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490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490A
KR20180123490A KR1020187025832A KR20187025832A KR20180123490A KR 20180123490 A KR20180123490 A KR 20180123490A KR 1020187025832 A KR1020187025832 A KR 1020187025832A KR 20187025832 A KR20187025832 A KR 20187025832A KR 20180123490 A KR20180123490 A KR 20180123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information
holding
wearable device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5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헤이 후쿠마
도루 아마노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123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408
    • A61B5/047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1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42Operational features adapted to measure environmental factors, e.g. temperature, pollu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7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slaved to mo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body of the user, e.g. head, ey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기술의 일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는, 결정부와, 출력부를 구비한다. 상기 결정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장착 대상에 대한 보유 지지 상태를 결정한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결정된 보유 지지 상태를 실현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본 기술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안경형이나 손목 시계형 등의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유저의 헤드부에 장착 가능한 안경형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HMD에서는, 우안용 및 좌안용의 두 표시부를 연결하는 밴드 부재가, 유저의 헤드부의 주위에 배치 가능하게 만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두 표시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 부재가, 밴드 부재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장착 시의 피로감을 저감하면서, 적정한 피트감을 얻을 수 있다(특허문헌 1의 명세서 단락 [0034] [0038], 도 1, 2 등).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26397호 공보
앞으로도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보급되어 갈 것이라고 생각되며, 적정한 피트감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장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이상과 같은 사정에 비추어, 본 기술의 목적은, 적정한 피트감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장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기술의 일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는, 결정부와, 출력부를 구비한다.
상기 결정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장착 대상에 대한 보유 지지 상태를 결정한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결정된 보유 지지 상태를 실현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장착 대상에 대한 보유 지지 상태가 결정된다. 따라서, 사용 상태에 따른 피트감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적정한 피트감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결정부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사용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된 사용 상태에 따른 상기 보유 지지 상태를 결정해도 된다.
이에 의해 사용 상태에 따른 보유 지지 상태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보유 지지 상태는, 상기 장착 대상에 대한 보유 지지력이나 보유 지지 위치를 포함해도 된다.
이에 의해 사용 상태에 따라 보유 지지력이나 보유 지지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적정한 피트감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저의 상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이에 의해 유저의 상태에 따른 피트감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유저의 상태 정보는, 운동 정보, 생체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이에 의해 보유 지지 상태를 고정밀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운동 정보는, 상기 유저의 행동 해석의 결과를 포함해도 된다.
행동 해석에 의해 고정밀도로 운동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결정부는, 상기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의 제1 운동 상태, 및 상기 제1 운동 상태보다 운동량이 큰 제2 운동 상태의 각각을 판정하고, 상기 제1 운동 상태에 따라 결정된 제1 보유 지지 상태보다 상기 보유 지지력이 큰 제2 보유 지지 상태를, 상기 제2 운동 상태에 따라 결정해도 된다.
이에 의해 운동 상태에 따른 적정한 피트감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결정부는,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보유 지지력을 규제해도 된다.
이에 의해 몸 상태에 따른 적정한 피트감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결정부는,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유저 상태가 판정된 경우에, 상기 보유 지지력을 규제해도 된다.
이에 의해 몸 상태에 따른 보유 지지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상기 결정부는, 상기 보유 지지력의 상한값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보유 지지력을 규제해도 된다.
이에 의해 간단하게 보유 지지력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몸 상태에 따른 보유 지지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이에 의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기 상태에 따른 보유 지지 상태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갖는 기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이에 의해 실행되는 기능에 따른 보유 지지 상태를 실제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 환경의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이에 의해 사용 환경에 따른 보유 지지 상태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장착 대상의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이에 의해 장착 대상의 종류나, 장착되는 부위에 따른 보유 지지 상태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결정부는, 상기 보유 지지 상태의 후보가 되는 복수의 후보 보유 지지 상태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후보 보유 지지 상태 중에서 상기 보유 지지 상태를 선택해도 된다.
이에 의해 사용 상태에 따른 적정한 보유 지지 상태를 고정밀도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결정부는, 기본 보유 지지 상태를 설정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기본 보유 지지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보유 지지 상태를 결정해도 된다.
이에 의해 사용 상태의 변화에 따른 보유 지지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부는, 서로 다른 복수의 보유 지지 상태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상태를, 상기 보유 지지 상태로서 결정 가능해도 된다.
이에 의해 적정한 피트감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기술의 일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방법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처리 방법이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장착 대상에 대한 보유 지지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결정된 보유 지지 상태를 실현하기 위한 제어 정보가 생성되어 출력된다.
본 기술의 일 형태에 관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시스템에 이하의 스텝을 실행시킨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장착 대상에 대한 보유 지지 상태를 결정하는 스텝.
상기 결정된 보유 지지 상태를 실현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스텝.
이상과 같이, 본 기술에 따르면, 적정한 피트감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 중에 기재된 어느 효과여도 된다.
도 1은, 본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웨어러블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장착 밴드의 보유 지지 상태의 제어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구동 기구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구동 기구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웨어러블 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기술에 관한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웨어러블 장치]
도 1은, 본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웨어러블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의 A는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는, 웨어러블 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넥 밴드형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이며, 유저의 목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장착 밴드(10), 스피커(11), 마이크(12), 카메라(13), 커넥터(14), 터치 패드(15), 조작 버튼(16) 및 통신부(17)를 갖는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100)는, 컨트롤러(18), 기억부(19), 센서부(20), 구동 기구(21) 및 드라이브부(22)를 갖는다. 컨트롤러(18), 기억부(19) 및 센서부(20)는, 도 1의 B에 도시하는 장착 밴드(10) 내의 시스템 블록(3) 내에 마련된다.
장착 밴드(10)는, 가요성을 갖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을 포함한다. 도 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 밴드(10)는 대략 U자 형상을 갖고, 단부(4a 및 4b)가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목에 장착된다. 이하, 단부(4a 및 4b)측을 전방측, 그 반대측을 후방측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 밴드(10)는, 단부(4a 및 4b)에서부터 최후단(4c)까지의 대략 중앙의 위치에 힌지(5a 및 5b)가 각각 마련된다. 힌지(5a 및 5b)를 통하여, 좌우의 전방 암(6a 및 6b)이 후방의 기체부(6c)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스피커(11)는, 좌우의 전방 암(6a 및 6b)의, 단부(4a 및 4b)로부터 후방측을 향하는 소정의 위치에 각각 마련된다. 스피커(11)로부터는 예를 들어 통화 음성, 음성 가이던스, 알람음, 음악 콘텐츠 등이 출력된다. 마이크(12)는, 좌우의 전방 암(6a 및 6b)의, 단부(4a 및 4b)의 근방에 각각 마련된다. 마이크(12)를 통하여, 통화나 음성에 의한 지시의 입력 등이 가능하다.
카메라(13)는, 우측의 전방 암(6a)의 단부(4a)에 마련된다. 예를 들어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센서나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등의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가 사용된다.
커넥터(14)는, 다른 디바이스와의 접속을 위한 단자이다.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등록 상표)(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의 단자가 마련된다. 또한, 충전 시에는, 충전용 도크(크레이들)의 충전 단자와 커넥터(14)가 접속되어 충전이 행해진다.
터치 패드(15) 및 조작 버튼(16)은, 좌측의 전방 암(6b)의 외측에 마련된다. 터치 패드(15) 및 조작 버튼(16)에 의해, 전원의 ON/OFF의 조작이나, 카메라(13)의 촬영 기능이나 네트워크 통신 기능 등의 웨어러블 장치(100)가 갖는 여러 가지 기능에 관한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통신부(17)는, 다른 디바이스와의 사이에서, 네트워크 통신이나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을 실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예를 들어 WiFi 등의 무선 LAN 모듈이나, Bluetooth(등록 상표) 등의 통신 모듈이 마련된다.
센서부(20)는, 압력 센서(23), 근접 센서(24), 9축 센서(25), GPS(26) 및 생체 센서(27)를 포함한다. 압력 센서(23)는, 도 1의 B에 도시하는 좌우의 시스템 블록(3a 및 3b)에 각각 마련된다. 압력 센서(23)는, 목의 좌우의 측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력 센서(23)에 의한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장착 밴드(10)가 장착 대상인 목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력이 측정된다.
보유 지지력이란, 장착 밴드(10)가 장착 대상을 보유 지지하는 힘이며, 장착 대상에 대하여 장착 밴드(10)가 어긋나지 않고 확실하게 장착되는 상태가, 보유 지지력이 높은 상태로 된다. 한편, 장착 밴드(10)가 상하로 움직이거나, 회전해 버리는 상태는, 보유 지지력이 약한 상태로 된다. 보유 지지력은, 전형적으로는, 장착 대상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제어된다. 한편, 장착 대상과의 접촉 면적의 크기를 제어하거나, 점착력 등을 제어함으로써, 보유 지지력이 제어되어도 된다. 즉 보유 지지력의 제어 방법은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어도 된다.
근접 센서(24)는, 장착 밴드(10)의 내주측에 마련되며, 그 검출 결과는 웨어러블 장치(100)의 장착의 유무의 판정에 사용된다. 9축 센서(25)는, 3축 가속도 센서, 3축 자이로 센서 및 3축 컴퍼스 센서를 포함한다. 9축 센서(25)에 의해, 웨어러블 장치(100)의, 3축에 있어서의 가속도, 각속도 및 방위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GPS(26)는, 웨어러블 장치(100)의 현재 위치의 정보를 취득한다. 이들 센서는, 흔들림 등에 의한 어긋남이 적은 후방측의 시스템 블록(3c)에 마련된다. 이에 의해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생체 센서(27)는, 유저의 생체 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생체 센서(27)로서, 체온을 측정 가능한 온도 센서, 심박수를 측정 가능한 심박 센서, 발한량을 측정 가능한 발한 센서 등이 마련된다. 이들 센서는, 센서부가 몸의 소정의 위치에 접촉하도록, 웨어러블 장치(100)의 소정의 위치에 마련된다. 예를 들어 심박 센서는, 목의 혈관에 접촉 가능한 위치에 마련된다. 각 센서가 마련되는 위치는 미리 기억되어 있다.
센서부(20)로서 마련되는 센서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센서가 마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를 사용하는 환경의 온도나 습도 등을 측정 가능한 온도 센서나 습도 센서 등이 마련되어도 된다.
기억부(19)는, 불휘발성의 기억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어 HDD(Hard Disk Drive) 등이 사용된다. 기억부(19)에는, 웨어러블 장치(100)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28)이 기억된다. 또한, 기억부(19)에는, 보유 지지 상태 테이블(29)이 기억된다. 보유 지지 상태 테이블(29)은, 웨어러블 장치(100)의 사용 상태와, 장착 밴드(10)의 보유 지지 상태를 관련지은 테이블이다. 제어 프로그램(28) 및 보유 지지 상태 테이블(29)을, 웨어러블 장치(100)에 인스톨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구동 기구(21)는, 유저에 대한 장착 밴드(10)의 보유 지지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기구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기구(21)는, 도 1의 B에 도시하는 좌우의 힌지(5a 및 5b)와, 좌우의 전방측 암(6a 및 6b)을 회동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 기구를 갖는다. 액추에이터 기구로서는, 예를 들어 모터, 압전 소자, 와이어, 솔레노이드, 또는 형상 기억 합금(SMA) 등을 사용한 임의의 구성의 것이 사용되어도 된다.
드라이브부(22)는, 컨트롤러(18)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정보를 바탕으로, 구동 기구(21)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의 전방 암(6a 및 6b)이 회동되어 보유 지지력이 제어된다. 전방 암(6a 및 6b)이 서로 근접되도록 조여지면 보유 지지력이 높아진다. 전방 암(6a 및 6b)이 서로 이격되도록 해방되면 보유 지지력이 저하된다.
여기서 웨어러블 장치(100)의, 장착 대상에 접촉하여 보유 지지력을 발휘하는 부분의 위치를, 웨어러블 장치(100)의 보유 지지 위치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의 암(6a 및 6b)의 전방측의 부분이 보유 지지 위치(8a 및 8b)로 된다. 물론 후방측의 기체부(6c)도 목을 보유 지지하고 있다.
컨트롤러(18)는, 웨어러블 장치(100)가 갖는 각 블록의 동작을 제어한다. 컨트롤러(18)는, 예를 들어 CPU나 메모리(RAM, ROM) 등의 컴퓨터에 필요한 하드웨어 구성을 갖는다. CPU가 기억부(19)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28)을 RAM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여러 가지 처리가 실행된다.
컨트롤러(18)로서, 예를 들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그 밖에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의 디바이스가 사용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컨트롤러(18)의 CPU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기능 블록으로서 결정부(31) 및 출력부(32)가 실현된다. 결정부(31)는, 웨어러블 장치(100)의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장착 밴드(10)의 장착 대상에 대한 보유 지지 상태를 결정한다. 출력부(32)는, 결정된 보유 지지 상태를 실현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컨트롤러(18)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방법이 실행된다. 또한, 결정부(31) 및 출력부(32)를 실현하기 위해, 전용 하드웨어가 적절히 사용되어도 된다.
웨어러블 장치(100)의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컨트롤러(18)에 의해, 센서부(20)로부터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취득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란, 어떠한 상태에서 웨어러블 장치(100)가 사용되고 있는지와 같은 것에 관한 여러 가지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를 사용하는 유저의 상태에 관한 정보, 사용되는 웨어러블 장치(100)의 상태에 관한 정보, 웨어러블 장치(100)가 사용되는 사용 환경의 정보 등이 포함된다.
유저의 상태 정보로서, 유저가 행하는 운동에 관한 운동 정보가 취득된다. 예를 들어 보행 중, 주행 중, 전동차로 이동 중, 운전 중 등의 정보가 취득된다. 운동하고 있는 스포츠의 종류 등의 정보도 취득 가능하다. 또한, 앉아 있는지, 서 있는지, 앞으로 구부리고 있는지, 옆을 향하고 있는지, 위를 향하고 있는지 등의, 자세에 관한 정보가 취득된다.
또한, 유저의 현재지의 정보, 더욱 상세하게는 옥내인지, 옥외인지, 회의 중인지 등의 정보도 취득 가능하다. 또한, 자고 있는지, 일어나 있는지의 정보나, 체온, 맥박수, 발한량 등의 생체 정보도 취득된다. 이들 유저의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기계 학습으로 얻어진 파라미터 등을 사용한 행동 해석 등의, 임의의 행동 해석 기술에 의해 취득 가능하다.
웨어러블 장치(100)의 기기 상태의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실행 중인 기능, 동작 모드, 장착 대상에 대한 장착의 유무, 유저에 대한 장착 위치, 배터리 잔량, 충전 도크와의 접속, 기기의 온도 등의, 여러 가지 정보가 취득된다. 사용 환경의 정보로서는, 온도, 습도, 현재 위치, 날씨, 일시 등의 여러 가지 정보가 취득된다. 이들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센서나 디바이스 등이, 적절하게 웨어러블 장치(100)에 마련된다.
또한, 자동차 등에 탑재된 장치와의 통신, 네트워크 상의 정보 등을 바탕으로, 유저의 상태 정보, 기기 상태의 정보 및 사용 환경의 정보가 취득되어도 된다.
컨트롤러(18)는, 취득한 사용 상태에 관한 사용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웨어러블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판정한다. 사용 상태는, 유저 상태, 웨어러블 장치(100)의 기기 상태 및 사용 환경 등을 포함한다.
[보유 지지 상태의 제어]
도 3은, 장착 밴드(10)의 보유 지지 상태의 제어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사용 상태에 관한 사용 상태 정보가 취득된다(스텝 101). 취득된 사용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 상태가 판정된다(스텝 102). 예를 들어, 상기한 유저 상태 정보, 웨어러블 장치(100)의 기기 정보, 또는 사용 환경의 환경 정보 등이 감시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정된다.
사용 상태에 따른 보유 지지 상태가 결정된다(스텝 103). 보유 지지 상태는, 기억부(19)에 기억된 보유 지지 상태 테이블(29)에 저장되어 있다. 컨트롤러(18)는, 보유 지지 상태 테이블(29)을 참조함으로써, 사용 상태에 따른 보유 지지 상태를 결정한다. 물론 테이블 정보가 사용되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연산 등에 의해 장착 상태가 적절하게 산출되어도 된다. 사용 상태에 따른 보유 지지 상태로서, 임의의 보유 지지 상태를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며, 나중에 구체예를 든다.
결정된 보유 지지 상태를 실현하기 위해, 현상의 보유 지지 상태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104). 현상의 보유 지지 상태는, 센서부(20)로부터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판정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의 시스템 블록(3a 및 3b)에 마련된 압력 센서(23)로부터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현상의 보유 지지 상태가 판정된다.
보유 지지 상태의 변경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104의 "아니오"), 보유 지지 상태는 보유 지지된다. 보유 지지 상태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104의 "예"), 결정된 보유 지지 상태를 실현하기 위한 제어 정보가 드라이브부(22)에 출력된다(스텝 105). 이에 의해 구동 기구(21)가 동작하여 전방 암(6a 및 6b) 중 적어도 한쪽이 회동된다. 이에 의해 보유 지지 상태, 구체적으로는 보유 지지력 및 보유 지지 위치가 변경된다.
센서부(20)로부터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보유 지지 상태가 실현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106). 실현되지 않은 경우에는("아니오"), 적절하게 제어 정보가 생성되어 출력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센서부(20) 등에 의해 보유 지지 상태의 정보가 컨트롤러(18)에 피드백된다. 이에 의해 고정밀도로 보유 지지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보유 지지 상태가 실현되면(스텝 106의 "예"), 처리가 종료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사용 상태와 그에 따른 보유 지지 상태의 결정예를 든다.
예를 들어 유저 상태에 따른 보유 지지 상태의 예를 이하에 든다. 또한, 보유 지지력의 약, 중, 강의 각 상태는, 전방 암(6a 및 6b)의 목에 대한 압박력의 약, 중, 강에 대응한다. 또한, 구체적인 압박력은 한정되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보유 지지력의 크기가 제어된다.
유저 상태: 통상(정지)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약
유저 상태: 보행 중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중
유저 상태: 주행 중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강
유저 상태: 자전거 서서 타기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중
유저 상태: 자전거 앉아서 타기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약
유저 상태: 골프 중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중
유저 상태: 테니스 중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강
이들 예는, 운동 등에 의해 웨어러블 장치(100)가 어긋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보유 지지력을 크게 한다고 하는 생각에 기초한 처리이다. 예를 들어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운동 상태, 및 제1 운동 상태보다 운동량이 큰 제2 운동 상태가 각각 판정 가능하다고 하자. 그리고, 제1 운동 상태에 따라 제1 보유 지지 상태가 결정되고, 제2 운동 상태에 따라 제2 보유 지지 상태가 결정된다고 하자. 이 경우, 전형적으로는, 제1 보유 지지 상태보다 제2 보유 지지 상태 쪽이 보유 지지력이 커지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동일하게 달리고 있는 상태라도, 속도가 클수록 운동량이 커지고, 보유 지지력이 크게 설정된다.
또한, 운동량이 큰 운동 상태란, 예를 들어 속도가 큰, 손발 등을 움직이는 양이 크거나, 보다 높게 도약하는 등, 에너지 소비가 큰 운동 상태가 대표된다. 그 밖에, 일반적으로 운동량이 크다고 판단되는, 임의의 운동 상태가 포함된다.
또한, 유저의 목적에 따라서는, 상기 예와는 상이한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물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에 대한 압박이 운동 집중을 방해한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집중하여 운동이 심해짐에 따라, 보유 지지력을 약간 저하시키거나 하는 등의 결정도 고려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의 흔들림의 영향이 적은 경우 등에, 이러한 결정이 실행된다.
시시각각 변화하는 사용 상태를 적절하게 판정하고, 보유 지지 상태를 실시간으로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저의 주행 속도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그 운동 정보가 실시간으로 취득되고, 그에 따른 보유 지지 상태가 적절하게 결정된다. 이 결과, 주행 속도의 상승에 따라, 보유 지지력을 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유저 상태: 몸을 구부리고 있음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중
유저 상태: 구부리고 앉아 있음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중
유저 상태: 똑바로 앉아 있음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약
이것은 유저의 자세에 따른 보유 지지력의 결정예이며, 웨어러블 장치(100)가 흘러내릴 가능성이 높은 자세인 경우에는, 보유 지지력이 강해진다. 혹은 웅크린 상태를 집중하고 있는 상태라고 판정하고, 집중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보유 지지력을 약간 약화시킨다는 등의 제어가 이루어져도 된다.
유저 상태: 취침 중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약
유저 상태: 발한량 적음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중
유저 상태: 발한량 많음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강
예를 들어 유저가 자고 있는 경우에는, 일어나지 않도록 보유 지지력이 약해진다. 혹은 보유 지지 상태가 제로로 되어도 된다. 보유 지지력이 제로인 상태는,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가 목에 걸려 있을 뿐인 상태이다. 예를 들어 전방 암(6a 및 6b)간의 거리를 적절하게 설정하고, 그 상태를 보유 지지력이 제로인 상태로서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생체 센서(27)로부터 취득된 생체 정보를 바탕으로, 보유 지지력이 규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유저의 소정의 상태로서, 몸 상태가 나쁜 상태, 여러 가지 증상이 발생할 수 있는 상태, 불쾌감을 갖는 상태 등(통합하여 몸 상태의 불량 상태라고 기재함)이 판정된 경우, 보유 지지력이 규제된다. 예를 들어 몸 상태의 불량 상태에 따른 보유 지지 상태로서, 낮은 보유 지지력으로 되는 보유 지지 상태, 혹은 제로의 보유 지지력이 결정된다. 혹은, 몸 상태의 불량 상태가 판정된 경우에, 보유 지지력에 상한값이 설정되고, 당해 상한값 이하의 범위에서 보유 지지력이 결정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상한값을 설정함으로써 보유 지지력을 규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운동량이 커지는 상태에 따라 보유 지지력을 강하게 하고 있는 동안에, 몸 상태의 불량 상태가 판정된 경우에는, 보유 지지력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유저에 대한 부담을 충분히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몸 상태의 불량 상태에 대하여 적정한 대응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유저에 대한 부담이 가장 적은 저부담 상태가, 어느 정도의 보유 지지력을 발휘시켜 웨어러블 장치(100)의 어긋남을 억제하는 상태라면, 그 보유 지지 상태가 선택되어도 된다.
기기 상태에 따른 보유 지지 상태의 예를 든다.
기기 상태: 촬영 모드 ON … 보유 지지 상태: 우측 전방 암(6a)의 보유 지지력 강
기기 상태: 촬영 모드 OFF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약
기기 상태: 정위 음장 ON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중
기기 상태: 정위 음장 OFF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약
기기 상태: NC 모드 ON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중
기기 상태: NC 모드 OFF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약
카메라(13)를 사용한 촬영 모드가 ON으로 되는 경우에는, 카메라(13)가 흔들리지 않도록, 우측 전방 암(6a)이 조여진다. 이에 의해 보유 지지 위치(8a)만의 보유 지지력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보유 지지 위치마다 보유 지지력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위 음장 ON이란, 스피커(11)로부터 출력되는 음의 정위를 보유 지지하는 모드이며, 스피커(11)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보유 지지력이 높아진다. 예를 들어 관광지를 가이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경관 등의 음성 가이던스 등이 출력되는 경우에, 정위 음장 ON으로 설정되어 보유 지지력이 높아진다. NC 모드(노이즈 캔슬링 모드)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노이즈가 입력되는 마이크(12) 및 역위상음을 출력하는 스피커(11)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보유 지지력이 높아진다. 이에 의해 정밀도가 높은 NC가 실현된다.
기기 상태: 맥박 측정 모드 ON … 보유 지지 상태: 맥박 센서를 갖는 부분의 보유 지지력 강
맥박 등의 유저의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 각 센서를 소정의 측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보유 지지력 및 보유 지지 위치가 적절하게 결정된다. 이에 의해 고정밀도로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을 위한 보유 지지 상태의 변경이, 예를 들어 기상 후의 소정 시간의 경과 후나, 식후의 소정 시간의 경과 후 등의 측정 시각에 연동하여 실행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효율이 좋은 정확한 측정이 실현된다.
웨어러블 장치(100)가 충전 도크에 접속되면, 보유 지지력이 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소정의 형상의 크레이들에 웨어러블 장치(100)가 장착된다. 컨트롤러(18)는, 장착 대상의 정보로서 크레이들의 정보를 취득한다. 당해 정보에 따라, 강한 보유 지지력을 발휘하는 보유 지지 상태로 제어된다. 이에 의해 충전 도크와의 접속이 견고해지고, 확실하게 충전이 행해진다. 또한, 충전 중에 있어서의 충전 도크 및 웨어러블 장치(100)의 전체 형상을 소형으로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방 암(6a 및 6b)이 폐쇄됨으로써, 충전 도크와 웨어러블 장치(100)에 의해, 캐릭터 등의 소정의 형상이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단순히 웨어러블 장치(100)가 충전 도크에 접속된 경우에, 보유 지지 상태가 변경되어도 된다.
사용 환경에 따른 보유 지지 상태의 예를 든다.
사용 환경: 수중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강
사용 환경: 육상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약
사용 환경: 강풍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중
사용 환경: 무풍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약
사용 환경: 추움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강
사용 환경: 더움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약
예를 들어 수중과 같이 웨어러블 장치(100)가 움직여 버릴 가능성이 높은 상태에서는, 육상에서 사용되는 경우보다 보유 지지력이 강해진다. 또한, 바람이 강한 경우에는 보유 지지력이 강해져, 웨어러블 장치(100)가 충분히 고정된다. 기온이 낮아 추운 경우에는, 웨어러블 장치(100)가 조여져,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의 열에 의해 몸이 따뜻해진다. 한편, 기온에 상관없이, 웨어러블 장치(100)가 고온으로 되는 경우에는, 보유 지지력이 약해지거나, 혹은 보유 지지력이 제로로 된다. 이에 의해 높은 안전성을 발휘할 수 있다.
스텝 102에서 판정되는 사용 상태로서, 상기한 유저 상태, 기기 상태 및 사용 환경 등이 상이한 사용 상태가 조합된 상태가 판정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가 보행하면서 카메라를 기동시키면서 음성 가이던스가 출력되는 상태나, 기온이 높고 바람이 강한 가운데, 맥박의 측정 모드가 ON으로 되는 상태 등이다.
복수의 사용 상태가 조합된 상태도 하나의 사용 상태로서 간주할 수 있으며, 그 사용 상태에 따른 보유 지지 상태가 결정된다. 이 경우의 보유 지지 상태의 결정 방법의 예를 몇 가지 설명한다. 또한, 복수의 사용 상태의 조합은, 복수의 사용 상태가 동일한 타이밍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복수의 사용 상태가 겹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 상태, 제2 사용 상태 및 제3 사용 상태가 조합된 상태가 판정된다고 하자. 여기서 제1 내지 제3 사용 상태에 따른 보유 지지 상태를, 제1 보유 지지 상태, 제2 보유 지지 상태 및 제3 보유 지지 상태라고 한다.
예를 들어 스텝 103에서, 제1 내지 제3 보유 지지 상태가, 보유 지지 상태의 후보로 되는 복수의 후보 보유 지지 상태로서 설정되고, 이들 중에서 소정의 조건을 바탕으로 하나의 보유 지지 상태가 선택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후보 보유 지지 상태 중 보유 지지력이 가장 높은 보유 지지 상태가 선택된다. 또는 사용 상태에 대하여 소정의 우선도가 파라미터로서 설정되어 있고, 우선도가 높은 사용 상태에 따른 후보 보유 지지 상태가 선택된다.
예를 들어 이하의 사용 상태가 조합되었다고 하자.
유저 상태: 통상(정지)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약
기기 상태: 촬영 모드 ON … 보유 지지 상태: 우측 전방 암(6a)의 보유 지지력 강
사용 환경: 무풍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약
이 경우, 보유 지지력이 가장 강한, 촬영 모드 ON에 따른 보유 지지 상태가 결정된다.
유저 상태: 자전거 앉아서 타기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약
기기 상태: 정위 음장 OFF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약
사용 환경: 추움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강
이 경우, 보유 지지력이 가장 강한, 기온이 낮은 경우의 보유 지지 상태가 결정된다.
유저 상태: 통상(정지)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약
기기 상태: 정위 음장 ON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중
유저 상태: 혈압이 소정값보다 높음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약
예를 들어 울혈이 일어날 수 있는 레벨의 혈압값이 측정되는 경우에는, 그 유저 상태에 따른 보유 지지 상태가 선택되고, 보유 지지력이 약해진다. 울혈이 일어날 수 있는 레벨의 혈압값이 측정되는 상태는, 상기한 몸 상태의 불량 상태에 포함되는 상태이다. 몸 상태의 불량 상태에 높은 우선도를 설정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보유 지지력의 규제가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유저의 몸 상태 등에 맞춘 피트감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저 상태: 통상(정지)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약
기기 상태: 기기 온도가 소정값보다 높음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제로
사용 환경: 추움 … 보유 지지 상태: 보유 지지력 강
예를 들어 기기 온도가 장시간의 접촉에 의해 저온 화상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온도 이상으로 되는 경우에는, 그 기기 상태에 따른 보유 지지 상태가 결정되고, 보유 지지력이 제로로 제어된다. 이 경우에는, 당해 기기 정보에, 높은 우선도가 부여되어 있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복수의 사용 상태가 겹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보유 지지력이 높은 사용 상태, 혹은 우선도가 높은 사용 상태가 발생하는 타이밍에, 당해 사용 상태에 따른 보유 지지 상태가 결정된다.
혹은 제1 내지 제3 보유 지지 상태를 바탕으로, 조합된 사용 상태에 따른 제4 보유 지지 상태가 새롭게 결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사용 상태가 이 순서로 조합된다고 하자. 이 경우, 가장 빨리 판정된 제1 사용 상태에 따른 제1 보유 지지 상태가 기본 보유 지지 상태로서 설정된다. 당해 기본 보유 지지 상태를 기본으로 하여, 제2 보유 지지 상태 및 제3 보유 지지 상태에 근접하도록 보유 지지 상태가 변경된다. 변경 후의 보유 지지 상태가 제4 보유 지지 상태로 된다.
예를 들어 유저의 보행에 의해 보유 지지력이 "중"으로 설정되고(기본 보유 지지 상태), 그 후 카메라가 기동되었으므로 보유 지지력이 "중"인 상태로부터 우측 전방 암(6a)만 "강"으로 된다. 그리고, 음성 가이던스의 출력에 따라, 좌측 전방 암(6b)이 "강"으로 되고, 좌우의 전방 암(6a 및 6b)의 보유 지지력이 모두 "강"으로 된다.
또한, 기온이 매우 높으므로 보유 지지력이 제로로 되고(기본 보유 지지 상태), 강풍의 측정에 따라, 보유 지지력이 제로로부터 강해져 "중"으로 된다. 그 후 맥박의 측정 모드로 되고, 보유 지지력이 "중"인 상태로부터 맥박 센서가 목덜미에 접촉하도록 보유 지지 상태가 변경된다. 이들 예와 같이, 기본 보유 지지 상태로부터의 변경이 실행되어도 된다.
운동량이 큰 운동 상태에 따른 보유 지지 상태가 기본 보유 지지 상태로서 설정되고, 그 후 몸 상태의 불량 상태가 판정된다고 하자. 이 경우, 몸 상태의 불량 상태에 따라 설정된 상한값까지 보유 지지력이 변경되거나, 혹은 보유 지지력 제로를 향하여 보유 지지력이 변경되는 등의 제어도 가능하다.
사용 상태에 따른 보유 지지 상태로서, 서로 다른 복수의 보유 지지 상태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상태가 결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주행 중 등에 있어서 강한 보유 지지력을 발휘시키고 싶은 경우에, 보유 지지력 약, 보유 지지력 중, 소정 시간 보유 지지력 보유 지지, 보유 지지력 강과 같은 복수의 보유 지지 상태가 이 순서로 연속적으로 변화해도 된다. 당해 변화를 포함한 보유 지지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이에 의해 급격한 보유 지지력의 변화에 의한 불쾌감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유 지지 상태의 섬세한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강한 보유 지지력을 발휘시키고 싶은 경우에, 복수의 보유 지지 위치의 각각의 보유 지지력을 차례로 강화시키거나 하는 등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우측 전방 암(6a)의 보유 지지력 중, 좌측 전방 암(6b)의 보유 지지력 중, 우측 전방 암(6a)의 보유 지지력 강, 좌측 전방 암(6b)의 보유 지지력 강과 같은 복수의 보유 지지 상태가 이 순서로 연속적으로 실행되어도 된다. 이러한 보유 지지 상태를 단계적으로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이한 보유 지지 상태가 반복 실행되는 제어도 가능하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웨어러블 장치(100)에서는, 웨어러블 장치(100)의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장착 대상에 대한 보유 지지 상태가 결정된다. 따라서, 사용 상태에 따른 피트감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적정한 피트감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유저 상태, 웨어러블 장치(100)의 기기 상태, 사용 환경 등에 따라, 고정밀도로 보유 지지력 및 보유 지지 위치를 고정밀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밖의 실시 형태>
본 기술은,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양한 실시 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구동 기구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의 A에 도시하는 구동 기구에서는, 장착 밴드(10)의 최후단에 힌지(5)가 하나 마련된다. 힌지(5)의 수나 위치는 임의로 설계되어도 된다.
도 4의 B에 도시하는 구동 기구에서는, 장착 밴드(10)의 후방측에 복수의 힌지가 배열된 다관절 힌지(40)가 마련된다. 이에 의해 장착 대상에 대하여 유연한 보유 지지 자세를 실현할 수 있다. 즉 보유 지지 상태의 베리에이션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의 C에 도시하는 구동 기구에서는, 장착 밴드(10)의 후방측의 좌우 위치에, 슬라이드 기구(42)가 마련된다. 슬라이드 기구(42)에 의한 슬라이드 동작으로 장착 밴드(10)가 조여지면 보유 지지력이 강해진다. 장착 밴드(10)가 늘려지면 보유 지지력이 약해진다.
도 5의 A에 도시하는 구동 기구에서는, 좌우의 단부(4a 및 4b)의 근방에, 공기 등의 유입에 의해 팽창 가능한 팽창 부재(44)가 마련된다. 도 5의 B에 도시하는 구동 기구에서는, 좌우에 추가하여 후방측에도 팽창 부재(44)가 마련된다. 팽창 부재(44)가 팽창하면 보유 지지력이 강해지고, 팽창 부재(44)가 수축되면 보유 지지력이 약해진다. 팽창량을 제어함으로써 보유 지지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팽창시킬 팽창 부재(44)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보유 지지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팽창시키는 순서 등을 설정함으로써, 보유 지지 상태의 베리에이션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공기 등의 유입은 펌프 등에 의해 실행 가능하다.
도 5의 C에 도시하는 구동 기구에서는, 장착 밴드(10)의 내부에, 전력이 인가되면 수축하는 특성을 갖는 형상 기억 합금(SMA)(45)이 마련된다. SMA(45)에 전력을 인가함으로써 장착 밴드(10) 전체가 수축되어 보유 지지력이 강해진다. 전력의 인가를 정지하면 장착 밴드(10)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고, 보유 지지력이 약해진다. SMA(45)를 따르도록 알루미늄 플레이트 등의 소성 변형 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전력을 요하지 않고 보유 지지력이 강해진 상태를 보유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웨어러블 장치(100)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웨어러블 장치(100)로서, 손목에 장착하는 손목 밴드형 장치(110), 상완에 장착하는 팔찌형 장치(120), 헤드에 장착하는 헤드 밴드형(헤드 마운트형) 장치(130), 목에 장착하는 넥 밴드형 장치(140), 가슴에 장착하는 몸통체용 장치(150), 허리에 장착하는 벨트형 장치(160), 발목에 장착하는 발찌형 장치(170) 등, 여러 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또한, 반지형, 목걸이형, 귀걸이형, 피어스형의 웨어러블 장치나, 신발창 등에 사용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도 개발 가능하다. 이들 여러 가지 웨어러블 장치에 대하여, 본 기술은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장착 부위에 따라 보유 지지 상태가 적절하게 결정된다.
손목, 상완, 발 등 중 유저가 좋아하는 곳에 장착하여 사용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18)에 의해, 장착 대상의 정보로서, 장착 부위가 검출된다. 그리고, 장착 부위에 따른 보유 지지 상태가 적절하게 결정된다. 예를 들어 손목에 장착한 경우의 사용 상태에 따른 보유 지지 상태와, 발목에 장착한 경우의 사용 상태에 따른 보유 지지 상태 등이, 각각 상이하도록 결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발목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손목에 장착되는 경우보다 보유 지지력이 강해지도록 보유 지지 상태가 결정된다.
또한, 인간뿐만 아니라 동물 등에 장착되는 웨어러블 장치에도, 본 기술은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동물의 의상으로 되는 장식 디바이스나 치료하기 위한 의료 디바이스에 본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동물에 대한 부담 등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헤드 마운트형 장치(130)가, 유저의 헤드부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보유 지지력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 헤드 밴드를 구비하는 HMD인 경우, 헤드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각가속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헤드 밴드의 보유 지지력이 변화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헤드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각가속도가 소정값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헤드 밴드의 보유 지지력이 강하게 되면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유저가 가상 공간을 둘러보는 경우의 HMD의 어긋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혹은, 헤드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각가속도가 소정값 미만인 것에 기초하여, 헤드 밴드의 보유 지지력이 약하게 되면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유저가 가상 공간을 둘러보는 경우와 비교하여 필요한 보유 지지력이 작은 유저의 정지 상태에 있어서 헤드 밴드의 보유 지지력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HMD를 장시간 이용하는 경우라도 유저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각가속도의 값은, HMD의 각가속도를 나타내는 동작 정보에 포함된다. HMD의 각가속도를 나타내는 다른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헤드 밴드의 보유 지지력이 변화되어도 된다.
보유 지지력을 변경하는 구동 기구는, 예를 들어 모터, 압전 소자, 와이어, 솔레노이드, 또는 SMA 등을 사용한 임의의 액추에이터 기구여도 된다.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한 임의의 보유 지지력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다이얼을 헤드 밴드가 구비하는 경우, 각가속도의 변화에 따라 모터에 의해 다이얼을 자동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보유 지지력을 변화시켜도 된다. 혹은, 전술한 예에 있어서의 공기 등의 유입에 의해 팽창 가능한 팽창 부재를 구비하는 구동 기구가 사용되어도 된다.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 및 판정되는 사용 상태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이하, 그 예를 다시 열거한다.
유저 상태에 관한 정보
주시점(시선, 초점, 포커스 위치 등을 포함함), 행동 인식 결과(정지, 걷기, 달리기, 계단 승강, 자동차 운전), 이동 속도, 생체 정보(심박, 체온, 발한, 혈압, 맥박, 호흡, 눈 깜박임, 안구 운동, 응시 시간, 동공 직경의 크기, 뇌파, 체동, 체위, 피부 온도, 피부 전기 저항, MV(마이크로 바이브레이션), 근전위, SPO2(혈중 산소 포화도)), 감정 추정(희노애락), 유저의 자세, 유저의 위치, 유저 설정(수동 입력), 가상 물체로의 접근.
웨어러블 장치의 기기 상태에 관한 정보
디바이스 속성(팔찌, HMD, TV,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해상도, 디스플레이의 사이즈, 디스플레이 방식, HMD 방식, 센서의 유무, ID, 배터리 잔량, 배터리 용량, 충전 중인지 여부, CPU의 처리 부하, CPU 온도, 외부 기억 매체 슬롯의 유무, 통신 방식, 음향 특성, 이메저의 특성, 3D 촬영, 3D 표시, 디바이스의 자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장착 상태(장착, 비장착, 장착 개소), 디바이스의 위치(웨어러블이라면 장착 위치).
배경(중요한 정보, 배경색), 조도, 장소(옥내, 옥외, 시츄에이션(지오펜스), 수중, 분위기), 행동 이력(익숙한 장소에 있는지 여부), 주변 상황(타인, 차 등의 유무, 밀도), 시간, 고도, 기온, 풍향, 풍량.
콘텐츠에 관한 정보
표시 사이즈, 표시 위치, 표시의 자세, 표시의 애니메이션 양태(이동 속도, 이동 방향, 궤도, 갱신 빈도), 콘텐츠의 속성(종류, 중요도, 우선도, 애플리케이션 종류(브라우저, 맵, 메일러, IMF, SNS)), 해상도, 색, 사용 모드.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 상태가 판정되고, 판정된 사용 상태에 따라 보유 지지 상태가 적절하게 제어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측압이나 팽창량 등, 보유 지지 상태로서 임의의 파라미터가 제어되어도 된다.
웨어러블 장치에 구비되는 디바이스나 기능을, 이하에 예시한다.
외부 입력 단자(USB, HDMI), 외부 출력 단자(USB, HDMI), Wifi, Bluetooth, 외부 기억 매체(메모리 카드) 슬롯, 프로젝터, TV, 라디오 튜너, 시선 인식 기능, 음성 인식 기능, 화상 인식 기능(물체 인식, 문자 인식, 자기 위치 추정(SLAM), 3D 측량), 제스처 인식 기능(핸드 제스처, 헤드 제스처), 개인 인증 기능(성문, 홍채, 지문), 음악/영상 재생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음상 정위 기능(버츄얼 서라운드), 리모컨에 의한 원격 조작을 위한 모듈.
탈것(자동차, 자전거 등)과 접속 가능한 인터페이스(유선/무선), 탈것으로부터 정보(구동에 관한 정보)를 취득, 탈것의 구동 제어부에 대하여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의료 기기(원격 수술, 내시경)와 접속 가능한 인터페이스(유선/무선), 의료 기기로부터 정보(구동에 관한 정보)를 취득, 의료 기기의 제어부에 대하여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상기와 같은 디바이스나 기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유 지지 상태가 적절하게 제어되어도 된다.
유저에 의해 제어 가능한 보유 지지력의 상한값이 정해져도 된다. 이 경우, 사용 상태에 따른 보유 지지 상태로서, 상한값 이하의 범위에서 보유 지지력이 적절하게 제어된다.
결정된 보유 지지 상태의 정보가, 다른 기능을 실행할 때 참조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카메라의 촬영 모드가 ON으로 된 경우에, 보유 지지력이 "강"으로 되도록 보유 지지 상태가 결정된다. 그 보유 지지력의 정보가 참조되어 손 떨림 보정이 실행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보유 지지력이 강해진 경우에, 손 떨림 보정이 약해지는 등의 제어가 실행 가능하다.
웨어러블 장치가 상하로 이동하지 않는 보유 지지 상태, 웨어러블 장치가 회전하지 않는 보유 지지 상태 등의, 섬세한 보유 지지 상태의 제어가 행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헬멧형 웨어러블 장치 등에 있어서, 귀 뒤쪽의 수평 부분을 중심으로 보유 지지력을 강화하여 좌우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보유 지지 상태와, 헤드 꼭대기부부터 후두부에 걸친 연직 부분의 보유 지지력을 강화하여 웨어러블 장치가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보유 지지 상태 등이, 목적에 따라 각각 적절하게 결정되어도 된다.
웨어러블 장치가 미장착인 상태가 판정되고, 그것에 수반하여 보유 지지 상태가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의 외형이 변화할 정도로 보유 지지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유저로의 통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여러 종류의 정보 중 일부 정보만을 바탕으로, 보유 지지 상태가 제어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유저 상태의 정보만, 기기 상태의 정보만, 또는 사용 환경의 정보만을 바탕으로, 보유 지지 상태가 적절하게 제어되어도 된다.
상기에서는, 웨어러블 장치가 갖는 컨트롤러에 의해, 보유 지지 상태의 결정 및 제어 정보의 출력이 실행되었다. 이 대신에 웨어러블 디바이스와는 별개로 구성된 임의의 컴퓨터에 의해, 보유 지지 상태의 결정 및 제어 정보의 출력이 실행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가 연동하여 사용되는 경우에, 모바일 장치에 의해 보유 지지 상태의 결정 및 제어 정보의 출력이 실행되어도 된다. 이 경우, 당해 모바일 장치가 본 기술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로서 기능한다. 이에 대하여 도 1에 도시하는 웨어러블 장치(100)는, 본 기술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일체적으로 구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혹은 웨어러블 장치(100) 자체를, 본 기술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라고 간주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보유 지지 상태의 결정 및 제어 정보의 출력은, 단체의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 컴퓨터 시스템 뿐만 아니라, 복수의 컴퓨터가 연동하여 동작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도 실행 가능하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구성 요소(장치, 모듈(부품) 등)의 집합을 의미하고, 모든 구성 요소가 동일 하우징 내에 있는지 여부는 불문한다. 따라서, 별개의 하우징에 수납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 및 하나의 하우징 내에 복수의 모듈이 수납되어 있는 하나의 장치는, 모두 시스템이다.
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본 기술에 관한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의 실행은, 예를 들어 보유 지지 상태의 결정 및 제어 정보의 출력이 단체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및 각 처리가 상이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의 양쪽을 포함한다. 또한, 소정의 컴퓨터에 의한 각 처리의 실행은, 당해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른 컴퓨터에 실행시켜 그 결과를 취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A에 의한 보유 지지 상태의 결정은,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를 예를 들어 다른 컴퓨터 B에 출력하고, 컴퓨터 B에 의해 결정된 보유 지지 상태의 정보를 수취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본 기술에 관한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은, 하나의 기능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장치로 분담, 공동시켜 처리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성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본 기술에 관한 특징 부분 중 적어도 2개의 특징 부분을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 특징 부분은, 각 실시 형태의 구별 없이, 임의로 조합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에서 기재한 여러 가지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효과가 발휘되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1)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장착 대상에 대한 보유 지지 상태를 결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결정된 보유 지지 상태를 실현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출력부
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사용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된 사용 상태에 따른 상기 보유 지지 상태를 결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1) 또는 (2)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보유 지지 상태는, 상기 장착 대상에 대한 보유 지지력 또는 보유 지지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저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4)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유저의 상태 정보는, 운동 정보, 생체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5)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운동 정보는, 상기 유저의 행동 해석의 결과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5) 또는 (6)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보유 지지 상태는, 상기 장착 대상에 대한 보유 지지력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의 제1 운동 상태, 및 상기 제1 운동 상태보다 운동량이 큰 제2 운동 상태의 각각을 판정하고, 상기 제1 운동 상태에 따라 결정된 제1 보유 지지 상태보다 상기 보유 지지력이 큰 제2 보유 지지 상태를, 상기 제2 운동 상태에 따라 결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5)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보유 지지 상태는, 상기 장착 대상에 대한 보유 지지력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보유 지지력을 규제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8)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유저 상태가 판정된 경우에, 상기 보유 지지력을 규제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9)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보유 지지력의 상한값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보유 지지력을 규제하는, 정보 처리 장치.
(11)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2) (1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갖는 기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3) (11) 또는 (12)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이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는,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각가속도를 나타내는 동작 정보이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동작 정보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보유 지지력을 변경하는, 정보 처리 장치.
(14)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 환경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5)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장착 대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6)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보유 지지 상태의 후보로 되는 복수의 후보 보유 지지 상태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후보 보유 지지 상태 중에서 상기 보유 지지 상태를 선택하는, 정보 처리 장치.
(17) (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결정부는, 기본 보유 지지 상태를 설정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기본 보유 지지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보유 지지 상태를 결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18)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결정부는, 서로 다른 복수의 보유 지지 상태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상태를, 상기 보유 지지 상태로서 결정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19) 장착 대상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와,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보유 지지부의 보유 지지 상태를 결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결정된 보유 지지 상태를 실현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보유 지지부에 출력하는 출력부
를 구비하는 웨어러블 장치.
5, 5a, 5b: 힌지
8a, 8b: 보유 지지 위치
10: 장착 밴드
18: 컨트롤러
20: 센서부
21: 구동 기구
23: 압력 센서
24: 근접 센서
25: 9축 센서
26: GPS
27: 생체 센서
29: 보유 지지 상태 테이블
31: 결정부
32: 출력부
40: 다관절 힌지
42: 슬라이드 기구
44: 팽창 부재
100: 웨어러블 장치
110: 손목 밴드형 장치
120: 팔찌형 장치
130: 헤드 밴드형(헤드 마운트형) 장치
140: 넥 밴드형 장치
150: 몸통체용 장치
160: 벨트형 장치
170: 발찌형 장치

Claims (20)

  1.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장착 대상에 대한 보유 지지 상태를 결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결정된 보유 지지 상태를 실현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출력부
    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사용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된 사용 상태에 따른 상기 보유 지지 상태를 결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 상태는, 상기 장착 대상에 대한 보유 지지력 또는 보유 지지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저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의 상태 정보는, 운동 정보, 생체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정보는, 상기 유저의 행동 해석의 결과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 상태는, 상기 장착 대상에 대한 보유 지지력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의 제1 운동 상태, 및 상기 제1 운동 상태보다 운동량이 큰 제2 운동 상태의 각각을 판정하고, 상기 제1 운동 상태에 따라 결정된 제1 보유 지지 상태보다 상기 보유 지지력이 큰 제2 보유 지지 상태를, 상기 제2 운동 상태에 따라 결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 상태는, 상기 장착 대상에 대한 보유 지지력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보유 지지력을 규제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유저 상태가 판정된 경우에, 상기 보유 지지력을 규제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보유 지지력의 상한값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보유 지지력을 규제하는, 정보 처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갖는 기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이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는,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각가속도를 나타내는 동작 정보이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동작 정보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보유 지지력을 변경하는, 정보 처리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 환경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장착 대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보유 지지 상태 후보로 되는 복수의 후보 보유 지지 상태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후보 보유 지지 상태 중에서 상기 보유 지지 상태를 선택하는, 정보 처리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기본 보유 지지 상태를 설정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보유 지지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보유 지지 상태를 결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서로 다른 복수의 보유 지지 상태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상태를, 상기 보유 지지 상태로서 결정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19.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장착 대상에 대한 보유 지지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보유 지지 상태를 실현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컴퓨터 시스템이 실행하는, 정보 처리 방법.
  20.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장착 대상에 대한 보유 지지 상태를 결정하는 스텝과,
    상기 결정된 보유 지지 상태를 실현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스텝
    을 컴퓨터 시스템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KR1020187025832A 2016-03-28 2017-02-14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801234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63043A JP2017176198A (ja) 2016-03-28 2016-03-28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6-063043 2016-03-28
PCT/JP2017/005235 WO2017169202A1 (ja) 2016-03-28 2017-02-14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490A true KR20180123490A (ko) 2018-11-16

Family

ID=59963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832A KR20180123490A (ko) 2016-03-28 2017-02-14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52772B2 (ko)
JP (1) JP2017176198A (ko)
KR (1) KR20180123490A (ko)
CN (1) CN108882858B (ko)
DE (1) DE112017001571T5 (ko)
WO (1) WO20171692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529A (ko) * 2018-12-27 2020-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4487A1 (ko) * 2015-01-13 2016-07-21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촉각 정보 제공 기기
CN107179609A (zh) * 2017-06-12 2017-09-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虚拟现实眼镜
CN108095694B (zh) * 2018-01-12 2021-01-26 安徽华米智能科技有限公司 可穿戴设备的状态监测方法、装置及可穿戴设备
CN109758131A (zh) * 2019-01-30 2019-05-17 陕西中医药大学附属医院 一种穿戴式冠心病检测装置
US10636260B1 (en) * 2019-01-31 2020-04-28 Facebook Technologies, Llc Wearable devices with fluidic mechanisms
US11836410B2 (en) 2019-08-06 2023-12-05 Universal City Studios Llc Interactive headgear
JP7389474B2 (ja) * 2020-02-06 2023-11-30 株式会社oneA 睡眠状態計測装置
JP7452324B2 (ja) * 2020-08-18 2024-03-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動作状態監視システム、訓練支援システム、動作状態監視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12704495B (zh) * 2020-12-30 2023-11-28 深圳市尤迈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血氧检测探头
WO2022208999A1 (ja) * 2021-03-30 2022-10-06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WO2023044271A1 (en) * 2021-09-14 2023-03-23 Kokanee Research Llc Adjustable electronic device
WO2023044274A1 (en) * 2021-09-14 2023-03-23 Kokanee Research Llc Configurable arm tip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4096A (en) 1994-04-21 1998-06-30 Kabushiki Kaisha Sega Enterprises Head mounted display
JPH085953A (ja) 1994-04-21 1996-01-12 Sega Enterp Ltd ヘッドマウンテッドディスプレイ
US5526208A (en) * 1994-08-17 1996-06-11 Quantum Corporation Flex circuit vibration sensor
WO2001012985A1 (en) * 1999-08-12 2001-02-22 Nano Muscle, Inc. Shape-memory alloy actuators and control methods
CN100375307C (zh) * 1999-12-21 2008-03-12 1...有限公司 电活化装置
JP4042340B2 (ja) * 2000-05-17 2008-02-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機器
US20030181116A1 (en) * 2002-03-22 2003-09-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actile feedback device
US20040239624A1 (en) * 2003-04-02 2004-12-02 Artoun Ramian Freehand symbolic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7252313B2 (en) * 2004-03-12 2007-08-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On demand morphable automotive body moldings and surfaces
TWM277958U (en) * 2004-12-31 2005-10-11 Ind Tech Res Inst An flexible displaying device for electronic information includes a device housing
JP2006288663A (ja) 2005-04-08 2006-10-26 Sharp Corp 指輪型生体信号測定装置
US20070132551A1 (en) * 2005-12-12 2007-06-14 Sensory, Inc., A California Corporation Operation and control of mechanical devices using shape memory materials and biometric information
JP2007330638A (ja) 2006-06-16 2007-12-27 Sharp Corp 生体信号測定装置
US7586739B2 (en) * 2006-07-31 2009-09-08 Lenovo (Singapore) Pte. Ltd. Arrangements for averting flat panel display damage
US8232976B2 (en) * 2010-03-25 2012-07-31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Physically reconfigurable input and output systems and methods
US20100253525A1 (en) * 2007-12-20 2010-10-0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uman performance augmentation
US9829977B2 (en) * 2008-04-02 2017-11-28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oint haptic feedback texture systems
US7843277B2 (en) * 2008-12-16 2010-11-30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feedback generation based on resonant frequency
KR20120019471A (ko) * 2009-05-07 2012-03-06 임머숀 코퍼레이션 햅틱 피드백 모양 변경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542105B2 (en) * 2009-11-24 2013-09-24 Immersion Corporation Handheld computer interface with haptic feedback
US8568189B2 (en) * 2009-11-25 2013-10-29 Hallmark Cards, Incorporated Context-based interactive plush toy
KR101067587B1 (ko) * 2010-01-29 2011-09-27 주식회사 팬택 형태 변환 특성이 있는 플렉서블 단말기, 그 형태 변환 방법 및 형태 변환장치
JP2012027541A (ja) * 2010-07-20 2012-02-09 Sony Corp 接触圧検知装置および入力装置
US8948832B2 (en) * 2012-06-22 2015-02-03 Fitbit, Inc. Wearable heart rate monitor
KR101978206B1 (ko) * 2012-06-29 201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116546B2 (en) * 2012-08-29 2015-08-25 Immersion Corporation System for haptically representing sensor input
US9632539B2 (en) * 2012-10-16 2017-04-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utomatic shape adjustment of flexible display
US20140180582A1 (en) * 2012-12-21 2014-06-26 Mark C. Pontarelli Apparatus, method and techniques for wearable navigation device
KR20140122433A (ko) * 2013-04-10 2014-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
US9311792B2 (en) * 2013-09-27 2016-04-12 Nokia Technologies Oy Wearable electronic device
WO2015100333A1 (en) * 2013-12-24 2015-07-02 Polyera Corporation Support structures for an attachable, two-dimensional flexible electronic device
EP3087560B9 (en) * 2013-12-24 2021-08-11 Flexterra, Inc. Support structures for a flexible electronic component
EP3087559B1 (en) * 2013-12-24 2021-05-05 Flexterra, Inc. Support structures for a flexible electronic component
US9412002B2 (en) * 2013-12-26 2016-08-09 Intel Corporation Wear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fingerprint identification display
US10061350B2 (en) * 2013-12-27 2018-08-28 Intel Corporation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shape memory material for opening, closing or adjusting strap portions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9317155B2 (en) * 2013-12-27 2016-04-19 Intel Corporation Ruggedized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20150265214A1 (en) * 2014-03-24 2015-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justable sensor support structure for optimizing skin contact
TWI692272B (zh) * 2014-05-28 2020-04-21 美商飛利斯有限公司 在多數表面上具有可撓性電子組件之裝置
US20160071408A1 (en) * 2014-09-09 2016-03-10 Beijing Lenovo Software Ltd. Wearable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KR102190140B1 (ko) * 2014-09-15 2020-1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 및 이의 휘도 보상 방법
CN104352227B (zh) * 2014-11-07 2017-07-11 英华达(南京)科技有限公司 环形穿戴设备及其松紧度的控制方法
US9851759B2 (en) * 2014-12-31 2017-12-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pivot hinge cover
US9612661B2 (en) * 2015-01-02 2017-04-04 Wearable Devices Ltd. Closed loop feedback interface for wearable devices
US9781984B2 (en) * 2015-03-08 2017-10-10 Apple Inc. Dynamic fit adjustment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s
US10076252B2 (en) * 2015-04-02 2018-09-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izable wrist-worn pressure sensing device
CN105093913B (zh) * 2015-09-21 2018-07-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智能手表、操作控制方法及装置
US10285645B2 (en) * 2015-09-28 2019-05-14 Apple Inc. Sensing contact force related to user wearing an electronic device
US10206623B2 (en) * 2015-09-28 2019-02-19 Apple Inc. Band tightness sensor of a wearable device
USD819020S1 (en) * 2016-06-14 2018-05-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529A (ko) * 2018-12-27 2020-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넥밴드형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52772B2 (en) 2020-12-01
DE112017001571T5 (de) 2018-12-13
CN108882858A (zh) 2018-11-23
WO2017169202A1 (ja) 2017-10-05
US20190101959A1 (en) 2019-04-04
CN108882858B (zh) 2021-10-22
JP2017176198A (ja) 201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3490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US9817481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to display visibility changes responsive to user gestures
US20200097081A1 (en) Neuromuscular control of an augmented reality system
US20170109131A1 (en) Earpiece 3D Sound Localization Using Mixed Sensor Array for Virtual Reality System and Method
US20170111723A1 (en) Personal Area Network Devices System and Method
US11662692B2 (en) Electronic devices and systems
US20180242073A1 (en) Audio Accelerometric Feedback through Bilateral Ear Worn Device System and Method
JP7275036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アクセサリ
US11835798B2 (en) Eyewear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ssistance to a user
JP7011614B2 (ja) 実際の動く動的呼吸のグラフィックと、最適な動く動的呼吸のグラフィックを並べて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
CN111213375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程序
CN109074125A (zh) 信息处理设备、控制方法和程序
JP2018005512A (ja) プログラム、電子機器、情報処理装置及びシステム
JP6535123B2 (ja) 眼球運動検出装置及び眼球運動検出方法
JP6342440B2 (ja) 眼球運動検出装置、眼球運動検出方法、およびアイウエア
US20210149483A1 (en) Selective image capture based on multi-modal sensor input
JP7119145B2 (ja) ウェアラブル機器及び表示方法
KR20200031098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JP6830981B2 (ja) ウェアラブル機器及び表示方法
CN116615704A (zh) 用于姿势检测的头戴式设备
KR102564202B1 (ko) 사용자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해 상호작용하는 가상동물을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7163511A1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
US20240094556A1 (en) Eyewear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assistance to a user
EP434925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lectronic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230070396A (ko) 체온 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방법,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