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839A - 교량 시공 장비 및 상기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교량 시공 장비 및 상기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839A
KR20180113839A KR1020170045478A KR20170045478A KR20180113839A KR 20180113839 A KR20180113839 A KR 20180113839A KR 1020170045478 A KR1020170045478 A KR 1020170045478A KR 20170045478 A KR20170045478 A KR 20170045478A KR 20180113839 A KR20180113839 A KR 20180113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frame
bridge
bridge construction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7956B1 (ko
Inventor
강남철
전지찬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45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956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장비는, 제1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판을 이송하는 제1 이송부; 및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제2 가이드 레일을 이송하는 제2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단부를 향해 이송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 시공 장비 및 상기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CONSTRUCTION EQUIPMENT OF BRIDG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BRIDGE USING THIS SAME}
본 발명은 교량 시공 장비 및 상기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이드 레일 및 상판(또는 보강 거더)을 수평으로 견인하여 설치할 수 있는 교량 시공 장비 및 상기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수교는 주탑 상부를 거쳐서 늘어지게 메인 케이블을 가설하고, 주탑과 주탑 사이로 교량 거더를 배치한 후, 행거 로프를 이용하여 상기 교량 거더를 메인 케이블과 연결하여 구성되는 교량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수교는 주로 협곡이나 강을 서로 연결하는데에도 사용되어 등산로 개설시에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현수교를 시공하는 과정 중에서도, 교량 거더를 설치하는 방법으로는 해상크레인, 리프팅크레인, 교상 크레인 등을 이용하거나, 리프팅잭 등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법들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현수교를 시공하는 방법들은 유속이 빠른 곳에서 교량을 설치하거나, 산의 협곡에서 교량을 설치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인양물의 중량, 인양높이 등이 작업 시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 장소에 많은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2007년 11월 20일에 출원된 KR 10-2007-0118296에는 '현수교 시공방법'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해상 교통을 방해하지 않고 해상 기후의 영향으로부터 독립된 상태로 시공 가능하여 장대교량의 가이드 레일 및 상판 가설의 공기 단축을 유도할 수 있는 교량 시공 장비 및 상기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가이드 레일 및 상판을 수평으로 견인하여 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교량 시공 장비 및 상기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가이드 레일이 상판 시공 시에는 상판의 수송로가 되고 교량의 시공 완료 후에는 교량 구조물의 일부가 될 수 있는 교량 시공 장비 및 상기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가이드 레일을 완공 한 뒤 상판을 설치하여 완공된 교량과 유사한 내풍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강풍 하에서도 상판의 이동 및 가설이 가능할 수 있는 교량 시공 장비 및 상기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상판 가설 전에 가이드 레일 체결 상태에서 Pre-tensioning 값 변경 등 수정이 용이하여 공정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교량 시공 장비 및 상기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상판에 의한 하중이 가로보에 의해 케이블에 직접 전달되어 가이드 레일에는 케이블 장력으로 인한 축력만 작용하게 되어 가이드 레일의 좌굴 가능성이 예방되고, 상판과 가이드 레일이 받는 하중이 독립화되어 수치 해석이 용이할 수 있는 교량 시공 장비 및 상기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교량 시공 비용이 상당히 감소되고, 현수교의 경우 가이드 레일이 하중을 받지 않으므로 제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교량 시공 장비 및 상기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장비는, 제1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판을 이송하는 제1 이송부; 및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제2 가이드 레일을 이송하는 제2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단부를 향해 이송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이송부가 배치되는 중앙 프레임; 및 상기 중앙 프레임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이송부가 배치되는 전방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중앙 프레임의 하측에 유지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전방 프레임의 하측에 유지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제1 이송부는, 상기 중앙 프레임의 양측에 연결된 중앙 파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파지 부재는 상기 상판의 모서리에 인접한 부분을 파지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전방 프레임의 양측에 연결된 전방 파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파지 부재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의 중앙 부분을 파지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중앙 프레임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이송부가 배치되는 후방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후방 프레임의 양측에 연결된 제3 파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는 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롤러는 상기 중앙 프레임과 상기 전방 프레임의 연결 부분 및 상기 중앙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의 연결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또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방법은, 지상으로부터 이격되게 주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상과 상기 주탑 사이에 케이블 및 가로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로보에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 상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가로보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로보의 양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지상으로부터 이격되게 주탑을 시공하는 단계에서, 복수의 주탑을 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주탑 사이에 가이드 케이블을 설치하며, 상기 주탑에 작용하는 하중이 대칭되면 상기 가이드 케이블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 상판을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상판은 상기 가이드 레일이 상기 주탑을 지나 2번째 가이드 레일이 되면 설치하기 시작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주탑으로부터 상기 지상을 향해서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장비 및 상기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에 의하면, 해상 교통을 방해하지 않고 해상 기후의 영향으로부터 독립된 상태로 시공 가능하여 장대교량의 가이드 레일 및 상판 가설의 공기 단축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장비 및 상기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에 의하면, 가이드 레일 및 상판을 수평으로 견인하여 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장비 및 상기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에 의하면, 가이드 레일이 상판 시공 시에는 상판의 수송로가 되고 교량의 시공 완료 후에는 교량 구조물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장비 및 상기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에 의하면, 가이드 레일을 완공 한 뒤 상판을 설치하여 완공된 교량과 유사한 내풍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강풍 하에서도 상판의 이동 및 가설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장비 및 상기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에 의하면, 상판 가설 전에 가이드 레일 체결 상태에서 Pre-tensioning 값 변경 등 수정이 용이하여 공정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장비 및 상기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에 의하면, 상판에 의한 하중이 가로보(또는 침목)에 의해 케이블에 직접 전달되어 가이드 레일에는 케이블 장력으로 인한 축력만 작용하게 되어 가이드 레일의 좌굴 가능성이 예방되고, 상판과 가이드 레일이 받는 하중이 독립화되어 수치 해석이 용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장비 및 상기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에 의하면, 교량 시공 비용이 상당히 감소되고, 현수교의 경우 가이드 레일이 하중을 받지 않으므로 제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장비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장비의 측면도이다.
도 3a 및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장비에 의해 가이드 레일 및 상판이 이송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a 내지 5i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방법에 따른 교량 시공 과정을 도시한다.
도 6a 내지 6e는 케이블 및 가로보에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고 가이드 레일 상에 상판이 설치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장비의 평면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장비의 측면도이고, 도 3a 및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장비에 의해 가이드 레일 및 상판이 이송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1 또는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장비(10)는 프레임(100), 제1 이송부(200) 및 제2 이송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장비(10)는 상판(또는 보강 거더)(G) 및 가이드 레일(R)을 이송 및 가설하기 위한 장비로서,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또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후 방향은 프레임(100)의 주행 방향 또는 교축 방향을 가리키고, 상기 좌우 방향은 프레임(100)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 또는 교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가이드 레일(R)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00)은 중앙 프레임(110), 전방 프레임(120) 및 후방 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프레임(110)은 예를 들어 사각 프레임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프레임(100)의 전체 구조에서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중앙 프레임(110)에는 제1 이송부(200)가 배치될 수 있고, 중앙 프레임(110)의 하측에 상판 또는 보강 거더(G)가 유지 또는 적재될 수 있다.
또한, 중앙 프레임(110)의 전방에는 전방 프레임(12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방 프레임(120)은 중앙 프레임(110)의 양측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 복수 개의 캔틸레버 빔(cantilever beam)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방은 프레임(100)의 주행 방향에서 앞쪽을 가리키고, 후방은 프레임(100)의 주행 방향에서 뒤쪽을 가리킬 수 있다.
전술된 전방 프레임(120)에는 제2 이송부(300)의 전방 파지 부재(310)가 배치될 수 있고, 전방 프레임(120)의 하측에는 가이드 레일(G)이 유지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캔틸레버 빔에는 각각 가이드 레일(G)이 유지되어 전방 프레임(120)에 복수 개, 특히 2개의 가이드 레일(G)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중앙 프레임(110)의 후방에는 후방 프레임(13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방 프레임(130)은 중앙 프레임(110)의 양측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복수 개의 캔틸레버 빔(cantilever beam)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후방 프레임(130)에는 제2 이송부(300)의 후방 파지 부재(320)가 배치될 수 있고, 후방 프레임(130)의 하측에는 가이드 레일(G)이 유지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캔틸레버 빔에는 각각 가이드 레일(G)이 유지되어 후방 프레임(130)에 복수 개, 특히 2개의 가이드 레일(G)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 특히 중앙 프레임(110)의 하면에는 롤러(140)가 장착될 수 있다.
롤러(140)는 프레임(110)을 가이드 레일(G) 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중앙 프레임(110)과 전방 프레임(120)의 연결 부분 및 중앙 프레임(110)과 후방 프레임(130)의 연결 부분에서 기설치된 가이드 레일(R)의 상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롤러(140)의 조향성을 추가함으로써 상판(G) 공장으로부터 상판(G)의 시공 위치까지 단 하나의 장비로 가이드 레일(R) 및 상판(G)의 이송 및 시공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10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가이드 레일(R) 또는 상판(G)을 설치된 지점으로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 특히 중앙 프레임(110)에는 제1 이송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부(200)는 상판(G)을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중앙 파지 부재(210, 220, 230, 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중앙 파지 부재(210, 220, 230, 240)는 예를 들어 4개의 중앙 파지 부재로 마련되어, 상판(G)의 모서리에 인접한 부분을 파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중앙 파지 부재(210, 220, 230, 240)는 중앙 프레임(110)의 일측면에 2개의 중앙 파지 부재(210, 220)가 이격 배치되고, 중앙 프레임(110)의 타측면에 2개의 중앙 파지 부재(230, 240)가 이격 배치될 수 있고, 교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중앙 파지 부재 중 제1 중앙 파지 부재(210)는 예를 들어 상판(G)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 요소(212) 및 상기 받침 요소(212)에 연결된 유압 잭(214)을 포함할 수 있고, 유압 잭(214)의 작동 제어를 통해 받침 요소(212)에 의해 상판(G)이 파지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판(G)이 설치될 지점을 향해 이송 중에는 받침 요소(212)에 의해 상판(G)이 파지되고, 상판(G)이 설치될 지점에 도달되면 받침 요소(212)로부터 분리되어 기설치된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G) 사이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나머지 중앙 파지 부재(220, 230, 24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 개의 중앙 파지 부재(210, 220, 230, 240)의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상판(G)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중앙 파지 부재(210, 220, 230, 240)에 의해 복수 개의 상판(G)이 유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게다가, 복수 개의 중앙 파지 부재(210, 220, 230, 240)에 의해 상판(G)이 기설치된 상판(G)보다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이송되어, 프레임(100)이 기설치된 상판(G) 간의 간섭 없이 가이드 레일(R) 상에서 주행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 특히 전방 프레임(120) 및 후방 프레임(130)에는 제2 이송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부(300)는 가이드 레일(R)을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이드 레일(R)의 중앙 부분을 파지하는 복수 개의 전방 파지 부재(310) 및 복수 개의 후방 파지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전방 파지 부재(310)는 예를 들어 2개의 전방 파지 부재로 마련되어, 전방 프레임(120)의 양측 또는 복수 개의 캔틸레버 빔 각각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전방 파지 부재(310)는 가이드 레일(R)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 요소(312), 상기 받침 요소(312)에 연결된 제1 유압 잭(314) 및 제1 유압 잭(314)과 이격되게 받침 요소(312)에 연결된 제2 유압 잭(31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유압 잭(314) 및 제2 유압 잭(316)의 작동 제어를 통해 받침 요소(312)에 의해 가이드 레일(R)이 파지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R)이 설치될 지점을 향해 이송 중에는 받침 요소(312)에 의해 가이드 레일(R)이 파지되고, 가이드 레일(R)이 설치될 지점에 도달되면 받침 요소(312)로부터 분리되어 기설치된 가이드 레일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후방 파지 부재(310)는 예를 들어 2개의 후방 파지 부재로 마련되어, 후방 프레임(130)의 양측 또는 복수 개의 캔틸레버 빔 각각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후방 파지 부재(320)는 가이드 레일(R)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 요소(322), 상기 받침 요소(322)에 연결된 제1 유압 잭(324) 및 제1 유압 잭(324)과 이격되게 받침 요소(322)에 연결된 제2 유압 잭(32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유압 잭(324) 및 제2 유압 잭(326)의 작동 제어를 통해 받침 요소(322)에 의해 가이드 레일(R)이 파지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R)이 설치될 지점을 향해 이송 중에는 받침 요소(322)에 의해 가이드 레일(R)이 파지되고, 가이드 레일(R)이 설치될 지점에 도달되면 받침 요소(322)로부터 분리되어 기설치된 가이드 레일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된 전방 파지 부재(310) 및 후방 파지 부재(320)의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가이드 레일(R)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방 파지 부재(310) 및 후방 파지 부재(320)에 의해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R)이 유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특히,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전술된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장비(1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이때,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장비(10)를 상부에서 본 모습이고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장비(10)를 하부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우선 주탑(A)에 대하여 케이블(C) 및 가로보(B)(또는 침목(sleeper))가 설치된 후에,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장비(10)는 설치할 가이드 레일(R), 예를 들어 제2 가이드 레일(R2)을 적재하고, 기설치된 가이드 레일(R),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레일(R1)을 따라 주행할 수 있다.
이때, 제2 가이드 레일(R2)은 제1 가이드 레일(R1)의 상부에서 제1 가이드 레일(R1)의 단부를 향해 이송된 후에 제1 가이드 레일(R1)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장비(10)에 제1 가이드 레일(R1)을 설치한 후에 제1 가이드 레일(R1)을 따라 이송하여 제2 가이드 레일(R2)을 설치하고, 제2 가이드 레일(R2)을 따라 이송하여 제3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가이드 레일(R)의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R)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장비(10)는 설치할 상판(G)을 적재하고, 기설치된 가이드 레일(R)을 따라 주행할 수 있다.
이때, 상판(G)은 가이드 레일(R)의 사이 공간 또는 제1 가이드 레일(R1)의 사이 공간 상부에서 상판(G)이 설치될 위치를 이송된 후에 상판(G)이 설치될 위치 또는 특정 가이드 레일(R)의 사이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장비(10)에 의해 가이드 레일(R) 및 상판(G)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장비(10)를 이동식 비계로 교체하여, MSS 공법으로 콘크리트 타설을 수행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장비(10)는 교량 시공을 위해 필요한 가이드 레일(R) 및 상판(G)을 수평으로 견인하여 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며, 해상 교통을 방해하지 않고 해상 기후의 영향으로부터 독립된 상태로 시공 가능하여 장대교량의 가이드 레일 및 상판 가설의 공기 단축을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이 상판 시공 시에는 상판의 수송로가 되고 교량의 시공 완료 후에는 교량 구조물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이상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교량 시공 장비(10)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며,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5a내지 5i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방법에 따른 교량 시공 과정을 도시하고, 도 6a 내지 6e는 케이블 및 가로보에 가이드 레일을 결합하고 가이드 레일 상에 상판이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방법은 해상 현수교와 같은 장대 교량 건설 시 모든 케이블을 설치한 후에, 교량의 시작점에서 제작한 상판을 설치 지점까지 수평으로 견인시켜 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다음과 같이 교량을 시공할 수 있다.
우선, 지상으로부터 이격되게 주탑을 설치하고(S10), 지상과 주탑 사이에 케이블 및 가로보를 설치한다(S20). 그런 다음 가로보에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을 결합하고(S30) 가이드 레일 상에 상판을 설치한다(S40).
특히, 도 5a 내지 5i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교량을 시공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O)으로부터 이격되게 주탑(A1, A2)을 설치한다.
이때, 지상(O)에는 교량을 설치하는 데 필요한 케이블, 가로보, 가이드 레일, 상판 등이 적재될 수 있고, 지상(O)은 접속교 또는 현수교의 앵커리지 등으로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주탑은 복수 개로 마련되어, 제1 주탑(A1)은 지상(O)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제2 주탑(A2)은 제1 주탑(A1)으로 이격 배치되어 지상(O), 제1 주탑(A1) 및 제2 주탑(A2) 사이에 교량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제1 주탑(A1) 및 제2 주탑(A2)이 한 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한 쌍의 제1 주탑(A1) 및 한 쌍의 제2 주탑(A2)으로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도면에는 제1 주탑(A1) 및 제2 주탑(A2)이 도시되었으나, 제2 주탑(A2)으로 이격되게 제3 주탑(A3)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탑(A1)의 상단 및 제2 주탑(A2)의 상단 사이에 가이드 케이블(GC)을 설치하고, 지상(O)과 제1 주탑(A1)의 상단 사이에 제1 케이블(C1) 또는 최외곽 케이블을 설치한다.
이때, 가이드 케이블(GC)에 의해 가이드 레일 설치 시 비대칭적인 시공 순서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주탑에 작용되는 휨 모멘트를 상쇄시켜 주탑의 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O)으로부터 가이드 레일(R)을 공급 받아 지상(O)의 외측부터 설치한다. 가이드 레일(R)은 전술된 교량 시공 장치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레일(R)의 양단에는 제1 케이블(C1) 및 제2 케이블(C2)을 설치되므로, 제1 케이블(C1) 또는 제2 케이블(C2)에 pre-tensioning을 실시하여 교량의 형상을 잡아줄 수 있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O)으로부터 제1 주탑(A1)을 향해 케이블 및 가이드 레일 설치를 반복한다.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경간부 역시 이전의 설치 방향 또는 가설 방향과 동일하게 설치한다.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경간부의 가이드 레일(R)이 2개가 되면 또는 가이드 레일(R)이 제1 주탑(A1)을 지나 2번째 가이드 레일(R)이 되면 제1 주탑(A1) 부분부터 상판(G)을 설치한다.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탑(A1)으로부터 제2 주탑(A2)을 향해 케이블(C)을 설치하고, 제1 주탑(A1)으로부터 지상(O) 또는 제2 주탑(A2)을 향해 상판(G)을 설치한다.
도 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에 의해 제1 주탑(A1)에 작용하는 하중이 대칭으로 되면 가이드 케이블(GC)을 제거한다.
이때, 제1 주탑(A1)을 기준으로 케이블(C), 가이드 레일(R) 및 상판(G)이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G)의 설치가 완료되면 제2 주탑(A2)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케이블(C), 가이드 레일(R) 및 상판(G)을 설치한다.
예를 들어, 교량의 양 측면에서 케이블(C), 가이드 레일(R) 및 상판(G)의 공급이 가능하다면 교량 시공 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고, 경간을 중심으로 대칭적인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사장교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현수교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시공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특히, 도 6a 내지 6e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케이블 및 가로보에 가이드 레일을 결합하고, 가이드 레일 상에 상판을 설치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블(C1)을 제1 가로보(B1)의 양단에 연결한다.
이때, 지상에 전술된 교량 시공 장비가 놓여지는 추가적인 가이드 레일이 배치될 수 있고, 제1 가로보(B1)는 지상 또는 지상의 외측에서 추가적인 가이드 레일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로보(B1)은 교축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1 케이블(C1)의 일단은 제1 가로보(B1)의 양단에 연결되고 제1 케이블(C1)의 타단은 주축(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케이블 및 가로보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가 지상에 배치되거나 기설치된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하여 제1 가이드 레일(R1)을 제1 가로보(B1)의 양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결합한다.
이때, 제1 케이블(C1)에 pre-tensioning을 실시할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레일(R2)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 레일(R1)의 단부에 제2 가로보(B2)을 설치하고, 제2 가로보(B2)에 제2 케이블(C2)을 설치한 다음, 전술된 교량 시공 장비가 제1 가이드 레일(R1) 상에서 제1 가이드 레일(R1)의 단부를 향하여 제2 가이드 레일(R2)을 이송한다. 제2 가이드 레일(R2)이 제1 가이드 레일(R1)의 단부에 도달하면 제1 가이드 레일(R1)의 단부에 제2 가이드 레일(R2)을 결합시킨다.
가이드 레일(R), 케이블(미도시), 및 가로보(B)의 설치를 완료하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R)의 설치가 완료되면, 가이드 레일(R) 상에 상판(G)을 설치한다. 상판(G)은 전술된 교량 시공 장비에 의해 이송될 수 있고, 상판(G)은 주탑 부분부터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시공 방법은 케이블이 설치된 후에는 어떠한 해상 장비도 사용하지 않고 교량의 완공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해상 교통을 방해하지 않고, 해상 기후의 영향으로부터 독립된 상태로 건설이 가능하다.
그리고 전술된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하여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면서 스스로 주행 경로를 만들면서 전진하고, 가이드 레일이 설치된 후에는 전술된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하여 상판을 이용해서 설치할 수 있으며 공기 단축을 실현할 수 있다.
게다가, 가이드 레일을 완공 한 뒤 상판을 설치하여 완공된 교량과 유사한 내풍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강풍 하에서도 상판의 이동 및 가설이 가능할 수 있으며, 상판에 의한 하중이 가로보에 의해 케이블에 직접 전달되어 가이드 레일에는 케이블 장력으로 인한 축력만 작용하게 되어 가이드 레일의 좌굴 가능성이 예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판과 가이드 레일이 받는 하중이 독립화되어 교량에 대한 수치 해석이 용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교량 시공 장비
100: 프레임
200: 제1 이송부
300: 제2 이송부

Claims (9)

  1. 제1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판을 이송하는 제1 이송부; 및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제2 가이드 레일을 이송하는 제2 이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단부를 향해 이송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단부에 연결되는 교량 시공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이송부가 배치되는 중앙 프레임; 및
    상기 중앙 프레임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이송부가 배치되는 전방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중앙 프레임의 하측에 유지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전방 프레임의 하측에 유지되는 교량 시공 장비.
  3. 제2항에 있어서,
    제1 이송부는,
    상기 중앙 프레임의 양측에 연결된 중앙 파지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파지 부재는 상기 상판의 모서리에 인접한 부분을 파지하는 교량 시공 장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전방 프레임의 양측에 연결된 전방 파지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파지 부재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의 중앙 부분을 파지하는 교량 시공 장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중앙 프레임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이송부가 배치되는 후방 프레임;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후방 프레임의 양측에 연결된 후방 파지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교량 시공 장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는 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롤러는 상기 중앙 프레임과 상기 전방 프레임의 연결 부분 및 상기 중앙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의 연결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또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교량 시공 장비.
  7. 지상으로부터 이격되게 주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상과 상기 주탑 사이에 케이블 및 가로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로보에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 상판을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가로보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로보의 양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결합되는 교량 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지상으로부터 이격되게 주탑을 시공하는 단계에서,
    복수의 주탑을 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주탑 사이에 가이드 케이블을 설치하며,
    상기 주탑에 작용하는 하중이 대칭되면 상기 가이드 케이블을 제거하는 교량 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 상판을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상판은 상기 가이드 레일이 상기 주탑을 지나 2번째 가이드 레일이 되면 설치하기 시작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주탑으로부터 상기 지상을 향해서 설치되는 교량 시공 방법.
KR1020170045478A 2017-04-07 2017-04-07 교량 시공 장비 및 상기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KR102047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478A KR102047956B1 (ko) 2017-04-07 2017-04-07 교량 시공 장비 및 상기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478A KR102047956B1 (ko) 2017-04-07 2017-04-07 교량 시공 장비 및 상기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839A true KR20180113839A (ko) 2018-10-17
KR102047956B1 KR102047956B1 (ko) 2019-11-22

Family

ID=64099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478A KR102047956B1 (ko) 2017-04-07 2017-04-07 교량 시공 장비 및 상기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9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1826A (ja) * 1994-07-29 1996-02-13 Shimizu Corp 橋の施工方法および橋の施工装置ならびに主桁ユニット
JP2009191458A (ja) * 2008-02-12 2009-08-27 Jfe Engineering Corp 橋梁の架設装置ならびに床版の架設方法および橋梁の架設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1826A (ja) * 1994-07-29 1996-02-13 Shimizu Corp 橋の施工方法および橋の施工装置ならびに主桁ユニット
JP2009191458A (ja) * 2008-02-12 2009-08-27 Jfe Engineering Corp 橋梁の架設装置ならびに床版の架設方法および橋梁の架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956B1 (ko) 2019-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009B1 (ko) 현수교 거더의 시공방법 및 현수교 거더의 시공장비
CN102182147B (zh) 一种钢箱梁架设方法
JP4897739B2 (ja) 橋梁の桁設置工法及びそれに使われる桁引揚げクレーン、仮桁、桁運搬用車両、桁
JP5572668B2 (ja) 斜ケーブルの取り替え方法及び斜ケーブル取り替え用仮ハンガー
JP4414906B2 (ja) 橋桁の架設および撤去方法と橋桁工事用装置
KR102085994B1 (ko) 런칭 갠트리 크레인을 이용한 교량 거더의 횡방향 양측 동시 인양 방식의 교량 시공방법
JP6702835B2 (ja) 多径間連続橋の橋桁架設方法
JP2008025195A (ja) 斜張橋の施工方法
JP2013174075A (ja) 橋桁の架け替え工法
JP7042706B2 (ja) 床版架設方法
JP6950549B2 (ja) 搬入出方法および搬入出設備
CN111039206B (zh) 一种斜拉桥钢箱梁吊装方法
KR20170040837A (ko) 상탑 설치를 위해 주탑에 가설되는 헤비 리프팅장치
KR20180113839A (ko) 교량 시공 장비 및 상기 교량 시공 장비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KR100627102B1 (ko) 리프팅트레블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교량상부시공방법
KR200363059Y1 (ko) 리프팅트레블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교량상부시공시스템
CN104294763A (zh) 一种移动模架钢筋网片转运装置
CN111576218B (zh) 一种节段箱梁陆地快速转运方法
KR101556310B1 (ko) 단부수직긴장재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JP2009209625A (ja) ケーブル搬送装置
JP4375788B2 (ja) 上路式吊床版橋の構築方法
JP2009097300A (ja) 搬送装置
CN114671265B (zh) 智能化重物移位装置
CN103145047B (zh) 起重机大梁加长装置及方法
CN110792040B (zh) 一种用于分离式桥面板t梁吊装的吊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