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941A - 이산화티타늄 분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산화티타늄 분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1941A
KR20190021941A KR1020170107424A KR20170107424A KR20190021941A KR 20190021941 A KR20190021941 A KR 20190021941A KR 1020170107424 A KR1020170107424 A KR 1020170107424A KR 20170107424 A KR20170107424 A KR 20170107424A KR 20190021941 A KR20190021941 A KR 20190021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ipitate
aqueous solution
ahft
tio
titanium di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희
박경수
박재량
이찬기
Original Assignee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ed Critical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to KR1020170107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1941A/ko
Publication of KR20190021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3/00Compounds of titanium
    • C01G23/04Oxides; Hydroxides
    • C01G23/047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50Solid solutions
    • C01P2002/52Solid solutions containing elements as dopants
    • C01P2002/54Solid solutions containing elements as dopants one element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티타늄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암모늄 헥사플루오로티타네이트와 붕산을 이용하여, 저온에서 첨가제 없이 간단하게 불소가 도핑된 아나타제상을 가지는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산화티타늄 분말 제조 방법으로서, 암모늄 헥사플루오로티타네이트(ammonium hexafluorotitanate, AHFT)와 붕산(boric acid, BA) 각각을 증류수에 용해하는 단계; 상기 용해하는 단계에서 제조된 암모늄 헥사플루오로티타네이트(AHFT) 수용액에 상기 용해하는 단계에서 제조된 붕산(BA) 수용액을 혼합하여, 혼합된 수용액으로부터 반응을 통해 침전물을 얻는 단계; 상기 침전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하는 단계에서 여과된 침전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산화티타늄 분말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산화티타늄 분말 제조 방법{METHOD FOR PREPARATION OF TITANIUM DIOXIDE POWDERS}
본 발명은 이산화티타늄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암모늄 헥사플루오로티타네이트와 붕산을 이용하여, 저온에서 첨가제 없이 간단하게 불소가 도핑된 아나타제상을 가지는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촉매는 촉매 작용이 빛 에너지를 받아 일어나는 것으로, 빛에 의해 표면의 화학적 상태가 변화되어 반응을 촉진시키는 물질을 말한다. 광촉매는 에너지 변환, 대기, 수질, 토양 등의 정화, 유해물질 분해에 있어 가장 훌륭한 수단으로 인식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광촉매인 이산화티타늄은 화학적 안정성, 저렴한 가격, 높은 광촉매 효율 등의 우수한 물성으로 인해 지금까지 가장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이산화티타늄은 상대적으로 높은 밴드갭 때문에 자외선 영역(~380 nm)에서만 반응한다는 단점이 있고 낮은 양자효율 때문에 응용에 많은 제한을 받아왔다. 따라서 가시광 영역에서 높은 양자 효율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밴드갭 간격의 변화를 통해 이산화티타늄이 가시광 영역에서 유기물질을 분해하도록 개조하는 것이 주된 방법이다. 이산화티타늄 밴드갭 조절을 위해 양이온 또는 음이온으로 도핑하여 공유띠와 전도띠 사이의 간격을 줄이고 트랩 사이트를 만들어 가시광 영역의 빛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은, 철, 바나듐, 백금과 같은 금속 이온 또는 전이금속으로 도핑하는 방법들이 보고되었으나 전하 불균형으로 인한 결함, 열에 취약한 문제, 낮은 성능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불소, 질소, 탄소, 황 등의 비금속 이온을 도핑하여 가시광의 낮은 에너지 빛에서도 쉽게 흡수하여 유기물을 분해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주로 열처리를 통해 도핑함에 따른 경제적 문제, 복잡한 공정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보다 쉽게 제조가능하고 가시광 영역에서 우수한 광촉매 효율을 나타내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암모늄 헥사플루오로티타네이트와 붕산을 이용하여, 저온에서 첨가제 없이 간단하게 아나타제상을 가지는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을 제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산화티타늄 분말 제조 방법으로서, 암모늄 헥사플루오로티타네이트(ammonium hexafluorotitanate, AHFT)와 붕산(boric acid, BA) 각각을 증류수에 용해하는 단계; 상기 용해하는 단계에서 제조된 암모늄 헥사플루오로티타네이트(AHFT) 수용액에 상기 용해하는 단계에서 제조된 붕산(BA) 수용액을 혼합하여, 혼합된 수용액으로부터 반응을 통해 침전물을 얻는 단계; 상기 침전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하는 단계에서 여과된 침전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산화티타늄 분말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용해하는 단계는, 두 개의 비커에 각각 100ml의 증류수를 채우고 90℃로 가열한 다음, 한 비커의 증류수에는 2.1g의 암모늄 헥사플루오로티타네이트(AHFT)를 투입하고, 다른 비커의 증류수에는 1.9g의 붕산(BA)를 투입한 후, 두 수용액이 각각 투명해질 때까지 약 20분 동안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전물을 얻는 단계는, 상기 암모늄 헥사플루오로티타네이트(AHFT) 수용액에 상기 붕산(BA) 수용액을 혼합하여 1시간 동안 반응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된 수용액을 유리 깔대기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상기 침전물을 여과한 후, 60 ~ 80℃의 온도 및 10-2 ~ 10-3 torr 범위에서 6 ~ 10시간 동안 건조하여 불소가 도핑된 아나타제상의 이산화티타늄 분말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전물을 얻는 단계는, 다음과 같은 반응식:
Figure pat00001
(a);
Figure pat00002
(b);
Figure pat00003
(c); 및
Figure pat00004
(d)를 포함하며,
상기 반응식 (a) 내지 (d)를 통해 2F-가 흡수된 TiO2가 침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으로 제조된 이산화티타늄은 비금속이온인 불소이온이 도핑됨으로써 우수한 광촉매 효율을 갖는다.
또한, 복잡한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저온에서 특별한 장치가 없어도 결정의 성장이 가능하고 동시에 불소를 도핑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효율 측면에서도 우수한 반응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F-TiO2 및 H-TiO2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서 제조된 F-TiO2 및 H-TiO2의 XRD 결과이다.
도 3는 본 발명에서 제조된 F-TiO2 및 H-TiO2의 FESEM 사진, TEM 사진 및 EDS-mapping 분석 결과이다.
도 4은 본 발명에서 제조된 F-TiO2의 XPS 측정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조된 F-TiO2 및 H-TiO2의 광촉매 분해성능(a) 및 조사 시간에 따른 운동 방정식 변화 그래프(b) 결과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F-TiO2 및 H-TiO2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티타늄 분말 제조 방법은, 초기 출발 물질로 암모늄 헥사플루오로티타네이트(ammonium hexafluorotitanate, AHFT, (NH4)2TiF6)와 붕산(boric acid, BA, H3BO3)을 이용하여 90℃의 증류수에 암모늄 헥사플루오로티타네이트(AHFT) 및 붕산(BA)을 각각 용해 및 교반하고, 암모늄 헥사플루오로티타네이트(AHFT) 수용액에 붕산(BA) 수용액을 혼합한 후에, 혼합된 수용액으로부터 반응을 통해 침전물을 얻게 되며, 침전물을 여과 및 건조하여, 불소가 도핑된 아나타제상의 이산화티타늄 분말을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암모늄 헥사플루오로티타네이트(AHFT)와 붕산(BA)를 각각 90℃의 증류수에 용해하는 단계로서, 암모늄 헥사플루오로티타네이트(AHFT) 수용액과 붕산(BA) 수용액을 각각 얻는 단계(110,120), 암모늄 헥사플루오로티타네이트(AHFT) 수용액에 붕산(BA) 수용액을 혼합하여 혼합된 수용액으로부터 반응을 통해 침전물을 얻는 단계(130), 수용액에서 침전물을 여과하는 단계(140) 및 여과된 침전물을 건조하는 단계(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티타늄 분말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두 수용액을 용해하는 단계(110,120)는, 두 개의 비커에 각각 100ml의 증류수를 채우고 온도를 90℃로 가열한 다음, 한 비커의 증류수에는 2.1g의 암모늄 헥사플루오로티타네이트(AHFT)를 투입하고, 다른 비커의 증류수에는 1.9g의 붕산(BA)를 투입한 후, 두 수용액 각각 모두 투명해질 때까지 약 20분 동안 교반한다.
침전물을 얻는 단계(130)는, 암모늄 헥사플루오로티타네이트(AHFT) 수용액에 붕산(BA) 수용액을 혼합하여 1시간 동안 반응을 유지하여 침전물을 얻게 된다.
침전물을 얻는 단계는, 다음과 같은 반응식:
Figure pat00005
(a)
Figure pat00006
(b)
Figure pat00007
(c)
Figure pat00008
(d)
를 포함하며, 반응식 (a) 내지 (d)을 통해 2F-가 흡수된 TiO2가 침전된다.
반응식 (a) 내지 (d)는 90℃에서 두 수용액을 혼합하였을 때 일어나는 반응이며, 반응식 (b)는 붕산(BA) 수용액에서 F-와의 반응을 나타낸 것으로, 붕산은 생성된 F-를 감소시키고 TiO2 형성을 촉진시키는 반응 가속제로 이용된다.
반응식 (a)는 TiO2가 생성되는 전체 반응을 나타낸 것으로, 반응식(a)를 좀 더 자세히 표현한 것이 반응식 (c) 및 반응식 (d)이며, 반응식 (c)에서 F- 이온이 OH- 이온과 교환하여
Figure pat00009
와 6F-가 생성되며, 생성된 6F- 중 4F-는 붕산(BA) 수용액과 반응하는 반응식 (b)을 따르고 남은 2F-는 반응식(d)에서 생성되는 TiO2 내부에 흡수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반응식 (a)과 반응식 (b)를 통해 TiO2를 제외한 나머지는 이온으로 존재하고 생성된 침전물이 F-TiO2인 것을 알 수 있다.
여과하는 단계(140)는, 90℃에서 합성된 TiO2 용액을 일반적인 유리 깔대기를 이용한 자연여과 방법으로 용액을 분리한다. 즉, 특별한 장치 없이 유리 깔대기에 여과지(직경: 182 mm)를 밀착시키고 합성용액을 부어 자연적으로 분리한다.
건조하는 단계(150)는, 침전물을 여과한 후, 60 ~ 80℃의 온도 및 10-2 ~ 10-3 torr 범위에서 6 ~ 10시간 동안 건조하여 불소가 도핑된 아나타제상의 이산화티타늄 분말을 얻는다.
상기와 같은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 수 nm의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은 불소이온이 도핑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보다 우수한 광촉매 효율을 나타낸다.
한편, 불소가 도핑된 아나타제상의 이산화티타늄 분말 F-TiO2와 비교하기 위해, 불소가 제거된 이산화티타늄 분말 H-TiO2를 제조한다.
H-TiO2 제조 방법은 상기 건조하는 단계에서 얻어진 F-TiO2 를 열처리하여 얻게 되는데, 예컨대, 0.1g의 F-TiO2를 알루미나 도가니에 넣고 전기로(box furnace)에 투입하며, 전기로의 온도를 5℃/분 속도로 600℃까지 가열하고 산소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반응 후 상온까지 냉각하여 얻게 된다.
도 2 내지 도 5는 F-TiO2와 H-TiO2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2는 X선 회절법(X-Ray Diffraction, XRD)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제조된 F-TiO2 및 H-TiO2의 결정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피크가 아나타제상으로 확인되었으며 2차상 또한 검출되지 않았다.
도 3은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FE-SEM), 투과 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및 에너지 분산형 분광기(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 EDS)을 통해 미세구조와 원소 분석을 수행한 것으로, 열처리를 통해 결정립이 성장한 것으로 관찰되었지만 불소의 도핑 여부는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FE-SEM)으로 관찰할 수 없었으며 투과 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해 본 발명에서 제조된 이산화티타늄 분말의 입자 분포를 관찰하였다. 제조된 F-TiO2는 수 nm 크기의 입자들이 응집되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H-TiO2는 열처리에 의해 결정이 성장하여 약 30 nm의 입자들이 응집되어 있었다. 에너지 분산형 분광기(EDS) 분석을 이용해 제조된 이산화티타늄 분말의 조성을 분석한 결과, F-TiO2는 표면에 불소가 비교적 균일하게 도핑되었으며 H-TiO2에서는 불소가 제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는 X선 광전자 분광법(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분석을 통해 도핑된 불소를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산화티타늄에서 생성된 Ti-O 결합으로 인해 Ti2p는 약 458, 465 eV에서 피크가 나타나며 O1s는 약 530 eV에서 전형적인 결합 에너지(binding energy) 피크가 나타났다. 또한, 약 684.5 eV 부근에서 F1s의 피크가 관찰되었으며 약 8 atomic.%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조된 F-TiO2 및 H-TiO2의 광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UV-Vis(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반응시간에 따른 염료(methylene blue)의 농도 변화를 관측하여 두 샘플의 광활성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도 5(a)의 결과에서 보듯이, F-TiO2가 H-TiO2에 비해 최종적으로(1시간) 우수한 염료 분해 특성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표면에 도핑된 불소에 의한 효과로 판단된다. 광촉매 효율 계산을 위해 아래 (1)의 식을 이용하였으며 도 5(b)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0
(1)
이때, Ct는 반응 후 MB 용액의 농도, C0는 초기 MB의 농도, k는 1차 속도 상수, t는 시간(분)을 나타낸다. 도 5(b) 결과에서 보듯이, SigmaPlotTM 13의 분석도구를 이용해 계산한 결과 F-TiO2는 R=0.989, R-square=0.977, H-TiO2는 R=0.999, R-square=0.998로 나타내었다. 더욱이, 합성된 F-TiO2 및 H-TiO2의 촉매 작용에 대한 반응속도는 0.0097±0.0007 min-1, 0.0066±0.0001 min-1로 계산되었으며 MB 용액의 반감기 (half-life)는 F-TiO2가 71.44분, H-TiO2가 105 분으로 나타났다. 계산된 반응속도 및 MB 용액의 반감기 결과를 바탕으로 F-TiO2가 H-TiO2보다 광촉매 효율이 우수하였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Claims (6)

  1. 이산화티타늄 분말 제조 방법으로서,
    암모늄 헥사플루오로티타네이트(ammonium hexafluorotitanate, AHFT, (NH4)2TiF6)와 붕산(boric acid, BA, H3BO3) 각각을 증류수에 용해하는 단계;
    상기 용해하는 단계에서 제조된 암모늄 헥사플루오로티타네이트(AHFT) 수용액에 상기 용해하는 단계에서 제조된 붕산(BA) 수용액을 혼합하여, 혼합된 수용액으로부터 반응을 통해 침전물을 얻는 단계;
    상기 침전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하는 단계에서 여과된 침전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산화티타늄 분말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해하는 단계는,
    두 개의 비커에 각각 100ml의 증류수를 채우고 90℃로 가열한 다음, 한 비커의 증류수에는 2.1g의 암모늄 헥사플루오로티타네이트(AHFT)를 투입하고, 다른 비커의 증류수에는 1.9g의 붕산(BA)를 투입한 후, 두 수용액이 각각 투명해질 때까지 약 20분 동안 교반하는, 이산화티타늄 분말 제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전물을 얻는 단계는,
    상기 암모늄 헥사플루오로티타네이트(AHFT) 수용액에 상기 붕산(BA) 수용액을 혼합하여 1시간 동안 반응을 유지하는, 이산화티타늄 분말 제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과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된 수용액을 유리 깔대기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이산화티타늄 분말 제조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상기 침전물을 여과한 후, 60 ~ 80℃의 온도 및 10-2 ~ 10-3 torr 범위에서 6 ~ 10시간 동안 건조하여 불소가 도핑된 아나타제상의 이산화티타늄 분말을 얻는, 이산화티타늄 분말 제조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전물을 얻는 단계는, 다음과 같은 반응식:
    Figure pat00011
    (a);
    Figure pat00012
    (b);
    Figure pat00013
    (c); 및
    Figure pat00014
    (d)를 포함하며,
    상기 반응식 (a) 내지 (d)를 통해 상기 침전물인 2F-가 흡수된 TiO2가 얻어지는, 이산화티타늄 분말 제조 방법.
KR1020170107424A 2017-08-24 2017-08-24 이산화티타늄 분말 제조 방법 KR201900219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424A KR20190021941A (ko) 2017-08-24 2017-08-24 이산화티타늄 분말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424A KR20190021941A (ko) 2017-08-24 2017-08-24 이산화티타늄 분말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941A true KR20190021941A (ko) 2019-03-06

Family

ID=65761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424A KR20190021941A (ko) 2017-08-24 2017-08-24 이산화티타늄 분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19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952B1 (ko) 2019-05-23 2020-03-09 주식회사 모노리스 암모늄 헥사플루오라이드 티타네이트 재생 시스템
KR20200058979A (ko) * 2018-11-20 2020-05-28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불소 함유 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체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불소 함유 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979A (ko) * 2018-11-20 2020-05-28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불소 함유 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체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불소 함유 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체
KR102086952B1 (ko) 2019-05-23 2020-03-09 주식회사 모노리스 암모늄 헥사플루오라이드 티타네이트 재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za et a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photocatalytic performance of visible light induced bismuth oxide nanoparticle
Hu et al. A microwave-assisted rapid route to synthesize ZnO/ZnS core–shell nanostructures via controllable surface sulfidation of ZnO nanorods
Raza et al. A green approach for degradation of organic pollutants using rare earth metal doped bismuth oxide
Qin et al. Enhanced photocatalytic activity for degrading Rhodamine B solution of commercial Degussa P25 TiO2 and its mechanisms
Lin et al. Controlled synthesis of the ZnWO4 nanostructure and effects on the photocatalytic performance
Li et al. Preparation of Ag doped Bi2O3 nanosheets with highly enhanced visible light photocatalytic performances
Fulekar et al. Ag incorporated nano BiPO 4: sonochemica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improved visible light photocatalytic properties
Cheng et al. Improved visible light photocatalytic activity of fluorine and nitrogen co-doped TiO2 with tunable nanoparticle size
Chakraborty et al. Formation of highly crystallized TiO2 (B) and its photocatalytic behavior
Nasir et al. Study of synergistic effect of Sc and C co-doping on the enhancement of visible light photo-catalytic activity of TiO2
Wu et al. Solvothermal fabrication of La-WO3/SrTiO3 heterojunction with high photocatalytic performance under visible light irradiation
Zhang et al. Superior visible light photocatalytic performance of reticular BiVO 4 synthesized via a modified sol–gel method
Li et al. Visible light responsive NF-codoped TiO2 photocatalysts for the degradation of 4-chlorophenol
Wang et al. Facile synthesis and photocatalytic activity of monoclinic BiVO4 micro/nanostructures with controllable morphologies
Bahadur et al. Effect of nominal doping of Ag and Ni on the crystalline structure and photo-catalytic properties of mesoporous titania
Haque et a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photocatalytic activity of visible light induced Ni-doped TiO2
Qi et al. Facile synthesis of Pr-doped molecularly imprinted TiO2 mesocrystals with high preferential photocatalytic degradation performance
Hojamberdiev et al. Visible-light-driven N–F-codoped TiO2 powders derived from different ammonium oxofluorotitanate precursors
Tian et al. Porous core-shell TixSn1-xO2 solid solutions with broad-light response: One-pot synthesis and ultrahigh photooxidation performance
Li et al. Enhanced photocatalytic and magnetic recovery performance of Co-doped BiFeO3 based on MOFs precursor
Lu et al. Photoactive β-Bi2O3 architectures prepared by a simple solution crystallization method
Du et al. Black lead molybdate nanoparticles: facile synthesis and photocatalytic properties responding to visible light
Sun et al. Crystallinity and photocatalytic properties of BiVO4/halloysite nanotubes hybrid catalysts for sunlight-driven decomposition of dyes from aqueous solution
Zhang et al. Graphite-like carbon deposited anatase TiO 2 single crystals as efficient visible-light photocatalysts
Zhang et al.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formaldehyde by nanostructured TiO2 composite fil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