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447A - 천장형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천장형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447A
KR20180112447A KR1020170043539A KR20170043539A KR20180112447A KR 20180112447 A KR20180112447 A KR 20180112447A KR 1020170043539 A KR1020170043539 A KR 1020170043539A KR 20170043539 A KR20170043539 A KR 20170043539A KR 20180112447 A KR20180112447 A KR 20180112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discharge panel
air
panel
accommod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4742B1 (ko
Inventor
오기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3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742B1/ko
Publication of KR20180112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24F2001/003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human errors during the installation, use or maintenance, e.g. goofy p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된 토출 패널; 및 상기 토출패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삽입공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체결 부재가 구비된 흡입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공은, 상기 체결부재가 수용되는 제1수용 공간과 연통되는 제1삽입공; 및 상기 제1수용 공간보다 큰 제2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제2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삽입공의 상측에서 상기 토출 패널의 내측 반경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천장형 공기 조화기{CEILING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출패널을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기기이다.
공기조화기는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를 갖는 냉동사이클 장치를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그 설치위치에 따라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와,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와, 천장형 공기조화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로 냉기 또는 온기를 토출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고, 공기토출구에는 실내를 향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는 공기토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작업자가 토출 패널을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구조를 갖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별도의 손잡이가 구비되지 않고 기존 구성을 활용한 손잡이 구조가 구현된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된 토출 패널; 및 상기 토출패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삽입공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체결 부재가 구비된 흡입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공은, 상기 체결부재가 수용되는 제1수용 공간과 연통되는 제1삽입공; 및 상기 제1수용 공간보다 큰 제2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제2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삽입공의 상측에서 상기 토출 패널의 내측 반경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삽입공은 한 쌍이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제2삽입공은 상기 토출패널의 중심축에 대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패널은,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유로 바디; 및 상기 유로바디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삽입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어퍼 체결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바디에는 상기 제1수용 공간 및 제2수용 공간을 각각 형성하는 수용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체결바디에는 상기 제2수용 공간 내부로 상방 돌출된 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의 상단은 상기 제2수용공간의 상면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의 높이는, 상기 제2수용공간의 상면과 상기 제2삽입공 사이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제1삽입공의 형상과 제2삽입공의 형상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어퍼 체결바디에는 상기 제1삽입공과 상기 제2삽입공을 구분 가능한 식별부가 형성되고, 상기 식별부는 상기 제1삽입공보다 상기 제2삽입공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공 및 제2삽입공은 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삽입공은 원형의 가상선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 공간은 상기 제1삽입공의 상측에서 상기 토출 패널의 둘레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 공간은, 상기 제2삽입공의 상측에서 상기 토출 패널의 둘레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체결 영역; 및 상기 제2삽입공의 상측에서 상기 토출 패널의 내측 반경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손잡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결부재는, 상기 흡입 패널에 체결된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와 단차지게 돌출되고,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수용 공간 또는 제2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삽입공은 상기 토출패널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는 제2삽입공으로 손가락을 집어 넣어 토출 패널을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제2삽입공의 내부에 손잡이 구조가 형성되어, 별개의 손잡이를 제작하는데 드는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용부의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제2삽입공에 손가락을 넣었을 때 손가락이 다칠 우려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4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실내기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로어바디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로어바디 어셈블리가 토출패널과 흡입패널로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패널 및 토출패널이 확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삽입공에 체결되었을 때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2삽입공의 확대 저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패널의 제1삽입공과 제1이너 공간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패널의 제2삽입공과 제2이너 공간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저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토출패널(2) 및 흡입패널(3)을 포함한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흡입패널(3)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공조시킨 후 토출패널(2)로 토출시키는 실내기(1)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
실내기(1)는 토출패널(2)과 흡입패널(3)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실내기(1)의 내부에는 열교환기, 가습유닛, 제습유닛, 청정유닛 등의 공조유닛이 설치될 수 있고, 실내기(1)는 공기조화기의 본체일 수 있다.
실내기(1)는 내부에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그 외형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
토출패널(2)에는 공기토출구(25)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은 외둘레(2A)가 원형 형상인 원형 토출패널일 수 있다. 공기토출구(25)는 토출패널(2)에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패널>
흡입패널(3)에는 공기흡입구(31)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패널(3)는 외둘레(3A)가 원형 형상인 원형 흡입패널 어셈블리일 수 있다. 공기흡입구(31)는 흡입패널(3)에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바디 어셈블리>
토출패널(2)은 흡입패널(3)과 결합된 상태에서 실내기(1)에 결합될 수 있다. 토출패널(2)과 흡입패널(3)는 실내기(1)의 하부에 배치되는 로어 바디 어셈블리(L)를 구성할 수 있다.
<실내기의 결합부>
실내기(1)는 천장에 매달리게 설치될 수 있다. 실내기(1)는 천장에 체결되는 앵커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지지될 수 있다. 실내기(1)에는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결합부(12)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실내기의 샤시>
실내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샤시(11)을 포함할 수 있다. 샤시(11)는 실내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실내기 바디일 수 있다.
샤시(11)는 체결부재로 천장에 장착될 수 있다. 샤시(11)에는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체결부재 결합부(12)가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재 결합부(12)는 샤시(11)의 외면에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샤시(11)은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샤시(11)는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내의 공기는 흡입패널(3)의 공기흡입구(31)을 통과하여 실내기(1)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실내기(1)에서 송풍된 공기는 토출패널(2)의 공기토출구(25)를 통과하여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4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실내기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로어바디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로어바디 어셈블리가 토출패널과 흡입패널로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패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패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패널 및 토출패널이 확대 도시된 단면도이다.
실내기(1)에는 송풍기(4) 및 열교환기(5)가 내장될 수 있다. 실내기(1)는 공기를 흡입하여 냉매와 열교환시킨 후 토출패널(2)로 송풍할 수 있다. 실내기(1)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본체를 구성할 수 있다.
<실내기의 이너 흡입공과 이너유로>
실내기(1)에는 흡입패널(3)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실내기(1) 내부로 흡입되는 이너 흡입공(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실내기(1)에는 열교환기(5)를 통과한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복수의 이너유로(7)(8)(9)(1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 이너유로(7)(8)(9)(10)는 실내기(1)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패널(2)로 송풍하는 유로일 수 있다.
실내기(1)는 복수의 이너유로(7)(8)(9)(10)를 통해 그 하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실내기(1)는 복수의 이너유로(7)(8)(9)(10)를 통해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송풍되는 복수의 토출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실내기(1)는 다각형 형상일 수 있고, 복수의 이너유로(7)(8)(9)(10)는 실내기(1)의 저면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실내기(1)는 저면을 통해 하측방향으로 송풍되는 복수의 수직기류를 토출할 수 있다.
<송풍기>
샤시(11)는 내부에 송풍기(4) 및 열교환기(5)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샤시(11)는 전,후,좌,우 네면 각각과 상면이 막히고 저면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송풍기(4)는 샤시(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기(4)는 샤시(11)의 상판에 장착될 수 있다.
송풍기(4)는 적어도 일부가 열교환기(5)의 내부에 위치되게 샤시(11)에 장착될 수 있다.
송풍기(4)는 토출패널(2)의 후술하는 개구부(20) 상측에 위치되게 장착될 수 있다.
송풍기(4)는 그 하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원심방향으로 송풍하는 원심식 송풍기로 구성될 수 있다.
송풍기(4)는 모터(41)와, 모터(41)에 연결된 원심팬(42)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4)는 원심팬(42)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43)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41)은 원심팬(42)에 연결되는 회전축이 하부로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
원심팬(42)은 터보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43)는 샤시(11)의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오리피스(43)는 후술하는 실내기 유로바디(13)에 설치될 수 있다. 이너 흡입공(6)은 오리피스(43)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패널(3)를 통과한 공기는 오리피스(43)의 이너 흡입공(6)을 통과해 원심팬(42)으로 흡입될 수 있고, 원심팬(42)에 의해 원심팬(42)의 원심방향으로 송풍될 수 있다.
원심팬(42)에서 원심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는 원심팬(42)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된 열교환기(5)로 유동될 수 있고, 열교환기(5)와 열교환될 수 있다.
<열교환기>
열교환기(5)는 적어도 1회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열교환기(5)는 샤시(11) 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샤시(1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5)는 샤시(11)의 내부에 사각형 형상 또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5)는 샤시(11)의 내면에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5)와 샤시(11)의 내면 사이에는 공기가 후술하는 이너유로(7)(8)(9)(10)로 안내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5)는 내부에 송풍기(4)가 수용되는 공간(S1)이 형성되게 절곡될 수 있다. 열교환기(5)는 샤시(11)의 서로 상이한 면을 마주보는 4개의 열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5)는 송풍기(4)의 외측에서 송풍기(4)의 외둘레면을 둘러쌀 수 있다.
<실내기 유로바디>
실내기(1)는 실내기(1)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영역과 실내기(1) 내부의 공기가 토출패널(2)로 송풍되는 영역을 구획하는 실내기 유로바디(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 유로바디(13)는 샤시(11)의 내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기 유로바디(13)는 실내기(1)의 저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너 유로의 상세한 구성>
실내기(1)에 형성된 복수의 이너유로(7)(8)(9)(10) 각각은 그 단면 형상이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복수의 이너유로(7)(8)(9)(10) 각각은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일 수 있다.
복수의 이너유로(7)(8)(9)(10)는 이너 흡입공(6)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이너유로(7)(8)(9)(10)는 좌측 이너유로(7)와, 우측 이너유로(8)와, 전방측 이너유로(9)와, 후방측 이너유로(10)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이너유로(7)는 실내기(1)의 좌측면(1A)과 우측면(1B) 중 좌측면(1A)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우측 이너유로(8)는 실내기(1)의 좌측면(1A)과 우측면(1B) 중 우측면(1B)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잇다.
전방측 이너유로(9)는 실내기(1)의 전면(1C)과 배면(1D) 중 전면(1C)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후방측 이너유로(10)은 실내기(1)의 전면(1C)과 배면(1D) 중 배면(1D)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잇다.
복수의 이너유로(7)(8)(9)(10)는 실내기 유로바디(13)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이너유로(7)(8)(9)(10)는 실내기 유로바디(13)와 샤시(11)의 내면 사이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이너유로(7)(8)(9)(10)는 실내기(1)의 하면에 위치가 상이한 네 개의 개구 영역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실내기(1)는 그 토출 방향이 서로 나란한 4개의 수직기류를 형성하는 4 way 토출형 실내기일 수 있다.
<실내기와 토출패널>
토출패널(2)는 실내기(1)에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이너 유로(7)(8)(9)(10)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 안내할 수 있다. 토출패널(2)은 흡입패널(3)와 함께 실내기(1)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패널(2)는 실내기(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이너유로(7)(8)(9)(10)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 안내할 수 있다.
토출패널(2)는 실내기(1)에서 서로 나란한 네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를 받아 토출패널(2)의 하부 주변으로 토출 안내할 수 있다.
토출패널(2)는 실내기(1)에서 수직방향 특히, 하측방향으로 송풍된 공기의 기류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H1)으로 전환하여 토출 안내할 수 있다.
실내기(1)에서 수직방향 특히, 하측방향으로 송풍된 공기의 기류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H)과 예각의 경사각(θ)을 갖는 하측 경사방향(H2)으로 전환하여 토출 안내할 수 있다.
<토출패널의 토출유로>
토출패널(2)에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에는 복수의 이너유로(7)(8)(9)(10)와 연통되는 복수의 입구(21)(22)(23)(24)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에는 호 형상 또는 원 형상인 공기토출구(25)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에는 복수의 입구(21)(22)(23)(24)와 공기토출구(25)를 연결하는 연결유로(26)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입구(21)(22)(23)(24)와 연결유로(26)와 공기토출구(25)는 토출패널(2)에 형성되어 실내기(1)에서 송풍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 안내하는 토출유로일 수 있다.
<입구>
토출패널(2)에 형성된 입구(21)(22)(23)(24)는 실내기(1)에 형성된 이너유로(7)(8)(9)(10)와 1:1 대응될 수 있다.
토출패널(2)에 형성된 입구(21)(22)(23)(24)는 좌측 이너유로(7)와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좌측 입구(21)와, 우측 이너유로(8)와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우측 입구(22)와, 전방측 이너유로(9)와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전방측 입구(23)와, 후방측 이너유로(10)와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후방측 입구(2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입구(21)(22)(23)(24) 각각의 단면 크기는 복수의 이너유로(7)(8)(9)(10) 각각의 단면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입구(21)(22)(23)(24)의 단면 형상은 이너유로(7)(8)(9)(1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입구(21)(22)(23)(24)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입구(21)(22)(23)(24)의 단면 형상은 이너유로(7)(8)(9)(10)의 단면 형상과 같이, 사각형 특히, 직사각형 일 수 있다.
<공기토출구>
공기토출구(25)는 연결유로(26)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패널(2)의 외부로 토출되는 개구부일 수 있다.
공기토출구(25)는 입구(21)(22)(23)(24) 보다 개수가 작을 수 있다. 공기토출구(25)는 복수개 입구(21)(22)(23)(24) 각각 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공기토출구(25)가 호 형상일 경우, 공기토출구(25)는 토출패널(2)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25)가 호 형상일 경우, 복수의 공기토출구(25)는 원형 가상선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25)가 호 형상일 경우, 호 형상은'C'자 형상과 같은 우호 형상이나 열호 형상이나 반원 형상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공기토출구(25)가 원형일 경우, 공기토출구(25)는 토출패널(2)에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토출구(25)의 원형은 타원 형상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고, 단면 형상이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는 실내기(1)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실내로 노출될 수 있고, 공기토출구(25)는 실내로 노출될 수 있다.
<연결유로>
연결유로(26)는 입구(21)(22)(23)(24)로 유입된 공기를 공기토출구(25)로 안내할 수 있다.
연결유로(26)는 복수의 입구(21)(22)(23)(24)로 흡입된 공기의 기류를 전환하여 공기토출구(25)로 안내하는 기류전환 토출통로일 수 있다. 연결유로(26)는 복수의 입구(21)(22)(23)(24)로 흡입된 공기를 혼합하여 공기토출구(25)로 안내하는 기류혼합 토출통로일 수 있다.
복수의 입구(21)(22)(23)(24)는 연결유로(26)의 공기 유동방향 일단에 위치할 수 있고, 공기토출구(25)는 연결유로(26)의 공기 유동방향 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유로(26)는 수평방향 단면 형상이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유로(26)는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유로(26)는 수직기류를 수평기류를 전환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 단면 형상이 굽은 형상일 수 있다.
<토출패널의 상세한 구성>
토출패널(2)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은 어퍼 체결바디(62)와, 어퍼 체결바디(62)와 결합되고 공기토출구(25)가 형성된 유로 바디(50)(60)(70)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체결바디>
어퍼 체결바디(62)에는 흡입패널(3)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P)가 형성될 수 있다. 통로(P)는 개구부(20)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고, 개구부(20)와 연통될 수 있다.
어퍼 체결바디(62)는 유로 바디(50)(60)(70) 중 후술하는 이너 유로바디(60)와 결합될 수 있다.
어퍼 체결바디(62)는 보강바디일 수 있다.
어퍼 체결바디(62)는 이너 유로바디(60)의 하면에 결합되는 로어보강바디(62A)와, 이너 유로바디(60)의 중공부(68)로 내삽된 상부보강바디(62B)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보강바디(62A)는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된 링형 판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보강바디(62B)는 로어보강바디(62A)의 내둘레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보강바디(62B)는 중공 통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체결바디(62)의 통로(P)는 상부보강바디(62B)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체결바디(62)는 상부보강바디(62B)에 돌출된 강도보강리브(6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강도보강리브(62C)는 이너 유로바디(60)의 내둘레면에 형성된 끼움슬롯에 삽입될 수 있고, 이너 유로바디(60)와 결합될 수 있다.
어퍼 체결바디(62)는 흡입 패널(3)의 후술하는 로어 체결바디(120)와 결합될 수 있다.
어퍼 체결바디(62)에는 로어 체결바디(120)에 구비된 체결부재(160)가 삽입되는 삽입공(80)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80)은 로어보강바디(62A)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80)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제1삽입공(81)과 제2삽입공(82)을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복수개의 삽입공(80) 중 일부는 제1삽입공(81)일 수 있고 다른 일부는 제2삽입공(82)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삽입공(82)은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삽입공(81) 및 제2삽입공(82)에는 체결부재(160)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2삽입공(82)은 토출패널(2)의 손잡이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삽입공(80)은 호 형상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삽입공(80)은 어퍼 체결바디(62)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호 형상일 수 있다.
제1삽입공(81)과 제2삽입공(82)의 형상은 동일할 수 있다.
어퍼 체결바디(62)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파지부(85)가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85)는 어퍼 체결바디(62) 중 로어 보강바디(62A)에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85)는 제2삽입공(82)의 내측 모서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는, 파지부(85)는 제2삽입공(82)의 내측 모서리에서 어퍼 체결바디(65)의 내측 반경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파지부(85)는 상부보강바디(92B)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파지부(85)의 개수와 제2삽입공(82)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각 파지부(85)는 제1삽입공(81)보다 제2삽입공(82)에 더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65)는 호 형상일 수 있다. 파지부(65)는 어퍼 체결바디(62)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호 형상일 수 있다.
<유로 바디>
유로 바디(50)(60)(70)은 메인 유로바디(50)와, 메인 유로바디(50)와 결합된 이너 유로바디(6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50)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개구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50)는 외둘레와 개구부(20)의 사이에 복수의 입구(21)(22)(23)(24)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0)는 흡입패널(3)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기(1)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개구부(20)는 흡입패널(3)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고, 실내기(1)의 이너 흡입공(6)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
메인 유로바디(50)는 개구부(20)가 형성된 어퍼 바디부(51)와, 어퍼 바디부(51) 보다 높이가 낮고 어퍼 바디부(51) 보다 큰 아우터 바디부(52)와, 어퍼 바디부(51)와 아우터 바디부(52)를 잇는 연결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바디부(51)는 중앙에 개구부(2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바디부(51)는 폐루프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바디부(51)는 후술하는 아우터 커버(70)와 함께 연결유로(26)의 상부유로를 구성할 수 있고, 아우터 커버(70)와 함께 입구(21)(22)(23)(24)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우터 바디부(52)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장착부(56)과, 장착부(56)의 내둘레에 형성된 아우터 가이드(54)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56)는 고리형 판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56)에는 아우터 커버(70)와 데코 커버(90)와 승강가이드(94)가 장착될 수 있다.
연결부(53)은 상부가 어퍼 바디부(51)에 연결될 수 있고, 하부가 아우터 바디부(52)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53)는 상부가 어퍼 바디부(51)의 외둘레에 연결될 수 있고, 하부가 아우터 바디부(52)의 상단에 여결될 수 있다. 연결부(53)는 하부가 아우터 가이드(54)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53)는 어퍼 바디부(51)와 아우터 바디부(52) 사이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52)는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53)의 개수는 입구(21)(22)(23)(24)의 개수와 같을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50)는 내부에 저면이 개방된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50)는 아우터 가이드(54)의 내측에 저면이 개방된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50)의 공간(S2)은 개구부(20)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50)의 공간(S2)은 연결부(53) 및 아우터 가이드(54)에 의해 둘러싸이는 빈 공간일 수 있다.
메인 유로 바디(50)는 에어가이드(92)가 통과하는 슬릿(57)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57)은 공기토출구(25)의 옆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슬릿(57)은 아우터 바디부(52)에 형성될 수 있다. 슬릿(57)은 아우터 바디부(52) 중 장착부(56)에 형성될 수 있다. 슬릿(57)은 에어가이드(92)와 형상이 동일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92)의 형상이 호 형상일 경우, 슬릿(57)은 호 형상일 수 있다. 슬릿(57)은 에어가이드(92) 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슬릿(57)의 개수는 에어가이드(92)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아우터 바디부(52)는 이너 유로바디(60)와 연결유로(26)의 하부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
이너 유로바디(60)는 개구부(20)의 주변에 결합되어 메인 유로바디(50)와 연결유로(26) 및 공기토출구(25)를 형성할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는 그 상면이 개구부(20)의 주변에 결합될 수 잇다. 이너 유로바디(60)는 상단이 어퍼 바디부(5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는 상부가 메인 유로바디(50)의 공간(S2)에 삽입되어 수용되고 하단이 메인 유로바디(50) 보다 낮을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는 하부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는 중공부(68)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는 외둘레면의 적어도 일부가 메인 유로바디(50)를 마주보게 배치되어 메인 유로바디(50)와 공기토출구(25) 및 연결유로(26)를 형성할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에는 이너 가이드(6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64)의 상단(66)은 아우터 가이드(54)를 수평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그리고, 이너 가이드(64)의 하단(67)은 아우터 가이드(54)를 상하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에는 오목하게 함몰된 이너 곡면(6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64)는 이너 곡면(65)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토출구(25)는 이너 유로바디(60)의 하부 외둘레와 메인 유로바디(5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우터 커버>
유로바디(50)(60)(70)은 이너 유로(11)(12)(13)(14)를 통과한 공기를 연결유로(26)로 안내하는 아우터 커버(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커버(70)는 메인 유로바디(50)과 결합될 수 있고, 메인 유로바디(50)와 함께 입구(21)(22)(23)(24)를 형성할 수 있다.
<데코 커버>
토출패널(2)은 유로 바디(50)(60)(70)에 결합된 데코 커버(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코 커버(90)는 토출패널(2)의 일부이고, 데코 버버(90)의 외둘레는 토출패널(2)의 외둘레(2A)가 될 수 있다. 데코 커버(90)의 외둘레는 원형일 수 있다. 그리고, 데코 커버(90)의 저면은 평면일 수 있다.
데코 커버(90)는 장착부(56)의 저면을 덮게 배치될 수 있다. 데코 커버(90)는 중앙에 중공부(93)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93)는 슬릿(57)이 외부로 노출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데코 커버(90)는 메인 유로바디(50)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토출패널과 흡입패널>
한편, 토출패널(2)은 어퍼 체결바디(62)와, 이너 유로 바디(60) 중 적어도 하나에 흡입패널(3)에 삽입공(80)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80)에는 흡입패널(3)에 구비된 채결부재(160)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흡입패널(3)는 토출패널(2)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흡입패널(3)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패널(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흡입패널(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패널(2)에서 토출패널(2)의 하측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흡입패널(3)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31)가 형성되고, 공기 흡입구(31)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채결부재(160)가 구비될 수 있다.
<흡입패널의 상세한 구성>
흡입패널(3)은 공기흡입구(31)가 형성된 흡입그릴(110), 흡입그릴(110)에 장착되는 로어 체결바디(12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패널(3)은 외둘레가 원형인 필터(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그릴>
흡입그릴(110)은 공기흡입구(31)가 다수개 형성되고 어퍼 체결바디(62)의 저면을 덮는 로어 흡입바디(112)와; 로어 흡입바디(112)의 외둘레에서 상향 돌출되어 유로 바디의 하단 외둘레를 둘러싸는 아우터 링(114)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흡입바디(112)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 흡입바디(112)는 중앙부(112A)가 통로(P)를 마주볼 수 잇다. 로어 흡입바디(112)는 외둘레부(112B)가 이너 유로바디(60)의 저면을 마주볼 수 있다.
공기흡입구(31)는 로어 흡입바디(112)의 중앙에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31)는 통로(P)를 마주보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31)는 로어 흡입바디(112) 중 통로(P)를 마주보는 영역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링(11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 흡입바디(112)의 상면과 이너 유로바디(60)의 저면 사이의 틈을 가릴 수 있다. 아우터 링(114)의 상단은 이너 가이드(64)의 하단(67)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로어 체결바디>
로어 체결바디(120)는 호 형상 또는 원 형상일 수 있다.
로어 체결바디(120)가 호 형상일 경우, 흡입패널(3)는 복수개의 로어 체결바디(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로어 체결바디(120)는 원형의 가상선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로어 체결바디(120)는 원 형상일 경우, 흡입패널(3)은 단일의 로어 체결바디(12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체결바디(120)는 흡입그릴(110) 중 로어 흡입바디(11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필터(130)는 원형의 아우터 지지대(131)와, 아우터 지지대(131) 보다 크기가 작고 아우터 지지대(131)의 내측에 위치하는 이너 지지대(132)와, 아우터 지지대(132)와 이너 지지대(131)를 잇는 연결 지지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130)는 연결 지지대(133)에 올려지고 공기가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먼지가 걸러지는 필터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지지대(131)는 필터(130)의 외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필터(130)는 로어 체결바디(120)에 회전식으로 장착, 분리될 수 있다. 즉, 로어 체결바디(120)는 필터 마운터일 수 있다.
필터(130)는 흡입그릴(110)의 상측에 위치되게 로어 체결바디(120)에 올려질 수 있고, 로어 체결바디(120)에 안착된 상태에서 필터(13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로어 체결바디(120)에 끼워질 수 있다.
<필터와 로어 체결바디>
흡입패널(3)는 필터(130)를 로어 체결바디(120)에 돌려 끼우는 필터 끼움부(140)(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끼움부(140)(150)는 필터(130)와 로어 체결바디(12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필터(130)는 필터(130)의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로어 체결바디(120)에 끼워질 수 있다. 필터(130)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로어 체결바디(120)에 장착될 수 있다. 필터(130)는 그 장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로어 체결바디(1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필터 끼움부(140)(150)는 필터(130)와 로어 체결바디(12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140)와, 필터(130)가 로어 체결바디(12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돌출부(140)를 구속하는 끼움 레일(15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둘레가 원형인 필터(130)는 수평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어 로어 체결바디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흡입패널(3)는 필터(13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직선 형상인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필요할 수 있다. 그리고, 흡입패널(3)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직선 이동된 필터가 임의 탈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사이에 배치된 필터를 구속하는 스토퍼를 별도로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패널(3)가 가이드 레일과 스토퍼를 모두 포함할 경우, 흡입패널 어셈블리는 가이드 레일의 높이만큼 그 전체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고, 부품수가 많아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필터(130)가 로어 체결바디(120)에 돌려 끼워질 경우, 필터(130)는 흡입그릴(110)과 로어 체결바디(120) 중 적어도 하나에 안착된 후 소정 각도 회전되어 장착될 수 있고, 이 경우 흡입패널(3)의 전체 높이는 최소화될 수 있다.
필터(130)는 필터 끼움부(140)(150)에 의해 로어 체결바디(120)에 장착되었을 때, 그 전부 또는 일부가 공기흡입구(31)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고, 공기흡입구(31)을 통과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공기흡입구(31)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먼지 등의 이물질은 필터(130)를 통과하면서 걸러질 수 있다.
<체결부재>
한편, 흡입패널(3)은 외둘레(3A)가 원형 형상인 원형 흡입패널일 수 있고, 흡입패널(3)은 토출패널(2)에 회전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흡입패널(3)는 토출패널(2)에 착탈되는 체결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160)는 흡입그릴(110)와 로어 체결바디(12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재(160)는 흡입그릴(110)와 로어 체결바디(120) 중 적어도 하나와 고정된 상태에서, 토출패널(2)에 걸릴 수 있고, 흡입패널(3)은 체결부재(160)가 토출패널(2)에 걸렸을 때, 토출패널(2)에 지지될 수 있다. 흡입패널(3)는 체결부재(160)에 의해 토출패널(2)에 지지될 수 있다.
흡입패널(3)는 체결부재(160)가 토출패널(2)에 걸려서 장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토출패널(2)에는 체결부재(160)가 삽입되는 삽입공(80)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80)은 어퍼 체결바디(62)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160)는 삽입공(80)에 삽입되어 삽입공(80)의 주변(62E)에 걸릴 수 있다.
토출패널(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80)으로 삽입된 체결부재(160)를 수용하는 수용홈(69)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홈(69)은 유로 바디(50)(60)(70)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69)은 유로 바디(50)(60)(70) 중 이너 유로바디(60)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69)은 이너 유로바디(60)의 저면에 함몰된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160)는 흡입그릴(110)과 로어 체결바디(120) 중 적어도 하나와 체결된 상태에서, 토출패널(2)에 매달리게 걸릴 수 있다.
체결부재(160)는 흡입그릴(110)과 로어 체결바디(120) 중 적어도 하나와 고정부재(S)로 체결되는 고정부(162)와, 고정부(162)와 단차지게 돌출되어 로어 체결바디(120)와 이격되고 삽입공(80)으로 삽입되어 삽입공(80)의 주변(62E)에 걸리는 걸이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
한편, 공기조화기는 공기토출구(25)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가이드(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92)는 유로 바디(50)(60)(70)에 승강되게 배치되어 공기토출구(25)로 토출된 공기의 기류를 가변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92)는 유로 바디(50)(60)(70) 중 메인 유로바디(50)에 승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92)의 하강시, 공기토출구(25)로 토출된 공기는 에어가이드(92)에 부딪힌 후, 에어가이드(92)가 안내하는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92)의 상승시, 공기토출구(25)로 토출된 공기는 에어가이드(92)의 하단을 지날 수 있다. 에어가이드(92)는 승강되면서 공기의 유로를 전환할 수 있는 유로가이드일 수 있다.
에어가이드(92)는 토출패널(2)에 형성된 슬릿(57)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슬릿(57)은 유로 바디(50)(60)(70) 중 메인 유로바디(50)에 형성될 수 있다. 슬릿(57)는 메인 유로바디(50)의 장착부(56)에 형성될 수 있다.
<승강 가이드 및 승강기구>
공기조화기는 에어가이드(92)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9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에어가이드(92)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9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구(96)는 메인 유로바디(50)와 아우터 커버(70)와 승강가이드(94)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92)에는 랙(93)이 형성될 수 있다.
승강기구(96)은 랙(93)에 치합된 피니언(97)과, 피니언(97)을 회전시키는 모터(9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삽입공에 체결되었을 때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체결부재(160)은 후크일 수 있고, 삽입공(80)은 후크 삽입공일 수 있다.
<체결 보스>
흡입그릴(110)에는 고정부재(S)가 체결되는 고정보스(113)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흡입 그릴의 로어 흡입바디(112)에는 고정보스(1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하우징>
로어 체결바디(120)는 고정보스(113)를 둘러싸고 고정부재(S)가 관통되는 이너 관통공(121)이 형성된 이너 하우징(122)이 돌출될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
체결부재(160)의 고정부(162)는 이너 하우징(122)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이너 하우징(122)을 에워싸고 고정부재(S)가 관통되는 아우터 관통공(161)이 형성된 아우터 하우징(163)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그릴, 로어 체결바디 및 체결부재의 결합>
고정보스(113)는 체결부재(160)와 로어 체결바디(120)를 흡입그릴(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로어 체결바디(120)는 흡입그릴(110)에 안착될 때, 이너 하우징(122)이 고정보스(113)를 에워쌀 수 있다.
체결부재(160)는 아우터 하우징(163)이 이너 하우징(122)을 에워싸게 로어 체결바디(120)에 올려질 수 있다.
고정부재(S)는 아우터 하우징(163)의 아우터 관통공(161) 및 이너 하우징(122)의 이너 관통공(121)을 차례로 관통하고 고정보스(113)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와 삽입공>
작업자는 흡입패널(3)를 손으로 잡고, 토출패널(2)의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체결부재(160)를 삽입공(80)의 아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흡입패널(3)을 상승시키면서 체결부재(160)의 걸이부(164)를 삽입공(80)으로 삽입할 수 있고, 체결부재(160)의 걸이부(164)가 삽입공(80)으로 삽입되면, 흡입패널(3)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체결부재(160)는 흡입패널(3)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 걸이부(164)가 삽입공(80)의 주변(62E) 위로 올려져 안착될 수 있고, 체결부재(160)는 걸이부(164)가 삽입공(80)의 주변(62E)에 매달릴 수 있다.
체결부재(160)가 삽입공(80)의 주변(62E)에 매달린 상태에서, 흡입 패널(3)을 상기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 체결부재(160)의 걸이부(164)는 삽입공(80)의 위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가 흡입 패널(3)을 하강시키면 체결부재(160)의 걸이부(164)는 삽입공(80)을 통과하여 삽입공(80)의 아래로 빠져나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패널의 저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2삽입공의 확대 저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패널의 제1삽입공과 제1이너 공간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패널의 제2삽입공과 제2이너 공간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삽입공>
토출패널(2)에는 복수개의 삽입공(80)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삽입공(80)은 어퍼 체결바디(62) 또는 토출패널(2)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각 삽입공(80)의 형상 및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각 삽입공(80)은 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원형의 가상선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삽입공(80)은 제1삽입공(81)과 제2삽입공(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삽입공(81)은 체결부재(160)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83)과 연통될 수 있고, 제2삽입공(82)은 제1수용공간(83)과 형상이 상이한 제2수용공간(84)과 연통될 수 있다.
제1삽입공(81)과 제2삽입공(82) 각각에는 체결부재(160)가 삽입될 수 있다.
제2삽입공(82)는 손잡이의 기능을 겸할 수 있고, 작업자가 토출패널(2)을 양 손으로 들 수 있도록 하기위해 제2삽입공(82)는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삽입공(82) 각각은 토출패널(2)의 중심축(C)에 대해 서로 대칭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각 제2삽입공(82)에 양 손의 손가락을 각각 집어 넣어 안정적으로 토출패널(2)을 들어올릴 수 있다.
<식별부>
토출패널(2)에는 제1삽입공(81)과 제2삽입공(82)을 구분 가능한 식별부(89)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어퍼 체결바디(62)에는 식별부(89)가 형성될 수 있다.
식별부(89)는 제1삽입공(81)보다 제2삽입공(82)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2삽입공(82)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식별부(89)의 크기 및 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부(89)는 어퍼 체결바디(62)의 저면에 형성된 '손잡이'라고 새겨진 각인일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서로 형상이 동일한 제1삽입공(81)과 제2삽입공(82)을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
<수용공간>
각 삽입공(80)은 각 수용공간(83)(84)과 연통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삽입공(81)은 제1수용공간(83)과 연통되고, 제2삽입공(82)은 제2수용 공간(84)과 연통될 수 있다.
각 수용공간(83)(84)은 유로바디(50)(60)(70)에 형성된 수용홈(69)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이너 유로바디(60)의 저면에 형성된 수용홈(69)은 제1수용공간(83)과 제2수용공간(84)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제2수용공간(84)에는 작업자의 손가락이 들어올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제2수용공간(84)을 형성하는 수용홈(69)의 모서리(69a)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각 수용공간(83)(84)은 삽입공(80)의 상측에서 토출 패널(2)의 둘레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흡입 패널(3)을 토출 패널(2)에 대해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결부재(160)의 걸이부(164)가 삽입공(80)의 위에서 삽입공(80)의 주변(62E)에 걸릴 수 있다. 이 때 삽입공(80)의 주변(62E)은 어퍼 체결바디(62)의 상면일 수 있고, 수용공간(83)(84)의 바닥면일 수 있다.
제1수용공간(83)은 제2수용공간(84)은 서로 형상이 상이할 수 있다. 제2수용공간(84)은 제1수용공간(83)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제2수용공간(84)에 손잡이 구조를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각 수용공간의 형상>
제1삽입공(81)과 연통된 제1수용공간(83)은, 제2삽입공(82)과 연통된 제2수용공간(84)과 형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1수용공간(83)은 제1삽입공(81)의 상측에서 토출패널(2)의 둘레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용공간(83)은 제1삽입공(81)의 상측에서 토출패널(2)의 반경방향에 대해 함몰되지 않을 수 있다.
제2수용공간(84)의 적어도 일부는 제2삽입공(82)의 상측에서 토출 패널(2)의 내측 반경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수용공간(84)는 제2삽입공(82)의 상측에서 토출 패널의 둘레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체결 영역(84a)과, 제2삽입공의 상측에서 토출 패널의 내측 반경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손잡이 영역(8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삽입공(82)으로 삽입된 체결부재(160)의 걸이부(164)는 체결 영역(84a)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제2삽입공(82)에 손가락을 넣어 제2수용공간(84)에서 내측 반경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손잡이 영역(84b)을 잡을 수 있고, 별개의 손잡이를 제작하는데 드는 제작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제1수용공간(83)은 체결 영역만을 포함하고 손잡이 영역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파지부>
어퍼 체결바디(62)에는 제2수용공간(84) 내부로 상방 돌출된 파지부(85)가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85)는 어퍼 체결바디(62)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85)는 어퍼 체결바디(6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85)는 제2삽입공(82)의 내측 모서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파지부(85)는 제2삽입공(82)의 상측보다 어퍼 체결바디(62)의 내측 반경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파지부(85)는 제2수용공간(84)의 손잡이 영역(84b)에 위치할 수 있다.
파지부(85)의 상단(86)은 제2수용공간(84)의 상면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파지부(85)의 높이(h1)는 제2수용공간(84)의 상면과 제2삽입공(82) 사이의 높이(h2)보다 낮을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의 손가락 끝이 제2수용공간(84)의 상면과 파지부(85)의 상단(86) 사이로 들어갈 수 있고, 작업자는 파지부(85)를 파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토출 패널 3: 흡입 패널
62: 어퍼 체결바디 69: 수용홈
80: 삽입공 81: 제1삽입공
82: 제2삽입공 83: 제1수용공간
84: 제2수용공간 84a: 체결영역
84b: 손잡이 영역 85: 파지부
89: 식별부 120: 로어 체결바디
160: 체결부재

Claims (15)

  1.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된 토출 패널; 및
    상기 토출패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삽입공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체결 부재가 구비된 흡입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공은,
    상기 체결부재가 수용되는 제1수용 공간과 연통되는 제1삽입공; 및
    상기 제1수용공간보다 큰 제2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제2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삽입공의 상측에서 상기 토출 패널의 내측 반경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공은 한 쌍이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제2삽입공은 상기 토출패널의 중심축에 대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패널은,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유로 바디; 및
    상기 유로바디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삽입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어퍼 체결바디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 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바디에는 상기 제1수용 공간 및 제2수용 공간을 각각 형성하는 수용홈이 마련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체결바디에는 상기 제2수용 공간 내부로 상방 돌출된 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의 상단은 상기 제2수용공간의 상면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천장형 공기 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높이는, 상기 제2수용공간의 상면과 상기 제2삽입공 사이의 높이보다 낮은 천장형 공기 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공의 형상과 제2삽입공의 형상은 동일한 천장형 공기조화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체결바디에는 상기 제1삽입공과 상기 제2삽입공을 구분 가능한 식별부가 형성되고,
    상기 식별부는 상기 제1삽입공보다 상기 제2삽입공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공 및 제2삽입공은 호 형상인 천장형 공기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삽입공은 원형의 가상선을 따라 배치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 공간은 상기 제1삽입공의 상측에서 상기 토출 패널의 둘레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천장형 공기 조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 공간은,
    상기 제2삽입공의 상측에서 상기 토출 패널의 둘레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체결 영역; 및
    상기 제2삽입공의 상측에서 상기 토출 패널의 내측 반경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손잡이 영역을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 조화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결부재는,
    상기 흡입 패널에 체결된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와 단차지게 돌출되고,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수용 공간 또는 제2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걸이부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삽입공은 상기 토출패널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0170043539A 2017-04-04 2017-04-04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102354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539A KR102354742B1 (ko) 2017-04-04 2017-04-04 천장형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539A KR102354742B1 (ko) 2017-04-04 2017-04-04 천장형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447A true KR20180112447A (ko) 2018-10-12
KR102354742B1 KR102354742B1 (ko) 2022-01-25

Family

ID=63876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539A KR102354742B1 (ko) 2017-04-04 2017-04-04 천장형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7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0241A (zh) * 2019-05-17 2019-08-23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空调器及用于空调器制冷的导风板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1136A (ja) * 1998-09-30 2000-04-18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20050113319A (ko) * 2004-05-27 200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정형 공기조화기
KR20090094658A (ko) * 2008-03-03 2009-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그릴
KR20100054618A (ko) * 2008-11-14 2010-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1136A (ja) * 1998-09-30 2000-04-18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20050113319A (ko) * 2004-05-27 200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정형 공기조화기
KR20090094658A (ko) * 2008-03-03 2009-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그릴
KR20100054618A (ko) * 2008-11-14 2010-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0241A (zh) * 2019-05-17 2019-08-23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空调器及用于空调器制冷的导风板控制方法
CN110160241B (zh) * 2019-05-17 2022-07-12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空调器及用于空调器制冷的导风板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742B1 (ko)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0958B1 (ko) 공기조화기
KR102610037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US20080188175A1 (en) Air circulator with releasable air grille
AU2018327937A1 (en) Ceiling-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10662923B (zh) 吊顶式空气调节设备用空气引导件及具备其的吊顶式空气调节设备
KR102285835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20180112447A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20180113711A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102285819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282432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102629027B1 (ko) 공기조화기
KR102643399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62902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637783B1 (ko) 공기조화기
KR10264340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90043361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KR102633180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27559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278985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282476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10216546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80113734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80115168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CA2578329A1 (en) Air circulation with releasable air grille
KR102643410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