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575A -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575A
KR20190013575A KR1020180087096A KR20180087096A KR20190013575A KR 20190013575 A KR20190013575 A KR 20190013575A KR 1020180087096 A KR1020180087096 A KR 1020180087096A KR 20180087096 A KR20180087096 A KR 20180087096A KR 20190013575 A KR20190013575 A KR 20190013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hair
group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2736B1 (ko
Inventor
최강열
심지용
류영찬
박지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케이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케이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케이바이오텍
Priority to EP18840790.2A priority Critical patent/EP3662891B1/en
Priority to PCT/KR2018/008710 priority patent/WO2019027239A2/ko
Priority to US16/635,275 priority patent/US11154566B2/en
Priority to CN201880060269.5A priority patent/CN111093620B/zh
Publication of KR20190013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61K31/4045Indole-alkylamines; Amides thereof, e.g. serotonin, melaton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15Pyridoxine, i.e. Vitamin B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5Isoalloxazines, e.g. riboflavins, vitamin B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4Evo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40Cyclodextr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61K8/49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having condensed rings, e.g. ind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디루빈 유도체와;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의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은 천연물 유래 조성물로 세포에 대한 독성이 거의 없고, 인디루빈 유도체는 인체에 대한 독성이 거의 없다고 밝혀진 안정한 화합물이므로, 이들을 혼합물로 사용함에 있어서, 종래 스테로이드 약물과 달리 인체에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f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본 발명은 인디루빈 유도체와 식물 추출물 또는 저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인체에 약 10만 내지 15만 개 정도 존재하며, 모낭(hair follicle)에서 형성된다. 각각의 모발들은 서로 다른 주기로, 성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및 휴지기(telogen)를 반복한다. 성장기는 모발이 성장하는 시기이고, 퇴행기는 성장기가 끝나고 모발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대사과정이 느려지는 시기로, 이 시기에는 모발의 성장이 느려지게 된다. 퇴행기에는 모낭의 세포 분열이 정지되어 급격히 위축되는 시기이다. 마지막 휴지기는 모낭의 활동이 완전히 멈추고 탈모를 준비하는 시기로, 휴지기 모발은 기저부에서 새롭게 자라는 성장기 모발에 의해 밀려나 저절로 빠지게 되고, 빗질이나 머리를 감는 등의 물리적 작용에 의해 쉽게 탈락된다. 이러한 주기는 3~6년에 걸쳐 반복된다.
이러한 자연적인 현상에 의한 탈모 외에, 인간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자연노화현상이나 외부환경요인, 호르몬 불균형 등에 의해서 탈모와 관련된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탈모란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탈모 질환이 진행되는 경우 모근에 존재하는 유두가 작아지고, 모유두가 작아지면 머리털의 굵기도 가늘어지고 동시에 모주기도 짧아지며, 새로 자라나온 털은 더욱 가늘어진다. 즉 탈모가 진행되면 머리털은 솜털로 변하며 모주기는 더욱 짧아져버리기 때문에 모발이 조금 자라고 바로 빠져버리게 되는 것이다.
현재 국내 탈모인구는 대한모발학회에 따르면 10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고, 2011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집계 결과 이런 탈모환자의 절반 가까이가 20 대나 30 대의 젊은 층이였다. 즉 더 이상 탈모는 나이많은 남성만의 고민이 아닌, 대다수 사람들의 고민으로 자리잡았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탈모 칠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로는 미녹시딜과 프로페시아가 상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미녹시딜은 장기 적용 시 부종, 부정맥과 원하지 않는 부위에 털이 나는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며 미녹시딜의 효과는 사용으로부터 6개월에서 1년 사이에 가장 큰 효과를 보이고 이후에는 서서히 그 효과가 줄어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로페시아의 경우 복용 환자들의 성기능 장애와 우울증 및 자살충동의 증가가 보고된 바 있다. 또한 프로페시아는 기형아 출산의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에 가임기의 여성이나 임신 중의 여성에게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게다가, 상기 약물들은 모두 적용을 중단할 경우 다시 탈모가 진행되는 문제가 있다. 이 외에도 발프로산이 있지만, 임신 중 복용할 경우 아이의 인지발달 능력이 크게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이처럼 종래의 여러 종류의 발모제는 일반적으로 두피의 혈행 촉진과 모근의 영양공급을 목적으로 하여 모발의 성장에 도움을 주도록 하는 방법이 시도되었으나 이 역시 독성과 부작용이 심하고 그 효과 또한 미흡한 것이 현재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805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디루빈 유도체와 식물 추출물 또는 저분자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며, 육모와 양모를 비롯하여 탈모 예방에 효과적인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와 식물 추출물 또는 저분자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혹은 건강기능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줄기, 잎,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물, DMSO,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줄기, 잎,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DMSO, n-헥산,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분획하여 수득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는 5-메톡실인디루빈-3'-옥심, 인디루빈-3'-옥심, 6-브로모인디루빈-3'-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프로필옥심,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3'-옥심, 6-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브로모인디루빈-3'-옥심, 5-브로모인디루빈-3'-메톡심, 5-브로모인디루빈-3'-에틸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프로필옥심 및 6-클로로인디루빈-3'-벤질옥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3]
Figure pat00003
[화학식 4]
Figure pat00004
상기 추출물의 건조 중량부 10을 기준으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가 5 내지 15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건조 중량으로 0.001 내지 5 중량% 또는 액상 중량으로 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에멀젼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중량비는 0.3-30 : 1 : 2-2.5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Tween 2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Tween 4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Tween 60)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oleate, Tween 8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오일은 폴리에톡실화된 피마자유(Kolliphor®EL), 해바라기 오일 및 올리브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더 높은 가용화를 위해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유효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이 100 내지 100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제형은 3 달째에 측정했을 때 온도 25 내지 4℃ 조건하에 증류수에서 wnt 활성 및 용해도의 변화가 나타내지 않는 안정한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다른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피부로부터 분리된 모유두세포의 성장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생체 외에서 모유두세포의 성장 길이 또는 증식을 촉진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에멀젼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중량비는 0.3-30 : 1 : 2-2.5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더 높은 가용화를 위해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유효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이 100 내지 100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또 다른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샴푸, 스프레이, 린스, 헤어, 젤, 헤어토닉, 헤어로션, 비누 또는 헤어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두발용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에멀젼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중량비는 0.3-30 : 1 : 2-2.5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더 높은 가용화를 위해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유효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이 100 내지 100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또 다른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촉진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탈모 방지 또는 발모를 촉진할 수 있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어 발모 촉진제를 비롯하여 탈모 방지 기능으로부터 발휘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기능성 화장품에 활용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은 천연물 유래 조성물로 세포에 대한 독성이 거의 없고, 인디루빈 유도체는 인체에 대한 독성이 거의 없다고 밝혀진 안정한 화합물이므로, 이들을 혼합물로 사용함에 있어서, 종래 스테로이드 약물과 달리 인체에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조성물로, 단독 조성물에 비해 강력한 발모, 양모, 탈모 방지에 대해 효과를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진피모유두세포(human dermal papilla cell)에서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의 처리에 따른 ALP(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b는 진피모유두세포(human dermal papilla cell)에서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의 처리에 따른 ALP(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c는 진피모유두세포(human dermal papilla cell)에서 실시예 3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의 처리에 따른 ALP(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d는 진피모유두세포(human dermal papilla cell)에서 실시예 4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의 처리에 따른 ALP(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양성 대조군(MNX)은 복합물 대신에 종래 탈모 치료제인 minoxidil를 처리한 것이다.
도 2a는 제조예 1 내지 5로부터 제조된 단독물질(인디루빈 유도체, 쉬나무 추출물 단독), 실시예 1 내지 4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을 각각 마우스(mouse) 코털 모낭(vibrissa follicles)에 처리하였을때, 각 실험군에서의 모간 (hair shaft) 성장 촉진 효능을 나타낸 현미경 사진이다.
도 2b는 제조예 1 내지 5로부터 제조된 단독물질(인디루빈 유도체, 쉬나무 추출물 단독), 실시예 1 내지 4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을 각각 마우스(mouse) 코털 모낭(vibrissa follicles)에 처리하였을때, 각 실험군에서의 모간 (hair shaft) 성장 길이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데이터는 평균 ㅁS.D로 표시하였고,*P<0.05,**P<0.005,***P<0.0005 vs. 대조군임).
도 3a는 제조예 2, 6, 7로부터 제조된 단독물질(인디루빈 유도체,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단독), 실시예 5, 6으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을 각각 마우스(mouse) 코털 모낭(vibrissa follicles)에 처리하였을때, 각 실험군에서의 모간 (hair shaft) 성장 촉진 효능을 나타낸 현미경 사진이다.
도 3b는 제조예 2, 6, 7로부터 제조된 단독물질(인디루빈 유도체,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단독), 실시예 5, 6으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을 각각 마우스(mouse) 코털 모낭(vibrissa follicles)에 처리하였을때, 각 실험군에서의 모간 (hair shaft) 성장 길이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데이터는 평균 ㅁS.E로 표시하였고,*P<0.05,**P<0.005,***P<0.0005 vs. 대조군임).
도 4는 제조예 2, 5, 8 내지 10으로부터 제조된 단독물질(인디루빈 유도체,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 단독), 실시예 2 및 실시예 7 내지 9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을 각각 마우스(mouse) 코털 모낭(vibrissa follicles)에 처리하였을때, 각 실험군에서의 모간(hair shaft) 성장 촉진 효능을 나타낸 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제조예 2, 5, 8 내지 10으로부터 제조된 단독물질(인디루빈 유도체,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 단독), 실시예 2 및 실시예 7 내지 9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을 각각 마우스(mouse) 코털 모낭(vibrissa follicles)에 처리하였을때, 각 실험군에서의 모간 (hair shaft) 성장 길이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데이터는 평균 ㅁS.E로 표시하였고,*P<0.05,**P<0.005,***P<0.0005 vs. 대조군임).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예 2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A3051)를 상기 다양한 오일 또는 계면활성제에 각각 용해시켜 제조된 에멀젼 용액의 사진이다.
도 7은 Tween 80와 PEG 400를 2:1의 비율 혼합된 계면활성제로 제조된 에멀젼 용액에 대한 삼원(ternary) 상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Tween 80와 PEG 400를 1:1의 비율 혼합된 계면활성제로 제조된 에멀젼 용액에 대한 삼원(ternary) 상 다이어그램이다.
도 9는 Tween 80와 PEG 400를 1:2의 비율 혼합된 계면활성제로 제조된 에멀젼 용액에 대한 삼원(ternary) 상 다이어그램이다. 도 9의 삼원 상 다이어그램에는 안정한 에멀젼을 형성하는 지역을 적색의 점으로 표시하였다.
도 10은 상온(25 ℃)에서, F8, F10~12 에멀젼 제제의 상대적인 용해도%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저온(4 ℃)에서, F8, F10~12 에멀젼 제제의 상대적인 용해도%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은 상온(25 ℃)에서, F8, F10~12 에멀젼 제제의 상대적인wnt reporter activity%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저온(4 ℃)에서, F8, F10~12 에멀젼 제제의 상대적인 wnt reporter activity%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측면 및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디루빈 유도체와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복합물로,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에 대해 탁월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이 가능하므로, 약학, 식품, 화장료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조성물이다.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는 5-메톡실인디루빈-3'-옥심, 인디루빈-3'-옥심, 6-브로모인디루빈-3'-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프로필옥심,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3'-옥심, 6-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브로모인디루빈-3'-옥심, 5-브로모인디루빈-3'-메톡심, 5-브로모인디루빈-3'-에틸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프로필옥심 및 6-클로로인디루빈-3'-벤질옥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는 장기간 세포에 처리하여도 세포에 대한 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면서, 추출물과 함께 처리하였을 때 유의한 효과의 증가가 있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일 수 있다. 왜냐하면 생체 외(in virto) 실험을 통해 화학식 2의 인디루빈 유도체와 쉬나무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는 것이 화학식 1,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의 인디루빈 유도체와 쉬나무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는 경우,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1 내지 4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에 비해, 2.5 배 이상 모유두세포에서의 성장이 관찰되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상기 천연물 추출물(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과 함께 사용되는 인디루빈 유도체로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일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5,6-디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화학식2)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화학식 2]
Figure pat00006
[화학식 3]
Figure pat00007
[화학식 4]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복합물은 하기의 실시예 및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추출물 단독 또는 추출물과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혼합한 복합물에 의한 모유두세포의 증식 효과를 확인한 결과 우수한 ALP 활성이 확인되었다. 특히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A3334)를 혼합할 경우에는, 쉬나무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 보다 10배 더 작은 농도에서 1.5 배 높은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추출물과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2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혼합한 복합물을 마우스(mouse)로부터 분리한 코털 모낭에 처리하고 배양한 결과, 코털 모낭의 모섬유질 길이가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추출물과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혼합한 복합물은 종래 탈모 치료제보다 농도가 100~1000배 이상 적게 투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4 배 이상의 길이 증가를 보였고, 화학식 1의 인디루빈 유도체(실시예 1)를 포함하는 복합물은 실시예 2, 3, 4 복합물보다 10 배 농도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2.5 배 이상의 예상치 못한 현저한 상승이 확인되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9
[화학식 2]
Figure pat00010
[화학식 3]
Figure pat00011
[화학식 4]
Figure pat00012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복합물은 모낭이 휴지기로 접어드는 것을 예방하고, 성장기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탈모를 방지하고 모발 성장을 촉진시키는 약학적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인디루빈 유도체,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 용량을 늘려 효과를 상승시키는데는 한계가 존재했다. 특히 각각의 성분들이 모발 성장 효과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이들을 혼합한다고 하여 반드시 효과 역시 각각의 성분을 합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서로 다른 성분들의 혼합으로 효과가 저하되거나, 얻을 수 있는 모발 성장 효과가 미미한 경우가 대다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많은 반복실험을 통해, 천연 유래 성분인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과 같은 추출물 또는 천연물 유래 성분인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 중 어느 하나와 인디루빈 유도체를 혼합하였을 때, 단순히 각각의 용량을 높여 얻을 수 있는 효과보다 실질적이고 현저한 모발의 성장을 확인한 바, 그 효능적인 측면에 있어서 감소나 방해없이, 저용량을 첨가함에도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저분자 화합물은 쉬나무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감귤 추출물, 편축 추출물, 여뀌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으로, 상기 메틸 바닐레이트는 지구자 추출물에 주로 존재하고, 상기 헤스페리딘은 쉬나무 추출물, 감귤 추출물에 존재하며, 상기 퀘르시트린은 여뀌 추출물, 편축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에 주로 존재할 수 있다.
인디루빈 유도체(화학식 2)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메틸 바닐레이트와 인디루빈 유도체(화학식 2)의 복합물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헤스페리딘 또는 퀘르시트린과 인디루빈 유도체(화학식 2)의 복합물을 사용하였을 때가 5 배 이상 낮은 함량에서 우수한 모발 성장 촉진 효과(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2 배 이상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모발 질환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모낭과 모유두세포에서, 세포의 증식을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갖는다.
특히, 모유두세포는 모발의 발생과 성장, 주기조절에 관여하는 모낭 기저부의 중배염 유래 조직으로, 모세포(hair matrix cell)과 상호작용하고 이들 세포를 자극하여 모낭과 모발을 구성하는 여러 세포로 분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모유두세포(중배엽 세포)는 발생기에는 모발의 생성을 유도하고 이후 모발의 성장을 자극하는 물질을 분비하며, 모유두 세포의 변화에 따라 퇴행기가 시작되고, 휴지기 중에 모유두 세포의 신호에 의해 모발줄기세포가 분열하여 새로운 모낭을 형성하는 성장기가 시작된다.
탈모증은 몇몇 인자들 중에서 모유두의 증식과 세포 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있으므로 모유두 세포의 탈모 방지 혹은 발모 촉진에 유용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사용된 인디루빈 유도체는 유리 물질로서 뿐만 아니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다형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전구약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의 염에 있어서는 의약 또는 화장료 내에서 배합할 수 있는 형태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무기염 또는 유기염을 포함하며, 산성염 또는 알칼리성염일 수 있다. 특히 양이온에 의한 염인 경우 나트륨염이나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및 바륨염 등의 알칼리토류 금속염; 아르기닌이나 라이신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염; 암모늄염이나 트리시클로헥실암모늄염 등의 암모늄염; 모노에탄올아민염, 디에탄올아민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염, 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및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의 각종 알칸올 아민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염은 알칼리 금속염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테트라소듐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능력이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고, 모발의 탈락에 의한 탈모나 모발의 성장이 더딜 경우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디루빈 유도체와;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 중량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디루빈 유도체와 천연물 추출물(쉬나무, 여뀌 또는 지구자 추출물)이 혼합될 경우에는 상기 추출물의 건조 중량부 10을 기준으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가 5 내지 15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1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탈모 방지 및 모발 촉진 효과가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조성물이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와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이라면, 상기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저분자 화합물와 인디루빈 유도체의 혼합 중량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저분자 화합물과 인디루빈 유도체는 상기 저분자 화합물 1 몰을 기준으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가 1 내지 20 몰 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탈모 방지 및 모발 촉진 효과의 증가가 미미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발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남성 호르몬 및/또는 혈액 순환 조절을 통해 모발 성장 촉진에 관여하는 것이 아니므로 남성 호르몬을 억제하거나 혈액 순환을 촉진하는 방법으로 해결할 수 없었던 탈모 개선에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추출물이 포함되는 농도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인 범위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건조 중량으로 0.001 내지 5 중량% 또는 액상 중량으로 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만약 0.01 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5 중량%(건조 중량) 또는 50 중량%(액상 중량)을 초과할 경우 추출물에 포함된 용매가 과도하게 포함되어 피부 자극이 유발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줄기, 잎,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물, DMSO,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이다.
상기 추출물은 쉬나무, 여뀌 또는 지구자의 줄기, 잎,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DMSO, n-헥산,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분획하여 수득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본 발명의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을 치료하는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당업계에 일반적인 제형 예컨대 경구투여제 혹은 주사제 혹은 비경구 투여 혹은 도포에 의한 국부투여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한 것은 비경구 투여 또는 도포에 의한 국부투여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경구 또는 주사제 투여방식일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 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슈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0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8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1일 0.1mg 내지 10mg, 0.25mg 내지 5mg, 0.5 mg 내지 2 mg의 범위 내에서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일 0.125mg, 0.25mg, 0.5mg, 0.75mg, 1 mg, 1.5mg, 2mg으로 투여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조성물이 비경구 투여 또는 국소 투여일 수 있고, 국소 투여일 경우 피부에 직접적으로 도포하는 방식으로 투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이 액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또는 에어로졸제의 형태로 국부적으로 응용되도록 제제화되는 경우에는 적합한 통상적인 첨가제, 예를 들어 보존제, 의약 침투를 보조하는 용매, 연고 및 크림의 경우 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국부 제제는 또한 상용가능한 통상적 담체, 예를 들어, 크림 또는 연고베이스 및 로션용으로는 에탄올 또는 올레일 알코올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제제의 약 1 내지 약 98%를 구성할 수 있고, 더욱 일반적으로는 제제의 약 80% 까지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피부에 직접 도포 또는 산포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투여할 수 있는 제형, 예를 들어, 크림, 로션, 연고, 에어로졸, 겔, 또는 팩의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각각의 제형에 적합한 배합성분이나 제제를 위한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당업자들은 이들 제제를 제조할 때, 통상의 외용제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각종 배합 성분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성분으로는 연고제, 크림제, 겔제, 로션제 등의 경우에 있어서는, 백색 바셀린, 황색 바셀린, 라놀린, 표백밀랍,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르산, 경화유, 겔화 탄화수소,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등의 기제가 있고, 올레산,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트리이소옥탄산글리세린, 크로타미톤, 세바크산디에틸,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라우르산헥실,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족 알코올, 식물유 등의 용제 및 용해 보조제가 있으며, 토코페롤 유도체, L-아스코르브산,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등의 산화 방지제, 파라하이드록시벤조산에스테르 등의 방부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히알루론산나트륨 등의 보습제, 폴리옥시에틸렌유도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레시틴 등의 계면 활성제,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잔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염류,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증점제 등이 있다.
에어로졸제의 경우에 있어서는, 연고제, 크림제, 겔제, 현탁제, 유제, 액제, 로션제 등의 조제에 사용되는 상기 성분 외에 추가로 각종 안정제, 완충제, 교미제, 현탁화제, 유화제, 방향제, 보존제, 용해 보조제, 그 밖의 적당한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의 제형으로는 바람직하게,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에멀젼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제형에 있어서,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중량비는 0.3-30 : 1 : 2-2.5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 : 1 : 2-2.5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제형의 조성은 에멀젼 시스템의 조성을 결정하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작성된 유사 3상 다이어그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일 상(폴리에톡실화된 피마자유(Kolliphor®EL)) 및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트윈(tween) 80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물)를 특정 비율 범위의 상이한 중량비율로 완전히 혼합한 후, 물을 각 비율의 오일 및 개면활성제 혼합물에 첨가하면서 에멀젼 형성 영역에 해당하는 점을 표시함으로써 유사 3상 다이어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작성된 유사 3상 다이어그램에서 에멀젼 영역을 결정하여 이 영역에 포함되는 조성 중 특정 조성을 선택하여, 상기 유효성분(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복합물)을 용해시키는 에멀젼 제형의 조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조성물이 에멀젼 제형일 경우, 상기 유효성분(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복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트윈 계열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보조용해제 역할을 하며, 제약에서는 경구나 비경구 제제의 유화제 또는 습윤제로 사용되고, 화장품이나 식품에서도 첨가물로 사용된다. 또한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p-당단백질 억제를 위한 물질로 사용되기도 한다. 트윈 계열의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Tween 2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Tween 4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Tween 60)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oleate, Tween 8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트윈 계열의 계면활성제는 미국 식품 의약국에서 인체의 정맥주사에 사용을 허가한 안정한 물질이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친수성과 소수성을 가지는 양쪽성 고분자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저분자량일 경우에는 액체이지만 분자량이 커지면서 고체가된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PEG 150, 300, 400, 1000, 6000, 8000, 10000, 20000, 30000 및 4000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EG300 이란 분자량이 3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의미하며, 분자량이 10,000을 초과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들 중에서 PEG400은 액체의 형태로 존재하며, 각종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에 빈번히 사용되고 있고, 특히 미국 식품 의약국(FDA)에서 인체의 경구 및 비경구(정맥주사, 피하주사, 근육주사 등)에 사용을 허가한 안정한 물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oleate, Tween 80)이고, 폴리에틸렌글리콜은 PEG 400으로, 이는 양친매성 성질을 가지고, 물에서 분산가능한 비-이온성으로, 난용성 유효성분(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 중에서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복합물)에 최적화된, 에멀젼 제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폴리에톡실화된 피마자유(Kolliphor®EL), 해바라기 오일 및 올리브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더 높은 가용화를 위해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유효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이 100 내지 100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제형은 3 달째에 측정했을 때 온도 25 내지 4℃ 조건하에 증류수에서 wnt 활성 및 용해도의 변화가 나타내지 않는 안정한 제형으로, 유효성분의 활성을 오랜기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생체 내로의 흡수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오일, 계면활성제와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혼합하여 제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제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제1 용액에 제2 용액을 혼합하여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용액은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친수성과 소수성을 가지는 양쪽성 고분자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저분자량일 경우에는 액체이지만 분자량이 커지면서 고체가된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PEG 150, 300, 400, 1000, 6000, 8000, 10000, 20000, 30000 및 4000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EG300 이란 분자량이 3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의미하며, 분자량이 10,000을 초과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들 중에서 PEG400은 액체의 형태로 존재하며, 각종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에 빈번히 사용되고 있고, 특히 미국 식품 의약국(FDA)에서 인체의 경구 및 비경구(정맥주사, 피하주사, 근육주사 등)에 사용을 허가한 안정한 물질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트윈 계열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보조용해제 역할을 하며, 제약에서는 경구나 비경구 제제의 유화제 또는 습윤제로 사용되고, 화장품이나 식품에서도 첨가물로 사용된다. 또한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p-당단백질 억제를 위한 물질로 사용되기도 한다. 트윈 계열의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Tween 2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Tween 4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Tween 60)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oleate, Tween 8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트윈 계열의 계면활성제는 미국 식품 의약국에서 인체의 정맥주사에 사용을 허가한 안정한 물질이다.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중량비는 0.3-30 : 1 : 2-2.5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 : 1 : 2-2.5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조성물이 에멀젼 제형일 경우, 상기 유효성분(인디루빈 유도체와 추출물의 복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에 물을 첨가하여 현미경 사진을 찍어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에멀젼은 완전히 용해되어 용액 상태의 에멀젼 제형(F8)을 형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에멀젼을 안정성을 관측한 결과, 액적이 구상 형태이고, 평균 지름이 20 내지 1500 ㎚, 바람직한 지름은 30 내지 50 ㎚로 측정되어 나노-크기의 액적을 형성하였으며, 좁은 범위의 크기 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에멀젼은 실온에서 3 달동안 용해도 변화와 유효성분의 활성 변화가 없어 안정성을 장기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아가 본 발명 에멀젼 제형을 경구 투여 또는 국소 부위에 도포한 경우, 흡수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피부로부터 분리된 모유두세포 또는 모낭세포의 성장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생체 외에서 모유두세포 또는 모낭세포의 증식을 촉진할 수 있는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생체 외에서 상기 모유두세포와 모낭세포를 배양할 수 있는 배지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포유동물은 인간, 소, 염소 및 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탈모 혹은 발모 촉진과 관련하여 생체 외(ex vivo)에서 모유두세포 혹은 모낭세포를 효율적으로 빠르게 대량생산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조성물은 모유두세포 또는 모낭세포의 성장이 효율적으로 일어날 뿐 아니라 독성이 없이 성장한 대량의 모유두세포와 모낭세포를 높은 수율로 생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모유두세포 또는 모낭세포의 성장 촉진용 조성물의 제형으로는 바람직하게,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에멀젼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제형에 있어서,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중량비는 0.3-30 : 1 : 2-2.5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 : 1 : 2-2.5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제형의 조성은 에멀젼 시스템의 조성을 결정하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작성된 유사 3상 다이어그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일 상(폴리에톡실화된 피마자유(Kolliphor®EL)) 및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트윈(tween) 80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물)를 특정 비율 범위의 상이한 중량비율로 완전히 혼합한 후, 물을 각 비율의 오일 및 계면활성제 혼합물에 첨가하면서 에멀젼 형성 영역에 해당하는 점을 표시함으로써 유사 3상 다이어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작성된 유사 3상 다이어그램에서 에멀젼 영역을 결정하여 이 영역에 포함되는 조성 중 특정 조성을 선택하여, 상기 유효성분(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복합물)을 용해시키는 에멀젼 제형의 조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조성물이 에멀젼 제형일 경우, 상기 유효성분(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복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트윈 계열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보조용해제 역할을 하며, 제약에서는 경구나 비경구 제제의 유화제 또는 습윤제로 사용되고, 화장품이나 식품에서도 첨가물로 사용된다. 또한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p-당단백질 억제를 위한 물질로 사용되기도 한다. 트윈 계열의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Tween 2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Tween 4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Tween 60)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oleate, Tween 8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트윈 계열의 계면활성제는 미국 식품 의약국에서 인체의 정맥주사에 사용을 허가한 안정한 물질이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친수성과 소수성을 가지는 양쪽성 고분자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저분자량일 경우에는 액체이지만 분자량이 커지면서 고체가된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PEG 150, 300, 400, 1000, 6000, 8000, 10000, 20000, 30000 및 4000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EG300 이란 분자량이 3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의미하며, 분자량이 10,000을 초과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들 중에서 PEG400은 액체의 형태로 존재하며, 각종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에 빈번히 사용되고 있고, 특히 미국 식품 의약국(FDA)에서 인체의 경구 및 비경구(정맥주사, 피하주사, 근육주사 등)에 사용을 허가한 안정한 물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oleate, Tween 80)이고, 폴리에틸렌글리콜은 PEG 400으로, 이는 양친매성 성질을 가지고, 물에서 분산가능한 비-이온성으로, 난용성 유효성분(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복합물)에 최적화된, 에멀젼 제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폴리에톡실화된 피마자유(Kolliphor®EL), 해바라기 오일 및 올리브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더 높은 가용화를 위해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유효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이 100 내지 100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제형은 3 달째에 측정했을 때 온도 25 내지 4℃ 조건하에 증류수에서 wnt 활성 및 용해도의 변화가 나타내지 않는 안정한 제형으로, 유효성분의 활성을 오랜기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생체 내로의 흡수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는 장기간 세포에 처리하여도 세포에 대한 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면서,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함께 처리하였을 때 유의한 효과의 증가가 있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일 수 있다. 왜냐하면 생체 외(in virto) 실험을 통해 화학식 1 또는 2의 인디루빈 유도체와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는 것이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의 인디루빈 유도체와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는 경우와 추출물과 화학식 1 내지 4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에 비해, 1.5~2.5 배 이상 모유두세포에서의 성장이 관찰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함께 사용되는 인디루빈 유도체로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일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5,6-디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화학식2)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3
[화학식 2]
Figure pat00014
[화학식 3]
Figure pat00015
[화학식 4]
Figure pat00016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디루빈 유도체와;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 중량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디루빈 유도체와 쉬나무 추출물이 혼합될 경우에는 상기 추출물의 건조 중량부 10을 기준으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가 5 내지 15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1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탈모 방지 및 모발 촉진 효과가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조성물이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와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이라면, 상기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저분자 화합물와 인디루빈 유도체의 혼합 중량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저분자 화합물과 인디루빈 유도체는 상기 저분자 화합물 1 몰을 기준으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가 1 내지 20 몰 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탈모 방지 및 모발 촉진 효과의 증가가 미미해질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줄기, 잎,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물, DMSO,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줄기, 잎,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DMSO, n-헥산,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분획하여 수득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탈모 방지뿐만 아니라, 발모 촉진에 활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으로서의 제형으로는 상기 조성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for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무,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의 화장품으로서의 구체적인 제형으로는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새도 등의 제형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발 또는 두피에 직접 도포 또는 산포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이 적용되는 모발이란, 머리의 모근 및 모낭, 머리카락 등 전반에 모근 및 모낭이 있는 모든 부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샴푸, 스프레이, 린스, 헤어, 젤, 헤어토닉, 헤어로션, 비누 또는 헤어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두발용 제형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모낭이 휴지기로 접어드는 것을 방지하고, 성장기를 유지함으로써, 탈모를 예방하고, 모발 성장을 촉진시키므로 탈모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으로는 바람직하게,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에멀젼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제형에 있어서,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중량비는 0.3-30 : 1 : 2-2.5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 : 1 : 2-2.5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제형의 조성은 에멀젼 시스템의 조성을 결정하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작성된 유사 3상 다이어그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일 상(폴리에톡실화된 피마자유(Kolliphor®EL)) 및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트윈(tween) 80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물)를 특정 비율 범위의 상이한 중량비율로 완전히 혼합한 후, 물을 각 비율의 오일 및 개면활성제 혼합물에 첨가하면서 에멀젼 형성 영역에 해당하는 점을 표시함으로써 유사 3상 다이어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작성된 유사 3상 다이어그램에서 에멀젼 영역을 결정하여 이 영역에 포함되는 조성 중 특정 조성을 선택하여, 상기 유효성분(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복합물)을 용해시키는 에멀젼 제형의 조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조성물이 에멀젼 제형일 경우, 상기 유효성분(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복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트윈 계열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보조용해제 역할을 하며, 제약에서는 경구나 비경구 제제의 유화제 또는 습윤제로 사용되고, 화장품이나 식품에서도 첨가물로 사용된다. 또한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p-당단백질 억제를 위한 물질로 사용되기도 한다. 트윈 계열의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Tween 2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Tween 4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Tween 60)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oleate, Tween 8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트윈 계열의 계면활성제는 미국 식품 의약국에서 인체의 정맥주사에 사용을 허가한 안정한 물질이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친수성과 소수성을 가지는 양쪽성 고분자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저분자량일 경우에는 액체이지만 분자량이 커지면서 고체가된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PEG 150, 300, 400, 1000, 6000, 8000, 10000, 20000, 30000 및 4000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EG300 이란 분자량이 3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의미하며, 분자량이 10,000을 초과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들 중에서 PEG400은 액체의 형태로 존재하며, 각종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에 빈번히 사용되고 있고, 특히 미국 식품 의약국(FDA)에서 인체의 경구 및 비경구(정맥주사, 피하주사, 근육주사 등)에 사용을 허가한 안정한 물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oleate, Tween 80)이고, 폴리에틸렌글리콜은 PEG 400으로, 이는 양친매성 성질을 가지고, 물에서 분산가능한 비-이온성으로, 난용성 유효성분(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복합물)에 최적화된, 에멀젼 제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폴리에톡실화된 피마자유(Kolliphor®EL), 해바라기 오일 및 올리브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더 높은 가용화를 위해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유효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이 100 내지 100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제형은 3 달째에 측정했을 때 온도 25 내지 4℃ 조건하에 증류수에서 wnt 활성 및 용해도의 변화가 나타내지 않는 안정한 제형으로, 유효성분의 활성을 오랜기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생체 내로의 흡수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촉진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란,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물을 캡슐, 정제, 분말, 과립, 액상, 환,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또는 바(bar) 형태로 제제화 한 것일 수 있고, 또는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여 일반 식품 형태로 제조한 것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의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물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캡슐, 정제, 분말, 과립, 액상, 환,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또는 바(bar)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또한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험 결과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대표적인 실험 결과만을 기재한 것이며, 아래에서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의 각각의 효과는 해당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제조예 1. 5-메톡실인디루빈-3'-옥심(A3334)의 합성
① 중간체 5'- 메톡시 -[2,3'- 바이인돌리닐리딘 ]-2',3-다이온(5'- methoxy -[2,3'-biindolinylidene]-2',3-dione) 의 합성
Figure pat00017
250 ㎖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5-메톡시이사틴(5-methoxyisatin) (1000 ㎎, 5.65 m㏖)을 넣고 메탄올(MeOH)(225 ㎖)에 녹인 뒤, 인독실아세테이트(indoxyl acetate) (989 ㎎, 5.65 mmol) 과 탄산나트륨(Na2CO3) (1496 ㎎, 14.11 mmol)을 첨가하여 65 ℃에서 12시간 동안 교반 한다. TLC(Rf=0.4,에틸아세테이트/헥산 = 1/2 (v/v))를 이용하여 반응의 종결을 확인하고, 생성물을 얼음에서 결정 덩어리가 생길 때까지 식혀준다. 결정체가 생기면 여과시켜 용매를 제거한 후, 여과액은 버리고 생성물을 용매(에탄올/물 = 1/1(v/v))로 여러 번 씻어 준다. 생성물을 여과하여 진공 펌프에서 건조시킨 다음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② A3334의 합성
Figure pat00018
100 ㎖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5'-메톡시-[2,3'-바이인돌리닐리딘]-2',3-다이온 (5'-methoxy-[2,3'-biindolinylidene]-2',3-dione)(670 ㎎, 2.29 m㏖)을 넣고 피리딘 (pyridine)(27 ㎖)에 녹인 다음 H2NOHㅇHCl(3186 ㎎, 45.85 m㏖)을 첨가한 후, 120 ℃에서 12시간 동안 교반 한다. TLC(Rf=0.5, 에틸아세테이트/헥산= 1/1 (v/v))를 이용하여 반응의 종결을 확인하고 반응 용액의 온도를 실온으로 낮춘다. 생성물의 피리딘 용매를 모두 증발한 뒤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어 30분 동안 초음파를 이용하여 생성물을 용해 한 뒤, 에틸아세테이트로 두 번에 걸쳐 추출하고 중조(NaHCO3) 포화용액으로 씻어준다. 추출한 용액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 한 뒤, 용매를 증발시키고 메탄올과 핵산을 이용해 재결정 해 준다. 생성물을 진공펌프에서 건조시키면 붉은색 고체 A3334를(420 ㎎) 59% 의 수율로 얻을 수 있다. 1H NMR(400 MHz, DMSO-d6) δ 13.52 (s, 1H), 11.79 (s, 1H), 10.54 (s, 1H), 8.35 (d, J = 1.5 Hz, 1H), 8.26 (d, J = 7.6 Hz, 1H), 7.41 (d, J = 2.8 Hz, 2H), 7.08 - 7.00 (m, 1H), 6.82 - 6.71 (m, 2H), 3.78 (s, 3H).
제조예 2. 5,6-디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A3051)의 합성.
① 중간체 5',6`-다이클로로-[2,3`-바이인돌리닐리딘]-2`3-다이온 ( 5',6'-dichloro-[2,3'-biindolinylidene]-2',3-dione )의 합성
Figure pat00019
250 ㎖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5,6-다이클로로이사틴 (5,6-dichloroisatin) (500 ㎎, 2.32 m㏖)을 넣고 메탄올(MeOH)(92.80 ㎖)에 녹인 뒤, 인독실아세테이트(indoxyl acetate) (405.48 ㎎, 2.315 mmol) 과 탄산나트륨(Na2CO3) (637.83 ㎎, 6.02 mmol)을 첨가하여 65 ℃에서 12시간 동안 교반 한다. TLC(Rf=0.4,에틸아세테이트/헥산 = 1/2 (v/v))를 이용하여 반응의 종결을 확인하고, 생성물을 얼음에서 결정 덩어리가 생길 때까지 식혀준다. 결정체가 생기면 여과시켜 용매를 제거한 후, 여과액은 버리고 생성물을 용매(에탄올/물 = 1/1(v/v))로 여러 번 씻어 준다. 생성물을 여과하여 진공 펌프에서 건조시킨 다음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② A3051의 합성
Figure pat00020

100 ㎖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5',6`-다이클로로-[2,3`-바이인돌리닐리딘]-2`3-다이온 ( 5',6'-dichloro-[2,3'-biindolinylidene]-2',3-dione) (600 ㎎, 1.81 m㏖)을 넣고 피리딘 (pyridine)(151 ㎖)에 녹인 다음 H2NOCH3ㅇHCl(3026.4 ㎎, 36.24 m㏖)을 첨가한 후, 120 ℃에서 12시간 동안 교반 한다. TLC(Rf=0.4, 에틸아세테이트/헥산= 1/1 (v/v))를 이용하여 반응의 종결을 확인하고 반응 용액의 온도를 실온으로 낮춘다. 생성물의 피리딘 용매를 모두 증발한 뒤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어 30분 동안 초음파를 이용하여 생성물을 용해 한 뒤, 에틸아세테이트로 두 번에 걸쳐 추출하고 중조(NaHCO3) 포화용액으로 씻어준다. 추출한 용액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 한 뒤, 용매를 증발시키고 메탄올과 핵산을 이용해 재결정 해 준다. 생성물을 진공펌프에서 건조시키면 붉은색 고체 A3051을(326 ㎎) 47.94% 의 수율로 얻을 수 있다. 1H NMR(400 MHz, DMSO-d6) δ 11.36 (s, 2H), 8.80 (s, 1H), 8.08 (d, 1H, J = 7.7 Hz), 7.46 - 7.41 (m, 2H), 7.07 - 6.99 (m, 2H), 4.38 (s, 3H).
제조예 3 및 4. 화학식 3(A3486) 및 화학식 4(A3538)의 인디루빈 유도체의 제조
화학식 3의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프로필옥심과 화학식 4의 6-클로로인디루빈-3'-벤질옥심은 상기 5,6-디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또는 5-메톡실인디루빈-3'-옥심과 동일한 방식으로 합성되었고, 이는 황화디메틸(DMSO)에 녹여 실험에 적용하였다.
제조예 5. 쉬나무 추출물의 제조
실험에 사용할 쉬나무 추출물은 한국식물추출물은행으로부터 구입하였고, 간략하게 쉬나무의 줄기와 잎을 잘게 분쇄(1~3 ㎜)하여 준비하고, 이를 증류수에 깨끗하게 세척한 후, 80% 에탄올로 추출한 다음 감압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하였다. 이후 추출이 완료된 각 추출물은 - 70 ℃에 냉동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상기 쉬나무 추출물의 분말은 황화디메틸(DMSO)에 1 μg/㎖ 농도로 녹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제조예 6. 여뀌 추출물의 제조
실험에 사용할 여뀌 추출물은 한국식물추출물은행으로부터 구입하였고, 간략하게 여뀌의 줄기와 잎을 잘게 분쇄(1~3 ㎜)하여 준비하고, 이를 증류수에 깨끗하게 세척한 후, 80% 에탄올로 추출한 다음 감압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하였다. 이후 추출이 완료된 각 추출물은 - 70 ℃에 냉동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상기 여뀌 추출물의 분말은 황화디메틸(DMSO)에 1 μg/㎖ 농도로 녹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제조예 7. 지구자 추출물의 제조
실험에 사용할 지구자 추출물은 한국식물추출물은행으로부터 구입하였고, 간략하게 지구자의 줄기와 잎을 잘게 분쇄(1~3 ㎜)하여 준비하고, 이를 증류수에 깨끗하게 세척한 후, 80% 에탄올로 추출한 다음 감압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하였다. 이후 추출이 완료된 각 추출물은 - 70 ℃에 냉동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상기 지구자 추출물의 분말은 황화디메틸(DMSO)에 1 μg/㎖ 농도로 녹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제조예 8. 메틸 바닐레이트(methyl vanillate) 준비
메틸 바닐레이트(Methyl vanillate)를 sigma aldrich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제조예 9. 헤스페리딘(hesperidin) 준비
헤스페리딘(hesperidin)을 sigma aldrich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제조예 10. 퀘르시트린(Quercitrin) 준비
퀘르시트린(Quercitrin)를 sigma aldrich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A3334;화학식 1)의 복함물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 여부를 알아보고자, 제조예 5의 쉬나무 추출물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A3334)를 각각 1 μg/㎖, 0.1 μM씩 혼합하여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
Figure pat00021

실시예 2.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A3051;화학식 2)의 복함물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여부를 알아보고자, 제조예 5의 쉬나무 추출물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A3051)를 각각 1 μg/㎖, 0.1 μM씩 혼합하여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2]
Figure pat00022

실시예 3.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A3486;화학식 3)의 복합물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 여부를 알아보고자, 제조예 5의 쉬나무 추출물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A3486)를 각각 1 μg/㎖, 0.1 μM씩 혼합하여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A3538;화학식 4)의 복함물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 여부를 알아보고자, 제조예 5의 쉬나무 추출물 및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A3538)를 각각 1 μg/㎖, 0.1 μM씩 혼합하여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여뀌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A3051;화학식 2)의 복함물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 여부를 알아보고자, 제조예 6의 여뀌 추출물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A3051)를 각각 1 μg/㎖, 0.1 μM씩 혼합하여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지구자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A3051;화학식 2)의 복함물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 여부를 알아보고자, 제조예 7의 지구자 추출물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A3051)를 각각 1 μg/㎖, 0.1 μM씩 혼합하여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메틸 바닐레이트(methyl vanillate)와 인디루빈 유도체의 복합물의 제조
제조예 2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A3051)와 제조예 8으로부터 제조된 메틸 바닐레이트를 각각 0.1 μM, 5 μM씩 혼합하여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헤스페리딘(hesperidin)과 인디루빈 유도체의 복합물의 제조
제조예 2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A3051)와 제조예 9로부터 제조된 헤스페리딘(hesperidin)을 각각 0.1 μM, 1 μM씩 혼합하여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퀘르시트린(Quercitrin)과 인디루빈 유도체의 복합물의 제조
제조예 2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A3051)와 제조예 10으로부터 제조된 퀘르시트린(Quercitrin)을 각각 0.1 μM, 1 μM씩 혼합하여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모유두세포의 증식 효과
실시예 1 내지 4의 복합물에 의한, 진피모유두세포(human dermal papilla cell)에서 모발성장 촉진을 나타내는 표시인자인 ALP(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상기 진피모유두세포는 경북대학교(한국)에서 분양받았으며, 24 well plate에 0.5 X 105의 진피모유두세포를 분주한 후, 37 ℃, 5% CO2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배지는 10% FBS와 항생제(penicillin streptomycin)가 첨가된 DMEM 배지에 배양을 하였다. 세포가 안정하게 부착되는 1 일까지 배양한 후 상기 세포에 실시예 1 내지 4의 복합물들을 농도별(0 μM, 0.1 μM 내지 1 μM, 0.5 μM 내지 5 μM)로 각각의 배지에 첨가하였다. 48 시간이 지난 다음 배양액을 제거하고 lysis buffer를 첨가하여 세포를 모은 후, 원심분리(13000 rpm, 15 분, 4 )하여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상기 상층액 30 ㎕와 30 ㎕ PNPP용액을 96 well plate에 넣고 1 시간동안 배양한 다음, 40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ALP 활성은 브래드포드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단백질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정량화하였다.
도 1a는 진피모유두세포(human dermal papilla cell)에서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의 처리에 따른 ALP(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b는 진피모유두세포(human dermal papilla cell)에서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의 처리에 따른 ALP(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c는 진피모유두세포(human dermal papilla cell)에서 실시예 3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의 처리에 따른 ALP(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d는 진피모유두세포(human dermal papilla cell)에서 실시예 4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의 처리에 따른 ALP(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양성 대조군(MNX)은 복합물 대신에 종래 탈모 치료제인 minoxidil를 처리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의 복합물을 도포한 세포에서, ALP 활성이 모두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양성 대조군(NMX)와 음성 대조군(O μM)에 비해 1.5 배 상승한 것으로 종래 탈모 치료제(minoxidil)를 투여하였을 때보다 매우 유의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제조예 1-4)를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는 음성 대조군(0 μM)과 유사한 ALP 활성이 관찰된 바(미도시), 이들을 적정용량(1:1)으로 복합 처리는, 이의 예상되는 시너지 효과보다 더 높은 효과, 즉 유의적 효과의 현저한 상승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2. ex vivo에서 실시예 1-4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의 육모 효능 측정
1) 마우스(mouse)로부터 코털 모낭(vibrissa follicle)의 분리 및 배양
생후 6 내지 8 주령의 마우스(mouse) 수컷을 희생시킨 후, 입 주변 조직을 떼어내고, 70% 에탄올 수용액에 한번 적셔 준 다음 1% P/S 포함된 PBS에 넣어준다. 현미경을 이용하여 초반 생장기(early anagen) 상태인 코털 모낭(vibrissa follicle)을 조심스럽게 하나씩 분리하여 1% P/S 포함된 PBS에 넣었다. 분리가 완료되면 시료를 각각 포함한 배지(DMEM serum free 1% P/S + 62.5 μg/ml gentamicin)에 24 well plate를 넣고, 여기에 모낭(follicle) 하나씩 넣은 후, 37 ℃, 5%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다. 한 실험군에 8-12 개의 모낭을 이용하였고, 배양 중에 배지는 2 일에 한번씩 교환하였다. 배양하고 6 일째에 해부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이때, 상기 시료는 각각 제조예 1 내지 5로부터 제조된 단독물질(인디루빈 유도체, 쉬나무 추출물 단독), 실시예 1 내지 4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을 의미한다.
2) 마우스(mouse) 코털 hair shaft의 성장 측정
생후 6 내지 8 주령의 생장기 코털 모낭을 분리하여 6 일 간 배양하면서 모간 (hair shaft) 길이를 측정하여, 실시예 1 내지 4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이 육모 효능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배양중인 코털 모낭 형태는 현미경(SMZ745T, Nikon)을 사용하여 촬영하였다. 모낭 길이는 image J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모낭 길이 변화의 평균값을 구하고 대조군의 평균길이와 비교하여 성장 정도를 측정하였다.
도 2a는 제조예 1 내지 5로부터 제조된 단독물질(인디루빈 유도체, 쉬나무 추출물 단독), 실시예 1 내지 4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을 각각 마우스(mouse) 코털 모낭(vibrissa follicles)에 처리하였을때, 각 실험군에서의 모간 (hair shaft) 성장 촉진 효능을 나타낸 현미경 사진이다.
도 2b는 제조예 1 내지 5로부터 제조된 단독물질(인디루빈 유도체, 쉬나무 추출물 단독), 실시예 1 내지 4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을 각각 마우스(mouse) 코털 모낭(vibrissa follicles)에 처리하였을때, 각 실험군에서의 모간 (hair shaft) 성장 길이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데이터는 평균 ㅁS.D로 표시하였고,*P<0.05,**P<0.005,***P<0.0005 vs. 대조군임).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의 복합물이 마우스(mouse) 코털 모낭의 모섬유질 길이를 성장시키는 효능이 현저히 개선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조예 1 내지 5의 인디루빈 유도체와 쉬나무 추출물을 단독(single treat)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실시예 1 내지 4의 복합물(co-treat)로 사용한 경우가 1.6 내지 2.5배 상승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인디루빈 유도체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쉬나물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 얻어지는 효과를 통해서 예상할 수 없는 유의미한 정도의 현저한 효과 상승을 확인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은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에 유용한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음이 밝혀진 것이다.
실험예 3. ex vivo에서 실시예 5 내지 6으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의 육모 효능 측정
1) 마우스(mouse)로부터 코털 모낭(vibrissa follicle)의 분리 및 배양
생후 6 내지 8 주령의 마우스(mouse) 수컷을 희생시킨 후, 입 주변 조직을 떼어내고, 70% 에탄올 수용액에 한번 적셔 준 다음 1% P/S 포함된 PBS에 넣어준다. 현미경을 이용하여 초반 생장기(early anagen) 상태인 코털 모낭(vibrissa follicle)을 조심스럽게 하나씩 분리하여 1% P/S 포함된 PBS에 넣었다. 분리가 완료되면 시료를 각각 포함한 배지(DMEM serum free 1% P/S + 62.5 μg/ml gentamicin)에 24 well plate를 넣고, 여기에 모낭(follicle) 하나씩 넣은 후, 37 ℃, 5%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다. 한 실험군에 8-12 개의 모낭을 이용하였고, 배양 중에 배지는 2 일에 한번씩 교환하였다. 배양하고 6 일째에 해부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이때, 상기 시료는 각각 제조예 2, 6, 7로부터 제조된 단독물질(인디루빈 유도체,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실시예 5, 6으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을 의미한다.
대조군으로 미녹시딜(MNX) 100 ㅅM을 처리한 것(MNX)과 vehicle control로 DMSO를 처리한 것(DMSO)을 사용하였다.
2) 마우스(mouse) 코털 hair shaft의 성장 측정
생후 6 내지 8 주령의 생장기 코털 모낭을 분리하여 6 일 간 배양하면서 모간 (hair shaft) 길이를 측정하여, 실시예 5, 6으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이 육모 효능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배양중인 코털 모낭 형태는 현미경(SMZ745T, Nikon)을 사용하여 촬영하였다. 모낭 길이는 image J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모낭 길이 변화의 평균값을 구하고 대조군의 평균길이와 비교하여 성장 정도를 측정하였다.
도 3a는 제조예 2, 6, 7로부터 제조된 단독물질(인디루빈 유도체,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단독), 실시예 5, 6으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을 각각 마우스(mouse) 코털 모낭(vibrissa follicles)에 처리하였을때, 각 실험군에서의 모간 (hair shaft) 성장 촉진 효능을 나타낸 현미경 사진이다.
도 3b는 제조예 2, 6, 7로부터 제조된 단독물질(인디루빈 유도체,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단독), 실시예 5, 6으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을 각각 마우스(mouse) 코털 모낭(vibrissa follicles)에 처리하였을때, 각 실험군에서의 모간 (hair shaft) 성장 길이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데이터는 평균 ㅁS.E로 표시하였고,*P<0.05,**P<0.005,***P<0.0005 vs. 대조군임).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여뀌 또는 지구자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의 복합물이 마우스(mouse) 코털 모낭의 모섬유질 길이를 성장시키는 효능이 현저히 개선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조예 2, 6, 7의 인디루빈 유도체과 각 추출물을 단독(single treat)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실시예 5, 6의 복합물(co-treat)로 사용한 경우가 2배 이상의 상승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인디루빈 유도체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여뀌 또는 지구자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 얻어지는 효과를 통해서 예상할 수 없는 유의미한 정도의 현저한 효과 상승을 확인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5, 6으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은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에 유용한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음이 밝혀진 것이다.
실험예 4. ex vivo에서 실시예 2, 7 내지 9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의 육모 효능 측정
1) 마우스(mouse)로부터 코털 모낭(vibrissa follicle)의 분리 및 배양
생후 6 내지 8 주령의 마우스(mouse) 수컷을 희생시킨 후, 입 주변 조직을 떼어내고, 70% 에탄올 수용액에 한번 적셔 준 다음 1% P/S 포함된 PBS에 넣어준다. 현미경을 이용하여 초반 생장기(early anagen) 상태인 코털 모낭(vibrissa follicle)을 조심스럽게 하나씩 분리하여 1% P/S 포함된 PBS에 넣었다. 분리가 완료되면 시료를 각각 포함한 배지(DMEM serum free 1% P/S + 62.5 μg/ml gentamicin)에 24 well plate를 넣고, 여기에 모낭(follicle) 하나씩 넣은 후, 37 ℃, 5%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다. 한 실험군에 8-12 개의 모낭을 이용하였고, 배양 중에 배지는 2 일에 한번씩 교환하였다. 배양하고 6 일째에 해부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이때, 상기 시료는 각각 제조예 2, 5, 8 내지 10으로부터 제조된 단독물질(인디루빈 유도체,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 단독), 실시예 2, 실시예 7 내지 9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을 의미한다.
대조군으로 미녹시딜(MNX) 100 ㅅM을 처리한 것(MNX)과 vehicle control로 DMSO를 처리한 것(VEH)을 사용하였다.
2) 마우스(mouse) 코털 hair shaft의 성장 측정
생후 6 내지 8 주령의 생장기 코털 모낭을 분리하여 6 일 간 배양하면서 모간 (hair shaft) 길이를 측정하여, 실시예 2, 실시예 7 내지 9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이 육모 효능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배양중인 코털 모낭 형태는 현미경(SMZ745T, Nikon)을 사용하여 촬영하였다. 모낭 길이는 image J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모낭 길이 변화의 평균값을 구하고 대조군의 평균길이와 비교하여 성장 정도를 측정하였다.
도 4는 제조예 2, 5, 8 내지 10으로부터 제조된 단독물질(인디루빈 유도체,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 단독), 실시예 2 및 실시예 7 내지 9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을 각각 마우스(mouse) 코털 모낭(vibrissa follicles)에 처리하였을때, 각 실험군에서의 모간 (hair shaft) 성장 촉진 효능을 나타낸 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제조예 2, 5, 8 내지 10으로부터 제조된 단독물질(인디루빈 유도체,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 단독), 실시예 2 및 실시예 7 내지 9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을 각각 마우스(mouse) 코털 모낭(vibrissa follicles)에 처리하였을때, 각 실험군에서의 모간 (hair shaft) 성장 길이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데이터는 평균 ㅁS.E로 표시하였고,*P<0.05,**P<0.005,***P<0.0005 vs. 대조군임).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의 복합물이 마우스(mouse) 코털 모낭의 모섬유질 길이를 성장시키는 효능이 현저히 개선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조예 2, 5, 8 내지 10으의 인디루빈 유도체과 각 추출물을 단독(single treat)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실시예 2, 실시예 7 내지 9의 복합물(co-treat)로 사용한 경우가 2배 이상의 상승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인디루빈 유도체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쉬나물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 얻어지는 효과를 통해서 예상할 수 없는 유의미한 정도의 현저한 효과 상승을 확인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2, 실시예 7 내지 9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은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에 유용한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음이 밝혀진 것이다.
실험예 5.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용해도 측정
에멀젼 용액을 선정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오일 및 계면활성제에 제조예 2의 인디루빈 유도체의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충분한 양의 제조예 2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 분말을 각 오일 또는 계면활성제(1 ml)에 넣은 후 30분간 vortexing 시켜주었다. 그 후 평형 상태에 이르게 하기 위하여 37 ℃ 배양조에서 50 rpm으로 72시간 동안 shaking한 후, 16,100 ㅧ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상층액을 메탄올로 적당히 희석하여 LC/MS/MS로 분석하였다. 상기 오일 또는 계면활성제 종류와 측정된 용해도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분석장비는 Waters xevo TQ MS-ACQUITY UPLC System을 사용하였다. 컬럼은 ACQUITY UPLC® BEH(C18, 1.7 μm, 2.1ㅧ50 mm)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분석하였다. 이동상은 0.1% formic acid를 함유하는 탈이온 증류수와 0.1% formic acid를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30 : 70, v/v)을 0.2 μ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에 사용하였다. 유속은 0.25 ml/min이고 시료 0.5 μl를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Decursin 분석을 위한 LC/MS/MS 조건은 Cone이 38 V, Collison이 32 V였으며 모이온과 딸이온은 각각 329와 229의 m/z값으로 모니터링하였다.
종류 종류 용해도(Solubility)
(mg/ml)
오일 올리브 오일
Olive oil
0.83
해바라기 오일
Sunflower oil
1.35
Kolliphor® EL 5.4
계면활성제 Tween 20 4.58
Tween 80 4.92
공-계면활성제
(Co-surfactant)
Transcutol P 1.15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0.25
PEG 400 3.1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예 2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A3051)를 상기 다양한 오일 또는 계면활성제에 각각 용해시켜 제조된 에멀젼 용액의 사진으로, 도 6 및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2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는 유상의 용매 중에서 가장 용해도가 높은 Kolliphor® EL, Tween 20, Tween 80, PEG 400을 이용하여 에멀젼 용액을 형성하는 조성을 1차적으로 확립하였다. 상기 Kolliphor® EL, Tween 20 또는 Tween 80, PEG 400는 인체에 무해하고 안전하므로 피부 투여를 포함하여 다양한 제제의 조성에 사용되고 있는 안정한 물질이다.
실험예 6. 삼원(ternary) 다이아그램 분석
용해도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Kolliphor® EL를 에멀젼 용액의 유상으로 선정하고, Tween 80 및 PEG 400의 혼합액을 계면활성제로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한 에멀젼 용액의 조성으로 에멀젼이 형성되는 영역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온에서 H2O titration method를 이용하여 ternary phase diagram을 완성하였다. 계면활성제는 Tween 80와 PEG 400를 1:1, 2:1, 1:2의 비율로 각각 혼합한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준비하고, 이를 오일상인 Kolliphor® EL와 다양한 비율(0.5:9.5, 1:9, 2:8, 3:7, 4:6, 5:5, 6:4, 7:3, 8:2, 9:1, 9.5:0.5)로 혼합하여 에멀젼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에멀젼 용액을 교반하면서 infusion pump를 이용하여 1 ml/min의 속도로 물을 적하하면서 육안으로 관찰할 때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지역을 phase diagram에 에멀젼으로 표시하였고, 상기 삼원 다이아그램을 도 7, 8, 9에 도시하였다.
도 7은 Tween 80와 PEG 400를 2:1의 비율 혼합된 계면활성제로 제조된 에멀젼 용액에 대한 삼원(ternary) 상 다이어그램이고, 도 8은 Tween 80와 PEG 400를 1:1의 비율 혼합된 계면활성제로 제조된 에멀젼 용액에 대한 삼원(ternary) 상 다이어그램이고, 도 9는 Tween 80와 PEG 400를 1:2의 비율 혼합된 계면활성제로 제조된 에멀젼 용액에 대한 삼원(ternary) 상 다이어그램이다. 도 9의 삼원 상 다이어그램에는 안정한 에멀젼을 형성하는 지역을 적색의 점으로 표시하였다.
도 7, 8 및 9 중에서 Tween 80와 PEG 400이 1:2의 중량비로 혼합된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에멀젼 용액이 가장 가장 넓은 수치 범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선정하였다. 이후, 상기 계면활성제와 유상의 비율을 최종 선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비율로 제조된 에멀젼 용액에서의 에멀젼의 용해도와 액적 크기, 점성 및 제타포텐셜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실험예 7.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의 제형 개발
상기 제조예 2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를 일정한 용해도와 장기안정성을 갖도록 하는 수중유형 유화액 제형을 개발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계면활성제와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오일을 혼합하여 가장 안정한 에멀젼 용액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실험예 6으로부터 선정된 계면활성제와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오일 10:30:60 내지 90:3:7의 다양한 조성으로 에멀젼 용액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함유한 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해,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의 농도가 되도록 유효성분(제조예 2의 인디루빈 유도체 분말)을 에멀젼 용액에 가하고 밤새 교반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였다(예를 들어, 최종 조성물의 중량이 100 g이면 제조예 2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 분말 20 g을 상기 에멀젼 용액 80g에 혼합함).
다만, 상기 조성물에는 가용화제인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본 실험에서는 인디루빈 유도체의 가용화를 높이기 위해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유효성분) 100 중량부 기준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이 100 중량부 추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제조한 에멀젼 제제는 육안으로 균일하게 혼합된 불투명한 적색이였고, 상기 각각의 에멀젼 제제의 용해도, 액적 크기, 점성 및 제타포텐셜을 분석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에멀젼 용액
(Kollipore® EL:Tween 80:PEG400)
중량비
용해도
Solubility
(mg/ml)
Droplet size (nm) 점성
Viscosity (mPas)
Zetapotential (mV)
F1 10:30:60 2.99 1525.7 23.33 -5.14
F2 20:26:54 3.58 921.3 44.46 -6.87
F3 30:23:47 3.81 624.9 59.12 -7.23
F4 40:20:40 4.11 479.4 65.07 -6.94
F5 50:16:34 5.67 332.3 72.72 -7.99
F6 60:13:27 6.86 264.9 88.85 -9.72
F7 70:10:20 7.59 183.8 91.39 -10.83
F8 80:6:14 7.69 41.5 98.3 -20.38
F9 90:3:7 6.88 29.3 99.52 -20.99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액적의 크기가 줄어들었으며, 약학,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기에 모두 적절한 물리적 특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가장 바람직한 크기, 점성, 제타포텐셜 및 용해도를 갖는 것은 F8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8. 에멀젼 제제의 의존적 안정성 평가-1
제조된 에멀젼 제제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예 7에서와 같은 제조과정을 통해 아래 표 3에서의 조성으로 F8, F10~12 에멀젼 제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에멀젼 제제의 안정도는 저온(4 ℃) 및 상온(25 ℃)에서의 상대적인 용해도% 변화를 근거로 측정하였다. 제조직후부터 3개월까지 상대적인 용해도%를 도 10 및 도 11에 기록하였다.
구분
에멀젼 조성물 유효성분
실시예 2의 인디루빈 유도체
가용화제
(2-hydroxyβ-cyclodextrin)
수상
오일 계면활성제 폴리에틸렌글리콜
DMSO
대조군
- - - 12.5 g 12.5 g 증류수
100 g
F8 Kollipore® EL
80 g
Tween 80
6.7 g
PEG400
13.3 g
12.5 g 12.5 g 증류수
100 g
F10 - - PEG400
100 g
12.5 g 12.5 g 증류수
100 g
F11 - Tween 80
100 g
- 12.5 g 12.5 g 증류수
100 g
F12 Kollipore® EL
100 g
- - 12.5 g 12.5 g 증류수
100 g
도 10은 상온(25 ℃)에서, F8, F10~12 에멀젼 제제의 상대적인 용해도%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1은 저온(4 ℃)에서, F8, F10~12 에멀젼 제제의 상대적인 용해도%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 11 및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온과 실온에서 3달 동안 방치한 후, 상대적인 용해도 변화를 살펴본 결과, 본 발명의 에멀젼(F8)의 경우에는 제조직후와 3개월 후의 용해도% 변화가 크지 않은 반면에, 본 발명과 다른 에멀젼 조성으로 제조된 에멀젼(F12, 11, 10)의 경우에는 제조직후와 3개월 후 저온과 상온 조건에서 용해도 변화가 40%이상 발생하였고, 특히 저온 보관 조건에서 용해도가 80% 이상 급격하게 낮아지게 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9. 에멀젼 제제의 의존적 안정성 평가-2
제조예 2의 인디루빈 유도체의 유효성분이 에멀젼 제제 내에서도 안정적으로 활성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예 8에서와 같은 제조과정을 통해 상기 표 3에서의 조성으로 F8, F10~12 에멀젼 제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에멀젼 제제내에서 인디루빈 유도체의 활성에 대한 안정성은 저온(4 ℃) 및 상온(25 ℃)에서의 상대적인 wnt reporter activity% 변화를 근거로 측정하였다. 제조직후부터 3개월까지 상대적인 wnt reporter activity%를 도 12 및 도 13에 기록하였다.
상기 wnt reporter activity%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측정하였다. 상기 wnt reportter activity는 HEK TOP 리포터 세포주에 에멀젼 제제로 제조되어있는 유효성분을 처리 한 후 24시간 뒤에 측정하였다.
도 12은 상온(25 ℃)에서, F8, F10~12 에멀젼 제제의 상대적인wnt reporter activity%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3은 저온(4 ℃)에서, F8, F10~12 에멀젼 제제의 상대적인 wnt reporter activity%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온과 실온에서 3달 동안 방치하였을 때, 상대적인 wnt reporter activity% 변화를 살펴본 결과, 본 발명의 에멀젼(F8)의 경우에는 제조직후와 3개월 후의 wnt reporter activity% 변화가 크지 않은 반면에, 본 발명과 다른 에멀젼 조성으로 제조된 에멀젼(F12, 11, 10)의 경우에는 제조직후와 3개월 후 저온과 상온 조건에서 wnt reporter activity이 40%이상 저하되었고, 특히 저온 보관 조건에서 용해도가 80% 이상 급격하게 낮아지게 된 것을 확인하였다.
제제예 1: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본 제제예에서는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1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혼합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실시예 1의 복합물을 포함하는 성분들을 하기 함량에 따라, 혼합하여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의 복합물 4.0 중량%
글리세린 2.0 중량%
파라벤 0.2 중량%
알란토인 2.0 중량%
베타인 3.0 중량%
히아루론산나트륨 1.0 중량%
초산토코페롤 5.0 중량%
쉐어버터 2.0 중량%
트레할로스 1.0 중량%
방부제 및 향 적량의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합계 100 중량%
제제예 2: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약학 조성물(연고)
본 제제예에서는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1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혼합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약학 조성물(연고)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실시예 1의 복합물을 포함하는 성분들을 하기 함량에 따라, 혼합하여 창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연고)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이 복합물 10 중량%
디에틸 세바케이트 8 중량%
경납 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6 중량%
벤조산 나트륨 적량의 중량%
바셀린 to 100 중량%
합계 100 중량%
제제예 3: 헤어토닉의 제조
실시예 1의 복합물 10.0 중량%
레조시놀 0.1 중량%
멘톨 0.05 중량%
판테놀 0.2 중량%
살리실산 0.1 중량%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1 중량%
염산피리독신 0.1 중량%
피마자유 5.0 중량%
색소 적량
향료 적량
에탄올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0 중량%
제제예 4: 헤어컨디셔너의 제조
실시예 1의 복합물 2.5 중량%
세탄올 3.5 중량%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5%
프로필렌 글리콜 2.5%
염화스테아릴메틸벤질 암모늄(25%) 7.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3%
색소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0%
제제예 5; 헤어로션의 제조
실시예 1의 복합물 5.0 중량%
레조시놀 2.0%
멘톨 2.0%
판테놀 0.5%
피록톤올아민 0.1%
향료, 색소 0.5%
정제수 잔량
합계 100.0%
제제예 6: 헤어비누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0.1 중량%
이산화티탄 0.2%
폴리에틸렌글리콜 0.8%
글리세린 0.5%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0.05%
나트륨 1.0%
색소 적량
비누향 적량
화장비누베이스 (수분 13%, 중량부) 잔량
합계 100.0%
제제예 7: 우유에의 적용
우유 99.9 중량%
실시예 1의 복합물 0.1 중량%
제제예 8: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복합물 10 ㎎
젖산칼슘 50 ㎎
구연산 5 ㎎
니코틴산아미드 10 ㎎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3 ㎎
염산피리독신 2 ㎎
아르기닌 10 ㎎
자당지방산에스테르 10 ㎎
물 200 ㎖

Claims (23)

  1. 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줄기, 잎,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물, DMSO,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줄기, 잎,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DMSO, n-헥산,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분획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는 5-메톡실인디루빈-3'-옥심, 인디루빈-3'-옥심, 6-브로모인디루빈-3'-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프로필옥심,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3'-옥심, 6-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브로모인디루빈-3'-옥심, 5-브로모인디루빈-3'-메톡심, 5-브로모인디루빈-3'-에틸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프로필옥심 및 6-클로로인디루빈-3'-벤질옥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23

    [화학식 2]
    Figure pat00024

    [화학식 3]
    Figure pat00025

    [화학식 4]
    Figure pat0002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와 추출물이 혼합될 경우에는 추출물의 건조 중량부 10을 기준으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가 5 내지 15 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와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저분자 화합물이 혼합될 경우에는 상기 저분자 화합물 1 몰을 기준으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가 1 내지 20 몰 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에멀젼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중량비는 0.3-30 : 1 : 2-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Tween 2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Tween 4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Tween 60)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oleate, Tween 8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폴리에톡실화된 피마자유(Kolliphor®EL), 해바라기 오일 및 올리브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hydroxyβ-cyclodextrin)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유효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2-hydroxyβ-cyclodextrin)이 50 100 내지 150 100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 제형은 3 달째에 측정했을 때 온도 25 내지 4℃ 조건하에 증류수에서 wnt 활성 및 용해도의 변화가 나타내지 않는 안정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13. 인디루빈 유도체와;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피부로부터 분리된 모유두세포 또는 모낭세포의 성장 촉진용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생체 외에서 모유두세포 또는 모낭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에멀젼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중량비는 0.3-30 : 1 : 2-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hydroxyβ-cyclodextrin)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유효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2-hydroxyβ-cyclodextrin)이 50 100 내지 150 100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인디루빈 유도체와;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샴푸, 스프레이, 린스, 헤어, 젤, 헤어토닉, 헤어로션, 비누 또는 헤어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두발용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에멀젼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중량비는 0.3-30 : 1 : 2-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hydroxyβ-cyclodextrin)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유효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2-hydroxyβ-cyclodextrin)이 50 100 내지 150 100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3. 인디루빈 유도체와; 쉬나무 추출물, 여뀌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촉진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80087096A 2017-08-01 2018-07-26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12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840790.2A EP3662891B1 (en) 2017-08-01 2018-07-31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PCT/KR2018/008710 WO2019027239A2 (ko) 2017-08-01 2018-07-31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US16/635,275 US11154566B2 (en) 2017-08-01 2018-07-31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N201880060269.5A CN111093620B (zh) 2017-08-01 2018-07-31 用于预防毛发脱落或促进毛发生长的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539 2017-08-01
KR20170097539 2017-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575A true KR20190013575A (ko) 2019-02-11
KR102112736B1 KR102112736B1 (ko) 2020-05-20

Family

ID=65370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096A KR102112736B1 (ko) 2017-08-01 2018-07-26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54566B2 (ko)
EP (1) EP3662891B1 (ko)
KR (1) KR102112736B1 (ko)
CN (1) CN11109362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18980A4 (en) * 2018-07-06 2022-04-06 CK Biotech PHARMACEUTICAL COMPOSITION WITH INDIRUBIN DERIVATE AS THE ACTIVE SUBSTANCE
WO2023149639A1 (ko) * 2022-02-04 2023-08-1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보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23191515A1 (ko) * 2022-03-29 2023-10-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인디루빈 유도체 및 대사활성화제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851B1 (ko) 2020-06-05 2022-06-02 주식회사 셀파크글로벌 모유두전구세포로부터 분리된 엑소좀 및 이의 용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0711A1 (en) * 2009-11-19 2011-06-02 Follica, Inc. Hair growth treatment
KR101168051B1 (ko) 2008-09-08 2012-07-24 김우경 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질환 또는 피부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JP2016539987A (ja) * 2013-12-13 2016-12-22 レスターシー エルエルシイRestorsea, Llc 剥脱性の毛髪保持促進製剤
KR20170030175A (ko) * 2015-09-09 2017-03-1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즉시 사용가능한 마이크로에멀젼 기반의 비강내 면역화용 면역보강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43188A1 (de) * 2005-09-09 2007-03-22 Henkel Kgaa Verbrauchsprodukte mit wechselnden Geruchsbildern
US20080044390A1 (en) * 2006-08-11 2008-02-21 Xiaowei Ji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orders
CN101658518B (zh) * 2009-08-19 2011-06-08 新疆奥斯曼生物化妆品有限公司 靛玉红用作制备育毛发的药物中的用途
WO2012065065A1 (en) * 2010-11-12 2012-05-18 Follica,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ulating hair growth, wound healing and scar revision
US20160038555A1 (en) * 2011-03-31 2016-02-11 Kang Yell Choi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of the Fruit of Hovenia Dulcis THUNB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Bone Diseases
KR101493324B1 (ko) 2013-07-11 2015-02-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인디루빈 유도체를 포함하는 골길이 성장 촉진용 조성물
JP2017528505A (ja) * 2014-09-25 2017-09-28 ザ・ホスピタル・フォー・シック・チルドレンThe Hospital For Sick Children 発毛増進、皮膚再生促進及び創傷治癒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CN104623026B (zh) * 2015-02-04 2018-01-12 周长青 治疗溃疡性直肠炎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6389457A (zh) * 2016-11-30 2017-02-15 胡立志 PPAR‑γ激动剂在制备治疗脱发药物中的应用及治疗脱发的药物
KR101855423B1 (ko) * 2017-04-18 2018-05-09 주식회사 씨케이바이오텍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051B1 (ko) 2008-09-08 2012-07-24 김우경 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질환 또는 피부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US20110130711A1 (en) * 2009-11-19 2011-06-02 Follica, Inc. Hair growth treatment
JP2016539987A (ja) * 2013-12-13 2016-12-22 レスターシー エルエルシイRestorsea, Llc 剥脱性の毛髪保持促進製剤
KR20170030175A (ko) * 2015-09-09 2017-03-1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즉시 사용가능한 마이크로에멀젼 기반의 비강내 면역화용 면역보강제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18980A4 (en) * 2018-07-06 2022-04-06 CK Biotech PHARMACEUTICAL COMPOSITION WITH INDIRUBIN DERIVATE AS THE ACTIVE SUBSTANCE
WO2023149639A1 (ko) * 2022-02-04 2023-08-1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보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23191515A1 (ko) * 2022-03-29 2023-10-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인디루빈 유도체 및 대사활성화제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62891B1 (en) 2023-06-07
EP3662891A4 (en) 2021-08-04
EP3662891C0 (en) 2023-06-07
US20200179425A1 (en) 2020-06-11
CN111093620A (zh) 2020-05-01
KR102112736B1 (ko) 2020-05-20
EP3662891A2 (en) 2020-06-10
CN111093620B (zh) 2023-05-05
US11154566B2 (en) 202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736B1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651833B1 (ko) 감귤류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US10967028B2 (en) Composition for hair loss prevention or hair growth stimulation comprising Artemisia umbelliformis extract
KR101698922B1 (ko)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2222919B1 (ko)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330411B1 (ko) 증숙 처리된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JP6902329B2 (ja) 皮脂腺細胞の活性化の抑制剤
KR102209663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35492B1 (ko) 야라야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EP3205346A1 (en) Composition for hair loss prevention or hair growth stimulation comprising scutellaria alpina extract
KR101701217B1 (ko) 밤송이로부터 추출된 물질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80094820A (ko)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49957B1 (ko) 진토닌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US10265299B2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or hair restoration containing psoralidin
KR102247453B1 (ko)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창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11773081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wound, comprising indirubin derivative as active ingredient
US11931446B2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KR102599144B1 (ko) 영지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09664B1 (ko) 회잎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62843B1 (ko) 개암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1107861B (zh) 昌化鹅耳枥叶的乙醇提取物在制备用于防止脱发的药学组合物中的用途
KR20160026042A (ko) 락토비온산을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또는 항상성 유지용 조성물
KR102076002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609436B1 (ko) 갈고리가시우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JP2017088539A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