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891A - 생체 자기장을 측정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생체 자기장을 측정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891A
KR20190005891A KR1020187033901A KR20187033901A KR20190005891A KR 20190005891 A KR20190005891 A KR 20190005891A KR 1020187033901 A KR1020187033901 A KR 1020187033901A KR 20187033901 A KR20187033901 A KR 20187033901A KR 20190005891 A KR20190005891 A KR 20190005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sensor
component
sensors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수
김봉건
말테 에를린
Original Assignee
비오마그네틱 파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오마그네틱 파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비오마그네틱 파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05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8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42Detecting biomagnetic fields, e.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bioelectric currents
    • A61B5/04005
    • A61B5/04007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42Detecting biomagnetic fields, e.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bioelectric currents
    • A61B5/243Detecting biomagnetic fields, e.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bioelectric currents specially adapted for magnetocardiographic [MCG] 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01R27/2617Measuring dielectric properties, e.g. constants
    • G01R27/2635Sample holders, electrodes or excitation arrangements, e.g. sensors or measuring cells
    • G01R27/267Coils or antennae arrangements, e.g. coils surrounding the sample or transmitter/receiver antenna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05Geometrical arrangement of magnetic sensor elements; Apparatus combining different magnetic sensor ty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94Sensor ar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35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superconductive devices
    • G01R33/0354S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23Magnetic fiel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4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 A61B2562/046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in a matrix arr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자기장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생체 자기장 측정 장치, 특히 임상 실습에서 신뢰성 있게 생체 자기장을 측정할 수 있는 생체 자기장을 측정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센서 평면에 어레이로 배열된 복수의 자기장 센서를 포함하는 생체 자기장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자기장 센서는 상기 자기장의 제1 성분을 측정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 복수의 제1 자기장 센서, 상기 자기장의 제2 성분을 측정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 복수의 제2 자기장 센서, 및 상기 자기장의 제3 성분을 측정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 복수의 제3 자기장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자기장의 제1 성분, 제2 성분 및 제3 성분은 서로 직교하고, 상기 센서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제1 자기장 센서 및 상기 제2 자기장 센서는 본질적으로 중심에 배열되고, 상기 제3 자기장 센서는 본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자기장 센서 주위에 배열된다.

Description

생체 자기장을 측정하는 장치
본 발명은 생체 자기장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체 자기장을 측정하는 장치는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근육이나 신경 조직에 의해 생성되는 희미한 생체 자기장을 측정하는 이러한 장치의 예는 심장과 뇌의 전기적 활동에 의해 각각 생성되는 매우 약한 자기장을 측정하는 심자도 측정기(Magnetocardiograph: MCG)와 뇌자도 측정기(Magnetoencephalograph: MEG)이다. 생체 자기장 측정 장치는 예를 들어, US 5,113,136, US 5,644,229, US 6,230,037 B1, US 6,424 853 B1, US 6,842,637 B2 또는 US 7,194,121 B2에 개시되어 있다. MCG 및 MEG는 예를 들어 개체의 심장이나 뇌의 비정상적인 질환이나 질병을 검사하는데 사용되는 확립된 비침습적 방법이다.
예를 들어 벡터 뇌자도 시스템을 사용할 때 생체 자기장 측정 장치를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시도가 있었다(예를 들어, Thiel et al., 2005, The 304 SQUIDs vector magnetometer system for biomagnetic measurements in the Berlin Magnetically Shielded Room 2, Biomed. Technik (Biomedical Engineering) 50, 169-170; Schnabel et al. 2004, Discrimination of Multiple Sources Using a SQUID Vector Magnetometer, Neurology & Clinical Neurophysiology 2004:67; Jazbin
Figure pct00001
ek et al., 2000, Cardiac multichannel vector MFM and BSPM of front and back thorax, In: Nenonen J, Ilmoniemi RJ, Katila T, (ed.), Biomag2000, Proceedings of the 12th Int Conf on Biomagnetism; 2000 Aug 13-17; Espoo, Finland; Espoo: Helsinki Univ. of Technology; 2001, 583-6; Drung, D., 1995, The PTB 83-SQUID system for biomagnetic applications in a clinic, IEEE Transactions on Applied Superconductivit 5, 2112-2117, doi: 10.1109/77.403000; US 5,644,229 참조).
그러나, 예를 들어 감도 및 신호 품질 면에서 생체 자기장 측정 장치를 개선할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생체 자기장 측정 장치, 특히 임상 실습에서 신뢰성 있게 생체 자기장을 측정할 수 있는 생체 자기장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센서 평면에 어레이로 배열된 복수의 자기장 센서를 포함하는 생체 자기장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자기장 센서는 상기 자기장의 제1 성분을 측정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 복수의 제1 자기장 센서, 상기 자기장의 제2 성분을 측정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 복수의 제2 자기장 센서, 및 상기 자기장의 제3 성분을 측정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 복수의 제3 자기장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자기장의 제1 성분, 제2 성분 및 제3 성분은 서로 직교하고, 상기 센서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제1 자기장 센서 및 상기 제2 자기장 센서는 본질적으로 중심에 배열되고, 상기 제3 자기장 센서는 본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자기장 센서 주위에 배열되는, 상기 생체 자기장을 측정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생체 자기장 측정 장치의 센서 배열 및 구성은 예를 들어 심장이나 뇌에서 기원하는 약한 생체 자기장을 민감하고 강건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장치는 예를 들어, 심장이나 뇌와 같은 자기장 소스의 작은 변화에 특히 민감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예를 들어 고립 좌전 하행 관상 동맥 질환(Isolated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Disease: "LAD 병")에서 전기 전류/자기 모멘트의 작은 변화가 특히 관심의 대상인 질환을 검사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장치는 또한 측정된 자기장 데이터로부터 소스의 전기 전류 또는 자기 모멘트를 보다 우수하게 역 솔루션(inverse solution)하는 성능, 즉 보다 정확히 재구성하는 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소스, 예를 들어, 심장 중심에 대한 오프셋에 비교적 민감하지 않아서, 본 발명의 장치를 임상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게 한다.
"생체 자기장"이라는 용어는 세포, 조직 또는 기관, 예를 들어, 심장 또는 뇌 조직의 전기 전류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과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자기장 센서"라는 용어는 (생체) 자기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의미한다. SQUID("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 예를 들어, Fagaly, R.L., 2006, 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 instruments and application, Rev. Sci. Instrum. 77, 101101, doi: 10.1 063/1.235 4545 참조)가 센서로서 바람직하다. "1-축 자기장 센서", "2-축 자기장 센서" 또는 "3-축 자기장 센서"라는 용어는 자기장의 3개의 직교 성분(x, y, z) 중 단지 1개, 2개 또는 3개를 측정하는 자기장 센서를 의미한다. 즉 "3-축 자기장 센서"는 예를 들어, 모든 3차원에서 자기장의 성분을 측정하는 자기장 센서이다. "2-축 자기장 센서"라는 용어는 자기장의 직교하는 x-성분과 y-성분, x-성분과 z-성분, 또는 y-성분과 z-성분을 측정하는 적어도 2개의 자력계(magnetometer) 또는 구배 측정기(gradiometer)로 구성된 센서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3-축 자기장 센서"라는 용어는 자기장의 직교하는 x-성분, y-성분 및 z-성분을 측정하는 적어도 3개의 자력계 또는 구배 측정기로 구성된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 평면"이라는 용어는 센서, 특히 자기장 센싱 소자, 예를 들어, 검출 코일이 놓이는 평면과 관련된다. "센서 평면"이라는 용어는 엄밀히 수학적 의미에서 평면, 즉 2차원 구조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센서가 배열된 2차원 또는 3차원(가상) 층과 관련된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센서 평면은 본질적으로 x-y 평면에 평행하다.
자기장과 관련된 "제1 성분", "제2 성분" 또는 "제3 성분"이란 용어는 자기장의 직교 성분을 의미한다. 대신에 또한 (예를 들어, 제1 성분에 대해) "x-성분", (예를 들어, 제2 성분에 대해) "y-성분", 및 (예를 들어, 제3 성분에 대해) "z-성분"이라는 용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용어는 예를 들어 인체의 예를 들어 평면 또는 축에 대해 이 용어를 특정 의미로 제한하지 않고 임의의 직교하는 자기장 성분의 세트의 성분들을 의미한다. 특히, "x-성분" 및 "y-성분"이란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신체 표면, 예를 들어, 사람의 흉부의 전방 또는 후방 또는 두개골의 표면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이와 평행한 평면(x-y 평면)의 x-축 및 y-축의 방향으로의 자기장의 성분들을 각각 의미한다. "z-성분"이라는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z-축의 방향, 즉 xy 평면에 수직인 방향의 성분과 관련된다. 인간의 심장의 자기장을 측정할 때 x-축이란 바람직하게는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축에 대응하고, y-축이란 바람직하게는 머리에서 발을 향하는 축에 대응하고, z-축이란 바람직하게 전후간 축에 대응하며, 여기서 "우측", "좌측", "머리","발" 및 "전후간"은 인간의 신체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소스"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심장이나 뇌와 같은 생체 자기장 또는 생체 자기장들의 소스를 의미한다. 이 용어는 기준점 소스를 포함하는데, 즉 심장 또는 뇌 또는 심장 조직 또는 뇌 조직의 모든 전기 및/또는 자기 활성의 소스로서 취해진 점을 포함한다.
"역 솔루션"이라는 용어는 역 문제(inverse problem)에 대한 솔루션을 의미한다.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 문제에 익숙하고, 역 솔루션을 찾는 방법, 즉 역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익숙하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역 솔루션"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센서 공간"에서, 즉 심장 또는 뇌의 외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로 예를 들어 심장 또는 뇌 활동(즉, "소스 공간"에서 실제 전기 및/또는 자기 활동, 여기서 소스는 심장 또는 뇌이고, 특히 심장이다)을 재구성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역 솔루션 성능"이라는 용어는 이 소스에 대해 측정된 자기장 데이터로부터 계산된 주어진 소스에 대한 역 솔루션의 품질과 관련된다. "역 솔루션 성능"은, 예를 들어, 주어진 전류 소스를 취하고/시뮬레이션하고, 이 소스에 대한 순방향(forward) 솔루션을 계산하고, 이 소스에 대해 측정되거나 시뮬레이션된 자기장 데이터로부터 계산된 역 솔루션과 순방향 솔루션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개체"라는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척추동물을 의미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을 의미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람을 의미한다.
자기장 센서가 특정 성분, 즉 자기장의 제1 성분, 제2 성분 및 제3 성분(x-성분, y-성분 또는 z-성분)을 측정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다는 표현은 자기장 센서가 자기장의 각 성분만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적응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자기장 센서가 자기장의 다른 성분들 중 하나의 성분 또는 두 개의 성분을 측정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따라서, 자기장 센서는, 검출기가 측정하는 자기장 성분이 원하는 경우 변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3개의 자기장 성분 각각을 검출하기 위한 자력계 또는 구배 측정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자기장 센서가, 생체 자기장의 예를 들어 x-성분을 측정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다는 표현은, 자기장 센서가 자기장의 y 및/또는 z-성분을 더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x-성분만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각각의 스위치 또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수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체 자기장의 여러 성분을 측정하고 특정 방식으로 공간적으로 배열되는 자기장 센서의 3개의 부분 또는 그룹이 존재한다. 제1 그룹의 자기장 센서는 생체 자기장의 제1 성분(x-성분)을 측정하고, 제2 그룹의 자기장 센서는 생체 자기장의 제2 성분(y-성분)을 측정하고, 제3 그룹의 자기장 센서는 생체 자기장의 제3 성분(z-성분)을 측정한다. 제1 자기장 센서, 제2 자기장 센서 및 제3 자기장 센서는, 센서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1 자기장 센서 및 제2 자기장 센서가 본질적으로 중심에 배열되고, 제3 자기장 센서가 본질적으로 제1 및 제2 자기장 센서 주위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자기장 센서, 제2 자기장 센서 및 제3 자기장 센서는 그렇게 하도록 구성된 경우 자기장의 다른 성분들 중 하나의 성분 또는 두 개의 성분을 더 측정할 수 있는 방식으로 모두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제1 그룹의 자기장 센서는 생체 자기장의 x-성분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반면, 제2 그룹 및 제3 그룹의 자기장 센서는 생체 자기장의 y-성분 및 z-성분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자기장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하우징,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 알려진 듀어(Dewar) 용기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생체 자기장 측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생체 자기장의 제1 성분(x-성분)을 측정하는 제1 자기장 센서의 수는 생체 자기장의 제2 성분(y-성분)을 측정하는 제2 자기장 센서의 수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생체 자기장 측정 장치의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자기장 센서는 제2 자기장 센서와 공간적으로 관련되어, 모두가 본질적으로 동일한 소스 위치에서 자기장 성분을 측정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생체 자기장 측정 장치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자기장 센서는 생체 자기장의 x-성분 및 y-성분을 측정하는 센서 쌍을 형성한다. 여기서, 센서 쌍은 동일한 하우징에 포함되어서, 생체 자기장의 2개의 성분, 이 경우 x-성분과 y-성분을 측정하는 2-D 센서, 즉, 2개 (이상의) 1-D 센서를 결합한 센서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3-D 센서, 즉 단지 생체 자기장의 x-성분 및 y-성분만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3개의 1-D 센서를 결합한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자기장 센서의 어레이는 센서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커버되는 단면 또는 면적 면에서 여러 형태, 예를 들어, 본질적으로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의 자기장 센서는 중심에 배열되고, 제3 그룹의 자기장 센서는 주위에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자기장 측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a) 자기장 센서의 어레이는 센서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본질적으로 원형이고, (b) 제1 자기장 센서 및 제2 자기장 센서는 어레이의 본질적으로 원형인 영역의 중심에 배열되고, (c) 제3 자기장 센서는 제1 및 제2 자기장 센서 주위에 본질적으로 원형인 영역에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자기장 측정 장치는 임의의 적절한 개수의 자기장 센서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32개, 64개, 102개 또는 그 이상의 자기장 센서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자기장 센서의 수는 제3 자기장 센서의 수보다 더 크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자기장 센서의 수와 제3 자기장 센서의 수의 관계는 약 2-5:1, 바람직하게는 2.5-4:1 또는 2.5-3:1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자기장 측정 장치는 예를 들어, 64개의 자기장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24개의 제1 자기장 센서 및 24개의 제2 자기장 센서는 어레이의 본질적으로 원형인 부분의 중심에 배열되고, 16개의 제3 자기장 센서는 제1 자기장 센서 및 제2 자기장 센서를 포함하는 원형 영역 주위에 본질적으로 원형인 영역에 배열된다.
이하에서는, 단지 예시를 위해 첨부된 도면 및 예로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센서 배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배열의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 센서 배열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64-채널의 생체 자기장 측정 장치에 따른 센서 배열을 도시한다. 참조 부호 2로 표시된 점선으로 표시된 원은 자기 소스, 여기서는 심장에 있는 측정점을 나타낸다. 측정 점에서 심장에서 발생된 생체 자기장의 z-성분을 측정하는 자기장 센서(3)는 본질적으로 원형 어레이(1)로 배열된다. 종래 기술의 장치의 64개의 자기장 센서(3) 모두는 하나의 유형, 즉, 생체 자기장의 z-성분만을 측정하는 유형이다.
도 2는 64-채널의 생체 자기장 측정 장치, 이 경우에 MCG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배열을 도시한다. 비교를 위해, 도 1의 종래 기술의 장치의 64개의 측정점(2)이 여기에 더 도시되어 있다. 24개의 제1 자기장 센서(4) 및 24개의 제2 자기장 센서(5)는 어레이(1)의 본질적으로 원형 영역(6)에 배열된다. 24개의 제1 자기장 센서(4) 각각은 대응하는 제2 자기장 센서(5)와 관련되어 이렇게 형성된 센서 쌍은 동일한 측정 점에서 생체 자기장의 x-성분 및 y-성분을 측정하도록 한다. 생체 자기장의 z-성분을 측정하는 16개의 제3 자기장 센서(3)는 제1 및 제2 자기장 센서(4, 5) 주위에 또는 그 둘레에 본질적으로 원형 또는 환형 영역(7)에 배열된다.
도 3 및 도 4는 비교를 위해 사용된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2개의 다른 센서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에는 중심 원형 영역(6)의 단면에 걸쳐 모든 센서가 분배되어 있는 센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배열은 중심 원형 영역(6) 내 사각형 영역의 코너에서 자기장의 z-성분만을 측정하는 4개의 센서, 및 대응하는 20개의 측정 점에서 x-성분, y-성분 및 z-성분을 각각 측정하는 3 x 20개의 센서로 구성된다. 도 4는 64개의 측정 점(2) 각각이 64개의 자기장 센서 중 하나의 자기장 센서와 관련된 배열을 도시하는데, 여기서 64개의 센서 중 18개의 센서는 자기장의 x-성분을 측정하고, 17개의 센서는 자기장의 y-성분을 측정하고, 29개의 센서는 자기장의 z-성분을 측정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구성을 갖는 MCG를, 도 1에 도시된 것에 따른 종래 기술의 센서 구성을 갖는 MCG 셋업, 및 도 3 및 도 4의 센서 구성을 갖는 MCG 셋업과 각각 비교했다. 심장의 정면 영역에서 전류 쌍극자 패턴의 작은 변화를 시뮬레이션했다. 종래 기술의 64-채널 MCG는 심장에서 298개의 쌍극자를 계산했다.
결과는 본 발명의 센서 구성(도 2) 및 도 3에 따른 구성이 종래 기술에 따른 구성(도 1) 및 도 4에 따른 구성보다 작은 변화를 설명하는데 더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또한, 상이한 센서 배열의 역 솔루션 성능을 평가했다. 주어진 소스로부터 순방향 모델을 계산하고, 측정된 자기장 데이터로부터 역 솔루션을 계산했다. 원래의 소스와 역 솔루션을 비교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센서 구성(도 2) 및 도 3에 따른 센서 구성이 종래 기술의 센서 구성 및 도 4에 따른 센서 구성보다 더 우수한 역 솔루션 성능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심장 중심으로부터의 오프셋을 고려하여 비교된 센서 구성의 강건함을 평가했다. 이를 위해 x-방향(우측에서 좌측으로) 위치 오프셋을 시뮬레이션했다. 종래 기술의 센서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구성 및 도 4에 따른 센서 구성보다 더 큰 각도 에러를 갖는 것을 보여 주었다.
요약하면, 도 2에 따른 본 발명의 센서 구성을 갖는 MCG는 종래 기술에 비해 감도 및 강건성 면에서 더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Claims (7)

  1. 센서 평면에 어레이(1)로 배열된 복수의 자기장 센서(3, 4, 5)를 포함하는 생체 자기장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자기장 센서(3, 4, 5)는 상기 자기장의 제1 성분을 측정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 복수의 제1 자기장 센서(4), 상기 자기장의 제2 성분을 측정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 복수의 제2 자기장 센서(5), 및 상기 자기장의 제3 성분을 측정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 복수의 제3 자기장 센서(3)로 구성되고, 상기 자기장의 제1 성분, 제2 성분 및 제3 성분은 서로 직교하고, 상기 센서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제1 자기장 센서(4) 및 상기 제2 자기장 센서(5)는 본질적으로 중심에 배열되고, 상기 제3 자기장 센서(3)는 본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자기장 센서(4, 5) 주위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자기장을 측정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장 센서(4)의 수는 상기 제2 자기장 센서(5)의 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자기장을 측정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장 센서(4) 각각은 제2 자기장 센서(5)와 공간적으로 관련되어, 모두가 본질적으로 동일한 소스 위치에서 상기 자기장 성분들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자기장을 측정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센서(3, 4, 5)의 어레이(1)는 상기 센서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본질적으로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자기장을 측정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a) 상기 자기장 센서(3, 4, 5)의 어레이(1)는 상기 센서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본질적으로 원형이고, (b) 상기 제1 자기장 센서(4) 및 상기 제2 자기장 센서(5)는 상기 어레이의 본질적으로 원형인 영역(6)의 중심에 배열되고, (c) 상기 제3 자기장 센서(3)는 상기 제1 및 제2 자기장 센서(4, 5) 주위에 본질적으로 원형인 영역(7)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자기장을 측정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64개의 자기장 센서(3, 4, 5)를 포함하고, 24개의 제1 자기장 센서(4) 및 24개의 제2 자기장 센서(5)는 상기 어레이의 본질적으로 원형인 부분의 중심에 배열되고, 16개의 제3 자기장 센서(3)는 상기 제1 자기장 센서(4) 및 상기 제2 자기장 센서(5)를 포함하는 상기 원형 영역(6) 주위에 본질적으로 원형인 영역(7)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자기장을 측정하는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자기장을 측정하는 장치는 심자도 측정기(magnetocardiograp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자기장을 측정하는 장치.
KR1020187033901A 2016-05-09 2017-05-08 생체 자기장을 측정하는 장치 KR201900058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08524.3 2016-05-09
DE102016108524 2016-05-09
PCT/EP2017/060934 WO2017194475A1 (en) 2016-05-09 2017-05-08 Apparatus for measuring a biomagnetic fiel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891A true KR20190005891A (ko) 2019-01-16

Family

ID=58671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901A KR20190005891A (ko) 2016-05-09 2017-05-08 생체 자기장을 측정하는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192021A1 (ko)
EP (1) EP3454732A1 (ko)
JP (1) JP2019515757A (ko)
KR (1) KR20190005891A (ko)
CN (1) CN109152545A (ko)
WO (1) WO20171944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4877B2 (en) 2017-08-09 2021-10-05 Genetesis, Inc. Biomagnetic detection
US11585869B2 (en) * 2019-02-08 2023-02-21 Genetesis, Inc. Biomagnetic field sensor systems and methods for diagnostic evaluation of cardiac conditions
GB202015427D0 (en) * 2020-09-30 2020-11-11 Univ Nottingham Magnetoencephalography method and system
CA3209292A1 (en) * 2021-02-22 2022-08-25 Genetesis, Inc. Biomagnetic field sensor systems and methods for diagnostic evaluation of cardiac conditions
DE102022209429A1 (de) 2022-09-09 2024-03-14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orrichtung zum Erfassen von magnetischen Signalen, die von einem schlagenden Herz erzeugt werde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08009C (en) 1989-01-20 1994-05-03 Hajime Hayashi Apparatus for measuring magnetic field
DE4439691A1 (de) 1994-11-07 1996-05-09 Philips Patentverwaltung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räumlichen Feldverteilung
DE19808985B4 (de) 1997-03-07 2012-06-14 Hitachi,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iomagnetfeld-Messung
US6473518B1 (en) 1997-10-02 2002-10-29 Hitachi, Ltd. Method of measuring a biomagnetic field, method of analyzing a measured biomagnetic field, method of displaying biomagnetic field data, and apparatus therefor
JP3237590B2 (ja) 1997-10-24 2001-12-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場計測装置
US6842637B2 (en) 1997-10-24 2005-01-11 Hitachi, Ltd. Magnetic field measurement apparatus
JP3642061B2 (ja) * 2003-05-19 2005-04-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場計測装置
EP1860451B1 (en) * 2005-03-17 2012-06-27 Yamaha Corporation 3-axis magnetic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2032962A1 (ja) * 2010-09-10 2012-03-15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生体磁気計測装置、生体磁気計測システム、及び、生体磁気計測方法
JP2013124873A (ja) * 2011-12-13 2013-06-24 Seiko Epson Corp 磁場測定装置及びセルアレイ
WO2017043024A1 (en) * 2015-09-10 2017-03-16 Ricoh Company, Ltd. Magnetism measur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92021A1 (en) 2019-06-27
CN109152545A (zh) 2019-01-04
EP3454732A1 (en) 2019-03-20
JP2019515757A (ja) 2019-06-13
WO2017194475A1 (en) 201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ämäläinen et al. Interpreting magnetic fields of the brain: minimum norm estimates
KR20190005891A (ko) 생체 자기장을 측정하는 장치
Numminen et al. Transformation of multichannel magnetocardiographic signals to standard grid form
US6230037B1 (en) Biomagnetic field measuring method and apparatus
Oyama et al. Dry phantom for magnetoencephalography—Configuration, calibration, and contribution
Tsukada et al. A simplified 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 system to analyze vector components of a cardiac magnetic field
Hosaka et al. Part III the effect of the torso boundaries on the magnetocardiogram
Miyashita et al. Construction of tangential vectors from normal cardiac magnetic field components
CN106901717A (zh) 三维心磁源定位方法、***及服务器
Nowak Biomagnetic instrumentation
Geselowitz Magnetocardiography: an overview
JP3067728B2 (ja) 生体磁場計測装置
Liehr et al. Vortex shaped current sources in a physical torso phantom
JPH10248821A (ja) 磁場分布と磁場源の表示方法
JP3518493B2 (ja) 生体磁場の等積分図の算出方法
JP4078821B2 (ja) 生体磁場計測装置
JPH05297091A (ja) 生体磁気計測装置
De Melis et al. Single and distributed dipole models analysis of cardiac source activation using mcg signals
JPH05220124A (ja) 生体磁気計測装置
JPH08266499A (ja) 生体磁気計測装置
Erné et al. Magnetocardiography under clinical conditions
JP3196770B2 (ja) 生体磁場計測装置
JP3196771B2 (ja) 磁場源解析方法
JP3196769B2 (ja) 生体磁場計測装置
JP3231710B2 (ja) 生体磁場の生体表面に平行な接線成分の推定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