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271A - 사용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271A
KR20190030271A KR1020170117441A KR20170117441A KR20190030271A KR 20190030271 A KR20190030271 A KR 20190030271A KR 1020170117441 A KR1020170117441 A KR 1020170117441A KR 20170117441 A KR20170117441 A KR 20170117441A KR 20190030271 A KR20190030271 A KR 20190030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information
stop
user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3596B1 (ko
Inventor
좌정우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17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596B1/ko
Publication of KR20190030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 보조 장치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실시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 그리고 상기 동작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 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버스 정류장 장치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각 버스에 도착 예정 시간 중에서 교통 약자 승차 예정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을 추출하여, 상기 상태 알림부를 통해 상기 교통 약자 승차 예정 버스의 도착 예정 알림을 실시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USER ASSISTANCE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TRAFFIC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통 약자에게 버스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내 버스 등과 같은 버스는 지하철과 함께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대중 교통 수단이고, 일반 사람들은 버스 사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
하지만, 노약자, 시각 장애인, 거동이 불편한 환자, 또는 어린이 등과 같은 교통 약자들은 일반인들에 비해 버스 사용에 많은 어려움과 불편함을 겪게 된다.
따라서,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류장에서의 승하차 동작을 실시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자신이 원하는 정류장에 정확히 하차하지 못하여 많은 정신적 및 육체적인 어려움을 당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7-0066942(공개일자: 2017년 06월 15일, 발명의 명칭: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10-0697233(등록일자: 2007년 03월 13일, 발명의 명칭: 시각 장애인을 위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교통 약자의 위치에 따라 교통 정보를 제공하여, 교통 약자가 버스와 같은 대중 교통을 이용할 때 불편함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사용자 보조 장치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실시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 그리고 상기 동작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 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버스 정류장 장치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각 버스에 도착 예정 시간 중에서 교통 약자 승차 예정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을 추출하여, 상기 상태 알림부를 통해 상기 교통 약자 승차 예정 버스의 도착 예정 알림을 실시한다.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부터 사용자 보조 장치 탐색 신호가 전송되면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가 사용자가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가 장착된 버스에 탑승한 상태를 상태를 알리고,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부터 이번 정차 정류장 정보를 전송 받아, 이번 정차 정류장이 교통 약자 하차 정류장이면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 하차 예정 상태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부터 이번 정차 정류장 정보를 전송 받으면 상기 상태 알림부를 통해 교통 약자 하차 정류장의 도착 예정 알림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알림부는 진동 발생기와 음성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지리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사용자 보조 장치의 위치가 버스 정류장 영역 내에 위치한 상태를 전송 받으면 상기 상태 알림부를 통해 교통 약자 승차 정류장에 사용자가 도착한 상태를 알릴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보조 장치는 지팡이, 휠체어 또는 보정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은 버스에 장착되어 있는 버스 정보 안내 장치, 그리고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와 통신하는 운전기사 단말을 포함하고, 버스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교통 약자 탑승 정보를 전송 받은 버스 정보 안내 장치는 운전 기사 단말로 교통 약자 탑승 대기 상황을 전송하고, 상기 운전기사 단말은 이번 장차 정류장에서 교통 약자 탑승 대기 상황을 운전기사에게 통지할 수 있다.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는 이번 정차 정류장이 교통 약자 승차 정류장이면 사용자 보조 장치의 탐색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보조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교통 약자가 자신이 장착된 버스에 탑승한 상태로 판정하여 상기 교통 정보 제공 장치로 교통 약자 탑승 완료 상태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는 사용자 보조 장치로 이번 정차 정류장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보조 장치로부터 이번 정류장에서 하차 예정 상태가 전송되면, 상기 운전기사 단말로 이번 정차 정류장에서 교통 약자 하차 예정 상태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는 사용자 보조 장치 탐색 신호를 전송한 후, 이에 대한 응답 신호가 정해진 시간 내에 사용자 보조 장치로부터 전송되지 않으면 교통 정보 제공 장치로 교통 약자 하차 완료 상태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버스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각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과 이번 도착 버스 번호를 전송 받아 사용자 보조 장치로 각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을 전송하는 버스 정류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 정류장 장치는 상기 사용자 보조 장치와 무선 근거리 통신으로 상기 각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사용자 보조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동작 제어부는 버스 정류장 장치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각 버스에 도착 예정 시간을 전송 받은 단계, 상기 동작 제어부는 전송된 상기 각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 중에서 교통 약자 승차 예정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을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동작 제어부는 상태 알림부를 동작시켜 상기 교통 약자 승차 예정 버스의 도착 예정 알림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부터 사용자 보조 장치 탐색 신호가 전송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보조 장치 탐색 신호가 전송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보조 장치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가 장착된 버스에 탑승한 상태를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 알릴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부터 이번 정차 정류장 정보를 전송 받아, 이번 정차 정류장이 교통 약자 하차 정류장인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이번 정차 정류장이 교통 약자 하차 정류장이면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 하차 예정 상태를 정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부터 이번 정차 정류장 정보를 전송 받으면 상기 상태 알림부를 통해 교통 약자 하차 정류장의 도착 예정 알림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지리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사용자 보조 장치의 위치가 버스 정류장 영역 내에 위치한 상태를 전송받으면 상기 상태 알림부를 통해 교통 약자 승차 정류장에 사용자가 도착한 상태를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교통 약자인 사용자는 정해진 버스 유형의 갖는 버스의 도착 예정 상태의 알림을 받게 되므로, 원하는 버스의 도착 상황을 정확히 인지해 안정적으로 버스 탑승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교통 약자 승차 예정 버스의 운전 기사 역시 운전기사 단말을 통해 이번 정차 정류장에 교통 약자가 승차를 대기하고 있는 상황을 통지 받는 교통 약자 대기 알림 서비스를 받게 되고 또한, 이번 정차 정류장에서 교통 약자가 하차함을 알게 되므로, 교통 약자의 승하차 동작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추가로, 사용자 보조 단말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승차 정류장으로의 도착 여부를 통지 받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 보조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의 버스 정보 제공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속되어" 있다거나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거나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예, 교통 약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장치부(100), 버스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 장치부(200),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어 버스 정류장 장치(300), 버스 정류장 장치(300)와 통신하는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 사용자 장치부(100)와 통신하는 지리 정보 제공 장치(500), 그리고 사용자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보호자 단말(600)을 구비한다.
사용자 장치부(100)는 사용자 보조 장치(110) 그리고 사용자 보조 장치(110)와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120)을 구비한다.
사용자 보조 장치(110)는 사용자의 통행이나 생활에 도움을 주는 보조 장치로서, 지팡이, 휠체어(wheelchair), 보청 장치 등일 수 있고, 사용자 단말(120), 차량 장치부(200), 버스 정류장 장치(300),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 및 지리 정보 제공 장치(500) 등과 무선 통신을 실시한다.
이러한 사용자 보조 장치(110)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 입력부(111), 위치 정보 획득부(112), 사용자 입력부(111)와 위치 정보 획득부(112)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113), 동작 제어부(113)와 연결되어 있는 통신부(114), 동작 제어부(113)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 알림부(115), 그리고 동작 제어부(113)와 연결되어 있는 정보 출력부(116)를 구비한다.
사용자 입력부(111)는 사용자 보조 장치(1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이나 데이터 등의 입력에 대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사용자나 보호자는 사용자 입력부(111)를 이용하여 원하는 명령이나 데이터를 입력하여 사용자 보조 장치(110)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11)는 터치 패드(touch pad), 조그 스위치(jog switch),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 휠(jog wheel) 또는 마우스(mouse)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위치 정보 획득부(112)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통하여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위치 정보 획득부(112)는 사용자 보조 장치(110)가 위치하는 지역에서 서비스되는 위치 정보 신호(즉, GNSS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GNSS는 인공위성(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수신한 전파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 항법 시스템을 의미하며, GNSS의 구체적인 예로는, 그 운영 주체에 따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alileo, GLONASS(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COMPASS, IRNSS(Indian Regional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 등 일 수 있다.
동작 제어부(113)는 사용자 보조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사용자에게 원하는 버스인 승차 예정 버스가 원하는 버스 정류장에 도착하는지의 여부, 승차 예정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 도착 예정 버스의 버스 형태, 하차 정류장의 도착 여부, 운전기사에서 교통 약자가 버스 정류장에 승차를 위해 대기하고 있는지의 여부, 교통 약자의 승하차 여부 등에 대한 알림 서비스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동작 제어부(113)의 동작에 대해서는 다음에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동작 제어부(113)는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명령 그리고 동작 중에 생성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1131)를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저장부(1131)는 동작 제어부(113)와는 별개의 장치로서 동작 제어부(113) 외부에 장착될 수 있다.
통신부(114)는 인터넷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인터넷 모듈은 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이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또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또는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태 알림부(115)는 사용자에게 원하는 교통 정보, 예를 들어, 승차 예정 버스의 도착 여부, 도착 예정 시간, 하차를 원하는 하차 정류장의 도착 여부, 승차 완료 상태 등의 상태를 알려준다.
이러한 상태 알림부(115)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기와 해당 음향이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사용자나 보호자에 의해 지정된 방식에 따라 진동 또는 음향이나 음성을 통해 해당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정보 출력부(116)는 동작 제어부(113)의 제어에 따라 동작 제어부(113)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게 해당 정보나 상태를 시각적으로 출력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정보 출력부(116)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승차 예정 버스의 도착 여부, 도착 예정 시간, 하차를 원하는 하차 정류장의 도착 여부, 승차 완료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출력부(116)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정보 출력부는 생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사용자 보조 장치(110)와 동기화되어 무선 통신하는 휴대 단말기로서, 휴대 전화기,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 피씨(tablet personal computer)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20) 역시 사용자 보조 장치(110),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 및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 정보 획득부, 원하는 명령이나 데이터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 사용자 보조 장치(100)와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 그리고 원하는 버스의 도착 알림 등을 경고음이나 진동 등으로 실시하는 상태 알림부 등을 구비하고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사용자 보조 장치(110)는 사용자 입력부(11)와 위치 정보 획득부(112)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보조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과의 페어링(pairing)을 통하여 동작에 필요한 정보나 입력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차량 장치부(200)는 버스에 장착되어 있는 시스템으로서,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 및 사용자 장치부(100)와 통신을 실시한다.
따라서, 이러한 차량 장치부(200)는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로 차량 위치 정보와 해당 버스에 대한 고유의 버스 정보를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로 전송하고,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로부터 전송되는 교통 정보를 수신하여 이번에 정차할 정류장인 이번 정차 정류장과 다음에 정차할 정류장인 다음 정차 정류장의 안내 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차량 위치 정보는 사용자 보조 장치(110)의 위치 정보 획득부(112)와 같이 GNSS 신호를 이용하여 획득되며, 버스 정보는 해당 버스의 버스 번호와 동일한 버스 번호를 갖는 버스 중에서 몇 번째 차량(즉 몇 호 차량)임을 알리는 차량 번호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차량 장치부(200)는 버스에 장착되어 있는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와 버스 내의 운전석과 인접하게 장착되어 있는 운전기사 단말(220)을 구비한다.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는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로 자신의 차량 위치 정보와 버스 정보를 전송하고 이번 정차 정류장과 다음 정차 정류장의 이름, 그리고 현재 시각 등을 전송 받아 출력한다.
이로 인해, 버스 내에 설치된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는 해당 시기(예, 이번 정차 정류장까지의 도착 예정 시간이 설정 시간 이하일 시기)에 정보 출력부를 통해 이번 정차 정류장의 이름을 출력하여, 버스 내의 승객이 이번 정차할 정류장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는 사용자 보조 장치(110)와 통신하여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로부터 전송되는 각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과 같은 교통 정보를 사용자 보조 장치(110)나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하여, 사용자 보조 장치(110)로 교통 약자 승차 예정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 등을 알려준다.
또한,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는 운전기사 단말(220)로 이번 도착 정류장에 교통 약자가 승차를 대기중인 상태를 알려주며, 사용자 보조 장치(110)와의 통신을 통해 교통 약자가 승차 예정 버스에 안전하게 승차한 상태를 인지하고 하차 정류장에 안전하게 하차한 상태를 인지하여, 운전기사 단말(220)과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로 알려준다.
따라서, 이러한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는 이미 기재한 것처럼 정보를 출력하는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 통신을 위한 통신부, 차량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차량 위치 정보 획득부, 그리고 이들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 등을 구비한다.
이때, 정보 출력부는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은 시각적인 정보 출력부와 해당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의 청각적인 정보 출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운전기사 단말(220)은 운전기사에게 차량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정시성 확보하기 위해 차량 운행 정보 설정, 앞뒤차 간격, 안전 운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운전기사 단말(220)은 운전석 근처에 설치되어 운전 기사가 운전기사 단말(220)을 통해 출력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운전기사는 운전기사 단말(220)을 이용하여 이번 정차 정류장에 교통 약자가 자신의 버스를 탑승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지의 여부, 자신의 버스에 탑승했는지의 여부, 교통 약자의 하차 정류장에 대한 정보 및 하차 정류장에 안전하게 하차했는지의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운전기사 단말(220)은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해당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 사용자 장치부(100) 및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 등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그리고 운전기사 단말(220)의 전반적인 동작은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버스 정류장 장치(300)는 각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어 있고 버스 이용객에게 버스 운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러한 버스 정류장 장치(300)는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로부터 원격으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며, 실시간으로 정류장에 도착하는 노선정보, 도착 예정 차량 정보, 버스 위치 정보, 도착 예정 시간 정보, 목적지까지 소요 예상 시간 정보 등의 버스 운행 정보를 제공한다. 표출 순서는 도착 순서로 하고 도착 예정 시간은 잠시 후 도착, 10분 후 도착 등으로 표출한다.
이러한 버스 정류장 장치(300)는 역시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 등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그리고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 등을 구비한다.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는 통신망으로 연결된 버스 차량 내의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로부터 버스 현재 위치, 상태 정보 등을 수집하여 이를 가공하여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 유선 웹, 모바일 앱 등으로 버스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버스 정보 장치는 버스 운행 모니터링, 노선과 정류장 관리 모니터링, 교통정보센터 CCTV 화면 연계 표출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유선 웹 서비스는 지리정보 제공 장치(GIS)의 지도 서비스로서, 실시간으로 버스 현재 위치 정보, 정류장 도착 예정 버스, 버스 노선 검색, 버스 환승 정보, 버스 현황 정보, 정류소 검색 정보 등을 제공한다.
회원 등록 서비스는 회원 가입하고 자주 타는 버스의 정류소 정보를 등록하면 별도의 검색 없이도 맞춤 정보에서 해당 정류소에 도착 예정인 버스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한다.
모바일 앱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120)이나 보호자 단말(600)와 같은 모바일 단말로 정류소 도착 예정 시간을 제공하며, 또한 도착 정보, 주요 교차로 교통 정보, 주요 도로 교통 정보, 돌발 상황 정보, 주차장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 보조 장치(100), 차량 버스부(200) 및 버스 정류장 장치(300)와 정해진 통신 방식(예, 무선 인터넷 통신이나 무선 근거리 통신)으로 통신을 위한 통신부(410), 통신부(410)와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420), 그리고 동작 제어부(420)와 연결되어 있고 해당 차량의 운행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버스 운행 정보 데이터베이스(431)와 회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432) 등을 갖는 데이터베이스부(430)를 구비한다.
버스 운행 정보 데이터베이스(431)는 고유의 번호를 갖는 버스에 대한 운행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때, 운행 정보는 버스 번호를 갖고 정해진 노선을 따라 운행하는 각 버스(즉, 노선 버스)의 현재 위치, 이번 정차 정류장, 이번 정차 정류장까지의 도착 예정 시간 등이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노선 버스의 번호가 100번이고 100번에 편성된 버스가 10대라면, 버스 운행 정보 데이터베이스(431)에는 100번 버스의 1호차부터 10호차까지의 현재 위치, 차간 운행 간격,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버스 정류장인 이번 정차 정류장까지의 최단 소요 시간 등의 운행 정보가 저장된다.
따라서,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는 사용자 장치부(100)의 사용자 보조 장치(110)나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전송되는 회원 정보와 교통약자 데이터베이스(342)의 저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교통 약자인지를 판정하게 된다.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432)는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에 회원 등록되어 있는 버스와 사용자에 대한 회원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지리 정보 제공 장치(500)는 사용자 보조 장치(110)와 통신하여 사용자가 승차 정류장에 도착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사용자가 승차 정류장에 도착한 상태로 판정되면 사용자 보조 장치(110)로 승차 버스장에 도착했음을 알려준다.
또한, 지리 정보 제공 장치(500)는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사용자 보조 장치(11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승차 정류장까지의 경로 안내를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사용자 보조 장치(110)로 지도 정보를 제공한다.
보호자 단말(600)은 사용자에 의해 보호자로 등록된 사람의 단말로서, 사용자 단말(120)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보호자 단말(600) 역시 사용자 입력부, 위치 정보 획득부, 동작 제어부, 통신부, 알림부 및 정보 출력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보호자 단말(600)은 사용자 보조 장치(110)나 사용자 단말(120)에 의해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에 전화번호 등을 제공하여 보호자 단말로 등록될 수 있다.
본 예의 경우, 사용자 보조 장치(110)와 사용자 단말(120) 간의 통신, 사용자 보조 장치(110)와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 간의 통신, 그리고 사용자 보조 장치(110)와 버스 정류장 장치(300) 간의 통신은 와이파이(WiFi) 통신이나 지그비(Zigbee)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예의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에 의해,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와 운전 기사는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즉, 본 예의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은 승차 예정 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교통 약자 대기 알림 서비스, 하차 정류장 도착 예정 알림 서비스, 교통 약자 하차 예정 알림 서비스, 보행 약자 승차 완료 알림 서비스 및 승차 정류장 도착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버스 정류소에서 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는 음성으로 버스 번호에 대해 도착 예정 시간과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하고 있으나, 소음이 많고 혼잡한 버스 정류소에서 보행 약자가 버스 도착 예정 시간과 알림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 특히, 보청기를 이용하거나 청각 장애인에게는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의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보조 장치(110)를 이용하여 승차 예정 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승차 예정 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는 사용자가 승차하길 원하는 버스인 승차 예정 버스가 현재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버스 정류장에 도착하는지의 여부, 승차 예정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 도착 예정 버스의 버스 형태 등을 사용자 보조 장치(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서비스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 보조 장치(110)는 버스 정보 제공 장치와 연동되는 해당 버스 정류소의 버스 정보 수집 장치 및 사용자 단말(120)과 연동하여 승차 예정 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 보조장치(110)의 사용자 입력부(111)를 이용하여 보행 약자(즉, 사용자)가 버스 탑승에 걸리는 소요 시간을 고려하여 사용자나 보호자는 도착 안내 알림 시간과 도착 안내 알림 횟수를 지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승차 예정 버스에 대해서 지정된 도착 안내 알림 시간과 도착 안내 알림 횟수에 따라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도착 안내 알림 시간은 승차 예정 버스의 도착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시간이다.
또한, 사용자 보조 장치(110)는 승차 예정 버스의 도착 상황뿐만 아니라 저상 버스와 같이 사용자나 보호자에 의해 지정하는 버스 유형에 대해 도착 알림 서비스도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 보조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 및 버스 정류장 장치(300)와 연동하여 승차 예정 버스에 대해서만 도착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도착 알림 상태를 사용자나 보호자에 의해 지정된 방식에 진동, 음향, 음성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승차 예정 버스 내의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는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로 현재 위치를 알리고,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는 사용자 단말(120),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로 이번 정차 정류장까지의 도착 예정 시간을 알린다.
사용자 보조 장치(210)는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나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승차 예정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을 받아 지정한 승차 예정 버스의 도착 상태를 지정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교통 약자 대기 알림 서비스는 버스 승차에 어려움이 있거나 승차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사용자가 이번 정차 정류장에 탑승을 대기하고 있다는 상황은 해당 버서의 버스기사에게 미리 알려주는 서비스이다.
따라서, 사용자 보조 장치(110)는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 버스 내의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 및 운전기사 단말(220)과 연동하여 운전기사에게 다음 정차 류소에 보행 약자가 탑승함을 알려주고, 이에 따라 해당 버스가 해당 정류소에 도착하면 해당 버스의 운전기사는 보행 약자를 위해 탑승 시간을 보통 때보다 증가시키거나 교통 약자의 탑승 동작을 도와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보조 장치(110)는, 운전기사에게 보행 약자가 해당 정류소에 탑승 대기 중임을 알리기 위해, 자신의 승차 정류장에 관한 정보를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로 전송하고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는 해당 승차 정류소에 도착할 버스에 장착된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로 교통 약자가 현재 대기 중임을 전달하여 운전기사 단말(220)로 교통 약자의 대기 상태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는 사용자 보조 장치(110)와의 통신을 통해 해당 버스 내에 사용자(즉, 교통 약자)가 탑승한 상태로 인지되면, 사용자 탑승 완료 상태를 운전기사 단말(220)과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로 전달한다.
필요할 경우,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는 보호자 단말(600)의 정보인 전화 번호 등을 이용하여 승차 정류장에서의 사용자 탑승 완료 상태를 전달하여 보호자에게 안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하차 정류장 도착 예정 알림 서비스는 현재 버스가 이번 정차 정류소에 도착하기 전에 탑승자에게 다음 도착 정류장의 명칭을 음성으로 안내하고, 사용자 보조장치(110)를 이용하여 다음 도착 정류장이 승차 정류소임을 알려주는 서비스이다.
따라서, 사용자 보조 장치(110)는 버스의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자 보조 장치(110)를 통해 승차 정류장의 도착 예정을 알려준다.
이때, 사용자 보조장치(110)는 이미 저장된 도착 안내 알림 시간과 도착 안내 알림 횟수에 따라 하차 정류장의 도착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를 위해, 사용자 보조 장치(110)는 해당 버스의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로부터 다음 도착 정류장의 정보와 도착 예정 시간 등을 수신하고, 다음 도착 정류장이 지정된 도착 안내 알림 시간에 맞는 정류장이면 정보 출력부(116)를 통해 사용자에게 목적지인 하차 정류장의 도착 알림 실시한다.
이때, 이미 설명한 것처럼, 사용자 보조 장치(110)의 동작 제어부(113)는 지정된 도착 안내 알림 시간과 도착 안내 알림 횟수에 따라 수신된 도착 예정 시간을 이용하여 해당 시기에 정해진 횟수만큼 하차 정류장의 도착 알림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나 보호자가 승차 정류장을 기준으로 하여 두 정류장 전에 알림 서비스를 설정하면 두 정거장 전에 1차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번 정차 정류장이 승차 정류장인 승차 정류장 전에 2차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교통 약자 하차 예정 알림 서비스는 버스 하차에 어려움을 갖는 보행 약자가 하차 정류장에 도착하기 전에 운전기사에게 사용자의 하차 예정임을 알리는 서비스이다.
따라서, 사용자 보조 장치(110)는 버스의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와 연동하여 버스기사 단말(220)을 통해 운전기사에게 이번 정차 정류장에서 보행 약자가 하차함을 알린다.
이를 위해, 먼저, 사용자 보조 장치(110)는 해당 버스의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로 이번 정차 정류장에 보행 약자가 하차함을 알리고, 이로 인해,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는 해당 운전기사 단말(220)로 다시 이번 정차 정류장에 보행 약자가 하차함을 알리게 된다.
보행 약자 승차 완료 알림 서비스는 교통 약자가 버스에 탑승하면 사용자 보조장치(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교통 약자가 안전하게 해당 버스에 탑승했음을 알려주고 또한 보호자 단말(600)을 통해 버스 운행 정보와 도착 예정 시간을 실시간으로 보호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 보조 장치(110)는 교통 약자가 버스에 탑승한 상태로 판단되면 해당 버스의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와 연동하여 정보 출력부(116)를 통해 사용자(즉, 교통 약자)에게 안전하게 탑승 했음을 알린다.
또한, 사용자 보조장치(110)와 버스 내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 간의 연동을 통해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로 사용자의 탑승 상태를 알리며, 보호자가 원할 경우 보호자 단말(600)로 해당 버스 번호를 기반으로 버스 운행 정보와 하차 승차장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 등의 보행 약자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보조장치(110)는 해당 버스의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와의 통신을 통해 교통 약자가 해당 버스에 탑승한 상태로 판단되면 해당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로부터 안전한 탑승 상태를 전달받고, 도한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는 운전기사 단말(220)로 교통 약자의 안전한 탑승 완료 상태를 알린다.
또한, 사용자 보조장치(110)는 해당 버스의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를 통해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로 고객 정보(즉, 사용자 정보)와 보호자 정보를 전송하고,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는 보호자가 요구하면, 즉, 보호자 단말(600)로의 알림 기능이 선택된 상태이면 버스 정보를 기반으로 보호자 단말(600)로 해당 버스의 버스 운행 정보와 하차 정류장의 도착 예정 시간 등의 교통 약자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승차 정류장 도착 알림 서비스는 시각 장애인(즉, 사용자)의 사용자 보조장치(예, 지팡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승차 정류장에 도착했음을 알리는 서비스로서, 버스 정류장의 폭이 협소하거나 중앙 차로에 위치한 버스 정류장에서 시각 장애인에게 정확하게 승차 정류장에 도착했음을 알려주는 서비스이다.
따라서, 사용자 보조 장치(110)는 위치 정보(예, GPS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리정보 제공 장치(500)에서 설정된 버스 정류장 영역 중에서 승차 정류장 영역에 도착하면, 사용자에게 승차 정류장에 도착했음을 알린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 보조 장치(110)는 이미 지정된 방식에 따라 진동, 음향 또는 음성 등을 통해 해당 알림 서비스를 실시한다.
이를 위해, 지리정보 제공 장치(GIS)(500)는 정류장 영역을 폴리곤 형태를 갖는 데이터(폴리곤 영역의 데이터)로 구축하고 사용자 보조장치(110)의 위치 정보(예, GPS 좌표)가 해당 폴리곤 영역으로 들어오면 사용자 보조장치(110)가 해당 승차 정류장에 도착할 상태로 판정하여 사용자 보조 장치(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도착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리 정보 제공 장치(500)에서는 폴리곤 영역, 링크 영역 또는 점 영역 등으로 도착 안내 범위를 설정할 수 있고, 폴리곤 영역은 폴리곤 형태로 안내할 영역을 설정하며, 선 영역은 선(노드와 링크로 구성)으로 안내 영역을 설정하고, 점 영역은 (x, y) 좌표를 기준으로 한 설정 크기의 반경으로 안내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다.
다음, 도 4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120)은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에 회원 등록을 실시한 후, 본 예의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로그인 동작을 실시한다.
회원 등록 시, 사용자 단말(120)은 고유 식별번호(ID), 비밀번호(PW), 사용자 이름 등으로 이루어진 사용자 정보, 보호자 단말(600)을 사용하는 보호자 정보(예, 전화번호와 이름 등) 등과 같은 회원 정보를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로 전송하며, 또한 보호자 알림 기능 등을 선택하게 된다.
따라서,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회원 정보 및 보호자 알림 기능 선택 여부를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433)에 저장한다.
다음,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20)에 의한 로그인 동작이 이루어지면, 사용자 보조 장치(110)의 사용자나 보호자는 사용자 보조 장치(110)나 사용자 단말(120)의 사용자 입력부(111)를 이용하여 필요한 탑승자 교통 정보를 입력한다(S11).
사용자 보조 장치(110)의 사용자 입력부(111)를 통해 탑승자 교통 정보가 입력되면(S11), 사용자 보조 장치(110)의 동작 제어부(113)는 입력된 탑승자 교통 정보를 저장부(1131)에 저장하고 또한 통신부(114)를 이용하여 페어링 상태인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하여(S12), 사용자 단말(120)이 입력된 탑승자 교통 정보를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로 전송한다(S13).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탑승자 교통 정보가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120)의 동작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로 입력된 탑승자 교통 정보를 바로 전송한다.
이처럼,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가 탑승자 교통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전송 받으면,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는 사용자 보조 장치(110)의 사용자 정보와 대응되게 저장부(421)에 저장한다(S14).
본 예에서, 탑승자 교통 정보는 사용자가 승차하길 원하는 버스인 교통 약자 승차 예정 버스의 번호인 승차 예정 버스 번호, 교통 약자 승차 예정 버스의 버스 유형, 교통 약자 승차 예정 버스의 도착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시간인 도착 안내 알림 시간)과 도착 안내 알림 횟수, 도착 안내 방식, 교통 약자의 승차 정류장 및 하차 정류장의 정보를 구비한다.
버스 유형은 사용자가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의 종류에 관한 것으로서, 저상 버스와 일발 버스로 나눠질 수 있다.
도착 안내 알림 시간은 탑승 예정 버스가 승차 정류장에 도착했음을 미리 알려주기 위한 시간으로서 사용자나 보호자에 의해 정해진다.
한 예로, 도착 안내 알림 시간은 사용자의 승차 예정 정류장을 기준으로 하여 이전 정류장 수의 개수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착 안내 알림 시간이 두 정류장이라 정해지면, 승차 예정 버스가 승차 정류장을 기준으로 두 정류장 전에 도착했을 때, 알림 서비스를 시작하게 된다.
도착 안내 횟수는 탑승 예정 버스가 승착 정류장에 도착했는지를 알려주는 횟수로서 이 역시 사용자나 탑승자에 의해 정해진다.
도착 안내 횟수는 1회 이상 정해질 수 있고, 도착 안내 횟수가 복수 번으로 정해지면 도착 안내 알림 시간으로부터 정해진 시간 간격이나 정해진 정류장 수마다 알림부(115)를 통한 도착 알림 동작이 행해진다
도착 안내 방식은 알림부(115)를 통한 도착 알림 동작이 진동을 통해 행해지는지 아니면, 정해진 소리나 음성을 통해 이루어지는지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승차 정류소 정보는 사용자가 탑승 예정 버스를 탑승하기 위한 정류소의 정보이고, 하차 정류소 정보는 사용자가 탑승 예정 버스에 탑승한 후 하차 하기 위한 정류소(즉, 목적지 정류소)의 정보이다.
이처럼, 사용자 입력부(111)를 이용하여 탑승자 교통 정보를 버스 정보 제공장치(400)로 전송한 후, 사용자 보조 장치(110)의 사용자는 승차 예정 버스에 대한 교통 정보를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로부터 전송 받게 된다.
이를 위해, 지정된 노선을 따라 해당 도로를 주행하는 각 버스에 설치되어 있는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는 위치 정보 획득부(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S15), 획득된 차량 위치 정보를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로 전송한다(S16).
각 버스로부터 차량 위치 정보가 전송되면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는 버스 운행 정보 데이터베이스(431)에서 전송된 차량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정류장까지의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고, 각 버스의 현재 차량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이번에 정차할 정류장인 이번 정차 정류장을 판정한다(S17).
다음,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는 각 버스의 현재 차량 위치에 따라 산출된 각 도착 예정 시간을 해당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어 있는 버스 정류장 장치(300)로 전송하며 이번 정차 정류장에 설치된 버스 정류장 장치(300)로는 이번에 도착할 버스의 번호인 이번 도착 버스 번호도 함께 전송한다(S18). 이때 각 버스 정류장 장치(300)는 자신이 설치되어 있는 버스 정류장을 경유하는 버스에 대한 정보만을 전송 받는다.
따라서, 각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버스 정류장 장치(300)는 도착 예정인 해당 버스의 버스 번호와 도착 예정 시간을 출력하며, 또한, 이번 도착 버스의 번호도 함께 출력한다(S19).
또한, 교통 약자 승차 정류장에 설치된 버스 정류장 장치(300)는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로부터 제공되는 도착 예정 버스의 정보를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보조 장치(110)로 각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을 전송한다(S110).
따라서, 사용자 보조 장치(110)는 전송된 각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버스인 교통 약자 승차 예정 버스에 대한 도착 예정 시간을 추출한다(S111).
그런 다음, 사용자 보조 장치(110)는 상태 알림부(115)를 통해 정해진 해당 시점에 정해진 도착 안내 방식으로 정해진 도착 안내 횟수만큼 사용자에서 교통 약자 탑승 예정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을 알리며 필요할 경우 정보 출력부(116)로도 출력한다(S112).
하지만, 이와는 달리, 사용자 보조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하여 교통 약자 탑승 예정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을 전송 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20)는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로부터 각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을 전송 받아 사용자 보조 장치(110)로 전송하며, 사용자 보조 장치(110)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교통 약자 승차 예정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을 선택하여 상태 알림부(115)로 출력한다
이처럼, 교통 약자인 사용자는 정해진 버스 유형의 갖는 버스의 도착 예정 상태를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안내 방식으로 정해진 횟수만큼 알림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교통 약자인 사용자는 원하는 버스의 도착 상황을 정확히 인지해 안정적으로 버스 탑승이 이루어지게 되어 교통 약자인 사용자는 승차 예정 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를 받게 된다.
또한,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는 해당 버스의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로 이번 정차 정류장 정보를 전송하여(S113), 각 버스 내에 설치된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로 이번 정차 정류장의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S114). 이로 인해, 버스에 탑승한 탑승객은 이번에 정차할 정류장이 어디인지 정확히 인지하여 원하는 정류장에서 하차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는 판정된 이번 정차 정류장의 정보와 사용자 보조 장치(110)로부터 전송된 탑승자 교통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운행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교통 약자 승차 예정 버스 중에서 이번 정차 정류장과 교통 약자 승차 정류장이 서로 같은 교통 약자 승차 예정 버스를 선택한다(S115).
그런 다음,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는 선택된 교통 약자 승차 예정 버스에 장착된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로 교통 약자 탑승 정보를 전송한다(S116). 이때, 이번 정차 정류장이 교통 약자 승차 정류장과 일치하는 교통 약자 승차 예정 버스는 정해진 버스 유형에 따라 선택 여부가 추가로 정해질 수 있다.
즉, 지정된 버스 유형이 저상 버스인 경우, 교통 약자 탑승 정보가 전송되기 위해 선택되는 교통 약자 승차 예정 버스는 이번 정차 정류장이 교통 약자 승차 정류장과 일치할 뿐만 아니라 버스 유형이 저상 버스이어야 한다.
본 예에서, 교통 약자 탑승 정보는 이번 장차 정류장에 교통 약자가 탑승을 대기하고 있는 교통 약자 탑승 대기 정보, 교통 약자의 하차 정류장(교통 약자 하차 정류장)의 정보, 사용자 보조 장치(110)의 식별 정보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처럼,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로부터 교통 약자 탑승 정보를 전송 받은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는 자신과 통신하는 운전기사 단말(220)로 교통 약자 탑승 정보를 전송한다(S117).
이로 인해, 운전기사 단말(220)은 전송된 교통 약자 탑승 정보를 정보 출력부로 출력하여 운전기사에서 이번 정차 정류장에 교통 약자가 탑승을 대기하고 있다는 상황과 교통 약자 하차 정류장을 알려준다(S118).
이처럼, 교통 약자 승차 예정 버스의 운전 기사 역시 운전기사 단말(220)을 통해 이번 정차 정류장에 교통 약자가 승차를 대기하고 있는 상황을 통지 받는 교통 약자 대기 알림 서비스를 받게 되어, 교통 약자가 안정적으로 승차 동작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교통 약자는 사용자는 승차 예정 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를 받게 되며, 운전 기사는 이번 정차 정류장에 교통 약자가 승차를 대기하고 있음을 통지 받는 교통 약자 대기 알림 서비스를 받게 된다.
다음, 도 5a 및 도 5b를 참고로 하여, 교통 약자 승차 완료 알림 서비스, 하차 정류장 도착 예정 알림 서비스 및 교통 약자 하차 예정 알림 서비스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교통 약자가 탑승하길 원하는 교통 약자 승차 예정 버스에 장착되어 있는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는 도 4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이번 정차 정류장이 교통 약자 승차 정류장이면(S21), 사용자 보조 장치(11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약자가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 보조 장치(110)로 탐색 신호를 전송한다(S22).
사용자가 교통 약자 승차 예정 버스에 탑승하게 되면, 해당 사용자 보조 장치(110)는 해당 차량 내에 설치되어 있는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로부터 전송되는 탐색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로 전송한다(S23).
이처럼, 사용자 보조 장치(110)로부터 정해진 시간 내에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는 버스 정보 제공 장치(400)로부터 전송된 교통 약자 탑승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안전하게 교통 약자 승차 예정 버스인 자신의 버스에 탑승한 상태로 판단한다(S24).
따라서,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는 운전기사 단말(220)과 교통 정보 제공 장치(400)로 각각 해당 교통 약자가 안정하게 해당 차량에 탑승한 상태임을 알리는 통지한다(S25, S251).
이때, 사용자에 의해 보호자 단말(600)로의 알림 기능이 선택된 상태이면, 교통 정보 제공 장치(400)는 전화번호 등을 이용한 SNS 서비스 등을 통해 보호자 단말(600)로 교통 약자가 안전하게 교통 약자 탑승 예정 버스에 승차하였고, 교통 약자 하차 정류장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 등을 전송할 수 있다(S26).
다음,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400)로부터 전송되는 이번 정차 정류장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보조 장치(110)로 이번 정차 정류장의 정보를 전송한다(S27).
사용자 보조 장치(110)는 전송된 이번 정차 정류장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번 정차 정류장이 도착 안내 알림 시간(예, 교통 약자 하차 정류장 두 정류장 앞)에 의해 정해진 정차 정류장, 예를 들어, 교통 약자 하차 정류장을 기준으로 하여 두 정류장 전에 위치한 버스 정류장이면, 정보 출력부(116)를 이용하여 지정된 안내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교통 약자 승차 정류장이 가까워짐을 알리게 된다(S28). 이미 설명한 것처럼 알림 횟수는 도착 안내 알림 횟수에 따라 정해지고, 도착 안내 알림 횟수에 따라 도착 안내 알림 시점이 정해진다.
또한, 사용자 보조 장치(110)는 이번 정차 정류장이 교통 약자 하차 정류장인지 판단한다(S29).
이번 정차 정류장이 교통 약자 하차 정류장이면, 사용자 보조 장치(110)는 교통 약자가 탑승하고 있는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로 하차할 것임을 알려주는 하차 예정 상태를 전송한다(S210).
따라서,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는 해당 운전기사 단말(220)로 이번 정차 정류장에 하차할 교통 약자가 존재함을 통지하고(S211), 이로 인해, 운전기사 단말(220)은 정보 출력부를 통해 이번 정차 정류장에 하차할 교통 약자가 존재함을 알려준다(S212).
그런 다음, 운전기사 단말(220)이나 운전 기사는 하차벨을 교통 약자 대신 구동시켜 하차벨을 구동시키기 위한 교통 약자의 불편함을 줄여준다(S213).
이처럼, 운전 기사는 운전기사 단말(220)을 통해 출력되는 정보에 따라 이번 정차 정류장에서 교통 약자가 하차함을 알게 되어 해당 정차 정류장에서의 정차 시간을 통상 시보다 증가시키거나 교통 약자의 하차 동작을 도와주는 것 등과 같이 교통 약자가 안정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탑승자의 하차를 위해 개방된 버스 문의 닫힘 동작을 실시한 후,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400)에게 교통 약자가 안정적으로 원하는 정류장에서 하차하였음을 통지한다(S214).
따라서, 교통 정보 제공 장치(400)는 보호자 단말(600)로 교통 약자인 사용자가 무사히 교통 약자 하차 정류장에 하차를 완료한 상태를 알려준다(S215).
본 예에서, 교통 약자의 하차 상태를 인지하기 위해 버스 문의 닫힘 상태를 판정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교통 약자의 승차 확인을 위해 행해졌던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와 사용자 보조 장치(110) 간의 통신 동작을 이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즉,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에서 출력되는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정해진 시간 내에 사용자 보조 장치(110)로부터 전송되지 않는 경우, 버스 정보 안내 장치(210)는 교통 약자가 해당 정류장에서 하차한 상태로 판정하여, 하차 완료 상태를 운전기사 단말(220)과 교통 정보 제공 장치(40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교통 약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본 예의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은 교통 약자에서 교통 약자 승차 정류장에 무사히 도착했음을 알려주는 승차 정류장 도착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승차 정류장 도착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시각 장애인인 사용자나 보호자는 먼저 사용자 보조 장치(110)나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승차 정류장 도착 알림 서비스를 선택한다.
따라서, 사용자 보조 장치(110)나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승차 정류장 도착 알림 서비스가 선택된 상태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120)은 지리 정보 제공 장치(500)와의 통신을 통해 교통 약자가 안전하게 교통 약자 승차 정류장에 도착했음을 알려준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 보조 장치(110)로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S31), 이에 따라 사용자 보조 장치(110)은 위치 정보 획득부(112)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한다(S32, S33).
따라서, 사용자 단말(120)은 지리 정보 제공 장치(500)로 사용자 보조 장치(110)의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S34).
대안적인 예에서, 사용자 보조 장치(110)가 위치 정보 획득부(112)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120)은 자신의 위치 정보 획득부를 이용하여 획득한 위치 정보를 지리 정보 제공 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예의 지리 정보 제공 장치(400)는 버스 정류장을 중심으로 하여 정해진 범위 내의 영역을 버스 정류장 영역으로서 저장하고 있다.
이때, 버스 정류장 영역의 형태는 지도 상에 폴리곤(polygon) 형상으로 표시되는 폴리곤 형태의 면형 형태, 복수의 설정 위치(즉, 노드)를 선(즉, 링크)으로 연결하여 지도 상에 표시되는 선형 형태이거나 각 버스 정류장의 위치(즉, (x, y) 좌표)을 기준으로 하여 정해진 크기의 반경 범위의 영역으로 지도 상에 표시되는 점형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지리 정보 제공 장치(400)는 전송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보조 장치(110)의 위치가 버스 정류장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S35).
사용자 보조 장치(110)가 버스 정류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지리 정보 제공 장치(400)는 사용자 보조 장치(110)가 해당 버스 정류장에 도착한 상태로 판단한다.
따라서, 지리 정보 제공 장치(400)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사용자 보조 장치(110)로 교통 약자 승차 정류장 도착 완료 상태를 전송하고(S36, S37), 사용자 보조 장치(110)는 교통 약자 승차 정류장 도착 완료 상태가 전송되면 이미 지정된 알림 방식으로 해당 승차 정류장에 도착한 상태를 음성이나 진동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S38).
이로 인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교통약자 승차 정류장에 무시한 도착했음을 인지하여, 원하는 번호의 버스를 대기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사용자 장치부 110: 사용자 보조 장치
120: 사용자 단말 200: 차량 장치부
210: 버스 정보 안내 장치 220: 운전기사 단말
300: 버스 정류장 장치 400: 버스 정보 제공 장치
500: 지리 정보 제공 장치 600: 보호자 단말

Claims (16)

  1.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실시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 그리고
    상기 동작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 알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버스 정류장 장치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각 버스에 도착 예정 시간 중에서 교통 약자 승차 예정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을 추출하여, 상기 상태 알림부를 통해 상기 교통 약자 승차 예정 버스의 도착 예정 알림을 실시하는
    사용자 보조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부터 사용자 보조 장치 탐색 신호가 전송되면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가 사용자가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가 장착된 버스에 탑승한 상태를 상태를 알리고,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부터 이번 정차 정류장 정보를 전송 받아, 이번 정차 정류장이 교통 약자 하차 정류장이면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 하차 예정 상태를 전송하는
    사용자 보조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부터 이번 정차 정류장 정보를 전송 받으면 상기 상태 알림부를 통해 교통 약자 하차 정류장의 도착 예정 알림을 실시하는 사용자 보조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상태 알림부는 진동 발생기와 음성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는 사용자 보조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지리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사용자 보조 장치의 위치가 버스 정류장 영역 내에 위치한 상태를 전송 받으면 상기 상태 알림부를 통해 교통 약자 승차 정류장에 사용자가 도착한 상태를 알리는 사용자 보조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사용자 보조 장치는 지팡이, 휠체어 또는 보정 장치인 사용자 보조 장치.
  7. 버스에 장착되어 있는 버스 정보 안내 장치, 그리고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와 통신하는 운전기사 단말
    을 포함하고
    버스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교통 약자 탑승 정보를 전송 받은 버스 정보 안내 장치는 운전 기사 단말로 교통 약자 탑승 대기 상황을 전송하고,
    상기 운전기사 단말은 이번 장차 정류장에서 교통 약자 탑승 대기 상황을 운전기사에게 통지하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서,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는,
    이번 정차 정류장이 교통 약자 승차 정류장이면 사용자 보조 장치의 탐색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보조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교통 약자가 자신이 장착된 버스에 탑승한 상태로 판정하여 상기 교통 정보 제공 장치로 교통 약자 탑승 완료 상태를 전송하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9. 제7항에서,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는 사용자 보조 장치로 이번 정차 정류장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보조 장치로부터 이번 정류장에서 하차 예정 상태가 전송되면, 상기 운전기사 단말로 이번 정차 정류장에서 교통 약자 하차 예정 상태를 전송하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서,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는 사용자 보조 장치 탐색 신호를 전송한 후, 이에 대한 응답 신호가 정해진 시간 내에 사용자 보조 장치로부터 전송되지 않으면 교통 정보 제공 장치로 교통 약자 하차 완료 상태를 전송하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11. 제7항에서,
    상기 버스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각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과 이번 도착 버스 번호를 전송 받아 사용자 보조 장치로 각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을 전송하는 버스 정류장 장치
    를 더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12. 제11항에서,
    상기 버스 정류장 장치는 상기 사용자 보조 장치와 무선 근거리 통신으로 상기 각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을 전송하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13. 동작 제어부는 버스 정류장 장치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각 버스에 도착 예정 시간을 전송 받은 단계,
    상기 동작 제어부는 전송된 상기 각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 중에서 교통 약자 승차 예정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을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동작 제어부는 상태 알림부를 동작시켜 상기 교통 약자 승차 예정 버스의 도착 예정 알림을 실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보조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부터 사용자 보조 장치 탐색 신호가 전송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보조 장치 탐색 신호가 전송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보조 장치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가 장착된 버스에 탑승한 상태를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 알릴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부터 이번 정차 정류장 정보를 전송 받아, 이번 정차 정류장이 교통 약자 하차 정류장인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이번 정차 정류장이 교통 약자 하차 정류장이면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 하차 예정 상태를 정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보조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부터 이번 정차 정류장 정보를 전송 받으면 상기 상태 알림부를 통해 교통 약자 하차 정류장의 도착 예정 알림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보조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3항에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지리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사용자 보조 장치의 위치가 버스 정류장 영역 내에 위치한 상태를 전송받으면 상기 상태 알림부를 통해 교통 약자 승차 정류장에 사용자가 도착한 상태를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보조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70117441A 2017-09-13 2017-09-13 사용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143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441A KR102143596B1 (ko) 2017-09-13 2017-09-13 사용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441A KR102143596B1 (ko) 2017-09-13 2017-09-13 사용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271A true KR20190030271A (ko) 2019-03-22
KR102143596B1 KR102143596B1 (ko) 2020-08-12

Family

ID=65949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441A KR102143596B1 (ko) 2017-09-13 2017-09-13 사용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5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741A (ko) * 2020-03-20 2021-09-29 주식회사 한길에이치씨 버스 안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230033849A (ko) * 2021-09-02 2023-03-09 협동조합 작은시선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797B1 (ko) * 2021-08-04 2022-11-25 이훈희 정류장 관리 시스템 및 정류장을 관리하는 서버
AU2022333636A1 (en) * 2021-08-26 2024-03-07 Hailo Solutions Pty Ltd Vehicle interaction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863A (ko) * 2000-09-27 2002-04-03 양현택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JP2002310718A (ja) * 2001-04-13 2002-10-2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乗降案内方法およびシステムと乗降案内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697233B1 (ko) 2005-04-13 2007-03-22 김주현 시각 장애인을 위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KR101572548B1 (ko) * 2014-07-11 2015-11-27 (주)솔루션아이티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1592861B1 (ko) * 2014-12-24 2016-02-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적 약자를 위한 버스 승하차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66942A (ko) 2015-12-07 2017-06-15 (주)휴먼케어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863A (ko) * 2000-09-27 2002-04-03 양현택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JP2002310718A (ja) * 2001-04-13 2002-10-2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乗降案内方法およびシステムと乗降案内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697233B1 (ko) 2005-04-13 2007-03-22 김주현 시각 장애인을 위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KR101572548B1 (ko) * 2014-07-11 2015-11-27 (주)솔루션아이티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1592861B1 (ko) * 2014-12-24 2016-02-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적 약자를 위한 버스 승하차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66942A (ko) 2015-12-07 2017-06-15 (주)휴먼케어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741A (ko) * 2020-03-20 2021-09-29 주식회사 한길에이치씨 버스 안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230033849A (ko) * 2021-09-02 2023-03-09 협동조합 작은시선 장애인용 여행 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596B1 (ko) 202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0271A (ko) 사용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868321B1 (ko) 대중교통 스마트 승하차 관리시스템
JP7067441B2 (ja) 運行支援装置、車載装置、運行支援システム、運行支援方法及び運行支援プログラム
JP2007257463A (ja) 指向性音声案内システム及び指向性音声案内方法
KR101592861B1 (ko) 교통적 약자를 위한 버스 승하차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66942A (ko)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KR101197693B1 (ko) 센서노드와 연동되는 점자보도블럭의 정보 제공 시스템
JP2016201008A (ja) 車載端末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歩車間通信システム及び車両待ち合わせ方法
JP2012056576A (ja) 案内装置、案内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415861B2 (ja) 歩行者横断支援システム及び歩行者横断支援方法
CN111712863B (zh) 运行管理装置、运行管理方法以及运行管理***
KR101873489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차로 통행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26041B1 (ko)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안전 네비 방법
KR20180019870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길 안내 서비스 시스템
KR102000554B1 (ko) 통학 차량의 원생 관리 시스템
KR20180091429A (ko) 교통약자의 버스 이용을 지원하는 차량단말장치 및 방법
KR102285501B1 (ko)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시스템
JP2000000262A (ja) 視覚障害者用誘導案内システム
KR101834826B1 (ko) 비콘 신호 기반의 승하차 알림
KR101628146B1 (ko) 탑승자 피로도 기반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084446B1 (ko) 길 안내 장치 모듈
JP7162196B2 (ja) 歩行者装置、車載装置、情報収集システムおよび情報収集方法
JP2005056208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ナビゲーション方法
JP201008609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90051423A (ko)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