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115A -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115A
KR20190026115A KR1020170112423A KR20170112423A KR20190026115A KR 20190026115 A KR20190026115 A KR 20190026115A KR 1020170112423 A KR1020170112423 A KR 1020170112423A KR 20170112423 A KR20170112423 A KR 20170112423A KR 20190026115 A KR20190026115 A KR 20190026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anufacturing facility
cloud
facility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종
Original Assignee
수상에스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상에스티(주) filed Critical 수상에스티(주)
Priority to KR1020170112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6115A/ko
Publication of KR20190026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G05B13/04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involving the use of models or sim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4Tools and structures for managing or administering access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04L63/06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for key distribution, e.g. centrally by truste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5Multiple levels of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8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emulation, e.g. Tel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280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1Adding application-functional data or data for application control, e.g. adding metadata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155Load, enter program if device acknowledges received password, security sig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ioeth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공장 내 적어도 하나의 제조설비로부터 취득된 공정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운영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정운영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사전에 미리 설정된 최적화된 공정운영 데이터를 토픽맵(Topic Maps)을 통해 비교 분석함으로써, 최적화된 방법으로 각 제조설비의 공정을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METHOD FOR OPERATING PROCESS OF MANUFACTURING EQUIPMENT BASED ON CLOUD CONNECTO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ON WHICH A PROGRAM THEREFOR IS RECORDED}
본 발명은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발전은 IT, 반도체, 조선, 자동차 등 일부 업종이 수출을 주도하고, 제조업이 경제성장과 수출의 견인차 역할 수행함에 따라 이루어졌다.
이러한 산업 발전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의 기술기반 취약에 따른 신제품 개발 능력 부족, 고급 인력의 제조업 회피현상 심화, 인건비 상승 등으로 인해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과거 대량 양산형 제조업의 패러다임은 최근 다품종 생산으로의 변환과 더불어 제조업체들에게 더욱 신속한 시장 요구 조건의 반영, 빠른 납기, 그리고 고품질의 제품 생산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중소기업 제조현장의 고효율 친환경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중소기업의 제조공정 개발을 통해 에너지 자원을 절감하고, 온실가스 폐기물을 저장하는 고효율 친환경 체제로 전환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녹색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고효율 친환경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있어서는 에너지, 인간, 친환경, 안전 등의 환경적 사회적 관점이 강조되고 있지만 생산성과 품질 등 경제적 관점에서 경쟁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환경적 사회적 관점뿐만 아니라 경제적 관점에서 볼 때, 고효율 친환경 시스템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될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조공정 상에 요구되는 과다한 수작업으로 인해 인력, 위험요인 및 비용이 증가한다.
둘째, 수작업이 요구되는 설비에 작업자가 투입됨에 따라 설비, 현장 및 분진에 의한 안전사고가 빈번하다.
셋째, 검사 시 측정 오차 및 작업자의 부주의에 따른 품질 저하 및 불량 발생 가능성이 높다.
넷째, 제조공정에서의 작업일지 수기 작성을 통해 실적을 수집함에 따라 생산 현황의 체계적인 관리가 어렵다.
다섯째, 제조공정 상에 배치된 설비들에 대한 상태 확인이 어렵고, 각 공정에서의 작업 결과 및 최종 제품 생산량에 대한 실시간 확인이 어렵다.
즉, 네트워크를 통한 산업 관리는 일부분에 한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산업 시설물의 전반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산업 시설물의 총괄적인 시스템 관리에 있어 인력이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인력을 통한 산업 시설물의 총괄 제어가 이루어짐에 따라, 실시간 제어가 어려워 산업 시설물에 대한 이상 징후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지 못하고, 그에 따라 산업 시설물 운영에 따른 재해, 불량 및 위험에 대해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 생산관리는 영업부문에서 작성한 예상 판매수량에 따라, 필요한 자재를 구입하여, 정해진 시간 내에 원하는 수량만큼의 제품을 생산하도록 생산공정 및 생산기계들을 관리하는 것에 한정되어 있었다.
최근 통신시스템의 발달로 인하여, 서버를 이용한 생산관리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생산관리 관련 행위 및 절차들의 많은 부분이 컴퓨터 네트워크의 발달과 함께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역할이 종래의 오프라인 상에서 문서로 전달되고 집계되던 것들이 온라인으로 전달되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집계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생산현장의 실제로 생산되는 제품의 종류 및 생산량과 실제 시장의 요구에 따라 출하되어야 할 제품 사이에는 시간적 차이가 발생하여 시장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제품의 옵션사양, 필요수량, 재고현황, 생산현황 등을 수동으로 입력하는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입력오류로 인하여 물량 및 내용의 불일치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정보통신 시대에 접어들면서 각종 정보들을 수집하여 활용하거나 이를 통해 비즈니스 정보(Business Information, BI)를 얻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의 근간에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 관련 기술의 진보가 밑바탕이 되어왔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은 예컨대, 비즈니스 관련 정보, 고객 정보, 상품 정보, 컨텐츠 정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하고 방대한 자료들을 저장 및 관리하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하고 방대한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예컨대, 오라클(Oracle), 사이베이스(Sybase), 마이 에스큐엘(MySQL), 마이크로소프트 에스큐엘 서버(MS SQL Server) 등의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중요한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한 보안 시스템의 구성 역시 최근 빈번하게 발생되는 정보 유출이나 정보 조작과 같은 다양한 보안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규모 이상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 가장 큰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내부자에 의한 보안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 접속하는 모든 사용자에 대한 사용 내역을 관리하는 형태까지 발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의 관리자, 보안 관리자, 경영층 등의 다양한 사용자들의 다양한 접근 권한에 대한 관리는 물론이고 최고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 의한 접속 감시도 가능한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313001호 국내 공개특허 제10-2016-003402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장 내 적어도 하나의 제조설비로부터 취득된 공정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운영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정운영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사전에 미리 설정된 최적화된 공정운영 데이터를 토픽맵(Topic Maps)을 통해 비교 분석함으로써, 최적화된 방법으로 각 제조설비의 공정을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장 내 적어도 하나의 제조설비로부터 취득된 공정데이터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비트율이 다른 채널로 분류하여 데이터 처리속도를 높이고, 각 채널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대해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효과적으로 변환 및 전송할 수 있도록 한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레거시(Legacy) 시스템과 클라우드 서버의 호환을 위해 고유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적어도 하나의 제조설비로부터 공정데이터를 취득하고, 각 제조설비의 레거시 프로토콜과 클라우드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효과적으로 변환 및 전송할 수 있도록 한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의 사용자 단말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대응되는 특정 액세스 키를 부여하고 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에서 관리하는 공정데이터 DB 및/또는 공정운영 DB의 데이터 접근을 허용함으로써, 사용자 정보의 도용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법적 접근 내역이 있는 사용자 정보에 의한 공정데이터 DB 및/또는 공정운영 DB의 데이터 재접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클라우드 커넥터장치,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 클라우드 서버, 및 공정 자동 제어장치를 포함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을 운영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클라우드 커넥터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들을 통해 공장 내 적어도 하나의 제조설비로부터 취득된 공정데이터를 각 제조설비에 대한 공정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비트율로 인코딩된 채널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이를 클라우드 호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로 변환 및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변환 및 전송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암호화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단계(b)에서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와 함께 복호화 키를 기반으로 해당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복호화한 후, 상기 복호화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각 제조설비의 공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공정운영데이터를 생성 및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c)에서 복호화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부여된 메타데이터에 따라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분류하여 별도의 공정데이터 DB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상기 단계(c)에서 생성된 각 제조설비의 공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공정운영데이터를 별도의 공정운영 DB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및 (e) 상기 공정 자동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단계(d)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각 제조설비의 공정운영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공정운영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공정운영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공정운영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사전에 미리 설정된 최적화된 공정운영 데이터를 토픽맵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최적화된 방법으로 각 제조설비의 공정을 자동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단계(a)는, (a-1) 상기 클라우드 커넥터장치에 구비된 공정데이터 획득모듈을 통해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공장 내 적어도 하나의 제조설비로부터 취득된 공정데이터를 각 제조설비의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단계; (a-2) 상기 클라우드 커넥터장치를 통해 각 제조설비의 고유식별정보와 대응되는 각 제조설비에 대한 설비정보데이터를 별도의 제조설비 DB에 저장하는 단계; (a-3) 상기 클라우드 커넥터장치에 구비된 데이터 처리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a-1)에서 전송된 각 제조설비에 대한 공정데이터와 함께 고유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단계(a-2)에서 저장된 각 제조설비의 고유식별정보와 대응되는 각 제조설비에 대한 설비정보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상기 단계(a-1)에서 전송된 각 제조설비에 대한 공정데이터를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채널별로 분리한 후, 서로 다른 비트율을 갖도록 병렬로 인코딩된 각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및 (a-4) 상기 클라우드 커넥터장치에 구비된 데이터 변환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a-3)에서 전송된 각 제조설비에 대한 공정데이터의 데이터 종류별로 메타데이터를 부여한 후, 각 제조설비의 산업용 프로토콜과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프로토콜을 확인하여 클라우드 호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a-1)에서, 상기 공정데이터 획득모듈의 복수의 센서들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센서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b)는, (b-1) 상기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에 구비된 암호화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a)에서 변환 및 전송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하는 단계; 및 (b-2) 상기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에 구비된 복호화 키부여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b-1)에서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를 부여하여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b) 이후에, 상기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접근하는 쿼리를 감시한 후, 불법적인 접근에 대한 차단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b) 이후에, 상기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에 구비된 데이터 접근감시모듈을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접근하는 쿼리 정보를 감시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에 구비된 데이터 접근차단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단계에서 감시된 쿼리 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 접근명령어들을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데이터 접근명령어들과 별도의 블랙리스트 DB에 미리 저장된 불법적인 접근명령어의 일치여부에 따라 해당 쿼리에 대한 해당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의 데이터 접근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제2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블랙리스트 DB에 상기 확인된 데이터 접근명령어와 일치하는 불법적인 데이터 접근명령어가 존재할 경우, 해당 데이터 접근명령어에 대응되는 쿼리에 미리 설정된 특정코드를 부여한 후, 상기 특정코드가 부여된 쿼리를 삭제함과 아울러 해당 접근 사용자 정보와 접근 IP 주소정보를 상기 블랙리스트 DB에 저장하여 블랙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블랙리스트 DB에 미리 저장된 불법적인 데이터 접근명령어는, 불법적인 데이터 생성 명령어, 불법적인 데이터 수정 명령어, 및 불법적인 데이터 삭제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명령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에서,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에 저장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와 상기 복호화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에 저장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에 해당하는 각 제조설비의 공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공정운영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운영 DB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에서,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전송 받고자하는 제조설비에 대한 고유식별정보를 별도의 제조설비 DB에 등록 및 저장하되, 상기 제조설비 DB에 등록 및 저장된 제조설비에 대해 상기 단계(b)에서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와 함께 복호화 키를 기반으로 해당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 이후에,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 접근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제3 단계;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제3 단계에서 추출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와 별도의 사용자정보 DB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의 일치여부에 따라 별도의 사용권한 DB에 미리 저장된 해당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의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대응되는 특정 액세스 키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4 단계;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특정 액세스 키와 함께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을 위한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특정 액세스 키를 추출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제5 단계에서 추출된 특정 액세스 키와 상기 사용권한 DB에 미리 저장된 특정 액세스 키의 일치여부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의 데이터 접근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6 단계에서, 상기 사용권한 DB에 상기 추출된 특정 액세스 키와 일치하는 특정 액세스 키가 존재할 경우,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부여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6 단계 이후에,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부여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을 허용한 후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제7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제7 단계에서 확인된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와 별도의 보안정책 DB에 미리 저장된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의 일치여부에 따라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의한 해당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의 데이터 재접근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제8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8 단계에서, 상기 보안정책 DB에 상기 확인된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와 일치하는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제7 단계에서 확인된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에 해당하는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의 데이터를 삭제한 후, 별도의 백업 공정데이터 DB를 이용하여 상기 삭제된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의 데이터를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이전의 데이터로 복원함과 아울러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의한 해당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의 데이터 재접근이 차단되도록 별도의 사용자정보 DB에 저장된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대응되는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의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을 삭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안정책 DB에 미리 저장된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는, 불법적인 데이터 생성, 불법적인 데이터 수정, 및 불법적인 데이터 삭제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6 단계 이후에,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해당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의 데이터 접근 시 데이터 접근 경로가 서로 분리되게 특정 액세스 키마다 미리 부여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별로 접근가능 데이터를 각각 분류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저장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4 단계 이전에,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에 사용자의 회원 가입 시 등록된 해당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관리자에 의해 부여된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대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과 함께 상기 사용자정보 DB에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4 단계 이전에,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대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접근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액세스 키를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d) 이후에,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별도의 백업 공정데이터 DB에 주기적으로 백업 저장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d)는, (d-1)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구비된 공정데이터 분석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c)에서 복호화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부여된 메타데이터에 따라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분류하는 단계; (d-2)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구비된 서버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단계(d-1)에서 분류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상기 공정데이터 DB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및 (d-3)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구비된 서버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단계(c)에서 생성된 각 제조설비의 공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공정운영데이터를 상기 공정운영 DB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d-2) 이후에,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구비된 서버 제어장치를 통해 기 설정된 관리자만 접근 가능하도록 상기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저장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 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백업하여 별도의 백업 공정데이터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d) 이후에, 상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저장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 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 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 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상기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 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 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저장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 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다운로드된 제조설비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저장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 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e)는, (e-1) 상기 공정 자동 제어장치에 구비된 시뮬레이션 수행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d)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각 제조설비의 공정운영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공정운영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공정운영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e-2) 상기 공정 자동 제어장치에 구비된 공정운영 데이터 분석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e-1)에서 생성된 공정운영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사전에 미리 설정된 최적화된 공정운영 데이터를 토픽맵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최적화된 방법으로 각 제조설비의 공정을 자동 제어하기 위한 특정 제어 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e-3) 상기 공정 자동 제어장치에 구비된 공정 제어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e-2)에서 생성된 특정 제어 값에 따라 각 제조설비의 공정이 자동 제어되도록 해당 제조설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상술한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은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따르면, 공장 내 적어도 하나의 제조설비로부터 취득된 공정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운영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정운영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사전에 미리 설정된 최적화된 공정운영 데이터를 토픽맵(Topic Maps)을 통해 비교 분석함으로써, 최적화된 방법으로 각 제조설비의 공정을 자동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장 내 적어도 하나의 제조설비로부터 취득된 공정데이터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비트율이 다른 채널로 분류하여 데이터 처리속도를 높이고, 각 채널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대해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효과적으로 변환 및 전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거시(Legacy) 시스템과 클라우드 서버의 호환을 위해 고유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적어도 하나의 제조설비로부터 공정데이터를 취득하고, 각 제조설비의 레거시 프로토콜과 클라우드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효과적으로 변환 및 전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의 사용자 단말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대응되는 특정 액세스 키를 부여하고 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에서 관리하는 공정데이터 DB 및/또는 공정운영 DB의 데이터 접근을 허용함으로써, 사용자 정보의 도용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법적 접근 내역이 있는 사용자 정보에 의한 공정데이터 DB 및/또는 공정운영 DB의 데이터 재접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안정책 DB의 변경을 통해 감시수준의 조절이 가능하고, 불법적 접근 내역이 있는 사용자 정보 및 접근 IP 주소정보의 접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클라우드 커넥터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클라우드 서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클라우드 커넥터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클라우드 서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크게 클라우드 커넥터장치(100),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200),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 클라우드 서버(400), 및 공정 자동 제어장치(5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클라우드 커넥터장치(100)는 복수의 센서들(111-1 내지 111-N)을 통해 공장 내 적어도 하나의 제조설비(10-1 내지 10-N)로부터 취득된 공정데이터를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에 대한 공정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비트율로 인코딩된 채널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이를 클라우드 호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로 변환 및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클라우드 커넥터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공정데이터 획득모듈(110), 제조설비 DB(120), 데이터 처리모듈(130), 및 데이터 변환모듈(1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클라우드 커넥터장치(1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공정데이터 획득모듈(110)은 복수의 센서들(111-1 내지 111-N)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 센서들(111-1 내지 111-N)을 통해 공장 내 적어도 하나의 제조설비(10-1 내지 10-N)로부터 취득된 공정데이터를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데이터 처리모듈(1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공정데이터 획득모듈(110)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들(111-1 내지 111-N)은 예컨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센서들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사물인터넷(IoT)은 기존의 유선통신기반 인터넷 및 모바일 인터넷보다 진화된 단계의 인터넷으로서, 일상 생활에 사용하는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센싱 기술이 결합되어 사람과 사물 또는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이다.
한편, 통신기술의 변환에 따라 초기 유선통신 시대에는 PC와 같은 사물간의 연결을 통해서만 데이터 교환이 발생함으로써 매개체로서 사람의 개입이 요구되었으나, 점차적인 무선통신 기술의 발달로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로 통신 가능 범위가 확대되고, 나아가 사물 간의 자율적 통신도 가능한 사물통신(M2M)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사물인터넷(IoT)으로의 진화에 따라서 다양한 기기들이 IoT 디바이스로 변환되고 있으며, 사물인터넷(IoT)이 다양한 네트워크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인터넷 망을 구축하게 된다.
또한, 공정데이터 획득모듈(110)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들(111-1 내지 111-N)은 감시대상 구역이나 특정 사물에 설치되어 이벤트 발생에 따른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센싱 데이터를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공정데이터 획득모듈(110)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들(111-1 내지 111-N)은 예컨대, 입체 영상 센서, 적외선 열화상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먼지 센서, 연기 센서, 조도 센서, 일산화탄소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오존 센서, 초음파 센서, 움직임 감지, 조명 센서, 가전기기, 도어락, 조도센서 등 여러 센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특성에 따라 2개 이상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고유식별정보는 예컨대, 제조설비의 이름, 제조설비의 비밀번호, 제조설비의 일련번호, 제조설비의 종류, 제조설비의 제조회사, 제조설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제조설비의 고유 IP(Internet Protocol) 주소, 제조설비의 모델 및 제조설비의 버전, 제조설비의 비밀키 또는 PKI 기반의 개인키에 의해 생성된 장치의 인증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제조설비 DB(120)는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고유식별정보와 대응되는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에 대한 설비정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처리모듈(130)은 공정데이터 획득모듈(110)로부터 전송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에 대한 공정데이터와 함께 고유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제조설비 DB(120)에 저장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고유식별정보와 대응되는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에 대한 설비정보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공정데이터 획득모듈(110)로부터 전송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에 대한 공정데이터를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채널별로 분리한 후, 서로 다른 비트율을 갖도록 병렬로 인코딩된 각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변환모듈(140)은 데이터 처리모듈(130)로부터 전송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에 대한 공정데이터의 데이터 종류별로 메타데이터를 부여하고,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산업용 프로토콜과 클라우드 서버(400)의 프로토콜을 확인하여 클라우드 호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로 변환하여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200)는 클라우드 커넥터장치(100)로부터 변환 및 전송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암호화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200)는 클라우드 서버(400)와 연동하여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접근하는 쿼리(query)를 감시하고, 불법적인 접근에 대한 차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암호화모듈(210), 복호화 키부여모듈(220), 데이터 접근감시모듈(230), 블랙리스트 DB(240), 및 데이터 접근차단모듈(2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2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암호화모듈(210)은 클라우드 커넥터장치(100)로부터 변환 및 전송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복호화 키부여모듈(220)은 암호화모듈(210)로부터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인증키 즉, 복호화 키를 부여하여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접근감시모듈(230)은 클라우드 서버(400)와 연동하여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접근하는 쿼리 정보를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블랙리스트 DB(240)는 불법적인 데이터 접근명령어 예컨대, 불법적인 데이터 생성 명령어, 불법적인 데이터 수정 명령어, 및 불법적인 데이터 삭제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블랙리스트 DB(240)에는 클라우드 서버(400)에서 관리하는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대한 불법적인 데이터 접근을 수행한 사용자 정보와 IP 주소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접근차단모듈(250)은 데이터 접근감시모듈(230)로부터 감시된 쿼리 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 접근명령어들을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데이터 접근명령어들과 블랙리스트 DB(240)에 미리 저장된 불법적인 접근명령어의 일치여부에 따라 해당 쿼리에 대한 해당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의 데이터 접근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데이터 접근차단모듈(250)은 블랙리스트 DB(240)에 상기 확인된 데이터 접근명령어와 일치하는 불법적인 데이터 접근명령어가 존재할 경우, 해당 데이터 접근명령어에 대응되는 쿼리에 미리 설정된 특정코드를 부여하고, 상기 특정코드가 부여된 쿼리를 삭제함과 아울러 해당 접근 사용자 정보와 접근 IP 주소정보를 블랙리스트 DB(240)에 저장하여 블랙리스트 정보가 업데이트(Update)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는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200)로부터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와 함께 복호화 키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복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는 상기 복호화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공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공정운영데이터를 생성 및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는 클라우드 서버(400)와 연동하여,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에 저장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와 상기 복호화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에 저장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에 해당하는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공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공정운영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운영 DB(4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는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전송 받고자하는 제조설비(10-1 내지 10-N)에 대한 고유식별정보를 별도의 제조설비 DB(120)에 등록 및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는 제조설비 DB(120)에 등록 및 저장된 제조설비(10-1 내지 10-N)에 대해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200)로부터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와 함께 복호화 키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복호화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6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 접근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와 별도의 사용자정보 DB(31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의 일치여부에 따라 별도의 사용권한 DB(320)에 미리 저장된 해당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의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대응되는 특정 액세스 키(Access Key)를 해당 사용자 단말(6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액세스 키는 예컨대, 일회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임시적인 액세스 키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매번 사용할 수 있는 고정적인 고유 액세스 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정보 DB(310)에는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접근 가능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 및 IP 주소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상기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는 예컨대, 사용자 단말(600)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400)에 사용자의 회원 가입 시 등록된 사용자의 회원 아이디/패스워드(ID/PW), 주민번호, 전화번호, 생체특징정보,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OTP(One Time Password), 및 공인 인증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는 사용자 단말(600)로부터 전송된 특정 액세스 키와 함께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을 위한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특정 액세스 키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특정 액세스 키와 사용권한 DB(320)에 미리 저장된 특정 액세스 키의 일치여부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의 데이터 접근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는 사용권한 DB(320)에 상기 추출된 특정 액세스 키와 일치하는 특정 액세스 키가 존재할 경우,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부여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을 허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는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부여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을 허용한 후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와 별도의 보안정책 DB(330)에 미리 저장된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의 일치여부에 따라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의한 해당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의 데이터 재접근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는 보안정책 DB(330)에 상기 확인된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와 일치하는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확인된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에 해당하는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의 데이터를 삭제한 후, 별도의 백업 공정데이터 DB(440)를 이용하여 상기 삭제된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의 데이터를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이전의 데이터로 복원함과 아울러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의한 해당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의 데이터 재접근이 차단되도록 사용자정보 DB(310)에 저장된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대응되는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의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을 삭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보안정책 DB(330)에 미리 저장된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는 예컨대, 불법적인 데이터 생성, 불법적인 데이터 수정, 및 불법적인 데이터 삭제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는 사용자 단말(600)에 의해 해당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의 데이터 접근 시 데이터 접근 경로가 서로 분리되게 특정 액세스 키마다 미리 부여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별로 접근가능 데이터를 각각 분류하여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저장되도록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는 사용자 단말(600)을 통해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에 사용자의 회원 가입 시 등록된 해당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관리자에 의해 부여된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대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과 함께 사용자정보 DB(310)에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되도록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는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대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접근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액세스 키를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되도록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는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저장된 데이터를 별도의 백업 공정데이터 DB(440)에 주기적으로 백업 저장되도록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백업 공정데이터 DB(440)는 클라우드 서버(400)에 구비되도록 구현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에 구비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400)는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호화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부여된 메타데이터에 따라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분류하여 별도의 공정데이터 DB(420)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400)는 상기 생성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공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공정운영데이터를 별도의 공정운영 DB(430)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클라우드 서버(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공정데이터 분석모듈(410), 공정데이터 DB(420), 공정운영 DB(430), 백업 공정데이터 DB(440), 및 서버 제어장치(4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클라우드 서버(4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공정데이터 분석모듈(410)은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호화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부여된 메타데이터에 따라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공정데이터 DB(420)는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공정운영 DB(430)는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공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공정운영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백업 공정데이터 DB(440)는 공정데이터 DB(420)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백업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서버 제어장치(450)는 공정데이터 분석모듈(410)로부터 분류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공정데이터 DB(420)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서버 제어장치(450)는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로부터 생성 및 전송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공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공정운영데이터를 공정운영 DB(430)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서버 제어장치(450)는 기 설정된 관리자만 접근 가능하도록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저장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 및/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백업하여 백업 공정데이터 DB(440)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클라우드 서버(400)는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700)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700)은 클라우드 서버(400)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저장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 및/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400)는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 및/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 및/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암호화하여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 및/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클라이언트 단말(700)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700)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클라우드 서버(400)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 및/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400)는 클라이언트 단말(700)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저장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 및/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700)은 클라우드 서버(400)에서 다운로드된 제조설비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저장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 및/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700) 및/또는 사용자 단말(600)은 통신망(20)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4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통신망(2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기그(WiGig),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일 수 있다.
상기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사용자 단말(6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700)이 클라우드 서버(40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 일 수도 있다.
만약, 통신망(2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20)은 사용자 단말(6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700)과 클라우드 서버(400)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6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700)은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또는 스마트 노트(Smart No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 장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개인용 PC, 노트북 PC, 팜(Palm) PC,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통신 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태블릿 PC, 아이패드(iPad) 등 클라우드 서버(40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6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7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모듈(610), A/V(Audio/Video) 입력모듈(620), 사용자 입력모듈(630), 센싱모듈(640), 출력모듈(650), 저장모듈(660), 인터페이스 모듈(670), 단말 제어모듈(680) 및 전원모듈(6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사용자 단말(6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700)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사용자 단말(6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7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통신모듈(610)은 사용자 단말(6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700)과 클라우드 서버(4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모듈(610)은 방송 수신 모듈(611), 이동 통신 모듈(612), 무선 인터넷 모듈(613), 근거리 통신 모듈(614) 및 위치 정보 모듈(6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611)은 다양한 방송채널(예컨대, 위성채널, 지상파채널 등)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신호(예컨대, TV 방송신호, 라디오 방송신호, 데이터 방송신호 등) 및/또는 방송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이동 통신 모듈(6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6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사용자 단말(6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7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컨대, WLAN(Wi-Fi), Wibro, Wimax, HSDPA, LT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6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또는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615)은 사용자 단말(6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7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6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7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제어모듈(680)의 제어에 따라 전술한 무선 통신모듈(610) 및/또는 유선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저장모듈(660)에 저장된 제조설비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4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A/V 입력모듈(620)은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카메라부(621)와 마이크부(6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부(621)는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마이크부(6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모듈(630)은 사용자 단말(6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7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모듈로서, 특히 출력모듈(650)의 디스플레이부(651)를 통해 표시되는 제조설비관련 정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컨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입력되는 터치 패널(정압/정전) 형식이거나 별도의 입력 장치(예컨대, 키 패드 돔 스위치,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센싱모듈(640)은 사용자 단말(6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700)의 개폐 상태, 사용자 단말(6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7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특정 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사용자 단말(6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700)의 방위, 사용자 단말(6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7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6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7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6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7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센싱 신호는 단말 제어모듈(680)에 전달되어, 단말 제어모듈(680)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출력모듈(650)은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부(651), 음향출력부(652), 알람부(653) 및 햅틱부(6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51)는 사용자 단말(6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7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사용자 단말(6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700)이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및/또는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음향출력부(652)는 예컨대, 콜 신호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방송수신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모듈(6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모듈(6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알람부(653)는 사용자 단말(6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7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6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7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햅틱부(654)는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부(654)가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부(654)가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저장모듈(660)은 사용자 단말(600) 및/또는 단말 제어모듈(6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모듈(660)은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조설비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모듈(660)은 제조설비관련 정보의 형성을 위한 소스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바, 제조설비관련 데이터가 영상 및 소리로 구성된 형태로 이루질 수 있으며, 제조설비(10-1 내지 10-N)에 대한 관련데이터 생성의 진행 과정 및 결과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모듈(660)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SRAM, 롬(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670)은 사용자 단말(6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7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 모듈(670)은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자 단말(6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7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사용자 단말(6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7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단말 제어모듈(680)은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6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7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음성통화, 데이터통신, 화상통화, 각종 어플리케이션 실행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즉, 단말 제어모듈(680)은 저장모듈(660)에 저장된 제조설비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조설비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제조설비관련 데이터의 생성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제조설비관련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680)은 상기 제조설비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제조설비관련 데이터의 생성 과정에서 영상, 음성 또는 음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 요소들을 디스플레이부(651) 및 다른 출력장치(예컨대, 음향출력부(652), 알람부(653), 햅틱부(654)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680)은 배터리부(695)의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값을 저장모듈(660)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모듈(660)은 모니터링 된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과 같은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뿐만 아니라 배터리 사양정보(제품 코드, 정격 등)도 함께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전원모듈(690)은 단말 제어모듈(6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모듈(690)은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부(695)의 전원을 각 구성요소들로 공급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충전단자(미도시)를 사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단말 제어모듈(6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모듈(660)에 저장되고, 단말 제어모듈(6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6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700)이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스마트폰은 일반 핸드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과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폰(Phone)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다양한 개방형 운영체제를 탑재한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형 운영체제로는 예컨대, 노키아(NOKIA)사의 심비안, 림스(RIMS)사의 블랙베리, 애플(Apple)사의 아이폰, 마이크로소프트사(MS)의 윈도즈 모바일, 구글(Google)사의 안드로이드, 삼성전자의 바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은 개방형 운영체제를 사용하므로 폐쇄적인 운영체제를 가진 휴대폰과 달리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상기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제어부, 메모리부, 화면출력부, 키입력부, 사운드 출력부, 사운드 입력부, 카메라부, 무선망 통신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 등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며, 스마트폰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기본적으로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스마트폰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는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RFID 통신,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공중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과 통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마트폰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하며, 스마트폰 이외에도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스마트폰은 단문 메시지 전송 기능과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가지는 노트북 PC, 태블릿 PC, 그 외에도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공정 자동 제어장치(500)는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운영 DB(430)에 저장 및 관리되는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공정운영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공정운영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공정운영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공정 자동 제어장치(500)는 상기 생성된 공정운영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사전에 미리 설정된 최적화된 공정운영 데이터를 토픽맵(Topic Maps)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최적화된 방법으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공정을 자동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공정 자동 제어장치(500)는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운영 DB(430)에 저장 및 관리되는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공정운영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공정운영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공정운영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뮬레이션 수행모듈(510)과, 시뮬레이션 수행모듈(510)로부터 생성된 공정운영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사전에 미리 설정된 최적화된 공정운영 데이터를 토픽맵(Topic Maps)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최적화된 방법으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공정을 자동 제어하기 위한 특정 제어 값을 생성하는 공정운영 데이터 분석모듈(520)과, 공정운영 데이터 분석모듈(520)로부터 생성된 특정 제어 값에 따라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공정이 자동 제어되도록 해당 제조설비(10-1 내지 10-N)로 전송하는 공정 제어모듈(53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토픽맵(Topic Maps)은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기술표준으로서, 분산환경 하에서 지식구조를 정의하고 정의된 구조와 지식자원을 연계하는데 쓰이는 기술표준이며, 비구조화, 비조직화된 대량의 지식정보들을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관리하기 위해 의미적 상호 연관성에 따라 연결하고 조직화하여 지식정보 구조를 표현하는 온톨로지 구축 모델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은, 먼저, 클라우드 커넥터장치(100)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들(111-1 내지 111-N)을 통해 공장 내 적어도 하나의 제조설비(10-1 내지 10-N)로부터 취득된 공정데이터를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에 대한 공정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비트율로 인코딩된 채널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이를 클라우드 호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로 변환 및 전송한다(S100).
즉, 상기 단계S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커넥터장치(100)에 구비된 공정데이터 획득모듈(110)을 통해 복수의 센서들(111-1 내지 111-N)을 이용하여 공장 내 적어도 하나의 제조설비(10-1 내지 10-N)로부터 취득된 공정데이터를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단계(S110)와, 클라우드 커넥터장치(100)를 통해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고유식별정보와 대응되는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에 대한 설비정보데이터를 별도의 제조설비 DB(120)에 저장하는 단계(S120)와, 클라우드 커넥터장치(100)에 구비된 데이터 처리모듈(130)을 통해 상기 단계S110에서 전송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에 대한 공정데이터와 함께 고유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단계S120에서 저장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고유식별정보와 대응되는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에 대한 설비정보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상기 단계S110에서 전송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에 대한 공정데이터를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채널별로 분리한 후, 서로 다른 비트율을 갖도록 병렬로 인코딩된 각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S130)와, 클라우드 커넥터장치(100)에 구비된 데이터 변환모듈(140)을 통해 상기 단계S130에서 전송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에 대한 공정데이터의 데이터 종류별로 메타데이터를 부여한 후,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산업용 프로토콜과 클라우드 서버(400)의 프로토콜을 확인하여 클라우드 호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로 변환하여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200)로 전송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단계S110에서, 공정데이터 획득모듈(110)의 복수의 센서들(111-1 내지 111-N)은 예컨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센서들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후에,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200)를 통해 상기 단계S100에서 변환 및 전송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암호화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를 전송한다(S200).
즉, 상기 단계S2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200)에 구비된 암호화모듈(210)을 통해 상기 단계S100에서 변환 및 전송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하는 단계(S210)와,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200)에 구비된 복호화 키부여모듈(220)을 통해 상기 단계S210에서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를 부여하여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로 전송하는 단계(S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단계S220 이후에,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20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접근하는 쿼리를 감시한 후, 불법적인 접근에 대한 차단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단계S220 이후에,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200)에 구비된 데이터 접근감시모듈(230)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400)와 연동하여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접근하는 쿼리 정보를 감시하는 단계(S230)와,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200)에 구비된 데이터 접근차단모듈(250)을 통해 상기 단계S230에서 감시된 쿼리 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 접근명령어들을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데이터 접근명령어들과 별도의 블랙리스트 DB(240)에 미리 저장된 불법적인 접근명령어의 일치여부에 따라 해당 쿼리에 대한 해당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의 데이터 접근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단계(S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계S240에서, 블랙리스트 DB(240)에 상기 확인된 데이터 접근명령어와 일치하는 불법적인 데이터 접근명령어가 존재할 경우, 해당 데이터 접근명령어에 대응되는 쿼리에 미리 설정된 특정코드를 부여한 후, 상기 특정코드가 부여된 쿼리를 삭제함과 아울러 해당 접근 사용자 정보와 접근 IP 주소정보를 블랙리스트 DB(240)에 저장하여 블랙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Update)할 수 있다.
한편, 블랙리스트 DB(240)에 미리 저장된 불법적인 데이터 접근명령어는 예컨대, 불법적인 데이터 생성 명령어, 불법적인 데이터 수정 명령어, 및 불법적인 데이터 삭제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명령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를 통해 상기 단계S200에서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와 함께 복호화 키를 기반으로 해당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복호화한 후, 상기 복호화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공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공정운영데이터를 생성 및 전송한다(S300).
이때, 상기 단계S300에서,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에 저장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와 상기 복호화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에 저장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에 해당하는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공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공정운영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운영 DB(430)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S300에서,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를 통해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전송 받고자하는 제조설비(10-1 내지 10-N)에 대한 고유식별정보를 별도의 제조설비 DB(120)에 등록 및 저장하되, 제조설비 DB(120)에 등록 및 저장된 제조설비(10-1 내지 10-N)에 대해 상기 단계S200에서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와 함께 복호화 키를 기반으로 해당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단계S300 이후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를 통해 외부의 사용자 단말(6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 접근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310)와,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를 통해 상기 단계S310에서 추출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와 별도의 사용자정보 DB(31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의 일치여부에 따라 별도의 사용권한 DB(320)에 미리 저장된 해당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의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대응되는 특정 액세스 키(Access Key)를 해당 사용자 단말(600)로 전송하는 단계(S320)와,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600)로부터 전송된 특정 액세스 키와 함께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을 위한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특정 액세스 키를 추출하는 단계(S330)와,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를 통해 상기 단계S330에서 추출된 특정 액세스 키와 사용권한 DB(320)에 미리 저장된 특정 액세스 키의 일치여부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의 데이터 접근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단계(S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계S340에서, 사용권한 DB(320)에 상기 단계S330에서 추출된 특정 액세스 키와 일치하는 특정 액세스 키가 존재할 경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를 통해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부여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을 허용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단계S340 이후에,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를 통해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부여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을 허용한 후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단계(S350)와,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를 통해 상기 단계S350에서 확인된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와 별도의 보안정책 DB(330)에 미리 저장된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의 일치여부에 따라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의한 해당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의 데이터 재접근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단계(S3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단계S360에서, 보안정책 DB(330)에 상기 단계S350에서 확인된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와 일치하는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가 존재할 경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를 통해 상기 단계S350에서 확인된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에 해당하는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의 데이터를 삭제한 후, 별도의 백업 공정데이터 DB(440)를 이용하여 상기 삭제된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의 데이터를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이전의 데이터로 복원함과 아울러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의한 해당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의 데이터 재접근이 차단되도록 별도의 사용자정보 DB(310)에 저장된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대응되는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의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을 삭제할 수 있다.
한편, 보안정책 DB(330)에 미리 저장된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는 예컨대, 불법적인 데이터 생성, 불법적인 데이터 수정, 및 불법적인 데이터 삭제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S340 이후에,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600)에 의해 해당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의 데이터 접근 시 데이터 접근 경로가 서로 분리되게 특정 액세스 키마다 미리 부여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별로 접근가능 데이터를 각각 분류하여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저장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계S320 이전에,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600)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에 사용자의 회원 가입 시 등록된 해당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관리자에 의해 부여된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대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과 함께 사용자정보 DB(310)에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계S320 이전에,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대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접근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액세스 키를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클라우드 서버(400)를 통해 상기 단계S300에서 복호화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부여된 메타데이터에 따라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분류하여 별도의 공정데이터 DB(420)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상기 단계S300에서 생성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공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공정운영데이터를 별도의 공정운영 DB(430)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S400).
즉, 상기 단계S4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400)에 구비된 공정데이터 분석모듈(410)을 통해 상기 단계S300에서 복호화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부여된 메타데이터에 따라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분류하는 단계(S410)와, 클라우드 서버(400)에 구비된 서버 제어장치(450)를 통해 상기 단계S410에서 분류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를 공정데이터 DB(420)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S420)와, 클라우드 서버(400)에 구비된 서버 제어장치(450)를 통해 상기 단계S300에서 생성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공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공정운영데이터를 공정운영 DB(430)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S43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단계S420 이후에, 클라우드 서버(400)에 구비된 서버 제어장치(450)를 통해 기 설정된 관리자만 접근 가능하도록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저장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 및/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백업하여 별도의 백업 공정데이터 DB(440)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단계S400 이후 즉, 상기 단계S430 이후에, 클라우드 서버(400)를 통해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700)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S440)와, 클라이언트 단말(700)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400)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저장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 및/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S4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단계S400에서, 클라우드 서버(400)를 통해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 및/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 및/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암호화하여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 및/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클라이언트 단말(700)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700)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클라우드 서버(400)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 및/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400)는 클라이언트 단말(700)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저장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 및/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700)은 클라우드 서버(400)에서 다운로드된 제조설비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저장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설비상태데이터 및/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단계S400 이후 또는 상기 단계S440 이후에,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30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400)의 공정데이터 DB(420) 및/또는 공정운영 DB(430)에 저장된 데이터를 별도의 백업 공정데이터 DB(440)에 주기적으로 백업 저장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공정 자동 제어장치(500)를 통해 상기 단계S400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공정운영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공정운영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공정운영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공정운영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사전에 미리 설정된 최적화된 공정운영 데이터를 토픽맵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최적화된 방법으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공정을 자동 제어한다(S500).
즉, 상기 단계S5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 자동 제어장치(500)에 구비된 시뮬레이션 수행모듈(510)을 통해 상기 단계S400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공정운영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공정운영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공정운영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510)와, 공정 자동 제어장치(500)에 구비된 공정운영 데이터 분석모듈(520)을 통해 상기 단계S510에서 생성된 공정운영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사전에 미리 설정된 최적화된 공정운영 데이터를 토픽맵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최적화된 방법으로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공정을 자동 제어하기 위한 특정 제어 값을 생성하는 단계(S520)와, 공정 자동 제어장치(500)에 구비된 공정 제어모듈(530)을 통해 상기 단계S520에서 생성된 특정 제어 값에 따라 각 제조설비(10-1 내지 10-N)의 공정이 자동 제어되도록 해당 제조설비(10-1 내지 10-N)로 전송하는 단계(S5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 클라우드 커넥터장치,
110 : 공정데이터 획득모듈,
120 : 제조설비 DB,
130 : 데이터 처리모듈,
140 : 데이터 변환모듈,
200 :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
210 : 암호화모듈,
220 : 복호화 키부여모듈,
230 : 데이터 접근감시모듈,
240 : 블랙리스트 DB,
250 : 데이터 접근차단모듈,
300 :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
310 : 사용자정보 DB,
320 : 사용권한 DB,
330 : 보안정책 DB,
400 : 클라우드 서버,
410 : 공정데이터 분석모듈,
420 : 공정데이터 DB,
430 : 공정운영 DB,
440 : 백업 공정데이터 DB,
450 : 서버 제어장치,
500 : 공정 자동 제어장치,
510 : 시뮬레이션 수행모듈,
520 : 공정운영 데이터 분석모듈,
530 : 공정 제어모듈,
600 : 사용자 단말,
700 : 클라이언트 단말

Claims (15)

  1. 클라우드 커넥터장치,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 클라우드 서버, 및 공정 자동 제어장치를 포함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을 운영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클라우드 커넥터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들을 통해 공장 내 적어도 하나의 제조설비로부터 취득된 공정데이터를 각 제조설비에 대한 공정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비트율로 인코딩된 채널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이를 클라우드 호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로 변환 및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변환 및 전송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암호화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단계(b)에서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와 함께 복호화 키를 기반으로 해당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복호화한 후, 상기 복호화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각 제조설비의 공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공정운영데이터를 생성 및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c)에서 복호화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부여된 메타데이터에 따라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분류하여 별도의 공정데이터 DB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상기 단계(c)에서 생성된 각 제조설비의 공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공정운영데이터를 별도의 공정운영 DB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및
    (e) 상기 공정 자동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단계(d)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각 제조설비의 공정운영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공정운영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공정운영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공정운영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사전에 미리 설정된 최적화된 공정운영 데이터를 토픽맵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최적화된 방법으로 각 제조설비의 공정을 자동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는,
    (a-1) 상기 클라우드 커넥터장치에 구비된 공정데이터 획득모듈을 통해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공장 내 적어도 하나의 제조설비로부터 취득된 공정데이터를 각 제조설비의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단계;
    (a-2) 상기 클라우드 커넥터장치를 통해 각 제조설비의 고유식별정보와 대응되는 각 제조설비에 대한 설비정보데이터를 별도의 제조설비 DB에 저장하는 단계;
    (a-3) 상기 클라우드 커넥터장치에 구비된 데이터 처리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a-1)에서 전송된 각 제조설비에 대한 공정데이터와 함께 고유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단계(a-2)에서 저장된 각 제조설비의 고유식별정보와 대응되는 각 제조설비에 대한 설비정보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상기 단계(a-1)에서 전송된 각 제조설비에 대한 공정데이터를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채널별로 분리한 후, 서로 다른 비트율을 갖도록 병렬로 인코딩된 각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및
    (a-4) 상기 클라우드 커넥터장치에 구비된 데이터 변환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a-3)에서 전송된 각 제조설비에 대한 공정데이터의 데이터 종류별로 메타데이터를 부여한 후, 각 제조설비의 산업용 프로토콜과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프로토콜을 확인하여 클라우드 호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a-1)에서, 상기 공정데이터 획득모듈의 복수의 센서들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센서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b-1) 상기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에 구비된 암호화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a)에서 변환 및 전송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하는 단계; 및
    (b-2) 상기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에 구비된 복호화 키부여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b-1)에서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를 부여하여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 이후에, 상기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접근하는 쿼리를 감시한 후, 불법적인 접근에 대한 차단을 수행하되,
    상기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에 구비된 데이터 접근감시모듈을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접근하는 쿼리 정보를 감시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클라우드 커넥터용 보안장치에 구비된 데이터 접근차단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단계에서 감시된 쿼리 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 접근명령어들을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데이터 접근명령어들과 별도의 블랙리스트 DB에 미리 저장된 불법적인 접근명령어의 일치여부에 따라 해당 쿼리에 대한 해당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의 데이터 접근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제2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블랙리스트 DB에 상기 확인된 데이터 접근명령어와 일치하는 불법적인 데이터 접근명령어가 존재할 경우,
    해당 데이터 접근명령어에 대응되는 쿼리에 미리 설정된 특정코드를 부여한 후, 상기 특정코드가 부여된 쿼리를 삭제함과 아울러 해당 접근 사용자 정보와 접근 IP 주소정보를 상기 블랙리스트 DB에 저장하여 블랙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상기 블랙리스트 DB에 미리 저장된 불법적인 데이터 접근명령어는, 불법적인 데이터 생성 명령어, 불법적인 데이터 수정 명령어, 및 불법적인 데이터 삭제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명령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에 저장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와 상기 복호화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에 저장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에 해당하는 각 제조설비의 공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공정운영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운영 DB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전송 받고자하는 제조설비에 대한 고유식별정보를 별도의 제조설비 DB에 등록 및 저장하되,
    상기 제조설비 DB에 등록 및 저장된 제조설비에 대해 상기 단계(b)에서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와 함께 복호화 키를 기반으로 해당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 이후에,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 접근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제3 단계;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제3 단계에서 추출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와 별도의 사용자정보 DB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의 일치여부에 따라 별도의 사용권한 DB에 미리 저장된 해당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의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대응되는 특정 액세스 키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4 단계;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특정 액세스 키와 함께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을 위한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특정 액세스 키를 추출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제5 단계에서 추출된 특정 액세스 키와 상기 사용권한 DB에 미리 저장된 특정 액세스 키의 일치여부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의 데이터 접근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6 단계에서, 상기 사용권한 DB에 상기 추출된 특정 액세스 키와 일치하는 특정 액세스 키가 존재할 경우,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부여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 이후에,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부여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을 허용한 후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제7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제7 단계에서 확인된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와 별도의 보안정책 DB에 미리 저장된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의 일치여부에 따라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의한 해당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의 데이터 재접근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제8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8 단계에서, 상기 보안정책 DB에 상기 확인된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와 일치하는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제7 단계에서 확인된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에 해당하는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의 데이터를 삭제한 후, 별도의 백업 공정데이터 DB를 이용하여 상기 삭제된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의 데이터를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이전의 데이터로 복원함과 아울러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의한 해당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의 데이터 재접근이 차단되도록 별도의 사용자정보 DB에 저장된 해당 특정 액세스 키에 대응되는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의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을 삭제하며,
    상기 보안정책 DB에 미리 저장된 불법적인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는, 불법적인 데이터 생성, 불법적인 데이터 수정, 및 불법적인 데이터 삭제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데이터 액세스 결과정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 이후에,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해당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의 데이터 접근 시 데이터 접근 경로가 서로 분리되게 특정 액세스 키마다 미리 부여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별로 접근가능 데이터를 각각 분류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저장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단계 이전에,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에 사용자의 회원 가입 시 등록된 해당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관리자에 의해 부여된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대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과 함께 상기 사용자정보 DB에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되도록 관리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대한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접근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액세스 키를 사용자 접근권한 레벨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 이후에,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별도의 백업 공정데이터 DB에 주기적으로 백업 저장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d-1)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구비된 공정데이터 분석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c)에서 복호화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부여된 메타데이터에 따라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분류하는 단계;
    (d-2)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구비된 서버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단계(d-1)에서 분류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상기 공정데이터 DB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및
    (d-3)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구비된 서버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단계(c)에서 생성된 각 제조설비의 공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공정운영데이터를 상기 공정운영 DB에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d-2) 이후에,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구비된 서버 제어장치를 통해 기 설정된 관리자만 접근 가능하도록 상기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저장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 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백업하여 별도의 백업 공정데이터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 이후에,
    상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 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 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상기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저장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 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저장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 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함과 아울러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 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다운로드된 제조설비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공정데이터 DB 또는 공정운영 DB에 저장된 각 제조설비의 설비상태데이터 또는 공정운영데이터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는,
    (e-1) 상기 공정 자동 제어장치에 구비된 시뮬레이션 수행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d)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각 제조설비의 공정운영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공정운영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공정운영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e-2) 상기 공정 자동 제어장치에 구비된 공정운영 데이터 분석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e-1)에서 생성된 공정운영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사전에 미리 설정된 최적화된 공정운영 데이터를 토픽맵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최적화된 방법으로 각 제조설비의 공정을 자동 제어하기 위한 특정 제어 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e-3) 상기 공정 자동 제어장치에 구비된 공정 제어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e-2)에서 생성된 특정 제어 값에 따라 각 제조설비의 공정이 자동 제어되도록 해당 제조설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
  15. 제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70112423A 2017-09-04 2017-09-04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90026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423A KR20190026115A (ko) 2017-09-04 2017-09-04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423A KR20190026115A (ko) 2017-09-04 2017-09-04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115A true KR20190026115A (ko) 2019-03-13

Family

ID=65761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423A KR20190026115A (ko) 2017-09-04 2017-09-04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611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3254A (zh) * 2020-10-27 2021-02-05 广东凌康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工业物联网的云车间管理平台及管理方法
CN114153182A (zh) * 2020-08-18 2022-03-08 中国航天***工程有限公司 一种工艺自适应的工业终端安全防护***及方法
KR102527061B1 (ko) * 2021-11-15 2023-04-28 (주)미래융합정보기술 Mes와 연동된 스마트 공장 제조 지능 서비스 시스템
WO2023075085A1 (ko) * 2021-11-01 2023-05-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생산을 위한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WO2023090570A1 (ko) * 2021-11-22 2023-05-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생산을 위한 코터 시뮬레이션 테스트 방법 및 장치
WO2024027224A1 (zh) * 2022-08-02 2024-02-08 杰克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缝纫计件的智能生产***、方法、介质及计算机设备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3182A (zh) * 2020-08-18 2022-03-08 中国航天***工程有限公司 一种工艺自适应的工业终端安全防护***及方法
CN114153182B (zh) * 2020-08-18 2024-03-12 中国航天***工程有限公司 一种工艺自适应的工业终端安全防护***及方法
CN112333254A (zh) * 2020-10-27 2021-02-05 广东凌康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工业物联网的云车间管理平台及管理方法
WO2023075085A1 (ko) * 2021-11-01 2023-05-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생산을 위한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102527061B1 (ko) * 2021-11-15 2023-04-28 (주)미래융합정보기술 Mes와 연동된 스마트 공장 제조 지능 서비스 시스템
WO2023090570A1 (ko) * 2021-11-22 2023-05-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생산을 위한 코터 시뮬레이션 테스트 방법 및 장치
WO2024027224A1 (zh) * 2022-08-02 2024-02-08 杰克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缝纫计件的智能生产***、方法、介质及计算机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707B1 (ko) 산업용 클라우드 커넥터를 위한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26115A (ko)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878708B1 (ko) 보안성이 강화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가전기기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
US10958868B2 (en) Portable recording device multimedia classification system
EP3241129B1 (en) User termina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driving method of user terminal, driving method of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encryption indexing-based search system
KR102244634B1 (ko) IoT 기반의 유해화학물질 누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78710B1 (ko) 보안성이 강화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홈 관리 시스템
WO2016086584A1 (zh) 一种解锁管理权限的方法和认证设备
KR102244635B1 (ko) 유해화학물질 누출 방재를 위한 관제 시스템
KR101928519B1 (ko) 보안성이 강화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KR101933638B1 (ko) 보안성이 강화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웰니스 서비스 시스템
KR20190026111A (ko) 클라우드 커넥터 기반의 제조설비 공정운영 시스템
CN111241559A (zh) 训练模型保护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KR102146609B1 (ko)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인터록 확인 시스템
KR101971538B1 (ko) 산업용 클라우드 커넥터 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326789B1 (ko) 에스엘에이 수준에서 맞춤형 클라우드 서비스 분배를 위한 다중 상황인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74879B1 (ko)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74878B1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접근 제어 시스템
CN112488872A (zh) 一种电力运行数据监控***
KR101921588B1 (ko) 산업용 클라우드 커넥터 장치
KR101990210B1 (ko) 맞춤형 자동 설계 프로그램 생성 시스템
CN111614638A (zh) 一种基于大数据平台的人脸识别数据分发***和分发方法
CN102768671B (zh) 一种文件处理方法和***
KR102348095B1 (ko)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악성코드 침투 및 무단 액세스 방지를 위한 실시간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19607B1 (ko)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