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674A - Probe member for pogo p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ogo pin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robe member for pogo p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ogo pin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674A
KR20190010674A KR1020190003513A KR20190003513A KR20190010674A KR 20190010674 A KR20190010674 A KR 20190010674A KR 1020190003513 A KR1020190003513 A KR 1020190003513A KR 20190003513 A KR20190003513 A KR 20190003513A KR 20190010674 A KR20190010674 A KR 20190010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member
body portion
contact
pogo pin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5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52918B1 (en
Inventor
정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Priority to KR1020190003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918B1/en
Publication of KR20190010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6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9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01R1/06738Geometry aspects related to tip por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01R1/0675Needle-li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55Material aspects
    • G01R1/06761Material aspects related to lay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easuring instruments, e.g. of probe ti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e member for a pogo pin,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pogo pin including the probe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e member used for a test socket comprises: at least one contact unit having one pointed end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an object to be tested; a first body unit having one end coupled with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unit and having a polygonal or circular column shape; and a second body unit having one end coupled with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unit and having a polygonal or circular column shape. The first and second body units are stacked in a he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unit. At least a part of the prob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pipe in which an inner space is formed.

Description

포고핀용 탐침부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포고핀{PROBE MEMBER FOR POGO P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OGO PIN COMPRI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e member for a pogo pin,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robe member, and a pogo pin including the probe member.

본 발명은 포고핀용 탐침부재,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포고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도성 및 내마모성이 향상된 포고핀용 탐침부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포고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e member for a pogo pin,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be member for a pogo pin having improved conductivity and wear resistanc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robe member, and a pogo pin including the probe member.

반도체 디바이스는 완성된 후, 정상적인 동작의 유무 또는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해 전기적인 검사를 진행한다. 이러한 전기적인 검사에는 패드를 포함하는 테스트 장치와 테스트 소켓을 사용한다.After the semiconductor device is completed, it conducts an electrical inspection to confirm the presence or the reliability of the normal operation. For these electrical tests, test equipment and test sockets containing pads are used.

테스트 소켓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자와 테스트 장치의 패드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테스트 소켓에 의해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자와 테스트 장치는 전기적인 신호의 교환이 가능하다. The test socket connects the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device with the pads of the test apparatus, and the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test apparatus can exchange electrical signals by the test socket.

이를 위해 테스트 소켓의 내부에는 접촉수단으로 포고핀이 위치한다. 포고핀은 탐침부재,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반도체 디바이스와 테스트 장치의 접촉을 원활하게 하고, 접촉 시 발생할 수 있는 기계적인 충격을 완충할 수 있어 많은 테스트 소켓에 사용된다.To this end, a pogo pin is located inside the test socket as a contact means. The pogo pin is made of a probe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and is used in many test sockets because it can smooth the contact between the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test apparatus, and can absorb the mechanical shock that may occur upon contact.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포고핀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포고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4)의 양단에 상부플런저(1005) 및 하부플런저(1006)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몸체(1004)의 내부에는 스프링(7)이 삽입되어 있다. 상부플런저(1005)와 하부플런저(1006)는 스프링(1007)에 의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바이어스 된다. 이때, 상부플런저(1005)는 반도체 디바이스(1001)의 단자(1002)와 접촉되고, 하부플런저(1006)는 테스트 장치(1008)의 패드(1009)와 접촉되어, 반도체 디바이스(1001)의 단자(1002)와 테스트 장치(1008)의 패드(1009)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Fig. 1 schematically shows a pogo pin according to the prior art. 1, an upper plunger 1005 and a lower plunger 1006 are protruded from both ends of a body 1004, and a spring 7 is inserted into the body 1004 have. The upper plunger 1005 and the lower plunger 1006 are biase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by the spring 1007. [ At this time, the upper plunger 1005 contacts the terminal 1002 of the semiconductor device 1001, and the lower plunger 1006 contacts the pad 1009 of the test apparatus 1008, 1002 and the pad 1009 of the test apparatus 1008 are electrically connected.

또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포고핀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9342호에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2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포고핀은 탐침부재(1110)와, 몸체(1120)와, 몸체(1120) 내에 배치되며 탐침부재(1110)를 상측을 향하여 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1130)와, 몸체(1120)의 하부 개구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며, 탄성부재(1130)에 의해 지지되는 하부탐침부재(1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탐침부재(1110)는 탐침부(1112a 내지 1116a)과 결합부(1112b 내지 1116b)로 구성된 다수의 탐침판(1112 내지 1116)이 서로 일체화되어 부착되도록 형성된다.Another conventional pogo pi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439342. 2 and 3, the pogo pin includes a probe member 1110, a body 1120, an elastic member (not shown) disposed in the body 1120 and biasing the probe member 1110 upward And a lower probe member 1140 at least partially protruding through the lower opening of the body 1120 and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1130. The probe member 1110 is connected to the probe unit 1112a 1116a and 1116b to 1116b are integrally formed and attached to each other.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포고핀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The pogo pi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단자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탐침부가 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자와의 접촉면적에 한계가 있다.There is a limit in the contact area with the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device because the probe portion tha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terminals is formed in a plate shape.

또한, 탐침부는 반도체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되는 집중하중에 견디기 위해 높은 마모성이 요구되고, 결합부는 탐침부의 전도도 손실을 보완하기 위해 높은 전도성이 요구되나, 종래 기술의 탐침부는 접촉부위를 기준으로 수평으로 적층되어 탐침부와 결합부는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되어도 그 소재에 따른 고유의 전기적,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기 어렵다. 즉, 종래 기술은 포고핀에서 요구되는 내마모성 및 전도성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obe portion is required to have high abrasion resistance in order to withstand the concentrated load transmitted from the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coupling portion is required to have high conductivity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conductivity loss of the probe portion, but the probe portion of the prior art is horizontally stacked Even if the probe and the coupling part ar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it is difficult to exhibit inherent electr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material. That is,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it is vulnerable to abrasion resistance and conductivity required in the pogo pin.

한국등록특허 제10-1439342호Korean Patent No. 10-143934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포고핀용 탐침부재를 이루는 접촉부 및 몸체부가 단자와의 접촉부위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내마모성 및 전도성이 향상된 포고핀용 탐침부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포고핀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be member for a pogo pin, which is stack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contact portion of a probe member for a pogo pin and a body- Pi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며, 피검사체와 접촉되는 하나 이상의 접촉부와, 일단에 접촉부의 타단이 결합되며, 다각형 또는 원형 기둥형상을 가진 제1몸체부와, 일단에 제1몸체부의 타단이 결합되며, 다각형 또는 원형 기둥형상을 가진 제2몸체부를 포함하며,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는 접촉부의 타단을 기준으로 높이방향으로 적층되며, 적어도 일부가 내부공간이 형성된 파이프 내에 삽입되어, 테스트 소켓에 사용되는 탐침부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forming a sharp point on one end of a contact member to be contacted with an object to be inspected;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are stacked in the he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and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are stacked in the he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At least a part of which is inserted into a pipe in which an internal space is formed, to provide a probe member for use in a test socke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포고핀용 탐침부재는 일단에 제2몸체부의 타단이 결합되고, 다각형 또는 원형 기둥형상을 가진 제3몸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ing member for a pogo pin may further include a third body portion having a polygonal or circular columnar shape,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ody portion is coupled at one en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몸체부는 제1몸체부와 제3몸체부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가짐으로서, 제2몸체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파이프의 함입부가 고정 설치되거나 또는 제2몸체부의 적어도 일부에 내부공간에 배치된 탄성부재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ody portion has a smaller outer diameter tha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third body portion,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is fixedly provided with the recess of the pipe, At least a part of the elastic member disposed in the inner space may be fixedly install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포고핀용 탐침부재는 일단에 제3몸체부의 타단이 결합되고, 다각형 또는 원형 기둥형상을 가진 제4몸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ing member for a pogo pin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body portion having a polygonal or circular columnar shape,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body portion is coupled at one en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포고핀용 탐침부재는 제3몸체부는 제2몸체부와 제4몸체부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가짐으로서, 제3몸체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파이프의 함입부가 고정 설치되거나 또는 제3몸체부의 적어도 일부에 내부공간에 배치된 탄성부재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body portion of the probe member for pogo pin has a smaller outer diameter than the second body portion and the fourth body portion,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body portion is fixedly installed Or an elastic member disposed in the inner space may be fixedly installed on at least a part of the third body pa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포고핀용 탐침부재는 제3몸체부의 타단에 하나 이상의 추가몸체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e member for pogo pi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additional body portion 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body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부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의 넓이가 점차 증가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ntact portion may gradually increase or decrease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포고핀용 탐침부재는 둘 이상의 접촉부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접촉부는 상이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e member for a pogo pin may be formed at two or more contact portions, and at least one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at a different heigh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부는 옆면이 이등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등변 삼각형은 꼭지각이 50° 내지 90°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quadrangular pyramid having a side surface of an isosceles triangle, and the apex angle of the isosceles triangle may be formed in a range of 50 to 90 degre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부는 높이가 650μm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of 650 m or les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포고핀용 탐침부재는 둘 이상의 접촉부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접촉부 사이의 이격거리는 15μm 이상일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be member for pogo pins, in the two or more contact portion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adjacent contact portions may be 15 占 퐉 or mor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희생기판에 일단이 뾰족한 하나 이상의 제1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홈에 제1적층소재를 충전시키고, 평탄화하여 접촉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희생기판의 상면에 제1드라이필름을 적층하고, 제1드라이필름에 접촉부가 노출되도록, 다각형 또는 원형 기둥형상을 가진 제2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2홈에 제2적층소재를 충전시키고, 평탄화하여 제1몸체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1드라이필름의 상면에 제2드라이필름을 적층하고, 제2드라이필름에 제1몸체부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다각형 또는 원형 기둥형상을 가진 제3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3홈에 제3적층소재를 충전시키고, 평탄화하여 제2몸체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드라이필름 및 제2드라이필름은 제1홈이 형성된 희생기판의 상면을 기준으로 높이방향으로 적층되고, 적어도 일부가 내부공간이 형성된 파이프 내에 삽입되어 테스트 소켓에 사용되는 포고핀용 탐침부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포고핀용 탐침부재의 제조 방법은 제2드라이필름의 상면에 제3드라이필름을 적층하고, 제3드라이필름에 제2몸체부가 노출되도록, 다각형 또는 원형 기둥형상을 가진 제4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4홈에 제4적층소재를 충전시키고, 평탄화하여 제3몸체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forming at least one first groove having a sharp end on a sacrificial substrate; filling the first groove with a first material to be laminated, Forming a second groove having a polygonal or circular columnar shape so that a contact portion is exposed to the first dry film by laminating a first dry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acrificial substrate, Filling the first dry film with a first dry film and filling the first dry film with a first dry film to form a first body part; And forming a second body portion by filling and flattening a third layered material in the third groove, wherein the first dry film and the second dry film have a first groove and a second groove, Formed sacrifice Of being stacked in the height direction relative to the upper surface, at least a portion is inserted into a pipe formed of the inner space provides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Pogo-pin probe member used in the test socket.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obe member for a pogo pi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dry film is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ry film, and the second dry film is exposed on the third dry film, Forming a fourth groove, filling the fourth groove with a fourth laminated material, and planarizing the fourth laminated material to form a third body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3홈의 넓이는 제2홈과 제4홈의 넓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third groove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groove and the fourth groo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포고핀용 탐침부재의 제조 방법은 제3드라이필름의 상면에 제4드라이필름을 적층하고, 제4드라이필름에 제3몸체부가 노출되도록, 다각형 또는 원형 기둥형상을 가진 제5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5홈에 제5적층소재를 충전시키고, 평탄화하여 제4몸체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obe member for a pogo pi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ourth dry film is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dry film, and a third dry film is formed on the fourth dry film, Forming a fifth groove by filling a fifth groove material in the fifth groove and planarizing the fifth groove material to form a fourth body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4홈의 넓이는 제3홈과 제5홈의 넓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fourth groove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third groove and the fifth groo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홈은 옆면이 이등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등변 삼각형은 꼭지각이 50° 내지 90°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roove is formed in a quadrangular pyramid shape having a side surface of an isosceles triangle, and the apex angle of the isosceles triangle may be formed in a range of 50to 90 degrees.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앞서 기재한 탐침부재와, 탐침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파이프와, 일부가 내부공간에 삽입되며, 나머지 일부가 파이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런저와, 일단이 탐침부재와 결합되어 탐침부재를 파이프의 외측을 향하여 바이어스 시키며, 타단이 플런저와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자와 접촉하여, 반도체 디바이스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는 포고핀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obe including a probe member, a pipe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probe member is inserted, a part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And an elastic member whose one end is engaged with the probe member to bias the probe member toward the outside of the pipe and the other end to be coupled with the plunger,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device, Provide a pogo pin to inspe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고핀용 탐침부재는 접촉부 및 몸체부가 단자와의 접촉부위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며, 접촉부는 경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되고, 몸체부는 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어, 탐침부재의 효율 및 수명이 증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ing member for the pogo pin is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contact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terminal,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hardness, and the body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conductivity , The efficiency and lifetime of the probe member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포고핀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또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포고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종래기술에 따른 포고핀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용 탐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포고핀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용 탐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포고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용 탐침부재에 있어서, 파이프에 삽입된 포고핀용 탐침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용 탐침부재에 있어서, 파이프에 삽입된 포고핀용 탐침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용 탐침부재에 있어서, 탄성부재와 결합된 포고핀용 탐침부재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용 탐침부재에 있어서, 탄성부재와 결합된 포고핀용 탐침부재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용 탐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포고핀 작동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용 탐침부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용 탐침부재의 일부분을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용 탐침부재의 일부분을 주사전사현미경(SEM)을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pogo pin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pogo pin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go pin according to the prior art of FIG.
4 is an exploded view of a pogo pin including a probe member for a pogo pi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go pin including a probe member for a pogo pi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obe member for a pogo pin inserted into a pipe in the probe member for a pogo pi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obe member for a pogo pin inserted into a pipe in a probe member for a pogo pi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obe member for a pogo pin combined with an elastic member in the probe member for a pogo pi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obe member for a pogo pin combined with an elastic member, in a probe member for a pogo pi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ogo pin operation diagram comprising a probe member for a pogo pi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be member for a pogo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hotograph of a part of a probe member for a pogo pi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FIG. 13 is a photograph of a part of a probe member for a pogo pi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connected, conne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Is included.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용 탐침부재(10)를 포함하여 구성된 포고핀(1)의 분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용 탐침부재(10)를 포함하여 구성된 포고핀(1)의 사시도이다.FIG. 4 is an exploded view of a pogo pin 1 including a probe member 10 for a pogo pi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obe member 10 for a pogo pi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pogo pin 1 shown in Fig.

포고핀(1)은 테스트 소켓(미도시)에 마련되어, 반도체 디바이스(B, 도 10 참조)와 테스트 장치(미도시)를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포고핀(1)의 파이프(20)가 테스트 소켓에 결합될 수 있다.The pogo pin 1 is provided in a test socket (not shown) and is a component for connecting the semiconductor device B (see FIG. 10) and the test apparatus (not shown). The pogo pin 1, Can be coupled to the test socket.

포고핀용 탐침부재(10, 이하, 탐침부재)를 포함하는 포고핀(1)은 탐침부재(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내부공간(210)이 형성되며 일단과 타단에 내부공간(210)과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된 다각형 또는 원형 기둥형상의 파이프(20), 적어도 일부가 파이프(20)의 내부공간(210)에 배치되며, 나머지 일부는 일단 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탐침부재(10), 적어도 일부가 파이프(20)의 내부공간(210)에 배치되며, 나머지 일부는 타단 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플런저(40) 및 파이프(20)의 내부공간(210)에 배치되며, 탐침부재(10) 또는 플런저(40)를 외측을 향하여 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30)를 포함한다. 이때, 파이프(20)는 포고핀(1)의 기본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배럴(Barrel) 또는 하우징(Housing)으로 불리기도 하며, 내부공간(210)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pogo pin 1 including a probe member 10 for a pogo pin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accommodate the probe member 10 and an internal space 210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A pipe 20 of a polygonal or circular column shape having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probe member 210 and a probe member 210 disposed at an inner space 210 of the pipe 20, At least a part of which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210 of the pipe 20 and the remaining part of which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210 of the pipe 20 and the plunger 40 projecting outward through the other end opening, And an elastic member 30 for biasing the probe member 10 or the plunger 40 toward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pipe 20 forms a basic outer shape of the pogo pin 1, and may be referred to as a barrel or a housing, and the inner space 2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탐침부재(10)는 반도체 디바이스(B, 도 10 참조)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파이프(20)의 내부공간(210)으로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일단 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반도체 디바이스(B)의 단자(b, 도 10 참조)와 접촉될 수 있다.The probe member 10 is used to inspect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miconductor device B (see FIG. 10),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210 of the pipe 20 as described above, (See Fig. 10) of the semiconductor device B once protruding outward through the opening.

탐침부재(10)는 일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며, 반도체 디바이스(B)의 단자(b)와 접촉 가능한 복수개의 접촉부(110), 일단에 복수개의 접촉부(110)의 타단이 결합되며 다각형 또는 원형 기둥형상을 가진 제1몸체부(120) 및 일단에 제1몸체부(120)의 타단이 결합되며 다각형 또는 원형 기둥형상을 가진 제2몸체부(130)를 포함한다. 즉, 제1몸체부(120) 및 제2몸체부(130)는 접촉부(110)의 타단을 기준으로 높이방향으로 차례차례 적층된다. 다시 말해, 반도체 디바이스(B)의 단자(b)와 접촉되는 접촉부위를 기준으로, 접촉부(110), 제1몸체부(120) 및 제2몸체부(130)는 수직방향으로 적층된다. 여기서, 높이방향이라 함은 접촉부(110)의 타단과 멀어지는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며, 수직방향이라 함은 단자(b)가 형성된 반도체 디바이스(B)의 일면과 수직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The probing member 10 has a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110 which are sharpened at one end and can contact the terminal b of the semiconductor device B and a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110 at one end, And a second body portion 130 having a polygonal or circular columnar shape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120 at one end. That is, the first body part 120 and the second body part 130 are sequentially stacked in the he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part 110. In other words, the contact portion 110, the first body portion 120,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30 are vertically stacked on the basis of the contact portion contacting the terminal b of the semiconductor device B. [ Here, the height direction indicates a direction away from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110, and the vertical direction indicate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B formed with the terminal b.

본 발명의 탐침부재(10)는 접촉부(110) 및 몸체부(120, 130)가 수직방향으로 적층됨으로써 판형으로 형성된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탐침부재(1110)에 비해 구조적 안정성 및 접촉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probe memb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tructural stability and contactabil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robe member 1110 shown in FIG. 2 formed in a plate shape by stacking the contact portion 110 and the body portions 120 and 130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improved.

접촉부(110)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의 넓이가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5는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된 접촉부(110)를 도시 하고 있다. 사각뿔로 형성된 접촉부(110)는 중앙부의 꼭지점이 반도체 디바이스(B)의 단자(b)와 접촉될 수 있으며, 바닥면이 제1몸체부(120)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The contact portion 110 may be formed so that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gradually increase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Figs. 4 and 5 show the contact portion 110 formed in the shape of a quadrangular pyramid. The vertex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110 formed of a quadrangular pyramid may be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b of the semiconductor device B and the bottom surface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120.

또한, 둘 이상의 접촉부(110)중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110)는 타 접촉부와 상이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는 타 접촉부보다 경도 높은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타 접촉부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한다. 경도가 높은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가 타 접촉부보다 먼저 반도체 디바이스(B)의 단자(b)와 접촉하면서 단자(b)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단자(b)의 표면에 형성된 산화막을 깨트리는 기능을 수행하고, 그 이후에 타 접촉부가 단자(b)에 접촉됨으로써 효과적인 전기전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contact portion 110 of the two or more contact portions 110 may be form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other contact portions. For example, at least one contact portion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hardnes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contact portions, and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other contact portions. The at least one contact portion having a high hardness contacts the terminal b of the semiconductor device B before the other contact portion to remov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terminal b or to break the oxide film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erminal b And after that, the other contact por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erminal (b), whereby the function of the electric conduction can be performed effectively.

또한,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는 타 접촉부와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는 니켈합금을 포함한 고경도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타 접촉부는 금, 은 등과 같이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고경도 소재의 접촉부는 단자(b)의 표면에 형성된 산화막을 깨트리는 기능을 수행하고, 타 접촉부가 우수한 전도성을 구현할 수 있다.Also, as described above, the at least one contact portion may be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other contact portion. For example, the at least one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of a high hardness material including a nickel alloy, and the other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conductivity such as gold, silver, or the like. The contact portion of the high-hardness material functions to break the oxide film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erminal (b), and the other contact portion can realize excellent conductivity.

도 4 및 도5는 총 4(2x2)개의 접촉부(110)가 형성된 탐침부재(10)를 개시하고 있지만, 9(3x3)개의 접촉부(110)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촉부(110)의 개수는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다.4 and 5 illustrate a probe member 10 in which a total of 4 (2x2) contacts 110 are formed, but it can also be made of 9 (3x3) contacts 110 and the number of contacts 110 can be freely you can change 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탐침부재(10)는 제3몸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몸체부(140)는 다각형 또는 원형 기둥형상을 가지며, 일단에 제2몸체부(130)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다. 제3몸체부(140)도 타 몸체부(120, 130)와 동일하게 접촉부(110)의 타단을 기준으로 높이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e member 1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body part 140. [ The third body part 140 may have a polygonal or circular column shap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ody part 130 may be coupled to one end thereof. The third body part 140 may be stacked in the he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part 110 as the other body parts 120 and 130.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탐침부재(10)에 있어서, 파이프(20)에 삽입된 탐침부재(10)의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be member 10 inserted into the pipe 20 in the probe member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접촉부(110)는 반도체 디바이스(B)의 단자(b)와 직접 접촉하는 일단을 포함하는 일영역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의 넓이가 점차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몸체부(120)의 일단과 직접 접촉하는 타단을 포함하는 나머지 영역은 다각형 또는 원형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단자(b)와 집적 접촉하는 일단을 포함하는 일영역이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몸체부(120)와 접촉하는 타단을 포함하는 나머지 영역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접촉부(110)를 도시하고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portion 110 is formed in such a shape that the width of a cross section gradually increase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in a region including one end which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terminal b of the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remaining region including the other end directly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first body part 1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olygonal or circular colum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tact portion 110 having a hexahedron shape is formed in a region including one end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b in an integrated manner and a remaining region including the other end contacting the first body portion 120, Respectively.

제1몸체부(120)의 단면의 넓이는 내부공간(210)의 단면의 넓이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탐침부재(10)는 제1몸체부(120)에 의해 파이프(2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body part 120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internal space 210. In this case, the probe 10 may not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pipe 20 by the first body part 120.

또한, 제2몸체부(130)의 단면의 넓이는 제1몸체부(120), 제2몸체부(130) 및 내부공간(210)의 단면의 넓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2몸체부(130)와 대응되는 파이프(20)의 일영역을 가압하여 함입부(220)를 형성해, 함입부(220)에 의해 탐침부재(10)가 파이프(2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함입부(220)가 형성된 영역의 내부공간(210)의 단면의 넓이는 제1몸체부(120) 및 제3몸체부(140)의 단면의 넓이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함입부(220)는 제1몸체부(120)와 제3몸체부(140) 사이에 걸리게 되며, 이로 인해 탐침부재(10)와 파이프(20)의 상대운동이 억제 또는 제한될 수 있다.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body part 130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body part 120, the second body part 130 and the internal space 210. In this case, a part of the pipe 2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ody part 130 is pressurized to form a recessed part 220, and the probe member 10 is inserted into the pipe 20 by the recessed part 220 It can be fixed. More specifically, since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inner space 210 in the region where the depression 220 is formed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120 and the third body portion 140, The first body part 220 is caught between the first body part 120 and the third body part 140 so that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probe member 10 and the pipe 20 can be suppressed or restricted.

이때, 제3몸체부(140)의 단면의 넓이는 내부공간(210)의 단면의 넓이보다 작게 형성되거나 동일하게 형성되어, 내부공간(2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3몸체부(140)의 단면의 넓이가 내부공간(210)의 단면의 넓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 제3몸체부(140)는 내부공간(2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hird body part 14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internal space 210, so that the third body part 140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210. The third body part 140 may be fitted into the inner space 210 when the width of the third body part 140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inner space 210. [

즉, 제3몸체부(140)의 끼움 결합으로 탐침부재(10)와 파이프(20)가 일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함입부(220)의 형성으로 탐침부재(10)와 파이프(20)가 이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robe body 10 and the pipe 20 can be primarily engaged with each other by the fitting of the third body part 140, and the probe member 10 and the pipe 20 Can be combined in a secondary manner.

사각뿔로 형성된 접촉부(110) 또는 접촉부(110)의 일영역은 옆면이 이등변 삼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각(a)은 50° 내지 9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각(a)이 50°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접촉부(110)의 내구성 약하며, 구조적으로 불안정하다. 또한,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각(a)이 90°를 초과하여 형성되는 경우, 단자(b)와의 접촉성이 떨어질 수 있다.One side of the contact portion 110 or the contact portion 110 formed of a quadrangular pyramid may have an isosceles triangle as a side surface and an apex angle a of an isosceles triangle may be formed as 50 to 90 degrees. When the apex angle a of the isosceles triangle is formed to be less than 50 degrees, the durability of the contact portion 110 is weak and structurally unstable. Further, when the apex angle a of the isosceles triangle is formed to exceed 90 degrees, the contact with the terminal b may be deteriorated.

또한, 접촉부(110)는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높이(h)가 650μm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110)는 높이가 650μm를 초과하는 경우, 접촉부(110) 내에서 과도한 전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act portion 110 may have a height h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650 m or less. If the height of the contact portion 110 exceeds 650 mu m, an excessive current loss may occur in the contact portion 110. [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탐침부재(11)에 있어서, 파이프(21)에 삽입된 탐침부재(11)의 단면도이다.7 is a sectional view of the probe member 11 inserted into the pipe 21 in the probe member 1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하 제1실시예와 구별되는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The second embodiment can emplo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point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제2실시예에 따른 탐침부재(11)는 제1실시예의 탐침부재(10)와 달리 하나의 접촉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의 넓이가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접촉부(111)의 형성 개수는 사용자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요소이다. The probe member 1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probe member 10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one contact portion 111 is formed and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gradually increase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contact portions 111 formed is an element tha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user.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탐침부재(11)는 제4몸체부(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몸체부(151)는 다각형 또는 원형 기둥형상을 가지며, 일단에 제3몸체부(141)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다. 제4몸체부(151)도 타 몸체부(121, 131, 141)와 동일하게 접촉부(111)의 타단을 기준으로 높이방향으로 차례차례 적층될 수 있다.The probe member 1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body part 151. The fourth body part 151 has a polygonal or circular column shape,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body part 141 can be coupled to one end. The fourth body part 151 may be stacked in order in the he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part 111 as the other body parts 121, 131 and 141.

제3몸체부(141)는 제2몸체부(131), 제4몸체부(151) 및 내부공간(211)의 단면의 넓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3몸체부(141)와 대응되는 파이프(21)의 일영역을 가압하여 함입부(221)를 형성해, 함입부(221)에 의해 탐침부재(11)가 파이프(21)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함입부(221)가 형성된 영역의 내부공간(211)의 단면의 넓이는 제2몸체부(131) 및 제4몸체부(151)의 단면의 넓이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파이프(21)의 함입부(221)는 제2몸체부(131)와 제4몸체부(151) 사이에 걸리게 되며, 이로 인해 탐침부재(11)와 파이프(21)의 상대운동이 억제 또는 제한될 수 있다. 이때, 제4몸체부(151)의 단면의 넓이는 내부공간(211)의 단면의 넓이보다 작게 형성되거나 동일하게 형성되어, 내부공간(2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몸체부(131)도 파이프(21)의 내부공간(211)으로 삽입되도록, 제2몸체부(131)의 단면의 넓이도 내부공간(211)의 단면의 넓이보다 작게 형성되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body part 141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sectional area of the second body part 131, the fourth body part 151, and the inner space 211. In this case, a portion of the pipe 21 corresponding to the third body portion 141 is pressed to form a depression 221, and the depression member 221 is inserted into the pipe 21 by the depression 221 It can be fixed.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inner space 211 of the region where the depression 221 is formed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131 and the fourth body portion 151, The recessed portion 221 of the probe 21 is hooked between the second body portion 131 and the fourth body portion 151 so that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probe member 11 and the pipe 21 can be suppressed or limited have.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ourth body part 151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internal space 211, or may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211.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131 is also set to be equal to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internal space 211 so that the second body portion 131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211 of the pipe 21, The width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electrode.

또한, 제2몸체부(131) 또는 제4몸체부(151)의 단면의 넓이가 내부공간(211)의 단면의 넓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 내부공간(21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몸체부(131) 또는 제4몸체부(151)의 끼움 결합으로 탐침부재(11)와 파이프(21)가 일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함입부(221)의 형성으로 탐침부재(11)와 파이프(21)가 이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When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body part 131 or the fourth body part 151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internal space 211, the second body part 131 or the fourth body part 151 can be fitted into the internal space 211. That is, the probe member 11 and the pipe 21 can be primarily engaged with each other by the fitting of the second body portion 131 or the fourth body portion 151. By the formation of the recess portion 221, 11 and the pipe 21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탐침부재(11)는 제1몸체부(121) 내지 제4몸체부(151) 이외에도 추가 몸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추가 몸체부도 타 몸체부(121 내지 151)와 동일하게 접촉부(110)의 타단을 기준으로 높이방향으로 차례차례 적층된다.The probe member 11 may have an additional body in addition to the first body part 121 to the fourth body part 151. The additional body part is also stacked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basis of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part 110, like the other body parts 121 to 151.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탐침부재는(10, 11) 각 몸체부의 단면의 넓이를 상이하게 형성하여, 다단구조를 편리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파이프(20, 21)와의 결합이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o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with different widths of the cross sections of the body portions 10 and 11, thereby facilitating the formation of a multi-step structure, thereby facilitating the connection with the pipes 20 and 21.

또한, 탐침부재(10, 110)는 파이프(20, 21)에 삽입되는 몸체부가 원기둥형상으로 형성 가능하기 때문에,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된 파이프의 내부공간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body portion inserted into the pipes 20 and 21 can be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the probe members 10 and 11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pip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탐침부재(10)에 있어서, 탄성부재(30)와 결합된 탐침부재(10)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탐침부재(10)의 정면도를 도시한다.8 is a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be member 10 coupled with the elastic member 30 in the probe member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 shows a front view of the probe member 10. Fig.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탐침부재(10)는 네 개의 접촉부(110)가 제1몸체부(120)의 일단에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어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한 접촉부(110) 사이의 이격 거리(d)는 15μm 이상일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접촉부(110) 사이의 이격 거리(d)가 15μm 미만일 경우, 인접한 접촉부(110) 간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In the prob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ur contact portions 110 are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12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distance d between adjacent abutting portions 110 may be 15 탆 or more. If the distance d between adjacent contact portions 110 is less than 15 占 퐉, interference between adjacent contact portions 110 may occur.

도 8의 (b)는 탐침부재(1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탄성부재(30)는 압축하려는 힘에 저항하도록 형성된다. 즉, 탄성부재(30)는 복수개의 원형 회선부가 이어진 형태로 형성되며, 각각의 원형 회선부는 자유장일 때 이어진 다음 원형 회선부와 이격 공간(s)을 두고 배치된다.8 (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be 10. The elastic member 30 is formed to resist the force to be compressed. That is, the elastic member 30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circular line portions are connected, and each circular line portion is arranged when it is a free length and then spaced apart from the circular line portion by a spacing s.

제2몸체부(130)의 단면의 넓이는 탄성부재(30)의 내주면의 단면의 넓이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되어, 탄성부재(30)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제1몸체부(120)의 단면의 넓이는 탄성부재(30)의 내주면의 단면의 넓이보다 넓게 형성되어, 탄성부재(30)의 일단은 제1몸체부(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3몸체부(140)의 단면의 넓이는 탄성부재(30)의 내주면의 단면의 넓이보다 넓게 형성되어, 제3몸체부(140)는 하나의 원형 회선부과 하나의 원형 회선부와 이어진 다음 원형 회선부 사이의 이격 공간(s)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탐침부재(10)와 탄성부재(30)는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3몸체부(140)의 두께는 원형 회선부와 이어진 다음 원형 회선부 사이의 이격 공간(s)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130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30 so that the second body portion 130 can be inserted into the elastic member 30, The width of the end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30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end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30 so that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30 can be supported by the first body portion 120.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hird body part 140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30 so that the third body part 140 is connected to one circular line part and one circular line part Can be inserted into the spacing space (s) between the next round circuit sections. As a result, the probe member 10 and the elastic member 30 can be joined without a separate joining member. 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third body part 140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spacing space s between the circular circuit part and the circular circuit part.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탐침부재(11)에 있어서, 탄성부재(31)와 결합된 탐침부재(11)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탐침부재(11)의 정면도를 도시한다.9 is a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be member 11 coupled with the elastic member 31 in the probe member 1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 shows a front view of the probe member 11.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탐침부재(11)는 한 개의 접촉부(111)가 제1몸체부(121)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접촉부(111)의 단면의 넓이는 제1몸체부(121)의 단면의 넓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제1몸체부(121)에 의해 완전히 지지될 수 있다.In the probe 1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contact portion 111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121.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ntact portion 111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121, and can be completely supported by the first body portion 121.

도 9의 (b)는 탐침부재(1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3몸체부(141)의 단면의 넓이는 탄성부재(31)의 내주면의 단면의 넓이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되어, 탄성부재(31)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제2몸체부(131)의 단면의 넓이는 탄성부재(31)의 내주면의 단면의 넓이보다 넓게 형성되어, 탄성부재(31)의 일단은 제2몸체부(13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4몸체부(151)의 단면의 넓이는 탄성부재(31)의 내주면의 단면의 넓이보다 넓게 형성되어, 제4몸체부(151)는 원형 회선부와 다음 원형 회선부 사이의 이격 공간(s)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탐침부재(11)와 탄성부재(31)는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4몸체부(151)의 두께는 원형 회선부와 이어진 다음 원형 회선부 사이의 이격 공간(s)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Fig. 9 (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be member 11. Fig.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hird body part 141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31 so that the third body part 141 can be inserted into the elastic member 31, The width of the end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31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end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31 so that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31 can be supported by the second body portion 131.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ourth body portion 151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31. The fourth body portion 151 is spaced apart from the circular- (s). As a result, the probe member 11 and the elastic member 31 can be joined without a separate joining member. 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fourth body part 151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spacing space s between the circular circuit part and the circular circuit par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탐침부재(10, 11)는 각 몸체부의 단면의 넓이를 상이하게 형성하여, 다단구조를 편리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탄성부재(30, 31)와의 결합이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obe members 10 and 11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of the respective body portions, thereby facilitating the formation of a multi-step structure, thereby facilitating bonding with the elastic members 30 and 31.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탐침부재(10)를 포함하여 구성된 포고핀(1)의 작동도이다.10 is an operational view of the pogo pin 1 including the probe member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디바이스(B)의 단자(b)를 포고핀(1)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도체 디바이스(B)를 하강하거나 포고핀(1)을 상승하여, 반도체 디바이스(B)의 단자(b)와 탐침부재(10)의 접촉부(110)가 접촉되도록 한다.10 (a), after the terminal b of the semiconductor device B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go pin 1, The device B is lowered or the pogo pin 1 is raised so that the terminal b of the semiconductor device B and the contact portion 110 of the probe member 1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복수의 접촉부(110)가 형성된 본 발명의 탐침부재(10)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서 접촉부(110)의 형태, 위치, 높이를 자유롭게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반도체 디바이스(B)의 단자(b)에 맞는 최적의 접촉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probe memb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110 are formed can freely realize the shape, position and height of the contact portion 110 according to the designer's intention, It is possible to have an optimal contact shap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침부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침부재의 제조 방법은 희생기판에 하나 이상의 제1홈을 형성하는 단계(S100), 제1홈에 제1적층소재를 충전하는 단계(S110), 제1홈에 충전된 제1적층소재를 평탄화하는 단계(S120), 희생기판의 상면에 제1드라이필름을 적층하는 단계(S130), 제1드라이필름에 제1적층소재가 노출되도록 제2홈을 형성하는 단계(S140), 제2홈에 제2적층소재를 충전하는 단계(S150), 제2홈에 충전된 제2적층소재를 평탄화하는 단계(S160), 제1드라이필름의 상면에 제2드라이필름을 적층하는 단계(S170), 제2드라이필름에 제2적층소재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제3홈을 형성하는 단계(S180), 제3홈에 제3적층소재를 충전하는 단계(S190) 및 제3홈에 충전된 제3적층소재를 평탄화하는 단계(S200)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단계를 거칠 경우, 접촉부,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를 포함하는 탐침부재가 제조될 수 있다.이후, 드라이필름을 모두 제거하고 희생기판으로부터 제조된 탐침부재를 분리하여 제조공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탐침부재는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미세전자기계시스템)공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11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fabricating a probe includes the steps of forming at least one first groove in a sacrificial substrate (S100), filling a first groove in a first groove (S110) (S120), a step of stacking a first dry film on an upper surface of the sacrificial substrate (S130), a step of forming a second groove to expose the first layered material on the first dry film In operation S140, a second layered material is filled in a second groove S150, a step S260 of flattening the second layered material filled in the second groove S160, A step S180 of forming a third groove to expose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laminated material on the second dry film S180, a step S190 of filling a third laminated material in the third groove, (S200) of flattening the third laminated material filled in the third groove, and when the step is performed, the contact portio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Can be manufactured. Thereafter, the dry film can be completely removed, and the probe member manufactured from the sacrificial substrate can be separated to complete the manufactur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prob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through a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process.

희생기판에 제1홈을 형성하는 단계(S100) 내지 제1홈에 충전된 제1적층소재를 평탄화하는 단계(S120)는 탐침부재의 접촉부를 형성하기 위한 단계이고, 희생기판에 제1드라이필름을 적층하는 단계(S130) 내지 제2홈에 충전된 제2적층소재를 평탄화하는 단계(S160)는 탐침부재의 제1몸체부를 형성하기 위한 단계이며, 제1드라이필름에 제2드라이필름을 적층하는 단계(S170) 내지 제3홈에 충전된 제3적층소재를 평탄화하는 단계(S200)는 탐침부재의 제2몸체부를 형성하기 위한 단계이다.The step of forming a first groove on the sacrificial substrate (S100) to the step (S120) of flattening the first laminated material filled in the first groove is a step for forming a contact portion of the probe member, The step S160 of flattening the second laminated material filled in the second groove is a step for forming the first body part of the probe member, and the step of laminating the second dry film on the first dry film (S300) of flattening the third laminated material filled in the third groove is a step for forming the second body part of the pro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가 몸체부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와 같이 드라이필름을 적층한 후, 홈을 형성하고, 홈에 적층소재를 충전하며, 적층소재를 평탄화하는 단계를 통해 추가 몸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차례차례 적층되는 몸체부의 개수는 사용자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요소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dditional body portion is to be formed, the dry film is laminated as described above, grooves are formed, the laminate material is filled in the grooves, and the laminate material is planarized, Can be formed. That is, the number of the body parts stacked one after another is an element tha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홈에 제1적층소재를 충전하는 단계(S110) 이전에, 제1홈이 형성된 희생기판의 상면에 전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도층이 형성되는 경우, 제조될 탐침부재의 전기전도율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 conductive layer on an upper surface of the sacrificial substrate on which the first groove is formed, prior to the step (S110) of filling the first stacked material in the first groove. When the conductive layer is forme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probe member to be manufactured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희생기판에 제1드라이필름을 적층하는 단계(S130) 이전에, 희생기판의 상면에 전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도층이 형성되는 경우, 제조될 탐침부재의 전기 전도율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 conductive layer on an upper surface of the sacrificial substrate before the step (S130) of laminating the first dry film on the sacrificial substrate. When the conductive layer is forme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probe member to be manufactured can be increased.

또한, 제2홈을 형성하는 단계(S140)는 제1드라이필름의 성질(네거필름, 포지필름)에 따라 제2홈 형성될 영역 또는 제2홈 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을 빛에 노출시켜 제2홈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형성되는 제2홈은 제조될 제1몸체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forming the second groove (S140), a region to be formed with the second groove or a region where the second groove is not formed is exposed to light according to the property of the first dry film (negative film, positive film) It may be a step of forming a groove. At this time, the formed second groove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body part to be manufactu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드라이필름에 제2드라이필름을 적층하는 단계(S170) 이전에, 제1드라이필름의 상면에 전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도층이 형성되는 경우, 제조될 탐침부재의 전기 전도율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 conductive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ry film before the step (S170) of laminating the second dry film on the first dry film. When the conductive layer is forme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probe member to be manufactured can be increased.

또한, 제3홈을 형성하는 단계(S180)는 제2드라이필름의 성질(네거필름, 포지필름)에 따라 제3홈 형성될 영역 또는 제3홈 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을 빛에 노출시켜 제3홈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형성되는 제3홈은 제조될 제2몸체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In the step of forming the third groove (S180), a region where the third groove is to be formed or a region where the third groove is not formed is exposed to light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second dry film (negative film, positive film) It may be a step of forming a groove. At this time, the formed third groove has the same shape as the second body part to be manufactured.

MEMS공정을 통해 제작되는 탐침부재는 다단구조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다단구조로 인해 파이프 또는 탄성부재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계로 접촉부를 형성하고 복수의 몸체부를 형성하고 나면, 드라이필름을 모두 제거하고 희생기판으로부터 제조된 탐침부재를 분리하여 제조공정을 완료할 수 있다.The probe member manufactured through the MEMS process can be fabricated to have a multi-stage structure and can be easily combined with the pipe or the elastic member due to the multi-stage structure. After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and the plurality of body portions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dry film is removed, and the probe member manufactured from the sacrificial substrate is separated to complete the manufacturing process.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탐침부재의 일부분을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이를 통하여, 일단을 포함하는 일영역이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된 네 개의 접촉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접촉부를 지지하는 몸체부가 접촉부의 타단에 적층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12 is a photograph of a part of the prob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onfirm four contact portions formed in a quadrangular pyramid shape in one region including one end,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a body portion supporting the contact portions is laminated on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도 13은 제2실시예에 따른 탐침부재의 일부분을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이를 통하여,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된 하나의 접촉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접촉부를 지지하는 몸체부가 접촉부의 타단에 적층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13 is a photograph of a part of the prob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aken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hrough this, one contact portion formed in a quadrangular pyramid shape can be confirmed,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body portion supporting the contact portion is laminated on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본 발명의 탐침부재는 접촉부와 접촉부의 타단에 적층된 몸체부가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촉부는 마모에 대한 저항성이 큰 경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되어, 다수회의 사용에도 쉽게 마모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탐침부재는 다수회의 사용에는 단자와의 접촉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는 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어, 탐침부재 내에서의 전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탐침부재는 접촉부와 몸체부가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효율 및 사용 수명이 증가될 수 있다.The probe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act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stacked on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At this time,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hardness with high resistance to abrasion, so that the abrasion portion may not be easily worn even for a large number of uses. Therefore, the probe member can maintain contact with the terminals for a plurality of uses. Further, the body portion is formed of a highly conductive material, so that the current loss in the probe member can be minimized. That is, since the contact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of the prob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the efficiency and service life can be increas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포고핀
10, 11 : 탐침부재
20, 21 : 파이프
30, 31 : 탄성부재
40 : 플런저
110, 111 : 접촉부
120, 121 : 제1몸체부
130, 131 : 제2몸체부
140, 141 : 제3몸체부
151 : 제4몸체부
1: Pogo pin
10, 11: probe member
20, 21: pipe
30, 31: elastic member
40: plunger
110, 111:
120, 121: a first body part
130, 131: a second body part
140, 141: a third body part
151: fourth body part

Claims (12)

적어도 일부가 내부공간이 형성된 파이프 내에 삽입되어, 테스트 소켓에 사용되는 포고핀용 탐침부재로서,
일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며, 피검사체와 접촉되는 하나 이상의 접촉부와,
일단에 상기 접촉부의 타단이 결합되며, 다각형 또는 원형 기둥형상을 가진 제1몸체부와,
일단에 상기 제1몸체부의 타단이 결합되며, 다각형 또는 원형 기둥형상을 가진 제2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는 상기 접촉부의 타단을 기준으로 높이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고핀용 탐침부재.
A probe member for a pogo pin used in a test socket, at least a part of which is inserted into a pipe in which an internal space is formed,
And at least one contact portion which is formed to be pointed at one end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est subject,
A first body portion having a polygonal or circular columnar shape,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tact portion,
And a second body part having a polygonal shape or a circular column shape,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part being coupled to the first body part,
Wherei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are stacked in a he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제2몸체부의 타단이 결합되고, 다각형 또는 원형 기둥형상을 가진 제3몸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고핀용 탐침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hird body part having a polygonal or circular columnar shape,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ody part at one en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부는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3몸체부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가짐으로서,
상기 제2몸체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파이프의 함입부가 고정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2몸체부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된 탄성부재가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고핀용 탐침부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body portion has a smaller outer diameter tha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third body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an embedding part of the pipe is fixed to at least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part or an elastic member arranged in the inner space is fixedly installed to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body part, .
제2항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제3몸체부의 타단이 결합되고, 다각형 또는 원형 기둥형상을 가진 제4몸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고핀용 탐침부재.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fourth body part having a polygonal or circular columnar shape,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body part at one en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몸체부는 상기 제2몸체부와 상기 제4몸체부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가짐으로서,
상기 제3몸체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파이프의 함입부가 고정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3몸체부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된 탄성부재가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고핀용 탐침부재.
5. The method of claim 4,
The third body portion has a smaller outer diameter than the second body portion and the fourth body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an embedding part of the pipe is fixed to at least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body part or an elastic member arranged in the inner space is fixedly installed to at least a part of the third body part.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몸체부의 타단에 하나 이상의 추가몸체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고핀용 탐침부재.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t least one additional body portion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body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의 넓이가 점차 증가하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고핀용 탐침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ntact portion gradually increases or decrease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제7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상기 접촉부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접촉부는 상이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고핀용 탐침부재.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t least two contact portions of the at least two contact portions ar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옆면이 이등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등변 삼각형은 꼭지각이 50° 내지 9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고핀용 탐침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in a quadrangular pyramid shape having a side surface of an isosceles triangle,
Wherein the isosceles triangle has a vertex angle of 50 to 90 degre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높이가 650μm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고핀용 탐침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contact portion has a height of 650 m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상기 접촉부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접촉부 사이의 이격거리는 15μ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고핀용 탐침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be member for a pogo pi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two or more contact portions, the spacing distance between adjacent contact portions is 15 占 퐉 or more.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는 포고핀으로서,
제1항에 따른 탐침부재와,
상기 탐침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파이프와,
일부가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며, 나머지 일부가 파이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런저와,
일단이 상기 탐침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탐침부재를 상기 파이프의 외측을 향하여 바이어스 시키며, 타단이 상기 플런저와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고핀.
A pogo pin in contact with a terminal of a semiconductor device for inspect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miconductor device,
A probe member according to claim 1;
A pipe having an internal space into which a part of the probe member is inserted,
A plunger part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and the other part of which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pipe,
And an elastic member, one end of which is engaged with the probe member, biasing the probe member toward the outside of the pip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engaged with the plunger.
KR1020190003513A 2019-01-10 2019-01-10 Probe member for pogo p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ogo pin comprising the same KR1020529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513A KR102052918B1 (en) 2019-01-10 2019-01-10 Probe member for pogo p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ogo pin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513A KR102052918B1 (en) 2019-01-10 2019-01-10 Probe member for pogo p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ogo pin compris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741A Division KR101962707B1 (en) 2017-06-28 2017-06-28 Probe member for pogo p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ogo pin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674A true KR20190010674A (en) 2019-01-30
KR102052918B1 KR102052918B1 (en) 2019-12-11

Family

ID=65277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513A KR102052918B1 (en) 2019-01-10 2019-01-10 Probe member for pogo p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ogo pin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918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143B1 (en) * 2019-12-24 2021-02-16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Contact device for electrical test
KR20210089444A (en) 2020-01-08 2021-07-16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Test socket
WO2023277524A1 (en) * 2021-06-28 2023-01-05 백정균 Probe member for inspe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514926B1 (en) 2022-10-26 2023-03-29 (주)새한마이크로텍 Probe member for pogo pin and pogo pin with the same
WO2023106732A1 (en) * 2021-12-10 2023-06-15 백정균 Probe member for inspe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3028A (en) * 2006-09-08 2008-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Pogo pin and contactor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same pogo pin
KR20110002962A (en) * 2009-07-03 2011-01-11 리노공업주식회사 A probe
KR101047550B1 (en) * 2010-07-02 2011-07-07 주식회사 아이에스시테크놀러지 Conductive connector with probe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2013529789A (en) * 2010-06-30 2013-07-22 Leeno工業株式会社 Probe (PROBE)
KR20130124824A (en) * 2012-05-07 2013-11-15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Contact pin, and the socket for test of semiconductor package comprising the same
KR101439342B1 (en) 2013-04-18 2014-09-16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Probe member for pogo pi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3028A (en) * 2006-09-08 2008-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Pogo pin and contactor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same pogo pin
KR20110002962A (en) * 2009-07-03 2011-01-11 리노공업주식회사 A probe
JP2013529789A (en) * 2010-06-30 2013-07-22 Leeno工業株式会社 Probe (PROBE)
KR101047550B1 (en) * 2010-07-02 2011-07-07 주식회사 아이에스시테크놀러지 Conductive connector with probe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20130124824A (en) * 2012-05-07 2013-11-15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Contact pin, and the socket for test of semiconductor package comprising the same
KR101439342B1 (en) 2013-04-18 2014-09-16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Probe member for pogo pi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143B1 (en) * 2019-12-24 2021-02-16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Contact device for electrical test
KR20210089444A (en) 2020-01-08 2021-07-16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Test socket
WO2023277524A1 (en) * 2021-06-28 2023-01-05 백정균 Probe member for inspe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23106732A1 (en) * 2021-12-10 2023-06-15 백정균 Probe member for inspe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514926B1 (en) 2022-10-26 2023-03-29 (주)새한마이크로텍 Probe member for pogo pin and pogo pin with the same
WO2024090714A1 (en) * 2022-10-26 2024-05-02 주식회사 새한마이크로텍 Pogo pin probe and pogo pin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918B1 (en)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0674A (en) Probe member for pogo p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ogo pin comprising the same
KR101962702B1 (en) Probe member for pogo p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ogo pin comprising the same
KR20190011294A (en) Probe member for pogo p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ogo pin comprising the same
JP5291585B2 (en) Conta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9726693B2 (en) Probe member for pogo pin
TWI512299B (en) Probe member for pogo pin
KR102166677B1 (en) MEMS pogo pin and testing method using same
KR101962707B1 (en) Probe member for pogo p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ogo pin comprising the same
KR20110065047A (en) Test socket,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pogo pin
TWI633309B (en) Semiconductor test contactor
KR102216143B1 (en) Contact device for electrical test
CN117741190A (en) Test seat
JP6084591B2 (en) Probe member for pogo pins
JP7226441B2 (en) Probe pin
KR101524471B1 (en) Fixing Method of Probe Member Within Plunger and Pogo Pin Made Thereby
JP7113067B2 (en) Contact probe and test socket with it
KR20230127709A (en) The Electro-conductive Contact Pin
JP2020193828A (en) Probe pin and IC socket
KR20230113027A (en) The Electro-conductive Contact Pin
KR20230119799A (en) The Electro-conductive Contact Pin
TW202300929A (en) The electro-conductive contact pin
KR20220164899A (en) The Electro-conductive Contact Pin
WO2013042198A1 (en) Pro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