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145A - 고소작업차량의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차량의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145A
KR20190027145A KR1020170113836A KR20170113836A KR20190027145A KR 20190027145 A KR20190027145 A KR 20190027145A KR 1020170113836 A KR1020170113836 A KR 1020170113836A KR 20170113836 A KR20170113836 A KR 20170113836A KR 20190027145 A KR20190027145 A KR 20190027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fting
opening
closing door
elastic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일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태영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태영이엔지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태영이엔지
Priority to KR1020170113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7145A/ko
Publication of KR20190027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1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 상,하차용 고소작업차량의 리프트장치는 고소작업차량의 승강함의 경첩부에 90도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하측으로 개방된 공간부를 가진 개폐도어와 상기공간부의 개구부를 출입하면서 절첩 가능하도록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제1 및 제2신축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피스톤 로드가 횡 방향으로 작동하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구동실린더의 피스톤로드 단부에 구비되는 가동풀리와 상기 제1신축부재에 일단부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고 중간부는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는 제1고정풀리와 상기 가동풀리에 걸쳐진 후 타단부가 상기 공간부 일측벽에 고정되는 제1구동와이어와 상기 제2신축부재에 일단부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고 중간부는 상기 공간부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2고정풀리 및 리턴고정풀리를 거친 후 상기 가동풀리에 걸쳐진 다음 타단부가 상기 공간부 일측벽에 고정되는 제2구동와이어와 상기 제1 및 제2신축부재의 각 외측 단부에 힌지 조립되어 상기 피스톤로드의 작동 방향에 따라 당겨지고 풀리는 상기 제1 및 제2구동와이어에 의해 상기 개폐도어와 지면 사이에서 승,하강하는 승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따른 중량물 상,하차용 고소작업차량의 리프트장치에 따르면 고소작업차량의 승강함을 간편하게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게 되므로 고소작업차량를 개조하지 않는 방식이므로 저렴한 가격으로 리프팅장치를 고소작업차량에 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작은 동력으로 구동하는 유압실린더 로드의 짧은 수평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을 구동와이어와 복수의 풀리를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변화시켜 줌으로써 중량물이 실린 승강판을 지면과 승강함까지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초보자들도 중량물을 승강함으로부터 간편하고 안전하게 조작하면서 상,하차 시킬 수 있으므로 중량물 리프팅 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화물자의 동력을 구동력으로 하는 시간이 짧아져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고소작업차량의 리프트장치{lift system for high place operation car}
본 발명은 고소작업차량의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소작업차량의 적재함을 간편하게 교체 및 설치되게 이루어진 고소작업 승강기에 구비되는 승강판을 작은 동력으로 구동하는 실린더 로드의 짧은 직선 운동을 와이어와 신축부재에 의해 원거리의 수직 운동으로 변환시켜 승간판을 승강하도록 함으로써 초보자들도 중량물을 적재함으로부터 간편하고 안전하게 조작하면서 상,하차 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중량물 상,하차용 고소작업차량의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기는 지면과의 높이차가 커서 중량물을 사람이 적재함에 올리거나 적재함으로부터 내리기가 매우 힘든 실정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방식은 어떤 장치가 적재함의 후부에 장착되어 유압실린더로 작동되는 게이트판의 높이는 물론 경사도를 조정하여 적재장소 및 하역장소의 높이에 맞게 게이트판의 후단을 대치시켜놓을 수 있으므로 화물의 이동을 연속적으로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고소작업차량의 리프트 게이트는 출고된 고소작업차량 후방에 별도로 개조 작업에 의하여 리프트게이트를 추가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리프트게이트를 구동하는 구동실린더는 대부분 고출력의 유압실린더를 적어도 2개 이상 사용해야 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해지고 개조 비용이 많이 소요되었으며 리프트게이트 자중이 증가하여 차량의 연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리프트게이트 작동 중 스위치 등의 오동작으로 인하여 리프트게이트의 각도가 기울어지는 경우 중량물이 리프팅 하는 과정에서 떨어지는 경우 적재물이 파손되거나 작업자가 큰 부상을 당하게 되는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고소작업차량의 승강함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으면서 작은 동력으로 구동하는 실린더 로드의 짧은 직선 운동을 통하여 승강판을 지면과 적재함까지 승강시키도록 함으로써 초보자들도 중량물을 적재함으로부터 간편하고 안전하게 조작하면서 상,하차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중량물 상,하차용 고소작업차량의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중량물 상,하차용 고소작업차량의 리프트장치로 고소작업차량의 승강함의 경첩부에 90도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하측으로 개방된 공간부를 가진 개폐도어와 상기 공간부의 개구부를 출입하면서 절첩 가능하도록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제1 및 제2신축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피스톤 로드가 횡 방향으로 작동하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구동실린더의 피스톤로드 단부에 구비되는 가동풀리와 상기 제1신축부재에 일단부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고 중간부는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는 제1고정풀리와 상기 가동풀리에 걸쳐진 후 타단부가 상기 공간부 일측벽에 고정되는 제1구동와이어와 상기 제2신축부재에 일단부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고 중간부는 상기 공간부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2고정풀리 및 리턴고정풀리를 거친 후 상기 가동풀리에 걸쳐진 다음 타단부가 상기 공간부 일측벽에 고정되는 제2구동와이어와 상기 제1 및 제2신축부재의 각 외측 단부에 힌지 조립되어 상기 피스톤로드의 작동 방향에 따라 당겨지고 풀리는 상기 제1 및 제2구동와이어에 의해 상기 개폐도어와 지면 사이에서 승,하강하는 승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개폐도어 양측면에는 상기 적재함 측면도어와 상기 개폐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도어가 개방시 적재함 상면과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수평유지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신축부재는 상기 공간부 내에서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회동 링크와 상기 회동링크와 상기 승강판의 힌지부와 힌지 조립되어 상기 회동링크와 포개어지도록 절첩되는 절첩 링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구동와이어의 타단부는 상기 절첩링크에 각각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개폐도어 외측으로 상기 승강판 외형에 대응되게 형성된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승간판은 상기 승강판 상면과 상기 개폐도어 상면이 동일선상을 이루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중량물 상,하차용 고소작업차량의 리프트장치에 따르면 고소작업차량의 승강함을 간편하게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게 되고 고소작업차량을 개조하지 않는 방식이므로 저렴한 가격으로 리프팅장치를 고소작업차량에 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작은 동력으로 구동하는 유압실린더 로드의 짧은 수평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을 구동와이어와 복수의 풀리를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변화시켜 줌으로써 중량물이 실린 승강판을 지면과 적재함까지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초보자들도 중량물을 적재함으로부터 간편하고 안전하게 조작하면서 상,하차 시킬 수 있으므로 중량물 리프팅 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화물자의 동력을 구동력으로 하는 시간이 짧아져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중량물 상,하차용 고소작업차량의 리프트장치의 승강함 개념도.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상,하차용 고소작업차량의 리프트장치는 개폐도어(10), 제1신축부재(20) 및 제2신축부재(20,20'), 구동실린더(30), 가동풀리(32), 제1구동와이어(40) 및 제2구동와이어(40,40') 및 승강판(5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개폐도어(10)는 후방도어와 같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외형과 크기는 후방도어와 유사한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개폐도어(10) 일측에는 하측으로 개방된 공간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간부(11)는 상기 경첩부(3)쪽으로 치우지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실린더(30)가 횡 방향으로 장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개폐도어(10) 양측면에는 상기 적재함(2) 측면도어(4)를 연결하여 상기 개폐도어(10)가 개방시 승강함(2) 상면과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수평유지와이어(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유지와이어(12)는 금속재질의 와이어 또는 쇠사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평와이어의 일단부는 측면도어(4)에 마련된 고리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개폐도어(10) 양측면에 마련된 연결고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수평유지와이어(12)에 의하여 개폐도어(10)는 경첩부(3)를 기준으로 90도 각도로 회전된 후 승강함(2)의 바닥면(5)과 수평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중량물을 리프팅한 후 승강판(50)과 개폐도어(10) 및 승강함(2) 바닥면(5)이 평면을 유지하도록 한 후 리프팅된 중량물을 승강함(2)으로 옮기거나 내릴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신축부재(20) 및 제2신축부재(20')는 상기 공간부(11)의 개구부를 출입하면서 절첩 가능하도록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어 상기 승강판(50)과 연결됨으로써 제1 및 제2신축부재(20,20')의 신축 작동에 의해 승강판(50)이 개폐도어(10)와 지면 사이를 상,하로 왕복이동하는 것을 안내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신축부재(20,20')는 중량물을 운반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신축부재(20,20')는 상기 공간부(11) 내에서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회동링크(21)와 상기 회동링크(21)와 상기 승강판(50)의 힌지부(51)와 힌지 조립되어 상기 회동링크(21)와 포개어지도록 절첩되는 절첩링크(2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구동와이어(40,40')의 타단부는 상기 절첩링크(22)에 각각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회동링크(21)는 두 겹으로 이루어져 그 사이로 상기 절첩링크(22)가 출입할 수 있도록 일단부가 공간부(11)에 마련된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며 타단부는 상기 절첩링크(22)가 힌지 조립된다. 상기 절첩링크(22)는 낱장으로 이루어져 일단부가 상기한 바와 같이 회동링크(21)와 힌지 조립되며 타단부는 상기 승강판(50)의 힌지부(51)에 조립된다. 상기 구동실린더(30)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소작업차량(1)의 엔진 구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제어부에 의하여 피스톤로드(31)를 왕복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로드(31)는 상기 제1 및 제2신축부재(20,20') 사이에 설치되어 유압제어부에 의해 횡 방향으로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실린더(30)의 피스톤로드(31) 단부에는 가동풀리(32)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구성이다. 상기 제1구동와이어(40)는 다줄로 이루어진 금속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상기 제1신축부재(20)에 수직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연결되고, 중간부는 상기 공간부(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고정풀리(41)와 상기 가동풀리(32)에 걸쳐진 후 상기 공간부(11) 일측벽에 고정된다. 상기 제2구동와이어(40')는 제1구동와이어(40)와 같이 다줄로 이루어진 금속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신축부재(20')에 일단부가 수직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연결되며, 중간부는 상기 공간부(11)에 서로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고정풀리(42) 및 리턴고정풀리(43)를 거친 후 다시 상기 가동풀리(32)에 걸쳐진 다음 타단부가 상기 공간부(11) 일측벽에 고정된다. 상기 승강판(50)은 상기 제1 및 제2신축부재(20,20')의 각 외측 단부에 힌지 조립되어 상기 피스톤로드(31)의 작동 방향에 따라 당겨지고 풀리는 상기 제1 및 제2구동와이어(40,40')에 의해 상기 개폐도어(10)와 지면 사이에서 승,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승강판(50)은 중량물의 하중에 휘어지거나 변형되지 않는 두께를 가지는 금속판넬로 이루어진다. 다만 승강판(50)이 리프팅 되었을때 그 상면이 상기 개폐도어(10)의 상면과 승강함(2)의 바닥면(5)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즉, 승강판(50)이 개폐도어(10)와 포개어지는 구성보다는 상기 개폐도어(10) 외측으로 상기 승강판(50) 외형에 대응되게 형성된 수용부(13)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승간판은 리프팅 된 후 상기 수용부(13)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승강판(50) 상면과 상기 개폐도어(10) 상면과 승강함(2) 바닥면(5)과 동일 선상을 유지함으로써 중량물을 보다 용이하게 내리거나 옮겨 실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중량물 상,하차용 고소작업차량(1)의 리프트장치의 리프팅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후방도어 대신 장착된 개폐도어(10)를 수직상태에서 90도 회전시킨 후 수평유지와이어(12)를 이용하여 수평을 유지한다. 이때 개폐도어(10)의 상면과 승강함(2) 바닥면(5)과 승강판(50)의 상면은 동일 평면을 이루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실린더(30)를 작동시키면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던 피스톤 로드가 실린더 내부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가동풀리(32)에는 제1구동와이어(40)와 제2구동와이어(40')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풀리(32)가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 및 제2구동와이어(40,40')의 중간이 제1및제2고정풀리(41,42)에 각각 걸쳐 있는 상태이므로 제1 및 제2구동와이어(40,40')는 동시에 풀리는 상태가 되므로 승강판(50)이 지면까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신축부재(20,20')는 제1 및 제2구동와이어(40,40')가 풀리는 과정에서 접혀진 상태로 수납되어 있던 회동링크(21)와 절첩링크(22)가 직선 형태로 펼쳐지면서 승강판(50)이 안정된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천천히 하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중량물을 승강판(50)에 옮겨 놓는 것이며 승강판(50) 전방에 경사면이 형성된 경우에는 화물이 적재된 운반 카트를 경사면을 따라 승강판(50) 위에 한번에 올려 놓을 수 있어 매우 편리할 것이다. 상기 승강판(50)에 중량물이 얹혀진 상태에서 작업자는 구동실린더(30)를 반대 방향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피스톤로드(31)가 돌출된다. 이때 가동풀리(32)는 피스톤로드(31)의 진행 방향으로 제1및제2구동와이어(40,40')를 잡아 당기게 된다. 다만 제2구동와이어(40')는 리턴고정풀리(43)에 의해 제1구동와이어(40)와 같은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작용이 이루어짐으로써 승강판(50)이 기울어짐 없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되게 상승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승강판(50)은 회동링크(21)와 절첩링크(22)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고 그 지지된 상태는 절접링크 중간에 고정된 상기 제1 및 제2구동와이어(40,40')에 의하여 지지력을 유지하면서 승강판(50)과 중량물을 함께 개폐도어(10)의 수용부(13)까지 끌어 올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 승강함
3: 경첩부
4: 측면도어
5: 바닥면
10: 개폐도어
11: 공간부
12: 수평유지와이어
13: 승강판 상판
20: 제1신축부재
20': 제2신축부재
21: 회동링크
22: 절첩링크
30: 구동실린더
31: 피스톤로드
32: 가동풀리
40: 제1구동와이어
40': 제2구동와이어
41: 제1고정풀리
42: 제2고정풀리
43: 리턴고정풀리
50: 승강판 하판
51: 힌지부

Claims (3)

  1. 고소작업차량의 승강함의 경첩부에 90도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하측으로 개방된 공간부를 가진 개폐도어와 상기 공간부의 개구부를 출입하면서 절첩 가능하도록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제1 및 제2신축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신축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피스톤 로드가 횡 방향으로 작동하는 구동실린더의 피스톤로드 단부에 구비되는 가동풀리와 상기 제1신축부재에 일단부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고 중간부는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는 제1고정풀리와 상기 가동풀리에 걸쳐진 후 타단부가 상기 공간부 일측벽에 고정되는 제1구동와이어와 상기 제2신축부재에 일단부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고 중간부는 상기 공간부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2고정풀리 및 리턴고정풀리를 거친 후 상기 가동풀리에 걸쳐진 다음 타단부가 상기 공간부 일측벽에 고정되는 제2구동와이어와 상기 제1 및 제2신축부재의 각 외측 단부에 힌지 조립되어 상기 피스톤로드의 작동 방향에 따라 당겨지고 풀리는 상기 제1 및 제2구동와이어에 의해 상기 개폐도어와 지면 사이에서 승,하강하는 승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상,하차용 고소작업차량의 리프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 양측면에는 상기 승강함 측면도어와 상기 개폐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도어가 개방시 승강함 상면과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수평유지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상,하차용 고소작업차량의 리프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신축부재는 상기 공간부 내에서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회동링크와 상기 회동링크와 상기 승강판의 힌지부와 힌지 조립되어 상기 회동링크와 포개어지도록 절첩되는 절첩링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구동와이어의 타단부는 상기 절첩링크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상,하차용 고소작업차량의 리프트장치.
KR1020170113836A 2017-09-06 2017-09-06 고소작업차량의 리프트장치 KR201900271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836A KR20190027145A (ko) 2017-09-06 2017-09-06 고소작업차량의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836A KR20190027145A (ko) 2017-09-06 2017-09-06 고소작업차량의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145A true KR20190027145A (ko) 2019-03-14

Family

ID=6575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836A KR20190027145A (ko) 2017-09-06 2017-09-06 고소작업차량의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71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7654A (zh) * 2020-05-23 2020-08-18 绿建环境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防水防腐保温工程的升降平台
CN113550390A (zh) * 2021-07-27 2021-10-26 合肥鸿来厨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带盖水池及其加工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7654A (zh) * 2020-05-23 2020-08-18 绿建环境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防水防腐保温工程的升降平台
CN113550390A (zh) * 2021-07-27 2021-10-26 合肥鸿来厨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带盖水池及其加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9434A (ko)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US4252491A (en) Material lift platform
US4830147A (en) Jacking device
US9878676B2 (en) Lift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CA2943066C (en) Pick-up truck cargo lift system and method
US10481294B2 (en) Inspection system
US20200290852A1 (en) Tension driven scissor lift
CN103827015A (zh) 剪刀式升降台
KR101764396B1 (ko) 암롤트럭의 적재함 안전장치
US3371805A (en) Combined elevat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cargo platforms
KR20190027145A (ko) 고소작업차량의 리프트장치
KR101579685B1 (ko) 화물차량용 윙바디
KR102075795B1 (ko)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
JP3193459U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KR100790321B1 (ko) 슬라이드 적재프레임 구조
KR200340446Y1 (ko) 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
JP5856251B2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JP3140094U (ja) 油圧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リフタ装置
WO2016090418A1 (en) Gate lift
KR101851110B1 (ko) 차량용 2단 적재장치
JP2016222077A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
GB1600387A (en) Telescopic cantilever arm assembly with load levelling means
KR101407984B1 (ko) 리프터
JP4817846B2 (ja) 昇降装置
KR20210012895A (ko) 자동감응식 다용도 리프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