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6359A - 시설물 관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시설물 관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359A
KR20180136359A KR1020170167752A KR20170167752A KR20180136359A KR 20180136359 A KR20180136359 A KR 20180136359A KR 1020170167752 A KR1020170167752 A KR 1020170167752A KR 20170167752 A KR20170167752 A KR 20170167752A KR 20180136359 A KR20180136359 A KR 20180136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information
data
unit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0209B1 (ko
Inventor
김기영
이범노
전호동
박건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Priority to KR1020170167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209B1/ko
Publication of KR20180136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시설물 관리 장치를 제시하며,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시설물 관리 장치는 관리대상으로 설정된 각 시설물에 대한 기본정보를 저장하고, 관리대상에 대한 설계자료, 시공자료, 조사자료 및 보수자료 중 적어도 하나의 자료가 수신되면, 수신된 자료를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시간 순으로 기록하며,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관리대상의 상태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관리대상의 보수 필요 여부를 결정하고, 관리대상의 보수 필요 여부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출력한다.

Description

시설물 관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MANAGING FACILITIES}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시설물 관리 장치 및 시설물 관리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설물의 관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자료를 통합하여 관리하도록 할 뿐 아니라 시설물에 대하여 취합된 자료에 근거하여 시설물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관리 방식을 제안할 수 있는 시설물 관리 장치 및 시설물 관리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인류의 편리한 생활과 도시의 능률적 기능 수행을 위하여, 통신시설, 상하수도, 전기나 가스의 공급시설 또는 발전시설, 교통시설 등의 각종 사회 기반 시설들이 반드시 요구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사회 기반 시설들의 보급 상태나 관리 상태에 따라 해당 도시나 국가의 발전도나 경쟁력이 달리 평가되기도 한다.
사회 기반 시설들은 공공의 이익과 복지, 사회의 경제적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시설의 확충뿐 아니라 유지 및 관리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특히 대부분의 사회 기반 시설들은 건축이나 토목 구조물로 구비되므로 시설의 부실이나 노후화로 인하여 안전성이 저하되는 경우 대형사고를 유발하거나 지속적인 사건사고의 원인이 된다.
나아가 도로나 교량 등과 같은 교통시설물의 경우 고속국도, 일반국도, 지방도, 군도, 시도 등 시설물의 종류에 따라 국가나 지방자체단체 등으로 관리주체가 분산되고, 관리의 대상이 되는 시설물의 양이 방대하기 때문에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인 소규모 시설물들이 다수였다.
특히 지방자체단체의 시설물 관리 인력의 교체가 잦아, 담당자의 각 관리 대상 시설물에 대한 이해도가 낮고, 각 시설물의 유지 관리 이력이 연속성있게 수집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관리 대상 시설물들에 대해 적절한 시기에 유지보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시설물 안전성이 저하되고 그로 인해 사건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적절한 시설물 관리 예산의 집행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09158호 ‘도로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는 지리정보와 도로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사용자 요청 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도로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더라도 도로의 안전성에 영향을 주는 전반적인 요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이에 기초하여 적절한 보수 방식을 제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의 종래기술은 담당자가 각 시설물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고 그에 기초하여 담당자 스스로의 판단에 따라 시설의 보수 여부를 결정해야 하므로 방대한 시설물 전체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수가 필요한 많은 시설물에 대한 예산의 적절한 분산 집행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각각의 시설물에 대한 종합적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시설물 관리 장치 및 시설물 관리 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시설물의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보수공사가 필요한 시설물들의 보수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담당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시설물 관리 장치 및 시설물 관리 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시설물에 대한 종합적인 안전성 평가에 근거하여 장기적인 시설물 유지 및 확충 계획의 수립을 가능하게 하는 시설물 관리 장치 및 시설물 관리 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정해진 예산 내에서 가장 비용 효율적인 보수관리 계획 수립을 가능하게 하는 시설물 관리 장치 및 시설물 관리 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방대한 양의 시설물의 상태를 각각 직접 확인하지 않더라도 관리가 필요한 시설물들의 상태정보를 취합하여 담당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시설물 관리 장치 및 시설물 관리 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설물 관리 장치는 관리대상으로 설정된 각 시설물에 대한 기본정보와, 각각의 관리대상에 대한 설계자료, 시공자료, 조사자료 및 보수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임의의 관리대상에 대한 설계자료, 시공자료, 조사자료 및 보수자료 중 적어도 하나의 자료가 수신되면, 수신된 자료를 저장부에 저장된 임의의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시간 순으로 기록되도록 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각각의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관리대상의 상태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보수가 필요한 관리대상을 추출하는 제어부, 그리고 제어부가 추출한 보수가 필요한 관리대상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출력하는 입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설물 관리 장치가 수행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은 관리대상으로 설정된 각 시설물에 대한 기본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관리대상에 대한 설계자료, 시공자료, 조사자료 및 보수자료 중 적어도 하나의 자료가 수신되면, 수신된 자료를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시간 순으로 기록하는 단계;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관리대상의 상태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관리대상의 보수 필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관리대상의 보수 필요 여부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설물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시설물 관리 방법은 관리대상으로 설정된 각 시설물에 대한 기본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관리대상에 대한 설계자료, 시공자료, 조사자료 및 보수자료 중 적어도 하나의 자료가 수신되면, 수신된 자료를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시간 순으로 기록하는 단계;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관리대상의 상태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관리대상의 보수 필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관리대상의 보수 필요 여부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설물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시설물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시설물 관리 방법은 관리대상으로 설정된 각 시설물에 대한 기본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관리대상에 대한 설계자료, 시공자료, 조사자료 및 보수자료 중 적어도 하나의 자료가 수신되면, 수신된 자료를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시간 순으로 기록하는 단계;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관리대상의 상태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관리대상의 보수 필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관리대상의 보수 필요 여부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각각의 시설물에 대한 종합적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시설물 관리 장치 및 시설물 관리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시설물의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보수공사가 필요한 시설물들의 보수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담당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시설물 관리 장치 및 시설물 관리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시설물에 대한 종합적인 안전성 평가에 근거하여 장기적인 시설물 유지 및 확충 계획의 수립을 가능하게 하는 시설물 관리 장치 및 시설물 관리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정해진 예산 내에서 가장 비용 효율적인 보수관리 계획 수립을 가능하게 하는 시설물 관리 장치 및 시설물 관리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방대한 양의 시설물의 상태를 각각 직접 확인하지 않더라도 관리가 필요한 시설물들의 상태정보를 취합하여 담당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시설물 관리 장치 및 시설물 관리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장치의 제어부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방법에 따라 보수공사 필요 구간을 선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시설물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설물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먼저 정의한다.
이하에서 ‘관리대상’은 상술한 사회 기반 시설들 중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실시예에 의한 시설물 관리 장치 및 시설물 관리 방법을 이용하는 관리자가 관리해야 하는 대상이 되는 시설물을 지시하는 용어로, 특히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실시예에 의한 시설물 관리 장치 및 시설물 관리 방법을 통해 관리대상으로 지정되는 시설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로, 교량, 비탈면, 상수도, 하수도 등의 시설물이 될 수 있으나 나열된 예들 외에 다른 시설물들도 관리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관리대상은 행정적으로 각각 구분되어 설정된 시설물 단위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의 경우 행정적으로 명칭이 달리 부여된 도로들 각각을 서로 구분되는 관리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조사단위’는 관리대상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조사의 수행단위이자, 조사 수행 결과의 기록단위로서, 예를 들어 도로나 상하수도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시설물의 경우에는 길이단위가 될 수 있고, 비탈면과 같이 불특정한 모양과 면적을 갖는 시설물의 경우에는 넓이단위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조사단위구간’은 하나의 관리대상을 ‘조사단위’로 구획하였을 때의 각각의 구획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100m의 길이를 갖는 도로를 관리대상으로 하고, 10m를 조사단위로 하는 경우, 해당 관리대상은 총 10개의 조사단위구간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각각의 조사단위구간은 10m를 가진다.
한편 이하에서 ‘공사단위’는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실시예에 의한 시설물 관리 장치 및 시설물 관리 방법이 제안하는 보수공사의 규모에 대한 단위로서, 보수공사가 필요한 관리대상의 구간들의 길이나 넓이를 지시한다. ‘공사단위’는 ‘조사단위’와 동일한 단위를 가지되, 둘 이상의 조사단위에 해당하는 길이나 넓이를 가질 수 있다. ‘최소공사단위’는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실시예에 의한 시설물 관리 장치 및 시설물 관리 방법이 보수공사를 제안할 때, 제안되는 각 보수공사의 규모의 최소값을 의미한다. 즉 예를 들어, 상술한 조사단위가 10m인 경우, 공사단위도 동일하게 길이(m) 단위로 설정되되, 조사단위의 배수, 예를 들어 50m, 100m 등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최소공사단위가 100m로 설정되는 경우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실시예에 의한 시설물 관리 장치 및 시설물 관리 방법은 100m 이상의 길이를 갖는 구간을 ‘보수공사 필요 구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태정보’는 각 관리대상의 상태를 정량적 수치로 나타낸 정보로서, 관리대상의 조사자료 등을 참조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대상이 도로인 경우, 노면의 포장상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항목, 예를 들어 포장의 균열율, 소성변형 깊이, 종단 평탄성 등의 수치정보를 이용하여 연산되는 포장상태지수가 상태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관리대상이 도로인 경우, 차선의 휘도정보, 도로의 기하구조의 안전성을 수치화한 정보, 또는 교통사고율, 교통량 등이 도로의 상태정보로 수집되거나, 수집된 자료를 연산하여 상태정보로 산출될 수 있다.
이때 각 관리대상에 대한 조사는 육안조사나 설비를 이용한 조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사단위 별로 조사자료가 수집될 수 있다.
한편 ‘이력정보’는 각 관리대상에 해당하는 시설물이 설계될 때부터 시공 이후 유지 관리되는 동안에 순차적으로 수집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설계자료, 시공자료, 육안조사나 설비 조사를 통해 획득한 조사자료, 보수공사 이후 보수공사 시공 및 결과에 대한 보수자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력정보는 각 관리대상별로 따로 생성 및 관리될 수 있고, 또한 하나의 관리대상에 대해서도 각 조사단위구간별로 따로 생성되고 관리될 수 있다.
한편 각 관리대상의 ‘기본정보’는 관리대상의 명칭, 유형, 식별번호, 위치정보, 주소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 정의한 용어 이외에 설명이 필요한 용어는 아래에서 각각 따로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장치의 제어부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시설물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된 전자단말기로 구현되거나,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시설물 관리 장치(100)가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된다면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관리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하나 이상의 전자단말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단말기(1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서버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서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관리자의 전자단말기와 통신하면서 시설물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서버(20)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버를 포함하는 서버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저장부(110), 입출력부(120), 통신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에는 시설물 관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파일,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제어부(14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저장부(11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110)에는 시설물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10)에는 각각의 시설물 관리자가 관리해야 할 관리대상의 기본정보와 이력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상태정보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후술할 제어부(140)는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각 관리대상의 기본정보나 이력정보에 변경사항이나 추가사항이 발생하면 변경사항이나 추가사항과 관련된 자료를 저장부(110)에 기록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변경이나 추가사항이 발생한 관리대상의 조사단위구간을 특정하여 자료를 기록할 수 있다.
저장부(110)의 이력정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대상의 설계자료 및 시공자료뿐 아니라 설계 및 시공 이후에 발생하는 조사자료나 보수자료가 순차적으로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10)는 각 관리대상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모든 자료, 예를 들어 시설물 관리대장과 같이 시설물에 대해 법적으로 일정주기마다 작성되어야 하는 보고자료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입출력부(120)는 관리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작업의 수행 결과 또는 시설물 관리 장치(10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120)는 관리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operation panel) 및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키보드, 물리 버튼, 터치 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관리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출력부(120)는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입출력부(120)는 시설물 관리자로부터 시설물 관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자료를 직접 입력받거나 자료에 해당하는 파일을 선택 수신하며, 그에 따른 연산 결과, 예를 들어 각 관리대상의 상태정보나 관리대상의 유지에 필요한 활동, 예를 들어 보수공사나 종합점검 등에 대한 제안정보를 출력한다.
그리고 통신부(13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3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30)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가 지원하는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일 수 있다.
통신부(130)는 예를 들어, 시설물 관리 장치(100)에 통신 연결되는 다른 단말이나 서버로부터 각 관리대상에 대한 조사자료나 보수자료를 수집하거나, 다른 단말이나 서버로 각 관리대상에 대한 보고자료를 전송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시설물 관리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입출력부(120)를 통해 수신한 관리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시설물 관리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저장부(110)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료등록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자료등록부(141)는 입출력부(120)나 통신부(130)를 통해 업로드되거나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자료를 각 관리대상에 매칭하여 저장부(110)에 저장되도록 한다. 일례로 자료등록부(141)는 관리대상의 기본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에 매칭하여, 설계자료나 시공자료, 조사자료, 보수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력정보가 저장되도록 하고 관리한다. 자료등록부(141)는 임의의 관리대상에 대한 시공자료 또는 보수자료가 새로 업로드되거나 입력되면, 해당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최신 자료로서 해당 자료가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료등록부(141)는 임의의 관리대상에 대한 조사자료가 새로 업로드되거나 입력되면, 해당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최신 자료로서 해당 조사자료가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자료등록부(141)는 각 자료에 포함된 정보들을 관리대상의 각 조사단위구간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자료등록부(141)는 임의의 관리대상에 대하여 포장 균열률에 대한 조사자료가 업로드되면, 해당 조사자료에 포함된 각 조사단위구간별 포장 균열률의 수치값들을 각각 독출하여 해당하는 조사단위구간의 식별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상태정보관리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정보관리부(142)는 자료등록부(141)가 저장부(110)에 등록한 각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각 관리대상의 상태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태정보관리부(142)는 각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포함된 일부 항목의 수치값을 그대로, 또는 연산을 통해 가공하여 상태정보로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정보관리부(142)는 관리대상이 도로이고, 도로에 대한 조사자료에 포장의 균열률, 소성변형 깊이, 종단 평탄성에 대한 각 수치값이 포함된 경우, 이들을 이용하여 포장상태지수를 연산하고, 포장상태지수를 해당 도로의 조사단위구간별 상태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태정보관리부(142)는 도로에 대한 조사자료에 포함된 차선의 휘도정보의 수치값 그대로를 상태정보로서 저장부(110)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상태정보관리부(142)는 관리대상에 대한 시공자료나 보수자료가 등록된 때에 해당 관리대상의 상태정보를 미리 설정된 초기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초기값은 각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항목의 최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되거나 그와 가까운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도로의 포장상태지수의 만점이 10점인 경우, 도로가 처음 시공되었을 때 또는 도로의 보수공사가 완료되었을 때 상태정보관리부(142)는 해당 도로의 포장상태지수를 10점 또는 10점에 가까운 점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태정보관리부(142)는 관리대상에 대한 시공자료나 보수자료가 등록된 후 조사자료의 등록 없이 일정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초기값으로 설정되어 있던 상태정보를 기 설정된 함수에 따라 연산하여 갱신할 수 있다. 이때 함수는, 시간 경과에 따라 관리대상의 상태정보를 더 낮은 수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 산출해내는 시간에 대한 함수로 설정될 수 있으며, 후술할 ‘예측함수’에 대응할 수 있다. 예측함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나아가 상태정보관리부(142)는 관리대상에 대한 조사자료가 최신 자료로서 등록되는 경우, 기존의 상태정보를 폐기하고 조사자료에 기초하여 새로 산출된 상태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의 임의의 조사단위구간의 포장상태지수가 시공 후 10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8년이 경과하여 예측함수에 따라 6으로 등록되어 있던 경우, 8년이 경과한 시점에 해당 도로에 대해 조사가 이루어지고, 조사 결과에 따른 조사자료에 기초하여 포장상태지수가 4.8로 연산되면, 기존의 포장상태지수 6은 폐기되고, 새로 연산된 4.8로 포장상태지수가 갱신될 수 있다.
나아가 상태정보관리부(142)는 상태정보에 포함되는 각각의 항목정보, 예를 들어 도로의 경우 포장상태지수, 차선의 휘도정보, 도로의 기하구조 및 교통사고율에 기초하여, 관리대상의 안전지수를 산출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지수’는 관리대상의 안전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단순히 보수상태의 불량 또는 양호 등과 같이 시설물 자체의 상태뿐 아니라 시설물의 안전에 영향을 주는 외적 요인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수가 결정될 수 있도록 다양한 항목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위에 예시한 바와 같이 도로 시설물의 경우 포장상태지수나 차선의 휘도 등은 단순 보수공사에 의하여 개선될 수 있는 항목이지만, 도로의 기본적인 기하구조, 예를 들어 곡률 등은 설계변경에 의한 재시공없이 개선되기 어려운 항목이고 교통사고율은 해당 도로의 안전성을 귀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항목이므로, 이와 같이 구조물 자체의 불량을 개선하기 위한 보수공사의 필요성뿐 아니라 다른 외적 요인들의 개선 필요성의 존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안전지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후술하겠으나, 상태정보에 포함된 항목 중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포장상태지수에 따라 재포장 공사를 제안하거나 차선의 휘도정보에 기초하여 차선 도색 공사를 제안하는 등과 같이 단순한 도로 보수공사를 제안하는 것뿐 아니라, 관리대상의 전체적인 안전성의 지표가 되는 안전지수를 이용하여 시설물의 설계의 변경이나 외적 요인의 개선 등과 같은 종합적인 관리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안전지수를 산출하는 목적이다.
한편 제어부(140)는 상태정보예측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정보예측부(143)는 현재의 각각의 관리대상 또는 각각의 관리대상의 조사단위구간별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미래의 상태정보를 예측한다. 이때 상태정보예측부(143)는 예측함수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정보예측부(143)는 새로운 관리대상이 등록되면, 새로 등록된 관리대상에 대해 기 설정된 초기 예측함수를 일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 예측함수는 시간의 함수로서, 현재의 상태정보의 수치값에서 시간과 기설정된 계수값을 차감한 값을 미래의 상태정보의 수치값으로 연산할 수 있으나 이는 일례이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관리대상의 상태를 현재보다 상대적으로 불량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내는 값을 산출해내는 다양한 함수가 될 수 있다. 이때 새로 등록된 관리대상 모두에 대해서는 동일한 초기 예측함수가 적용될 수 있고, 초기 예측함수는 종래에 등록되어 있던 동종의 관리대상들의 시간에 따른 평균적인 상태정보 저하 수준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종래에 등록되어 있던 도로들의 포장상태지수가 연평균 0.5씩 하락한 것으로 집계되는 경우, 초기 예측함수는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T는 시간으로서 연단위로 입력될 수 있다.
미래의 포장상태지수 = 현재의 포장상태지수 ? 0.5*T
그러나 상태정보예측부(143)는 새로 등록된 관리대상에 대하여 조사자료가 등록되어, 조사자료에 기초하여 예측된 것이 아닌 실제의 관리대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가 연산되면, 실제 연산된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예측함수를 보정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상태정보는 조사단위구간마다 달리 산출될 수 있으므로, 예측함수도 각 관리대상 또는 각 관리대상의 조사단위구간마다 달리 보정될 수 있다.
이때 상태정보예측부(143)는 관리대상에 대해 조사자료가 등록될 때마다 예측함수를 보정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각 관리대상에 대해 조사자료가 누적될수록 더욱 정밀한 예측함수가 산출된다.
관리대상이 처음 등록되는 경우, 해당 시설물 자체의 특성과 시설물이 설치된 위치의 지형적, 지질적 특성, 교통량 등 외적 요인에 대해 모두 고려할 수 없고, 이들을 모두 반영하여 조사단위구간별로 예측함수를 설정하는데 많은 노력이 들기 때문에, 최초에는 상술한 초기 예측함수를 일괄적으로 적용한 후 추후 조사자료가 누적될 때마다 해당 조사단위구간이나 관리대상 각각의 예측함수를 보정할 수 있다.
보정방식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상술한 함수의 계수를 다시 설정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일례로 계수가 위에 예시한 바와 같이 0.5로 설정된 상태에서, 실제 조사자료에 근거할 때 8년간 포장상태지수가 5.2하락한 것으로 조사된 경우, 예측함수의 계수를 0.5에서 0.65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정보제공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제공부(144)는 관리자가 요청하는 바에 따라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정보를 가공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정보제공부(144)는 각각의 관리대상의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우선 정보제공부(144)는 각각의 관리자에게 지도에 기반하여 각 관리대상의 기본정보나 이력정보, 또는 상태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 상에 각 관리대상이 표시되되, 각 조사단위구간별로 구분하여 표시될 수 있고, 각 조사단위구간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각 조사단위구간의 상태가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정보제공부(144)는 각 관리대상에 연관하여 저장부(110)에 저장된 각종 자료를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각 관리대상의 설계 단계부터 누적하여 저장된 자료들을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제공부(144)는 각 관리대상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후술할 관리제안부(145)가 연산한 보수가 필요한 관리대상의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정보제공부(144)는 보수가 필요한 모든 관리대상의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거나, 보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해당 순위에 따라 관리대상의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관리제안부(145)는 각 관리대상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보수가 필요한 관리대상을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제안부(145)는 보수가 필요한 관리대상을 선정함에 있어서 각 관리대상의 조사단위구간별 상태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특히 관리대상이 도로인 경우, 보수가 필요한 관리대상을 선정하는데 이용되는 상태정보는 포장상태지수 또는 휘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제안부(145)는 관리대상에 포함된 모든 조사단위구간 중 미리 설정된 최소공사단위 이상의 거리를 갖는 연속된 조사단위구간을 포함하는 보수공사 필요 구간을 탐색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최소공사단위는 둘 이상의 조사단위구간에 대응하는 거리, 즉 조사단위의 배수로 설정될 수 있다. 관리제안부(145)는 최소공사단위 이상의 거리를 갖는 연속된 복수의 조사단위구간 내에 상태지수가 설정값 이하인 조사단위구간이 일정 수 이상 포함된 경우, 해당 연속된 복수의 조사단위구간을 보수공사 필요 구간으로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제안부(145)는 이와 같이 보수공사 필요 구간을 포함하는 관리대상을 보수가 필요한 관리대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때 관리제안부(145)는 보수공사 필요 구간을 선정함에 있어서, 최소공사단위에 대응하는 거리 내에 속하는 조사단위구간이 이루는 그룹들 중에서 상태지수가 설정값 이하인 조사단위구간이 일정 수 이상 포함된 그룹을 보수공사 필요 구간으로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관리대상에 대하여 둘 이상의 보수공사 필요 구간이 선정되고, 적어도 두 개의 보수공사 필요 구간이 서로 동일한 조사단위구간을 포함하는 경우, 서로 동일한 조사단위구간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보수공사 필요 구간을 병합하여 하나의 보수공사 필요 구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소공사단위 이상의 거리를 갖는 보수공사 필요 구간을 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제안부(145)는 보수공사 필요 구간이 선정되면, 해당 보수공사 필요 구간을 포함하는 관리대상에 대한 보수공사 시공 제안정보를 생성하여 정보제공부(144)가 보수공사 시공 제안정보를 입출력부(120)를 통해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보수공사 시공 제안정보에는 보수공사 필요 구간을 포함하는 관리대상의 정보, 보수공사 필요 구간에 포함되는 조사단위구간의 정보, 추천되는 보수공사 공법정보, 예측되는 보수공사 예산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보제공부(144)가 보수공사 시공 제안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함에 있어서 보수공사 필요 구간들 중 보수공사가 시급한 구간들에 대한 제안정보를 우선적으로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된 복수의 구간에 대한 제안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우선순위는 상술한 관리제안부(145)의 연산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보수공사 필요 구간들 중 평균적인 상태정보가 가장 낮은 구간, 또는 교통량이 많은 구간, 교통사고율이 높은 구간, 또는 보수공사나 시공 후 가장 많은 시간이 경과한 구간 등의 우선순위가 더 높게 책정될 수 있다.
나아가 정보제공부(144)는 입출력부(120)를 통해 관리자로부터 예산정보를 입력받고, 상술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예산정보의 범위 내에서 보수공사를 시행할 수 있는 보수공사 필요 구간들만을 추출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예산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보수가 시급한 구간들만을 추출하여 관리자에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각 관리대상의 상태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더라도 예산범위 내에서 바로 시행해야할 공사의 대상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정보제공부(144)는 각 관리대상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안전도 데이터를 관리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안전도 데이터는 상태정보관리부(142)가 산출한 각 관리대상의 상태정보, 또는 각 관리대상의 조사단위구간별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연산된 안전지수를 포함하고, 안전지수를 산출하는데 이용된 상태정보의 각 항목정보에 대해 설정된 복수의 레벨 중 각 항목정보의 수치값이 속하는 레벨에 대한 레벨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의 경우 도로의 포장상태지수, 차선의 휘도정보, 도로의 기하구조 및 교통사고율 등이 상태정보에 포함되는 각 항목정보로서 관리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항목정보가 갖는 수치값이 포함되는 레벨, 예를 들어 도로의 기하구조의 경우 양호, 보통, 불량 3단계로 구분되는 레벨 중 특정 도로의 기하구조에 대한 상태정보 수치값이 속하는 레벨에 대한 정보가 안전도 데이터에 포함되어 관리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안전지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태정보관리부(142)에 의해 연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4개의 항목정보 중 셋 이상이 ‘양호’ 레벨 이상인 경우 안전지수도 ‘양호’로, 하나 이하의 항목정보만이 ‘양호’ 레벨인 경우 안전지수는 ‘불량’으로, 두 개의 항목정보가 ‘양호’ 레벨인 경우 안전지수는 ‘보통’으로 연산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나 이는 일례에 불과하다.
이때 정보제공부(144)는 안전도 데이터를 지도에 기반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정보제공부(144)는 지도상에 각 관리대상을 형상화한 그래픽을 해당 관리대상의 실제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에 표시하고, 해당 그래픽 위에 안전도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가시화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안전도 데이터는 신호등 모양의 그래픽 이미지로 형상화될 수 있으며, 각 신호등의 색상으로 각 항목정보의 레벨이나 안전지수가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보제공부(144)는 안전도 데이터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되, 관리제안부(145)의 제안에 따라 관리대상에 대한 종합점검 제안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관리제안부(145)는 안전지수가 일정시간 이상 기 설정된 일정범위 내를 벗어나지 않는 관리대상 또는 조사단위구간을 종합점검 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지수가 낮아 도로의 재포장시공 또는 차선 도색공사 등을 수행하였으나 여전히 안전지수가 지속적으로 낮은 도로의 경우는 기하구조가 불량하거나 외적 요인에 의한 교통사고가 지속하여 발생하는 경우에 해당하는데, 이러한 도로에 대하여 장기간에 걸쳐 안전지수를 감시한 후 종합점검 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제공부(144)는 이와 같이 종합점검 대상으로 선정된 관리대상이나 조사단위구간들에 대하여 종합점검 제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제공부(144)는 상술한 예측함수를 이용하여 상태정보예측부(143)가 예측한 각 관리대상의 미래의 상태정보를 관리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각 관리대상의 상태를 미리 예측하고 미래에 발생할 관리비용에 대해 미리 예산을 수립할 수 있다. 이때 정보제공부(144)는 시간을 설정하여 관리대상의 상태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1년 후, 2년 후와 같이 연단위로 근미래의 시간을 설정하여 예측된 상태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정보제공부(144)는 각 관리대상의 미래의 상태정보를 지도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지도 상에 각 관리대상을 형상화한 그래픽 요소를 각 관리대상의 실제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상의 위치에 표시하되, 예측된 미래의 상태정보의 수치값이 포함되는 레벨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시설물 관리 장치(100)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방법에 따라 보수공사 필요 구간을 선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나아가 도 9 내지 도 14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시설물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설물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 및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시설물 관리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시설물 관리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4 내지 도 5 및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설물 관리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시설물 관리 방법에서는 복수의 관리대상을 병렬적으로 관리하지만, 하나의 관리대상에 대하여 살펴보면, 시설물 관리 방법은 관리대상의 기본정보를 등록하는 단계(S401)로부터 시작된다.
이때 기본정보의 등록을 위해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관리자가 관리대상의 기본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에 따라 관리자가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각 항목에 관리대상의 기본정보를 기입하도록 할 수 있다. 기본정보에는 관리대상의 명칭, 식별정보, 유형, 위치정보, 주소정보 등이 포함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고, 그 외에 관리대상을 지도상에 표시되도록 하기 위하여 지도상에 관리대상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관리자로부터 추가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이어서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관리대상의 설계자료와 시공자료를 등록하는 단계(S402)를 수행할 수 있다. S402단계에서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관리자로부터 설계자료와 시공자료를 등록받되, 설계자료와 시공자료에 해당하는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직접 입력받거나 별개의 문서 파일로 존재하는 설계자료와 시공자료를 업로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업로드되는 자료가 설계자료인지, 시공자료인지 등 자료의 유형을 관리자로부터 미리 선택받을 수 있다.
한편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S402단계에서 관리대상의 시공자료 등록이 완료되면, 관리대상의 조사단위구간별 상태정보를 초기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S403). 시공자료는 시공 완료 직후 업로드될 수 있으므로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시공 직후 해당 관리대상의 시공자료가 업로드된 조사단위구간의 상태정보를 최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초기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시공자료 등록 이후 미리 설정된 주기의 일정시간이 경과하면(S404), 관리대상의 조사단위구간별 상태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S405). 이때 상태정보를 갱신하기 위하여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기 설정된 함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 이용되는 함수는 상술한 예측함수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시공 이후 보수 없이 경과한 시간에 비례하여 관리대상의 상태가 낙후되었을 것을 예측하여 관리대상의 상태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그리고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관리대상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관리대상에 대한 보수공사가 필요한지 보수요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6). 이때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관리대상의 각 조사단위구간의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보수요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S406), 각 조사단위구간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보수공사 필요 구간이 검색되는 경우 해당 관리대상의 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407).
그에 따라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보수공사가 필요한 관리대상의 보수공사 필요 구간에 대하여 보수공사의 시공을 제안하기 위한 제안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408).
한편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관리대상에 대한 조사자료가 등록되는 경우(S409), 등록된 조사자료에 기초하여 관리대상의 조사단위구간별 상태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S405). 이때 조사자료는 문서 파일의 형태로 업로드되거나 관리자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으며, 각 조사자료는 조사단위구간별 상태정보에 해당하는 항목정보를 포함하거나 상태정보를 연산하는데 이용되는 수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관리대상에 대한 보수자료가 등록되는 경우(S410)에도 시공자료가 등록된 때와 마찬가지로 관리대상의 조사단위구간별 상태정보를 초기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S403).
한편 관리대상에 대한 조사자료가 등록됨으로써 상태정보에 변동이 있을 때에도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관리대상의 보수요부를 판단하여(S406) 보수공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S407) 보수공사 시공 제안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상에 복수의, 또한 하나 이상의 유형의 관리대상, 예를 들어 도로, 교량, 비탈면 등의 관리대상의 위치와 유형을 직관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으며, 상태정보의 수치값을 양호, 조금 양호, 보통, 나쁨, 매우 나쁨 등과 같은 복수의 레벨로 구분하여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도로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S403단계 또는 S405단계에서 설정되거나 갱신된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각 관리대상 또는 각 관리대상의 조사단위구간의 상태를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관리자는 지도상에서 어떤 관리대상이 나쁜 상태인지 직관적으로 확인하여 주의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401, S402, S409, S410단계에서 각각 수집된 기본정보, 설계 및 시공자료, 조사자료, 보수자료 등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관리대상의 조사단위구간별 정보 페이지를 통해 일괄하여 관리되고 표시될 수 있다.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도로의 조사 과정에서 수집된 이미지나 동영상, 해당 조사단위구간의 조사 결과나 교통량 등에 대한 정보를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이때 조사단위구간의 기본정보에 조사자료가 매칭되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로 현황’을 통해 도로의 현재 상태정보에 포함된 정보나 상태정보를 연산하기 위해 수집된 정보들이 나열될 수 있고, 조사이력이나 공사이력을 통해 조사자료나 보수자료들이 이력정보로서 관리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설계도 보기 메뉴를 통해 설계자료를, 보고서 보기를 통해 보고자료를 일괄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대상의 각 조사단위구간에 대한 조사자료를 수집한 후(S501), 조사자료에 기초하여 각 조사단위구간별 상태정보를 추출하거나 연산한다(S502).
이어서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조사단위구간별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최소공사단위 이상의 거리를 갖는 복수의 조사단위구간을 포함하는 보수공사 필요 구간을 선정할 수 있다(S503). 이때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최소공사단위에 대응하는 거리를 갖는 복수의 조사단위구간들의 그룹 중 상태정보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 조사단위구간의 수가 일정 수 이상인 그룹을 보수공사 필요구간으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복수의 보수공사 필요구간이 선정되고, 이들 중 일부가 동일한 조사단위구간을 공동으로 포함하는 경우 해당 보수공사 필요구간을 병합하여 하나의 보수공사 필요 구간으로 선정할 수도 있다. 이때 병합하여 선정된 보수공사 필요 구간의 시작 구간이나 종료 구간에 상태정보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조사단위구간이 포함된 경우 해당 구간은 병합된 보수공사 필요 구간에서 제외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각 조사단위구간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보수공사 필요 구간을 선정하는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보수공사 필요구간에 대한 보수공사 시공 제안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504). 이때 제안정보는 보수공사 필요 구간의 정보와 공법정보, 예산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방법을 도 6에 도시된 예시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도로를 관리대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도로는 복수의 조사단위구간(S1 내지 S10 등)으로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S501단계에서 조사자료가 등록되고, S502단계에서 등록된 조사자료에 기초하여 상태정보를 산출한 결과 S1, S3, S4, S8, S10은 각각 상태정보의 수치값이 설정값을 초과하고, S2, S5, S6, S7, S9는 상태정보의 수치값이 설정값 이하 조사된 것으로 예시한다. 또한 각 조사단위구간은 10m의 길이를 갖고, 최소공사단위는 50m인 것으로 예시한다.
이 경우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최소공사단위에 대응하는 거리를 갖는 조사단위구간의 그룹들 각각에 설정값 이하의 상태정보를 갖는 조사단위구간이 몇 개 포함되어 있는지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1 내지 S5를 포함하는 조사단위구간의 그룹에는 총 2개의 조사단위구간의 상태정보가 설정값 이하이고, S2 내지 S6을 포함하는 조사단위구간의 그룹에는 총 3개의 조사단위구간의 상태정보가 설정값 이하이다. 마찬가지로 S3 내지 S7이 속하는 조사단위구간의 그룹에도 총 3개의 조사단위구간의 상태정보가 설정값 이하이다.
이때 시설물 관리 장치(100)에 적어도 4개 이상의 조사단위구간의 상태정보가 설정값 이하인 그룹만을 보수공사 필요 구간으로 선정하도록 설정된 경우,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S5 내지 S9를 포함하는 구간, 즉 구간 R을 보수공사 필요 구간으로 선정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도로 보수 우선순위 보고서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보고서는 도로의 노선명과 보수공사 필요 구간에 대응하는 공사구간, 총 연장, 제안되는 공법, 예측되는 예산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이러한 도로 보수 우선순위 보고서를 제공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조사단위구간별 도로의 포장상태지수 등의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보수공사 필요 구간을 선정하고, 그 결과를 보고서로 작성할 수 있다. 이때 우선순위는 보수공사 필요 구간의 평균적인 포장상태지수에 기초하여 결정되거나 교통량이나 직전 포장년도 등과 같은 최근 공사시점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서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관리대상 중 도로에 대하여, 포장상태지수, 휘도, 기하구조지수 및 교통사고율을 도로의 상태정보에 속하는 각 항목정보로서 수집하거나 연산할 수 있다(S701).
이어서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연산된 항목정보들을 이용하여 도로안전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S702). 그리고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각 항목정보들에 대해 각각 설정된 복수의 레벨 중 각 항목정보의 수치값이 속하는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레벨정보와, 도로안전지수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도 데이터를 생성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703).
예를 들어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도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준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안전도 데이터를 신호등 모양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작성할 수 있다.
포장상태지수에 대응하는 P신호등은 는 6 이하일 경우 빨간불이 점등되도록 하고, 휘도에 대응하는 L 신호등은 기준 점 이하일 경우 점등되도록 하며, 기하구조지수에 대응하는 G 신호등은 기준 점 이하일 경우 점등되도록 하고, 교통사고율에 대응하는 A 신호등은 사고율이 기준 점 이하일 경우 점등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전체적인 안전지수는 점등된 신호등의 수에 따라 다른 색상이 배정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설정에 따라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위에 각 관리대상 또는 관리대상의 각 조사단위구간마다 안전도 데이터, 예를 들어 안전 신호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신호등 모양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배경색은 안전지수에 기초하여 달리 설정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로써 관리자는 지도상에서 한눈에 시설물 각각의 안전성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다시 도 7에서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안전지수의 변화 추이를 감시하여 도로 안전지수가 설정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도로에 대한 종합점검을 관리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S704).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예시에서 특정 도로의 안전 신호등의 배경색이 노란색 이하의 레벨로 유지되는 경우 즉 안전지수가 보통 이하로 유지되는 경우,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해당 관리대상에 대한 종합점검을 관리자에게 제안하여 도로의 안전성에 대한 전체적인 점검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서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대상의 조사단위구간별 상태정보의 초기값이 설정된 상태에서(ㄴ801), 즉 관리대상이 처음 등록된 상태에서 모든 관리대상에 대해 초기에 일괄적으로 적용되는 동일한 초기 예측함수를 적용하여 미래의 도로 상태정보를 예측할 수 있다(S802).
그 이후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해당 관리대상의 조사단위구간별 상태정보가 갱신되면(S803), 상태정보의 갱신 이력에 기초하여 조사단위구간에 대한 예측함수를 보정할 수 있다(S804). 이어서 시설물 관리 장치(100)는 보정된 예측함수를 이용하여 미래의 도로 상태정보를 다시 예측할 수 있다(S805).
이에 의하면 각 관리대상에 대해 초기부터 예측함수를 적용하여 미래의 상태정보를 연산하거나, 과거에 시공 또는 보수된 이후에 일정기간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관리대상의 현재 상태를 예측하되, 추후 조사자료가 등록되면 실제 등록된 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예측함수를 보정함으로써 미래의 상태정보나 현재의 상태정보 예측의 정밀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5 및 도 7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 내지 도 5 및 도 7 내지 도 8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시설물 관리 장치
110: 저장부 120: 입출력부
130: 통신부 140: 제어부

Claims (16)

  1. 시설물 관리 장치에 있어서,
    관리대상으로 설정된 각 시설물에 대한 기본정보와, 각각의 관리대상에 대한 설계자료, 시공자료, 조사자료 및 보수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임의의 관리대상에 대한 설계자료, 시공자료, 조사자료 및 보수자료 중 적어도 하나의 자료가 수신되면, 수신된 자료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임의의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시간 순으로 기록되도록 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각각의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관리대상의 상태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보수가 필요한 관리대상을 추출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추출한 보수가 필요한 관리대상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출력하는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임의의 관리대상에 대한 시공자료 또는 보수자료가 상기 임의의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최신 자료로 기록되면, 상기 임의의 관리대상의 상태정보를 초기값으로 설정하는, 시설물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임의의 관리대상에 대한 시공자료 또는 보수자료가 상기 임의의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최신 자료로 기록된 이후에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경과한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임의의 관리대상의 상태정보를 갱신하는, 시설물 관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임의의 관리대상에 대한 조사자료가 상기 임의의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최신 자료로 기록되면, 조사자료에 기초하여 상기 임의의 관리대상의 상태정보를 갱신하는, 시설물 관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각각의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관리대상의 상태정보를 산출함에 있어서, 각각의 관리대상을 복수의 구획된 조사단위구간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관리대상의 조사단위구간별 상태정보를 각각 산출하는, 시설물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관리대상을 복수의 구획된 조사단위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관리대상의 조사단위구간별 상태정보를 각각 산출하되, 각 관리대상의 조사단위구간별 상태정보에 대하여 동일한 예측함수를 적용하여 관리대상의 미래의 상태정보를 예측하는, 시설물 관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관리대상의 조사단위구간별 상태정보에 대하여 동일한 예측함수를 적용하여 관리대상의 미래의 상태정보를 예측하되, 각 관리대상에 대한 조사자료가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기록되면, 조사자료에 기초하여 조사단위구간별 상태정보를 갱신하고, 각각의 조사단위구간의 이전 상태정보와 갱신된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조사단위구간의 예측함수를 보정하는, 시설물 관리 장치.
  8. 시설물 관리 장치가 수행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에 있어서,
    관리대상으로 설정된 각 시설물에 대한 기본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관리대상에 대한 설계자료, 시공자료, 조사자료 및 보수자료 중 적어도 하나의 자료가 수신되면, 수신된 자료를 상기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시간 순으로 기록하는 단계;
    상기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대상의 상태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대상의 보수 필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관리대상의 보수 필요 여부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대상의 상태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대상에 대한 시공자료 또는 보수자료가 상기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최신 자료로 기록되면, 상기 관리대상의 상태정보를 초기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대상의 상태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대상에 대한 시공자료 또는 보수자료가 상기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최신 자료로 기록된 이후에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경과한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관리대상의 상태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대상의 상태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대상에 대한 조사자료가 상기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최신 자료로 기록되면, 조사자료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대상의 상태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대상의 상태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대상의 상태정보를 산출함에 있어서, 상기 관리대상을 복수의 구획된 조사단위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관리대상의 조사단위구간별 상태정보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대상의 상태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대상을 복수의 구획된 조사단위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관리대상의 조사단위구간별 상태정보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설물 관리 방법은,
    상기 관리대상의 조사단위구간별 상태정보에 대하여 예측함수를 적용하여 상기 관리대상의 미래 상태정보를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관리 방법은,
    상기 관리대상에 대한 조사자료가 관리대상의 이력정보에 기록되면, 조사자료에 기초하여 조사단위구간별 상태정보를 갱신하고, 각각의 조사단위구간의 이전 상태정보와 갱신된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최초에 모든 조사단위구간에 대하여 동일하게 설정된 예측함수를 조사단위구간별로 각각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15. 제8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6. 시설물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8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70167752A 2017-12-07 2017-12-07 시설물 관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20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752A KR102020209B1 (ko) 2017-12-07 2017-12-07 시설물 관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752A KR102020209B1 (ko) 2017-12-07 2017-12-07 시설물 관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148A Division KR101808843B1 (ko) 2017-06-14 2017-06-14 시설물 관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359A true KR20180136359A (ko) 2018-12-24
KR102020209B1 KR102020209B1 (ko) 2019-09-10

Family

ID=65010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752A KR102020209B1 (ko) 2017-12-07 2017-12-07 시설물 관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2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054A (ko) * 2019-10-21 2021-04-2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Bim 기반 교육시설 유지관리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KR20210083135A (ko) * 2019-12-26 2021-07-06 한국국토정보공사 도로관리를 위한 위험 발생지역 예측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5687A (ja) * 2003-10-08 2005-04-28 Hitachi Ltd 道路保守支援システム
KR20130125113A (ko) * 2012-05-08 2013-11-1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애주기비용 분석을 이용한 도로포장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60123858A (ko) * 2015-04-17 2016-10-26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추출 방법, 권장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도로 보수 공법 결정 지원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5687A (ja) * 2003-10-08 2005-04-28 Hitachi Ltd 道路保守支援システム
KR20130125113A (ko) * 2012-05-08 2013-11-1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애주기비용 분석을 이용한 도로포장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60123858A (ko) * 2015-04-17 2016-10-26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추출 방법, 권장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도로 보수 공법 결정 지원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054A (ko) * 2019-10-21 2021-04-2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Bim 기반 교육시설 유지관리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KR20210083135A (ko) * 2019-12-26 2021-07-06 한국국토정보공사 도로관리를 위한 위험 발생지역 예측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209B1 (ko) 201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247677A1 (zh) 基于混合深度学习模型的城市区域路网过车流量预测方法及其***
Lin et al. Real-time traffic accidents post-impact prediction: Based on crowdsourcing data
Long et al. Mapping block-level urban areas for all Chinese cities
US9267798B2 (en) Generating elevation data for maps
US8782055B2 (en) Geospatial object property assessment apparatus, assessment system, editor apparatus and method of assessing property of a geospatial object
CN102982081B (zh) 道路交通安全隐患路段甄别方法和***
US20170010123A1 (en) Hybrid road network and grid based spatial-temporal indexing under missing road links
KR101808843B1 (ko) 시설물 관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N106662669A (zh) 自动化全球天气通知***
US2014032432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geotemporal graphs
Zhang et al. Robust geographical detector
US9212920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optimization of driving directions
Bosurgi et al. Pavement condition information modelling in an I-BIM environment
US20140039782A1 (en) Determining a spatiotemporal impact of a planned event on traffic
CN110110000B (zh) 展示方法及装置
CA3043672A1 (en) A method of predicting a traffic behaviour in a road system
KR20180136359A (ko) 시설물 관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JP5932603B2 (ja) 寿命予測における地域傾向抽出方法
WO2017221856A1 (ja) 分析装置、分析方法、および記憶媒体
KR102223401B1 (ko) 관할도로의 노선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TWI567687B (zh) Asset management system and asset management method
CN116050775A (zh) 基于空间核密度算法实现巡逻防控驻勤路线设计的方法、装置、处理器及其可读存储介质
US20190385093A1 (en) Stationary Classifier for Geographic Route Trace Data
KR102293825B1 (ko) 도로관리를 위한 위험 발생지역 예측 장치 및 방법
CN104349348A (zh) 路测中问题频发区域的确定方法、装置及服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