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689U -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 - Google Patents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689U
KR20190000689U KR2020170004772U KR20170004772U KR20190000689U KR 20190000689 U KR20190000689 U KR 20190000689U KR 2020170004772 U KR2020170004772 U KR 2020170004772U KR 20170004772 U KR20170004772 U KR 20170004772U KR 20190000689 U KR20190000689 U KR 201900006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efied gas
deck
mooring
upper deck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7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철호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47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689U/ko
Publication of KR201900006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68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63B15/02Staying of masts or of other super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10Fairl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6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using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 B63B2708/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은, 액화가스 저장탱크와,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수용하는 선체부와, 무어링 장비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에 있어서, 상기 선체부는, 좌우 상단에 마련되는 어퍼데크; 및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상방에서 상기 어퍼데크보다 높게 마련되는 트렁크데크를 포함하고, 상기 무어링 장비는, 계류와이어를 권취하는 윈치 드럼; 및 상기 어퍼데크에 마련되며 상기 윈치 드럼으로부터 풀린 상기 계류와이어를 지지하며,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and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
본 고안은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광물이나 액화가스, 컨테이너 등 다양한 화물을 적재한 상태로,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 해상을 운항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선박은 일반 상선이라고 지칭된다.
이와 달리 해양에 부유하는 것은 선박과 동일하나 화물의 운송 외의 목적을 갖는 구조물들이 있으며, 일례로 해저를 시추하는 시추선(drill ship), 해상에 부유한 상태로 원유를 정제, 저장, 하역하는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액화가스를 저장, 기화하는 FSRU(Floating Storage Regasification Unit), LNG를 생산, 저장, 하역하는 FLNG(Floating Liquid Natural Gas plant, LNG-FPSO)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조물들은 일반 상선과 구별하기 위해 해양 구조물로 지칭되며, 해양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해상에 부유하기 위한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작업을 위한 설비인 탑사이드(Topside)가 탑재된 형태를 갖는다.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일반 상선과 해양 구조물 중에서, 천연가스와 관련되는 선박 등이 각광을 받고 있다. 천연가스는 청정연료이고 매장량도 석유보다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고, 채광과 이송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그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천연가스는 주성분인 메탄을 1기압 하에서 -162℃도 이하로 온도를 내려서 액체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액화된 메탄의 부피는 표준상태인 기체상태의 메탄 부피의 600분의 1 정도이고, 비중은 0.42로 원유비중의 약 2분의 1이 된다.
한편, 천연가스는 주로 심해에 대량으로 매장되어 있어서, 심해 가스전의 개발과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수요를 증대시키게 된다. 따라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LNG Carrier) 뿐만 아니라,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FLNG),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재기화설비(LNG-FSRU, LNG-SRV) 및 파이프 라인 등 천연가스와 관련된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례로 FLNG는, 천연가스가 시추될 수 있는 천연가스전 근처에 위치하여 해저로부터 뽑아올린 천연가스를 정제하고 액화하는 시설과 저장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그리고 하역하는 설비를 탑재한 해상 구조물로 천연가스의 생산, 처리, 보관 등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FLNG는 해상에서 시추되는 천연가스를 육지까지 운반하여 처리할 필요 없이, 해상에서 직접 판매 가능한 상태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절감의 효과가 매우 크다. 따라서 친환경 연료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현 상황과 맞물려서 FLNG에 대한 고객들의 니즈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FLNG의 경우 선체 모양의 하부 구조물을 제작한 이후,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천연가스를 생산, 액화하는 설비인 탑사이드를 탑재하여야 하므로, 거대한 비용과 물자가 투입되며 건조 기간이 굉장히 길게 소요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세계 경제의 변화는 매우 빠르게 일어나므로, FLNG에 대한 고객의 니즈는 FLNG의 건조 기간 동안에도 얼마든지 변화할 수 있다. 최악의 경우 건조 도중 FLNG에 대한 고객의 계약 파기가 발생하여 조선사에 막대한 피해를 가져다 주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조선사는, FLNG에 대한 고객의 니즈가 유지되는 기간 내에 FLNG의 인도를 가능케 할 수 있도록, FLNG의 건조 기간을 최대한 단축시키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해 수많은 연구 및 개발을 수행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해답을 찾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선체부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FLNG로 개조가 용이할 수 있는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은, 액화가스 저장탱크와,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수용하는 선체부와, 무어링 장비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에 있어서, 상기 선체부는, 좌우 상단에 마련되는 어퍼데크; 및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상방에서 상기 어퍼데크보다 높게 마련되는 트렁크데크를 포함하고, 상기 무어링 장비는, 계류와이어를 권취하는 윈치 드럼; 및 상기 어퍼데크에 마련되며 상기 윈치 드럼으로부터 풀린 상기 계류와이어를 지지하며,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는, 상기 액화가스 운반선에 탑사이드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윈치 드럼은, 상기 어퍼데크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어링 장비는, 상기 어퍼데크에 마련되어 상기 롤러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 가이드부는, 상기 어퍼데크와 상기 트렁크데크의 높이 차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어퍼데크는, 상기 무어링 장비가 설치되는 무어링 데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체부의 상방에 상기 액화가스를 처리하는 탑사이드를 설치하여 FLNG로 개조할 것을 대비하여, 상기 탑사이드의 지지를 위해 마련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어퍼데크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선체부를 계류하기 위한 무어링 장비가 설치되는 무어링데크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어링데크는, 상기 어퍼데크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어링데크가 상기 트렁크데크보다는 낮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상단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하단은 상기 어퍼데크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은, 고박되는 제티, 다른 선박 등과의 높이조절을 위해 밸러스팅 작업없이 롤러의 승하강으로 계류와이어의 배출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무어링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무어링 장비의 윈치 드럼, 롤러 등의 구성이 상하 수직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이루어, 종래의 무어링 장비가 설치되는 공간에 대비하여 좁은 폭으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좁은 면적의 어퍼데크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지지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에 무어링 장비가 마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에 다른 형태의 무어링 장비가 마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c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에 다른 형태의 무어링 장비가 마련되며 도 2b에 대비하여 높이가 상이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서포트에 대한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를 나타내는 일측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서포트에 대한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를 나타내는 일측 단면도이다.
아울러, 본 실시예는 편의상 제1 실시예 내지 제 4실시예로 구분하였으나, 지지부(125)의 형상 등이 다양한 변형예를 가지며 이루어질 수 있고, 이들이 서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 조합에 따라 실시예는 증가할 수 있고,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후술되는 실시예들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100)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10), 선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액화가스는 LNG 또는 LPG, 에틸렌 및 암모니아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로 보관되는 모든 가스 연료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가열이나 가압에 의해 액체 상태가 아닌 경우 등도 편의상 액화가스로 표현할 수 있으며, 증발가스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10)는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액화가스를 저장할 수 있으며, 여기서, 액화가스는 액화가스 운반선(100)이 운반하는 화물일 수도 있고,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운항을 위한 연료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화가스가 화물로서 저장되는 경우,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에는 액화가스를 선적 또는 하역하기 위한 라인(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액화가스를 연료로 이용하는 경우,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에는 액화가스 수요처(미도시, 엔진 등일 수 있음)로 액화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액화가스 공급라인(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액화가스 저장탱크(110)는 액화가스 운반선(100)을 FLNG로 개조할 것을 대비하여, 액화가스 저장탱크(110)로부터 기화장치(미도시) 등으로 액화가스를 공급할 수 있으며, 이때 기화라인(미도시)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액화가스 저장탱크(110)는 선적, 하역, 공급 및 배출 등을 위한 라인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액화가스 운반선(100) 또는 FLNG에 관계없이 다수의 라인이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에 시공될 수 있도록 예비 라인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라인은 제1 라인과 제2 라인으로 그룹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라인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10)로부터 액화가스가 빠져나가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여, 액화가스 운반선(100) 또는 FLNG에서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제1 라인이 다른 장비로의 공급, 배출 및 하역을 위한 라인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제1 라인 상에는 액화가스를 배출시키는 펌프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라인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10)로 액화가스가 들어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여, 액화가스 운반선(100) 또는 FLNG에서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선적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에는 라인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라인은 액화가스 운반선(100)에서 요구되거나 또는 액화가스 운반선(100)이 FLNG로 개조되는 것을 대비하여 복수의 라인을 구비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여기서, FLNG는 후술되는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일 수 있다.
이러한 액화가스 저장탱크(110)는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크기 및 설계 등에 따라 탱크의 수와 사이즈가 달리 설정될 수 있고, 저장공간의 효율을 위한 부피 감소를 위해 액화가스를 액체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압력 탱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게다가,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10)가 1열(row)로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하며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FLNG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2열로 배치되는 구조를 이루어, FLNG로 개조/이용 시 스툴(stool) 등의 배치가 용이해질 수 있다.
선체부(12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10)를 수용하는데, 이를 위해 선체부(120)는 선측외판(121)을 포함하여, 선측외판(121)이 액화가스 저장탱크(110)를 좌우로 둘러싸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적인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상부는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선체부(120) 양측보다 돌출되는 형태를 이루어 후술되는 어퍼데크(122, upper deck)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액화가스 운반선(100)을 FLNG로 개조 시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어퍼데크(122)에 지지부(125)가 형성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선체부(120)에는 운항에 필요한 다양한 장비가 마련될 수 있고, 상하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복수의 데크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데크는 내부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데크 이외에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어퍼데크(122)와 트렁크데크(123, trunk deck)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데크(122)는 선체부(120)의 좌우 상단에 마련될 수 있고(도 1a 참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액화가스 운반선에서는 어퍼데크(12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25)에 의해 보강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트렁크데크(123)는, 좌우 대칭으로 마련될 수 있는 어퍼데크(12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데,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상방에서 어퍼데크(122)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렁크데크(123)의 바닥면은 평평하게 이루어지거나 중심부로부터 양측으로 하향 경사질 수 있는 등 그 형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어퍼데크(122)와 트렁크데크(123)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상부를 커버하여 액화가스 저장탱크(11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액화가스 저장탱크(110)가 멤브레인(membrane) 타입으로 마련되는 경우, 선체부(120)와 액화가스 저장탱크(110)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각형의 형태를 이루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상부 형태를 따라 어퍼데크(122)와 트렁크데크(123)의 형상이 이루어질 수 있어, 어퍼데크(122)와 트렁크데크(123)는 높이 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상부가 다각형의 형태를 이룸에 따라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챔퍼(chamfer)로 인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선체부(120)는 상기와 같은 선측외판(121) 및 데크 이외에 경사부(124)와 지지부(125A)를 더 포함할 수 있어, 경사부(124)에 의해 어퍼데크(122)와 트렁크데크(123)가 연결되고, 경사부(124)의 외측으로 지지부(125A)가 마련되거나 생략되는 등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어퍼데크(122)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거나 보강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경사부(124)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챔버에 대향하여 마련되어,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상단부 경사와 평행하거나 각도가 상이하게 마련되는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즉, 경사부(124)는 트렁크데크(123)와 어퍼데크(122) 사이에서 액화가스 저장탱크(110)가 노출되지 않도록 트렁크데크(123)와 어퍼데크(122)를 연결하는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선체부(120) 상에 탑사이드(200)가 설치되도록 지지부(125)가 마련될 수 있는데, 지지부(125)는 아래와 같은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먼저, 도 1a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지지부(125A)는 어퍼데크(122) 상에서 트렁크데크(123)의 측방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25A)는 선체부(120)의 상방에 액화가스를 처리하는 탑사이드(200)를 설치하여 FLNG로 개조할 것을 대비할 수 있다.
일례로, 지지부(125A)는, 프레임(1251) 및 데크부(1252)를 포함하여, 어퍼데크(122)의 상부를 보강할 수 있으므로, 탑사이드(200)의 설치로 인한 선체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25A)의 상단이 트렁크데크(123)와 높이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게 트렁크데크(123)와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고, 지지부(125A)의 외측이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선측외판(121)과 만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b를 참조하면, 프레임(1251)은 선체부(120)의 횡방향으로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고, 프레임(1251)의 하측이 어퍼데크(122)에 연결될 수 있다. 게다가, 프레임(1251)의 하면의 좌우 폭은 어퍼데크(122)의 좌우 폭에 대응되게 마련되어,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과 응력이 한 지점으로 집중되지 않고 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251)은, 경사부(124)와 어퍼데크(122)에 연결되기 위해 꺾이는 형태, 개략적으로 'ㄱ'자 또는 이와 대칭인 형태를 가질 수 있어, 하단이 어퍼데크(122)와 연결되고, 상단이 경사부(124)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251)은 내측 상단이 경사부(124)에 연결되고, 나머지 영역 즉, 내측 하단이 경사부(124)를 향해 개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프레임(1251)은 상면과 측면이 예각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형태일 수 있다. 즉 프레임(1251)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꺾인 형태를 이룰 수 있는데 상면과 측면이 예각인 형태를 이루어 경사짐으로써, 경사부(124)의 반대편에서 즉 어퍼데크(122)의 외측으로 프레임이 돌출되는 형태를 이루어 프레임(1251) 상에 데크부(1252)가 설치시 상단 면적이 확장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251)은 경사부(124)와 연결시 관통홀(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형태를 이루고, 경사부(124)와 연결된 영역을 모두 용접할 필요가 없어, 즉 프레임(1251)의 내측 상단과 하단만을 용접으로 연결되고, 개구된 영역은 용접이 생략되므로, 작업을 최소화하면서도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아울러, 개구된 영역을 통해 프레임(1251)과 경사부(124) 사이에는 관통홀이 이루어진 형태가 되므로, 중량 감소는 물론, 이웃한 공간으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프레임(1251)은, 상면이 트렁크데크(123)의 상면과 단차없이 놓일 수 있어, 데크부(1252)가 프레임(1251)에 설치시 데크부(1252)가 트렁크데크(123)로부터 돌출되지 않아, 트렁크데크(123)와 데크부(1252)에 관계없이 탑사이드(200)의 높이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탑사이드(200)를 제조하기 위한 구조물을 일률적으로 제조할 수 있어, 제조가 편리할 수 있다.
데크부(1252)는 어퍼데크(122) 상에서 층을 이루어 통로 또는 지지물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레임(1251)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크부(1252)는 트렁크데크(123)와 동일/유사한 판 형태를 이룰 수 있고, 트렁크데크(123)로부터 연장된 형태를 이루어 트렁크데크(123)와 동일한 높이에서 탑사이드(2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125A)가 어퍼데크(122)상에 마련되어, 지지부(125A)의 상단부인 데크부(1252)가 트렁크데크(123)와 동일한 높이차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트렁크데크(123)와 어퍼데크(122)의 높이차로 인한 탑사이드(200) 설치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게다가, 데크부(1252)로 인해 지지부(125A)의 면적이 어퍼데크(122)의 외측으로 확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어,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폭이 확장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탑사이드(200)가 설치될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도 1b를 참조하면, 지지부(125A)는 예각이 아닌 직각으로 절곡될 수도 있으며, 도 2a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125C)에는 무어링 장비(13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무어링 장비(130)는 지지부(125C)의 전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한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무어링 장비(130)는 선체부(120)의 측방에서 노출되게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지지부(125C)의 외측이 개구된 형태를 이루고, 개구된 내측에 수평한 바닥면을 이루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바닥면의 상부에 무어링 장비(130)가 설치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즉, 무어링 장비(130)가 마련되는 위치에서의 지지부(125C)는 프레임의 외측이 개구된 'ㄷ'자 또는 이와 대칭이 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이때 프레임의 내측에 무어링 장비(130)가 설치될 수 있게, 프레임의 내측에는 바닥면을 이루는 플랫폼(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도 2a 참조).
무어링 장비(130)는 선체부(120)를 계류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계류부재와 퀵 릴리즈 훅(Quick Release Hook), 페어리드(Fairlea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계류부재는 다른 선박(1)과 연결되도록 밧줄로 이루어질 수 있고, 퀵 릴리즈 훅은 계류부재의 끝단을 걸고 풀 수 있으며, 페어리드는 무어링데크(127) 상부의 외측 끝단에서 계류부재가 다양한 각도로 통과하여 원할히 작업될 수 있도록 퀵 릴리즈 훅으로 이어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무어링 장비(130)에 의해 본 실시예는 인접한 다른 선박(1)과 연결되어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무어링 장비(130)는 어퍼데크(122)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무어링데크(127)가 어퍼데크(122)의 상부에 마련되어, 어퍼데크(122)보다 무어링데크(127)가 높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무어링데크(127)가 트렁크데크(123)보다 낮게 마련되어, 무어링 장비(130)의 위치가 이웃한 다른 선박(1)의 트렁크데크에 대비하여 높게 위치되는 것을 방지한다.
게다가, 어퍼데크(122)의 상부 공간은, 경사부(124)의 설치로 인해 바닥면이 가장 좁고 상부로 갈수록 공간이 넓어져, 어퍼데크(122)의 좁은 바닥면에 무어링 장비(130)를 설치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어퍼데크(122)의 상부에 무어링데크(127)를 설치함으로써, 무어링 장비(130)가 설치되는 바닥면이 확장되는 효과를 이루어 무어링 장비(130)의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아울러,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후술되는 지지부(125B)는 어퍼데크(122)의 외측으로 확장되어 어퍼데크(122)의 바닥면이 확장된 효과를 이루므로, 무어링 장비(130)는 어퍼데크(122) 상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때, 무어링 장비(130)는 탑사이드(200)와 간섭되지 않도록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지부(125A)는 선체부(120)의 상방에 마련될 수도 있고, 지지부(125B)가 상방이 아닌 선측외판(12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지지부(125B)는 제1 실시예의 지지부(125A)와 달리, 지지부(125B)의 상단이 어퍼데크(122)와 수평하게 마련되어 선체의 전체 폭이 외측으로 확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하부는 종래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상단부의 폭이 확장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특히 지지부(125)의 추가로 인한 탑사이드(200)의 설치 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선주의 요구에 따라 액화가스 운반선(10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FLNG로의 개조가 용이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는 어퍼데크(122)와 동일한 높이에서 어퍼데크(122)의 외측으로 확장된 형태를 이루므로, 어퍼데크(122)의 높이로부터 탑사이드(200)의 설치 높이가 이루어질 수 있어, 탑사이드(200)로 인한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전체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일례로, 지지부(125B)는 프레임(1251)과 데크부(125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실시예와 달리, 프레임(1251)의 형상 및 연결위치가 달리 이루어질 수 있고, 데크부(1252)가 수평을 이루는 구조물이 제1 실시예와 달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251)은, 자체적으로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홀(1253)이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1251)의 외측은 곡면을 이룰 수 있고, 선측외판(121)과 맞닿는 측면은 선측외판(121)에 대응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관통홀(1253)로 인해 선측외판(121)과 맞닿는 영역이 감소되지 않으면서도 전체 하중은 줄이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1251)의 측면이 선측외판(121)에 모두 맞닿게 함으로써, 프레임(1251)과 선측외판(121)의 연결영역을 최대화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1 실시예의 프레임(1251)은 어퍼데크(122)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어 프레임(1251)의 상단 일부만을 경사부(124)에 연결하여, 측면의 용접작업을 감소시키는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251)의 측면을 통해 선측외판(121)에 연결하여 제1 실시예에 대비하여 연결지점을 줄이고 연결강도를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25)가 프레임(1251)과 데크부(1252)를 이루어 지지부(125)의 측면이 개방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경사부(124)에 맞닿아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박스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125)가 폐쇄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종 파이프(에어 또는 벤트를 위한 파이프일 수 있음)가 유출입하거나, 환기되기 위한 개구부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무어링데크(127)가 어퍼데크(122)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무어링데크(127)는 무어링 장비(130)가 설치되는 데크로서, 편의성 구분한 것이며 무어링데크(127)는 어퍼데크(122)와 일체로 형성되어 무어링데크(127)가 어퍼데크(122)일 수도 있다. 여기서, 무어링데크(127)가 어퍼데크(122)와 구분되는 경우, 무어링데크(127)는 어퍼데크(122)의 상부에 마련되어 무어링데크(127)의 높이가 어퍼데크(122)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음은 앞서 언급한 봐와 같다.
또한, 앞서 실시한 실시예의 무어링 장비(130)는 퀵 릴리즈 훅(Quick Release Hook), 페어리드(Fairlead)를 포함하고, 이들의 구성이 동일한 바닥면 상에서 마련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와 달리, 무어링 장비(130A)는 상하 수직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무어링 장비(130A)는 윈치 드럼(131A), 롤러(133A), 승강 가이드부(134A)를 포함할 수 있다.
윈치 드럼(131A)은 계류와이어(132A)를 권취하는 구성이며, 계류와이어(132A)는 앞서 언급한 계류부재와 동일/유사한 개념으로서 액화가스 운반선(100)을 암벽, 제티(3, jetty) 또는 다른 선박(1) 등과 고박할 수 있다.
이러한 계류와이어(132A)가 윈치 드럼(131A)의 둘레면에 둘둘 감겨져, 필요에 따라 계류와이어(132A)가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윈치 드럼(131A)에는 모터 등이 마련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드럼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윈치 드럼(131A)은 롤러(133A)와 상하로 위치가 구분될 수 있는데, 어퍼데크(122)를 기준으로 위치가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치 드럼(131A)은 어퍼데크(122)의 하부(어퍼데크가 무어링데크를 이루는 경우 무어링데크의 하부일 수 있음)에 설치될 수 있고, 롤러(133A)는 어퍼데크(122) 상에 마련되어, 윈치 드럼(131A)으로부터 풀린 계류와이어(132A)를 롤러(133A)가 지지할 수 있다.
롤러(133A)는 계류와이어(132A)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윈치 드럼(131A)으로부터 풀려진 계류와이어(132A)가 롤러(133A)의 측면으로부터 상부로 걸쳐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롤러(133A)는 승강 가이드부(134A)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어, 승강 가이드부(134A)에 위치된 롤러(133A)의 높이에 따라 계류와이어(132A)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롤러(133A)의 높이에 따라 계류와이어(132A)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어, 계류와이어(132A) 단부가 고정되는 제티(3) 등과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b와 같은 상태를 이루어, 제티(3)의 단부에 계류와이어(132A)를 고박하는 작업이 안정적인데, 하물의 양 등에 따라 액화가스 운반선(100)이 잠기는 높이가 달라져 제티(3)에 대한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상대적인 높이가 달라질 수 있어, 안정적인 고박을 위한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높이에 대비하여 실제의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높이가 더 높거나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고박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뻗어지는 계류와이어(132A)의 배출 각도는 조정이 필요하여 종래에는 밸러스팅 수의 배출 또는 유입으로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이루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밸러스팅 작업없이 롤러(133A)의 높이 조절로 계류와이어(132A)의 배출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고박을 위한 밸라스팅이 필요 없어 무어링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여기서, 제티(3)는 액화가스 운반선(100)이 하역하는 장소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일예로 제티(3)는 육상으로부터 해양으로 돌출되며 기둥(부호 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해저면에 지지된 구조물로서, 액화가스 운반선(100) 등이 정박하는 지점의 수심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제티(3)는 하역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선적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역지가 선적지로 기능할 수도 있으므로, 제티(3)의 설치 장소는 액화가스 운반선(100)과 육상 사이에서 액화가스의 이송이 필요한 해안가일 수 있다. 이 경우 제티(3)에 설치된 구성들을 통해 액화가스는 액화가스 운반선(100)에서 육상으로, 및/또는 육상에서 액화가스 운반선(100)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롤러(133A)는 상하 이동뿐만 아니라 회전이 가능하여 계류와이어(132A)와의 마찰이 감소되어 마찰로 인한 계류와이어(132A)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승강 가이드부(134A)는 롤러(133A)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어퍼데크(122)(또는 무어링데크)에 마련되어 롤러(133A)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승강 가이드부(134A)는 수직으로 마련되어 어퍼데크(122)의 상부 공간을 최소로 이용함으로써 어퍼데크(122) 상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 가이드부(134A)는 어퍼데크(122)와 트렁크데크(123)의 높이 차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퍼데크(122) 상에 지지부(125)가 마련되는 경우, 승강 가이드부(134A)는 지지부(125)에 설치될 수 있는데, 지지부(125)의 하부에는 무어링데크(127)가 형성되고 지지부(125)의 상부는 트렁크데크(123)로부터 연장되어 무어링데크(127)와 상하로 배치되어 어퍼데크(122)와 지지부(125)의 형태는 외측이 개구된 'ㄷ' 또는 이와 대칭이 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25)의 내측에서 승강 가이드부(134A)의 하단은 어퍼데크(122)(또는 무어링데크)에 고정되고 승강 가이드부(134A)의 상단은 지지부(125)의 상부 구조에 고정됨으로써, 승강 가이드부(134A)가 어퍼데크(122) 상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가 될 수 있다.
한편, 롤러(133A)는 지지부(125)에 마련될 수도 있어, 승강 가이드부(134A)가 생략되고 지지부(125) 상에서 롤러(133A)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지지부(125)에는 상하 방향으로 마련되는 레일(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레일 상에서 롤러(133A)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때, 롤러(133A)가 이동된 이후 롤러(133A)가 고정되도록, 롤러(133A)를 고정하는 핀이 마련될 수 있고, 롤러(133A)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레일에는 턱이 마련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선체부(120) 상에는 서포트(140)가 마련될 수 있다.
서포트(140)는 어퍼데크의 상단, 또는 지지부(125B)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서포트(140)의 하단(하부)에서 상단(상부)으로 갈수록 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를 가져, 하단부의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지지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때, 탑사이드(200)는, 서포트(140)에 지지되는 부분에 엘라스토머(201)(elastomer)가 마련되고, 엘라스토머(201)의 주변에 스토퍼(202)가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202)는, 탑사이드(200)의 엘라스토머(201)와 맞닿아 탑사이드(200)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탑사이드(200)의 스토퍼(202)가 서포트(140) 상단의 주변에 위치하도록 하여 탑사이드(200)의 수평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엘라스토머(201) 표면의 접착력은 0% 이상 내지 100% 이하를 이룰 수 있어, 엘라스토머(201)와 서포트(140)가 접착제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되거나, 끈적이는 정도 등에 따라 부착 정도 또는 강도가 달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엘라스토머(201)의 양 표면의 접착력은 달리 이루어질 수도 있어, 엘라스토머(201)의 상면은 고정(접착)되고 엘라스토머(201)의 하면은 단순히 맞닿거나, 반대로 엘라스토머(201)의 상면은 단순히 맞닿게 마련되고 엘라스토머(201)의 하면은 고정(접착)되는 등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엘라스토머(201)에 의해 탑사이드(200)가 서포트(140) 상에서 수평 움직임이 제한되되, 탑사이드(200)의 흔들림은 허용될 수 있어, 선체부(120)의 흔들림에 따라 탑사이드(200)가 흔들릴 경우 반작용으로 인해 선체부(120)와 탑사이드(200)가 반대방향으로 흔들리더라도 연결부위가 고정형태를 이루지 않아 크랙 등의 발생으로 인한 파손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서포트(140)가 기둥 형태를 이루고, 서포트(140)의 형상이 하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확장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였다.
이와 달리, 도 5를 참조하면, 서포트(140)는 격벽형태를 이룰 수도 있으며, 이때, 엘라스토머(201)는 서포트(140)가 마련되는 영역을 따라 이루어질 수 있고, 스토퍼(202)는 엘라스토머(201)의 외곽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게다가, 제1, 2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25)는 어퍼데크(122) 상에 강판을 일일이 조립할 필요가 없도록, 즉 프레임(1251)과 데크부(1252)를 일일이 선체부(120)에 조립할 필요가 없게, 블록 형태로 이루어져, 지지부(125)가 크레인에 의해 어퍼데크(122)의 상부 또는 측면에 인양된 이후 용접 등의 방법으로, 지지부(125)와 어퍼데크(122) 및/또는 선측외판(121)과 연결되어,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구조변경을 최소화하면서도 LNG로 신속히 개조할 수 있으며, 선체부(120)의 제작과 동시에 지지부(125A)를 제작할 수 있어 지지부(125) 제작으로 인한 작업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도 1a 및 도 1c를 참조하면, 액화가스 운반선(100)은 케이블 통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통로부(150)는 탑사이드(200)와 연결되는 탑사이드 인터페이스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액화가스 운반선(100)이 FLNG로 개조될 경우 탑사이드 인터페이스 케이블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 통로부(150)는 전장장비(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는 전장공간(부호 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탑사이드(200)까지 전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 통로부(150)는 어퍼데크(122)와 액화가스 저장탱크(110) 사이 일례로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상부에 위치되는 갑판 횡늑골(deck transverse web)의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탑사이드 인터페이스 케이블은 케이블 통로부(15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 마찰 등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트렁크데크(123) 상의 공간을 최소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트렁크데크(123) 상의 공간은 탑사이드 인터페이스 케이블에 의한 간섭으로부터 최소화되어, 선체부(120)의 공간 활용이 극대화되고, 갑판 횡늑골 공간 상에서의 전로를 위한 공간 확보를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다.
게다가, 트렁크데크(123)의 상부에 탑사이드(200)가 설치되는 경우, 탑사이드 인터페이스 케이블은 트렁크데크(123) 상부의 탑사이드(200)로 연결되는데, 이를 위해, 케이블 통로부(150)는 탑사이드(200)를 향해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통로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장통로부(151)는, 서포트(140)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서포트(140)로부터 벗어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일례로, 서포트(140)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거나 서포트(140)의 일측에 위치되는 바와 같다. 또는 서포트(140)가 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서포트(140)의 내측에 중공이 형성될 수도 있어, 연장통로부(151)는 서포트(140)를 관통하여 마련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그 변형예는 다양하다.
이러한 케이블 통로부(150)는, 탑사이드 인터페이스 케이블이 갑판 횡늑골의 공간에서 서포트(140), 스툴 등으로부터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전로의 직선화를 이루도록 하므로, 케이블 물량 및 설치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 통로부(150)의 형태는 탑사이드 인터페이스 케이블이 관통되는 상자형으로 이루어져 선수로부터 선미까지 연장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액화가스 저장탱크(110) 상에 플랫폼 형태로 이루어져 탑사이드 인터페이스 케이블의 지지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이동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 통로부(150)는 상자형상을 이루는 폐쇄형을 이루거나 플랫폼과 안전레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개방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그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케이블 통로부(150)가 설치되는 공간인 갑판 횡늑골(deck transverse web)의 공간 즉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상부에 용접 불꽃 등이 튀는 경우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단열재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블 통로부(150)의 연결방법을 용접으로 이루지 않고, 볼트, 와이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는 후술되는 와이어(300) 즉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중을 지지하는 구성과 동종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그 변형예는 다양하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일례로 트렁크데크(123)와 케이블 통로부(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각각에 볼트홀이 형성되고 이들 각각의 볼트홀을 관통하여 볼트가 체졀됨으로써 트렁크데크(123)와 케이블 통로부(15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트렁크데크(123)와 케이블 통로부(150) 각각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구조물이 형성되고, 각각의 돌출 구조물의 볼트홀이 서로 겹치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볼트로 인해 구속되어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트렁크데크(123)와 케이블 통로부(150) 각각에 와이어 체결홀(또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지그가 마련될 수도 있음)이 형성되고, 와이어(또는 체인)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이 트렁크데크(123)와 케이블 통로부(150)의 체결홀에 연결됨으로써 케이블 통로부(150)가 트렁크데크(123)의 하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케이블 통로부(150)가 와이어로 연결되는 경우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운항시 발생될 수 있는 흔들림(요잉 운동 등)에 대응하여 일정한 범위이하로 케이블 통로부(150)의 흔들림을 허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반대방향으로 케이블 통로부(150)가 반작용 운동시 발생될 수 있는 뒤틀림 현상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볼트 결합에 대비하여 크랙 등으로 인한 케이블 통로부(150)의 손상 및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트 또는 와이어 연결에 의해 케이블 통로부(150)를 트렁크데크(123)의 하부에 설치함으로써 케이블 통로부(150)가 설치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10)는, 액화가스 운반선(100), 탑사이드(200) 및 탑사이드(200)를 지지하는 와이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액화가스 운반선(100)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10) 및 선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선체부(120) 상에는 탑사이드(200)가 설치될 수 있다. 탑사이드(200)는 플랜트 설비 등을 포함하는 해상 구조물로서, 액화가스 운반선(100) 상에 설치되기 위하여 다수의 레그(leg), 데크(deck) 및 레그와 데크에 의해 지지되는 플랜트 설비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탑사이드(200)는 복수개의 층을 이룰 수 있으며, 개별 층이 데크와, 데크를 지지하는 레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데크와 레그는 서로 용접되어 상호 고정될 수 있으며, 이 외에 다양한 방법에 의해 데크와 레그가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탑사이드(200)는 데크와 레그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플랜트 설비 등을 포함하므로, 액화가스 운반선(100)을 FLNG로 개조 시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선체부(120)가 탑사이드(200)의 하중을 견디며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탑사이드(200)의 중앙부 하부에 위치된 트렁크데크(123)의 강도 부족으로 인하여 중량물인 탑사이드(200)를 선체부(120) 상에 배치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탑사이드(200)를 지지할 수 있는 보강재(미도시)를 선체부(120)에 설치하였으나,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중을 지지하는 보강재의 설치 제약에 따른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10)는 다수의 와이어(300)를 이용하여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는 선체부(120)의 트렁크데크(123)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300)가 트렁크데크(123)로부터 이격된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단과 접촉되면서 탑사이드(200)의 중앙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탑사이드(200)의 양측 하단은 어퍼데크(122)의 상부에 접촉되면서 어퍼데크(1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액화가스 운반선(100)은 길이 방향의 양측을 따라 선체부(120)의 상단에 어퍼데크(122)가 마련될 수 있으며, 어퍼데크(122)의 사이에 트렁크데크(123)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화가스 운반선(10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서 선체부(120) 상단의 중앙 영역에 트렁크데크(123)가 구비되므로,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가 트렁크데크(123)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단으로부터 연장된 와이어(300)의 양단은 각각 탑사이드(200)의 양측에 고정된 후, 어퍼데크(122) 상의 일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300)가 고정된 탑사이드(200)의 양측은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단보다 높게 위치된 영역일 수 있으며, 어퍼데크(122)의 상부면은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단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이처럼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단으로부터 양단이 각각 탑사이드(200)의 양측을 지나 어퍼데크(122) 상에 고정된 와이어(300)에 의해 탑사이드(200)의 중앙부(210)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음으로써, 트렁크데크(123)에 가해지는 탑사이드(200)의 하중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렁크데크(123) 하부 내측에 위치된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에 가해지는 하중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액화가스 저장탱크(110)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액화가스 저장탱크(110)가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마련되고 어느 일 영역, 예를 들어, 선체부의 선미, 선수 또는 중심에 바람직하게는 선수의 내측에 터릿(Turret)이나 선수 장비(FWD Machinery)를 설치하기 위한 구역을 마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선체부(120)의 상방 구조를 개선하여, 고객의 니즈(필요)에 따라 액화가스 운반선(100) 또는 FLNG로 선택적으로 개조/이용할 수 있어, 선박 건조 도중 계약 파기로 인한 손실 등을 최소화시키고, FLNG의 건조 기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으며, 케이블 통로부(150)를 마련함으로써, 트렁크데크(123) 상의 공간이 케이블에 간섭되는 것이 최소화되고, 전로의 직선화 작업이 용이하여 케이블 공수 및 작업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100 : 액화가스 운반선 110 : 액화가스 저장탱크
120 : 선체부 121 : 선체외판
122 : 어퍼데크 123 : 트렁크데크
124 : 경사부 125 : 지지부
1251 : 프레임 1252: 데크부
1253 : 관통홀 130, 130A : 무어링 장비
131A : 윈치 드럼 132A : 계류와이어
133A : 롤러 134A : 승강 가이드부
140 : 서포트 150: 케이블 통로부
151 : 연장통로부 200: 탑사이드
201 : 엘라스토머 202: 스토퍼
300 : 와이어

Claims (11)

  1. 액화가스 저장탱크와,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수용하는 선체부와, 무어링 장비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에 있어서,
    상기 선체부는,
    좌우 상단에 마련되는 어퍼데크; 및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상방에서 상기 어퍼데크보다 높게 마련되는 트렁크데크를 포함하고,
    상기 무어링 장비는,
    계류와이어를 권취하는 윈치 드럼; 및
    상기 어퍼데크에 마련되며 상기 윈치 드럼으로부터 풀린 상기 계류와이어를 지지하며,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 드럼은,
    상기 어퍼데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어링 장비는,
    상기 어퍼데크에 마련되어 상기 롤러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가이드부는,
    상기 어퍼데크와 상기 트렁크데크의 높이 차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데크는,
    상기 무어링 장비가 설치되는 무어링 데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부의 상방에 상기 액화가스를 처리하는 탑사이드를 설치하여 FLNG로 개조할 것을 대비하여, 상기 탑사이드의 지지를 위해 마련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어퍼데크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선체부를 계류하기 위한 무어링 장비가 설치되는 무어링데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어링데크는,
    상기 어퍼데크보다 높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어링데크가 상기 트렁크데크보다는 낮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상단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부의 하단은 상기 어퍼데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액화가스 운반선에 탑사이드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KR2020170004772U 2017-09-08 2017-09-08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 KR2019000068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772U KR20190000689U (ko) 2017-09-08 2017-09-08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772U KR20190000689U (ko) 2017-09-08 2017-09-08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89U true KR20190000689U (ko) 2019-03-18

Family

ID=65891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772U KR20190000689U (ko) 2017-09-08 2017-09-08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68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1623A1 (ja) * 2019-12-06 2021-06-10 日揮グローバル株式会社 浮体式構造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1623A1 (ja) * 2019-12-06 2021-06-10 日揮グローバル株式会社 浮体式構造物
CN114286780A (zh) * 2019-12-06 2022-04-05 日挥环球株式会社 浮体式结构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691B1 (ko) 가이드 파일을 이용한 해상플랫폼 및 그의 설치방법
CN109969345B (zh) 烃处理船和方法
US20110146803A1 (en) Multifunctional offshore base with liquid displacement system
US7980190B2 (en) Deep draft semi-submersible LN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
CN101544272A (zh) 液体水下储存、装载和外卸装置
JP2012086768A (ja) 液化天然ガスタンクを備えた浮体式構造物の製造方法
KR102125113B1 (ko)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
KR100775528B1 (ko) Lng 재기화 선박용 모의 부이를 이용한 lng 재기화선박의 작동 시험 방법
KR20190000689U (ko)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
KR101629192B1 (ko) 선박 계류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5910A (ko)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
KR102424475B1 (ko) Lng 운반 선박 및 lng 운반 선박의 제작 방법
KR20180003577U (ko)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
KR20080070412A (ko) Lng 재기화 선박용 모의 부이
US20150158557A1 (en) Floating vessel with tunnel
KR101337272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지지구조 및 그 방법
KR20100133272A (ko) 개선된 위치유지장치를 갖는 선박형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2232566B1 (ko) 해양 구조물
KR20180115897A (ko) 액화가스 운반선 및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KR20190047807A (ko)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
KR20180115903A (ko) 액화가스 운반선 및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US10081412B2 (en) Floating vessel with tank trough deck
US20110192336A1 (en) Floating unit
KR20140005356U (ko) 탑사이드 모듈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KR20220092066A (ko) 코퍼댐 히팅 타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