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335A -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 Google Patents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335A
KR20190041335A KR1020170132786A KR20170132786A KR20190041335A KR 20190041335 A KR20190041335 A KR 20190041335A KR 1020170132786 A KR1020170132786 A KR 1020170132786A KR 20170132786 A KR20170132786 A KR 20170132786A KR 20190041335 A KR20190041335 A KR 20190041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nterlock
interlock bar
ba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3450B1 (ko
Inventor
김지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2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450B1/ko
Publication of KR20190041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6Interlocking mechanisms
    • H01H33/48Interlock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or cov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단기 본체가 운전 위치에 있는 경우 도어의 개방을 방지하는 도어 인터록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는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는 도어 핸들; 상기 도어 핸들의 일부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록 플레이트; 크래들의 측면 패널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인터록 바; 상기 제1 인터록 바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설치되고, 수평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 록 플레이트를 구속 또는 해제하는 제2 인터록 바; 상기 제1 인터록 바와 제2 인터록 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인터록 바와 제2 인터록 바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Releasing Device of Door Interlock of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단기 본체가 운전 위치에 있는 경우 도어의 개방을 방지하는 도어 인터록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전력계통의 감시, 제어 및 보호를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로서, 배전반에는 발전소 및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하여 차단기, 변류기 등 여러 전기 기기가 수납되어 사용된다.
여기서, 차단기는 전력계통의 일부에 설치되어 부하를 개폐하거나 접지 혹은 단락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회로를 차단시키는 전기기기이다. 이러한 차단기 중에서 고압 전력계통에는 진공차단기가 주로 사용된다. 진공차단기는 고압 전력계통에 설치되어 단락이나 과전류 등의 위험상황이 발생할 경우 회로를 차단하여 전력계통을 보호하도록 구성된 회로차단기의 일종으로서 진공상태에서의 절연성능과 아크 소호력이 우수한 점을 활용하여 설계된 것이다. 즉, 진공차단기는 특고압/고압 배전 선로의 과전류, 단락 및 지락사고 등 이상전류 발생시 외부의 별도 계전기에 의해 차단기 내부의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 VI)에서 진공 소호방식으로 회로를 차단하여 인명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는 제품이다.
배전반 내부에서는 차단기 본체의 모선(전원측)과 부하(부하측) 터미널이 크래들(배전반의 외함)의 모선(전원측)과 부하(부하측) 터미널에 접속되어 전압과 전류가 공급되는 운전(Service, Run) 위치와 차단기 본체의 터미널이 크래들의 터미널로부터 분리되어 차단기의 동작상태 점검만 가능한 테스트 위치(Test)를 가지고 있다. 차단기가 운전 위치에 있을 때는 단락 및 지락사고 등의 사고전류 발생시 차단기가 가동되어 부수적인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지만, 차단기가 테스트 위치에 있을 때에는 차단기가 가동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인적,물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별도로 접지 스위치를 배전반 후방에 설치하여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운영자의 안전을 위해 배전반의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차단기를 인입, 인출하도록 안전장치가 마련된다. 즉, 배전반에는 차단기가 운전위치에 있는 경우 도어를 개방할 수 없도록 하고 차단기가 테스트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배전반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인터록 장치가 구비된다.
도 1 내지 4를 통해 이러한 도어 인터록 장치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반 크래들의 전,후면 사시도이다. 도 3,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장치의 작용도로서, 차단기 본체가 운전 위치, 테스트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배전반(1)의 크래들(2)에는 차단기 본체(미도시)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인 차단기실(3)이 마련된다. 차단기실(3)의 전면에는 도어(도어 어셈블리, 4)가 구비된다. 도어(4)의 일측에는 도어 핸들(5)이 구비된다. 도어 핸들(5)을 잡아당기면 도어 록 플레이트(8)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걸림돌기(8a)가 크래들(2)의 일부에 구비된 걸림편(9)으로부터 벗어나 도어(4)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도 3,4 참조).
차단기실(3)의 내측벽에는 도어(4)의 개방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도어 인터록 장치(6)가 마련된다. 도어 인터록 장치(6)는 터미널 셔터(미도시)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셔터 레버(7)에 연동하여 전,후진 운동한다.
도 3과 같이, 차단기 본체(미도시)가 테스트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도어 인터록 장치(6)가 후방(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어 도어(4)의 개방이 해제된다. 그러나, 도 4와 같이, 차단기 본체가 운전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셔터 레버(7)가 차단기 본체에 밀려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어 인터록 장치(6)를 전방(도면상 우측)으로 밀어 도어 록 플레이트(8)의 이동을 구속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4)는 열리지 않는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는 차단기의 운전 상태에서도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도어(5)를 열어야 하는 때가 있다. 이에 대한 고안이 필요하다.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3589호 '진공차단기의 도어 인터록 장치'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단기 본체가 운전 위치에 있는 경우 도어의 개방을 방지하는 도어 인터록을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기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는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는 도어 핸들; 상기 도어 핸들의 일부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록 플레이트; 크래들의 측면 패널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인터록 바; 상기 제1 인터록 바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설치되고, 수평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 록 플레이트를 구속 또는 해제하는 제2 인터록 바; 상기 제1 인터록 바와 제2 인터록 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인터록 바와 제2 인터록 바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인터록 바와 제2 인터록 바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수평 슬라이딩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인터록 바의 후단부에는 수직 슬라이딩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인터록 바의 전단부에는 상기 도어 록 플레이트를 구속하는 걸림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인터록 바의 전단부에는 상기 도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압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 조절기구는 상기 제1 인터록 바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2 인터록 바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제2바디 및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바디의 일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딩축의 일단이 고정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바디에는 상기 슬라이딩축이 삽입될 수 있는 수평관통홀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관통홀의 일단은 직경이 감소하는 제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축의 중간부에는 디스크 형태로 돌출되는 걸림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판의 직경은 상기 제한부보다는 크고 상기 수평관통홀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바디의 타측면에는 덮개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축에는 상기 걸림판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덮개판에 타단이 접촉하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판에는 상기 슬라이딩축의 타단이 노출될 수 있는 축홀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판에 수동력을 가하기 위한 가압 레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가압 레버가 삽입될 수 있는 레버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에 의하면 차단기 본체가 운전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도어 인터록 장치를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사시 작업자가 차단기실 내부에 접근할 수 있다.
도 1,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반 크래들의 전,후면 사시도이다.
도 3, 4는 도 1의 상세도로서, 차단기 본체가 운전 위치, 테스트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크래들의 전,후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부분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10은 도 8에서 간격 조절기구의 사시도, 분해사시도이다.
도 11,12는 가압 핸들, 핸들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장치의 작용도로서, 도 13은 차단기가 테스트 위치에 있는 경우, 도 14는 차단기가 운전 위치에 있는 경우, 도 15는 차단기의 운전 위치에서 도어 인터록이 해제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장치는 도어(50)의 일측에 구비되는 도어 핸들(53); 상기 도어 핸들(53)에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록 플레이트(55); 크래들(10)의 측면 패널(12)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인터록 바(30); 상기 제1 인터록 바(30)에 결합되어 수평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 록 플레이트(55)를 구속 또는 해제하는 제2 인터록 바(35); 상기 제1 인터록 바(30)와 제2 인터록 바(35)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인터록 바(30)와 제2 인터록 바(35)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기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크래들의 전,후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부분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의 사시도이다.
배전반(Distribution Panel)은 차단기 본체(미도시)와 크래들(10, Cradle, 외함)을 포함한다.
크래들(10)의 내부에는 차단기 본체 및 계기용 변압기 등이 수용된다. 크래들(10)의 후면에는 크래들 터미널(미도시)이 구비된다. 크래들(10)의 내부는 중간 패널(13)에 의해 상,하부로 구분될 수 있다. 중간 패널(13)의 상부는 차단기 본체가 수용되는 차단기실을 이루고, 중간 패널(13)의 하부는 계기용 변압기 등이 수용되는 변압기실을 이룬다.
크래들(10)의 전면에는 도어(도어 어셈블리, 50)가 마련되고, 양측면에는 측면 패널(12)이 마련된다. 크래들(10)의 상면에는 상면 패널(11)이 마련되고, 하면에는 하면 패널(14)이 구비된다.
도어(50)는 도어 패널(51), 도어 프레임(52), 도어 핸들(53), 도어 록 플레이트(door lock plate, 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어 패널(51)은 도어 프레임(52)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도어 록 플레이트(55)는 도어 프레임(52) 내부에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다.
도어 록 플레이트(55)에는 걸림홈(locking recess, 56)과 복수 개의 걸림핀(locking pin, 57)이 형성된다.
도어 핸들(53)의 손잡이를 들어올리면 도어 핸들(53)의 일부에 연동된 도어 록 플레이트(55)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도어 핸들(53)의 손잡이를 내리면 도어 록 플레이트(55)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어 록 플레이트(55)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걸림핀(57)이 크래들(10)의 측면 패널(12)의 전방부에 설치된 록킹 가이드(locking guide, 16)의 록킹홀(locking hole)로부터 벗어나므로 도어(50)는 개방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어 핸들(53)을 내려서 도어 록 플레이트(55)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걸림핀(57)이 록킹 가이드(16) 록킹홀에 끼워지므로 도어(50)는 개방되지 않는다.
도어 핸들(53)을 닫아서 도어 록 플레이트(55)가 하방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걸림홈(56)이 인터록 바 어셈블리(30)의 걸림편(39)과 같은 높이에 있게 된다. 이때, 차단기 본체가 운전 위치로 인입되어 셔터 레버(15)의 운동이 인터록 바 어셈블리(30)에 전달되면 걸림편(39)은 걸림홈(56)에 삽입되고, 도어 록 플레이트(55)의 움직임은 구속되어 도어(50)는 개방되지 않게 된다.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10)에 인입되어 운전 위치에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크래들 터미널(미도시)을 보호하기 위하여 터미널 셔터(미도시)가 마련된다. 터미널 셔터(미도시)를 개폐하기 위하여 셔터 레버(15)가 마련된다. 셔터 레버(15)는 셔터 레버(15)는 차단기 본체가 인입될 때 레버 돌기(15a)가 힘을 받아 레버축(15b)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지지판(20)이 측면 패널(12)에 결합되어 회전링크(22) 등을 지지한다. 지지판(20)에는 회전축(21)이 마련되고, 회전축(21)에는 회전링크(2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링크(22)의 하단에는 하부링크(23)가 설치되고, 회전링크(22)의 상단에는 인터록 바 어셈블리(30)가 설치된다. 하부링크(23)와 인터록 바 어셈블리(30)에는 회전링크(22)의 각 돌기(22a,22b)가 결합되는 부분에 각각 슬라이딩 홈(23a,34)이 형성되어 회전링크(22)의 원운동에 따른 상하 변위에 관계없이 하부링크(23) 및 인터록 바 어셈블리(30)는 자신의 운동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하부링크(23)와 인터록 바 어셈블리(30)는 서로 반대방향의 운동을 한다. 하부링크(23)는 셔터 레버(15)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차단기 본체가 운전 위치로 인입되는 경우에는 후방으로 운동(엄밀하게는 반시계 방향의 원운동)하면서 인터록 바 어셈블리(30)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반대로 차단기 본체가 테스트 위치로 인출되는 경우에는 하부링크(23)는 셔터 레버(15)를 따라 전방으로 운동(엄밀하게는 시계 방향의 원운동)하면서 인터록 바 어셈블리(30)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인터록 바 어셈블리(30)는 도어(50)를 구속하는 장치이다. 이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도어(50)에 대한 구속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고안된다. 인터록 바 어셈블리(30)는 제1 인터록 바(31)와 상기 제1 인터록 바(31)에 소정거리 이격하여 설치되는 제2 인터록 바(35) 및 상기 제1 인터록 바(31)와 제2 인터록 바(35) 사이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간격 조절기구(40)를 포함한다.
제1 인터록 바(31)는 평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인터록 바(31)는 중간부가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제1 인터록 바(31)에는 제1 수평 슬라이딩 홀(32)이 복수 개 형성된다. 제1 수평 슬라이딩 홀(32)에는 체결구(고정볼트,33)가 삽입되어 측면 패널(12)에 결합된다. 제1 인터록 바(31)는 복수 개의 체결구(33)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수평 방향으로만 움직이게 된다. 제1 인터록 바(31)의 후단부(크래들의 후면 방향의 단부)에는 수직 슬라이딩 홀(34)이 형성된다. 수직 슬라이딩 홀(34)에는 회전링크(22)의 상단돌기(22a)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링크(22)가 원운동을 할때 상단돌기(22a)는 수직 슬라이딩 홀(34) 내에서 움직이면서 상하방향의 운동은 미끄러지게 되고, 수평 방향의 운동은 제1 인터록 바(31)에 전달되어 제1 인터록 바(31)는 수평 운동을 하게 된다.
제2 인터록 바(35)가 제1 인터록 바(31)에 소정거리 이격하여 마련된다. 제2인터록 바(35)는 제1 인터록 바(31)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인터록 바(35)는 제1 인터록 바(31)의 전방(도면상 우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인터록 바(35)는 평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인터록 바(35)는 중간부가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터록 바(35)에는 제2 수평 슬라이딩 홀(36)이 복수 개 형성된다. 제2 수평 슬라이딩 홀(32)에는 체결구(고정볼트,33)가 삽입되어 측면 패널(12)에 결합된다. 제2 인터록 바(31)는 복수 개의 체결구(33)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수평 방향으로만 움직이게 된다. 제2 인터록 바(35)의 전단부(크래들의 전면 방향의 단부)는 돌출되어 걸림편(39)이 형성된다. 걸림편(39)은 도어 록 플레이트(55)를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2 인터록 바(35)의 전단부에는 가압판(38)이 구비된다. 가압판(38)은 제2 인터록 바(35)에 수직하게, 즉 도어 패널(51)에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가압판(38)은 걸림편(39)의 후방에 마련된다.
도 9,10에 간격 조절기구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12에 가압 핸들 및 핸들 가이드가 도시되어 있다.
간격 조절기구(40)는 제1바디(41)와 상기 제1바디(41)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설치되는 제2바디(45) 및 상기 제1바디(41)와 제2바디(45)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축(42)을 포함한다.
제1바디(41)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디(41)는 제1 인터록 바(31)의 전단부에 고정 결합된다. 제1바디(41)는 고정볼트(49)에 의해 제1 인터록 바(3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1관통홀(41a)이 복수 개 형성된다. 제1바디(41)의 일측면에는 슬라이딩축(42)이 삽입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41b)이 복수 개 형성된다.
제2바디(45)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45)는 제2 인터록 바(35)의 후단부에 고정 결합된다. 제2바디(45)에는 고정볼트(49)에 의해 제2 인터록 바(35)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2관통홀(45a)이 복수 개 형성된다. 제2바디(45)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슬라이딩축(42)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수평관통홀(45b)이 복수 개 형성된다. 수평관통홀(45b)은 제1바디(41)의 결합홈(41b)의 중심축과 동일한 선상에 형성된다. 수평관통홀(45b)의 일단부는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제한부(45c)가 마련된다. 여기서, 제한부(45c)는 제1바디(41)의 결합홈(41b)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45)의 일측면에는 덮개판(46)이 고정 설치될 수 있는 나사홈(45d)이 형성된다.
제1바디(41)와 제2바디(45)를 연결하기 위하여 슬라이딩축(42)이 마련된다. 슬라이딩축(42)은 제1바디(41)에 고정 결합된다. 제2바디(45)는 슬라이딩축(42)을 따라 평행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축(42)은 원형 바로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축(42)의 일단에는 제1바디(41)의 결합홈(41b)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결합부(42a)가 돌출 형성된다. 슬라이딩축(42)의 중간부에는 걸림판(42b)이 디스크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걸림판(42b)의 직경은 제한부(45c)보다는 크고 수평관통홀(45b)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걸림판(42b)은 제2바디(45)의 수평관통홀(45b) 내에서 움직인다. 걸림판(42b)의 좌측 이동 한계는 제한부(45c)가 된다.
슬라이딩축(42)에는 스프링(43)이 구비된다. 스프링(43)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43)의 일단은 걸림판(42b)에 고정된다. 스프링(43)은 타단이 덮개판(46)의 힘을 받아 압축될 수 있다. 스프링(43)은 제2바디(45)가 제1바디(4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힘이 작용한다.
제2바디(45)의 일측에 덮개판(46)이 구비된다. 덮개판(46)에는 슬라이딩축(42)의 타단(42c)이 노출될 수 있는 축홀(46a)이 형성된다. 덮개판(46)에는 고정볼트(49)가 삽입될 수 있는 볼트홀(46b)이 형성된다. 덮개판(46)은 제2바디(45)와 결합되어 일체로 움직인다.
제2바디(45)는 슬라이딩축(42)을 따라 수평 운동을 한다. 제2바디(45)의 운동범위는 좌측단을 기준으로 할 때, 제1바디(41)와 걸림판(42b)의 사이가 된다. 제2바디(45)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덮개판(46)이 스프링(43)을 압축하면서 제1바디(41)에 가까워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스프링(43)의 복원력에 의해 제1바디(41)로부터 멀어진다.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제2바디(45)는 제한부(45c)가 걸림판(42b)에 접하는 위치에 머물게 된다.
가압 레버(60)는 손잡이(61)와 가압바(62)로 구성될 수 있다. 가압 레버(60)로 가압판(38)을 누르면 제2 인터록 바(35)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2 인터록 바(35)에 고정된 제2바디(45)가 제2 인터록 바(35)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한다. 가압 레버(60)를 제거하면 스프링(43)의 복원력에 의해 제2바디(45)는 제1바디(41)로부터 멀어진다. 이에 따라, 제2바디(45)에 결합된 제2 인터록 바(35)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간격 조절기구(40) 및 가압 레버(60)에 의해 제2 인터록 바(35)는 제1 인터록 바(31)와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혀질 수 있다.
레버 가이드(65)가 마련된다. 레버 가이드(65)는 가이드 바디(66)와 커버(69)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바디(66)는 고정판(67)과 지지부(68)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바디(66)에는 가압 레버(60)가 삽입될 수 있는 레버 지지홀(66a)이 관통 형성된다.
커버(69)는 가이드 바디(66)의 고정판(67)에 면접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69)가 딛힐 경우에는 가이드 바디(66)의 레버 지지홀(66a)을 폐쇄하게 되고, 커버(69)가 열릴 경우에는 가이드 바디(66)의 레버 지지홀(66a)을 개방하게 된다.
가이드 바디(66)와 커버(69)에는 각각 고리(66b,69a)가 마련되어, 커버(69)를 닫은 상태에서 자물쇠(미도시)로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 레버(60)을 레버 지지홀(66a)에 삽입할 수 없으므로, 도어 록에 대한 임의적인 해제를 방지하게 된다.
도 13 내지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차단기가 테스트 위치에 있는 경우, 도 14는 차단기가 운전 위치에 있는 경우, 도 15는 차단기의 운전 위치에서 도어 인터록이 해제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기로 한다. 차단기 본체(미도시)는 테스트 위치에 있고, 셔터 레버(15)는 수평으로 놓인 상태에 있다. 인터록 바 어셈블리(30)는 후방(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다. 걸림편(39)은 걸림홈(56)에 벗어나 있으므로 인터록 바 어셈블리(30)는 도어 록 플레이트(55)의 운동을 구속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자유롭게 도어 핸들(53)을 사용하여 도어(50)를 개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기로 한다. 차단기 본체가 운전 위치에 있는 경우, 셔터 레버(15)는 레버축(15b)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한 상태에 놓인다. 셔터 레버(15)의 운동은 하부 링크(23) 및 회전 링크(22)를 거쳐 인터록 바 어셈블리(30)에 전달된다. 인터록 바 어셈블리(30)는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 놓인다. 이에 따라, 인터록 바 어셈블리(30)의 걸림편(39)은 도어 록 플레이트(55)의 걸림홈(56)에 삽입되므로 인터록 바 어셈블리(30)는 도어 록 플레이트(55)의 운동을 구속하게 된다. 사용자가 도어 핸들(53)을 들어올리려 해도 도어 록 플레이트(55)가 움직이지 않으므로 도어(50)의 개방은 허용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기로 한다. 차단기 본체가 운전 위치에 있다. 셔터 레버(15)는 레버축(15b)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한 상태에 놓이고, 제1 인터록 바(31)는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다. 사용자가, 가압 레버(60)를 레버 가이드(65)의 가이드 바디(66)에 삽입하여 제2 인터록 바(35)의 가압판(38)을 누르면, 제2 인터록 바(35)는 후방으로 밀려서 제1 인터록 바(31)에 닿는 위치까지 이른다. 이에 따라, 걸림편(39)은 걸림홈(56)에서 벗어나므로 인터록 바 어셈블리(30)는 도어 록 플레이트(55)의 운동을 구속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자유롭게 도어 핸들(53)을 사용하여 도어(50)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도어(50)를 닫고, 가압 레버(60)을 레버 가이드(65)로부터 제거하면, 제2 인터록 바(35)는 원위치로 복귀하여 걸림편(39)은 걸림홈(56)에 삽입된다. 인터록 바 어셈블리(30)는 도어 록 플레이트(55)를 구속하는 상태로 복귀한다. (도 14의 상태)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크래들 11 상면 패널
12 측면 패널 13 중간 패널
14 하면 패널 15 셔터 레버
15a 돌기 15b 레버축
16 록킹 가이드 20 지지판
21 회전축 22 회전링크
23 하부링크 30 인터록 바 어셈블리
31 제1 인터록 바 32 제1 수평 슬라이딩 홀
33 체결구 34 수직 슬라이딩 홀
35 제2 인터록 바 36 제2 수평 슬라이딩 홀
38 가압판 39 걸림편
40 간격 조절기구 41 제1바디
41a 제1관통홀 41b 결합홈
42 슬라이딩축 42a 결합부
42b 걸림판 42c 타단
43 스프링 45 제2바디
45a 제2관통홀 45b 수평관통홀
45c 제한부 45d 나사홈
46 덮개판 46a 축홀
46b 볼트홀 49 고정볼트
50 도어 51 도어 패널
52 도어 프레임 53 도어 핸들
55 도어 록 플레이트 56 걸림홈
57 걸림핀 60 가압 레버
61 손잡이 62 가압바
65 레버 가이드 66 가이드 바디
66a 레버 지지홀 66b,69a 고리
67 고정판 68 지지부
69 커버

Claims (16)

  1.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는 도어 핸들;
    상기 도어 핸들의 일부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록 플레이트;
    크래들의 측면 패널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인터록 바;
    상기 제1 인터록 바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설치되고, 수평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 록 플레이트를 구속 또는 해제하는 제2 인터록 바;
    상기 제1 인터록 바와 제2 인터록 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인터록 바와 제2 인터록 바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기구;를 포함하는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록 바와 제2 인터록 바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수평 슬라이딩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록 바의 후단부에는 수직 슬라이딩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록 바의 전단부에는 상기 도어 록 플레이트를 구속하는 걸림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록 바의 전단부에는 상기 도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압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기구는 상기 제1 인터록 바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2 인터록 바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제2바디 및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의 일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딩축의 일단이 고정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에는 상기 슬라이딩축이 삽입될 수 있는 수평관통홀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관통홀의 일단은 직경이 감소하는 제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축의 중간부에는 디스크 형태로 돌출되는 걸림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판의 직경은 상기 제한부보다는 크고 상기 수평관통홀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의 타측면에는 덮개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축에는 상기 걸림판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덮개판에 타단이 접촉하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에는 상기 슬라이딩축의 타단이 노출될 수 있는 축홀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에 수동력을 가하기 위한 가압 레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상기 가압 레버가 삽입될 수 있는 레버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KR1020170132786A 2017-10-12 2017-10-12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KR101993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786A KR101993450B1 (ko) 2017-10-12 2017-10-12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786A KR101993450B1 (ko) 2017-10-12 2017-10-12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335A true KR20190041335A (ko) 2019-04-22
KR101993450B1 KR101993450B1 (ko) 2019-06-26

Family

ID=66283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786A KR101993450B1 (ko) 2017-10-12 2017-10-12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4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909B1 (ko) * 2019-05-31 2020-10-16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
CN113936940A (zh) * 2021-10-19 2022-01-14 江苏大烨智能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直动式上隔离断路器下门联锁
WO2023003112A1 (ko) * 2021-07-22 2023-01-26 엘에스일렉트릭 (주) 셔터 어셈블리, 락킹장치, 배전반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CN116053999A (zh) * 2022-10-27 2023-05-02 法腾电力装备江苏有限公司 一种小型高压柜自动活门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023B1 (ko) * 2007-02-23 2007-09-03 (주)신화에프이씨 공동주택용 배전선의 안전사고 방지구조
KR20160051090A (ko) * 2014-10-31 2016-05-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도어 인터록 장치
CN205791161U (zh) * 2016-06-30 2016-12-07 成都特瑞德电气有限公司 开关柜的柜门连锁机构及开关柜
KR101722757B1 (ko) * 2016-12-02 2017-04-03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배전반 도어의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023B1 (ko) * 2007-02-23 2007-09-03 (주)신화에프이씨 공동주택용 배전선의 안전사고 방지구조
KR20160051090A (ko) * 2014-10-31 2016-05-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도어 인터록 장치
CN205791161U (zh) * 2016-06-30 2016-12-07 成都特瑞德电气有限公司 开关柜的柜门连锁机构及开关柜
KR101722757B1 (ko) * 2016-12-02 2017-04-03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배전반 도어의 잠금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909B1 (ko) * 2019-05-31 2020-10-16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
WO2023003112A1 (ko) * 2021-07-22 2023-01-26 엘에스일렉트릭 (주) 셔터 어셈블리, 락킹장치, 배전반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CN113936940A (zh) * 2021-10-19 2022-01-14 江苏大烨智能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直动式上隔离断路器下门联锁
CN113936940B (zh) * 2021-10-19 2024-04-26 江苏大烨智能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直动式上隔离断路器下门联锁
CN116053999A (zh) * 2022-10-27 2023-05-02 法腾电力装备江苏有限公司 一种小型高压柜自动活门装置
CN116053999B (zh) * 2022-10-27 2023-10-03 法腾电力装备江苏有限公司 一种小型高压柜自动活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450B1 (ko) 2019-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3450B1 (ko)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KR101191159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EP2684265B1 (en) Flexible cover for contacts of a plug-in or withdrawable unit
US20120208384A1 (en) Plug device having a closure unit
US7903393B2 (en) Lockable shutter for withdrawable racks of low-voltage power circuit breakers
KR20180048146A (ko) 인출형 차단기의 제어단자 접속장치
CN103380553A (zh) 用于电开关装置的可抽出单元
EP3594986B1 (en) Switching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US9169677B2 (en) Locking device with door interrogator
US11189994B2 (en) Circuit breaker
US7544907B1 (en) Special provisions for network protector retrofits
US11804699B2 (en) Interlocking between ROM and racking feeder mechanism for drawout module
US2888529A (en) Interlock means for bus duct plug-in units
KR101604280B1 (ko) 배전반
EP3196908B1 (en) Interlock apparatus of ring main unit
KR102517740B1 (ko) 배전반의 도어 잠금 장치
EP1983624B1 (en) Support and extension rail assembly
JP5338961B2 (ja) 配電盤
KR102517739B1 (ko)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EP3453041B1 (en) Combination of a panel for accommodating a draw-out device and the draw-out device
EP2482399B1 (en) Interlocks for withdrawable circuit breakers
US3295025A (en) Movable barrier serving as shutter means and enclosure door in switchgear housing
JP2023502907A (ja) プラグイン型遮断器
KR102420830B1 (ko) 인출형 진공인터럽터 부하개폐기의 인터록 장치
CN217008979U (zh) 一种防止误操作的连锁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