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071A - Security officer placement place and patrol route providing system based on prediction of crime occurrence probability - Google Patents

Security officer placement place and patrol route providing system based on prediction of crime occurrence prob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071A
KR20190031071A KR1020170118937A KR20170118937A KR20190031071A KR 20190031071 A KR20190031071 A KR 20190031071A KR 1020170118937 A KR1020170118937 A KR 1020170118937A KR 20170118937 A KR20170118937 A KR 20170118937A KR 20190031071 A KR20190031071 A KR 20190031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ubject
measurement signal
vit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9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민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웬즈데이에잇피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웬즈데이에잇피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웬즈데이에잇피엠
Priority to KR1020170118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1071A/en
Publication of KR20190031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0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patrol route such as security guards and police through signals of a wireless terminal worn by a subject by targeting mentally-disordered people and ex-convicts who are likely to recommit a crime, using a wear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bject management system using a wearable wireless terminal comprises: a first terminal worn by the body of a subject and wirelessly transmitting a vital measurement signal of the subjec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blood pressure, a body temperature and a pulse, and an exercise amount measurement signal obtained by sensing the amount of exercise of the subject; a second terminal for receiving the vital measurement signal and the exercise amount measurement signal of the first terminal, and transmitt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a server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vital measurement signal and the exercise amount measurement signal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form the second terminal, receiving abnormal conditions and positions of the subject′s body in real time,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same in a database, and transmitting the vital, exercise amount,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bject stored in the database for each second terminal to a guardian terminal or institution terminal set for each second terminal.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rime rate by facilitating the health care and emergency situations of a single-person household, tracking mentally-disordered people, and monitoring of ex-convicts who are likely to recommit a crime.

Description

범죄 발생 확률 예측 기반 보안요원 배치 장소 및 순찰 경로 제공 시스템{OMITTED}{OMITTED} A security officer deployment location and patrol route providing system based on probability prediction of crime occurrence

본 발명은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하여 정신계질환자 및 재범 우려의 전과자 등을 대상자로 하여 대상자가 착용한 무선단말의 신호를 통하여 보안요원 및 경찰 등의 순찰 경로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대상자의 혈압, 체온, 맥박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바이탈 측정신호와 대상자의 운동량을 감지한 운동량 측정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1단말과, 제1단말의 바이탈 측정신호 및 운동량 측정신호를 수신하고, 현재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제2단말과, 제2단말로부터 제1단말의 바이탈 측정신호, 운동량 측정신호 및 위치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대상자의 신체상의 이상 여부와 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저장하고, 각 제2단말별로 설정된 보호자 단말또는 기관단말별로 상기 제2단말별로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대상자의 바이탈 및 운동량과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의 무선단말 신호를 통해 순찰 경로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1인 생활자의 건강관리 및 긴급상황에 대한 대처와, 정신계질환자 등의 추적이 용이하고, 재범의 우려가 있는 전과자의 감시가 용이함에 따라 범죄 위험율을 낮출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patrol route for security personnel and police through a signal of a wireless terminal worn by a subject, using a wearable wireless terminal as a target of a mentally ill patient, A first terminal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vital measurement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a blood pressure, a body temperature, and a pulse of a subject and a momentum measurement signal sensed by the subject, the first terminal being worn on the body of the subject, A second terminal for receiving a vital measurement signal and a momentum measurement signal and for transmitting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a vital measurement signal, a momentum measurement signal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from the second terminal, A server for accumulating and storing abnormality and position in real time in a database and transmitting a vital and momentum and position information of a subject stored in a database for each second terminal by a guardian terminal or an institutional terminal set for each second terminal And provides a patrol path system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signal of the subject using the wearable wireless terminal including the wireless terminal.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risk of crime by coping with healthcare and emergency situations of a single person, facilitating tracking of persons with psychiatric disorders, and facilitating surveillance of those who are concerned about re-punishment.

아동성폭행범과 같이 재범의 가능성이 높은 전과자들에 대한 관리는 전자발찌를 이용하여 실행되고 있으나, 최근에 전자발찌를 착용하고도 범행을 지르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한 실정이다.The management of ex-offenders, such as child rape cases, is carried out by using electronic braces, but recently, they are being committed even when they wear electronic braces.

하지만, 최근에 출시된 기술은 대상자의 맥박과 혈압과 같은 바이탈신호만을 계측하여 위험상황을 인지하여 병원이나 보호자등에게 응급상황을 전파하는 것에 국한되고 있어 위와 같은 정신계질환이나 장기 치료가 필요한 환자, 전과자등을 모두 포괄하여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지 못하였다.However, the recently introduced technology is limited to measuring the vital signals such as the pulse and blood pressure of the subject and recognizing the dangerous situation and propagating the emergency situation to the hospital or the caregiver. Therefore, And the ex- pertise and confinement.

특허공개공보 제10-2013-0113893호(2013.10.16 공개)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13893 (published Oct. 16, 2013) 특허공개공보 제10-20123-00071656(2013.01.18 공개)Patent Publication No. 10-2012-3-00071656 (published on January 1, 20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기를 이용하여 정신계질환, 노인성 질환, 독거노인, 장기환자 및 전과자와 같이 특정 대상자의 치료 및 감시가 가능한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terminal which can be worn on a human body and is used for a treatment of a specific subject such as a psychiatric disease, an geriatric disease, an elderly person living alone, And a target person management system using the wearable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being monitored.

본 발명은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대상자의 혈압, 체온, 맥박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바이탈 측정신호와 대상자의 운동량을 감지한 운동량 측정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1단말과, 제1단말의 바이탈 측정신호 및 운동량 측정신호를 수신하고, 현재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제2단말과, 제2단말로부터 제1단말의 바이탈 측정신호, 운동량 측정신호 및 위치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대상자의 신체상의 이상 여부와 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저장하고, 각 제2단말별로 설정된 보호자 단말또는 기관단말별로 상기 제2단말별로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대상자의 바이탈 및 운동량과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1인 생활자의 건강관리 및 긴급상황에 대한 대처와, 정신계질환자 등의 추적이 용이하고, 재범의 우려가 있는 전과자의 감시가 용이함에 따라 범죄율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A first terminal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vital measurement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a blood pressure, a body temperature, and a pulse of a subject and a momentum measurement signal sensed by the subject, the first terminal being worn on the body of the subject, A second terminal for receiving a vital measurement signal and a momentum measurement signal and for transmitting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a vital measurement signal, a momentum measurement signal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from the second terminal, A server for accumulating and storing abnormality and position in real time in a database and transmitting a vital and momentum and position information of a subject stored in a database for each second terminal by a guardian terminal or an institutional terminal set for each second terminal And a wearable wireless terminal including the wearable wireless terminal.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rime rate by facilitating the health care and emergency situations of one person, tracking the patients with psychiatric illnesses, and monitoring of those who are concerned about re-punishment.

본 발명은 1인 생활자, 장기질환자, 노인성 질환, 정신계 질환와 같이 주기적인 관심이 필요한 대상자들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고, 추적에 용이하여 대상자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health and life of the subject by protecting the life of a person who needs periodic attention such as a single person, a long-term patient, an geriatric disease, a mental disorder,

또한, 본 발명은 재범의 우려가 있는 전과자의 감시가 용이함에 따라 범죄율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lowering the crime rate due to the ease of surveillance of the ex-offenders who are likely to have a recidivis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단말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단말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서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관리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건강관리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S200 단계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S200 단계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S3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ubject management system using a wear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rs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cond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a subject using a wearable wireless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howing a health care step in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tep S200 in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step S200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 S300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단말(100)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단말(200)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서버(300)를 도시한 블럭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ubject management system using a wear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second terminal 200, and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erv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하는 제1단말(100)과, 제1단말(100)의 위치추적 및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제2단말(200)과, 제2단말(200)로부터 제1단말(10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빅데이터를 통하여 대상자의 현재 상태 및 증상을 추론하는 서버(300)와, 서버(300)로부터 대상자의 신체 정보를 수신하는 보호자 단말(400)과, 제1단말(100)로부터 출력된 비상호출신호를 감지하는 비상검출단말(500)과, 긴급출동 및 수색신호를 접수하는 기관단말(6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4,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erminal 100 to be worn on the body of a subject, a second terminal 200 to transmit position tracking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A server 300 for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terminal 100 from the terminal 200 and deducing the current state and symptom of the subject through the big data and a protector 300 for receiving the body information of the subject from the server 300 An emergency detecting terminal 500 for detecting an emergency calling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terminal 100 and an institution terminal 600 for receiving emergency calling and searching signals.

제1단말(100)은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대상자의 바이탈 신호를 측정하고, 제2단말(200)과의 근거리 통신의 수행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단말(100)은 대상자의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되며, 제2단말(200)과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대상자의 수색과 긴급 상황에 따른 비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100 measures the vital signal of the subject by being worn on the body of the subject and is capable of perform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200. [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100 is worn on the wrist or ankle of the subject, transmits / receives a signal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200, or searches for a subject and outputs an emergency signal according to an emergency situation .

제2단말(200)은 제1단말(100)의 신호를 서버(300)에 송신하고, 서버(300)의 수신 신호에 따라 제1단말(100)의 비상호출신호를 활성화시키거나, 제1단말(100)의 미착용여부를 감지하여 서버(300) 및 기관단말(600)에 경보를 발령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200 transmits a signal of the first terminal 100 to the server 300 and activates the emergency call signal of the first terminal 100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signal of the server 300, The server 300 and the institution terminal 600 can be alerted by sensing whether or not the terminal 100 can be used.

이와 같은 제1단말(100)과 제2단말(200)의 상세 구성은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The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제1단말(100)은 대상자의 바이탈 신호 및 주변 환경을 측정하는 측정부(120)와,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부(130)와, 터치형으로 입력과 출력이 가능한 제1디스플레이(140)와, 비상신호를 출력하는 비상출력부(150)와, 제2단말(200)과 통신하는 제1통신부(160)와, 측정부(120) 내지 제1통신부(160)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측정부(120)는 혈압, 체온 및 맥박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바이탈 측정모듈(121)과, 운동량을 측정하는 운동량 측정모듈(122)과, 주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측정모듈(123)과,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조광 측정모듈(124)을 구비하는 측정부(120)를 포함한다.The first terminal 100 includes a measurement unit 120 for measuring a vital signal and a surrounding environment of a subject, a first power unit 130 for supplying power, a first display 140 capable of inputting and outputting in a tactile manner, An emergency output unit 150 for outputting an emergency signal, a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terminal 200, a first control unit 160 for controlling the measurement unit 120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110). The measurement unit 120 includes a vital measurement module 121 for sensing at least one of blood pressure, body temperature, and pulse, a momentum measurement module 122 for measuring the amount of exercise, a pollution degree measurement module 123 for measuring the degree of pollution of surrounding air, And a dimmer measurement module 124 for detecting the ambient brightness.

바이탈 측정모듈(121)은 혈압과 체온 및 맥박을 감지하는 각각의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로는 바이탈 측정모듈(121)은 체온과 맥박 및 혈압을 통하여 대상자의 수면 여부를 산출하는 알고리즘이 포함될 수 있다.The vital measurement module 121 includes respective sensors for detecting blood pressure, body temperature, and pulse. Preferably, the vital measurement module 121 may include an algorithm for calculating whether the subject is sleeping through body temperature, pulse rate, and blood pressure.

운동량 측정모듈(122)은 대상자의 운동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운동량 측정모듈(122)은 자기센서와 진동센서를 통하여 움직임으로 발생되는 진동의 규칙성을 발견하여 걸음의 횟수(예를 들면, 만보기) 및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는 맥박과 체온 및 진동을 감지하여 런닝등의 유산소 운동 여부 및 운동거리와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The exercise amount measurement module 122 confirms whether the subject is exercising. For example, the momentum measurement module 122 may detect the regularity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motion through the magnetic sensor and the vibration sensor, and may calculate the number of times of walking (e.g., pedometer) and time. Or pulse rate, body temperature and vibr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erobic exercise such as running and distance and time of exercise.

오염도 측정모듈(123)은 주변의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유독 가스성분, 먼지와 연기를 검출하는 센서(예를들면, 가스센서, 연기센서, 먼지센서)를 구비하여 각각의 성분을 검출한다.The pollution degree measurement module 123 includes a sensor (for example, a gas sensor, a smoke sensor, and a dust sensor) that detects fine dust, toxic gas components, dust and smoke contained in the surrounding air, and detects each component .

조광 측정모듈(124)은 주변의 밝기를 감지한다. 이는 광센서(예를 들면, 포토다이오드)를 구비함으로서 실행 가능하다.The dimming measurement module 124 senses the ambient brightness. This is feasible by having an optical sensor (for example, a photodiode).

제1전원부(130)는 상시 동작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주배터리(131)와, 비상호출 시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배터리(132)를 포함한다. 주배터리(131)는 제1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각 구성(측정부(120), 제1디스플레이(140), 제1통신부(160) 및 결재부(17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바람직하게로는 주배터리(131)는 충전식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주배터리(131)는 충전용 USB 또는 전원단자의 연결포트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power supply unit 130 includes a main battery 131 for supplying necessary power during normal operation and an emergency battery 132 for supplying power only during an emergency call. The main battery 131 supplies necessary power to each of the components (the measuring unit 120, the first display 140,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and the payment unit 170)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 unit 110 do. Preferably, the main battery 131 may include a rechargeable battery. To this end, the main battery 131 may be provided with a charging USB or a connection port of a power terminal.

비상배터리(132)는 제1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비상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비상전원은 비상출력부(150)의 구동전원으로서 정의된다. 즉, 비상배터리(132)는 주배터리(131)의 방전여부와 상관없이 제1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비상출력부(150)가 구동되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비상배터리(132)는 주배터리(131)와 마찬가지로 충전식 배터리로서 충전용 USB 또는 전원포트가 별도 구비될 수 있다.The emergency battery 132 supplies the emergency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 unit 110. Here, the emergency power source is defined as the driving power source of the emergency output unit 150. That is, the emergency battery 132 supplies power for driving the emergency output unit 150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 unit 110 regardless of whether the main battery 131 is discharged or not. As with the main battery 131, the emergency battery 132 may be a rechargeable battery and may be provided with a charging USB or a power port.

또한, 제1전원부(130)는 주배터리(131)와 비상배터리(132)의 전원공급라인을 차단, 통전 및 절환을 위하여 제1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first power supply unit 130 is connected to a switch (not shown) driven by the first control unit 110 to shut off, energize and switch the power supply lines of the main battery 131 and the emergency battery 132, May be further included.

제1디스플레이(140)는 제2단말(200) 또는 서버(300)로부터 수신메세지 또는 경고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경고신호는 제1단말(100)의 해제 또는 제1단말(100)과 제2단말(200)간에 설정된 시간동안 설정된 거리 이상 떨어져 있을 때 제2단말(200)에 의해 송신된다.The first display 140 outputs a reception message or a warning signal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or the server 300. Here, the warning signal is transmitted by the second terminal 200 when the first terminal 100 is released or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is long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비상출력부(150)는 제2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비상출력신호에 따른 제1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비상호출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비상호출신호는 크게 비상검출단말(500)에서 수신되는 무선신호와, 가시광 대역의 발광신호와 적외광 대역의 발광신호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emergency output unit 150 outputs an emergency call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the emergency output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 Such an emergency call signal mainly includes at least one of a radio signal received by the emergency-detecting terminal 500, a light-emitting signal of a visible light band, and a light-emitting signal of an infrared light band.

무선으로 송출되는 비상호출신호는 제1단말(100)에 부여된 고유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식별코드와, 수색 대상자를 표시하는 명령코드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무선방식의 비상호출신호는 비상검출단말(500)에서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으로 송출되는 비상호출신호는 와이파이(WiFi),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원거리 통신모듈과, RF 및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조합된 통신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emergency call signal transmitted wirelessly includes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iven to the first terminal 100 and an instruction code indicating a person to be searched. The emergency calling signal of the wireless system can be received at the emergency detecting terminal 500. Here, the emergency call signal to be transmitted wirelessly includes a remote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WiFi,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and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RF and Bluetooth, Lt; / RTI >

가시광 대역의 비상호출신호는 주변의 행인이나 수색자들에게 시각적으로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가시광대역의 발광소자가 구비되어 비상이나 응급상황을 발광표시한다.Emergency call signals in the visible light range are equipped with light-emitting elements of visible range so as to visually indicate positions to searchers or surrounding persons, and emit emergency or emergency situations.

적외광 대역의 비상호출신호는 적외선 발광소자로부터 시각적으로 구분이 되지 않은 적외선 발광신호를 송신한다. 이는 후술되는 비상검출단말(500)의 적외선 카메라에서 확인할 수 있다.The emergency calling signal in the infrared light band transmits an infrared light emitting signal that is not visually distinguished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ing element. This can be confirmed by the infrared camera of the emergency detecting terminal 500 described later.

이와 같은 비상출력부(150)는 상술한 비상배터리(132)를 통하여 공급된 전원에 의하여 구동된다.The emergency output unit 150 is driven by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emergency battery 132 described above.

아울러, 제1제어부(110)는 제2단말(200)의 비상호출 구동명령 또는 설정된 시간동안 제2단말(200)과의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자동으로 비상호출 구동명령을 출력하도록 비상출력부(150)를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 emergency call driving command of the second terminal 200 or the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200 is not establish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first controller 110 automatically outputs an emergency call driving command (150).

제1통신부(160)는 서버(300) 또는 제2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통신부(160)는 와이파이 또는 WCDMA와 같은 모바일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통신모듈과, 블루투스, NFC, 적외선 및 RF 통신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된 근거리 통신모듈이 조합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300 or the second terminal 200. Her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may be a combination of a long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mobile Internet communication such as Wi-Fi or WCDMA, and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having at least one of Bluetooth, NFC, infrared and RF communication.

결재부(170)는 카드사, 통신사 및 금융사중 적어도 하나의 협역에 의해 제안된 결재모듈로서 교통 단말(버스, 지하철, 택시에 설치된 결재용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비용을 결재하거나, 일반 음식점이나 상가등에서 물건 매입후 대금을 지불하는 카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ttlement unit 170 is a settlement module proposed by the cooperation of at least one of a card company, a communication company, and a financial company to pay a fee by a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traffic terminal (a bus terminal, a subway or a taxi terminal installed in a taxi) Or a card to pay for the purchase of goods at a shopping mall or the like.

제2단말(200)은 위치정보를 송수신하는 지피에스(GPS)(220)와, 서버(300) 및 제1단말(100)의 메세지를 수신하는 제2디스플레이(230)와, 서버(300) 및 제1단말(100)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부(240)와,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부(250)와, 음성이 저장되는 음성저장부(260)와, 투약기록 및 운동량등이 저장되는 기록부(270)와, 지피에스(GPS)(220) 내지 기록부(270)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210)를 포함한다.The second terminal 200 includes a GPS 22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a second display 230 for receiving messages from the server 300 and the first terminal 100,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40 fo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terminal 100, a second power supply unit 250 for supplying power, a voice storage unit 260 for storing voice, And a second control unit 210 for controlling the GPS (220) to the recording unit (270).

지피에스(GPS)(220)는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서버(300)로 송신한다. 여기서 지피에스(GPS)(220)는 제2제어부(210)에 의하여 강제로 활성화될 수 있다.The GPS (220)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300). Here, the GPS 220 may be forcibly activated by the second control unit 210.

제2디스플레이(230)는 입력과 출력이 가능한 터치형 디스플레이로서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메세지와 제1단말(100)과의 분리를 경고하는 메세지를 출력한다.The second display 230 outputs a message warning of the separation of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server 300 and the first terminal 100 as a touchable display capable of being input and output.

제2통신부(240)는 서버(300)와 보호자 단말(400) 및 기관단말(600)과의 통신 가능한 원거리 통신모듈과, 제1단말(100)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원거리 통신모듈과 근거리 통신모듈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을 적용함에 따라 상세한 설명 및 예시를 생략한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40 includes a long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300, the guardian terminal 400 and the institution terminal 600 and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100 . Here, since the remot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are generally known technologies, detailed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are omitted.

음성저장부(260)는 제2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하여 저장된 음성을 출력한다. 예를 들면, 대상자가 질환자일 경우에 설정된 시간이 되면, '약드실 시간입니다.'라는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음성저장부(260)는 '약드실 시간입니다'의 음성을 출력한 이후에 '약을 드셧습니까?'와 같은 음성을 출력한다.The voice storage unit 260 outputs the voice stored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trol unit 210. For example, when the subject is a sick person, when the set time is reached, it outputs a voice saying " It is time for taking medicine. &Quot; In addition, the voice storage unit 260 outputs a voice of 'about the time to drink', and then outputs a voice such as 'have you taken medicine?'

이때, 제2제어부(210)는 제2디스플레이(2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선택신호(예를 들면, 예와 아니오)를 확인하여 기록부(270)에 투약 여부를 기록하도록 제어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controller 210 checks the selection signal (for example, yes and no) input through the second display 230 and controls the recording unit 270 to record the medication.

기록부(270)는 상기와 같은 음성저장부(260)에 의한 음성메세지에 따른 확인 결과를 기록하거나, 대상자가 임의대로 기록하는 기록을 저장한다. 이를 위하여 기록부(270)는 모바일용 문서 입력툴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cording unit 270 records a confirmation result according to a voice message by the voice storage unit 260 as described above, or a record in which the subject arbitrarily records. To this end, the recording unit 270 may include a mobile document input tool.

제2제어부(210)는 제2통신부(240)를 제어하여 설정된 시간주기별로 제1단말(100)을 호출하여 대상자가 제1단말(100)의 미착용시에 이를 경보하는 메세지를 제2디스플레이(230)에 출력하거나, 제1단말(100)의 제1디스플레이(140)를 통하여 경고 메세지, 음성, 발광신호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The second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40 to call the first terminal 100 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o display a message for alerting the first terminal 100 to the second terminal 100, 230 or the first display 140 of the first terminal 100 so as to output any one of the warning message, the voice and the light emitting signal.

또한, 제2제어부(210)는 제2통신부(240)를 통하여 제1단말(100)의 바이탈 측정 신호와 운동량 측정신호 및 주변환경측정신호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서버(300)에 송신한다. 바이탈 측정신호는 대상자의 혈압, 체온, 맥박 중 하나 이상의 포함되고, 운동량 측정신호는 걸음걸이 숫자, 거리 및 시간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환경 측정 신호는 주변 밝기와 먼지와 가스의 유해 여부 또는 농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210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vital measurement signal, the momentum measurement signal, and the ambient environment measurement signal of the first terminal 1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40 and transmits the received signal to the server 300. The vital measurement signal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subject's blood pressure, body temperature, and pulse, and the momentum measurement signal may include gait number, distance, and time. In addition, the environmental measurement signal may include ambient brightness and the presence or concentration of dust and gases.

또한, 제2제어부(210)는 서버(300)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메세지 또는 음성저장부(260)에 저장된 음성메세지를 출력하고, 입력된 확인신호를 기록부(270)에 기록하거나 서버(300)에 송신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210 outputs a voice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server 300 or a voice message stored in the voice storage unit 260 and records the received confirmation signal in the recording unit 270, As shown in Fig.

여기서, 제2단말(200)은 서버(300)로부터 직접 투약 여부나 근황, 예를 들면, 사고 또는 사건 상황에 따른 긴급상황여부에 대한 음성메세지 및 문자메세지가 수신되면 제2디스플레이(230)와 음성저장부(260)를 제어하여 이를 출력한다. 아울러, 제2제어부(210)는 제2디스플레이(230)를 통하여 입력된 확인신호의 유무에 따라 서버(300)에 신호를 송신한다.Here, if the second terminal 200 receives a voice message and a text message directly from the server 300 regard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urgent situation, for example, an accident or an event, And controls the voice storage unit 260 to output it. In addition, the second control unit 210 transmits a signal to the serv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nfirmation signal input through the second display 230.

또한, 제2제어부(210)는 서버(300), 기관단말(600) 또는 보호자 단말(400)의 요청에 따라 제1단말(100)의 비상출력부(150)를 활성화 시킴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보호자 또는 기관원이 제2단말(200)로 전화를 걸었으나, 응답이 없는 경우등 대상자가 행방불명 상태로 판단되면, 보호자 또는 기관원은 서버(300)에 대상자의 수색을 요청한다.The second control unit 210 may activate the emergency output unit 150 of the first terminal 100 at the request of the server 300, the institutional terminal 600 or the guardian terminal 400. For example, if the guardian or the institutional agent calls the second terminal 200 but there is no response, the guardian or institutional source requests the server 300 to search for the subject do.

따라서, 제2제어부(210)는 서버(300)의 요청에 따라 제2통신부(240)를 제어하여 제1단말(100)의 비상출력부(150)를 활성화시킨다.The second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40 to activate the emergency output unit 150 of the first terminal 100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server 300. [

또한, 제1단말(100)은 설정된 경우, 자체적으로 비상출력부(150)를 구동시킴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단말(100)의 제1제어부(110)는 제2단말(200)과의 통신 두절 상태가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에 비상호출신호를 출력한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terminal 100 is set, it is also possible to drive the emergency output unit 150 itself. For example, the first control unit 110 of the first terminal 100 outputs an emergency call signal when th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state with the second terminal 200 continues for a set time or more.

서버(300)는 제2단말(200)과 비상검출단말(500)과 기관단말(600)과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통신부(320)와, 바이탈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설정된 항목별 테이블을 생성하는 바이탈 처리부(330)와, 바이탈 처리부(330)의 바이탈 측정 데이터를 의료정보와 맵핑시켜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정보맵핑부(340)와, 대상자정보와 의료정보와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50)와, 서버통신부(320) 내지 데이터베이스(350)를 제어하는 서버제어부(310)를 포함한다.The server 300 includes a server communication unit 320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terminal 200, the emergency detecting terminal 500 and the institutional terminal 600, A processing unit 330, an information mapping unit 340 for mapping vital measurement data of the vital processing unit 330 to medical information and outputting the result of the mapping, a database 350 for storing target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nd a server control unit 310 for controlling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20 to the database 350.

서버통신부(320)는 서버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기관단말(600), 보호자 단말(400) 및 비상검출단말(500)과 송수신한다. 아울러, 서버통신부(320)는 제2단말(200)로부터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한다.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20 transmits and receives to the institution terminal 600, the guardian terminal 400 and the emergency detecting terminal 500 under the control of the server control unit 310. [ In addition,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20 periodically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바이탈 처리부(330)는 제2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바이탈 측정신호를 설정된 데이터로 변환시켜 각 항목별 테이블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한다. 이때, 생성된 테이블은 일자별로 생성되며, 누적된 데이터의 통계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이탈 처리부(330)는 15일동안 매일 측정된 혈압과, 평균 혈압이 산출된 테이블을 생성한다.The vital processing unit 330 converts the vital measur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into the set data, generates a table for each item, and stores the table in the database 350. At this time, the generated table is generated for each day and may include statistical values of accumulated data. For example, the vital treatment section 330 generates a table in which the blood pressure and the mean blood pressure measured every day for 15 days are calculated.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바이탈 처리부(330)는 환경측정신호와 운동량 측정신호를 데이터변환시켜 일자별로 테이블을 생성하고, 전체 기간별 통계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바이탈 처리부(330)는 바이탈 측정신호와 운동량 측정신호 및 환경측정신호를 데이터베이스(350)에 누적 저장하여 대상자의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vital processor 330 converts data of the environment measurement signal and the momentum measurement signal to generate a table for each day, and can calculate a statistic value for the whole period. In addition, the vital processor 330 may accumulate the vital measurement signal, the momentum measurement signal, and the environment measurement signal in the database 350 to generate a pattern of the subject.

즉, 바이탈 처리부(330)는 대상자의 바이탈 측정신호를 통하여 통계화된 데이터로서 대상자의 바이탈 패턴과, 대상자의 운동량 패턴 및 주변 환경 패턴을 생성한다. 이와 같은 바이탈 패턴과 운동량 패턴과, 주변 환경 패턴은 대상자의 이상여부를 판별하는 기준값으로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바이탈 처리부(330)는 제2단말(200)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이동경로를 생성하고, 누적된 이동경로를 이동패턴을 생성한다.That is, the vital processing unit 330 generates the vital pattern of the subject, the momentum pattern of the subject,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pattern as statistical data through the vital measurement signal of the subject. The vital pattern, the momentum patter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pattern can be applied as reference value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 is abnormal. Similarly, the vital processor 330 receives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200 to generate a movement route, and generates a movement pattern of the accumulated movement route.

정보맵핑부(340)는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질환별 바이탈 체크 상태와 운동량과 주변 환경정보와 바이탈 처리부(330)에서 생성된 각 데이터를 비교하여 현재 대상자의 상태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정보맵핑부(340)는 대상자가 현재 고혈압 환자일경우에 바이탈 측정정보(혈압, 맥박, 체온)를 통하여 해당 환자가 위험한 상태인지, 증상이 악화 또는 호전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정보맵핑부(340)는 바이탈 처리부(330)의 데이터와 의료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환자 및 주변 상태(운동중, 긴장상태, 사망, 의식불명, 호흡곤란, 화재발생, 감금)를 판정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mapping unit 340 compares the vital check state, the exercise amount,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each disease stored in the database 350 with each data generated by the vital processing unit 330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the subject. For example, the information mapping unit 340 can determine whether the patient is in a dangerous condition, worsened or improved by using vital measurement information (blood pressure, pulse, body temperature) when the subject is a current hypertensive patient. The information mapping unit 340 compares the data of the vital processor 330 with the medical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current patient and surrounding conditions (tension, death, unconsciousness, dyspnea, fire, confinement during exercise) .

데이터베이스(350)는 대상자의 병명이나 주소 및 처방전이 저장되는 대상자DB(351)와, 대상자별 보호자의 연락정보가 저장되는 보호자DB(352)와, 질환별 치료 및 상태정보와 신체의 상황별 바이탈 측정정보가 빅데이터화된 정보DB(353)와, 대상자별 일간 이동 경로가 누적 저장되는 위치정보DB(353)가 포함된다.The database 350 includes a subject DB 351 for storing the name, address and prescription of the subject, a guardian DB 352 for storing contact information of the subject-specific guardian, a medical treatment and condition information for each disease, An information DB 353 in which the measurement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a big data, and a location information DB 353 in which the daily travel route for each subject is cumulatively stored.

여기서, 정보DB(353)는 각 질환에 따른 바이탈 측정 데이터와 투약 및 처방관련 빅데이터(BIG DATA)가 저장된다. 아울러, 정보DB(353)는 운동량과 바이탈 측정정보와 환경측정정보가 상호 맵핑되어 대상자의 현재 상태를 추론할 수 있는 대상자의 상태를 추론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를 포함한다.Here, the information DB 353 stores vital measurement data for each disease, and medication and prescription-related big data (BIG DATA). In addition, the information DB 353 includes big data so that the momentum, vital measurement information, and environment measurement information are mapped to each other to deduce the state of the subject who can infer the current state of the subject.

서버제어부(310)는 서버통신부(320)를 통하여 제2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위치정보DB(353)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서버제어부(310)는 제2단말(200)의 위치정보를 강제로 활성화시킴도 가능하다.The server control unit 310 controls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20 to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200 in real time and store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n the location information DB 353. Here, the server control unit 310 may also forcibly activat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200.

또한, 서버제어부(310)는 바이탈 처리부(320)에서 생성된 패턴과 정보맵핑부(340)의 맵핑 결과에 따라 제2단말(200)과 보호자 단말(400) 또는 기관단말(600)을 선택적으로 호출한다. 예를 들면, 서버제어부(310)는 정보맵핑부(340)의 정보맵핑결과가 현재 대상자가 의식불명이거나, 호흡곤란, 또는 제2단말(200)과의 통신두절, 제1단말(100)의 분리, 유해 가스 또는 미세먼지가 감지되면 보호자 단말(400) 또는 기관단말(600)을 호출한다.The server control unit 310 selectively connects the second terminal 200, the guardian terminal 400 or the institution terminal 600 according to the pattern generated by the vital processing unit 320 and the mapping result of the information mapping unit 340 Call. For example, when the information mapping result of the information mapping unit 340 indicates that the current subject is unconscious, difficulty breathing, or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200 is interrupted, If detachment, noxious gas or fine dust is detected, the protector terminal 400 or the engine terminal 600 is called.

또는, 서버제어부(310)는 대상자가 전과자일 경우에 정보맵핑부(340)의 결과값과 이동패턴 및 바이탈 패턴을 비교하여 호흡과 운동량, 주변 밝기와, 위치정보를 통하여 대상자의 패턴과 현재 다른 위치나 바이탈 정보가 측정되면 기관단말(600)(예를 들면, 관리공무원, 현재 위치에 근접한 지구대)로 관련 정보를 송신한다.Alternatively, when the subject is a past person, the server control unit 310 compares the result of the information mapping unit 340 with the movement pattern and the vital pattern, and determines the pattern of the subject through the breathing, the exercise amount, When the location or vital information is measured, the rela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institution terminal 600 (for example, a management official, a district near the current location).

또는, 서버제어부(310)는 제2단말(200)에 음성메세지를 송신하여 대상자에게 현재 상태를 묻는 확인메세지를 출력하여 그 결과에 따라서 보호자 단말(400) 또는 기관단말(600)을 호출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erver control unit 310 may transmit a voice message to the second terminal 200, output a confirmation message asking the current state to the subject, and may call the guardian terminal 400 or the institutional terminal 600 according to the result have.

비상검출단말(500)은 예를 들면, 적외선 카메라 또는 CCTV와 무선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이거나, 일체화된 단말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외선 카메라는 거리나 골목 및 도로를 촬영하던중에 제1단말(100)로부터 발광되는 적외광신호가 확인되면, 기관단말(600)에 감지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기관단말(600)은 순찰차등을 해당위치로 급파하여 대상자를 수색할 수 있도록 한다.The emergency detecting terminal 500 may b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n infrared camera or a CCTV and a wireless receiver, or may correspond to an integrated terminal. For example, when an infrared light signal emitte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is detected during shooting of a street, an alley, and a road, the infrared camera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institution terminal 600. Accordingly, the institutional terminal 600 dispatches a patrol car or the like to a corresponding location so that the target person can be searched.

또는, 무선수신기는, 예를 들면, RF 무선단말기로서 설정된 지역별로 분산 설치되어 설정된 범위 이내에 높인 제1단말(100)의 비상호출신호를 수신하여 기관단말(600) 또는 서버(300)로 비상호출신호의 감지신호를 송신한다.Alternatively, the wireless receiver may receive an emergency call signal of the first terminal 100, which is distributed and set up in a region set as an RF wireless terminal, within a set range, and transmits the emergency call signal to the agency terminal 600 or the server 300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of the signal.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비상검출단말(500)은 적외선카메라와 CCTV 및 무선수신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지역별로 다수개가 분산 설치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emergency detecting terminal 500 may be formed by integrating an infrared camera, a CCTV, and a wireless receiver, and may be distributed and installed in a plurality of areas.

기관단말(600)은 정부 및 공공기관(예를 들면, 검찰, 경찰서, 소방서, 병원, 응급센터, 동사무소, 군부대)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 된다.The authority terminal 600 corresponds to at least one of government and public agencies (for example, prosecutors, police stations, fire stations, hospitals, emergency centers, government offices, military unit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관리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ereinafter, a method for managing a subject using a wear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a subject using a wear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대상자의 건강을 관리하는 S100 단계와, 대상자의 위치 및 현재 상태를 감시하는 S200 단계와, 제1단말(100)의 비상호출신호에 따라 경보 및 수색하는 S300단계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100 of managing the health of a subject, a step S200 of monitoring the position and a current state of the subject, a step S300 of alarming and searching according to the emergency call signal of the first terminal 100 .

S100 단계는 서버(300)에서 제1단말(100)의 바이탈, 운동량 및 환경측정신호를 통하여 건강을 관리하고, 결과를 보호자 단말에만 공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서버(300)는 대상자가 독거노인 및 질환자 일 경우에는 보호자 단말(400)에만 공개하고 대상자가 전과자일 경우에는 기관단말(600)에서 지정된 단말에게만 정보를 공개한다.In step S100, the server 300 manages health through the vital, momentum, and environment measurement signals of the first terminal 100 and discloses the results only to the caregiver terminal. Here, the server 300 discloses information only to the designated terminal in the institutional terminal 600 when the subject is an elderly person living alone and a sick person, when the subject is a past person.

위와 같은 S100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ep S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도 5의 S100 단계를 상세 도시한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showing details of step S100 of FIG.

도 6을 참조하면, 제1단말(100)에서 바이탈 측정정보를 측정하는 S111 단계와, 제1단말(100)에서 결재 요청하는 S112단계와, 제1단말(100)에서 주변 환경의 오염도, 먼지, 연기 및 가스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을 측정하는 S113단계로 이루어진 제1단말(100)의 구동단계를 포함한다.6, step S111 of measuring vital measurement information in the first terminal 100, step S112 of requesting approval of payment from the first terminal 100, step S112 of requesting approval of the first terminal 100 from the first terminal 100, , And measuring the environm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smoke, gas, and gas (S113).

또한, S100 단계는 제2단말(200)에서 입력된 투약기록을 저장하는 S121단계와, 제1단말(100)의 바이탈 측정정보를 서버(300)로 송신하는 S122 단계와, 제1단말(100)의 결재정보를 전송하는 S123단계와, 제1단말(100)의 환경측정신호를 수신하여 서버(300)로 송신하는 S124 단계와, 서버(300)로부터 음성메세지를 수신 후 그후 결과를 송신하는 S125 단계를 구비하는 제2단말(200) 구동단계를 포함한다.In operation S100, the medication record input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is stored. In operation S121, vital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S123 of receiving the environment measurement signal of the first terminal 100 and transmitting the environment measurement signal of the first terminal 100 to the server 300, receiving the voice message from the server 300, And a second terminal 200 driving step S125.

또한, S100 단계는 서버(300)에서 제2단말(200)로부터 바이탈, 오염도, 운동량 정보를수신하는 S131단계와, 수신된 정보로 데이터베이스(350)의 빅데이터를 맵핑하여 현재 대상자 상태를 추론하는 S132단계와, 대상자 상태가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S133단계와, S133단계에서 대상자의 이상이 의심스러우면 확인메세지를 요청하는 S134단계와, 제2단말(200)로부터 메세지에 대한 회신 여부를 판단하는 S135단계와, 응급경보를 발령하고 기관단말(600) 또는 보호자 단말(400)에 송신하는 S136단계를 포함한다.In step S100, the server 300 receives vital information,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and momentum inform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In step S131, the controller 300 maps the big data of the database 350 to the received information to infer the current subject state S133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 state is abnormal, S134 for requesting a confirmation message if the subject is suspected to be abnormal, S134 for determining whether to return a message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Step S136 of issuing an emergency alert and transmitting the emergency alert to the institution terminal 600 or the guardian terminal 400.

S111단계는 제1단말(100)에서 제1제어부(110)가 바이탈 측정모듈(121) 및 운동량 측정모듈(122)을 구동시켜 대상자의 혈압과, 맥박, 체온과, 운동량등을 감지하여 제2단말(200)에 송신하는 단계이다.In step S111, the first control unit 110 of the first terminal 100 drives the vital measurement module 121 and the exercise amount measurement module 122 to detect the subject's blood pressure, pulse, body temperature, To the terminal 200. [

S112단계는 제1단말(100)에서 제1제어부(110)가 결재부(170)를 통하여 결재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제2단말(200)에 결재부(170)에서 발생된 결재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1단말(100)은 대상단말(예를 들면,버스 단말)과의 접촉에 의해 결재요청신호가 발생되면, 제1통신부(160)를 통하여 해당 결재정보를 제2단말(200)로 송신한다.If the first control unit 110 receives a settlement request signal from the first terminal 100 through the settlement unit 170 in step S112, the settlement unit 170 transmits a settlement request signal generated in the settlement unit 170 to the second terminal 200 . The first terminal 100 transmits the approval in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2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when the approval request signal is generated by the contact with the target terminal (for example, the bus terminal) .

S113 단계는 제1단말(100)에서 제1제어부(110)가 오염도 측정모듈(123)을 구동시켜 주변 먼지나 유해 가스 여부를 감지하여 제2단말(200)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또는 제1단말(100)은 조광 측정모듈(124)을 구동시켜 현재 대상자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여 제1단말(100)에 송신할 수 있다.In step S113, the first control unit 110 of the first terminal 100 drives the pollution degree measurement module 123 to detect whether there is surrounding dust or noxious gas, and transmits the detected dust or noxious gas to the second terminal 200. Alternatively, the first terminal 100 may sense the brightness of the current subject by driving the dimming measurement module 124 and transmit the sensed brightness to the first terminal 100.

여기서, S111 단계 내지 S113 단계는 상기와 같이 제1제어부(110)가 임의대로 측정부(120) 및 결재부(170)를 제어하여 진행될 수 있다. 또는, S111 단계와 S113단계는 제2단말(200)의 요청이 수신되었을 경우에도 진행이 가능하다.Here, steps S111 to S113 may be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measuring unit 120 and the payment unit 170 as desired by the first control unit 110 as described above. Alternatively, steps S111 and S113 may be performed when a request for the second terminal 200 is received.

S121 단계는 제2제어부(210)가 제2디스플레이(230)를 통하여 입력되는 투약기록을 기록부(270)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투약기록은 대상자가 수동으로 제2단말(200)의 제2디스플레이(230)를 통하여 입력한다. 이와 같이 입력된 투약기록은 설정된 시간주기에 따라 서버(300)로 송신될 수 있다.In step S121, the second control unit 210 stores the medication record, which is input through the second display 230, in the recording unit 270. FIG. Here, the medication record is input manually by the subject through the second display 230 of the second terminal 200. The inputted medication record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according to the set time period.

S122 단계를 제1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바이탈 측정 신호를 서버(300)로 송신하는 단계이다.Step S122 is a step of transmitting the vital measur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to the server 300. FIG.

S123 단계는 제1단말(100)로부터 수신된 결재정보를 서버(300)로 송신하는 단계이다.Step S123 is a step of transmitting the approv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to the server 300. [

S124 단계는 제1단말(100)로부터 수신된 환경측정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환경측정신호는 대상자 주변의 미세먼지, 가스, 연기 및 조광를 포함한다.In step S124, the environment measur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is transmitted. Here, the environmental measurement signal includes fine dust, gas, smoke, and dimming around the subject.

상술한 바와 같이 바이탈 및 환경측정신호는 서버(300)의 요청에 따라 진행될 수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ital and environment measurement signals can be processed at the request of the server 300.

S131 단계는 서버(300)에서 제2단말(200)로부터 바이탈 측정신호, 운동량 측정신호 및 환경측정신호와, 결재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이다.In step S131, the server 300 receives the vital measurement signal, the momentum measurement signal, the environment measurement signal, and the approval request signal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S132 단계는 서버(300)가 제2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바이탈 측정신호 및 환경측정신호를 수신하여 정보DB(353)에 포함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현재 대상자의 신체상태 및 주변 환경을 추론하는 단계이다.In step S132, the server 300 receives the vital measurement signal and the environment measur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and uses the big data included in the information DB 353 to deduce the current physical condi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subject. .

아울러, S131 단계 및 S132 단계에서 수집된 대상자의 바이탈, 환경 및 운동량 측정 정보와 빅데이터를 통하여 추론된 대상자의 상태 정보는 대상자별로 설정된 보호자 또는 기관단말(600)에서만 열람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대상자의 바이탈 측정정보는 주기적으로 보호자 단말(400) 또는 기관단말(600)로 송신되도로 설정된다.In addition, the vital, environment, and momentum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subject collected in steps S131 and S132 and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subject inferred through the big data can be viewed only by the guardian or institution terminal 600 set for each subject. More preferably, the vital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subject is set to be periodically transmitted to the guardian terminal 400 or the institutional terminal 600.

S133 단계는 서버(300)가 S132 단계에서 추론된 결과와, 이전에 누적된 대상자의 바이탈 패턴, 운동량 패턴, 이동패턴 및 환경패턴과 비교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단계이다. 서버제어부(310)는 정보DB(353)에 저장된 대상자의 질환별 증상에 따른 바이탈 항목과 현재 환자의 바이탈 측정정보를 비교하여 대상자의 상태를 추론한다. 또한, 서버제어부(310)는 대상자의 이전 바이탈 패턴과 추론된 결과를 비교하여 현재 대상자의 증상이 변화가 있거나 사건 또는 사고로 인하여 의식불명이나 상처로 인하여 바이탈 측정정보가 악화 되었는지를 판단한다.In step S133, the server 300 compares the result of the inference in step S132 and the vital pattern, the momentum pattern, the movement pattern, and the environment pattern of the previously accumulated subject to obtain a conclusion. The server control unit 310 compares the vital item according to the disease-specific symptoms of the subject stored in the information DB 353 with the vital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current patient to infer the state of the subject. In addition, the server control unit 310 compares the previous vital pattern of the subject with the inferred result to determine whether the vital measurement information has deteriorated due to a change in the symptom of the current subject, an unconsciousness or a wound due to an event or an accident.

S134 단계는 서버(300)가 S133단계에서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이 되면, 제2단말(200)에 응급상황을 묻는 음성 또는 문자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이다.In step S134, when the server 300 determines that an error has occurred in step S133, the server 300 transmits a voice or text message to the second terminal 200 asking for an emergency.

[0095] S125 단계는 서버(300)로부터 이상 여부를 묻는 문자 또는 음성메세지를 제2디스플레이(230)에 출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2단말(200)은 제2디스플레이(230)에 출력함과 동시에 제1단말(100)에 해당 음성 또는 문자메세지를 송신한다.Step S 125 is a step of outputting to the second display 230 a character or voice message asking the server 300 about the abnormality. Here, the second terminal 200 outputs the voice or text message to the first terminal 100 while outputting the voice or text message to the second display 230.

따라서, 제2단말(200)은 제1단말(100)로부터 확인 신호가 수신되거나, 제2디스플레이(230)를 통하여 확인신호가 입력되면 서버(300)에 확인신호를 송신한다.Accordingly, the second terminal 200 transmits an acknowledgment signal to the server 300 when an acknowledgmen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or an acknowledgment signal is input through the second display 230.

또는 제2단말(200)은 제2디스플레이(230) 또는 제1단말(100)로부터 설정된 시간동안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그 결과신호를 서버(300)로 송신한다.Or the second terminal 200 transmits a resultant signal to the server 300 if the confirma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second display 230 or the first terminal 100 for a predetermined time.

이는 대상자가 의식불명상태일 경우에 제1단말(100)과 제2단말(200)의 문자 수신 음성 및 발광신호를 확인하지 못하였을 경우에 자동으로 응급상황의 발생을 통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is allows the user to be notified of the occurrence of the emergency situation automatically when the subject does not recognize the character receiving voice and the light emitting signal of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in the unconscious state.

또는, 대상자가 의식불명은 아니지만, 음성통화로서 자신의 의사를 밝히지 못할 경우에는 제1단말(100)의 제1디스플레이(140)와 제2단말(200)의 제2디스플레이(230)중 어느 하나를 간단히 터치할 경우에도 응급상황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display 140 of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display 230 of the second terminal 200 may not be able to identify themselves as a voice call if the subject is unconscious,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emergency signal even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panel 1 simply.

즉, 제2단말(200)은 대상자가 '이상상황입니까?'라는 문자메세지의 송신 후' 아니오'라는 메뉴가 정확히 선택된 경우를 빼고 나머지 무응답이나 제1디스플레이(140)와 제2디스플레이(230)의 터치에 따른 신호를 모두 이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간주하여 응급상황신호를 서버(300)로 송신한다.That is, after transmitting the text message 'Is the situation abnormal?', The second terminal 200 removes the remaining non-response or the first display 140 and the second display 230, And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to the server 300. The server 300 transmits the emergency signal to the server 300. [

S135 단계는 제2단말(200)로부터 회신이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서버(300)는 상술한 S125단계와 같은 방법으로 응급상황 신호가 수신되면, 보호자 단말 또는 기관단말(600)에 응급경보를 송신하는 단계이다.Step S135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reply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 Here, the server 300 transmits the emergency alert to the guardian terminal or the institution terminal 600 when the emergency signal is received in the same manner as in step S125.

즉, 본 발명은 대상자의 바이탈 및 운동정보를 상시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통하여 대상자의 현재 신체 상태와, 증상의 호전 또는 악화 여부를 상시 측정하여 보호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tal and exercise information of the subject is measured at all times, and the current physical condition of the subject and whether the symptom is improved or deteriorated can be measured and provided to the caregivers through the measured information at all times.

또한, 본 발명은 독거노인과 같이 혼자사는 환자들의 경우에 상시 모니터링을 통하여 응급상황발생여부를 감지하여 신속한 전파가 가능하다.Also, in the case of patients living alone such as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through constant monitoring and enable rapid propagation.

S200 단계는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중 도 7은 대상자의 제1단말(100) 착용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이며, 도 8은 대상자의 위치정보와 바이탈 정보 및 환경정보를 통하여 대상자의 범죄 또는 신체상의 상해로 인한 이상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제1단말(100)의 착용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step S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and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cting whether or not a subject wears a first terminal 100.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cting whether a subject is wearing or not, to be. First, the step of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first terminal 100 is wor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은 본 발명에서 S200 단계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tep S200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S200 단계는 제2단말(200)에서 설정된 주기별로 제1단말(100)을 호출하는 S211 단계와, 제1단말(100)에서 바이탈을 측정하는 212단계와, 제1단말(100)로부터 바이탈정보의 수신여부를 통하여 착용여부를 판단하는 S213단계와, S213 단계에서 미착용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시간 주기로서 미착용을 경보하는 S214단계와, 설정된 시간내에 착용 되는 지를 판단하는 S215단계와, 설정시간동안 착용되지 않으면 경보를 발령하는 S216 단계와, 제2다말의 경보를 수신하여 보호자 단말(400) 또는 기관단말(600)에 경보를 송신하는 S217단계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step S200 includes a step S211 of calling the first terminal 100 on a cycle set by the second terminal 200, a step 212 of measuring a vital from the first terminal 100, (S213) of judging whether or not the wearer is wearing the vital information through the reception of the vital information from the wearer (100), step S214 of warning whether the wearer is wor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S216 of issuing an alarm if the user is not worn for a set time, and S217 of receiving an alarm of the second tambour and transmitting an alarm to the guardian terminal 400 or the institutional terminal 600.

S211 단계는 제2단말(200)에서 설정된 주기별로 제1단말(100)을 호출하는 단계이다. 제2단말(200)은 설정된 시간주기별로 제1단말(100)을 호출하여 바이탈 측정신호, 운동량 측정신호 및 환경측정신호를 요청한다.The step S211 is a step of calling the first terminal 100 on a cycle set by the second terminal 200. [ The second terminal 200 calls the first terminal 100 every predetermined time period to request a vital measurement signal, a momentum measurement signal, and an environment measurement signal.

S212 단계는 제1단말(100)에서 제2단말(200)의 호출을 수신하여 바이탈 측정신호와 운동량 측정신호 및 환경측정신호를 제2단말(200)에 송신하는 단계이다.Step S212 is a step of receiving a call of the second terminal 200 from the first terminal 100 and transmitting the vital measurement signal, the momentum measurement signal and the environment measurement signal to the second terminal 200. [

S213 단계는 제2단말(200)에서 제1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측정신호를 확인하여 제1단말(100)의 착용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대상자가 샤워를 위하여 제1단말(100)의 착용을 해제한다면, 제1단말(100)은 대상자의 바이탈 및 운동량의 측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제1단말(100)은 바이탈 측정 신호와 운동량 측정신호를 '0'으로서 송신한다. 따라서, 제2단말(200)은 제1단말(100)이 미착용 상태인것으로 판단한다.In step S213, the second terminal 200 checks the measur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terminal 100 is worn. For example, if the subject releases the wearing of the first terminal 100 for a shower, the first terminal 100 can not measure the subject's vital and momentum. Therefore, the first terminal 100 transmits the vital measurement signal and the momentum measurement signal as '0'. Accordingly, the second terminal 200 determines that the first terminal 100 is in an unattended state.

S214 단계는 제2단말(200)에서 제1단말(100)의 제1디스플레이(140)와, 제2디스플레이(230)를 통하여 미착용을 경보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2단말(200)은 미착용을 설정된 시간주기별로 미착용을 경보한다.In step S214, the second terminal 200 notifies the first terminal 140 of the first terminal 100 that the first terminal 100 is not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140 via the second terminal 230. Herein, the second terminal 200 alerts the non-use of the non-use for each set time period.

S215단계는 제2단말(200)에서 설정된 시간 동안 제1단말(100)의 착용이 이루어지지 않는지를 판단한다.In step S215, the second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terminal 100 is wor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S216단계는 제2단말(200)에서 S215단계에서 설정된 시간동안 제1단말(100)로부터 바이탈 측정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1단말(100)이 착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서버(300)에 경보를 송신하는 단계이다.If the vital measurement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for the time set in step S215 in the second terminal 200 in step S216, the first terminal 100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terminal 100 is not worn, .

S217단계는 서버(300)에서 제2단말(200)의 경보를 수신하여 기관단말(600) 또는 보호자 단말(400)에 송신하는 단계이다.Step S217 is a step in which the server 300 receives the alert of the second terminal 200 and transmits the alert to the institution terminal 600 or the guardian terminal 400.

즉, 본 발명에서 S200 단계의 제1실시예는 대상자가 제1단말(100)을 일부러 착용하지 않은 경우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tep S200 detects the case where the subject does not wear the first terminal 100 deliberately.

도 8은 본 발명에서 S200 단계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step S200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S200 단계는 전과자 또는 정신질환자를 상시 감시 및 관리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하여 S200단계는 제1단말(100)로부터 바이탈정보를 측정하는 S241 단계와, 주변 환경을 측정하는 S242 단계와, 제2단말(200)에서 서버(300)의 위치정보 요청에 따라 지피에스(GPS)(220)를 활성화시키는 S251 단계와,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S242 단계와, 제1단말(100)의 바이탈 및 환경정보를 송신하는 S253단계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step S200 is a step of monitoring and managing a past convict or a mentally ill person at all times. In step S200, the Vital information is measure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In step S241,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measured. In step S242, the second terminal 200 measures GPS information (Step S251) for activating the second terminal 220, S242 for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S253 for transmitting the vital and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또한, 서버(300)는 제2단말(200)에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요청하는 S261단계와, 제2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S262 단계와, 제2단말(200)로부터 바이탈 및 환경정보를 수신하는 S263단계와, 수신된 바이탈 및 환경정보를 빅데이터에 맵핑하여 현재 대상자의 상태를 추론하는 S263 단계와, S263단계에서 도출된 추론과 이전 패턴을 비교하여 대상자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S264 단계와, 이상이 판단되면 보호자 단말(400) 또는 기관단말(600)에 경보를 송신하는 S265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rver 300 may request the second terminal 200 in real time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in step S261, store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in step S262, Vital and environment information, mapping the received vital and environment information to the big data to infer the state of the current subject, and comparing the inference and the previous pattern derived in step S263 to determine whether the subject is abnormal (Step S264),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bnormality is detected, the alarm is transmitted to the guardian terminal 400 or the institution terminal 600 (step S265).

먼저, 제1단말(100)은 S241단계와 S242 단계를 통하여 대상자의 바이탈 측정 및 환경측정신호를 제2단말(200)에 송신한다.First, the first terminal 100 transmits the vital measurement and environmental measurement signals of the subject to the second terminal 200 through steps S241 and S242.

제2단말(200)의 S251 단계는 S261 단계에서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0119] 위치정보 요청신호에 따라서 지피에스(GPS)(220)를 강제로 활성화시키는 단계이다. 제2제어부(210)는 서버(300)의 위치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지피에스(GPS)(220)를 활성화시켜 현재 위치정보를 서버(300)로 송신한다.Step S251 of the second terminal 200 is a step of forcibly activating the GPS 220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er 300 in step S261. The second controller 210 activates the GPS 220 to transmit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300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of the server 300 is received.

S262 단계는 서버(300)가 제2단말(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2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위치정보DB(353)에 각 대상자별로 저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대상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는 대상자의 날짜 및 시간대별로 이동경로를 포함한다. 따라서, 서버제어부(310)는 바이탈 처리부(330)를 제어하여 대상자(제2단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이동경로 패턴을 누적 및 생성한다.Step S262 is a step in which the server 30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200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in real time and stores it in the location information DB 353 for each subject. Here,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bject includes a travel route by date and time of the subject. Accordingly, the server control unit 310 controls the vital processing unit 330 to accumulate and generate the movement route pattern by receiv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ubject (the second terminal) in real time.

S263 단계는 제2단말(200)로부터 대상자의 바이탈 측정 신호와 환경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대상자별로 설정된 항목을 포함하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테이블을 생성하여 대상자DB(351)에 저장하고, 각 대상자별로 바이탈 패턴과 환경 패턴을 누적하여 생성한다. 또한, 서버(300)는 정보맵핑부를 구동시켜 보DB(353)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통하여 현재 대상자의 상태를 추론하는 단계이다.In step S263, the vital measurement signal and the environment measurement signal of the subject are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and converted into data including items set for each subject to generate a table and stored in the subject DB 351, The pattern and the environment pattern are accumulated and generated. In addition, the server 300 drives the information mapping unit to infer the current state of the subject through the big data stored in the DB 353.

즉, 서버(300)는 대상자의 바이탈 패턴, 이동패턴 및 환경 패턴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50)화하고, 빅데이터를 통하여 대상자의 현재 상태(예를 들면, 도보, 뜀박질, 수면, 휴식, 의식불명, 부상)을 추론하여 이전 패턴과 비교할 수 있다.That is, the server 300 generates a vital pattern, a movement pattern, and an environment pattern of a subject and converts the vital pattern, the movement pattern, and the environment pattern into a database 350 and displays the current state (e.g., walking, , Injury) can be inferred and compared with the previous pattern.

S264 단계는 서버제어부(310)가 추론된 결과를 통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대상자의 이전의 이동패턴과 다른 위치로 확인되거나, 맥박, 체온 및 혈압등의 바이탈 패턴과 다른 바이탈 측정신호가 확인되거나, 운동중과 정지가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범죄 패턴(정보DB에 저장된 범죄행동패턴)에 일치되는지를 판단한다.In step S264, the server control unit 31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through the inferred result. For example, a crime pattern (which is stored in the information DB), which is confirmed by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previous movement pattern of the subject, or a vital measurement signal different from the vital pattern such as pulse, body temperature and blood pressure, Crime behavior pattern).

여기서, 바람직하게로는 서버(300)는 제2단말(200) 또는 제1단말(100)의 비상호출신호를 강제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는 대상자가 이동중에 의식불명상태인 것으로 확인되었을 경우에 실행될 수 잇다.Preferably, the server 300 controls the second terminal 200 or the first terminal 100 to forcibly output an emergency call signal. This can be done when the subject is identified as unconscious during movement.

예를 들면, 제2단말(200)은 서버(300)의 제어에 의하여 음성 저장부에 저장된 응급 신호(예를 들면, 음성메세지, 또는 경보벨소리)를 출력한다. 또는 서버(300)는 환경측정신호를 통하여 주변의 조광가 적은 경우에는 제2단말(200)의 제2디스플레이(230) 또는 제1단말(100)의 제1디스플레이(140)를 통하여 발광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For example, the second terminal 200 outputs an emergency signal (e.g., a voice message, or an alarm ring tone) stored in the voice storage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server 300. The server 300 may output an emission signal through the second display 230 of the second terminal 200 or the first display 140 of the first terminal 100 when ambient light dimming is low through the environmental measurement signal .

이와 같은 강제신호의 출력은 주변의 사람들이나 수색중인 기관원들에게 대상자의 위치나 상황을 알리기 위함이다.The output of such a forced signal is intended to inform the surrounding people or the institution being searched for the position and the situation of the subject.

S265단계는 서버제어부(310)가 정신질환자들의 이상패턴과, 범죄자들의 패턴이나, 환자들의 사고 상황에 해당되는 패턴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면, 보호자 단말 또는 기관단말(600)에 제2단말(200)의 위치정보와 함께 경보를 송신하는 단계이다.In step S265, if the server control unit 310 is in any one of the abnormal patterns of the mental patients, the patterns of the offenders, and the patterns of the accident states of the patients, the second terminal 200 And transmits the alarm along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alarm.

즉, 본 발명에서 S200 단계는 전과자의 위치나 바이탈정보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범죄의 직전 상황을 감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S200 단계는 대상자가 정신질환자, 또는 부상등 신체상의 이상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정확한 위치정보와 함께 보호자 단말(400) 또는 기관단말(600)에 제공할 수 있다.That is, in step S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ex-convict, vital information, and the like are checked in real time to detect the situation immediately before the crime. In addition, the step S200 may detect the abnormality of the human body such as a mental patient or injuries in real time and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guardian terminal 400 or the institutional terminal 600 together with the accurate positional information.

S300 단계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step S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9는 본 발명에서 S3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 S300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S300 단계는 정신질환자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S300 단계는 보호자단말(400) 또는 기관단말(600)로부터 비상호출을 요청하는 S311단계와, 보호자 단말(400)로부터 비상호출 요청이 수신되면 제2단말(200)에 비상호출 및 위치정보를 활성화시키는 S312단계와, 제2단말(200)에서 제1단말(100)의 비상호출신호를 활성화시키는 S313단계와, 제1단말(100)에서 비상전원을 이용하여 비상호출신호를 출력하는 S314단계와, 비상검출단말(500)에서 제1단말(100)의 비상호출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는 S315단계와, 서버(300)에서 비상검출단말(500)로부터 수신된 제2단말(200)의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S317단계와, 보호자 단말(400)에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S318단계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step S300 is performed to track a person with a mental illness. In step S300, an emergency call is requested from the guardian terminal 400 or the institution terminal 600. In step S311, an emergency call is made to the second terminal 200 when the emergency call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guardian terminal 400, (S312) of activating the emergency call signal of the first terminal (100) in the second terminal (200), and a step S313 of activating the emergency call signal of the first terminal S315 of determining whether an emergency call signal of the first terminal 100 is received from the emergency detecting terminal 500 and a step S315 of determining whether the emergency terminal of the second terminal 200 (Step S317),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guardian terminal 400 (step S318).

여기서, S300 단계는 제2단말(200)의 GPS에 의한 위치정보와 제1단말(100)의 비상호출신호의 조합에 의하여 대상자를 신속하게 수색할 수 있고, 또는 제2단말(200)의 배터리 방전으로 인한 위치정보의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를 대비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Here, in step S300, the subject can be searched quickly by a combination of the position information by the GPS of the second terminal 200 and the emergency call signal of the first terminal 100, or the battery of the second terminal 200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prepare for the case where it is impossible to receive the position information due to the discharge.

즉, S311단계는 보호자 단말 또는 기관단말(600)에서 서버(300)로 비상호출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대상자가 치매 환자일경우에 집을 나간뒤에 귀가하지 않았을 경우에 보호자들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서버(300)에 대상자의 비상호출을 요청한다.That is, in step S311, the parent terminal or the institution terminal 600 requests the server 300 to make an emergency call. For example, if the subject is a dementia patient, if they do not return home after leaving home, the guardians request the server 300 for an emergency call to the server 300 using the terminal.

S312단계는 서버(300)가 보호자 단말(400)의 비상호출이 수신되면, 대상자의 제2단말(200)에 위치정보를 강제활성화시키고, 제1단말(100)의 비상출력부(150)를 강제로 활성화시키도록 요청하는 단계이다.In step S312, the server 300 forcibly activat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200 of the subject when the emergency call of the caregiver terminal 400 is received and transmits the emergency information to the emergency output unit 150 of the first terminal 100 And forcibly activating it.

따라서, 제2단말(200)은 자신의 지피에스(GPS)(220)를 활성화시키고, 제1단말(100)로부터 비상호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활성화시킨다. 또는 제2단말(200)은 지피에스(GPS)(220)를 활성화시킨 이후에 서버(300)에 위치정보를 송신하나, 제2전원부(250)의 전원이 설정된 기준값 이하일경우에 제1단말(100)의 비상출력부(150)를 활성화시킴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second terminal 200 activates its own GPS (GPS) 220 and activates the emergency call signal from the first terminal 100 to output the emergency call signal. Or the second terminal 200 transmits posi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300 after activating the GPS 220. When the power of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50 is lower than the set reference value, The emergency output unit 150 is activated.

이는 제2단말(200)에서 전원이 모두 방전될 경우에 제1단말(100)의 비상호출신호로서 대상자를 수색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2단말(200)은 제2전원부(250)에 충전된 전원레벨이 설정된 기준값 이하라면, 제1단말(100)의 비상출력부(150)를 활성화시킨다.This is for searching for a subject as an emergency call signal of the first terminal 100 when all power is discharged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 That is, the second terminal 200 activates the emergency output unit 150 of the first terminal 100 if the power level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power source unit 250 is lower than the preset reference value.

또는, 제2단말(200)은 서버(300)의 요청에 따라 지피에스(GPS)(220)와 비상출력부(150)를 동시에 구동시킴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the second terminal 200 may simultaneously drive the GPS 220 and the emergency output unit 150 at the request of the server 300.

S313단계는 제1단말(100)에서 제2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비상출력부(150)를 구동시켜 적외광, 가시광 및 무선신호중 적어도 하나로서 비상호출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이다.In step S313, the first terminal 100 drives the emergency output unit 150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and outputs an emergency call signal as at least one of infrared light, visible light, and radio signals.

S314단계는 제1단말(100)에서 비상배터리(132)의 전원으로 비상출력부(150)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비상배터리(132)는 비상출력부(150)의 구동시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제1제어부(110)는 제2단말(200)로부터 비상출력부(150)의 활성화 명령이 수신되면, 비상배터리(132)에 저장된 전원으로 공급시킨다.In step S314, power is supplie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to the emergency output unit 150 through the power supply of the emergency battery 132. [ Here, the emergency battery 132 is set to supply power only when the emergency output section 150 is driven. Accordingly, when the activation instruction of the emergency output unit 150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the first control unit 110 supplies the power to the power stored in the emergency battery 132.

또는 제1제어부(110)는 주배터리(131)의 전원이 모두 방전된 이후에 비상배터리(132)의 전원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함도 가능하다. 다만, 비상배터리(132)는 비상출력부(150)의 구동시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한정된다.Alternatively, the first controller 110 may control the main battery 131 to supply power to the emergency battery 132 after all the power is discharged. However, the emergency battery 132 is limited to supplying power only when the emergency output unit 150 is driven.

S315 단계는 비상검출단말(500)에서 제1단말(100)의 비상출력부(150)에서 출력된 비상호출신호의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비상검출단말(500)은 적외선 카메라로서 적외선 영상에서 적외광이 설정된 주기별로 발광된 제1단말(100)을 착용한 대상자의 영상이 촬영되면, 비상호출신호가 수신됨을 경보한다.In step S315,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emergency detecting terminal 500 has received the emergency calling signal output from the emergency output unit 150 of the first terminal 100. [ For example, the emergency-detecting terminal 500 is an infrared camera, and alerts that an emergency call signal is received when an image of a person wearing the first terminal 100, which has been emitted for every cycle in which infrared light is set in the infrared image, is photographed.

또는 비상검출단말(500)은 CCTV로서 촬영된 영상에서 가시광이 점멸되는 제1단말(100)을 착용한 대상자가 촬영될 경우에 비상호출신호가 수신됨을 경보한다.The emergency detecting terminal 500 alerts that an emergency call signal is received when a person wearing the first terminal 100 whose visible light is blinked is photographed in the image photographed as CCTV.

이때, 비상검출단말(500)은 적외광 또는 가시광으로 발광되는 제1단말(100)이 확인되면, 기관단말(600)로 송신한다. 기관단말(600)은 해당 영상을 확인하여 서버(300)를 거쳐 보호자 단말로 송신하여 대상자를 확인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mergency detecting terminal 500 transmits the first terminal 100, which emits infrared light or visible light, to the institution terminal 600. The institutional terminal 600 may request the user to confirm the subject by checking the corresponding image and transmitting the image to the guardian terminal through the server 300. [

또는, 기관단말(600)은 비상검출단말(500)의 영상을 확인한 순간 해당위치로 순찰자를 출동시켜 대상자를 수색하도록 하여 보호자 단말의 신원확인 이전이라도 신속한 대응을 진행한다.Alternatively, the institutional terminal 600 searches the target person by dispatching a patrol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at a moment of confirming the image of the emergency-detecting terminal 500, thereby promptly responding even before confirming the identity of the guardian terminal.

또는, 비상검출단말(500)은 무선수신단말(예를 들면, 비콘)로서 비상출력부(150)에서 수신된 식별정보가 포함된 비상호출신호를 수신하여, 비상호출신호의 수신을 경보하고 서버(300)로 송신한다. 여기서, 식별정보는 대상자와 보호자 단말에 부여된 고유의 식별정보이다.Alternatively, the emergency detecting terminal 500 may receive an emergency call signal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mergency output unit 150 as a radio receiving terminal (for example, a beacon), alert the reception of the emergency call signal, (300). 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iven to the target person and the guardian terminal.

S316 단계는 서버(300)는 비상검출단말(500)로부터 수신된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대상자 및 보호자 단말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아울러 서버(300)는 해당 비상검출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In step S316, the server 300 confirms the subject and the caregiver terminal by check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mergency detecting terminal 500. [ In addition, the server 300 confirm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detecting terminal 500.

S317단계는 서버(300)가 보호자 단말(400)에 대상자의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보호자 단말(400)은 수신된 위치정보에 해당되는 지역을 수색하여 대상자를 보호할 수 있다.Step S317 is a step in which the server 30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bject to the caregiver terminal 400. [ Accordingly, the guardian terminal 400 can search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protect the target.

이와 같이 본 발명은 1인 생활자의 건강이나, 장기질환자, 노인성질환자등을 원격으로 관리하여 응급상황시에 신속한 구원이 가능하고, 재범의 우려가 있는 전과자를 감시하여 사전에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tely manage the health of a single person, a long-term patient, and an old-person with a medical condition, thereby enabling rapid salvation in case of an emergency, and monitoring a criminal having a fear of re-

Claims (3)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대상자의 혈압, 체온, 맥박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바이탈 측정신호와 대상자의 운동량을 감지한 운동량 측정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1단말과;
상기 제1단말의 바이탈 측정신호 및 운동량 측정신호를 수신하고, 현재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제2단말과;
상기 제2단말로부터 제1단말의 바이탈 측정신호, 운동량 측정신호 및 위치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대상자의 신체상의 이상 여부와 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저장하고, 각 제2단말별로 설정된 보호자 단말또는 기관단말별로 상기 제2단말별로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대상자의 바이탈 및 운동량과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로부터 대상자의 신체 정보를 수신하는 보호자 단말과;
상기 제1단말로부터 출력된 비상호출신호를 감지하는 비상검출단말; 및
긴급출동 및 수색신호를 접수하는 기관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단말은,
대상자의 맥박, 체온, 혈압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바이탈 측정모듈; 주변 환경의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가스 및 연기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오염도 측정모듈; 대상자의 걸음 숫자와 시간, 거리를 측정하는 운동량 측정모듈; 및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광측정모듈;을 구비하는 측정부와;
상기 제2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하는 제1통신부와;
상기 제2단말의 호출을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와;
카드사, 은행사 및 통신사로부터 발행되어 금융 단말과 태깅 후 결재정보를 생성하는 결재부; 및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하여 제2단말로부터 측정신호의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측정부에서 출력된 측정신호와 상기 결재부의 결재신호를 제1통신부를 통하여 제2단말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단말은, 위치정보를 송수신하는 지피에스(GPS)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메세지와 상기 제1단말과의 분리를 경고하는 메세지를 출력하는 제2디스플레이와;
상기 서버 및 제1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부와; 음성이 저장되는 음성저장부와; 투약기록 및 운동량을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기록부;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입력되는 선택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기록부에 투약 여부를 기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통신부를 제어하여 설정된 시간주기별로 상기 제1단말을 호출하여 대상자가 상기 제1단말의 미착용시에 이를 경보하는 메세지를 상기 제2디스플레이에 출력하거나, 상기 제1단말의 제1디스플레이를 통하여 경고 메세지, 음성, 발광신호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며,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단말의 바이탈 측정 신호와 운동량 측정신호 및 주변 환경측정신호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에 송신하며, 상기 서버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메세지 또는 상기 음성저장부에 저장된 음성메세지를 출력하고, 입력된 확인신호를 상기 기록부에 기록하거나 외부에 송신하고, 설정된 시간에 따라서 상기 제1단말에 바이탈 측정신호와 운동량 측정신호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하여 상기 제1단말로부터 수신된 바이탈 측정신호를 통하여 미착용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서버에 경보를 송신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통신부와;
상기 제2단말로부터 수신된 바이탈 측정신호를 설정된 데이터로 변환시켜 각 항목별 테이블을 생성하고, 환경측정신호와 운동량 측정신호를 데이터로 변환시켜 일자별로 테이블을 생성하고, 전체 기간별 통계값을 산출하여 바이탈 측정신호와 운동량 측정신호 및 환경측정신호를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하여 대상자의 패턴을 생성하는 바이탈 처리부와;
상기 바이탈 처리부의 바이탈 측정 데이터를 의료정보와 맵핑시켜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정보맵핑부와;
대상자정보와 의료정보와 위치정보를 저장하되, 대상자의 병명이나 주소 및 처방전이 저장되는 대상자DB와, 대상자별 보호자의 연락정보가 저장되는 보호자DB와, 질환별 치료 및 상태정보와 신체의 상황별 바이탈 측정정보가 빅데이터화된 정보DB와, 대상자별 일간 이동 경로가 누적 저장되는 위치정보DB가 포함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서버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2단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위치정보DB에 저장하고, 상기 바이탈 처리부에서 생성된 패턴과 상기 정보맵핑부의 맵핑 결과에 따라 상기 2단말 또는 보호자 단말 또는 기관 단말을 선택적으로 호출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 관리시스템.
A first terminal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vital measurement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a blood pressure, a body temperature, and a pulse of the subject and a momentum measurement signal sensed by the subject,
A second terminal for receiving the vital measurement signal and the momentum measurement signal of the first terminal and transmitting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Receiving at least one of a vital measurement signal, a momentum measurement signal,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from the second terminal to accumulate and store the abnormality and position of the subject in real time in the database, A server for transmitting vital and momentum and position information of a subject stored in a database for each second terminal by a set guardian terminal or an institutional terminal;
A guardian terminal for receiving body information of a subject from the server;
An emergency detecting terminal for detecting an emergency cal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terminal; And
And an institution terminal for receiving an emergency dispatch and a search signal,
The first terminal,
A vital measurement module for detecting one or more of a subject's pulse, body temperature, and blood pressure; A pollution degree measuring module for detecting at least one of fine dust, gas and smoke contained in the air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 momentum measurement module for measuring the number, time, and distance of the subject's walking; And a light intensity measurement module for sensing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s;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A first display for indicating a call of the second terminal;
A payment unit which is issued from a card company, a bank company, and a communication company and generates financial terminal and post-tagging information; And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easurement signal output from the measurement unit and the approval signal of the approval unit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when a request for a measuremen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Lt; / RTI >
The second terminal comprises: a GPS which transmits and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A second display for outputting a message warning the separation of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the first terminal;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and the first terminal; A second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A voice storage unit for storing voice; A recorder for storing information including dosing record and momentum; And
And controls the recording unit to record whether or not medication is being performed by confirming a selection signal input through the second displa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s controlled to call the first terminal according to the set time period to output a message to the second display for alerting the subject when the first terminal is not connected or to display the first display of the first terminal And receives at least one of a vital measurement signal, a momentum measurement signal, and a surrounding environment measurement signal of the first terminal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server, And outputs a voice message or a voice message stored in the voice storage unit to the recording unit or transmits the voice message to the recording unit or transmits the voice message to the recording unit and transmits the vital measurement signal and the momentum measurement signal And transmits the vital measur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Detected and a second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alert to the server,
The server comprises:
A server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Converts the vital measur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into the set data to generate a table for each item, converts the environment measurement signal and the momentum measurement signal into data, generates a table for each name, A vital processing unit for accumulating vital measurement signals, momentum measurement signals, and environmental measurement signals in a database to generate a pattern of a subject;
An information mapping unit for mapping vital measurement data of the vital processing unit with medical information and outputting the result;
A patient DB storing the subject's name, address and prescription of the subject, a guardian DB storing contact information of the guardian according to the subject,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subject, A database including an information DB in which the vital measurement information is a big data and a location information DB in which a daily movement path for each subject is cumulatively accumulated;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in real time via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and stores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n the location information DB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to the second terminal or the guardian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according to the mapping result of the pattern generated by the vital processing unit and the information mapping unit. And a server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calling th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2단말로부터 수신된 바이탈 측정신호를 통하여 이상여부가 감지되면, 제2단말에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메세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2단말은 제2디스플레이에서 이상여부를 묻는 메세지를 출력후, 이상없음을 의미하는 메뉴가 선택되면 이상없음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에서 이상없음을 의미하는 메뉴외 다른 영역이 터치되거나 설정된 시간동안 입력이 없으면 이상 발생 경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rver
If the abnormality is detected through the vital measur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transmits a message for confirming the abnormality to the second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transmits a message asking whether it is abnormal in the second display and then transmits a no abnormality signal when a menu indicating that there is no abnormality is selected,
And transmits an alarm to the server when an area other than the menu indicating no abnormality is touched in the second display or there is no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제 1 항의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관리 방법에 있어서,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된 제1단말을 통하여 대상자의 혈압, 맥박, 체온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바이탈 측정정보를 수신하여 대상자의 바이탈 측정정보를 누적 저장하여 대상자의 건강관리와 부상 및 이상 여부를 관리하는
서버의 a)단계와;
상기 제1단말의 바이탈 측정정보와 제2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대상자의위치정보 및 바이탈 측정정보를 통하여 대상자의 현재 상태와 위치를 실시간 감지하는 서버의 b)단계; 및
보호자단말 또는 기관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2단말의 지피에스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2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기관단말 또는 보호자단말에 송신하는 서버의 c)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a)단계는,
입력된 투약 기록을 저장하고, 상기 제1단말의 바이탈 측정신호와 운동량 측정신호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투약 기록을 상기 제2단말에서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a-1)단계와;
상기 제2단말에서 수신된 바이탈 측정신호와 운동량 측정신호 및 투약기록을 상기 서버가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빅데이터에 저장된 질환별 증상에 따른 바이탈 항목과 상기 제2단말로부터 수신된 바이탈 측정신호를 비교하여 대상자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a-2)단계와;
상기 a-2) 단계에서 상기 서버가 상기 대상자가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이 되면, 상기 제2단말에 응급상황을 묻는 음성 또는 문자메세지를 송신하는 a-3)단계와;
상기 제2단말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이상 여부를 묻는 문자 또는 음성메세지를 제2디스플레이에 출력하여 그 결과를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제2단말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메세지와 함께 이상 여부를 선택하는 메뉴를 제2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설정된 시간동안 입력이 없거나, 이상없음을 선택하는 메뉴외에 상기 제2디스플레이의 다른 영역이 선택되면 이상신호를 송신하는 a-4)단계; 및
상기 제2단말로부터 이상여부에 대한 회신을 수신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보호자 단말에 경보를 발령하는 a-5)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제2단말은,
설정된 주기별로 상기 제1단말을 호출하여 바이탈 측정신호를 요청하는 b-1)단계와;
상기 제1단말로부터 바이탈 측정신호를 수신하는 b-2)단계와;
상기 b-2단계에서 수신된 바이탈 측정신호를 통하여 상기 제1단말의 착용여부를 판단하는 b-3)단계와;
상기 b-3)단계에서 제1단말이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2디스플레이레 미착용을 경보하고, 설정된 시간주기동안 상기 제1단말에 바이탈 측정신호를 요청하는 b-4)단계; 및
상기 b-4)단계에서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단말로부터 바이탈 측정신호를 순차수신하여 미착용 상태가 지속되면, 상기 서버에 상기 제1단말의 미착용을 경보하는 b-5)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2단말에 지피에스(GPS)를 활성화시키고, 실시간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단말의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b-1-1)단계와;
상기 제2단말로부터 바이탈 측정신호와, 주변의 조도 및 먼지 오염도와 유해가스, 연기 발생중 적어도 하나가 환경 측정신호를 수신하는 b-1-2)단계와;
상기 제2단말에서 수신된 바이탈 측정신호 및 환경 측정신호를 빅데이터와 맵핑시켜 현재 상태를 추론하여 이전 바이탈 측정 패턴 및 이전 환경 측정패턴을 비교하고, 누적된 이동경로가 포함된 이동패턴과 현재 이동경로를 비교하는 b-1-3)단계; 및
상기 b-1-3)단계의 비교 결과에 따라 대상자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보호자 단말과 기관단말중 적어도 하나에 경보를 송신하는 b-1-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방법.
A management method using a subject management system using the wearable wireless terminal of claim 1,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vital measuremen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blood pressure, pulse, and body temperature of a subject through a first terminal worn on the subject's body, cumulatively storing vital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subject to manage health management of the subject, doing
A) step of the server;
B) receiving a vital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and detecting the current state and position of the subject through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vital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subject in real time; And
C) activating a second terminal of the second terminal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a guardian terminal or an institution terminal, and confirm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institution terminal or the guardian terminal,
The step a)
A-1) storing at least one of a vital measurement signal and a momentum measurement signal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medication record from the second terminal to the server, storing the entered medication record;
The server receives the vital measurement signal, the momentum measurement signal, and the medication record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and compares the vital item according to the disease-specific symptom stored in the bi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with the vital measur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A-2)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 is abnormal;
(A-3) when the server determines in step a-2)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subject, transmitting a voice or text message requesting an emergency situation to the second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outputs a character or voice message asking the server whether it is abnormal or not to the second display and sends the result to the server, and the second terminal displays a message (A-4) of outputting an abnormal signal when the other area of the second display is selected in addition to the menu for selecting no input or no abnormality for a set time period; And
And a-5) receiving a reply to the abnormality from the second terminal and issuing an alarm to the guardian terminal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a-5)
In step b), the second terminal transmits,
B-1) calling the first terminal according to the set period to request a vital measurement signal;
B-2) receiving a vital measurement signal from the first terminal;
B-3)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terminal is worn through the vital measurement signal received in step b-2;
And b-4) for alerting the second display device to not use the vital measurement signal when the first terminal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terminal is not worn on the subject's body in the step b-3), and requesting the vital measurement signal to the first terminal for the set time period. step; And
And b-5) receiving the vital measurement signal from the first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time in step b-4), and alerting the server to the non-use of the first terminal if the unattended state continues,
In the step b), the server,
B-1-1) activating a GPS in the second terminal and receiving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to generate a movement path of the second terminal;
B-1-2) receiving at least one of a vital measurement signal, ambient illuminance, dust pollution, noxious gas, and smoke gener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Mapping the vital measurement signal and the environment measur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with the big data to infer the current state to compare the previous vital measurement pattern and the previous environmental measurement pattern, B-1-3) comparing the paths; And
And b-1-4) determining an abnormality of the subject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step b-1-3) and transmitting an alarm to at least one of the parent terminal and the institution terminal. A method for managing a subject using a wireless terminal.
KR1020170118937A 2017-09-15 2017-09-15 Security officer placement place and patrol route providing system based on prediction of crime occurrence probability KR201900310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937A KR20190031071A (en) 2017-09-15 2017-09-15 Security officer placement place and patrol route providing system based on prediction of crime occurrence prob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937A KR20190031071A (en) 2017-09-15 2017-09-15 Security officer placement place and patrol route providing system based on prediction of crime occurrence probab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071A true KR20190031071A (en) 2019-03-25

Family

ID=65907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937A KR20190031071A (en) 2017-09-15 2017-09-15 Security officer placement place and patrol route providing system based on prediction of crime occurrence probab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1071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1656A (en) 2010-12-23 2012-07-03 주식회사 포스코 Return-roller for belt-conveyer
KR20130113893A (en) 2012-04-08 2013-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User terminal device and system for performing user customized health management, and methods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1656A (en) 2010-12-23 2012-07-03 주식회사 포스코 Return-roller for belt-conveyer
KR20130113893A (en) 2012-04-08 2013-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User terminal device and system for performing user customized health management, and methods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274B1 (en) Person management system using wearable a mobile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US10522024B2 (en) Safety device, system and method of use
US10540622B2 (en) Fluid container resource management
AU2006337971B2 (en)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hygiene standards compliance
US7242306B2 (en) Article locating and tracking apparatus and method
CA2439002C (en) A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object association using a location tracking system
CN109310524A (en) Hearing protector with the position for actively avoiding sound danger and sound monitoring sensor
CN109891458A (en) The programmable safe rule based on context for personal safety equipment
JP4575133B2 (en) Sensing system and method
US111888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ervising a person
US200900914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health care workers and patients
EP29057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tagged headcount accounting
US11568728B2 (en) Security alarm system for newborns
US20210375121A1 (en) Safety monitoring system
GB2571118A (en) Eye wear-attachable safety communication apparatus, safety insurance method and a system
Hassan et al. A survey on wandering behavior management systems for individuals with dementia
CN113940668B (en) Wearable motion stat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system
TW201721599A (en) Object security system
KR101894906B1 (en)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for Silver Generation with Help Trigger
KR100874839B1 (en) Ubiquitous network system for rescue and emergency statement based on lighting supervisory system
KR20190031071A (en) Security officer placement place and patrol route providing system based on prediction of crime occurrence probability
KR101388984B1 (en) Alarm system for the lifesaving
US10650657B1 (en) Smart wearable accessory as a rescue and tracking device
Caporusso et al. A pervasive solution for risk awareness in the context of fall prevention
Hassan Wandering Behavior Management Systems for Individuals with Dement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