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6681A -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 - Google Patents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681A
KR20180136681A KR1020170075714A KR20170075714A KR20180136681A KR 20180136681 A KR20180136681 A KR 20180136681A KR 1020170075714 A KR1020170075714 A KR 1020170075714A KR 20170075714 A KR20170075714 A KR 20170075714A KR 20180136681 A KR20180136681 A KR 20180136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outer container
container
inner container
dra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호
Original Assignee
최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1020170075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6681A/ko
Publication of KR20180136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6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기재된 내용은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에 관한 것으로써, 상측이 개방된 반구 형상의 외부용기와, 상측이 개방된 반구 형상을 가지며, 바닥면에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포개져 수용되는 내부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부용기는 마주하는 양측에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손잡이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수용부에는 이탈방지구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용기는 마주하는 양측에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손잡이가 형성되어 손잡이의 하부가 상기 손잡이 수용부에 끼워지며,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이탈방지구가 끼워져 안내될 수 있도록 탈착공을 가지는 안내슬롯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Mixing ball with drainage function of washing water}
기재된 내용은 음식물을 담거나 세척시 사용될 수 있는 세척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에 관한 것이다.
우선, 이하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후술 되는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에 대한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배경이 되는 기술에 언급된 내용이 종래 기술로 단정될 필요는 없다.
일반적으로 믹싱볼은 쌀, 과일, 아채 등을 세척하거나 무침 요리, 반죽 등을 할 때 사용하는 대략 반구형의 그릇을 말한다.
이러한 믹싱볼을 사용함에 있어서, 믹싱볼을 이용하여 쌀이나 과일이나 야채를 세척하는 경우, 반구형의 믹싱볼에 수용된 세척수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믹싱볼을 어느 한쪽으로 기울인 다음 세척수와 함께 세척 대상물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손으로 차단한 상태에서 믹싱볼로부터 세척수를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세척 대상물이 세척수와 함께 배출되는 경우가 많아 세척작업에 따른 시간이 오래 걸리고, 세척작업이 불편하며, 세척 대상물이 쉽게 버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세척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저면에 배수공이 형성된 내부용기와, 그러한 내부용기가 내부로 겹쳐지는 외부용기로 믹싱볼을 구성한 후 필요에 따라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면서 사용하는 선행기술이 이미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외부용기의 내부에 내부용기가 단순히 포개지도록 구성됨에 따라 믹싱볼에 수용된 세척 대상물을 반복적으로 세척하기 위해 믹싱볼에 담겨진 세척수를 배출시킬 경우, 먼저 외부용기로부터 내부용기를 분리시켜 내부용기를 다른 곳에 두고 외부용기를 기울여 세척수를 배출하게 되며, 배출이 완료된 후에는 분리시켜 놓은 내부용기를 다시 외부용기에 포개지도록 결합시킨 다음 다시 세척수를 넣고 세척작업을 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됨에 따라 세척에 따른 시간이 오래 걸리고, 세척과정이 번거로워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3-0003169호(2003.01.09. 공개)
따라서 기재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외부용기와 내부용기가 간단한 탈착구조를 통해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필요에 따라 쉽게 분리 및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용기와 내부용기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외부용기의 세척수를 제거할 수 있어 세척을 신속하면서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을 제공하는 목적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기재된 내용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기재된 내용은 상측이 개방된 반구 형상의 외부용기 및 상측이 개방된 반구 형상을 가지며, 바닥면에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포개져 수용되는 내부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용기는 마주하는 양측에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손잡이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수용부에는 이탈방지구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용기는 마주하는 양측에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손잡이가 형성되어 손잡이의 하부가 상기 손잡이 수용부에 끼워지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이탈방지구가 끼워져 안내될 수 있도록 탈착공을 가지는 안내슬롯이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는 세워진 형태의 원판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와 상기 내부용기 외측둘레와의 제1연결부는 아래쪽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슬롯은 상기 제1연결부의 만곡진 형상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탈착공은 상기 안내슬롯의 중심에서 안쪽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수용부는 상기 손잡이의 하측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만곡진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수용부와 상기 외부용기 외측둘레와의 제2연결부는 상기 제1연결부의 만곡진 저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아래쪽으로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이탈방지구는 선단부가 안쪽을 향하여 구부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용기의 바닥면은 수평한 면으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받침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용기 바닥면은 수평한 면으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안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의 상부는 상기 손잡이 수용부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 수용부의 바깥면에는 상단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절개부는 일자형 또는 반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용기의 배수홀은 일자형의 배수홀이 방사형으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일자형의 배수홀 사이 사이로 원형의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용기의 외측둘레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 유도홈이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용기의 상단과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은 동일한 높이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용기의 상단과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은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재된 내용에 따른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외부용기와 그러한 외부용기의 내부에 포개져 수용되며 배수홀이 구비된 내부용기로 구성되고, 내부용기가 외부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탈착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외부용기에 담긴 세척수를 제거시 외부용기로부터 내부용기를 분리시킬 필요 없이 외부용기를 기울여 제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외부용기로부터 내부용기를 간단하게 탈착시킬 수 있어 믹싱볼의 효용성과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여기서, 이와 같이 기재된 내용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기재된 내용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기재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믹싱볼을 구성하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분리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기재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믹싱볼을 구성하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기재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믹싱볼을 구성하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는 기재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믹싱볼을 구성하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는 기재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믹싱볼을 구성하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기재된 내용의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기재된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기재된 내용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기재된 내용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기재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은 도 상측이 개방된 반구 형상의 외부용기와, 그러한 외부용기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부용기를 포함하며, 내부용기의 양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외부용기의 양측에는 내부용기의 손잡이가 끼워져 회전될 수 있는 손잡이 수용부가 형성된 것이 특징이며, 예시된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용기(200)는,
도 1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측이 개방된 형태의 반구 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물이나 음식물 등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다.
외부용기(200)의 바닥면은 사방으로 또는 방사형으로 안착돌기(250)가 형성되어 설치면으로부터 외부용기(200)의 바닥면이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하면서 외부용기(200)가 설치면으로부터 기울어지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외부용기(200)가 설치면으로부터 유동되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로는 바닥면을 설치면과 평행하도록 수평한 면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외부용기(200)는 마주하는 양측에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된 손잡이 수용부(210)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손잡이 수용부(210)의 안쪽에는 이탈방지구(230)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외부용기(200)에는 도 5 에서와 같이 외부용기(200)의 내부에 담긴 물을 배수할 때 배수의 양을 조절하고 배수의 방향을 안내할 수 있도록 외부용기(200)의 외측둘레에서 바깥쪽을 향해 대략 "∧" 형태의 배수 유도홈(27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수 유도홈(270)은 외부용기(200)의 외축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양쪽 손잡이 수용부(210)의 사이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내부용기(100)는,
도 1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측이 개방된 형태의 반구 형상이며, 내부에 음식물 등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고, 외측둘레가 전술한 외부용기(200)의 내측둘레에 접면되어 포개질 수 있도록 외부용기(200)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된다.
내부용기(100) 또한 개별적으로 설치면에 놓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바닥면의 사방 또는 방사형으로 받침돌기(140)가 형성될 수 있고, 내부용기(100) 또한 설치면으로부터 유동되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바닥면을 설치면과 평행하도록 수평한 면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내부용기(100)의 마주하는 양측에는 전술한 외부용기(200)의 손잡이 수용부(210)에 수용될 수 있도록 바깥쪽을 향해 돌출된 손잡이(110)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손잡이(110)의 안쪽에는 외부용기(200)의 손잡이 수용부(210)에 구비된 이탈방지구(230)가 끼워져 안내될 수 있도록 안내슬롯(132)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안내슬롯(132)의 중심부에는 이탈방지구(230)의 탈착을 보조하기 위한 탈착공(131)이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부용기(100)는 바닥면에 배수홀(120)이 형성되고, 이러한 배수홀(120)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패턴을 가지면서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개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바닥면 중심이 기준이 되어 일자형의 복수의 배수홀(120)이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그러한 일자형의 배수홀(120)의 사이 사이로 동일 선상을 유지하는 다수의 원형 배수홀(120)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용기(100)는 내측둘레에 복수의 돌기(도면중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기는 세척 대상물의 세척 과정에서 돌기와의 마찰을 통해 세척의 효율성을 높일 수도 있다.
여기서, 손잡이(110)와 손잡이 수용부(210)의 실시 예를 도 2 및 도 3 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손잡이(110)는 내부용기(100)의 외측둘레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대략 원판의 형상을 가지면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가 된다.
손잡이(110)와 내부용기(100)의 외측둘레 사이는 제1연결부(130)로 구성되며, 이러한 제1연결부(130)는 아래쪽을 향하여 만곡지게 형성되고, 그러한 만곡진 제1연결부(130)의 내측둘레를 따라 소정 길이의 안내슬롯(132)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손잡이(110)의 외측면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의 반지름이 동일한 정원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예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부의 반지름보다 상부의 반지름이 짧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손잡이 수용부(210)는 외부용기(200)의 외측둘레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전술한 손잡이(110)의 하부가 끼워져 회전될 수 있도록 만곡진 형상의 수용홈(220)이 형성된다.
손잡이 수용부(210)와 외부용기(200)의 외측둘레 사이는 제2연결부(240)로 구성되며, 이러한 제2연결부(240)는 전술한 내부용기(100)의 제1연결부(1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아래쪽을 향하여 만곡지게 형성되고, 그러한 만곡진 제2연결부(240)의 내축둘레 중심에는 상향 돌출된 이탈방지구(230)가 형성되며, 이러한 이탈방지구(230)는 외부용기(200)의 내부로 내부용기(100)가 포개질 때 내부용기(100)의 탈착공(131)을 통해 안내슬롯(132)으로 끼워지게 된다.
이탈방지구(230)는 바람직하게 외부용기(200)의 중심을 향하는 안쪽을 향해 선단부가 구부러져 형성됨에 따라 이탈방지구(230)가 안내슬롯(132)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동될 때 안내슬롯(132)으로부터 불필요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외부용기(200)의 내부에 내부용기(100)가 포개지면서 내부용기(100)의 손잡이(110)가 외부용기(200)의 손잡이 수용부(210)에 수용되면 외부용기(200)의 이탈방지구(230)는 내부용기(100)의 탈착공(131)을 통해 안내슬롯(132)으로 끼워지게 되는데, 이때 손잡이(110)의 상부를 손잡이 수용부(210)의 상단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구성할 수도 있지만, 내부용기(100)를 외부용기(200)로 분리시킬 때 사용자가 손잡이(110)를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110)의 상부가 손잡이 수용부(210)의 상단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내부용기(100)의 손잡이(110)를 파지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로 도 5 에서와 같이 손잡이 수용부(210)의 바깥면에 상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소정 길이의 절개부(260)를 형성하면 손잡이(110)의 상부가 손잡이 수용부(210)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거나 돌출되지 않더라도 그러한 절개부(260)를 통해 손잡이(110)를 간편하게 파지할 수 있으며, 이때 절개부(260)는 일자형, 반원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외부용기(200)의 내부로 내부용기(100)가 포개지면서 결합될 때 내부용기(100)의 상단은 외부용기(200)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내부용기(100)의 상단이 외부용기(200)의 상단보다 낮게 구성되거나 반대로 높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내부용기(100)와 외부용기(200)가 결합되어 사용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와 같이 외부용기(200)의 내부로 내부용기(100)를 포개지도록 집어넣게 되면 내부용기(100)의 손잡이(110)가 외부용기(200)의 손잡이 수용부(210)에 수용되면서 외부용기(200)의 이탈방지구(230)가 내부용기(100)의 탈착공(131)을 거쳐 안내슬롯(132)에 끼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외부용기(200)와 내부용기(1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용기(200)로부터 내부용기(100)를 분리시킬 경우에는 외부용기(200)의 이탈방지구(230)를 내부용기(100)의 안내슬롯(132) 중심에 위치한 탈착공(131)에 맞춘 후 내부용기(100)의 손잡이(110)를 파지하여 들어올리게 되면 내부용기(100)가 외부용기(200)로부터 간단하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외부용기(200)의 내부에 내부용기(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세척수와 함께 세척 대상물이 내부용기(100)로 투입되면 세척수는 내부용기(100)의 배수홀(120)을 통해 외부용기로 이동되며, 투입되는 세척수의 양에 따라 세척수는 외부용기(200) 및 내부용기(100)에 일정량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부용기(100)에 수용된 세척 대상물을 세척한 후에는 세척수를 제거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사용자는 도 4 와 같이 양손으로 손잡이 수용부(210)를 각각 파지한 후 외부용기(200)를 어느 한쪽으로 기울이면 기울어진 외부용기(200)로부터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되고, 이탈방지구(230)는 안내슬롯(132)의 중심에서 어느 한쪽에 이동된 상태가 되며, 내부용기(100)는 내부의 세척 대상물로 인한 무게중심이 유지되면서 기울어지지 않으며, 내부용기의 남아 있는 세척수는 배수홀(120)을 통해 배수됨에 따라 외부용기(200)와 내부용기(100)의 분리 없이 세척 대상물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기재된 내용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기재된 내용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기재된 내용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내부용기 110 : 손잡이
120 : 배수홀 130 : 제1연결부
131 : 탈착공 132 : 안내슬롯
140 :받침돌기 200 : 외부용기
210 : 손잡이 수용부 220 : 수용홈
230 : 이탈방지구 240 : 제2연결부
250 : 안착돌기 260 : 절개부
270 : 배수 유도홈

Claims (12)

  1. 상측이 개방된 반구 형상의 외부용기; 및
    상측이 개방된 반구 형상을 가지며, 바닥면에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포개져 수용되는 내부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용기는 마주하는 양측에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손잡이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수용부에는 이탈방지구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용기는 마주하는 양측에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손잡이가 형성되어 손잡이의 하부가 상기 손잡이 수용부에 끼워지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이탈방지구가 끼워져 안내될 수 있도록 탈착공을 가지는 안내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세워진 형태의 원판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와 상기 내부용기 외측둘레와의 제1연결부는 아래쪽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슬롯은 상기 제1연결부의 만곡진 형상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탈착공은 상기 안내슬롯의 중심에서 안쪽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수용부는 상기 손잡이의 하측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만곡진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수용부와 상기 외부용기 외측둘레와의 제2연결부는 상기 제1연결부의 만곡진 저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아래쪽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구는 선단부가 안쪽을 향하여 구부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의 바닥면은 수평한 면으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받침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 바닥면은 수평한 면으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안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상부는 상기 손잡이 수용부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수용부의 바깥면에는 상단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일자형 또는 반원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의 배수홀은 일자형의 배수홀이 방사형으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일자형의 배수홀 사이 사이로 원형의 배수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의 외측둘레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 유도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의 상단과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은 동일한 높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의 상단과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은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




KR1020170075714A 2017-06-15 2017-06-15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 KR201801366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714A KR20180136681A (ko) 2017-06-15 2017-06-15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714A KR20180136681A (ko) 2017-06-15 2017-06-15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681A true KR20180136681A (ko) 2018-12-26

Family

ID=65006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714A KR20180136681A (ko) 2017-06-15 2017-06-15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66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985B1 (ko) * 2019-02-20 2020-04-07 최영근 깔때기 체결기능을 구비한 거름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985B1 (ko) * 2019-02-20 2020-04-07 최영근 깔때기 체결기능을 구비한 거름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7308B1 (en) Kitchen utensil and pot lid holder
US20150257608A1 (en) Cutting board assembly
KR20060089653A (ko) 조리용 포트
KR101499112B1 (ko) 조리용기의 탈착식 뚜껑 손잡이
KR101128051B1 (ko) 조리기구용 다용도 냄비뚜껑
US20180093304A1 (en) Steam apparatus for cleaning microwave ovens
KR20180136681A (ko)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
KR20180119876A (ko)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
JP2015527143A (ja) 容器に載置するキッチン用具、キッチン用具とさまざまな機能的ユニットとを備えたキッチン用具セット
EP2745756B1 (en) Improved cooking vessel
US20130233868A1 (en) Produce Washing Bowl
JP2008302188A (ja) お玉杓子
KR101733338B1 (ko) 쌀 세척기
KR101717124B1 (ko)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
US11849903B2 (en) Method of cleaning and/or sanitizing jewelry and other small parts
US20150342246A1 (en) Apparatus for mounting a coconut for processing
KR20130007142U (ko) 과일절단기 세트
KR102380450B1 (ko) 채반이 구비된 냄비
KR101020601B1 (ko) 넘침방지 냄비용 뚜껑
KR20120003525U (ko) 다용도 조리기
KR200446836Y1 (ko) 조리용기 덮개
JP2007014715A (ja) 湯切り網
KR101634051B1 (ko) 샤워기 고정이 가능한 비누케이스
CN217792701U (zh) 一种分离式火锅把手结构
KR200478961Y1 (ko) 다중구조냄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