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6094A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커버 - Google Patents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094A
KR20180136094A KR1020170074630A KR20170074630A KR20180136094A KR 20180136094 A KR20180136094 A KR 20180136094A KR 1020170074630 A KR1020170074630 A KR 1020170074630A KR 20170074630 A KR20170074630 A KR 20170074630A KR 20180136094 A KR20180136094 A KR 20180136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ver
tub
inner fra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전자
Priority to KR1020170074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6094A/ko
Priority to US15/938,376 priority patent/US20180363193A1/en
Priority to CN201810593880.6A priority patent/CN109082856A/zh
Publication of KR20180136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0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cover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 소음이 적고 접촉에 의한 충격 발생을 미연에 차단하기 위한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커버에 관한 것으로,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도어 힌지를 구비한 커버; 및 상기 도어 힌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결합된 도어 내부 프레임과 도어 외부 프레임을 갖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걸림부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중간 외측면과 커버의 중간 외측면 사이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커버의 중간 외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유닛 장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커버{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COVER THEREOF}
본 발명은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커버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세탁수와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포에서 오염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세탁수에 용해된 세제에 의한 화학적 작용과 세탁수 및 내조(inner basket)의 기계적 작용에 의해 세탁포로부터 오염물을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탁기는 세탁물의 투입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의 세탁기,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의 세탁기, 탑 로딩 방식과 프론트 로딩 방식이 결합된 복합 형태의 세탁기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최근에는 욕실이나 화장실 등 좁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출시되고 있는데, 일반적인 벽걸이형 세탁기는 소형화를 위해 프론트 로딩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벽걸이형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부에 제공되어 세탁수가 채워지는 터브와,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과, 드럼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터브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터브로부터 세탁수를 캐비닛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는 별도의 손잡이 또는 핸들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큰 힘을 주어 문을 개폐하기 때문에 도어 개폐가 불편하고, 도어를 잡아당기는 반복적인 하중으로 인해 손잡이 또는 핸들의 파손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는 도어의 개폐 작동을 자동 또는 반자동화시키기 위한 수단 또는 편의 장치를 추가함에 있어서 도어 개폐 장치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기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특허문헌: 한국 등록특허 제10-1461388호(2014.11. 07.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전자식 개폐방식의 도어 개폐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도어 개방 버튼을 단순히 누르는 동작만으로도 도어 잠금 유닛의 록킹 해제 및 도어 개방을 수행할 수 있고, 도어 작동시 도어와 커버간 간섭을 방지하도록 한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도어 힌지를 구비한 커버; 및 상기 도어 힌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결합된 도어 내부 프레임과 도어 외부 프레임을 갖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걸림부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중간 외측면과 커버의 중간 외측면 사이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커버의 중간 외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유닛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 걸림부의 설치 기반이 되고, 개방 버튼 회로부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도록,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중간 외측면에서 상기 커버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도어 록킹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기의 도어 폐쇄시, 상기 도어 록킹 지지부가 상기 커버의 중간 외측면의 상기 유닛 장착부에 대하여 간극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유닛 장착부는, 상기 프론트 패널을 향하여 함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닛 장착부는, 상기 도어 걸림부의 돌출된 부분이 통과하도록, 상기 유닛 장착부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부 삽입홀; 및 상기 걸림부 삽입홀의 주변 위치에 형성된 볼트 체결용 장착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 록킹 지지부는, 상기 걸림부 삽입홀에 대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 록킹 지지부의 외표면보다 상대적으로 함몰되어 있고, 상기 도어 걸림부의 기저부가 안착되는 설치홈부; 및 상기 설치홈부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도어 개방 유닛의 스템이 삽입되는 스템 관통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 록킹 지지부는, 상기 설치홈부로부터 하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 버튼 회로부의 회로 하우징에 대응한 나사의 체결을 위하여, 상기 도어 록킹 지지부에 형성된 나사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 록킹 지지부의 상기 나사홀은, 상기 나사의 헤드부를 상기 도어 록킹 지지부의 외표면으로 돌출시키지 않도록, 상기 나사홀의 끝단에 형성된 안착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외측면은, 상기 도어 글라스의 테두리 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도어에 설치하기 위한 링형 돌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외측면에 대응하여 비접촉하도록, 상기 커버에 형성된 세탁물 투입구와 상기 커버의 외곽 테두리 사이에 형성된 커버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경사면이 커버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기 커버의 상기 커버 경사면은, 상기 링형 돌출부에 대하여 간극을 유지하도록, 상기 세탁물 투입구로부터 상기 커버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된 경사 저부면; 상기 경사 저부면의 외각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 저부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경사 각도로 연장된 경사 상부면; 및 상기 경사 상부면의 외곽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의 커버 연결부와 결합된 채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도어 힌지를 구비한 커버; 및 상기 도어 힌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어 내부 프레임의 개방된 중심 측 테두리와 도어 내부 프레임의 외곽 측 테두리 사이에 형성된 도어 경사면을 갖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 경사면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도어 힌지가 배치된 곳의 반대쪽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중간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커버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도어 록킹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도어의 폐쇄시, 상기 도어의 도어 록킹 지지부와의 접촉 방지를 위해, 상기 프론트 패널을 향하여 함몰되도록, 상기 도어 록킹 지지부에 대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커버의 중간 외측면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유닛 장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의 상기 유닛 장착부는, 상기 도어 록킹 지지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도어 힌지를 구비한 커버; 및 상기 도어 힌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호 조립된 도어 내부 프레임 및 도어 외부 프레임을 갖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중간 외측면에서 상기 커버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도어 록킹 지지부에 비접촉되도록, 유닛 장착부가 함몰된 형태로 상기 커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외측면의 도어 경사면에 대응한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버에 형성된 세탁물 투입구와 상기 커버의 외곽 테두리 사이에 형성되고 커버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커버 경사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의 유닛 장착부는, 상기 도어의 도어 글라스가 상기 커버의 도어 개스킷에 접촉하더라도, 상기 도어 록킹 지지부에 대하여 비접촉하는 간극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의 상기 유닛 장착부는, 상기 커버에서 경사 저부면의 외곽과 걸림부 삽입홀 사이에 형성된 경계부; 상기 도어 록킹 지지부에 대응하여 평행을 이루도록, 상기 경계부로부터 상기 커버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플랫부; 상기 플랫부의 외곽에서 상경사 방향으로 벤딩되어 있는 제 2 코너부; 및 상기 제 2 코너부의 외곽에서 커버의 외곽 테두리의 채널부까지 연장된 제 2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 삽입홀이 상기 플랫부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착 유닛부의 상기 플랫부는, 상기 채널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 유닛부는, 상기 플랫부의 후면을 기준으로 설치되는 도어 잠금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잠금 유닛의 걸림부 투입구와 상기 플랫부의 상기 걸림부 삽입홀이 서로 일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커버에 따르면,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별도의 손잡이를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 개방 버튼의 조작만으로도 도어 잠금 유닛의 록킹 해제 및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도어 개폐에 따른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자식 개폐방식으로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의 록킹 해제시 돌출되는 도어 개방 유닛에 의하여, 도어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 개방 유닛의 탄성력 및 도어 개스킷의 탄성력의 합력을 이용하여 도어를 신속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정전 또는 제어 유닛의 고장시, 수동으로 도어 잠금 유닛의 잠금을 해제하여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는 작동시 상호 간섭되지 않는 회피 설계를 가지고 있어서, 작동 소음이 적고 접촉에 의한 충격 발생을 미연에 차단하여 제품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 개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 내부 프레임의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커버와 도어 잠금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커버의 선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커버의 선 C-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도어 내부 프레임과 커버 사이의 간극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는 도 7에 도시된 커버의 선 D-D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세탁기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10)는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과, 캐비닛(1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캐비닛(100)의 개방된 전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200)와, 도어(200)가 개폐되도록 도어(200)와 연결되는 커버(300)와, 커버(300)의 후면에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400)과, 프론트 패널(400)의 일측에 수용되고 세제 및 유연제를 수용하는 세제함(500)과,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600)과, 드럼(600)을 감싸고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700)와, 벽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8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후면은 벽체와 가까운 면을 의미하고, 전면은 후면과 반대되는 면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캐비닛(100)은 내부가 빈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전원 버튼(102)과, 커버(300)와 연결되는 커버 연결부(104)와, 리어 패널(800)과 연결되는 리어 패널 연결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버튼(102)은 캐비닛(100)의 일측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세탁기(10)의 온오프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전원 버튼(102)은 캐비닛(100)의 전면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캐비닛(100)의 전면 하측에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전원 버튼(102)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캐비닛(100)의 전면 좌측이나 우측에 제공될 수 있다.
캐비닛(100)은 커버(300)와 연결되는 커버 연결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연결부(104)는 캐비닛(100)의 개방된 전면 테두리에 대응될 수 있으며, 커버(300)가 캐비닛(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3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300)는 캐비닛(100) 내부의 후면에서 전면측으로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커버 연결부(104)의 직경이 커버(300)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커버(300)는 커버 연결부(104)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커버(300)는 캐비닛(100)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캐비닛(100)은 리어 패널(800)과 연결되는 리어 패널 연결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패널 연결부(106)는 캐비닛(100)의 개방된 후면 테두리에 대응될 수 있으며, 리어 패널(8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캐비닛(100)은 리어 패널(800)과 볼트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리어 패널 연결부(106)에는 복수 개의 볼트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0)의 전면에는 도어(200)가 제공될 수 있다. 도어(200)는 세탁물을 투입 및 인출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볼트 결합될 수 있고, 커버 연결부(104)와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도어 내부 프레임(230)은 커버 연결부(104)와 접촉될 수 있으며,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캐비닛(100)에 연결된 커버(300)를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커버(300)와의 연결을 위한 도어 힌지 연결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힌지 연결부(232)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일측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후술할 커버(300)의 도어 힌지(36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어 내부 프레임(230)과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사이 공간에는 디스플레이(202)가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2)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전면이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디스플레이(202)가 노출될 수 있도록 홀(미표기)을 포함하거나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202)는 입력 또는 출력이 가능한 터치 패널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2)를 통해 작동 상태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터치를 통한 벽걸이형 세탁기(10)의 조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2)에 대한 터치 조작을 수행하여 세탁 및 헹굼 등의 과정을 선택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202)를 통해 잔여 세탁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어 외부 프레임(24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202)는 보호 유리(204)를 통해 보호될 수 있다. 보호 유리(204)는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전면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투명하게 제공되어 디스플레이(202)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보호 유리(204)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과 같은 직경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보호 유리(204)의 일측에는 홀(미표기)이 제공될 수 있고, 홀(미표기)을 통해 도어 개방 버튼(21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어 개방 버튼(210)은 전자식 개폐방식을 사용하여 캐비닛(100)의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으로서, 도어 외부 프레임(240)에 제공될 수 있고, 보호 유리(204)의 홀(미표기)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도어(200)는 도어 개방 유닛(250) 및 도어 걸림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방 유닛(250) 및 도어 걸림부(260)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커버(300)의 일측에 접촉 및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개방 유닛(250)은 개폐 보조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탄성력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방 유닛(250)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해 도어(200) 개방 시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200)가 폐쇄되어있을 경우에는, 도어 개방 유닛(250)이 압축되어 커버(300)의 일측에 제공된 홈(미표기)에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 개방 버튼(210)을 조작하여 도어(200)가 개방되면, 도어 개방 유닛(250)은 커버(300)의 일측 홈(미표기)에서 이탈되고, 이완된 채로 커버(300)의 일측 홈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즉, 도어 개방 유닛(250)의 이완된 길이만큼 도어(200)와 커버(300)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어, 도어(200)가 자동으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 개방 유닛(250)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도어 내부 프레임(230)에 형성된 가이드 구조물 내에 위치하거나, 미리 정한 스트로크 범위로 직선 이동하여 돌출되는 것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푸셔 스템 조립체(pusher stem assembly)일 수 있다.
도어 걸림부(260)는 도어 개방 유닛(25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공되는 것으로서, 일부가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외부로 돌출된 후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어 걸림부(260)의 돌출된 부분은 후술할 커버(300)의 도어 잠금 유닛(330)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0)가 폐쇄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00)는 도어 개방 버튼(210)을 통해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 개방 버튼(210)을 작동하면, 도어 개방 유닛(250) 및 도어 걸림부(260)가 커버(300)에서 이탈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0)는 커버(30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탄성력을 갖는 도어 개방 유닛(250)이 이완되어 커버(300)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0)와 커버(300)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제공되어, 자동으로 도어(200)가 닫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커버(300) 측으로 도어(200)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도어(200)를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도어(200)의 가장 외측인 보호 유리(204)의 일측을 누를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 개방 유닛(250)이 압축되어 커버(300)의 홈(미표기)으로 수용될 수 있고, 도어 걸림부(260)의 돌출된 부분이 커버(300)의 도어 잠금 유닛(33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별도의 핸들 없이 도어(200)의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할 수 있다.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중심 측은 개방될 수 있고, 개방된 중심 측에 도어 글라스(280)가 제공될 수 있다. 도어 글라스(280)는 세탁기(10) 외부에서 내부의 세탁물을 볼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어 글라스(280)는 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도어 글라스(280)의 돌출된 측은 커버(300)의 개방된 측에 끼워질 수 있다.
한편, 도어(200)는 회전 가능하도록 커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커버(300)는 프론트 패널(400)을 감싸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세탁물 투입구(302)와, 세제함(500)을 투입할 수 있는 세제함 투입구(304)와, 전원 버튼(102)을 제어하는 전원 처리부(30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물 투입구(302)를 통해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세탁물 투입구(302)는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세탁물 투입구(302)의 직경은 도어 글라스(280)의 돌출된 부분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0)가 폐쇄되면, 도어 글라스(280)가 세탁물 투입구(302)를 막을 수 있고, 사용자가 도어(200)를 개방하면, 도어 글라스(280)가 세탁물 투입구(302)에서 이탈되어, 세탁물 투입구(302)를 통한 세탁물의 투입이 가능할 수 있다.
세탁물 투입구(302)의 상측에는 세제함(500)을 투입할 수 있는 세제함 투입구(304)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세제함 투입구(304)는 세제함(5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300)는 중심에 세탁물 투입구(302)를 구비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커버(300)는 일측이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하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전원 처리부(306)가 제공될 수 있다. 전원 처리부(306)는 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된 전원 버튼(102)의 작동에 따라 전원 여부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전원 버튼(102)과 연결된 PCB 기판일 수 있다.
한편, 커버(300)는 도어 걸림부(260)와 대응되는 위치에 도어 잠금 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잠금 유닛(330)은 후크 형태의 도어 걸림부(260)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어 걸림부(260)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일 수 있다. 따라서, 도어 걸림부(260)가 도어 잠금 유닛(330)에 결합됨에 따라, 도어(200)가 세탁물 투입구(302)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커버(300)는 도어 힌지 연결부(232)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어 힌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힌지(360)는 도어(200)의 일측과 커버(300)의 일측이 연결된 채로 개방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어 힌지(360)의 일측은 도어 힌지 연결부(232)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힌지(360)는 세탁물 투입구(302)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긴 곡선의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도어(2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도어 힌지 연결부(23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도어 힌지(360)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따라 도어(200)가 회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커버(300)의 후면에는 프론트 패널(400)이 제공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400)은 터브(700)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드럼(600)과 터브(700)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차폐부(410)와, 세제함(500)을 수용하는 세제함 수용부(420)와, 세제함(500)과 결합되는 부분이 밀폐되도록 제공되는 세제함 개스킷(430)과, 세제함(500) 내부로 급수하는 피팅(440)과, 도어(200)와 접촉되는 부분이 밀폐되도록 제공되는 도어 개스킷(450)과,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는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410)는 드럼(600) 및 터브(700) 사이에서 발생되는 공간을 차폐하는 것으로서, 커버(3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커버(300)와 같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중심 측에 세탁물 투입구(302)에 대응되는 개방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차폐부(410)의 개방부는 드럼(6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드럼(600)과 터브(700) 사이 공간이 차폐될 수 있다.
차폐부(410)의 일측에는 세제함(500)을 수용하는 세제함 수용부(420)가 제공될 수 있다. 세제함 수용부(420)는 세제함(50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커버(300)의 세제함 투입구(304)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세제함(500)은 커버(300)의 세제함 투입구(304)를 거쳐 세제함 수용부(420)에 수용될 수 있다.
세제함 수용부(420)는 세제함(500)에 의해 가압되는 세제함 개스킷(430)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 개스킷(430)은 세제함 수용부(420) 단부의 둘레에 배치되어 세제함(500)을 밀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고무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세제함 개스킷(430)을 통해 세제함(500) 내부의 세제, 유연제, 및 세제함(500)으로 공급되는 세탁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을 수 있다.
세제함 수용부(420)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피팅(440)이 제공될 수 있다. 피팅(440)은 외부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세제함(500)의 내부로 세탁수를 급수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수가 세제함(500)을 통해 드럼(600) 및 터브(700)의 내부로 급수되므로, 드럼(600) 및 터브(700)로 공급되는 세탁수에는 세제 또는 유연제가 용해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차폐부(410)의 개방부에는 도어(200)의 도어 글라스(280)에 의해 가압되는 도어 개스킷(4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스킷(450)은 차폐부(410)의 개방부 단부(예: 개방부의 환형 단부)에 배치되어 도어 글라스(280)를 밀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고무 소재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0)가 폐쇄될 경우, 커버(300)의 세탁물 투입구(302)를 관통한 도어 글라스(280)가 도어 개스킷(450)을 가압하고, 이에 따라, 드럼(600) 및 터브(700) 내부의 세탁수가 도어(200)의 외부로 누수되지 않을 수 있다.
피팅(440)은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는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선택적으로 피팅(440)을 통해 세제함(550)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는 세 방향 밸브(three-way valve)일 수 있으며,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로부터 연장되는 공급 유로 중 2개는 세제함(500)에 연결된 피팅(440)에 연결되고, 1개는 도어 개스킷(450)을 통해 직접 드럼(600)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세제함(500)은 세제 및 유연제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세제함 손잡이(502)와,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 투입 공간(504)과, 유연제가 투입되는 유연제 투입 공간(506)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 손잡이(502)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커버(3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어(200) 개방 후, 사용자가 세제함 손잡이(502)를 파지하여 세제함(500)을 세제함 수용부(420)로부터 인출 또는 삽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제함(500)의 전면 중앙에 세제함 손잡이(502)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세제함 손잡이(502)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세제함 수용부(420)는 세제함(500)의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세제함(500)은 내부의 중앙이 구획되어, 각각 세제 및 유연제를 수용할 수 있는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피팅(440)은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에는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세제 투입 공간(504)과 유연제 투입 공간(506)의 세제 및 유연제는 선택적으로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어(200)를 개방한 후 세제함(500)을 세제함 수용부(420)로부터 인출하고,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에 각각 세제 및 유연제를 투입할 수 있다. 세제 및 유연제가 채워진 세제함(500)은 다시 세제함 수용부(420)로 삽입될 수 있고, 세탁 과정에 따라,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은 각각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600) 및 터브(700)에 선택적으로 세제 또는 유연제를 포함한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다.
한편, 프론트 패널(400)은 드럼(600)과 연결될 수 있다. 드럼(600)은 세탁물이 수납되는 것으로서, 전면에 드럼 입구부(610)를 포함하고, 후면에 스파이더(6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드럼(600)의 둘레에는 터브(700)와 유체 연통되기 위한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 입구부(610)는 차폐부(410)의 개방된 부분에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드럼 입구부(610)는 드럼(600) 전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드럼 입구부(610)가 차폐부(410)의 개방된 부분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프론트 패널(400) 및 드럼(600)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이 커버(300)의 세탁물 투입구(302) 및 프론트 패널(400)의 개방된 부분을 거쳐 드럼(60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드럼(600)은 스파이더(680)를 통해 회전될 수 있다. 스파이더(680)는 후술할 구동 모터(9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서, 드럼(600)과 별도로 제공되어, 드럼(60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드럼(600)의 후면에는 스파이더(68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스파이더(680)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스파이더(680)는 중앙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암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파이더(680)는 드럼(600)의 반지름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3개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암은 12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파이더(680)의 중앙은 후술할 드럼 회전축(916)을 통해 후술할 제2 풀리(914)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파이더(680) 및 스파이더(680)에 결합된 드럼(600)이 회전될 수 있다. 드럼(600)의 구체적인 회전 방법은 후술하겠다.
드럼(600)의 외측에는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700)가 제공될 수 있다. 터브(700)는 드럼(60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드럼(600)의 직경보다 기 설정된 길이만큼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700)는 드럼(600)의 외측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터브(700)의 내부로 급수된 세탁수는 드럼(600)의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홀을 통해 드럼(600)의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드럼(600)의 내부 세탁수가 드럼(600)의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홀을 통해 터브(700)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드럼(600)과 터브(700)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터브(700)는 세탁수를 가열하는 히터(70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브(700)의 내측에 히터(702)가 안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터브(700) 내측 홈에 히터(702)가 분리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702)는 터브(700) 내부에 담수된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다.
한편, 터브(700)는 리어 패널(800)과 일체로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리어 패널(800)은 벽체에 거치되는 것으로서, 벽체에 결합되기 위한 앵커가 연결되는 앵커 연결부(802)와, 캐비닛(100)을 고정하는 캐비닛 고정부(804)와, 터브(70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80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브(700)와 리어 패널(800)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리어 패널(800)의 전방으로 터브(700)가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은 별도의 앵커를 통해 벽체에 거치될 수 있다. 앵커는 앵커 연결부(802)를 통과하여 벽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앵커가 리어 패널(800)을 벽체에 거치할 수 있다. 이때, 터브(700)와 리어 패널(800)이 일체로 제공됨으로써, 터브(700)를 지지하는 별도의 댐퍼 또는 탄성부재가 요구되지 않아 부품수가 절감되고, 세탁기(10)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터브(700)가 제공되는 리어 패널(800)의 전면에는 터브(700)를 감싸도록 캐비닛(10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리어 패널(800)의 둘레를 따라 계단 형태를 갖도록 캐비닛 고정부(804)가 제공될 수 있고, 캐비닛 고정부(804)에 캐비닛(100)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볼트 등의 체결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리어 패널(800)은 벽걸이형 세탁기(10)의 전체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810)과, 터브(700)에 담수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 유닛(8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810)은 리어 패널(800)의 전면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벽걸이형 세탁기(10)의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세탁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유닛(810)이 도면을 기준으로 터브(700)의 우측에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제어 유닛(81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원 라인(904)은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상술한 전장 장비들과 제어 유닛(810), 구동 모터(91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라인(904)은 리어 패널(800)을 관통하여 리어 패널(800)의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외부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전원 라인(904)은 별도의 고정 수단을 통해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전원 라인(904)이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외부로 연장된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세탁기(10)의 외관이 미려하게 마무리될 수 있다.
리어 패널(800)의 하부에는 배수 유닛(820)이 제공될 수 있다. 배수 유닛(820)은 터브(700)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리어 패널(800)의 전면 하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배수 유닛(820)은 세탁수를 가압하는 배수 펌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수 호스(902)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수 호스(902)는 배수 유닛(820)과 연결되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을 따라 외부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배수 유닛(820)의 압력을 통해 세탁수가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 과정이 종료된 후, 배수 유닛(820)이 작동되면, 배수 유닛(820)의 압력 변화로 인해 세탁수가 배수 호스(902)를 통해 캐비닛(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리어 패널(800)에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910)와, 구동 모터(910)와 연결되는 제1 풀리(912) 및 제2 풀리(914)와, 제2 풀리(914)와 연결되어 드럼(600)을 회전시키는 드럼 회전축(916)과, 제1 풀리(912) 및 제2 풀리(914)를 연결하는 벨트(918)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어 패널(800)의 전면에는 구동 모터(910)가 제공될 수 있다. 구동 모터(910)는 제어 유닛(8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 유닛(810) 및 배수 유닛(820)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910)는 제1 풀리(91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구동 모터(910)의 축(shaft)(미표기)은 리어 패널(800)을 관통하여 제공될 수 있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구동 모터(910)의 축(미표기)과 제1 풀리(912)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풀리(912)는 벨트(918)를 통해 제2 풀리(914)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풀리(914)는 스파이더(680)와 연결된 드럼 회전축(916)을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드럼 회전축(916)은 스파이더(680)와 연결된 채로 리어 패널(800)을 관통할 수 있다. 즉,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제2 풀리(914)와 드럼 회전축(916)이 연결될 수 있다.
정리하면, 피팅(440)을 통해 터브(700)에 세탁수가 모두 담수되면, 제어 유닛(810)은 구동 모터(9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 모터(910)와 연결된 제1 풀리(912)가 회전하게 되고, 제1 풀리(912)의 회전에 의해, 제2 풀리(914)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풀리(914)와 연결된 드럼 회전축(916) 또한 회전하게 되므로, 드럼(600)이 캐비닛(100) 및 터브(700)의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다. 즉, 드럼(600) 내부의 세탁물이 세탁될 수 있다.
한편,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는 배기 라인(92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배기 라인(920)은 배수 유닛(820)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터브(700) 및 배수 유닛(82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기 라인(920)은 배수 호스(902)과 연결되고, 리어 패널(800)을 관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리어 패널(800)의 후면까지 연장되어 외부로 배기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1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우선, 사용자는 도어(200)를 개방하여, 드럼(600) 내부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고, 프론트 패널(400)에서 세제함(500)을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세제함(500)은 중앙이 구획되어, 세제 및 유연제를 각각 투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세제 및 유연제를 투입한 세제함(500)을 다시 프론트 패널(400)에 삽입한 후, 사용자는 도어(200)를 폐쇄하고, 전원 버튼(102) 및 디스플레이(202)를 통해 세탁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세탁 작동이 시작되면,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통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세탁수는 피팅(440)을 통해 세제함(500)으로 급수될 수 있으며, 세탁수는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을 통과한 후 드럼(600) 및 터브(700)의 내부로 급수될 수 있다. 즉, 드럼(600) 및 터브(700)에 담수되는 세탁수에는 세제 및 유연제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터브(700)에 세탁수가 모두 채워지면, 제어 유닛(810)은 구동 모터(9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 모터(910)는 제1 풀리(912) 및 제2 풀리(914)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풀리(914)는 드럼 회전축(916)을 통해 드럼(600)과 연결될 수 있으므로, 구동 모터(910)를 통해 드럼(600)이 회전될 수 있다. 즉, 드럼(600)의 회전에 의해, 드럼(600)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이 용이하게 세탁될 수 있다.
한편, 도어(200)의 폐쇄시 도어(200)는 커버(300) 쪽으로 회전할 수 있고, 도어(200)의 개방시, 도어(200)는 커버(300)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역회전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 개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 내부 프레임의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커버와 도어 잠금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커버의 선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커버의 선 C-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도어 내부 프레임과 커버 사이의 간극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11는 도 7에 도시된 커버의 선 D-D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벽걸이형 세탁기는 도어(200)에 마련된 전자식 개폐방식의 도어 개폐 장치와, 도어(200) 및 커버(300)간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한다.
도어(2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분리 또는 조립 가능하게 구성된 도어 내부 프레임(230)과 도어 외부 프레임(240)을 포함한다. 도어(200)는 내부 프레임(230)과 도어 외부 프레임(240)으로 합체된 조립물일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는 도어(200)를 개방시킬 수 있는 전자식 장치이다. 즉, 도어 개방 버튼(210)이 단순히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눌러지는 것만으로도, 도어(200)의 록킹이 해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장치는 도어(200)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수단이다.
예컨대, 도어 개폐 장치는 푸셔 스템 조립체(2520)를 포함한 도어 개방 유닛(250)의 탄성력 및 도 4의 도어 개스킷(450)의 탄성력(예: 벤딩 포스)의 합력을 이용하여 도어(200)를 신속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어 개스킷(450)은 도어 글라스(280)를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된 탄성 돌기부를 가지고 있고, 도어(200)의 폐쇄시 벤딩되어 벤딩 포스와 같은 탄성력을 도어 글라스(280)를 통해 도어(200)에 작용시킬 수 있다.
즉, 도어(200)가 개방될 수 있는 언록킹 상태에서 도어 개스킷(450)의 탄성 돌기부는 원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벤딩 포스에 대응한 탄성력으로 도어(200)를 밀어낼 수 있다. 이때, 도어 개스킷(450)의 탄성력의 작용 방향과 도어 개방 유닛(250)의 탄성력의 작용 방향은 동일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도어(200)가 신속하게 개방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도어 개방 유닛(250), 도어 잠금 유닛(330) 및 도어 힌지(360)와, 도 5에 도시된 도어 걸림부(260), 개방 버튼 회로부(2100), 도어 개방 버튼(2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어 힌지(360)는 커버(3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고, 도어(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 잠금 유닛(330)은 커버(30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어 걸림부(260)는 도어(200)의 재질에 비해 구조적 강도가 큰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볼트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도어 걸림부(260)는 도어(200)에 장착된다. 즉, 도어 걸림부(260)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외부로 돌출된 후크 형태이거나, 또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에서 커버(300)를 향하여 돌출된 고리 형태일 수 있다. 이런 도어 걸림부(260)는 앞서 언급한 도 3 또는 도 4의 도어 잠금 유닛(330)에 대한 결합(예: 록킹)되는 구성요소이거나, 또는 도어 잠금 유닛(330)으로부터 분리(예: 언록킹)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도어 잠금 유닛(330)은 탄성력 및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도어 걸림부(260)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킬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도어 잠금 유닛(330)는 제어 유닛(810)의 도어 잠금 해제 신호에 따라 도어 걸림부(260)를 언록킹시키거나, 후술 되는 수동 잠금 해제에 의해 도어 걸림부(260)를 언록킹시킬 수 있다.
도어 잠금 유닛(330)은 상기 커버(300)에 구비된다. 도어 잠금 유닛(330)은 상기 도어 걸림부(260)에 결합시, 도어 걸림부(260)를 록킹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어 잠금 유닛(330)은 세탁기(10) 내부의 제어 유닛(810)에 접속되어 있다. 도어 잠금 유닛(330)의 세부 구성은 상기 도어 걸림부(260)의 록킹 또는 언록킹을 위한 래치(latch)와, 래치의 작동을 위한 기구물 및 전기식 동력 장치를 갖는 전자기계식 잠금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전기식 동력 장치는 제어 유닛(8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도어 잠금 유닛(330)은 캐비닛(100)의 내부에 위치된 제어 유닛(810)의 동작 제어 이벤트(예: 도어 언록킹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 걸림부(260)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도어 개방 유닛(25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어(200)에 설치된다. 도어 개방 유닛(250)은 도어(200)와 함께 회전하여 커버(300)에 접촉한다. 이런 경우, 도어 개방 유닛(250)의 스프링(2550)이 압축되고, 그 결과 탄성력이 스프링(2550)에서 발생되거나, 또는 스프링(25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방 유닛(250)은 후술되는 가이드 구조물(2510)과, 가이드 구조물(2510)에 의해 가이드되는 푸셔 스템 조립체(2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방 유닛(250)은 도어(200)의 개방에 필요한 힘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예컨대, 도어 개방 유닛(250)은 탄성력을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신장 또는 축소, 즉 신축될 수 있는 장치이다. 즉, 도어 개방 유닛(250)은 탄성력을 이용하여 도어(200)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개방시키기 위한 푸셔(pusher)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즉, 도어 개방 유닛(250)은 상기 저장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도어를 역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 개방 유닛(250)은 탄성 지지대 또는 간격 유지구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즉, 도어(200)의 개방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200)를 폐쇄시킬 수 있는 크기의 힘을 도어(200)에 가하기 전까지, 도어 개방 유닛(250)은 도어(200)와 커버(30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어 개방 유닛(250)은 도어 걸림부(260)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200)에 설치된다.
도어 내부 프레임(230)은 상기 커버(300)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복수개의 볼트홀(231)과 스템 관통홀(233)을 가지고 있다. 스템 관통홀(233)은 도어 걸림부(260)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기준으로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프레임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외측면에는 보호 유리(204)가 결합되어 있다.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도어 개방 유닛(250)의 지지기반이 될 수 있다.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볼트홀(231)에 대응하는 볼트(미표기)를 통해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23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서,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상기 볼트홀(231)에 끼워진 볼트가 결합되도록,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내측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볼트 고정부(241)를 갖는다.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볼트 고정부(241)와 간섭되지 않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240)에 배치된 도어 개방 버튼(210)을 포함한다.
도어 개방 버튼(210)의 외측부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호 유리(204)의 일측의 홀(미표기)을 통해 표출될 수 있다.
이런 도어 개방 버튼(210)은 그의 내측부 중심에서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일체형 축부재인 버튼 연장부(211)를 포함한다.
도어 개방 버튼(210)의 외곽 부위와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버튼홀 테두리 내측 부위 사이에는 회오리 형태의 탄성체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 개방 버튼(210)을 도어(200)의 외측에서 손가락으로 누르는 바와 같이, 도어(200)의 개방을 위한 누름 조작을 할 수 있다. 이때, 회오리 형태의 탄성체가 탄성 범위 내에서 변형되기 때문에, 도어 개방 버튼(210) 및 버튼 연장부(211)는 누름 조작시 전진될 수 있고, 손가락을 도어 개방 버튼(210)으로부터 분리시켰을 때 원래 상태로 복원(예: 후진)될 수 있다.
한편, 도어 내부 프레임(230)은 버튼 연장부(211)의 끝단과 접촉되도록,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내측면에 설치된 개방 버튼 회로부(2100)를 포함한다.
개방 버튼 회로부(2100)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상기 스템 관통홀(233)로부터 하향으로 이격된 위치(예: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내측면)에 설치된다.
개방 버튼 회로부(2100)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내측면 설치 위치에 볼트로 고정될 수 있는 회로 하우징(2110)을 구비한다. 회로 하우징(2110)의 일측면은 개방되어 있다.
개방 버튼 회로부(2100)는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서 회로 하우징(2110)에 설치된 스위치 회로용 기판부(2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개방 버튼 회로부(2100)는 도어 개방 버튼(210), 버튼 연장부(211) 및 컨택트 스위치(2130)의 온 동작 또는 오프 동작에 따라 세탁기(10)의 제어 유닛(810)에 도어의 록킹 해제 신호를 입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컨택트 스위치(2130)는 스위치 회로용 기판부(2120)에 실장되고, 버튼 연장부(211)의 끝단에 접촉할 수 있다.
개방 버튼 회로부(2100)는 스위치 회로용 기판부(2120)와 제어 유닛(81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케이블(2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케이블(2140)은 앞서 언급한 디스플레이(202)의 회로(미표기)를 경유하여 제어 유닛(810)에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도어 개방 유닛(25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어 개방 유닛(250)의 가이드 구조물(2510)은 푸셔 스템 조립체(25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가이드 구조물(2510)은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세부적으로, 가이드 구조물(2510)은 푸셔 스템 조립체(2520)의 스템(2540)의 전진(예: 신장) 또는 후진(예: 축소)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가이드 구조물(2510)은 스템(2540)의 외부로 스프링(2550)이 분리 또는 이탈되지 않게 스프링(2550)을 구속 또는 보호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도어 개방 유닛(250)의 푸셔 스템 조립체(2520)는 가이드 구조물(2510)에 결합되어서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내측면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푸셔 스템 조립체(2520)의 쿠션(2530)은 커버(300)에 접촉될 수 있다. 푸셔 스템 조립체(2520)의 스템(2540)은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스템 관통홀(233)에 끼워질 수 있다.
푸셔 스템 조립체(2520)는 커버(300)와의 접촉시 압축될 수 있다.
도어(200)의 폐쇄에 따라 푸셔 스템 조립체(2520)는 가이드 구조물(2510)의 내부에서 지지 및 가이드되고, 스프링(2550)의 압축에 따라 저장된 탄성력을 커버(300)에 작용할 수 있다.
반대로, 푸셔 스템 조립체(2520)는 도어(200)의 개방에 따라 스템 관통홀(233)을 통해서 상기 커버(300)를 향하여 신장될 수 있다. 이런 푸셔 스템 조립체(250)는 가이드 구조물(2510)에 의해 지지 및 가이드되고, 저장된 탄성력을 커버(300)에 작용한다.
커버(300)는 벽체에 지지된 세탁기(10)의 고정형 구성품이다. 반면 도어(200)는 커버(300)의 도어 힌지(360)에서 회전 가능한 구성품이다.
따라서, 푸셔 스템 조립체(2520)는 도어 걸림부(260)와 도어 잠금 유닛(330)간 록킹 해제에 따른 도어(200)의 개방 가능한 상태에서, 스프링(2550)이 이완 또는 신장됨에 따른 탄성력의 반작용(예: 탄성 반발력)에 의해 도어 개방 방향을 따라 도어(20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푸셔 스템 조립체(2520)는 도어(200)의 회전에 대응하여 커버(300)에 접촉하는 쿠션(2530)을 포함한다. 푸셔 스템 조립체(2520)는 스템(2540)의 내부에 삽입되고, 스템(25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축 또는 이완되는 스프링(2550)을 포함한다.
쿠션(2530)은 커버(300)와의 접촉시 충격을 감쇄시키고, 접촉시 소음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담당하여, 세탁기(10)의 작동 품질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쿠션(2530)은 천연 고무 재질, 합성 고무 재질, 우레탄 재질, 실리콘 재질, 탄성력을 갖는 합성 수지 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쿠션(2530)은 커버(300)에 접촉하여 충격을 흡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벽걸이형 세탁기의 도어 개폐 장치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어(200)를 폐쇄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도어(200)를 도 1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회전시킨다.
이런 경우, 도어(200)는 커버(300) 쪽으로 근접되고, 도어(200)의 도어 걸림부(260)는 도어 잠금 유닛(330)에 결합되어 록킹되고, 그 결과 도어(200)가 폐쇄된다.
이럴 경우, 도어(200)와 함께 푸셔 스템 조립체(2520)도 이동된 상태가 되고, 푸셔 스템 조립체(2520)의 쿠션(2530)은 커버(300)에 접촉될 수 있다. 계속된 도어(200)의 회전, 즉 사용자가 도어(200)를 더 가압하여 커버(300) 쪽으로 밀착시킴에 따라서, 푸셔 스템 조립체(2520)의 스템(2540)은 후진하고, 스프링(2550)은 스템(2540)의 후진에 의해 압축되어서, 도어 폐쇄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개방 버튼(210)을 누른다.
이런 경우, 도 2에 도시된 도어(200)의 도어 걸림부(260)에 대한 도어 잠금 유닛(330)의 잠금은 해제된다.
이때, 도어 개방 유닛(250)이 이완되는 것과 같이, 도어 개방 유닛(250)의 스프링(2550)의 길이가 신장된다.
또한, 커버(300) 및 그와 결합된 세탁기(10)의 구성품은 벽체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스프링(2550)의 신장에도 불구하고 움직이지 않는다.
그대신, 스프링(2550)의 탄성력은 스템(2540) 및 쿠션(2530)을 통해 커버(300)에 전달된다. 또한, 상기 탄성력에 대응하는 탄성 반발력(예: 푸시력)은 가이드 구조물(2510)을 통해 도어(200) 쪽으로 전달되고, 그 결과 도어(20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역회전을 하게 된다.
즉, 스프링(2550)의 이완 또는 신장시의 탄성력의 반작용으로 인해서, 도어(200)의 도어 개방 유닛(250)인 가이드 구조물(2510) 및 푸셔 스템 조립체(2520)는 도어(200)와 함께 이동되어서 도어 개방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하, 도어 개폐 장치의 수동 잠금 해제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어 잠금 유닛(330)은 잠금 장치 케이싱(337), 수동 레버(333) 및 줄 부재(335)를 포함한다.
줄 부재(335)는 수동 레버(333)를 잡아 당기는 역할을 담당한다.
지렛대 원리와 같이 작동되는 수동 레버(333)는 줄 부재(335)에 의해 잠금 장치 케이싱(337)의 내부 래치(미표기)를 회동시켜서, 앞서 도 2에 도시된 도어 걸림부(260)를 도어 잠금 유닛(330)으로부터 수동으로 분리 또는 언록킹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커버(300)는 도어 잠금 유닛(330)의 줄 부재(335)를 고정하기 위한 줄 안착부(309)를 포함한다. 여기서, 줄 안착부(309)는 커버(300)의 하부 테두리에서 커버(300)의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줄 안착부(309)는 줄 부재(335)를 묶어 고정하거나, 줄 부재(335)의 끝단이 흔들리지 않게 고정하는 수단이거나, 줄 부재(335)를 팽팽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지지기반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줄 안착부(309)는 커버(300)의 하부 테두리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줄 부재(335)의 끝단을 고정하기 위한 후크부, 고리부 및 줄 끼워맞춤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3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어(200)로부터 커버(300)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도어 걸림부(260)의 돌출된 부분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버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부 삽입홀(307)을 포함한다. 여기서, 걸림부 삽입홀(307)은 라운드 코너부를 갖는 사각형 통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300)는 걸림부 삽입홀(307)의 주변으로 상기 커버(300)에 형성된 볼트 체결용 장착홀(308)을 포함한다. 도어 잠금 유닛(330)은 볼트 체결용 장착홀(308)의 볼트에 나사 결합되어서, 커버(300)의 배면에 밀착 및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줄 부재(335)는 끈, 줄, 스트링, 가요성 재질의 와이어 등과 같이 장력을 수동 레버(333)에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줄 부재(335)는 가요성 재질이므로, 진동 전달 효율이 떨어지고, 접촉에 의한 마찰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장점을 본 실시예에 제공할 수 있다.
진동 전달 효율이 떨어지고, 접촉에 의한 마찰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장점을 본 실시예에 제공할 수 있다.
잠금 장치 케이싱(337)은 커버(300)의 후면(예: 배면)에 설치되고, 도어 걸림부(260)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킬 수 있는 래치와, 상기 래치의 작동을 위한 기구물 및 전기식 동력 장치를 탑재하고 있다. 여기서, 래치의 작동을 위한 기구물은 수동 레버(333)로부터 작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도록, 수동 레버(333)로부터 잠금 장치 케이싱(337)의 내부로 연장된 레버 연결 부재(미표기) 에 연결되어 있다.
수동 레버(333)는 잠금 장치 케이싱(337)의 외부로 표출되고, 수동 동작에 의해 상기 래치를 동작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줄 부재(335)의 상단부는 수동 레버(333)에 설치 또는 결합된다.
즉, 줄 부재(335)는 수동 레버(333)에 연결되고, 상기 수동 레버(333)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줄 부재(335)의 상단부는 수동 레버(333)의 사출 제작시 합체되거나, 또는 수동 레버(333)의 제작 이후 묶는 방법, 고정 클립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법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줄 부재(335)와 커버(300)의 줄 안착부(309)간 결합이나 고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줄 부재(335)는 그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고, 줄 안착부(309)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부(3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잠금 유닛(330)은 상기 커버(300)의 걸림부 삽입홀(307)에 대응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잠금 장치 케이싱(337)에 형성된 걸림부 투입구(331)를 포함한다. 걸림부 투입구(331)도 걸림부 삽입홀(307)에 대응하여 매칭 또는 서로 일치될 수 있도록 라운드 코너부를 갖는 사각형 구멍일 수 있다.
도어 잠금 유닛(330)의 잠금 장치 케이싱(337)에는 볼트 체결용 장착홀(308)을 통과한 볼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볼트 고정부(332)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 잠금 유닛(330)은 제어 유닛(810)으로부터 연장된 전선의 커넥터(미표기)와 전기적 접속을 위한 소켓부(334)를 더 포함한다. 소켓부(334)는 잠금 장치 케이싱(337)의 저부에 배치되며, 잠금 장치 케이싱(337)의 폭방향으로 개구된 소켓 구멍을 갖는다.
만일, 세탁기(10)의 사용 도중 정전 또는 고장으로 작동 불능 상태가 될 경우,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세탁기(10)로부터 캐비닛(100)을 분해한다.
이런 경우, 도 4의 커버(300)와 프론트 패널(400)의 측면 방향으로 줄 부재(335)가 표출될 수 있다.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줄 부재(335)를 아래로 잡아 당김으로써, 수동으로 도어 잠금 유닛(330)의 잠금을 해제하고, 그 결과 도어 걸림부(260)가 도어 잠금 유닛(330)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도어(200)를 수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이하, 도어(200) 및 커버(300)간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세탁기(10)의 도어(200)는 서로 결합된 도어 내부 프레임(230)과 도어 외부 프레임(240)을 갖는다.
도어(200)는 외관상 미려하고 도어(200)의 중량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원형 디스크 형상을 갖는다.
도어(200)는 그의 외곽 두께가 얇고 도어(200)의 중심부 쪽으로 갈 수록 도어(200)의 두께가 증가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디자인 측면이나 중량 측면에서 매우 유리할 수 있다.
도어(200)의 디자인을 위해서 도어(200)에 관련된 내부 장치의 설치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있는 것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는 도어(200)의 개폐와 세탁기(10)의 작동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02)(도 4 참조)에 관련된 장치 또는 관련 유닛을 구비하면서도, 도어 개폐 및 잠금 동작을 확실하게 수행하면서도 도어(200) 및 커버(300)간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어 글라스(280)는 후방, 예컨대 드럼(600)을 향하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캡형 글라스 몸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글라스 테두리부(289)를 포함한다. 여기서, 글라스 테두리부(289)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개방된 중심 측 테두리(239)와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개방된 중심 측 테두리(249)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도어 글라스(280)의 글라스 몸체의 외곽에서 직각으로 벤딩되고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 또는 돌출되어 있다.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외표면에는 도어 경사면(2320)이 포함된다. 또한, 도어 경사면(2320)은 도어 글라스(280)의 외곽 위치를 기준으로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어 경사면(2320)은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개방된 중심 측 테두리(239)와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외곽 측 테두리(238) 사이에 형성된다.
도어 경사면(2320)과 커버 경사면(3020)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같은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소 대면하는 표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어 경사면(2320)은 앞서 언급한 도 10의 글라스 테두리부(289)의 연장 방향에 평행하도록,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개방된 중심 측에 형성된 링형 돌출부(2321)를 포함한다.
링형 돌출부(2321)는 도어 글라스(280)를 감싸는 형태로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외측면에 위치되어서, 도어 글라스(280)의 테두리 단부(289)를 지지할 수 있다.
도어 경사면(2320)은 링형 돌출부(2321)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미리 정한 경사각(Q)에 대응하게 전방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예컨대, 도어 경사면(2320)은 링형 돌출부(2321)와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외곽 측 테두리(238)의 사이에서 도어 외부 프레임(240)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도어 경사면(2320)에는 도어(200)의 폐쇄시 도 4에 도시된 세제함(500)의 세제함 손잡이(502)와 도어(200)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세제함 손잡이(502)의 수용을 위한 홈 또는 리세스(2322)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300)는 서로 마주보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하부 외측면과 커버(300)의 하부 외측면 사이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커버(300)의 하부 외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간극 유지부(3010)를 포함한다.
간극 유지부(3010)의 함몰된 공간 크기는 회로 보호부(2310)를 비접촉 방식으로 수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설계될 수 있다.
간극 유지부(3010)는 상기 도어(200)의 폐쇄시, 상기 도어(200)의 회로 보호부(2310)와의 접촉을 방지한다.
회로 보호부(2310)는 도어(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 부품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과, 전기 부품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제품 수명을 보장할 수 있는 역할과, 더 나아가 누전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예컨대, 회로 보호부(2310)는 회로 수용부(2410)에 탑재될 디스플레이(202)용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회로 보호부(2310)는 간극 유지부(3010)와 비접촉되기 때문에, 도어(200)의 개폐시 발생 가능한 커버(300) 쪽의 물리적 충격이 간극 유지부(3010)를 통해 직접적으로 회로 보호부(2310)에 전달되지 않게 함으로써, 역시 디스플레이(202)용 회로를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간극 유지부(3010)는 상기 프론트 패널(400)을 향하여 함몰되도록, 상기 회로 보호부(2310)에 대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도어 내부 프레임(230)에 형성되어 있다. 즉, 간극 유지부(3010)는 마주보거나 상호 비접촉 방식으로 대응되는 회로 보호부(2310)로부터 회피 또는 도피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유닛 장착부(3050) 및 간극 유지부(3010)의 함몰된 상태는 커버 경사면(3020)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간극 유지부(3010)는 회로 보호부(2310)의 위치 및 면적과 형상에 각각 대응하여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회로 보호부(2310)에 대응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교합될 수 있는 위치 및 면적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간극 유지부(3010)는 상기 프론트 패널(400)을 향하여 함몰되어 있고, 이렇게 함몰된 형상은 도어(200)의 작동 간섭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극 유지부(3010)의 함몰된 형상은 접촉에 의한 충격 전달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도어(200) 및 도어 관련 구성품의 제품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소음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기(10)의 도어 폐쇄(예: 도어(200)를 커버 쪽으로 회전시킬 때, 도어(200)의 도어 글라스(280)가 프론트 패널(400)의 도어 개스킷(450)에 밀착된 상태)시, 상기 도어(200)의 상기 회로 보호부(2310)는 커버(300)의 하부 외측면의 간극 유지부(3010)에 대하여 간극(G)(도 10 참조)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300)는 커버(300)의 중간 외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유닛 장착부(3050)를 포함한다.
유닛 장착부(3050)의 함몰된 공간 크기는 도어 록킹 지지부(2350)를 비접촉 방식으로 수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설계될 수 있다.
유닛 장착부(3050)는 도어(200)의 도어 걸림부(260)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도어 록킹 지지부(2350)에 대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중간 외측면과 커버(300)의 중간 외측면 사이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유닛 장착부(3050)는 도어(200)의 폐쇄시, 도어 록킹 지지부(2350)에 대한 접촉 방지의 역할을 담당한다. 유닛 장착부(3050)도 프론트 패널(400)을 향하여 함몰되어 있다.
도어 걸림부(260)는 도어 잠금 유닛(330)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돌출된 부분(261)(예: 래치 걸림쇠)과, 영문 T자 단면을 이루도록, 도어(200)를 향하는 끝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기저부(262)를 포함한다. 기저부(262)에는 홀이 형성되어 볼트 또는 나사에 의한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기저부(262)의 테두리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설치용 가이드홈(263)이 형성되어 있어서, 도어 걸림부(260)의 설치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도어 록킹 지지부(2350)의 설치홈부(2360)의 내측면에도 상기 설치용 가이드홈(263)에 형상적으로 교합되는 설치용 가이드돌기(2361)가 형성되어 있다.
도어 글라스(280)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개방된 중심 측 테두리(239)에 지지된다.
보호 유리(204)는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전면에 제공되고,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중심 개구부를 폐쇄한다.
도어 외부 프레임(240)에는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중심 개구부의 하부 위치를 기준으로 회로 수용부(2410)가 제공된다.
회로 수용부(2410)는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내측면에서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230)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고, 디스플레이(202)용 회로(미표기)를 수용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회로 수용부(2410)는 벽체(2411) 및 나사 지지부(2412)를 포함한다.
벽체(2411)는 디스플레이(202)용 회로를 수용하기 위해서, 회로 외곽에 대응하게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있고, 디스플레이(202)용 회로의 탑재를 위해서,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나사 지지부(2412)는 상기 벽체(2411)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내측면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나사 지지부(2412)는 도어 외부 프레임(240)과 도어 내부 프레임(230)간 나사 결합 또는 볼트 결합에 이용된다.
그리고, 회로 수용부(2410)의 전면은 보호 유리(204)에 의해 커버링될 수 있고, 회로 수용부(2410)의 후면은 후술되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회로 보호부(2310)에 의해 커버링될 수 있다.
이렇게 회로 수용부(2410)는 벽체(2411)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보호 유리(204) 또는 회로 보호부(2310)에 의해 마감되어 있으므로, 수분 또는 물방울은 회로 수용부(24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회로 보호부(2310)는 회로 수용부(2410)의 후면을 커버링할 수 있도록, 회로 수용부(2410)의 형상에 대응하게 도어 내부 프레임(23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회로 보호부(2310)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하부 외측면에서 도 7에 도시된 커버(300)를 향하여, 즉 커버(300)의 간극 유지부(3010)를 향하여 비접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팽출되어 있다.
회로 보호부(2310)가 형성된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하부 외측면과 도어 경사면(2320)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연결부위의 표면 형상이 연속될 수 있다.
회로 보호부(2310)는 회로 수용부(2410)의 나사 지지부(2412)에 대응한 나사의 체결을 위하여, 상기 회로 보호부(2310)에 형성된 복수개의 나사홀(2311)을 포함한다. 여기서, 나사는 상호 조립된 도어 내부 프레임(230)과 도어 외부 프레임(230)를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나사홀(2311)을 통해 상기 나사 지지부(2412)에 체결될 수 있다.
나사의 체결시, 나사로 인한 도어(200) 및 커버(300)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사의 헤드부는 나사홀(2311)로부터 회로 보호부(2310)의 외표면 쪽으로 돌출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 나사홀(2311)의 끝단에는 나사의 헤드안착홈(2312)이 형성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커버(300)는 도 10에 보이는 바와 같이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외측면에 대응하여 비접촉 또는 간극(G)을 유지하도록, 상기 커버(300)에 형성된 세탁물 투입구(302)와 커버(300)의 외곽 테두리(3024) 사이에 형성된 커버 경사면(3020)을 포함한다.
커버 경사면(3020)은 커버(3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커버 경사면(3020)은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링형 돌출부(2321)에 대하여 간극을 유지하도록, 세탁물 투입구(302)로부터 상기 커버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된 경사 저부면(3021)을 포함한다.
또한, 커버 경사면(3020)은 경사 저부면(3021)의 외각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 저부면(3021)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경사 각도로 연장된 경사 상부면(3022)를 포함한다.
또한, 커버 경사면(302)은 경사 상부면(3022)의 외곽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100)의 커버 연결부(104)와 결합된 채널부(3023)를 포함한다.
채널부(3023)는 커버 연결부(104)에 대응하게 커버(300)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서 연장되거나, 또는 커버(30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런 채널부(3023)에는 캐비닛(100)의 커버 연결부(104)가 끼워진다.
채널부(3023)는 유체 침투 방지 및 배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채널부(3023) 및 커버 연결부(104)가 서로 끼워질 경우, 채널부(3023)의 표면 및 커버 연결부(104)의 표면 사이에 U자 형태의 트랩형 틈새가 형성되므로, 채널부(3023) 및 커버 연결부(104) 사이의 외부의 수분 또는 물방울이 U자 형태의 트랩형 틈새를 통해 캐비닛(100)의 내부 공간으로 침투하기 매우 어렵게 된다.
또한, U자 형태의 트랩형 틈새를 만드는 채널부(3023)은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만 개방되어 있으므로, 물 방울을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배출시키는 역할도 담당한다.
예컨대, 커버(300)는 간극 유지부(3010)에 인접한 채널부(3023)의 외곽에서 전원 처리부(306)(도 4 참조)를 설치하기 위하여 커버(300)의 하향으로 돌출된 연장판부(3030)을 포함한다.
이때, 연장판부(3030)의 양측에는 수분 배출 통로부(30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수분 배출 통로부(3031)의 상단과 상기 채널부(3023)의 사이에는 유체의 상호 유동을 위한 통로연결부(3032)가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수분 배출 통로부(3031)의 하단도 하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세탁기(10)를 세척할 때 발생되는 물, 수분 또는 물 방울 등이 수분 배출 통로부(3031)의 하단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커버(300)의 상기 간극 유지부(3010)는 커버(300)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대칭 형상을 갖는다.
또한, 간극 유지부(3010)의 외곽표면에는 커버 경사면(3020)과의 형상간 연결을 위한 천이부(3011)가 형성되어 있다.
천이부(3011)는 커버(300)의 외형적 디자인을 증대시키면서도, 외부 충격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렇게 커버(300)에는 간극 유지부(3010)가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간극 유지부(3010)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하부 외측면에서 커버(300)를 향하여 팽출되어 있는 회로 보호부(2310)에 비접촉될 수 있다.
도어(200)의 도어 글라스(280)가 커버(300)의 도어 개스킷(450)에 접촉하더라도, 커버(300)의 간극 유지부(3010)는 도어(200)의 회로 보호부(2310)에 대하여 비접촉하는 간극(G)을 갖는다. 간극(G)은 결합 공차 또는 부분적 형상 등에 의해 수치상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간극(G)의 수치는 특정 수치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간극 유지부(3010)에서 천이부(3011)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에 형성된 경사 저부면(3021)의 경계 지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천이부(3011)는 간극 유지부(3010)의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간극 유지부(3010)는 천이부(3011)로부터 커버(3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부(3012)를 포함한다.
또한, 간극 유지부(3010)는 물이 전원 버튼(102)가 설치되는 전원 버튼홀(3033) 쪽으로 직접 도달하지 않게 유체 흐름 방지턱을 수행하는 제 1 코너부(3013) 및 제 1 곡면부(3014)를 포함한다.
적어도, 제 1 곡면부(3014)는 바닥부(3012) 또는 채널부(3023)보다 높은 위치의 주름형 벽체이므로, 도 7과 같이 커버(300)가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조립될 때, 물 방울이 전원 버튼홀(3033)을 향하여 직접적으로 침투할 수 없다.
이를 위해서, 제 1 코너부(3013)은 간극 유지부(3010)의 바닥부(3012)의 외곽에서 상경사 방향으로 벤딩되어 있다.
제 1 곡면부(3014)는 제 1 코너부(3013)의 외곽에서 커버(300)의 외곽 테두리의 채널부(3023)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간극 유지부(3010)의 바닥부(3012)는 채널부(3023)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을 갖는다. 따라서, 물이 바닥부(3012)에 도달하더라도, 제 1 코너부(3013)의 곡면을 따라 제 1 곡면부(3014)까지 이동한 후 낙하하거나, 설령 제 1 곡면부(3014)을 타고 넘어서 채널부(3023)에 도달하였다 하더라도, 서로 관통하게 연결된 채널부(3023), 통로연결부(3032) 및 수분 배출 통로부(3031)를 통해 하향으로 배출될 뿐, 전원 버튼홀(3033) 쪽으로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전원 버튼홀(3033)의 끝단에도 수분 침투 방지를 위한 링형 방지턱(3034)이 형성되어 있다.
도 5,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도어(200)는 도어 걸림부(260)의 설치 기반이 되고, 개방 버튼 회로부(2100)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도록,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중간 외측면에서 커버(300)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도어 록킹 지지부(2350)를 포함한다. 예컨대, 도어 록킹 지지부(2350)는 도어 경사면(2320)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도어 힌지(360)가 배치된 곳의 반대쪽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어(200)는 도어 록킹 지지부(2350)에 비접촉되도록, 프론트 패널(400)을 향하여 함몰되어 있는 유닛 장착부(3050)를 포함한다.
따라서, 세탁기(10)의 도어 폐쇄시, 도어 록킹 지지부(2350)는 유닛 장착부(3050)에 대하여 간극을 유지할 수 있다.
걸림부 삽입홀(307)은 유닛 장착부(3050)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다. 볼트 체결용 장착홀(308)은 걸림부 삽입홀(307)의 주변 위치에 형성된다.
도어 록킹 지지부(2350)는 걸림부 삽입홀(307)에 대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도어 록킹 지지부(2350)의 외표면보다 상대적으로 함몰되어 있고, 도어 걸림부(260)의 기저부(262)가 안착되는 설치홈부(2360)와, 상기 설치홈부(2360)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도어 개방 유닛(250)의 스템(2540)이 삽입되는 스템 관통홀(233)을 포함한다.
같은 원리로, 유닛 장착부(3050)도 마주보거나 상호 비접촉 방식으로 대면되는 도어 록킹 지지부(2350)로부터 회피 또는 도피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도어 록킹 지지부(2350)는 상기 설치홈부(2360)로부터 하향으로 이격된 위치를 기준으로 형성된 도어 록킹 지지부(2350)의 나사홀(2362)을 포함한다. 여기서, 나사홀(2362)은 개방 버튼 회로부(2100)의 회로 하우징(2110)에 대응한 나사의 체결을 위하여, 상기 도어 록킹 지지부(2350)에 형성된다. 이때, 도어 록킹 지지부(2350)의 나사홀(2362)은 앞서 설명한 회로 보호부(2310)의 나사홀(2311)와 동일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어 록킹 지지부(2350)의 나사홀(2362)도 해당 나사의 헤드부를 도어 록킹 지지부(2350)의 외표면으로 돌출시키지 않도록, 나사홀(2362)의 끝단에 형성된 안착홈을 가지고 있다.
유닛 장착부(3050)는 도어 록킹 지지부(235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갖는다. 이런 연유로 도어(200)의 작동(예: 회전)시 발생되는 유격을 고려하더라도, 유닛 장착부(3050)가 도어 록킹 지지부(2350)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유닛 장착부(3050)도 역시 도어 록킹 지지부(2350)에 대하여 비접촉됨으로써, 도 10의 간극(G)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의 간극 또는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유닛 장착부(3050)는 커버(300)에서 경사 저부면(3021)의 외곽과 걸림부 삽입홀(307) 사이에 형성된 경계부(3051)와, 상기 도어 록킹 지지부(2350)에 대응하여 평행을 이루도록, 상기 경계부(3051)로부터 상기 커버(3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플랫부(3052)를 포함한다. 여기서, 걸림부 삽입홀(307)은 플랫부(3052)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닛 장착부(3050)는 플랫부(3052)의 외곽에서 상경사 방향으로 벤딩되어 있는 제 2 코너부(3053)와, 그 제 2 코너부(3053)의 외곽에서 커버(300)의 외곽 테두리의 채널부(3023)까지 연장된 제 2 곡면부(3054)를 포함한다.
이때, 제 2 곡면부(3054)는 플랫부(3052) 또는 채널부(3023)보다 높은 위치의 주름형 벽체로서, 앞서 언급한 제 1 곡면부(3014)로부터 연장된 부위일 수 있다. 또한, 플랫부(3052)는 채널부(3023)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어 잠금 유닛(330)은 장착 유닛부(3050)의 플랫부(3053)의 후면을 기준으로 설치되고, 이때, 플랫부(3053)의 후면이 도어 잠금 유닛(330)의 잠금 장치 케이싱(337)의 표면과 평행을 이룬다. 또한, 도어 잠금 유닛(330)의 걸림부 투입구(331)와 플랫부(3052)의 상기 걸림부 삽입홀(307)이 서로 일치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도어 잠금 유닛(330)은 플랫부(3053)의 후면에 대하여 면접촉하여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도어 걸림부(260)와 도어 잠금 유닛(330)간 잠금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벽걸이형 세탁기 100 : 캐비닛
200 : 도어 250 : 도어 개방 유닛
260 : 도어 걸림부 300 : 커버
330 : 도어 잠금 유닛 400 : 프론트 패널
450 : 도어 개스킷 500 : 세제함
600 : 드럼 680 : 스파이더
700 : 터브 800 : 리어 패널

Claims (19)

  1.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도어 힌지를 구비한 커버; 및
    상기 도어 힌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결합된 도어 내부 프레임과 도어 외부 프레임을 갖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걸림부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중간 외측면과 커버의 중간 외측면 사이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커버의 중간 외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유닛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 걸림부의 설치 기반이 되고, 개방 버튼 회로부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도록,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중간 외측면에서 상기 커버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도어 록킹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기의 도어 폐쇄시, 상기 도어 록킹 지지부가 상기 커버의 중간 외측면의 상기 유닛 장착부에 대하여 간극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장착부는,
    상기 프론트 패널을 향하여 함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장착부는,
    상기 도어 걸림부의 돌출된 부분이 통과하도록, 상기 유닛 장착부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부 삽입홀; 및
    상기 걸림부 삽입홀의 주변 위치에 형성된 볼트 체결용 장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록킹 지지부는,
    상기 걸림부 삽입홀에 대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 록킹 지지부의 외표면보다 상대적으로 함몰되어 있고, 상기 도어 걸림부의 기저부가 안착되는 설치홈부; 및
    상기 설치홈부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도어 개방 유닛의 스템이 삽입되는 스템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록킹 지지부는,
    상기 설치홈부로부터 하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 버튼 회로부의 회로 하우징에 대응한 나사의 체결을 위하여, 상기 도어 록킹 지지부에 형성된 나사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록킹 지지부의 상기 나사홀은,
    상기 나사의 헤드부를 상기 도어 록킹 지지부의 외표면으로 돌출시키지 않도록, 상기 나사홀의 끝단에 형성된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외측면은,
    상기 도어 글라스의 테두리 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도어에 설치하기 위한 링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외측면에 대응하여 비접촉하도록, 상기 커버에 형성된 세탁물 투입구와 상기 커버의 외곽 테두리 사이에 형성된 커버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경사면이 커버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기 커버 경사면은,
    상기 링형 돌출부에 대하여 간극을 유지하도록, 상기 세탁물 투입구로부터 상기 커버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된 경사 저부면;
    상기 경사 저부면의 외각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 저부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경사 각도로 연장된 경사 상부면; 및
    상기 경사 상부면의 외곽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의 커버 연결부와 결합된 채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11.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도어 힌지를 구비한 커버; 및
    상기 도어 힌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어 내부 프레임의 개방된 중심 측 테두리와 도어 내부 프레임의 외곽 측 테두리 사이에 형성된 도어 경사면을 갖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 경사면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도어 힌지가 배치된 곳의 반대쪽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중간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커버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도어 록킹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도어의 폐쇄시, 상기 도어의 도어 록킹 지지부와의 접촉 방지를 위해, 상기 프론트 패널을 향하여 함몰되도록, 상기 도어 록킹 지지부에 대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커버의 중간 외측면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유닛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기 유닛 장착부는,
    상기 도어 록킹 지지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14.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도어 힌지를 구비한 커버; 및 상기 도어 힌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호 조립된 도어 내부 프레임 및 도어 외부 프레임을 갖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중간 외측면에서 상기 커버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도어 록킹 지지부에 비접촉되도록, 유닛 장착부가 함몰된 형태로 상기 커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커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외측면의 도어 경사면에 대응한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버에 형성된 세탁물 투입구와 상기 커버의 외곽 테두리 사이에 형성되고 커버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커버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커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유닛 장착부는,
    상기 도어의 도어 글라스가 상기 커버의 도어 개스킷에 접촉하더라도, 상기 도어 록킹 지지부에 대하여 비접촉하는 간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커버.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기 유닛 장착부는,
    상기 커버에서 경사 저부면의 외곽과 걸림부 삽입홀 사이에 형성된 경계부;
    상기 도어 록킹 지지부에 대응하여 평행을 이루도록, 상기 경계부로부터 상기 커버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플랫부;
    상기 플랫부의 외곽에서 상경사 방향으로 벤딩되어 있는 제 2 코너부; 및
    상기 제 2 코너부의 외곽에서 커버의 외곽 테두리의 채널부까지 연장된 제 2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 삽입홀이 상기 플랫부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커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유닛부의 상기 플랫부는,
    상기 채널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커버.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유닛부는,
    상기 플랫부의 후면을 기준으로 설치되는 도어 잠금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잠금 유닛의 걸림부 투입구와 상기 플랫부의 상기 걸림부 삽입홀이 서로 일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커버.
KR1020170074630A 2017-06-14 2017-06-14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커버 KR2018013609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630A KR20180136094A (ko) 2017-06-14 2017-06-14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커버
US15/938,376 US20180363193A1 (en) 2017-06-14 2018-03-28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cover thereof
CN201810593880.6A CN109082856A (zh) 2017-06-14 2018-06-11 壁装式洗衣机及其机盖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630A KR20180136094A (ko) 2017-06-14 2017-06-14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094A true KR20180136094A (ko) 2018-12-24

Family

ID=64657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630A KR20180136094A (ko) 2017-06-14 2017-06-14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커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363193A1 (ko)
KR (1) KR20180136094A (ko)
CN (1) CN109082856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8332B2 (en) 2019-02-01 2022-02-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384475B2 (en) 2019-02-01 2022-07-1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384476B2 (en) 2019-02-01 2022-07-1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421371B2 (en) 2019-02-01 2022-08-2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427952B2 (en) 2019-02-01 2022-08-3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499262B2 (en) 2019-02-01 2022-11-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525206B2 (en) 2019-02-01 2022-12-1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560668B2 (en) 2019-02-01 2023-01-2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802365B2 (en) 2019-02-01 2023-10-3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23929B1 (en) 2016-11-21 2021-01-06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 door assembly for a laundry treatment machine
CN111575999A (zh) * 2019-02-15 2020-08-2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壁挂式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98273Y (zh) * 1997-07-12 1998-11-25 海尔集团公司 回弹式洗衣机门
CN1317444C (zh) * 2002-01-09 2007-05-23 Lg电子株式会社 门组件以及使用这种门组件的洗衣机
CN2557554Y (zh) * 2002-07-23 2003-06-25 博西威家用电器有限公司 滚筒洗衣机双向门
CN103534400B (zh) * 2011-12-08 2017-04-26 大宇电子株式会社 壁装式滚筒洗衣机
KR101864844B1 (ko) * 2011-12-08 2018-06-11 주식회사 대우전자 벽걸이형 미니 드럼세탁기
EP2843104B1 (en) * 2013-08-30 2018-04-18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Door assembly for a laundry treatment device
CN203768670U (zh) * 2014-03-19 2014-08-13 华芝电器集团有限公司 一种壁挂式滚筒洗衣机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8332B2 (en) 2019-02-01 2022-02-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384475B2 (en) 2019-02-01 2022-07-1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384476B2 (en) 2019-02-01 2022-07-1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421371B2 (en) 2019-02-01 2022-08-2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427952B2 (en) 2019-02-01 2022-08-3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499262B2 (en) 2019-02-01 2022-11-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525206B2 (en) 2019-02-01 2022-12-1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560668B2 (en) 2019-02-01 2023-01-2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802365B2 (en) 2019-02-01 2023-10-3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63193A1 (en) 2018-12-20
CN109082856A (zh) 2018-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6095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커버
KR20180136094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커버
KR20180136102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US11566367B2 (en) Washing machine
KR20180136086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KR20180136104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US11427951B2 (en)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EP2785907B1 (en)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and loading door for such appliance
KR20180136106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폐 장치
KR20180136088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스킷
KR20180136085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폐 장치 및 그의 도어 개폐 방법
KR20180136108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스킷
KR20180136105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폐 장치
KR20180136087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스킷
US20180363217A1 (en) Wall-mounted washing machine, detergent container of wall-mounted washing machine, and front panel of wall-mounted washing machine
KR20180136101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폐 장치 및 그의 도어 개폐 방법
KR20180136109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
KR20180136107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스킷
KR20180136092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터브 일체형 리어 패널,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터브 일체형 리어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금형
US20180363218A1 (en) Wall-mounted washing machine
US20180363219A1 (en) Wall-mounted washing machine
KR20180136091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
KR102368499B1 (ko) 벽걸이형 세탁기
KR20160022149A (ko) 세탁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