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289U - 천공장치용 리더 - Google Patents

천공장치용 리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289U
KR20190000289U KR2020180000106U KR20180000106U KR20190000289U KR 20190000289 U KR20190000289 U KR 20190000289U KR 2020180000106 U KR2020180000106 U KR 2020180000106U KR 20180000106 U KR20180000106 U KR 20180000106U KR 20190000289 U KR20190000289 U KR 201900002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er unit
support
variable
reader
str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8849Y1 (ko
Inventor
황은아
송해식
이재옥
왕설련
Original Assignee
(주)미래지반연구소
(주)미래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지반연구소, (주)미래기술 filed Critical (주)미래지반연구소
Publication of KR201900002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2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8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8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공장치용 리더에 관한 것으로서, 연약지반 상에 압입되는 드레인재를 지지하기 위하여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배치되는 리더에 있어서, 상기 연약지반 상에 일정 길이로 배치되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베이스 리더부; 상기 베이스 리더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하단 부위는 사각 프레임 형상을 이루고,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면서 상단 부위는 삼각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제1 가변형 리더부; 및 상기 제1 가변형 리더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삼각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고정형 리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천공장치용 리더{Leader of drilling apparatus}
본 고안은 천공장치용 리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약지반 상에 압입시키고자 하는 드레인재를 지지하기 위한 리더의 전체 중량을 줄일 수 있는 천공장치용 리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의 개량을 위해 사용되는 연직배수공법은 인위적으로 압밀을 촉진하기 위해 배수로를 형성해주는 것으로서, 연직배수재를 지중에 압입하여 지중에 함유되어 있는 간극수 등의 물을 배수 또는 배출시킴에 따라 지반의 침하를 조기에 완료시키고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연약지반 처리 공법 중의 하나이다.
여기서, 연직배수재는 플라스틱 코어재를 다공성 필터재로 감싸서 만든 드레인보드(Drain board)로서, 봉형 구조체이다.
이러한 연직배수재를 이용하는 연직배수공법은 PBD(Plastic Board Drain) 공법 또는 PVD(Prefabricated Vertical Drain) 공법으로 일컬어지고 있으며,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연약지반 처리 공법을 통해 연약지반을 개량함으로써 도로, 철도, 공항, 항만, 산업단지 등과 같은 각종 구조물의 구축을 위한 기초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PBD 공법 또는 PVD 공법으로 일컬어지는 연직배수공법은, 하모니카 또는 벌집 등과 같은 모양의 플라스틱 코어재를 다공성 필터재로 감싸서 만든 드레인보드(연직배수재)를 지중의 소정 심도까지 타설하며, 이와 같이 타설되어 설치된 드레인보드를 통해 그 주변의 간극수를 지상으로 신속하게 배출시킴으로써, 연약한 지반층을 단단하게 개량할 수 있게 하는 연약지반 개량 공법이다.
이러한 연직배수공법은 장비가 간편하고, 시공속도가 비교적 빠르며, 드레인보드의 자재비가 비교적 저렴할 뿐만 아니라 케이싱 파이프의 지중 관입으로 인한 지반 교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서, 토질의 함수비가 높은 연약한 지반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204639호에서는 PBD 공법을 수행하기 위한 드래인재 압입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선행특허의 경우, 드레인재의 수직 배치 및 지지를 위한 리더가 사용된다.
이러한 리더는 드레인재의 길이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형태로 변형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드레인재 자체가 상당한 중량체이므로 수직 배치에 따라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이를 잡아주기 위한 와이어 로프 및 권취드럼과 구동모터 등의 전도방지 구조물을 리더의 상부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오히려 리더 측에 중량을 더해주게 됨은 물론 드레인재의 지반 압입시 하중을 하부로 전달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드레인재와 압입롤러 간 접촉 면적이 적은 구성이므로 드레인재의 지반 압입을 위해 파이프 구조의 케이싱이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케이싱을 지반 압입 후 인발에 사용하기 위한 승강 와이어와 드럼 및 구동모터 등의 보조 압입수단들이 리더 측에 함께 설치되는데, 이러한 보조 압입수단들도 리더 측에 하중을 전달하거나 중량을 더하게 되는 요소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해 리더 측에 전도방지 구조물 및 보조 압입수단들을 모두 설치해야 하므로 그만큼 리더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고 강성이 매우 뛰어난 구조를 확보해야 하므로 장비의 비용이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연약지반에 압입되는 드레인재는 대략 70m 이상의 것이 사용되는데, 지반에 압입되는 드레인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골재를 지반에 설치하는 등 별도의 기초공사를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 및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리더는 전체 길이에 걸쳐 사각 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이 적용됨에 따라 전체적인 중량이 무거워 전도의 우려가 컸으며, 천공장치가 연약지반에 진입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071945호(2016.06.22.)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요구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드레인재를 지지하기 위한 리더의 중량을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전도 방지의 우려를 획기적으로 불식시킬 수 있는 천공장치용 리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드레인재를 지지하기 위한 리더의 전체적인 중량을 낮춤으로써, 연약지반 상에 천공장치의 이동이 수월하도록 하여 기초공사를 따로 하지 않아도 되고, 부가적인 구성들을 배제시킬 수 있음에 따라 전체적인 설비비도 낮출 수 있는 천공장치용 리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하부 영역의 베이스 리더부는 사각 프레임 형상인 것을 제공하고, 이 베이스 리더부로부터 상부 쪽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다른 리더부들은 상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중량이 줄어든 것을 제공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전체적인 중량을 더욱 줄일 수 있어 전도 방지와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천공장치용 리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용 리더는, 연약지반 상에 압입되는 드레인재를 지지하기 위하여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배치되는 리더에 있어서, 수직 방향의 전체 길이 중,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베이스 리더부; 상기 베이스 리더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하단 부위는 사각 프레임 형상을 이루고,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면서 상단 부위는 삼각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제1 가변형 리더부; 상기 제1 가변형 리더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삼각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고정형 리더부; 및 상기 고정형 리더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삼각뿔 형상을 이루는 제2 가변형 리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가변형 리더부는, 4점에 대해서 일정 길이만큼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지주, 제2 지주, 제3 지주 및 제4 지주를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지주들 사이에 수평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트러스바를 포함하되, 상기 지주들 중, 2개의 지주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나머지 다른 2개의 인접하는 지주는, 상부로 갈수록 그 간격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좁아지면서 상부 끝단이 서로 맞닿도록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변형 리더부의 상기 지주들 하단에는, 상기 베이스 리더부와 결합되기 위한 제2 결합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변형 리더부는, 저면에서 바라볼 때 사각 형상을 이루고, 평면에서 바라볼 때 삼각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변형 리더부의 내측 중앙 부위에는, 수직 방향으로 드레인재가 통과되기 위한 통과 홀을 갖는 가이드 관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 관은, 상기 제1 가변형 리더부의 각 지주들로부터 연결되는 복수의 브래킷들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래킷들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형 리더부는, 3점에 대해서 일정 길이만큼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지주, 제2 지주, 제3 지주를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지주들 사이에 수평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트러스바를 포함하며, 그 단면 형상이 삼각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형 리더부의 내측 중앙 부위에는, 수직 방향으로 드레인재가 통과되기 위한 통과 홀을 갖는 가이드 관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 관은, 상기 고정형 리더부의 각 지주들로부터 연결되는 복수의 브래킷들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브래킷들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제2 가변형 리더부는, 3점에 대해서 일정 길이만큼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지주, 제2 지주, 제3 지주를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지주들 사이에 수평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트러스바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들이 상부로 갈수록 그 간격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좁아지면서 상부 끝단이 서로 맞닿도록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삼각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가변형 리더부의 내측 중앙 부위에는, 수직 방향으로 드레인재가 통과되기 위한 통과 홀을 갖는 가이드 관이 배치되되, 상기 가이드 관은 상기 지주들의 상부 끝단이 서로 맞닿는 부위를 지나 상부 쪽으로 일정 길이만큼 더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가변형 리더부의 상부 끝단 부위에는 횡 방향의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와 상기 돌출되는 가이드 관은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리더부는, 4점에 대해서 일정 길이만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지주, 제2 지주, 제3 지주 및 제4 지주를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지주들 사이에 수평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트러스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리더부의 상기 지주들 상단에는 상기 제1 가변형 리더부와 결합되기 위한 제1 결합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리더부 또는 상기 베이스 리더부의 하부 영역에는 상기 드레인재를 편심 없이 수직 방향으로 압입시키기 위한 압입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용 리더에 의하면, 드레인재를 지지하기 위한 리더의 중량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됨으로써, 전도 방지의 우려가 획기적으로 불식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용 리더에 의하면, 드레인재를 지지하기 위한 리더의 전체적인 중량이 낮아짐으로써, 연약지반 상에 천공장치의 이동이 수월해져서 기초공사를 따로 하지 않아도 되고, 부가적인 구성들이 배제될 수 있음에 따라 전체적인 설비비도 낮출 수 있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용 리더에 의하면, 하부 영역의 베이스 리더부는 상대적으로 큰 하중에 견디도록 사각 프레임 형상인 것이 제공되고, 이 베이스 리더부로부터 상부 쪽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다른 리더부들은 상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중량이 줄어든 것이 제공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전체적인 중량이 더욱 줄어들어 전도 방지와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리더가 적용된 천공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용 리더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용 리더에서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베이스 리더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용 리더에서 베이스 리더부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제1 가변형 리더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정면도.
도 8a는 도 6의 평면도.
도 8b는 도 6의 가이드 관 측부에 PBD 관이 배치된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용 리더에서 제1 가변형 리더부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형 리더부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정면도.
도 11a는 도 9의 평면도.
도 11b는 도 9의 가이드 관 측부에 PBD 관이 배치된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용 리더에서 고정형 리더부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제2 가변형 리더부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정면도.
도 14a는 도 12의 평면도.
도 14b는 도 12의 가이드 관 측부에 PBD 관이 배치된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용 리더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리더가 적용된 천공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리더가 적용되는 천공장치(10)는, 주행운전장비(20)와 드레인재를 압입시키는 압입장치(50) 및 드레인재를 지지하는 리더(1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주행운전장치(20)는 장치의 이동 주행과 전체적인 작동을 운전 및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주행운전장비(20)에는 리더(100)를 결합 및 이를 각도 조절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크랭크 암(30)이 설치될 수 있다.
리더(100)는, 주행운전장비(20)가 갖는 크랭크 암(30)에 결합되어 일정 길이만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프레임에 트러스바를 연결하여 하중에 견딜 수 있게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트러스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리더(100)는 지반의 상태나 드레인재의 길이에 따라 전체적인 길이가 달라질 수 있으며, 기울기 센서가 장착되어 주행운전장비(20)의 탑승실로 감지 신호를 보내 수직 방향의 배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수직 방향의 배치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더(100)의 하부 영역, 즉 드레인재를 압입하기 위한 연약지반 상에는 드레인재를 지지 및 압입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압입장치(50)가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압입장치(50)는 드레인재와의 접촉 면적을 높일 수 있도록 상하에 걸쳐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쌍의 회전부들이 배치된 것이 적용됨으로써, 드레인재를 지중에 압입 처리시 편심 없이 압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됨은 물론 안정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압입장치(50)에 의해 드레인재가 지지되어 편심 없이 수직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지중에 압입 처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압입장치(50)가 배제되고, 종래에서와 같이 실린더의 구동에 의하거나 자중에 의해 드레인재를 지중에 압입시킬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용 리더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용 리더에서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베이스 리더부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용 리더(100)는, 일정 길이의 베이스 리더부(200)와, 이 베이스 리더부(200)와 상부 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제1 가변형 리더부(300)와, 이 제1 가변형 리더부(300)의 상부 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고정형 리더부(400) 및 이 고정형 리더부(400)의 상부 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제2 가변형 리더부(5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고정형 리더부(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 개가 연속해서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용 리더(100)에서는, 고정형 리더부(400)가 복수 개로 배치되고, 베이스 리더부(200)와, 제1 가변형 리더부(300) 및 제2 가변형 리더부(500)는 각각 하나씩만 배치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베이스 리더부(200)도 하나 이상의 복수 개로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용 리더(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 리더부(200), 제1 가변형 리더부(300), 고정형 리더부(400) 및 제2 가변형 리더부(500)가 종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결되어 전체적인 길이가 매우 길게 형성되는바, 바람 등에 의한 휨이나 또는 자중에 의한 휨에 의해 기울어지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전도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마다 횡 방향의 지지대(600,610,620)들을 설치하고, 이 지지대(600,610,620)들을 이용하여 리더(100)와 후술되는 가이드 관(700)을 와이어(630)들로 연결하여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 리더부(200)의 상단 부위에 수평 방향을 이루는 제1 지지대(600,610)를 설치하고, 이 제1 지지대(600,610)와 제1 가변형 리더부(300), 제1 지지대(600,610)와 고정형 리더부(400), 제1 지지대(600,610)와 제2 가변형 리더부(500)를 각각 와이어(630)들로 연결하여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변형 리더부(500)의 상단 부위에도 수평 방향을 이루는 제2 지지대(620)를 설치하고, 이 제2 지지대(620)와 후술되는 가이드 관(700)을 각각 와이어들(630)로 연결하여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리더부(200)는, 4점에 대해서 일정 길이만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지주, 제2 지주, 제3 지주 및 제4 지주(310)를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지주(210)들 사이에 수평 및/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트러스바(220)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리더부(200)는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 대략 사각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이 때 바람직하게는 정 사각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이와 같이, 베이스 리더부(200)는 리더(100)의 하측에 배치됨에 따라 하중에 제대로 견딜 수 있도록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 베이스 리더부(200)의 각 지주(210)들 상단에는 제1 가변형 리더부(3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제1 결합구(23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용 리더에서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제1 가변형 리더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며, 도 8a는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 도 6 내지 도 8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용 리더(100)에서, 베이스 리더부(2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 리더부(200)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일정 길이의 제1 가변형 리더부(300)는,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 하단 부위는 사각 형상을 이루되, 상단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좁아짐에 따라 삼각 형상을 이루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가변형 리더부(300) 또한 앞서 설명한 베이스 리더부(200)와 마찬가지로, 4점에 대해서 일정 길이만큼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지주(302), 제2 지주(304), 제3 지주(306) 및 제4 지주(308)를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지주(310 : 302,304,306,308)들 사이에 수평 및/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트러스바(330)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1 지주 내지 제4 지주(310 : 302,304,306,308)들 중, 2개의 지주(306,308)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나머지 2개의 인접하는 지주(302,304)는 상부로 갈수록 그 간격이 서로 좁아지면서 상부 끝단이 서로 맞닿도록 경사진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변형 리더부(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 상에서 바라볼 때에는 사각 형상을 이루는 반면,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에는 삼각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가변형 리더부(300)를 이루는 4개의 지주(310)들 즉, 제1 지주(302), 제2 지주(304), 제3 지주(306) 및 제4 지주(308) 중,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지주(302,304)들이 상부로 갈수록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 각 지주(310 : 302,304,306,308)들을 수평 및/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트러스바(330)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그 전체적인 중량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즉, 제1 가변형 리더부(300)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베이스 리더부(200)에 비하여 트러스바(330)의 개수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일부 영역에서는 트러스바의 구성을 배제할 수 있게 됨으로써, 결국 제1 가변형 리더부(300)의 중량은 베이스 리더부(200)의 중량 보다 가벼워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베이스 리더부(200)와 제1 가변형 리더부(300)의 각 길이가 동일하다고 가정하는 경우, 제1 가변형 리더부(300)는 베이스 리더부(200)에 비해 트러스바(330)의 개수가 줄고, 일부 영역에서는 짧은 트러스바를 적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베이스 리더부(200)는 제1 가변형 리더부(300)에 비하여 중량이 가벼워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도의 가능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게 되어 시공 안전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1 가변형 리더부(300)에는 내측 중앙 부위에 수직 방향으로 드레인재가 통과되기 위한 통과 홀(710)을 갖는 가이드 관(700)이 배치될 수 있는데, 이 때 가이드 관(700)은 제1 가변형 리더부(300)의 각 지주(310 : 302,304,306,308)들로부터 연결되는 복수의 브래킷(360)들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브래킷(360)들에는 복수의 통공(362)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바람 등의 영향으로 제1 가변형 리더부(300)를 포함한 리더(100) 전체가 한 쪽 방향으로 기우는 것을 예방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브래킷(360)들이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강풍이 불게 되면, 브래킷(360)들이 강풍에 대한 저항을 발휘하여 한 쪽 방향으로 밀리면서 기울어질 우려가 있게 되는데, 이 때 복수의 브래킷(360)들에는 각각 복수의 통공(362)들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 통공(362)들을 통해 바람이 통과됨으로써, 바람에 대한 저항을 받지 않게 되어 기울어짐 등이 예방될 수 있게 된다.
또 한편, 도 6을 다시 한 번 참조하면, 하측 부위에 4점으로 배치된 각 지주(310 : 302,304,306,308)들의 하단부에는 베이스 리더부(200)의 제1 결합구(23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제2 결합구(3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베이스 리더부(200)와 제1 가변형 리더부(300)는 제1 결합구(230) 및 제2 결합구(32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동일 수직 선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1 가변형 리더부(300)의 상부에는 단면 형상이 삼각 형상을 이루는 고정형 리더부(400)가 종 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8b는 도 6의 가이드 관 측부에 PBD 관이 배치된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 8b를 참조하면, 가이드 관(700)의 일측에는 드레인재와 함께 지중에 압입되는 PBD를 안내하기 위한 PBD 관(72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용 리더에서 제1 가변형 리더부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형 리더부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정면도이며, 도 11a는 도 9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 도 9 내지 도 11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용 리더(100)에서, 제1 가변형 리더부(3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가변형 리더부(300)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일정 길이의 고정형 리더부(4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 삼각 형상을 이루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형 리더부(400)는, 3점에 대하여 일정 길이만큼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지주(402), 제2 지주(404) 및 제3 지주(406)를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지주(410 : 402,404,406)들 사이에 수평 및/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트러스바(420)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고정형 리더부(400)의 각 지주(410 : 402,404,406)들은, 제1 가변형 리더부(300)의 상단 부위 지주(310 : 302,304,306,308)들과 마찬가지로 삼각 형상을 이루게 되는바, 고정형 리더부(400)의 하단 부위에 형성된 결합구와, 제1 가변형 리더부(300)의 상단 부위에 형성되는 결합구를 결합시킴에 따라 종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고정형 리더부(400)의 각 지주(410 : 402,404,406)들 중, 어느 하나의 지주는 제1 가변형 리더부(300)부에서 두 개의 지주(302,304)가 모인 상단 부위와 결합이 이루어지고, 다른 두 개의 지주는 제1 가변형 리더부(300)에서 각각 수직 방향을 이루는 다른 두 개의 지주(306,308)과 각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형 리더부(400)는 그 상단 부위가 삼각 형상을 이루는 제1 가변형 리더부(300)의 상부와 종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배치됨에 따라 상측 부위와 하측 부위의 단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되는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복수 개가 연속해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형 리더부(400)는 베이스 리더부(200)와 달리 삼각 형상을 이루게 됨에 따라 각 지주(410 : 402,404,406)들을 수평 및/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트러스바(420)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그 전체적인 중량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형 리더부(400)는 제1 가변형 리더부(300)에 비해서도 복수의 트러스바(420)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그 전체적인 중량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즉, 제1 가변형 리더부(300)의 경우, 베이스 리더부(200)에 비해 중량이 줄어들기는 하지만, 하부 영역은 사각 형상을 이루게 되는 반면, 고정형 리더부(400)는 전체 영역이 삼각 형상을 이루게 되는바, 고정형 리더부(400)는 베이스 리더부(200)는 물론 제1 가변형 리더부(300)에 비해서 그 중량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고정형 리더부(400)에는 내측 중앙 부위에 수직 방향으로 드레인재가 통과되기 위한 통과 홀(710)을 갖는 가이드 관(700)이 배치될 수 있는데, 이 때 가이드 관(700)은 고정형 리더부(400)의 각 지주(410 : 402,404,406)들로부터 연결되는 복수의 브래킷(430)들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브래킷(430)들에는 복수의 통공(432)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바람 등의 영향으로 고정형 리더부(400)를 포함한 리더(100) 전체가 한 쪽 방향으로 기우는 것을 예방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브래킷(430)들이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강풍이 불게 되면, 브래킷(430)들이 강풍에 대한 저항을 발휘하여 한 쪽 방향으로 밀리면서 기울어질 우려가 있게 되는데, 이 때 복수의 브래킷(430)들에는 각각 복수의 통공(432)들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 통공(432)들을 통해 바람이 통과됨으로써, 바람에 대한 저항을 받지 않게 되어 기울어짐 등이 예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고정형 리더부(400)의 상부에는 상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삼각뿔 형상을 이루는 제2 가변형 리더부(500)가 종 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1b는 도 9의 가이드 관 측부에 PBD 관이 배치된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 11b를 참조하면, 가이드 관(700)의 일측에는 드레인재와 함께 지중에 압입되는 PBD를 안내하기 위한 PBD 관(72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용 리더에서 고정형 리더부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제2 가변형 리더부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정면도이며, 도 14a는 도 12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 도 12 내지 도 14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용 리더(100)에서, 고정형 리더부(4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형 리더부(400)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일정 길이의 제2 가변형 리더부(5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 삼각 삼각 형상을 이루되, 상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삼각뿔 형상을 이루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가변형 리더부(500)는, 3점에 대하여 일정 길이만큼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지주(502), 제2 지주(504) 및 제3 지주(406)를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지주(510 : 502,504,506)들 사이에 수평 및/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트러스바(520)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가변형 리더부(500)의 각 지주(510 : 502,504,506)들은, 고정형 리더부(400)의 지지(410 : 402,404,406)들과 마찬가지로 삼각 형상을 이루게 되는바, 제2 가변형 리더부(500)의 하단 부위에 형성되는 결합구와, 고정형 리더부(400)의 상단 부위에 형성되는 결합구를 결합시킴에 따라 종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2 가변형 리더부(500)의 각 지주(510 : 502,504,506)들은, 상부로 갈수록 각 단이 서로 맞닿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며, 이에 따라 제2 가변형 리더부(500)의 각 지주(510 : 502,504,506)들의 상단 부위는 서로 한 지점에서 모이게 되어 결국 삼각뿔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제2 가변형 리더부(500)는 고정형 리더부(400)와 달리 삼각뿔 형상을 이루게 됨에 따라 각 지주(510 : 502,504,506,508)들을 수평 및/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트러스바(520)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그 전체적인 중량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가변형 리더부(500)는, 앞서 설명한 이유에 따라 베이스 리더부(200) 및 제1 가변형 리더부(300)에 비해서도 현저히 그 중량이 줄어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2 가변형 리더부(500)에는 내측 중앙 부위에 수직 방향으로 드레인재가 통과되기 위한 통과 홀(710)을 갖는 가이드 관(700)이 배치될 수 있는데, 이 때 가이드 관(700)은 제2 가변형 리더부(500)의 상부 쪽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가변형 리더부(500)의 각 지주(510 : 502,504,506)들의 상단 부위는 각각 가이드 관(70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모이게 되는바, 이들 지주(510 : 502,504,506)들에 의해 가이드 관(700)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참고로, 제2 가변형 리더부(500)를 통과하는 가이드 관(700)의 경우, 각 지주(510 : 502,504,506)들의 상단 부위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제1 가변형 리더부(300) 및 고정형 리더부(400)에서와 같은 브래킷의 구성은 배제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동일한 구성의 브래킷을 적용하여 가이드 관(700)의 지지를 보다 향상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제2 가변형 리더부(500)의 내측을 통과하는 가이드 관과, 고정형 리더부(400)의 내측을 통과하는 가이드 관 및 제1 가변형 리더부(300)의 내측을 통과하는 가이드 관은 동일 수직 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서로 그 통과 홀들이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드레인재가 수직 방향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지중에 압입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참고로, 도 14b는 도 12의 가이드 관 측부에 PBD 관이 배치된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 14b를 참조하면, 가이드 관(700)의 일측에는 드레인재와 함께 지중에 압입되는 PBD를 안내하기 위한 PBD 관(72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용 리더(100)는, 상부 쪽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좁아짐에 따라 전체 중량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전도의 위험성이 크게 줄어들게 됨은 물론 전도 방지를 위한 부수적인 구조물들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전체적인 중량이 크게 줄어들어 제작 비용도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측에 배치되어 비교적 큰 하중을 받게 되는 베이스 리더부(200)의 경우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베이스 리더부(200)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제1 가변형 리더부(300)의 경우에는, 베이스 리더부(2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측 부위는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부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져서 삼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트러스바(330)들의 개수를 줄이거나 일부에서는 그 길이를 짧게 하여 전체적인 중량을 줄일 수 있게 되는바, 역시 전도 방지의 우려가 불식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변형 리더부(300)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고정형 리더부(400)의 경우에는, 제1 가변형 리더부(300)의 상단 부위와 대응하도록 삼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트러스바(420)들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전체적인 중량을 줄일 수 있게 되는바, 역시 전도 방지의 우려가 불식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고정형 리더부(400)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제2 가변형 리더부(500)의 경우에는, 고정형 리더부(400)의 상단 부위와 대응하도록 삼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삼각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트러스바(520)들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전체적인 중량을 줄일 수 있게 되는바, 역시 전도 방지의 우려가 불식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전체 길이 중, 하부 쪽에서 상부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중량이 줄어드는 리더(100)가 제공됨으로써, 하부 쪽에서 받는 하중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는바, 전도 방지의 우려가 불식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전체적인 리더(100)의 중량을 줄이게 됨에 따라 연연약지반에 출입하는 천공장치의 전체적인 중량이 줄어들게 되는바, 연약지반 상에 별도의 기초 공사 등을 수행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시공비가 줄어들게 됨은 물론 시공성 또한 크게 향상되는 경제적인 실익을 거둘 수 있게 된다.
또한, 리더(100)의 중앙 부위에는 드레인재가 수직 방향으로 지중에 압입되도록 하기 위한 수직 방향의 가이드 관(700)이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바, 드레인재가 편심 없이 압입장치(50)를 통해 지중에 압입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천공장치 50 : 압입장치
100 : 리더 200 : 베이스 리더부
210 : 지주 220 : 트러스바
230 : 제1 결합구 300 : 제1 가변형 리더부
302 : 제1 지주 304 : 제2 지주
306 : 제3 지주 308 : 제4 지주
310 : 지주 320 : 제2 결합구
330 : 트러스바 360 : 브래킷
362 : 통공 400 : 고정형 리더부
402 : 제1 지주 404 : 제2 지주
406 : 제3 지주 410 : 지주
420 : 트러스바 430 : 브래킷
432 : 통공 500 : 제2 가변형 리더부
502 : 제1 지주 504 : 제2 지주
506 : 제3 지주 510 : 지주
520 : 트러스바 600,610 : 제1 지지대
620 : 제2 지지대 630 : 와이어
700 : 가이드 관 710 : 통과 홀

Claims (18)

  1. 연약지반 상에 압입되는 드레인재를 지지하기 위하여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배치되는 리더에 있어서,
    상기 연약지반 상에 일정 길이로 배치되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베이스 리더부;
    상기 베이스 리더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하단 부위는 사각 프레임 형상을 이루고,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면서 상단 부위는 삼각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제1 가변형 리더부; 및
    상기 제1 가변형 리더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삼각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고정형 리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용 리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변형 리더부는,
    4점에 대해서 일정 길이만큼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지주, 제2 지주, 제3 지주 및 제4 지주를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지주들 사이에 수평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트러스바를 포함하되,
    상기 지주들 중, 2개의 지주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나머지 다른 2개의 인접하는 지주는, 상부로 갈수록 그 간격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좁아지면서 상부 끝단이 서로 맞닿도록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용 리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변형 리더부의 상기 지주들 하단에는,
    상기 베이스 리더부와 결합되기 위한 제2 결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용 리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변형 리더부는,
    저면에서 바라볼 때 사각 형상을 이루고, 평면에서 바라볼 때 삼각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용 리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변형 리더부의 내측 중앙 부위에는,
    수직 방향으로 드레인재가 통과되기 위한 통과 홀을 갖는 가이드 관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용 리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관은,
    상기 제1 가변형 리더부의 각 지주들로부터 연결되는 복수의 브래킷들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용 리더.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들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용 리더.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리더부는,
    3점에 대해서 일정 길이만큼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지주, 제2 지주, 제3 지주를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지주들 사이에 수평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트러스바를 포함하며, 그 단면 형상이 삼각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용 리더.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리더부의 내측 중앙 부위에는,
    수직 방향으로 드레인재가 통과되기 위한 통과 홀을 갖는 가이드 관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용 리더.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관은,
    상기 고정형 리더부의 각 지주들로부터 연결되는 복수의 브래킷들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용 리더.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들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용 리더.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리더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삼각뿔 형상을 이루는 제2 가변형 리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용 리더.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변형 리더부는,
    3점에 대해서 일정 길이만큼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지주, 제2 지주, 제3 지주를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지주들 사이에 수평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트러스바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들이 상부로 갈수록 그 간격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좁아지면서 상부 끝단이 서로 맞닿도록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삼각뿔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용 리더.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변형 리더부의 내측 중앙 부위에는,
    수직 방향으로 드레인재가 통과되기 위한 통과 홀을 갖는 가이드 관이 배치되되, 상기 가이드 관은 상기 지주들의 상부 끝단이 서로 맞닿는 부위를 지나 상부 쪽으로 일정 길이만큼 더 돌출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용 리더.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변형 리더부의 상부 끝단 부위에는 횡 방향의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와 상기 돌출되는 가이드 관은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용 리더.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리더부는,
    4점에 대해서 일정 길이만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지주, 제2 지주, 제3 지주 및 제4 지주를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지주들 사이에 수평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트러스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용 리더.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리더부의 상기 지주들 상단에는 상기 제1 가변형 리더부와 결합되기 위한 제1 결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용 리더.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리더부 또는 상기 베이스 리더부의 하부 영역에는 상기 드레인재를 편심 없이 수직 방향으로 압입시키기 위한 압입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용 리더.
KR2020180000106U 2017-07-24 2018-01-09 천공장치용 리더 KR20048884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03833 2017-07-24
KR2020170003833 2017-07-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289U true KR20190000289U (ko) 2019-02-01
KR200488849Y1 KR200488849Y1 (ko) 2019-03-27

Family

ID=65364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106U KR200488849Y1 (ko) 2017-07-24 2018-01-09 천공장치용 리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849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945A (ko) 2014-12-12 2016-06-22 주식회사 코캄 이차전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322Y1 (ko) * 2007-07-31 2009-07-21 주식회사 드림엔지니어링 굴삭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945A (ko) 2014-12-12 2016-06-22 주식회사 코캄 이차전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849Y1 (ko)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10725C2 (ru) Фрез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разработки грунта
CN105672642A (zh) 间距可调的双导架多级升降工作平台及其施工方法
KR200488849Y1 (ko) 천공장치용 리더
KR200488848Y1 (ko) 천공장치용 리더
DE2725742C2 (de) Aus plattenförmigen Deckenelementen aufgebaute Decke
US553322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idge construction
KR101206931B1 (ko) 거푸집 판넬 리프트
EP2216453A2 (en) Roof lifting device
RU2308572C1 (ru) Способ модернизации самоподъемной морской платформы
DE2655677A1 (de) Bausatz fuer ein transportables fertighaus, insbesondere wohnhaus
EP2665672B1 (de) Handlauf für fahrsteig
KR100532852B1 (ko)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드레인 시공장비
EP2037058B1 (en) Floor element with lifting tools
CN107532430A (zh) 用于游泳池或中空腔体的移动式底部设备
KR102003774B1 (ko)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
ITBO20050546A1 (it) Metodo per sollevare un manufatto edilizio
KR101871418B1 (ko)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KR100417217B1 (ko) 복수공 이상의 페이퍼 드레인보드 시공방법 및 타입장치
KR200367259Y1 (ko) Rc 역타공법에 적용되는 거더 거푸집 하강장치
CN206448439U (zh) 一种三跨预制密肋楼板
DE2523732C3 (de) Anlage zum Abteufen in den Boden und Herausziehen aus dem Boden von Tragoder Hilfselementen, die bei der Herstellung von Pfahlgründungen verwendet werden
CN220013404U (zh) 一种主缆索股双线往复式牵引***牵拉钢丝绳的转向装置
CN109138251A (zh) 一种交叉张弦梁单元和交叉张弦梁屋盖体系及其施工方法
KR102284035B1 (ko) Pbd 공법용 드레인재 압입장치
CN220318791U (zh) 一种便于施工的分离式pbl抗剪预埋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