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209A - Electrochromism element and electrochromism device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ochromism element and electrochromism device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209A
KR20190026209A KR1020170112660A KR20170112660A KR20190026209A KR 20190026209 A KR20190026209 A KR 20190026209A KR 1020170112660 A KR1020170112660 A KR 1020170112660A KR 20170112660 A KR20170112660 A KR 20170112660A KR 20190026209 A KR20190026209 A KR 20190026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area
electrode
region
materi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6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78929B1 (en
Inventor
류지창
박진경
손문영
이인회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2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929B1/en
Publication of KR20190026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2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9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aused by electrodeposition, e.g. electrolytic deposition of an inorganic material on or close to an electro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63Operation of electrochromic cells, e.g. electrodeposition cells; Circuit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chromic element comprises: a first electrode layer connected to a first terminal; a first discoloration material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 electrolyt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discoloration material layer; a second discoloration material layer disposed on the electrolyte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discoloration material layer and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whose polarity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discoloration material layer and the second discoloration material layer are divided into a first discoloration area for displaying a first color and a second discoloration area for displaying a second color different from the first color. Each of the first discoloration area and the second discoloration area is divided into a display area and a background area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area and disposed in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area. When power is not applied,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background area in the first discoloration area is different from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background area in the second discoloration area.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yellowing of a transparent electrode and lower power consumption.

Description

전기변색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장치{ELECTROCHROMISM ELEMENT AND ELECTROCHROMISM DEVICE COMPRISING THE SAME}ELECTROCHROMISM ELEMENT AND ELECTROCHROMISM DEVICE COMPRISING THE SAME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chromic device,

본 발명은 전기변색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변색소자의 변색물질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chrom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coloration material layer of an electrochromic device.

전기변색(Electrochromism)이란 전압을 인가하면 전계방향에 의해 가역적으로 색상이 변하는 현상으로서, 이러한 특성을 지닌 전기화학적 산화환원반응에 의해서 재료의 광특성이 가역적으로 변할 수 있는 물질을 전기변색물질이라고 한다. 이러한 전기변색물질은 외부에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색을 띠지 않고 있다가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색을 띠게 되거나, 반대로 외부에서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색을 띠고 있다가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색이 소멸하는 특성을 가진다.Electrochromism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color reversibly changes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field when a voltage is applied. A substance capable of reversibly changing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by an electrochemical redox reaction having such characteristics is called an electrochromic material . Such an electrochromic material is not colored when an external electrical signal is not applied, is colored when an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or is colored when an external signal is not applied. The color disappears.

도1은 일반적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eneral electrochromic device.

도1을 참조하면, 전기변색소자(10)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투명기판(11) 및 제2 투명기판(12), 제1 투명기판(11) 및 제2 투명기판(12) 상에 각각 배치되며,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투명전극(13) 및 제2 투명전극(14), 제1 투명전극(13) 및 제2 투명전극(14)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제1 변색물질층(15), 제1 투명전극(13) 및 제2 투명전극(14) 중 나머지 하나에 배치되는 제2 변색물질층(16), 그리고 제1 변색물질층(15) 및 제2 변색물질층(16) 사이에 배치되는 전해질층(17)을 포함한다. 제1 투명전극(13) 및 제2 투명전극(14)은 각각 극성이 상이한 제1 단자부(18) 및 제2 단자부(19)에 연결되며, 제1 단자부(18) 및 제2 단자부(19)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는다. 제1 변색물질층(15), 제2 변색물질층(16) 및 전해질층(17)의 측면에는 실링부(20)가 더 배치될 수 있다.1, the electrochromic device 10 includes a first transparent substrate 11 and a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12, a first transparent substrate 11, and a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12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3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 that are disposed o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3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 and are disposed o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3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 A second color fading material layer 16 disposed on the other one of the material layer 15,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3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 and a first color fading material layer 15, And an electrolyte layer (17) disposed between the layers (16).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3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 ar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18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9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nd the first terminal portion 18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9, As shown in Fig. A sealing portion 20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5, the second color-change material layer 16, and the electrolyte layer 17.

전기변색소자는 ESL(electro shelf label) 등과 같이 특정부의 변색이 필요한 디스플레이,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대형 포스터 또는 안내판 등의 게시용 장치, 스마트 윈도우, 건축용 창유리, 자동차 미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차량용 썬루프, 스포츠 안경 등의 광투과도 또는 반사도를 조절하는 용도로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색변화뿐만 아니라 적외선 차단효과까지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에너지 절약형 제품으로의 응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큰 관심을 받고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is a display device such as an electro-shelf label (ESL) which requires discoloration of a specific part, a digital signage, a posting device such as a large poster or a sign board, a smart window, a building window glass, a car mirror, Sunglasses, sports glasses, and the like. Recently, it has been known that not only the color change in the visible light region but also the infrared ray blocking effect, there is a great interest in the application to the energy saving product .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변색소자의 변색물질층을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coloration layer of an electrochromic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변색소자는 제1 단자와 연결되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위에 배치되는 제1 변색물질층, 상기 제1 변색물질층 위에 배치된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 위에 배치되는 제2 변색물질층, 그리고 상기 제2 변색물질층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단자와 극성이 상이한 제2 단자와 연결되는 제2 전극층을 포함하며,상기 제1 변색물질층 및 상기 제2 변색물질층은 제1 색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1 변색영역 및 상기 제1 색상과 상이한 제2 색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2 변색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변색영역 및 상기 제2 변색영역 각각은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이격되며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되는 배경 영역으로 구분되고,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변색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배경 영역 간의 색차는 상기 제2 변색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배경 영역 간의 색차와 상이하다.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layer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a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 electrolyt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color-toning material layer, the second electrode layer being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having a different polarity from the first terminal, wherein the first color- The second color change material layer is divided into a first color change area for displaying a first color and a second color change area for displaying a second color different from the first color, and the first color change area and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Is divided into a display area and a background area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area and is arranged in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area, and in a state where power is not applied, the area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background area The color difference is different from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background area in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변색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배경 영역 간의 색차 및 상기 제2 변색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배경 영역 간의 색차 간의 차이는 CIE Lab 표색계에 따른 델타E 값을 기준으로 1이상 차이날 수 있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chrominance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background area in the first color change area and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background area in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in a state where the power source is not applied is calculated as a delta E value according to the CIE Lab colorimetric system May differ by at least 1 basis.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변색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배경 영역 간의 색차 및 상기 제2 변색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배경 영역 간의 색차 간의 차이는 CIE Lab 표색계에 따른 델타E 값을 기준으로 5이상 차이날 수 있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chrominance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background area in the first color change area and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background area in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in a state where the power source is not applied is calculated as a delta E value according to the CIE Lab colorimetric system The difference may be more than 5 by the standard.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변색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배경 영역 간의 색차 및 상기 제2 변색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배경 영역 간의 색차 간의 차이는 CIE Lab 표색계에 따른 델타E 값을 기준으로 10이상 차이날 수 있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chrominance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background area in the first color change area and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background area in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in a state where the power source is not applied is calculated as a delta E value according to the CIE Lab colorimetric system The difference may be 10 or more.

상기 제1 변색영역 내 표시 영역의 색좌표 a*는 음수이고, 상기 제2 변색영역 내 표시 영역의 색좌표 a*는 양수일 수 있다.The color coordinate a * of the display area in the first color fading area is negative and the color coordinate a * of the display area in the second color fading area can be positive.

상기 제1 변색물질층은 산화 시에 착색되고 환원 시에 탈색되는 제1 변색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변색 영역 내의 상기 제2 변색물질층은 산화 시에 탈색되고 환원 시에 착색되는 제2 변색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변색 영역 내의 상기 제2 변색물질층은 상기 제2 변색물질과 상이한 색상으로 착색되는 제3 변색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color fading material layer includes a first color fading material that is colored at the time of oxidation and discolored upon reduction, and the second color fading material layer in the first color fading region is discolored at the time of oxidation, And the second color fading material layer in the second color fading area may include a third color fading material that is colored in a different color from the second color fading material.

상기 제2 변색 영역 내의 상기 제1 변색물질은 미리 화학적으로 탈색처리될 수 있다.The first discoloration material in the second discoloration area may be chemically decolorized in advance.

상기 제1 변색물질은 Fe 이온, Ru 이온 및 Co 이온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변색물질은 WO3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변색물질은 상기 Fe 이온, Ru 이온 및 Co 이온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discoloration material comprises one of Fe ion, Ru ion and Co ion, the second discoloration material comprises WO 3 , and the third discoloration material comprises one of the Fe ion, Ru ion and Co ion . ≪ / RTI >

상기 제2 변색영역 내의 상기 제1 변색물질은 CO3-를 포함하는 용액에 의하여 탈색처리될 수 있다.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in the second color-change area may be decolorized by a solution containing CO 3 -.

상기 제 1 변색 영역 내의 상기 제1 변색물질층은 산화 시에 착색되고 환원 시에 탈색되는 제1 변색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변색물질층은 산화 시에 탈색되고 환원 시에 착색되는 제2 변색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변색 영역 내의 상기 제 1 변색물질층은 상기 제1 변색물질과 상이한 색상으로 착색되는 제 3 변색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in the first color-change area includes a first color-change material that is colored at the time of oxidation and decolorized at the time of reduction, and the second color-change material layer is a color- And the first color fading material layer in the second color fading area may include a third color fading material that is colored in a different color from the first color fading material.

상기 제1 변색 영역 및 상기 제2 변색 영역은 전기적으로 단락되며, 상기 제1 변색물질층은 산화 시에 착색되고 환원 시에 탈색되는 제1 변색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변색 영역 내의 상기 제2 변색물질층은 산화 시에 탈색되고 환원 시에 착색되는 제2 변색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변색 영역 내의 상기 제2 변색 물질층은 산화 시에 탈색되고 환원 시에 착색되는 제3 변색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color change area and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are electrically short-circuited, wherein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includes a first color-change material that is colored at the time of oxidation and decolorized at the time of reduction, The second color fading material layer in the second color fading area includes a third color fading material that is discolored at the time of oxidation and is colored at the time of reduction, . ≪ / RTI >

상기 제1 변색영역 상의 상기 제1 색상이 착색 및 탈색되는 빈도는 상기 제2 변색영역 상의 상기 제2 색상이 착색 및 탈색되는 빈도와 상이할 수 있다.The frequency with which the first hue on the first color change area is colored and discolored may differ from the frequency with which the second color on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is colored and discolored.

상기 제1 전극층에는 전극이격부가 형성되며,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배경 영역은 상기 전극이격부에 의하여 이격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layer may have an electrode spacing portion, and the display region and the background region may be spaced apart by the electrode spacing portion.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커넥터, 그리고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는 전기변색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제1 단자와 연결되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위에 배치되는 제1 변색물질층, 상기 제1 변색물질층 위에 배치된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 위에 배치되는 제2 변색물질층, 그리고 상기 제2 변색물질층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단자와 극성이 상이한 제2 단자와 연결되는 제2 전극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변색물질층 및 상기 제2 변색물질층은 제1 색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1 변색영역 및 상기 제1 색상과 상이한 제2 색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2 변색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변색영역 및 상기 제2 변색영역 각각은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이격되며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되는 배경 영역으로 구분되고,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변색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배경 영역 간의 색차는 상기 제2 변색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배경 영역 간의 색차와 상이하다.A circuit board disposed in the case,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nd an electrochromic device connected to the connector, wherein the electrochromic device includes a first electrode layer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A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disposed on the electrode layer, an electrolyt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a second color-change material layer disposed on the electrolyte layer, and a second color-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having a different polarity, wherein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and the second color-change material layer have a first color change region for displaying a first color and a second color change region for displaying a second color different from the first color, And a second color change area for displaying a color, wherein each of the first color change area and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is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area and the display area and disposed in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area Is separated by light areas, in a non-applied state of a power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background area in the first color transfer area is different from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background area in the second color transfer are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변색속도가 높고, 디스플레이되는 글씨, 숫자, 그림 등의 색상이 선명하게 구현되는 전기변색소자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a high rate of color change and clearly displaying colors such as letters, numbers, and pictures to be display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전극의 황변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yellowing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can be prevented, and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2가지 이상의 색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display two or more color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경 영역과 표시 영역이 구분되어야 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전기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electricity consumed can be reduced in an application in which the background area and the display area are separated.

도1은 일반적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전극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전극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기변색소자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기변색소자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에 대하여 전극이격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전극이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를 통하여 구현되는 표시 영역 및 배경 영역의 한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11의 표시 영역 및 배경 영역의 일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도 12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표시 영역의 변색을 나타낸다.
도 15는 하나의 화면 상에 두 가지 색상이 표시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6 내지 18은 도 15의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의 예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장치를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가 적용된 전자선반라벨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eneral electrochromic devic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us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us electr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cross section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cross section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Fig. 7 in detail.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forming an electrode spacing portion in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n electrode spacing portion formed by the method of FIG.
11 shows an example of a display area and a background area realized through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display area and the background area of Fig.
13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Fig. 14 shows discoloration of a display region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shows an example in which two colors are displayed on one screen.
16 to 18 are examples of cross-sectional views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of Fig.
19 shows an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illustrating an electronic shelf label system to which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he terms including ordinal, such as second, first,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들이 기판, 각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In describing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ach layer (film), area, pattern or structure may be referred to as being "on" or "under" a substrate, layer, Includes all that is formed directly or via another layer. The criteria for top / bottom or bottom / bottom of each layer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thickness or size of each layer (film), region, pattern or structure in the drawings may be modifi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us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100)는, 제1 기판(101), 제1 기판(101) 위에 배치되는 제1 전극층(102), 제1 전극층(102) 위에 배치되는 제1 변색물질층(103)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an electrochrom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bstrate 101, a first electrode layer 102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101, a first electrode layer 102, And a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disposed on the first color-

또한, 전기변색소자(100)는, 제1 변색물질층(103) 위에 배치되는 전해질층(104), 전해질층(104) 위에 배치되는 제2 변색물질층(105), 및 제2 변색물질층(105) 위에 배치되는 제2 전극층(10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변색물질층(103), 제2 변색물질층(105), 및 전해질층(104)의 측면에는 실링부(108)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층(106) 위에는 제2 기판(107)이 더 배치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further includes an electrolyte layer 104 disposed on the first color-imparting material layer 103, a second color-imparting material layer 105 disposed on the electrolyte layer 104,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106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105. A sealing portion 108 may further be dispos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the second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5, and the electrolyte layer 104. [ Further, a second substrate 107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또한, 제1 전극층(102)은 제1 단자와 연결되며, 제2 전극층(106)은 제1 단자와 극성이 상이한 제2 단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전극층(102) 및 제2 전극층(106)에는 각각 캐비티(cavity, C)가 형성되며, 캐비티 내에는 패드전극(109)이 배치되고, 제1 전극층(102) 및 제2 전극층(106)은 각각 패드전극(109)과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is connected to a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is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having a different polarity from the first terminal. A cavity C is formed in each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a pad electrode 109 is disposed in the cavity, and a first electrode layer 102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106, (106) may be connected to the pad electrode (109), respectively.

또는, 제1 기판(101)에 배치되는 제1 전극층(102)의 일부, 예를 들어 패드 전극이 배치되는 영역을 제거한 후, 제1 기판(101) 상에 패드전극(109)을 배치하고, 제1 전극층(102)과 패드전극(109)을 연결할 수도 있다. 또는, 제1 기판(101)에 배치되는 제1 전극층(102)의 일부를 제거한 후, 패드전극(109)의 일부는 제1 전극층(102) 상에 배치하고, 패드전극(109)의 나머지 일부는 제1 기판(101) 상에 배치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101, for example, a region where the pad electrode is disposed may be removed, the pad electrode 109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101,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and the pad electrode 109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 part of the pad electrode 109 is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pad electrode 109 is partially removed after part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101 is removed,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101.

이와 마찬가지로, 제2 기판(107)에 배치되는 제2 전극층(106)의 일부, 예를 들어 패드 전극이 배치되는 영역을 제거한 후, 제2 기판(107) 상에 패드전극(109)을 배치하고, 제2 전극층(106)과 패드전극(109)을 연결할 수도 있다. 또는, 제2 기판(107)에 배치되는 제2 전극층(106)의 일부를 제거한 후, 패드전극(109)의 일부는 제2 전극층(106) 상에 배치하고, 패드전극(109)의 나머지 일부는 제2 기판(107) 상에 배치할 수도 있다.Similarly, after removing a part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107, for example, a region where the pad electrode is disposed, the pad electrode 109 is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107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and the pad electrode 109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 part of the pad electrode 109 is disposed 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pad electrode 109 is partially removed after part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107 is removed,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107.

제1 기판(101) 및 제2 기판(107) 중 적어도 하나는 투과도(T%)가 98%이상인 투명 기판일 수 있으며, 유리, 플라스틱 또는 연성의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성의 고분자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bonate, 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BS),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 Sulfone, 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yclic Olefin Copolymer, COC), TAC(Triacetylcellulose) 필름,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필름,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필름,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substrate 101 and the second substrate 107 may be a transparent substrate having a transmittance (T%) of 98% or more, and may be glass, plastic, or a flexible polymer film. For example, the flexible polymer film may be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carbonate (PC),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BS), polymethylmethacrylate (PEN), Polyether Sulfone (PES), Cyclic Olefin Copolymer (COC), TAC (Triacetylcellulose) film, polyvinyl alcohol (PEN) A polyvinyl alcohol (PVA) film, a polyimide (PI) film, and polystyrene (P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극층(102)은 투명전극(250) 및 버스전극(200)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전극(250)은 제1 기판(101) 위에 배치되며, 버스전극(200)은 투명전극(25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may include a transparent electrode 250 and a bus electrode 200. The transparent electrode 25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101 and the bus electrode 200 may be disposed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250.

투명전극은 광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전기가 흐를 수 있는 투명 전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전도성 재료는,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FTO(Fluorine Tin Oxide), IZO(Indiun Zinc Oxide), 구리 산화물(tin oxide), 아연 산화물(zinc oxide), 티타늄 산화물(titanium oxide) 등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투명 전도성 재료는, 나노와이어, 감광성 나노와이어 필름, CNT(Carbon Nano Tube), 그래핀(graphene)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나노 파우더 합성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나노 파우더의 함량 제어를 통해 전기전도도를 확보하면서, 색 및 반사율 제어가 가능하다. 또는, 투명 전도성 재료는 크롬(Cr), 니켈(Ni),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몰리브덴(Mo), 금(Au), 티타늄(Ti)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투명전극은 각각은 필름 형상일 수 있으며, 빛에 대한 투과율이 80% 이상일 수 있다.The transparent electrode may comprise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capable of conducting electricity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transmission of light. Th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TO (Indium Tin Oxide), FTO (Fluorine Tin Oxide), IZO (indium zinc oxide), copper oxide, zinc oxide, Of a metal oxide. Alternatively, th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may comprise a nanofowder composition such as a nanowire, a photosensitive nanowire film, a carbon nanotube (CNT), a graphene, or a mixture thereof. He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lor and reflectance while securing the electric conductivity through controlling the content of the nano powder. Alternatively, th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r, Ni, Cu, Al, Ag, Mo, Au, Ti,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Each of the transparent electrodes may be in the form of a film, and the transmittance to light may be 80% or more.

버스전극(200)은 메쉬 형상 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선 형상일 수 있으며, 다양한 패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전극(200)은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The bus electrode 200 may have a mesh shape or a plurality of linear shap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may have various pattern shapes. The bus electrod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in FIG.

도 3에서는 평행하는 복수의 가로 전극과 평행하는 복수의 세로 전극이 거의 직각을 이루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행하는 복수의 가로 전극과 평행하는 복수의 세로 전극 간의 각도(θ)는 45˚ 내지 135˚일 수 있다. 평행하는 복수의 가로 전극과 평행하는 복수의 세로 전극 간의 각도(θ)가 이러한 수치 범위 이내인 경우, 무아레(moire)를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가로 전극 또는 복수의 세로 전극은 서로 평행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랜덤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In Fig. 3, a plurality of parallel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parallel electrodes parallel to each other are arranged at substantially right angl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 angle [theta] between a plurality of parallel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parallel electrodes parallel to the plurality of transverse electrodes may be 45 [deg.] To 135 [deg.]. Moire can be prevented when the angle [theta] between a plurality of parallel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parallel electrodes parallel to the horizontal electrodes is within this numerical range.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horizontal electrodes or the plurality of vertical electrodes may not be parallel to each other, or may be arranged at random.

또한, 버스전극(200)의 형상이 복수의 선, 격자, 무정형의 그물형에 관계 없이, 단위 면적 당 버스전극(200)은 실제로 0.4 % 내지 10 %의 면적을 차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ⅹ10mm2 내에서 버스전극(200)이 실제로 차지하는 면적은 0.4 내지 10mm2 일 수 있다. 버스전극(200)이 실제로 차지하는 면적이 0.4 % 미만일 경우에는 변색 속도 향상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또한, 버스전극(200)이 실제로 차지하는 면적이 10 %를 초과하면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s electrode 200 per unit area can actually occupy an area of 0.4% to 10%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bus electrode 200, regardless of a plurality of lines, meshes, and amorphous meshes. For example, the area actually occupied by the bus electrodes 200 in the 10ⅹ10mm 2 may be from 0.4 to 10mm 2. If the area occupied by the bus electrode 200 is less than 0.4%,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iscoloration rate may be insufficient. If the area actually occupied by the bus electrode 200 exceeds 10%, the visibility may be lowered.

버스전극(200)은 메쉬선(LA) 및 메쉬선 사이의 개구부(OA)를 포함할 수 있다. 메쉬선(LA)의 선폭은, 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일 수 있다. 메쉬선(LA)의 선폭이 0.1㎛ 미만이면, 제조 공정 상 어려움이 있거나, 메쉬선의 단락이 발생하기 쉽다. 메쉬선(LA)의 선폭이 10㎛를 초과하는 경우, 메쉬선(LA)이 외부에서 시인되어,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메쉬(LA)은 버스 전극과 혼용될 수 있다. 메쉬 개구부(OA)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쉬 개구부(OA)는 사각형, 다이아몬드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상 또는 원형 형상일 수 있다. 또는, 메쉬 개구부(OA)는 규칙적인(regular) 형상 또는 랜덤한(random) 형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메쉬 개구부(OA)는 개구와 혼용될 수 있다.The bus electrode 200 may include a mesh line LA and an opening OA between the mesh lines. The line width of the mesh line LA may be 0.1 mu m to 10 mu m, preferably 1 mu m to 8 mu m, more preferably 1 mu m to 5 mu m. If the line width of the mesh line LA is less than 0.1 mu m, there is a difficulty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short-circuiting of the mesh line is likely to occur. If the line width of the mesh line LA exceeds 10 mu m, the mesh line LA may b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outside, and the visibility may be deteriorated. In this specification, the mesh LA can be mixed with the bus electrode. The mesh openings OA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mesh opening OA may be a polygonal or circular shape such as a square, a diamond, a pentagon, a hexagon,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mesh opening OA can be a regular shape or a random shape. In this specification, the mesh opening (OA) can be mixed with the opening.

이와 같이, 버스전극(200)이 배치되면, 전기 변색 소자의 시인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변색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bus electrode 200 is disposed, the visibility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can be improved, and the discoloration rate can be improved.

또는 버스전극(200)은 도 4와 같이 다수의 원형 전극 및 이를 연결하는 선형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Or the bus electrode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ircular electrodes and a linear electrode connecting the circular electrodes as shown in FIG.

도 3과 같이 사각형일 경우 사각형의 지름은 5 내지 400 u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u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um일 수 있다.In case of a quadrilateral as shown in FIG. 3, the diameter of the quadrangle may be 5 to 400 .mu.m, preferably 10 to 100 .mu.m, more preferably 10 to 50 .mu.m.

도 4와 같이 다수의 원형 전극 및 이를 연결하는 선형 전극으로 이루어진 버스전극(200)의 경우, 원형 전극의 지름(d1)은 250 내지 350㎛ 일 수 있다. 또한, 원형 전극과 선형 전극의 어느 한 교차점과 이와 가장 가까운 원형 전극과 선형 전극의 어느 한 교차점 사이의 거리(d2)는 100 내지 200㎛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치 범위를 만족할 때 변색 속도가 빠르고 시인성이 우수한 버스 전극을 제공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in the case of the bus electrode 200 having a plurality of circular electrodes and a linear electrode connecting the circular electrodes, the diameter d1 of the circular electrode may be 250 to 350 μm. The distance (d 2 ) between any one of the intersection of the circular electrode and the linear electrode and the intersection of the closest circular electrode and the linear electrode may be 100 to 200 탆. When such a numerical range is satisfi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us electrode having a fast color change rate and excellent visibility.

뿐만 아니라, 미세한 패턴이 필요한 경우 원형 전극의 지름(d1)을 5 내지 400u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u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um로 작게 형성을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a fine pattern is required, the diameter d1 of the circular electrode may be formed to be 5 to 400 μm, preferably 10 to 100 μm, more preferably 10 to 50 μm.

메쉬 개구부(OA)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쉬 개구부(OA)는 사각형, 다이아몬드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상 또는 원형 형상일 수 있다. 또는, 메쉬 개구부(OA)는 규칙적인(regular) 형상 또는 랜덤한(random) 형상일 수 있다. 도 4에서, 원형 전극 및 선형 전극이 차지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개구를 이룰 수 있다.The mesh openings OA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mesh opening OA may be a polygonal or circular shape such as a square, a diamond, a pentagon, a hexagon,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mesh opening OA can be a regular shape or a random shape. In Fig. 4, the region excluding the area occupied by the circular electrode and the linear electrode can form an opening.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변색물질층(103)의 적어도 일부는 메쉬선 사이의 개구부(OA) 및 전극이격부(G) 내에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lor-decoloring material layer 103 may be disposed in the opening (OA) between the mesh lines and the electrode spacing G.

또한,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버스전극(200) 상에는 보호층(202)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202)은 버스전극(200)이 제1 변색물질층(103) 및/또는 전해질층(104)에 노출되는 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202)은 패시베이션층일 수 있으며, 버스전극(200)이 제1 변색물질층(103) 및/또는 전해질층(104)과 직접 접촉하여 산화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보호층(202)은 버스전극(200)에 포함되는 구리, 니켈, 은, 알루미늄, 티타늄 등을 미리 산화시킨 피막일 수 있으며, 도금, 증착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2, a protective layer 202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bus electrode 200. The passivation layer 202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surface on which the bus electrode 200 is exposed to the first color-imparting material layer 103 and / or the electrolyte layer 104. The passivation layer 202 may be a passivation layer and can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bus electrode 200 is oxidiz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color-imparting material layer 103 and / or the electrolyte layer 104. [ The passivation layer 202 may be a film formed by previously oxidizing copper, nickel, silver, aluminum, or titanium contained in the bus electrode 200, and may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plating and vapor deposition.

한편, 제1 전극층(102)에는 전극이격부(G)가 형성될 수 있다. 전극이격부(G)는 제1 전극층(102)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극이격부(G)를 사이에 둔 2 영역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극이격부(G)를 사이에 둔 2 영역은 서로 독립적으로 탈색 또는 착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may be provided with an electrode spacing G. The electrode spacing G may be formed by a method of remov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and the two regions sandwiching the electrode spacing G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two regions sandwiching the electrode spacing G can be discolored or color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전극이격부는 레이저 식각, 에칭, 기계적 식각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이격부(G)는 제1 기판(101) 위에 제1 전극층(102)을 배치한 후, 전극이격부(G)가 형성될 영역의 제1 전극층(102)을 레이저 식각에 의하여 제거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electrode spacing can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laser etching, etching, and mechanical etching. For example, after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is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101,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of the region where the electrode spacers G are to be formed is subjected to laser etching And then removing i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이격부(G)는 제1 기판(101) 위에 투명전극(250)을 배치하고, 투명전극(250) 위에 버스전극(200)을 배치한 후, 레이저 식각에 의하여 투명전극(250) 및 버스전극(200)을 제거하는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spacing G may be formed by disposing the transparent electrode 250 on the first substrate 101, arranging the bus electrode 200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250, The transparent electrode 250 and the bus electrode 200 may be removed.

한편, 제1 전극층(102) 및 제2 전극층(106)의 일 영역에는 제1 전극층(102) 및 제2 전극층(106)의 일부가 제거된 캐비티(cavity, C)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패드전극(109)은 캐비티(cavity, C)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전극층(102) 및 제2 전극층(106)과 접할 수 있다. 패드전극(109)은 제1 전극층(102) 및 제2 전극층(106)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A cavity C in which a part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are removed may be disposed in one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The pad electrode 109 may be positioned within the cavity C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The pad electrode 109 may supply power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또는, 제1 기판(101)에 배치되는 제1 전극층(102)의 일부, 예를 들어 패드 전극이 배치되는 영역을 제거한 후, 제1 기판(101) 상에 패드전극(109)을 배치하고, 제1 전극층(102)과 패드전극(109)을 연결할 수도 있다. 또는, 제1 기판(101)에 배치되는 제1 전극층(102)의 일부를 제거한 후, 패드전극(109)의 일부는 제1 전극층(102) 상에 배치하고, 패드전극(109)의 나머지 일부는 제1 기판(101) 상에 배치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101, for example, a region where the pad electrode is disposed may be removed, the pad electrode 109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101,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and the pad electrode 109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 part of the pad electrode 109 is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pad electrode 109 is partially removed after part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101 is removed,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101.

이와 마찬가지로, 제2 기판(107)에 배치되는 제2 전극층(106)의 일부, 예를 들어 패드 전극이 배치되는 영역을 제거한 후, 제2 기판(107) 상에 패드전극(109)을 배치하고, 제2 전극층(106)과 패드전극(109)을 연결할 수도 있다. 또는, 제2 기판(107)에 배치되는 제2 전극층(106)의 일부를 제거한 후, 패드전극(109)의 일부는 제2 전극층(106) 상에 배치하고, 패드전극(109)의 나머지 일부는 제2 기판(107) 상에 배치할 수도 있다.Similarly, after removing a part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107, for example, a region where the pad electrode is disposed, the pad electrode 109 is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107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and the pad electrode 109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 part of the pad electrode 109 is disposed 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pad electrode 109 is partially removed after part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107 is removed,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107.

그리고, 제1 변색물질층(103)은 제1 전극층(102)에 전극이격부(G)를 형성한 후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변색물질층(103)은 제1 전극층(102) 위 뿐만 아니라, 전극이격부(groove, G) 내에도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coloring material layer 103 may be disposed after the electrode separating portion G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so that the first coloring material layer 103 is separated from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 As well as within the electrode spacing groove (G).

또한, 제 1 변색물질층(103)은 전극이격부 내에 일부만 배치 될 수 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lor-toning material layer 103 may be disposed only partially in the electrode separating portion.

제1 변색물질층(103), 전해질층(104) 및 제2 변색물질층(105)은 전압을 가하면 색상이 변하는 전기변색 원리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의 전압 인가에 의해 가역적으로 색이 변하거나 투과율이 변하는 소자를 포함한다.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the electrolyte layer 104 and the second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5 are reversibly changed in color by application of an external voltage by using an electrochromic principle in which the color changes when a voltage is applied, And the like.

제1 변색물질층(103) 및 제2 변색물질층(105)은 변색 또는 소색 성능이 우수하고, 응답속도가 우수하며,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고, 메모리 효과가 있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변색물질층(103)은 산화반응을 하는 산화 변색층이고, 제2 변색물질층(105)은 환원반응을 하는 환원 변색층일 수 있다. 또는, 제1 변색물질층(103)은 환원반응을 하는 환원 변색층일 수 있고, 제2 변색물질층(105)은 산화반응을 하는 산화 변색층일 수 있다. The first color decoloring material layer 103 and the second color decoloring material layer 105 may include materials having excellent discoloration or decoloring performance, excellent response speed, durability, and memory effect. For example,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may be an oxidative discoloration layer that performs an oxidation reaction, and the second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5 may be a reduction discoloration layer that performs a reduction reaction. Alternatively,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may be a reducing color-changing layer that performs a reduction reaction, and the second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5 may be an oxidative discoloration layer that performs an oxidation reaction.

제1 변색물질층(103) 및 제2 변색물질층(105)은 유기계 변색물질 및 무기계 변색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변색물질은 전기화학적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하여 광흡수도가 변화하는 전기변색특성을 갖는 물질을 의미하며, 전압의 인가 여부 및 전압의 세기에 따라 가역적으로 전기변색물질의 전기 화학적 산화, 환원 현상이 일어나고, 이에 의하여 변색물질의 투명도 및 흡광도가 가역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유기계 변색물질은, 예를 들어 비올로겐, 안트라퀴논, 폴리피롤 및 폴리싸이오펜, 폴리안트라센, 폴리플루오렌, 폴리카바졸, 폴리페닐비닐렌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무기계 변색물질은, 예를 들어 텅스텐, 이리듐, 니켈, 바나듐, 몰리브덴, 망간, 티타튬, 세륨 및 니오븀의 산화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는, 변색물질은 프루시안 블루(Prussian blue, PB), 프루시안 블루 아날로그(PB analog, PBA)일 수도 있다. WO3는 환원 변색층에 포함되는 변색물질이고, PB는 산화 변색층에 포함되는 변색물질일 수 있다.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and the second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5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organic-based discoloration material and an inorganic-based discoloration materia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iscoloring substance means a substance having an electrochromic characteristic in which the light absorbance is changed by an electrochemical oxidation or reduction reaction, and reversibly changes the electrochemical oxidation of the electrochromic material depending on whether the voltage is applied or not, , A reduction phenomenon occurs, whereby the transparency and absorbance of the color-changing material can be reversibly changed. The organic discoloring materials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or example, violenes, anthraquinones, polypyrroles and polythiophenes, polyanthracenes, polyfluorenes, polycarbazoles, polyphenylvinylenes and derivatives thereof, The discoloring material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or example, oxides of tungsten, iridium, nickel, vanadium, molybdenum, manganese, titanium, cerium and niobium. Alternatively, the discoloring material may be Prussian blue (PB), PB analog (PBA). WO 3 is a discoloring substance included in the reducing discoloration layer, and PB is a discoloring substance included in the oxidative discoloring layer.

제1 변색물질층(103), 전해질층(104) 및 제2 변색물질층(105)의 총 두께는 10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일 수 있다. 제1 변색물질층(103), 전해질층(104) 및 제2 변색물질층(105)의 총 두께가 10㎛ 미만인 경우, 제1 전극층(102) 및 제2 전극층(106) 간의 맞닿음으로 인해 합선이 될 가능성이 있고, 제1 변색물질층(103), 전해질층(104) 및 제2 변색물질층(105)의 총 두께가 500㎛를 초과하는 경우, 전기전도도가 감소하여 반응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The total thickness of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the electrolyte layer 104 and the second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5 may be 10 to 500 탆, preferably 20 to 300 탆, more preferably 40 to 100 탆 have. When the total thickness of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the electrolyte layer 104 and the second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5 is less than 10 mu m, due to the abutment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If the total thickness of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the electrolyte layer 104 and the second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5 exceeds 500 mu m, the electrical conductivity decreases and the reaction rate becomes slow .

전해질층(104)은 높은 이온전도도, 우수한 내온성, 우수한 적층 밀착성을 갖는 젤, 고체 또는 액체 전해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해질 재료는, 예를 들어 PMMA(poly(methyl methacrylate)) 수지, PC(polycarbonate) 수지 또는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전해질층(104)은 이온성 액체 및 금속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온성 액체에 포함되는 양이온으로는 암모늄(ammonium), 이미다졸륨(imidazolium), 옥사졸륨(oxazolium), 피페리디늄(piperidinium), 피라지늄(pyrazinium), 피라졸륨(pyrazolium), 피리다지늄(pyridazinium), 피리디늄(pyridinium), 피리미디늄(pyrimidinium), 피롤리디늄, (pyrrolidinium), 피롤리늄(pyrrolinium), 피롤륨(pyrrolium), 티아졸륨(thiazolium), 트리아졸륨(triazolium) 등일 수 있으며, 음이온으로는 할로겐족, BF4 -, PF6 -, 설포네이트계[(SO2R)O]-, 이미드계[(SO2R)2N]-, 메티드계[(SO2R)3C]-등일 수 있다. 여기서, R은 할로겐족, CF3, C2F5 및 기타 전자쌍을 받을 수 있는 아릴 또는 알킬치환체일 수 있다. 그리고, 금속염은 리튬 이온일 수 있다. The electrolyte layer 104 may comprise a gel, solid or liquid electrolyte material having a high ionic conductivity, an excellent thermal resistance and an excellent laminate adhesion. The electrolyte material may include, for example, PMMA (poly (methyl methacrylate)) resin, PC (polycarbonate) resin, or acrylic resin. Alternatively, the electrolyte layer 104 may comprise an ionic liquid and a metal salt. Examples of the cation included in the ionic liquid include ammonium, imidazolium, oxazolium, piperidinium, pyrazinium, pyrazolium, pyridinium, Pyridazinium, pyridinium, pyrimidinium, pyrrolidinium, pyrrolinium, pyrrolium, thiazolium, triazolium, ), and the like, anions include halogen, BF 4 -, PF 6 - , a sulfonate-based [(SO 2 R) O] -, imide [(SO 2 R) 2 N ] -, methide based [(SO 2 R) 3 C] - , and the like. Where, R may be a halogen, CF 3, C 2 F 5, and other aryl or alkyl substituents that may be a pair of electrons. And, the metal salt may be lithium ion.

전해질층(104)이 이온성 액체 및 금속염을 포함할 경우, 이온성 액체의 낮은 증기압, 비가연성, 전기화학적 안정성 및 상온에서의 높은 이온전도도로 인하여 빠른 변색속도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When the electrolyte layer 104 contains an ionic liquid and a metal salt, it is possible to obtain a fast discoloration rate due to the low vapor pressure, non-flammability, electrochemical stability, and high ionic conductivity at room temperature of the ionic liquid.

전해질층(104)은 매트릭스를 제공하기 위한 고분자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온성 액체는 고분자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성 이온성 액체일 수 있다. 여기서, 반응성 이온성 액체는 양이온이 탄소 이중 결합 또는 탄소 삼중 결합을 가지는 이온성 액체일 수 있다. The electrolyte layer 104 may further comprise a polymer for providing a matrix, and the ionic liquid may be a reactive ionic liquid capable of reacting with the polymer. Here, the reactive ionic liquid may be an ionic liquid in which the cation has a carbon double bond or a carbon triple bon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기변색소자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4와 동일한 내용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will not be described.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전극층(102)은, 제1 기판(101) 위에 배치되는 수지층(210), 수지층(210)에 의하여 일부가 둘러싸이는 버스전극(200), 및 수지층(210)과 버스전극(200)위에 배치되는 투명전극(250)을 포함할 수 있다. 5,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includes a resin layer 210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101, a bus electrode 200 partially surrounded by the resin layer 210, and a resin layer 210 and a transparent electrode 250 disposed on the bus electrode 200.

버스전극(200)의 일부는 수지층(210)에 의하여 둘러싸이며, 한 면은 투명전극(250)의 한 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수지층(210)은 투과율이 95% 이상인 투명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수지층(210)은 폴리머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폴리머 수지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폴리머 수지일 수 있다. A portion of the bus electrode 200 is surrounded by the resin layer 210, and one surface of the bus electrode 200 may contact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250. At this time, a transparent resin having a transmittance of 95% or more can be used for the resin layer 210. The resin layer 210 may include a polymer resin, and the polymer resin may be, for example, a silicone-based polymer resin.

이때, 수지층(210) 내에는 기능성 필러가 분산될 수도 있다. 기능성 필러는, 예를 들어 UV 안정제일 수 있다. UV 안정제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벤조페논(hydroxy benzophonone) 및 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hydroxyphenyl benzotriazol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UV 안정제는 자외선을 흡수하거나, 자외선에 의해 분해된 자유 라디칼을 소멸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지층(210) 내에 UV 안정제가 분산되는 경우, 전기변색소자(100)가 자외선에 의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전기변색소자(100)의 변색물질층(150)이 비올로겐(viologen) 등과 같이 UV에 취약한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비올로겐의 분해를 막아 전기변색소자(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functional filler may be dispersed in the resin layer 210. The functional filler may be, for example, a UV stabilizer. The UV stabilizer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hydroxybenzophenone and hydroxyphenyl benzotriazole. These UV stabilizers can absorb ultraviolet light or can destroy free radicals decomposed by ultraviolet light. Accordingly, when the UV stabilizer is dispersed in the resin layer 2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from being deformed by ultraviolet rays. Particularly, when the coloring material layer 150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includes a substance that is vulnerable to UV, such as viologen, the degradation of the violol is prevented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전극(200)은 제1 기판(101)상에 수지층(210)을 코팅하고, 수지층(210) 내에 음각의 패턴을 형성하고, 음각의 패턴을 채운 후, IR(InfraRed) 광선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음각의 패턴은 구리(Cu), 니켈(Ni), 은(Ag), 알루미늄(Al) 및 티타늄(T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물질일 수 있다. The bus electrode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coating the resin layer 210 on the first substrate 101, forming a pattern of the embossed pattern in the resin layer 210, , And an IR (InfraRed) light beam. The engraved pattern may be a metallic material comprising at least one of copper (Cu), nickel (Ni), silver (Ag), aluminum (Al) and titanium (Ti).

여기서, 제1 전극층(102)에는 전극이격부(groove, G)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전극이격부(G)를 사이에 둔 2 영역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may be provided with an electrode gap G, and two regions sandwiching the electrode gap G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를 위하여, 수지층(210), 버스전극(200) 및 투명전극(250)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구조에서 전극이격부(G)가 형성되어야 할 영역을 따라 버스전극(200) 및 투명전극(250)을 제거하거나, 수지층(210), 버스전극(200) 및 투명전극(250)을 제거할 수 있다. 또는, 전극이격부(G)가 형성되어야 할 영역에는 버스전극(200)을 배치하지 않고, 수지층(210) 및 투명전극(250)만을 배치하며, 전극이격부(G)가 형성되어야 할 영역을 따라 투명전극(250)만을 제거할 수도 있다. The bus electrode 200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 250 are formed along the region where the electrode spacing G is to be formed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resin layer 210, the bus electrode 200,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 250 are sequentially arranged. , Or the resin layer 210, the bus electrode 200,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 250 may be removed. Alternatively, only the resin layer 210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 250 are disposed without providing the bus electrode 200 in the region where the electrode spacing G is to be formed, Only the transparent electrode 250 may be removed.

전술한 바와 같이, 전극이격부(G)는 레이저 식각, 에칭, 기계적 식각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de spacing G can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laser etching, etching, mechanical etching, and the like.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기변색소자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2 내지 5와 동일한 내용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6 shows a cross section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5 will not be described.

도 6을 참조하면, 제1 전극층(102)은 제1 기판(101) 위에 배치되는 버스전극(200) 및 버스전극(200) 위에 배치되는 투명전극(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투명전극(250)은 버스전극(200)을 둘러싸며, 제1 기판(101) 위 및 버스전극(200) 위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may include a bus electrode 200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101 and a transparent electrode 250 disposed on the bus electrode 200. At this time, the transparent electrode 250 surrounds the bus electrode 200 and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101 and the bus electrode 200.

그리고, 제1 전극층(102)에는 전극이격부(groove, G)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전극이격부(G)를 사이에 둔 2 영역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극이격부는 레이저 식각, 에칭, 기계적 식각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may be formed with an electrode groove G and two regions sandwiching the electrode spacing G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de spacing portion can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laser etching, etching, mechanical etching, and the like.

버스전극(200) 및 투명전극(250)을 배치한 후, 전극이격부(G)가 형성되어야 할 영역을 따라 버스전극(200) 및 투명전극(250)을 제거하거나, 투명전극(250)은 전체 면적에 대하여 배치하되 버스전극(200)은 전극이격부(G)가 형성되어야 할 영역을 제외하고 배치한 후, 전극이격부(G)가 형성되어야 할 영역을 따라 투명전극(250)을 제거할 수 있다. After the bus electrode 200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 250 are disposed, the bus electrode 200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 250 are removed along the region where the electrode spacing G is to be formed, The bus electrode 200 is disposed except for a region where the electrode spacing portion G is to be formed and then the transparent electrode 250 is removed along the region where the electrode spacing portion G is to be formed can do.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는 전기적으로 서로 단락된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며, 각 영역 별로 독립적으로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영역 별로 독립적으로 탈색 또는 착색 반응이 일어나거나, 또는 복수의 영역 중 일부는 독립적으로 탈색 또는 착색 반응이 일어나고 다른 일부는 탈색 또는 착색 반응이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egions electrically shorted to each other, and power can be independently applied to each region. Accordingly, a discoloration or coloring reaction may occur independently for each region, or a part of the plurality of regions may independently undergo discoloration or coloring reaction, and the other may not be discolored or colored. It is possible to display various information by using it.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일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FIG. 7 is a plan view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FIG.

도 7 내지 8을 참조하면, 전기변색소자(100)는 전극이격부(G)에 의하여 전극 영역(A1) 및 더미전극 영역(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극 영역(A1)은 글씨, 숫자, 그림 등으로 표시되는 영역이고, 더미전극 영역(A2)은 배경으로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전극 영역(A1)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으로, 변환 영역, 표시 영역 등과 혼용될 수 있고, 더미전극 영역(A2)은 배경 영역과 혼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 to 8,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may be divided into an electrode area A1 and a dummy electrode area A2 by an electrode spacing G. The electrode area A1 may be an area represented by a letter, a number, or a picture, and the dummy area A2 may be an area displayed by a background. The electrode region A1 is an area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can be mixed with a conversion region, a display region, and the like, and the dummy electrode region A2 can be mixed with a background region.

전극 영역(A1)은 복수의 분할 영역(A1-1, A1-2, ..., A1-n)을 포함하며, 복수의 분할 영역(A1-1, A1-2, ..., A1-n)은 서로 이격되며,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복수의 분할 영역(A1-1, A1-2, ..., A1-n)의 탈색 및 착색 조합에 따라 전극 영역(A1)은 다양한 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복수의 분할 영역(A1-1, A1-2, ..., A1-n)은 더미전극 영역(A2)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더미전극 영역(A2)은 복수의 분할 영역(A1-1, A1-2, ..., A1-n)에 의하여 둘러싸이거나, 복수의 분할 영역(A1-1, A1-2, ..., A1-n)은 더미전극 영역(A2)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분할 영역(A1-1, A1-2, ..., A1-n)에 의하여 표시되는 정보가 더미전극 영역(A2)의 배경에 의하여 선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The electrode region A1 includes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A1-1, A1-2, ..., A1-n and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A1-1, A1-2, ..., A1- 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an be driven independently. The electrode region A1 can expose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coloring and coloring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A1-1, A1-2, ..., A1-n. To this end,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A1-1, A1-2, ..., A1-n may be arranged around the dummy electrode region A2. That is, the dummy electrode area A2 is surrounded by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A1-1, A1-2, ..., A1-n, or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A1-1, A1-2, ., A1-n may be surrounded by the dummy electrode region A2. Thus, the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1-1, A1-2, ..., A1-n can be clearly displayed by the background of the dummy electrode area A2.

이때, 각 영역은 각 영역보다 폭이 좁은 배선 영역(W)으로 연장되고, 배선 영역(W)을 통하여 패드전극(109)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분할 영역(A1-1, A1-2, ..., A1-n) 각각은 복수의 분할 영역(A1-1, A1-2, ..., A1-n) 각각으로부터 연장된 배선부를 통하여 패드전극(109)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분할 영역(A1-1, A1-2, ..., A1-n)은 복수의 전극 영역(A1-1, A1-2, ..., A1-n)과 혼용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each region extends to a wiring region W having a width narrower than each region, and can be connected to the pad electrode 109 through the wiring region W. [ That is,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1-1, A1-2, ..., A1-n extends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1-1, A1-2, ..., A1-n And may be connected to the pad electrode 109 through the wiring portion.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A1-1, A1-2, ..., A1-n may be mixed with the plurality of electrode regions A1-1, A1-2, ..., A1-n have.

예를 들어, 각 분할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배선 영역(W)의 폭은 각 분할 영역의 폭의 1/3 내지 1/8일 수 있다. 배선 영역(W)의 폭이 각 분할 영역의 폭의 1/8배보다 작으면 배선 영역 내의 버스 전극이 끊어질 수 있으며, 1/3배보다 크면 분할 영역의 착색 시 배선 영역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배선 영역(w)의 폭은 버스 전극의 Mesh 개구 폭의 0.2배 이상 2배 이하, 0.4배 이상 1.5배 이하, 0.5배 이상 1.2배 이하 일 수 있다. 배선 영역(w)의 폭이 버스 전극의 Mesh 개구 폭의 0.2배 미만인 경우 배선 영역(W)에 버스 전극이 서로 단락이 되어 버스 전극이 역할을 수행 할 수 없고, 2배 초과일 경우 분할 영역의 착색시 배선 영역이 노출될 수 있다. A1은 전극부이고, A1과 패드전극(109)을 연결하는 배선 영역은 배선부라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idth of the wiring region W extending from each divided region may be 1/3 to 1/8 of the width of each divided region. If the width of the wiring region W is smaller than 1/8 times the width of each of the divided regions, the bus electrode in the wiring region may be broken. If the width is larger than 1/3 of the width of the divided regions, . The width of the wiring region w may be 0.2 times or more and 2 times or less, 0.4 times or more and 1.5 times or less, and 0.5 times or more and 1.2 times or less of the mesh opening width of the bus electrode. When the width of the wiring region w is less than 0.2 times the width of the mesh opening of the bus electrode, the bus electrodes are short-circuited to each other in the wiring region W, The wiring region may be exposed during coloring. A1 is an electrode portion, and a wiring region connecting A1 and the pad electrode 109 is a wiring portion.

이에 따라, 각 영역은 서로 독립적으로 변색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영역(A1)에서만 변색 반응이 일어나고, 더미전극 영역(A2)에서는 변색 반응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현되거나, 전극 영역(A1)과 더미전극 영역(A2)의 변색 반응이 독립적으로 일어나도록 구현되거나, 전극 영역(A1)을 이루는 복수의 분할 영역(A1-1, A1-2, ..., A1-n)의 변색 반응이 독립적으로 일어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전극 영역(A1)과 더미전극 영역(A2)의 변색 반응이 독립적으로 일어나도록 구현되는 경우, 더미전극 영역(A2)은 전극 영역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극이격부(G)는 복수의 전극 영역(A1, A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discoloration reaction can occur independently in each region. For example, a discoloration reaction occurs only in the electrode region A1 and a discoloration reaction does not occur in the dummy electrode region A2, or the discoloration reaction of the electrode region A1 and the dummy electrode region A2 occurs independently Or the discoloration reaction of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A1-1, A1-2, ..., A1-n constituting the electrode region A1 can be realized independently. When the discoloration reaction between the electrode region A1 and the dummy electrode region A2 is realized to occur independently, the dummy electrode region A2 may be an electrode region. Accordingly, the electrode spacing G can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electrode areas A1 and A2.

한편, 전극이격부(groove, G)의 선폭은 버스 전극의 Mesh 개구부의 폭 또는 Pitch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전극이격부(G)의 선폭은 버스 전극의 Mesh 개구부 폭의 0.1배 이상이고, 150um 이하, 바람직하게는 0.2배 이상 120u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배 이상 90um 이하일 수 있다. 전극이격부(G)의 선폭이 버스 전극 Mesh 개구부 폭의 0.1배 미만이면 전극 영역(A1)과 더미전극 영역(A2)이 전기적으로 단락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전극이격부(G)의 선폭이 150㎛를 초과하는 경우 정밀한 전극 영역(A1) 가공이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레이져 가공을 통해 전극이격부(G)를 형성할 경우 레이져 가공 능력에 따라 전극이격부(G)의 선폭이 달라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ne width of the electrode gap (G)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width or pitch of the mesh opening of the bus electrode. The line width of the electrode spacing portion G may be 0.1 times or more of the width of the mesh opening of the bus electrode, and may be 150um or less, preferably 0.2 times or more and 120um or less, more preferably 0.2 times or more and 90um or less. The electrode area A1 and the dummy electrode area A2 may not be electrically short-circuited if the line width of the electrode spacing G is less than 0.1 times the width of the bus electrode Mesh opening, Mu] m, it may be difficult to precisely process the electrode area A1. In addition, when the electrode spacing G is formed through the laser processing, the line width of the electrode spacing G may vary depending on the laser processing capability.

또한, 제1 전극층(102)의 일 끝단에 패드전극(109)이 배치되며 패드전극(109)은 제1 전극층(102) 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A pad electrode 109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and a pad electrode 109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에 대하여 전극이격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전극이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forming an electrode spacing portion in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an electrode spacing portion formed by the method of FIG.

도 9를 참조하면, 레이저를 이용하여 전극층이 패터닝될 수 있다. 즉, 전극 영역(A1)과 더미전극 영역(A2) 사이는 레이저에 의하여 타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극이격부(G)가 형성될 수 있고, 전극 영역(A1)과 더미전극 영역(A2)은 전기적으로 단락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극 영역(A1) 및 더미전극 영역(A2)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더미전극 영역(A2)에 전원이 인가되어 독립적으로 탈색 및 착색 반응을 하는 경우 더미전극 영역(A2)은 전극 영역(A2)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electrode layer may be patterned using a laser. That is, between the electrode area A1 and the dummy electrode area A2 can be punctured by a laser so that the electrode spacing G can be formed and the electrode area A1 and the dummy electrode area A2 can be formed, Can be electrically short-circui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dummy electrode region A2 to independently perform a decoloring and coloring reaction, the dummy electrode region Region A2 may be referred to as electrode region A2.

이를 위하여, 레이저의 스폿(spot)은 전극이격부(G)가 형성될 영역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극층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레이저의 스폿에 의하여 타공되는 홀(h)의 직경은 레이저의 가공 능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홀의 직경이 레이져 스폿의 0.5배 내지 3배 이하일 수 있다. 레이져 스폿의 0.5배인 경우 가공이 안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전극층이 쇼트가 발생할 수 있고, 3배 이상인 경우 전극 영역 간 간격이 넓어 미세한 부분을 변색시키기 위한 패턴을 표현 하기가 어렵다. 일반적으로 홀의 직경은 1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5㎛일 수 있다. 홀의 직경이 10um 미만일 경우 타공되는 직경이 작아 전극층이 쇼트가 발생 할 수 있고, 직경이 100um를 초과하는 경우 전극간 간격이 넓어 미세한 부분을 변색 시키기 위한 패턴을 표현하기가 어렵다. 레이저의 스폿(spot)이 전극이격부(G)가 형성될 영역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타공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나의 홀(h)의 소정 영역이 인접하여 타공되는 홀(h)의 소정 영역과 서로 겹쳐지도록 타공하여야 한다. 이는 레이저의 스폿의 주파수 및 속도 등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For this, a spot of the laser can be removed along the region where the electrode spacing G is to be formed, while the electrode layer is removed.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hole h punctured by the spot of the laser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capability of the laser. The diameter of the hole may be 0.5 to 3 times the diameter of the laser spot. In the case of 0.5 times the laser spot, the electrode layer may be short-circuited and the electrode layer may be short-circuited. In the case of 3 times or more, it is difficult to express the pattern for discoloring the fine portion because the interval between the electrode regions is wide. In general, the diameter of the hole may be 10 to 100 占 퐉, preferably 30 to 90 占 퐉, more preferably 50 to 85 占 퐉. When the diameter of the hole is less than 10 袖 m, the diameter of the perforated electrode is small, so that shorting may occur. When the diameter exceeds 100 袖 m, it is difficult to express a pattern for discoloring a fine portion. When a spot of the laser moves along an area where the electrode spacing G is to be formed, a hole h is formed in which a predetermined area of one hole h is punctured so as not to generate a non- So as to be overlapped with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ubstrate. This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d speed of the spot of the laser or the like.

한편, B영역과 같이 전극이격부(G)가 형성되는 영역이 직선이 아닌 경우, 예를 들어 소정 곡률을 가지는 곡선이거나, 각이 진 형상인 경우, 레이저의 스폿이 이동하는 방향이 바뀌어야 한다. 이때, 레이저의 스폿이 이동하는 방향이 급격히 바뀌어야 하는 경우, 레이저의 스폿이 충분히 조사되지 못할 수 있다. 레이저의 스폿이 조사되지 않은 영역은 전기적으로 단락되지 못하며, 이에 따라 제품의 불량이 초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gion where the electrode spacing G is formed is not a straight line, such as a B region, for example, a curved lin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or an angular shape, the direction in which the laser spot moves must be changed. At this time, if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pot of the laser must be changed rapidly, the spot of the laser may not be sufficiently irradiated. Areas where the laser spot is not irradiated are not electrically short-circuited, which may lead to defective products.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극이격부(G)가 형성되는 방향이 바뀌는 부분에서는 연장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전극이격부(G)의 연장선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전극이격부(G)의 연장선이 교차하도록 연장 패턴(300)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방향으로 형성되는 전극이격부(G)는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전극이격부(G)와의 교차점을 지나며 소정 길이만큼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an extension pattern may be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spacing portion G is formed is changed. For example, the extension pattern 300 may further be formed so that an extension of the electrode spacing G formed in one direction intersects with an extension of the electrode spacing G formed in the other direction. That is, the electrode spacing G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may extend beyond the intersection of the electrode spacing G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electrode spacing G by a predetermined length.

이러한 연장패턴(300)은 더미전극 영역(A2)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교차점에 대하여 적어도 2개의 연장패턴(300)이 형성될 수 있다. 더미전극 영역(A2)에 연장패턴(300)이 형성되더라도, 연장패턴(300)은 전극 영역(A1)을 단락시키지 않으므로, 연장패턴(300)은 더미패턴과 혼용될 수 있다. 이때, 연장패턴(300)은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패턴(300)의 길이는 적어도 홀(h)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즉,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스폿이 교차점을 지나갈 필요가 있다. This extended pattern 300 may be formed in the dummy electrode region A2 and at least two extended patterns 300 may be formed for one intersection. Even if the extension pattern 300 is formed in the dummy electrode area A2, the extension pattern 300 does not short the electrode area A1, so that the extension pattern 300 can be mixed with the dummy pattern. At this time, the extension pattern 30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traight line, a curve, a circle, an ellipse, and a polygon. The length of the elongated pattern 300 should be at least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h. That is, at least one laser spot needs to cross the intersection.

예를 들어, 연장패턴(300)의 길이(d4)는 전극이격부 폭의 3배 이하 일 수 있다. 연장패턴(300)의 길이가 전극이격부 폭의 3배를 초과하면 레이저 스폿의 이동 반경이 길어져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ength d4 of the elongated pattern 300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ree times the width of the electrode spacing. If the length of the elongated pattern 300 exceeds 3 times the width of the electrode spacing portion, the movement radius of the laser spot becomes long and productivity may be reduced.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레이저 식각으로 전극이격부(G)를 형성하는 경우, 전극이격부의 일부 영역에서는 투명전극(250)만이 제거되고 버스전극(200)의 일부가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 레이저에 의하여 가공된 후에도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는 버스전극(203)을 잔여 버스전극(203) 또는 잔여 버스전극부라 지칭한다. 잔여 버스전극(203)은 전극이격부(G) 밖의 버스전극(203)으로부터 연장되어 전극이격부(G) 내부에 일부 남아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즉, 버스전극(200)은 전극이격부(G)로부터 연장된 잔여 버스전극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잔여 버스전극부는 버스전극(200)의 일부일 수 있다. 잔여 버스전극(203)은 레이저와 투명전극(250), 레이저와 버스전극(200) 사이의 반응성 차이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잔여 버스전극(203)은 전극이격부의 외부로 향하는 수축력이 존재하여 투명전극(250)이 레이저에 용융 제거 된 후 재응고 되는 과정에서 다시 접합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전극 영역(A1)과 더미전극 영역(A2)을 안정적으로 단락 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when the electrode spacing G is formed by laser etching, only the transparent electrode 250 may be removed and a part of the bus electrode 200 may not be removed in a part of the electrode spacing. Hereinafter, the remaining bus electrode 203 is referred to as the remaining bus electrode 203 or the remaining bus electrode portion even after being processed by the laser. The remaining bus electrode 203 may be shaped to extend from the bus electrode 203 outside the electrode spacing G and partially remain in the electrode spacing G. [ That is, the bus electrode 200 may further include a remaining bus electrode portion extending from the electrode spacing portion G, and the remaining bus electrode portion may be a portion of the bus electrode 200. The remaining bus electrodes 203 may be formed by the difference in reactivity between the laser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 250 and between the laser and the bus electrode 200. The residual bus electrode 203 prevents the transparent electrode 250 from being rejoined in the process of melting and removing the transparent electrode 250 after the laser has been removed due to the shrinking force directed toward the outside of the electrode spacing portion 203, (A2) can be stably short-circuited.

여기서, 전극이격부 내에 남아 있는 잔여 버스전극(203)의 길이(d3)는 1nm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nm 내지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1nm 내지 5㎛일 수 있다. 잔여 버스전극(203)의 길이가 1nm 미만이면 제1 전극이 재접합되어 더미전극 영역(A2)과 전극 영역(A1)이 단락되지 않을 수 있으며, 20㎛ 초과인 경우 잔여 버스 전극에 의하여 더미전극 영역(A2)과 전극 영역(A1)이 단락되지 않을 수 있다.Here, the length d3 of the remaining bus electrode 203 remaining in the electrode spacing portion may be 1 nm to 20 占 퐉, preferably 1 nm to 15 占 퐉, and more preferably 1 nm to 5 占 퐉. If the length of the remaining bus electrode 203 is less than 1 nm, the first electrode may be re-bonded so that the dummy electrode region A2 and the electrode region A1 may not be short-circuited. The region A2 and the electrode region A1 may not be short-circuited.

또한, 잔여 버스 전극의 길이(d3)는 전극이격부 (G)의 폭의 1/2보다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d3 of the remaining bus electrodes may be smaller than 1/2 of the width of the electrode spacing G.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는 문자, 숫자, 기호, 그림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의 배경이 되는 배경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표시 영역과 배경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극층의 전극이격부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Meanwhile,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vided into a display area for displaying characters, numbers, symbols, pictures, and the like, and a background area that is a background of the display area, It is possible to operate independently by the electrode separating portion of the electrode layer as shown in FIG.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를 통하여 구현되는 표시 영역 및 배경 영역의 한 예를 나타내며, 도 12는 도 11의 표시 영역 및 배경 영역의 일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FIG. 11 shows an example of a display area and a background area realized through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display area and background area of FIG.

도 11(a) 내지 (b)를 참조하면, 표시 영역(1100) 및 배경 영역(1110)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표시 영역(1100)은 전술한 전극 영역(A1)에 대응할 수 있고, 배경 영역(1110)은 전술한 더미전극 영역(A2)에 대응할 수 있다. 이때, 배경 영역(1110)의 면적은 표시 영역(1100)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영역(1100) 및 배경 영역(1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극층에 형성된 전극이격부(G)에 의하여 구분될 수 있다. 표시 영역(1100)은 복수의 분할 영역(1100-1, 1100-2, ..., 1100-n)을 포함하며, 복수의 분할 영역(1100-1, 1100-2, ..., 1100-n)은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되며, 독립적으로 탈색 및 착색될 수 있다. 복수의 분할 영역(1100-1, 1100-2, ..., 1100-n)은 도 9 내지 10에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레이저에 의하여 패터닝될 수 있다. 복수의 분할 영역(1100-1, 1100-2, ..., 1100-n)의 탈색 및 착색 조합에 따라, 표시 영역(1100)은 다양한 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11 (a) to 11 (b), the display area 1100 and the background area 11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display region 1100 may correspond to the electrode region A1 described above and the background region 1110 may correspond to the dummy electrode region A2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area of the background area 1110 may be wider than the area of the display area 1100. The display region 1100 and the background region 1110 may be separated by the electrode spacing G formed in the electrode layer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area 1100 includes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1100-1, 1100-2, ..., 1100-n and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1100-1, 1100-2, ..., 1100- n are electrically shorted to each other and can be independently decolorized and colored.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1100-1, 1100-2, ..., 1100-n may be patterned by a laser, as described above in Figures 9-10. The display area 1100 can expose various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coloring and coloring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1100-1, 1100-2, ..., 1100-n.

배경 영역(1110)은 착색된 표시 영역(1100)을 보다 선명하게 드러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색상을 지속적으로 노출할 수 있다.The background area 1110 may continuously expose a predetermined color to make the colored display area 1100 appear more clearly.

표시 영역(1100)은 배경 영역(1110)에 비하여 탈색 및 착색 과정이 빈번하게 행하여질 수 있으므로, 변환 영역이라 칭할 수도 있다.The display area 1100 may be referred to as a conversion area because the coloring and coloring process can be frequently performed as compared with the background area 1110.

복수의 분할 영역(1100-1, 1100-2, ..., 1100-n)을 따라 패터닝된 전극층에 변색물질층 및 전해질층을 코팅한 경우,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1100) 및 배경 영역(1110)은 모두 변색물질층이 가지는 고유의 색상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1 변색물질층(103)이 Fe 이온을 포함하는 변색물질, 예를 들어 프루시안 블루를 포함하고, 제2 변색물질층(105)이 WO3를 포함하는 경우,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프루시안 블루는 블루 계열의 색상을 가지고, 전원이 인가된 경우 탈색되어 투명하게 변색되며, WO3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투명하고, 전원이 인가된 경우 블루 계열의 색상으로 변색된다. 이에 따라, 전원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표시 영역(1100) 및 배경 영역(1110)은 모두 블루 계열의 색상을 나타낼 수 있고, 제1 전극층(102) 측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고, 제2 전극층(106) 측에만 전원을 인가한 경우 제 1 변색물질은 블루 계열의 색상을 띄고, 제2 변색 물질도 블루 계열의 색상을 띔으로 좀더 강한 블루 색을 표현 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제1 전극층(102) 측에는 전원을 인가하고, 제2 전극층(106) 측에는 역전원을 인가한 경우, 제1 변색물질은 투명하게 변색되고, 제2 변색물질도 투명하게 바뀌므로, 투명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When the coloring material layer and the electrolyte layer are coated on the electrode layer patterned along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1100-1, 1100-2, ..., 1100-n, as shown in Fig. 11 (a) The background region 1100 and the background region 1110 all exhibit the intrinsic color of the coloring material layer. For example, if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includes a color-changing material including Fe ions, for example, Prussian blue, and the second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5 includes WO 3 , , Prussian blue has a blue-based color, and when the power is applied, it discolors and discolors transparently. WO3 is transparent when power is not applied, and discolored to a blue-based color when power is applied do. The display area 1100 and the background area 1110 can all display a blue color without applying a power source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2 106), the first discoloration material has a blue color, and the second discoloration material has a blue color, so that a stronger blue color can be expressed. Then,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side again and a reverse power is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side, the first color fading material is transparent and the second color fading material is also transparent, Colors can be displayed.

이러한 경우, 투명 색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제2 전극층(106) 측에 역전원을 계속적으로 가해줘야 한다. 이에 따라, 소비 전력이 높아 전기 소모량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maintain the transparent color, a reverse power must be continuously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side.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is increased due to high power consumption.

한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복수의 분할 영역(1100-1, 1100-2, ..., 1100-n) 중 일부를 착색시키고, 복수의 분할 영역(1100-1, 1100-2, ..., 1100-n) 중 나머지 일부 및 배경 영역(1110)을 탈색시킨 경우, 소정의 문자, 숫자, 그림, 기호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변색물질층(103)이 Fe 이온을 포함하는 변색물질, 예를 들어 프루시안 블루를 포함하고, 제2 변색물질층(105)이 WO3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분할 영역(1100-1, 1100-2, ..., 1100-n) 중 일부에 대하여 제1 변색물질층(103)을 산화시키고 제2 변색물질층(105)을 환원시키며, 복수의 분할 영역(1100-1, 1100-2, ..., 1100-n) 중 나머지 일부 및 배경 영역(1110)에 대하여 제1 변색물질층(103)을 환원시키고 제2 변색물질층(105)을 산화시키면,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는 선명한 블루 계열의 색상으로 표시되고, 배경은 투명 또는 기판의 색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display information, a part of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1100-1, 1100-2, ..., 1100-n is colored, and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1100-1, 1100-2, , 1100-n, and the background area 1110 are discolored, predetermined characters, numbers, pictures, symbols,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includes a color-changing material including Fe ions, for example, Prussian blue, and the second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5 includes WO 3 , The first color fading material layer 103 is oxidized and the second color fading material layer 105 is reduced with respect to a part of the regions 1100-1, 1100-2, ..., 1100-n, When the first color-decoloring material layer 103 is reduced and the second color-decoloring material layer 105 is oxidized with respect to the rest of the background areas 1100-1, 1100-2, ..., 1100-n and the background area 1110,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is displayed in a vivid blue-based color, and the background may appear as a transparent or substrate color.

다만, 일반적으로, 복수의 분할 영역(1100-1, 1100-2, ..., 1100-n)의 탈색 및 착색 조합은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가 바뀜에 따라 빈번하게 바뀔 수 있지만, 배경 영역(1110)은 지속적으로 탈색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복수의 분할 영역(1100-1, 1100-2, ..., 1100-n) 중 착색시키고자 하는 일부에 인가되는 전압과 반대 극성의 전압을 지속적으로 인가하여야 한다.However, in general, the decoloring and coloring combinations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1100-1, 1100-2, ..., 1100-n may be changed frequently as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changes, ) Must continuously maintain a decolorized state. For this purpose, a voltage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applied to a part of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1100-1, 1100-2, ..., 1100-n to be colored Continuously appro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경 영역(1110)에 소정의 전압을 지속적으로 인가하지 않고도 배경 색상을 유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영역(1100), 즉 전극 영역(A1) 및 배경 영역(1110), 즉 더미전극 영역(A2) 모두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표시 영역(1100), 즉 전극 영역(A1)의 투과율과 배경 영역(1110), 즉 더미전극 영역(A2)의 투과율이 상이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영역(1100), 즉 전극 영역(A1) 및 배경 영역(1110), 즉 더미전극 영역(A2) 모두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표시 영역(1100), 즉 전극 영역(A1)의 색좌표와 배경 영역(1110), 즉 더미전극 영역(A2)의 색좌표가 상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irable to maintain the background color without continuously applying a predetermined voltage to the background area 1110. [ For th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not applied to both the display region 1100, that is, the electrode region A1 and the background region 1110, that is, the dummy electrode region A2, 1100, that is, the transmissivity of the electrode region A1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background region 1110, that is, the dummy electrode region A2. Alternative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not applied to both the display region 1100, that is, the electrode region A1 and the background region 1110, that is, the dummy electrode region A2, , That is, the color coordinate of the electrode region A1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background region 1110, that is, the dummy electrode region A2.

예를 들어, 표시 영역(1100) 및 배경 영역(1110) 모두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경 영역(1110)의 투과율이 표시 영역(1100)의 투과율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경 영역(1110)에서의 투과율이 표시 영역(1100)에서의 투과율의 1.5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배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영역(1100)은 배경 영역(1110)으로부터 더욱 선명하게 구분될 수 있다.The transmittance of the background region 1110 may be larger than the transmittance of the display region 1100 in a state where power is not applied to both the display region 1100 and the background region 1110. [ Preferably, the transmittance in the background region 1110 may be at least 1.5 times, more preferably at least twice, the transmittance in the display region 1100. Accordingly, the display area 1100 can be mo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background area 1110.

이를 위하여,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 영역(1100) 상의 제1 변색물질층(103)은 변색, 즉 전원의 인가에 따라 탈색 및 착색이 일어나고, 배경 영역(1110) 상의 제1 변색물질층(103)은 변색이 일어나지 않는다. 즉, 배경 영역(1110) 상의 제1 전극층(102) 측에 전원을 인가하는 경우 및 인가하지 않는 경우 모두 배경 영역(1110) 상의 제1 변색물질층(103)은 투명한 색상을 나타낸다.12,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on the display area 1100 is discolored or discolored due to the application of power, and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not shown) on the background area 1110 103 do not cause discoloration. That is,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on the background region 1110 exhibits a transparent hue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on the background region 1110 or when the power is not applied.

이를 위하여, 배경 영역(1110) 상의 제1 변색물질층(103)은 미리 화학적으로 탈색처리될 수 있다. 화학적 탈색은, 제1 전극층(102) 및 제1 변색물질층(103)을 적층한 후, 표시 영역(1100)을 마스킹하고, 배경 영역(1110)을 탈색 용액에 노출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탈색 용액은 알칼리 용액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변색물질층(103)이 프루시안 블루를 포함하는 경우, 프루시안 블루에 포함되는 Fe 이온이 Fe2 + 상태가 되면 투명해지고, Fe3 + 상태가 되면 블루 계열의 색상으로 변색한다. 만약, 프루시안 블루를 알칼리 용액, 예를 들어 CO3 -를 포함하는 용액에 노출시키면, Fe2 +는 Fe3 + 으로 바뀔 수가 없고, 항상 투명한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배경 영역(1110) 상의 제1 변색물질층(103)은 전원의 인가에 관계없이 변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표시 영역(1100), 즉 전극 영역(A1) 및 배경 영역(1110), 즉 더미전극 영역(A2) 모두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표시 영역(1100), 즉 전극 영역(A1)의 투과율 및/또는 색좌표와 배경 영역(1110), 즉 더미전극 영역(A2)의 투과율 및/또는 색좌표가 상이할 수 있다. 즉, 배경 영역(1110) 상의 제1 변색물질층(103-2)을 미리 화학적으로 탈색처리한 경우,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표시 영역(1100)은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을 경우 제1 변색물질층(103)의 제1 변색물질이 가지는 고유한 색상 및 제2 변색물질층(105)이 가지는 고유한 색상을 나타내고, 배경 영역(1110)은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을 경우 제2 변색물질층(105)이 가지는 고유한 색상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1 변색물질층(103)의 제1 변색물질은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투명이 아닌, 소정의 고유한 색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변색물질층(105)의 제2 변색물질은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투명한 경우,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표시 영역(1100)은 제1 변색물질층(103)의 제1 변색물질이 가지는 고유한 색상을 나타내고, 배경 영역(1110)은 투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표시 영역(1100), 즉 전극 영역(A1)의 투과율은 1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일 수 있고, 배경 영역(1100), 즉 더미전극 영역(A2)의 투과율은 4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0%일 수 있다. 그리고,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표시 영역(1100), 즉 전극 영역(A1)의 색좌표(L*)는 60 내지 89,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5,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일 수 있고, 배경 영역(1100), 즉 더미전극 영역(A2)의 색좌표는 90 내지 99, 바람직하게는 92 내지 97, 더욱 바람직하게는 94 내지 96일 수 있다. To this end,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on the background region 1110 may be previously chemically decolorized. The chemical decolorization can be performed by a method of laminat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and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masking the display area 1100, and exposing the background area 1110 to the decolorizing solution . For example, the decoloring solution may be an alkali solution.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includes Prussian blue, when the Fe ions contained in Prussian blue become Fe 2 + state, they become transparent. When the Fe 3 + state becomes blue, Discolor. If prussian blue is exposed to a solution containing an alkaline solution, for example, CO 3 - , Fe 2 + can not be converted to Fe 3 + and remains transparent all the time. Accordingly,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on the background region 1110 is not discolored irrespective of the application of power. In this manner, in the display region 1100, that is, in the state where no power is applied to the display region 1100, that is, the electrode region A1 and the background region 1110, that is, the dummy electrode region A2, And / or the color coordinates of the background region 1110, i.e., the transmittance and / or the color coordinates of the dummy electrode region A2 may be different. That is, when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2 on the background region 1110 is chemically decolorized in advance, when power is not applied to the display region 1100 in the state where power is not applied, The inherent hue of the first color fading material of the layer 103 and the inherent hue of the second color fading material layer 105 and the background area 1110 indicates that the second color fading material layer 105 ) Has a unique color. For example, the first color fading material of the first color fading material layer 103 may have a predetermined inherent color, not transparent, in the absence of power application, In a state where the power source is not applied and the power source is not applied, the display region 1100 shows a unique color of the first color fading material of the first color fading material layer 103, and the background region 1110) may be transparent. Accordingly, in the state that the power source is not applied, the transmittance of the display region 1100, that is, the electrode region A1 may be 1 to 50%, preferably 10 to 40%, more preferably 15 to 30% The transmittance of the background region 1100, that is, the dummy electrode region A2 may be 40 to 90%, preferably 50 to 80%, more preferably 55 to 70%. The color coordinate L * of the display region 1100, that is, the electrode region A1 may be 60 to 89, preferably 65 to 85, more preferably 70 to 80, in a state in which no power is applied , The background region 1100, that is, the dummy electrode region A2 may have a color coordinate of 90 to 99, preferably 92 to 97, and more preferably 94 to 96. [

표 1은 제1 변색물질층(103)이 프루시안 블루를 포함하고, 제2 변색물질층(105)이 WO3를 포함하는 구조에서, 배경 영역(1110)을 탈색처리한 후 투과율 및 색좌표를 측정한 결과이다. Table 1 shows the transmittance and the color coordinates of the background region 1110 after decolorizing the background region 1110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includes Prussian blue and the second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5 includes WO 3 .

전원 미인가시Power source 배경 영역Background area 표시 영역Display area 투과율Transmittance 60%60% 20%20% L*L * 9595 78.7278.72 a*a * 0.70.7 -8.13-8.13 b*b * 2.52.5 -15.98-15.98

여기서, 투과율(%)은 입사되는 빛에 대하여, 각 영역을 투과하는 빛의 비율을 의미한다. 그리고, 색좌표는 L*, a* 및 b*에 의하여 나타낼 수 있으며, L* 값은 밝기를 나타내고, a*와 b*는 색상과 채도를 표시하는 색도를 나타낸다. 특히, a*는 빨강과 초록 중 어느 쪽으로 치우쳤는지를 나타내며, b*는 노랑과 파랑 중 어느 쪽으로 치우쳤는지를 나타낸다. L*가 0에 가까울수록 검은색에 가까워지며, L*가 100에 가까울수록 흰색에 가까워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a*가 음수이면 초록에 가까운 색이며, a*가 양수이면 빨강에 가까운 색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b*가 음수이면 파랑에 가까운 색이며, b*가 양수이면 노랑에 가까운 색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transmittance (%) means the ratio of light passing through each region with respect to incident light. The color coordinates can be represented by L *, a * and b *, the L * value indicates brightness, and a * and b * indicate chromaticity indicating color and saturation. In particular, a * indicates whether it is shifted to red or green, and b * indicates whether it is shifted to yellow or blue. The closer L * is to zero, the closer to black, and the closer L * to 100, the closer it is to white. If a * is negative, the color is close to green. If a * is positive, it can mean red. If b * is negative, it is close to blue. If b * is positive, it is close to yellow.

이를 통해서 제2 변색물질층(105)은 변색을 하는 전극 영역 및 탈색이 된 배경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배경 영역의 경우 제 1 변색 물질 및 제 2 변색 물질이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모두 투명함을 유지 할 수 있어, 배경 영역을 투명하게 하기 위한 전력을 소모할 필요가 없어진다.Through this, the second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5 can form an electrode region that discolors and a background region that has discolored. That is, in the case of the background region, the first and second color fading materials can be kept transparent in a state where power is not applied, so that it is unnecessary to consume power for making the background region transparent.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극층(106)도 표시 영역(1100), 그리고 표시 영역(1100)과 전기적으로 단락된 배경 영역(1110)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좀 더 선명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제1 전극층(102)의 표시 영역(1100) 및 제2 전극층(106)의 표시 영역(1100)은 서로 대칭하도록 배치되고, 제1 전극층(102)의 배경 영역(1110) 및 제2 전극층(106)의 배경 영역(1110)은 서로 대칭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변색물질층(105)에 포함되는 제2 변색물질이 WO3를 포함하는 경우, WO3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나, 산화 상태에서는 투명하고, 환원되면 블루 계열의 색상으로 변색된다. 제2 전극층(106)이 표시 영역(1100)과 배경 영역(1110)으로 단락되어 있지 않을 경우, 표시 영역(1100)을 통하여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제1 전극층(102)의 표시 영역(1100)을 산화시키고, 제2 전극층(106)을 환원시키게 되면, 배경 영역(1110)도 블루 계열의 색상을 띌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제2 변색물질층(105)이 이온저장층의 역할만을 수행하고, 산화 및 환원 여부에 따라 변색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전극층(106)이 단락되지 않을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may be divided into a display region 1100 and a background region 1110 electrically short-circuited with the display region 1100, Colors can be implemented. The display region 1100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and the display region 1100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and the background region 111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May be arrang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second color-change material included in the second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5 includes WO 3 , the WO 3 is transparent in the state where the power is not applied or oxidized, and when the second color- . When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is not short-circuited to the display region 1100 and the background region 1110, the display region 1100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is formed If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is oxidized and reduced, the background region 1110 may also be colored blue. However,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may not be short-circuited if the second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5 functions only as an ion storage layer and is not discolored due to oxidation or reduction.

도 12에서 도 12(a)는 제1 기판(101) 상에 투명전극(250)이 배치되고, 투명전극(250) 상에 버스전극(200)이 양각으로 형성되는 제1 전극층(102)의 구조를 나타내고, 도 12(b)는 제1 기판(101) 상에 수지층(210)이 배치되며, 수지층(210)에 형성된 음각의 패턴 내에 버스전극(200)이 채워지며, 버스전극(200) 상에 투명전극(250)이 배치되는 제1 전극층(102)의 구조를 나타내며, 도 12(c)는 제1 기판(101) 상에 버스전극(200)이 양각으로 배치되며, 버스전극(200) 및 제1 기판(101) 상에 투명전극(250)이 배치되는 제1 전극층(102)의 구조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12(a), (b) 및 (c)는 모두 제1 전극층(102)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의 제2 전극층(106)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전극층(102) 및 제2 전극층(106)은 다양한 조합을 가질 수 있고, 제2 전극층(106)에는 버스전극이 배치되지 않는 구조로도 구현될 수 있다.12A through 12G illustrate an example of a structure in which a transparent electrode 250 is disposed on a first substrate 101 and a first electrode layer 102 in which a bus electrode 200 is formed on a transparent electrode 250 12B shows a structure in which a resin layer 210 is disposed on a first substrate 101 and a bus electrode 200 is filled in a pattern of an obtuse angle formed in the resin layer 210, 12 (c) shows a structure of the bus electrode 200 on the first substrate 101 in a positive angle, and the bus electrode 200 i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01. The bus electrode 200 i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01,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on which the transparent electrode 250 is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101 and the first substrate 101. FIG. 12 (a), 12 (b) and 12 (c) are shown to have a second electrode layer 106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electrode layer 102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may have various combinations and the bus electrode may not be disposed in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경 영역(1110)은 전원 인가에 관계없이 변색되지 않으므로, 배경 영역(1110)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이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ckground region 1110 is not discolored regardless of the application of power, the wiring for supplying power to the background region 1110 may not be connected.

한편,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전극 영역(A1) 및 더미전극 영역(A2) 사이, 즉 표시 영역(1100) 및 배경 영역(1110) 사이의 전극이격부(G)내에도 제1 변색물질층(103)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변색 물질층(103)을 제 1 기판(101) 상에 전면으로 형성한 후 별도로 패터닝하는 공정이 없어짐으로 공정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loring material layer 103 (also referred to as the first coloring material layer 103) is formed in the electrode spacing G between the electrode area A1 and the dummy electrode area A2, that is, between the display area 1100 and the background area 1110 May be disposed. As a result, the process of forming the first coloring material layer 103 on the first substrate 101 as a whole and then patterning the first coloring material layer 103 separately is eliminated, thereby improving the process efficiency.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이격부(G) 내에 배치된 제1 변색물질층(103)도 항상 투명한 상태일 수 있다. 전극이격부(G)는 전극이 삭제된 영역으로, 항상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전극이격부(G) 내의 제1 변색물질층(103)을 미리 화학적으로 탈색처리하지 않으면, 전극이격부(G) 내의 제1 변색물질층(103)은 제1 변색물질층(103)에 포함된 변색물질이 가지는 고유한 색상을 항상 띄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변색물질층(103)이 프루시안 블루를 포함하는 경우, 전극이격부(G) 내의 제1 변색물질층(103)을 미리 화학적으로 탈색처리하지 않으면, 전극이격부(G) 내의 제1 변색물질층(103)은 항상 블루 계열의 색상을 띄게 된다. 이는 노이즈가 될 수 있으며, 선명하게 정보를 표시하는데 장애가 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3,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disposed in the electrode spacing G may be always in a transparent state. The electrode spacing G is an area where the electrodes are removed, and no voltage is always applied. Accordingly, if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in the electrode separating portion G is not chemically decolorized beforehand,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in the electrode separator G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 Of the coloring material contained in the coloring material.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lor-imparting material layer 103 includes Prussian blue, if the first color-changing material layer 103 in the electrode separating portion G is not chemically decolorized in advance, the electrode separating portion G The coloring material layer 103 of the first coloring material layer 103 is always blue-colored. This may be noise, and it may be an obstacle to displaying information clearly.

또한, 전극이격부(G) 내에 배치된 제1 변색물질층(103)과 마찬가지로, 표시 영역(1100) 상의 제1 변색물질층(103)의 일부, 예를 들어 표시 영역(1100)의 가장자리로부터 표시 영역(1100)의 폭 길이에 대하여 전극 이격부(d)폭의 10% 내지 100%만큼도 미리 화학적으로 탈색처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영역(1100)의 가장자리 부근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항상 블루 계열의 색상으로 남아있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A part of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on the display area 1100, for example, the edge of the display area 1100, may be removed from the edge of the display area 1100 in the same way as the first color- It can be chemically decolorized by 10% to 100% of the width of the electrode spacing d with respect to the width of the display area 1100. [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power source is not applied near the edge of the display area 1100 and the blue color is always left.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표시 영역의 변색을 나타낸다. 도 14(a)는 표시 영역의 착색을 위하여 표시 영역에 전원을 인가한 경우를 나타내고, 도 14(b)는 표시 영역의 탈색을 위하여 표시 영역에 전원을 인가한 경우를 나타내며, 도 14(c)는 표시 영역 및 배경 영역 모두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Fig. 14 shows discoloration of a display region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 shows a case where power is applied to the display region for coloring the display region, Fig. 14 (b) shows a case where power is applied to the display region for coloring the display region, ) Indicates a case where power is not applied to both the display area and the background area.

도 14를 참조하면, 배경 영역(1110), 즉 더미전극 영역(A2)에 배치되는 제1 변색물질층(103)의 제 1 변색물질 및 제2 변색물질층(105)의 제 2 변색물질 중 적어도 하나는 부분적으로 화학적으로 미리 탈색처리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 1 변색물질층(103)의 배경 영역(1110)을 화학적으로 탈색 처리 하였다. 14, the first color fading material of the first color fading material layer 103 disposed in the background area 1110, that is, the dummy electrode area A2, and the second color fading material of the second color fading material layer 105 At least one is partially chemically discolored in advanc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ckground region 1110 of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is chemically decolorized.

본 실시예는 제 1 변색물질로 프루시안 블루를 사용하고, 제 2 변색물질로 WO3를 사용하여 도 12(a)와 같이 제작한 후 test 해 본 결과이다. 전원이 미인가된 상태에서 프루시안 블루는 블루색상을 가지고, WO3는 투명 색상을 가진다. 반면 제1 전극층(102)과 제2 전극층(106) 사이에 전위차가 생기면 프루시안 블루는 투명색을 가지고, WO3는 블루색상을 가진다. This example is a result of testing using prussian blue as the first color discoloration material and WO 3 as the second color discoloration material as shown in FIG. 12 (a). Prussian blue has a blue color and WO 3 has a transparent color when the power source is left untouched. On the other hand, when a potential difference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Prussian blue has a transparent color and WO 3 has a blue color.

도 14(a)의 경우 표시 영역(1100)의 전위차를 +3V로 하여(예, 제1 전극층: 0V, 제2 전극층: 3V) 제1 변색 물질인 프루시안 블루를 블루색상으로 유지시키고, 제2 변색물질인 WO3를 블루 색상으로 착색시켜 강한 블루 색상의 "8"자를 형성하였다. 반면, 배경 영역(1110)에는 전원을 인가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배경 영역(1110)의 제1 변색 물질인 프루시안 블루가 블루 색상을 유지해야 하나 미리 화학적으로 탈색을 진행하였기에 투명한 상태를 가지며, 제2 변색 물질인 WO3도 역시 투명한 상태를 가지고 있어, 배경 영역(1110)에 전원을 주지 않아도 전극 영역의 "8"자를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In Fig. 14A, the potential difference of the display region 1100 is set to + 3V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layer is 0V, the second electrode layer is 3V), the prussian blue, which is the first color fading material, 2 color change material WO 3 was colored in blue to form a strong blue "8" character. On the other hand, no power is applied to the background region 1110. As a result, Prussian blue, which is the first color fading material of the background area 1110, has a blue color, but has a transparent state because it chemically decolorizes in advance, and WO 3 , which is a second color fading material, also has a transparent state Quot; 8 " of the electrode region can be clearly identified even if power is not applied to the background region 1110. [

도 14(b)의 경우 표시 영역(1100)의 전위차를 -3V로 하여(예, 제1 전극층: 3V, 제2 전극층: 0V) 제 1 변색 물질인 프루시안 블루를 투명 색상으로 변색시키고, 제2 변색물질인 WO3는 투명 색상으로 유지시켜 전체적으로 투명하도록 형성하였다. In Fig. 14 (b), the potential difference of the display region 1100 is set to -3 V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layer: 3 V, the second electrode layer: 0 V) WO 3 , a two-color change material, was formed in a transparent color so as to be totally transparent.

한편, 도 14(c)의 경우, 표시 영역(1100) 및 배경 영역(1110) 모두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이다. 전원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표시 영역(1100)의 제1 변색물질인 프루시안 블루는 블루 계열의 색상을 가지며, 제2 변색물질인 WO3는 투명하므로, 표시 영역(1100)은 도 14(a)보다는 옅은 블루 계열의 색상을 나타낸다. 이에 반해, 배경 영역(1100)의 제1 변색물질이 프루시안 블루일지라도, 미리 탈색된 상태이므로, 전원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배경 영역(1100)은 투명하게 나타난다. 즉, 도 14(c)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는 전원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표시 영역(1100)의 투과율 및/또는 색좌표와 배경 영역(1110)의 투과율 및/또는 색좌표가 상이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는 전원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표시 영역(1100)은 블루 계열의 색좌표를 가지며, 배경 영역(1110)은 투명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IG. 14 (c), power is not applied to both the display area 1100 and the background area 1110. In the state where the power source is not applied, Prussian blue, which is the first color fading material in the display area 1100, has a blue-based color and WO 3, which is the second color fading material, is transparent, ) Rather than the blue color.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first color fading material of the background region 1100 is prussian blue, the background region 1100 appears transparent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not applied since the color fading is preliminarily discolored. 14C,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transmittance and / or the color coordinates of the display area 1100 and the transmittance and / or transmittance of the background area 1110, Or the color coordinates are different. For example,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region 1100 has a blue color coordinate and the background region 1110 is transparent in a state in which no power is applied.

종래 기술과 같이 프루시안 블루의 더미 전극 영역, 즉 배경 영역(1110)에 탈색을 해두지 않았다면 도 14(a)의 경우 더미 전극 영역이 도 14(c)의 전극 영역과 같이 옅은 블루 계열의 색상을 유지 하게 되고, 전극 영역, 즉 표시 영역(1100)은 강한 블루색의 "8"자를 형성함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보다"8"자를 선명하게 표현하지 못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8"자를 선명하게 표현하기 위해 더미 전극 영역을 투명하게 유지 하기 위해서는 더미 전극 부분에도 지속적인 전원이 인가되어 전위차를 유지해야 함으로 전력 소모가 많아 진다. 14 (a), if the dummy electrode region of the Prussian blue, that is, the background region 1110, is not decolorized as in the prior art, the dummy electrode region becomes a pale blue color Quot ;, and the electrode region, i.e., the display region 1100, forms a strong blue color " 8 ", so that the " 8 " In addition,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dummy electrode region in a transparent state in order to express the " 8 " character clearly, continuous power is applied to the dummy electrode portion to maintain the potential difference.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영역(1100), 즉 전극 영역(A1)의 정보(예, "8"자)를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배경 영역(1110), 즉 더미전극 영역(A2)에 지속적으로 전원을 인가하지 않고도 항상 투명 색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area 1100, that is, the information (e.g., " 8 " character) of the electrode area A1 can be clearly expressed and the background area 1110, A2) can be kept in a transparent color at all times without constant power supply.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는 하나의 화면 상에 두 가지 이상의 색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two or more colors on one screen.

도 15는 하나의 화면 상에 두 가지 색상이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며, 도 16 내지 18은 도 15의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의 예이다. Fig. 15 shows an example in which two colors are displayed on one screen, and Figs. 16 to 18 are examples of cross-sectional views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of Fig.

도 15를 참조하면, 전기변색소자(100)는 제1 색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1 변색영역(500) 및 제1 색상과 상이한 제2 색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2 변색영역(60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변색 영역(500)은 블루 계열의 색상으로 착색되고, 제2 변색 영역(600)은 레드 계열의 색상으로 착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is divided into a first color change area 500 for displaying a first color and a second color change area 600 for displaying a second color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color . For example, the first color change area 500 may be colored with a blue-based color, and the second color-change area 600 may be colored with a red-based color.

이를 위하여, 제1 변색 영역(500)에 배치된 변색물질과 제2 변색영역(600)에 배치된 변색물질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변색소자(100)의 적용 애플리케이션을 다양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For this purpose, the discoloration substance disposed in the first discoloration region 500 and the discoloration substance disposed in the second discoloration region 60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us, it is possible to diversify application applications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여기서, 제1 변색 영역(500)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영역(510) 및 배경을 표시하기 위한 배경 영역(520)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표시 영역(510) 및 배경 영역(520)은 전기적으로 단락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변색 영역(600)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영역(610) 및 배경을 표시하기 위한 배경 영역(620)으로 구분되며, 표시 영역(610) 및 배경 영역(620)은 전기적으로 단락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제1 변색 영역(500)의 표시 영역(510) 및 배경 영역(520)과 제2 변색 영역(600)의 표시 영역(610)과 배경 영역(620)에 대해서는 도 11 내지 14에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first color change area 500 may be divided into a display area 510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a background area 520 for displaying a background. The display area 510 and the background area 520 may be electrically , Or may be spaced apart. Similarly,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600 is divided into a display area 610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a background area 620 for displaying a background, and the display area 610 and the background area 620 are electrically Shorted, or spaced apart. The display area 510 and the background area 520 of the first color change area 500 and the display area 610 and the background area 620 of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60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Figs. Lt; / RTI >

이때, 제1 변색 영역(500) 내의 제1 색상이 착색 및 탈색되는 빈도는 제2 변색 영역(600) 내의 제2 색상이 착색 및 탈색되는 빈도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변색 영역(500)을 통하여 표시되는 정보는 제2 변색 영역(600)을 통하여 표시되는 정보에 비하여 빈번하게 변경되는 정보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requency at which the first color in the first color change area 500 is colored and discolored may be different from the frequency at which the second color in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600 is colored and discolored. For example, the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first color change area 500 may be information that is frequently changed compared to the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600.

이를 위하여, 제1 변색 영역(500) 및 제2 변색 영역(600)은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되거나, 전극이격부에 의하여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변색 영역(500) 및 제2 변색 영역(600) 사이에는 도 9 내지 10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전극이격부가 배치될 수 있다. For this, the first color change area 500 and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600 may be electrically shorted to each other or may be separated by the electrode separation part. For example, an electrode spacing portion form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FIGS. 9 to 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lor change region 500 and the second color change region 600.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변색 영역(500)의 표시 영역(510)과 배경 영역(520)은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되거나 이격되고, 제2 변색 영역(600)의 표시 영역(610)과 배경 영역(620)은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되거나 이격되되, 배경 영역(520) 및 배경 영역(620)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경 영역(520) 및 배경 영역(620)의 투과율은 표시 영역(510) 및 표시 영역(610)의 투과율과 상이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region 510 and the background region 520 of the first color change region 500 are electrically shorted or spaced from each other, and the display region 610 of the second color change region 600 and the background The regions 620 are electrically shorted or spaced from one another, but the background region 520 and the background region 620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transmittance of the background region 520 and the background region 620 may be different from the transmittance of the display region 510 and the display region 610 in a state where the power source is not applied.

또한,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경 영역(520)과 표시영역(510)의 색좌표 차이와 배경 영역(620)과 표시 영역(610)의 색좌표 차이는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색좌표 차이는 색차와 혼용될 수 있다. 색차는 CIE Lab 표색계에 따른 델타E 값을 기준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경 영역(520)과 표시영역(510)의 색차와 배경 영역(620)과 표시 영역(610)의 색차 간의 차이는 CIE Lab 표색계에 따른 델타E 값을 기준으로 1이상, 바람직하게는 5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이상 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변색 영역(500)과 제2 변색 영역(600)은 색상이 명확하게 구분되며, 정보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difference of the color coordinates of the background region 520 and the display region 510 and the difference of the color coordinates of the display region 610 and the background region 62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power source is not applied. Here, the color coordinate difference can be mixed with the color difference. The color difference can be expressed based on the delta E value according to the CIE Lab colorimetric system. For example, when the power is not appli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lor difference of the background region 520 and the display region 510 and the color difference of the background region 620 and the display region 610 corresponds to the delta E value according to the CIE Lab colorimetric system May be 1 or more, preferably 5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0 or more. Accordingly, the first color change area 500 and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600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more clearly.

한편, 도 16 내지 18을 참조하면, 제1 변색물질층(103) 및 제2 변색물질층(105)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변색 영역(500)에 배치된 변색물질과 제2 변색영역(600)에 배치된 변색물질이 상이할 수 있다.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변색 영역(500)에 배치된 변색물질이 가지는 고유한 색상과 제2 변색영역(600)에 배치된 변색물질이 가지는 고유한 색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표시 영역(510)의 투과율 및/또는 색좌표와 표시 영역(610)의 투과율 및/또는 색좌표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경영역(520, 620)과 표시 영역(510)의 투과율 및/또는 색좌표 차는 배경영역(520, 620)과 표시 영역(610)의 투과율 및/또는 색좌표 차와 상이할 수 있다. 16 to 18, at least one of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and the second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5 includes a color-changing material disposed in the first color-changing area 500 and a coloring material disposed in the second color- ) May be different. The intrinsic hue of the chromatic material disposed in the first color change area 500 and the inherent color of the color change material disposed in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60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transmittance and / or the color coordinates of the display region 510 and / or the transmittance and / or the color coordinates of the display region 61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power source is not applied. As a result, the transmittance and / or the color coordinate difference of the background regions 520 and 620 and the display region 510 in the state where the power source is not applied is controlled by the transmittance of the background regions 520 and 620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display region 610 and / Lt; / RTI >

예를 들어, 도 16을 참조하면, 제1 변색 영역(500) 내의 제1 변색물질층(103)은 산화 시에 착색되고 환원 시에 탈색되는 제1 변색물질을 포함하고, 제1 변색영역(500) 내의 제2 변색물질층(105-1)은 산화 시에 탈색되고 환원 시에 착색되는 제2 변색물질을 포함하며, 제2 변색 영역(600) 내의 제2 변색물질층(105-2)은 제2 변색물질과 상이한 색상으로 착색되는 제3 변색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변색 영역(600) 내에는 제1 변색물질층(103)이 배치되지 않고, 제1 전극층(102) 상에 전해질층(104)이 바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변색 영역(600)은 제1 변색물질층(103)의 색상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제2 변색물질층(105-2)의 색상에만 영향을 받도록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6,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in the first color-change area 500 includes a first color-change material that is colored at the time of oxidation and decolored at the time of reduction, The second color fading material layer 105-1 in the second color fading area 600 includes a second color fading material that is discolored at the time of oxidation and colored at the time of reduction, May include a third discoloration material that is colored with a different color from the second discoloration material. The first color change material layer 103 is not disposed in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600 and the electrolyte layer 104 can be directly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hat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600 is not influenced by the color of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but is influenced only by the color of the second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5-2.

또는, 도 17을 참조하면, 제1 변색 영역(500) 내의 제1 변색물질층(103-1)은 산화 시에 착색되고 환원 시에 탈색되는 제1 변색물질을 포함하고, 제1 변색영역(500) 내의 제2 변색물질층(105)은 산화 시에 탈색되고 환원 시에 착색되는 제2 변색물질을 포함하며, 제2 변색 영역(600) 내의 제1 변색물질층(103-2)은 제1 변색물질과 상이한 색상으로 착색되는 제3 변색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17,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1 in the first color-change area 500 includes a first color-change material that is colored at the time of oxidation and decolored at the time of reduction, The second color fading material layer 105 in the second color fading area 600 includes a second color fading material that is discolored at the time of oxidation and colored at the time of reduction, And a third discoloration material that is colored with a different color from the one discoloration material.

또한, 제2 변색 영역(600) 내에는 제2 변색물질층(105)이 배치되지 않고, 제2 전극층(106)에 전해질층(104)이 바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변색 영역(600)은 제2 변색물질층(105)의 색상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제1 변색물질층(103-2)의 색상에만 영향을 받도록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second color change material layer 105 is not disposed in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600 and the electrolyte layer 104 is directly disposed 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hat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600 is not affected by the color of the second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5, but is influenced only by the color of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2.

여기서, 제1 변색물질은 레드 계열의 색상으로 착색되며, Ru 이온을 포함하는 변색물질, 블루 계열의 색상으로 착색되며, Fe 이온을 포함하는 변색물질, 그리고 옐로우 계열의 색상으로 착색되며, Co 이온을 포함하는 변색물질 중 하나를 포함하고, 제3 변색물질은 레드 계열의 색상으로 착색되며, Ru 이온을 포함하는 변색물질, 블루 계열의 색상으로 착색되며, Fe 이온을 포함하는 변색물질, 그리고 옐로우 계열의 색상으로 착색되며, Co 이온을 포함하는 변색물질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변색물질이 블루 계열의 색상으로 착색되며, Fe 이온을 포함하는 변색물질, 예를 들어 프루시안 블루를 포함하고, 제2 변색물질이 WO3를 포함하며, 제3 변색물질이 레드 계열의 색상으로 착색되며, Ru 이온을 포함하는 변색물질, 예를 들어 Ru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체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Here, the first discoloration substance is colored with a red-based color, and a discoloring substance containing Ru ions, a discoloring substance colored with a blue-based color, a discoloring substance containing Fe ions, and a discoloring substance colored with a yellow- And the third color discoloration material is colored with a red-based color, and the discoloration material containing Ru ions, the discoloration material colored with a blue-based color and containing Fe ions, And may include another one of the color-changing materials including Co ions.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discoloration substance is colored with a blue-based color for the sake of description, and includes a discoloring substance including Fe ions such as Prussian Blue, the second discoloration substance includes WO 3 , The third color change material is colored with a red-based color, and the organic / inorganic composite including a chromium-containing substance including Ru ions, for example, Ru is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에 따라, 제1 변색 영역(500) 및 제2 변색 영역(600)에는 서로 다른 색상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변색영역(500)에는 블루 계열의 정보가 표시되고, 제2 변색 영역(600)에는 레드 계열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ly, different colors may be displayed in the first color change area 500 and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600. For example, blu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first color change area 500 and red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600.

예를 들어,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경 영역(520, 620)의 투과율은 4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0%일 수 있고, 제1 변색 영역(500) 내 표시 영역(510)의 투과율은 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일 수 있고, 제2 변색 영역(600) 내 표시 영역(610)의 투과율은 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일 수 있다.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no power is applied, the transmittance of the background areas 520 and 620 may be 40 to 90%, preferably 50 to 80%, more preferably 55 to 70% The transmittance of the display region 510 in the region 500 may be 1 to 50%, preferably 10 to 40%, more preferably 15 to 30%,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display region 610 ) May be 1 to 50%, preferably 10 to 40%, more preferably 15 to 30%.

표 2는 도 17의 실시예에서 제1 변색물질이 프루시안 블루를 포함하고, 제2 변색물질이 WO3를 포함하며, 제3 변색물질이 Ru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체를 포함하는 구조에서, 투과율 및 색좌표를 측정한 결과이다. In Table 2, in the embodiment of Fig. 17,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includes Prussian blue, the second color-change material includes WO3, and the third color-change material includes Ru-containing organic- And color coordinates.

전원미인가시Power source 배경 영역Background area 제1 변색 영역 내 표시 영역The display area in the first discoloration area 제2 변색 영역 내 표시 영역The display area in the second color shift area 투과율Transmittance 60%60% 20%20% 20%20% L*L * 9595 78.7278.72 77.6777.67 a*a * 0.70.7 -8.13-8.13 27.727.7 b*b * 2.52.5 -15.98-15.98 21.521.5 △E (제1 변색영역)DELTA E (first discoloration area) 26.1632891726.16328917 △E (제2 변색영역)DELTA E (second discoloration area) 37.287114437.2871144 △E 계산식ΔE Formula {(L1*-L2*)^2+(A1*-A2*)^2+(B1*-B2*)^2}^0.5{(L1 * -L2 *) ^ 2+ (A1 * -A2 *) ^ 2+ (B1 * -B2 *) ^ 2} ^ 0.5

여기서, 투과율(%)은 입사되는 빛에 대하여, 각 영역을 투과하는 빛의 비율을 의미한다. 그리고, 색좌표는 L*, a* 및 b*에 의하여 나타낼 수 있으며, L* 값은 밝기를 나타내고, a*와 b*는 색상과 채도를 표시하는 색도를 나타낸다. 특히, a*는 빨강과 초록 중 어느 쪽으로 치우쳤는지를 나타내며, b*는 노랑과 파랑 중 어느 쪽으로 치우쳤는지를 나타낸다. L*가 0에 가까울수록 검은색에 가까워지며, L*가 100에 가까울수록 흰색에 가까워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a*가 음수이면 초록에 가까운 색이며, a*가 양수이면 빨강에 가까운 색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b*가 음수이면 파랑에 가까운 색이며, b*가 양수이면 노랑에 가까운 색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transmittance (%) means the ratio of light passing through each region with respect to incident light. The color coordinates can be represented by L *, a * and b *, the L * value indicates brightness, and a * and b * indicate chromaticity indicating color and saturation. In particular, a * indicates whether it is shifted to red or green, and b * indicates whether it is shifted to yellow or blue. The closer L * is to zero, the closer to black, and the closer L * to 100, the closer it is to white. If a * is negative, the color is close to green. If a * is positive, it can mean red. If b * is negative, it is close to blue. If b * is positive, it is close to yellow.

표 2에서, 제1 변색 영역(500) 내 표시 영역은 a* 및 b*가 모두 음수이고, 제2 변색 영역(600) 내 표시 영역은 a* 및 b*가 모두 양수임을 알 수 있다. In Table 2, it can be seen that both a * and b * are negative in the display area in the first color change area 500, and both a * and b * are positive in the display area in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600. [

그리고, 아래 수학식에 따라 배경 영역과 표시 영역 간의 색차인 델타E를 계산한 결과, 배경 영역(520)과 제1 변색 영역(500) 내 표시 영역(510) 간 색차인 델타 E는 26.16328917이고, 배경 영역(620)과 제2 변색 영역(600) 내 표시 영역(610) 간 색차인 델타E는 37.2871144임을 알 수 있다. Delta E, which is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background area and the display area,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As a result, the color difference delta E between the background area 520 and the display area 510 in the first color change area 500 is 26.16328917, The color difference delta E between the background area 620 and the display area 610 in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600 is 37.2871144.

[수학식 1][Equation 1]

E={(L1*-L2*)^2+(a1*-a2*)^2+(a1*-a2*)^2}^0.5E = {(L1 * -L2 *) ^ 2+ (a1 * -a2 *) ^ 2+ (a1 * -a2 *) ^ 2} ^ 0.5

이와 같이,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경 영역(520)과 표시 영역(510) 간의 색차 및 배경 영역(620)과 표시 영역(610) 간의 색차 간의 차이는 CIE Lab 표색계에 따른 델타E 값을 기준으로 1이상, 바람직하게는 5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이상 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변색 영역(500)과 제2 변색 영역(600)은 색상이 명확하게 구분되며, 정보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background region 520 and the display region 510 and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background region 620 and the display region 610 in the state where the power source is not applied is determined by the delta E value according to the CIE Lab colorimetric system , Preferably 5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0 or more. Accordingly, the first color change area 500 and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600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more clearly.

또는, 도 18을 참조하면, 제1 변색물질층(103)은 산화 시에 착색되고 환원 시에 탈색되는 제1 변색물질을 포함하고, 제1 변색영역(500) 내의 제2 변색물질층(105-1)은 산화 시에 탈색되고 환원 시에 착색되는 제2 변색물질을 포함하며, 제2 변색 영역(600) 내의 제2 변색물질층(105-2)은 제1 변색물질 및 제2 변색물질과 상이한 색상으로 착색되는 제3 변색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변색 영역(600) 내의 제1 변색물질층(103-2)은 미리 화학적으로 탈색처리될 수 있다. 18, the first color-imparting material layer 103 includes a first color-changing material that is colored at the time of oxidation and decolorized at the time of reduction, and the second color-changing material layer 105 -1) includes a second color fading material that is discolored at the time of oxidation and colored at the time of reduction, and the second color fading material layer 105-2 in the second color fading region 600 includes a first color fading material and a second color fading material And a third color discoloration material that is colored with a different color from the first color material. At this time,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2 in the second color-change area 600 may be chemically decolorized in advance.

화학적 탈색은, 제1 전극층(102) 및 제1 변색물질층(103)을 적층한 후, 제1 변색 영역(500)을 마스킹하고, 제2 변색 영역(600)을 탈색 용액에 노출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탈색 용액은 알칼리 용액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변색물질이 프루시안 블루를 포함하는 경우, 프루시안 블루에 포함되는 Fe 이온이 Fe2 + 상태가 되면 투명해지고, Fe3 + 상태가 되면 블루 계열의 색상으로 변색한다. 만약, 프루시안 블루를 알칼리 용액, 예를 들어 CO3 -를 포함하는 용액에 노출시키면, Fe2 +는 Fe3 + 으로 바뀔 수가 없고, 항상 투명한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변색 영역(600) 상의 제1 변색물질층(103-2)은 인가되는 전압에 관계없이 변색되지 않고, 투명하게 남아 있다. The chemical decolorization may be performed by a method of laminat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and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 then masking the first color-change area 500 and exposing the second color-change area 600 to the decolorizing solution Lt; / RTI > For example, the decoloring solution may be an alkali solution. For example, the first color transfer materials are prussian if it contains blue, prussian the Fe ions contained in the blue becomes transparent when the Fe 2 + state, Fe + 3 when the state of the color change to blue system color. If prussian blue is exposed to a solution containing an alkaline solution, for example, CO 3 - , Fe 2 + can not be converted to Fe 3 + and remains transparent all the time. Accordingly,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2 on the second color-change area 600 is not discolored and remains transparent regardless of the applied voltage.

이에 따르면, 제2 변색물질층(105-2)에 배치된 제3 변색물질의 색상이 제1 변색물질층(103)에 배치된 제1 변색물질의 색상에 관계없이 선명하게 표시될 수 있으며, 화학적으로 탈색처리된 제2 변색 영역(600) 내의 제1 변색물질층(103-2)은 제2 변색 영역(600) 내의 제2 변색물질층(105-2)의 카운터 전극의 역할을 하므로, 변색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hue of the third color fading material disposed in the second color fading material layer 105-2 can be clearly displayed regardless of the color of the first color fading material disposed in the first color fading material layer 103, Since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3-2 in the chemically decolored second color-change area 600 serves as a counter electrode of the second color-change material layer 105-2 in the second color-change area 600, The discoloration rate may be accelerated.

도 15 내지 1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변색 영역(500) 및 제2 변색 영역600)으로 구분하고, 제1 변색 영역(500)이 표시 영역(510) 및 배경 영역(520)으로 구분되며, 제2 변색 영역(600)이 표시 영역(610) 및 배경 영역(620)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이러한 표현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전극층은 도 7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전극 영역(A1), 즉 표시 영역(1100)과 더미전극 영역(A2), 즉 배경 영역(1110)으로 구분되되, 전극 영역(A1), 즉 표시 영역(1100)은 서로 다른 색상을 표시하는 제1 변색 영역 및 제2 변색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15 to 18, the first color change area 500 is divided into the display area 510 and the background area 520. The first color change area 500 is divided into the first color change area 500 and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60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600 is divided into a display area 610 and a background area 62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representation. That is, the electrode layer is divided into the electrode area A1 separated from the display area 1100 and the dummy electrode area A2, that is, the background area 1110, as described in FIGS. 7 to 14, ), I.e., the display area 1100 may be expressed as being divided into a first color change area and a second color change area that display different colors.

도 1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장치를 나타낸다. 19 shows an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를 참고하면, 전기변색장치(1500)는 케이스(1510), 케이스(1510) 내에 배치되는 회로기판(1520), 회로기판(1520)과 커넥터(1530)를 통하여 연결된 전기변색소자(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변색소자(100)는 도 19(a)와 같이 회로기판(1520)과 함께 케이스(1510) 내에 실장되거나, 도 19(b)와 같이 회로기판(1520), 및 커넥터(1530)와 전기변색소자(100)의 일부 영역이 케이스(1530) 내에 실장되고, 전기변색소자(100)의 나머지 영역은 케이스(1510)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형태일 수도 있다.19, the electrochromic device 1500 includes a case 1510, a circuit board 1520 disposed in the case 1510, an electrochromic device 100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520 through a connector 1530, . ≪ / RTI >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may be mounted in the case 1510 together with the circuit board 1520 as shown in Fig. 19 (a), or may b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520 and the connector 1530, as shown in Fig. 19 (b) A part of the element 100 may be mounted in the case 1530 and the remaining area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510. [

커넥터(1530)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또는 연성평탄케이블(FFC)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Connector 1530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or a flexible flat cable (FFC).

도 19(a)와 같은 전기변색장치는 선반에 부착되는 것일 수 있으며, 도 19(b)와 같은 전기변색장치는 선반에 걸리거나 천장에 매달리는 것일 수 있다. 도 19(b)와 같이 전기변색 장치에 Flexible 한 전기변색소자를 사용할 경우 종이(Paper)와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어, 소비자들로부터 친근감을 유발할 수 있다. The electrochromic device as shown in FIG. 19 (a) may be attached to a shelf, and the electrochromic device as shown in FIG. 19 (b) may be attached to a shelf or a ceiling. When a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 is use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as shown in FIG. 19 (b), the same effect as paper can be achieved, which can induce familiarity from consumer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는 전자선반라벨에 적용될 수 있으며, 전자선반라벨은 마트 등에서 가격정보, 스토어 심볼(symbol), 프로모션 이미지, 바코드, 상품명, 상품이미지, 원산지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수단으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물류센터 등에서 물품명, 수량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수단으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electronic shelf label. The electronic shelf label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price information, a store symbol, a promotional image, a barcode, a product name, a product image, And the like. Or as a means for displaying information such as an article name and a quantity in a distribution center or the like.

도 2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가 적용된 전자선반라벨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20 is a view illustrating an electronic shelf label system to which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서버(2100)는 상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곳이며, 서버(2100)는 게이트웨이(2200) 및 송신기(2300)를 경유하여 전자선반라벨(1500)과 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서버(2100)와 게이트웨이(2200), 및 송신기(2300)는 이더넷 등 유선 네트워크 또는 와이파이 등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rver 2100 is a place where information about goods is stored and the server 2100 can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electronic shelf label 1500 via the gateway 2200 and the transmitter 2300. [ The server 2100, the gateway 2200, and the transmitter 2300 may be connected to a wireless network such as a wired network such as Ethernet or a Wi-Fi network.

송신기(2300)와 전자선반라벨(1500)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RF 등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송신기(2300)는 서버(2100)에서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전자선반라벨(1500)에 전송하고, 동작모드에 따라서 전자선반라벨(1500)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2300 and the electronic shelf label 1500 can be connected to a wireless network such as Wi-Fi, Bluetooth, and RF. The transmitter 2300 can receive the goods information from the server 2100, transmit it to the electronic shelf label 1500, and transmit the electric power to the electronic shelf label 15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전자선반라벨(1500)은 제어부, 통신모듈, 저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선반라벨(1500)은 내부에 배터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전자선반라벨(1500)은 무선전력 충전 모듈을 구비하여 무선충전될 수 있다. 제어부는 통신모듈이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제어하며, 통신모듈이 수신한 상품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송신기(2300)에서 전력이 송신되는 경우 전력을 수신하여 신호를 직류전압으로 변환하고, 무선전력 충전 모듈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저장부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통신모듈은 송신기로부터 상품 정보를 수신하거나, 송신기로부터 전력을 전송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제어부로부터 전송받은 상품 정보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전기변색소자일 수 있다.The electronic shelf label 15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a communication module, a storage unit, and a display unit. The electronic shelf label 1500 may have a battery therein. Or the electronic shelf label 1500 may be wirelessly charged with a wireless power charging modul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module to perform communication, and can display the received product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In addition, when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2300, it can receive power, convert the signal to a DC voltage, and supply the voltage to the wireless power charging module. The storage unit stores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communication module can receive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transmitter or receive power from the transmitter.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good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The display portion may be an electrochromic device.

본 명세서에서, 제1 전극층(102)은 버스전극(200) 및 투명전극(250)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전극층(102)이 버스전극(200)을 포함하지 아니하고, 투명전극(250)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Although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is described as including the bus electrode 200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 250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includes the bus electrode 2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only the transparent electrode 250 is includ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전극층(102)만이 버스 전극(200) 및 투명전극(250)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으며, 제2 전극층(106)도 제1 전극층(102)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Although only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is described as including the bus electrode 200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 25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전극층(102) 측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전극층(106) 측에도 제1 전극층(102) 측과 동일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side is mainly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electrode layer 102 side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106 side .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0: 전기변색소자 101: 제1 기판
102: 제1 전극층 103: 제1 변색물질층
104: 전해질층 105: 제2 변색물질층
106: 제2 전극층 107: 제2 기판
108: 실링부 109: 패드전극
200: 버스전극 202: 보호층
203: 잔여 버스전극 210: 수지층
250: 투명전극 1500: 전자선반라벨
100: Electrochromic device 101: First substrate
102: first electrode layer 103: first coloring material layer
104: electrolyte layer 105: second discoloration material layer
106: second electrode layer 107: second substrate
108: sealing portion 109: pad electrode
200: bus electrode 202: protective layer
203: residual bus electrode 210: resin layer
250: Transparent electrode 1500: Electronic shelf label

Claims (12)

제1 단자와 연결되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위에 배치되는 제1 변색물질층,
상기 제1 변색물질층 위에 배치된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 위에 배치되는 제2 변색물질층, 그리고
상기 제2 변색물질층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단자와 극성이 상이한 제2 단자와 연결되는 제2 전극층을 포함하며,상기 제1 변색물질층 및 상기 제2 변색물질층은 제1 색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1 변색영역 및 상기 제1 색상과 상이한 제2 색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2 변색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변색영역 및 상기 제2 변색영역 각각은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이격되며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되는 배경 영역으로 구분되고,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변색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배경 영역 간의 색차는 상기 제2 변색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배경 영역 간의 색차와 상이한 전기변색소자.
A first electrode layer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A first color change material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 electrolyt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color fading material layer,
A second discoloration material layer disposed over the electrolyte layer, and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color-toning material layer, the second electrode layer being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having a different polarity from the first terminal, wherein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and the second color- And a second color change area for displaying a second color different from the first color,
Wherein each of the first color change area and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is divided into a display area and a background area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area and disposed in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area, Wherein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display region and the background region is different from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display region and the background region in the second color change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변색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배경 영역 간의 색차 및 상기 제2 변색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배경 영역 간의 색차 간의 차이는 CIE Lab 표색계에 따른 델타E 값을 기준으로 1이상 차이나는 전기변색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rominance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background area in the first color change area and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background area in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in a state where the power source is not applied is calculated as a delta E value according to the CIE Lab colorimetric system A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a difference of at least 1 as a reference.
제2항에 있어서,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변색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배경 영역 간의 색차 및 상기 제2 변색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배경 영역 간의 색차 간의 차이는 CIE Lab 표색계에 따른 델타E 값을 기준으로 5이상 차이나는 전기변색소자.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rominance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background area in the first color change area and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background area in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in a state where the power source is not applied is calculated as a delta E value according to the CIE Lab colorimetric system A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a difference of 5 or more as a reference.
제3항에 있어서,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변색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배경 영역 간의 색차 및 상기 제2 변색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배경 영역 간의 색차 간의 차이는 CIE Lab 표색계에 따른 델타E 값을 기준으로 10이상 차이나는 전기변색소자.
The method of claim 3,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rominance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background area in the first color change area and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background area in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in a state where the power source is not applied is calculated as a delta E value according to the CIE Lab colorimetric system A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a difference of 10 or more as a refere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색영역 내 표시 영역의 색좌표 a*는 음수이고, 상기 제2 변색영역 내 표시 영역의 색좌표 a*는 양수인 전기변색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lor coordinate a * of the display region in the first color change area is negative and the color coordinate a * of the display area in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is positi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색물질층은 산화 시에 착색되고 환원 시에 탈색되는 제1 변색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변색 영역 내의 상기 제2 변색물질층은 산화 시에 탈색되고 환원 시에 착색되는 제2 변색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변색 영역 내의 상기 제2 변색물질층은 상기 제2 변색물질과 상이한 색상으로 착색되는 제3 변색물질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lor fading material layer includes a first color fading material that is colored at the time of oxidation and decolorized at the time of reduction,
Wherein the second color fading material layer in the first color fading area includes a second color fading material that is discolored at the time of oxidation and colored at the time of reduction, And a third color fading material colored with different color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색 영역 내의 상기 제1 변색물질은 미리 화학적으로 탈색처리된 전기변색소자.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in the second color-change area is chemically decolorized in advan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색물질은 Fe 이온, Ru 이온 및 Co 이온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변색물질은 WO3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변색물질은 상기 Fe 이온, Ru 이온 및 Co 이온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discoloration material comprises one of Fe ion, Ru ion and Co ion, the second discoloration material comprises WO 3 , and the third discoloration material comprises one of the Fe ion, Ru ion and Co ion And an electrochromic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색 영역 내의 상기 제1 변색물질층은 산화 시에 착색되고 환원 시에 탈색되는 제1 변색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변색물질층은 산화 시에 탈색되고 환원 시에 착색되는 제2 변색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변색 영역 내의 상기 제 1 변색물질층은 상기 제1 변색물질과 상이한 색상으로 착색되는 제 3 변색 물질을 포함하는 전기 변색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in the first color-change area includes a first color-change material that is colored at the time of oxidation and decolorized at the time of reduction,
Wherein the second color fading material layer includes a second color fading material that is discolored at the time of oxidation and colored at the time of reduction,
Wherein the first color fading material layer in the second color fading area includes a third color fading material that is colored in a different color from the first color fading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색영역 상의 상기 제1 색상이 착색 및 탈색되는 빈도는 상기 제2 변색영역 상의 상기 제2 색상이 착색 및 탈색되는 빈도와 상이한 전기변색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equency at which the first hue on the first color change area is colored and discolored is different from the frequency with which the second color on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is colored and discolo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에는 전극이격부가 형성되며,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배경 영역은 상기 전극이격부에 의하여 이격되는 전기변색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electrode spacing portion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Wherein the display region and the background region are separated by the electrode spacing portion.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커넥터, 그리고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는 전기변색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제1 단자와 연결되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위에 배치되는 제1 변색물질층,
상기 제1 변색물질층 위에 배치된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 위에 배치되는 제2 변색물질층, 그리고
상기 제2 변색물질층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단자와 극성이 상이한 제2 단자와 연결되는 제2 전극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변색물질층 및 상기 제2 변색물질층은 제1 색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1 변색영역 및 상기 제1 색상과 상이한 제2 색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2 변색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변색영역 및 상기 제2 변색영역 각각은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이격되며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되는 배경 영역으로 구분되고,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변색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배경 영역 간의 색차는 상기 제2 변색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배경 영역 간의 색차와 상이한 전기변색장치.
case,
A circuit board disposed in the case,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nd
And an electrochromic device connected to the connector,
Wherein the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es:
A first electrode layer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A first color change material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 electrolyt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color fading material layer,
A second discoloration material layer disposed over the electrolyte layer, and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color-toning material layer and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having a polari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terminal,
Wherein the first color-change material layer and the second color-change material layer are divided into a first color change area for displaying a first color and a second color change area for displaying a second color different from the first color,
Wherein each of the first color change area and the second color change area is divided into a display area and a background area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area and disposed in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area, Wherein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display region and the background region is different from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display region and the background region in the second color change region.
KR1020170112660A 2017-09-04 2017-09-04 Electrochromism element and electrochromism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3789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660A KR102378929B1 (en) 2017-09-04 2017-09-04 Electrochromism element and electrochromism devic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660A KR102378929B1 (en) 2017-09-04 2017-09-04 Electrochromism element and electrochromism device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209A true KR20190026209A (en) 2019-03-13
KR102378929B1 KR102378929B1 (en) 2022-03-25

Family

ID=65762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660A KR102378929B1 (en) 2017-09-04 2017-09-04 Electrochromism element and electrochromism device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92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8628A (en) * 2009-08-18 2011-02-24 주식회사 폴리크롬 Reducing color reaction viologen derivatives and electrochromic display element using oxidation color reaction electrochromic substance which enables embody two colors
KR101467556B1 (en) * 2007-05-09 2014-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chromic Device with Improved Color Properties
KR20150031917A (en) * 2013-09-17 2015-03-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Electrode Plate and Eletrochomic Plate, Electrochomic Mirro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556B1 (en) * 2007-05-09 2014-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chromic Device with Improved Color Properties
KR20110018628A (en) * 2009-08-18 2011-02-24 주식회사 폴리크롬 Reducing color reaction viologen derivatives and electrochromic display element using oxidation color reaction electrochromic substance which enables embody two colors
KR20150031917A (en) * 2013-09-17 2015-03-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Electrode Plate and Eletrochomic Plate, Electrochomic Mirro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929B1 (en) 202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5461B2 (en) Electronic device
US7158276B1 (en) Pressure sensitive electrochromic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03370649B (en) The electrochromism multi-layer device switched with reconciling spatial scale
JP6046412B2 (en) Electrochromic device, pixel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7532383B2 (e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improved color properties
US8482840B2 (en) Display device
CN100460974C (en) Pressure electrochromism assembl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10131986A (en) Electrochromic device
KR102382322B1 (en) Electrochromism element and electrochromism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8373920B2 (en) Display device
KR102476116B1 (en) Electrochromism element
KR102370223B1 (en) Electrochromism element
Tsuboi et al. Chromatic characterization of novel multicolor reflective display with electrochemically size‐controlled silver nanoparticles
KR20190023522A (en) Electrochromism element and electrochromism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2016042138A (en) Electrochromic display panel
KR102383563B1 (en) Electrochromism element and electrochromism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378929B1 (en) Electrochromism element and electrochromism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90023524A (en) Electrochromism element and electrochromism device comprising the same
EP3450522B1 (en) Electrochromic nanoparticle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370222B1 (en) Electrochromism element
KR20190043832A (en) Electrochromism element
KR20180067137A (en) Electrochromism element
US11353693B2 (en) Polymorphic electro-optic displays
CN203882064U (en) Electrochromic component structure
CN110622062A (en) Electrochrom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