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408A - Vertical taking off and landing aircraft having rotary wing and fixed wing - Google Patents

Vertical taking off and landing aircraft having rotary wing and fixed w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1408A
KR20180111408A KR1020170056530A KR20170056530A KR20180111408A KR 20180111408 A KR20180111408 A KR 20180111408A KR 1020170056530 A KR1020170056530 A KR 1020170056530A KR 20170056530 A KR20170056530 A KR 20170056530A KR 20180111408 A KR20180111408 A KR 20180111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rotor blades
wing
main body
l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5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철기
방기식
Original Assignee
홍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철기 filed Critical 홍철기
Publication of KR20180111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4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24Alkaline accumulators
    • H01M10/30Nickel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4Gastight accumulators
    • H01M10/345Gastight metal hydride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H01M10/635Control systems based on ambient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o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takeoff/landing aircraft having a rotary wing and a fixed wing.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takeoff/landing aircraft having a rotary wing and a fixed wing. To this end, one or more rotary wings are provided on at least a part of a main body part, and one or more rotary wings are installed on a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part to have the rotary wing and the fixed wing. Therefore, depending on the flight mode of the aircraft, it is possible to use the rotary wing and the fixed wing flexibly.

Description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VERTICAL TAKING OFF AND LANDING AIRCRAFT HAVING ROTARY WING AND FIXED WING}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having a rotating wing and a fixed wing,

본 발명은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하나 이상의 회전익을 설치하고 본체부의 측면부에 하나 이상의 고정익을 설치하여 회전익과 고정익을 함께 구비함으로써, 비행체의 비행 모드에 따라 회전익과 고정익을 유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having a flywheel and a fixed wing.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take-off landing aircraft having at least one flywheel on at least a part of a main body, And a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having a flywheel and a fixed wing that can use the flywheel and the flywheel flexibly according to the flight mode of the flywheel.

일반적으로, 무인비행체는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회전익 비행체로서 드론(drone)이라고도 한다. 드론은 초기에 공군기나 고사포, 미사일의 연습사격에 적기 대신 표적 구실로 사용되었으나, 점차 무선기술의 발달과 함께 정찰기로 개발되어 적의 내륙 깊숙이 침투하여 정찰, 감시의 용도로도 운용되었다.Generally, a unmanned aerial vehicle is also referred to as a "drone" as a helicopter-shaped flywheel flying body by inducing a radio wave by a person without burning. The drones were originally used as a target in exchange for enemy fire, missiles, and missile fire. However, the drones were developed as a reconnaissance aircraft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technology, and penetrated deep into enemy territory.

근래에 들어 드론에 미사일 등 각종 무기를 장착하여 공격기로도 활용되고 있다. 드론의 활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성능을 가진 비행체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대형 비행체의 군사용뿐만 아니라, 초소형 드론도 활발하게 개발 연구되고 있다. 또한 개인의 취미활동으로 개발되어 상품화된 것도 많이 있다. 정글이나 오지, 화산지역, 자연재해지역, 원자력 발전소 사고지역 등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지역에 드론을 투입하여 운용한다. 최근에는 드론을 활용하여 수송목적에도 활용하는 등 드론의 활용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Recently, it has been used as an attacker by attaching various weapons such as a missile to a drone. Drones have been developed variously in various sizes and performanc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but not only for military use but also for miniature drones, they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and studied. There are also many things that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as personal hobbies. The drones are put into operation in areas that are not accessible to humans, such as jungles, remote areas, volcanic areas, natural disasters, and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areas. Recently, the application range of drones has been gradually widened by utilizing dron for transportation purposes.

한편, 드론과 같이 배터리를 주 동력으로 사용하는 회전익 비행체는 체공 시간 및 시행 비행 시간이 15분에서 30분 내외이기 때문에, 적용될 수 있는 분야가 극히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으며, 비행 시간 및 체공 시간을 증가 시키기 위해 배터리 용량을 늘리거나 더 많은 배터리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가격과 무게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배터리와 엔진을 복합 적용하는 사용하고 있으나, 비행 시간이 최대 2시간 내외로 크게 증가하지 못하였고, 엔진 탑재로 인한 가격 및 무게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pplication field of the rotor-fly body using the battery as the main power such as the drone is extremely limited because the flight time and flight time are about 15 to 30 minut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ice and weight increase when the battery capacity is increased or the battery is used in combination. In order to overcome such a problem, a battery and an engine are used in combination, but the flight time can not be increased to a maximum of about 2 hours, and the price and weight of the engine are increased.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의 드론과 같이 배터리를 주 동력으로 사용하는 회전익 비행체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하나 이상의 회전익을 설치하고 본체부의 측면부에 하나 이상의 고정익을 설치하여 회전익과 고정익을 함께 구비함으로써, 비행체의 비행 모드에 따라 회전익과 고정익을 유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a conventional flywheel using a battery as a main power source,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at least one rotor blade is installed on at least a part of a main body and at least one rotor blade is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inventors have invented a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having a flywheel and a fixed wing that can use the flywheel and the flywheel flexibly according to the flight mode of the flywheel.

한국등록특허 제10-1559898호Korean Patent No. 10-1559898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 및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를 구비하고, 제어부에서 설정되는 비행 모드에 따라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와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를 선택적으로 동작하거나,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를 본체부에서 탈착함으로써, 비행체의 비행 모드에 따라 회전익과 고정익을 유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장시간 비행이 가능한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which has at least one rotor blade portion and at least one stator blade portion, selectively operates one or more rotor blade portions and one or more stator blade portions Landing airplane equipped with a rotor blade and a fixed blade capable of flexibly using the rotor blade and the fixed blade in accordance with the flight mode of the airplane by detaching one or more of the fixed blade units from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는,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 본체부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 및 기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비행 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비행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를 상기 본체부에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having a flywheel and a fixed wing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t least one rotor blade portion, at least one stationary blade portion provided at a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control unit may set a flight mode and may mount and detach the one or more fixed wing portions to and from the main body unit based on the set flight mo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커버하는 관통홀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관통홀 내부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in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through hole penetrating at least a part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through hole cover portion covering the at least one through hole, And can be respectively positioned inside the through-hol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행 모드를 이륙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를 동작시키고, 비행 유지 모드로 변경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의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flight mode is set to the take-off mode, the controller operates the one or more rotor blades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one or more rotor blades when changing to the flight maintenance mode. The operation can be controll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비행 모드를 상기 비행 유지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본체부에 추진력을 공급하는 추진력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having the flywheel and the fixed wing may further include a propelling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propulsion unit to the main body unit when the control unit sets the flight mode to the flight holding mo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추진력 공급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에 동력을 공급하는 추진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pulsion power supply may include one or more propellers and a propulsion motor that powers the one or more propeller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행 모드를 착륙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의 동작 제어를 중지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flight mode is set to the landing mode, the controller may stop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at least one fixed wick part and operate the at least one rotor wick pa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날개부, 상기 날개부의 윙팁(Wing tip)에 설치되는 윙렛부 및 상기 날개부의 후면부에 설치되는 방향타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fixed wing portion may include a wing portion provided at a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 winglet portion provided at a wing tip of the wing portion, and a rudder portion provided at a rear portion of the wing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에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부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비행 모드를 정지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랜딩 기어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rotor blade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propeller, a motor portion for supplying power to the at least one propeller, and a landing gear portion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portion when the control portion sets the flight mode to the stop mode .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행 모드를 회전익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를 탈착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having the flywheel and the fixed wing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at least one fixed wing portion, wherein the controller sets the flight mode to the rotor- , The main body and the at least one fixed wick part can be detached by controlling the connection pa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 측면부에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를 연결함으로써 삼각형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in body portion may form a triangular shape by connecting the at least one fixed wick portion to the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부는, 리튬 이온 배터리 또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having the flywheel and the fixed wing may include the one or more rotor blades, the at least one stator blade, and a battery unit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control unit. Or a lithium polymer battery.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행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부의 출력을 제어하며, 상기 배터리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중 방전률이 낮은 배터리를 우선적으로 방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of the battery unit based on the flight mode, and may preferentially discharge a battery having a low discharge rate among one or more batteries included in the battery uni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 및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를 구비하고, 제어부에서 설정되는 비행 모드에 따라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와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를 선택적으로 동작하거나, 본체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를 장착 및 탈착함으로써, 다양한 상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비행 모드를 적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t least one rotor blade portion and at least one stator blade portion and selectively operating one or more rotor blade portions and at least one stator blade portion in accordance with a flight mode set by the control portion, It has the advantage that various flight modes can be appli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purpose and purpose.

또한, 이착륙시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만를 사용하여 수직 이착륙 하고, 비행시 하나 이상이 고정익부만을 사용하여 비행함으로써, 장시간 비행 및 체공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aking off and landing, only one or more rotor blades are used for vertical take off and landing, and one or more of them can fly by using only the fixed blade portion during flight, which allows for long flight and sightseeing.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에서 본체부(110)와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120)이 분리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and 2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100 having a flywheel and a fixed 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10 and one or more fixed wing parts 1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take-off landing vehicle 100 having the rotor wing and the fixed 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only for the purpose of easi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s.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and 2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100 having a flywheel and a fixed 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는 본체부(110),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120), 제어부(130) 및 배터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a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100 having a rotor blade and a fixed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t least one stator blade 120, a controller 130, (140).

먼저, 본체부(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First, the main body 110 may form the outer shape of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100 having the rotor and the fixed 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110)는 측면부에 후술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120)를 연결함으로써 삼각형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1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120)가 삼각형으로 형성되며, 본체부(110)와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120)가 결합됨으로써, 삼각형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기호나 사용 환경, 사용 목적 등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ody portion 110 may form a triangular shape by connecting one or more of the laterally fixed wing portions 120 to the side portions. For example, the main body 110 may be formed in a pentagonal shape as shown in FIGS.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fixed-wing portion 12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into a triangle, and the main body portion 110 and the at least one fixed-wing portion 120 are combined to form a triangular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the user, the use environment, the purpose of use, etc. of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100 having the flywheel and the fixed 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본체부(110)는 삼각형 형태의 스텔스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레이더 전파를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파를 회피하거나 레이더에 인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is formed in a triangular stealth structure, so that radar waves can be dispersed, thereby avoiding propagation of waves or minimizing recognition of the radar.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110)의 외측면에 전파흡수물질(RAM)로 코팅하거나 본체부(110) 자체를 전파흡수 구조재로 제작함으로써, 전파를 분산시키거나 레이더를 회피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파흡수물질을 페인트처럼 본체부(110)에 바르거나 합성고무 매질에 적절한 RAM를 혼합하여 시트 형태로 만들어 본체부(110)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전파흡수 판넬, 전파흡수 폼 및 전파차폐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may be coated with a radio wave absorbing material (RAM), or the main body 110 itself may be made of a radio wave absorbing structure to disperse the radio waves or avoid the radar. For example, the radio wave absorbing material may be applied to the main body 110 as a paint or may be made into a sheet form by mixing a RAM suitable for a synthetic rubber medium. Further, by using a radio wave absorbing panel, a radio wave absorbing foam, and a radio wave shielding film, the radio wave can be cut off.

본체부(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가 수직으로 이륙 또는 착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하나 이상의 관통홀(111), 관통홀 덮개부(112),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113), 추진력 공급부(114) 및 연결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may vertically take off or land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100 having the flywheel and the fixed 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the at least one through hole 111, A cover portion 112, one or more rotor blades 113, a propulsion power supply 114, and a connection portion 115.

하나 이상의 관통홀(111)은 본체부(110)의 적어도 일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은(111)은 본체부(110)의 크기, 무게, 사용 용도 및 목적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관통홀(111)은 본체부(110)의 적어도 일부분에 짝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부(110)가 균형을 유지하기 용이하도록 후술되는 제어부(130)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 될 수 있다.One or more through holes (111) may be formed to penetr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 The through holes 111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shape depending on the size, weight, use purpose, and purpose of the main body 110. 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through-hole 111 may b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main body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 And may be formed symmetrically.

하나 이상의 관통홀(111)의 형태 및 크기는 후술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113)의 크기, 개수 및 종류에 근거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113)가 프로펠러인 경우, 하나 이상의 관통홀(111)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hape and size of the one or more through holes 111 may be variously formed based on the size, number, and type of the one or more rotor blade portions 113 to be described later. In one embodiment, one or more rotor blade portions 113 In the case of a propeller, the at least one through hole 111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관통홀 덮개부(112)는 본체부(110)에 형성된 관통홀(111)의 외측면을 커버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관통홀(111)을 각각 커버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관통홀 덮개부(112)로 구성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cover 112 may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1 formed in the main body 110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through hole cover 112 to cover the at least one through hole 111, ≪ / RTI >

관통홀 덮개부(1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의 비행 모드에 따라 폐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홀 덮개부(1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의 비행 모드가 이륙 모드 또는 착륙 모드인 경우, 개방될 수 있고, 비행 유지 모드인 경우 폐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행 유지 모드로 비행을 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관통홀(111)을 통해 양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비행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륙 모드는, 지면에 정지하고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를 일정 고도 이상으로 이륙하도록 제어하는 방식일 수 있고, 착륙 모드는 일정 고도 이상으로 비행하고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를 지면에 착륙하여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방식일 수 있다. 또한, 비행 유지 모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가 일정 고도 이상에서 비행하고 있는 경우, 이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방식일 수 있다.The through hole cover 112 may perform a clos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flight mode of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100 having the flywheel and the fixed 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through-hole lid portion 112 can be opened when the flight mode of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100 having the flywheel and the fixed w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ake-off mode or the landing mode, If it is in the maintenance mode, it can be closed. Accordingly, when flying in the flight maintenance mod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light time by preventing lifting of the lift through one or more through holes (111). Here, the take-off mode may be a method of controlling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100 having the flywheel and the fixed 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spended on the ground to take off at a certain altitude or more, Landing air vehicle 100 having the flywheel and the fixed 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lying on the ground can be controlled to stop and land on the ground. In addition, the flight maintenance mode may be a method of controlling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100 having the flywheel and the fixed 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intain the flywheel 100 at a certain altitude or higher.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113)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111) 내부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113)는 후술되는 배터리부(14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를 수직으로 이륙 또는 착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113)는 모터부(미도시) 및 랜딩 기어부(미도시)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rotor blade portion 113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at least one through hole 111, respectively. The one or more rotor blades 113 may receive power from a battery 140 to be described later and vertically take off or land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100 having a rotor blade and a fixed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o this end, the one or more rotor blades 113 may include a motor portion (not shown) and a landing gear portion (not shown), respectively.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113)는 후술되는 모터부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가 수직으로 이륙 또는 착륙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113)는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의 크기 및 개수는 본체부(110)의 크기, 무게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의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하나의 관통홀에 복수개의 프로펠러가 구비될 수 있다.The one or more rotor blades 113 are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a motor unit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100 having a rotor blade and a fixed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ake off or land vertically . For example, the one or more rotor blade portions 113 may be one or more propellers. The size and the number of the at least one propeller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size and weight of the main body 110 or the purpose and use of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100 having the flywheel and the fixed 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ropellers may be provided.

모터부(미도시)는 후술되는 배터리부(14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공급 받은 전력을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에 전달할 수 있다.The motor unit (not shown) can receive electric power from the battery unit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can transmit the supplied electric power to one or more propellers.

랜딩 기어부(미도시)는 후술되는 제어부(130)가 비행 모드를 정지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가 착륙하거나 정지상태에 있을 때 본체부(11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랜딩 기어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가 이륙하거나 비행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 하나 이상의 관통홀(11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랜딩 기어부는 인입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랜딩 기어부는 본체부(110)의 크기 및 무게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관통홀(111) 각각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130 sets the flight mode to the stop mode, that is, when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100 having the flywheel and the fixed w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nded And can support the main body 110 when in a stopped state. In addition, the landing gear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at least one through hole 111 when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100 having the flywheel and the fixed 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aking off or flying. For this purpose, the landing gear portion may be formed in a retractable manner. The landing gear portion may be formed in one or more than one depending on the size and weight of the main body 110 and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one or more through holes 111. [

추진력 공급부(114)는 후술되는 제어부(130)가 비행 모드를 비행 유지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본체부(110)에 추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추진력 공급부(114)는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114a) 및 추진 모터(114b)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pulsion supply unit 114 may supply propulsion to the main body 110 when the control uni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ets the flight mode to the flight maintenance mode. To this end, the propulsion power supply 114 may include one or more propellers 114a and propulsion motors 114b.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114a)는 후술되는 추진 모터(114b)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본체부(110)에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One or more propellers 114a may be powered by a propulsion motor 114b to provide propulsive force to the body 110.

추진 모터(114b)는 후술되는 배터리부(14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114a)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추진 모터부(114b)는 후술되는 제어부(140)로부터 출력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출력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114a)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pulsion motor 114b may be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battery unit 140 to be supplied to one or more propellers 114a. In one embodiment, the propulsion motor portion 114b may receive an output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portion 140, described below, and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one or more propellers 114a based on the output control signal.

연결부(115)는, 본체부(110)의 측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부(110)와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120)를 연결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본체부(110)와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120)를 탈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부(115)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 결합으로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120)와 본체부(110)를 연결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115 may be provided on a side surface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110 and may connect the main body portion 110 to the at least one fixed wick portion 120. The control portion 130 may control the main body portion 110 110 and the at least one fixed wick 120 can be detached. For this purpose, the connection part 115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frames, and one or more of the fixed wing parts 120 and the main body part 110 may be connected by frame coupling.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120)는 본체부(110)의 측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120)는 후술되는 제어부(130)로부터 제어를 받아 비행 유지 모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의 자세 및 방향전환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날개부(121), 윙렛부(122) 및 방향타부(123)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One or more of the fixed-wing portions 120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One or more of the fixed-wing portions 120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ler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change the posture and direction of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100 having the flywheel and the fixed 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ly- The wing portion 121, the winglet portion 122, and the directional portion 123, respectively.

날개부(121)는 본체부(110)의 측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비행 유지 모드에서 양력을 이용하여 본체부(110)가 비행할 수 있는 고도에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wing portion 121 can be installed on a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and can be maintained at an altitude at which the main body 110 can fly using lifting force in the flight maintenance mode.

윙렛부(122)는 날개부(121)의 좌우측 끝부분 즉, 윙팁(Wing tip)에 설치될 수 있으며, 날개부(121)의 날개 끝 와류를 상쇄할 수 있다.The winglet 122 may be installed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wing 121, that is, a wing tip, and may cancel the vortex vortices of the wing 121.

일 실시예에서, 윙렛부(122)는 날개부(121)의 윙팁에 설치되어 날개부(121)와 다양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의 비행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inglet 122 may be mounted on the wing tip of the wing 121 to form various angles with the wing 121,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flight attitude of a vertical take-off landing vehicle (100).

방향타부(123)는 날개부(121)의 후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방향타부(123)를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The direction bar 123 can be install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wing portion 121 and can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100 having the flywheel and the fixed 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rolled.

제어부(130)는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113) 및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행 모드가 착륙 모드 또는 이륙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113)만을 동작시켜 수직으로 이륙 또는 착륙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비행 유지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120)만을 동작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one or more rotor blades 113 and the one or more stator blades 120. For example, when the flight mode is set to the landing mode or the take-off mode, only one or more of the rotor blades 113 may be operated to take-off or landing vertically. (120) alone.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등의 컴퓨터 단말, 스마트폰, PMP, PDA, 와이브로 단말 등의 휴대용 단말로부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의 비행 모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비행 모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비행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비행 모드 제어 신호는, 제어부(130)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의 비행 모드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비행 동작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 비행 모드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비행 모드 제어 신호로써 이륙 모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이륙 모드 신호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113)를 동작시켜 이륙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may be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 computer terminal such as a notebook computer, a smart phone, a PMP, a PDA, or a WiBro terminal,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flight mod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00 and set the flight mode based on the received flight mode control signal. Here, the flight mode control signal may be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ntroller 130 to set the flight mode of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100 having the flywheel and the fixed 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hen a user using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100 having the flywheel and the fixed 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control the flight operation using his or her own user terminal, Can be input. The control unit 130 may receive the take-off mode signal as the flight mode control signal, and may operate one or more rotor blades 113 to take off based on the received take-off mode signal.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고도 측정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도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고도값에 기반하여 비행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륙 모드에서 이륙하고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의 고도가 기 설정된 기준 고도값에 도달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이륙 모드를 비행 유지 모드로 재설정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ler 130 may include an altitude measurement sensor (not shown) and may set the altitude value based on altitude values measured from the altitude measurement sensor. For example, when the altitude of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100 having the flywheel and the fixed 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ing off from the take-off mode reaches a predetermined reference altitude value, Can be reset to flight maintenance mode.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비행 모드가 회전익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연결부(115)를 제어하여 본체부(110)와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120)를 분리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flight mode is set to the rotor blade mode,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connection unit 115 to separate the main body 110 from the at least one fixed blade unit 120.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에서 본체부(110)와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120)이 분리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10 and one or more fixed wing parts 1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take-off landing vehicle 100 having the rotor wing and the fixed 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30)가 비행 모드를 회전익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본체부(110)와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120)는 장착 및 탈착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익 모드는, 하나 이상의 회전익(11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의 이륙, 착륙 및 비행 유지 동작을 수행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회전익 모드는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120)를 사용하지 않고, 하나 이상의 회전익(113)만을 사용한다. 이때, 본체부(110)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가 장시간 비행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120)를 탈착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가 장시간 비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control unit 130 sets the flight mode to the rotor mode, the main body 110 and the at least one fixed blade unit 120 can be mounted and dismounted. Here, the rotor blade mode may mean a method of performing takeoff, landing, and flight maintenance operations of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100 having the rotor blade and the fixed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one or more rotor blades 113 have. That is, the rotor blade mode uses at least one rotor blade 113 without using at least one rotor blade 120. At this time, the at least one fixed wing portion 120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may prevent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100 having the flywheel and the fixed 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flying for a long time. Therefore, the control unit 130 can detach the one or more fixed wing portions 120 so that the vertical take-off landing vehicle 100 having the wing and the fixed w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ly for a long time.

다시 도 1 및 2로 돌아와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비행 유지 모드에서 하나 이상의 출력 단계를 설정할 수 있고, 출력 단계에 따라 출력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추진력 공급부(114)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1 내지 5단계의 출력 단계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출력 단계에 대응하도록 1 내지 5개의 프로펠러(114a)를 동작시킬 수 있다.1 and 2,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can set one or more output steps in the flight maintenance mode, and outputs an output control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step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propulsion supply unit 114 can do.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set one to five output stages, and may operate one to five propellers 114a to correspond to the set output stage.

배터리부(140)는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113),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120) 및 제어부(1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부(140)는 본체부(110)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와 결합된 형태일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 하단에 위치하며, 본체부(110) 내에 내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ttery unit 140 may supply power to one or more rotor blades 113, one or more stator blades 120, and the controller 130. The battery unit 140 may be coupled to the controller 130 as shown in FIG. 1 in the body 110 and may b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troller 130 as shown in FIG. 110). ≪ / RTI >

배터리부(140)는 자체적으로 충방전을 통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주 배터리부(미도시), 충방전 제어부(미도시) 및 충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unit 140 may control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unit 140 and may include a main battery unit (not shown), a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unit (not shown), and a charger unit (not shown).

주 배터리부는 리튬 이온 배터리 또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의 사용 목적, 용도 및 환경에 따라 복수개 접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6V, 2500mAh의 용량을 가지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6셀(Cell), 8팩(Pack)으로 접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main battery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lithium ion battery or a lithium polymer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e batteries may be joined according to the purpose, use, and environment of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100 having the flywheel and the fixed wing Can be used. For example, a lithium ion battery having a capacity of 3.6 V and a capacity of 2500 mAh can be connected to a cell of 6 or 8 packs.

충방전 제어부는 주 배터리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리튬 이온 배터리 또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의 방전을 제어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충전부를 제어함으로써 주 배터리부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충방전 제어부는 제어부(130)에서 설정하는 비행 모드를 기반으로 주 배터리부의 방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주 배터리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리튬 이온 배터리 또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 중 방전률이 낮은 배터리를 우선적으로 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harge / discharg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ischarging of one or more lithium ion batteries or lithium polymer batteries included in the main battery unit, and may control charging of the main battery unit by controlling a charging unit described later. In one embodiment, the charging / discharging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main battery unit based on the flight mode set by the control unit 130, and the discharge rate of one or more lithium ion batteries or lithium polymer batteries included in the main battery unit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discharge the low battery preferentially.

충전부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주 배터리에 공급할 수 있다. 충전부는 과충전 방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잇으며, 주 배터리부가 과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harging unit can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and supply it to the main battery. The charging unit may include an overcharge prevention circuit,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in battery unit from overcharging.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는 하나 이상의 무게추(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100 having a flywheel and a fixed 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weights (not shown).

제어부(130)에서 비행 모드가 회전익 모드로 설정되어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120)가 분리되거나, 배터리부(140)의 충방전 및 노화 등으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의 무게중심이 변화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 이상의 무게추를 이용하여 비행체의 무게중심을 조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100)가 균형을 맞추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sets the flight mode to the rotor blade mode so that at least one of the stationary blade units 120 is detached or the rotor unit and the stationary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due to charge / The center of gravity of a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100 may vary. In this cas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lying object can be adjusted by using one or more weights, and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100 having the flywheel and the fixed 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alanc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10: 본체부
111: 관통홀 112: 관통홀 덮개부
113: 회전익부 114: 추진력 공급부
115: 연결부
120: 고정익부
121: 날개부 122: 윙렛부
123: 방향타부
130: 제어부
140: 배터리부
110:
111: Through hole 112: Through hole
113: rotor blade part 114: propulsion power supply part
115: Connection
120: Fixed wick part
121: wing portion 122: winglet
123: Direction
130:
140: Battery section

Claims (12)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비행 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비행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를 상기 본체부에 장착 및 탈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A body portion including at least one rotor blade portion;
At least one fixed-wing portion provided at a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at least one rotor blade unit and the at least one stator blade unit,
Wherein,
Wherein the at least one fixed wing portion is mounted to and detached from the main body portion based on the set flight mod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with rotor blades and fixed wing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커버하는 관통홀 덮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관통홀 내부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nd a through-hole cover covering the at least one through-hole,
Wherein the one or more rotor blades
And each of the through holes is located inside the at least one through hol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with rotor blades and fixed wing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행 모드를 이륙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를 동작시키고, 비행 유지 모드로 변경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의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operation of the one or more rotor blades is stopped and the operation of the one or more rotor blades is controlled when the one or more rotor blades are operated when the flight mode is set to the take-off mod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with rotor blades and fixed wing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비행 모드를 상기 비행 유지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본체부에 추진력을 공급하는 추진력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having the flywheel and the fixed wing,
And a thrust force supply unit for supplying thrust force to the main body unit when the control unit sets the flight mode to the flight maintenance mod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with rotor blades and fixed wing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력 공급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에 동력을 공급하는 추진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ropulsion power supply unit includes:
One or more propellers; And
And a propulsion motor for supplying power to the one or more propellers.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with rotor blades and fixed wing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행 모드를 착륙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의 동작 제어를 중지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when the flight mode is set to the landing mode, operation control of the at least one fixed wick part is stopped and the at least one rotor wick part is operated.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with rotor blades and fixed wing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날개부;
상기 날개부의 윙팁(Wing tip)에 설치되는 윙렛부; 및
상기 날개부의 후면부에 설치되는 방향타부;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t least one fixed-
A wing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A winglet installed at a wing tip of the wing; And
And a directional portion provided on a rear surface portion of the wing portio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with rotor blades and fixed wing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에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부;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비행 모드를 정지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랜딩 기어부;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ne or more rotor blades
One or more propellers;
A motor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at least one propeller; And
And a landing gear part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part when the control part sets the flight mode to the stop mod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with rotor blades and fixed wing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행 모드를 회전익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를 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having the flywheel and the fixed wing,
And a connecting part connecting the main body part and the at least one fixed wick part,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nnection unit to detach the main body unit and the at least one fixed wick part when the flight mode is set to the rotor mod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with rotor blades and fixed wing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 측면부에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를 연결함으로써 삼각형 형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the one or more fixed wing portions are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to form a triangular shap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with rotor blades and fixed wing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전익부,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익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부는,
리튬 이온 배터리 또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having the flywheel and the fixed wing,
And a batter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at least one rotor blade unit, the at least one stator blade unit, and the control unit,
The battery unit includes:
A lithium-ion battery, a lithium-ion battery, or a lithium-polymer battery.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with rotor blades and fixed wing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행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부의 출력을 제어하며, 상기 배터리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중 방전률이 낮은 배터리를 우선적으로 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익과 고정익을 구비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of the battery unit based on the flight mode and preferentially discharges a battery having a low discharge rate among at least one battery included in the battery unit.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with rotor blades and fixed wings.
KR1020170056530A 2017-03-31 2017-05-02 Vertical taking off and landing aircraft having rotary wing and fixed wing KR2018011140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645 2017-03-31
KR20170041645 2017-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408A true KR20180111408A (en) 2018-10-11

Family

ID=63865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530A KR20180111408A (en) 2017-03-31 2017-05-02 Vertical taking off and landing aircraft having rotary wing and fixed w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140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03244A1 (en) High speed multi-rot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US10994841B2 (en) Electric JetPack device
US20180281941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Monolithic Wing and Twin-Rotor Propulsion/Lift Modules
US20170015417A1 (en) Multi-Propulsion Design for Unmanned Aerial Systems
EP3087003B1 (en) An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564380B1 (en) Unmanned vehicle
US20190135427A1 (en) Tri-rotor tailsitter aircraft
US20210107636A1 (en) Multicopter
WO2013048339A1 (en) An unmanned aerial vehicle
CN101746507A (en) Hybrid power for ducted fan unmanned aerial systems
US20160023751A1 (en) Energy harvesting mechanism for gyroplanes and gyrocopters
US20200009974A1 (en) Power supply for an aircraft and corresponding aircraft
CN109229363A (en) A kind of double hair hand throwing fixed-wing unmanned planes
CN204078068U (en) A kind of four-axle aircraft of overlength flying power
EP3746364A1 (en) Vtol aircraft
KR20180111408A (en) Vertical taking off and landing aircraft having rotary wing and fixed wing
EP4122753B1 (en) Predictive preconditioning of an electric aircraft battery system
CN207826544U (en) A kind of manned unmanned exchange aircraft of double ducts
CN113428361B (en) Intelligent separable variant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unmanned platform and control strategy thereof
CN110683059A (en) Aircraft with a flight control device
CN206954510U (en) It is a kind of can VTOL fixed-wing unmanned plane
CN206437196U (en) A kind of vee tail unmanned plane of the foldable rotor arm of band
CN104229130A (en) Four-rotor wing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pneumatic structure
CN204056295U (en) Pneumatic structure four rotor unmanned aircraft
CN206552266U (en) Empty day unmanned plane breaks through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