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442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442A
KR20180124442A KR1020170058946A KR20170058946A KR20180124442A KR 20180124442 A KR20180124442 A KR 20180124442A KR 1020170058946 A KR1020170058946 A KR 1020170058946A KR 20170058946 A KR20170058946 A KR 20170058946A KR 20180124442 A KR20180124442 A KR 20180124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artition
generating device
area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0839B1 (ko
Inventor
이성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8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839B1/ko
Priority to US15/974,013 priority patent/US10820082B2/en
Priority to EP21163122.1A priority patent/EP3917164B1/en
Priority to EP18171583.0A priority patent/EP3402216B1/en
Priority to CN201810449288.9A priority patent/CN108877597B/zh
Publication of KR20180124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442A/ko
Priority to US17/028,973 priority patent/US11395055B2/en
Priority to US17/204,881 priority patent/US11503391B2/en
Priority to KR1020220026236A priority patent/KR1024811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839B1/ko
Priority to US17/746,833 priority patent/US11871170B2/en
Priority to US17/967,732 priority patent/US1199149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2Coo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6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의 후면 상에 배치되고,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며, 음향발생장치는 플레이트,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센터폴, 센터폴 주위에 있는 타원형의 보빈을 포함함으로써, 중음역대 및 고음역대의 음향이 향상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표시장치(Display Device)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액정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어레이 기판과 상부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소 영역에 있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층의 배열 상태가 조절되고 배열 상태에 따라 광의 투과도가 조절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장치이다.
그리고,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자발광소자로서 다른 표시 장치에 비해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 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으므로 널리 주목받고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상에 모두 화상을 표시하지만, 소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스피커를 설치해야 한다. 표시장치에 스피커를 설치할 경우, 스피커를 통해 발생된 소리의 진행 방향은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패널의 전면이 아닌 후면 또는 표시패널의 아래쪽이 되므로, 표시패널의 전면에서 화상을 시청하는 시청자 방향으로 소리가 진행하지 않기 때문에 화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스피커를 통해 발생된 소리가 표시패널의 후면 또는 표시패널의 아래쪽으로 진행하므로, 벽 또는 바닥에서 반사되는 소리와의 간섭으로 인해서 음질이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TV 등과 같은 세트장치에 포함되는 스피커를 구성할 경우, 스피커가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세트장치의 디자인 및 공간 배치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표시패널의 전면에서 영상을 시청할 시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패널의 전면이 될 수 있으며, 소리의 음질이 향상될 수 있는 여러 실험을 하게 되었다. 여러 실험을 거쳐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소리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표시장치를 발명하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저음역대 및 고음역대의 음향이 향상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음향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의 후면 상에 배치되고,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며, 음향발생장치는 플레이트,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센터폴, 센터폴 주위에 있는 타원형의 보빈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상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 및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티션을 포함하며, 음향발생장치는 타원형이며, 음향발생장치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 제1 영역 및 제3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파티션, 및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파티션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 또는 원형의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며, 음향발생장치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장치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스피커를 구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세트장치의 디자인 및 스피커의 배치에 대한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지지부재에 구성된 너트와 나사를 이용하여 지지부재와 음향발생장치를 고정시킴으로써, 표시패널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상에 방열부재가 구성됨으로써, 저음 특성이 향상되고, 음향발생장치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열에 의한 표시패널의 화질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중음역대 및 고음역대의 음향이 향상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 사이에 파티션을 구성함으로써, 파티션에 의하여 음향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스테레오 음향 구현이 가능하며, 음향출력특성이 향상될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장치와 저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저음발생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전 주파수 대역에서 우수한 음향출력특성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의 중앙 영역에 중저음용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되고, 표시패널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에 각각 중고음용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됨으로써, 넓은 음역대에서 우수한 음향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스테레오 음향 출력이 가능하므로, 2.1채널 형태의 음향출력특성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벤트부 또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파티션을 구성함으로써, 표시패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재파 또는 반사파에 의한 음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이 향상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
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발명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 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1 구조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2 구조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명세서의 음향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의 절단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음향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지지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명세서의 음향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음향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의 음향발생장치의 온도측정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도 11b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의 음향발생장치의 지향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음향발생장치와 저음발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e는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g는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6l는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a 내지 도 17l는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표시장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 유기발광 표시모듈(OLED Module)과 같은 협의의 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완제품(complete product 또는 final product)인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자동차용 장치(automotive display) 또는 차량(vehicle)의 다른 형태 등을 포함하는 전장장치(equipment display), 스마트폰 또는 전자패드 등의 모바일 전자장치(mobile electronic device) 등과 같은 세트 전자 장치(set electronic device) 또는 세트 장치(set device 또는 set apparatus)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표시장치는 LCM, OLED 모듈 등과 같은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 및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응용제품 또는 최종소비자용 장치인 세트 장치까지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표시패널과 구동부 등으로 구성되는 LCM, OLED 모듈을 협의의 "표시장치"로 표현하고, LCM, OLED 모듈을 포함하는 완제품으로서의 전자장치를 "세트장치"로 구별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협의의 표시장치는 액정(LCD) 또는 유기발광(OLED)의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인 소스 PCB를 포함하며, 세트장치는 소스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세트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세트 제어부인 세트 PCB를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표시패널은 액정표시패널, 유기전계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패널, 및 전계발광 표시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의 모든 형태의 표시패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음향발생장치에 의하여 진동됨으로써 음향을 발생할 수 있는 특정한 표시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표시패널은 표시패널의 형태나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표시패널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 픽셀에서의 광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어레이 기판 및 상부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이 유기전계발광(OLED) 표시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픽셀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어레이 기판 상의 유기 발광 소자(OLED)층, 및 유기 발광 소자층을 덮도록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는 봉지 기판 또는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기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소자층 등을 보호하고, 유기 발광 소자층으로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어레이 기판 상에 형성되는 층은 무기발광층(in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예를 들면 나노사이즈의 물질층(nano-sized material lay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은 표시패널에 부착되는 금속판(metal plate)과 같은 후면(back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금속판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조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패널은 자동차(automobile)에서의 중앙통제패널(central control panel)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user interface module)로 차량(vehicle)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표시패널은 표시패널의 진동이 차량의 내부를 향하여 전파되도록 두 개의 앞좌석들의 탑승자들(occupants) 사이에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내에서의 오디오 경험은 차량 내부의 측면(interior sides)에서만 스피커를 갖는 것에 비하여 개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해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100)과,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는 엑츄에이터(actuator), 엑사이터(excitor), 또는 트랜스듀서(transducer)로 표현할 수도 있다.
도 1b는 도 1a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표시장치는 음향발생장치(200) 및 지지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supporting member; 300)는 표시패널(100)의 후면(rear surface) 또는 측면(side surface)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200)는 지지부재(30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지부재(300)는 예를 들면, 커버버텀(cover bottom)일 수 있다. 또는, 표시패널(100)의 측면을 둘러싸면서 커버버텀과 결합되고 표시패널(100)의 일측 가장자리를 수용하여 표시패널(100)을 지지하는 미들캐비넷(middle cabine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들 캐비닛은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재(300)는 커버버텀, 또는 커버버텀 및 미들캐비넷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표시패널(100)의 후면 또는 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00)는 표시패널(100)의 후면 또는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는 판상부재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지지부재(300)는 커버버텀(Cover Bottom), 플레이트 버텀(Plate Bottom), 백커버(Back Cover),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 메탈 프레임(Metal Frame), 메탈 샤시(Metal Chassis), 샤시 베이스(Chassis Base), m-샤시 등 다른 표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100)을 지지하는 지지체로서 표시장치의 후면에 배치되는 모든 형태의 프레임 또는 판상 구조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부재(400)는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으며,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300)를 접착시킨다. 접착부재(400)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 Tap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단면도이다.
음향발생장치는 마그네트가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구조와, 마그네트가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구조로 분류할 수 있다. 제1 구조는 다이나믹 타입(dynamic type) 또는 외자형(external magnetic type) 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구조는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또는 내자형(internal magnetic type)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2a는 제1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제2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음향발생장치(200)는 플레이트(210, 210'), 플레이트 상에 있는 마그네트(220), 플레이트 상에 있는 센터폴(230), 센터폴(230) 주위에 배치되는 보빈(250), 및 보빈(250) 외곽에 권취되어 있는 코일(2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플레이트(210) 상에 마그네트(220)가 있으며, 마그네트(220) 상에 제2 플레이트(210')가 구비된다.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10')는 마그네트(220)를 지지하면서 음향발생장치(200)를 지지부재(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210)는 지지부재(300)에 형성되는 지지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10') 사이에 위치한 마그네트(220)가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0) 및 제2 플레이트(210') 중 적어도 하나는 철(Fe)과 같이 자성을 지닌 물질로 이루질 수 있다. 플레이트는 이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크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다.
마그네트(220)는 바륨 훼라이트 등의 소결(燒結) 자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재질은 삼산화이철 (Fe2O3), 탄산바륨 (BaCO3), 네오디뮴 자석, 자력 성분이 개선된 스트론튬 훼라이트, 알루미늄(Al), 니켈(Ni), 코발트(Co) 의 합금 주조자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네오디뮴 자석은 예를 들면 네오디뮴-철-붕소(Nd-Fe-B)일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0)의 외곽에 있으면서 제2 플레이트(210') 상에는 프레임(240)이 배치된다. 제1 플레이트(210)의 중앙영역에는 센터폴(230)이 배치된다. 그리고, 센터폴(230)과 제1 플레이트(21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센터폴(230)은 폴피스(pole pieces)라고 할 수도 있다. 또는, 센터폴(230) 상에는 폴피스(pole pieces)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센터폴(230)의 주위를 감싸는 보빈(250)이 배치된다. 보빈(250)의 하측부 주변에는 코일(260)이 권취되어 있으며, 이 코일(260)에 음향발생을 위한 전류가 인가된다.
그리고, 보빈(250)의 하측의 일정 영역 주위에 코일(260)이 권취될 수 있다. 보빈(250)과 코일(260)을 합하여 보이스 코일(voice coil)로 표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보빈(250)의 상측 일부와 프레임(240) 사이에는 댐퍼(270)가 배치될 수 있다. 댐퍼는 에지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다.
도 2b는 마그네트가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2 구조의 음향발생표시장치(200')는 제1 플레이트(210) 상에 있는 마그네트(220), 마그네트(220) 상에 있는 센터폴(230), 마그네트(220)와 센터폴(230) 주위에 배치되는 보빈(250), 및 보빈(250) 외곽에 권취되어 있는 코일(2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플레이트(210)는 지지부재(300)에 형성되어 있는는 지지홀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0)의 상에 마그네트(220)가 배치되며, 마그네트(220) 상에 센터폴(230)이 배치된다. 그리고, 센터폴(230)은 폴피스(pole pieces)라고 할 수도 있다. 또는, 센터폴(230) 상에는 폴피스(pole pieces)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마그네트(220)와 센터폴(23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보빈(250)이 배치되며, 보빈(250) 외곽에는 코일(260)이 권취된다.
제2 플레이트(210')는 제1 플레이트(210)의 외곽 주변에 배치되며, 제2 플레이트(210') 외측에는 프레임(240)이 배치된다. 그리고, 프레임(240)과 보빈 사이에는 댐퍼(270)가 배치된다.
제2 구조의 음향발생장치는 마그네트가 외측에 배치되는 제1 구조에 비하여 누설자속이 작고 전체적인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음향발생장치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음향발생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1 구조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전류가 인가된 상태를 나타낸다.
마그네트(220)의 하면과 연결된 센터폴(230)이 N극이 되고, 마그네트(220)의 상면과 연결된 제1 플레이트(210)가 S극이 되어, 코일(260) 사이에 외부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음향 발생용 전류가 코일(260)에 인가되면 코일(260) 주위에 인가 자기장이 생성되며, 인가 자기장과 외부 자기장에 의하여 보빈(250)을 상측으로 이동하는 힘이 발생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코일(260)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260)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며, 마그네트(2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부 자기장이 있으므로, 플레밍의 법칙에 따라 보빈(250) 전체가 센터폴(230)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상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보빈(250)의 일면은 표시패널(100)의 후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코일(260)의 전류 인가 및 비인가 상태에 따라 표시패널(100)을 상측(화살표로 표시)으로 진동시키게 되고, 이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발생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전류 인가가 중지되거나 반대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a에서 설명한 유사한 원리에 따라 보빈(250)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발생되고, 표시패널(100)이 하측(화살표로 표시)으로 진동한다.
그리고, 보빈(250)의 상측 일부와 프레임(240) 사이에는 댐퍼(270)가 배치되어 있다. 댐퍼(270)는 주름진 구조로 되어 있으며, 보빈(250)의 상하 운동에 따라 수축 및 이완하면서 보빈(250)의 상하 진동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댐퍼(270)가 보빈(250)과 프레임(240)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보빈(250)의 상하 진동은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빈(250)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진동하거나 일정 높이 이하로 진동할 경우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250)이 원위치로 원상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260)로의 전류 인가 방향과 크기에 따라서, 표시패널(100)이 상하로 진동할 수 있으며, 이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발생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2 구조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전류가 인가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2 플레이트(210)가 S극이 되고, 마그네트(220)의 상면과 연결된 센터폴(230)이 N극이 되어, 코일(260) 사이에 외부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 극성은 반드시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반대로 형성될 경우에는 코일(260)의 권선방향을 수정하여 동일하게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음향 발생용 전류가 코일(260)에 인가되면 코일(260) 주위에 인가 자기장이 생성되며, 인가 자기장과 외부 자기장에 의하여 보빈(250)을 상측으로 이동하는 힘이 발생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코일(260)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260)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며, 마그네트(2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부 자기장이 있으므로, 플레밍의 법칙에 따라 보빈(250) 전체가 센터폴(230)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상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보빈(250)의 일면은 표시패널(100)의 후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코일(260)의 전류 인가 및 비인가 상태에 따라 표시패널(100)을 상측(화살표로 표시)으로 진동시키게 되고, 이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발생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전류 인가가 중지되거나 반대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4a에서 설명한 유사한 원리에 따라 보빈(250)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발생되고, 표시패널(100)이 하측(화살표로 표시)으로 진동한다.
그리고, 보빈(250)의 상측 일부와 프레임(240) 사이에는 댐퍼(270)가 배치되어 있다. 댐퍼(270)는 주름진 구조로 되어 있으며, 보빈(250)의 상하 운동에 따라 수축 및 이완하면서 보빈(250)의 상하 진동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댐퍼(270)가 보빈(250)과 프레임(240)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보빈(250)의 상하 진동은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빈(250)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진동하거나 일정 높이 이하로 진동할 경우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250)이 원위치로 원상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260)로의 전류 인가 방향과 크기에 따라서, 표시패널(100)이 상하로 진동할 수 있으며, 이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발생될 수 있다.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를 구성할 경우 음압이 작을 수 있으므로, 이 음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두 개의 음향발생장치를 구성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본 명세서의 음향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100)과,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제1 음향발생장치(1200)와 제2 음향발생장치(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음향발생장치(1200)와 제2 음향발생장치(120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다수의 음향발생장치가 이격되어 배치된 경우는 음향발생장치와 표시패널과의 접촉 특성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어려우며, 다수의 음향발생장치 사이의 간섭 및 딜레이 현상으로 의하여 음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제1 음향발생장치(1200)와 제2 음향발생장치(12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1000)를 구성한다. 고정장치(1000)는 플라스틱 등의 재료를 몰딩 공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는 몰드 구조물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장치(1000)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음향발생장치(12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20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2a 및 도 2b에서 설명한 구조인 제1 구조 또는 제2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표시장치는 제1 음향발생장치(1200), 제2 음향발생장치(1200') 및 지지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supporting member; 300)는 표시패널(100)의 후면(rear surface) 또는 측면(side surface)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00)는 표시패널(100)의 후면 또는 전체에 걸쳐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판상부재일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00)에 구비된 지지홀(310)에 의해 음향발생장치(1200, 1200')가 수용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1200, 1200')를 지지홀(310)에 삽입 및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할 경우, 표시패널(100)의 후면과 지지부재(300) 내면 사이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1200, 1200')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음향이 발생되는 공간 또는 영역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00)에 고정되는 너트(330)가 더 포함되며, 고정장치(1000)는 고정장치의 장착홀에 삽입되는 나사(320)에 의하여 너트(33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너트(330)의 내면에는 나사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장치(1000)의 장착홀을 너트(330)의 나사관통홀과 정렬한 후 나사(320)를 조임으로써, 고정장치(1000)를 지지부재(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너트(330)는 예를 들면, 셀프 클린칭 너트(self-clinching nut)일 수 있다. 셀프 클린칭 너트의 하나의 형태로 팸너트(pem nut)를 예로 들 수 있다.
팸너트(pem nut)를 사용할 경우, 음향발생장치(2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팸너트에서 일부 흡수될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30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는 지지부재에 구성된 너트와 나사를 이용하여 지지부재와 음향발생장치를 고정시킴으로써, 표시패널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접착부재(400)는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으며,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300)를 접착시킨다. 접착부재(400)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 Tape)일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음향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음향발생장치의 고정장치(1000)는 제1 음향발생장치(12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200')가 인접하도록 고정 지지하는 일체형 고정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고정장치(1000)에 의해 고정된 제1 음향발생장치(1200)와 제2 음향발생장치(1200')는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라고 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로 설명한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의 고정장치(1000)는 음향발생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 음향발생장치의 주변에 배치되는 복수의 리브부, 및 고정장치와 지지부재와의 고정을 위한 복수의 장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는 제1 음향발생장치(1200)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200')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120)는 제1 음향발생장치(1200)의 측면 일부와 후면 일부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며, 원통형상일 수 있다. 제2 지지부(1220)는 제2 음향발생장치(1200')의 측면 일부와 후면 일부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며, 원통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1120)와 제2 지지부(1220)는 두 개 또는 네 개의 원호 형상의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돌출부의 일면은 각 음향발생장치(1200, 1200')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각 음향발생장치(1200, 1200')의 후면 일부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음향발생장치(1200, 1200')가 음향발생장치의 고정장치(1000)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의 고정장치(1000)의 강성을 유지하며, 장시간 사용하여도 음향발생장치의 고정장치(10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 주변에는 복수의 리브부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브부는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 외측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리브부(1410),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 리브부(1420), 및 제1 리브부(1410)와 세로방향으로 연결되는 제3 리브부(1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로방향은 한쌍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되는 긴 변의 방향이며, 세로방향은 가로방향과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제1 리브부(1410)는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의 외측에서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음향발생장치의 고정장치(1000)의 가로방향 외곽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리브부(1410)의 가운데 영역, 즉 제1 지지부(1120)와 제2 지지부(1220) 사이의 중앙 영역은 제1 리브부(1410)의 양측 영역에 비하여 높이가 더 높거나 제1 리브부(1410)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쌍의 음향발생장치가 장시간 진동하더라도 음향발생장치의 고정장치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한쌍의 음향발생장치와 표시패널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리브부(1410)의 안쪽에는 제1 지지부(1120) 및 제 2지지부(1220)와 일체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리브부(1420)가 배치된다.
도 6에서는 제2 리브부(1420)가 두 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리브부(1420)가 하나 또는 세 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제2 리브부(1420) 사이 또는 두 개의 제1 리브부(1410) 사이에는 제1 리브부(1410) 및 제2 리브부(1420)와 일체로 연결되고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제3 리브부(1430)가 형성된다.
도 6에서는 하나의 제3 리브부(1430)가 포함되어 있으며, 제3 리브부(1430)가 두 개의 제1 리브부(1410) 사이에 걸쳐 길게 연장되는 구조를 예시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3 리브부(1430)가 두 개의 제2 리브부(1420) 사이에서 짧게 연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1120) 또는 제2 지지부(1220)와, 제1 리브부(1410) 사이에는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제4 리브부(14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4 리브부(1440)는 장시간 사용에 의해 열에 의한 음향발생장치의 고정장치의 휨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를 고정하는 고정장치 및 음향발생장치의 주변에 복수의 리브부를 구성함으로써, 음향발생장치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고, 장시간 동작에 의한 음향특성변화가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 사이의 이격거리는 리브부를 형성하기 위한 최소임계치보다 클 수 있으며, 제1 음향발생장치(12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200')의 직경인 최대임계치보다는 작을 수 있다.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 사이의 이격거리가 최소임계치 이상으로 큰 경우에는 음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 사이의 이격거리는 제1 음향발생장치(12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200')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함으로써, 음질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발생장치의 크기(직경)가 D일 때, 이격거리는 최소임계치인 약 7mm보다는 크고 음향발생장치 크기 D보다는 작아야 한다. 음향발생장치의 크기(D)가 약 28mm일 경우 이보다 작은 약 0.85D(dir 23.6mm)의 경우에는 음질 특성의 변화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고정장치(1000)와 지지부재(300)와의 고정을 위한 복수의 장착홀이 포함된다. 도 5b에 도시된 너트(330)의 내면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장치(1000)의 장착홀(1310, 1320, 1330, 1340)을 너트(330)의 홀과 정렬한 후 나사(320)를 조임으로써, 고정장치(1000)를 지지부재(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지지부재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는 제1 구조 또는 제2 구조에 의한 음향발생장치 모두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2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음향발생장치(200)의 제1 플레이트(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확경부(614)를 형성한다. 음향발생장치(200)의 제1 플레이트(210)는 원통형 또는 실린더 형상이 아니라 제1 플레이트(210)의 일측은 제1 플레이트(210)의 나머지 부분의 직경보다 큰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직경이 커진 돌출부 영역을 확경부(614)로 표현할 수 있다. 확경부(614)는 환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확경부(614) 중 일부에는 음향발생장치(200)의 고정을 위한 연장부(612)가 형성된다.
연장부(612)에는 나사(screw; 320)와 너트(nut; 330)가 구성된다. 지지부재(300)에 고정된 너트(330)를 이용하여 음향발생장치(200)가 나사(320)에 의하여 지지부재(300)에 결합하게 된다. 너트(330)는 예를 들면, 셀프 클린칭 너트(self-clinching nut)일 수 있다. 셀프 클린칭 너트의 하나의 형태로 팸너트(pem nut)를 예로 들 수 있다.
팸너트(pem nut)를 사용할 경우, 음향발생장치(2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너트(330)인 팸너트에서 일부 흡수될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30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은 음향발생장치(200)의 보빈(250)에 부착된다.
그리고, 표시패널(100)과 보빈(250)의 일면을 접착시키기 위해서 접착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재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 Tape)일 수 있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200)의 진동 시에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해서 방열부재가 음향발생장치(200) 상에 배치된다. 방열부재는 표시패널(100)과 접착부재 사이에 배치된다. 방열부재는 음향발생장치(200)로부터의 열이 표시패널(1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방열부재는 음향발생장치(200)로부터의 열을 넓은 영역으로 확산시킴으로써, 음향발생장치(200)와 중첩되는 표시패널(100)의 국부적인 영역에서의 급격한 온도 차이로 인한 표시패널(100)의 화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방열부재는 음향발생장치(200)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크기를 가지면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다각판 형태 또는 원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방열부재는 표시패널(100)의 후면 전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방열부재는 알루미늄(Al), 구리(Cu) 또는 은(Ag) 및 이들의 합금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방열 시트 또는 방열 테이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원형의 음향발생장치를 표시패널에 적용할 경우에 음압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를 표시패널에 적용하였다.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를 적용할 경우에 음압이 향상되어 음향출력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음향발생장치 사이에서의 상호간섭으로 인하여 고음에서 편진동이 발생하여, 고음역대의 음향특성이 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저음역대, 중음역대, 및 고음역대에서의 음향특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음향발생장치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음향발생장치(1600)는 도 2에서 설명한 플레이트 상에 있는 마그네트, 플레이트 상에 있는 센터폴, 센터폴 주위에 배치되는 보빈, 및 보빈외곽에 권취되어 있는 코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를 구성할 경우 한쌍의 음향발생장치 사이에서의 상호간섭에 의한 고음에서의 편진동을 해결하기 위해서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하였다.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를 원형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음향발생장치의 크기가 커지고, 고음개선이 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음향발생장치의 형상을 원형이 아닌 비원형으로 구성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비원형으로 구성할 경우 원형보다는 보빈의 상하진동으로 인한 편진동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편진동의 원인으로는 보빈의 무게를 예로 들 수 있다. 보빈의 무게에 의해 표시패널을 진동시킬 시에 비정상적인 진동으로 인하여 음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리고, 보빈의 무게는 보빈 주위에 권취되어 있는 코일의 무게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코일의 무게를 줄이기 위한 여러 실험을 하였다. 이 실험결과, 코일의 재질을 구리보다는 가벼운 알루미늄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코일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보빈으로 전달되고 이 보빈의 열로 인해 표시패널에 영향을 미치는 화질 불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방열특성이 우수한 재료로 구성하여야 한다. 알루미늄은 구리보다 열전도율이 우수하여 방열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알루미늄은 공기 중에 산화막이 형성되어, 음향발생장치의 제조 시에 납땜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알루미늄을 감싸는 금속층을 더 구성한다. 따라서, 코일(1660)은 음향발생장치(1600)의 열을 분산시키는 제1 금속층과 제1 금속층을 덮는 제2 금속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금속층은 알루미늄(Al)이고, 제2 금속층은 구리(Cu), 은(Ag), 및 금(Au) 중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리가 덮혀진 알루미늄(Copper Clad Aluminum Wire; CCAW)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 외측에는 구리가 덮혀져 있다. 제2 금속층은 제1 금속층인 알루미늄 외측에 얇게 형성되므로 무게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코일(1660)이 알루미늄을 덮는 금속층으로 구성될 경우, 코일을 구리(Cu)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약 60%정도의 질량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보빈은 코일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표시패널에 영향을 미치는 화질 불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방열특성이 우수한 재료로 구성하여야 한다. 여러 실험을 통하여 방열특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 필름(polyimide film)으로 구성하였다. 폴리이미드 필름은 영하 273℃ 내지 영상 400℃까지 광범위한 온도 범위에서 물성이 변하지 않고, 내열성, 전기절연성, 유연성, 및 불연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폴리이미드 필름은 열적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보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방열특성이 우수하여 보빈의 진동으로 열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필름은 KAPTON일 수 있으며, 파이로멜리틱 디안하이드라이드(pyromellitec dianhydride)와 4,4'-옥시디아닐린(4,4'-oxydianiline)의 축합일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보빈(1650) 주위에 코일(1660)에 권취되어 있다.
보빈(1650)은 타원형(ellipse, oval)으로 구성되어 있다. 타원형의 장축직경(A)과 단축직경(B)의 비율은 1.3~2:1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축직경(A)은 42.5mm이고, 단축직경(B)은 28.5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빈(1650)은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코일(1660)은 알루미늄과 구리, 은, 및 금 중 하나가 알루미늄을 덮는 구조로 구성한다.
따라서, 보빈은 타원형이며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구성하고, 코일은 알루미늄과 구리, 은, 및 금 중 하나가 알루미늄을 덮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코일의 무게를 줄일 수 있고, 고음역대의 음향을 개선할 수 있고, 방열특성이 향상된 음향발생장치가 적용된 표시패널이 제공될 수 있다. 음향출력특성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에 포함된 보빈의 진동으로 인한 열발생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음향발생장치의 온도가 감소될 수 있다. 이 실험결과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출력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점선은 한쌍의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출력특성이고, 실선은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출력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가로축은 주파수(Frequency, Hz)이며, 세로축은 음압(Sound Pressure, dB)을 나타낸다.
그리고, 음향출력특성은 음향분석장비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음향분석장비는 제어용 PC(Control PC)와 소리를 송수신하는 사운드카드, 사운드카드로부터 발생한 소리를 음향발생장치에 증폭전달하는 앰프(amplifier), 및 표시패널에서 음향발생장치를 통해 발생되는 음향을 수집하는 마이크로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에서 수집된 음향은 사운드카드를 통해 제어용 PC로 입력되고 이를 제어용 프로그램에서 확인하여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을 분석하게 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를 적용한 경우 중음역대인 200Hz 이상에서의 음향출력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200Hz~500Hz에서 음향출력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고음역대인 3kHz 이상에서의 음향출력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5kHz~8kHz에서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출력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온도측정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를 적용한 경우의 온도측정결과를 나타내며. 도 10b는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를 적용한 경우의 온도측정결과를 나타낸다. 가로축은 표시패널의 길이(Length, cm)이며, 세로축은 온도(Temperature, ℃)를 나타낸다. 온도측정은 열화상카메라로 측정하였으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음향발생장치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0a을 참조하면 음향발생장치의 중심에서 좌우로 c만큼 떨어진 부분과의 온도차이를 ΔT로 표시한다. 여기서 c는 각각 45mm일 수 있다.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의 ΔT는 1℃로 측정되었다.
도 10b를 참조하면 한쌍의 음향발생장치의 ΔT는 3.2℃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를 적용할 경우, 음향발생장치의 온도가 감소될 수 있으므로, 보빈의 진동에 의한 열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음향발생장치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열에 의한 표시패널의 화질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지향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의 지향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11b는 한쌍의 음향발생장치의 지향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가로축은 주파수(Frequency, Hz)이며, 세로축은 음압(Sound Pressure, dB)을 나타낸다.
지향특성(directional characteristics)은 표시패널의 정면에서의 각도에 대해서 음압레벨의 변동값을 표시한다. 정면은 0도로 나타내고,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30 이동한 각도는 -30도로 나타낸다. 그리고, 정면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30도 이동한 각도는 +30도로 나타낸다.
도 11a 및 도 11b에서 0도는 점선으로 나타내고, -30도는 실선으로 나타내고, +30도는 일점쇄선으로 나타낸다.
도 11a를 참조하면,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는 고음역대인 3kHz 이상에서 지향각도에 따라 음압이 거의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는 고음역대인 3kHz 이상에서 지향각도에 따라 음압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는 지향각도에 따른 음압의 차이가 거의 없으며, 고음역대에서의 음향출력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영역은 표시패널(100)의 좌측 영역, 제2 영역은 표시패널의 우측영역일 수 있다. 타원형의 제1 음향발생장치(1600)는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타원형의 제2 음향발생장치(1600')는 표시패널(100)의 제2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600')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한다. 그리고, 제1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600')에서는 서로 다른 중저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좌우 음향분리에 의한 스테레오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600') 사이에는 파티션(partition, 700)이 배치되어 있다. 파티션(700)은 음향발생장치(200)에 의하여 표시패널(100)이 진동할 때 음향이 발생되는 에어갭(air gap) 또는 공간(space)일 수 있다. 음향을 발생시키거나 음향을 전달하는 에어갭 또는 공간을 파티션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은 인클로저(enclosure) 또는 배플(baffle)이라고 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파티션(700)은 표시패널(100)의 외곽의 네 변의 전체 영역일 수도 있다. 그리고, 파티션(7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파티션(700)은 제1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600')에서 발생되는 좌우 음향을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700)으로 정해질 수 있는 공간(space) 또는 에어갭(air gap)에서의 표시패널(100)의 진동을 표시패널(100)의 중앙에서 감쇄 또는 흡수하므로, 좌측영역에서의 음향이 우측영역으로 전달되거나 우측영역에서의 음향이 좌측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파티션(700)을 구성함으로써, 좌우 음향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600')에서는 중저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저음역대는 200Hz 이하이고, 중음역대는 200Hz~3kHz 이하이고, 고음역대는 3kHz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티션(700)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올레핀(polyolefin)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일면테이프 또는 양면테이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일정 정도 압축될 수 있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에 의해서 중저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 사이에 파티션을 구성함으로써, 음향의 좌우분리가 가능해지므로, 음향의 스테레오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2b는 도 12a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b를 참조하면, 표시장치는 음향발생장치(1600, 1600'), 파티션(700), 및 지지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supporting member; 300)는 표시패널(100)의 후면(rear surface) 또는 측면(side surface)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1600, 1600')는 지지부재(300)에 고정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1600, 1600')와 지지부재(300)는 도 7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00)는 표시패널(100)의 후면 또는 전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300)는 금속, 유리, 및 플라스틱 중 하나 또는 금속, 유리, 및 플라스틱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300)가 유리로 구성된 경우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접착부재(400)는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으며,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300)를 접착시킨다. 접착부재(400)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 Tap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1600, 1600')의 진동 시에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해서 방열부재가 음향발생장치(1600, 16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부재는 음향발생장치(1600, 1600')로부터의 열이 표시패널(1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방열부재는 음향발생장치(1600, 1600')로부터의 열을 넓은 영역으로 확산시킴으로써, 음향발생장치(1600, 1600')와 중첩되는 표시패널(100)의 영역에서의 급격한 온도 차이로 인한 표시패널(100)의 화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방열부재는 음향발생장치(1600, 1600')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크기를 가지면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다각판 형태 또는 원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방열부재는 표시패널(100)의 후면 전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방열부재는 알루미늄(Al), 구리(Cu) 또는 은(Ag) 및 이들의 합금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방열 시트 또는 방열 테이프일 수 있다.
도 12c는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c를 참조하면, 제1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600')에서 발생되는 좌우 음향을 분리할 수 있는 파티션(7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파티션(700')이 표시패널(100)의 외곽의 네 변을 따라 더 배치되어 있다. 제2 파티션(700')은 음향이 표시패널(100)의 각 측면을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음향이 표시패널(100)의 전방으로만 출력되도록 하므로, 음향출력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접착부재(400)가 폼패드로 구성할 경우, 제2 파티션(700')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2 파티션(700')이 추가로 배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음향발생장치와 저음발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저음역대의 음향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 표시패널(100)의 외곽에 저음발생장치(900)를 추가로 배치한다. 저음발생장치(900)는 일반적인 스피커일 수 있으며, 수 kHz 이하의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우퍼 스피커(woofer speake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a는 저음발생장치(900)가 좌우 구분없이 하나가 배치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저음역대의 음향을 좌우로 분리하기 위해서 두 개 이상의 저음발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저음역대는 200Hz 이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리고, 제1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600')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한다. 그리고,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음발생장치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음향발생장치(1600)의 아래에 좌측 저음발생장치(900)가 배치되어 있고, 제2 음향발생장치(1600')의 아래에 우측 저음발생장치(900')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중저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좌우 음향발생장치와 저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저음발생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전 주파수 대역에서 우수한 음향출력특성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3a 및 도 13b에서,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과 지지부재의 가장자리에는 표시패널과 지지부재를 접착시키는 접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영역은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L), 제2 영역은 표시패널(100)의 우측영역(R), 및 제3 영역은 표시패널(100)의 중앙영역(C)일 수 있다. 제1 영역에는 타원형의 제1 음향발생장치(1600), 제2 영역에는 타원형의 제2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3 영역에는 타원형의 제 3 음향발생장치(16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6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 3 음향발생장치(1600")는 중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3 음향발생장치(1600")는 우퍼 스피커일 수 있으며 중저음 출력이 가능하고, 제1 음향발생장치(1600), 제2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3 음향발생장치(1600")는 스테레오 음향출력이 가능하므로, 2.1채널 형태의 음향출력특성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역의 면적, 제2 영역의 면적, 및 제3 영역의 면적을 동일하게 설정할 경우 중고음역대 및 중저음역대의 음향출력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으며, 스테레오 음향출력이 향상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파티션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의 중고음역대 음향을 분리할 수 있고, 제3 영역에서의 중저음역대 음향을 분리할 수 있다. 파티션은 제1 영역과 제3 영역 사이에 있는 제1 파티션(1700'), 제3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있는 제2 파티션(1700"), 및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 있는 제3 파티션(17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파티션(1700')은 제1 영역에서의 표시패널(100)의 진동이 제3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파티션(1700")은 제2 영역에서의 표시패널(100)의 진동이 제3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은 제3 영역에서의 표시패널(100)의 진동이 제1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파티션(1700")은 제3 영역에서의 표시패널(100)의 진동이 제2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일정한 두께(또는 높이)와 폭을 가지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또는 폴리올레핀(polyolefine) 재질의 양면테이프 또는 단면테이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일정 정도 압축될 수 있는 탄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폼패드(foam pad) 등 다른 용어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4b는 도 14a의 절단선 IV-IV'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4b를 참조하면, 표시장치는 음향발생장치(1600, 1600', 1600"), 파티션(1700, 1700'), 및 지지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supporting member; 300)는 표시패널(100)의 후면(rear surface) 또는 측면(side surface)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1600, 1600', 1600")는 지지부재(300)에 고정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1600, 1600', 1600")와 지지부재(300)는 도 7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4c는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영역의 면적을 제1 영역의 면적 및 제2 영역의 면적보다 더 크게 구성하면 동일한 음향출력을 가지더라도 중저음의 음향발생장치의 면적이 커지므로, 중저음역대의 안정적인 출력이 가능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발생장치(1600)와 제3 음향발생장치(1600")의 사이에는 제1 파티션(1700'), 제2 음향발생장치(1600')와 제3 음향발생장치(1600")의 사이에는 제2 파티션(1700"), 및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4a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에 의하여 표시패널이 진동하여 발생되는 음파는 음향발생장치의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면서 진행한다. 이 음파를 진행파(progressive wave)라고 할 수 있다. 이 진행파가 파티션의 한 변에서 만나는 경우 파티션에서 반사되어 진행파와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반사파(reflected wave)를 형성하게 된다. 이 반사파는 진행파와 중첩 및 간섭되어, 중첩된 음파가 진행하지 못하고 일정한 위치에 정체되어 있는 정재파(standing wave)를 형성하게 된다. 이 정재파에 의하여 음압이 감소되어 음향출력특성이 나빠질 수 있다. 따라서, 반사파와 진행파의 간섭에 의하여 발생되는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파티션에 벤트부(bent portion)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음압 감소를 야기하는 정재파는 진행파와 반사파의 크기가 큰 지점에서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벤트부는 음향발생장치로부터 도달하는 음파가 가장 큰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d 및 도 14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d 및 도 14e는 파티션을 구성하고, 파티션의 적어도 한 변에 벤트부를 더 구성한 것이다.
도 14d는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표시패널(100)은 네 개의 변을 가지며, 네 개의 변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제1변(first-side)에는 벤트부(712)가 구성된다. 따라서, 표시패널(100)을 둘러싸는 네 개의 변 중에서 상하의 두 개의 변은 표시패널의 수평방향(또는 가로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벤트부(712)를 구성한다. 벤트부(712)는 두 개의 직선부로 구성되며, 두 개의 직선부가 만나는 지점에서 벤트부(712)가 형성된다. 그리고, 벤트부(712)는 직선형태, 곡선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벤트부(712)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벤트부(712)의 경사각은 정재파 억제의 필요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벤트부(712)의 경사각은 10도 내지 30도로 가변되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출력영역이 저음역대를 위한 경우이거나 음향발생장치의 출력이 큰 경우에는 벤트부(712)의 경사각을 크게 할 수 있다. 또는, 음향출력영역이 고음역대를 위한 경우이거나 음향발생장치의 출력이 작은 경우에는 벤트부(712)의 경사각을 작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벤트부(712)의 경사각은 제3 파티션(1700)의 한 변이 표시패널(100)의 수평방향(또는 가로방향)과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그리고, 수평방향 또는 가로방향은 표시장치의 긴 변의 방향에 해당하며, 수직방향 또는 세로방향은 표시장치의 짧은 변의 방향에 해당한다.
도 14d를 참조하면,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1600, 1600', 1600")는 타원형의 단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음파가 강하므로, 장축방향과 평행한 변을 제1 변으로 하여 제1 변에 벤트부(712)를 구성한다. 따라서, 벤트부(712)는 타원형의 단축방향으로 벤트되어 있다.
그리고, 타원형의 장축직경과 단축직경의 비율을 고려하여 파티션을 구성할 수 있다. 제3 음향발생장치(160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타원형의 장축직경과 단축직경의 비율이 1.5:1일 경우, d1은 1.5mm로 하고, d2는 1mm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타원형의 제3 음향발생장치(1600")을 기준으로 제1 파티션(1700')은 1.5mm의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제2 파티션(1700")은 1.5mm의 간격을 두고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파티션(1700)에 포함되는 벤트부(712)는 타원형의 제3 음향발생장치(1600")을 기준으로 1mm의 간격을 두고 제3 음향발생장치(1600")의 방향으로 벤트될 수 있다. 또는, 타원형의 제3 음향발생장치(1600")의 장축직경에 대응되는 비율의 간격을 두고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을 배치하고, 제3 파티션은 단축직경에 대응되는 비율의 간격을 두고 제3 파티션(1700)을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d1 및 d2의 수치는 예로 들어 설명한 것이므로, 이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타원형의 장축직경과 단축직경의 비율을 고려하여 파티션을 구성함으로써, 정재파 또는 반사파에 의한 음압감소를 줄일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e는 벤트부(712) 및 돌출부(protrusion portion, 722)를 구성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제3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에 벤트부(712)를 구성하고, 벤트부(712)가 형성된 변과 수직하는 변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722)가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722)는 제3 음향발생장치(1600")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돌출부(722)는 반사파를 트랩할 수 있으므로,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722)는 제3 파티션(1700)의 하나 이상의 변에 하나 이상 형성할 수 있으며, 돌출부(722)는 음향발생장치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4e에서는 돌출부(722)가 표시패널(100)의 네 개의 변 중에서 제1변(first-side)과 수직하는 제2변(second-side) 중 하나의 변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4d 및 도 14e는 제3 파티션(1700)이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3 파티션(1700)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성하고, 밀봉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3 파티션(1700)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성하고,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파티션(1700)이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할 경우, 밀봉된 구조에 비하여 제3 파티션을 형성하는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제3 파티션(1700)이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할 경우 및 밀봉된 구조로 형성할 경우에 음향특성은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도 14a 내지 도 14e에서,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과 지지부재의 가장자리에는 표시패널과 지지부재를 접착시키는 접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g는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g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의 파티션을 포함하는 이중구조 등의 파티션으로 구성할 수 있다. 좌우영역에서 동일한 음향을 출력하는 모노 음향구현 시에는 표시패널의 좌우영역이 동일한 진동특성을 가지므로, 일정한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현상 또는 간섭현상이 극대화되어 음압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영역인 제1 영역의 제1 음향발생장치 및 우측 영역인 제2 영역의 제2 음향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중고음의 공명진동수의 차이로 인한 음향특성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 두 개 이상의 파티션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5에서는 이중구조의 파티션을 도시하였으나, 세 개 이상의 파티션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세 개 이상의 파티션으로 구성할 경우, 좌우영역에서의 음향간섭이 심해지더라도 음압감소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이 불연속적으로 인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발생장치(1600), 제2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 3 음향발생장치(1600")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한다. 따라서, 제1 음향발생장치 및 제2 음향발생장치에서는 서로 다른 저중고음역대의 저중고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므로, 좌우 음향분리에 의한 스테레오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좌측 영역인 제1 영역의 제1 음향발생장치 및 우측 영역인 제2 영역의 제2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하고, 중앙영역인 제3 영역에는 음향발생장치를 구성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서, 중앙영역이 완충영역으로 작용하여,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에서의 저중고음역대의 저중고음향특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5a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인 제1 영역에는 제1 음향발생장치(1600) 및 우측영역인 제2 영역에는 제2 음향발생장치(16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음향발생장치(1600)와 제2 음향발생장치(1600')의 사이에는 적어도 두 개의 파티션인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또는, 제1 파티션(1700')이 제1 음향발생장치(1600)와 제2 음향발생장치(1600')의 사이에 두 개 이상의 서브 파티션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의 중앙영역에 두 개의 파티션을 구성함으로써, 표시패널의 좌우영역에서의 저중고음의 공명진동수의 차이로 인한 음향특성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도 15c, 도 15e 내지 도 15g는 두 개 이상의 파티션을 포함하는 이중구조의 파티션으로 구성하고, 파티션의 적어도 한 변에 벤트부를 더 구성한 것이다.
도 15b 및 도 15c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인 제1 영역에는 제1 음향발생장치(1600) 및 우측영역인 제2 영역에는 제2 음향발생장치(16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음향발생장치(1600)와 제2 음향발생장치(1600')의 사이에는 적어도 두 개의 파티션인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또는, 제1 파티션(1700')이 제1 음향발생장치(1600)와 제2 음향발생장치(1600')의 사이에 두 개 이상의 서브 파티션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3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에는 벤트부(712)가 구성된다.
도 14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원형의 장축직경과 단축직경의 비율을 고려하여 파티션을 배치할 수 있다. 벤트부(712)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1600, 1600')의 단축방향으로 벤트되어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은 타원형의 제1 음향발생장치(1600)의 장축직경의 비율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제2 파티션(1700")은 타원형의 제2 음향발생장치(1600')의 장축직경의 비율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그리고, 제3 파티션(1700)은 제1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600')의 단축직경의 비율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의 단축방향으로 벤트되는 벤트부(7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 사이에는 벤트되어 있는 형태로 제3 파티션(1700)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벤트 형태는 표시패널(100)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 사이에는 벤트 형태, 직선형태, 곡선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c를 참조하면, 벤트부(712) 및 돌출부(protrusion portion, 722)를 구성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제3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에 벤트부(712)를 구성하고, 벤트부(712)가 형성된 변과 수직하는 변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722)가 구성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에 배치된 돌출부(722)는 제1 음향발생장치(1600)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우측영역에 배치된 돌출부(722)는 제2 음향발생장치(1600')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돌출부(722)는 반사파를 트랩할 수 있으므로,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722)는 제3 파티션(1700)의 하나 이상의 변에 하나 이상 형성할 수 있으며, 돌출부(722)는 음향발생장치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5c에서는 돌출부(722)가 표시패널(100)의 네 개의 변 중에서 제1변(first-side)과 수직하는 제2변(second-side) 중 하나의 변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5b 및 도 15c는 제3 파티션(1700)이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15d 및 도 15e는 제3 파티션(1700)이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3 파티션(1700)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성하고, 밀봉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3 파티션(1700)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성하고,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벤트부(712)는 밀봉된 구조로 형성하고, 제1 파티션(1700')과 제2 파티션(1700') 사이에 있는 벤트 형태는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3 파티션(1700)이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할 경우, 밀봉된 구조에 비하여 제3 파티션을 형성하는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제3 파티션(1700)이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할 경우 및 밀봉된 구조로 형성할 경우에 음향특성은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도 15f 및 도 15g는 돌출부(722) 및 제2 돌출부(723)가 표시패널(100)의 네 개의 변 중에서 제1변(first-side)과 수직하는 제2변(second-side)의 각각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에 배치된 돌출부(722) 및 제2 돌출부(723)는 제1 음향발생장치(1600)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우측영역에 배치된 돌출부(722) 및 제2 돌출부(723)는 제2 음향발생장치(1600')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부(722) 및 제2 돌출부(723)를 구성함으로써, 반사파를 트랩할 수 있으므로,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5f는 제3 파티션(1700)이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15g는 제3 파티션(1700)이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에 대한 설명은 도 15b 내지 도 15e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그리고, 도 15a 내지 도 15g에서 표시패널(100)의 세 개의 영역을 가지며, 표시패널(100)의 중앙영역인 제3 영역에는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영역의 면적이 제1 영역의 면적 및 제2 영역의 면적보다 작게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할 경우, 중앙영역이 완충영역으로 작용하여,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에서의 저중고음역대의 저중고음향특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영역의 면적, 제2 영역의 면적, 및 제3 영역의 면적이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영역의 면적 및 제2 영역의 면적보다 제3 영역의 면적을 더 크게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5a 내지 도 15g에서,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과 지지부재의 가장자리에는 표시패널과 지지부재를 접착시키는 접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l는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6l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영역은 표시패널(100)의 좌측 영역, 제2 영역은 표시패널(100)의 우측영역, 및 제3 영역은 표시패널(100)의 중앙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음향발생장치 및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음향발생장치는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3 영역에 배치되는 제3 음향발생장치는 중저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3 음향발생장치는 우퍼스피커일 수 있으며 저음 출력이 가능하고, 제1 음향발생장치 및 제2 음향발생장치는 스테레오 음향 출력이 가능하므로, 2.1채널 형태의 음향출력 특성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d를 참조하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되고, 제3 영역에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 1600-2)를 포함하는 제1 음향발생장치(1600), 제2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 1600'-2)를 포함하는 제2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3 영역에는 제3 음향발생장치(1600")가 배치되어 있다. 두 개의 서브 음향발생장치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면서 표시패널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음향발생장치(1600), 제2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 3 음향발생장치(1600")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한다.
그리고,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음향발생장치(16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3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음향발생장치(1600")는 중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의 제1 음향발생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 1600-2) 중 제1-1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는 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1-2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2)는 중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표시패널(100)의 윗쪽이 아랫쪽보다 더 높은 음역대를 발생시키게 함으로써, 음역의 위치를 높은 곳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역의 제2 음향발생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 1600-2) 중 제2-1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는 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2-2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2)는 중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표시패널(100)의 윗쪽이 아랫쪽보다 더 높은 음역대를 발생시키게 함으로써, 음역의 위치를 높은 곳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발생장치(1600)와 제3 음향발생장치(1600") 사이에는 제1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2 음향발생장치(1600')와 제3 음향발생장치(1600") 사이에는 제2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1 파티션(1400')은 제1 영역에서의 표시패널(100)의 진동이 제3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파티션(1400")은 제2 영역에서의 표시패널(100)의 진동이 제3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400')은 제3 영역에서의 표시패널(100)의 진동이 제1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파티션(1400")은 제3 영역에서의 표시패널(100)의 진동이 제2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파티션(1400)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3 파티션(14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도 14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원형의 장축직경과 단축직경의 비율을 고려하여 파티션을 배치할 수 있다. 벤트부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1600, 1600')의 단축방향으로 벤트되어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400')은 타원형의 제1 음향발생장치(1600)의 장축직경의 비율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제2 파티션(1400")은 타원형의 제2 음향발생장치(1600')의 장축직경의 비율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그리고, 제3 파티션(1400)은 제1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600')의 단축직경의 비율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의 단축방향으로 벤트되는 벤트부(1412, 1412', 14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되고, 제3 영역에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 사이에 제4 파티션(143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 1600-2)를 포함하는 제1 음향발생장치(1600), 제2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 1600'-2)를 포함하는 제2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3 영역에는 제 3 음향발생장치(16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영역의 두 개의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 1600-2) 사이에 제4 파티션(1430)이 더 배치되어 있고, 제2 영역의 두 개의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 1600'-2) 사이에 제4 파티션(1430)이 더 배치되어 있다.
제4 파티션(1430)은 제1 음향발생장치(1600)인 제1-1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 및 제1-2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2)에서 발생시키는 고음역대의 음향과 중음역대의 음향을 분리함으로써, 음향출력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파티션(1430)은 제2 음향발생장치(1600')인 제2-1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 및 제2-2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2)에서 발생시키는 고음역대의 음향과 중음역대의 음향을 분리함으로써, 음향출력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도 16c를 참조하면,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1600, 1600', 1600")의 단축방향으로 벤트되는 벤트부(712)를 포함하는 제3 파티션(1400)이 배치되며, 제1 파티션(1400') 또는 제2 파티션(1400") 중 적어도 한변에는 타원형의 제3 음향발생장치(1600")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돌출부(1422)가 더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400') 또는 제2 파티션(1400") 중 적어도 한변에는 제3 음향발생장치(160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422)가 더 구성되어 있다. 돌출부(1422)에 의해 표시패널(100)의 중앙영역인 중저음역대에서의 반사파 및 정재파 중 하나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도 16d를 참조하면, 제1 영역의 두 개의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 1600-2) 사이에 제4 파티션(1430)이 더 배치되어 있고, 제2 영역의 두 개의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 1600'-2) 사이에 제4 파티션(1430)이 더 배치되어 있다. 제4 파티션(1430)에 대한 설명은 도 16b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도 16e 내지 도 16h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각각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발생장치인 원형의 음향발생장치 및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되고, 제3 영역에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도 16e 내지 도 16h를 참조하면, 제1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 1600-2)를 포함하는 제1 음향발생장치(1600), 제2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 1600'-2)를 포함하는 제2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3 영역에는 제3 음향발생장치(1600")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영역에는 제1-1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인 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되고, 제1-2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2)인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영역에는 제2-1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인 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되고, 제2-2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2)인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영역의 제1-1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인 원형의 음향발생장치는 고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키고, 제1-2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2)인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는 중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제2 영역의 제2-1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인 원형의 음향발생장치는 고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키고, 제2-2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2)인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는 중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제3 영역의 제3 음향발생장치(1600")는 중저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스테레오 음향 출력이 가능한 2.1채널 형태의 음향출력 특성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e를 참조하면, 제1-1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인 원형의 음향발생장치에 대응되는 벤트부(1412)는 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의 중심을 향하도록 벤트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4d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제1-2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2)인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에 대응되는 벤트부(1412)는 타원형의 단축직경에 대응되는 비율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400') 및 제2 파티션(1400")은 제3 음향발생장치(1600")인 타원형의 장축직경에 대응되는 비율의 간격을 두고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6e 내지 도 16h의 음향발생장치, 파티션, 벤트부, 및 돌출부 등의 설명은 도 16a 내지 도 16d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으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i 내지 도 16l을 참조하면, 제1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 1600-2)를 포함하는 제1 음향발생장치(1600), 제2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 1600'-2)를 포함하는 제2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3 영역에는 제3 음향발생장치(1600")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영역에는 제1-1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인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되고, 제1-2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2)인 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영역에는 제2-1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인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되고, 제2-2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2)인 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영역의 제1-1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인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는 고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키고, 제1-2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2)인 원형의 음향발생장치는 중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제2 영역의 제2-1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인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는 고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키고, 제2-2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2)인 원형의 음향발생장치는 중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제3 영역의 제3 음향발생장치(1600")는 중저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스테레오 음향 출력이 가능한 2.1채널 형태의 음향출력 특성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6i 내지 도 16l의 음향발생장치, 파티션, 벤트부, 및 돌출부 등의 설명은 도 16a 내지 도 16d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으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16a 내지 도 16l에서,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과 지지부재의 가장자리에는 표시패널과 지지부재를 접착시키는 접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l은 제3 파티션(1400)이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3 파티션(1400)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성하고, 밀봉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3 파티션(1400)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성하고,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파티션(1400)이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할 경우, 밀봉된 구조에 비하여 제3 파티션을 형성하는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제3 파티션(1400)이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할 경우 및 밀봉된 구조로 형성할 경우에 음향특성은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파티션이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된 것은 도 17a 내지 도 17l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a 내지 도 17l은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a 내지 도 17l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영역은 표시패널(100)의 좌측 영역, 제2 영역은 표시패널(100)의 우측영역, 및 제3 영역은 표시패널(100)의 중앙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음향발생장치 및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음향발생장치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3 영역에 배치되는 제3 음향발생장치는 중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3 음향발생장치는 우퍼스피커일 수 있으며 저음 출력이 가능하고, 제1 음향발생장치 및 제2 음향발생장치는 스테레오 음향 출력이 가능하므로, 2.1채널 형태의 음향출력 특성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d를 참조하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되고, 제3 영역에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 1600-2)를 포함하는 제1 음향발생장치(1600), 제2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 1600'-2)를 포함하는 제2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3 영역에는 제3 음향발생장치(1600")가 배치되어 있다. 두 개의 서브 음향발생장치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면서 표시패널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음향발생장치(1600), 제2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 3 음향발생장치(1600")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한다.
그리고,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음향발생장치(16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3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음향발생장치(1600")는 중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의 제1 음향발생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 1600-2) 중 제1-1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는 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1-2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2)는 중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표시패널(100)의 윗쪽이 아랫쪽보다 더 높은 음역대를 발생시키게 함으로써, 음역의 위치를 높은 곳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역의 제2 음향발생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 1600-2) 중 제2-1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는 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2-2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2)는 중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표시패널(100)의 윗쪽이 아랫쪽보다 더 높은 음역대를 발생시키게 함으로써, 음역의 위치를 높은 곳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발생장치(1600)와 제3 음향발생장치(1600") 사이에는 제1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2 음향발생장치(1600')와 제3 음향발생장치(1600") 사이에는 제2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1 파티션(1400')은 제1 영역에서의 표시패널(100)의 진동이 제3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파티션(1400")은 제2 영역에서의 표시패널(100)의 진동이 제3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400')은 제3 영역에서의 표시패널(100)의 진동이 제1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파티션(1400")은 제3 영역에서의 표시패널(100)의 진동이 제2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파티션(1400)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3 파티션(14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도 14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원형의 장축직경과 단축직경의 비율을 고려하여 파티션을 배치할 수 있다. 벤트부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1600, 1600')의 단축방향으로 벤트되어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400')은 타원형의 제1 음향발생장치(1600)의 장축직경의 비율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제2 파티션(1400")은 타원형의 제2 음향발생장치(1600')의 장축직경의 비율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그리고, 제3 파티션(1400)은 제1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600')의 단축직경의 비율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의 단축방향으로 벤트되는 벤트부(1412, 1412', 14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파티션(1400)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3 파티션(1400)은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벤트부(1412), 제2 벤트부(1412'), 및 제3 벤트부(1412")가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는, 제1 벤트부(1412), 제2 벤트부(1412'), 및 제3 벤트부(1412") 중 적어도 하나가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7c를 참조하면,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1600, 1600', 1600")의 단축방향으로 벤트되는 벤트부(712)를 포함하는 제3 파티션(1400)이 배치되며, 제1 파티션(1400') 또는 제2 파티션(1400") 중 적어도 한변에는 타원형의 제3 음향발생장치(1600")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돌출부(1422)가 더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400') 또는 제2 파티션(1400") 중 적어도 한변에는 제3 음향발생장치(160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422)가 더 구성되어 있다. 돌출부(1422)에 의해 표시패널(100)의 중앙영역인 중저음역대에서의 반사파 및 정재파 중 하나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도 17e를 참조하면, 제1-1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1)인 원형의 음향발생장치에 대응되는 벤트부(1412)는 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의 중심을 향하도록 벤트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4d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제1-2 서브 음향발생장치(1600-2)인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에 대응되는 벤트부(1412)는 타원형의 단축직경에 대응되는 비율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400') 및 제2 파티션(1400")은 제3 음향발생장치(1600")인 타원형의 장축직경에 대응되는 비율의 간격을 두고 배치할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l은 도 16a 내지 도 16l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도 17a 내지 도 17l에서는 제1 벤트부(1412), 제2 벤트부(1412'), 및 제3 벤트부(1412")가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는, 제1 벤트부(1412), 제2 벤트부(1412'), 및 제3 벤트부(1412") 중 적어도 하나는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7a 내지 도 17l에서,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과 지지부재의 가장자리에는 표시패널과 지지부재를 접착시키는 접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센터폴 주위에 있는 타원형의 보빈을 포함하며, 음향발생장치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보빈은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보빈의 주위에는 코일이 배치될 수 있으며, 코일은 음향발생장치에서의 열을 분산시키는 제1 금속층과 제1 금속층을 덮는 제2 금속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금속층은 알루미늄일 수 있고, 제2 금속층은 구리, 은, 및 금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과 음향발생장치 사이에는 방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의 후면에는 음향발생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재는 금속, 유리, 및 플라스틱 중 하나 또는 금속, 유리 및 플라스틱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는 중저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상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 및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티션을 포함하며, 음향발생장치는 타원형이며, 음향발생장치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의 외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음발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의 외측에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음발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의 주변에는 제3 파티션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파티션은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의 단축방향으로 벤트된 벤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의 주변에는 제3 파티션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파티션은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의 단축방향으로 벤트된 벤트부, 및 제1 파티션 및 제2 파티션 중 적어도 한 변에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의 주변에는 제3 파티션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파티션은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의 단축방향에 대응되는 비율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티션은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의 장축방향에 대응되는 비율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스테레오의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발생장치는 마그네트, 센터폴, 보빈, 및 코일을 포함하며, 보빈은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코일은 구리, 음, 및 금 중 하나가 덮인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발생장치는 마그네트, 센터폴, 보빈, 및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빈의 장축직경과 단축직경의 비율은 1.3~2:1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상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 제1 영역 및 제3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파티션, 및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파티션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 또는 원형의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며,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은 표시패널의 우측영역일 수 있고, 제2 영역은 표시패널의 좌측영역일 수 있고, 제3 영역은 표시패널의 중앙영역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3 영역은 중저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의 주변에는 제3 파티션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파티션은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의 단축방향으로 벤트된 벤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의 주변에는 제3 파티션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파티션은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의 단축방향으로 벤트된 벤트부, 및 제1 파티션 및 제2 파티션의 적어도 한 변에 음향발생장치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의 주변에는 제3 파티션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파티션은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의 단축방향에 대응되는 비율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티션은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의 장축방향에 대응되는 비율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의 각각에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영역에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1 영역 및 제2 영역의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영역에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 사이에 제4 파티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각각에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 및 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영역에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각각에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 및 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영역에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될 수 있으며,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 및 원형의 음향발생장치 사이에 제4 파티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발생장치는 마그네트, 센터폴, 보빈, 및 코일을 포함하며, 보빈은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코일은 구리, 음, 및 금 중 하나가 덮인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발생장치는 마그네트, 센터폴, 보빈, 및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빈의 장축직경과 단축직경의 비율은 1.3~2:1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
하였으나, 본 명세서는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패널
200,1200, 1200', 1600, 1600', 1600": 음향발생장치
300: 지지부재
400: 접착부재
700, 1400, 1400', 1400", 1430, 1700, 1700', 1700": 파티션
712, 1412, 1412', 1412": 벤트부
722, 1422 : 돌출부

Claims (30)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의 후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발생장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센터폴;
    상기 센터폴 주위에 배치되는 타원형의 보빈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이루어진,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주위에는 코일이 배치되며,
    상기 코일은 상기 음향발생장치에서의 열을 분산시키는 제1 금속층, 및 상기 제1 금속층을 덮는 제2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층은 알루미늄이고,
    상기 제2 금속층은 구리, 은, 및 금 중 하나로 이루어진,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음향발생장치 사이에는 방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후면에는 상기 음향발생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금속, 유리, 및 플라스틱 중 하나 또는 금속, 유리 및 플라스틱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는 중저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표시장치.
  9. 영상을 표시하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티션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발생장치는 타원형이며, 상기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외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음발생장치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표시패널의 외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음발생장치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주변의 제3 파티션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파티션은 상기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의 단축방향으로 벤트된 벤트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주변의 제3 파티션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파티션은 제1 파티션과 제2 파티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3 파티션은,
    상기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의 단축방향으로 벤트된 벤트부; 및
    상기 제1 파티션 및 상기 제2 파티션 중 적어도 한 변으로부터 상기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 방향으로 돌출된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주변의 제3 파티션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파티션은 상기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의 단축방향에 대응되는 비율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티션은 상기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의 장축방향에 대응되는 비율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표시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서는 스테레오의 음향이 발생되는, 표시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발생장치는 마그네트, 센터폴, 보빈, 및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보빈은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은 구리, 음, 및 금 중 하나가 덮인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표시장치.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발생장치는 마그네트, 센터폴, 보빈, 및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보빈의 장축직경과 단축직경의 비율은 1.3~2:1인, 표시장치.
  18. 영상을 표시하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파티션; 및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파티션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 또는 원형의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며,상기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표시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표시패널의 우측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표시패널의 좌측영역이고,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표시패널의 중앙영역인, 표시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서는 중고음역대의 음향이 발생되고,
    상기 제3 영역에서는 중저음역대의 음향이 발생되는, 표시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주변의 제3 파티션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파티션은 상기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의 단축방향으로 벤트된 벤트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주변의 제3 파티션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파티션은 상기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의 단축방향으로 벤트된 벤트부, 및 상기 제1 파티션 및 상기 제2 파티션 중 적어도 한 변으로부터 상기 음향발생장치의 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주변의 제3 파티션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파티션은 제1 파티션과 제2 파티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3 파티션은 상기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의 단축방향에 대응되는 비율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제1 파티션 및 상기 제2 파티션은 상기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의 장축방향에 대응되는 비율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표시장치.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의 각각에는 상기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되는, 표시장치.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각각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제3 영역에는 상기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되는, 표시장치.
  26.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 사이에 제4 파티션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각각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제3 영역에는 상기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된, 표시장치.
  27.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각각에는 상기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 및 상기 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제3 영역에는 상기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되는, 표시장치.
  28.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 및 상기 원형의 음향발생장치 사이에 제4 파티션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각각에는 상기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 및 상기 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제3 영역에는 상기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된, 표시장치.
  2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발생장치는 마그네트, 센터폴, 보빈, 및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보빈은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은 구리, 음, 및 금 중 하나가 덮인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표시장치.
  3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발생장치는 마그네트, 센터폴, 보빈, 및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보빈의 장축직경과 단축직경의 비율은 1.3~2:1인, 표시장치.
KR1020170058946A 2017-05-11 2017-05-11 표시장치 KR102370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946A KR102370839B1 (ko) 2017-05-11 2017-05-11 표시장치
US15/974,013 US10820082B2 (en) 2017-05-11 2018-05-08 Display apparatus
EP18171583.0A EP3402216B1 (en) 2017-05-11 2018-05-09 Display apparatus
EP21163122.1A EP3917164B1 (en) 2017-05-11 2018-05-09 Display apparatus
CN201810449288.9A CN108877597B (zh) 2017-05-11 2018-05-11 显示设备
US17/028,973 US11395055B2 (en) 2017-05-11 2020-09-22 Display apparatus
US17/204,881 US11503391B2 (en) 2017-05-11 2021-03-17 Display apparatus
KR1020220026236A KR102481196B1 (ko) 2017-05-11 2022-02-28 표시장치
US17/746,833 US11871170B2 (en) 2017-05-11 2022-05-17 Display apparatus
US17/967,732 US11991492B2 (en) 2017-05-11 2022-10-17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946A KR102370839B1 (ko) 2017-05-11 2017-05-11 표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236A Division KR102481196B1 (ko) 2017-05-11 2022-02-28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442A true KR20180124442A (ko) 2018-11-21
KR102370839B1 KR102370839B1 (ko) 2022-03-04

Family

ID=622451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946A KR102370839B1 (ko) 2017-05-11 2017-05-11 표시장치
KR1020220026236A KR102481196B1 (ko) 2017-05-11 2022-02-28 표시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236A KR102481196B1 (ko) 2017-05-11 2022-02-28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5) US10820082B2 (ko)
EP (2) EP3402216B1 (ko)
KR (2) KR102370839B1 (ko)
CN (1) CN10887759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195A (ko) * 2018-11-23 2020-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차량용 장치
KR20200137849A (ko) * 2019-05-31 2020-1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760B1 (ko) * 2017-09-14 2022-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55559B1 (ko) * 2017-12-26 2022-10-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48686B1 (ko) 2018-06-28 2023-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1353732B2 (en) * 2018-08-24 202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N110913319B (zh) * 2018-09-18 2021-10-01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KR102660928B1 (ko) * 2018-12-04 2024-04-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9981856B (zh) * 2019-03-01 2021-02-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振动装置、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200117314A (ko) * 2019-04-03 2020-10-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WO2020213375A1 (ja) * 2019-04-16 2020-10-2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011306A (ko) * 2019-07-22 2021-0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WO2021060214A1 (ja) * 2019-09-27 2021-04-01 Agc株式会社 振動装置
KR20210048345A (ko) 2019-10-23 2021-05-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65757A (ko) 2019-11-27 2021-06-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EP4162704A2 (en) * 2020-06-04 2023-04-12 Clean Energy Labs, LLC Voice coil actuator and loudspeakers containing same
KR20220019140A (ko) * 2020-08-06 2022-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499A (ja) * 1993-06-30 1995-01-24 Onkyo Corp ボイスコイルボビン
KR20080082663A (ko) * 2005-12-30 2008-09-11 가키 오디오, 엘엘씨 시차별 오디오 출력을 갖는 양 평면 확성기 시스템
KR20100088810A (ko) * 2009-02-02 2010-08-11 에스텍 주식회사 스피커
KR20110003654A (ko) * 2009-07-06 201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KR20140146744A (ko) * 2013-06-18 2014-12-29 심정보 스피커 장치의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KR101704517B1 (ko) * 2016-03-28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1496A (en) * 1979-05-31 1980-1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aphragm for speaker and its production
US4934079A (en) 1987-09-10 1990-06-19 Hatsuo Hoshi Display panel device
JPH03106298A (ja) 1989-09-20 1991-05-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システム
US5930376A (en) * 1997-03-04 1999-07-27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ultiple channel speaker system for a portable computer
WO1999037118A1 (fr) * 1998-01-16 1999-07-22 Sony Corporation Haut-parleur et appareil electronique utilisant un haut-parleur
US7433483B2 (en) * 2001-02-09 2008-10-07 Thx Ltd. Narrow profile speaker configurations and systems
EP1480489A3 (en) 2003-05-23 2009-07-01 Alps Electric Co., Ltd. Exciting device for producing sound
WO2005009074A1 (en) * 2003-07-16 2005-01-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anel-shaped acoustic wave generator
US20050069165A1 (en) * 2003-09-29 2005-03-31 Lain-Chiao Wu Speaker assembly having vibrating element and magnetic loops
GB0405475D0 (en) * 2004-03-11 2004-04-21 New Transducers Ltd Loudspeakers
US7403628B2 (en) * 2004-04-07 2008-07-2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ransducer assembly and loudspeaker including rheological material
DE102004032223A1 (de) * 2004-07-02 2006-01-19 Siemens Ag Audiovisuelle Anordnung
KR100609914B1 (ko) 2004-10-22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음향 출력장치과 영상/음향 출력장치
CN101043765A (zh) 2006-03-24 2007-09-26 日本胜利株式会社 细长扬声器单元及图像显示装置
KR100902895B1 (ko) * 2006-06-29 2009-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피커
KR20080063698A (ko) * 2007-01-02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피커 시스템
WO2008112176A2 (en) * 2007-03-09 2008-09-18 One Systems Group Co., Ltd Transducer motor structure and inside-only voice coil for use in loudspeakers
CN101584225B (zh) * 2007-11-20 2013-11-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扬声器、视频设备、以及便携式信息处理装置
KR20110048742A (ko) 2009-11-03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8638968B2 (en) * 2010-01-01 2014-01-28 Dei Headquarters, Inc. Low-profile loudspeaker driver and enclosure assembly
WO2011119401A2 (en) * 2010-03-23 2011-09-29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Techniques for localized perceptual audio
WO2013108607A1 (ja) * 2012-01-20 2013-07-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ピーカ用磁気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
US8965022B2 (en) * 2012-03-30 2015-02-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ersonalized display
JP6132492B2 (ja) 2012-08-29 2017-05-24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ボイスコイルスピーカー
JP2014232221A (ja) * 2013-05-29 2014-12-11 船井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
US20170279397A1 (en) 2014-09-24 2017-09-28 Inventio Ag Passenger transport system having at least one inverter
KR101817102B1 (ko) 2016-11-30 2018-0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KR102472499B1 (ko) * 2016-09-02 2022-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슬롯 로딩 라우드 스피커
KR102373433B1 (ko) * 2017-04-29 2022-03-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499A (ja) * 1993-06-30 1995-01-24 Onkyo Corp ボイスコイルボビン
KR20080082663A (ko) * 2005-12-30 2008-09-11 가키 오디오, 엘엘씨 시차별 오디오 출력을 갖는 양 평면 확성기 시스템
KR20100088810A (ko) * 2009-02-02 2010-08-11 에스텍 주식회사 스피커
KR20110003654A (ko) * 2009-07-06 201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KR20140146744A (ko) * 2013-06-18 2014-12-29 심정보 스피커 장치의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KR101704517B1 (ko) * 2016-03-28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195A (ko) * 2018-11-23 2020-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차량용 장치
KR20200137849A (ko) * 2019-05-31 2020-1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877597A (zh) 2018-11-23
US11503391B2 (en) 2022-11-15
EP3917164A1 (en) 2021-12-01
US20230040802A1 (en) 2023-02-09
US10820082B2 (en) 2020-10-27
CN108877597B (zh) 2021-01-08
KR102481196B1 (ko) 2022-12-23
US20210006881A1 (en) 2021-01-07
EP3402216B1 (en) 2021-05-05
EP3917164B1 (en) 2024-05-08
KR102370839B1 (ko) 2022-03-04
US20180332376A1 (en) 2018-11-15
US11991492B2 (en) 2024-05-21
US20210227309A1 (en) 2021-07-22
EP3402216A1 (en) 2018-11-14
US11871170B2 (en) 2024-01-09
KR20220034079A (ko) 2022-03-17
US11395055B2 (en) 2022-07-19
US20220279258A1 (en)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1196B1 (ko) 표시장치
KR20180121296A (ko) 표시 장치
KR102470333B1 (ko) 표시장치
KR102449465B1 (ko) 세트장치
KR20170135673A (ko) 표시 장치
KR102559531B1 (ko) 표시장치
KR20190014794A (ko) 표시장치
KR102455490B1 (ko) 표시 장치
KR20180131248A (ko) 표시 장치
KR102548686B1 (ko) 표시장치
KR20190078177A (ko) 표시장치
KR20230084440A (ko) 표시장치
KR20200082965A (ko) 음향발생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차량용 장치
KR102505087B1 (ko) 표시장치
KR102422063B1 (ko) 표시장치
KR20200050913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