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5417A -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안구 대응형 렌즈모듈 - Google Patents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안구 대응형 렌즈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5417A
KR20180125417A KR1020180139590A KR20180139590A KR20180125417A KR 20180125417 A KR20180125417 A KR 20180125417A KR 1020180139590 A KR1020180139590 A KR 1020180139590A KR 20180139590 A KR20180139590 A KR 20180139590A KR 20180125417 A KR20180125417 A KR 20180125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ixing hole
virtual reality
modu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희
김성석
정종훈
박현주
지용일
오영수
이철배
김호석
송성우
윤나라
장동호
남다슬
Original Assignee
파콤영상시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콤영상시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콤영상시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9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5417A/ko
Publication of KR20180125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4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287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including a sight line detect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안구 대응형 렌즈모듈은,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렌즈모듈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되는 영역에 개구된 제1고정홀이 형성된 렌즈프레임, 상기 제1고정홀에 구비되되,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되는 영역에 장홀 형태로 개구된 제2고정홀이 형성된 렌즈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홀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고정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렌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안구 대응형 렌즈모듈{Lens Module of Head Mount Display for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렌즈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되도록 렌즈의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된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안구 대응형 렌즈모듈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은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컴퓨터로 만들어서,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제 주변 상황·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 주는 인간-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가상현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이를 위한 가상현실용 기기들이 빠르게 개발 및 개량되고 있다.
이들 중 시장에서 가장 관심을 모으고 있는 기기는 사용자에게 가상현실용 영상을 3차원으로 송출하기 위한 디스플에이 장치이며, 이는 일반적으로 몰입감을 극대화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헤드 마운트(Head Mount)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다만, 종래의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형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안구 전방에 위치하는 렌즈가 고정된 형태를 가지며, 이는 신체 치수가 서로 다른 사용자 간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사용자에 따라서는 기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0-007340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다양한 사용자의 안구 위치를 고려하여 렌즈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안구 대응형 렌즈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안구 대응형 렌즈모듈은,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렌즈모듈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되는 영역에 개구된 제1고정홀이 형성된 렌즈프레임, 상기 제1고정홀에 구비되되,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되는 영역에 장홀 형태로 개구된 제2고정홀이 형성된 렌즈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홀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고정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렌즈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렌즈고정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홀은 장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렌즈고정부는 상기 제1고정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는 중심점을 가로지르는 지지축에 의해 상기 제2고정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는 제2고정홀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더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프레임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안구인식센서 및 상기 안구인식센서의 안구 감지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렌즈 및 상기 렌즈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안구 대응형 렌즈모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렌즈 및 렌즈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상을 가변시킬 수 있어 다양한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되도록 렌즈를 위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이에 따라 사용자가 기기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위화감을 최소화시키고, 안락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렌즈의 구동을 위한 구조 자체가 간결하게 형성되어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며 제작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각 구성요소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렌즈모듈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렌즈모듈에 있어서, 렌즈고정부 및 렌즈의 구동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렌즈모듈에 있어서, 렌즈고정부 및 렌즈의 구동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렌즈모듈에 있어서, 렌즈의 구동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렌즈모듈에 있어서, 렌즈의 구동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렌즈모듈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모듈이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고정바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모듈이 전후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모듈과 렌즈모듈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모듈과 렌즈모듈의 접촉되는 경계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의 각 구성요소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는 렌즈모듈(100)과, 디스플레이모듈(10)과, 연결유닛(20, 30)과, 상기 연결유닛(20, 30)에 연결된 밴드(40)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모듈(100)은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렌즈 어셈블리(110)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형태로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렌즈모듈(100)은 사용자의 한 쌍의 안구에 대응되도록 한 쌍의 렌즈 어셈블리(110)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모듈(1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은 상기 렌즈모듈(100)의 전방에 구비되어 3차원 영상을 송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은 내측에 송출공간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프레임(12)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렌즈모듈(100)의 렌즈 어셈블리(11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2) 내측에 송출되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은 상기 렌즈모듈(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유닛(20, 30)은 상기 렌즈모듈(100) 및 디스플레이모듈(10)을 서로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바(30) 및 회전바(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바(30)는 일단이 상기 렌즈모듈(1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렌즈모듈(100)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전바(20)는 일단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의 디스플레이 프레임(12)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바(3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유닛(20, 30)의 형태는 본 실시예 외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밴드(40)는 상기 연결유닛(20, 30) 과 연결되며, 사용자가 상기 렌즈모듈(100) 및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을 안면에 고정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후두부를 압박하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밴드(40)는 용이한 사용을 위해 신축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 및 상기 렌즈모듈(100)의 특징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며, 우선 상기 렌즈모듈(100)에 대해 서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렌즈모듈(1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렌즈모듈(100)은 장착프레임(102)과, 렌즈프레임(120)과, 렌즈고정부(130)와, 렌즈(140)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프레임(102)은 상기 렌즈프레임(120)과, 렌즈고정부(130)와, 렌즈(140)을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11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후면이 사용자의 안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외부의 빛이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렌즈프레임(120)은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되는 영역에 개구된 제1고정홀(121, 도 5 참조)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홀(121)에는 상기 렌즈고정부(130)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제1고정홀(121)은 사용자의 한 쌍의 안구에 대응되도록 마찬가지로 한 쌍이 형성되며, 상기 렌즈고정부(130) 역시 한 쌍이 각각 한 쌍의 제1고정홀(121)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렌즈프레임(120)은 상기 한 쌍의 제1고정홀(121)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고정홀(121) 및 상기 렌즈고정부(130)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며, 이에 따라 상기 렌즈고정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프레임(120)의 내측에서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렌즈고정부(130)에는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되는 영역에 장홀 형태로 개구된 제2고정홀(13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2고정홀(132)의 내측에는 렌즈(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렌즈(140)는 상기 제2고정홀(132)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고정홀(1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렌즈(14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홀(132)의 단방향 길이는 상기 렌즈(140)의 직경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2고정홀(132)의 장방향 길이는 상기 렌즈(140)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렌즈(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홀(1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고정홀(132)의 한 쌍의 장변에는 각각 슬라이드레일(135)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레일(135)에는 상기 슬라이드레일(135)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부재(134)가 구비된다. 상기 제2고정홀(132)의 한 쌍의 장변에 구비된 상기 슬라이딩부재(134)는 상기 렌즈(140)를 서로 반대 편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렌즈고정부(130)의 회전 및 상기 렌즈(140)의 선형 이동을 통해 렌즈(140) 및 렌즈고정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상을 가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의 안구 위치에 대응되도록 렌즈(140)를 위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렌즈모듈에 있어서, 렌즈고정부(130) 및 렌즈(140)의 구동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렌즈고정부(130)가 렌즈프레임(120)의 제1고정홀(121)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렌즈(140)가 상기 렌즈고정부(130)의 제2고정홀(132) 내측에 구비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고정홀(121)은 상기 제2고정홀(132)과 같이 장홀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렌즈고정부(130)는 상기 제1고정홀(121)의 장변에 구비된 보조슬라이딩부재(124)를 통해 상기 제1고정홀(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렌즈고정부(130) 및 상기 렌즈(140)의 구동 방향 및 형태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렌즈고정부(130)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렌즈고정부(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렌즈모듈에 있어서, 렌즈(140)의 구동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상기 렌즈(140)는 중심점을 가로지르는 지지축(134a)에 의해 상기 제2고정홀(132, 도 3 참조)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축(134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는 상기 렌즈(140)의 수평 이동뿐 아니라 틸팅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안구 위치에 따른 각도를 고려하여 상기 렌즈(1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축(134a)은 슬라이딩부재(134)를 관통하여 상기 렌즈(140)의 중심점을 지나는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지지축(134a)은 상기 렌즈(140)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렌즈모듈에 있어서, 렌즈(140)의 구동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렌즈고정부(130)와 렌즈(140)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상기 렌즈(140)에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가 더 부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렌즈(140)는 슬라이딩부재(134)에 의해 상기 렌즈고정부(130)의 제2고정홀(132)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안구 돌출 정도, 시력 등을 고려하여 상기 렌즈(140)와 안구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렌즈모듈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에 안구인식센서(142) 및 제어부(1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안구인식센서(142)는 상기 렌즈프레임(12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안구인식센서(142)로부터 생성된 안구 감지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렌즈(140) 및 상기 렌즈고정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가 상기 렌즈(140) 및 상기 렌즈고정부(130)를 수동으로 조작할 필요 없이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상기 렌즈(140) 및 상기 렌즈고정부(130)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렌즈모듈(100)의 각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모듈(10)의 회전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모듈(10)이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은 상기 렌즈모듈(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0)은 상기 렌즈모듈(100)과 독립적으로 분리된 회전 구동 방식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렌즈모듈(100)을 사용자의 두부에 고정시킨 상태 그대로 디스플레이모듈(10)만을 상부로 회전시켜 송출되는 영상을 사용자의 시야로부터 벗어나게 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모듈(10)에 송출되는 영상의 응시를 잠시 중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헤드 마운트형 디스플레이(1) 전체를 두부로부터 분리하거나 이마 부분에 거치하여야 하였으며, 이는 이후 기기를 재장착하거나 사용자가 기기를 이마에 장착한 상태에서 압박을 느끼거나 머리카락 등이 눌려 변형되는 등의 불편함을 발생시킨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렌즈모듈(100)을 그대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만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기기 전체를 완전히 탈거할 필요가 없는 것은 물론, 디스플레이모듈(10)이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압박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유닛(20, 30)은 상기 렌즈모듈(100) 및 디스플레이모듈(10)을 서로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바(30) 및 회전바(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바(30)는 일단이 상기 렌즈모듈(1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렌즈모듈(100)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전바(20)는 일단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의 디스플레이 프레임(12)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바(3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2)은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바(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32) 및 타단(34) 사이에 경사부(36)가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2)과 렌즈모듈(100)의 폭 차이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30)의 일단에는 상기 렌즈모듈(100)과의 연결을 위한 체결홀(33)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회전바(20)의 타단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장홀 형태의 연결홀(3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홀(35)의 형태에 따라 상기 회전바(20)는 상기 고정바(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바(20)에 연결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은 상기 회전바(20)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렌즈모듈(100)과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는 렌즈모듈(100)에 구비되는 렌즈(140)와 영상이 송출되는 지점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의 회전 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의 후단이 상기 렌즈모듈(100)의 전단에 접촉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모듈(10)과 렌즈모듈(100)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7실시예 역시 전술한 제6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모듈(10)은 상기 회전바(20)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렌즈모듈(100)과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렌즈모듈(100)의 전방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의 후방에 결합되도록 돌출된 결합부(104)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을 상기 렌즈모듈(100)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결합부(104)에 끼워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과 상기 렌즈모듈(100)을 서로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과 상기 렌즈모듈(100)의 사이로 외부의 빛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모듈(10)과 렌즈모듈(100)의 접촉되는 경계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8실시예의 경우, 상기 렌즈모듈(100)의 장착프레임 전면(105)은,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후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장착프레임 전면(105) 하부는 직선 형태로 형성된 직선부(105b)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프레임 전면(105) 상부는 상측이 후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곡선부(105a)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2)의 디스플레이 프레임(12) 후면은 상기 장착프레임 전면(105)에 대응되는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짐에 따라 본 실시예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을 상부에서 하부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렌즈모듈(100)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하부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프레임의 곡선부(105a)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10: 디스플레이 모듈
12: 디스플레이 프레임
20: 회전바
30: 연결바
40: 밴드
100: 렌즈모듈
102: 장착프레임
110: 렌즈 어셈블리
120: 렌즈프레임
130: 렌즈고정부
140: 렌즈

Claims (6)

  1.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렌즈모듈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되는 영역에 개구된 제1고정홀이 형성된 렌즈프레임;
    상기 제1고정홀에 구비되되,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되는 영역에 장홀 형태로 개구된 제2고정홀이 형성된 렌즈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홀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고정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렌즈;
    를 포함하는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안구 대응형 렌즈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고정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안구 대응형 렌즈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홀은 장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렌즈고정부는 상기 제1고정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안구 대응형 렌즈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중심점을 가로지르는 지지축에 의해 상기 제2고정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안구 대응형 렌즈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제2고정홀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더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안구 대응형 렌즈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프레임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안구인식센서; 및
    상기 안구인식센서의 안구 감지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렌즈 및 상기 렌즈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안구 대응형 렌즈모듈.
KR1020180139590A 2018-11-14 2018-11-14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안구 대응형 렌즈모듈 KR20180125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590A KR20180125417A (ko) 2018-11-14 2018-11-14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안구 대응형 렌즈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590A KR20180125417A (ko) 2018-11-14 2018-11-14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안구 대응형 렌즈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531A Division KR20180121745A (ko) 2017-04-28 2017-04-28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안구 대응형 렌즈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417A true KR20180125417A (ko) 2018-11-23

Family

ID=64565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590A KR20180125417A (ko) 2018-11-14 2018-11-14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안구 대응형 렌즈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54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224B1 (ko) * 2020-06-23 2021-04-22 주식회사 예쉬컴퍼니 Vr망원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224B1 (ko) * 2020-06-23 2021-04-22 주식회사 예쉬컴퍼니 Vr망원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9967B (zh) 可調整顯示模組之可調式虛擬實境裝置
JP5903018B2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7786954B2 (en) Adjustable head-mount type display device
CN107409189B (zh) 眼镜型显示装置
KR101635892B1 (ko)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JP6797912B2 (ja) ウェアラブル装置
WO2013027752A1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TW201346333A (zh) 具有輸入與輸出結構的可戴式裝置
US11287660B2 (en) Head-mounted display
JP2010231119A (ja) 眼鏡型の画像表示装置
JP2002044566A (ja) 頭部装着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頭部装着装置
KR20170044296A (ko)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JP6500793B2 (ja) 取付具、表示システム、及び、取付システム
US11347059B2 (en) Head mounted apparatus
JP5907781B2 (ja) 頭部装着表示装置
KR20180125417A (ko)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안구 대응형 렌즈모듈
WO2018092859A1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KR20180121745A (ko)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안구 대응형 렌즈모듈
KR20180124818A (ko) 회전형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는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KR20180121744A (ko) 회전형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는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US20220326730A1 (en) Head-mounted image display apparatus
JP4626072B2 (ja) 映像観察装置
JP6229747B2 (ja) 内視鏡システム及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2020008654A (ja) アイウエアおよびテンプル
KR102621112B1 (ko)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