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931A - Power connecting device providing power usage information by identifying connected apparatus - Google Patents

Power connecting device providing power usage information by identifying connected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931A
KR20180130931A KR1020170067177A KR20170067177A KR20180130931A KR 20180130931 A KR20180130931 A KR 20180130931A KR 1020170067177 A KR1020170067177 A KR 1020170067177A KR 20170067177 A KR20170067177 A KR 20170067177A KR 20180130931 A KR20180130931 A KR 20180130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nformation
unit
connection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1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지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7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0931A/en
Publication of KR20180130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93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nection device for providing power usage information by identifying a connected apparatus. The power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vice connection part for supplying power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device to one or more apparatuses, a sensing part for sensing a characteristic value of a voltage and a current of the apparatus connected to the device connection part, an operation part for measuring a load power amount by using the sensed characteristic value, a central control part for identifying one or more apparatuses based on the measured load power amount,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nformation that the apparatus is identified and the power usage information of the apparatus.

Description

연결된 기기를 식별하여 전력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전원연결장치{POWER CONNECTING DEVICE PROVIDING POWER USAGE INFORMATION BY IDENTIFYING CONNECTED APPARATU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necting device for identifying a connected device and providing power usage information.

본 발명은 연결된 기기를 식별하여 전력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전원연결장치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nection device that identifies a connected device and provides power usage information.

댁내 가전 기기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에너지 절감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를 소비자가 명확하게 확인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기기의 성능과 동작 조건에 따라 가전 기기들이 소비하는 전력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으며, 또한 각 기기들이 어느 정도의 전력을 소비하는지 확인하는 것은 전체 전자제품의 사용 패턴을 조절하는 동인이 될 수 있다. Household appliances offer energy saving in various ways, but there is a limit to the consumer's clear confirmation. The power consumed by household appliances may not be constant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and operating conditions of the device, and determining how much power each device consumes may be a driving force for controlling the usage pattern of the entire electronic product.

그러나, 댁내 가전기기들의 전력사용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유입되는 분전반에서 전력 사용에 필요한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한데, 분전반 내에 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전기적인 작업으로 일반적인 사람들이 행하기에는 위험하며 어려운 점이 있다. However, in order to check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domestic appliances,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device necessary for electric power use in the distribution panel in which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Installing the device in the distribution panel is dangerous for general people because of electric work. There is a dot.

또한, 가전 기기들의 에너지 사용은 반드시 댁내에서만 확인할 필요성을 가지지는 않는다. 사용자가 외출한 상태에서도 집안 내의 가전 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가전 기기의 전력 사용을 재배치하여 에너지 절감을 유도할 수 있다. Also, the energy use of home appliances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checked at home. It is possible to induce energy saving by rearranging the electric power usage of household appliances by monitoring the electric power use state of household electric appliances in the house even when the user is out.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보다 효과적으로 기기들의 전력 사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전원연결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power connection device capable of checking the power usage state of the devices more effectively is proposed.

본 명세서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기들의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취합하여 제공하는 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pparatus for efficiently collect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power consumption of devices.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기기들의 전력 사용량을 취합하고 판별하는 과정에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환경 정보를 이용하는 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Als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device using various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proposed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in collecting and discriminating the power consumption of devices.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연결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부터 제공된 전원을 하나 이상의 기기에 제공하는 기기연결부, 기기연결부에 연결된 기기의 전압 및 전류의 특성값을 센싱하는 센싱부, 센싱된 특성값을 이용하여 부하 전력량을 측정하는 연산부, 측정된 부하전력량을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기기를 식별하는 중앙제어부, 및 기기를 식별한 정보 및 기기의 전력 사용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vice connection unit for supplying power to at least one device provided from a device for supplying power, a sensing unit for sensing characteristics values of voltage and current of devices connected to the device connection unit, A central control unit for identifying one or more devices based on the measured load power amount,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nformation identifying the device and the power usage information of the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연결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에 직접 연결되는 전원연결부, 하나 이상의 기기에 전원을 제공하는 기기연결부, 기기연결부에 연결된 기기에서 센싱한 전압 및 전류의 특성값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기기를 식별한 정보 및 기기의 전력 사용 정보를 산출하는 중앙제어부, 중앙제어부가 산출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중앙제어부가 산출한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통신장치에게 전송하며, 통신장치로부터 전송한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The power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connect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outlet for supplying power or directly connected to an electric wire supplying power, a device connecting unit providing power to at least one device, A central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information on the identification of one or more devices and the power usage information of the devi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 values of the voltage and current sens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연결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에 직접 연결되는 전원연결부, 하나 이상의 기기에 전원을 제공하는 기기연결부, 기기연결부에 연결된 기기에서 센싱한 전압 및 전류의 특성값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기기를 식별한 정보 및 기기의 전력 사용 정보를 산출하는 중앙제어부, 중앙제어부가 산출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기기를 식별한 정보 및 기기의 전력 사용 정보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출력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의 리셋을 요청하는 리셋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connection apparatus comprising: a power connection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outlet for supplying power or directly connected to a power line; a device connection unit for supplying power to at least one device; A central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device identifi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 values of the voltage and current sensed by the device and the power usage information of the device,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An interface unit for outputting power usage information of the device, and a reset unit for requesting a reset of a part or all of the output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복잡한 분전반 내의 장치를 설치하는 과정 없이 댁내의 가전 기기들의 사용 전력량을 확인할 수 있다. Whe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household appliances in a house without installing a device in a complicated distribution pane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실시간으로 가전 기기들의 사용 전력량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amount of power used by household appliances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원격에서도 댁내의 가전 기기들의 전력량 소비를 모니터링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Also, whe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save energy by remotely monitoring the power consumption of household appliances in the home.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효과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효과를 쉽게 도출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derive the various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연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연결장치가 기기의 구동 상태 및 전력 소비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전력 사용의 파형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량 판별기술 알고리즘이 결합된 전원연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터페이스부가 배치되지 않는 전원연결장치에 다수의 전자 제품들이 연결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연결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터페이스부가 배치된 전원연결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앙제어부가 기기와 전력 사용량을 모니터링하여 식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전원연결장치가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수의 전원연결장치가 환경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이를 공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장치가 전원연결장치와 통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연결장치들이 댁내에 배치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wer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waveform diagram of power usage in which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rm the driving state and the power consumption state of the apparatus.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wer connection apparatus to which a power amount determination technique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nic products are connected to a power connection device in which an interface unit is not disp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show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 power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views showing a power connection apparatus in which an interface unit is arrang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central control unit monitors and identifies devices and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how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by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plurality of power connection apparatus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 and share environment informa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es with a power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power connection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osed in a hous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Furth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even if they are shown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first, second, A, B, (a), (b), and the like can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der, or number of the compon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intervening "or that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 coupled, "or "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s shown in FIG.

이하, 본 명세서에서 전원연결장치는 일측이 전선 혹은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되며 타측이 전자제품과 같은 기기에 연결되며, 연결된 기기들의 전력 사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전원연결장치는 멀티탭, 플러그, 콘센트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매설형 플러그는 일측이 벽과 같은 구조물 내의 전선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Herein, the power connection device includes a device,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a power line or a power supply device,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a device such as an electronic product, and a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power usage of the connected devices. The power connection devic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tap, a plug, or an outlet. In particular, a buried plug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a wire in a structure such as a wall on one si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연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원연결부(180)는 건물에 매설된 전선 혹은 그러한 전선에 연결된 콘센트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연결장치(100)가 콘센트의 구성을 가질 경우 전원연결부(180)는 전선에 직접 연결된다. 따라서, 전원연결부(180)는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wer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nection 180 may be connected to a wire embedded in the building or to an outlet connected to such a wire. When the power connector 100 has the configuration of the receptacle, the power connector 18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electric wire. Accordingly, the power connection unit 180 refers to a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a device that supplies power.

기기연결부(190)는 전자제품, 충전장치, 가전제품 등 전기를 사용하는 다양한 기기들에 연결되며 이들 기기에 전원연결부(180)가 연결된 전원을 전달하여 제공한다. 기기연결부(190)는 전원연결장치의 특성에 따라 하나 이상 또는 다수가 배치될 수 있다. 즉, 기기연결부(190)는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부터 제공된 전원을 하나 이상의 기기에 제공할 수 있으며,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결합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The device connection unit 190 is connected to various devices that use electricity such as an electronic product, a charging device, a household appliance, and the like, and supplies power to the devices through a power connection unit 180. One or more or more of the device connecting portions 190 may be dispo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connecting device. That is, the device connection unit 190 can provide power to one or more devices provided from a device that supplies power, and refers to a portion where a plug of an electronic product joins.

센싱부(110)는 기기연결부(190)에 연결된 기기가 사용하는 전력량을 센싱한다. 보다 상세하게, 기기연결부(190)에 연결된 기기의 전압 및 전류의 특성값을 센싱한다. 그리고 연산부(120)는 센싱된 특성값을 이용하여 부하 전력량을 측정한다.The sensing unit 110 senses the amount of power used by the device connected to the device connection unit 190. [ In more detail, the voltage and current characteristic values of the device connected to the device connection unit 190 are sensed. The operation unit 120 measures the load power using the sensed characteristic value.

전압과 전류의 특성값이란, 전압이나 전류의 크기, 전압 또는 전류의 변화가 발생하는 변곡점, 그리고 변곡점의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센싱부(110) 및 연산부(120)에서 센싱 및 측정된 부하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는 중앙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160)에 누적되어 저장되며 중앙제어부(150)는 기기연결부(190)에 연결된 기기의 전력 사용의 특성을 파악하여 기기를 식별한다. The characteristic values of the voltage and the current include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or the current, the inflection point at which the voltage or the current changes, and the time information of the inflection point. The data of the sensing and measured load power in the sensing unit 110 and the computing unit 120 are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and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device connection unit 190 ) Identifies the equipment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usage of the equipment connected to it.

보다 상세히, 중앙제어부(150)는 측정된 부하전력량을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데, 일 실시예로 해당 기기의 종류와 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기기연결부(190)가 또다른 멀티탭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해당 멀티탭에 연결된 다수의 기기들에 대해서도 전력 사용량을 식별하고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can identify one or more devices based on the measured load power amount. In one embodiment, the type of the device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evice can be identified. Also,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device connection unit 190 is connected to another multi-tap, it is also possible to identify the device and identify the amount of power used for a plurality of devices connected to the multi-tap.

중앙제어부(150)는 다수의 기기들이 전력을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파형에 따라 생성된 특성값을 이용하여 저장부(160)에 저장된 패턴들과 비교할 수 있다. 또는, 다수의 기기들의 전력 사용량을 저장부(160)에 누적하여 저장한 후 중앙제어부(150)는 딥러닝과 같은 머신 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현재 연결된 기기를 식별하고 식별된 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may compare the pattern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with the characteristic values generated according to the waveform of the voltage or current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devices using the power. Alternatively, after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power usage of a plurality of devices in the storage unit 160,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identifies the currently connected devices using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such as deep learning and calculates the power usage of the identified devices can do.

통신부(140)는 중앙제어부(150)가 산출한 기기 및 전력 사용량, 또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전력 사용의 특성값 등을 외부의 서버 혹은 인접한 다른 전원연결장치 또는 모바일 장치 등에 제공한다. 그리고 이들 장치로부터 중앙제어부(150)가 기기를 식별함에 있어 필요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40 provides an external server or other power connection device or a mobile device or the like that is calculat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and the power usage amou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or the like. Then,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can receive information necessary for identifying the device from these devices.

인터페이스부(130)는 전원연결장치(100)에 연결된 기기들의 식별 정보와 이들이 사용하는 전력 사용의 특성값을 표시한다. 기기들의 식별 정보란 전원연결장치에 연결된 기기가 어떤 기기인지를 식별한 정보를 의미하는데, 냉장고, 세탁기와 같은 방식의 대분류의 기기 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고, 추가적으로는 해당 기기의 상품명, 제조자 정보까지도 식별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30 display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s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device 100 and the characteristic values of the power usage that they us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s refers to information that identifies which device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device. It may indicate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major category such as a refrigerator or a washing machine, and additionally may indicate the product name, May be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이는 중앙제어부(150)가 산출한 정보에 기반하는데, 제조자 혹은 상품명으로 분류되는 기기들의 특정한 전력 사용 패턴 저장부(160)에 저장된 경우 이를 인터페이스부(130)에 출력할 수 있다. This is based on the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and may be output to the interface unit 130 when it is stored in a specific power usage pattern storage unit 160 of a manufacturer or a device classified by a product name.

인터페이스부(130)가 없을 경우, 통신부(140)가 미리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된 모바일 장치와 통신하여 전술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혹은 서버에게 전달하여 서버가 전술한 정보를 모바일 장치와 같은 통신장치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통신부(140)는 기기를 식별한 정보 및 기기의 전력 사용 정보를 통신장치에게 송신할 수 있다. In the absence of the interface unit 130, the communication unit 140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device set to perform communication in advance to provide or transmit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to the server so that the server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device . 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140 can transmit the information identifying the device and the power usage information of the device to the communication device.

통신장치란, 예를 들어 Wi-Fi(무선 랜) 또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이 가능한 장치들로,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또는 댁내 홈 오토메이션 기기 등이 될 수 있다. 이들 통신장치들의 화면에서 전원연결장치(100)가 전송하는 기기 별로 소비전력량을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인터페이스부(130)가 전원연결장치(100)에 배치되어 연결된 기기들의 식별 정보와 소비 전력량을 소형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통신장치는 제공된 정보에 따라 전원연결장치(100)에 연결된 기기들의 식별 정보 및 전력 사용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a smart phone, a tablet computer, or a home automation device, for example, a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Wi-Fi (wireless LAN) or Bluetooth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for each device transmitted by the power connection device 100 on the screen of these communication devices. 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130 may be disposed in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100 to outpu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devices and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through the small display. The communication device outpu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ower usage information of the devices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ovided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the information.

통신장치는 표시된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전원연결장치(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연결장치(100)의 통신부(140)는 중앙제어부(150)가 산출한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통신장치에게 전송한 후, 이들 통신장치로부터 전송한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provide feedback information on the displayed information to the power connection 100. [ Therefore, the communication unit 140 of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100 can receive feedback information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apparatuses afte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to the communication apparatuses by wireless communication .

피드백 정보란, 식별된 기기에 오류가 있다는 정보를 일 실시예로 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40)가 에어컨의 사용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통신장치에게 전송했는데, 통신장치에서 사용자가 에어컨이 설치되지 않았다는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 경우, 중앙제어부(150)는 에어컨으로 식별했던 기기에 대해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여 새로이 기기를 식별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The feedback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identified device has an error.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40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usage amount of the air conditioner to th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he communication apparatus transmits information that the air conditioner is not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apparatus. In this case,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can confirm that an error has occurred in the device identified by the air conditioner, and perform a procedure of newly identifying the device.

또한, 본 명세서에서 통신장치는 통신 가능한 또다른 전원연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전원연결장치는 인접한 다른 전원연결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대신 출력할 수 있다. Further, the communication device herein may include another power connection capable of communicating. Another power connection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another adjacent power connection and output it instead.

전력 사용을 모니터링 하며 사용 중인 기기가 어떤 종류의 기기인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중앙제어부(150)가 사용하는 알고리즘의 일 실시예로 전력량 판별기술 알고리즘인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전력선에서 소요되는 전력 소비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기술이다. 가정의 분전반의 메인 전력선에서 각 가전의 구동 상태 및 전력 소비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가전기기의 구동 상태와 전력 소비 상황의 모니터링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전기연결장치(100)가 전력량을 판별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algorithm us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onitor power usage and determine information on what type of equipment the apparatus is being used, the NILM (Non-intrusive Load Monitoring ) Can be used. This is a technology for monitoring the power consumption situation on the power line. The driving state and the power consumption state of each home appliance can be monitored on the main power line of the home distribution panel. In this specific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monitoring the driving state of the household appliance and the power consumption situation, .

전원연결장치(100)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연산부(120)와 중앙제어부(150)는 하나의 칩으로 구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센싱부(110)와 연산부(120) 역시 하나의 칩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센싱부(110), 연산부(120), 그리고 중앙제어부(150) 모두 하나의 칩으로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저장부(160) 역시 일 실시예로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며 전술한 칩들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power supply connection apparatus 100, the operation unit 120 and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Similarly, the sensing unit 110 and the operation unit 12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Or the sensing unit 110, the operation unit 120, and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Of course, the storage unit 160 also includes a non-volatile memory as an embodiment and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chip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연결장치가 기기의 구동 상태 및 전력 소비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전력 사용의 파형이다. FIG. 2 is a waveform diagram of power usage in which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rm the driving state and the power consumption state of the apparatus.

전원연결장치(100)의 기기연결부(190)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수의 가전 기기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둘 이상의 가전 기기들에 연결된 멀티탭과 같은 장치가 기기연결부(190)에 연결될 경우, 전원연결장치(100)는 기기연결부(1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멀티탭에 결합한 다수의 가전기기들의 전력 사용량을 모니터링 하여 전력량의 사용 형태 및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기기들이 온/오프 되거나 특정하게 많은 전력을 사용하는 경우에 따라 전력량의 파형이 달라질 수 있다. One or more pieces of household appliances may be connected to the appliance connection unit 190 of the power supply connection apparatus 100. Particularly, when a device such as a multi-tap connected to two or more home appliances is connected to the device connecting unit 190, the power connecting device 100 can measure the power consumption of a plurality of appliances connected to the multi- It can be monitored to identify the type of usage of the power and the equipment. Therefore, the waveform of the power amount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devices are on / off or use a specific amount of power.

특히, 도 2의 점선은 변곡지점을 나타내는데 특정하게 기기가 새로이 추가되거나 제거될 경우의 파형의 변곡지점을 보여준다. 한번 켜지면 일정하게 전력량을 고르게 사용하는 기기와 켜진 후에도 전력 사용량이 상승 및 하강하는 기기로 나눌 경우, 전자의 기기들이 켜지고 꺼지는 경우의 전력 사용량의 파형은 21에서 지시하는 파형들과 같다. In particular, the dotted line in Fig. 2 shows the inflection point of the waveform when the apparatus is newly added or removed, specifically showing the inflection point. The waveforms of power consumption when the electronic devices are turned on and off are the same as the waveforms indicated by 21, when the devices are turned on and off uniformly, and when the devices are turned on and off after the power is turned on and off.

반면 후자의 기기들의 전력 사용량의 파형은 22에서 지시하는 파형들과 같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연결장치(100)는 균일 전력사용 기기와 비균일 전력사용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전력 사용량의 크기가 급속히 변경되는 지점(점선으로 표시된 세로선 지점), 즉 변곡지점에서 기기들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연결장치(100)는 변곡지점과 기기들의 전력사용량에 대한 샘플 데이터에 기반하여 현재 전원연결장치(100)에 결합한 기기들을 식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veform o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atter devices is the same as the waveforms indicated by 22. Therefore, the power connec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dentify the uniform power using device and the non-uniform power using device. On the other hand, the on / off state of the devices can be confirmed at the point where the magnitude of the power consumption rapidly changes (the vertical line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that is, the inflection point. Thus, the power connection 100 can identify devices coupled to the current power connection 100 based on sample data for the inflection point and the power usage of the device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량 판별기술 알고리즘이 결합된 전원연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wer connection apparatus to which a power amount determination technique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도 1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가 세분화되어 제시된다. 센싱부(110)는 도 3에서 전압 센싱부(110p) 및 전류 센싱부(110c)를 포함한다.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shown in detail. The sensing unit 110 includes a voltage sensing unit 110p and a current sensing unit 110c in FIG.

전력량 연산부(121)는 연산부(120)의 일 실시예로, 두 개의 센싱부들(110p, 110c)에서 제공하는 센싱 정보에 기반하여 전력량을 연산한다. 그리고 중앙제어부(150)는 NILM 알고리즘 구현부(151)의 NIL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기별로 전력량과 기기를 식별한다. The power calculation unit 121 calculates an amount of power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wo sensing units 110p and 110c. Then,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identifies the amount of power and the device for each device using the NILM algorithm of the NILM algorithm implementation unit 151. [

NILM 알고리즘 구현부(151)는 마이콤과 같은 형태로 중앙제어부(150) 내에 구현될 수 있으며, 전력량 연산부로부터 전압과 전류의 변화 혹은 크기 등의 정보를 수신하여 전력량을 계산할 수 있다. The NILM algorithm implementation unit 151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icrocomputer in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and can calculate the amount of power by receiving information such as the change and the magnitude of voltage and current from the power amount calculation unit.

전술한 통신부(141)의 일 실시예로 저전력 무선통신부(141)가 Wi-Fi 또는 블루투스 등 무선 통신으로 정보를 외부에 출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communication unit 141 described above, the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1 can output information to the outsid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Fi or Bluetooth. The interface unit 130 may be selectively disposed.

도 3의 구성요소들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가전기기 또는 전자 제품 기기 등 전력을 소비하는 기기가 기기연결부(190)에 결합한다. 결합한 기기가 전력을 사용하면서 전압 센싱부(110p)는 전압값을 센싱하고 전류 센싱부(110c)는 부하 전류량을 센싱한다. 두 개의 센싱부들(110p, 110c)이 센싱한 전압값 및 전류값은 전력량 연산부(121)에 제공되며, 전력량 연산부(121)는 실시간으로 부하 전력량을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된 부하 전력량은 전력량 연산부(121)에서 실시간으로 또는 누적하여 중앙제어부(150)에 전달한다. 3, devices that consume power, such as household appliances or electronic appliances, are coupled to the appliance connector 190. [ The voltage sensing unit 110p senses the voltage value while the coupled device uses electric power, and the current sensing unit 110c senses the load current amount. The voltage value and the current value sensed by the two sensing units 110p and 110c are provided to the power amount computing unit 121 and the power amount computing unit 121 measures the load power amount in real time. The measured load power amount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in real time or in a cumulative manner by the electric power amount calculation unit 121.

중앙제어부(150)는 측정된 총 부하전력량을 NILM 알고리즘 구현부(151)에 입력한 후 알고리즘 연산 결과 기기 별로 전력량을 판별하여 기기별 소비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면 산출된 정보를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저장한 기기별 전력량의 판별 및 기기별 정보는 누적하여 저장되며 오류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음에 식별된 기기가 컴퓨터였지만 누적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컴퓨터가 아닌 TV로 판단된 경우 업데이트할 수 있다.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inputs the measured total load power amount to the NILM algorithm implementation unit 151 and then calculates 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by each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of the algorithm calculation, ). The identification of the amount of power stored by each device and the device-specific information are stored cumulatively and errors can be corrected. For example, if the device initially identified is a computer, but it is judged to be a TV rather than a computer based on accumulated data, it can be updated.

기기별 식별 정보와 기기별 소비 전력량에 대한 정보가 저장부(160)에 저장되면, 저전력 무선 통신부(141)가 이 정보를 외부의 통신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device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for each device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the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1 can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기기연결부(190)는 다수의 장치들에 연결될 수 있으며, 도 3의 전원연결장치(100a)는 총 부하전력량을 각각의 장치들에 대해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기기연결부(190)에 멀티탭이 결합한 경우 전원연결장치(100a)는 총 부하전력량을 멀티탭에 결합한 각각의 장치들에 대해 산출할 수 있다. The device connection unit 190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evices, and the power connection device 100a of FIG. 3 may calculate the total load power for each device. In addition, when the multi-tab is coupled to the device connection unit 190, the power connection unit 100a can calculate the total load power for each device coupled to the multi-tap.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터페이스부가 배치되지 않는 전원연결장치에 다수의 전자 제품들이 연결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하나의 전원연결장치(100b)에 멀티탭을 이용하여 다수의 기기들(41~44)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원연결장치(100b)의 기기연결부(190)에 멀티탭의 플러그 부분이 연결될 수 있다. 전원연결장치(100b)의 전원연결부(180)는 매립형으로 벽에 설치된 전기선과 연결될 수도 있고, 또다른 멀티탭 또는 플러그에 연결될 수도 있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nic products are connected to a power connection device in which an interface unit is not disp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evices 41 to 4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power connection device 100b using a multi-tap. The plug portion of the multi-tap can be connected to the device connection portion 190 of the power connection device 100b. The power connection unit 180 of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100b may be connected to a wall-mounted electrical line, or may be connected to another multi-tap or a plug.

다수의 기기들(41~44)에 연결된 멀티탭(50)의 플러그가 전원연결장치(100b)에 꽂히면, 전원연결장치(100b)는 하나의 기기연결부(19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전자 제품이 사용하는 전력량을 연산한다. 전압 및 전류 센싱을 통하여 현재 전기를 사용중인 전자 기기의 개수와 이들의 종류를 확인하면, 이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부(160)에 저장된다. When the plug of the multi-tap 50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evices 41 to 44 is plugged into the power connection device 100b, the power connection device 100b can use one or more electronic products Is calculated. When the number of electronic devices currently using electricity and their types are confirmed through voltage and current sensing, information on them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그리고, 저장된 정보를 저전력 무선 통신부(141)가 전력량 모니터링앱이 설치된 통신장치(1000)에게 전송하면, 통신장치(10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전자 기기들이 사용하는 전력량을 표시한다. 도 4의 전원연결장치(100b)는 벽과 같은 건축물에 매설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도 4의 전원연결장치(100b)는 벽에 배치된 콘센트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When the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1 transmits the stored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0 equipped with the power monitoring applica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1000 displays the amount of power used by each electronic device as shown in the figure.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100b of FIG. 4 may be embedded in a building such as a wall and fixed. Or the power connection 100b of Fig. 4 may be connected directly to a wall outlet.

도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원연결부(180)는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power connection unit 18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outlet 51 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to the power line.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연결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는 인터페이스부가 배치되지 않았다. 전원연결장치(100b)의 전원연결부는 도 5에 미도시 되었으며 콘센트(51)에 결합된 형태이다. 한편, 전원연결장치(100b)의 기기연결부(190)는 플러그가 결합할 수 있는 홀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콘센트(51)에 연결된 전원연결부는 전원을 제공받아 홀 형태의 기기연결부(190)가 하나 이상의 기기들(41~44)에게 전원을 공급한다. 기기연결부(190)는 플러그가 결합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홀 형태 뿐만 아니라 플러그의 구성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5 and 6 are views show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 power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he interface portion is not disposed. The power connection portion of the power connection device 100b is not shown in FIG. 5 and is connected to the outlet 51. FIG. The power connection unit 190 of the power connection unit 100b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hole into which the plug can be coupled. The power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socket 51 is connected to the hall- Supplies power to at least one of the devices 41 to 44. The device connection portion 190 includes components to which the plug is coupled, and may have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plug as well as the shape of the plug.

또한, 인터페이스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는 대신 외부의 통신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부(도면에 미도시)에서 무선 신호를 방출할 수 있는 신호송수신부(145)가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도 6의 100d와 같이 인터페이스부(130)가 기기를 식별한 정보 및 기기의 전력 사용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45 capable of emitting a radio signal from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in the drawing) can be disposed so that an interface unit is not disposed, but the communication unit can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Of course, the interface unit 130 may output the information identifying the device and the power usage information of the device, such as 100d in FIG.

도 6은 콘센트 형태의 전원연결장치의 두 가지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6의 두 실시예(100c 및 100d) 모두 매설형 콘센트의 형태를 가지는 전원연결장치이다. 이는 댁내 전선을 설칠하는 과정에서 콘센트 형 전원연결장치(100c, 100d)를 배치할 수 있다.Figure 6 shows two embodiments of a power connection in the form of an outlet. Both embodiments 100c and 100d of Figure 6 are power connection devices in the form of buried sockets. The socket-type power connection apparatuses 100c and 100d can be disposed in the process of laying out the domestic wires.

콘센트형 전원연결장치(100c) 역시 도 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외부의 통신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부(도면에 미도시)에서 무선 신호를 방출할 수 있는 신호송수신부(145)가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receptacle type power connection apparatus 100c may also include a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45 capable of emitting a radio signal from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so as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

또한, 인터페이스부(130)가 배치된 콘센트형 전원연결장치(100d)는 기기들의 식별 정보와 기기별 전력 사용량을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리셋부(135)가 배치될 수 있다. 리셋부(135)는 출력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의 리셋을 요청하는 구성요소이며, 일 실시예로 버튼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더.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 중인 기기의 식별 정보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리셋부(135)를 제어하면 전원연결장치(100d)의 중앙제어부(미도시)가 새로이 기기를 식별하여 식별된 정보를 인터페이스부(130)에 출력할 수 있다. Also, the socket-type power connection apparatus 100d in which the interface unit 130 is disposed may outpu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s and the power usage amount of each device from the interface unit 130. [ Further, a separate reset unit 135 may be disposed. The reset unit 135 is a component that requests reset of a part or all of the output information, and can be implemented in a button mode as an embodiment. 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being output from the interface unit 130 is not correct, if the user controls the reset unit 135, the central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power connection device 100d newly identifies the device and transmits the identified information And output it to the interface unit 130.

리셋부(135)는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통신장치의 앱이 리셋부(135)의 기능을 화면 상에서 제공할 수 있다. The reset unit 135 may be arranged at various positions in various forms, and the applic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provide the function of the reset unit 135 on the screen so as to perform the function.

정리하면, 도 1 및 도 2에서 살펴본 전원연결장치를 구현함에 있어, 전원연결장치(100b, 100c, 100d)가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혹은 벽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중앙제어부(도 1, 2의 150)는 각각의 기기연결부(190)에 연결된 기기에서 센싱한 전압 및 전류의 특성값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기기를 식별한 정보 및 기기의 전력 사용 정보를 산출한다. 그리고 중앙제어부(도 1, 2의 150)는 산출한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전력 사용 정보를 저장부(160)에 저장하여 이를 통신부(140)가 외부의 통신장치로 전송하여 해당 전원연결장치의 전력 사용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In summary, in implementing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es shown in FIGS. 1 and 2,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es 100b, 100c, and 100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outlet that supplies power, Lt; / RTI >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of FIG. 1 and FIG. 2 calculates information on the identification of one or more devices and power usage information of the devices based on the voltage and current characteristic values sensed by the devices connected to the device connection units 190. Then,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of FIG. 1 or 2 stores the calcula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ower usage information of the device in the storage unit 160 and transmits it to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Enables monitoring of usage status.

아래 표는 기기의 종류와 전력 사용 정보의 구성이다.The table below shows the composition of equipment type and power usage information.

기기device 전력 사용량Power consumption 모드mode 냉장고Refrigerator 100W100W 냉장고Refrigerator 120W120W Cooling ModeCooling Mode 전자레인지Microwave 80W80W 에어컨air conditioner 40W40W Sleep ModeSleep Mode 에어컨air conditioner 60W60W Active ModeActive Mode

표 1에서 동일한 기기라 하여도 해당 기기가 동작하는 모드에 따라 전력 사용량의 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냉장고의 경우 일반적인 모드와 쿨링 모드(Cooling Mode)에서의 전력 사용량이 상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에어컨의 경우 취침모드(Sleep Mode)와 액티브 모드(Active Mode)에서의 전력 사용량이 상이할 수 있다. 동일한 기기의 상이한 전력량이 누적하여 저장되면, 중앙제어부(150)는 이들 중에서 일부를 그룹핑 하고 해당 기기의 특성에 따라 취침 모드, 액티브 모드, 쿨링 모드 등으로 명칭을 부여하여 전력 사용량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즉, 기기가 냉장고로 확인되면 냉장고가 가지는 몇가지 모드, 예를 들어 절전 모드, 쿨링 모드를 사용 전력량에 따라 연결시킬 수 있다.Even in the case of the same device in Table 1, the information on the power consump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mode in which the corresponding device operates. In the case of a refrigerator,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normal mode and the cooling mode (cooling mode) may be different. Similarly, in the case of an air conditioner,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sleep mode and the active mode may be different. When different amounts of power of the same device are cumulatively stored,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may group some of them and monitor the power consumption by giving a name such as a sleep mode, an active mode, a cooling mode, etc.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 That is, when the device is identified as a refrigerator, several modes of the refrigerator, for example, a power saving mode and a cooling mode, can be connec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power used.

또한, 이 과정에서 전원연결장치(100b, 100c, 100d)의 통신부는 외부의 통신장치에게 전력 사용의 변화가 발생한 기기의 식별 정보와 기기의 전력 사용량, 혹은 새로이 연결되었거나 연결이 해제된 기기에 대한 정보를 통신장치에게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변화가 없는 기기에 대해서는 별도로 정보를 송신하지 않도록 하고 현재 동작 중인 기기 혹은 전기 사용의 변화가 발생한 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외부의 통신장치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Also, in this process,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power connection devices 100b, 100c, and 100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evice, or the device newly connected or disconnected to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It is not necessary to transmit information separately for devices that have not changed,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a device currently in operation or a device whose usage has changed may be confirmed by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도 7 및 도 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터페이스부가 배치된 전원연결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살펴보면, 전원연결장치(100e)는 벽에 매설된 콘센트(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연결부(180)와, 다른 전자기기들의 플러그가 꽂히는 기기연결부(190), 그리고 각 기기연결부(190)에 연결된 전자기기들의 종류와 전력량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한다. 현재 다른 전자기기들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인터페이스부(130)는 각각 "Not Connected"라 표시된다. 7 and 8 are views showing a power connection apparatus in which an interface unit is arrang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he power connection unit 100e includes a power connection unit 180 electrically connected to a wall socket 51, a device connection unit 190 where other electronic devices are plugged, And an interface unit 130 for displaying the type and the electric energy of the electronic apparatuses connected to the network. Since the other electronic devices are not connected at present, each of the interface units 130 is indicated as "Not Connected ".

도 8은 도 7의 전원연결장치에 다수의 전자기기들(41~44)의 플러그가 기기연결부(190)에 결합된 상태이다. 각각의 전자기기들(41~44)의 플러그가 기기연결부(190)에 각각 결합하면, 각각의 기기연결부(190)에 연결된 센싱부(110)가 전력 사용 상태를 센싱하여 이를 연산부(120)에 제공한다. 그 결과, 연산부(120)는 연산된 정보를 중앙제어부(150)에게 제공하고 중앙제어부(150)는 연산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 기기연결부들에 연결된 전자기기들의 종류와 사용 전력량을 저장부(160)에 저장하고, 이 정보가 각 기기연결부에 배치된 인터페이스부(130)에 표시되도록 한다.8 is a state in which a plug of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41 to 44 is coupled to the device connection unit 190 in the power connection device of FIG. When the plugs of the respective electronic devices 41 to 44 are coupled to the device connection unit 190, the sensing unit 110 connected to each device connection unit 190 senses the power usage state, to provide. As a result, the computing unit 120 provides the computed information to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and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stores the types of the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device connection units and the amount of used power based on the computed information, And this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terface unit 130 disposed at each device connection unit.

만약, 멀티탭을 이용하여 둘 이상의 전자기기들이 하나의 기기연결부(190)에 연결된 실시예라면, 인터페이스부(130)는 식별된 둘 이상의 전자기기들의 정보를 인터페이스부(130)에서 교대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스탠드와 노트북이 결합한 멀티탭의 플러그가 기기연결부(190)에 연결된 경우, 인터페이스부(130)는 현재 두 개의 장치 모두 전기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전기 스탠드"라는 기기에 대한 식별정보와 사용하고 있는 전력량을 표시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노트북"이라는 기기에 대한 식별정보와 사용하고 있는 전력량을 표시할 수 있다. 즉, 기기연결부(190)에 다수의 기기가 연결된 경우에는 인터페이스부(130)는 다수의 기기 중 기기의 연결 또는 전력 사용에서 변화가 발생한 순서에 따라 식별된 기기 및 기기의 전력 사용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If two or more electronic devices are connected to one device connection unit 190 using a multi-tap, the interface unit 130 may alternately output information of two or more identified electronic devices at the interface unit 130 have. For example, when the plug of the multi-tab combining the electric stand and the notebook is connected to the device connection unit 190, the interface unit 130 identifies the device "electric stand" And the amount of power being us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device "notebook" and the amount of power being used can be displayed. That is, when a plurality of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device connection unit 190, the interface unit 130 outputs power usage information of the devices and the devices identified according to the sequence in which the devices are connected or changes in power usage .

전술한 전원연결장치를 구현할 경우, 건물 내에 자유로이 이동이 가능하고 배치가 가능한 멀티 탭의 형식 혹은 플러그의 형태를 가지는 전원연결장치를 구현하여 각 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가전기기 전력량판별기술(NILM)을 전원연결장치 내의 중앙제어부(150) 내에 알고리즘 또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할 경우, 분전반 내의 파워미터를 복잡하게 설치할 필요 없이 댁내의 가전기기의 전력 사용량과 기기의 종류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전원연결장치가 기기의 종류와 전력 사용량을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할 경우,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멀티탭의 연결된 기기의 소비전력값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above-described power connection apparatus is implemented, a power connection device having a multi-tap type or a plug type that can freely move and be arranged in a building can be implemented to check the power consumption of each device. In particular, when the home electric appliance power quantity discrimination technology (NILM) is implemented in an algorithm or a program form in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in the power supply connection apparatus,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home appliance and the type Can be easily distinguished. In addition, when the power connection unit includes the interface unit 130 for outputting the type of device and the amount of power used, the user can intuitively easily check the power consumption value of the device connected to the multi-tap.

뿐만 아니라, 전원연결장치에 구성된 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외부의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또는 댁내 홈 오토메이션 기기 등의 화면에서도 기기별 식별 정보와 기기별 소비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configured on the power connection unit, it is possible to confirm information on the device-specif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per device in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computer, or a home automation device hav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앙제어부가 기기와 전력 사용량을 모니터링하여 식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중앙제어부(150)는 기기연결부(190)에 연결된 전자 기기들이 사용하는 전력량과 관련하여 전압 및 전류를 센싱하여 센싱된 값의 변화 혹은 크기와 미리 저장부(160)에 저장된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기기를 식별하는 추론 과정을 수행한다. 이에 대한 과정은 NILM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central control unit monitors and identifies devices and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senses the voltage and the current with respect to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device connection unit 190 and detects the change or the size of the sensed value and the patter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in advance, And the like. The process for this may be based on the NILM algorithm.

기기 전력량과 기기를 식별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도 9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전원연결장치(100)가 기기를 식별하기 위해 기기별로 가지는 특별한 전력 사용에 대한 특성을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밥솥의 경우 취사 하는 시점 및 보온하는 시점에서의 전력 사용량의 변화 혹은 전압이나 전류의 센싱된 값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60)가 저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압이나 전류의 변화 외에도 계절적 사용 요인을 가지는 에어컨과 선풍기, 사용자의 누적적 사용 형태에 기반한 시간적 사용 요인을 가지는 TV 등이 환경 정보로 저장될 수 있다. Let's look at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device power and device. As shown in FIG. 9, the power connecting device 100 may store, in the storage unit 160, a characteristic of a specific power use that is provided for each device in order to identify the devic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electric rice cooker, 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information on changes in power consumption at the time of cooking and at the time of warming, or changes in sensed values of voltage or current. In addition to the changes in voltage and current, air conditioners and fans with seasonal usage factors, and TVs with temporal usage factors based on cumulative usage patterns of users can be stored as environmental information.

중앙제어부(150)는 기기연결부(190) 및 센싱부(110), 연산부(120), 그리고 선택적으로 통신부(140)를 제어하여 기기 식별에 필요한 데이터를 취득한다(S201). 데이터 취득이란, 현재 전원연결장치(100)에 결합한 기기를 식별하는데 필요한 외부의 환경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device connection unit 190, the sensing unit 110, the operation unit 120 and optionally the communication unit 140 to acquire data necessary for device identification (S201). The data acquisition includes acquiring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necessary for identifying a device coupled to the power supply connection apparatus 100 at present.

그리고, 센싱부(110) 및 연산부(120)는 기기연결부(19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기기의 전력 사용에 따른 전력량을 측정하고 환경적인 정보들을 센싱한다(S202). 센싱한 정보들에 기반하여 중앙제어부(150)는 특징점을 추출한다(S203). 특징점이란, 도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력 사용에 따른 전압 또는 전류량의 크기 또는 변곡지점과 시간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특징점은 전력 사용에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는 특징점과 그 외 환경적인 정보들에 기반한 특징점으로 분류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10 and the computing unit 120 measure the amount of power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of one or more devices connected to the device connection unit 190 and sense environmental information (S202). Based on the sensed informa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extracts the minutiae (S203). As shown in FIG. 2, the minutiae point may be a magnitude of a voltage or an amount of current or an inflection point and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power use. Feature points can be classified as feature points based on feature points directly related to power usage and other environmental information.

이후 중앙제어부(150)는 데이터 상관도를 생성한다. 중앙제어부(150)는 전술한 다양한 종류의 특징점들 사이의 상관 계수를 산출하여 이들 데이터 사이의 상관도를 생성하여 S202 및 S203에서 산출된 정보의 정확성을 높인다. Then,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generates the data correla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calculat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various types of minutiae points described above to gener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ata,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information calculated in S202 and S203.

이후, 정확성이 높아진 정보들에 기반하여 중앙제어부(150)는 추론 및 학습을 수행하고(S205), 수행 결과 기기연결부(190)에 연결된 기기들이 몇 개인지, 그리고 각 기기들의 종류가 무엇인지, 각 기기별로 사용하는 전력량이 얼마인지를 생성한다. 즉, 중앙제어부(150)는 기기 및 기기별 사용 전력량을 식별한다(S206). 식별된 정보는 앞서 살펴본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140)가 식별된 기기 및 기기별 사용 전력량을 다른 장치로 전송하여 다른 장치에서 이를 출력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performs inference and learning (S205) based on the information whose accuracy is enhanced, and determines the number of devices connected to the device connection unit 190 as a result of the execution, Generate the amount of power used for each device. That is,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identifies the amount of power used by the device and the device (S206). The identified information may be output from the interface unit 130 described above. Alternatively, 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transmit the identified power of the device and the amount of power used by each device to another device and output the same to another device.

이후,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 식별된 정보에 대한 오류를 지시하는 피드백 메시지가 수신되면, 중앙제어부(150)는 출력된 기기의 식별 정보 중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지시된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재분석 절차를 수행한다. 앞서 S201 내지 S206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Thereafter, when a feedback message indicating an error with respect to the information identified from the interface unit 130 or another device is received,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Perform a reanalysis procedure. The steps S201 to S206 may be repeatedly performed.

도 10은 본 발명의 전원연결장치가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환경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기기를 식별하는 과정에서 중앙제어부(150)가 참조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환경 정보는 다른 전원연결장치들과 송수신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10 is a diagram show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by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and may be referred to by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in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device. In additio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that is transmitted to or received from other power connection devices.

일 실시예로, 환경 정보는 기기 별로 전력의 평균적인 사용량, 사용 패턴, 사용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 세탁기, TV, 전자레인지, 노트북, 헤어 드라이기 등은 기기가 제공하는 기능에 따라 고유한 패턴 혹은 시간 동안 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저장부(160)에 저장되며 또한 업데이트 되어 다른 전원연결장치들과 이를 송수신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nviron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n average usage amount of power, a usage pattern, a usage time, and the like for each device.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a TV, a microwave, a notebook, a hair dryer, etc. can use electric power in a unique pattern or time according to functions provided by the device. This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160 and may also be updated and transmitted / received with other power connection devices.

또한, 환경 정보는 전원연결장치(100)가 설치된 공간 내에서의 사람들의 이동 혹은 생활 습관이 반영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원연결장치(100)가 사람들이 공간을 나가거나 들어오는 정보를 취득하여 이를 기반으로 기기를 식별하거나 전력량을 기기 별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댁내에 설치된 전원연결장치(100)가 휴대폰의 이동 통신 신호를 감지하여 사람의 이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reflecting movement or lifestyle of people in a space where the power supply connection apparatus 100 is installed. For example,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100 can acquire information that people leave the space or come in to identify the device based on the information or identify the amount of power by device. In one embodiment,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100 installed in the home can detect the movement of a person by sensing 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of the mobile phone.

또 다른 실시예로, 전원연결장치(100)와 댁내 홈 오토메이션 기기와 통신하여 댁내 구성원들의 생활 습관에 대해 정보를 누적할 수 있다. 특정한 기기를 사용하는 시간 패턴, 사용하는 기기의 전력량의 패턴 등이 이에 해당한다. 뿐만 아니라, 전원연결장치(100)는 배치된 공간의 전등이 켜지거나 꺼지는 것을 센싱하여 그에 적합하게 기기의 사용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연결장치(100)는 부가적으로 광센싱부 또는 적외선 센싱부를 이용하여 사람 혹은 조명의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information can be accumulated about the lifestyle of the members of the home by communicating with the power connection unit 100 and the home automation equipment. A time pattern using a particular device, and a pattern of the amount of power used by the device. In addition, the power connecting device 100 senses that the lamp in the space is turned on or off, and can monitor the usage of the device appropriately. To this end,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100 may additionally use a light sensing unit or an infrared sensing unit to sense a change of a person or an illumination.

정리하면, 중앙제어부(150)는 전원연결장치(100)가 설치된 공간의 환경적인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보다 정확하게 기기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 공간 내에 배치된 다른 전원연결장치들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In summary,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monitors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space where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100 is installed, so that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can more accurately identify the apparatus.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to and from other power connection devices disposed in the space therefor.

일 실시예로, 제1전원연결장치에서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확인된 기기가 댁내 다른 제2전원연결장치에 연결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제1전원연결장치는 연결이 해제된 기기의 식별 정보와 전력량의 사용에 대한 정보를 다른 전원연결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 방식으로는 브로드캐스팅이 될 수 있다. 또는 각각의 전원연결장치와 1:1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since it is probable that a device that has been confirmed to be disconnected from the first power connection device is connected to another second power connection device in the house, the first power connection device can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sconnected device, Information about usage can be sent to other power connections. The transmission method may be broadcasting. Or 1: 1 with each power connec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수의 전원연결장치가 환경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이를 공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전원연결장치(100g)는 제1전원연결장치(100g)에 연결된 기기의 변동 사항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생성한다(S211). 환경 정보의 일 실시예로, 식별된 기기가 제1전원연결장치(100g)에서 연결을 해제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될 수 있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plurality of power connection devic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 and share environment information. The first power connection apparatus 100g generates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a change in the apparatus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connection apparatus 100g (S211). In one embodiment of the environment information, it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identified device has disconnected from the first power connection 100g.

예를 들어, 헤어 드라이기로 식별된 기기가 제1전원연결장치(100g)에서 연결이 해제된 경우, 이는 추후 다른 전원연결장치들에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1전원연결장치(100g)는 기기의 연결 해제 및 해당 기기의 식별 정보와 기기의 전력 사용 패턴, 특징점 등에 대한 정보를 환경 정보로 구성하여 제2전원연결장치(100h)에게 환경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212). For example, if a device identified as a hair dryer is disconnected from the first power connection 100g, it is likely to be connected to other power connections later. Accordingly, the first power connection device 100g may configure the second power connection device 100h to include environment information, such as the connection of the devic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the power usage pattern of the device, (S212).

반대로, 새로운 기기가 제1전원연결장치(100g)에 연결된 경우 새로운 기기가 연결되었음을 환경 정보로 구성하여 제2전원연결장치(100h)에게 환경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211, S212). 이 과정에서 제1전원연결장치(100g)는 새로이 연결된 기기가 사용하는 전력량을 짧은 시간동안 모니터링하여 해당 기기의 전력 사용 패턴, 특징점 등에 대한 정보를 환경 정보로 구성하여 제2전원연결장치(100h)에게 환경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In contrast, when a new device is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connection device 100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power connection device 100h by configuring the new device as environment information (S211, S212). In this process, the first power connection device 100g monitors the amount of power used by the newly connected device for a short period of time, and configures the information about the power usage pattern, Lt; / RTI >

환경 정보의 또 다른 실시예로 특정 기기가 전력을 많이 사용하는 상황에 대한 정보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냉장고로 식별된 기기의 전력 사용량이 높아진 경우, 제1전원연결장치(100g)는 냉장고라는 식별 정보를 가진 기기가 전력 사용량이 높다는 정보를 제2전원연결장치(100h)에게 전송할 수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 situation where a specific device uses a lot of power. For example, when the power consumption of a device identified as a refrigerator increases, the first power connection device 100g can transmit to the second power connection device 100h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device ha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frigerator is high in power consumption have.

이는 제2전원연결장치(100h)에 연결된 기기들의 전력량 사용량을 식별하는데 반영될 수 있다. 냉장고의 전력 사용량 증가는 에어컨과 선풍기와 같은 냉방 기기들의 전력량 상승과 유의미한 연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중앙제어부(150)가 판단할 경우, 에어컨 및 선풍기의 전력 사용량을 모니터링하는 데 있어 보다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This may be reflected in identifying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of the devices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connection device 100h. If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determines that the increase i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refrigerator has a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increase in the power of the cooling devices such as the air conditioner and the fan, it can improve the accuracy in monitor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fan .

환경 정보를 수신한 제2전원연결장치(100h)는 수신된 환경 정보를 반영하여 연결된 기기의 변동에 따라 환경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S213). 특히, 해당 기기가 이전에 제2전원연결장치(100h)로부터 연결을 해제했던 기기와 유사한 전력 사용량 및 패턴, 혹은 특징점을 가지는 것으로 제2전원연결장치(100h)가 판단하면, 해당 기기에 대한 정보들, 예를 들어, 해당 기기의 식별 정보와 기기의 전력 사용 패턴, 특징점 등 저장부에 저장되었던 정보를 제2전원연결장치(100h)가 환경 정보로 생성하여(S214) 제1전원연결장치(100g)에게 송신할 수 있다(S215). The second power connection apparatus 100h receivin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may update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connected apparatus by reflecting the received environment information (S213). Particularly, when the second power connection device 100h determines that the corresponding device has a similar power usage pattern and pattern or characteristic point to the device that has previously disconnected from the second power connection device 100h, The second power connection device 100h generates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evice, the power usage pattern of the device, the feature point, and the like stored in the storage unit (S214) 100g) (S215).

그리고 제1전원연결장치(100g)는 새로이 수신된 환경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특히, 새로이 연결된 기기에 대한 정보가 S215 과정에서 수신된 경우, 새로이 연결된 기기를 식별하고 해당 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유추 및 산출하는데 있어 환경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S211 내지 S216는 기기의 연결 및 연결 해제, 혹은 특징 기기가 사용하는 전력량의 변화 등으로 인한 변동 사항이 포함된 환경 정보를 전원연결장치들(100g, 100h) 간에 송수신하는 과정을 보여준다.The first power connection unit 100g stores the newly received environment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In particular, when information on a newly connected device is received in step S215, environmental information may be used to identify a newly connected device and to infer and calculat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evice. S211 to S216 show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including the changes due to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device or the change in the amount of power used by the feature device between the power connection devices 100g and 100h.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수의 전원연결장치가 환경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이를 공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과 달리, 도 11은 각각의 전원연결장치들은 각각이 설치된 공간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이를 다른 전원연결장치들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제1전원연결장치(100g)는 제1전원연결장치의 주변의 변동 사항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생성한다(S221). 예를 들어, 제1전원연결장치(100g)는 사람의 이동이 발생하였는지에 대한 정보, 조명이 켜졌는지 꺼졌는지에 대한 정보 등으로 구성되는 환경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1전원연결장치(100g)는 생성된 환경 정보를 제2전원연결장치(100h)에게 송신한다. 제2 전원연결장치(100h)는 수신된 환경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기기 식별 및 전력량 사용량을 식별하는데 반영한다(S223).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plurality of power connection apparatus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 and share environment information. Unlike FIG. 10, FIG. 11 shows a process in which each of the power connection devices monitors a change occurring in a space where each power connection device is installed, and provides the same to other power connection devices. The first power connection device 100g generates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a variation of the periphery of the first power connection device (S221). For example, the first power connection device 100g generates environment information composed of information on whether a person's movement has occurred, information on whether the lighting is turned on or off, and the like. The first power connection device 100g transmits the generated environment information to the second power connection device 100h. The second power connection apparatus 100h stores the received environment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and reflects the device identification and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in the identification (S223).

또한. 제2전원연결장치(100h) 역시 주변의 변동 사항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생성하고(S224), 이를 제1전원연결장치(100g)에게 송신한다(S225). 그 결과 제1전원연결장치(100g) 역시 수신된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기기 식별 및 전력량 사용량을 식별하는데 반영한다(S226).Also. The second power connection device 100h also generates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change in the surroundings (S224), and transmits the environment information to the first power connection device 100g (S225). As a result, the first power connection device 100g also stores the received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and reflects the device identification and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to identify it (S226).

도 10 및 도 11을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연결장치(100)의 구성요소인 통신부(140)는 외부의 다른 통신장치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통신장치는 홈 오토메이션과 사물 통신(IoT, Internet of Thing)이 가능한 다른 장치들, 스마트폰, 그리고 제2의 전원연결장치를 일 실시예로 하며, 생성하는 환경 정보는 전력을 사용하는 기기를 식별하고 전력량을 판별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들은 중앙제어부(150)가 생성하여 다른 통신장치들에게 통신부(140)가 송신할 수 있다. 10 and 11, the communication unit 14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environmental information from another external communication apparatus. Other communication devices include home automation, other devices capable of IoT (Internet of Thing), a smart phone, and a second power connection device, and the generated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es devices that use electric power And includes information necessary to identify and determine the amount of power. Such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and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40 to other communication devices.

또한, 중앙제어부(150)는 전원연결장치(100)가 배치된 공간에 대한 환경 정보 또는 전원연결장치(100)에 연결된 기기들 간의 상관도에 기반하여 기기의 식별 정보 및 기기의 전력 사용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환경 정보란 전원연결장치(100)가 배치된 공간에 대한 정보가 주방인 경우, 주방에서 사용 가능한 기기들의 종류에 우선 순위를 두어 식별하거나 혹은 주방에서 사용 가능하지 않은 기기들의 종류를 식별 과정에서 제외시켜 기기를 식별하는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다른 전원연결장치와 환경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중앙제어부(150)가 지속적으로 환경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장치 또는 제2의 전원연결장치에게 생성한 환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may determine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ower usage information of the device based o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bout the space where the power connection device 100 is disposed or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the devices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device 100 Can be calculated. If the information on the space in which the power connection device 100 is installed is a kitche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can be identified by prioritizing the types of appliances available in the kitchen or excluding the types of appliances that are not available in the kitchen from the identification process Thereby increasing the accuracy of identifying the device.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may continuously generate environment information for exchanging environment information with other power connection apparatuses and transmit environmen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mmunication apparatus or the second power connection apparatus.

연결된 기기들 간의 상관도란 하나의 전원연결장치(100)에 동시에 연결될 가능성이 있는 기기들의 상관도 혹은 동시에 연결될 수 없는 기기들의 상관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세탁기와 TV는 동시에 하나의 전원연결장치(100)에 연결될 가능성이 낮으며, 냉장고와 전자레인지는 동시에 하나의 전원연결장치(100)에 연결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중앙제어부(150)가 판단할 수 있다.Correlation between connected devices includes a correlation of devices that are likely to be connected to one power connection 100 at the same time, or a correlation of devices that can not be connected at the same time. For example, it is unlikely that the washing machine and the TV ar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one power supply connection device 100, and the refrigerator and the microwave oven are likely to be connected to one power supply connection device 100 at the same time. It can be judged.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장치가 전원연결장치와 통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es with a power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원연결장치(100)와 통신장치(1000)는 소정의 연결 프로세스를 수행한다(S231). 통신장치(1000)에는 전원연결장치(100)와 통신하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앱이 설치된 상태이며, 대부분의 통신 및 출력은 통신장치(1000)에 설치된 앱이 수행할 수 있다. 두 장치(100, 1000)가 블루투스로 통신하는 경우 페어링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두 장치(100, 1000)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연결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100 and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000 perform a predetermined connection process (S231). The communication device 1000 is provided with an app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power connection device 100 and capable of outputting information, and most of the communication and output can be performed by an app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device 1000. When the two devices 100 and 10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Bluetooth, the pair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And performs the conne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protocols of the two devices 100 and 1000. [

이 과정에서 댁내에 다수의 전원연결장치(100)가 있을 경우, 통신장치(1000)는 다수의 전원연결장치(100)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원연결장치(100)는 각각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 하여 통신장치(1000)가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전원연결장치(100)가 브로드캐스팅하는 정보로는 기기연결부의 개수, 현재 기기가 연결된 수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통신장치(1000)가 근접한 경우 전원연결장치(100)가 특정한 색상의 LED 조명을 발광할 수도 있다. In this process, if there are a plurality of power connection devices 100 in the house, the communication device 1000 can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power connection devices 100 and connect them. In one embodiment, the power connection 100 broadcasts information about each characteristic so that the communication device 1000 can verify this. The information broadcast by the power connection device 100 may indicate the number of the device connection units and the number of the devices connected to the device. Or 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1000 is in proximity, the power connection device 100 may emit LED lights of a specific color.

다양한 방식에 따라 연결 프로세스를 수행한 후, 전원연결장치(100)는 기기 식별 정보와 전력 사용 정보를 생성하고(S232) 생성한 정보를 통신장치(1000)에게 송신한다(S233). 그리고 통신장치(1000)는 기기 식별 정보와 전력 사용 정보를 출력한다(S234). 한편, 통신장치(1000)에서는 출력된 정보에 오류가 있거나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정보의 업데이트를 전원연결장치(100)에 요청한다(S235). After performing the connection process according to various methods,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100 generates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ower usage information (S232), and transmits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0 (S233). Then, the communication device 1000 outputs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ower usage information (S234). Meanwhile, if there is an error in the output information or an update is required,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000 requests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100 to update the information (S235).

앞서 도 6에서 살펴본 리셋부(135)를 제어하는 것과 같이 특정 기기연결부에 연결된 기기의 식별 정보가 잘못되었거나 변경이 필요함을 통신장치(1000)가 전원연결장치(100)에게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통신장치(1000)에 출력된 특정 기기의 전력 사용량에 대해 사용자가 해당 기기명을 터치하여 그러한 기기가 연결되지 않았다는 정보를 통신장치(1000)가 S235와 같은 방식으로 전원연결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000 can notify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100 tha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pparatus connected to the specific apparatus connection unit is wrong or needs to be changed such as the control of the reset unit 135 shown in FIG. In one embodiment, the user touches the corresponding device name with respect to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pecific device outpu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0,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1000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device is not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device 100).

또한, 기기별로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통신장치(1000)가 별도로 클라우드 장치로 송신하여 빅데이터가 누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가정에 설치된 전원연결장치들이 제공하는 기기별 식별 정보와 이들의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정보들이 클라우드 장치 혹은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되어 기기를 판별할 수 있는 환경 정보가 생성되면 통신장치(1000)가 이를 수신하여 다시 전원연결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전원연결장치(100)가 독자적으로 클라우드 장치로 송신하여 빅데이터를 클라우드 장치에 누적시킬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1000 can separately transmit information on power consumption per device to the cloud device so that the big data can be accumulated. Particularly, when the device-specif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lurality of households and the information on the power consumption are accumulated in a cloud device or a separate database, environment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device is generated, May receive it and transmit it to the power connection device 100 again. Of course, the power connecting device 100 may transmit its own data to the cloud device to accumulate the big data in the cloud device.

전원연결장치(100)의 저장부(160)는 전술한 다양한 환경 정보들을 저장하여 기기의 식별에 있어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The storage unit 160 of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100 stores various environmental information described above to increase the accuracy of identification of the apparatus.

전원연결장치(100)는 정보의 업데이트가 요청되면(S235), 업데이트가 요청된 정보를 반영하여 기기 식별 정보 및 전력 사용 정보를 새로이 생성한다(S236). 또한, 이 과정에서 통신장치(1000)는 환경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237). 이는 통신장치(1000)가 외부의 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혹은 전술한 도 10 및 도 11에서 제시하였던 주변의 환경의 변화에 대한 정보, 또는 기기 식별의 정확성을 높이는 환경 정보 등을 전원연결장치(100)에게 제공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전원연결장치(100)는 환경 정보를 반영하여 기기 식별 정보와 전력 사용 정보를 새로이 생성하고, 새로이 생성된 정보를 통신장치(1000)에게 송신한다(S239).When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100 is requested to update the information (S235),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100 newly generates the apparat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ower usage information by reflecting the requested information (S236). Also, in this process,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000 can transmit environment information (S237). This is because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000 receives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server or information about changes in the environment around it or the environment information that improves the accuracy of device identification, As an embodiment.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100 newly generates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ower usage information by reflectin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newly generated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000 (S239).

만약, S235 및 S237이 없는 경우, 전원연결장치(100)는 지속적으로 기기의 전력 사용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S232 내지 S234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전원연결장치(100)는 특정하게 변화가 발생한 기기에 대한 식별 정보와 전력 사용 정보를 통신장치(1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속적으로 에어컨을 사용하여 에어컨의 전력 사용량은 고정되어 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헤어 드라이기를 동작시킬 경우, 헤어 드라이기의 식별 정보와 전력 사용 정보만을 전원연결장치(100)가 통신장치(1000)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If S235 and S237 are absent, the power supply connection apparatus 100 may continuously monitor the power consumption state of the device and repeat the processes of S232 to S234. In this process,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100 can transmi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ower usage information for the specific changed device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0. [ For example, when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fixed and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constantly maintained, onl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air dryer and the power usage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0, .

이 경우, 통신장치(1000)는 이전에 수신하였던 기기들의 식별 정보 및 이들의 전력 사용 정보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하여, 새로이 추가된 헤어 드라이기의 식별 정보와 전력 사용 정보를 출력하고, 에어컨의 식별 정보 및 전력 사용 정보는 이전에 출력했던 정보를 재출력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apparatus 1000 confirms that there is no change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eviously received apparatuses and the power use information thereof, outpu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ower usage information of the newly added hair dryer, Information and power usage information can re-output information that was previously output.

또한, 통신장치(1000)는 댁내에 위치하지 않아도 댁내 가전 기기들의 전력량 소비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감을 확인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에 기반하여 원격에서 가전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경우, 본 발명을 적용하면 가전 기기의 소비 전력을 확인하여 사용자가 원격에서 가전 기기의 온/오프 혹은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mmunication device 1000 can confirm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omestic appliances even if it is not located in the home, the energy saving can be confirmed. When the home appliances can be remotely controlled based on the Internet of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on / off or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s remotely by check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appliances.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연결장치들이 댁내에 배치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집(60)과 같은 건축물 내의 공간들은 벽(65)으로 구분되며, 각 벽에 설치된 콘센트들(51p, 51q, 51r, 51s)들에 각각 전원연결장치들(100p, 100q, 100r, 100s)이 배치되어 있다. 각 전원연결장치들(100p, 100q, 100r, 100s)에는 다수의 가전 기기들의 플러그가 연결된 상태이다.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power connection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osed in a house. The spaces in the building such as the house 60 are divided into walls 65 and the power connection devices 100p, 100q, 100r, and 100s are connected to the outlets 51p, 51q, 51r, Respectively. The plugs of a plurality of appliances are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es 100p, 100q, 100r, and 100s.

전원연결장치들(100p, 100q, 100r, 100s)은 연결된 기기들을 식별하고 이들의 전력 사용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통신장치(1000)에게 제공하고, 통신장치(1000)에서 집안 내의 전체 가전 기기들의 전기 소비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통신장치(1000)는 집(60) 외부에서도 전원연결장치들(100p, 100q, 100r, 100s)과 통신하여 집안 내의 전체 가전 기기들의 전기 소비 상황을 외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The power connection devices 100p, 100q, 100r, and 100s identify the connected devices, calculate information on their power usage and provide them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0, and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0 through all of the home appliances You can monitor the electricity consumption situa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1000 can communicate with the power connection devices 100p, 100q, 100r, and 100s even outside the house 60 to confirm the electricity consumption status of all the home appliances in the house from the outside.

본 명세서에서 각각의 가전 기기, 전자 기기 등의 기기들이 사용하는 전력량을 판별하는 기술로 NILM을 적용할 수 있으며, 도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앙제어부(150) 내에 NILM 알고리즘 구현부(151)를 포함하여 전력량의 사용을 판별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압과 전류의 흐름과 변화, 이들 변화의 파형 혹은 패턴에 기반하여 특정한 기기를 판별하여 전력 사용량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환경 정보들을 이용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NILM can be applied as a technology for discriminating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used by devices such as household appliances and electronic devices. As shown in FIG. 3, the NILM algorithm implementation unit 151 is included in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alized by discriminating a specific device based on the flow and change of the voltage and the current, the waveform or the pattern of the change, and the like. Various environmental information can be used in this process.

본 발명의 전원연결장치를 구현할 경우, 가정 내의 일반 소비자가 분전반 내의 전원선 연결 및 CT(CURRENT TRANSFORMER) 센서를 설치할 필요 없이, 댁내의 콘센트 플러그 및 멀티탭 연결만으로 가정내의 장치 별 소비전력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전원연결장치의 중앙제어부는 유효전력과 무효전력, 그리고 역률을 계산하여 정확하게 가정 내 전력량을 모니터링하여 에너지 절감을 유도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implementing the power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general consumer in the home can confirm the power consumption of each device in the home only by connecting the power line and the CT (CURRENT TRANSFORMER) sensor in the distribution panel and connecting the outlet plug and the multi tap in the home . In particular, the central control unit of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alculate the active power, the reactive power, and the power factor, and accurately monitor the amount of power in the home, thereby inducing energy savings.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전원연결장치는 분전반 내에 설치될 필요가 없으며 가정 내의 콘센트에 연결하거나 혹은 매설형 콘센트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과 같이 분전반에서 NILM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기기를 판별할 경우, 집안 내의 전체 전자 기기들의 총 합의 전력에서 전력 기기를 분별해야 하므로 집안 내의 기기의 숫자가 증가함에 따라 정확도가 떨어지거나 혹은 정확하게 기기를 판별하기까지 시간이 소요된다. Particularly, the power connection device propo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be installed in the distribution board, and can be connected to an outlet in a home or a buried socket. When a device is discriminated on the basis of the NILM algorithm in the panel board as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since the power device must be discriminated from the total sum power of all the electronic devices in the house, the accuracy is decreased or the accuracy It takes a long time to determine.

반면, 본 발명은 콘센트에 연결되므로 최대 연결 가능한 기기의 수가 댁내 전체 기기의 수보다 작거나 같으므로, 기기를 판별하는 시간이 짧게 소요되며 기기를 보다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outlet, the number of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at a maximum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total number of devices in the home, so that it takes a short time to identify the device and the device can be discriminated more accurately.

또한, 본 발명의 전원연결장치들 간에 통신하여 특정한 기기가 새로이 연결되거나 제거되는 경우, 혹은 주변의 환경의 변화에 대한 정보 등을 송수신하고 댁내 구성원들의 생활 패턴이 반영된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으므로 기기를 판별하고 전력량을 산출함에 있어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specific device is newly connected or removed by communicating between the power connection devic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n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information reflecting the life pattern of the members in the home can be accumulated and stored, And the accuracy can be improved in calculating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특히, 본 발명의 전원연결장치에는 선택적으로 인터페이스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부가 없는 경우에도 외부의 통신장치를 통해 전력 사용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어 각각의 가전 기기들이 전력을 소비하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interface unit may be selectively provided in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ven when there is no interface unit, information on power usage can be output through an external communication apparatus, Can be confirmed.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반도체 기록소자를 포함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외부의 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embodiments and that all the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a part or all of the function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As shown in FIG. The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may be easily dedu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 computer program can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readable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realiz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includes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a storage medium including a semiconductor recording element. Also, a computer program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gram module that is transmitted in real time through an external devic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they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전원연결장치 110: 센싱부
120: 연산부 130: 인터페이스부
140: 통신부 150: 중앙제어부
151: NILM 알고리즘 구현부 160: 저장부
1000: 통신장치
100: power connection device 110: sensing part
120: operation unit 130: interface unit
140: communication unit 150: central control unit
151: NILM algorithm implementation unit 160:
1000: communication device

Claims (11)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부터 제공된 전원을 하나 이상의 기기에 제공하는 기기연결부;
상기 기기연결부에 연결된 상기 기기의 전압 및 전류의 특성값을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된 특성값을 이용하여 부하 전력량을 측정하는 연산부;
상기 측정된 부하전력량을 기반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를 식별하는 중앙제어부; 및
상기 기기를 식별한 정보 및 상기 기기의 전력 사용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전원연결장치.
A device connection unit for supplying power to at least one device from a power supply device;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characteristic value of voltage and current of the device connected to the device connection unit;
An operation unit for measuring a load power using the sensed characteristic value;
A central controller for identifying the at least one device based on the measured load power; And
And a storage unit that stores information identifying the device and power usage information of th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를 식별한 정보 및 상기 기기의 전력 사용 정보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전원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interface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identifying the device and power usage information of th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를 식별한 정보 및 상기 기기의 전력 사용 정보를 통신장치에게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전원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communication device information identifying the device and the power usage information of the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통신장치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중앙제어부가 생성한 환경 정보를 상기 통신장치에게 송신하는, 전원 연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environment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or transmits the environmen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전원연결장치가 배치된 공간에 대한 환경 정보 또는 상기 전원연결장치에 연결된 기기들 간의 상관도에 기반하여 상기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기기의 전력 사용 정보를 산출하는, 전원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ntral control unit calculat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and the power usage information of the device based on environment information on the space in which the power connection device is disposed or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the devices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device, .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에 직접 연결되는 전원연결부;
하나 이상의 기기에 상기 전원을 제공하는 기기연결부;
상기 기기연결부에 연결된 상기 기기에서 센싱한 전압 및 전류의 특성값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를 식별한 정보 및 상기 기기의 전력 사용 정보를 산출하는 중앙제어부;
상기 중앙제어부가 산출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중앙제어부가 산출한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통신장치에게 전송하며,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전송한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원연결장치.
A power connection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outlet for supplying power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power line;
A device connection unit for providing the power to at least one device;
A central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information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at least one device and the power usage information of the device based on characteristic values of voltage and current sensed by the device connected to the device connection unit;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And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by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ceives feedback information on the transmitted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통신장치 또는 다른 공간에 배치된 제2전원연결장치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중앙제어부가 생성한 환경 정보를 상기 통신장치 또는 상기 제2전원연결장치에게 송신하는, 전원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environment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or a second power connection device disposed in another space or transmits the environmen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entral control module to the communication device or the second power connection device,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연결 또는 전력 사용에서 변화가 발생한 기기의 식별 정보와 상기 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상기 통신장치에게 상기 변화된 정보를 송신하는, 전원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changed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in which the connection or the power usage is changed, and the power usage amount of the device.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에 직접 연결되는 전원연결부;
하나 이상의 기기에 상기 전원을 제공하는 기기연결부;
상기 기기연결부에 연결된 상기 기기에서 센싱한 전압 및 전류의 특성값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기기를 식별한 정보 및 상기 기기의 전력 사용 정보를 산출하는 중앙제어부;
상기 중앙제어부가 산출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기기를 식별한 정보 및 상기 기기의 전력 사용 정보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출력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의 리셋을 요청하는 리셋부를 포함하는, 전원연결장치.
A power connection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outlet for supplying power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power line;
A device connection unit for providing the power to at least one device;
A central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information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at least one device and the power usage information of the device based on characteristic values of voltage and current sensed by the device connected to the device connection unit;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An interface for outputting information identifying the device and power usage information of the device; And
And a reset unit for requesting a reset of part or all of the output information.
제9항에 있어서,
다른 공간에 배치된 제2전원연결장치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중앙제어부가 생성한 환경 정보를 상기 제2전원연결장치에게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전원 연결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environment information from a second power connection unit disposed in another space or transmits environmen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to the second power connection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연결부에 다수의 기기가 연결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다수의 기기 중 상기 기기의 연결 또는 전력 사용에서 변화가 발생한 순서에 따라 상기 식별된 기기 및 상기 기기의 전력 사용 정보를 출력하는, 전원연결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 plurality of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device connection unit,
Wherein the interface unit outputs the power usag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device and the device in the order of occurrence of a change in connection or power usage among the plurality of devices.
KR1020170067177A 2017-05-30 2017-05-30 Power connecting device providing power usage information by identifying connected apparatus KR201801309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177A KR20180130931A (en) 2017-05-30 2017-05-30 Power connecting device providing power usage information by identifying connecte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177A KR20180130931A (en) 2017-05-30 2017-05-30 Power connecting device providing power usage information by identifying connected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931A true KR20180130931A (en) 2018-12-10

Family

ID=64670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177A KR20180130931A (en) 2017-05-30 2017-05-30 Power connecting device providing power usage information by identifying connected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093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686A (en) * 2019-11-26 2021-06-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ppliance classification method and device for cloud-based nilm platfor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686A (en) * 2019-11-26 2021-06-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ppliance classification method and device for cloud-based nilm platfor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88170B (en) Power line communication device,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and power monitoring method thereof
US10951712B2 (en) IoT communications bridging power switch
US9685822B2 (en) Management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for electrical appliances
US20170023270A1 (en) Universal demand-response remote control for ductless split system
US9519939B2 (en) Smart switch and smart home system using the same
US20180006492A1 (en)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40067144A1 (en) Smart switch and smart home system using the same
US8415826B2 (en) Power outlet apparatus with multiple sockets detection,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KR101843820B1 (en) Smart multitap and smart multitap system using thereof
TWI467878B (en) Power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EP3125374B1 (en)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KR101035127B1 (en) Power saving outlet device capable of remote power control
WO2011030206A2 (en) Electrical power management device
TW201541238A (en) Power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400252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Monitoring and Control
CN105705954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smart socket
KR101014686B1 (en) System and process for control standby power and measuring consumption power using zigbee communication
KR20180130931A (en) Power connecting device providing power usage information by identifying connected apparatus
KR20060004031A (en) Home network system and displaying method for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used
Visconti et al. Wireless monitoring and driving system of household facilities for power consumption savings remotely controlled by Internet
KR2016007963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rming dimming status of illuminator
KR20190119201A (en) Device and cloud server monitoring energy consumption
KR20120036737A (en) Method for generating and analyzing current consumption pattern
KR102138629B1 (en) Apparatus for management of socket based on iot
CN110727202A (en) Power grid interaction-oriented random measurement equipment and load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