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896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896A
KR20190014896A KR1020170098992A KR20170098992A KR20190014896A KR 20190014896 A KR20190014896 A KR 20190014896A KR 1020170098992 A KR1020170098992 A KR 1020170098992A KR 20170098992 A KR20170098992 A KR 20170098992A KR 20190014896 A KR20190014896 A KR 20190014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using
flow path
sump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6042B1 (ko
Inventor
이유민
이종민
주병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8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042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47L15/4208Arrangements to prevent clogging of the filters, e.g. self-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9Water lev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3Water recirculation, e.g. control of distributing valves for redirection of water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5Drain or recirculation pump, e.g. regulation of the pump rotational speed or flow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대상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섬프 저장부; 상기 섬프 저장부를 상기 터브와 구분하며, 상기 터브와 상기 저장부를 연통시키는 관통홀 및 회수홀이 구비된 섬프 커버; 상기 섬프 저장부 내부를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구분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지지부 관통홀; 하부면이 개방된 각기둥 또는 하부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면 상기 하부면이 상기 지지부 관통홀에 연통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각기둥의 측면 또는 상기 원기둥의 원주면을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 내부로 유입된 물을 여과하는 메쉬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저장부; 상기 분사암으로 물을 공급하는 분사암 유로; 상기 하우징 저장부로 물을 공급하는 제1공급유로; 상기 분사암 유로 및 상기 제1공급유로로 상기 섬프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공급하는 세척펌프; 상기 하우징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프레임 내부로 공급하는 제2공급유로; 및 상기 제2공급유로를 개폐하도록 구비된 밸브;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세제와 물을 이용하여 식기나 조리기구 등(이하 '세척대상'이라 함)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 등의 오물을 제거하는 기기이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을 수용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암, 물을 저장하는 섬프, 및 섬프에 저장된 물을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종래 식기세척기에서는 섬프에 저장된 물이 분사암을 통해 세척대상으로 분사되고, 분사된 물은 섬프로 회수된다. 회수된 물은 필터를 거치면서 여과되고, 분사암을 통해 세척대상으로 다시 분사될 수 있다. 이후 섬프에 존재하는 물이 모두 하수구로 배출되며, 이때 필터에 포집된 이물질은 물과 함께 배출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식기세척기에서는 일정한 양의 물이 순환하면서 세척대상으로 재분사되기 때문에, 물이 제대로 여과되지 못하면 세척이 완료된 세척대상에 이물질이 잔류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필터의 표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이 물과 함께 배수되지 않을 경우, 이물질이 필터에 고착되어 필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필터의 여과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의 표면에 이물질이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하는 시점에 필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 가능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대상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섬프 저장부; 상기 섬프 저장부를 상기 터브와 구분하며, 상기 터브와 상기 저장부를 연통시키는 관통홀 및 회수홀이 구비된 섬프 커버; 상기 섬프 저장부 내부를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구분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지지부 관통홀; 하부면이 개방된 각기둥 또는 하부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면 상기 하부면이 상기 지지부 관통홀에 연통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각기둥의 측면 또는 상기 원기둥의 원주면을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 내부로 유입된 물을 여과하는 메쉬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저장부; 상기 분사암으로 물을 공급하는 분사암 유로; 상기 하우징 저장부로 물을 공급하는 제1공급유로; 상기 분사암 유로 및 상기 제1공급유로로 상기 섬프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공급하는 세척펌프; 상기 하우징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프레임 내부로 공급하는 제2공급유로; 및 상기 제2공급유로를 개폐하도록 구비된 밸브;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2공급유로는 상기 하우징 저장부와 상기 하부 공간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분사암 유로와 상기 제1공급유로를 교번적으로 개방하는 유로전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섬프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세척펌프로 안내하는 제1연결관; 상기 세척펌프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유로전환부로 안내하는 제2연결관; 상기 섬프 저장부 내부의 수위가 상기 제1연결관의 높이 이하가 되면, 상기 제2공급유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펌프는 상기 상부 공간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급수원에 연결된 급수관; 상기 터브의 외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상기 하우징 저장부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급수관과 상기 하우징 저장부를 연결하는 제1유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공급유로를 상기 하우징 저장부에 연결하는 제2유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2공급유로를 상기 하우징 저장부에 연통시키며, 상기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관과 상기 하우징 저장부를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 저장부가 저장 가능한 최고 수위보다 높은 지점을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유로로 외기를 유입시키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저장부가 저장 가능한 최고 수위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된 제1연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를 상기 터브 내부와 연통시키고, 상기 제1연통홀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제2연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n자 형상으로 구비되며, 최고점이 상기 섬프 저장부에 저장 가능한 최고 수위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는 배수유로; 상기 하부 공간과 상기 배수유로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배수관; 상기 배수유로의 타단으로 배출되는 물을 하수구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 상기 제1배수관에 구비되는 배수펌프; 상기 배수유로에 구비되는 사이펀 브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필터의 여과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의 표면에 이물질이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하는 시점에 필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 가능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식기세척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섬프 및 하부 분사암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섬프를 Ⅰ-Ⅰ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섬프를 Ⅱ-Ⅱ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A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한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구비된 필터 어셈블리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구비된 유로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 식기세척기(1)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 식기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21), 상기 터브(21)을 개폐 가능한 도어(3), 상기 터브(21) 하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섬프(4), 상기 터브(21)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이 수납되는 수납부(5), 상기 수납부(5)에 수용된 세척대상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암(6), 및 물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어셈블리(7)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부(5) 및 분사암(6)은 상기 터브(21)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3)는 터브(21)에 구비된 개방면(미도시)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3)는 상기 캐비닛(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터브(21)의 개방면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5)는 세척대상을 수용하기 위한 하부 랙(51)과 상부 랙(5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랙(51)은 상기 섬프(4)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랙(53)은 상기 하부 랙(5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랙(51)과 상부 랙(53)은 도어가 상기 터브를 개방하면, 상기 터브(21)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터브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분사암(6)은 상기 하부 랙(5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부 랙(51)으로 물을 분사하는 하부 분사암(61), 상기 상부 랙(53)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상부 랙(53)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상부 분사암(63)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분사암(6)은 상기 터브(21)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랙(53) 및 하부 랙(51)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탑노즐(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프(4)는 물을 저장하는 섬프 저장부(41), 상기 섬프 저장부(41)를 터브(21)와 구분시키는 섬프 커버(42), 섬프 저장부(41)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43), 상기 섬프 저장부(41)의 물을 캐비닛(2)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프 저장부(41)에 저장된 물은 세척펌프(45) 및 분사암 유로(47)를 통해 상기 분사암(6)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섬프 저장부(41) 내부에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 어셈블리(7)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 어셈블리(7)는 지지부(411)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411)는 상기 섬프 저장부(41) 내부를 상부 공간(413)과 하부 공간(415)으로 구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7)는 상기 지지부(411)의 상부면에 안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11)에는 상기 상부 공간(413)과 하부 공간(415)을 연통시키는 지지부 관통홀(417)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 공간(413)에는 급수부(43) 및 세척펌프(45)가 연결되며, 하부 공간(415)에는 배수부(44) 및 후술할 순환유로(49)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섬프 커버(42)는 상기 터브(21)와 섬프 저장부(41)를 구분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섬프 저장부(41)의 상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섬프 커버(42)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7)가 삽입되는 관통홀(421), 상기 분사암(6)에서 터브(21)로 분사된 물을 상기 섬프 저장부(41)로 회수하는 다수의 회수홀(423, 도 2 참고)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43)는 식기세척기(1)의 외부에 위치된 급수원과 상기 섬프 저장부(41)를 연결하는 수단이다. 즉, 상기 급수부(43)는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섬프 저장부(41)로 안내하는 수단이다.
상기 배수부(44)는 배수펌프(441) 및 배수관(443)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펌프(441)가 작동하면 섬프 저장부(41) 내부의 물은 배수관(443)를 통해 식기세척기의 외부(하수구 등)로 배출될 것이다. 상기 배수펌프(441)의 작동 시 상기 하부 공간(415)에 모인 이물질이 물과 함께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상기 배수관(443)은 상기 하부 공간(415)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도 1 및 도 4 참고).
상기 세척펌프(45)는 섬프 저장부(41)에 저장된 물을 분사암(6) 및 순환유로(49)로 공급하는 수단이다. 상기 세척펌프(45)의 일단은 제1연결관(481)을 통해 상부 공간(413)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연결관(483)을 통해 유로 전환부(4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로 전환부(46)는 분사암 유로(47)와 순환유로(49)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구체적 구조는 후술한다.
상기 세척펌프(45)는 임펠러(457)가 수용되는 공간 및 물이 압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펌프 하우징(451), 상기 제1연결관(481)이 고정되도록 상기 펌프 하우징에 구비된 하우징 유입구(453), 상기 제2연결관(483)이 고정되도록 상기 펌프 하우징에 구비된 하우징 배출구(455), 상기 펌프 하우징(451)의 외부에 고정되어 상기 임펠러(457)를 회전시키는 모터(45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암 유로(47)는 상기 하부 분사암(61)으로 물을 공급하는 분사암 제1유로(471), 상기 상부 분사암(63) 및 탑노즐(65)로 물을 공급하는 분사암 제2유로(47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49)는 상기 세척펌프(45)를 통해 상기 섬프 저장부(41)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섬프 저장부의 하부 공간(415)으로 재공급하는 수단이다. 자세한 구조는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에 구비된 상기 필터 어셈블리(7)는 하부면이 개방된 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7)의 개방된 하부면은 지지부 관통홀(417)에 연통한다. 따라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유로(49)를 통해 상기 하부 공간(415)으로 물이 공급되면, 물은 필터 어셈블리(7)의 내부를 거쳐 상부 공간(413)으로 이동(F2)하고, 이 과정에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필터 어셈블리(7) 내부에 포집될 것이다.
상기 유로 전환부(46)는 분사암 제1유로(471), 분사암 제2유로(473), 순환유로(49)를 순차적으로 개방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분사암 제1유로와 제2유로(471, 473)만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 전환부(46)는 밸브나 회전판 등의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도 5 내지 도 6은 상기 유로 전환부(46)가 회전판 형태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 전환부(46)는 복수 개의 개구(4611, 4613)가 구비된 유로 전환 플레이트(461), 회전축(462)을 통해 상기 유로 전환 플레이트(461)를 회전시키는 유로 전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개구(4611)는 분사암 제1유로(471)와 순환유로(49)를 한 번에 개방시킬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되고, 제2개구(4613)는 제1개구(4611)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 전환 모터에 의해 유로 전환 플레이트(461)가 회전하면, 상기 개구들(4611, 4613)의 위치에 따라 상기 분사암 제1유로(471) 및 분사암 제2유로(473)는 개방과 폐쇄를 반복할 수 있다. 다만, 도 6은 상기 유로 전환 플레이트의 회전에 상관없이 상기 순환유로(49)는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는 세척펌프(45)의 작동 시 물이 항상 상기 순환유로(49)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섬프(4)에 저장된 물을 최대한 빨리 여과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유로 전환 플레이트(461)가 도 6(a)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한 경우, 분사암 제1유로(471), 분사암 제2유로(473) 및 순환유로(49)는 모두 개방된 상태이다. 이 경우, 상기 세척펌프(45)에서 배출되는 물 중 일부는 분사암(6)으로 공급되고, 상기 세척펌프에서 배출되는 물 중 나머지는 상기 순환유로(49)를 통해 하부 공간(415)로 순환할 것이다.
상기 순환유로(49)를 통해 하부 공간(415)으로 공급된 물은 필터 어셈블리(7)의 내부 공간을 거쳐 상부 공간(413)으로 이동(F2)한다. 따라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필터 어셈블리(7) 내부에 잔류하고, 이물질이 제거된 물(여과된 물)은 섬프 저장부의 상부 공간(413)으로 공급될 것이다. 상기 세척펌프(45)는 상기 상부 공간(413)의 물을 분사암(6)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은 세척 중 물을 여과 가능하다.
다만, 상술한 과정을 통해 물을 여과하면 상기 필터 어셈블리(7)의 표면에는 이물질이 잔류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7)의 표면에 이물질이 쌓이면, 필터 어셈블리(7)의 여과 성능이 저하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순환유로(49)가 필터 어셈블리(7) 내부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이물질이 필터 어셈블리(7)의 표면에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하다. 상기 순환유로(49)에서 공급되는 물이 필터 어셈블리(7) 내부에 수류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이물질이 필터 어셈블리의 표면에 고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유로 전환 플레이트(461)가 도 6(b)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유로 전환부(46)는 상기 순환유로(49)만을 개방하게 된다. 이 경우, 세척펌프(45)에서 유로 전환부(46)로 공급된 물은 모두 상기 순환유로(49)를 통해 하부 공간(415)로 공급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부 공간(413)에 저장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단시간에 제거 가능하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7)는 섬프 커버(42)의 관통홀(421)을 통해 섬프(4)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필터 어셈블리(7)를 섬프 커버(42)에서 분리한 뒤 청소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로 필터 어셈블리(7)의 구조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어셈블리(7)는 섬프(4) 내부에 삽입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73), 및 필터(73) 상부에 결합되는 핸들부재(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재(71)는 필터(73)의 장착과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제거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재(71)는 환형의 바디(711), 바디(7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여 필터(73)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장리브(713), 및 바디(711)를 가로지르는 핸들(7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재(71)는 필터(7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사용자는 핸들(715)을 파지한 상태에서 필터(73)를 섬프 커버의 관통홀(421)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연장리브(713)는 상기 필터(73)에 구비된 삽입홀(73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장리브(713)의 말단에는 후크(714)가 구비될 수 있다. 후크(714)는 연장리브(713)의 말단에서 바디(711)의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면(7141)과 걸림면(71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714)가 삽입홀(7311)에 삽입되면, 걸림면(7143)이 안착부(731)의 저면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연장리브(713)가 후술할 필터의 안착부(73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핸들(715) 하부에는 핸들부재(71)와 필터(73)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안내리브(71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리브(717)는 필터(73)에 구비된 안내홀(7379)에 삽입된다.
상기 필터(73)는 상기 관통홀(421)에 삽입되며 바닥면이 개방면으로 구비된 프레임(732, 734),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 상기 관통홀(4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섬프 커버(42)에 안착되는 안착부(731),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물을 여과하는 메쉬부(733, mesh),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섬프 커버(42)에서 상기 프레임 내부로 유입되는 물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코어부(7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하부면이 개방된 각기둥 또는 하부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어느 경우에나 상기 프레임은 상기 관통홀(421)에 삽입되면 프레임의 하부면이 상기 지지부 관통홀(417)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도 8은 상기 프레임이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상기 프레임은 섬프 저장부(41)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리브(732), 상기 각 지지리브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보강 링(734)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리브(732)의 하부 말단에는 필터 지지부(411) 상에 안착되는 지지대(7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735)는 상기 지지부(411)에 접촉하여 필터(73)를 지지하는 수단이다. 즉, 상기 필터(73)는 안착부(731)와 지지대(735)가 각각 섬프 커버(42)와 지지부(411)에 접촉함으로써, 섬프(4)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섬프(4) 내부에 물의 흐름이 발생하더라도 필터(73)는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안착부(731)에는 상기 핸들부재(71)를 고정하기 위한 삽입홀(73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홀(7311)에는 핸들부재(71)의 연장리브(713)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메쉬부(733)는 상기 지지리브(732) 및 보강 링(734)에 고정되어 상기 필터 어셈블리(7)의 원주면을 형성한다. 상기 메쉬부(733)는 안착부(731)와 지지대(735) 사이에 설치되며,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상기 코어부(737)는 링 형상의 안착부(731) 중앙에 위치하는 코어(7371), 상기 코어(7371)와 안착부(731)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리브들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서로 교차하는 방사리브(7373)와 보강리브(737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어(7371), 방사리브(7373) 및 보강리브(7375)는 제1홀 및 제2홀(7376, 7378)을 형성하고, 물은 상기 제1홀 및 제2 홀(7376, 7378)을 통해 상기 프레임(732, 734)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 과정에서 이쑤시개 등의 스틱형 이물질은 상기 리브들(7373, 7375)에 의해 걸러질 것이다.
상기 코어(7371)의 상부에는 핸들부재(71)에 구비된 상기 안내리브(717)와 결합하는 안내홀(7379)이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순환유로(49)를 통해 하부 공간(415)으로 물이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공급되면, 상기 프레임(732, 734) 내부에 수류가 발생하고, 프레임 내부에 발생한 수류는 메쉬부(733)에 이물질이 고착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효과가 있다. 다만, 상기 프레임(732, 734) 내부의 이물질은 세척펌프(45)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된 메쉬부(733)에 집중될 것이므로, 순환유로(49)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압력이나 물의 양이 낮거나 적으면, 메쉬부(733)의 일부영역에 집중된 이물질을 메쉬부에서 분리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식기세척기(1)에는 순환유로(49)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물을 원하는 시점에 상기 하부 공간(415)으로 공급 가능한 유로부(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상기 유로부(9)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유로부(9)는 터브(21)의 외부에 고정되는 하우징(91), 상기 하우징(91)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저장부(9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91)은 상기 터브의 외주면이나 상기 캐비닛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터브와 상기 캐비닛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 바디(911), 상기 하우징 바디(911)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면(예: 전방면)을 형성하는 하우징 커버(91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저장부(94)는 상기 하우징(91)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장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저장부(94)가 상기 하우징(91) 내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순환유로(49)는 상기 유로 전환부(46)와 상기 하우징 저장부(94)을 연결하는 제1공급유로(491), 상기 하우징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하부 공간(415)으로 배출하는 제2공급유로(493)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공급유로(493)는 밸브(975)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하우징 저장부(94)에 저장된 물이 제1공급유로(491)를 통해 섬프 저장부(41)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91)에는 바닥면에서 상부면을 향해 연장되는(터브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유로(9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유로(493)는 배출부(97)를 통해 상기 하우징(9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97)는 상기 하우징(91)에 구비되어 상기 제2공급유로(493)가 고정되는 배출관(971), 상기 배출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저장부(94) 내부의 물을 상기 배출관(971)으로 유입시키는 배출구(973)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밸브(975)는 제어부(미도시, 세척펌프를 제어하는 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배출구(973)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유로부(9)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는 세척펌프(45)의 작동 시 섬프 저장부(41)에 저장된 물이 순환유로(49)를 통해 하우징 저장부(94)에 저장되고, 상기 하우징 저장부에 저장된 물은 제어부가 상기 밸브(975)를 통해 배출구(973)를 개방한 때 섬프 저장부의 하부 공간(415)으로 공급될 것이다. 하우징 저장부(94)에 저장된 물이 짧은 시간에 상기 섬프 저장부(41)에 공급되면, 필터 어셈블리의 프레임(732, 734) 내부의 수압이 증가하거나 수류가 강해져 메쉬부(733)의 일부 영역(메쉬부가 제공하는 영역 중 세척펌프와 가까운 곳에 위치된 영역)에 집중된 이물질을 메쉬부에서 분리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필터(73)의 여과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 가능하다.
다만, 상기 하우징 저장부(94)로 너무 많은 양의 물이 이동하면 상기 섬프 저장부(41)의 수위가 낮아져 상기 분사암(6)을 통해 물이 세척대상에 분사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사암(6)으로 물이 공급되지 않을 때에만 상기 하우징 저장부(94)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부는 상기 분사암 유로(47)와 상기 순환유로(49)를 교번적으로 개방하도록 상기 유로 전환부(46)를 제어하고, 상기 섬프 저장부(41)의 수위가 제1연결관(481)이 위치한 지점보다 낮아지면 상기 하우징 저장부(94)에 저장된 물이 상기 섬프 저장부(41)로 유입되도록 상기 밸브(975)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섬프 저장부(41) 내부의 수위는 제어부가 상기 섬프 저장부(41) 내부에 구비된 압력센서가 전송하는 데이터를 기준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공급유로(491)를 통해 하우징 저장부(94)로 공급되는 물에는 이물질이 포함돼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 저장부(94)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로부(9)에는 상기 급수부(43)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하우징 저장부(94)로 안내하는 제1유로(9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급수부(43)는 급수원(S)에 연결된 급수관(431),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관(431)을 개폐하는 급수밸브(432)로 구비되고, 상기 제1유로(95)는 상기 하우징(9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관(431)과 상기 하우징 저장부(94)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하우징 저장부(94)에 저장된 물이 상기 제1유로(95)를 통해 급수관(431)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유로(95)는 상기 하우징 저장부(94)가 저장 가능한 최고 수위(H)보다 높은 지점을 통과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도 10에 도시된 제2유로(96)는 최상단에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 저장부(95)의 최고 수위(H)가 제2유로(96)의 높이에 의해 결정되는 구조이다. 이 경우, 상기 제1유로(95)의 최고점은 상기 제2유로(96)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제1유로(95)에는 상기 하우징 저장부(94)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측정부(95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95)는 하우징(91)의 바닥면에서 최고점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최고점에서 상기 하우징(91)의 바닥면으로 연장되는 유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유로(95)의 정점에는 절곡부(953)가 구비될 것이고, 상기 제1유로(95)의 끝단은 하우징 연결관(957)을 통해 하우징 저장부(94)와 연결될 것이다.
다만, 상술한 구조를 가진 제1유로(95)는 급수원(S)의 수압변화로 상기 급수관(431) 내부에 부압(음압, negative pressure)이 발생하면 상기 하우징 저장부(94) 내부의 물이 급수관(431)으로 역류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1유로(95)에는 외기를 제1유로로 유입시키는 제1연통홀(95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저장부(94) 내부의 물이 상기 제1연통홀(955)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연통홀(955)은 상기 하우징 저장부(94)에 설정된 최고 수위(H)보다는 높은 위치에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제1유로(95)를 통해 상기 하우징 저장부(94)로 물이 공급될 때 물이 제1연통홀(955)을 통해 누수되더라도 이를 터브(21)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91)에는 제2연통홀(95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연통홀(956)은 상기 하우징 바디(91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91) 내부와 상기 터브(21) 내부를 연통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제1연통홀(955)보다는 낮은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급수원(S)에서 상기 섬프 저장부(41)로 공급되는 물이 하우징 저장부(94)를 통과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하우징 저장부(94)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최소화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유로부(9)는 상기 배수관(443)에 사이펀 현상(siphon)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사이펀 프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91)에는 배수유로(981) 및 사이펀 브레이크(983, 984, 985)로 구비되는 배수유로부(9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수관(443)은 상기 배수유로(981)와 상기 섬프 저장부(41)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4431), 상기 배수유로(981)의 타단으로 배출되는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4433)으로 구비되고, 상기 배수펌프(441)는 상기 제1배수관(443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유로(981)는 상기 하우징(91) 내부에 n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유로로, 상기 배수유로(981)의 최고점(L2)은 상기 섬프 저장부(41)에 설정된 최고 수위(L1)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해야 한다. 상기 배수관(443)을 폐쇄하는 별도의 밸브 없이도 섬프 저장부(41)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사이펀 브레이크는 상기 배수유로(981)에서 하우징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배수유로 내부와 연통하는 연결챔버(983), 상기 연결챔버(983) 내부 공간을 상기 하우징 내부와 연통시키는 제3연통홀(984), 상기 제3연통홀(984)를 개폐하는 체크밸브(98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985)는 상기 연결챔버(983) 내부의 물은 상기 연결챔버(983)의 외부로 배출시키되, 상기 하우징 내부의 물은 상기 연결챔버(983) 내부로 유입시키지 않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제3연통홀(984)을 통해 배출된 물이 상기 터브(21)로 회수되도록, 상기 제3연통홀(984)은 상기 제2연통홀(956)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식기세척기 2: 캐비닛
21: 터브 3: 도어
4: 섬프 41: 섬프 저장부
411: 지지부 413: 상부 공간
415: 하부 공간 42 섬프 커버
43: 급수부 44: 배수부
45: 세척펌프 46: 유로 전환부
47: 분사암 유로 49: 순환유로
5: 수납부 6: 분사암
7: 필터 어셈블리 9: 유로부

Claims (10)

  1.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대상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섬프 저장부;
    상기 섬프 저장부를 상기 터브와 구분하며, 상기 터브와 상기 저장부를 연통시키는 관통홀 및 회수홀이 구비된 섬프 커버;
    상기 섬프 저장부 내부를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구분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지지부 관통홀;
    하부면이 개방된 각기둥 또는 하부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면 상기 하부면이 상기 지지부 관통홀에 연통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각기둥의 측면 또는 상기 원기둥의 원주면을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 내부로 유입된 물을 여과하는 메쉬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저장부;
    상기 분사암으로 물을 공급하는 분사암 유로;
    상기 하우징 저장부로 물을 공급하는 제1공급유로;
    상기 분사암 유로 및 상기 제1공급유로로 상기 섬프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공급하는 세척펌프;
    상기 하우징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프레임 내부로 공급하는 제2공급유로; 및
    상기 제2공급유로를 개폐하도록 구비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유로는 상기 하우징 저장부와 상기 하부 공간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암 유로와 상기 제1공급유로를 교번적으로 개방하는 유로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세척펌프로 안내하는 제1연결관;
    상기 세척펌프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유로전환부로 안내하는 제2연결관;
    상기 섬프 저장부 내부의 수위가 상기 제1연결관의 높이 이하가 되면, 상기 제2공급유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펌프는 상기 상부 공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제5항에 있어서,
    급수원에 연결된 급수관;
    상기 터브의 외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상기 하우징 저장부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급수관과 상기 하우징 저장부를 연결하는 제1유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공급유로와 상기 하우징 저장부를 연결하는 제2유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2공급유로를 상기 하우징 저장부에 연통시키며, 상기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관과 상기 하우징 저장부를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 저장부가 저장 가능한 최고 수위보다 높은 지점을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로 외기를 유입시키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저장부가 저장 가능한 최고 수위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된 제1연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를 상기 터브 내부와 연통시키고, 상기 제1연통홀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제2연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n자 형상으로 구비되며, 최고점이 상기 섬프 저장부에 저장 가능한 최고 수위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는 배수유로;
    상기 하부 공간과 상기 배수유로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배수관;
    상기 배수유로의 타단으로 배출되는 물을 하수구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
    상기 제1배수관에 구비되는 배수펌프;
    상기 배수유로에 구비되는 사이펀 브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70098992A 2017-08-04 2017-08-04 식기세척기 KR102396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992A KR102396042B1 (ko) 2017-08-04 2017-08-04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992A KR102396042B1 (ko) 2017-08-04 2017-08-04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896A true KR20190014896A (ko) 2019-02-13
KR102396042B1 KR102396042B1 (ko) 2022-05-10

Family

ID=65366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992A KR102396042B1 (ko) 2017-08-04 2017-08-04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0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490A1 (ko) * 2020-07-22 2022-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WO2023013827A1 (ko) * 2021-08-05 2023-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US12016508B2 (en) 2021-08-05 2024-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 wash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685A (ko) * 1998-06-22 2000-01-15 윤종용 일체형 펌프를 가진 식기세척기의 유로개폐장치
KR20110131921A (ko) * 2010-06-01 2011-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20170011113A (ko) * 2015-07-21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685A (ko) * 1998-06-22 2000-01-15 윤종용 일체형 펌프를 가진 식기세척기의 유로개폐장치
KR20110131921A (ko) * 2010-06-01 2011-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20170011113A (ko) * 2015-07-21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490A1 (ko) * 2020-07-22 2022-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WO2023013827A1 (ko) * 2021-08-05 2023-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US12016508B2 (en) 2021-08-05 2024-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 wash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6042B1 (ko)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3525B2 (en) Ultra micron filter for a dishwasher
KR101582877B1 (ko) 식기세척기
US8673090B2 (en) Dishwasher
US6605157B2 (en) Method for operating a dishwasher fluid circulation assembly
US6698438B2 (en) Dishwasher fine filter assembly with helical flow path
JP4740247B2 (ja) 食器洗い機
US20120291821A1 (en) Water inlet flush for dishwasher filter
US6641058B2 (en) Dishwasher spray arm hub and conduit assembly
US6832617B2 (en) Dishwasher fine filter assembly
US7694689B2 (en) Dish washer and sump mounting structure thereof
CA2365763C (en) Dishwasher fine filter pressure relief
US8377228B2 (en) Wash fluid distribution and filtration assembly and method
KR20190014896A (ko) 식기세척기
KR20070040879A (ko) 식기 세척기용 판형 유로제어밸브 및 이를 적용한 식기세척기
KR20140039747A (ko) 식기세척기
US8221554B2 (en) Filtering method and related dishwasher
KR20180106057A (ko) 식기세척기
KR20160100595A (ko) 식기 세척기
KR20180106058A (ko)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20140100072A (ko) 식기세척기
KR100934695B1 (ko) 식기 세척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101980705B1 (ko) 식기세척기
KR101356295B1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KR100457595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20060011279A (ko) 식기 세척기의 보조 오물 걸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