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894A - 3 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Containing Nano-porous Membra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3 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Containing Nano-porous Membra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894A
KR20190011894A KR1020170094503A KR20170094503A KR20190011894A KR 20190011894 A KR20190011894 A KR 20190011894A KR 1020170094503 A KR1020170094503 A KR 1020170094503A KR 20170094503 A KR20170094503 A KR 20170094503A KR 20190011894 A KR20190011894 A KR 20190011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fluidic
permeable membrane
channel
solution
nanopo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5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85311B1 (en
Inventor
이광호
이윤경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94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311B1/en
Priority to PCT/KR2018/007457 priority patent/WO2019022393A2/en
Publication of KR20190011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8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3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6Microfluidic devices; Capillary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61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uspended solids or molecules independently from the bulk fluid flow, e.g. for trapping or sorting beads, for physically stretching 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12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sterilisation, filtration or dialysis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5/00Means for supporting, enclosing or fixing the microorganisms, e.g. immunocoatings
    • C12M25/02Membranes;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00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 C12M3/06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with filtration, ultrafiltration, inverse osmosis or dialysis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61Configuration of multiple channels and/or chambers in a singl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96Nanoscal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ell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Immobilizing And Processing Of Enzymes And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chip for culturing three-dimensional cells with a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ttached thereto,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hree-dimensionally culture cells by using a nanoporous membrane as a cell support, and can inject cells by using a plurality of microfluidic channels or can supply a drug, a cell secretory substance, or a bioactive substance through diffusion. In particular, a solution injection port of a main channe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thereby storing a drug or a bioactive substance and gradually and continuously supplying the substances through the microfluidic channels, or directly culturing cells in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nd gradually and continuously supplying a cell secretory substance. In addition, the microchip for culturing three-dimensional cells with a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ttached thereto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nanopermeable membrane horizontally attached thereto. The same three-dimensional culture environment is provided in all permeable membranes in which cells can be cultured by a chip bonded with a lower end chip in which a microchannel capable of injecting and introducing a cell culture medium and a bioactive substance is secured. Thus, there is no limitation to the types of cells cultured for an assay.

Description

나노다공성 투과막이 부착된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 및 그의 제조방법{3 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Containing Nano-porous Membra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with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ttached thereto,

본 발명은 나노다공성 투과막이 부착된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나노다공성 투과막을 이용하여 3차원 세포배양환경을 제공하고 마이크로 유체 채널을 이용하여 약물, 세포분비물질 또는 생리활성물질의 확산을 통한 세포배양 또는 에세이가 가능하며 나노다공성 투과막을 포함하는 용액주입구를 이용하여 주입한 약물 또는 생리활성물질을 보관하였다가 확산을 통한 점진적인 공급이 가능하며 직접 용액주입구에 세포를 배양할 수 있으므로 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생리활성물질의 지속적인 공급이 가능한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with a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ttached thereto,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environment using a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 cell culture or an essay through diffusion of a drug, a cell secretory substance or a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using a microfluidic channel, a solution containing a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Since the drug or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port can be stored, it can be gradually supplied through the diffusion and the cell can be cultivated directly in the solution injection port. Therefore, the three-dimensional cell culturing capable of continuously supplying the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secreted from the cell Lt; / RTI >

종래의 세포배양은 유리 혹은 세포 배양 접시(Cell culture dish) 내에서 세포를 배양 및 증식시키는 2차원적 세포 배양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세포의 성장은 세포외 공간을 채우고 있으며 세포의 지지체 역할을 하는 생체고분자의 복잡한 집합체인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을 매개로 3차원적으로 접해 있는 세포들간의 상호작용 및 세포가 분비하는 생리활성 물질들에 의해 조절된다. 따라서 세포외 기질을 포함하는 3차원 세포성장 환경은 세포의 성장 및 주위환경에 대한 세포의 반응을 판단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종래의 3차원 세포배양방법으로 젤-졸(gel-sol) 상변이가 일어나는 물질을 이용하여 생체내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모사하여 배양하는 방법이 있다(한국등록특허 제733914호). 상기 방법은 미세유채 채널에 상기 젤-졸(gel-sol) 상변이가 일어나는 물질을 삽입한 후 세포를 주입하여 배양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젤-졸 상변이를 이용한 3차원 세포배양 방법은 세포를 상변이 물질에 위치시키는 것일 뿐 세포외 기질이 존재하는 환경을 모사 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고자 나노미터-마이크로미터 직경의 하이브리드 나노섬유로 형성되는 3차원 구조의 매트 형상의 세포지지체를 이용하여 다층의 세포배양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한국등록특허 제1458425호). 상기 나노섬유를 이용한 세포지지체는 다공성을 가져 세포의 지지체인 세포외 기질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좀 더 생체내 3차원 환경을 모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다층의 적층된 세포지지체들 사이의 배양환경이 상이한 단점이 있어 세포배양접시와 접해 있어 종래의 2차 세포배양환경과 유사한 맨 아래층의 세포지지체에는 생존능력이 월등한 돌연변이 세포가 존재하여야 하고 그 상층의 세포지지체에는 에세이를 위한 일반 세포가 존재하여야 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약물의 주입을 통한 에세이(assay)에서 세포에 직접 약물을 뿌려주거나 배양배지에 포함하여 수행하는 방법만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배양하는 모든 세포에 대하여 동일한 3차원 배양환경을 제공하며 주입한 약물의 확산을 통해 점진적인 에세이 방법이 가능한 세포배양방법이 개발된다면 신약개발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전 임상 이전의 제2차 스크리닝 단계에 필요한 세포기반 분석기술(cell-based assay)에 널리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onventional cell culture uses a two-dimensional cell culture method in which cells are cultured and proliferated in a glass or cell culture dish. However, the growth of the cells fills the extracellular space,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three-dimensionally interacting cells via the extracellular matrix, a complex aggregate of biopolymers that act as supporters of the cells, Lt; / RTI > Therefore, the three-dimensional cell growth environment including the extracellular matrix is very important to determine the growth of the cell and the response of the cell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re is a method of culturing by simulating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in-vivo environment using a substance in which a gel-sol phase change occurs by a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ethod (Korean Patent No. 733914). The above method is a technique of inserting a gel-sol phase change material into a micro-oil channel and injecting cells to culture. However, the above-mentioned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ethod using the gel-sol phase change has a limit to simulate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extracellular matrix exists, not only to position the cells in the phase-change material. To overcome this problem, a method of forming a multi-layered cell culture layer using a mat-shaped cell scaffold hav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formed of nanometer-micrometer diameter hybrid nanofibers has been developed (Korean Patent No. 1458425). Since the cell support using the nanofibers has porosity and functions as an extracellular matrix supporting the cells, it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simulate a more in vivo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However, this method has disadvantages in that the culture environment between the laminated cell supports of the multi-layer is different, so that mutant cells having superior viability exist in the cell support of the bottom layer similar to the conventional secondary cell culture environment A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cell for supernatant should have normal cells for the assay. In addition, the above method can be performed only by spraying a drug directly into a cell or by including it in a culture medium in an assay through injection of a drug. Therefore, if a cell culture method capable of providing a gradual essay method is developed by providing the same three-dimensional culture environment for all cells to be cultured and the diffusion of the injected drug is developed, it is necessary for the second screening step before the pre-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widely applied in cell-based assay.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특허문헌 및 참고문헌은 각각의 문헌이 참조에 의해 개별적이고 명확하게 특정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된다. The patent documents and references cited herein are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to the same extent as if each reference was individually and clearly identified by reference.

한국등록특허 제733914호Korean Patent No. 733914 한국등록특허 제1458425호Korea Patent No. 1458425

본 발명자들은 종래 2차원 및 3차원 세포배양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나노다공성 투과막을 세포지지체로 사용하고; 마이크로 유체 채널을 이용하여 약물, 세포분비물질 또는 생리활성물질을 공급하며; 나노다공성 투과막을 포함한 용액주입구를 이용하여 약물, 세포분비물질 또는 생리활성물질을 보관하였다가 점진적으로 상기 물질들을 공급하거나 상기 용액주입구의 나노다공성 투과막에 직접 세포를 배양하여 세포분비물질을 공급하는 나노다공성 투과막이 부착된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을 개발하여 상기 칩을 이용하면 성공적으로 3차원 세포배양이 가능함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ethods, the present inventors have used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s as cell supports; Supplying a drug, a cell secretory substance or a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using a microfluidic channel; A drug, a cell secretory substance or a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is stored using a solution injection port containing a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nd the cells are gradually supplied to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of the solution injection port or the cell secretory substance is supplied A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with a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was developed and experimentally confirmed that a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can be successfully performed using the above-mentioned chip, thereby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a) 폴리디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및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methacrylate, PMM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의 블록공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제조된 칩; b) 4개의 채널 및 4개의 용액주입구로 구성된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micro-fluidic main channel); c) 2개의 채널과 2개의 용액주입구로 구성된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micro fluidic side channel); 및 d) 상기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 및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과 연결되며 상기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 및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의 주입구 통해 주입된 용액(fluid)이 흘러들어 공존하는 중앙공간, 나노다공성 투과막 및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nano-porous membrane)을 지지하는 다수의 투과막 지지기둥(membrane supporting column)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유체 중앙채널(micro-fluidic central channel);을 포함하는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a chip made of one or both block copolymers or copoly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dimethylsiloxane (PDMS) and polymethylmethacrylate (PMMA); b) a micro-fluidic main channel consisting of four channels and four solution inlets; c) a micro fluidic side channel consisting of two channels and two solution injection ports; And d) a central space, which is connected to the microfluidic channel and the microfluidic subchannel and through which the injected fluid flows through the inlet of the microfluidic channel and the microfluidic subchannel, There is provided a microchip for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comprising a micro-fluidic central channel including a plurality of membrane supporting columns for supporting a nano-porous membrane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the above-described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Other objects and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claims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폴리디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및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methacrylate, PMM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의 블록공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제조된 칩; b) 4개의 채널 및 4개의 용액주입구로 구성된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micro-fluidic main channel); c) 2개의 채널과 2개의 용액주입구로 구성된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micro fluidic side channel); 및 d) 상기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 및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과 연결되며 상기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 및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의 주입구 통해 주입된 용액(fluid)이 흘러들어 공존하는 중앙공간, 나노다공성 투과막 및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nano-porous membrane)을 지지하는 다수의 투과막 지지기둥(membrane supporting column)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유체 중앙채널(micro-fluidic central channel);을 포함하는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copolymer comprising a) one or both block copolymers or copoly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dimethylsiloxane (PDMS) and polymethylmethacrylate (PMMA) A manufactured chip; b) a micro-fluidic main channel consisting of four channels and four solution inlets; c) a micro fluidic side channel consisting of two channels and two solution injection ports; And d) a central space, which is connected to the microfluidic channel and the microfluidic subchannel and through which the injected fluid flows through the inlet of the microfluidic channel and the microfluidic subchannel, There is provided a microchip for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comprising a micro-fluidic central channel including a plurality of membrane supporting columns for supporting a nano-porous membrane do.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 및 마이크로 유체 중앙채널은 Replicating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발명의 Replicating 공정은 소프트 리소그래피(soft 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여 실리콘 웨이퍼(silicon wafer)상에 양각으로 나노구조체를 형성한 후 경화용액을 부어 경화시킴으로 상기 나노구조제가 음각으로 복제되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fluidic main channel, the microfluidic subchannel, and the microfluidic center channel may be formed by a replicating process. The replicat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ming a nanostructure on a silicon wafer by a soft lithography process using a soft lithography process and then pouring and hardening a curing solution to thereby form the nanostructures it means.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은 생체적합성 고분자 물질을 전기방사(electrospining)하여 제조하며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물질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아세탈(polyacetal),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polyamide elastomer),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polyester elastomer),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methacrylate)), 폴리올레핀(polyolefin), 폴리설폰(polysulfon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실리콘(silicon),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is prepared by electrospinning a biocompatible polymer material, and the biocompatible polymer material is polyurethane, polyacetal, polyamide, Polyamide elastomer, polyester, polyester elastomer, polystyrene, polypropylene, polyacrylonitrile, poly (methyl (meth) acrylate, methylacrylate, methymethacrylate), polyolefin, polysulfone, poly (vinyl chloride), silicon, and polyethylene.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은 전압 10-20kV, 방사속도 0.05-0.2㎖/h, 주사바늘의 직경 20-30G, 방사거리 25-45㎝의 조건으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물질을 포함하는 전기방사용액 8-12㎖을 60-80시간동안 전기 방사하여 제조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may be prepared by mixing the biocompatible polymer and the biocompatible polymer in a condition of a voltage of 10-20 kV, a spinning rate of 0.05-0.2 ml / h, a diameter of an injection needle of 20-30 G, Is prepared by electrospinning 8-12 mL of an electrical spinning solution containing the material for 60-80 hours.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microchip for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a) 소프트 리소그래피(soft 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여 실리콘 웨이퍼(silicon wafer)에 마이크로 유체 채널용 나노구조체를 형성하는 제 1 단계;a) a first step of forming a nanostructure for a microfluidic channel on a silicon wafer using a soft lithography process;

b) 상기 마이크로 유체 채널용 나노구조체가 형성된 실리콘 웨이퍼에 폴리디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및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methacrylate, PMM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의 블록공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경화용액을 붓고 경화시켜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 및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을 포함하는 칩을 제조하는 제 2 단계;b) adding one or two block copolymers or copoly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dimethylsiloxane (PDMS) and polymethylmethacrylate (PMMA) to a silicon wafer on which the nanostructure for a microfluidic channel is formed, Pouring and curing the curing solution to produce a chip comprising a microfluidic channel and a microfluidic subchannel;

c) 상기 칩에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의 용액주입구 및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의 용액주입구를 형성하는 제 3 단계;c) forming a solution injection port for a microfluidic main channel and a solution injection port for a microfluidic subchannel on the chip;

d) 생체적합성 고분자 물질을 전기방사하여 나노다공성 투과막을 제조하는 제 4 단계; 및d) electrospinning the biocompatible polymer material to produce a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nd

e)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과 상기 칩을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및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methacrylate, PMM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의 블록공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경화용액을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e) contacting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nd the chip with one or both block copolymers or copolymer curing solu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dimethylsiloxane (PDMS) and polymethylmethacrylate (PMMA) And a fifth step of attaching the microchip using the microchip.

본 발명은 나노다공성 투과막이 부착된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나노다공성 투과막을 세포 지지체로 사용하여 세포를 3차원적으로 배양할 수 있으며 다수의 마이크로 유체 채널을 이용하여 세포를 주입하거나 약물, 세포분비물질 또는 생리활성물질을 확산을 통해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주채널의 용액주입구는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을 포함하고 있어 약물 또는 생리활성물질을 보관하였다가 상기 마이크로 유체 채널을 통해 상기 물질들을 점진적이며 지속적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에 직접 세포를 배양하여 세포분비물질을 점진적이며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나노다공성 투과막이 부착된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은 관류 및 정밀한 유체의 제어가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채널이 확보되어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에세이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세포가 배양 접시의 바닥으로부터 분리된 나노투과막상에서 배양되며 상기 나노투과막 전체에 걸쳐 균일한 3차원 배양환경이 제공되므로 에세이를 위해 배양하는 세포의 종류에 제약이 없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with a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ttached thereto,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ulturing cells three-dimensionally using a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s a cell support, capable of injecting cells using a plurality of microfluidic channels, or supplying drugs, cell- There are advantages. In particular, the solution injection port of the main channe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storing the drug or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gradually and continuously supplying the materials through the microfluidic channel, or directly supplying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Is cultured to provide a gradual and continuous supply of cell secretory material. 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with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various kinds of essays can be obtained because various types of channels capable of controlling perfusion and precise fluid are secured,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type of cells to be cultured for an essay since the culture is cultured on a separated nanofiber membrane and a uniform three-dimensional culture environment is provided throughout the nanofiber membrane.

도 1은 PDMS 칩 및 나노다공성 투과막이 부착된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을 보여준다. 패널 A는 소프트 리소그래피를 통하여 구현된 나노구조체를 포함하는 실리콘 웨이퍼를 이용하여 제조한 PDMS 칩과 채널의 모식도를 보여준다. 패널 B는 나노다공성 투과막이 부착된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과 상기 칩에 존재하는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의 용액주입구 및 마이크로 유체 중앙채널의 중앙공간에 위치한 나노다공성 투과막을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방사 장치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PDMS 칩 상에 마이크로 유체 채널을 구현하기 위해 소프트 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형성한 나노구조체가 포함된 실리콘 웨이퍼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칩의 제조방법을 보여준다. 패널 A는 마이크로 유체 채널의 구현을 위해 형성된 나노구조체를 포함하는 실리콘 웨이퍼 상에 PDMS 경화용액을 부은 모습을 보여준다. 패널 B는 상기 PDMS 경화용액을 열처리하여 경화시킨 모습을 보여준다. 패널 C는 상기 경화된 PDMS 칩을 알맞은 크기로 자른 모습을 보여준다. 상기 나노구조체로 인하여 형성된 마이크로 유체 채널들을 확인할 수 있다. 패널 D는 4π 펀치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의 용액주입구를 형성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패널 E는 일반 주사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의 용액주입구를 형성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패널 F는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 및 부채널 용액주입구가 형성된 PDMS 칩상에 PDMS 경화용액을 펴 바르는 과정을 보여준다. 패널 G는 전기방사로 제조한 나노다공성 투과막을 콜렉터의 종이로부터 제거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패널 H는 상기 PDMS 경화용액이 발라진 PDMS 칩에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을 1차 부착시키는 모습을 보여준다. 패널 I는 상기 1차 부착된 나노다공성 투과막과 PDMS 칩 사이의 기포를 제거하는 보습을 보여준다. 패널 J는 상기 부착된 나노다공성 투과막위에 PDMS 경화용액을 펴 발라 2차 부착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패널 K는 상기 2차 부착을 통해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의 용액주입구 및 마이크로 유체 중앙채널의 중앙공간의 나노다공성 투과막을 제외한 모든 투과막의 부분이 PDMS 경화용액에 의해 발라져 다공성이 제거된 것을 보여준다. 패널 L은 열처리를 통해 나노다공성 투과막과 PDMS 칩이 강하게 부착되어 완성된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칩을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된 나노다공성 투과막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을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을 이용하여 수행한 3차원 세포배양의 결과를 보여준다.
1 shows a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with a PDMS chip and a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ttached thereto. Panel A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PDMS chip and a channel fabricated using a silicon wafer including nanostructures implemented through soft lithography. Panel B shows a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with a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nd a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microfluid center channel and the solution inlet of the microfluidic channel present in the chip.
2 shows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 silicon wafer including a nanostructure formed by soft lithography to realize a microfluidic channel on the PDMS chip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method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of the present invention. Panel A shows the pouring of the PDMS cure solution onto a silicon wafer containing nanostructures form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microfluidic channel. Panel B shows the PDMS curing solution cured by heat treatment. Panel C shows the cured PDMS chip cut to the proper size. The microfluidic channels formed by the nanostructure can be confirmed. Panel D shows the formation of the solution inlet of the microfluidic main channel using a 4π puncher. Panel E shows the formation of a solution injection port for a microfluidic subchannel using an ordinary syringe. Panel F shows the process of spreading a PDMS curing solution onto a PDMS chip having a microfluidic main channel and a subchannel solution injection port. Panel G shows the removal of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prepared by electrospinning from the collector paper. Panel H shows a state in which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is first attached to the PDMS chip coated with the PDMS hardened solution. Panel I shows the moisturization to remove air bubbles between the primary attached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nd the PDMS chip. Panel J shows a state in which PDMS hardening solution is spread on the attached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to perform secondary attachment. Panel K shows that the porosity is removed by the PDMS curing solution, except for the solution inlet of the microfluidic main channel and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in the central space of the microfluidic channel through the secondary attachment. Panel L shows a finished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formed by strongly adhering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nd PDMS chip through heat treatment.
FIG. 5 shows photographs of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aken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IG. 6 shows the results of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performed using the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폴리디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및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methacrylate, PMM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의 블록공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제조된 칩; b) 4개의 채널 및 4개의 용액주입구로 구성된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micro-fluidic main channel); c) 2개의 채널과 2개의 용액주입구로 구성된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micro fluidic side channel); 및 d) 상기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 및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과 연결되며 상기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 및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의 주입구 통해 주입된 용액(fluid)이 흘러들어 공존하는 중앙공간, 나노다공성 투과막 및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nano-porous membrane)을 지지하는 다수의 투과막 지지기둥(membrane supporting column)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유체 중앙채널(micro-fluidic central channel);을 포함하는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copolymer comprising a) one or both block copolymers or copoly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dimethylsiloxane (PDMS) and polymethylmethacrylate (PMMA) A manufactured chip; b) a micro-fluidic main channel consisting of four channels and four solution inlets; c) a micro fluidic side channel consisting of two channels and two solution injection ports; And d) a central space, which is connected to the microfluidic channel and the microfluidic subchannel and through which the injected fluid flows through the inlet of the microfluidic channel and the microfluidic subchannel, There is provided a microchip for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comprising a micro-fluidic central channel including a plurality of membrane supporting columns for supporting a nano-porous membrane do.

본 발명의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은 세포 배양액의 주입이 가능하고 관류가 가능한 채널이 확보되는 폴리디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및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methacrylate, PMM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의 블록공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제조된 칩(실리콘 칩)상에 세포를 배양할 수 있는 나노투과막이 부착되므로 세포가 3차원적으로 배양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은 일반적으로 연구용으로 사용되는 모든 세포에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종래에 배양하는데 한계가 있었던 조직 내에서 3차원적으로 신호를 주고받는 세포들의 배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The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dimethylsiloxane (PDMS) and polymethylmethacrylate (PMMA) in which cell culture fluids can be injected and perfusion channels are secur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 environment in which cells can be cultured three-dimensionally is provided because a nanoporous membrane capable of culturing the cells is attached on a chip (silicon chip) made of one or two block copolymers or copolymers. The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generally applied to all cells used for research, and it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to cultivate cells receiving signals three-dimensionally in a tissue which has been conventionally limited in culture have.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및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methacrylate, PMMA)는 실리콘의 일종으로 불활성 특성이 있는 고분자물질이며 가격이 낮고 우수한 열안정성 및 생체적합성이 있어서 인체조직공학연구에 많이 사용된다. Polydimethylsiloxane (PDMS) and polymethylmethacrylate (PMMA) are a kind of silicon, which is a polymer material with inactive properties. It has low cost, excellent thermal stability and biocompatibility, Is used.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칩에는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 중앙공간 및 마이크로 유체 중앙채널이 존재한다. 상기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은 중앙공간으로 연결된 채널과 나노다공성 투과막이 포함된 용액주입구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공간으로 연결된 채널은 폭 0.5-1.5mm; 깊이 0.1-0.5mm; 및 길이 2-3cm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공간으로 연결된 채널은 폭 1mm; 깊이 0.24mm; 및 길이 2.5cm이다. 상기 채널은 마이크로 사이즈의 직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용액주입구에 주입된 세포, 약물, 세포분비물 또는 생리활성물질이 삼투압 및 확산현상에 의해 중앙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채널의 폭이 0.5mm, 깊이가 0.1mm 미만이면 세포 주입시 세포의 뭉침 또는 용액의 점도에 따라 상기 채널이 쉽게 막힐 수 있으며 용액의 확산속도가 쉽게 변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licon chip has a microfluidic main channel, a microfluidic subchannel, a center space, and a microfluidic center channel. The microfluidic main channel includes a channel connected to the center space and a solution injection port including a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The channel connected to the central space has a width of 0.5-1.5 mm; Depth 0.1-0.5 mm; And a length of 2-3 cm. Preferably, the channel connected to the central space has a width of 1 mm; Depth 0.24 mm; And a length of 2.5 cm. Since the channel has a micro-sized diameter, the cells, drug, cell secretion or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injected into the solution injection port can be supplied to the central space by osmotic pressure and diffusion phenomenon. If the width of the channel is less than 0.5 mm and the depth is less than 0.1 mm, the channel may easily clog the cells due to cell aggregation or viscosity of the solution upon cell injection, and the diffusion rate of the solution may easily change.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이 포함된 용액주입구는 상기 채널의 끝에 위치하며 직경 2.5-3.5mm의 원형으로 상기 실리콘 칩을 관통하되 상기 실리콘 칩의 하부방향에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이 위치하여 주입된 세포 및 용액을 보관하거나 마이크로 유체 중앙채널로 확산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이 포함된 용액주입구는 직경이 3mm의 원형이다. The solution injection port including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channel and has a circular shape with a diameter of 2.5 to 3.5 mm.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is positioned in the lower part of the silicon chip, Or to diffuse into the microfluidic center channel. Preferably, the solution injection port including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is circular with a diameter of 3 mm.

상기 용액주입구에 포함된 나노다공성 투과막은 생체적합성 고분자 물질을 전기방사(electrospining)하여 제조한다.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included in the solution injection port is prepared by electrospinning a biocompatible polymeric material.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물질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아세탈(polyacetal),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polyamide elastomer),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polyester elastomer),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methacrylate)), 폴리올레핀(polyolefin), 폴리설폰(polysulfon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실리콘(silicon),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물질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compatible polymer material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urethane, polyacetal, polyamide, polyamide elastomer, polyester, but are not limited to, polyester elastomer, polystyrene, polypropylene, polyacrylonitrile, poly (methymethacrylate), polyolefin, polysulfone, polyvinyl chloride (poly (vinyl chloride)), silicon (silicon), and polyethylene (polyethylene). Preferably, the biocompatible polymer material is polyurethane.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은 적층된 직경 5-30㎛의 나노섬유의 간극으로 인한 직경이 5-60㎛인 다수의 공극(pore)을 포함하며 두께가 30-200㎛인 막(membrane)이다. 상기 공극은 방사시간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기공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전기방사조건으로 제조된 나노다공성 투과막은 적층된 직경 10-20㎛의 나노섬유의 간극으로 인한 직경이 20-40㎛인 다수의 공극을 포함하며 두께가 30~100㎛인 막(membrane)이다. 상기 공극의 직경이 5㎛미만이면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에 보관된 물질의 확산이 어렵고 세포가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할 수 있으며 상기 공극의 직경이 60㎛을 초과하면 주입된 물질의 확산이 너무 빨라 상기 투과막의 물질에 대한 보관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의 두께가 30㎛ 미만이면 공극의 개수가 너무 적어 세포를 배양할 공간 또는 주입된 약물, 세포분비물질, 또는 생리활성물질의 보관성이 저하되며 두께가 200㎛을 초과하면 투과막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 상기 투과막과 실리콘 칩의 부착을 위한 폴리디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및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methacrylate, PMM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의 블록공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경화용액(실리콘 경화용액)의 양을 많이 사용하게 되므로 부착과정에서 상기 실리콘 경화용액이 상기 투과막에 침투하여 상기 공극을 제거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includes a plurality of pores having a diameter of 5-60 mu m due to a gap of nanofibers having a diameter of 5-30 mu m, and has a thickness of 30-200 mu m Is a membrane. The pore siz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spin time. Preferably,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produced by the above electrospinning conditions comprises a plurality of pores with diameters of 20-40 microns due to the gaps of the laminated nanofibers of 10-20 microns in diameter, lt; / RTI > If the diameter of the pores is less than 5 mu m, the material stored in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is difficult to diffuse, and the space in which cells can grow may be insufficient. If the diameter of the pores exceeds 60 mu m, The storage property of the permeable membrane is lowered. If the thickness of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is less than 30 mu m, the number of voids is too small to reduce the space for culturing the cells or storage of the injected drug, cell secretory material, or physiologically active material. If the thickness exceeds 200 mu m, The thickness of the film is too thick, and thus one or both of the block copolymer or the copolymer (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dimethylsiloxane (PDMS) and polymethylmethacrylate (PMMA) There is a risk that the silicon hardening solution penetrates into the permeable membrane during the attachment process to remove the void because the amount of the cohesive hardening solution (silicon hardening solution) is increased.

상기 공극을 가지는 나노다공성 투과막은 전기방사를 통해 제조된다.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having the void is produced through electrospinning.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은 전압 10-20kV, 방사속도 0.05-0.2㎖/h, 주사바늘의 직경 20-30G, 방사거리 25-45㎝의 조건으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물질을 포함하는 전기방사용액 8-12㎖을 60-80시간 동안 전기 방사하여 제조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은 전압 15kV, 방사속도 0.1㎖/h, 주사바늘의 직경 25G, 방사거리 35㎝의 조건으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물질을 포함하는 전기방사용액 10㎖을 70시간 동안 전기 방사하여 제조한다. 상기 조건을 벗어나 전기방사를 수행하면 나노섬유가 과도하게 적층되거나 부족하게 적층되어 상기 나노섬유의 간극에 의해 형성되는 공극의 직경이 상기 제시된 크기를 벗어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may be formed from the biocompatible polymer material (for example, polyvinylidene fluoride) under conditions of a voltage of 10-20 kV, a spinning rate of 0.05-0.2 ml / h, a diameter of an injection needle of 20-30 G, Is prepared by electrospinning for 8 hours at 60-80 hours. Preferably,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is subjected to electrospinning (10 ml) for 70 hours under the conditions of a voltage of 15 kV, a spinning rate of 0.1 ml / h, a diameter of the injection needle of 25 G and a spinning distance of 35 cm, . If the electrospinning is performed outside the above-mentioned conditions, the nanofibers may be over-laminated or insufficiently stacked, and the diameter of the voids formed by the gap of the nanofibers may deviate from the above-described size.

상기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은 폭 0.15-0.45mm; 깊이 0.1-0.5mm; 및 길이 2-3cm이며 상기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의 용액주입구는 상기 채널의 끝에 위치하며 직경 0.5-1.5mm의 원형으로 상기 PDMS 칩을 관통하되 상기 PDMS 칩의 하부방향에 다공성이 제거된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이 위치하여 마이크로 유체 중앙채널에 용액을 주입하거나 배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은 폭 0.3mm; 깊이 0.24mm; 및 길이 2.5cm이며 상기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의 용액주입구는 상기 채널의 끝에 위치하며 직경 1mm의 원형으로 상기 PDMS 칩을 관통하되 상기 PDMS 칩의 하부방향에 다공성이 제거된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이 위치하여 마이크로 유체 중앙채널에 용액을 주입하거나 배출한다. 상기 채널의 폭이 0.15mm, 깊이 0.1mm 미만이면 일반적인 주사기로 용액을 주입하기 어렵다. 상기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의 용액주입구의 직경인 0.5-1.5mm은 약물 또는 배지를 주입할 수 있는 주사기의 직경과 동일하므로 주사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배지를 교환하거나 에세이용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microfluidic subchannel has a width of 0.15-0.45 mm; Depth 0.1-0.5 mm; And the solution injection port of the microfluidic subchannel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channel and has a circular shape with a diameter of 0.5-1.5 mm and penetrates the PDMS chip, and the nano-porous permeation The membrane is positioned to inject or drain the solution into the microfluidic center channel. Preferably, the microfluidic subchannel has a width of 0.3 mm; Depth 0.24 mm; And a length of 2.5 cm. The solution injection port of the microfluidic subchannel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channel and has a circular shape with a diameter of 1 mm.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which has been removed from the PDMS chip through the PDMS chip, The solution is injected or discharged into the fluid central channel. If the width of the channel is 0.15 mm and the depth is less than 0.1 mm, it is difficult to inject the solution with a general syringe. The diameter of the solution inlet of the microfluidic channel is 0.5 to 1.5 mm, which is the same as the diameter of a syringe to which a drug or a medium can be injec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exchange a medium or inject drugs for an assay using a syringe .

상기 마이크로 유체 중앙채널은 폭 4-5mm; 깊이 0.1-0.5mm; 및 길이 0.5-1.5cm이며 나노다공성 투과막을 이용한 3차원 세포배양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 유체 중앙채널은 폭 4.5mm; 깊이 0.24mm; 및 길이 1cm이다. 상기 마이크로 유체 중앙채널은 4개의 상기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과 2개의 상기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이 연결된 중앙공간; 3차원 세포배양이 가능한 나노다공성 투과막; 및 상기 중앙공간을 3등분하여 가로지르며 상기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 및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로부터 유입된 용액이 자유롭게 혼합될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다수의 투과막 지지기둥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공간은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을 포함하고 있어서 3차원 세포배양이 가능하다. 상기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 또는 부채널을 통하여 세포를 포함하고 있는 세포배양액이 상기 마이크로 유체 중앙채널으로 주입되면 상기 세포배양액은 삼투압에 의해 상기 중앙공간의 나노다공성 투과막에 흡수되며 상기 흡수된 세포배양액에 존재하는 세포는 생체적합성이 뛰어난 나노섬유를 지지체로 삼아 성장하게 된다. 상기 중앙공간은 폭 4-5mm; 깊이 0.1-0.5mm; 및 길이 0.5-1.5cm이기 때문에 나노다공성 투과막이 부착되면 중앙공간의 내부로 쳐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앙공간은 다수의 투과막 지지기둥을 구비한다. 상기 투과막 지지기둥은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에 부착되어 중앙공간 내부로 쳐지지 않고 팽팽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중앙공간에 포함된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의 형태는 상기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의 용액주입구에 존재하는 나노다공성 투과막에 의해서도 유지된다. 상기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의 용액주입구에 존재하는 나노다공성 투과막과 상기 중앙공간에 존재하는 나노다공성 투과막은 하나의 나노다공성 투과막이 PDMS 칩에 부착되어 형성된다. 상기 중앙공간 및 상기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의 용액주입구에 존재하는 나노다공성 투과막은 PDMS 경화용액을 바르지 않음으로 다공성을 유지하며 상기 다공성으로 인하여 투과막의 탄력이 유지된다. 상기 중앙공간 및 상기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의 용액주입구의 나노다공성 투과막은 상기 다공성으로 인한 탄력 때문에 PDMS 경화용액을 이용한 부착시 서로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효과는 상기 중앙공간 및 상기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의 용액주입구의 나노다공성 투과막 중 어느 하나가 없는 경우 반감된다. The microfluidic center channel has a width of 4-5 mm; Depth 0.1-0.5 mm; And a length of 0.5-1.5 cm, and it is possible to cultivate a three-dimensional cell using a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Preferably, the microfluidic center channel has a width of 4.5 mm; Depth 0.24 mm; And a length of 1 cm. Wherein the microfluidic center channel comprises a central space in which four microfluidic channels and two microfluidic subchannels are connected;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capable of three - dimensional cell culture; And a plurality of permeable membrane supporting pillars which are divided into three equal portions and exist independently so that the solution introduced from the microfluidic main channel and the microfluidic subchannel can be mixed freely. The central space includes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to enable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When a cell culture fluid containing cells through the microfluidic main channel or the subchannel is injected into the microfluidic channel, the cell culture fluid is absorbed into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of the central space by osmotic pressure, The existing cells grow using nanofibers excellent in biocompatibility as a support. The central space has a width of 4-5 mm; Depth 0.1-0.5 mm; And 0.5-1.5 cm in length,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can be stuck inside the central space when attached.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central space has a plurality of transparent membrane supporting posts.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permeable membrane is attached to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so that it does not protrude into the central space and maintains a taut shape. The shape of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contained in the central space is also maintained by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present in the solution inlet of the microfluidic channel.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existing in the solution injection port of the microfluidic channel and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existing in the central space are formed by attaching on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to the PDMS chip.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present at the solution inlet of the central space and the microfluidic main channel maintains porosity by not applying the PDMS curing solution and the elasticity of the permeable membrane is maintained due to the porosity.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of the solution injecting port of the central space and the microfluidic main channel has an effect of preventing mutual warping when the PDMS curable solution is attached due to the elasticity due to the porosity, And when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of the channel at the solution injection port is absent, it is halved.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은 상기 PDMS 칩의 바닥 모서리에 상기 PDMS칩을 배양접시의 바닥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네 개의 다리를 구비한다. 2차원 세포배양의 경우 배양접시의 바닥에 세포가 붙어서 자라므로 3차원적인 생체환경을 모방할 수 없으며 생체적합성이 떨어지고 배양액의 교환과정 중에 세포에 스트레스를 주어 세포의 손실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은 모서리에 다리를 구비하여 배양접시의 바닥으로부터 세포가 배양되는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을 분리하여 3차원적인 생체환경과 유사한 세포배양 환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리가 구비된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과 다리가 구비되지 않은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 모두에서 세포성장이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으나 다리가 구비되지 않은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을 이용한 세포배양은 배양접시의 생체부적합성에 의해 배양접시와 접하는 나노다공성 투과막 부분의 세포성장이 저하되므로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 전체의 균일한 3차원 생체환경 모사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our legs at the bottom edge of the PDMS chip, separating the PDMS chip from the bottom of the culture dish. In the case of two-dimensional cell culture, since the cells adhere to the bottom of the culture dish, the three-dimensional biological environment can not be imitated, the biocompatibility is poor, and cells are stressed during the exchange of the culture medium. The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eg at an edge and separates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from which the cells are cultured from the bottom of the culture dish to provide a cell culture environment similar to a three-dimensional biological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cell growth was possible in both the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equipped with the leg and the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without the leg, The cell culture using the microchip for cell culture is disadvantageous in that the whole of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can not be uniformly sampled in the three-dimensional bio-environment since the cell growth of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portion contacting with the culture dish is lowered due to the biocompatibility of the culture dish have.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microchip for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a) 소프트 리소그래피(soft 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여 실리콘 웨이퍼(silicon wafer)에 마이크로 유체 채널용 나노구조체를 형성하는 제 1 단계;a) a first step of forming a nanostructure for a microfluidic channel on a silicon wafer using a soft lithography process;

b) 상기 마이크로 유체 채널용 나노구조체가 형성된 실리콘 웨이퍼에 폴리디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및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methacrylate, PMM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의 블록공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경화용액(실리콘 경화용액)을 붓고 경화시켜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 및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을 포함하는 칩(실리콘 칩)을 제조하는 제 2 단계;b) adding one or two block copolymers or copoly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dimethylsiloxane (PDMS) and polymethylmethacrylate (PMMA) to a silicon wafer on which the nanostructure for a microfluidic channel is formed, A second step of preparing a chip (silicon chip) including a microfluidic channel and a microfluidic subchannel by pouring and curing a curing solution (a silicon hardening solution);

c) 상기 실리콘 칩에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의 용액주입구 및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의 용액주입구를 형성하는 제 3 단계;c) forming a solution injection port for the microfluidic channel and a solution injection port for the microfluidic subchannel on the silicon chip;

d) 생체적합성 고분자 물질을 전기방사하여 나노다공성 투과막을 제조하는 제 4 단계; 및d) electrospinning the biocompatible polymer material to produce a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nd

e)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과 상기 실리콘 칩을 상기 실리콘 경화용액을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제 5 단계.e) attaching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nd the silicon chip using the silicon hardening solution.

제 1 단계: 마이크로 유체 채널용 나노구조체의 형성단계Step 1: Formation of a nanostructure for a microfluidic channel

본 발명의 실리콘 칩에 구현된 마이크로 유체 채널은 실리콘 웨이퍼에 형성된 나노구조체를 이용하여 복제하는 방법(Replicating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The microfluidic channel implemented in the silicon chi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bricated using a replication method using a nanostructure formed on a silicon wafer.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 및 마이크로 유체 중앙채널은 소프트 리소그래피(soft 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여 실리콘 웨이퍼(silicon wafer)상에 양각으로 형성한 나노구조체에 의해 음각으로 복제되어 형성된다. 상기 소프트 리소그래피는 유연한 유기물질을 사용하여 종래의 포토리소그래피에서 사용하는 복잡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패턴이나 구조물을 만드는 전사법을 의미한다. 상기 소프트 리소그래피는 미세접촉프린팅(microcontact printing) 방법과 미세몰딩(micromolding) 방법이 있다. 상기 미세접촉프린팅방법은 원하는 구조로 형상화된 탄성체 스탬프에 자기조립 단분자막을 형성할 수 있는 잉크를 묻혀 고체기질의 표면에 접촉에 의해 전사한 후 선택적 에칭을 통하여 기질을 패터닝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상기 미세몰딩 방법은 유연한 고분자로 도장을 만들어 원본의 정보를 복제한 후 다량의 다차원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fluidic main channel, the microfluidic subchannel, and the microfluidic center channel are formed by embossing a nanostructure on a silicon wafer using a soft lithography process As shown in FIG. The soft lithography refers to a transfer process that uses a flexible organic material to make a pattern or structure without using a complicated device used in conventional photolithography. The soft lithography may be a microcontact printing method or a micromolding method. The fine contact printing method refers to a technique of transferring an ink capable of forming a self-assembled monolayer on an elastic stamp formed into a desired structure by contact with the surface of a solid substrate, and then patterning the substrate by selective etching. The molding method is a method of making a coating with a flexible polymer and replicating the original information and then manufacturing a large amount of multidimensional structur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PDMS 칩에 구현된 마이크로 유체 채널용 나노구조체는 미세몰딩방법을 이용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nostructure for a microfluidic channel implemented in the PDMS chip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micro molding method.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유체 채널용 나노구조체는 높이 0.1-0.5nm 이며 폭 0.15-5mm인 양각의 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 유체 채널용 나노구조체는 높이 0.24mm 이며 폭 0.3-4.5mm인 양각의 형태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nostructure for a microfluidic channel is in the form of a depressed shape having a height of 0.1-0.5 nm and a width of 0.15-5 mm. Preferably, the nanostructure for the microfluidic channel is in the form of a boss having a height of 0.24 mm and a width of 0.3 to 4.5 mm.

제 2 단계: 실리콘 칩의 제조Step 2: Manufacture of silicon chip

본 발명의 실리콘 칩은 폴리디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및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methacrylate, PMM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의 블록공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경화용액(실리콘 경화용액)을 제조하고 기포를 제거한 후 상기 소프트 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제조한 실리콘 웨이퍼(silicon wafer)에 부어 경화시킴으로 제조한다. 상기 실리콘 경화용액은 PDMS 또는 PMMA 용액 10중량부에 경화제 1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며 기포를 제거하여 공극의 발생을 최소화한다. The silicon chip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both block copolymers or copolymer curing solutions (silicon curing solu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dimethylsiloxane (PDMS) and polymethylmethacrylate (PMMA) And then removing the air bubbles and pouring it on a silicon wafer manufactured by soft lithography. The silicon hardening solution is prepared by mixing 1 part by weight of a curing agent in 10 parts by weight of a PDMS or PMMA solution and removing air bubbles to minimize the generation of voids.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칩은 상기 나노구조체가 형성된 실리콘 웨이퍼에 상기 실리콘 경화용액을 붓고 70-90℃ 오븐에서 20-40분간 열처리를 수행하여 제조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리콘 칩은 상기 나노구조체가 형성된 실리콘 웨이퍼에 상기 실리콘 경화용액을 붓고 80℃ 오븐에서 30분간 열처리를 수행하여 제조한다. 상기 실리콘 경화용액의 경화에 있어서 오븐을 이용하여 열처리를 수행하면 상온에서 자연적으로 경화시키는 방법(free standing)에 대비하여 실리콘(PDMS 또는 PMMA)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오븐의 온도가 70℃ 미만이면 열처리시간이 더 소요되며 상기 오븐의 온도가 90℃를 초과하더라도 열처리효과는 70-90℃ 오븐에서 열처리하는 것과 동일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licon chip is prepared by pouring the silicon hardening solution into a silicon wafer on which the nanostructure is formed, and performing heat treatment in an oven at 70-90 ° C for 20-40 minutes. Preferably, the silicon chip is prepared by pouring the silicon hardening solution onto a silicon wafer on which the nanostructure is formed, and performing heat treatment in an oven at 80 ° C for 30 minutes. In the curing of the silicon hardening solution, heat treatment using an ove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hardness of silicon (PDMS or PMMA) can be improved in comparison with a method of naturally curing at room temperature (free standing). If the temperature of the oven is less than 70 캜, the heat treatment takes longer. Even though the temperature of the oven exceeds 90 캜, the heat treatment effect is the same as that of the heat treatment in the oven at 70-90 캜.

제 3 단계: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 및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의 용액주입구 형성Step 3: Formation of solution inlet for microfluidic and microfluidic subchannels

상기 제 2 단계의 열처리를 통하여 경화된 실리콘 칩과 상기 실리콘 웨이퍼를 분리한 후 상기 실리콘 칩의 용액주입구를 형성한다. 상기 주입구의 형성은 4π 펀치기 및 주사기 바늘을 이용하여 각각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의 용액주입구 및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의 용액주입구를 형성할 수 있으며 레이저 커터기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리콘 칩이 PDMS를 주성분으로서 이루어져 있다면 4π 펀치기 및 주사기 바늘을 이용하는 방법이 적당하며 상기 실리콘 칩이 PMMA를 주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레이져 커터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적당하다. After the cured silicon chip and the silicon wafer are separated through the heat treatment in the second step, a solution injection port of the silicon chip is formed. The injection port may be formed by using a 4 pi punch and a syringe needle to form a solution injection port for the microfluidic main channel and a solution injection port for the microfluidic subchannel, respectively, and may be formed using a laser cutter. Preferably, a 4 pi punching machine and a syringe needle method are suitable if the silicon chip is made of PDMS as a main component. If the silicon chip is composed mainly of PMMA, a method using a laser cutter is suitable.

제 4 단계: 전기방사를 통한 나노다공성 투과막의 제조Step 4: Fabrication of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by electrospinning

생체적합성 고분자 물질을 이용하여 전기방사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전기방사용액을 이용하여 전기방사 방법으로 나노섬유를 적층하여 나노다공성 투과막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물질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아세탈(polyacetal),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polyamide elastomer),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polyester elastomer),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methacrylate)), 폴리올레핀(polyolefin), 폴리설폰(polysulfon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실리콘(silicon),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물질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이다. A biodegradable polymeric material is used to prepare an electric spinning liquid, and nanofibrous permeable membranes are prepared by laminating nanofibers by an electrospinning method using the electrical spinning sol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compatible polymer material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urethane, polyacetal, polyamide, polyamide elastomer, polyester, but are not limited to, polyester elastomer, polystyrene, polypropylene, polyacrylonitrile, poly (methymethacrylate), polyolefin, polysulfone, polyvinyl chloride (poly (vinyl chloride)), silicon (silicon), and polyethylene (polyethylene). Preferably, the biocompatible polymer material is polyurethane.

상기 전기방사용액은 분말형태의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 formamide, DMF)에 10-20중량%로 첨가하고 이를 교반기로 22-26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조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방사용액은 분말형태의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 formamide, DMF)에 15중량%로 첨가하고 이를 교반기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조한다. 상기 전기방사용액에 존재하는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농도는 전기방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상기 농도가 높으면 나노섬유의 직경이 증가하고 이로 인한 나노섬유간의 간극이 줄어들어 다공의 수 및 크기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방사용액의 농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ectric discharge solution is prepared by adding 10-20% by weight of a biocompatible polymer in powder form to dimethylformamide (DMF) and stirring the mixture with a stirrer for 22-26 hours. Preferably, the electric spinning solution is prepared by adding 15% by weight of a biocompatible polymer in powder form to dimethylformamide (DMF) and stirring the mixture with a stirrer for 24 hours. The concentration of the biocompatible polymer present in the electrorheological solution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electrospinning. When the concentration is high, the diameter of the nanofiber increases, and the gap between the nanofibers decreases, thereby reducing the number and size of the pore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방사는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한 전기방사용액 8-12㎖을 20-30G 바늘이 장착된 주사기에 주입하고 팁(tip)에 고정 시킨 후 상기 팁과 콜렉터(collector)의 거리를 25-45cm로 고정하고 10-20kV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0.05-0.2㎖/h의 방사속도로 60-80시간 동안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방사는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한 전기방사용액 10㎖을 25G 바늘이 장착된 주사기에 주입하고 팁(tip)에 고정 시킨 후 상기 팁과 콜렉터(collector)의 거리를 35cm로 고정하고 15kV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0.1㎖/h의 방사속도로 70시간 동안 수행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spinning may be performed by injecting 8-12 ml of an electrospray containing the biocompatible polymer material into a syringe equipped with a 20-30G needle, fixing the tip to a tip, The distance of the collector is fixed at 25-45cm, and the high voltage of 10-20kV is applied and the irradiation is performed at a radiation rate of 0.05-0.2 ml / h for 60-80 hours. Preferably, the electrospinning is carried out by injecting 10 ml of an electric spinning solution containing the biocompatible polymer material into a syringe equipped with a 25 G needle, fixing the tip to a tip, fix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ip and the collector to 35 cm And a high voltage of 15 kV is applied thereto at a spinning rate of 0.1 ml / h for 70 hours.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은 적층된 직경 5-30㎛의 나노섬유의 간극으로 인한 직경이 5-60㎛인 다수의 공극(pore)을 포함하며 두께가 30-200㎛인 막(membrane)이다. 상기 공극은 방사시간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기공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전기방사조건으로 제조된 나노다공성 투과막은 적층된 직경 10-20㎛의 나노섬유의 간극으로 인한 직경이 20-40㎛인 다수의 공극을 포함하며 두께가 30~100㎛인 막(membrane)이다. 상기 공극의 직경이 5㎛미만이면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에 보관된 물질의 확산이 어렵고 세포가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할 수 있으며 상기 공극의 직경이 60㎛을 초과하면 주입된 물질의 확산이 너무 빨라 상기 투과막의 물질에 대한 보관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의 두께가 30㎛ 미만이면 공극의 개수가 너무 적어 세포를 배양할 공간 또는 주입된 약물, 세포분비물질, 또는 생리활성물질의 보관성이 저하되며 두께가 200㎛을 초과하면 투과막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 상기 투과막과 실리콘 칩의 부착을 위한 실리콘 경화용액의 양을 많이 사용하게 되므로 부착과정에서 상기 실리콘 경화용액이 상기 투과막에 침투하여 상기 공극을 제거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includes a plurality of pores having a diameter of 5-60 mu m due to a gap of nanofibers having a diameter of 5-30 mu m, and has a thickness of 30-200 mu m Is a membrane. The pore siz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spin time. Preferably,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produced by the above electrospinning conditions comprises a plurality of pores with diameters of 20-40 microns due to the gaps of the laminated nanofibers of 10-20 microns in diameter, lt; / RTI > If the diameter of the pores is less than 5 mu m, the material stored in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is difficult to diffuse, and the space in which cells can grow may be insufficient. If the diameter of the pores exceeds 60 mu m, The storage property of the permeable membrane is lowered. If the thickness of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is less than 30 mu m, the number of voids is too small to reduce the space for culturing the cells or storage of the injected drug, cell secretory material, or physiologically active material. If the thickness exceeds 200 mu m, Since the thickness of the film is too thick to use the amount of the silicon hardening solution for attaching the silicon film and the transparent film, there is a risk that the silicon hardening solution penetrates into the permeable film and can remove the gap.

제 5 단계: 나노다공성 투과막 부착Step 5: Attachment of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과 상기 실리콘 칩(폴리디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및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methacrylate, PMM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의 블록공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제조된 칩)의 부착은 4℃에 보관하여 점도를 향상시킨 상기 실리콘 경화용액(폴리디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및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methacrylate, PMM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의 블록공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경화용액)을 상기 실리콘 칩의 표면에 골고루 펴 바른 후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을 부착시키는 1차 부착 단계 및 상기 1 차 부착단계로 부착된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의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 용액주입구 부분과 마이크로 유체 중앙채널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상기 4℃에 보관하여 점도를 향상시킨 실리콘 경화용액을 골고루 펴 바른 후 70-90℃ 오븐에서 5-15분간 열처리하는 2차 부착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1차 부착단계는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과 상기 실리콘 칩을 직접적으로 부착시키는 단계이며 상기 2차 부착단계는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과 실리콘 칩의 추가적인 부착 및 상기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의 용액주입구 및 마이크로 유체 중앙채널의 나노다공성 투과막을 제외한 투과막부분의 다공성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nd one or two block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dimethylsiloxane (PDMS) and polymethylmethacrylate (PMMA) (Polyimide siloxane (PDMS) and polymethylmethacrylate (PMMA)), which is stored at 4 ° C and improved in viscosity, To a surface of the silicon chip, and then attaching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to the surface of the silicon chip, and applying the nanoporous membrane attached to the primary attachment step The microfluidic channel of the permeable membrane has an inlet port After applying stored at 4 ℃ spread evenly cure the silicone solution with improved viscosity it consists of a secondary attachment step of heat-treating 5-15 minutes at 70-90 ℃ oven. Wherein the first attaching step is a step of directly attaching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nd the silicon chip, wherein the second attaching step is a step of attaching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nd the silicon chip, Removing the porosity of the permeable membrane portion except for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of the fluid center channel.

추가적으로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이 부착된 실리콘 칩에는 목적에 따라 상기 실리콘 칩의 높이를 조절하여 배양접시의 바닥으로부터 분리하거나 배양액의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종의 다리를 각 네 개의 모서리에 같은 높이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다리는 상기 PDMS 칩을 배양접시의 바닥으로부터 1-5cm 띄울 수 있어 상기 PDMS 칩과 배양접시 바닥 사이에 배지의 유입이 가능한 정도이면 적당하다. In addition, the silicon chip to which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is attached may be provided with four kinds of legs at four corners at the same height in order to separate the silicon chip from the bottom of the culture dish or to allow the flow of the culture liquid, . The legs may be spaced from the bottom of the culture dish by 1-5 cm from the bottom of the culture dish, so that it is possible to allow the culture medium to flow between the PDMS chip and the bottom of the culture dish.

실시예Example

실시예 1: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의 제조Example 1: Preparation of microchip for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본 발명의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도 1 참조)은 폴리우레탄 나노다공성 투과막을 마이크로 채널이 내재된 폴리디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마이크로 칩에 수평으로 고정하여 제조한다. 상기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의 제조과정은 도 4에 개시되어 있다. The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see FIG.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horizontally fixing a polyurethan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to a polydimethylsiloxane (PDMS) microchip having microchannels embedded therein.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microchip for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is disclosed in FIG.

1)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나노다공성 투과막의 제조1) Preparation of polyurethan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나노다공성 투과막(nano-porous membrane)은 전기방사(electrospining)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전기방사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전기방사용액을 제조하였다.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 formamide, DMF) 100중량%에 대하여 폴리우레탄 분말 15중량%(w/w)을 첨가하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혼합하여 상기 PU 전기방사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PU 전기방사용액을 25G 바늘이 장착된 10㎖ 주사기에 주입한 후 도 2에 기재된 전기방사장비의 팁(tip)부분에 고정시켰다. 상기 팁의 반대편에 위치한 타원형 형태의 콜렉터(collector)에 A4 용지를 부착시키고 상기 팁과 상기 콜렉터의 거리를 35cm로 일정하게 고정시킨 후 10rpm의 회전속도로 부여하고 15kV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전기방사를 수행하였다. 상기 전기방사는 0.1㎖/h의 속도로 유지하였으며 70시간 동안 방사하였다. 상기 전기방사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나노투과막은 80℃ 실험용 오븐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The polyurethane nanoporous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using an electrospinning method. To conduct the electrospinning process, a polyurethane (PU) electric furnace solution was prepared. 15 wt% (w / w) of polyurethane powder was added to 100 wt% of dimethyl formamide (DMF) and mixed for 24 hours using a stirrer to prepare the PU electric spinning solution. The PU electric spinning solution prepared above was injected into a 10-ml syringe equipped with a 25-G needle and fixed to the tip of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shown in FIG. A4 paper was attached to an elliptical collector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ip,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ip and the collector was fixed at a constant value of 35 cm. Then, a rotation speed of 10 rpm was applied and a high voltage of 15 kV was applied. Respectively. The electrospinning was maintained at a rate of 0.1 ml / h and spun for 70 hours. The polyurethane nanotransflective film prepared using the electrospinning was dried in an oven at 80 ° C for 24 hours.

2) 마이크로 칩의 제조2) Manufacture of microchips

본 발명의 마이크로 칩(micro chip)은 마이크로 유체 채널(micro-fluidic channel)이 내재되어 있으며 생체적합성 고분자인 PDMS를 이용하여 제조된 칩이다. 상기 마이크로 칩의 마이크로 유체 채널을 형성하기 위하여 실리콘 웨이퍼(silicon wafer)에 소프트 리소그래피(soft 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여 나노단위의 구조체(나노구조체)를 형성하였다(도 3 참조). 상기 형성된 나노구조체는 실리콘 웨이퍼상에 이산화규소(SiO2), 질화규소(Si3N4)와 같은 세라믹, 금속 또는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를 이용하여 높이 0.24mm 이며 폭 0.3-5mm인 양각의 형태로 형성되었다(도 3 참조). 상기 나노구조체는 폭 1mm; 높이 0.24mm; 길이 2.5cm의 직사각형 나노구조체와 상기 나노구조체의 양단에 직경 3mm의 원형 나노구조체가 포함되어 있는 주채널(main channel)용 나노구조체 2개와 높이 0.24mm; 폭 0.3mm; 길이 2.5mm의 직사각형 나노구조체와 상기 나노구조체의 양단에 직경 1mm의 원형 나노구조체가 포함되어 있는 부채널(side channel)용 나노구조체 1개로 구성된다. 상기 2개의 주채널용 나노구조체 사이에 상기 부채널용 나노구조체가 위치하며 상기 나노구조체들이 만나는 중앙 위치는 상기 나노구조체 사이의 경계(음각부분)를 상당 부분 양각으로 처리하여 상기 나노구조체에 의해 형성된 채널들을 통해 주입된 용액들이 서로 혼합될 수 있는 중앙채널(central channel)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마이크로 채널용 나노구조체가 형성된 실리콘 웨이퍼를 사각 접시에 위치시킨 후 PDMS 용액을 도포하고 기포를 제거하였다. 상기 PDMS 용액은 PDMS와 경화제를 10:1(PDMS:경화제)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였으며 데시게이터를 이용하여 기포를 제거하였다. 상기 PDMS 용액이 도포된 실리콘 웨이퍼는 80℃ 실험용 오븐에서 30분가량 열처리를 수행하였으며 경화된 PDMS 칩을 실리콘 웨이퍼로부터 분리하고 알맞은 크기로 상기 PDMS 칩을 잘라내었다. 주채널의 양단에 위치한 원형 음각홈을 4π 펀치기를 이용하여 구멍을 뚫어 세포, 배양액, 약물용액 등이 주입될 수 있는 주채널 주입구(4π 주입구)를 형성하였다. 부채널의 양단에 위치한 원형 음각홈을 주사기 바늘을 이용하여 구멍을 뚫어 약물요액이 주입될 수 있는 부채널 주입구를 형성하였다. 상기의 방법에 따라 형성된 마이크로 칩을 설명하면 상기 마이크로 칩의 두께는 1cm이며; 모든 마이크로 유체 채널의 깊이는 0.24mm이며;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의 폭은 1mm이며;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의 폭은 0.3mm이며; 4개의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 및 4개의 용액주입구와 2개의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 및 2개의 용액주입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폭 3.5mm인 마이크로 유체 중앙채널 1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중앙채널을 가로로 3등분하는 다수의 투과막 지지기둥(membrane supporting column)이 형성되어 있다(도 1의 패널 A 참조). The microchi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ip manufactured by using PDMS which is a biocompatible polymer having a micro-fluidic channel. In order to form the microfluidic channel of the microchip, a nano structure (nano structure) was formed on a silicon wafer by using a soft lithography process (see FIG. 3). The formed nanostructure is formed on a silicon wafer by using a ceramics such as silicon dioxide (SiO 2 ) or silicon nitride (Si 3 N 4 ), a metal or a photoresist, in the form of a boss having a height of 0.24 mm and a width of 0.3-5 mm (See Fig. 3). The nanostructure has a width of 1 mm; Height 0.24 mm; Two nanostructures for main channels each having a rectangular nanostructure having a length of 2.5 cm and a circular nanostructure having a diameter of 3 mm at both ends of the nanostructure; Width 0.3 mm; And a single nanostructure for a side channel including a rectangular nanostructure having a length of 2.5 mm and a circular nanostructure having a diameter of 1 mm at both ends of the nanostructure. The nano structures for subchannels are positioned between the two main channel nanostructures, and the central position where the nanostructures meet is formed by embossing a substantial part of the boundary between the nanostructures So that a central channel is formed through which the solutions injected through the channels can be mixed with each other. The silicon wafer on which the nanostructure for microchannel was formed was placed in a square dish, and then a PDMS solution was applied and bubbles were removed. The PDMS solution was prepared by mixing PDMS and a curing agent in a weight ratio of 10: 1 (PDMS: curing agent), and bubbles were removed using a desiccator. The silicon wafer coated with the PDMS solution was subjected to a heat treatment in an oven for 30 minutes at 80 ° C, and the cured PDMS chip was separated from the silicon wafer and the PDMS chip was cut to an appropriate size. Circular intaglio groove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main channel were drilled using 4π punching machine to form a main channel injection port (4π injection port) into which cells, culture fluid, and drug solution can be injected. A circular intaglio groove at both ends of the subchannel was pierced using a syringe needle to form a subchannel injection port into which the drug solution could be injected. The microchip form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is 1 cm in thickness; The depth of all microfluidic channels is 0.24 mm; The width of the microfluidic channel is 1 mm; The width of the microfluidic subchannel is 0.3 mm; Four microfluidic channels and four solution injection ports, two microfluidic subchannels and two solution injection ports; And a membrane supporting column including three microfluidic channels each having a width of 3.5 mm and dividing the center channel into three equal widths (see panel A of FIG. 1).

3) 마이크로 칩과 PU 나노다공성 투과막의 부착3) Attachment of microchip and PU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상기 제조한 PU 나노다공성 투과막을 마이크로 칩 상에 수평으로 부착하였다. 상기 부착을 위하여 상기 제조한 PDMS 용액을 4℃에서 보관하여 점도를 유지하고 상기 점도가 유지된 PDMS 용액을 마이크로칩의 상부 표면에 고무 scrapper를 이용하여 소량 도포하였다. 상기 도포과정에서 상기 형성된 채널 안으로 PDMS 용액이 삽입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였다. 상기 제조된 PU 나노다공성 투과막의 먼지를 제거하여 PU 나노다공성 투과막의 공극이 막히지 않게 하였으며 상기 준비된 PU 나노다공성 투과막을 PDMS 용액이 도포된 마이크로 칩 위에 약간의 압력을 주어 부착시켰다. 상기 부착된 PU 나노다공성 투과막의 중앙채널 및 주채널 주입구를 제외한 모든 부분에 소량의 상기 4℃에서 보관하여 점도를 유지한 PDMS 용액을 도포한 후 고무 scrapper를 이용하여 얇게 펴 발라주었다. 상기 PU 나노다공성 투과막이 부착된 마이크로 칩을 80℃ 오븐에서 10분간 열처리하여 펴 바른 PDMS 용액이 경화되도록 하여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을 제조하였다(도 1의 패널 B 참조). The prepared PU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was attached horizontally on a microchip. For the attachment, the PDMS solution prepared above was stored at 4 ° C to maintain the viscosity, and a small amount of the PDMS solution with the viscosity maintained wa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icrochip using a rubber scrapper. Care was taken not to insert the PDMS solution into the formed channel during the application process. The dust of the PU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was removed to prevent clogging of the pores of the PU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nd the prepared PU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was attached to the microchip coated with the PDMS solution with a slight pressure. A small amount of the PDMS solution was stored at 4 [deg.] C in all portions except the central channel and the main channel injection port of the attached PU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nd the viscosity of the PDMS solution was applied. The PDMS solution was spread and thinly spread using a rubber scrapper. The microchip on which the PU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was attached was heat treated in an oven at 80 ° C for 10 minutes to cure the PDMS solution to prepare a microchip for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see panel B in FIG. 1).

4) 마이크로 칩의 구조 및 물질이동4) Microchip structure and mass transfer

상기 제조된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은 주채널 주입구, 및 중앙채널을 제외한 모든 부분에 도포된 PDMS 용액이 경화되면서 PU 나노다공성 투과막의 공극(pore)이 모두 제거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의 주채널 및 부채널 부분은 물질이 통과할 수 없는 상태로 씰링되었다. 상기 주채널의 주입구는 하부의 구멍 및 상부의 PU 나노다공성 투과막의 공극을 통해서만 물질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부채널의 주입구는 하부의 구멍을 통해서만 물질의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중앙채널은 상부의 PU 나노다공성 투과막의 공극을 통해서만 물질의 이동이 가능하다. The prepared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is in a state in which the pores of the PU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re completely removed while the PDMS solution applied to the main channel injection port and all parts except the central channel are cured. Therefore, the main channel and the subchannel portions of the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were sealed in a state in which the substance could not pass through. The material can be moved only through the hole of the main channel and the gap of the PU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t the upper portion and the material can be moved only through the hole at the lower portion of the injection port of the sub channel. Also, the center channel can move the material only through the pores of the upper PU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실험예 1: PU 나노다공성 투과막의 공극Experimental Example 1: Pore of PU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상기 제조한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의 PU 나노다공성 투과막의 공극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PU 나노다공성 투과막을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을 이용하여 표면 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를 분석하였다(도 5 참조). 분석결과 상기 PU 나노다공성 투과막은 직경 5-10㎛의 나노섬유가 적층되어 형성되었으며 상기 나노섬유의 간극에 의해 직경 5-60㎛의 공극(pore)이 다수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In order to confirm the pores of the PU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of the prepared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the surface image of the PU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was photograph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analyzed 5).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PU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was formed by laminating nanofibers having a diameter of 5-10 μm, and a large number of pores having a diameter of 5-60 μm were observed due to the gap between the nanofibers.

실험예 2: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을 이용한 세포배양Experimental Example 2: Cell culture using a microchip for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상기 제조한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을 멸균 처리한 후 커버글라스(cover glass)상에서 세포배양을 수행하였다. 상기 세포배양은 MDA-MB-23세포를 이용하였으며 주채널 주입구를 통해 세포 및 세포배양액을 주입하고 5일간 37℃, 5% CO2 분위기하에서 배양을 수행하였다. 상기 세포배양은 중앙채널의 PU 나노다공성 투과막이 커버글라스와 접하도록 위치시킨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과 중앙채널의 PU 나노다공성 투과막이 커버글라스 방향에 위치하되 칩의 네 모퉁이에 동일한 길이의 다리를 부착하여 상기 중앙채널의 PU 나노다공성 투과막이 상기 커버글라스에 접하지 않도록 한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에서 각각 수행하였다. 상기 세포배양에 대하여 Live/Dead 용액(The LIVE/DEAD® Cell Imaging Kit, Thermo Fisher Scientific)을 처리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도 6은 상기 네 모퉁이에 동일한 길이의 다리를 부착하여 상기 중앙채널의 PU 나노다공성 투과막이 상기 커버글라스에 접하지 않도록 한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의 세포배양 결과를 보여준다. 상기 Live/Dead 용액을 이용하면 세포막을 유지하고 있는 살아있는 세포와 세포막을 유지하지 못하는 죽은 세포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Live/Dead 용액을 배양된 세포에 첨가한 후 FITC 및 Texas RED 필터가 장착된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면 살아있는 세포는 전체적인 녹색형광(FITC, ex/em=488nm/515nm)으로 염색되어 나타나며 죽은 세포는 핵의 해체로 인해 노출된 DNA에 의해 붉은 형광(Texas RED, ex/em=570nm/602nm)이 염색되어 나타난다. 실험결과, 커버글라스와 접하여 위치한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과 커버글라스와 접하지 않은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 모두에서 세포들이 성공적으로 생존한 것이 확인되었으며 중앙채널의 모든 부위에서 세포들이 성공적으로 생존한 것이 확인되었다.The prepared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was sterilized and then cultured on a cover glass. The cell culture was performed using MDA-MB-23 cells, and cells and cell culture medium were injected through the main channel and cultured for 5 days at 37 ° C and 5% CO 2 atmosphere. The cell culture was carried out using a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placed so that the PU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of the center channel was in contact with the cover glass and the PU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of the center channel were positioned in the direction of the cover glass, And the PU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of the center channel was not in contact with the cover glass, respectively, in the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The Live / Dead solution (The LIVE / DEAD ® Cell Imaging Kit, Thermo Fisher Scientific) with respect to the cell cultures was confirmed that the survival rate of cells treated. FIG. 6 shows cell culture results of a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in which legs of the same length are attached to the four corners to prevent the PU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of the center channel from contacting the cover glass. By using the Live / Dead solution,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living cells that retain cell membranes from dead cells that do not retain cell membranes. When the live / dead solution was added to the cultured cells and observed using a fluorescence microscope equipped with FITC and Texas RED filters, living cells were stained with a whole green fluorescence (FITC, ex / em = 488 nm / 515 nm) Cells are stained with red fluorescence (Texas RED, ex / em = 570nm / 602nm) by exposed DNA due to nuclear deca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ells survived successfully in both the 3-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placed in contact with the cover glass and the 3-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not in contact with the cover glass, and the cells were successfully Survival was confirmed.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 또는 예시를 대표하는 의미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변형과 다른 용도가 본 명세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representative of preferred embodiments or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and other uses of the invention do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Claims (15)

a) 폴리디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및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methacrylate, PMM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의 블록공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제조된 칩;
b) 4개의 채널 및 4개의 용액주입구로 구성된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micro-fluidic main channel);
c) 2개의 채널과 2개의 용액주입구로 구성된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micro fluidic side channel); 및
d) 상기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 및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과 연결되며 상기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 및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의 주입구 통해 주입된 용액(fluid)이 흘러들어 공존하는 중앙공간, 나노다공성 투과막 및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nano-porous membrane)을 지지하는 다수의 투과막 지지기둥(membrane supporting column)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유체 중앙채널(micro-fluidic central channel);
을 포함하는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
a) a chip made of one or both block copolymers or copoly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dimethylsiloxane (PDMS) and polymethylmethacrylate (PMMA);
b) a micro-fluidic main channel consisting of four channels and four solution inlets;
c) a micro fluidic side channel consisting of two channels and two solution injection ports; And
d) a central space connected to the microfluidic channel and the microfluidic subchannel and through which fluid injected through the inlet of the microfluidic channel and the microfluidic subchannel flows and coexist, a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nd the nanoporous membrane A micro-fluidic central channel comprising a plurality of membrane supporting columns for supporting a nano-porous membrane;
And a microchip for culturing the ce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 중앙공간 및 마이크로 유체 중앙채널은 소프트 리소그래피(soft 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여 실리콘 웨이퍼(silicon wafer)상에 양각으로 형성한 나노구조체에 의해 음각으로 복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icrofluidic channel, the microfluidic subchannel, the central space, and the microfluidic center channel are formed by a soft lithography process on a nano structure embossed on a silicon wafer Wherein the microcapsules are formed by replicating in an engraved man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의 채널은 폭 0.5-1.5mm; 깊이 0.1-0.5mm; 및 길이 2-3cm이며 상기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의 용액주입구는 상기 채널의 끝에 위치하며 직경 2.5-3.5mm의 원형으로 상기 칩을 관통하되 상기 칩의 하부방향에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이 위치하여 주입된 세포 및 용액을 보관하거나 마이크로 유체 중앙채널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
The microfluidic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channels of the microfluidic channel are 0.5-1.5 mm wide; Depth 0.1-0.5 mm; And a length of 2-3 cm, and the solution injection port of the microfluidic channel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channel and is circular with a diameter of 2.5-3.5 mm.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is placed in the lower part of the chip, And allowing the solution to be stored or diffused into the microfluidic center chan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의 채널은 폭 0.15-0.45mm; 깊이 0.1-0.5mm; 및 길이 2-3cm이며 상기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의 용액주입구는 상기 채널의 끝에 위치하며 직경 0.5-1.5mm의 원형으로 상기 PDMS 칩을 관통하되 상기 PDMS 칩의 하부방향에 다공성이 제거된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이 위치하여 마이크로 유체 중앙채널에 용액을 주입하거나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
The microfluidic channel of claim 1, wherein the channel of the microfluidic subchannel has a width of 0.15-0.45 mm; Depth 0.1-0.5 mm; And the solution injection port of the microfluidic subchannel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channel and has a circular shape with a diameter of 0.5-1.5 mm and penetrates the PDMS chip, and the nano-porous permeation Wherein the membrane is positioned and injecting or discharging the solution into the central channel of the microflui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유체 중앙채널은 폭 4-5mm; 깊이 0.1-0.5mm; 및 길이 0.5-1.5cm이며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을 이용한 세포배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icrofluidic center channel has a width of 4-5 mm; Depth 0.1-0.5 mm; And a length of 0.5-1.5 cm and capable of cell culture using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은 생체적합성 고분자 물질을 전기방사(electrospining)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
The microchip for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is produced by electrospinning a biocompatible polymeric materia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물질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아세탈(polyacetal),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polyamide elastomer),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polyester elastomer),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methacrylate)), 폴리올레핀(polyolefin), 폴리설폰(polysulfon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실리콘(silicon),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
The biocompatible polymeric material of claim 6, wherein the biocompatible polymeric materia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urethane, polyacetal, polyamide, polyamide elastomer, polyester, polyester elastomer, ), Polystyrene, polypropylene, polyacrylonitrile, poly (methymethacrylate), polyolefin, polysulfone, poly (vinyl chloride) vinyl chloride), silicon (silicon), and polyethylene (polyethylene). 2. The microchip for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according to claim 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은 전압 10-20kV, 방사속도 0.05-0.2㎖/h, 주사바늘의 직경 20-30G, 방사거리 25-45㎝의 조건으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물질을 포함하는 전기방사용액 8-12㎖를 60-80시간동안 전기 방사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s claimed in claim 6, wherein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has a thickness of from about 10 to about 20 millimeters per cubic centimeter under conditions of a voltage of 10-20 kV, a spinning rate of 0.05-0.2 ml / h, a diameter of a needle of 20-30G, And 8-12 ml of the spinning solution is electrospun for 60-80 hours to prepare a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은 직경 5-30㎛의 나노섬유가 적층되어 형성된 간극으로 인한 직경 5-60㎛인 다수의 공극(pore)을 포함하며 두께가 30-200㎛인 막(membra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
The nanoporous transmission membran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comprises a plurality of pores having a diameter of 5-60 mu m due to a gap formed by lamination of nanofibers having a diameter of 5-30 mu m, wherein the microchip is a membrane.
a) 소프트 리소그래피(soft 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여 실리콘 웨이퍼(silicon wafer)에 마이크로 유체 채널용 나노구조체를 형성하는 제 1 단계;
b) 상기 마이크로 유체 채널용 나노구조체가 형성된 실리콘 웨이퍼에 폴리디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및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methacrylate, PMM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의 블록공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경화용액을 붓고 경화시켜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 및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을 포함하는 칩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c) 상기 칩에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의 용액주입구 및 마이크로 유체 부채널의 용액주입구를 형성하는 제 3 단계;
d) 생체적합성 고분자 물질을 전기방사하여 나노다공성 투과막을 제조하는 제 4 단계; 및
e)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과 상기 칩을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및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methacrylate, PMM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의 블록공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경화용액을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의 제조방법.
a) a first step of forming a nanostructure for a microfluidic channel on a silicon wafer using a soft lithography process;
b) adding one or two block copolymers or copoly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dimethylsiloxane (PDMS) and polymethylmethacrylate (PMMA) to a silicon wafer on which the nanostructure for a microfluidic channel is formed, Pouring and curing the curing solution to produce a chip comprising a microfluidic channel and a microfluidic subchannel;
c) forming a solution injection port for a microfluidic main channel and a solution injection port for a microfluidic subchannel on the chip;
d) electrospinning the biocompatible polymer material to produce a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nd
e) contacting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nd the chip with one or both block copolymers or copolymer curing solu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dimethylsiloxane (PDMS) and polymethylmethacrylate (PMMA) A fifth step of attaching using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유체 채널용 나노구조체는 높이 0.1-0.5mm이며 폭 0.15-0.5mm인 양각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의 제조방법.
[Claim 10]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nanostructure for microfluidic channel is in the form of a relief having a height of 0.1-0.5 mm and a width of 0.15-0.5 mm.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칩은 상기 나노구조체가 형성된 실리콘 웨이퍼에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및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methacrylate, PMM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의 블록공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경화용액을 붓고 70-90℃ 오븐에서 20-40분간 열처리를 수행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의 제조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hip is formed on the silicon wafer having the nanostructure formed thereon with one or two block copoly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dimethylsiloxane (PDMS) and polymethylmethacrylate (PMMA) Wherein the microcapsule is prepared by pouring a coagulating solution or a copolymer hardening solution and heat-treating the microcapsule in a 70-90 ° C oven for 20-40 minute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방사는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한 전기방사용액 8-12㎖를 20-30G 바늘이 장착된 주사기에 주입하고 팁(tip)에 고정 시킨 후 상기 팁과 콜렉터(collector)의 거리를 25-45cm로 고정하고 10-20kV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0.05-0.2㎖/h의 방사속도로 60-80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의 제조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electrospinning is performed by injecting 8-12 ml of an electrospray containing the biocompatible polymer material into a syringe equipped with a 20-30G needle, fixing the tip to a tip, ) Is fixed at a distance of 25-45 cm and a high voltage of 10-20 kV is applied thereto, and the spinning is performed at a spinning rate of 0.05-0.2 ml / h for 60-80 hour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물질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아세탈(polyacetal),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polyamide elastomer),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polyester elastomer),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methacrylate)), 폴리올레핀(polyolefin), 폴리설폰(polysulfon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실리콘(silicon),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biocompatible polymeric materia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urethane, polyacetal, polyamide, polyamide elastomer, polyester, polyester elastomer, ), Polystyrene, polypropylene, polyacrylonitrile, poly (methymethacrylate), polyolefin, polysulfone, poly (vinyl chloride) vinyl chloride, silicon, and polyethylene.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icrocrystalline nanotubes have a thickness of 100 nm or les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과 상기 PDMS 칩의 부착은 4℃에 보관하여 점도를 향상시킨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및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methacrylate, PMM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의 블록공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경화용액을 상기 칩의 표면에 골고루 펴 바른 후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을 부탁시키는 1차 부착 단계; 및
상기 1차 부착단계로 부착된 상기 나노다공성 투과막의 마이크로 유체 주채널 용액주입구 부분과 마이크로 유체 중앙채널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상기 4℃에 보관하여 점도를 향상시킨 폴리디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및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methacrylate, PMM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의 블록공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경화용액을 골고루 펴 바른 후 70-90℃ 오븐에서 5-15분간 열처리하는 2차 부착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세포배양용 마이크로 칩의 제조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nd the PDMS chip are formed of polydimethylsiloxane (PDMS) and polymethylmethacrylate (PMMA) A first attaching step of uniformly spreading a curing solution of one or both block copolymers or copoly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block copolymer and a copolymer on the surface of the chip and then asking for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nd
The polydimethylsiloxane (PDMS) was prepared by storing the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t the inlet of the microfluidic channel and the rest of the microfluidic channel, And polymethylmethacrylate (PMMA), followed by heat treatment in an oven at 70-90 ° C. for 5-15 minutes, followed by a secondary attachment step ;
Wherein the microcapsule is formed of a microcapsule.
KR1020170094503A 2017-07-26 2017-07-26 3 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Containing Nano-porous Membra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853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503A KR101985311B1 (en) 2017-07-26 2017-07-26 3 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Containing Nano-porous Membra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CT/KR2018/007457 WO2019022393A2 (en) 2017-07-26 2018-07-02 Three-dimensional cell culturing microchip having nanoporous permeable membrane attached thereto and fabrication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503A KR101985311B1 (en) 2017-07-26 2017-07-26 3 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Containing Nano-porous Membra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894A true KR20190011894A (en) 2019-02-08
KR101985311B1 KR101985311B1 (en) 2019-06-03

Family

ID=65041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503A KR101985311B1 (en) 2017-07-26 2017-07-26 3 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Containing Nano-porous Membra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85311B1 (en)
WO (1) WO2019022393A2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7932A (en) * 2022-02-14 2022-05-06 重庆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 Microfluidic chip and system of multi-placenta vascular anastomosis model and using method
KR20240006817A (en) 2022-07-07 2024-01-16 김학균 A-Pillar structure for a car and a car with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296B1 (en) 2019-11-14 2021-07-15 주식회사 엔케이 Storage container skid support device
CN112375681B (en) * 2020-11-19 2022-06-07 中国科学院上海微***与信息技术研究所 Organ chip and application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914B1 (en) 2005-09-22 2007-07-02 한국과학기술원 Microfluidic 3-dimensional cell culture system
WO2010009307A2 (en) * 2008-07-16 2010-01-21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Organ mimic device with microchannel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ing thereof
KR20130131326A (en) * 2010-09-29 2013-12-03 메사추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Device for high throughput investigations of cellular interactions
KR101458425B1 (en) 2014-04-03 2014-11-0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3d multi-layer cell culture structure, assay chip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analyzing cel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86400A1 (en) * 2004-11-11 2006-05-18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Cell culture device
KR101756901B1 (en) * 2015-11-13 2017-07-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Cell culture chip and method of skin mode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914B1 (en) 2005-09-22 2007-07-02 한국과학기술원 Microfluidic 3-dimensional cell culture system
WO2010009307A2 (en) * 2008-07-16 2010-01-21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Organ mimic device with microchannel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ing thereof
KR20110044226A (en) * 2008-07-16 2011-04-28 칠드런'즈 메디컬 센터 코포레이션 Organ mimic device with microchannel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ing thereof
KR20130131326A (en) * 2010-09-29 2013-12-03 메사추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Device for high throughput investigations of cellular interactions
KR101458425B1 (en) 2014-04-03 2014-11-0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3d multi-layer cell culture structure, assay chip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analyzing cel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7932A (en) * 2022-02-14 2022-05-06 重庆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 Microfluidic chip and system of multi-placenta vascular anastomosis model and using method
KR20240006817A (en) 2022-07-07 2024-01-16 김학균 A-Pillar structure for a car and a car with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2393A3 (en) 2019-03-28
WO2019022393A2 (en) 2019-01-31
KR101985311B1 (en) 2019-06-03
WO2019022393A9 (en)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311B1 (en) 3 Dimensional Cell Culture Microchip Containing Nano-porous Membra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i et al. 3D printing of biomimetic vasculature for tissue regeneration
JP5801311B2 (en) Microscale multi-fluid flow bioreactor for cell culture
Jun et al. Microfluidic spinning of micro-and nano-scale fibers for tissue engineering
Ryu et al. The construction of three-dimensional micro-fluidic scaffolds of biodegradable polymers by solvent vapor based bonding of micro-molded layers
US10544036B2 (en) Microfluidic devices and methods for the extrusion of tubular structures
Yoon et al. 3D bioprinted complex constructs reinforced by hybrid multilayers of electrospun nanofiber sheets
US20160297131A1 (en) Hydrogel Microparticles via Soft Robotics Micromold (SRM) for In Vitro Cell Culture
CN103421691A (en) Glass chip for cultivating single cell array based on microfluidic patterning technolog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He et al. Layer-by-layer micromolding of natural biopolymer scaffolds with intrinsic microfluidic networks
KR102037595B1 (en) Hydrogel membrane fixed vertically in microfluidic chip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11135339A2 (en) Reactor
KR20120072653A (en) Cylindrical channel having saw-toothed cross section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channel
WO2015195941A1 (en) Design and hot embossing of macro and micro features with high resolution microscopy access
CN110862926A (en) Multilayer paper chip based on microfluidic technolog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Snyder et al. Fabrication of multiple microscale features on polymer surfaces for applications in tissue engineering
de Haan et al. Facile fabrication of microperforated membranes with re-useable SU-8 molds for organs-on-chips
Farshidfar et al. The feasible application of microfluidic tissue/organ-on-a-chip as an impersonator of oral tissues and organs: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Huang et al. A pneumatically-driven microfluidic system for size-tunable generation of uniform cell-encapsulating collagen microbeads with the ultrastructure similar to native collagen
DE102017209942B4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cultivation of cells
Snyder et al. Microscale three-dimensional polymeric platforms for in vitro cell culture systems
WO2021038507A1 (en) Enzymatically crosslinked silk fibroin hydrogel microfluidic platform,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s thereof
CN113814010B (en) Multi-cell and multi-tissue co-culture bionic micro-fluidic chip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O'Neill et al. Microfabricated curtains for controlled cell seeding in high throughput microfluidic systems
WO201814383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 microfluidic device for dynamic tissue cul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