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238U - 라면 자판기 - Google Patents

라면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238U
KR20190000238U KR2020170003740U KR20170003740U KR20190000238U KR 20190000238 U KR20190000238 U KR 20190000238U KR 2020170003740 U KR2020170003740 U KR 2020170003740U KR 20170003740 U KR20170003740 U KR 20170003740U KR 20190000238 U KR20190000238 U KR 201900002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nit
ramen
protruding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7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태
Original Assignee
이용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태 filed Critical 이용태
Priority to KR20201700037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238U/ko
Publication of KR201900002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23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07F17/0078Food articles which need to be processed for dispensing in a hot or cooked condition, e.g. popcorn, nu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9/061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의 가열수단을 구비하여 복수의 라면을 동시에 끓여 두 명의 사용자가 불지 않은 라면을 같이 취식할 수 있음은 물론 자판기 내부에서 끓여져 노출되는 라면을 더 끓여 라면의 익힘 정도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라면을 취식할 수 있는 라면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라면 자판기{Ramen vending machine}
본 고안은 라면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가열수단을 구비하여 복수의 라면을 동시에 끓여 먹을 수 있도록 하는 라면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면은 라면이 내장된 컵에 스프 및 끓는 물을 넣는 컵라면과, 끓는 물에 라면과 스프를 넣고 취향에 따라 각종 양념을 추가하여 조리하도록 된 봉지라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컵라면은 사용자가 온수를 직접 넣어야 하며, 봉지 라면에 비해 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라면을 직접 끓여 판매하는 라면 자판기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라면 자판기의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01713호로 라면 자동 판매장치가 공개된 바 있다.
선 공개된 특허는 지폐나 동전으로 일정금액이 결제되면, 라면과 스프가 공급되는 용기를 전기로 가열하여 조리한 후, 배출함으로써 봉지 라면 특유의 맛을 유지하는 라면을 먹을 수 있었다.
그러나 선 공개된 특허는 하나의 용기로 라면을 끓여 사용자에게 공급함으로써,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끓인 라면을 원할 경우, 두 명 이상의 사용자는 라면을 같이 먹을 수 없거나, 어느 한 명의 사용자는 다른 한 명의 사용자보다 면발이 불은 라면을 먹을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01713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가열수단을 구비하여 복수의 라면을 동시에 끓여 먹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자판기 내부에서 끓여져 노출되는 라면의 익힘 정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 라면 자판기는,
라면이 담긴 용기들이 적재부에 적재되면서 복수의 출몰 불판 유닛과 대응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자판 본체와;
상기 라면이 담긴 용기를 복수의 출몰 불판 유닛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용기 이송 유닛과;
상기 용기 이송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용기를 가열하여 라면을 끓이도록 하는 복수의 출몰 불판 유닛과;
상기 출몰 불판 유닛을 자판 본체에 대응되는 배출부 측으로 각각 밀어내는 출몰 이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 이송 유닛은,
상기 적재부 하부에 적재부로부터 공급되는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용기를 모터의 동력으로 좌·우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출몰 불판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출몰 불판 유닛으로 이송하는 용기 이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이송부재 외주면에 용기를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대향하게 구비된다.
상기 출몰 이동부는,
상기 자판 본체에 수평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불판부의 저면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레일모듈과;
상기 레일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레일모듈을 신축시키는 볼스크류 모듈과;
상기 볼스크류 모듈을 가동시키는 출몰 구동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모듈의 단부에는 자판 본체의 배출 도어를 밀어내는 개폐롤러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복수의 가열수단을 구비하여 복수의 라면을 동시에 끓여 두 명의 사용자가 불지 않은 라면을 같이 취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자판기 내부에서 끓여지는 라면의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하면서 라면을 더 끓여 라면의 익힘 정도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라면을 취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라면 자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라면 자판기의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라면 자판기의 평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정면 구성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고안이 적용된 용기를 어느 하나의 불판 출몰 유닛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도
도 10 내지 1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용기를 다른 하나의 불판 출몰 유닛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도
도 14는 본 고안이 적용된 2개의 불판 출몰 유닛에 용기가 안착되어 라면을 조리하는 상태도
도 15 내지 도 16은 본 고안이 적용된 불판 출몰 유닛을 배출부로 배출하는 상태도
도 17은 본 고안이 적용된 배출부로 배출된 용기의 라면을 조리하는 상태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라면 자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라면 자판기의 측면 구성도이다.
본 고안 라면 자판기(100)는, 자판 본체(110), 용기 이송 유닛(120), 불판 출몰 유닛(130), 출몰 이동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자판 본체(110)는 내부에 라면이 담긴 용기(10)들이 적재되는 적재부(111)가 구성되고, 전면에 라면이 끓여진 용기(10)가 배출되는 배출부(112)가 구성되는데, 상기 배출부(112)는 출몰 불판 유닛(130)이 복수 개로 형성됨에 따라 출몰 불판 유닛(120)과 각각 대응될 수 있도록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자판 본체(110) 전면의 상단부에는 라면의 조리 시간 안내 및 광고 상영을 위한 디스플레이부(113)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3) 하부에 라면 조리 시간 안내 및 한 번 끓일 수 있도록 설정하는 세팅부(114)가 구비되며, 그 옆으로 결제수단(115)이 구비되는데, 상기 결제수단(115)은 지폐 출입구, 동전 투입구, 동전 반환구 및 카드 결제가 가능한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재부(111)는 상하 방향으로 기다란 박스 형상의 구조물로 용기(10)를 적재하는 공간이며, 전면에 용기(10)의 적재를 안내하면서 용기(10)의 적층된 상태를 유지하는 도어가 설치된다.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용기 이송 유닛(120)은, 안착부(121), 용기 이송부재(122)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121)는 상기 적재부(111) 하부에 적재부(111)로부터 공급되는 용기(10)가 안착된다.
상기 용기 이송부재(122)는 상기 안착부(121) 하부에 장착되어 모터의 동력으로 좌·우로 회전하면서 용기(10)를 복수의 출몰 불판 유닛(130) 중 어느 하나의 출몰 불판 유닛(130)으로 이송시키는 구성이며, 상기 용기 이송부재(122)의 양측 단부에 용기(10)를 가압하면서 이송시킬 수 있는 가압부재(122')가 수직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 이송부재(122)는 용기(10)의 편심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몰 불판 유닛(130)은 상기 안착부(121)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용기 이송 유닛(120)으로부터 공급되는 용기(10)를 가열하여 끓일 수 있는 전기히터이다.
상기 출몰 이동부(140)는 레일모듈(141), 볼스크류 모듈(142), 출몰 구동 모터(143)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모듈(141)은 상기 자판 본체(110)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한 쌍으로 구성되어 출몰 불판 유닛(130)의 저면부를 지지한다.
상기 볼스크류 모듈(142)은 상기 출몰 구동 모터(143)의 구동으로 레일모듈(141)을 신축시키는 구성으로 레일모듈(141) 연결된다.
상기 레일모듈(141)의 단부에는 자판 본체(110)의 배출 도어를 밀어내는 개폐롤러(144)를 더 포함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라면 자판기(100)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라면과 스프가 넣어진 용기(10)가 자판 본체(110)의 적재부(111)에 적재된 상태에서 결제수단(115)을 통해 라면 구입 비용을 결제하면, 도 5와 같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적재부(111)에 적재된 용기(10)가 용기 이송 유닛(120)의 안착부(121)에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10)에 스프가 넣어진 상태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안착부(121)에 안착된 용기(10)에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일정량의 스프를 넣을 수도 있다.
상기 안착부(121)에 용기(10)가 안착되면, 주입 펌프(미도시)에 의해 일정량의 물이 용기(10)에 주입되고, 이 상태에서 도 6 내지 도 9와 같이, 용기 이송부재(122)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모터(미도시)의 좌측으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출몰 불판 유닛(130) 중 어느 하나의 출몰 불판 유닛(130)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용기(10)는 용기 이송부재(122)의 좌측 회전과 동시에 용기 이송부재(122)의 양측에 돌출된 가압부재(122')가 용기(10)를 가압하면서 출몰 불판 유닛(130)으로 이송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가압부재(122')의 가압에 따라 어느 하나의 출몰 불판 유닛(130)의 중앙에 용기(10)가 위치하면서 용기 이송부재(122)는 회전을 정지하게 된다.
상기 용기(10)가 출몰 불판 유닛(130)의 중앙에 위치하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기히터인 출몰 불판 유닛(130)에 전원이 공급되고, 공급되는 전원으로 용기(10) 내부의 라면과 물을 가열하여 1분 이내로 끓여지게 한다.
또한, 상기 용기(10)의 라면을 어느 하나의 출몰 불판 유닛(130)에서 끓이고 있는 상태에서 결제수단(115)을 통해 라면 구입 비용이 결제되면, 도 10과 같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적재부(111)에 적재된 용기(10)가 용기 이송 유닛(120)의 안착부(121)에 안착된다.
상기 안착부(121)에 용기(10)가 안착되면, 주입 펌프(미도시)에 의해 일정량의 물이 용기(10)에 주입되고, 이 상태에서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용기 이송부재(122)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모터(미도시)의 우측으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출몰 불판 유닛(130) 중 다른 하나의 출몰 불판 유닛(130)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용기(10)는 용기 이송부재(122)의 우측 회전과 동시에 용기 이송부재(122)의 양측에 돌출된 가압부재(122")가 용기(10)를 가압하면서 다른 하나의 출몰 불판 유닛(130)으로 이송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가압부재(122")의 가압에 따라 출몰 불판 유닛(130)의 중앙에 용기(10)가 위치하면서 용기 이송부재(122)는 회전을 정지하게 된다.
도 14와 같이, 어느 하나의 출몰 불판 유닛(130)에서 용기(10)의 라면을 끓이고 있는 상태에서도 다른 하나의 출몰 불판 유닛(130)에서 용기(10)의 라면을 동시에 끓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라면이 끓여지면, 도 15 내지 도 16과 같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출몰 이동부(140)의 구동 모터(143)가 정방향으로 구동되고, 상기 구동 모터(143)의 구동으로 볼스크류 모듈(142)이 작동하면서 출몰 불판 유닛(130)의 저면부를 지지한 레일모듈(141)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레일모듈(141)은 2단 또는 2단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호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볼스크류 모듈(142)은 스크류 환봉과 이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암 스크류 또는 스크류 환봉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류 베어링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143)는 볼스크류 모듈(142)를 가동시키는 구성요소로, 풀리와 벨트 혹은 기어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볼스크류 모듈(142)에 의해 레일모듈(141)이 전방으로 이동될 때, 도 17과 같이, 상기 레일모듈(141)의 단부에 설치된 개폐롤러(144)가 자판 본체(110)의 배출 도어를 회전하여 밀어냄과 동시에 개방되는 배출부(112)로 레일모듈(141)의 선단과 출몰 불판 유닛(130) 및 출몰 불판 유닛(130)에 안착된 용기(10)가 노출된다.
이때, 상기 배출부(112)는 출몰 불판 유닛(130)과 대응되는 배출부이다.
상기 배출부(112)로 노출된 용기(10)의 라면은 출몰 불판 유닛(130)에 놓여 끓여진 상태로 배출되며, 세팅부(114)에서 표기되는 라면 조리시간 및 용기(10) 내의 라면 상태를 보고 사용자는 그대로 취식할 것인지 더 끓일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10) 내의 라면을 더 끓이려면, 세팅부(114)를 통해 용기(10) 내의 라면을 더 끓일 수 있도록 설정하고, 사용자는 용기(10) 상의 끓여진 라면을 휘저으면서 직접 조리하는 것처럼 라면을 끓일 수 있다.
상기 라면의 조리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젓가락 인출부(미도시)로부터 배출되는 젓가락 및 용기(10)를 들고 이동한 상태에서 젓가락으로 라면을 취식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용기(10)가 출몰 불판 유닛(120)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출몰 불판 유닛(120)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출몰 이동부(140)의 구동 모터(143)가 역방향으로 구동하고, 상기 구동 모터(143)의 구동으로 볼스크류 모듈(142)이 작동하면서 모듈레일(141)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원래의 위치에 위치시킨다.
상기 모듈레일(141)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개폐롤러(144)가 배출도어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배출도어의 개방에 따른 회전 방향과 반대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 힌지축(미도시)으로 연결된 배출도어는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배출부(112)를 폐쇄시키면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13)에서는 영상 정보를 전송 가능한 통신 수단에 의해 입력된 광고 영상을 보여주거나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을 반복하여 보여줄 수 있으므로 광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라면 자판기 110: 자판 본체
120: 용기 이송 유닛 130: 불판 출몰 유닛
140: 출몰 이동부

Claims (4)

  1. 라면이 담긴 용기들이 적재부에 적재되면서 복수의 출몰 불판 유닛과 대응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자판 본체와;
    상기 라면이 담긴 용기를 복수의 출몰 불판 유닛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용기 이송 유닛과;
    상기 용기 이송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용기를 가열하여 라면을 끓이도록 하는 복수의 출몰 불판 유닛과;
    상기 출몰 불판 유닛을 자판 본체에 대응되는 배출부 측으로 각각 밀어내는 출몰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자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이송 유닛은,
    상기 적재부 하부에 적재부로부터 공급되는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용기를 모터의 동력으로 좌·우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출몰 불판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출몰 불판 유닛으로 이송하는 용기 이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이송부재 외주면에 용기를 가압하면서 이송시킬 수 있는 가압부재가 대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자판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몰 이동부는,
    상기 자판 본체에 수평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출몰 불판 유닛의 저면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레일모듈과;
    상기 레일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레일모듈을 신축시키는 볼스크류 모듈과;
    상기 볼스크류 모듈을 가동시키는 출몰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자판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일모듈의 단부에는 자판 본체의 배출 도어를 밀어내는 개폐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자판기.
KR2020170003740U 2017-07-18 2017-07-18 라면 자판기 KR2019000023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740U KR20190000238U (ko) 2017-07-18 2017-07-18 라면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740U KR20190000238U (ko) 2017-07-18 2017-07-18 라면 자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238U true KR20190000238U (ko) 2019-01-29

Family

ID=65266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740U KR20190000238U (ko) 2017-07-18 2017-07-18 라면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23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727B1 (ko) 2023-05-30 2024-02-23 주식회사 금홍종합상사 대량의 음식물 조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713A (ko) 1999-06-08 2001-01-05 남찬우 라면 자동 판매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713A (ko) 1999-06-08 2001-01-05 남찬우 라면 자동 판매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727B1 (ko) 2023-05-30 2024-02-23 주식회사 금홍종합상사 대량의 음식물 조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268887U (zh) 自动售饭机
US3442200A (en) Food vending apparatus
KR20190000238U (ko) 라면 자판기
CN207268885U (zh) 盒类包装商品售货机的货道
KR20180045959A (ko)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JP2021513156A (ja) 自動販売機
KR200405160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TWM466324U (zh) 熱食自動販賣機
KR20060001838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101067857B1 (ko) 자동판매기
KR100966792B1 (ko) 즉석식품 자판기
CN207268888U (zh) 盒类包装商品自动售货机的x轴自动校正搬运装置
KR20060001840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101341528B1 (ko) 식품 자판기
KR200486796Y1 (ko)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KR200405163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102234781B1 (ko) 라면자판기를 구비한 자동차
KR20230001868A (ko) 라면 자동 판매기
CN208061333U (zh) 一种货架组件
KR100378877B1 (ko) 이송기구 및 이를 사용하는 자동 판매기
CN210619585U (zh) 打饭机用的翻转式上饭装置
KR200406804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20090097470A (ko) 인스턴트식품 자동판매기
JP5309960B2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CN213695480U (zh) 自动烤地瓜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