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838A - 롤러형 컨베이어 접지장치 - Google Patents

롤러형 컨베이어 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838A
KR20180131838A KR1020170068447A KR20170068447A KR20180131838A KR 20180131838 A KR20180131838 A KR 20180131838A KR 1020170068447 A KR1020170068447 A KR 1020170068447A KR 20170068447 A KR20170068447 A KR 20170068447A KR 20180131838 A KR20180131838 A KR 20180131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oller
shaft
conductive
static electr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3116B1 (ko
Inventor
박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쌤
Priority to KR1020170068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116B1/ko
Publication of KR20180131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65G49/064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in a horizont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0Antistatic fe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컨베이어 롤러용 접지 장치를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기판 이송용 롤러 컨베이어의 롤러 샤프트에 설치되는 접지 장치는, 일측이 상기 롤러 샤프트에 연결되는 롤러 연결부; 상기 롤러 연결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롤러 컨베이어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도전시키기 위한 도전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도전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정전기를 도전시키는 도전 샤프트; 상기 도전 샤프트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정전기를 외부로 전달시키기 위한 정전기 배출부; 및 상기 도전 샤프트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롤러형 컨베이어 접지장치{GROUND DEVICE FOR CONVEYOR ROLLER}
아래의 실시예는 롤러형 컨베이어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인 액정 디스플레이는 보통 취성재료 기판인 글라스 기판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액정 셀에 화상정보에 따른 데이터신호를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액정 셀의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표시장치로서, 얇고 가벼우며 소비전력과 동작 전압이 낮은 장점 등이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 디스플레이에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액정 패널은 상부 글라스 기판에 컬러 필터를 패턴 형성한 상부 패널과, 하부 글라스 기판에 박막 트랜지스터( TFT)를 패턴 형성한 하부 패널 및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 사이에 액정을 주입한 후,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을 상호 정렬하고, 정렬이 완료된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을 접합시킨 후 절단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액정 패널의 제조 공정에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의 액정 표시장치에 채용되는 단위 패널을 다수 개로 형성한 머더 글라스 패널(mother glass panel)을 마련한 후, 액정을 주입하기 전의 절단하는 공정에 의해 단위 패널들로 절단한 다음, 머더 글라스 패널로부터 단위 패널들을 각각 분리하게 된다.
이러한 머더 글라스 패널의 이송은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이송되게 된다.
이러한 컨베이어는 벨트형 컨베이어,  롤러형 컨베이어로 구분되는데 벨트형 컨베이어는 몸체프레임에 장착된 다수의 원통형 롤러의 둘레에 평평한 벨트를 감아 돌아갈 수 있도록 구성하여 벨트 상에 놓여지는 피운반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이다.
또한 롤러형 컨베이어는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몸체프레임 사이에 다수의 이송용 롤러를 상호 근접되게 설치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이들 이송용 롤러에 놓여지는 피운반체가 이송용 롤러의 회전에 편승하여 운반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특히 롤러형 컨베이어는 판유리와 같은 바닥이 평평한 물품을 이송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액정패널의 제조 라인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일부를 형성하게 되는 글라스의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컨베이어 장치는 글라스 가공 공정이 진행되도록 글라스 저면을 지지하여 전진 및 후진시키고, 또 한 공정이 끝난 글라스를 다음 공정이 진행될 위치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컨베이어 장치에서 글라스 이송시 글라스와 글라스를 지지하고 이송될 때 정전기가 발생된다. 이러한 정전기는 글라스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고, 글라스 손상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다양한 종류에 롤러형 컨베이어에 연결될 수 있는 접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롤러형 컨베이어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외부로 도전시키기 위한 접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기판 이송용 롤러 컨베이어의 롤러 샤프트에 설치되는 접지 장치는, 일측이 상기 롤러 샤프트에 연결되는 롤러 연결부; 상기 롤러 연결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롤러 컨베이어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도전시키기 위한 도전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도전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정전기를 도전시키는 도전 샤프트; 상기 도전 샤프트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정전기를 외부로 전달시키기 위한 정전기 배출부; 및 상기 도전 샤프트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롤러 연결부는, 상기 롤러 샤프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샤프트 체결홈; 및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도록, 타측에 형성되는 하우징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체결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롤러 연결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하우징 체결홈에 끼워맞춤(fit) 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접지 장치는, 상기 도전부 및 도전 샤프트를 접촉시키도록, 상기 도전부를 상기 도전 샤프트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도전 샤프트는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베어링의 단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도전 샤프트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도전 샤프트의 일측은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타측에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에 삽입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홈에 체결되는 상태에서, 상기 베어링의 단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베어링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지 장치는, 다양한 종류에 롤러형 컨베이어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지 장치는, 롤러형 컨베이어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외부로 도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장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형 컨베이어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지 장치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지 장치(10)가 컨베이어 롤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지 장치(10)는, 기판(S)의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에서 발생하는 정전기 전류를 외부, 예를 들어, 지면으로 전도시킬 수 있다. 컨베이어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롤러 샤프트(S)와, 상기 롤러 샤프트(S)에 연결되고 기판(S)을 지지하면서 이송시키기 위한 캐리어 롤러(P)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 롤러(P)는 롤러 샤프트(S)와 하나의 캐리어 유닛을 형성하며, 캐리어 롤러(P)에 의해 회전하면서 기판(S)을 이송시킬 수 있다.
캐리어 유닛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기판(S)을 이송시킬 수 있다. 복수의 캐리어 유닛 각각은 도전성 재질을 가지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 샤프트(S)는 금속재질일 수 있으며, 기판(S)과 접촉하는 캐리어 롤러(P)는 도전성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 롤러(P)는 카본나노튜브가 배합된 수지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지 장치(10)는 롤러 샤프트(S)에 연결될 수 있다. 캐리어 롤러(P)는 기판(S)과의 접촉에 따른 마찰을 통해 기판(S)을 이송시키기 때문에, 캐리어 롤러(P) 및 기판(S) 사이에서는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정전기에 따른 스파크는 기판(S)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캐리어 롤러(P) 및 기판(S) 사이에서 발생한 정전기는 캐리어 샤프트를 통해 접지 장치(10)로 전달될 수 있다.
접지 장치(10)는, 정전기를 외부로 전도시킴으로써, 캐리어 롤러(P) 및 기판(S) 사이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접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가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지 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지 장치(10)의 내부 단면도이며,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지 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지 장치(10)는, 롤러 연결부(110), 하우징(120), 도전부(130), 탄성체(170), 도전 샤프트(140), 베어링(160) 및 정전기 배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연결부(110)는 롤러형 컨베이어와, 하우징(120)을 연결할 수 있다. 롤러 연결부(110)는 일측이 롤러 샤프트(S)에 연결되고, 타측이 하우징(120)에 연결될 수 있다. 롤러 연결부(110)는 롤러 샤프트(S)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샤프트 체결홈(111)과, 하우징(1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타측에 형성되는 하우징 체결홈(112)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 샤프트(S)의 일단부는 샤프트 체결홈(111)에 삽입될 수 있다.
샤프트 체결홈(111)에는 나사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롤러 연결부(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 체결홈(111)에 롤러 샤프트(S)가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홈에 나사가 삽입됨으로써, 롤러 샤프트(S) 및 롤러 연결부(110)를 서로 체결시킬 수 있다.
하우징(120)은, 롤러 연결부(110)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2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적어도 일부가 롤러 연결부(110)의 하우징 체결홈(112)에 삽입됨으로써, 롤러 연결부(110)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20)은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체결부재(122)를 포함하고, 체결부재(122)는 하우징 체결홈(112)에 억지 끼워맞춤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체결홈(112)은 체결홈보다 작은 직경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롤러 연결부(110)에는 롤러 샤프트(S) 및 하우징(120)이 고정 연결되기 때문에, 하우징(120)은 롤러 샤프트(S)의 회전에 연동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하우징(120)의 타측에는, 후술하는 베어링(16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24)는 하우징(120)의 타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고정부(124)에는 고정부재(123)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일면을 관통하는 고정홈(125)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23)가 고정홈(1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용홈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123)는 후술하는 베어링(160)의 단부에 걸림으로써, 베어링(160)이 하우징(12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전부(130)는 롤러 컨베이어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하우징(120)을 통해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우징(120) 내부 수용공간(121)에 배치될 수 있다. 도전부(130)는 하우징(120)의 회전에 연동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전부(130)는 하우징(120)과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도전 샤프트(140)로 정전기를 도전시키는 매개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전부(130)는 최소한의 전기적 저항을 가지는 재질, 예를 들어, 카본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전 샤프트(140)는 하우징(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우징(120) 내부 수용공간(121)에 삽입될 수 있다. 도전 샤프트(140)는 도전부(130)와 접촉함으로써, 정전기를 전달받아 도전시킬 수 있다. 도전 샤프트(140)는 도전부(1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도전부(130)와 접촉하는 일측이 구름접촉 가능하도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전 샤프트(140)는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재(141)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재(141)는, 후술하는 베어링(160)의 단부에 걸림으로써, 도전 샤프트(140)가 하우징(12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체(170)는 도전부(130)를 도전 샤프트(140)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도전부(130) 및 도전 샤프트(140)를 밀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체(170)는, 도전 샤프트(140) 또는 도전부(130)가 마모되거나, 회전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도전부(130) 및 도전 샤프트(140) 사이의 접촉을 유지시킴으로써, 정전기에 따른 전류가 도전 샤프트(140)로 도전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도전 샤프트(140) 및 하우징(120) 사이에는 베어링(160)이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160)은 하우징(120)의 수용공간(121)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도전 샤프트(14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160)은 하우징(120)이 도전 샤프트(14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도전 샤프트(140)를 수용 공간 내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베어링(160)은 도전 샤프트(140)의 걸림부재(141)와 접촉하면서, 하우징(120) 수용공간(121) 내에서의 도전 샤프트(140)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기준으로, 도전 샤프트(140)는 도전부(130)에 의하여 수용공간(121)의 외측으로 가압력을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베어링(160)은 도전 샤프트(140)의 걸림부재(141)와 접촉하면서 수용공간(121) 내에서의 도전 샤프트(140)의 높이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베어링(160)은 고정부재(123)에 의하여 수용공간(121)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우징(120)의 수용공간(121)내에서의 도전 샤프트(140) 및 베어링(16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정전기 배출부(150)는, 도전 샤프트(140)의 타측에 연결되고, 도전 샤프트(140)로부터 도전받은 정전기를 외부로 전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기 배출부(150)는 다른 접지 장치(10)에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접지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도전 샤프트(140)의 타측에는 정전기 배출부(150)의 연결을 위한 삽입홈(142)이 형성되고, 삽입홈(142)에는 삽입나사가 삽입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나사는 삽입홈(142)에 끼워맞춤 될 수 있다. 삽입나사는 정전기 배출부(150)를 관통하여 삽입홈(142)에 연결됨으로써, 정전기 배출부(150) 및 도전 샤프트(14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지 장치(10')의 사시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지 장치(10')는, 롤러 컨베이어의 종류에 관계 없이, 하우징(120) 및 롤러 샤프트(S)를 연결하도록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롤러 연결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 샤프트(S)의 직경이 커지는 경우, 해당 직경에 대응하는 샤프트 체결홈을 포함하는 롤러 연결부(110)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접지 장치(10)는, 롤러 연결부(110')를 통해 롤러 샤프트(S) 및 하우징(120)을 연결하기 때문에, 롤러 연결부(110')만을 교체함으로써, 하나의 접지 장치(10)를 다양한 종류의 롤러 컨베이어에 연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접지 장치
110: 롤러 연결부
120: 하우징
130: 도전부
140: 도전 샤프트
150: 정전기 배출부
160: 베어링

Claims (8)

  1. 기판 이송용 롤러 컨베이어의 롤러 샤프트에 설치되는 접지 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롤러 샤프트에 연결되는 롤러 연결부;
    상기 롤러 연결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롤러 컨베이어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도전시키기 위한 도전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도전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정전기를 도전시키는 도전 샤프트;
    상기 도전 샤프트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정전기를 외부로 전달시키기 위한 정전기 배출부; 및
    상기 도전 샤프트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접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연결부는,
    상기 롤러 샤프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샤프트 체결홈(111); 및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도록, 타측에 형성되는 하우징 체결홈(112)을 포함하는, 접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체결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접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롤러 연결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하우징 체결홈에 끼워맞춤(fit) 되는, 접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 및 도전 샤프트를 접촉시키도록, 상기 도전부를 상기 도전 샤프트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접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샤프트는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베어링의 단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도전 샤프트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접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샤프트의 일측은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타측에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에 삽입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홈에 체결되는 상태에서, 상기 베어링의 단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베어링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접지 장치.
KR1020170068447A 2017-06-01 2017-06-01 롤러형 컨베이어 접지장치 KR102003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447A KR102003116B1 (ko) 2017-06-01 2017-06-01 롤러형 컨베이어 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447A KR102003116B1 (ko) 2017-06-01 2017-06-01 롤러형 컨베이어 접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838A true KR20180131838A (ko) 2018-12-11
KR102003116B1 KR102003116B1 (ko) 2019-07-24

Family

ID=64671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447A KR102003116B1 (ko) 2017-06-01 2017-06-01 롤러형 컨베이어 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1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274B1 (ko) 2019-03-14 2019-04-18 박문주 기판 이송용 샤프트에 사용되는 접지 장치
JP2021031240A (ja) * 2019-08-26 2021-03-01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導電装置およびローラコンベア装置
KR102269762B1 (ko) * 2020-10-08 2021-06-28 주식회사 왕성 기판 이송용 롤러 기구의 접지 기구
CN114180340A (zh) * 2020-09-14 2022-03-15 深圳亿博尔电子科技有限公司 玻璃面板传送用的可旋转导电接头以及传送组件
CN114204288A (zh) * 2020-09-17 2022-03-18 株式会社斯库林集团 导电装置以及辊输送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607A (ko) * 2008-04-22 2009-10-27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이송용 롤러 및 이를 구비하는 기판 이송 장치
KR101401025B1 (ko) * 2013-12-23 2014-05-30 (주)누리시스템 기판 이송용 회전롤러의 접지장치
KR101514348B1 (ko) * 2013-08-29 2015-04-22 (주) 에스디시 정전기 방지용 컨베이어 장치
KR20150053220A (ko) * 2013-11-06 2015-05-15 주식회사 엘코랩 회전체용 접지장치
KR20150077726A (ko) * 2013-12-30 2015-07-08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607A (ko) * 2008-04-22 2009-10-27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이송용 롤러 및 이를 구비하는 기판 이송 장치
KR101514348B1 (ko) * 2013-08-29 2015-04-22 (주) 에스디시 정전기 방지용 컨베이어 장치
KR20150053220A (ko) * 2013-11-06 2015-05-15 주식회사 엘코랩 회전체용 접지장치
KR101401025B1 (ko) * 2013-12-23 2014-05-30 (주)누리시스템 기판 이송용 회전롤러의 접지장치
KR20150077726A (ko) * 2013-12-30 2015-07-08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274B1 (ko) 2019-03-14 2019-04-18 박문주 기판 이송용 샤프트에 사용되는 접지 장치
JP2021031240A (ja) * 2019-08-26 2021-03-01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導電装置およびローラコンベア装置
CN112429457A (zh) * 2019-08-26 2021-03-02 株式会社斯库林集团 导电装置以及辊输送装置
KR20210024977A (ko) * 2019-08-26 2021-03-08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도전 장치 및 롤러 컨베이어 장치
CN114180340A (zh) * 2020-09-14 2022-03-15 深圳亿博尔电子科技有限公司 玻璃面板传送用的可旋转导电接头以及传送组件
CN114204288A (zh) * 2020-09-17 2022-03-18 株式会社斯库林集团 导电装置以及辊输送装置
KR20220037359A (ko) * 2020-09-17 2022-03-24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도전 장치 및 롤러 컨베이어 장치
JP2022049952A (ja) * 2020-09-17 2022-03-30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導電装置およびローラコンベア装置
KR102269762B1 (ko) * 2020-10-08 2021-06-28 주식회사 왕성 기판 이송용 롤러 기구의 접지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116B1 (ko) 201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116B1 (ko) 롤러형 컨베이어 접지장치
KR101401025B1 (ko) 기판 이송용 회전롤러의 접지장치
KR100814336B1 (ko) 컨베이어의 롤러 샤프트 그라운드 장치
CN101981494A (zh) 液晶显示面板的异物检测方法以及异物检测装置
WO2013133492A1 (ko) 정전 유도 흡착식 전자부품 검사 테이블
JP5167819B2 (ja) 基板ホルダー部およびスパッタ装置
KR20150077726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20049516A (ko) 기판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장치
JP2008273687A (ja) 平板状基材の搬送装置
EP2973642A1 (en) Rotating vacuum chamber coupling assembly
KR20090111607A (ko) 기판 이송용 롤러 및 이를 구비하는 기판 이송 장치
CN113651075A (zh) 背板输送翻转机构
JP2014208405A (ja) 静電スクリーン印刷装置
KR100560959B1 (ko) 기판이송축의 처짐방지용 마그네트 베어링이 구비된기판반송장치
KR101514348B1 (ko) 정전기 방지용 컨베이어 장치
US20210229921A1 (en) Substrate conveyance device
KR20140072988A (ko) 기판 이송 장치
US9765922B2 (en) Display apparatus
CN210794542U (zh) 滚轮传送模组以及滚轮传送装置
KR101904892B1 (ko) 대면적 기판의 이송장치
KR20080082137A (ko) 기판 반송장치 및 기판처리방법
KR100819039B1 (ko) 기판 이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KR101870162B1 (ko) 기판 이송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박막증착 장치
CN110872000A (zh) 搬运机器人
CN108024435B (zh) 电离器单元(Ionizer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