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9265A - 동영상 편집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앱이 기록된 컴퓨터 - Google Patents

동영상 편집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앱이 기록된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9265A
KR20180129265A KR1020170065040A KR20170065040A KR20180129265A KR 20180129265 A KR20180129265 A KR 20180129265A KR 1020170065040 A KR1020170065040 A KR 1020170065040A KR 20170065040 A KR20170065040 A KR 20170065040A KR 20180129265 A KR20180129265 A KR 20180129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deo
button
folde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0674B1 (ko
Inventor
김건호
Original Assignee
(주)거노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거노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거노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70065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674B1/ko
Publication of KR20180129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 동영상 서버에 연결되고, 동영상 편집 앱이 로딩되는 동영상 편집 앱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완성된 영상들이 있는 폴더인 완성폴더; 하나의 동영상 파일에 계속 업데이트 되면서 저장되는 임시폴더; 폰에 있는 영상을 스캔해서 모두표시하고, 상기 영상이 저장된 폴더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에는 기타 다른 앱으로 전송하기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폴더 클릭 시 해당 폴더 내 사진, 동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며, 원하는 사진을 클릭하여 선택할 수 있고, 동영상의 경우 동영상 편집 화면으로 이동하여, 영상이나 이미지가 선택되면 해당 영상이나 이미지가 추가되고, 이미지, 동영상이 있는 폴더를 자동으로 스캔해서 가져올 수 있으며, 상기 표시 영역에는 인스타그램/페이스북/유투브 카카오톡/카카오스토리/위쳇/네이버블로그/메일로 전송하는 각각의 배포 플랫폼 관리를 위해 플랫폼 연동 정보를 갖는다.

Description

동영상 편집 앱 시스템{APP system having a function of editing motion picture}
본 발명은 동영상 편집 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눈에 보면서 빠르게 이동함과 동시에 복잡한 영상편집 메뉴보다 편집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용이 빠를 수 있는 동영상 편집 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PC 및 메모리 등의 발전과 함께, 사용자가 반영구적으로 소유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의 PC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주변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기저장된 동영상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 PC 등은, HDD에 내장된 동영상 데이터를 불러 오거나, 외부기기인 USB 등에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를 불러 와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스타일의 새로운 파일로 편집 및 저장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 PC 등에서 파일을 편집하는 기술은 하나의 파일에 대해서만 편집 가능하고, 복수의 파일들을 한 번에 용이하게 편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089976호 한국등록특허 제0878528호 한국등록특허 제1281786호 한국등록특허 제053008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필요 메뉴가 모든 화면에 고정되어 있어 한눈에 보면서 빠르게 이동함과 동시에 복잡한 영상편집 메뉴보다 편집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용이 빠를 수 있는 동영상 편집 앱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스타그램/페이스북/유튜브/카카오톡/카카오스토리/위쳇/ 네이버블로그/메일 등으로 전송하기 기능을 포함하는 동영상 편집 앱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 동영상 서버에 연결되고, 동영상 편집 앱이 로딩되는 동영상 편집 앱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완성된 영상들이 있는 폴더인 완성폴더; 하나의 동영상 파일에 계속 업데이트 되면서 저장되는 임시폴더; 폰에 있는 영상을 스캔해서 모두표시하고, 상기 영상이 저장된 폴더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에는 기타 다른 앱으로 전송하기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폴더 클릭 시 해당 폴더 내 사진, 동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며, 원하는 사진을 클릭하여 선택할 수 있고, 동영상의 경우 동영상 편집 화면으로 이동하여, 영상이나 이미지가 선택되면 해당 영상이나 이미지가 추가되고, 이미지, 동영상이 있는 폴더를 자동으로 스캔해서 가져올 수 있으며, 상기 표시 영역에는 인스타그램/페이스북/유튜브/카카오톡/카카오스토리/위쳇/ 네이버블로그/메일로 전송하는 각각의 배포 플랫폼 관리를 위해 플랫폼 연동 정보를 갖는다.
본 발명은 왼쪽/오른쪽으로 밀어서 자르고자 하는 영상 부분 지정하는 영상 편집 영역; 잘린 영상이 클립에 추가되는 추가 버튼 영역;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공유 영역을 클릭하여 상기 모든 영상 및 이미지 공유를 하기 위해 파일을 선택해서 개별로 보내는 것과 영상을 편집 완료 후 공유하는 2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본 발명은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고 자르는 기능을 갖는 이미지 사이즈 편집 영역; 두개의 흰색 사이즈 영역의 BAR가 생성 되며 좌우상하로 각각 움직임이 가능한 이미지 사이즈 편집 BAR;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쇼를 표시하는 슬라이드쇼 표시 영역; 세로로 촬영된 사진 및 영상 등을 가로비율에 맞게 확대/축소하는 화면 확대/축소 버튼; 좌측 끝으로 가는 버튼과 재생 버튼과 정지 기능을 갖고, 정지기능은 플레이를 누르면 작동되는 재생 바 영역; 영상 사이사이에 전환효과 버튼을 삽입할 수 있는 동영상의 편집 내역 화면 ;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동영상 재생 중에 원하는 위치에 녹음 버튼 클릭하여 음성 녹음 시작 동영상 프레임 위에 녹음 부분 별도 표시하는 음성 삽입 영역; 현재 위치해 있는 영상위치에서 부터 재생이 되면서 녹음되는 마이크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편집 앱 시스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3초 만에 만드는 빠르고 쉬운 영상제작
자신의 폰 안에 내장되어 있는 A(이미지나 영상)를 선택하여 B(완성)를 눌러 가장 빠르게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지와 동영상을 동시에 편집할 수 있고, 자신의 폰 안에 내장되어있는 이미지나 동영상을 동시에 선택하여 영상제작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눈에 보는 메뉴와 손쉬운 영상효과를 적용하여 복잡한 영상편집 메뉴보다 편집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용이 빠를 수 있도록 개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앱 구동 시 처음으로 실행되는 이미지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영상이나 이미지를 선택하면 선택한 클립이 노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미리 완성된 영상들이 있는 폴더인 완성폴더와, 임시저장 되어 있는 임시폴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이미 완료된 파일이 쌓여있는 폴더인 완성파일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동영상 표시 영역과, 영상 편집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선택된 이미지의 표시영역과 편집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클립으로 제작된 슬라이드쇼 표시 영역 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동영상 표시 영역에서 볼륨 조절 영역 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나의음악 영역에서 내 핸드폰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 목록을 표시하는 것 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길이 설정 영역 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영상출력영역과, 텍스트 설정 선택 영역 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텍스트 종류 선택 탭이 화면에 표시되는 것 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텍스트 색상과 텍스트 스타일을 선택하는 영역이 화면에 표시되는 것 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음성 삽입 영역 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효과 중 필터효과를 선택하는 영역 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는 효과 중 전환효과를 선택하는 영역 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타이틀을 수정하거나 제작된 영상 길이를 자르거나 영상을 추가로 불러오도록 만드는 메뉴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영상 제목 입력과 완료된 영상을 공유하기전 영상화질을 설정하는 영역 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인스타그램/페이스북/유투브 카카오톡/카카오스토리/위쳇/네이버블로그/메일 등으로 전송하기 기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은 기타 어플화면에서는 자신의 폰에 다운된 어플들이 노출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삭제팝업 화면 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동영상 편집 앱 시스템이 네트워크로 동영상 서버에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동영상 편집 앱 시스템에는 동영상 편집 앱이 로딩된다.
도 1은 앱 구동 시 처음으로 실행되는 이미지 영역으로서, 영상 만들기 버튼을 클릭 시 이미지, 동영상 등 영상이 있는 폴더를 자동으로 스캔해서 가져올 수 있다.
도 1의 화면에서 특정 광고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AUM이라는 영상제작 어플의 상표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의 상단 설정 버튼을 클릭시 리스트 페이지로 이동하여, 1) WIFI 연결, 2) 언어 설정(다국어 지원), 3) 도움말, 4) 업그레이드 정보 등을 보여주게 된다.
도 2의 비어있는 클립이 디스플레이되고, 영상이나 이미지를 선택하면 선택한 클립이 노출된다. 이하 구성 요소 앞에 표시되는 <번호> 표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해당 도면에서만 사용되는 부호로서, 일반적인 도면 부호는 아니다.
<1> 클립을 다수개 선택하여, <2> 확인 버튼을 클릭 시 영상편집 화면이 생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완성된 영상들이 있는 폴더인 <1> 완성폴더와, 임시저장 되어 있는 <2> 임시폴더가 있다.
임시폴더에서 임시저장은 하나의 파일에 계속 업데이트 되면서 저장 된다.
표시 영역은 폰에 있는 영상을 스캔해서 모두표시하고, 상기 영상이 저장된 폴더를 표시한다.
상기 폴더 클릭 시 해당 폴더 내 사진, 동영상 등이 디스플레이 되며, 원하는 사진을 클릭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동영상의 경우 동영상 편집 화면으로 이동하여, 영상 디스플레이 영역 초기화면으로 클립 추가하기 전 화면이며 비어 있는 부분은 영상이나 이미지가 선택되면 해당 영상이나 이미지가 추가된다.
<6> 클릭시 영상편집 / 이미지 편집의 경우 화면(도 5, 6)으로 이동한다.
<7> 클립 표시 영역에서 선택된 영상 있을 경우 목록 디스플레이(클립 x개 선택, 8개 보여줌, 그 이상은 드래그해서 볼 수 있도록 처리한다.
클립된 영상의 x 표시 클릭 시 해당 영상이 삭제된다.
영상 순서 변경 처리를 위해 영상을 2초간 눌러 해당 위치로 이동 처리한다.
동영상의 경우 추가된 영상클립 화면 위에 카메라 및 시간 표시가 되고, 편집할 클립 클릭 시 영상편집 (자르기)화면(도 5, 6)으로 이동한다.
<8> 확인 버튼 영역을 클릭 시 영상편집 메인화면(도 7)으로 이동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완료된 파일이 쌓여있는 폴더인 완성파일 화면을 보여주고, 임시로 저장된 파일일 경우 임시저장 파일 화면에서 보여주며, <2> 삭제 버튼 클릭시 "삭제하시겠습니까?"메시지가 뜬다. 이를 클릭시 도 21로 이동한다.
임시 저장 파일에서 <4> 번을 클릭시 영상편집/이미지 편집 화면(도 5, 6)으로 이동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은 동영상 표시 영역이고, <2> 영상 편집 영역으로 왼쪽/오른쪽으로 밀어서 자르고자 하는 영상 부분 지정한다. 한 영상을 여러 번 자를 수 있으며 클립으로 추가를 계속 할 수 있다.
<3>은 영상 편집 버튼 영역으로 A 회전은 영상 회전 버튼이고, B 화면맞춤은 빈 영역이 없도록 확대시키기 위한 가로화면에 꽉차게 기능이다.
C 잘라내기는 자를 영역을 선택 후 가위 버튼을 클릭하면 선택한 영역이 잘잘린다.
<4>는 추가 버튼 영역으로, 추가 버튼 클릭 시 잘린 영상이 클립에 추가되고, 추가된 영상 갯수에 따라 버튼에 숫자가 올라간다.
<5>는 확인 버튼 영역으로 클릭 시 영상편집 메인화면(슬라이드14)으로 이동한다.
<6>은 공유 기능으로, 클릭시 영상편집화면(도 19)으로 이동한다. 자르기 한 영상을 보내는게 아니라 원본에 대한 영상 및 이미지를 공유한다.
또한 모든 영상 및 이미지 공유는 파일을 선택해서 개별로 보내는 것과 영상을 편집 완료 후 공유하는 2가지 형태로 구분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은 영상 편집 버튼 영역으로, A 회전 : 영상 회전 버튼 임, B 화면맞춤 : 가로화면에 꽉차게(빈 영역이 없도록) 확대시킴 C : 잘라내기 기능을 갖고, C에서 자를 영역을 선택 후 가위 버튼을 클릭하면 선택한 영역이 잘리면서 추가버튼으로 추가 되면서 숫자가 올라간다.
<3>은 추가 버튼 영역으로, 추가 버튼 클릭 시 잘린 영상이 클립에 추가된다. 추가된 영상 갯수에 따라 버튼에 숫자가 올라간다.
<4> 확인 버튼 영역을 클릭 시 영상편집(효과적용) 화면(도 7)으로 이동
<5> 이미지 사이즈 편집(자르기) 영역을 클릭시 6번 바가 생성된다.
<6>번은 이미지 사이즈 편집 BAR로서, 두개의 흰색 사이즈 영역의 BAR가 생성 되며 좌우상하로 각각 움직임이 가능하다. 어두운 부분은 잘리는 영역이며 밝은 부분은 유지하는 영역이다.
<7> 자르기 버튼에서 5번 이미지 사이즈를 편집하고 7번을 누르면 추가버튼에 개수가 표기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은 클립으로 제작된 슬라이드쇼 표시 영역으로 자동 플레이된다.
<2> 화면 확대/축소 버튼은 세로로 촬영된 사진 및 영상 등을 가로비율에 맞게 확대/축소하는 버튼이다.
<3> 재생 바 영역은 좌측 끝으로 가는 버튼과 재생 버튼과 정지 기능을 갖고, 정지기능은 플레이를 누르면 작동된다. 영상이 길어지면 영상을 터치하여 좌우로 슬라이드된다.
<4> 현재 동영상의 편집 내역 화면 영역은 영상 사이사이에 전환효과 버튼을 삽입할 수 있다.
<5> 버튼 영역에서 해당 버튼 선택 시 음악, 길이, 텍스트, 보이스, 효과, 편집으로 각각 이동할 수 있다. 설정 버튼 클릭시 설정 리스트 페이지로 이동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표시 영역에서 볼륨 조절 영역을 보여주면, 기본볼륨은 음악 재생 시 볼륨이고, 동영상볼륨은 기본값 30%로 설정하며, 좌우 이동하여 음량 조절(% 표시)한다.
상기 기본볼륨은 불러온 영상 음악을 제외한 BGM이나 보이스의 볼륨을 지칭한다.
상기 동영상 볼륨은 불러온 동영상의 음악 볼륨을 지칭하고 기본볼륨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사진만으로 슬라이드가 완성된 경우에는 동영상 볼륨이 비활성화 되도록 처리한다.
<3>에서 처럼 BGM 표시 영역 선택된 곡 없을 경우 음악선택 버튼을 클릭하여 BGM을 추가할 수 있도록 음악목록 화면으로 이동한다. 선택된 곡이 있을 경우 선택한 파일명을 보여준다.
<4>는 BGM 삭제 버튼 영역이다. 즉 선택한 음악이 있을 때 음악선택 버튼이 휴지통 아이콘으로 변경 되며 클릭 시 '삭제하시겠습니까?' 팝업 메시지 확인삭제 처리 하면 음악이 삭제되고 음악 미선택 화면으로 변경된다.
<5>는 컨텐츠에서 컨텐츠 이동시 " 저장하시겠습니까?" 팝업이 노출된다.
<6>은 홈 버튼으로 클릭시 영상편집화면(도 7)으로 이동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의음악 영역에서는 내 핸드폰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 목록을 표시한다.
<2> 선택버튼으로 음악을 선택하면 붉은색 테두리 공간이 하단으로 생성된다.
<3> 플레이 버튼을 누르면 음악이 실행 되며 정지 버튼 노출된다.
<4> 상하 스크롤은 리스트가 길어질 시를 대비하여 상하 스크롤이 존재한다.
즉 스크롤은 터치기능보다는 자신의 위치를 보여주는 정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길이 설정 영역에서 길이는 기본 3초로 설정하고 화살표로 최대 15초까지 가능하게 설정. 기본설정 길이가 처음 슬라이드쇼 플레이시에도 같이 반영된다. 총 재생시간 및 음악시간은 자동 표시된다.
<2> 재생시간 컨트롤 버튼을 터치를 하여 좌우로 이동하면 프레임별 재생시간 초 숫자도 함께 변경된다. 재생시간이 길어지면 총 재생시간도 변경된다.
<3> 음악 재생시간에 맞춤 버튼은 선택시 선택한 음악에 맞춰 영상길이를 설정한다. 음악재생시간 맞춤시 프레임별 재생시간은 비활성화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은 영상출력영역이고, <2> 텍스트 설정 선택 영역에서는 A 텍스트 입력, B 텍스트 종류 선택, C 텍스트 색상 선택, 색상표에서 색상 선택, D 텍스트 스타일 선택(Bold, 밑줄, 이탤릭체, 쉐도우)이 있다.
<3> 텍스트 입력 영역에서 동영상에 텍스트 입력 영역을 생성하고, 클릭 시 키패드가 올라오며, 드래그 해서 위치 선택이 가능하다. 우측 하단에 회전 버튼이 생성된다.
여기에서 A는 텍스트 위치 이동/회전 버튼으로 버튼을 눌러 텍스트 이동 및 회전할 수 있다. 폰트종류/색상/스타일의 적용은 한 클립의 하나의 문장에 적용한다.
새로운 클립 선택시 Input Your Text가 자동 생성된다.
일어, 중국어 등 자판은 한국어 보다 더 높으므로 동영상 부분과 아래의 화면선택 부분은 고정 되고, 나머지 부분은 다양한 자판에 나오도록 설정된다.
<5> 텍스트 입력 중 확인을 누르면, "저장하시겠습니까?" 문구의 팝업창이 뜨고, 확인 및 돌아가기 버튼이 생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종류 선택 탭이 화면에 표시되고, <2> 기본폰트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폰트이며 폰트 리스트를 상하로 슬라이드가 가능하며 선택시 블랙으로 오버컬러가 표시된다.
<3> 상하 스크롤은 리스트가 길어질 시를 대비하여 상하 스크롤이 존재한다. 스크롤은 터치기능보다는 자신의 위치를 보여주는 정도로 표시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 화면에 폰트 스타일이 선택되며, 예를 들어 1. 폰트를 굵게 표현, 2. 폰트에 밑줄 표현, 3. 폰트를 기울림 표현, 4. 폰트에 검정색 그림자 효과를 준다. 등이 표시된다.
폰트컬러와 영상 배경색이 겹칠 경우 폰트가 보이지 않을 수 있는 상황에 대비한다.(값은 투명도 30%정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삽입 영역으로서, 동영상 재생 중에 원하는 위치에 녹음 버튼 클릭하여 음성 녹음 시작 동영상 프레임 위에 녹음 부분 별도 표시한다.
마이크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위치해 있는 영상위치에서 부터 재생이 되면서 녹음된다.
위치설정은 가운데 흰색막대기가 기준이며 이미지를 터치하여 슬라이드 형태로 조절가능하다.
시작/정지 버튼을 눌러도 6번 영역의 재생화면과 1번 클립 영역이 동시에 재생과 이동 되어야 한다.
<2> 재생시작 / 정지 기능을 사용하면 재생시작 클릭시 6번 화면이 재생되며 정지시 영상이 정지된다.
<3> 녹음 버튼 영역에서 녹음 시작 버튼(마이크) 클릭 시 녹음 중 버튼으로 변경 녹음중 버튼 클릭하면 중지된다.
그리고 <4> 녹음 삭제 버튼이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저장/완성/공유 버튼 영역에서 임시저장 기능은 현재까지 편집한 영상을 임시저장한다. 이 때 버튼 클릭 시 폰 내부에 저장되고, 편집에서 불러오기로 이동하여 불러들여 다시 편집 가능하다.
<2> 완성 영역을 클릭하면 현재까지 편집한 영상을 최종 인코딩하는 기능 편집된 영상을 합쳐서 인코딩 작업 진행 진행 후 영상 제목 입력화면(도 18)으로 이동한다.
<3> 공유 영역은 현재까지 편집한 영상을 최종으로 인코딩하여 공유 기능(SNS 연계 및 기기 전송)을 갖는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저장/완성/공유 버튼 영역으로서, 임시저장 영역을 누르면, 현재까지 편집한 영상을 임시저장한다.
버튼 클릭 시 폰 내부에 저장되고, 편집에서 불러오기로 이동하여 불러들여 다시 편집 가능하다.
<2> 완성영역은 현재까지 편집한 영상을 최종 인코딩하는 기능 편집된 영상을 합쳐서 인코딩 작업 진행 진행 후 영상 제목 입력화면(도 18)으로 이동한다.
<3> 공유 영역은 현재까지 편집한 영상을 최종으로 인코딩하여 공유 기능(SNS 연계 및 기기 전송)을 갖는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틀 버튼 클릭시 도 18으로 이동하고, 타이틀을 수정하거나 미리 지정 가능하다.
<2> 자르기 버튼은 클릭시 도 5로 이동하여 버튼을 통해 편집중인 영상을 자르는 개념이다.
<3> 불러오기 버튼은 불러오기 화면으로서 도 3으로 이동하며 영상 또는 이미지를 추가할 수 있다.
<4>는 확인 버튼이다. 클릭시 슬라이드 도 7로 이동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제목 입력 영역에서 영상 제목 입력 측면의 x 표시 클릭 시 초기화한다.
이미 제목 등록되어 있는 영상의 경우, 기존 등록한 영상 제목을 불러온다. (재수정 또는 그대로 등록 가능)
<2>는 확인 버튼 영역으로, 클릭 후 "공유하시겠습니까?" 메시지 팝업 노출된다.
<3>은 영상 내보내기 화질선택 창으로 화질 선택 후 공유화면(도 19)으로 이동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은 동영상 편집 앱 시스템으로 기타 다른 앱으로 전송하기 버튼을 통해 전송하기 기능을 갖는다.
<2>는 인스타그램/페이스북/유튜브 카카오톡/카카오스토리/위쳇/ 네이버블로/메일 등으로 전송하기 기능으로서, 클릭시 도 21로 이동한다.
상기 인스타그램/페이스북/유튜브 카카오톡/카카오스토리/위쳇/ 네이버블로/메일은 각각의 배포 플랫폼 관리를 위해 유튜브, 페이스북 등의 플랫폼 연동 정보를 갖는다.
상기 플랫폼 연동 정보는 각 외부 앱들과 유기적으로 연동되어 최적의 이미지와 동영상을 공유할 수 있는 각종 연동 정보를 포함한다.
<3>은 기타 다른 앱으로 전송하기 기능으로 클릭시 도 20으로 이동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타 어플화면에서는 자신의 폰에 다운된 어플들이 노출된다.
<2> 로딩화면은 에니메이션 효과이며 영상 불러들이기나 2초 이상의 작업이 필요할 시 노출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삭제팝업 화면에서 모든 메세지팝업은 본 디자인으로 디자인틀은 동일하며 글자는 시스템으로 처리한다.
<2>는 영상 내보내기 로딩화면으로 붉은색이 에니메이션 효과로 하얀 원에 채워진다. (시계방향)
<3> 진행 퍼센트 표기로서 붉은색 표기와 함께 진행하며, 퍼센트 또한 올라간다.
<4>에서 남은시간은 분으로 표기하며 진행률에 따라 시간이 줄어든다.
<5>는 취소하기 버튼으로 클릭하면 진행이 취소된다.

Claims (5)

  1. 네트워크로 동영상 서버에 연결되고, 동영상 편집 앱이 로딩되는 동영상 편집 앱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완성된 영상들이 있는 폴더인 완성폴더;
    하나의 동영상 파일에 계속 업데이트 되면서 저장되는 임시폴더;
    스마트폰에 있는 영상을 스캔해서 모두표시하고, 상기 영상이 저장된 폴더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에는 기타 다른 앱으로 전송하기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폴더 클릭 시 해당 폴더 내 사진, 동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며, 원하는 사진을 클릭하여 선택할 수 있고,
    동영상의 경우 동영상 편집 화면으로 이동하여, 영상이나 이미지가 선택되면 해당 영상이나 이미지가 추가되고, 이미지, 동영상이 있는 폴더를 자동으로 스캔해서 가져올 수 있으며,
    상기 표시 영역에는 인스타그램/페이스북/유튜브/카카오톡/카카오스토리/위쳇/ 네이버블로그/메일로 전송하는 각각의 배포 플랫폼 관리를 위해 플랫폼 연동 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편집 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왼쪽/오른쪽으로 밀어서 자르고자 하는 영상 부분 지정하는 영상 편집 영역;
    잘린 영상이 클립에 추가되는 추가 버튼 영역;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공유 영역을 클릭하여 상기 모든 영상 및 이미지 공유를 하기 위해 파일을 선택해서 개별로 보내는 것과 영상을 편집 완료 후 공유하는 2가지 형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편집 앱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편집하고 자르는 기능을 갖는 이미지 사이즈 편집 영역;
    두개의 흰색 사이즈 영역의 BAR가 생성 되며 좌우상하로 각각 움직임이 가능한 이미지 사이즈 편집 BA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편집 앱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쇼를 표시하는 슬라이드쇼 표시 영역;
    세로로 촬영된 사진 및 영상 등을 가로비율에 맞게 확대/축소하는 화면 확대/축소 버튼;
    좌측 끝으로 가는 버튼과 재생 버튼과 정지 기능을 갖고, 정지기능은 플레이를 누르면 작동되는 재생 바 영역;
    영상 사이사이에 전환효과 버튼을 삽입할 수 있는 동영상의 편집 내역 화면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편집 앱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동영상 재생 중에 원하는 위치에 녹음 버튼 클릭하여 음성 녹음 시작 동영상 프레임 위에 녹음 부분 별도 표시하는 음성 삽입 영역;
    현재 위치해 있는 영상위치에서 부터 재생이 되면서 녹음되는 마이크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편집 앱 시스템.
KR1020170065040A 2017-05-26 2017-05-26 동영상 편집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앱이 기록된 컴퓨터 KR101950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040A KR101950674B1 (ko) 2017-05-26 2017-05-26 동영상 편집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앱이 기록된 컴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040A KR101950674B1 (ko) 2017-05-26 2017-05-26 동영상 편집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앱이 기록된 컴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265A true KR20180129265A (ko) 2018-12-05
KR101950674B1 KR101950674B1 (ko) 2019-05-17

Family

ID=64744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040A KR101950674B1 (ko) 2017-05-26 2017-05-26 동영상 편집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앱이 기록된 컴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67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905B1 (ko) * 2019-11-01 2021-03-23 키네마스터 주식회사 상세 조절 제어를 위한 동영상 편집 ui 제어방법 및 장치
WO2022231300A1 (ko) * 2021-04-28 2022-11-03 키네마스터 주식회사 백업이 실행가능한 영상 편집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3008702A1 (ko) * 2021-07-30 2023-02-02 아이디아이디 주식회사 멀티 트랙에 대한 기록 동작에 기반하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23804A (ko) * 2020-09-25 2023-02-17 베이징 지티아오 네트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텍스트-비디오 생성 방법, 장치, 설비 및 매체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086B1 (ko) 2003-07-04 2005-11-22 주식회사 엠투그래픽스 동영상의 자동편집장치와 그 방법 및 동영상자동편집방법이 저장된 기록매체
KR20080090218A (ko) * 2007-04-04 2008-10-08 엔에이치엔(주) 편집 파일의 자동 업로딩 방법 및 그 장치
KR100878528B1 (ko) 2002-07-16 2009-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편집방법 및 그 장치
JP2009217828A (ja) * 2009-04-10 2009-09-24 Konica Minolta Holdings Inc 画像検索装置
KR20130036384A (ko) * 2011-10-04 2013-04-12 장요람 영상 카드 제작방법
KR101281786B1 (ko) 2006-07-10 201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편집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영상편집 방법
KR20130089976A (ko) 2012-01-19 2013-08-13 서일대학교산학협력단 동영상 편집 시스템과 그 편집방법
KR20140066059A (ko) * 2012-11-22 2014-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스처 레코딩 방법
KR101583745B1 (ko) * 2014-09-26 2016-01-08 (주)토리랩 실시간 동영상 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턴제 게임 지원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528B1 (ko) 2002-07-16 2009-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편집방법 및 그 장치
KR100530086B1 (ko) 2003-07-04 2005-11-22 주식회사 엠투그래픽스 동영상의 자동편집장치와 그 방법 및 동영상자동편집방법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1281786B1 (ko) 2006-07-10 201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편집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영상편집 방법
KR20080090218A (ko) * 2007-04-04 2008-10-08 엔에이치엔(주) 편집 파일의 자동 업로딩 방법 및 그 장치
JP2009217828A (ja) * 2009-04-10 2009-09-24 Konica Minolta Holdings Inc 画像検索装置
KR20130036384A (ko) * 2011-10-04 2013-04-12 장요람 영상 카드 제작방법
KR20130089976A (ko) 2012-01-19 2013-08-13 서일대학교산학협력단 동영상 편집 시스템과 그 편집방법
KR20140066059A (ko) * 2012-11-22 2014-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스처 레코딩 방법
KR101583745B1 (ko) * 2014-09-26 2016-01-08 (주)토리랩 실시간 동영상 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턴제 게임 지원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905B1 (ko) * 2019-11-01 2021-03-23 키네마스터 주식회사 상세 조절 제어를 위한 동영상 편집 ui 제어방법 및 장치
US11500531B2 (en) 2019-11-01 2022-11-15 Kinemaster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edit user interface of moving picture for detail adjustment control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230023804A (ko) * 2020-09-25 2023-02-17 베이징 지티아오 네트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텍스트-비디오 생성 방법, 장치, 설비 및 매체
US11922975B2 (en) 2020-09-25 2024-03-05 Beijing Zitiao Network Technology Co., Ltd. Method, apparatus, device and medium for generating video in text mode
WO2022231300A1 (ko) * 2021-04-28 2022-11-03 키네마스터 주식회사 백업이 실행가능한 영상 편집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3008702A1 (ko) * 2021-07-30 2023-02-02 아이디아이디 주식회사 멀티 트랙에 대한 기록 동작에 기반하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674B1 (ko) 201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9635B2 (en) Fanning user interface controls for a media editing application
JP6779250B2 (ja) メディア編集アプリケーション用の扇形編出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コントロール
KR101950674B1 (ko) 동영상 편집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앱이 기록된 컴퓨터
JP5908130B2 (ja) ジャーナルを生成するためのアプリケーション
US8977980B2 (en) Display scrolling method, display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having display program recorded thereon
JP6223405B2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US8434007B2 (en) Multimedia reproduction apparatus, menu screen display method, menu screen display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menu screen display program
US20080062141A1 (en) Media Player with Imaged Based Browsing
US20150113404A1 (en) Publishing Media Content to Virtual Movie Theatres
US20220277051A1 (en) Method of Publishing and Delivering an Electronic Newspaper
US10824313B2 (en)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and editing object-inserted images
JP5840722B2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WO2008018506A1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ata providing device,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system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O20100630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data on a mobile terminal
US20070079240A1 (en) Method for integrating user interfaces of multimedia files
JP2012253712A (ja) 映像コンテンツ再生装置、映像コンテンツ再生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08018502A1 (fr) Dispositif d&#39;affichage d&#39;images, dispositif fournisseur de données d&#39;image, système d&#39;affichage d&#39;images, procédé de commande du système d&#39;affichage d&#39;images, programme de commande et support d&#39;enregistrement
WO2008018511A1 (fr) Dispositif d&#39;affichage d&#39;images, dispositif fournisseur de données d&#39;image, système d&#39;affichage d&#39;images, procédé de commande du système d&#39;affichage d&#39;images, programme de commande et support d&#39;enregistrement
KR101993605B1 (ko) 액션웹툰의 아카이브 저장방법
KR20230060397A (ko) 동영상 편집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앱이 기록된 컴퓨터
Harrington et al. An Editor's Guide to Adobe Premiere Pro
JP5357905B2 (ja) 描画オブジェクト表示システムおよびその動作方法
JP2009043226A (ja) 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CN117010337A (zh) 一种文档处理方法、装置、终端、介质及程序产品
CN117291158A (zh) 一种文档处理方法、装置、终端、介质及程序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