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9154A -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 - Google Patents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9154A
KR20180109154A KR1020170038302A KR20170038302A KR20180109154A KR 20180109154 A KR20180109154 A KR 20180109154A KR 1020170038302 A KR1020170038302 A KR 1020170038302A KR 20170038302 A KR20170038302 A KR 20170038302A KR 20180109154 A KR20180109154 A KR 20180109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thopedic
shape
force member
present
auxiliary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8019B1 (ko
Inventor
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강앤박메디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강앤박메디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강앤박메디컬
Priority to KR1020170038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019B1/ko
Publication of KR20180109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력을 갖는 와이어가 'V' 형상을 하는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에 관한 것으로, 상기 'V' 형상의 꼭짓점 부위로서 일정 크기의 원모양으로 감기며 절곡되어서 코일 스프링 구조를 갖는 관절부와, 상기 관절부에서 연장된 부위로서 동일 평면상을 기준으로 지그재그 모양으로 굴곡 되며 형성되는 한 쌍의 레그부와, 상기 레그부의 어깨 부위로서 일정 크기의 원모양으로 감기며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끝단이 고리 모양으로 마감되는 고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ORTHOPEDIC FORCE ELEMENT}
본 발명은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탄성 재질의 와이어 작동기 구조체를 구성함으로써 주로 근골격계 교정을 위해 정형외과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에 관한 것이다.
정형외과용 보조기 및 지지대는 근육과 골격을 지지 및 강화하기 위하 것으로 주로 외상 예방과 수술 후 재활치료 등에 사용된다.
이러한 정형외과용 보조기 및 지지대는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보조장비로도 사용할 수 있다.
근골격계 질환이란 인체의 근육 및 골겨계통 부위에 피로가 누적되어 나타나는 질병으로서, 충분한 휴식을 취하지 못하거나 너무 많은 힘을 사용하거나 작업자세가 불편하거나 반복적인 작업을 너무 많이 하거나 할 경우에 이러한 요인들이 하나 이상 영향을 미쳐서 근육 및 골격계통 부위에 피로를 누적시킴으로써 주로 목, 어깨, 허리 등 근육의 통증과 감각이상을 일으키는 질병의 일종이다.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근육의 힘을 강화시킬 수 있는 운동치료실을 마련하거나 근육 또는 신경을 이완시켜 줄 수 있는 물리치료실을 두기도 하는데, 이외에도 상술한 것처럼 정형외과용 보조기 및 지지대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정형외과용 보조기 및 지지대는 지속적으로 힘을 받거나 압축되게 되어서 피로도가 쌓여서 손상되기도 한다.
즉, 척추보조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척추 교정벨트는 허리부위를 감싸는 밴드와 상기 밴드 내부에 장착되어 등 쪽 허리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져서 착용자의 허리를 곧게 지지하고 척추가 뒤로 젖혀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척추 교정벨트의 지지대는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힘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로 장시간이 흐르면 지지대에는 피로도가 누적되어 제품이 구부러진 후 원상태로 복원되지 않는 것과 같은 제품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정형외과용 보조기 및 지지대는 위와 같이 제품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힘을 완화 시킬 수 있는 완충 구조체 또는 작동력 발생 구조체가 필요하게 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10-1297399호(등록일: 2013. 08. 09)가 있다.
본 발명은 초탄성 재질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작동기 구조체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구조체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힘을 완화 시킬 수 있는 작동력을 발생시켜서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힘을 받거나 압축되게 되어서 피로도가 쌓이더라도 제품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탄성력을 갖는 와이어가 'V' 형상을 하는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는, 상기 'V' 형상의 꼭짓점 부위로서 일정 크기의 원모양으로 감기며 절곡되어서 코일 스프링 구조를 갖는 관절부와, 상기 관절부에서 연장된 부위로서 동일 평면상을 기준으로 지그재그 모양으로 굴곡 되며 형성되는 한 쌍의 레그부와, 상기 레그부의 어깨 부위로서 일정 크기의 원모양으로 감기며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끝단이 고리 모양으로 마감되는 고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는 티타늄니켈계 합금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는 단면의 직경 크기가 1.5mm 내지 2.5mm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절부는 직경 크기가 9.0mm 내지 15.0mm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리부는 상기 레그부의 어깨 부위 직경 크기가 3.0mm 내지 7.0mm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초탄성 재질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작동기 구조체를 구성하여 상기 구조체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힘을 완화 시킬 수 있는 작동력을 발생시키고 있기 때문에 해당 제품을 착용자가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그로 인해 제품에 피로도가 쌓여 제품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해당 제품의 내구성과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그부의 형상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이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로 사용될 때 세포조직에 지속적이고도 임상적으로 유효한 충격을 줄 수 있어 더 부드럽고 단계적인 교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의 각 구성부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의 응력변형곡선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의 각 구성부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탄성력을 갖는 와이어가 'V' 형상을 하는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100)는, 상기 'V' 형상의 꼭짓점 부위로서 일정 크기의 원모양으로 감기며 절곡되어서 코일 스프링 구조를 갖는 관절부(110)와, 상기 관절부(110)에서 연장된 부위로서 동일 평면상을 기준으로 지그재그 모양으로 굴곡 되며 형성되는 한 쌍의 레그부(120)와, 상기 레그부(120)의 어깨 부위로서 일정 크기의 원모양으로 감기며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끝단이 고리 모양으로 마감되는 고리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100)는 일정 굵기의 와이어가 전체적으로 'V' 형상을 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는 초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탄성력을 갖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정형외과에서 사용되는 탄성력 부재는 부하가 가해져서 응력변형이 일어난 후에는 정확하게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고, 인체에 직접 사용되는 보조기구의 재질은 신체의 세포조직과 응력변형 특성이 유사한 재질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실제적으로 종래에 인체에 사용되어 왔던 보조기구의 재질로서 금속은 인체의 뼈, 연질 조직 등과 같은 인체의 조직과는 그 재질 특성이 상이하고, 특히, 매우 높은 물리적 기계적 특성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인체에 사용되는 보조기구의 재질이 주변의 인체 세포 조직과의 강성 등의 특성이 불일치하게 되면 결합된 부위에서 이완되어 주변의 인체 세포 조직에 손상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욱이 골절된 뼈의 보조를 위한 보조기구에 사용되는 탄성력 부재는 지속적인 변형의 결과 피로도가 누적되어 결국에 손상을 야기하게 된다.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사용되는 와이어의 재질을 티타늄니켈계(TiNi-) 합금소재로 할 수 있다.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100)의 와이어에 사용되는 티타늄니켈계(TiNi-) 합금소재는 뛰어난 생체 적합성을 가지고 있는데, 동시에 형상 기억 합금과 같이 탄성을 발휘하여 미리 설정된 모습으로 돌아오게 하는 구조 상 전이가 가능한 초탄성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의료계에서는 지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재질이다.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100)의 와이어는 단면의 직경 크기가 1.5mm 내지 2.5mm의 범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100)의 전체적인 형상과 탄성력 등과 같은 재질의 특성을 고려한 실시예이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관절부(110)는 'V' 형상의 꼭짓점 부위로서 일정 크기의 원모양으로 1회 이상 감기며 절곡되어서 코일 스프링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일정 각도(λ)로 벌어진 형태를 유지하고 있 한 쌍의 레그부(120)를 상기 관절부(110)가 연결하고 있는데, 상기 레그부(120)에 힘이 가해져 일정 각도(λ)가 줄어들거나 커지더라도 스프링 구조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관절부(110)의 일정 크기의 원모양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해당 직경 크기(d1)가 9.0mm 내지 15.0mm의 범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술한 와이어의 굵기와 함께 연관된 특성범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관절부(110)의 일정 크기의 원모양은 코르셋, 벨트 등과 같은 정형외과 보조기구에 결합될 때 고정용 고리로도 활용될 수 있다(도면 미도시).
관절부(110)의 위와 같은 코일 스프링 구조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 가스 용접에서 가스의 혼합비 및 유량을 조절하는 토치(torch) 등을 사용하여 열간 가공을 할 수 있다. 열간 가공은 금속의 재결정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하는 가공으로 보통 금속은 녹는점의 1/2을 넘는 온도가 되면 금속 내부에서 확산이 활발해져 변경가공을 가해도 그로 인해 발생한 변형은 금방 회복되어 저온에서 가공할 때와 같은 가공경화의 현산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가공 방법이다. 따라서 보다 큰 변형가공을 할 수 있게 된다.
레그부(12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관절부(110)에서 일정각도(λ)만큼 벌어진 상태로 2 갈래로 나뉘며 연장된 한 쌍의 부위로서 동일 평면상을 기준으로 좌우로 지그재그 모양으로 굴곡 되며 길이 80mm 내지 100mm 가량 형성되도록 한다.
레그부(120)는 위와 같이 지그재그 모양으로 굴곡되도록 함으로써 선형으로 형성되었을 때 보다 더 큰 탄성변형과 그 복원력, 즉 초탄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점은 레그부(120)를 선형으로 했을 때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처럼 지그재그 형상으로 했을 때의 재질 내부의 결정격자 변환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레그부(120)의 지그재그 형상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일정 길이의 피치, 즉, 산과 산의 길이(P), 산의 높이(a) 및 일정 각도의 굴절 각도(λ′)를 가지며 1회 이상 굴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그부(120)의 산과 산의 길이(P)는 길어질수록 일정길이의 레그부(120)에 형성될 수 있는 굴절 횟수가 작아지게 되고, 산의 높이(a)를 조절하게 되면 레그부(120)의 최종적인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굴절 각도(λ′)도 따라서 변하게 된다.
레그부(120)의 지그재그의 형상에 의하면 선형의 형상과 비교하여 그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시키는 강성이 일정하게 유지될 뿐 아니라 작동력 부재로 사용되는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의 탄성 변형 수준을 안정시켜 반복적인 변형이 가해지는 환경에서 강도 특성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 제품의 피로 수명을 연장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 또한 지그재그 형상으로 했을 때의 재질 내부의 결정격자 변환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고리부(130)는 상기 레그부(120)의 어깨 부위(131)로서 일정 크기의 원모양으로 감기며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다시 그 연장된 끝단(132)은 고리 모양으로 마감되도록 할 수 있다.
고리부(130)의 레그부(120)의 어깨 부위(131)는 관절부(110)에서와 마찬가지로 일정 크기의 원모양으로 1회 이상 감기며 절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또한 스프링 구조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고리부(130)의 상기 레그부(120)의 어깨 부위(131) 직경 크기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3.0mm 내지 7.0mm의 범위를 갖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예시한 것이고 그 크기는 변경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고리부(130)의 끝단(132)은 고리 모양으로 마감되어서 코르셋이나 벨트 등의 정형외과용 보조기구에 결합될 때 고정 부위로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리부(130)가 정형외과용 보조기구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움직임이 자유로운 상술한 관절부(110)와 레그부(120)는 외부의 힘을 받을 때 자연스럽게 변형되며 탄성력에 의한 저항력을 발생시키므로 작동력 부재로서 작용하게 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의 응력변형곡선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동일한 재질의 와이어로 구성된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100)로서 비교를 위해 선형 형상(a)과 지그재그 형상(b)의 레그부(120)를 가지는 보조력 부재(100) 각각의 응력변형곡선을 함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세로축(F, 단위 N)은 일반적인 응력변형곡선에서 인장응력에 해당하고, 가로축인 한 쌍의 레그부(120) 사이의 일정각도(λ, 단위 ㅀ)는 일반적인 응력변형곡선의 변형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응력변형곡선을 통해 대상 재질의 비례한계, 탄성한계, 항복점, 극항강도, 신장률을 알 수 있게 된다. 이중에서 탄성한계 내, 즉 탄성변형 영역에서는 실제적인 물질의 이동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구조체에 가해지는 힘이 풀어지면 구조체는 원래 상태로 돌아가게 됨을 의미하게 되며, 응력변형곡선을 통해 대상 재질의 탄성한계 영역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종래의 정형외과용 보조기가 작동력 부재로 사용될 때에는 강제 변위에 의해 변형 한도 이상 변형하게 되면 피로 수명이 단축되어서 제품의 신뢰성과 내구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정형외과용 보조기와 달리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100)는 티타늄니켈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레그부(120)의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작동력 부재로 사용됨에 있어서 종래의 정형외과용 보조기보다 더 뛰어난 특성을 가지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100)가 작동력 부재로 사용될 때 보이는 뛰어나 특성은 상기 보조력 부재(100)가 초탄성 티탄늄니켈계 합금에 의해 결정되는 응력변형 특성, 즉, 상기 보조력 부재(100)의 구조, 재질의 결정상, 열역학적 변수로 표현되는 외부 파라미터, 변형 범위에 의한 것이다. 특히, 레그부(120)의 지그재그 형상은 상기 보조력 부재(100)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강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력 부재(100)가 작동력 부재로 작용할 때 상기 보조력 부재(100)에 가해지는 반복적인 변형 하에서 탄성 변형 수준을 안정시킴으로써 강도 특성을 향상시키고 피로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보조력 부재(100)가 초탄성 티탄늄니켈계 합금에 의해 결정되는 응력변형 특성은 상기 보조력 부재(100) 재질 내의 결정격자 변환, 즉 응력 유도 마르텐사이트 변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일반적으로 금속과 합금은 변태를 일으키고 있을 때는 강도가 낮고 그 모상의 항복점 이하의 응력에 의하여 소성 변형이 잘 일어나는데, 이러한 결정격자 변환으로서 오스테나이트에서 마르텐사이트로의 변태는 오스테나이트의 항복점보다 훨씬 낮은 응력에서 빈번하게 발생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지그재그 형상(b)의 레그부(120)를 가지는 보조력 부재(100)의 응력변형곡선은 선형 형상(a)의 레그부(120)를 가지는 보조력 부재(100)의 응력변형곡선과 달리 상대적으로 탄성 특성이 낮고 균일함을 알 수 있다.
즉, 지그재그 형상(b)의 레그부(120)를 가지는 보조력 부재(100)의 응력변형곡선의 변곡점 A2는 선형 형상(a)의 레그부(120)를 가지는 보조력 부재(100)의 응력변형곡선 A1 보다 값이 더 크며, A2 점 이후의 곡선의 변화는 거의 없이 평탄한 반면 A1 점 이후의 곡선은 계속하여 상승하여 완만한 기울기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다른 모든 조건들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지그재그 형상(b)의 레그부(120)를 가지는 보조력 부재(100)의 가역 변화 영역은 선형 형상(a)의 레그부(120)를 가지는 보조력 부재(100)의 가역 변화 영역보다 더 넓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응력변형곡선에 나타난 특성들을 종합하여 보면, 보조력 부재(100)에 압축, 인장, 굽힘, 비틀림 등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발생하는 임계 응력은 지그재그 형상(b)의 레그부(120)를 가지는 보조력 부재(100)가 선형 형상(a)의 레그부(120)를 가지는 보조력 부재(100)가 보다 높으므로 탄성한계 영역, 즉, 가역 변화 영역이 더 넓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성에 의하면, 지그재그 형상(b)의 레그부(120)를 가지는 보조력 부재(100)가 예를 들어 척추 변형 또는 관절뼈 결함을 위해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로 사용될 때 더 부드럽고 단계적인 교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세포조직에 지속적이고도 임상적으로 유효한 충격을 줄 수 있으며, 과부하에 의해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100)가 받는 피로도를 감소시켜 해당 제품의 내구성과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초탄성 재질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작동기 구조체를 구성하여 상기 구조체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힘을 완화 시킬 수 있는 작동력을 발생시키고 있기 때문에 해당 제품을 착용자가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그로 인해 제품에 피로도가 쌓여 제품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해당 제품의 내구성과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그부의 형상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이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로 사용될 때 세포조직에 지속적이고도 임상적으로 유효한 충격을 줄 수 있어 더 부드럽고 단계적인 교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 110:관절부
120: 레그부 130: 고리부
d1: 관절부 직경 d2: 고리부 직경
P: 피치 a: 산의 높이
λ: 레그부 사이의 각도 λ′: 레그부 굴절 각도

Claims (5)

  1. 탄성력을 갖는 와이어가 'V' 형상을 하는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에 있어서,
    상기 'V' 형상의 꼭짓점 부위로서 일정 크기의 원모양으로 감기며 절곡되어서 코일 스프링 구조를 갖는 관절부;
    상기 관절부에서 연장된 부위로서 동일 평면상을 기준으로 지그재그 모양으로 굴곡 되며 형성되는 한 쌍의 레그부;
    상기 레그부의 어깨 부위로서 일정 크기의 원모양으로 감기며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끝단이 고리 모양으로 마감되는 고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티타늄니켈계 합금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단면의 직경 크기가 1.5mm 내지 2.5mm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는 직경 크기가 9.0mm 내지 15.0mm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레그부의 어깨 부위 직경 크기가 3.0mm 내지 7.0mm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
KR1020170038302A 2017-03-27 2017-03-27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 KR102038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302A KR102038019B1 (ko) 2017-03-27 2017-03-27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302A KR102038019B1 (ko) 2017-03-27 2017-03-27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154A true KR20180109154A (ko) 2018-10-08
KR102038019B1 KR102038019B1 (ko) 2019-10-29

Family

ID=63864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302A KR102038019B1 (ko) 2017-03-27 2017-03-27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0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421Y1 (ko) * 2004-03-05 2004-06-22 허찬호 요추보호용 에어벨트
KR101297399B1 (ko) * 2012-04-30 2013-08-16 김정원 체중에 따른 탄발복원력을 이용한 척추 견인장치
JP2014030675A (ja) * 2012-08-06 2014-02-20 Shiro Takanashi 姿勢維持機能付き衣類
KR101657608B1 (ko) * 2015-03-31 2016-09-19 김백준 유아용 두상 교정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421Y1 (ko) * 2004-03-05 2004-06-22 허찬호 요추보호용 에어벨트
KR101297399B1 (ko) * 2012-04-30 2013-08-16 김정원 체중에 따른 탄발복원력을 이용한 척추 견인장치
JP2014030675A (ja) * 2012-08-06 2014-02-20 Shiro Takanashi 姿勢維持機能付き衣類
KR101657608B1 (ko) * 2015-03-31 2016-09-19 김백준 유아용 두상 교정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019B1 (ko) 201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066B1 (ko) 역동성 고정장치 및 이용 방법
US200800861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scoliosis
US200901942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rought nickel/titanium alloy flexible spinal rods
KR102261318B1 (ko) 외반 모지 교정 장구
JP4423197B2 (ja) 脊柱変形の矯正装置
Harrington Technical details in relation to the successful use of instrumentation in scoliosis
US20050203511A1 (en) Orthopaedics device and system
US20090192548A1 (en) Pedicle-laminar dynamic spinal stabilization device
US20220054293A1 (en) External spinal brace
JP2009502213A (ja) 可動脊椎安定化デバイス
JP2012508597A (ja) 調整される拘束装置および使用方法
JP2011036558A (ja) 関節用能動装具
US6132209A (en) Orthodontic wire
RU212984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ррекции деформации позвоночника
KR20180109154A (ko) 정형외과용 보조력 부재
KR100645396B1 (ko) 척추경 고정장치
KR100645377B1 (ko) 척추경 고정장치
US20170056229A1 (en) Systems for correcting digital deformities
Sachdeva et al. Nitinol as a biomedical material
KR200377260Y1 (ko) 척추경 고정장치
Priya et al. Niti Self Expandable Surgical Splints
RU2295322C2 (ru) А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ортопедических устройств (варианты)
JP2014087381A (ja) 側弯矯正装具
KR100645398B1 (ko) 척추 교정을 위한 스태플링장치
Shima et al. Bending properties of hollow super-elastic Ti–Ni alloy wires and compound wires with other wires inser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