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미네랄 오일 중 60.9%, 1.19g, 30.22 mmol)을 여러 부분으로 첨가하고 15분 동안 교반한 후 4-(브로모메틸)벤조니트릴 (3.95 g, 20.146 mmol)을 여러 부분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이어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으로 켄칭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 및 물 (200 mL)로 희석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물 (3 x 200 mL),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4-(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벤조니트릴 (2.2 g, 49%)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5.25 (s, 2H), 5.62 (d, 1H, J = 2.7 Hz), 7.34-7.35 (m, 1H), 7.44-7.47 (m, 3H), 7.59-7.60 (m, 1H), 7.84 (d, 2H, J = 8.2 Hz).
단계 2: 에틸 4-(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at00081
0℃에서 압력 용기에서 무수 에탄올 (25 mL) 중 4-(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벤조니트릴 (단계 1로부터임, 1.2 g, 5.4 mmol)의 용액을 통해 무수 염화수소 기체의 스트림을 15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반응 용기를 마개로 막고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내용물을 플라스크로 옮기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에테르로 연화처리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에틸 4-(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1.6 g, 97%)를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46 (t, 3H, J = 7.1 Hz), 4.73 (q, 2H, J = 6.9 Hz), 5.41 (s, 2H), 5.98 (d, 1H, J = 2.8 Hz), 7.56-7.61 (m, 4H), 7.80 (d, 2H, J = 8.6 Hz), 8.14 (d, 2H, J = 8.6 Hz), 12.20 (br s, 2H).
단계 3: 4-(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Figure pat00082
메탄올 (25 mL) 중 에틸 4-(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단계 2로부터임, 1.1 g, 3.61 mol)의 현탁액을 함유하는 압력 용기를 암모니아 기체로 포화시키고 마개로 막았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과량의 암모니아를 배출시키고 내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헥산으로 연화처리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4-(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1.5 g, 141.5%)를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5.27 (s, 2H), 5.64 (d, 1H, J = 2.4 Hz), 7.35-7.60 (m, 5H), 7.80-7.86 (m, 2H)
단계 4: tert-부틸 {[4-(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페닐]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Figure pat00083
중탄산나트륨 (1.524 g, 18.81 mmol), 1,4-디옥산 (30 mL) 및 물 (10 mL)의 혼합물 중 4-(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단계 3으로부터임, 1.50 g, 6.27 mmol)의 현탁액에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2.74 g, 12.54 mmo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고 나머지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80 mL) 중에 용해시키고, 물 (80 mL), 염수 용액 (8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용리액으로서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tert-부틸 {[4-(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페닐]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0.60 g, 28.17%)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41 (s, 9H), 5.18 (s, 2H), 5.58 (d, 1H, J = 2.3 Hz), 7.32-7.37 (m, 3H), 7.41- 7.42 (m, 1H), 7.56 (d, 1H, J = 2.8 Hz), 7.88 (d, 2H, J = 8.5 Hz).
질량: ES- 338.11
단계 5: 5-{[(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3-티아졸-4-일}-2-{[(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벤질}-1H-이미다조[1,2-b]피라졸-5-윰 아이오다이드
Figure pat00084
실온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 (8 mL) 중 4-메톡시벤질 (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3-티아졸-4-일}-2-{[(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클로로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0.35 g, 0.449 mmol)의 용액에 아이오딘화칼륨 (0.149 g, 0.898 mmol)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한 후 tert-부틸 {[4-(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페닐]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단계 4로부터임, 152 mg, 0.449 mmo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질소 하에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티오황산나트륨 및 염수 용액의 1:1 혼합물 (15 mL)로 희석하였다. 이어서, 현탁액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고체를 진공 건조시켜 황색 고체 (0.650 g)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6: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벤질)-1H-이미다조[1,2-b]피라졸-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85
질소 하에 실온에서 건조 디클로로메탄 중 5-{[(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3-티아졸-4-일}-2-{[(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벤질}-1H-이미다조[1,2-b]피라졸-5-윰 아이오다이드 (단계 5로부터임, 0.65g)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 mL)을 1 부분으로 첨가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증류수 (20 mL) 중에 현탁시키고, 2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동결건조시키고 생성물을 HPLC에 의해 정제하여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벤질)-1H-이미다조[1,2-b]피라졸-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를 포름산 염 (0.032g, 7.9%)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9 (d, 6H, J = 8.2 Hz), 2.94 (d, 1H, J = 18.0 Hz), 3.25 (d, 1H, J = 18Hz), 5.05 (d, 1H, J = 5.0 Hz), 5.14 (s, 2H), 5.32 (s, 2H), 5.63 (d, 1H, J = 4.7 Hz), 6.13 (d, 1H, J = 3.5 Hz), 6.86 (s, 1H), 7.37 - 7.41 (m, 3H), 7.63 (d, 2H, J = 8.6 Hz), 7.87 (d, 2H, J = 3.2 Hz), 8.16 (s, 1H)
질량: ES+ 707.17
실시예 5 (표 1, 화합물 11):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86
단계 1: (4-브로모티오펜-2-일)메탄올
Figure pat00087
수소화붕소나트륨 (2.08 g, 55.0 mmol)을 실온에서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200 mL) 중 4-브로모티오펜-2-카르브알데히드 (10.0 g, 52.3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 용액 (50 mL)을 첨가하여 조심스럽게 켄칭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분리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조 화합물을 진공 하에 건조시켜 (4-브로모티오펜-2-일) 메탄올 (10.56 g, 조 물질)을 백색 반고체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4.79 (s, 2H), 6.92 (s, 1H), 7.17 (s, 1H).
단계 2: 5-(히드록시메틸)티오펜-3-카르보니트릴
Figure pat00088
50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4-브로모티오펜-2-일) 메탄올 (단계 1로부터임, 10.56 g 조 물질, ~52.3 mmol), 시안화아연 (6.14 g, 52.34 mmol)의 혼합물을 질소로 3회 탈기하였다. 이어서,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75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질소로 탈기하였다. 그 후, 팔라듐-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3.01 g, 2.61 mmol)을 첨가하고 탈기를 다시 한번 반복하였다. 플라스크에 환류 응축기를 장착하고, 반응 혼합물을 질소 하에 80℃ (조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조 화합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레디셉(RediSep) 실리카 120 g 플래쉬 칼럼 (용리액으로서 헥산 중 10-30% 에틸 아세테이트)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5-(히드록시메틸)티오펜-3-카르보니트릴 (5.15 g, 2 단계에 걸쳐 71%)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2.26 (t, 1H, J = 5.9 Hz), 4.84 (d, 2H, J = 5.9 Hz), 7.16 (s, 1H), 7.88 (d, 1H, J = 1.6 Hz).
단계 3: 5-(브로모메틸)티오펜-3-카르보니트릴
Figure pat00089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150 mL) 중 5-(히드록시메틸)티오펜-3-카르보니트릴 (단계 2로부터임, 5.15 g, 37.0 mmol)의 용액을 트리페닐 포스핀 (10.19 g, 38.8 mmol)에 이어서 사브로민화탄소 (12.88 g, 38.8 mmol)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하에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조 화합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레디셉 실리카 120 g 플래쉬 칼럼 (용리액으로서 헥산 중 0-10% 에틸 아세테이트)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5-(브로모메틸)티오펜-3-카르보니트릴 (6.07 g, 81%)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4.66 (s, 2H), 7.28 (d, 1H, J = 0.8 Hz), 7.92 (d, 1H, J = 1.6 Hz).
단계 4: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보니트릴
Figure pat00090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75 mL) 중 1H-피롤로[3,2-c]피리딘 (1.77 g, 15.00 mmol)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미네랄 오일 중 60% 현탁액, 0.75 g, 18.75 mmol)을 질소 하에 0℃에서 조금씩 첨가하였다. 첨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5분 동안 이어서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0℃로 냉각시키고, 5-(브로모메틸)티오펜-3-카르보니트릴 (단계 3으로부터임, 3.79 g, 18.75 mmol)을 조금씩 첨가하였다. 첨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0분 동안 이어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10 mL)로 켄칭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50 mL)와 물 (10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상을 분리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조 화합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레디셉 실리카 80 g 플래쉬 칼럼 (용리액으로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 0-3% 메탄올)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보니트릴 (2.17 g, 60%)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5.47 (s, 2H), 6.68 (d, 1H, J = 3.1 Hz), 7.10 (s, 1H), 7.15 (d, 1H, J = 3.5 Hz), 7.23 (d, 1H, J = 5.8 Hz), 7.83 (s, 1H), 8.35 (d, 1H, J = 5.9 Hz).
질량: ES+ 240.01
단계 5: 메틸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at00091
무수 염화수소 기체를 무수 메탄올 (30 mL) 중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보니트릴 (단계 4로부터임, 1.05 g, 4.38 mmol)의 용액을 통해 실온에서 45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메틸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1.05 g 조 물질)를 갈색 점착성 고체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질량: ES+ 272.06.
단계 6: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Figure pat00092
무수 암모니아 기체를 무수 메탄올 (20 mL) 중 메틸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단계 5로부터임, 1.05 g 조 물질, ~4.3 mmol)의 용액을 통해 실온에서 45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1.72 g 조 물질)를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5.90 (br s, 2H), 7.00 (br s, 1H), 7.42 (br s, 2H), 7.85 (s, 1H), 8.00 (br s, 1H), 8.19 (br s, 1H), 8.43 (br s, 1H), 8.65 (s, 1H), 9.19 (br s, 1H), 9.52 (br s, 1H).
질량: ES+ 257.05.
단계 7: tert-부틸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일]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Figure pat00093
1,4-디옥산 (50 mL) 중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단계 6으로부터임, 1.72 g 조 물질, ~4.0 mmol)의 용액에 수성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에 이어서 디-tert-부틸디카르보네이트 (3.50 g, 16.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물 (50 mL)을 첨가하고 메틸렌 클로라이드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조 화합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레디셉 실리카 40 g 플래쉬 칼럼 (용리액으로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 0-2% 메탄올)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tert-부틸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일]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0.17 g, 3 단계 동안 11%)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53 (s, 9H), 5.42 (s, 2H), 6.64 (d, 1H, J = 2.7 Hz), 7.15 (d, 1H, J = 3.5 Hz), 7.23 (d, 1H, J = 5.5 Hz), 7.41 (s, 1H), 7.86 (s, 1H), 8.28 (d, 1H, J = 5.9 Hz), 8.89 (s, 1H).
질량: ES+ 355.10.
단계 8: 5-{[(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 아이오다이드
Figure pat00094
tert-부틸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일]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단계 7로부터임, 107 mg, 0.30 mmol), 4-메톡시벤질 (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3-티아졸-4-일}-2-{[(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클로로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234 mg, 0.30 mmol), 및 아이오딘화나트륨 (90 mg, 0.60 mmol)의 혼합물을 빙조에서 0℃로 냉각시키고; 디메틸 포름아미드 (3 mL)를 첨가하고, 45분 동안 교반한 다음, 혼합물을 질소 하에 ~16℃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염화나트륨 용액 (75 mL) 중 중아황산나트륨 (0.6 g)을 15℃에서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분리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5-(((6R,7R)-7-((Z)-2-(2-아미노티아졸-4-일)-2-(((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 아이오다이드 (296 mg, 조 물질)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질량: ES+ 1100.52.
단계 9: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95
무수 메틸렌 클로라이드 (3 mL) 중 5-{[(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 아이오다이드 (단계 8로부터임, 296 mg, 조 물질, ~0.30 mmol))의 용액에 아니솔 (0.8 mL)에 이어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0 m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30 mL)를 첨가하였다. 분리된 고체를 여과하고, 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담갈색 고체 (356 mg)를 물 (20 mL) 중에 용해시키고 여과하였다. 수성 상을 동결건조시켜 황색 고체 (200 mg)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정제용 HPLC (아세토니트릴, 물, 0.1% 포름산)에 의해 정제하여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를 포름산 염 (30 mg, 14%)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2O): δ 1.24 (s, 3H), 1.26 (s, 3H), 2.94 (d, 1H, J = 18.0 Hz), 3.42 (d, 1H, J = 18.0 Hz), 5.01 - 5.14 (m, 2H), 5.39 (d, 1H, J = 14.5 Hz), 5.59 - 5.76 (m, 3H), 6.75 (s, 1H), 6.95 (d, 1H, J = 3.5 Hz), 7.31 (s, 1H), 7.73 (d, 1H, J = 3.5 Hz), 7.88 (d, 1H, J = 7.0), 8.09 (d, 1H, J = 1.6 Hz), 8.37 (d, 1H, J = 7.0 Hz), 9.10 (s, 1H).
질량: ES+ 724.17.
실시예 6 (표 1, 화합물 13):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푸란-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96
단계 1: (4-브로모푸란-2-일)메탄올
Figure pat00097
수소화붕소나트륨 (1.21 g, 31.98 mmol)을 실온에서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120 mL) 중 4-브로모푸란-2-카르브알데히드 (5.33 g, 30.46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 용액 (50 mL)을 첨가하여 조심스럽게 켄칭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분리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조 화합물을 진공 하에 건조시켜 (4-브로모푸란-2-일) 메탄올 (5.34 g)을 백색 반고체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2.36 (br s, 1H), 4.55 (s, 2H), 6.34 (s, 1H), 7.39 (s, 1H).
단계 2: 5-(히드록시메틸)푸란-3-카르보니트릴
Figure pat00098
2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4-브로모푸란-2-일)메탄올 (단계 1로부터임, 3.50 g, 19.8 mmol) 및 시안화아연 (2.32 g, 19.8 mmol)의 혼합물을 질소로 3회 탈기하였다.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20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질소로 탈기하였다. 그 후, Pd(PPh3)4 (1.38 g, 1.20 mmol)를 첨가하고 탈기를 다시 한번 반복하였다. 플라스크에 환류 응축기를 장착하고, 반응 혼합물을 질소 하에 8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50 mL)에 녹이고, 물 (100 mL), 염수 (10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조 화합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레디셉 실리카 120 g 플래쉬 칼럼 (용리액으로서 헥산 중 0-30% 에틸 아세테이트)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5-(히드록시메틸)푸란-3-카르보니트릴 (0.58 g, 24%)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97 (br s, 1H), 4.64 (d, 2H, J = 6.3 Hz), 6.53 (s, 1H), 7.92 (s, 1H).
단계 3: 5-(브로모메틸)푸란-3-카르보니트릴
Figure pat00099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30 mL) 중 5-(히드록시메틸)푸란-3-카르보니트릴 (단계 2로부터임, 0.92 g, 7.47 mmol)의 용액을 트리페닐 포스핀 (2.15 g, 8.22 mmol)에 이어서 사브로민화탄소 (2.72 g, 8.22 mmol)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하에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조 화합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레디셉 실리카 80 g 플래쉬 칼럼 (용리액으로서 헥산 중 10% 에틸 아세테이트)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5-(브로모메틸)푸란-3-카르보니트릴 (1.12 g, 81%)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4.43 (s, 2H), 6.60 (s, 1H), 7.94 (s, 1H).
단계 4: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푸란-3-카르보니트릴
Figure pat00100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30 mL) 중 1H-피롤로[3,2-c]피리딘 (0.77 g, 6.50 mmol)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미네랄 오일 중 60% 현탁액, 0.26 g, 6.50 mmol)을 질소 하에 0℃에서 조금씩 첨가하였다. 첨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5분 동안 이어서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0℃로 냉각시키고 5-(브로모메틸)푸란-3-카르보니트릴 (단계 3으로부터임, 1.10 g, 5.91 mmol)을 조금씩 첨가하였다. 첨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0분 동안 이어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 (5 mL)로 켄칭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와 물 (5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상을 분리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조 화합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레디셉 실리카 40 g 플래쉬 칼럼 (용리액으로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 0-3% 메탄올)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푸란-3-카르보니트릴 (1.065 g, 80%)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5.29 (s, 2H), 6.46 (s, 1H), 6.66 (d, 1H, J = 2.3 Hz), 7.15 (d, 1H, J = 3.5 Hz), 7.27 (s, 1H), 7.88 (s, 1H), 8.37 (d, 1H, J = 5.9 Hz), 8.94 (s, 1H).
질량: ES+ 224.10.
단계 5: 메틸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푸란-3-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at00101
무수 염화수소 기체를 무수 메탄올 (30 mL) 중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푸란-3-카르보니트릴 (단계 4로부터임, 1.05 g, 4.70 mmol)의 용액을 통해 실온에서 45분 동안 버블링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메틸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푸란-3-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1.05 g, 조 물질)를 갈색 점착성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화합물을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4.28 (s, 3H), 5.82 (s, 2H), 7.16 (br s, 1H), 7.22 (br s, 1H), 7.98 (br s, 1H), 8.30 (br s, 1H), 8.46 (br s, 1H), 8.54 (s, 1H), 9.20 (s, 1H).
질량: ES+ 256.10.
단계 6: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푸란-3-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Figure pat00102
무수 암모니아 기체를 무수 메탄올 (30 mL) 중 메틸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푸란-3-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단계 5로부터임, 1.0 g 조 물질, ~4.7 mmol)의 용액을 통해 실온에서 45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푸란-3-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1.90 g, 조 물질)를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화합물을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질량: ES+ 241.11.
단계 7: tert-부틸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푸란-3-일]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Figure pat00103
1,4-디옥산 (5 mL) 중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푸란-3-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단계 6으로부터임, 1.90 g 조 물질, ~4.7 mmol)의 용액에 수성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 (5 mL)에 이어서 디-tert-부틸디카르보네이트 (4.10 g, 18.8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물 (50 mL)을 첨가하고 메틸렌 클로라이드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조 화합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레디셉 실리카 40 g 플래쉬 칼럼 (용리액으로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 2-5% 메탄올)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tert-부틸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푸란-3-일]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116 mg, 단계에 걸쳐 7%)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51 (s, 9H), 5.26 (s, 2H), 6.59 (s, 1H), 6.63 (dd, 1H, J = 3.1, 0.8 Hz), 7.15 (d, 1H, J = 3.5 Hz), 7.22 (d, 1H, J = 5.9 Hz), 8.01 (s, 1H), 8.22 (d, 1H, J = 5.9 Hz), 8.85 (s, 1H).
질량: ES+ 341.23.
단계 8: 5-{[(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푸란-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 아이오다이드
Figure pat00104
tert-부틸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푸란-3-일]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단계 7로부터임, 110 mg, 0.32 mmol), 4-메톡시벤질 (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3-티아졸-4-일}-2-{[(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클로로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252 mg, 0.32 mmol), 및 아이오딘화나트륨 (96 mg, 0.64 mmol)의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디메틸포름아미드 (3 mL)를 첨가하고, 45분 동안 교반한 다음, 혼합물을 질소 하에 ~16℃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염화나트륨 용액 (75 mL) 중 중아황산나트륨 (0.6 g)을 15℃에서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고,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5-{[(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푸란-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 아이오다이드 (328 mg, 조 물질)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질량: ES+ 1084.68.
단계 9: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푸란-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05
무수 메틸렌 클로라이드 (3 mL) 중 5-{[(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푸란-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 아이오다이드 (단계 8로부터임, 328 mg, 조 물질, ~0.32 mmol)의 용액에 아니솔 (0.8 mL)에 이어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0 m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30 mL)를 첨가하고 분리된 고체를 여과하고, 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녹색빛 황색 고체 (315 mg)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물 (30 mL) 중에 용해시키고 여과하였다. 수성 상을 동결건조시켜 황색 고체 (160 mg)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푸란-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를 포름산 염 (28 mg, 2 단계에 걸쳐 12%)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2O): δ 1.27 (s, 3H), 1.28 (s, 3H), 2.97 (d, 1H, J = 18.0 Hz), 3.44 (d, 1H, J = 18.0 Hz), 5.04 - 5.16 (m, 2H), 5.42 (d, 1H, J = 14.5 Hz), 5.66 (d, 1H, J = 4.7 Hz), 6.72 (s, 1H), 6.84 (s, 1H), 6.96 (d, 1H, J = 3.1 Hz), 7.74 (d, 1H, J = 3.5 Hz), 7.96 (d, 1H, J = 7.0 Hz), 8.14 (s, 1H), 8.43 (d, 1H, J = 7.0 Hz), 9.14 (s, 1H). 7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08.27.
실시예 7 (표 1, 화합물 3):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8-옥소-3-{[1-(4-{N-[(3R)-피페리딘-3-일]카르밤이미도일}벤질)-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06
1H NMR (400 MHz, CD3OD): δ 1.23 (s, 3H), 1.29 (s, 3H), 1.81-2.02 (m, 4H), 2.89 (d, 1H, J = 18.0 Hz), 2.99 (m, 1H), 3.16 (m, 1H), 3.40-3.51 (m, 2H), 3.63 (d, 1H, J = 17.6 Hz), 4.21 (m, 1H), 4.95 (m, 1H), 5.18 (d, 1H, J = 4.8 Hz ), 5.66-5.83 (m, 3H), 5.93 (d, 1H, J = 14.0 Hz), 6.78 (s, 1H), 7.14 (d, 1H, J = 3.2 Hz), 7.44 (d, 2H, J = 8.0 Hz), 7.70 (d, 1H, J = 6.8 Hz), 7.85 (d, 1H, J = 8.4 Hz), 8.07 (s, 1H), 8.34 (s, 1H), 9.29 (d, 1H, J = 6.0 Hz ), 9.43 (s, 1H). 7개의 양성자가 CD3OD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99.2.
실시예 8 (표 1, 화합물 14):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2-플루오로벤질)-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07
1H NMR (400 MHz, D2O): δ 1.23 (s, 6H), 2.93 (d, 1H, J = 18.0 Hz), 3.38 (d, 1H, J = 17.6 Hz), 5.08-5.12 (m, 2H), 5.34 (d, 1H, J = 14.4 Hz), 5.57 (s, 2H), 5.64 (d, 1H, J = 4.4 Hz), 6.75 (s, 1H), 6.92 (d, 1H, J= 3.6 Hz), 7.15 (t, 1H, J= 7.6 Hz), 7.36 (d, 1H, J = 7.2 Hz), 7.41 (d, 1H, J = 10.4 Hz), 7.67 (d, 1H, J = 3.6 Hz), 7.77 (d, 1H, J = 6.8 Hz), 8.27 (d, 1H, J = 8.0 Hz), 9.05 (s, 1H). 7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36.41
실시예 9 (표 1, 화합물 17):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3-[(디아미노메틸리덴)아미노]-1,2-옥사졸-5-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08
1H NMR (400 MHz, D2O): δ 1.25 (s, 6H), 2.93 (d, 1H, J = 17.6 Hz), 3.42 (d, 1H, J = 18.0 Hz), 5.07-5.10 (m, 2H), 5.39 (d, 1H, J = 13.6 Hz), 5.61 (s, 2H), 5.64 (d, 1H, J = 4.8 Hz), 6.10 (s, 1H), 6.78 (s, 1H), 6.94 (d, 1H, J= 3.2 Hz), 7.68 (d, 1H, J= 3.6 Hz), 7.85 (d, 1H, J = 6.4 Hz), 8.38 (d, 1H, J = 6.8 Hz), 9.09 (s, 1H). 8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24.35
실시예 10 (표 1, 화합물 18):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이미다조[1,2-b]피라졸-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09
단계 1: 5-(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티오펜-3-카르보니트릴
Figure pat00110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5 mL) 중 1H-이미다조[1,2-b]피라졸 (0.25 g, 2.33 mmol)의 교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미네랄 오일 중 60% 분산액, 0.14 g, 3.50 mmol)을 0℃에서 조금씩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 중 5-(브로모메틸)티오펜-3-카르보니트릴 (0.495 g, 2.45 mmol)의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이어서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수성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 (2 mL)을 사용하여 켄칭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80 mL)와 물 (1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상을 분리하고, 물 (10 mL), 염수 (10 mL)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혼합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230-400 메쉬)에 의해 헥산 중 50 - 100% 구배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5-(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티오펜-3-카르보니트릴 (0.28 g, 53%)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5.38 (s, 2H), 5.72 (d, 1H, J = 1.9 Hz), 7.29 - 7.32 (m, 1H), 7.46-7.48 (m, 1H), 7.57 (m, 2H), 8.49 (d, 1H, J = 1.2 Hz)
질량: ES+ 229.09
단계 2: 에틸 5-(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at00111
0℃에서 무수 에탄올 (30 mL) 중 5-(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티오펜-3-카르보니트릴 (단계 1로부터임, 0.39 g, 1.71 mmol)의 용액을 무수 염화수소 기체의 스트림으로 15분 동안 퍼징하였다. 반응 플라스크를 마개로 막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고진공 하에 추가로 건조시켜 에틸 5-(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0.60 g, 조 물질)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직접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45 (t, 3H, J = 7.0 Hz), 4.55 (q, 2H, J = 7.0 Hz), 5.46 (s, 2H), 5.83 (d, 1H, J = 1.9 Hz), 7.40 (s, 1H), 7.58 (s, 1H), 7.65 (d, 1H, J = 1.6 Hz), 7.81 (s, 1H), 8.78 (d, 1H, J = 1.6 Hz). 1개의 양성자가 DMS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275.16
단계 3: 5-(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Figure pat00112
0℃에서 무수 메탄올 (20 mL) 중 에틸 5-(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단계 2로부터임, 조 물질, 0.6 g, 1.71 mmol)의 용액을 무수 암모니아 기체의 스트림으로 15분 동안 퍼징하였다. 반응 플라스크를 밀봉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고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고진공 하에 추가로 건조시켜 5-(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1.0 g, 조 물질)를 적색빛 고체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5.40 (s, 2H), 5.69 (d, 1H, J = 1.9 Hz), 7.29-7.32 (m, 1H), 7.44-7.48 (m, 1H), 7.59 (d, 1H, J = 2.7 Hz), 7.69 (d, 1H, J = 0.8 Hz), 8.50 (d, 1H, J = 1.6 Hz). 3개의 양성자가 DMS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246.09
단계 4: tert-부틸 {[5-(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티오펜-3-일](이미노)메틸}카르바메이트
Figure pat00113
1,4-디옥산 (10 mL) 중 5-(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단계 3으로부터임, 조 물질, 1.0 g, 1.71 mmol)의 격렬히 교반하는 용액에 수성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 (6 mL)에 이어서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1.5 g, 6.8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대부분의 1,4-디옥산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50 mL)과 물 (3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디클로로메탄 (60 mL)으로 재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혼합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230-400 메쉬)에 의해 헥산 중 30 - 100% 구배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tert-부틸 {[5-(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티오펜-3-일](이미노)메틸}카르바메이트 (0.215 g, 3 단계에 걸쳐 36%)를 황색빛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41 (s, 9H), 5.32 (s, 2H), 5.65 (d, 1H, J = 1.9 Hz), 7.24-7.30 (m, 1H), 7.39-7.46 (m, 1H), 7.54 (d, 1H, J = 1.9 Hz), 7.60 (d, 1H, J = 0.8 Hz), 8.21 (d, 1H, J = 1.2 Hz), 8.85 (br s, 2H)
질량: ES+ 346.23, ES- 344.18
단계 5: 5-{[(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3-티아졸-4-일}-2-{[(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이미다조[1,2-b]피라졸-5-윰 아이오다이드
Figure pat00114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2 mL) 중 tert-부틸 {[5-(1H-이미다조[1,2-b]피라졸-1-일메틸)티오펜-3-일](이미노)메틸}카르바메이트 (단계 4로부터임, 0.118 g, 0.34 mmol)의 용액에 (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3-티아졸-4-일}-2-{[(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아이오도메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5-올레이트 (0.303 g, 0.34 mmol)를 실온에서 1 부분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1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40℃로 냉각시켰다. 이어서, 아이오딘화칼륨 (0.317 g, 2.39 mmol)에 이어서 아세틸 클로라이드 (0.107 g, 1.37 mmol)를 -40℃에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수성 5% 중아황산나트륨 용액 (메타중아황산나트륨 함유, 10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 (3 x 10 mL)로 세척하고 공기 건조시켰다. 조 생성물을 고진공 하에 추가로 건조시켜 5-{[(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3-티아졸-4-일}-2-{[(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이미다조[1,2-b]피라졸-5-윰 아이오다이드 (0.37 g, 조 물질)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질량: ES+ 1090.75
단계 6: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이미다조[1,2-b]피라졸-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15
무수 디클로로메탄 (7 mL) 중 5-{[(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3-티아졸-4-일}-2-{[(1-tert-부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이미다조[1,2-b]피라졸-5-윰 아이오다이드 (0.37 g, 0.30 mmol) 및 아니솔 (1 mL)의 교반 용액에 0℃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 m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15 mL)를 사용하여 연화처리하였다.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5 mL)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황색 고체 (0.33 g)를 수득하였다. 이어서, 조 물질을 증류수 (20 mL)에 녹이고 생성된 현탁액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격렬히 교반하였다. 불용성 물질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수집하고 동결건조시켰다. 조 생성물 (0.16 g)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이미다조[1,2-b]피라졸-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 (15 mg; 2 단계에 걸쳐 6%)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2O): δ 1.27 (s, 3H), 1.29 (s, 3H), 2.92 (d, 1H, J = 18.0 Hz), 3.25 (d, 1H, J = 18.0 Hz), 5.03 (d, 1H, J = 5.1 Hz), 5.13 (s, 2H), 5.44 (s, 2H), 5.61 (d, 1H, J = 4.7 Hz), 6.19 (d, 1H, J = 3.5 Hz), 6.83 (s, 1H), 7.38-7.42 (m, 2H), 7.85-7.87 (m, 1H), 7.88 (d, 1H, J = 4.3 Hz), 8.14 (s, 1H). 7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12.37
실시예 11 (표 1, 화합물 59):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16
단계 1: 5-{[(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 아이오다이드
Figure pat00117
디메틸포름아미드 (2 mL) 중 tert-부틸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일]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0.12 g, 0.30 mmol)의 용액에 0℃에서 4-메톡시벤질 (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클로로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0.19 g, 0.30 mmo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0.5시간 동안 탈기하고, 이어서 NaI (0.09 g, 0.6 mmo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염화나트륨 용액 (75 mL) 중 중아황산나트륨 (0.6 g)을 15℃에서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황색 고체 (0.29 g)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2: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18
0℃에서 건조 디클로로메탄 (2.5 mL) 중 5-{[(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 아이오다이드 (0.29 g)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5 mL) 및 아니솔 (0.82 mL, 7.75 mmo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30 mL)를 첨가하였다. 분리된 고체를 여과하고, 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녹색빛 황색 고체 (315 mg)를 물 (30 mL) 중에 용해시키고, 여과하고 수성 상을 동결건조시켜 황색 고체 (160 mg)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를 포름산 염 (0.007 g, 4%)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2O): δ 3.05 (d, 1H, J = 17.6 Hz), 3.45 (d, 1H, J = 18.0 Hz), 3.84 (s, 3H), 5.11 (d, 1H, J= 4.8 Hz), 5.21 (d, 1H, J= 14.8 Hz), 5.35 (d, 1H, J = 14.4 Hz), 5.70 (m, 3H), 6.84 (s, 1H), 6.98 (d, 1H, J= 3.2 Hz), 7.34 (s, 1H), 7.73 (d, 1H, J = 3.6 Hz), 7.88 (d, 1H, J = 7.2 Hz), 8.12 (s, 1H), 8.31 (d, 1H, J= 8.4 Hz), 9.08 (s, 1H). 6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652.15
실시예 12 (표 1, 화합물 62):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8-옥소-3-[(1-{[4-(N-페닐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19
단계 1: N-페닐-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Figure pat00120
에탄올 (5 mL) 중 에틸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0.5 g, 1.55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56 mL, 4.0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아닐린 (0.2.3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일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용리액으로서 메탄올: 디클로로메탄 (15:85)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N-페닐-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0.28 g, 54%)를 베이지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5.78 (s, 2H), 6.81 (d, 1H, J = 4.4 Hz), 7.38-7.47 (m, 3H), 7.53-7.57 (m, 2H), 7.62 (m, 2H), 7.70 (d, 1H, J= 6.4 Hz), 8.23 (d, 1H, J= 6.4 Hz), 8.35 (s, 1H), 8.87 (s, 1H). 2개의 양성자가 CD3OD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단계 2: 5-{[(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페닐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 아이오다이드
Figure pat00121
디메틸포름아미드 (2 mL) 중 N-페닐-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0.10 g, 0.30 mmol)의 용액에 0℃에서 4-메톡시벤질 (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클로로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0.21 g, 0.30 mmo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0.5시간 동안 탈기하고, 이어서 NaI (0.09 g, 0.6 mmo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염화나트륨 용액 (75 mL) 중 중아황산나트륨 (0.6 g)을 15℃에서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황색 고체 (0.28 g)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3: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8-옥소-3-[(1-{[4-(N-페닐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22
0℃에서 건조 디클로로메탄 (2.5 mL) 중 5-{[(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페닐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 아이오다이드 (0.28 g)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5 mL) 및 아니솔 (0.82 mL, 7.75 mmo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30 mL)를 첨가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녹색빛 황색 고체 (315 mg)를 물 (30 mL) 중에 용해시키고, 여과하고 수성 상을 동결건조시켜 황색 고체 (160 mg)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8-옥소-3-[(1-{[4-(N-페닐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를 포름산 염 (0.01 g, 5%)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2O): δ 3.05 (d, 1H, J = 18.0 Hz), 3.43 (d, 1H, J = 18.0 Hz), 3.84 (s, 3H), 5.10 (d, 1H, J= 4.8 Hz), 5.22 (d, 1H, J= 15.2 Hz), 5.35 (d, 1H, J = 14.4 Hz), 5.71 (d, 1H, J= 4.8 Hz), 5.76 (s, 2H), 7.00 (d, 1H, J= 3.2 Hz), 7.30 (d, 2H, J= 7.2 Hz), 7.41-7.49 (m, 4H), 7.78 (d, 1H, J = 3.2 Hz), 7.92 (d, 1H, J = 7.6 Hz), 8.21 (s, 1H), 8.33 (d, 1H, J= 8.0 Hz), 9.09 (s, 1H). 5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662.09
실시예 13 (표 1, 화합물 63):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8-옥소-3-[(1-{[4-(피롤리딘-1-일카르보노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23
단계 1: 1-(피롤리딘-1-일)-1-[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일]메탄이민
Figure pat00124
에탄올 (5 mL) 중 에틸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0.5 g, 1.55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56 mL, 4.0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피롤리딘 (0.2g, 2.8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일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용리액으로서 메탄올: 디클로로메탄 (15:85)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1-(피롤리딘-1-일)-1-[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일]메탄이민 (0.26 g, 54%)을 베이지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1.96 (m, 2H), 2.14 (m, 2H), 3.30 (m, 4H), 5.64 (s, 2H), 6.74 (d, 1H, J = 4.0 Hz), 7.38 (s, 1H), 7.51 (d, 1H, J= 3.6 Hz), 7.57 (d, 1H, J= 6.0 Hz), 7.99 (s, 1H), 8.18 (d, 1H, J= 5.6 Hz), 8.81 (s, 1H). 1개의 양성자가 CD3OD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단계 2: 5-{[(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피롤리딘-1-일카르보노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 아이오다이드
Figure pat00125
디메틸포름아미드 (2 mL) 중 1-(피롤리딘-1-일)-1-[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일]메탄이민 (0.093 g, 0.30 mmol)의 용액에 0℃에서 4-메톡시벤질 (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클로로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0.21 g, 0.30 mmo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0.5시간 동안 탈기하고, 이어서 NaI (0.09 g, 0.6 mmo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염화나트륨 용액 (75 mL) 중 중아황산나트륨 (0.6 g)을 15℃에서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분리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황색 고체 (0.28 g)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3: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8-옥소-3-[(1-{[4-(피롤리딘-1-일카르보노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26
0℃에서 건조 디클로로메탄 (2.5 mL) 중 5-{[(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피롤리딘-1-일카르보노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 아이오다이드 (0.29 g)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5 mL) 및 아니솔 (0.82 mL, 7.75 mmo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30 mL)를 잔류물에 첨가하고 분리된 고체를 여과하고, 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 세척한 다음,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녹색빛 황색 고체 (315 mg)를 물 (30 mL) 중에 용해시키고, 여과하고 수성 상을 동결건조시켜 황색 고체 (160 mg)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8-옥소-3-[(1-{[4-(피롤리딘-1-일카르보노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를 포름산 염 (0.011 g, 5.7%)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200 MHz, D2O): δ 1.79 (m, 2H), 1.97 (m, 2H), 3.03 (d, 1H, J = 18.0 Hz), 3.42 (m, 5H), 3.84 (s, 3H), 5.10 (d, 1H, J= 4.4 Hz), 5.21 (d, 1H, J= 14.8 Hz), 5.35 (d, 1H, J = 14.4 Hz), 5.70 (m, 3H), 6.98 (d, 1H, J= 3.2 Hz), 7.22 (s, 1H), 7.74 (d, 1H, J = 3.2 Hz), 7.85 (s, 1H), 7.89 (d, 1H, J= 7.2 Hz), 8.32 (d, 1H, 7.2 Hz), 9.08 (s, 1H). 4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40.13
실시예 14 (표 1, 화합물 64):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8-옥소-3-{[1-({4-[N-(1,3-티아졸-2-일)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27
단계 1: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N-(1,3-티아졸-2-일)티오펜-3-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Figure pat00128
에탄올 (5 mL) 중 에틸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0.5 g, 1.55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56 mL, 4.0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1,3-티아졸-2-아민 (0.25 g, 2.3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일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용리액으로서 메탄올: 디클로로메탄 (15:85)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N-(1,3-티아졸-2-일)티오펜-3-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0.22 g, 42%)를 베이지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5.43 (s, 2H), 6.65 (d, 1H, J = 4.0 Hz), 7.16 (m, 2H), 7.27 (m, 2H), 7.44 (m, 1H, J= 6.0 Hz), 7.64 (s, 1H), 8.32 (d, 1H, J= 6.0 Hz), 8.92 (s, 1H).
단계 2: 5-{[(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1,3-티아졸-2-일)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 아이오다이드
Figure pat00129
디메틸포름아미드 (2 mL) 중 5-(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N-(1,3-티아졸-2-일)티오펜-3-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0.102 g, 0.30 mmol)의 용액에 0℃에서 4-메톡시벤질 (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클로로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0.21 g, 0.30 mmo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0.5시간 동안 탈기하고, 이어서 NaI (0.09 g, 0.6 mmo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염화나트륨 용액 (75 mL) 중 중아황산나트륨 (0.6 g)을 0℃에서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고 분리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황색 고체 (0.3 g)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3: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8-옥소-3-{[1-({4-[N-(1,3-티아졸-2-일)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30
0℃에서 건조 디클로로메탄 (2.5 mL) 중 5-{[(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1,3-티아졸-2-일)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 아이오다이드 (0.3 g)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5 mL) 및 아니솔 (0.82 mL, 7.75 mmo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용매를 증발시키고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30 mL)를 첨가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녹색빛 황색 고체 (315 mg)를 물 (30 mL) 중에 용해시키고, 여과하고 수성 상을 동결건조시켜 황색 고체 (160 mg)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8-옥소-3-{[1-({4-[N-(1,3-티아졸-2-일)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를 포름산 염 (0.005 g, 2.5%)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2O): δ 3.03 (d, 1H, J = 17.6 Hz), 3.43 (d, 1H, J= 17.2 Hz), 3.84 (s, 3H), 5.11 (d, 1H, J= 4.8 Hz), 5.21 (d, 1H, J= 13.6 Hz), 5.36 (d, 1H, J = 14.0 Hz), 5.72 (m, 3H), 7.01 (d, 1H, J= 4.2 Hz), 7.25 (d, 1H, J= 3.6 Hz), 7.41 (d, 1H, J =7.6 Hz), 7.49 (m, 1H), 7.75 (m, 1H), 7.92 (d, 1H, J= 7.2 Hz), 8.20 (s, 1H), 8.33 (d, 1H, J= 7.6 Hz), 9.06 (s, 1H). 5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69.03
실시예 15 (표 1, 화합물 60):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4-윰-4-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31
단계 1: 5-(1H-피롤로[3,2-b]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보니트릴
Figure pat00132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 중 1H-피롤로[3,2-b]피리딘 (0.59 g, 5.00 mmol)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미네랄 오일 중 60% 현탁액, 0.29 g, 7.25 mmol)을 질소 하에 0℃에서 조금씩 첨가하였다. 첨가한 후, 혼합물을 0℃에서 10분 동안 이어서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고, 0℃로 냉각시키고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10 mL) 중 5-(브로모메틸)티오펜-3-카르보니트릴 (1.11 g, 5.50 mmol)을 적가하였다. 첨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고, 빙수 (10 mL)로 켄칭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용리액으로서 DCM: MeOH (92:8)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5-(1H-피롤로[3,2-b]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보니트릴 (1.0 g, 80%)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5.47 (s, 2H), 6.79 (d, 1H, J= 4.0 Hz), 7.10 (s, 1H), 7.12 (m, 1H), 7.36 (d, 1H, J= 3.6 Hz), 7.58 (d, 1H, J= 10.4 Hz), 7.82 (s, 1H), 8.50 (d, 1H, J= 6.0 Hz).
단계 2: 메틸 5-(1H-피롤로[3,2-b]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at00133
무수 염화수소 기체를 무수 에탄올 (30 mL) 중 5-(1H-피롤로[3,2-b]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보니트릴 (1.0 g, 4.18 mmol)의 용액을 통해 0℃에서 20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증발시키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메틸 5-(1H-피롤로[3,2-b]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0.97 g 조 물질)를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3: 5-(1H-피롤로[3,2-b]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Figure pat00134
무수 암모니아 기체를 무수 메탄올 (40 mL) 중 메틸 5-(1H-피롤로[3,2-b]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0.97 g 조 물질, ~4.1 mmol)의 용액을 통해 0℃에서 15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5-(1H-피롤로[3,2-b]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1.2 g, 조 물질)를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4: tert-부틸 {[5-(1H-피롤로[3,2-b]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일]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Figure pat00135
1,4-디옥산 (100 mL) 중 5-(1H-피롤로[3,2-b]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0.97 g, 조 물질)의 용액에 0℃에서 수성 포화 탄산나트륨 용액 (50 mL)에 이어서 디-tert-부틸디카르보네이트 (3.30 g, 15.12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증발시키고 물 (50 mL)을 첨가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합하고, 염수 (2 x 5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조 화합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레디셉 실리카 40 g 플래쉬 칼럼 (용리액으로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 0-6% 메탄올)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tert-부틸 {[5-(1H-피롤로[3,2-b]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일]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1.2 g, 3 단계에 걸쳐 61%)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51 (s, 9H), 5.39 (s, 2H), 6.66 (d, 1H, J = 4.00 Hz), 7.06 (m, 1H), 7.32 (d, 1H, J = 3.2 Hz), 7.42 (s, 1H), 7.58 (d, 1H, J= 10.4 Hz), 7.87 (s, 1H), 8.42 (d, 1H, J= 5.6 Hz).
단계 5: 4-{[(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4-윰 아이오다이드
Figure pat00136
디메틸포름아미드 (2 mL) 중 tert-부틸 {[5-(1H-피롤로[3,2-b]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일]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0.12 g, 0.30 mmol)의 용액에 0℃에서 4-메톡시벤질 (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클로로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0.21 g, 0.30 mmo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0.5시간 동안 탈기하고, 이어서 NaI (0.09 g, 0.6 mmo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염화나트륨 용액 (75 mL) 중 중아황산나트륨 (0.6 g)을 15℃에서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황색 고체 (0.3 g)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6: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4-윰-4-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37
0℃에서 건조 디클로로메탄 (2.5 mL) 중 4-{[(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4-윰 아이오다이드 (0.3 mg, 조 물질)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5 mL) 및 아니솔 (0.82 mL, 7.75 mmo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30 mL)를 첨가하고, 분리된 고체를 여과하고, 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녹색빛 황색 고체 (315 mg)를 물 (30 mL) 중에 용해시키고, 여과하고 수성 상을 동결건조시켜 황색 고체 (165 mg)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4-윰-4-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를 포름산 염 (0.007 g, 3.9%)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2O): δ 3.08 (d, 1H, J = 18.0 Hz), 3.23 (d, 1H, J = 17.6 Hz), 3.86 (s, 3H), 5.04 (d, 1H, J= 4.8 Hz), 5.39 (d, 1H, J= 15.2 Hz), 5.67 (d, 1H, J = 14.8 Hz), 5.71 (d, 1H, J= 4.4 Hz), 5.76 (s, 2H), 6.93 (d, 1H, J= 3.6 Hz), 7.35 (s, 1H), 7.55 (m, 1H), 8.09 (d, 1H, J= 3.2 Hz), 8.13 (s, 1H), 8.49 (m, 2H). 6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686.14
실시예 16 (표 1, 화합물 61):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2,3-c]피리딘-6-윰-6-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38
단계 1: 5-(1H-피롤로[2,3-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보니트릴
Figure pat00139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 중 1H-피롤로[2,3-c]피리딘 (0.59 g, 5.00 mmol)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미네랄 오일 중 60% 현탁액, 0.29 g, 7.25 mmol)을 질소 하에 0℃에서 조금씩 첨가하였다. 첨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0분 동안 이어서,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고, 0℃로 냉각시킨 다음,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10 mL) 중 5-(브로모메틸)티오펜-3-카르보니트릴 (1.11 g, 5.50 mmol)을 적가하였다. 첨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고, 빙수 (10 mL)로 켄칭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용리액으로서 DCM: MeOH (92:8)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5-(1H-피롤로[2,3-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보니트릴 (0.88 g, 73%)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5.56 (s, 2H), 6.59 (d, 1H, J= 2.8 Hz), 7.13 (s, 1H), 7.27 (d, 1H, J= 6.8 Hz), 7.54 (d, 1H, J= 5.2 Hz), 7.82 ( s, 1H), 8.29 (d, 1H, J= 5.2 Hz), 8.73 ( s, 1H).
단계 2: 메틸 5-(1H-피롤로[2,3-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at00140
무수 염화수소 기체를 무수 에탄올 (30 mL) 중 5-(1H-피롤로[2,3-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보니트릴 (0.8 g, 3.34 mmol)의 용액을 통해 0℃에서 20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메틸 5-(1H-피롤로[2,3-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1.0 g, 조 물질)를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3: 5-(1H-피롤로[2,3-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Figure pat00141
무수 암모니아 기체를 무수 메탄올 (40 mL) 중 메틸 5-(1H-피롤로[2,3-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1.0 g 조 물질, ~4.1 mmol)의 용액을 통해 0℃에서 15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5-(1H-피롤로[2,3-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0.73 g, 조 물질)를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4: tert-부틸 {[5-(1H-피롤로[2,3-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일]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Figure pat00142
1,4-디옥산 (100 mL) 중 5-(1H-피롤로[2,3-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0.73 g 조 물질)의 용액에 수성 포화 탄산나트륨 용액 (50 mL)에 이어서 디-tert-부틸디카르보네이트 (2.9 g, 13.12 mmol)를 0℃에서 첨가하고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물 (50 mL)을 첨가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합하고, 염수 (2 x 5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조 화합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레디셉 실리카 40 g 플래쉬 칼럼 (용리액으로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 0-6% 메탄올)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tert-부틸 {[5-(1H-피롤로[2,3-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일]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1.0 g, 3 단계에 걸쳐 51%)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53 (s, 9H), 5.50 (s, 2H), 6.54 (d, 1H, J = 3.2 Hz), 6.88 (d, 1H, J = 3.6 Hz), 7.26 (s, 1H), 7.37 (d, 1H, J = 3.6 Hz), 7.43 (s, 1H), 7.52 (d, 1H, J= 4.8 Hz), 7.84 (s, 1H), 8.25 (d, 1H, J= 5.6 Hz), 8.78 (s, 1H).
단계 5: 6-{[(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2,3-c]피리딘-6-윰 아이오다이드
Figure pat00143
디메틸포름아미드 (2 mL) 중 tert-부틸 {[5-(1H-피롤로[2,3-c]피리딘-1-일메틸)티오펜-3-일]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0.12 g, 0.30 mmol)의 용액에 0℃에서 4-메톡시벤질 (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클로로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0.21 g, 0.30 mmo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0.5시간 동안 탈기하고, NaI (0.09 g, 0.6 mmol)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염화나트륨 용액 (75 mL) 중 중아황산나트륨 (0.6 g)을 15℃에서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고 분리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한 다음, 진공 하에 건조시켜 황색 고체 (0.3 g)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6: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2,3-c]피리딘-6-윰-6-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포름산 염
Figure pat00144
0℃에서 건조 디클로로메탄 (2.5 mL) 중 6-{[(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2,3-c]피리딘-6-윰 아이오다이드 (0.3 mg, 조 물질)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5 mL) 및 아니솔 (0.82 mL, 7.75 mmo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30 mL)를 첨가하고 고체를 여과하고, 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 세척한 다음,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녹색빛 황색 고체 (315 mg)를 물 (30 mL) 중에 용해시키고, 여과하고 수성 상을 동결건조시켜 황색 고체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2,3-c]피리딘-6-윰-6-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황색 고체 (165 mg)를 포름산 염 (0.02 g, 11.2%)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2O): δ 2.99 (d, 1H, J = 18.0 Hz), 3.38 (d, 1H, J = 18.0 Hz), 3.85 (s, 3H), 5.06 (d, 1H, J= 5.2 Hz), 5.13 (d, 1H, J= 14.4 Hz), 5.34 (d, 1H, J = 14.0 Hz), 5.69-5.82 (m, 3H), 6.88 (d, 1H, J= 3.2 Hz), 7.49 (s, 1H), 7.96 (d, 1H, J= 6.8 Hz), 8.14 (d, 1H, J= 6.8 Hz), 8.32 (s, 2H), 9.06 (s, 1H), 6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686.23
실시예 17 (표 1, 화합물 28):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이미다조[1,2-b]피라졸-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45
1H NMR (400 MHz, D2O) δ 1.24 (s, 3H), 1.27 (s, 3H), 2.88 (d, 1H, J = 18.0 Hz), 3.24 (d, 1H, J = 18.0 Hz), 5.02 (d, 1H, J = 4.7 Hz), 5.13 (m, 2H), 5.45 (s, 2H), 5.61 (d, 1H, J = 4.7 Hz), 6.20 (d, 1H, J = 3.9 Hz), 7.40 (s, 2H), 7.87-7.89 (m, 2H), 8.14 (s, 1H). 7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47.34 및 749.22
실시예 18 (표 1, 화합물 4):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드아미도벤질)-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46
1H NMR (400 MHz, D2O): δ 1.27 (s, 3H), 1.28 (s, 3H), 2.92 (d, 1H, J = 17.6 Hz), 3.38 (d, 1H, J = 17.6 Hz), 5.08-5.12 (m, 2H), 5.33 (d, 1H, J = 14.9 Hz), 5.44 (s, 2H), 5.64 (s, 1H), 6.80 (s, 1H), 6.91 (s, 1H), 7.11-7.17 (m, 4H), 7.67-7.71 (m, 2H), 8.16 (s, 0.4H, 포름산), 8.25 (m, 1H), 9.04 (s, 1H). 8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33.32
실시예 19 (표 1, 화합물 7):
(6R,7R)-3-[(1-{4-[N-(2-아미노에틸)카르밤이미도일]벤질}-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47
1H NMR (400 MHz, D2O): δ 1.20 (s, 3H), 1.21 (s, 3H), 2.92 (d, 1H, J = 18.0 Hz), 3.21 (t, 2H, J = 6.3 Hz), 3.38 (d, 1H, J = 18.0 Hz), 3.63 (t, 2H, J = 6.3 Hz), 5.06-5.11 (m, 2H), 5.32 (d, 1H, J = 14.4 Hz), 5.52 (s, 2H), 5.59 (d, 1H, J = 4.7 Hz), 6.73 (s, 1H), 6.92 (d, 1H, J = 3.1 Hz), 7.21 (d, 2H, J = 8.2 Hz), 7.52 (d, 2H, J = 8.2 Hz), 7.66-7.69 (m, 2H), 8.23 (d, 1H, J = 7.0 Hz), 9.05 (s, 1H). 8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61.13
실시예 20 (표 1, 화합물 8):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4,5-디히드로-1H-이미다졸-2-일)벤질]-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48
1H NMR (400 MHz, D2O): δ 1.24 (s, 3H), 1.27 (s, 3H), 2.94 (d, 1H, J = 17.5 Hz), 3.40 (d, 1H, J = 17.5 Hz), 3.89 (s, 4H), 5.09-5.13 (m, 2H), 5.34 (d, 1H, J = 14.8 Hz), 5.55 (s, 2H), 5.63 (d, 1H, J = 4.7 Hz), 6.78 (s, 1H), 6.96 (s, 1H), 7.23 (d, 2H, J = 7.1 Hz), 7.58 (d, 2H, J = 7.1 Hz), 7.69-7.71 (m, 2H), 8.19 (s, 1H, 포름산), 8.25 (d, 1H, J = 7.1 Hz), 9.08 (s, 1H). 5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44.27
실시예 21 (표 1, 화합물 12):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2-(4-카르밤이미드아미도페닐)에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49
1H NMR (400 MHz, D2O): δ 1.30 (s, 6H), 2.80 (d, 1H, J = 17.6 Hz), 3.00 (m, 2H), 3.23 (d, 1H, J = 17.6 Hz), 4.44 (m, 2H), 5.03-5.07 (m, 2H), 5.21 (d, 1H, J = 14.1 Hz), 5.56 (d, 1H, J = 4.3 Hz), 6.75-6.86 (m, 6H), 7.02 (d, 1H, J = 6.7 Hz), 7.60 (s, 1H), 7.85 (d, 1H, J = 6.7 Hz), 8.19 (s, 0.5H, 포름산), 8.90 (s, 1H). 8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47.27
실시예 22 (표 1, 화합물 16):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1,3-티아졸-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50
1H NMR (400 MHz, D2O): δ 1.29 (s, 3H), 1.32 (s, 3H), 2.98 (d, 1H, J = 17.6 Hz), 3.40 (d, 1H, J = 17.6 Hz), 5.09 (d, 1H, J = 4.7 Hz), 5.14 (d, 1H, J = 14.4 Hz), 5.34 (d, 1H, J = 14.4 Hz), 5.67 (d, 1H, J = 4.7 Hz), 5.85 (s, 2H), 6.91 (s, 1H), 6.97 (d, 1H, J = 3.1 Hz), 7.74 (d, 1H, J = 3.1 Hz), 7.86 (d, 1H, J = 7.1 Hz), 8.09 (s, 0.4H, 포름산), 8.31 (d, 1H, J = 7.1 Hz), 8.39 (s, 1H), 9.08 (s, 1H). 7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25.37
실시예 23 (표 1, 화합물 19):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N'-메톡시카르밤이미도일)벤질]-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51
1H NMR (400 MHz, D2O): δ 1.25 (s, 3H), 1.26 (s, 3H), 2.94 (d, 1H, J = 18.0 Hz), 3.35 (d, 1H, J = 18.0 Hz), 3.64 (s, 3H), 5.07 (d, 1H, J = 4.7 Hz), 5.09 (d, 1H, J = 14.5 Hz), 5.30 (d, 1H, J = 14.5 Hz), 5.45 (s, 2H), 5.65 (d, 1H, J = 4.7 Hz), 6.77 (s, 1H), 6.91 (d, 1H, J = 3.5 Hz), 7.11 (d, 2H, J = 8.2 Hz), 7.38 (d, 2H, J = 8.2 Hz), 7.64 (d, 1H, J = 3.5 Hz), 7.69 (d, 1H, J = 6.7 Hz), 8.19 (d, 1H, J = 6.7 Hz), 8.26 (s, 3H, 포름산), 9.02 (s, 1H). 6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48.45
실시예 24 (표 1, 화합물 30):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1,3-옥사졸-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52
1H NMR (400 MHz, D2O): δ 1.30 (s, 3H), 1.32 (s, 3H), 2.98 (d, 1H, J = 18.0 Hz), 3.39 (d, 1H, J = 18.0 Hz), 5.08 (d, 1H, J = 4.7 Hz), 5.14 (d, 1H, J = 14.9 Hz), 5.33 (d, 1H, J = 14.9 Hz), 5.66 (d, 1H, J = 4.7 Hz), 5.71 (s, 2H), 6.92 (s, 1H), 6.95 (d, 1H, J = 3.5 Hz), 7.69 (d, 1H, J = 3.5 Hz), 7.85 (d, 1H, J = 7.0 Hz), 8.31 (d, 1H, J = 7.0 Hz), 8.50 (s, 1H), 9.06 (s, 1H). 7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09.29
실시예 25 (표 1, 화합물 31):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N-[(Z)-(디메틸아미노)메틸리덴]카르밤이미도일}-1,3-옥사졸-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53
1H NMR (400 MHz, D2O): δ 1.29 (s, 3H), 1.3 (s, 3H), 2.98 (d, 1H, J = 18.0 Hz), 3.05 (s, 3H), 3.13 (s, 3H), 3.40 (d, 1H, J = 18.0 Hz), 5.08 (d, 1H, J = 4.7 Hz), 5.13 (d, 1H, J = 14.9 Hz), 5.34 (d, 1H, J = 14.9 Hz), 5.65 (d, 1H, J = 4.7 Hz), 5.71 (s, 2H), 6.87 (s, 1H), 6.95 (d, 1H, J = 3.2 Hz), 7.70 (d, 1H, J = 3.6 Hz), 7.86 (d, 1H, J = 7.4 Hz), 8.23 (s, 1H), 8.32 (d, 1H, J = 6.7 Hz), 8.45 (s, 1H), 9.08 (s, 1H). 5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64.36
실시예 26 (표 1, 화합물 29):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3-(4,5-디히드로-1H-이미다졸-2-일)-1,2-옥사졸-5-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54
1H NMR (400 MHz, D2O): δ 1.25 (s, 6H), 2.94 (d, 1H, J = 17.2 Hz), 3.40 (d, 1H, J = 17.2 Hz), 4.59 (s, 4H), 5.08-5.13 (m, 2H), 5.35 (d, 1H, J = 14.4 Hz), 5.63 (d, 1H, J = 5.1 Hz), 5.74 (s, 2H), 6.72 (m, 2H), 6.94 (d, 1H, J = 1.2 Hz), 7.68 (d, 1H, J = 3.1 Hz), 7.86 (d, 1H, J = 7.1 Hz), 8.23 (s, 1H, 포름산), 8.34 (d, 1H, J = 7.1 Hz), 9.07 (s, 1H). 5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35.21
실시예 27 (표 1, 화합물 15):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2-플루오로벤질)-1H-이미다조[1,2-b]피라졸-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55
1H NMR (400 MHz, D2O): δ 1.29 (s, 3H), 1.31 (s, 3H), 2.95 (d, 1H, J = 17.6 Hz), 3.24 (d, 1H, J = 17.6 Hz), 5.04 (d, 1H, J = 4.8 Hz), 5.14 (s, 2H), 5.37 (s, 2H), 5.62 (d, 1H, J = 4.8 Hz), 6.23 (d, 1H, J = 3.2 Hz), 6.92 (s, 1H), 7.40 - 7.48 (m, 4H), 7.84 (d, 1H, J = 2.0 Hz), 7.88 (d, 1H, J = 3.6 Hz). 7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25.42
실시예 28 (표 1, 화합물 6):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2-카르밤이미드아미도에톡시)벤질]-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56
1H NMR (400 MHz, DMSO-d6): δ 1.38 (s, 6H), 2.91 (d, 1H, J = 18.4 Hz), 3.20-3.50 (m, 3H), 3.92 (s, 1H), 4.02 (s, 1H), 4.85 (d, 1H, J = 13.2 Hz), 5.04 (d, 1H, J = 5.2 Hz), 5.46 (s, 2H), 5.68 (d, 1H, J = 13.2 Hz), 5.79 (d, 1H, J = 4.8 Hz), 6.72 (s, 1H), 6.81 (d, 2H, J = 8.8 Hz), 7.03 (d, 1H, J = 3.2 Hz), 7.17 (s, 1H), 7.30 (d, 2H, J = 8.0 Hz), 8.05 (d, 1H, J = 6.0 Hz), 8.14 (s, 1H), 9.30 (br s, 1H), 9.44 (s, 1H). 8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77.25
실시예 29 (표 1, 화합물 20):
(6R,7R)-7-{[(2Z)-2-(5-아미노-1,2,4-티아디아졸-3-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2-플루오로벤질)-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57
1H NMR (400 MHz, D2O): δ 1.25 (s, 6H), 2.93 (d, 1H, J = 17.6 Hz), 3.37 (d, 1H, J = 18.0 Hz), 5.08-5.12 (m, 2H), 5.33 (d, 1H, J = 14.4 Hz), 5.57 (s, 2H), 5.65 (d, 1H, J = 4.4 Hz), 6.92 (d, 1H, J= 3.6 Hz), 7.14 (t, 1H, J = 8.0 Hz), 7.36 (d, 1H, J = 8.4 Hz), 7.41 (d, 1H, J = 10.0 Hz), 7.66 (d, 1H, J = 3.2 Hz), 7.77 (d, 1H, J = 6.8 Hz), 8.26 (d, 1H, J = 6.8Hz), 9.05 (s, 1H). 7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37.36
실시예 30 (표 1, 화합물 21):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2-플루오로벤질)-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58
1H NMR (400 MHz, D2O): δ 1.22 (s, 6H), 2.92 (d, 1H, J = 18.0 Hz), 3.37 (d, 1H, J = 19.2 Hz), 5.07-5.11 (m, 2H), 5.34 (d, 1H, J = 14.4 Hz), 5.58 (s, 2H), 5.64 (d, 1H, J = 4.4 Hz), 6.93 (d, 1H, J= 4.0 Hz), 7.17 (t, 1H, J = 7.6 Hz), 7.36 (d, 1H, J = 8.8 Hz), 7.42 (d, 1H, J = 10.0 Hz), 7.67 (d, 1H, J = 3.6 Hz), 7.78 (d, 1H, J = 6.4 Hz), 8.25 (d, 1H, J = 6.8Hz), 9.05 (s, 1H). 7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70.36
실시예 31 (표 1, 화합물 26):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1,3-티아졸-2-일)메틸]-1H-이미다조[1,2-b]피라졸-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59
1H NMR (400 MHz, D2O): δ 1.26 (s, 3H), 1.28 (s, 3H), 2.91 (d, 1H, J = 18 Hz), 3.28 (d, 1H, J = 18 Hz), 5.08 (s, 1H), 5.15 (s, 1H), 5.18 (s, 1H), 5.60-5.70 (m, 3H), 6.32 (s, 1H), 6.79 (s, 1H), 7.48 (s, 1H), 7.92-8.00 (m, 2H), 8.44 (s, 1H). 7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14.27
실시예 32 (표 1, 화합물 22):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카르복시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2-플루오로벤질)-1H-이미다조[1,2-b]피라졸-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60
1H NMR (400 MHz, D2O): δ 2.97 (d, 1H, J = 18 Hz), 3.25 (d, 1H, J = 18 Hz), 5.04 (s, 1H), 5.15 (s, 2H), 5.38 (s, 2H), 5.66 (s, 1H), 6.23 (s, 1H), 6.96 (s, 1H), 7.38-7.52 (m, 4H), 7.83 (s, 1H), 7.88 (s, 1H). 7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697.34
실시예 33 (표 1, 화합물 23):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2-플루오로벤질)-1H-이미다조[1,2-b]피라졸-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61
1H NMR (400 MHz, D2O): δ 1.27 (s, 3H), 1.30 (s, 3H), 2.90 (d, 1H, J = 18 Hz), 3.20 (d, 1H, J = 18 Hz), 5.00 (d, 1H, J = 5.0 Hz), 5.13 (s, 2H), 5.32 (s, 2H), 5.61 (d, 1H, J = 5.0 Hz), 6.24 (s, 1H), 7.40-7.55 (m, 4H), 7.90 (d, 2H, J = 4.0 Hz), 8.20 (s, 0.2H). 6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60.29
실시예 34 (표 1, 화합물 24):
(6R,7R)-7-{[(2Z)-2-(5-아미노-1,2,4-티아디아졸-3-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2-플루오로벤질)-1H-이미다조[1,2-b]피라졸-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62
1H NMR (400 MHz, D2O): δ 1.25 및 1.29 (2s, 6H), 2.90 (d, 1H, J = 18 Hz), 3.24 (d, 1H, J = 18 Hz), 5.06 (s, 1H), 5.16 (s, 2H), 5.38 (s, 2H), 5.64 (s, 1H), 6.25 (s, 1H), 7.40-7.50 (m, 4H), 7.90 (s, 2H), 8.27 (s, 2.75H). 6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26.27
실시예 35 (표 1, 화합물 25):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푸란-2-일)메틸]-1H-이미다조[1,2-b]피라졸-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63
1H NMR (400 MHz, D2O): δ 1.30 (s, 3H), 1.32 (s, 3H), 2.95 (d, 1H, J = 18 Hz), 3.24 (d, 1H, J = 18 Hz), 5.03 (d, 1H, J = 4.8 Hz), 5.13 (d, 2H, J = 4.8 Hz), 5.29 (s, 2H), 5.62 (d, 1H, J = 4.4 Hz), 6.26 (d, 1H, J = 3.6 Hz), 6.85 (s, 1H), 6.92 (s, 1H), 7.38 (s, 1H), 7.82 (s, 1H), 7.89 (d, 1H, J = 3.6 Hz), 8.13 (s, 1H). 7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697.25
실시예 36 (표 1, 화합물 10):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2-카르밤이미드아미도에톡시)벤질]-2,3-디히드로-1H-이미다조[1,2-b]피라졸-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64
1H NMR (400 MHz, DMSO-d6): δ 1.30 (s, 3H), 1.32 (s, 3H), 3.03 (d, 1H, J = 17.6 Hz), 3.25 (d, 1H, J = 17.6 Hz), 3.43 (t, 2H, J = 4.7 Hz), 3.79 (t, 2H, J = 8.2 Hz), 4.02 - 4.08 (m, 3H), 4.26 (m, 2H), 4.78 (d, 1H, J = 15.3 Hz), 4.87 (d, 1H, J = 15.7 Hz), 5.03 (d, 1H, J = 5.1 Hz), 5.61 (dd, 2H, J = 5.05 및 1.9 Hz), 6.84 - 6.86 (m, 3H), 7.17 (d, 2H, J = 8.9 Hz), 7.78 (d, 1H, J = 3.1 Hz), 8.18 (s, 1H). 8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68.31
실시예 37 (표 1, 화합물 49):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2-클로로-6-플루오로벤질)-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65
1H NMR (400 MHz, D2O): δ 1.21 (s, 6H), 2.90 (d, 1H, J = 17.6 Hz), 3.36 (d, 1H, J = 18.0Hz), 5.05-5.09 (m, 2H), 5.32 (d, 1H, J = 14.4 Hz), 5.59 (s, 3H), 6.69 (s, 1H), 6.84 (d, 1H, J= 3.2 Hz), 7.40 (d, 1H, J = 9.6 Hz), 7.58 (d, 2H, J = 10.0 Hz), 7.87 (d, 1H, J = 7.2 Hz), 8.28 (d, 1H, J = 7.2 Hz), 9.00 (s, 1H). 7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70.28
실시예 38 (표 1, 화합물 27):
(6R,7R)-7-{[(2Z)-2-(5-아미노-1,2,4-티아디아졸-3-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이미다조[1,2-b]피라졸-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66
1H NMR (400 MHz, D2O): δ 1.28 (s, 3H), 1.30 (s, 3H), 2.90 (d, 1H, J = 18.0 Hz), 3.22 (d, 1H, J = 18.0 Hz), 5.01 (d, 1H, J = 4.7 Hz), 5.12 (s, 2H), 5.43 (s, 2H), 5.62 (d, 1H, J = 4.7 Hz), 6.17 (d, 1H, J = 3.5 Hz), 7.38-7.40 (m, 2H), 7.80-7.88 (m, 2H), 8.12 (s, 1H). 7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14.27
실시예 39 (표 1, 화합물 51):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이미다조[1,2-b]피라졸-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67
1H NMR (D2O): δ 2.90 (d, 1H, J = 17.6 Hz), 3.15 (d, 1H, J = 17.6 Hz), 3.78 (s, 3H), 4.96 (d, 1H, J= 4.8 Hz), 5.10 (d, 2H, J= 3.6 Hz), 5.39 (s, 2H), 5.63 (d, 1H, J = 4.8 Hz), 6.15 (d, 1H, J= 3.6 Hz), 7.37 (d, 2H, J= 10.8 Hz), 7.80 (d, 1H, J = 2.4 Hz), 7.85 (d, 1H, J= 2.4 Hz), 7.86 (s, 1H). 6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676.10
실시예 40 (표 1, 화합물 50):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68
1H NMR (D2O):δ 3.04 (d, 1H, J = 17.6 Hz), 3.42 (d, 1H, J = 18.0 Hz), 3.84 (s, 3H), 5.10 (d, 1H, J= 4.8 Hz), 5.21 (d, 1H, J= 14.8 Hz), 5.34 (d, 1H, J = 14.4 Hz), 5.70 (m, 3H), 6.98 (d, 1H, J= 3.2 Hz), 7.35 (s, 1H), 7.74 (d, 1H, J = 3.2 Hz), 7.89 (d, 1H, J = 6.8 Hz), 8.12 (s, 1H), 8.31 (d, 1H, J= 2.4 Hz), 9.08 (s, 1H). 6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686.17
실시예 41 (표 1, 화합물 52):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2-플루오로벤질)-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69
1H NMR (400 MHz, D2O): δ 2.97 (d, 1H, J = 18.0Hz), 3.35 (d, 1H, J = 17.6 Hz), 3.77 (s, 3H), 5.03 (d, 1H, J= 4.8 Hz), 5.14 (d, 1H, J= 15.2 Hz), 5.26 (d, 1H, J= 14.0 Hz), 5.56 (s, 2H), 5.65 (d, 1H, J = 4.8 Hz), 6.91 (d, 1H, J= 3.6 Hz), 7.15 (t, 1H, J= 8.0 Hz), 7.35 (d, 1H, J= 7.6 Hz), 7.41 (d, 1H, J = 10.4 Hz), 7.65 (d, 1H, J = 3.2 Hz), 7.77 (d, 1H, J = 7.2 Hz), 8.22 (d, 1H, J= 8.4 Hz), 9.01 (s, 1H). 6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698.16
실시예 42 (표 1, 화합물 54):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8-옥소-3-{[1-(4-{N-[(3R)-피페리딘-3-일]카르밤이미도일}벤질)-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70
1H NMR (400 MHz, D2O): δ 1.56-1.92 (m, 2H), 1.88 (d, 1H, J= 15.2 Hz), 2.07 (d, 1H, J = 10.4 Hz), 2.83-3.01 (m, 3H), 3.21 (d, 1H, J= 12.8 Hz), 3.32 (d, 1H, J= 18.0 Hz), 3.47 (d, 1H, J= 12.4 Hz), 3.74 (s, 3H), 3.92-3.97 (m, 1H), 4.99 (d, 1H, J= 4.8 Hz), 5.13 (d, 1H, J= 14.8Hz), 5.23 (d, 1H, J= 14.4 Hz), 5.51 (s, 2H), 5.60 (d, 1H, J = 4.4 Hz), 6.90 (d, 1H, J= 3.6 Hz), 7.17 (d, 2H, J= 8.0 Hz), 7.47 (d, 2H, J= 8.0 Hz), 7.63 (d, 1H, J = 3.2 Hz), 7.66 (d, 1H, J = 7.2 Hz), 8.16 (d, 1H, J = 7.2 Hz), 9.00 (s, 1H). 6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63.22
실시예 43 (표 1, 화합물 53):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1,3-티아졸-2-일)메틸]-1H-이미다조[1,2-b]피라졸-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71
1H NMR (400 MHz, D2O): δ 3.02 (d, 1H, J = 16.4Hz), 3.25 (d, 1H, J = 18.4Hz), 3.83 (s, 3H), 5.04 (s, 1H), 5.11 (d, 1H, J= 16.5 Hz), 5.20 (d, 1H, J= 15.4 Hz), 5.67 (s, 3H), 6.34 (m, 1H), 7.51 (m, 1H), 7.87 (m, 1H), 7.95 (m, 1H), 8.46 (s, 1H). 6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677.13
실시예 44 (표 1, 화합물 55):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2-플루오로벤질)-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72
1H NMR (400 MHz, D2O): δ 2.96 (d, 1H, J = 17.6 Hz), 3.36 (d, 1H, J= 18.0 Hz), 3.75 (s, 3H), 5.04 (d, 1H, J= 4.8 Hz ), 5.12 (d, 1H, J= 14.8 Hz), 5.26 (d, 1H, J= 14.8 Hz), 5.55 (s, 2H), 5.62 (d, 1H, J= 4.8 Hz ), 6.75 (s, 1H), 6.90 (d, 1H, J= 2.8 Hz ), 7.11 (t, 1H, J= 8.0 Hz), 7.33 (d, 1H, J= 8.0 Hz), 7.40 (d, 1H, J= 10.8 Hz), 7.64 (d, 1H, J= 3.2Hz), 7.75 (d, 1H, J= 6.8 Hz), 8.21 (d, 1H, J= 7.2 Hz), 9.00 (s, 1H). 6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664.23
실시예 45 (표 1, 화합물 58):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2-클로로-6-플루오로벤질)-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73
단계 1: 3-클로로-5-플루오로-4-포르밀벤조니트릴
Figure pat00174
-78℃에서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40 mL) 중 3-클로로-5-플루오로벤조니트릴 (1.8 g, 11.57 mmol)의 용액에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2M, 6.4 mL, 12.73 mmol)를 첨가하였다. 동일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디메틸포름아미드 (1.02 g, 13.8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한 다음, 아세트산 (2.7 mL)에 이어서 물 (4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60 mL)로 추출한 후, 유기 상을 1M HCl 용액,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3-클로로-5-플루오로-4-포르밀벤조니트릴 (1.08 g, 51%)을 점착성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2 (m, 1H), 7.61 (d, 1H, J = 2.8 Hz), 10.45 (s, 1H).
단계 2: 3-클로로-5-플루오로-4-(히드록시메틸)벤조니트릴
Figure pat00175
메탄올 (6 mL) 중 3-클로로-5-플루오로-4-포르밀벤조니트릴 (단계 1로부터임, 1.08 g, 5.88 mmol)의 용액에 0℃에서 수소화붕소나트륨 (0.25 g, 6.61 mmol)을 첨가하였다. 15분 후, 혼합물을 물 (1 mL)로 켄칭하고 농축시켜 황색 오일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5 mL) 중에 용해시키고, 물 (30 mL)로 세척하고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20 mL)로 다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합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에 의해 용리액으로서 1:1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 용리하여 정제하여 3-클로로-5-플루오로-4-(히드록시메틸)벤조니트릴 (0.65 g, 60%)을 오렌지색 농후한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4.88 (s, 2H), 7.33 (m, 1H), 7.54 (d, 1H, J = 1.2 Hz).
단계 3: 4-(브로모메틸)-3-클로로-5-플루오로벤조니트릴
Figure pat00176
디클로로메탄 (20 mL) 중 3-클로로-5-플루오로-4-(히드록시메틸)벤조니트릴 (단계 2로부터임, 0.65 g, 3.5 mmol) 및 사브로민화탄소 (1.25 g, 3.73 mmol)의 용액에 트리페닐포스펜 (1.02 g, 2.73 mmol)을 0℃에서 천천히 첨가하였다. 동일한 온도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후,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에 의해 용리액으로서 1:2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 용리하여 정제하여 4-(브로모메틸)-3-클로로-5-플루오로벤조니트릴 (0.72 g, 83%)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4.59 (s, 2H), 7.32 (m, 1H), 7.54 (s, 1H, J = 1.2 Hz).
단계 4: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벤조니트릴
Figure pat00177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 중 5-아자인돌 (0.34 g, 2.88 mmol)의 빙냉 혼합물을 수소화나트륨 (미네랄 오일 중 60%, 0.172 g, 4.32 mmol)으로 여러 부분으로 처리한 다음,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킨 다음, 테트라히드로푸란 (10 mL) 중 4-(브로모메틸)-3-클로로-5-플루오로벤조니트릴 (단계 3으로부터임, 0.73 g, 2.93 mmol)로 처리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으로 켄칭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황산나트륨), 여과하고 진공 하에 갈색 오일로 농축시켰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에 의해 용리액으로서 5:3:2 디클로로메탄/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로 용리하여 정제하여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벤조니트릴 (0.53 g, 65%)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5.49 (d, 2H, J = 1.9 Hz), 6.62 (d, 1H, J = 3.2 Hz), 7.19 (d, 1H, J = 2.8 Hz), 7.37-7.41 (m,2H), 7.59 (s, 1H), 8.35 (d, 1H, J = 6.0 Hz), 8.91 (s, 1H).
단계 5: 에틸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at00178
0℃에서 압력 용기에서 무수 에탄올 (20 mL) 중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벤조니트릴 (단계 4로부터임, 0.53 g, 1.86 mmol)의 용액을 통해 무수 염화수소 기체의 스크림을 10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반응 용기를 마개로 막고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내용물을 플라스크로 옮기고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에테르로 연화처리한 다음, 진공 하에 건조시켜 에틸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0.64 g, 94%)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6: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Figure pat00179
메탄올 (20 mL) 중 에틸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단계 5로부터임, 0.64 g, 1.74 mol)의 현탁액을 함유하는 압력 용기를 암모니아 기체로 포화시키고 마개로 막았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과량의 암모니아를 배출시키고 내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헥산으로 연화처리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0.69 g, 130%)를 회색 고체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7: tert-부틸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페닐]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Figure pat00180
1,4-디옥산 (50 mL) 중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단계 6으로부터임, 0.69 g, 1.74 mmol)의 용액을 포화 탄산나트륨 용액 (25 mL)에 이어서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2.51 g, 11.4 mmol)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4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고 나머지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60 mL) 중에 용해시킨 다음, 물 (60 mL), 염수 용액 (6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용리액으로서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수산화암모늄 (60:39:1)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tert-부틸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페닐]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0.3 g, 33%)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52 (s, 9H), 5.43 (s, 2H), 6.56 (d, 1, J= 3.2 Hz), 7.18 (d, 1H, J = 2.8 Hz), 7.37 (d, 1H, J= 6.0 Hz), 7.58 (d, 1H, J = 9.6 Hz), 7.80 (s, 1H), 8.22 (d, 1H, J = 5.6 Hz), 8.82 (s, 1H).
단계 8: 5-{[(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2-클로로-6-플루오로벤질}-1H-피롤로[3,2-c]피리딘-5-윰 아이오다이드
Figure pat00181
디메틸포름아미드 (1 mL) 중 tert-부틸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3,2-c]피리딘-1-일메틸)페닐]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단계 7로부터임, 0.12 g, 0.30 mmol)의 용액에 0℃에서 (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아이오도메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5-올레이트 (0.24 g, 0.30 mmo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0.5시간 동안 탈기하고,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디메틸 포름아미드 (2 mL)를 첨가하고 -40℃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KI (0.35 g, 2.1 mmol) 및 아세틸 클로라이드 (0.09 mL, 1.2 mmol)를 첨가하였다.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빙수 및 에틸 아세테이트 (30 mL)를 반응 용액에 부은 다음, NaHSO3 용액 (20 mL)을 첨가하였다. 수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30 mL x 2)로 추출하고 유기 층을 합하고, 염수 (3 x 5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황색 고체 (0.29 g)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9: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2-클로로-6-플루오로벤질)-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82
-40℃에서 건조 디클로로메탄 (6 mL) 중 5-{[(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2-클로로-6-플루오로벤질}-1H-피롤로[3,2-c]피리딘-5-윰 아이오다이드 (0.29 g)의 용액에 아니솔 (0.52 mL, 4.92 mmol)에 이어서 CH3NO2 중 2M AlCl3 (2.46 mL, 4.92 mmol)을 첨가하였다. 액체를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10 mL) 및 물 (0.5 mL)을 첨가하고, 생성물을 교반하여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상청액을 경사분리에 의해 제거하였다. 용기에 부착된 불용성 물질에 희석 수성 염산 용액 (5 mL) 및 아세토니트릴 (10 mL)을 첨가하였다. 생성물을 교반하여 물질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그에 HP20 수지 (1.0 g)를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동결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정제하여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2-클로로-6-플루오로벤질)-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를 포름산 염 (0.0135 g, 7.5%)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2O): δ 2.94 (d, 1H, J = 18.0 Hz), 3.33 (d, 1H, J = 17.6 Hz), 3.73 (s, 3H), 5.00 (d, 1H, J = 5.2 Hz), 5.11 (d, 1H, J = 14.4Hz), 5.26 (d, 1H, J = 14.0 Hz), 5.58-5.62 (m, 3H), 6.84 (s, 1H), 7.39 (d, 1H, J = 9.6 Hz), 7.58 (s, 2H), 7.89 (d, 1H, J = 7.2 Hz), 8.25 (d, 1H, J = 6.4 Hz), 8.97 (s, 1H). 6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32.21
실시예 46 (표 1, 화합물 56):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푸란-2-일)메틸]-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83
1H NMR (400 MHz, D2O): δ 2.91(d, 1H, J = 18.0 Hz), 3.34 (d, 1H, J = 18.0Hz), 3.77 (s, 3H), 5.03 (d, 1H, J = 4.8 Hz), 5.15 (d, 1H, J= 15.2 Hz), 5.26 (d, 1H, J= 14.0 Hz), 5.47 (s, 2H), 5.65 (d, 1H, J = 4.8 Hz ), 6.74 (s, 1H), 6.88 (d, 1H, J = 3.2 Hz ), 7.64 (d, 1H, J = 3.6 Hz), 7.86 (d, 1H, J = 7.6 Hz), 8.04 (s, 1H), 8.25 (d, 1H, J = 4. 0 Hz ), 8.99 (s, 1H). 6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670.06
실시예 47 (표 1, 화합물 65):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2,3-c]피리딘-6-윰-6-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84
1H NMR (400 MHz, D2O): δ 1.33 (s, 3H), 1.35 (s, 3H), 2.95 (d, 1H, J = 18.0 Hz), 3.38 (d, 1H, J = 18.4 Hz), 5.07 - 5.11 (m, 2H), 5.39 (d, 1H, J = 14.5 Hz), 5.67 - 5.78 (m, 3H), 6.88 (d, 1H, J = 2.8 Hz), 7.47 (s, 1H), 7.96 (d, 1H, J= 6.0 Hz), 8.12 (m, 3H), 9.10 (s, 1H). 7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58.17
실시예 48 (표 1, 화합물 66):
(6R,7R)-7-{[(2Z)-2-(5-아미노-1,2,4-티아디아졸-3-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2,3-c]피리딘-6-윰-6-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85
1H NMR (400 MHz, D2O): δ 1.37 (s, 3H), 1.39 (s, 3H), 2.97 (d, 1H, J = 18.0 Hz), 3.38 (d, 1H, J = 17.6 Hz), 5.08 - 5.13 (m, 2H), 5.37 (d, 1H, J = 14.4 Hz), 5.69 - 5.80 (m, 3H), 6.85 (d, 1H, J = 2.8 Hz), 7.46 (s, 1H), 7.94 (d, 1H, J= 6.8 Hz), 8.09-8.16 (m, 3H), 9.08 (s, 1H). 7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25.16
실시예 49 (표 1, 화합물 67):
(6R,7R)-7-{[(2Z)-2-(5-아미노-1,2,4-티아디아졸-3-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2,3-c]피리딘-6-윰-6-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86
1H NMR (400 MHz, D2O): δ 2.96 (d, 1H, J = 17.6 Hz), 3.38 (d, 1H, J = 17.6 Hz), 3.95 (s, 3H), 5.06 (d, 1H, J = 4.8 Hz), 5.12 (d, 1H, J = 14.8 Hz), 5.31 (d, 1H, J = 14.4 Hz), 5.53 (d, 1H, J = 4.8 Hz), 5.72 (m, 2H), 6.88 (d, 1H, J = 3.2 Hz), 7.50 (s, 1H), 7.95 (d, 1H, J= 6.4 Hz), 8.11-8.30 (m, 3H), 8.99 (s, 1H). 6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653.19
실시예 50 (표 1, 화합물 68):
(6R,7R)-7-{[(2Z)-2-(5-아미노-1,2,4-티아디아졸-3-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티오펜-2-일)메틸]-1H-피롤로[3,2-b]피리딘-4-윰-4-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87
1H NMR (400 MHz, D2O): δ 1.40 (s, 6H), 3.03 (d, 1H, J = 17.6 Hz), 3.24 (d, 1H, J = 17.6 Hz), 5.06 (d, 1H, J = 4.8 Hz), 5.42 (d, 1H, J = 15.2 Hz), 5.58 (d, 1H, J = 15.2 Hz), 5.71 (d, 1H, J = 4.8 Hz), 5.76 (s, 2H), 6.95 (d, 1H, J = 3.2 Hz), 7.34 (s, 1H), 7.54-7.58 (m, 1H), 8.08 (d, 1H, J= 3.2 Hz), 8.12 (s, 1H), 8.48-8.53 (m, 2H). 7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25.13
실시예 51 (표 1, 화합물 71):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2-클로로-6-플루오로벤질)-1H-피롤로[3,2-b]피리딘-4-윰-4-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88
단계 1: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3,2-b]피리딘-1-일메틸)벤조니트릴
Figure pat00189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 중 4-아자인돌 (0.47 g, 3.98 mmol)의 빙냉 혼합물을 수소화나트륨 (미네랄 오일 중 60%, 0.23 g, 6.0 mmol)으로 여러 부분으로 처리한 다음,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킨 다음, 테트라히드로푸란 (10 mL) 중 4-(브로모메틸)-3-클로로-5-플루오로벤조니트릴 (1.00 g, 4.00 mmol)로 처리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으로 켄칭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황산나트륨), 여과하고 진공 하에 갈색 오일로 농축시켰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에 의해 용리액으로서 5:3:2 디클로로메탄/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로 용리하여 정제하여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3,2-b]피리딘-1-일메틸)벤조니트릴 (0.62 g, 54%)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5.49 (d, 2H, J = 1.9 Hz), 6.72 (d, 1H, J = 3.4 Hz), 7.14 (dd, 1H, J = 8.2, 4.7 Hz), 7.37 (d, 1H, J=8.7 Hz), 7.41 (d, 1H, J = 3.4 Hz), 7.58 (br s, 1H,) 7.78 (d, 1H, J = 8.4 Hz), 8.47 (d, 1H, J = 4.7 Hz).
단계 2: 에틸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3,2-b]피리딘-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at00190
무수 염산을 무수 에탄올 (30 mL) 중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3,2-b]피리딘-1-일메틸)벤조니트릴 (0.65 g, 2.23 mmol)의 빙냉 갈색 현탁액에 10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혼합물을 밀봉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에틸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3,2-b]피리딘-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0.83 g)를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1.58 (t, 3H, J = 7.2 H), 4.59 (q, 2H, J = 7.0 Hz), 6.09 (s, 2H), 7.15 (d, 1H, J = 3.2 Hz), 7.92-8.04 (m, 2H), 8.16 (s, 1H), 8.34 (d, 1H, J = 2.9 Hz), 8.83 (d, 1H, J = 5.6 Hz), 9.03 (d, 1H, J = 8.2 Hz).
단계 3: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3,2-b]피리딘-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Figure pat00191
무수 암모니아를 무수 에탄올 (30 mL) 중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3,2-b]피리딘-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0.83 g, 2.23 mmol)의 빙냉 용액에 10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혼합물을 밀봉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3,2-b]피리딘-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를 갈색 고체 (0.72 g)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5.59 (s, 2H), 6.62 (br s, 1H), 7.22 (br s, 1H), 7.54-7.60 (m, 2H), 7.64-7.69 (m, 1H), 7.82-7.87 (m, 1H), 8.23-8.43 (br s, 1H).
단계 4: tert-부틸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3,2-b]피리딘-1-일메틸)페닐]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Figure pat00192
디옥산 (40 mL) 및 포화 탄산나트륨 용액 (20 mL) 중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3,2-b]피리딘-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0.72 g, 2.38 mmol)의 빙냉 용액을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2.08 g, 9.53 mmo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키고 (황산나트륨), 여과하고 갈색 고체로 농축시켰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에 의해 디클로로메탄 중 2-4% 메탄올로 용리하여 정제하여 tert-부틸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3,2-b]피리딘-1-일메틸)페닐]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0.20 g, 21%)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55 (s, 9H), 5.47 (d, 2H, J = 1.8 Hz), 6.60 (d, 1H, J = 3.2 Hz), 7.19 (d, 1H, J = 3.1 Hz), 7.41 (d, 1H, J = 6.0 Hz), 7.55-7.60 (m, 1H), 7.78 (s, 1H), 8.31 (d, 1H, J = 6.0 Hz), 8.88 (s, 1H).
단계 5: 4-{[(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2-클로로-6-플루오로벤질}-1H-피롤로[3,2-b]피리딘-4-윰 아이오다이드
Figure pat00193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 (2.0 mL) 중 tert-부틸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3,2-b]피리딘-1-일메틸)페닐]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0.20 g, 0.50 mmol)의 빙냉 혼합물을 감압 하에 5분 동안 탈기한 다음, 4-메톡시벤질 (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클로로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0.34 g, 0.50 mmol)로 처리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30분 동안 탈기하고, 아이오딘화나트륨 (0.15 g, 1.00 mmol)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0℃로 냉각시키고 염화나트륨 및 티오황산나트륨의 5% 수용액으로 켄칭하여 오렌지색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4-{[(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2-클로로-6-플루오로벤질}-1H-피롤로[3,2-b]피리딘-4-윰 아이오다이드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6: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2-클로로-6-플루오로벤질)-1H-피롤로[3,2-b]피리딘-4-윰-4-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94
디클로로메탄 (2.5 mL) 및 아니솔 (0.85 mL, 7.82 mmol) 중 4-{[(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2-클로로-6-플루오로벤질}-1H-피롤로[3,2-b]피리딘-4-윰 아이오다이드 (0.50 mmol)의 용액을 0℃로 냉각시킨 다음,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5 mL, 32.6 mmol)으로 처리하였다. 생성된 갈색 용액을 0℃에서 10분 동안, 이어서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하에 갈색 잔류물로 농축시켰으며, 이를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갈색 고체를 정제용 HPLC (물/아세토니트릴 중 0.1% 포름산)에 의해 정제하여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2-클로로-6-플루오로벤질)-1H-피롤로[3,2-b]피리딘-4-윰-4-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0.050 g, 2 단계에 걸쳐 14%)를 포름산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2O): δ 3.18 (d, 1H, J = 17.9 Hz), 3.32 (d, 1H, J = 17.9 Hz), 3.95 (s, 3H) 5.12 (d, 1H, J = 5.0 Hz), 5.50 (d, 1H, J = 14.7 Hz), 5.71 (d, 1H, J = 15.0 Hz), 5.80 (d, 1H, J = 4.7 Hz), 5.85 (s, 2H), 7.01 (d, 1H, J = 3.5 Hz), 7.62 (dd, 1H, J = 9.7, 1.7 Hz), 7.70 (dd, 1H, J = 8.2, 6.2 Hz), 7.80 (s, 1H), 8.15 (d, 1H, J = 3.2 Hz), 8.62 (d, 1H, J = 6.2 Hz), 8.69 (d, 1H, J = 8.5 Hz). 6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32.15.
실시예 52 (표 1, 화합물 69):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2-클로로-6-플루오로벤질)-1H-피롤로[3,2-c]피리딘-5-윰-5-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95
1H NMR (400 MHz, D2O): δ 3.14 (d, 1H, J = 17.9 Hz), 3.58 (d, 1H, J = 17.9 Hz), 3.93 (s, 3H), 5.22 (d, 1H, J = 5.0 Hz), 5.29 (d, 1H, J = 14.7 Hz), 5.48 (d, 1H, J = 14.4 Hz), 5.74-5.79 (m, 3H), 6.82 (s, 1H), 7.02 (d, 1H, J = 3.2 Hz), 7.60 (dd, 1H, J = 9.7, 1.5 Hz), 7.73-7.81 (m, 2H), 8.06 (d, 1H, J = 7.3 Hz), 8.44 (d, 1H, J=7.0 Hz), 9.17 (s, 1H). 6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698.19.
실시예 53 (표 1, 화합물 70):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2-클로로-6-플루오로벤질)-1H-피롤로[2,3-c]피리딘-6-윰-6-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포름산 염
Figure pat00196
단계 1: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2,3-c]피리딘-1-일메틸)벤조니트릴
Figure pat00197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 중 6-아자인돌 (0.98 g, 7.96 mmol)의 빙냉 혼합물을 수소화나트륨 (미네랄 오일 중 60%, 0.46 g, 12.0 mmol)으로 여러 부분으로 처리한 다음,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킨 다음, 테트라히드로푸란 (10 mL) 중 4-(브로모메틸)-3-클로로-5-플루오로벤조니트릴 (2.00 g, 8.05 mmol)로 처리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으로 켄칭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황산나트륨), 여과하고 진공 하에 갈색 오일로 농축시켰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에 의해 용리액으로서 5:3:2 디클로로메탄/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로 용리하여 정제하여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2,3-c]피리딘-1-일메틸)벤조니트릴 (1.14 g, 50%)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5.59 (d, 2H, J = 1.9 Hz), 6.54 (dd, 1H) 7.31 (dd, 1H, J = 3.15, 1.25 Hz), 7.38 (dd, 1H, J = 8.7, 1.6 Hz), 7.51 (dd, 1H, J = 5.4, 1.0 Hz), 7.59 (t, 1H, J = 1.4 Hz), 8.27 (d, 1H, J = 5.4 Hz), 8.92 (s, 1H).
단계 2: 에틸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2,3-c]피리딘-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at00198
무수 염산을 무수 에탄올 (30 mL) 중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2,3-c]피리딘-1-일메틸)벤조니트릴 (1.14 g, 3.99 mmol)의 빙냉 갈색 현탁액에 10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혼합물을 밀봉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에틸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2,3-c]피리딘-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1.16 g)를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3: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2,3-c]피리딘-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Figure pat00199
무수 암모니아를 무수 에탄올 (30 mL) 중 에틸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2,3-c]피리딘-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데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1.6 g, 4.34 mmol)의 빙냉 용액에 10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혼합물을 밀봉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2,3-c]피리딘-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를 갈색 고체 (0.59 g)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5.80 (s, 2H), 6.64-6.71 (m, 1H), 7.55-7.74 (m, 3H), 7.84-7.91 (m, 1H), 8.12 (s, 1H), 8.92 (s, 1H).
단계 4: tert-부틸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2,3-c]피리딘-1-일메틸)페닐]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Figure pat00200
디옥산 (40 mL) 및 포화 탄산나트륨 용액 (20 mL) 중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2,3-c]피리딘-1-일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0.59 g, 1.95 mmol)의 빙냉 용액을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1.70 g, 7.78 mmo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키고 (황산나트륨), 여과하고 갈색 고체로 농축시켰다. 고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에 의해 디클로로메탄 중 2-4% 메탄올로 용리하여 정제하여 tert-부틸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2,3-c]피리딘-1-일메틸)페닐]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0.64 g, 82%)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55 (s, 9H), 5.53 (d, 2H, J= 1.5 Hz), 6.49 (d, 1H, J = 3.2 Hz), 7.30 (d, 1H, J = 3.2 Hz), 7.48 (d, 1H, J = 5.4 Hz), 7.57-7.63 (m, 1H), 7.81 (s, 1H), 8.21 (d, 1H, J = 5.4 Hz), 8.91 (s, 1H).
단계 5: 6-{[(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2-클로로-6-플루오로벤질}-1H-피롤로[2,3-c]피리딘-6-윰 아이오다이드
Figure pat00201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 (2.0 mL) 중 tert-부틸 {[3-클로로-5-플루오로-4-(1H-피롤로[2,3-c]피리딘-1-일메틸)페닐]카르보노이미도일}카르바메이트 (0.20 g, 0.50 mmol)의 빙냉 혼합물을 감압 하에 5분 동안 탈기한 다음, 4-메톡시벤질 (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클로로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0.34 g, 0.50 mmol)로 처리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30분 동안 탈기한 다음, 아이오딘화나트륨 (0.15 g, 1.00 mmol)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0℃로 냉각시키고 염화나트륨 및 티오황산나트륨의 5% 수용액으로 켄칭하여 오렌지색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6-{[(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2-클로로-6-플루오로벤질}-1H-피롤로[2,3-c]피리딘-6-윰 아이오다이드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6: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2-클로로-6-플루오로벤질)-1H-피롤로[2,3-c]피리딘-6-윰-6-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202
디클로로메탄 (2.5 mL) 및 아니솔 (0.85 mL, 7.82 mmol) 중 6-{[(6R,7R)-7-{[(2Z)-2-{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2-{[(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3-일]메틸}-1-{4-[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2-클로로-6-플루오로벤질}-1H-피롤로[2,3-c]피리딘-6-윰 아이오다이드 (0.50 mmol)의 용액을 0℃로 냉각시킨 다음,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5 mL, 32.6 mmol)으로 처리하였다. 생성된 갈색 용액을 0℃에서 10분 동안, 이어서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하에 갈색 잔류물로 농축시켰으며, 이를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여 조 생성물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고체를 정제용 HPLC (물/아세토니트릴 중 0.1% 포름산)에 의해 정제하여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2-클로로-6-플루오로벤질)-1H-피롤로[2,3-c]피리딘-6-윰-6-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0.025 g, 2 단계에 걸쳐 7%)를 포름산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2O): δ 3.18 (d, 1H, J = 18.2 Hz), 3.59 (d, 1H, J = 17.9 Hz), 3.95 (s, 3H), 5.21-5.32 (m, 2H), 5.56 (d, 1H, J= 14.1 Hz), 5.79-5.90 (m, 3H), 6.96 (d, 1H, J = 3.2 Hz), 7.62 (dd, 1H, J= 9.5, 1.60 Hz), 7.78 (s, 1H), 8.05 (d, 1H, J = 6.8 Hz), 8.20 (d, 1H, J = 3.2 Hz), 8.24 (d, 1H, J = 6.8 Hz), 9.09 (s, 1H). 6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32.04.
실시예 54 (표 1, 화합물 72):
(6R,7R)-7-{[(2Z)-2-(2-아미노-5-클로로-1,3-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2-클로로-6-플루오로벤질)-1H-피롤로[2,3-c]피리딘-6-윰-6-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203
1H NMR (400 MHz, D2O): δ 1.46 (s, 3H), 1.47 (s, 3H), 3.16 (d, 1H, J =18.2 Hz), 3.61 (d, 1H, J = 17.9 Hz), 5.21 (d, 1H, J = 14.1 Hz), 5.28 (d, 1H, J = 5.0 Hz), 5.61 (d, 1H, J = 14.4 Hz), 5.79-5.91 (m, 3H), 6.95 (d, 1H, J = 2.6 Hz), 7.61 (d, 1H, J = 10.0 Hz), 7.78 (s, 1H), 8.04 (d, 1H, J = 6.8 Hz), 8.21 (d, 1H, J = 2.4 Hz), 8.24 (d, 1H, J = 6.8 Hz), 9.13 (s, 1H). 6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804.13
실시예 55 (표 1, 화합물 73):
(6R,7R)-7-{[(2Z)-2-(2-아미노-1,3-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2-클로로-6-플루오로벤질)-1H-피롤로[2,3-c]피리딘-6-윰-6-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204
1H NMR (400 MHz, D2O): δ 3.16 (d, 1H, J = 17.9 Hz), 3.63 (d, 1H, J = 17.9 Hz), 3.94 (s, 3H), 5.19-5.33 (m, 2H), 5.58 (d, 1H, J = 14.4 Hz), 5.78 (d, 1H, J = 5.0 Hz), 5.82 (d, 2H, J = 5.0 Hz), 6.95 (s, 2H), 7.60 (d, 1H, J = 9.7 Hz), 7.73 (s, 1H), 8.04 (d, 1H, J = 6.8 Hz), 8.16 (d, 1H, J = 2.9 Hz), 8.24 (d, 1H, J = 7.34 Hz), 9.13 (s, 1H). 6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698.13.
실시예 56 (표 1, 화합물 74):
(6R,7R)-7-{[(2Z)-2-(5-아미노-1,2,4-티아디아졸-3-일)-2-{[(2-카르복시프로판-2-일)옥시]이미노}아세틸]아미노}-3-{[1-(4-카르밤이미도일-2-클로로-6-플루오로벤질)-1H-피롤로[2,3-c]피리딘-6-윰-6-일]메틸}-8-옥소-5-티아-1-아자비시클로[4.2.0]옥트-2-엔-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at00205
1H NMR (400 MHz, D2O): δ 1.46 (s, 6H), 3.15 (d, 1H, J = 17.9 Hz), 3.61 (d, 1H, J = 18.2 Hz), 5.20 (d, 1H, J = 14.4 Hz), 5.28 (d, 1H, J = 5.0 Hz), 5.61 (d, 1H, J = 14.4 Hz), 5.80-5.88 (m, 3H), 6.95 (d, 1H, J = 3.23 Hz), 7.60 (dd, 1H, J = 9.4, 1.8 Hz), 7.76 (s, 1H), 8.03 (d, 1H, J = 6.8 Hz), 8.20 (d, 1H, J = 2.9 Hz), 8.24 (dd, 1H, J = 6.8, 1.2 Hz), 9.13 (s, 1H). 6개의 양성자가 D2O 중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질량: ES+ 771.18
항박테리아 활성 및 상승작용적 활성:
비제한적으로, 본 발명의 세펨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1종 이상의 β-락타마제 억제제와 조합되어, 특히 항생제-내성 박테리아 균주에서 개선된 항박테리아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기지의 화합물과 구조적으로 상이할 수 있고, 그 결과, 자연에서 보다 염기성일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유의한 부작용 없이, 특히 이전의-내성 박테리아 (예를 들어 ESKAPE 유기체), 및/또는 그람 음성 박테리아에 대해 효과적인 박테리아 화합물의 스펙트럼을 확장시킬 수 있다는 것이 이점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세펨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1종 이상의 β-락타마제 억제제, 예컨대 NXL-104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참조 화합물 세프타지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을 표 2-3에 열거된 박테리아에 대한 최소 억제 농도 (MIC, μg/mL)에 대해 시험하였다.
표 2: G(+) 및 G(-) 단리물에 대한 단독으로의 및 NXL-104와 조합된 선택된 화합물의 MIC 값
Figure pat00206
Figure pat00207
표 3: KPC-생산 유기체에 대한 단독으로의 및 NXL-104와 조합된 선택된 화합물의 MIC 값
Figure pat00208
Figure pat00209

Claims (11)

  1.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pat00210

    여기서 화학식 (I)에서,
    (i) A는 화학식 (Ia)에 의해 정의되고:
    Figure pat00211

    여기서 X는 N, C(H), C(F) 또는 C(Cl)이고;
    (ii) B는 수소, 메틸, 에틸로 정의되거나 또는 화학식 (Ib)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Figure pat00212

    여기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이거나; 또는
    R1 및 R2는 함께 3 내지 6-원 스피로 고리계를 형성할 수 있고;
    m은 0 또는 1이고;
    (iii) C는 화학식 (Ic) 내지 (Iz)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4급화된 비시클릭 질소 함유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나타내고;
    Figure pat00213

    Figure pat00214

    (iv) D는 CH2, CH2CH2 또는 CH2CO를 나타내고;
    (v) E는 클로로, 플루오로, 시아노, 히드록시, 아미노, 카르복시, 아세틸, 메톡시, 에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 피롤리디닐옥시, 및 피페리디닐옥시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젠 고리 또는 O, S 및 N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개의 헤테로원자를 갖고 상기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5- 또는 6-원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나타내며, 여기서 헤테로방향족 고리는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트리아졸릴, 이속사졸릴, 옥사졸릴, 옥사디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티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푸릴, 및 티에닐을 포함하고;
    (vi) F는 (v)에 기재된 E에 대한 상기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딘 또는 상기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구아니딘이고;
    (vii) G는 수소, 메틸, 에틸, C3-6 알킬, C3-6 시클로알킬 또는 (v)에 기재된 E에 대한 상기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5- 또는 6-원 지방족 또는 상기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5- 또는 6-원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고리이고, 여기서 헤테로시클릭 고리는 α 또는 β 위치에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2개의 헤테로 원자로 치환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E는 다음을 포함하는, 제1항의 (v)에 기재된 E에 대한 상기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젠 고리 또는 상기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5- 및 6-원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고리로부터 선택된 것인 화합물.
    Figure pat00215
  3. 제1항에 있어서, "-C-D-E-F"가 하기 유기 잔기를 포함하는 것인 화합물.
    Figure pat00216

    Figure pat00217

    Figure pat00218

    Figure pat00219

    Figure pat00220

    Figure pat00221
  4.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학식 (I)의 화합물.
    Figure pat00222

    Figure pat00223

    Figure pat00224

    Figure pat00225

    Figure pat00226

    Figure pat00227

    Figure pat00228

    Figure pat00229

    Figure pat00230
  5. 항박테리아 유효량의 제1항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박테리아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6. 활성 성분으로서 적어도 1종의 제1항의 화합물과 적어도 하나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함유하는 박테리아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7. (i) 항박테리아 유효량의 제1항의 화합물, 및 (ii) 치료 유효량의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β-락타마제 억제제를 포함하는 박테리아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Figure pat00231

    Figure pat00232
  8. 활성 성분으로서 적어도 (i) 1종의 제1항의 화합물 및 (ii) 치료 유효량의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β-락타마제 억제제를 함유하는 박테리아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Figure pat00233
  9. 제7항에 있어서, (i) 및 (ii)가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시간상 분리되어 투여되는 것인 제약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i)의 중량 대 (ii)의 중량의 비가 1:20 내지 20:1의 범위인 제약 조성물.
  11. 하기 공정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제1항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중간체 VIII (q = 0, Y = 클로라이드, P1 = 카르복시 보호기)를 중간체 (IX)와 커플링시켜 중간체 (X)를 제공하고, 이어서 보호기를 제거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하는 공정 I
    Figure pat00234

    또는
    중간체 VIII (q = 1, Y = 아이오다이드, P1 = 카르복시 보호기)를 중간체 (IX)와 커플링시키고 후속적으로 술폭시드를 술피드로 환원시켜 중간체 (XI)를 제공하고 보호기를 제거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하는 공정 II.
    Figure pat00235
KR1020197010752A 2015-12-10 2016-12-05 세펨 화합물, 그의 제조 및 용도 KR1021352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65625P 2015-12-10 2015-12-10
US62/265,625 2015-12-10
PCT/CA2016/051428 WO2017096472A1 (en) 2015-12-10 2016-12-05 Cephem compounds, their production and us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5784A Division KR20180066264A (ko) 2015-12-10 2016-12-05 세펨 화합물, 그의 제조 및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752A true KR20190042752A (ko) 2019-04-24
KR102135230B1 KR102135230B1 (ko) 2020-07-17

Family

ID=590124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5784A KR20180066264A (ko) 2015-12-10 2016-12-05 세펨 화합물, 그의 제조 및 용도
KR1020197010752A KR102135230B1 (ko) 2015-12-10 2016-12-05 세펨 화합물, 그의 제조 및 용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5784A KR20180066264A (ko) 2015-12-10 2016-12-05 세펨 화합물, 그의 제조 및 용도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9751894B2 (ko)
EP (1) EP3386977A4 (ko)
JP (1) JP6967000B2 (ko)
KR (2) KR20180066264A (ko)
CN (1) CN108463461B (ko)
AU (1) AU2016367284C1 (ko)
BR (1) BR112018009725A8 (ko)
CA (1) CA3005779C (ko)
EA (1) EA039648B1 (ko)
HK (1) HK1254209A1 (ko)
IL (1) IL259234B (ko)
WO (1) WO2017096472A1 (ko)
ZA (1) ZA2018026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67000B2 (ja) 2015-12-10 2021-11-17 ナエジャ−アールジーエム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ユーエルシー セフェム系化合物、それらの生成および使用
US10759800B2 (en) * 2017-09-27 2020-09-01 Fedora Pharmaceuticals Inc. Crystalline forms of diazabicyclooctane derivatives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TWI795549B (zh) * 2018-04-06 2023-03-11 日商富士軟片股份有限公司 新穎青黴烷衍生物或其鹽、醫藥組成物及其應用
KR102484880B1 (ko) 2018-06-08 2023-0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 패널 구동회로 및 구동방법
US11905286B2 (en) 2018-08-09 2024-02-20 Antabio Sas Diazabicyclooctanones as inhibitors of serine beta-lactamases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50905A1 (en) * 1998-11-27 2000-06-08 Shionogi & Co., Ltd. Imidazo[4,5-b]pyridiniummethyl-containing cephem compounds having broad antibacterial spectrum
CA2479354A1 (en) * 2002-03-18 2003-09-25 Shionogi & Co., Ltd. Broad-spectrum cephem compounds
CN101343281A (zh) * 2007-04-20 2009-01-14 山东轩竹医药科技有限公司 新型脒基吡啶基头孢菌素类化合物
EP2341053A1 (en) * 2008-10-31 2011-07-06 Shionogi & Co., Ltd. Cephalosporin having catechol group
CA2833121A1 (en) * 2011-04-28 2012-11-01 Shionogi & Co., Ltd. Novel cephem compound having catechol or pseudo-catechol structure
US20130096299A1 (en) * 2010-04-28 2013-04-18 Shionogi & Co., Ltd. Novel cephem derivative
WO2014068388A1 (en) * 2012-10-29 2014-05-08 Glaxo Group Limited 2 substituted cephem compounds
US20150344502A1 (en) * 2012-12-26 2015-12-03 Shionogi & Co., Ltd. Cephem compound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18732A1 (de) * 1981-05-12 1982-12-02 Hoechst Ag, 6000 Frankfurt Cephalosporinderiva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4406899A (en) * 1982-03-04 1983-09-27 Bristol-Myers Company Cephalosporins
IL77458A (en) * 1985-01-14 1990-07-26 Eisai Co Ltd Cephem derivatives,their production and antibacteri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nd certain novel intermediates therefor
ATE89826T1 (de) * 1985-03-01 1993-06-15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Antibakterielle verbindungen,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US4910301A (en) * 1985-08-05 1990-03-20 Bristol-Myers Company Cefepime cephalosporin salts
GB8805642D0 (en) 1988-03-09 1988-04-07 Fujisawa Pharmaceutical Co New cephem compounds & processes for preparation thereof
US5173485A (en) * 1988-03-09 1992-12-22 Fujisawa Pharmaceutical Company, Ltd. Cephem compounds
US5215982A (en) * 1989-11-10 1993-06-01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Cephem compounds
CA2216259A1 (en) 1996-09-25 1998-03-25 Eisai Chemical Co., Ltd. Production process of cephem compound
JP2003026679A (ja) * 2001-07-10 2003-01-29 Banyu Pharmaceut Co Ltd 新規カルバペネム誘導体
DK1556389T6 (da) 2002-10-30 2015-05-11 Astellas Pharma Inc Cephemforbindelser
EP1994035A1 (en) 2006-03-16 2008-11-26 Astellas Pharma Inc. Cephem compounds and use as antimicrobial agents
CN102918047A (zh) 2010-04-05 2013-02-06 盐野义制药株式会社 具有假儿茶酚基团的头孢烯类化合物
RU2012146986A (ru) 2010-04-05 2014-05-20 Сионоги Энд Ко., Лтд. Цефемовые соединения, содержащие катехольную группу
EP2590978B1 (en) * 2010-06-18 2017-09-20 FOB Synthesis, Inc. Carbapenem antibacterials with gram-negative activity
KR101719556B1 (ko) 2011-03-30 2017-03-24 주식회사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 신규한 세파로스포린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TWI547496B (zh) 2011-10-04 2016-09-01 葛蘭素集團公司 抗菌化合物
WO2013051597A1 (ja) 2011-10-04 2013-04-11 塩野義製薬株式会社 カテコール基を有するセフェム誘導体
US8809314B1 (en) * 2012-09-07 2014-08-19 Cubist Pharmacueticals, Inc. Cephalosporin compound
WO2014087165A1 (en) 2012-12-06 2014-06-12 University Of Bath Tankyrase inhibitors
JP6967000B2 (ja) 2015-12-10 2021-11-17 ナエジャ−アールジーエム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ユーエルシー セフェム系化合物、それらの生成および使用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50905A1 (en) * 1998-11-27 2000-06-08 Shionogi & Co., Ltd. Imidazo[4,5-b]pyridiniummethyl-containing cephem compounds having broad antibacterial spectrum
CA2479354A1 (en) * 2002-03-18 2003-09-25 Shionogi & Co., Ltd. Broad-spectrum cephem compounds
KR20040091765A (ko) * 2002-03-18 2004-10-28 시오노기세이야쿠가부시키가이샤 광범위 세펨 화합물
EP1489084A1 (en) * 2002-03-18 2004-12-22 Shionogi & Co., Ltd. Broad-spectrum cephem compounds
CN101343281A (zh) * 2007-04-20 2009-01-14 山东轩竹医药科技有限公司 新型脒基吡啶基头孢菌素类化合物
EP2341053A1 (en) * 2008-10-31 2011-07-06 Shionogi & Co., Ltd. Cephalosporin having catechol group
US20130096299A1 (en) * 2010-04-28 2013-04-18 Shionogi & Co., Ltd. Novel cephem derivative
CA2833121A1 (en) * 2011-04-28 2012-11-01 Shionogi & Co., Ltd. Novel cephem compound having catechol or pseudo-catechol structure
WO2014068388A1 (en) * 2012-10-29 2014-05-08 Glaxo Group Limited 2 substituted cephem compounds
US20150344502A1 (en) * 2012-12-26 2015-12-03 Shionogi & Co., Ltd. Cephem comp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264A (ko) 2018-06-18
US9751894B2 (en) 2017-09-05
EP3386977A4 (en) 2019-05-22
IL259234B (en) 2018-12-31
AU2016367284B2 (en) 2018-05-17
AU2016367284A1 (en) 2018-05-10
WO2017096472A1 (en) 2017-06-15
CA3005779A1 (en) 2017-06-15
BR112018009725A2 (pt) 2018-11-06
EP3386977A1 (en) 2018-10-17
JP2018536678A (ja) 2018-12-13
JP6967000B2 (ja) 2021-11-17
ZA201802654B (en) 2019-07-31
EA201891381A1 (ru) 2019-01-31
CA3005779C (en) 2020-04-07
HK1254209A1 (zh) 2019-07-12
EA039648B1 (ru) 2022-02-21
USRE48097E1 (en) 2020-07-14
CN108463461A (zh) 2018-08-28
BR112018009725A8 (pt) 2019-02-26
AU2016367284C1 (en) 2018-09-20
US20170166587A1 (en) 2017-06-15
CN108463461B (zh) 2021-11-19
KR102135230B1 (ko) 2020-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5230B1 (ko) 세펨 화합물, 그의 제조 및 용도
US10227331B2 (en) Metallo-β-lactamase inhibitors
US8450322B2 (en) Substituted imidazo[1,2b]pyridazine compounds as Trk kinase inhibitors
AU2009273144B2 (en) Novel compound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degenerative and inflammatory diseases.
US20060106034A1 (en) Drug efflux pump inhibitor
JP2010215652A (ja) β−ラクタマーゼ阻害剤としての二環式6−アルキリデン−ペネム
AU2002211827B2 (en) Amino-substituted tetracyclic compounds useful as anti-inflammatory agent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same
WO2010083725A1 (zh) 含有取代的含氮稠杂环的头孢菌素衍生物
JP2008542376A (ja) クラスDのβラクタマーゼ阻害剤としての三環系6−アルキリデンペネム類
CA2609428A1 (en) Bicyclic 6-alkylidene-penems as class-d beta-lactamases inhibitors
HU195512B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derivatives of cef-3-em-4-carbonic acid substituated in 3 positions by dicyclic piridium-methil group
JP4472515B2 (ja) ベータ−ラクタマーゼ阻害剤としてのヘテロトリサイクリル−6−アルキリデン−ペネム
ES2907858T3 (es) Compuestos y métodos para el tratamiento de infecciones bacterianas
JP4233610B2 (ja) 新規カルバペネム誘導体
KR970005844B1 (ko) 새로운 세파로스포린 화합물 및 항균제
GB1568962A (en) Reparation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heterocyclic-carbonylamino)pencillins methods for their p
JPS59231091A (ja) 7−オキソ−4−チア−1−アザビシクロ〔3.2.0〕ヘプタ−2−エン誘導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