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908A - 공기 청정기 및 공기처리유닛을 구비하는 가전제품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 및 공기처리유닛을 구비하는 가전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908A
KR20190039908A KR1020190040703A KR20190040703A KR20190039908A KR 20190039908 A KR20190039908 A KR 20190039908A KR 1020190040703 A KR1020190040703 A KR 1020190040703A KR 20190040703 A KR20190040703 A KR 20190040703A KR 20190039908 A KR20190039908 A KR 20190039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flow path
uni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8949B1 (ko
Inventor
주의성
이태용
최원
서형준
송우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0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949B1/ko
Publication of KR20190039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09Prevention of static charge, e.g. by ground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독립 유로를 가지는 공기 청정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제품을 개시한다.
공기 청정기는 케이스의 전방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복수의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는 전면 패널과, 복수의 공기 흡입부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 및 제2송풍장치와,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필터유닛과, 공기가 배출되도록 케이스에 위치되는 제1배출구와, 제1배출구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제2배출구와, 제1필터유닛을 통과한 복수의 공기 흡입부 중 하나와 제1배출구 사이에 마련되는 제1유로와, 제1유로와 구획되며, 복수의 공기 흡입부 중 다른 하나와 제2배출구 사이에 마련되는 제2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청정기 및 공기처리유닛을 구비하는 가전제품{AIR CLEANER AND HOME APPLIANCES INCLUDING AIR HANDLING UNIT}
본 발명은 가전제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독립 유로를 가지는 공기 청정기 및 공기처리유닛을 구비하는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 공기 청정기, 가습기, 제습기 등과 같이 공기의 조화를 위한 다양한 기능이 요구되는 가전제품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공기 청정기는 실내에 구비되어, 공기 중의 미세 먼지를 거르거나 살균을 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 입자 등을 필터로 걸러내어 흡입된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키고, 정화된 공기는 공기 청정기의 외부, 즉 실내로 다시 배출된다.
공기 청정기는 본체와, 본체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부와 공기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는 본체의 후면에 배치되어 공기 청정기를 벽면에 가까이 위치하여 사용할 경우 청정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 흡입부와 공기 배출구를 통한 일체형 공기 흐름으로 되어 있어, 공간 또는 환경에 따른 제어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독립 유로를 가지는 공기 청정기 및 공기처리유닛을 구비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전면 흡입 유로와 다 방향 배출유로를 가지는 공기 청정기 및 독립 유로를 가지는 공기 청정기 및 공기처리유닛을 구비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다양한 개별 제어를 할 수 있도록 다방향 독립 유로를 갖는 공기 청정기 및 독립 유로를 가지는 공기 청정기 및 공기처리유닛을 구비하는 가전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복수의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는 전면 패널;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공기 흡입부 중 하나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송풍장치; 상기 제1송풍장치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배치되는 제1필터유닛; 상기 제1필터유닛을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위치되는 제1배출구; 상기 복수의 공기 흡입부 중 하나와 상기 제1배출구 사이에 마련되는 제1유로;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공기 흡입부 중 다른 하나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제2송풍장치; 상기 제2송풍장치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배치되는 제2필터유닛; 상기 제2필터유닛을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위치되는 제2배출구; 상기 제1유로와 구획되며, 상기 복수의 공기 흡입부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제2배출구 사이에 마련되는 제2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공기 흡입부는, 상기 제1필터유닛과 제1송풍장치를 통해 외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공기 흡입부와, 상기 제1공기 흡입부에 대해 별도로 마련되고, 상기 제2필터유닛과 제2송풍장치를 통해 외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공기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기류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덕트 유닛이 마련되고, 상기 덕트 유닛은,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를 구분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배출구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과 배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제2배출구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과 상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필터유닛과 제2필터유닛이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필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회로유닛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유닛 설치부에는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공기 흡입부는, 상기 전면 패널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덕트 유닛은, 상기 제1송풍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제1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1덕트와, 상기 제2송풍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2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2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덕트와 제2덕트는 구획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덕트와 상기 제2덕트는 상기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기류 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 중 적어도 하나는 이온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 중 적어도 하나는 제습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 중 적어도 하나는 가습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가전제품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흡입부가 전면에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양 방향을 통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1배출구; 상기 공기 흡입부와 상기 제1배출구 사이에 마련되는 제1유로; 상기 제1유로의 공기를 강제유동 시키도록 마련되는 제1송풍장치; 상기 공기 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케이스의 상 방향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2배출구; 상기 제1유로와 구획되며, 상기 공기 흡입부와 상기 제2배출구 사이에 마련되는 제2유로; 상기 제2유로의 공기를 강제 유동 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송풍장치;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공기처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처리유닛은, 필터유닛, 가습장치, 제습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흡입부는, 복수의 흡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공기 흡입부와 상기 제1송풍장치 및 상기 제2송풍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흡입 공기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기류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덕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덕트 유닛은, 상기 제1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1덕트와, 상기 제2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2덕트와, 상기 제1덕트와 제2덕트 사이를 구분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덕트와 상기 제2덕트는, 상기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기류 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전제품 및 공기 청정기는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전면 흡입유로와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다방향 배출유로를 가져, 공간 별 오염 성분을 적절하게 제거하거나 개별 제어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독립 유로를 가져 최적의 효율을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전면 흡입유로와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다방향 배출유로를 가져,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설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프레임과 케이스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유로를 갖는 공기 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1송풍장치의 동작 시 기류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2송풍장치의 동작 시 기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1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와 공기 청정기가 장착된 가전제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
도 1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와 공기 청정기가 장착된 공기 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독립 유로를 형성하여 각 기능별 운전과 제어가 가능하고, 최적의 효율을 낼 수 있도록 마련되는 모든 가전제품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공기 청정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청정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전방에 결합되어 공기 청정기(1)의 전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전면패널(20)을 포함한다.
케이스(10)는 후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후면 패널(10b)과, 바닥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바닥 패널(10a)과, 상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탑 패널(1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후면 패널(10b)은 양 측면과 후면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양 측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좌우 측면패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면패널(20)은 후면 패널(10b)에 대응되는 크기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면패널(20)은 케이스(10)의 전면에 별도로 구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면패널은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면패널(20)에는 외부로부터 외부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공기 흡입부(21)가 형성된다. 공기 흡입부(21)는 전면패널(20)의 전면 전체에 고르게 분산 배치되는 복수개의 흡입홀(22)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흡입부(21)는 전면패널(2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공기 흡입부(21a)와 전면패널(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공기 흡입부(21a)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공기 흡입부(21)는 전면패널(20)의 전면 전체 면적에 고르게 형성되고, 전체 면적 중 하부에 제1공기 흡입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제2공기 흡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공기 흡입부(21)는 전면패널(20)의 특정 부분에 불규칙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면패널(20)의 공기 흡입부(21)는 외부 공기가 케이스(10)의 전면으로부터 케이스(10)의 내측 방향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흡입부(21)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 배출구(4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40)는 제1배출구(41)와 제2배출구(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배출구(41)는 케이스(10)의 후면 패널(10b)에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배출구(42)는 케이스(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배출구(42)는 케이스(10)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 패널(11)에 마련될 수 있다.
탑 패널(11)은 케이스(10)의 상단에 결합되어 공기 청정기(1)의 상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탑 패널(11)은 공기 청정기(1)의 동작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 버튼부(31)와, 작동 상태를 표시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32)를 포함하는 제어부(3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탑 패널(11)은 제2배출구(42)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어, 케이스(10)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량의 조절을 하는 배출 그릴(12,1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출 그릴()은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유선형 블레이드 형상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배출 그릴은 V형 또는 H형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 그릴(12,13)은 케이스(10)의 후면 패널(10b)에 형성된 제1배출구(41)에도 설치될 수 있다. 배출 그릴(12,13)의 형상은 배출구(40)의 형상과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프레임과 케이스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청정기(1)는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 유닛(50), 송풍장치(80), 덕트 유닛(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필터 유닛(50)은 케이스(10) 내부에 장착되어 전면패널(20)의 공기 흡입부(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 하도록 마련된다.
필터 유닛(50)은 전면패널(20)의 제1공기 흡입부(21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제1필터부(51a)와, 제2공기 흡입부(21b)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도록 마련되는 제2필터부(5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필터부(51a)는 케이스(1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고, 제2필터부(51b)는 케이스(10)의 내측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유닛(50)은 필터 프레임(60)에 고정될 수 있다. 필터 프레임(60)은 필터 유닛(50)을 고정시키고, 케이스(10)에 결합되도록 마련되어 필터 유닛(5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제1필터부(51a)와 제2필터부(51b)의 구성 및 동작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1필터부(51a)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필터부(51a)는 필터커버 프레임(55a)과, 필터커버(51a)와, 필터부재(54a)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커버 프레임(55a)은 제1필터부(51a)가 필터 프레임(6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필터커버(51a)는 필터부재(54a)가 필터커버 프레임(55a)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필터커버 프레임(55a)의 개구 전면에는 필터커버(51a)가 결합되어, 필터부재(54a)가 필터 프레임(6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필터커버(51a)는 흡입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격자 간격이 큰 메쉬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의 리브를 포함한다. 또, 필터커버(51a)의 하단에는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56)가 마련되어, 필터 프레임(6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필터부재(54a)는 유입되는 공기에서 먼지를 거르거나, 살균을 하는 기능을 하며, 필터부재(54a)의 형상이나 재질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필터부재(54a)는 입자가 큰 먼지를 거르기 위해 비교적 격자 간격이 큰 망체의 프리필터(미도시)와, 미세 먼지를 집진하기 위한 집진필터(미도시)와,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입상활성탄 등이 포함되어 있는 탈취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프레임(60)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60a)과, 하우징(60a)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필터 설치부(61)와, 하우징(60a)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필터 설치부(62)와, 제1필터 설치부(61)와 제2필터 설치부(62) 사이에 배치되는 회로유닛 설치부(63)를 포함한다.
하우징(60a)의 전면은 필터 유닛(50)이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다. 하우징(60a)의 개방된 전면에는 필터 유닛(50)의 필터커버(51a)가 결합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67은 필터커버(51a)의 고정돌기(56)가 결합되기 위해 형성되는 고정홈을 나타낸다.
제1필터 설치부(61)는 제1필터부(51a)가 설치되도록 마련된다. 제1필터 설치부(61)는 하우징(60a)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1필터홀(60b)을 포함한다.
제1필터홀(60b)은 제1필터부(51a)를 통과한 공기가 송풍장치(80)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필터홀(60b)에는 제1필터부(51a)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65)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65)는 제1필터부(51a)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필터 설치부(62)는 제2필터부(51b)가 설치되도록 마련된다. 제2필터 설치부(62)는 하우징(60a)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2필터홀(60c)을 포함한다.
제2필터홀(60c)은 제2필터부(51b)를 통과한 공기가 송풍장치(8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필터홀(60c)의 내측에는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필터홀(60b)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필터홀(60b)은 사각형 또는 오각형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터 프레임(60)은 공기 청정기(1)의 구동 제어를 위해 마련되는 회로 유닛(90)을 설치하기 위한 회로유닛 설치부(63)를 포함한다.
회로 유닛(90)은 그 내부에 회로기판(미도시)이 마련되는 기판하우징(91)과, 기판하우징(91)의 전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기판커버(92)를 포함한다.
회로유닛 설치부(63)는 회로유닛()이 수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간을 포함한다.
또한, 회로유닛 설치부(63)에는 회로 유닛(90)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와이어(미도시) 등이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와이어 설치구(64)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회로유닛 설치부(63)는 필터 프레임(60)의 전면에 배치되어 전면패널(20)의 분리 시 바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수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로유닛 설치부(63)는 제1필터 설치부(61)와 제2필터 설치부(62) 사이 중심에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회로유닛 설치부는 필터 프레임의 하부 또는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필터 프레임(60)은 케이스(10)와 고정부(9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93)는 필터 프레임(60)의 필터 하우징(60a)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93a)와, 케이스(10)에 형성되는 제2고정부(9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부(93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고, 제2고정부(93b)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에 대응되는 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돌기는 필터 하우징(60a)의 후방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홀은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부는 후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유닛(50)을 통과한 공기는 필터 프레임(60)의 제1필터홀(60b)과 제2필터홀(60c)을 통해 덕트 유닛(70)으로 유입된다.
덕트 유닛(70)은 제1유로(100)를 형성하는 제1덕트(71)와, 제2유로(200)를 형성하는 제2덕트(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덕트(71)와 제2덕트(72)는 필터 유닛(50)으로부터 전달되는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각각의 팬가드(72a,71a)가 형성된다. 제1덕트(71)에는 제1팬가드(71a)가 형성되고, 제2덕트(72)에는 제2팬가드(72a)가 형성된다.
이때, 제1팬가드(71a)와 제2팬가드(72a)는 필터 프레임(60)의 제1필터홀(60b)과 제2필터홀(60c)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덕트(71)와 제2덕트(72)는 각각의 송풍장치(8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장치(80)는 제1덕트(71)에 설치되는 제1송풍부(81)와, 제2덕트(72)에 설치되는 제2송풍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송풍장치(80)들은 제1,2송풍팬(83a,83b)과 제1,2송풍팬(83a,83b)을 구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제1,2구동모터(84a,84b)를 포함한다. 제1,2송풍팬(83a,83b)은 제1,2구동모터(84a,84b)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 송풍팬(83a,83b)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덕트(71)의 제1팬가드(71a)에는 제1송풍팬(83a)이 설치된다. 제1덕트(71)는 케이스(10)의 제1배출구(4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기류출구(7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덕트(71)의 제1기류출구(70a)는 제1배출구(41)에 대응되도록 케이스(10)의 양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제1덕트(71)는 제1송풍팬(83a)으로부터 배출되는 기류를 안내하기 위한 제1기류 가이드(7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류 가이드(71b)는 송풍팬(81)으로부터 전달되는 공기를 제1기류출구(70a)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제2덕트(72)는 케이스(10)의 제2배출구(4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기류출구(7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덕트(72)의 제2기류출구(70b)는 제2배출구(42)에 대응되도록 케이스(10)의 상면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덕트(72)는 제2송풍팬(83b)으로부터 배출되는 기류를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제2기류 가이드(72a)를 포함한다. 제2기류 가이드(72a)는 제2송풍팬(83b)으로부터 전달되는 공기를 제2기류출구(70b)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1덕트(71)와 제2덕트(72)는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제1덕트(71)와 제2덕트(72)는 각각 제1유로(100)와 제2유로(200)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제1덕트(71)가 형성하는 제1유로(100)는 제1송풍부(8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제1기류출구(70a)를 통해 케이스(10)의 제1배출구(41)로 배출하도록 마련된다.
제1유로(100)는 제1팬가이드(72a)에 의해 형성되는 제1공기유입유로(110)와, 제1기류출구(70a)에 의해 형성되는 제1공기배출유로(120)를 포함한다.
또, 제2덕트(72)가 형성하는 제2유로(200)는 제2송풍부(82)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제2기류출구(70b)를 통해 케이스(10)의 제2배출구(42)로 배출하도록 마련된다.
제2유로(200)는 제2팬가이드(72b)에 의해 형성되는 제2공기유입유로()와, 제2기류출구(70b)에 의해 형성되는 제2공기배출유로(220)를 포함한다.
이때, 제1유로(100)와 제2유로(200)는 구획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덕트(71)와 제2덕트(72) 사이에는 격벽(74)이 마련될 수 있다. 격벽(74)은 제1덕트(71)와 제2덕트(72) 사이에 마련되어 제1유로(100)와 제2유로(200)를 구획할 수 있다.
격벽(74)은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격벽은 제1덕트(71)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1격벽(74a)과, 제2덕트(72)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2격벽(74b)을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격벽은 제1덕트와 제2덕트 사이를 구획하는 하나의 판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제1덕트(71)와 제2덕트(72)가 형성하는 제1유로(100)와 제2유로(200)의 경로 상에는 이온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이온발생장치(95)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이온발생장치(95)는 제1공기배출유로(120)와 제2공기배출유로(220)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온발생장치(95)로부터 발생된 이온은 제1유로(100) 및 제2유로(200)를 통해 케이스(10)의 제1배출구(41)와 제2배출구(42)로 정화된 공기와 함께 배출될 수 있어 공기 청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유로를 갖는 공기 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공기 청정기(1)는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는 덕트 유닛(70)을 포함하고, 덕트 유닛(70)은 제1유로(100)를 형성하는 제1덕트(71)와, 제1유로(100)와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제2유로(200)를 형성하는 제2덕트(72)를 포함한다.
제2덕트(72)와 제2덕트(72)는 각각 케이스(10) 전방에 마련되는 전면패널(20)에 형성되는 제1공기 흡입부(21a)와 제2공기 흡입부(21b)를 통해 공기를 전달받는다.
이때, 제1공기 흡입부(21a)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1필터부(51a)를 통해 필터링되고, 제2공기 흡입부(21b)로 유입되는 공기를 제2필터부(51b)를 통해 필터링되게 된다.
한편, 제1공기 흡입부(21a)를 통해 제1유로(100)로 유입되는 필터링된 공기는 제1송풍부(81)의 전방으로부터 흡입되어 제1덕트(71)의 제1기류출구(70a) 방향으로 전달된다.
제1덕트(71)의 제1기류출구(70a)는 케이스(1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제1배출구(41)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제1유로(100)의 공기는 제1덕트(71)의 제1기류출구(70a)와 제1배출구(41)를 통해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제2공기 흡입부(21b)를 통해 제2유로(200)로 유입되는 필터링된 공기는 제2송풍부(82)의 전방으로부터 흡입되어 제2덕트(72)의 제2기류출구(70b) 방향으로 전달된다.
제2덕트(72)의 제2기류출구(70b)는 케이스(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배출구(42)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제2유로(200)의 공기는 제2덕트(72)의 제2기류출구(70b)와 제2배출구(42)를 통해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처럼, 전면패널(20)의 전방을 향해 외기를 흡입하는 공기 청정기(1)는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좌우 방향의 제1배출구(41)와 상 방향의 제2배출구(42)를 통해 다방향 배출을 할 수 있어 청정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또, 독립적인 제1유로(100)와 제2유로(200)를 통해 흡입 기능과 배출 기능의 동시 운전 및 개별 운전이 가능하여 청정 효율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1송풍장치의 동작 시 기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2송풍장치의 동작 시 기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공기 청정기(1)의 동작을 위해 사용자가 제어부(30)의 조작 버튼부(31)를 누른다.
이때, 사용자는 실내의 오염도를 감안하여 청정기능의 단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한 청정 기능을 위해서는 제1송풍부(81)와 제2송풍부(82)를 모두 가동하여 제1배출구(41)와 제2배출구(42)를 통해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송풍부(81)와 제2송풍부(82)가 동시 동작하고, 그에 따라 전면패널(20)의 제1공기흡입부(21a)와 제2공기흡입부(21b)로 유입된 공기는 전방(F)으로부터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어 제1필터부(51a)와 제2필터부(51b)를 통과하고, 제1유로(100)와 제2유로(200)를 통해 제1유로(100)의 공기는 제1기류출구(70a) 및 제1배출구(41)를 통해 케이스(10)의 좌우 양방향(A,B)으로 배출된다. 또한, 제2유로(200)의 공기는 제2기류출구(70b) 및 제2배출구(42)를 통해 케이스(10)의 상 방향(C)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약한 청정 기능을 위해서는 제1송풍부(81)와 제2송풍부(82) 중 어느 하나를 가동(on)시키고 다른 하나는 정지(off)시켜 제1배출구(41)와 제2배출구(42) 중 하나에서만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송풍부(81)만을 구동시켰을 경우는 제1배출구(41)를 통해 케이스(10)의 좌우 방향에서 공기가 배출되고, 제2송풍부(82)만을 구동시켰을 경우는 제2배출구(42)를 통해 케이스(10)의 상 방향(C)에서 공기가 배출되게 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유닛(70A)의 제1덕트(71)와 제2덕트(72)는 공기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팬(75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덕트(71A)는 제1팬가드(71Aa)에 의해 형성되는 제1공기흡입유로(110A)와, 제1기류출구(70Aa)에 의해 형성되는 제1공기배출유로(120A)를 포함하는 제1유로(100A)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제1덕트(71A)의 제1공기배출유로(120A)는 케이스(10)의 제1배출구(41)에 대응되도록 좌우 방향(A,B)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덕트(71A)는 제1기류출구(70Aa)로 기류가 배출되도록 제1공기배출유로(120A)를 형성하는 기류 가이드(71Ab)를 더 포함한다. 기류 가이드(71Ab)는 케이스(10)의 좌우 양측 방향으로 기류가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덕트(71A)의 제1공기배출유로(120A)에는 제1기류출구(70Aa)와 제1배출구(4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팬(75Aa)이 마련될 수 있다.
제2덕트(72A)의 제2공기배출유로(220A)는 케이스(10)의 제2배출구(42)에 대응되도록 상 방향(C)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덕트(72A)는 제2기류출구(70Ab)로 기류가 배출되도록 제2공기배출유로(220A)를 형성하는 기류 가이드(72Ab)를 더 포함한다. 기류 가이드(72Ab)는 기류가 케이스(10)의 상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 방향을 향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덕트(72A)의 제2공기배출유로(220A)에는 제2기류출구(70Ab)와 제2배출구(4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2팬(75Ab)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팬과 제2팬은 각각 한 개가 설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각각의 공기배출유로에 형성되는 팬의 개수는 공기 청정기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1덕트(71A)와 제2덕트(72A) 사이에는 제1유로(100A)와 제2유로(200A)를 구획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격벽(74A)이 마련될 수 있다. 격벽(74A)은 제1덕트(71A)의 상단부를 형성하는 제1격벽(74Aa)과 제2덕트(72A)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제2격벽(74A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격벽(74Aa)과 제2격벽(74Ab)은 제1덕트(71A) 및 제2덕트(72A)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격벽은 제1덕트 및 제2덕트와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격벽(74A)에 의해 구획되는 제1유로(100)와 제2유로(200)는 각각 독립 제어가 가능하여 공기 청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유닛(70B)은 제1덕트(71B)와, 제2덕트(72B), 그리고 제3덕트(7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덕트(71B)는 제1유로(100B)를 형성하도록 마련되고, 제2덕트(72B)는 제2유로(200B)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제3덕트(73B)는 제3유로(300B)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덕트(71B)는 제1팬가드(71Ba)에 의해 형성되는 제1공기흡입유로(110B)와, 제1기류출구(70Ba)에 의해 형성되는 제1공기배출유로(120B)를 포함하는 제1유로(100B)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제1덕트(71B)의 제1공기배출유로(120B)는 케이스(10)의 제1배출구(41)에 대응되도록 좌우 방향(A,B)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1덕트(71B)의 제1공기배출유로(120B)에는 제1기류출구(70Ba)를 통해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에 이온이 발생될 수 있도록 이온발생장치(95)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온발생장치(95)는 제1덕트(71B)에 마련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온발생장치(95)은 제1덕트(71B) 내지 제3덕트(73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덕트(72B)의 제2공기배출유로(70Bb)는 케이스(10)의 제2배출구(42)에 대응되도록 상 방향(C)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제2덕트(72B)는 제2기류출구(70Bb)로 기류가 배출되도록 제2공기배출유로(220B)를 형성하는 기류 가이드(72Bb)를 더 포함한다. 기류 가이드(72Bb)는 기류가 케이스(10)의 상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 방향을 향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덕트(71B)와 제2덕트(72B)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3덕트(73B)는 제3팬가드(73Ba)에 의해 형성되는 제3공기흡입유로(310B)와, 제3기류출구(70Bc)에 의해 형성되는 제3공기배출유로(320B)를 포함하는 제3유로(300B)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제3덕트(73B)의 제3공기배출유로(320B)는 케이스(1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3공기배출유로(320B)는 제1배출구(41)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덕트(71B)와 제3덕트(73B), 제2덕트(72B)와 제3덕트(73B) 사이에는 제1유로(100A), 제2유로(200A), 그리고 제3유로(300A)를 구획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격벽(74B)이 마련될 수 있다. 격벽(74B)은 제1덕트(71B)의 상단부 또는 제3덕트(73B)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제1격벽(74Ba)과, 제2덕트(72B)의 하단부 또는 제3덕트(73B)의 상단부를 형성하는 제2격벽(74B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공기 청정기(1)의 케이스(10) 내에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제1유로(100B)와 제2유로(200B) 그리고 제3유로(300B)는 각각 독립 제어가 가능하여 공기 청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유닛(70C)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기류출구(70Ca,70Cb,70C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덕트(71C)는 제1유로(100C)를 형성하도록 마련되고, 제2덕트(72C)는 제2유로(200C)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제3덕트(73C)는 제3유로(300C)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덕트(71C)는 제1팬가드(71Ca)에 의해 형성되는 제1공기흡입유로(110C)와, 제1기류출구(70Ca)에 의해 형성되는 제1공기배출유로(120C)를 포함하는 제1유로(100C)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이때, 제1덕트(71C)의 제1공기배출유로(120C)는 케이스(10)의 측면 중 하나의 일 방향(A)으로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제2덕트(72C)는 제2팬가드(72Ca)에 의해 형성되는 제2공기흡입유로(210C)와, 제2기류출구(70Cb)에 의해 형성되는 제2공기배출유로(220C)를 포함하는 제2유로(200C)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제2덕트(72C)의 제2공기배출유로(70Cb)는 케이스(10)의 상 방향(C)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제1덕트(71C)와 제2덕트(72C)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3덕트(73C)는 제3팬가드(73Ca)에 의해 형성되는 제3공기흡입유로(310C)와, 제3기류출구(70Cc)에 의해 형성되는 제3공기배출유로(320C)를 포함하는 제3유로(300C)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제3덕트(73C)의 제3공기배출유로(320C)는 케이스(10)의 측면 중 다른 하나의 방향(B)으로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이렇게, 공기 청정기(1)의 케이스(10) 내에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제1유로(100C)와 제2유로(200C) 그리고 제3유로(300C)는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기류출구(70Ca, 70Cb, 70Cc)에 의해 다양한 독립 제어가 가능하여 공기 청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유로와 제2유로에는 공기 청정을 위한 필터유닛이 각각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케이스(10) 내에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제1유로(100C)와 제2유로(200C)에는 각각 서로 다른 공기처리유닛(300D,400E)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와 공기 청정기가 장착된 가전제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1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와 공기 청정기가 장착된 공기 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제품(1D)의 제2유로(200D)에는 제습 기능을 위한 제습장치(300D)가 배치될 수 있다.
가전제품(1D)은 케이스(10D)와, 케이스(10D) 내부에 마련되는 덕트 유닛(70D)을 포함한다.
덕트 유닛(70D)은 제1유로(100D)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1덕트(71D)와, 제1덕트(71D)의 상부에 마련되며 제1유로(100D)와 구획되어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제2유로(200D)를 형성하는 제2덕트(7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덕트(71D)에는 제1공기흡입부(21Da)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필터유닛(50D)으로부터 필터링되어 유입될 수 있도록 송풍장치(81D)가 설치되며, 송풍장치(81D)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1유로(100D)의 제1공기흡입유로(110D)와 제1공기배출유로(120D)를 통해 제1기류출구(70Da)로 배출된다.
이때, 제1덕트(71D)의 제1기류출구(70Da)는 케이스(10A)의 좌우 방향(A,B)으로 형성돤다.
한편, 제2덕트(72D)에는 유입된 공기가 제습될 수 있도록 제습장치(300D)가 마련된다. 제2덕트(200D)에 마련되는 제습장치(300D)는 제2유로(200D)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덕트(200D)는 유입된 공기가 제습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케이스(10D)의 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기류출구(70Db)를 포함한다.
제2덕트(200D)에 의해 형성되는 제2유로(200D)는 제2공기흡입유로(210D)와 제2공기배출유로(220D)를 포함한다.
제1유로(100D)와 제2유로(200D)는 서로 격리되어 형성된다. 제1유로(100D)와 제2유로(200D)는 제1덕트(71D)와 제2덕트(72D) 사이에 마련되는 격벽(74D)에 의해 격리될 수 있다.
한편, 제습장치(300D)가 배치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제1유로(100D)에는 공기 청정을 위한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청정기능을 위한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 할 수 있다.
제습장치(300D)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301D)와, 냉매를 응축시켜 외부의 잠열을 흡수하고 주변 공기의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증발기(302D)와, 제2공기흡입유로(210D)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302D)를 거쳐 제습된 후 응축기(304D)를 통과하여 덥혀지고 제2기류출구(70Db)를 통해 배출되도록 강제 유동시키는 제습기송풍팬(82D)과, 증발기(302D)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트레이(303D)를 포함할 수 잇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습장치(300D)는 냉동 사이클 장치를 이용한 방식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습장치는 흡착제(미도시)를 이용한 방식으로 제습을 수행할 수도 있다. 흡착제는 제올라이트, 활성탄, 실리카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가전제품(1D)의 케이스(10D) 내에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제1유로(100D)와 제2유로(200D)에는 각각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구조를 설치할 수 있어, 제1유로(100D)를 통해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고, 제2유로(200D)를 통해서는 제습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어 공기 청정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습장치(300D)는 가전제품(1D)의 제2덕트(72D)에 마련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습장치(300D)는 제1덕트(71D)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제품(1E)의 제2덕트(72E)에는 가습 기능을 위한 가습장치(400E)가 설치될 수 있다.
가습장치(400E)는 케이스(10E)의 제1덕트(71E)와 제2덕트(72E)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가습장치(400E)는 제2유로(200E) 내에 설치된다. 제2유로(200E)는 제2공기흡입유로(210E)와 제2공기배출유로(220E)를 포함한다.
가습장치(400E)가 배치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제1덕트(71E)는 공기 청정을 위한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청정기능을 위한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 할 수 있다.
제2유로(200E)는 제2공기흡입유로(210E) 즉, 케이스(10E)의 전면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기화시켜 제2덕트(72E)의 제2기류출구(70Eb)를 통해 케이스(10E)의 상 방향으로 배출시키도록 마련된다.
가습장치(400E)는 가습소자(401E)와, 가습소자(401E)가 가습수를 흡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가습수 탱크(402E)와, 가습수가 쉽게 기화하도록 마련되는 가습 송풍팬(403E)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습소자(401E)는 가습수를 흡수하는 가습필터일 수 있으며, 섬유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습수 탱크(402E)의 가습수는 가습소자(401E)를 타고 상승하면서 기화할 수 있다.
이때, 가습수가 쉽게 기화하도록 가습 송풍팬(403E)이 공기를 강제 유동 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습장치(400E)가 마련되는 제2유로(200E)와 제1유로(100E)는 서로 격리되어 마련된다. 제1유로(100E)와 제2유로(200E)는 격벽(74E)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습장치(400E)는 가습소자를 이용한 방식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습장치는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가습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가전제품(1E)의 케이스(10E) 내에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제1유로(100E)와 제2유로(200E)에는 각각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구조를 설치할 수 있어, 제1유로(100E)를 통해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고, 제2유로(200E)를 통해서는 가습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어 공기 청정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그 실시예를 기술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 변경 및 대체될 수 있다.
1 : 공기 청정기 1D,1E : 가전제품
10 : 케이스 10b : 후면 커버
20 : 전면 패널 21 : 공기 흡입부
22 : 흡입홀 30 : 제어부
40 : 배출구 50 : 필터유닛
60 : 필터 프레임 70 : 덕트 유닛
80 : 송풍장치 90 : 회로 유닛
100 : 제1유로 200 : 제2유로

Claims (18)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복수의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는 전면 패널;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공기 흡입부 중 하나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송풍장치;
    상기 제1송풍장치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배치되는 제1필터유닛;
    상기 제1필터유닛을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위치되는 제1배출구;
    상기 복수의 공기 흡입부 중 하나와 상기 제1배출구 사이에 마련되는 제1유로;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공기 흡입부 중 다른 하나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제2송풍장치;
    상기 제2송풍장치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배치되는 제2필터유닛;
    상기 제2필터유닛을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위치되는 제2배출구;
    상기 제1유로와 구획되며, 상기 복수의 공기 흡입부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제2배출구 사이에 마련되는 제2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 흡입부는
    상기 제1필터유닛과 제1송풍장치를 통해 외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공기 흡입부와,
    상기 제1공기 흡입부에 대해 별도로 마련되고, 상기 제2필터유닛과 제2송풍장치를 통해 외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공기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기류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덕트 유닛이 마련되고,
    상기 덕트 유닛은,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를 구분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구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과 배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제2배출구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과 상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필터유닛과 제2필터유닛이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필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회로유닛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유닛 설치부에는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 흡입부는,
    상기 전면 패널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유닛은,
    상기 제1송풍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제1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1덕트와,
    상기 제2송풍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2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2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덕트와 제2덕트는 구획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와 상기 제2덕트는 상기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기류 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 중 적어도 하나는 이온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 중 적어도 하나는 제습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 중 적어도 하나는 가습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3.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흡입부가 전면에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양 방향을 통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1배출구;
    상기 공기 흡입부와 상기 제1배출구 사이에 마련되는 제1유로;
    상기 제1유로의 공기를 강제유동 시키도록 마련되는 제1송풍장치;
    상기 공기 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케이스의 상 방향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2배출구;
    상기 제1유로와 구획되며, 상기 공기 흡입부와 상기 제2배출구 사이에 마련되는 제2유로;
    상기 제2유로의 공기를 강제 유동 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송풍장치;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공기처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처리유닛은,
    필터유닛, 가습장치, 제습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부는,
    복수의 흡입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공기 흡입부와 상기 제1송풍장치 및 상기 제2송풍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흡입 공기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기류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덕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덕트 유닛은,
    상기 제1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1덕트와, 상기 제2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2덕트와, 상기 제1덕트와 제2덕트 사이를 구분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와 상기 제2덕트는,
    상기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기류 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KR1020190040703A 2019-04-08 2019-04-08 공기 청정기 및 공기처리유닛을 구비하는 가전제품 KR102238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703A KR102238949B1 (ko) 2019-04-08 2019-04-08 공기 청정기 및 공기처리유닛을 구비하는 가전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703A KR102238949B1 (ko) 2019-04-08 2019-04-08 공기 청정기 및 공기처리유닛을 구비하는 가전제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087A Division KR102359202B1 (ko) 2014-12-30 2014-12-30 공기 청정기 및 공기처리유닛을 구비하는 가전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908A true KR20190039908A (ko) 2019-04-16
KR102238949B1 KR102238949B1 (ko) 2021-04-13

Family

ID=66281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703A KR102238949B1 (ko) 2019-04-08 2019-04-08 공기 청정기 및 공기처리유닛을 구비하는 가전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9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0661A (ko) * 2003-09-25 2005-03-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초고효율 공기청정기
KR20060052606A (ko) * 2004-11-12 2006-05-19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청정기
JP2010017685A (ja) * 2008-07-14 2010-01-28 Daikin Ind Ltd 空気清浄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0661A (ko) * 2003-09-25 2005-03-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초고효율 공기청정기
KR20060052606A (ko) * 2004-11-12 2006-05-19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청정기
JP2010017685A (ja) * 2008-07-14 2010-01-28 Daikin Ind Ltd 空気清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949B1 (ko) 202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1007B1 (ko) 공기 청정기
JP5228319B2 (ja) 空気清浄機
KR100899473B1 (ko) 공기 조절 장치
US10900671B2 (en) Slim-type air processing device
JP2021042935A (ja) 空気調和機
KR102103948B1 (ko) 공기 청정기 및 공기처리유닛을 구비하는 가전제품
JP2001248865A (ja) 換気機能付空気清浄装置
KR20190001334A (ko) 선택적으로 가습 기능과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습 공기 청정기
KR101817092B1 (ko) 공기청정기
KR102238949B1 (ko) 공기 청정기 및 공기처리유닛을 구비하는 가전제품
KR102683533B1 (ko) 공기 청정기
AU2014325645B2 (en) Air-conditioning outdoor unit
KR20100061114A (ko) 공기조화기
KR101403010B1 (ko) 가습 제습 복합기
KR20180044650A (ko) 공기조화기
JP2014052084A (ja) 空気清浄機
JP5842869B2 (ja) 空気調和機
JP2007029792A (ja) 空気調節装置
KR101335230B1 (ko) 가습 제습 복합기
JP7445148B2 (ja) 空気処理装置
JP6137799B2 (ja) 送風装置
KR20230040204A (ko) 공기청정기
JP2023150572A (ja) 空気処理装置
JP2007097933A (ja) 空気調和機用フィルタおよび空気調和機
KR20150077779A (ko) 공기조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