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0720A - Car automatic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through linking of car and smart phone - Google Patents

Car automatic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through linking of car and smart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0720A
KR20180110720A KR1020170040390A KR20170040390A KR20180110720A KR 20180110720 A KR20180110720 A KR 20180110720A KR 1020170040390 A KR1020170040390 A KR 1020170040390A KR 20170040390 A KR20170040390 A KR 20170040390A KR 20180110720 A KR20180110720 A KR 20180110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martphone
user
control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3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원재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0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0720A/en
Publication of KR20180110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7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utomatic control apparatus through a connection of a vehicle and a smartphone, capable of connecting a vehicle and a smartphone and easily operating functions of a vehicle by using an application of a smartphone, and to a method therefor. The vehicle automatic control apparatus through a connection of a vehicle and a smartphone comprises: a mode switch for selecting an automatic mod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vehicle through a smartphone connection; a smartphone connection unit connected with a smartphone by near field communications and searching for a mode selected by the mode switch when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so as to output control data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vehicle by extracting stored control information if the automatic mode is selected; and a vehicle body control module (BCM)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door, controlling a vehicle to automatically start, or controlling a driver seat to be automatically adjusted based on the control data outputted by the smartphone connection unit.

Description

자동차와 스마트폰 연동을 통한 자동차 자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Car automatic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through linking of car and smart phon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자동차와 스마트폰 연동을 통한 자동차 자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와 스마트폰을 연동시키고, 스마트폰의 앱(App)을 활용하여 자동차의 기능을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자동차와 스마트폰 연동을 통한 자동차 자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mobile by interlocking between an automobile and a smart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n automobile by interlocking an automobile and a smartph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n automobile through interlocking between an automobile and a smart phone.

무선 통신의 발달과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가 등장함에 따라, 차량 제어 시스템 분야에서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고 보안을 높이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emergence of mobile terminals that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technologies for increasing convenience and security of users by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field of vehicle control system are being developed.

특히, 종래의 차량 제어 시스템은 차량과 함께 제공되는 스마트키 또는 차량용 키(이하, 스마트 키라 함)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거나 차량의 문을 잠그는 등의 편의성을 제공한다.In particular, a conventional vehicle control system provides convenience such as starting a vehicle or locking a door of a vehicle using a smart key or a vehicle key (hereinafter referred to as smart key) provided with the vehicl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마트 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은 단순히 차량의 문을 열거나 닫는 것, 시동을 거는 정도의 단순한 동작만이 수행할 뿐, 차량을 다양하게 제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 key merely carries out a simple operation of opening or closing the door of the vehicle or starting up, and it is impossible to control the vehicle in various ways.

따라서 근래에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차량 제어 시스템과 연동하여, 다양하게 차량을 제어하려는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도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고자 하여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다.In recent years, technologies for controlling various vehicles by interlocking with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 device have been proposed.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1 and 2, too, a smart device is used to control a vehicle Which is a conventionally proposed technique.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차량 내 구비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무선 신호 및 다른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는 무선 신호 인터페이스, 무선 단말기로부터 발신되어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비콘(beacon) 신호를 분석하는 비콘 신호 분석부, 상기 송신부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상기 무선 신호를 분석하는 무선 신호 분석부, 상기 비콘 신호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탑승자가 누구인지를 판단하는 탑승자 판단부 및 상기 무선 신호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탑승자의 탑승 위치를 판단하는 탑승자 위치 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radio signal interface provided in a vehicle and including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radio signal and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radio signal and another radio signal, A beacon signal analyzing unit for analyzing a beacon signal, a radio signal analyzing unit for analyzing the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and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a beacon signal analyzing unit for analyzing the beacon signal analyzing unit, And a passenger position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boarding position of the occupant according to an analysis result of the wireless signal analyzing unit.

이러한 구성을 통해, 차량 내부에서 송신 및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를 인식하고, 탑승자가 탑승한 차량 내 위치를 인식하게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occupant on the vehicle is recognized using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in the vehicle, and the occupant recognizes the position in the vehicle on which the occupant is aboard.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차량에 장착되고, 사용자 인증을 통해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사용자 인증 모듈로서, 모바일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여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및 상기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와 기저장된 사용자 고유 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모듈은, 상기 사용자 인증부의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is a user authentication module that is mounted on a vehicle and controls the vehicle through user authentication. The user authentication module includes a local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to receiv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a user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by comparing on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th a previously stored user unique number, wherein the user authentication module controls the stat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do.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10-1637670호(2016.07.01. 등록)(차량 탑승자 및 탑승 위치 인식 시스템)Korea Registered Patent Registration No. 10-1637670 (Registered on July 1, 2016) (Vehicle occupant and boarding position recognition system)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09798호(2016.09.21. 공개)(사용자 인증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량)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109798 (published on September 21, 2016) (User authentication modul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스마트 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종래기술은 스마트 기기와 차량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시동이나 도어를 제어하는 것은 가능하나, 사용자 인증에 따라 미리 등록된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 시스템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However, although the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the general smart key as described above and the related art can control the vehicle start or doo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 device and the vehicle system, There is a drawback that it is not possible to control the system automatically.

또한,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차량 장치와 외부 장치 간에 무선 통신은 가능하나,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내의 탑승자의 탑승 위치만을 인식할 뿐,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차량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In 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lthough wireless communication is possible between a vehicle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nly a boarding position of a passenger in the vehicle is recogniz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impossibl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display device.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모바일 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은 가능하나, 사용자 인증과 차량 시동 제어라는 단순한 기능만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techniqu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authenticate a user through a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device, but only a simple function of user authentication and vehicle start control is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스마트 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자동차와 스마트폰을 연동시키고, 스마트폰의 앱(App)을 활용하여 자동차의 기능을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자동차와 스마트폰 연동을 통한 자동차 자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the smart key and the related art, and it has been proposed to use a smart phone in conjunction with a c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와 스마트폰 연동을 통한 자동차 자동 제어장치는 스마트폰 연동을 통해 차량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자동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스위치;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동을 하고,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면 상기 모드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모드를 검색하여 자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저장된 제어 정보를 추출하여 차량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마트폰 연동부;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에 의해 출력되는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어를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시동을 자동으로 걸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운전석 시트를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차체제어모듈(BC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obile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and a smart phone, the automobile control system comprising: a mode switch for selecting an automatic mod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vehicle through a smartphone interlock; A smart phone that outputs control data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vehicle by extracting the stored control information when the automatic mode is selected by searching the mode selected by the mode switch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Phone interlocking part; And a body control module (BCM)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door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start of the door based on the control data outputted by the smart phone interlocking part, or controlling the driver's seat to be automatically controlled .

상기에서 스마트폰은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와 연동이 이루어지면, 차량 제어 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차량 제어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에 전송하여 상기 앱을 통해 차량을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smartphone is interlocked with the smartphone interlocking unit, the smartphone automatically transmits the vehicle contro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o the smartphone interlocking unit using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 vehicle through the application .

상기에서 스마트폰 연동부는 상기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동하기 위한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모듈; 상기 사용자가 스마트폰 앱을 통해 차량 자동 제어 정보의 등록 요청 시 차량 자동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제어정보 저장모듈; 상기 사용자 인증 모듈에서 등록된 사용자로 인증되고, 상기 모드 스위치에 의해 자동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된 차량 자동 제어정보를 인출하여 상기 차체제어모듈에 전송하는 차량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martphone interworking un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for interworking with the smart phone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 user authentication module for authenticating a user by analyzing user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 control information storage module for storing the vehicle automatic control information when the user requests registration of the vehicle automatic control information through the smartphone application; And a vehicle control module that is authenticated as a registered user in the user authentication module and selects the automatic mode by the mode switch to fetch the vehicle automatic control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rol information storage module and transmit the retrieved vehicle automatic control information to the vehicle body control module .

상기에서 스마트폰 연동부는 차량에 구비되고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mart phone interworking unit may be an audio / video system provided in a vehicle and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와 스마트폰 연동을 통한 자동차 자동 제어방법은 (a) 스마트폰 연동부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거리에 근접한 스마트폰과 자동으로 연결을 하여 인증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에서 획득한 인증정보를 통해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여, 미등록된 사용자이면 통신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 (c)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에서 확인 결과 등록된 사용자이면, 모드 스위치의 조작 상태 정보로 자동 모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에서 상기 (c)단계의 확인 결과 자동 모드일 경우, 저장된 자동 제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자동 제어 정보를 차체제어모듈에 전송하여 차량의 자동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n automobile by interlocking an automobile and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automatically connecting with a smartphone close to a short- ; (b) confirming whether the user is a registered user throug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martphone interworking unit, and releas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f the user is an unregistered user; (c)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mode switch is the automatic mode with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mode switch if the user is a registered user as a confirmation result in the smartphone interlocking part; (d) extracting the stored automatic control information in the case of the automatic mode as a result of the checking in the step (c) in the smart phone interwork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automatic control information to the body control module to execute automatic control of the vehicle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와 스마트폰 연동을 통한 자동차 자동 제어방법은 (e)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에서 상기 (c)단계의 확인 결과 수동 모드일 경우, 사용자 입력을 대기하고, 사용자가 스마트폰 앱을 통해 차량 제어 명령을 전송하면 이를 수신하여 차체제어모듈에 전송하여 차량의 자동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steps of: (e) when the smartphone interlocking unit determines in the step (c) When the vehicle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through the application, receiving the vehicle control command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vehicle control command to the vehicle body control module to execute automatic control of the vehicle.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와 스마트폰을 연동시키고, 스마트폰의 앱(App)을 활용하여 자동차의 기능을 용이하게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utomobile and a smartphone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the function of the automobile can be easily and automatically operated by utilizing an app of a smart phon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와 스마트폰 연동을 통한 자동차 자동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자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스위치의 설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와 스마트폰 연동을 통한 자동차 자동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obile automatic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installation of a mode switch for selecting an automatic mode in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n automobile through interlocking between a car and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와 스마트폰 연동을 통한 자동차 자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automatic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와 스마트폰 연동을 통한 자동차 자동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otive automotive control system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와 스마트폰 연동을 통한 자동차 자동 제어장치는 스마트폰(10), 스마트폰 연동부(20), 차체제어모듈(BCM)(30), 모드 스위치(40), 도어 구동부(31), 시동부(32), 운전석 시트 조절부(33)를 포함한다.The automobile automatic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rt phone 10, a smartphone interlock unit 20, a vehicle body control module (BCM) 30, a mode switch 40, a door driving unit 31 A starting portion 32, and a driver's seat adjusting portion 33. [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20), 차체제어모듈(BCM)(30), 모드 스위치(40), 도어 구동부(31), 시동부(32) 및 운전석 시트 조절부(33)는 차량에 구비된 장치이다.The smartphone interlock unit 20, the vehicle body control module (BCM) 30, the mode switch 40, the door driving unit 31, the starting unit 32, to be.

상기 스마트폰(10)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기기로서, 차량 자동 제어를 위한 차량 제어 앱(App)을 설치하고, 상기 차량 제어 앱을 통해 사용자를 등록하거나 제어 정보를 등록하거나 차량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smart phone 10 is a mobile device carried by a user. The mobile phone 10 includes a vehicle control application (app) for controlling the vehicle, registers the user through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registers control information, .

예컨대, 상기 스마트폰(10)은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2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 거리 이내에서 자동으로 연동이 이루어지며, 차량 제어 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차량 제어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20)에 전송하여 상기 차량 제어 앱을 통해 차량을 자동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martphone 10 is automatically linked with the smartphone interworking unit 20 within a communication distance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s vehicle control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using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smartphone interworking unit 20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vehicle through the vehicle control app.

여기서 스마트폰(10)과 스마트폰 연동부(20)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동을 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NFC,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을 이용할 수 있다.Here, the smartphone 10 and the smartphone interworking unit 20 interwork with each other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an use NFC, Bluetooth, Wi-Fi, or the like.

상기 모드 스위치(40)는 차량 내에 구비되며, 스마트폰(10) 연동을 통해 차량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자동 모드를 선택하는 스위치이다. 상기 모드 스위치(40)가 온(on) 상태일 경우, 자동 모드가 선택된 것이고, 오프(off) 상태일 경우 수동 모드가 선택된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모드 스위치(40)를 통해 자동 모드와 수동 모드를 선택한다.The mode switch 40 is provided in the vehicle and is a switch for selecting an automatic mod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vehicle through the interlocking of the smartphone 10. The automatic mode is selected when the mode switch 40 is on and the manual mode is selected when the mode switch 40 is off. The user selects the automatic mode and the manual mode through the mode switch 40.

또한,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20)는 상기 스마트폰(20)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동을 하고,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면 상기 모드 스위치(40)에 의해 선택된 모드를 검색하여 자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저장된 제어 정보를 추출하여 차량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smartphone interlocking unit 20 interlocks with the smartphone 20 i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earches for a mode selected by the mode switch 40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Extracts stored control information, and outputs control data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vehicle.

이러한 스마트폰 연동부(20)는 상기 스마트폰(10)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동하기 위한 통신 모듈(21), 상기 통신 모듈(21)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모듈(22), 상기 사용자가 스마트폰 앱을 통해 차량 자동 제어 정보의 등록 요청시 차량 자동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제어정보 저장모듈(23), 상기 사용자 인증 모듈(22)에서 등록된 사용자로 인증되고, 상기 모드 스위치(40)에 의해 자동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정보 저장모듈(23)에 저장된 차량 자동 제어정보를 인출하여 상기 차체 제어모듈(30)에 전송하는 차량 제어 모듈(24)을 포함한다.The smartphone interworking unit 2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21 for interworking with the smartphone 10 in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 user authentication unit 22 for analyzing user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1, A control information storage module 23 for storing the vehicle automatic control information when the user requests registration of the vehicle automatic control information through the smartphone application, and a control information storage module 23 for authenticating the user registered in the user authentication module 22 And a vehicle control module 24 for fetching vehicle automatic control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rol information storage module 23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vehicle automatic control information to the vehicle body control module 30 when the automatic mode is selected by the mode switch 40 .

이러한 스마트폰 연동부(20)는 차량에 구비되고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오디오/비디오 시스템(A/V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스마트폰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다른 차량 장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mart-phone interworking unit 20 preferably uses an audio / video system (A / V system) provided in the vehicle and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another vehicle apparatu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apparatus It is possible.

또한, 상기 차체 제어모듈(30)은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20)에 의해 출력되는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어를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시동을 자동으로 걸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운전석 시트를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body control module 30 may automatically control the door or automatically start the vehicle based on the control data output by the smartphone interlocking unit 20, or may automatically adjust the driver's seat And the like.

상기 도어 구동부(31)는 상기 차체 제어모듈(30)의 제어에 따라 록킹된 도어를 자동으로 언록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시동부(32)는 상기 차체 제어모듈(30)의 제어에 따라 시동 장치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차량을 시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운전석 시트 조절부(33)는 상기 자체 제어모듈(30)의 제어에 따라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운전석 시트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운전석을 사용자가 이전에 설정해 놓은 정보에 대응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The door driving unit 31 automatically unlocks the locked door under the control of the vehicle body control module 30. The starting unit 32 is controlled by the vehicle body control module 30, The driver's seat control unit 33 automatically controls the driver's seat according to the driver's seat information register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self-control module 30, It is used to control the information set previously.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와 스마트폰 연동을 통한 자동차 자동 제어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utomobile automatic control device through the interlocking between the vehicle and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사용자(운전자)는 스마트폰 연동을 통해 자동으로 차량을 제어하고자 하면, 차량 밖으로 나가기 이전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모드 스위치(40)를 온 상태로 조작하여 자동 모드로 설정해 놓는다. 여기서 모드 스위치(40)가 오프 상태이면 수동 모드로 판별한다.First, when the user (driver) intends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vehicle through the smartphone interlocking, the mode switch 40 is set to the automatic mode by operating the mode switch 40 as shown in FIG. 2 before leaving the vehicle. Here, if the mode switch 40 is off, it is determined to be in the manual mode.

이후, 차량의 시동을 끄고 차량으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거리를 벗어난 사용자는 추후 차량을 사용하기 위해 스마트폰(10)을 휴대하고 차량에 근접하면, 스마트폰 연동부(20)의 통신 모듈(21)에 의해 자동으로 연결이 이루어진다.When the user turns off the vehicle and moves away from the vehicle in the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distance, the user carries the smartphone 10 to use the vehicle in the future and approaches the vehicle, the communication module 21 of the smartphone interlocking unit 20 The connection is made automatically.

예컨대, 스마트폰 연동부(20)는 차량의 시동 온 또는 오프와 무관하게 항상 구동용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가정을 하며, 통신 모듈(21)에서 스마트폰(10)이 근거리 무선 통신 영역에 들어오면 자동으로 통신 연결을 시도한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NFC 통신,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통신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power supply for driving is always supplied regardless of whether the vehicle is turned on or off. When the smartphone 10 enter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rea in the communication module 21 Try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automatically. Herein, it is assumed tha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ses variou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but the present invention uses NFC communication, Bluetooth, or Wi-Fi communication.

통신 모듈(21)은 스마트폰(10)과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면,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게 되고, 스마트폰(10)은 통신 모듈(21)과 접속이 이루어지면 자동으로 설치된 차량 제어 앱을 실행한 후,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21 requests user information when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established with the smart phone 10 and the smart phone 10 executes a vehicle control application automatically installed 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21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21 And then transmits the stored user information.

상기 통신 모듈(21)은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증모듈(22)에 전달하게 된다. 사용자 인증모듈(22)은 전달되는 사용자 정보와 미리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등록된 사용자로 인증을 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로 인식을 한다. 이후,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로 인식이 되면 통신 모듈(21)에 이를 전달하여 통신 연결을 자동으로 해제하도록 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21 receives the user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user information to the user authentication module 22. The user authentication module 22 compares the transmitted user information with previously registered user information, and authenticates the user as a registered user if they match, and recognizes the user as an unregistered user if they do not match. Thereafter, when it is recognized as an unregistered user, it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21 to automatically cancel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이와는 달리 등록된 사용자로 인증이 이루어지면, 차량 제어 모듈(24)에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전달한다.Otherwise, when the registered user is authenticated,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control module 24.

상기 차량 제어 모듈(24)은 등록된 사용자로 인증 정보가 전달되면, 모드 스위치(40)의 조작 상태를 검출하여, 자동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아니면 수동 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자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어 정보 저장모듈(23)에 저장된 차량 자동 제어정보를 추출하여 자체 제어모듈(30)에 전달한다.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registered user, the vehicle control module 24 detects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de switch 40, and confirms whether the automatic mode is selected or the manual mode is selected. If the automatic mode is selected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vehicle automatic control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rol information storage module 23 is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the self control module 30.

여기서 차량 자동 제어정보는 사전에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차량 제어 앱을 이용하여 자신이 자동으로 제어하고자 하는 차량 장치를 등록해 놓은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차량 제어 앱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연동부(20)와 접속하여, 언제든지 차량 제어 정보를 등록하거나 등록된 차량 제어 정보를 변경 또는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it is assumed that the automobile control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advance by the user using the automobile control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and registers the automobile device to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user. Here, it is possible to register the vehicle control information or to change or delete the registered vehicle control information at any time by connecting with the smartphone interworking unit 20 using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상기 자체 제어모듈(30)은 전달되는 차량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어 구동부(31)를 제어하여 록킹된 도어를 자동으로 언록시키고, 시동부(32)를 제어하여 차량을 자동으로 시동시키며, 운전석 시트 조절부(33)를 제어하여 이전 사용자가 메모리해 놓은 운전석 시트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운전석을 사용자에 맞는 환경으로 조절해 놓는다.The self-control module 30 automatically controls the door driving unit 31 based on the transmitted vehicle control data, automatically unlocks the locked door, automatically starts the vehicle by controlling the starting unit 32, The control unit 33 is controlled to automatically adjust the driver's seat to an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user based on the driver's seat information memorized by the previous user.

여기서 차량 제어 정보는 상기와 같은 차량 제어 이외에 자동으로 공조 장치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며,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을 제어하여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시스템을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vehicle control information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in addition to the vehicle control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audio / video system to drive the audio or video system.

상기와 같은 차량 제어는 자동 제어이며, 본 발명은 다른 특징으로서 등록된 사용자에 한하여 스마트폰(10)을 이용하여 차량 제어 앱을 실행시키고, 상기 차량 제어 앱을 이용하여 직접 수동으로 차량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The vehicle control as described above is an automatic control, and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only the registered user using the smartphone 10 and executes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directly using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Lt; / RTI &gt;

이러한 차량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 제어 모듈(24)은 차체 제어모듈(30)에 차량 제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차량 제어 앱을 통해서도 사용자가 편리하게 차량을 자동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vehicle control command, the vehicle control module 24 transmits the vehicle control data to the vehicle body control module 30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control the vehicle through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와 스마트폰 연동을 통한 자동차 자동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a) 스마트폰 연동부(20)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거리에 근접한 스마트폰(10)과 자동으로 연결을 하여 인증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1 ~ S12), (b)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20)에서 획득한 인증정보를 통해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여, 미등록된 사용자이면 통신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S13 ~ S14), (c)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20)에서 확인 결과 등록된 사용자이면, 모드 스위치(40)의 조작 상태 정보로 자동 모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5), (d)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20)에서 상기 (c)단계의 확인 결과 자동 모드일 경우, 저장된 자동 제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자동 제어 정보를 차체 제어모듈(30)에 전송하여 차량의 자동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S16 ~ S17)를 포함한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an automobile by interlocking between a car and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a) (B) confirming whether the user is a registered user throug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martphone interfacing unit (20), and releas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f the user is an unregistered user (step S11 to S12) S13 to S14), (c)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mode switch 40 is in the automatic mode if the user is a registered user by the smartphone interlocking unit 20 (S15), (d) In the case where the phone interlocking unit 20 detects the automatic mode as a result of the checking in step (c), extracting the stored automatic control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automatic control information to the body control module 30 to execute automatic control of the vehicle (S16-S17).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와 스마트폰 연동을 통한 자동차 자동 제어방법은 (e)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20)에서 상기 (c)단계의 확인 결과 수동 모드일 경우, 사용자 입력을 대기하고, 사용자가 스마트폰 앱을 통해 차량 제어 명령을 전송하면 이를 수신하여 차체 제어모듈(30)에 전송하여 차량의 자동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S18 ~ S19)를 더 포함한다.(E) If the smartphone interlocking unit 20 determines in the step (c) that it is the passive mode, it automatically waits for a user input, (S18 to S19) of receiving the vehicle control command through the smartphone application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vehicle control command to the vehicle body control module 30 to execute automatic control of the vehicl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와 스마트폰 연동을 통한 자동차 자동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an automobile through the linkage between a car and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사용자(운전자)는 스마트폰 연동을 통해 자동으로 차량을 제어하고자 하면, 차량 밖으로 나가기 이전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모드 스위치(40)를 온 상태로 조작하여 자동 모드로 설정해 놓는다. 여기서 모드 스위치(40)가 오프 상태이면 수동 모드로 판별한다.First, when the user (driver) intends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vehicle through the smartphone interlocking, the mode switch 40 is set to the automatic mode by operating the mode switch 40 as shown in FIG. 2 before leaving the vehicle. Here, if the mode switch 40 is off, it is determined to be in the manual mode.

이후, 차량의 시동을 끄고 차량으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거리를 벗어난 사용자는 추후 차량을 사용하기 위해 스마트폰(10)을 휴대하고 차량에 근접하면, 단계 S11에서 스마트폰 연동부(20)의 통신 모듈(21)에 의해 자동으로 연결이 이루어진다.If a user who has turned off the vehicle and leaves the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distance from the vehicle carries the smartphone 10 to use the vehicle in the future and approaches the vehicle,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martphone interlocking unit 20 21).

예컨대, 스마트폰 연동부(20)는 차량의 시동 온 또는 오프와 무관하게 항상 구동용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가정을 하며, 통신 모듈(21)에서 스마트폰(10)이 근거리 무선 통신 영역에 들어오면 자동으로 통신 연결을 시도한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NFC 통신,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통신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power supply for driving is always supplied regardless of whether the vehicle is turned on or off. When the smartphone 10 enter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rea in the communication module 21 Try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automatically. Herein, it is assumed tha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ses variou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but the present invention uses NFC communication, Bluetooth, or Wi-Fi communication.

통신 모듈(21)은 스마트폰(10)과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면, 단계 S12에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게 되고, 스마트폰(10)은 통신 모듈(21)과 접속이 이루어지면 자동으로 설치된 차량 제어 앱을 실행한 후,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다.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21 establish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smartphone 10, the smartphone 10 requests the user information in step S12 and the smartphone 10 transmits a vehicle control application And transmits the stored user information.

상기 통신 모듈(21)은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증모듈(22)에 전달하게 된다. 사용자 인증모듈(22)은 단계 S13에서 전달되는 사용자 정보와 미리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등록된 사용자로 인증을 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로 인식을 한다. 이후,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로 인식이 되면 통신 모듈(21)에 이를 전달하여 단계 S14와 같이 통신 연결을 자동으로 해제하도록 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21 receives the user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user information to the user authentication module 22. The user authentication module 22 compares the user information transmitted in step S13 with previously registered user information. If the user information matches, the user authentication module 22 authenticates the registered user. If the user information does not match, the user authentication module 22 recognizes the user as an unregistered user. Thereafter, when it is recognized as an unregistered user, it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21, and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automatically canceled as in step S14.

이와는 달리 등록된 사용자로 인증이 이루어지면, 차량 제어 모듈(24)에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전달한다.Otherwise, when the registered user is authenticated,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control module 24.

상기 차량 제어 모듈(24)은 단계 S15에서 등록된 사용자로 인증 정보가 전달되면, 모드 스위치(40)의 조작 상태를 검출하여, 자동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아니면 수동 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확인한다. 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registered user in step S15, the vehicle control module 24 detects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de switch 40 and confirms whether the automatic mode is selected or the manual mode is selected.

이 확인 결과 자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 단계 S16에서 제어 정보 저장모듈(23)에 저장된 차량 자동 제어정보를 추출하여 자체 제어모듈(30)에 전달한다.If the automatic mode is selected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vehicle automatic control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rol information storage module 23 is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the self control module 30 in step S16.

여기서 차량 자동 제어정보는 사전에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차량 제어 앱을 이용하여 자신이 자동으로 제어하고자 하는 차량 장치를 등록해 놓은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차량 제어 앱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연동부(20)와 접속하여, 언제든지 차량 제어 정보를 등록하거나 등록된 차량 제어 정보를 변경 또는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it is assumed that the automobile control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advance by the user using the automobile control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and registers the automobile device to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user. Here, it is possible to register the vehicle control information or to change or delete the registered vehicle control information at any time by connecting with the smartphone interworking unit 20 using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상기 자체 제어모듈(30)은 전달되는 차량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단계 S17에서 차량을 자동으로 제어한다.The self-control module 30 automatically controls the vehicle in step S17 based on the vehicle control data to be transmitted.

예컨대, 도어 구동부(31)를 제어하여 록킹된 도어를 자동으로 언록시키고, 시동부(32)를 제어하여 차량을 자동으로 시동시키며, 운전석 시트 조절부(33)를 제어하여 이전 사용자가 메모리해 놓은 운전석 시트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운전석을 사용자에 맞는 환경으로 조절해 놓는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oor driving unit 31 to automatically unlock the locked door, to automatically start the vehicle by controlling the starting unit 32, and to control the driver seat adjustment unit 33, Automatically adjusts the driver's seat to the user-friendly environment based on driver's seat information.

여기서 차량 제어 정보는 상기와 같은 차량 제어 이외에 자동으로 공조 장치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며,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을 제어하여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시스템을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vehicle control information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in addition to the vehicle control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audio / video system to drive the audio or video system.

상기와 같은 차량 제어는 자동 제어이며, 본 발명은 다른 특징으로서 등록된 사용자에 한하여 스마트폰(10)을 이용하여 차량 제어 앱을 실행시키고, 단계 S18 및 S19에서 상기 차량 제어 앱을 이용하여 직접 수동으로 차량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The vehicle control as described above is an automatic control, and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using the smartphone 10 only for the registered user as another feature, and directly controls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in steps S18 and S19 Lt; RTI ID = 0.0 &gt; command. &Lt; / RTI &gt;

이러한 차량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 제어 모듈(24)은 차체 제어모듈(30)에 차량 제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차량 제어 앱을 통해서도 사용자가 편리하게 차량을 자동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vehicle control command, the vehicle control module 24 transmits the vehicle control data to the vehicle body control module 30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control the vehicle through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10: 스마트폰 20: 스마트폰 연동부
21: 통신 모듈 22: 사용자 인증모듈
23: 제어정보 저장모듈 24: 차량 제어모듈
30: 차체 제어모듈(BCM) 31: 도어 구동부
32: 시동부 33: 운전석 시트 조절부
40: 모드 스위치
10: Smartphone 20: Smartphone interface part
21: communication module 22: user authentication module
23: control information storage module 24: vehicle control module
30: Body control module (BCM) 31: Door driving part
32: Starting portion 33: Driver seat adjustment portion
40: Mode switch

Claims (5)

자동차와 스마트폰 연동을 통해 자동차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로서,
스마트폰 연동을 통해 차량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자동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스위치;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동을 하고,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면 상기 모드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모드를 검색하여 자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저장된 제어 정보를 추출하여 차량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마트폰 연동부; 및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에 의해 출력되는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어를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시동을 자동으로 걸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운전석 시트를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차체 제어모듈(BC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와 스마트폰 연동을 통한 자동차 자동 제어장치.
A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n automobile through interlocking between a car and a smart phone,
A mode switch for selecting an automatic mod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vehicle through a smartphone linkage;
A smart phone that outputs control data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vehicle by extracting the stored control information when the automatic mode is selected by searching the mode selected by the mode switch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Phone interlocking part; And
And a body control module (BCM)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door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start of the door based on the control data outputted by the smart phone interlocking part, or controlling the driver's seat to be automatically controlled Automobile automation control device through interlocking of car and smart phone.
청구항 1에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와 연동이 이루어지면, 차량 제어 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차량 제어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에 전송하여 상기 차량 제어앱을 통해 차량을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와 스마트폰 연동을 통한 자동차 자동 제어장치.
When the smartphone is interlocked with the smartphone interlocking part, the smartphone transmits the vehicle contro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o the smartphone interlocking part using the vehicle control application,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vehicle through an interlocking of a car and a smart phone.
청구항 1에서,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는 상기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동하기 위한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모듈; 상기 사용자가 스마트폰 앱을 통해 차량 자동 제어 정보의 등록 요청시 차량 자동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제어정보 저장모듈; 상기 사용자 인증 모듈에서 등록된 사용자로 인증되고, 상기 모드 스위치에 의해 자동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된 차량 자동 제어정보를 인출하여 상기 차체 제어모듈에 전송하는 차량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와 스마트폰 연동을 통한 자동차 자동 제어장치.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smartphone interworking unit compris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interworking with the smart phone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 user authentication module for authenticating a user by analyzing user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 control information storage module for storing the vehicle automatic control information when the user requests registration of the vehicle automatic control information through the smartphone application; And a vehicle control module that is authenticated as a registered user in the user authentication module and selects the automatic mode by the mode switch to fetch the vehicle automatic control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rol information storage module and transmit the retrieved vehicle automatic control information to the vehicle body control module Automobile automatic control device through interlocking of car and smart phone.
자동차와 스마트폰 연동을 통한 자동차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스마트폰 연동부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거리에 근접한 스마트폰과 자동으로 연결을 하여 인증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에서 획득한 인증정보를 통해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여, 미등록된 사용자이면 통신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
(c)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에서 확인 결과 등록된 사용자이면, 모드 스위치의 조작 상태 정보로 자동 모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d)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에서 상기 (c)단계의 확인 결과 자동 모드일 경우, 저장된 자동 제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자동 제어 정보를 차체 제어모듈에 전송하여 차량의 자동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와 스마트폰 연동을 통한 자동차 자동 제어방법.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n automobile through linkage between a car and a smart phone,
(a) acquir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by automatically connecting with a smartphone close to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istance at a smartphone interworking part;
(b) confirming whether the user is a registered user throug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martphone interworking unit, and releas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f the user is an unregistered user;
(c)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mode switch is the automatic mode with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mode switch if the user is a registered user as a confirmation result in the smartphone interlocking part; And
(d) extracting the stored automatic control information in the case of the automatic mode as a result of the checking in the step (c) in the smart phone interwork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automatic control information to the body control module to execute automatic control of the vehicle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vehicle through the linkage between the car and the smartphone.
청구항 4에서, (e)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에서 상기 (c)단계의 확인 결과 수동 모드일 경우, 사용자 입력을 대기하고, 사용자가 스마트폰 앱을 통해 차량 제어 명령을 전송하면 이를 수신하여 차체 제어모듈에 전송하여 차량의 자동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와 스마트폰 연동을 통한 자동차 자동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e) if the smartphone interlocking unit determines in the step (c) that the mobile phone is in the passive mode, waits for user input, and when the user transmits a vehicle control command through the smartphone applica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controlling the vehicl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vehicle;







KR1020170040390A 2017-03-30 2017-03-30 Car automatic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through linking of car and smart phone KR2018011072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390A KR20180110720A (en) 2017-03-30 2017-03-30 Car automatic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through linking of car and smart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390A KR20180110720A (en) 2017-03-30 2017-03-30 Car automatic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through linking of car and smart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720A true KR20180110720A (en) 2018-10-11

Family

ID=6386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390A KR20180110720A (en) 2017-03-30 2017-03-30 Car automatic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through linking of car and smart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072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6801A (en) * 2019-04-25 2020-10-3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Wireless conn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6801A (en) * 2019-04-25 2020-10-3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Wireless conn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44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key fob base station enabling remote car access using a nomadic device
US104349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on-demand passive entry disable
US102491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phone key fob management
US82243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systems from a cell phone
US86146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an authorized vehicle driveaway
US7050795B2 (en) System for programming customizable vehicle features
US20190176752A1 (en) Vehicle remote start functionality
US201000756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key free access to a vehicle
US104793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zing a user to operate a vehicle
US20170019480A1 (en) Mobile device,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and vehicle remote control method
US201102158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orizing a vehicle driveaway
GB2560324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storing of a user input vehicle setting
US10706650B2 (en) Key unit,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program stored therein
KR20160149500A (en) Vehicle door lock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2622816B (en) Networked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0814834B2 (en) Method for operating a central locking apparatus, central locking apparatus, and motor vehicle
KR20150031009A (en) Vehicle control device of us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 in smartphone, and the method of thereof
KR20180110720A (en) Car automatic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through linking of car and smart phone
KR101558762B1 (en)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convenience service and method thereof
KR20050009021A (en) Door auto open and closed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30113160A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starting a car
KR102417365B1 (en) Smart key searching method using portable terminal
CN112837445A (en) Reducing latency in a vehicle passive entry system
US11565656B2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method
KR20190064519A (en) Method for locating a vehicle,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as well a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