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979A - Muscle stimulating wearable apparatus for directional stimul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uscle stimulating wearable apparatus for directional stimul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979A
KR20190031979A KR1020170120356A KR20170120356A KR20190031979A KR 20190031979 A KR20190031979 A KR 20190031979A KR 1020170120356 A KR1020170120356 A KR 1020170120356A KR 20170120356 A KR20170120356 A KR 20170120356A KR 20190031979 A KR20190031979 A KR 20190031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mulation
stimulus
muscle
controlling
magnetic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3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27398B1 (en
Inventor
유승현
차영주
박지호
황종석
김건
정도희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20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398B1/en
Publication of KR20190031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9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3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B5/0476
    • A61B5/048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6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stimulus such as electricity or vibration so that effective muscle rehabilitation training can be performed by a patient suffering brain damage or the like, and to a control method thereof.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timulating muscles during muscle rehabilitation training, which comprises: a wearing part to be worn on a body part of a rehabilitation trainee; a stimulus generating part for applying a directional stimulus to muscles of the rehabilitation trainee in a state of being worn on the body par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stimulus application pattern of the stimulus generating part.

Description

방향성 자극을 인가하는 웨어러블 타입의 근육 자극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MUSCLE STIMULATING WEARABLE APPARATUS FOR DIRECTIONAL STIMUL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er-type muscle stimulation apparatus for applying directional stimulation,

본 발명은 근육을 자극하는 장치 및 그것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향성 자극을 통하여 재활을 효과적으로 보조해 줄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timulating muscle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assisting rehabilitation through directional stimulation.

기능적 전기 자극(FES,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은 마비된 근육에 적절한 강도의 전기 자극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주어진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치료 행위를 말한다. 다시 말해,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전기 자극을 주어 근육이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근육이 상부운동신경계와 단절된 뒤 나타나는 근위축을 방지하거나 지연시켜 근육의 기능이 퇴화하는 것을 막고, 근육이 가지는 본래의 운동 기능을 지속할 수 있도록 재교육하는 효과를 가진다. 전자의 경우를 좁은 의미의 기능적 전기 자극이라 하며, 후자의 경우를 신경근 전기 자극이라고 하며, 넓은 의미의 기능적 전기 자극은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한다.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refers to a therapeutic action that causes a paralyzed muscle to perform a given function by sequentially applying an appropriate electrical stimulus to the paralyzed muscle. In other words, it not only helps the muscles to function by giving an electric stimulus to move the muscles, but also prevents or slows down the function of the muscles by preventing or delaying the muscle atrophy which occurs after the muscles are disconnected from the upper motor nervous system, This has the effect of retraining to maintain the original motor function. The former case is calle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in the narrow sense, the latter case is calle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and the broa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includes both.

뇌나 척수 등이 손상된 환자는, 근육을 본인의 의지대로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회복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재활 훈련이 요구된다. 뇌나 척수가 손상된 경우, 근육을 움직이는데 필요한 신호가 근육에 제대로 전달되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근육에 신호를 제대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재활 보조자의 지속적인 보조가 필요하다.Patients with impaired brain or spinal cord can not move their muscles to their will, so continuous rehabilitation training is required for recovery. If the brain or spinal cord is damaged, the signals needed to move the muscles are not transmitted to the muscles. Therefore, in order to properly transmit the signals to the muscles, continuous support from the rehabilitation assistant is needed.

재활 훈련을 진행하는 동안 재활 보조자는, 움직이는데 필요한 근육에 지속적으로 자극을 인가하는 방식을 통하여, 재활 훈련자의 뇌가 해당 근육을 인식하고 힘을 줄 수 있도록(즉, 근육을 움직이는데 필요한 신호를 보내도록) 유도한다. 이때 인가되는 자극은, 상술한 FES이거나 근육을 두드리는(일명, 태핑) 진동 자극일 수도 있다.During rehabilitation training, the rehabilitation aide can help the rehabilitation trainer's brain to recognize and empower the muscles (ie, send the necessary signals to move the muscles), by continuously stimulating the muscles needed to move. ). At this time, the applied stimulus may be the above-described FES or a vibration stimulus for tapping (aka, tapping) the muscle.

하지만, 재활 훈련을 하는데 있어서 오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재활 보조자의 인력 부족 등의 이유로 인하여 이러한 재활 보조자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는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해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However,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devices and systems that can replace the role of assisted rehabilitation because of not only long time for rehabilitation training, but also because of lack of manpower for rehabilitation assistant.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효과적인 재활 훈련을 보조해 줄 수 있는 근육 자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Another objective is to provide a muscle stimulation device that can assist in effective rehabilitation training.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근육 재활 운동 시 근육을 자극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재활 훈련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기 위한 착용부; 상기 신체 일부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재활 훈련자의 근육에 방향성 자극을 인가하는 자극생성부; 및 상기 자극생성부의 자극 인가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근육 자극 장치 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stimulating muscles during a muscle rehabilitation exercise, the apparatus comprising: a wearer for wearing a body part of a rehabilitation trainer; A stimulus generator for applying a directional stimulus to the muscles of the rehabilitation trainer in a state of being worn on the body part; And a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a stimulation application pattern of the stimulation generating section.

본 발명에 따른 근육 자극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muscle stimulation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재활 보조자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pparatus that can replace the role of the rehabilitation assista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재활 훈련자의 훈련 효율을 비약적으로 증대시켜, 뇌나 척수 등의 손상 환자가 빠르게 마비된 근육을 회복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lso,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ining efficiency of the rehabilitation trainee is dramatically increased, so that a patient with impaired brain or spinal cord can recover the rapidly paralyzed muscles.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육 자극 장치(100)의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육 자극 장치(100)의 착용 상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육 자극 장치(100)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근수축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방향성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자극의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자극의 방향이 근육을 향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육 자극 장치(100)의 제어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conceptual diagram of a muscle stimul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the muscle stimul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muscle stimul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kind of muscle contrac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pplying a directional stimul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for setting the directionality of a stimul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direction of a stimulus directed to a mus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flowchart of the muscle stimul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뇌나 척수 등이 손상된 환자는, 근육을 본인의 의지대로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회복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재활 훈련이 요구된다. 뇌나 척수가 손상된 경우, 근육을 움직이는데 필요한 신호가 근육에 제대로 전달되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근육에 신호를 제대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재활 보조자의 지속적인 보조가 필요하다.Patients with impaired brain or spinal cord can not move their muscles to their will, so continuous rehabilitation training is required for recovery. If the brain or spinal cord is damaged, the signals needed to move the muscles are not transmitted to the muscles. Therefore, in order to properly transmit the signals to the muscles, continuous support from the rehabilitation assistant is needed.

재활 훈련을 진행하는 동안 재활 보조자는, 움직이는데 필요한 근육에 지속적으로 자극을 인가하는 방식을 통하여, 재활 훈련자의 뇌가 해당 근육을 인식하고 힘을 줄 수 있도록(즉, 근육을 움직이는데 필요한 신호를 보내도록) 유도한다. 이때 인가되는 자극은, 상술한 FES이거나 근육을 두드리는(일명, 태핑) 진동 자극일 수도 있다.During rehabilitation training, the rehabilitation aide can help the rehabilitation trainer's brain to recognize and empower the muscles (ie, send the necessary signals to move the muscles), by continuously stimulating the muscles needed to move. ). At this time, the applied stimulus may be the above-described FES or a vibration stimulus for tapping (aka, tapping) the muscle.

재활 훈련을 진행하는 동안 근육에 특정 패턴의 자극이 인가될 경우 재활 훈련에 굉장히 효과적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패턴의 자극이라 함은, 근육의 수축이나 이완 방향와 일치되는 형태의 방향성을 가지는 자극이다.If a certain pattern of stimulation is applied to muscles during rehabilitation training, it can be very effective in rehabilitation training. Here, the stimulation of a specific pattern is a stimulus having a directionality in a shape consistent with the contraction or relaxation direction of the muscle.

즉, 재활 훈련자가 근육을 수축하는 방향으로 힘을 주어야 할 때에는 수축하는 방향과 일치하는 형태로 자극의 방향성을 가해주는 것이다. 반대로 근육을 이완하는 방향으로 힘을 주어야 할 때에는 이완하는 방향으로의 방향성을 가지는 자극을 인가해 줄 수 있을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rehabilitation trainer should give a force in the direction of contraction of the muscles, the direction of the stimulus is appli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contraction direction. On the contrary, when a force should be applied in a direction to relax the muscles, a stimulus having directionality in the relaxation direction may be applied.

이하,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육 자극 장치(100)의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육 자극 장치(100)의 착용 상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conceptual diagram of a muscle stimul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the muscle stimul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a)는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b)는 근육 자극 장치(100)를 펼쳐 놓은 상태에서 평면도를 도시한다.Fig. 1 (a) shows a perspective view, and Fig. 1 (b) shows a plan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muscle stimulating apparatus 100 is unfolded.

도시된 도면에 따르면, 근육 자극 장치(100)는 재활 훈련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할 수 있도록 착용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도 1의 예시에서 착용부(101)는 재활 훈련자의 팔이나 다리에 착용가능하도록 벨트 타입의 몸체와 몸체 양단에 구비되는 체결부(102)를 포함한다. 체결부(102)는 벨크로(velcro) 등의 재질로 구비되어 손쉽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rawings, the muscle stimulation apparatus 100 may include a wearable portion 101 to be worn on a body part of a rehabilitation trainee. In the illustrated example of FIG. 1, the wearer 101 includes a belt-type body and a fastening portion 102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ody so as to be worn on the arm or leg of the rehabilitation trainee. The fastening part 102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velcro and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도 2를 참조하면, 근육 자극 장치(100)는 재활 훈련자의 종아리 부근에 착용되어, 이하에서 후술할 방향성을 가지는 근육 자극을 제공하여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육 자극 장치(100)는 재활을 위하여 필요한 어느 위치에나 착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종아리 부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팔이나 다리를 제외한 허리, 등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Referring to FIG. 2, the muscle stimulation apparatus 100 may be worn near the calf of a rehabilitation trainee to provide muscular stimulation with directionality,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muscle stimula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orn at any position necessary for rehabilita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vicinity of such a calf. Particularly, it can be applied to a waist other than an arm or a leg.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육 자극 장치(100)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muscle stimul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근육 자극 장치(100)은 사람과 같은 동물의 피부 위에 위치될 수 있는 자극부(103)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극부(103)이 사용자의 팔이나 다리의 피부 일부에 위치(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자극부(103)은 신체의 다른 부분에도 위치될 수 있고 특정 신체 부위의 형태에 적응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Muscle stimulation device 100 includes a stimulation portion 103 that can be placed on the skin of an animal, such as a human being. As shown in Fig. 2, the stimulating portion 103 can be positioned (contacted) with a part of the skin of the user's arm or leg. However, the stimulation portion 103 may be located in other parts of the body and may have a shape adapted to the shape of the particular body par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극부(103)는, 사용자에게 두드리는 형태의 자극을 인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자극부(103)는 압전소자(Piezoelectricity)를 통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진동 신호로 변형하여 자극을 인가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압전소자를 제외한 다양한 타입의 진동 자극 인가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stimulating unit 10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a stimulating stimulus to the user. For this purpose, the stimulating unit 103 may apply a stimulus by transforming an electric signal into a vibration signal through a piezoelectric element. Of course, it is apparent that various types of vibration stimulation application methods other than the piezoelectric element can be appli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극부(103)는 전기 자극의 형태로 인가될 수도 있다. 자극부(103)가 전기 자극을 인가할 때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세트로 구비될 수 있다. 각 전극 세트는,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전극과 이에 대향하는 대향 전극(counter electrode)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세트 중 어느 하나의 자극 전극(A)을 통하여 자극할 때, 다른 하나의 전극(B)은 대향 전극(또는 접지)로 작용할 수 있다.The stimulating portion 10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in the form of an electric stimulus. When the magnetic pole portion 103 applies an electric stimulus, it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electrode set. Each electrode se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ignal electrode for applying an electrical signal and a counter electrode opposite thereto. For example, when stimulating through any one of the stimulating electrodes A of the electrode set, the other electrode B may act as the counter electrode (or ground).

자극부(103)가 피부, 즉 피부 아래 근육 조직과 접촉하는 신체 조직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피부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자극부(103)와 상기 근육 조직의 접촉은 전기적일 것이고, 특히 전기적 신호를 자극부(103)가 부착되는 피부 영역 아래의 근육 지역으로 수신 또는 전송 할 것이다. 특히, 자극부(103)은 근육 조직을 자극하기 위해 근육 자극 신호의 형태로 피부를 통해 전류를 근육 조직에 주입할 수 있을 것이다.The stimulating portion 103 can be placed on the skin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skin, that is, the bodily tissue in contact with the muscle tissue under the skin. And the contact of the stimulating portion 103 with the muscle tissue will be electrically and in particular will receive or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to the muscle region below the skin region to which the stimulating portion 103 is attached. In particular, the stimulation portion 103 will be able to inject current into the muscle tissue through the skin in the form of a muscle stimulation signal to stimulate the muscle tissue.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육 자극 장치(100)는 연결부(18)을 통해 자극부(103)과 연결되는 작동 유닛(50)을 더 포함한다. 도 3의 예에서, 연결부(18)는 전선 연결이다. 그러나 연결부(18)는 무선 연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극부(103)은 전지식(battery powered)이고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muscle stimulation apparatus 100 further includes an operation unit 50 connected to the stimulation portion 103 via a connection portion 18. In the example of Figure 3, the connection 18 is a wire connection. However, the connection 18 may be a wireless connection. For example, the stimulating portion 103 is battery powered and may include a wireless transmit / receive portion.

작동 유닛(50)은 자극부(50)에 의해 발생된 신호들을 수신하고 이하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자극부(10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50 can receive signals generated by the stimulation unit 50 and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timulation unit 103 a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자극부(103)은 유동적인, 바람직하게는 탄력성 있는 캐리어(carrier)의 표면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자극부(103)가 위치된 신체 부위의 형태에 적응하도록 허용한다. 캐리어는 자극부(103)을 연결부(18)를 통해 작동 유닛(50)에 연결하는 전기적 성분들을 구비할 수 있다.The stimulating portion 103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a flexible, preferably resilient carrier. This allows the stimulating portion 103 to adapt to the shape of the body part in which it is located. The carrier may have electrical components that connect the stimulating portion 103 to the actuation unit 50 via the connection 18.

예를 들어, 작동 유닛(50)은 하우징(housing)을 포함한다. 하우징의 내부에, 선택적 사용자 인터페이스(56)에 연결되고, 연결부(18)를 통해 자극부(103)과 연결되는 제어 유닛(53)이 제공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6)는 예를 들어, 근육 자극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제어 버튼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6)을 통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작동을 위한 의도된 세팅(setting)들과 같은 입력을 제어 유닛(53)에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50 includes a housing. Inside the housing is provided a control unit 53 which is connected to the optional user interface 56 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stimulating part 103 via a connection 18. [ The user interface 56 includes control buttons for forming a display and an input interface, for example, forming an output interface for outputting information to a user of the muscle stimulation apparatus 100. [ For example, the user may provide input, such as intended settings for operation performed by the device, to the control unit 53, via the user interface 56. [

이 예에서, 출력 인터페이스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허용하나, 데이터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오디오 또는 다른 적당한 방법으로 출력될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output interface allows visual output of data, but data may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be output in audio or other suitable manner.

제어 유닛(5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극부(103)에 인가되는 자극의 패턴을 생성하는 자극생성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자극생성부(530)는 특정 방향으로의 방향성을 가지는 자극 패턴을 생성하여, 자극부(103)에 그 생성된 자극 패턴을 인가할 수 있다. 자극생성부(530)에 의해서 생성된 진동/전기 자극 신호가 자극부(103)가 위치된 표면, 즉 피부로 전달된다.The control unit 53 may include a stimulus generator 530 that generates a pattern of stimulus applied to the stimulation unit 103,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stimulus generator 530 may generate a stimulus pattern having a directionality in a specific direction, and apply the generated stimulus pattern to the stimulus portion 103. The vibration / electric stimul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stimulus generation unit 530 is transmitted to the surface on which the stimulation unit 103 is located, that is, the skin.

진동의 세기, 진동 자극의 지속 시간과 같은 자극의 매개 변수(들)(parameters)의 값들은, 자극생성부(530)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극생성부(53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자극생성부(530)는 자극을 위한 매개 변수들을 세팅하도록 적응되는 프로그램 가능한 마이크로프로세서(536, 또는 제어부)에 연결된다. 자극의 매개 변수들의 값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56)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Values of the parameter (s) of the stimulus such as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and the duration of the vibration stimulus can be determined by the stimulus generation section 530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of the stimulus generation section 530 . The stimulus generator 530 is coupled to a programmable microprocessor 536 (or controller) that is adapted to set parameters for stimulation. The values of the parameters of the stimulus may be determined by the user via the user interface 56.

제어부(536)는 자극생성부(530)에 연결되고, 패턴화된 자극을 생성하도록 자극생성부(53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36 is connected to the stimulus generation unit 530 and can control the stimulus generation unit 530 to generate the patterned stimulus.

제어부(536)는 예를 들어, 작동 시 자극부(103)을 통하여 진동적인(혹은 전기적인) 근육 자극 신호를 신체 조직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들의 시퀀스가 이하 기술되는 바와 같이 수행되도록 제어부(536)의 작동 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36 controls the control unit 536 such that a sequence of steps of the method for providing a vibratory (or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signal to the body tissue through the stimulating unit 103, for example, 536. < / RTI >

게다가 제어부(536)는 예를 들어 이하에서 기술될 응답 신호들과 관련된 데이터 또는 자극 매개 변수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533)에 연결되고/되거나 메모리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36 is coupled to and / or includes a memory 533 for storing data or stimulus parameters associated with response signals, for example, to be described below.

도 3의 예에서, 자극부(103)은 두 개의 센서 전극(30)의 형태로 독립된 센서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센서 전극(30)은 자극부(103)의 맞은 편 측면들 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전극(30)들은 예를 들어, 장방형의 스트립들(strips)을 형성하는 전극 패드들이다. 도 3의 예에서, 센서 전극(30)은 이극성 근전계(EMG) 센서를 포함한다.In the example of FIG. 3, the stimulating portion 103 includes an independent sensor in the form of two sensor electrodes 30. In this example, the sensor electrodes 30 may be positioned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opposite sides of the stimulating portion 103. For example, the sensor electrodes 30 are electrode pads forming, for example, rectangular strips. In the example of FIG. 3, the sensor electrode 30 comprises a bipolar electromotive force (EMG) sensor.

센서는 근육 조직의 특성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 특성은 상기 근육 조직의 활동을 위한 척도를 형성한다. 센서는 제어 유닛(53)에서 신호 처리 유닛(537)의 입력에 연결된, 센서 출력을 가진다. 센서 출력을 통해, 센서는 센서 신호를 신호 처리 유닛(537)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측정하고 프로세서 출력을 통해 값을 제어부(536)로 출력할 수 있다.The sensor can sen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cle tissue, which characterizes the activity of the muscle tissue. The sensor has a sensor output, which is connected to the input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537 in the control unit 53. Through the sensor output, the sensor can provide the sensor signal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537. That is, a signal sensed by the sensor, and output the value to the control unit 536 through the processor output.

예를 들어, 제어부(536)는 신호 처리 유닛(537)에 의해 결정된 값에 기초하여 다양한 매개 변수를 결정하거나, 자극 패턴을 결정하여 그 결정된 자극 패턴으로 자극을 하도록 자극생성부(530)를 제어할 수 있다. 센서(30)의 다른 예시로는 단일 센서 전극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536 determines various parameters based on the value determined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537, determines the stimulation pattern, and controls the stimulus generation unit 530 to stimulate the determined stimulation pattern can do. It is apparent that another example of the sensor 3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ingle sensor electro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는, 근육의 근수축(muscle contraction)을 감지하도록 제안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proposes to sense muscle contraction of the muscl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FIG.

근수축은, 아래와 같이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근수축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The muscle contraction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s follows. Figs. 4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kind of muscle contraction. Fig.

1. 등척성 수축(isometric contraction)1. Isometric contraction

도 4에서와 같이 근육의 길이에 변화는 없지만 장력이 발생하는 수축을 의미. 손에 무거운 물건을 들고 버틸때의 팔의 근육이나, 기마 자세를 유지할 때 다리 근육 등이 등척성 수축 운동을 함.As shown in Fig. 4, there is no change in the length of the muscles, but the contraction means that the tension is generated. Muscles of the arms when holding heavy objects in their hands, and leg muscles when exercising their horses are subjected to isometric contraction.

2. 구심성 수축(concentric contraction)2. Concentric contraction

도 5에서와 같이 근육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수축하는 형태. 덤벨을 들고 주관절을 굴곡할 때 이두근에 구심성 수축이 일어남.As shown in FIG. 5, the muscle contraction is shortened as the length is shortened. When bending the elbows with the dumbbell, an afferent contraction occurs in the biceps.

3. 원심성 수축(eccentric contraction) 3. eccentric contraction

도 6에서와 같이 근육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수축하는 형태. 덤벨을 들고 주관절이 굴곡된 상태에서 중력 방향으로 신전할 때, 이두근이 운동하는 형태가 원심성 수축임.As shown in Fig. 6, the shape of the muscle contracts as the muscle length becomes longer. When the dumbbell is lifted and the elbow is flexed and extend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the form in which the biceps move is the efferent contrac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등척성 수축, 구심성 수축과 원심성 수축이 일어날 때를 구분하고, 이에 대응되는 패턴의 자극을 형성하도록 제안하는 것이다. 이때, 각 수축 운동의 방향성을 파악하고, 그 방향에 맞도록 방향성 자극을 생성하는 것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posed to distinguish between isotropic shrinkage, afferent shrinkage and centrifugal shrinkage, and to form a stimulus pattern corresponding thereto. At this time, the orientation of each contraction motion is grasped and a directional stimulus is generated to match the direction.

첫 번째로, 도 4에서와 같이 등척성 수축 운동의 경우에는 수축 운동의 방향성이 없다. 즉, 수축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기는 하지만, 힘을 가한 상태로 고정시키는 운동이기 때문에 운동의 방향성은 없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자극의 방향성은 근육 방향으로 자극의 방향성이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First, as shown in Fig. 4, there is no direction of contraction motion in the case of isometric contraction motion. In other words, although the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shrinking,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no directionality of movement because it is a movement that fixes the force applied state. In such a case, the direction of the stimulus may be set to the direction of the stimulus in the muscle direction.

두 번째로 도 5에서와 같이 구심성 수축 운동의 경우에는, 근육(이두근)의 길이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운동의 방향이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 자극 역시 위쪽을 향하는 방향성 자극이 인가될 수 있다. 즉, 제어부(536)는 자극생성부(530)를 제어하여, 위쪽으로의 방향성을 갖는 자극 패턴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Secondly, as shown in FIG. 5, in the case of an afferent contraction movement, there is a direction of mo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ength of the muscles (biceps) is shortened. In this case, the stimulation may also be applied with an upward directional stimulus. That is, the control unit 536 may control the stimulus generation unit 530 to generate a stimulus pattern having upward directionality.

마지막으로 도 6에서와 같이 원심성 수축 운동의 경우에는, 근육(이두근)의 길이가 길어지는 방향으로 운동의 방향이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 자극 역시 아래쪽을 향하는 방향성 자극이 인가될 수 있다. 즉, 제어부(536)는 자극생성부(530)를 제어하여, 아래쪽으로의 방향성을 갖는 자극 패턴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Finally, as shown in FIG. 6, in the case of the centrifugal contraction movement, there is a direction of mo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ength of the muscles (biceps) becomes longer. In this case, a downward directed directional stimulus may also be applied to the stimulus. That is, the control unit 536 controls the stimulus generation unit 530 to generate a stimulus pattern having downward directionalit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센서(30)는, 뇌파(혹은 뇌전도, EEG, Electroencephalogram)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30 may further include an EEG (Electroencephalogram) sensor.

EEG(electroencephalogram)는 대뇌피질내의 신경세포의 전기적 활동을 두피에 부착한 전극을 통하여 기록한 것으로, 뇌파는 1∼50 Hz의 주파수와 약 10∼200μV의 진폭을 가지며 1929년 독일의 생리학자 한스 베르거(Hans Berger)에 의해 처음으로 시도되었다. 이 전기적 활동성은 후에 EEG라 명명하였고, EEG가 실험자의 정신적 상태에 따라 변한다는 것을 보였다.Electroencephalogram (EEG) was recorded through an electrode attached to the scalp. Electroencephalogram (EEG) was recorded through an electrode attached to the scalp. The EEG had a frequency of 1 to 50 Hz and an amplitude of about 10 to 200 μV. The physiologist Hansberger Hans Berger). This electrical activity was later referred to as EEG and showed that the EEG changes with the mental state of the experimenter.

신체 일부를 움직일 때 나타나는 뇌파의 변화가 움직임을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비슷하게 나타난다는 것에 기초하며 감각운동리듬(Sensorimotor Rhythms, SMR) 혹은 움직임 상상(Motor Imagery)이라고도 불린다. 주로 뇌 피질 상에서 관장하는 영역이 비교적 멀리 있는 왼손, 오른손, 발 혹은 혀의 움직임 상상을 사용한다.It is also known as Sensorimotor Rhythms (SMR) or Motor Imagery, based on the fact that changes in brain waves appear when moving parts of the body are similar to those of imagining movements. Use the left hand, right hand, foot, or tongue movement imagery, which is relatively far from the area dominated by the brain cortex.

이하에서는 재활 운동 시, 훈련자의 능동적인 재활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 이하에서는 BCI라고 호칭함)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brain-computer inte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BCI) capable of inducing active participation of a trainee in rehabilitation exercise will be described.

인간이 어떤 일에 대해 생각을 하거나 행동을 할 때, 뇌 속에 있는 시냅스(synapse)에서는 신경전달물질을 이용해 정보를 전달하게 되고. 이때 뉴런 간에 생기는 전위차에 의해 전류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전류를 두피에 부착한 전극을 통하여 측정한 것이 뇌파(brainwaves) 또는 상술한 EEG 신호이다. BCI 기술은 이런 뇌파를 이용해서 인간의 생각이나 의지를 언어나 신체의 다른 동작을 거치지 않고 시스템에 직접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이다.When a person thinks or acts on something, synapses in the brain use neurotransmitters to transmit information. At this time, a current is generated due to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neurons. The current is measured through an electrode attached to the scalp, which is brainwaves or the above-mentioned EEG signal. BCI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can use human brain waves to transmit human thought or will directly to the system without going through other movements of language or body.

BCI 기술은 신체적 결함이나 장애로 인해, 자신의 의사를 표현, 전달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의사소통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큰 의의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이점을 이용해서 신체 장애인을 위한 의료용 보조 기구부터 뇌파를 이용한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게임, 가정 자동화를 위한 전자제품 그리고, 학습 보조기구에 이르기까지 많은 응용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BCI technology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can provide new means of communication for people who can not express or convey their opinions due to physical defects or obstacles. Using this technical advantage, It can be used in many applications ranging from devices to games with new interfaces using brain waves, electronics for home automation, and learning aids.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BCI 기술을 활용하여, 훈련자가 등척성 운동 및/또는 원심성 수축인지, 구심성 수축인지 여부를 구분하도록 제안한다. 이렇게 구분되는 수축 운동의 종류에 따라서 자극의 방향성이 결정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방법과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is BCI technique, it is proposed to classify whether the trainer is isometric exercise and / or efferent contraction or afferent contraction. It is the same as the above-mentioned method that the directionality of the stimulation can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contraction movement thus classified.

상술한 두 가지 센서 외에 다른 센서들을 통하여 수축 운동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서 자이로 센서나 가속도 센서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환자 운동의 방향성을 파악하고, 그 방향성에 기초하여 수축 운동의 종류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o the two sensors described above, different types of contraction motions can be distinguished. For example, based on the sensing result of the gyro sensor or the acceleration sensor, the directionality of the patient's motion can be grasped and the type of the contraction movement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directionality.

더 나아가, 상기 센서들을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센서들의 조합으로도 사용 가능할 수 있다.Furthermore, not only can the sensors be used separately, but they can also be used as a combination of sensors.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방향성 자극을 위한 패턴을 제공한다고 설명하였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방향성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a pattern for directional stimulation is provided.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7, a method for applying a directional stimulus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방향성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pplying a directional stimul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극부(103)는,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극 모듈(701-1, 701-2, ...)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자극생성부(530)는 복수 개의 자극 모듈(701-1, 701-2, ...)을 선택적으로 활성화/비활성화 하는 방식을 통하여 방향성을 줄 수 있다. 즉, 자극 인가 패턴은, 상기 복수 개의 진동 자극 모듈의 동작을 특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 stimulating portion 10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imulating modules 701-1, 701-2, ... arranged in a line. The stimulus generator 530 may provide directionality by selectively activating / deactivating the plurality of stimulus modules 701-1, 701-2, .... That is, the stimulus application pattern may mean that the operations of the plurality of vibration stimulation modules are sequentially operated in a specific direction.

예를 들어 도 7 (a)에 도시된 바에서와 같이, 제 1 자극 모듈(701-1)의 자극만을 활성화 한 상태에서, 제 2 및 제 3 자극 모듈(701-2, 701-3)는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A, the second and third stimulation modules 701-2 and 701-3, while activating only the stimulation of the first stimulation module 701-1, Can be deactivated.

순차적으로 활성화 상태를 제 2 및 제 3 자극 모듈(701-2, 701-3)으로 이동실 경우(도 7 (b) -> (c) 로 이동), 진동 자극은 아래 방향으로 향하는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When the activated state is sequentially shifted to the second and third stimulation modules 701-2 and 701-3 (movement from FIG. 7B to FIG. 7C), the vibrating stimulation has a downward directed direction .

즉 제 1 자극 모듈(701-1)이 활성화 된 상태에서 자극이 이루어 지다가, 제 1 자극 모듈(701-1)을 비활성화시키고 제 2 자극 모듈(702-2)을 활성화로 전환시킬 경우, 마치 인가되는 자극이 아래로 향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줄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first stimulation module 701-1 is activated and the stimulation is performed, when the first stimulation module 701-1 is deactivated and the second stimulation module 702-2 is activated,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as if the stimulus is directed downward.

한편, 상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자극 모듈의 활성화/비활성화만을 구분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진폭(자극의 세기)를 조절하여 방향성을 인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Meanwhile, although only the activation / deactivation of the stimulation module i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other embodiments, the directionality may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amplitude (intensity of the stimulation).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자극의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서 각 자극 모듈에 쓰여진 숫자는, 인가되는 자극의 세기를 의미한다.8 is a diagram for setting the directionality of a stimul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written in each stimulus module in FIG. 8 means the intensity of the stimulus applied.

도시된 도면에 따르면, 도 7에서와 같이 자극부(103)는 복수 개의 자극 모듈(701-1, 701-2, ...)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stimulating portion 103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imulating modules 701-1, 701-2,...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자극 모듈(701-1, 701-2, ...)은 특정 세기의 진동으로 진동을 하다가(혹은, 전기 자극일 경우에 특정 전압/전류의 세기로 자극을 하다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자극 모듈(701-1, 701-2, ...)이 이동하여 자극한다는 것은, 각 자극 모듈의 물리적인 위치가 변한다는 것이 아니라, 소정 세기로 자극하던 자극 모듈에 인접한 자극 모듈로 그 세기 만큼의 자극이 인가되는 것을 의미한다.The plurality of stimulating modules 701-1, 701-2,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apable of vibrating with a specific intensity of vibration (or, in the case of electric stimulation, It can move in a certain direction. That is, the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stimulation modules 701-1, 701-2, ... stimulates the stimulation modules adjacent to the stimulation module that stimulated a predetermined intensity, rather than the physical position of each stimulation module, Which means that the stimulus is applied to that intensity.

도 8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 1 자극 모듈(701-1)은 제 1 세기(도시된 예시에서는 숫자 3의 세기 만큼의 자극)이 인가되고 있으며, 제 2 및 제 3 자극 모듈(701-2, 701-3)은 각각 제 2 및 제 3 세기 만큼의 자극이 인가되고 있다.8, the first stimulus module 701-1 is applied with a first intensity (a stimulus corresponding to the intensity of the numeral 3 in the illustrated example), and the second and third stimulus modules 701-2 , And 701-3 are applied with stimuli of the second and third levels, respectively.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설정된 자극의 세기가 소정 방향(도시된 예시에서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 (a) 내지 (c)를 참조하면, 제 1 세기의 자극이 제 1 자극 모듈(701-1), 제 2 자극 모듈(701-2) 및 제 3 자극 모듈(701-3)으로 순차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자극생성부(530)에 의해서 생성된 자극 패턴에 따라).As the time passes, the intensity of the set stimulus can mov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 downward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xample). 8 (a) to 8 (c), a first-strength stimulus is sequentially applied to the first stimulation module 701-1, the second stimulation module 701-2, and the third stimulation module 701-3 (In accordance with the stimulation pattern generated by the stimulus generation unit 530).

이와 같은 자극을 받은 재활 환자는, 마치 자극이 이동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Rehabilitation patients who receive such stimuli may feel as if the stimuli are moving.

마지막으로, 근육을 향하는 형태의 자극인 도 5의 등척성 운동의 경우에는, 특정 방향으로 이동되는 형태의 자극이 아닌, 동일한 자리에서의 자극이 변하는 것으로 인가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nally, in the case of the isometric motion of Fig. 5, which is a stimulus in the form of a muscle-oriented stimulus, the stimulus in the same position can be applied instead of the stimulus in the form of being moved in a specific direction.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자극의 방향이 근육을 향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서 각 자극 모듈에 쓰여진 숫자는, 인가되는 자극의 세기를 의미한다.9 is a view showing the direction of a stimulus directed to a mus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written in each stimulus module in FIG. 9 means the intensity of the applied stimulus.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자극생성부(530)는 자극 모듈에 가해진 자극이 순차적으로 제 1 내지 제 3 세기로 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자극이 인가되는 경우,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의 방향성 대신, 무방향성으로 인식되거나, 근육을 향하는 방향성으로 인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자극의 세기 대신 자극 모듈의 활성화/비활성화로 구분되어 동작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The stimulus generator 530 can control the stimulation applied to the stimulus module to sequentially change to the first to third intensities. When the stimulus is applied, it can be perceived as non-directional instead of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or as directional toward muscle. Likewise, it is apparent that instead of the intensity of the stimulation, the activation / deactivation of the stimulation module may be operated separately.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육 자극 장치(100)의 제어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flowchart of the muscle stimul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1001 단계에서 제어부(536)는 상술한 센서(30)를 통하여(제어하여) 재활 훈련자의 근육 상태를 감지하는 신호를 받을 수 있다. S1002 단계에서 제어부(536)는 S1001 에서 감지한 신호에 기초하여 근육 수축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근육 수축 종류란, 상술한 등척성 수축인지, 구심성/원심성 수축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할 수있다.In step S1001, the control unit 536 may receive a signal for sensing the muscular condition of the rehabilitation trainee through the sensor 30 described above. In step S1002, the control unit 536 may determine the muscle contraction type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in step S1001. At this time, the type of muscle contraction may mean judging whether the isometric contraction or the afferent / efferent contraction described above.

판단된 근육 수축 종류에 기초하여, 제어부(536)는 자극의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S1003 단계). 이때 결정되는 패턴은, 상술한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예시에서와 같을 것이다.Based on the determined type of muscle contraction, the control unit 536 can determine the stimulation pattern (step S1003). The pattern to be determined at this time will be the same as the example described in Figs. 7 to 9 described above.

그리고 S1004 단계에서 제어부(536)는, 자극부(103)에 자극일 인가하도록 자극생성부(530)가 자극 패턴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렇개 생성된 자극 패턴은 자극부(103)에 전달되어, 자극이 발생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In step S1004, the control unit 536 may control the stimulus generator 530 to generate a stimulus pattern so that the stimulus generator 103 applies a stimulus. The generated stimulation pattern is transmitted to the stimulation unit 103, so that stimulation can be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근육 자극 장치의 실시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muscle stim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idea,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idea is not to be limited / limited by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r the drawings.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cepts an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set forth herein may be used as a basis for modifying or designing other structures for carrying out the sam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nd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10)

근육 재활 운동 시 근육을 자극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재활 훈련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기 위한 착용부;
상기 신체 일부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재활 훈련자의 근육에 방향성 자극을 위한 자극 패턴을 생성하는 자극생성부;
상기 자극생성부에 의해서 생성된 자극 패턴을 기초로 근육을 자극하는 자극부; 및
상기 자극생성부의 자극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근육 자극 장치.
A device for stimulating muscles during a muscle rehabilitation exercise,
A wear part to be worn on a body part of a rehabilitation trainee;
A stimulus generator for generating a stimulus pattern for directional stimulation in the muscles of the rehabilitation trainer in a state of being worn on the body part;
A stimulation unit for stimulating a muscle based on the stimulation pattern generated by the stimulation generator;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timulation pattern of the stimulation generator.
Muscle stimul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부에 의해서 인가되는 자극은 진동 자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자극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gnetic pole applied by the magnetic pole portion is a vibration magnetic pole.
Muscle stimul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부는,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극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자극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ic pole por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magnetic pole modules arranged in a line,
Muscle stimulation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진동 자극 모듈에 대한 자극 인가 패턴을 제어하여, 상기 진동 자극에 방향성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자극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Characterized in that a direction of the vibrating magnetic pole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a magnetic pole applying pattern for the plurality of vibration magnetic pole modules,
Muscle stimulation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자극 인가 패턴은, 상기 복수 개의 진동 자극 모듈의 동작을 특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자극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imulation application pattern sequentially operates the operations of the plurality of vibration stimulation modules in a specific direction.
Muscle stimulation device.
근육 재활 운동 시 재활 훈련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된 상태로 근육을 자극하기 위한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체 일부에 착용된 상태에서, 자극생성부를 통하여 상기 재활 훈련자의 근육에 방향성 자극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자극생성부의 자극 인가 패턴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육 자극 장치의 제어 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n apparatus for stimulating a muscle in a state of being worn on a part of a body of a rehabilitation trainee during a muscle rehabilitation exercise,
Applying a directional stimulus to the muscles of the rehabilitation trainer through the stimulus generator in a state of being worn on the body part; And
And controlling a stimulation application pattern of the stimulation generator.
A method of controlling a muscle stimulation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생성부에 의해서 인가되는 자극은 진동 자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자극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timulus applied by the stimulus generator is a vibration stimulus.
A method of controlling a muscle stimulation devi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생성부는,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진동 자극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자극 장치의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imulus generator comprises a plurality of vibration stimulating modules arranged in a row,
A method of controlling a muscle stimulation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진동 자극 모듈에 대한 자극 인가 패턴을 제어하여, 상기 진동 자극에 방향성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자극 장치의 제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ling comprises:
Characterized in that a direction of the vibrating magnetic pole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a magnetic pole applying pattern for the plurality of vibration magnetic pole modules,
A method of controlling a muscle stimulation device.
제 9 항에 있어서,
자극 인가 패턴은, 상기 복수 개의 진동 자극 모듈의 동작을 특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자극 장치의 제어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imulation application pattern sequentially operates the operations of the plurality of vibration stimulation modules in a specific direc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 muscle stimulation device.
KR1020170120356A 2017-09-19 2017-09-19 Muscle stimulating wearable apparatus for directional stimul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0273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356A KR102027398B1 (en) 2017-09-19 2017-09-19 Muscle stimulating wearable apparatus for directional stimul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356A KR102027398B1 (en) 2017-09-19 2017-09-19 Muscle stimulating wearable apparatus for directional stimul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979A true KR20190031979A (en) 2019-03-27
KR102027398B1 KR102027398B1 (en) 2019-10-01

Family

ID=65906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356A KR102027398B1 (en) 2017-09-19 2017-09-19 Muscle stimulating wearable apparatus for directional stimul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398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963A (en) * 2019-10-08 2021-04-16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KR20210093410A (en) * 2020-01-17 2021-07-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Exercise assistant system using wearable stimulation member
GB2599225A (en) * 2020-08-28 2022-03-30 Knitregen Ltd Muscle stimulation
WO2022067428A1 (en) * 2020-10-02 2022-04-07 University Of Manitoba A wearable muscle tendon vibration device for rehabilitation
KR20220053746A (en) * 2020-10-22 2022-05-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Vibration Control System Based on User Fatigue
KR20220165062A (en) * 2021-06-07 2022-12-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motor neuron using focused ultrasound
WO2023239023A1 (en) * 2022-06-08 2023-12-14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Medical vibratory stimulation device
KR102663380B1 (en) * 2023-11-28 2024-05-03 주식회사 이엘텍 Device to strengthen the pelvic muscle and peripheral mus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6290A (en) * 2002-08-26 2005-12-02 ウルタド,アーサー・エフ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ariable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KR20120088087A (en) * 2011-01-31 2012-08-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Vibratory stimulation device for gips
KR20120101672A (en) * 2009-11-05 2012-09-1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6290A (en) * 2002-08-26 2005-12-02 ウルタド,アーサー・エフ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ariable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KR20120101672A (en) * 2009-11-05 2012-09-1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KR20120088087A (en) * 2011-01-31 2012-08-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Vibratory stimulation device for gip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963A (en) * 2019-10-08 2021-04-16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KR20210093410A (en) * 2020-01-17 2021-07-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Exercise assistant system using wearable stimulation member
GB2599225A (en) * 2020-08-28 2022-03-30 Knitregen Ltd Muscle stimulation
GB2599225B (en) * 2020-08-28 2023-01-04 Knitregen Ltd Muscle stimulation
WO2022067428A1 (en) * 2020-10-02 2022-04-07 University Of Manitoba A wearable muscle tendon vibration device for rehabilitation
KR20220053746A (en) * 2020-10-22 2022-05-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Vibration Control System Based on User Fatigue
KR20220165062A (en) * 2021-06-07 2022-12-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motor neuron using focused ultrasound
WO2023239023A1 (en) * 2022-06-08 2023-12-14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Medical vibratory stimulation device
KR102663380B1 (en) * 2023-11-28 2024-05-03 주식회사 이엘텍 Device to strengthen the pelvic muscle and peripheral mus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398B1 (en)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398B1 (en) Muscle stimulating wearable apparatus for directional stimul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7199482B2 (en) local neural stimulation
CA2787915C (en) Apparatus for external activation of paralyzed body parts by stimulation of peripheral nerves
Popović Advances in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EP3906090B1 (en) Motor function neural control interface for spinal cord injury patients
MXPA04010883A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neurophysiologic performance.
EP2688642A2 (en) Neurostimulator
JP2003533299A (en) Adaptive stimulator for alleviating neuropathic symptoms
US11738194B2 (en) Closed loop computer-brain interface device
JP2017516571A (en) Rehabilitation system and method
KR20200118501A (en) Non-invasive nerve stimulation
KR102050261B1 (en)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303815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tion of neurological movement disorder symptoms using wearable device
Martin et al. Myolink: EMG-based Inter-human Wireless Neuroprosthetic Controller
KR20050018670A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neurophysiologic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