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979A - 무선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979A
KR20180106979A KR1020180031075A KR20180031075A KR20180106979A KR 20180106979 A KR20180106979 A KR 20180106979A KR 1020180031075 A KR1020180031075 A KR 1020180031075A KR 20180031075 A KR20180031075 A KR 20180031075A KR 20180106979 A KR20180106979 A KR 20180106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power
wireless charging
quick motio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교
이재성
육경환
박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106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7/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바이스의 퀵 모션을 판단하여, 판단에 따라 전력 전송을 제어하는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충전 장치{Wireless charger}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충전 장치는 유도 결합 방식 또는 공진 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디바이스(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에 전력을 전송하는 장치이다.
전력 전송을 위해서는 무선 충전 장치와 디바이스 간에 커플링이 이루어 져야 한다.
커플링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디바이스가 빠르게 움직이는 경우, 디바이스에는 예상치 못한 높은 전압이 발생되어, 디바이스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바이스의 빠른 움직임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디바이스를 보호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디바이스의 퀵 모션을 판단하여, 판단에 따라 전력 전송을 제어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디바이스에 퀵 모션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디바이스에 필요 이상의 전압이 공급되지 않아, 디바이스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주변 상황, 사용자의 과도한 조작에도 디바이스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무선 충전 방식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를 절개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디바이스의 퀵 모션 상태를 예시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디바이스의 퀵 모션 발생시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걸리는 전압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무선 충전 방식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유도 결합 방식 또는 공진 결합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유도 결합 방식(Inductive Coupling) 방식은, 인접한 두 개의 코일(coil) 중 1차 코일(coil)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키면 그 전류에 의해 자기장이 변하고, 이로 인하여 2차 코일(coil)을 지나는 자속이 변하게 되어 2차 코일(coil)측에 유도 기전력이 생기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즉, 이 방식에 따르면, 두 개 도선을 공간적으로 움직이지 않고도 두 개 코일(coil)을 근접시킨 채 1차 코일(coil)의 전류만 변화시키면 유도 기전력이 생기게 된다.
공진 결합(Resonance Coupling) 방식은, 일정 거리가 떨어진 두 개의 코일(coil) 중 1차 코일(coil)에 공진 주파수(Resonance Frequncy)를 인가하여 발생한 자기장 변화량 중 일부가 동일한 공진 주파수의 2차 코일(coil)에 인가되어 2차 코일(coil)에서 유도 기전력이 발생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즉, 이 방식에 따르면, 송수신 장치가 각각 동일 주파수로 공진하는 경우, 전자파가 근거리 전자장을 통해 전달되게 되므로, 주파수가 다르면 에너지 전달이 없게 된다.
유도 결합 방식 또는 공진 결합 방식에서 1차 코일은, 전송 코일(도 5의 116)로 명명될 수 있고, 2차 코일은, 수신 코일(도 5의 216)로 명명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이동 단말기(200)에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충전 장치(100)는, 복수의 전송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를 절개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트레이(11), 플레이트(13), 커플링 안테나(14), 전송 코일(116), 코일 브라켓(16), 구동부(17), 히트 싱크(18), 팬 모듈(19) 및 케이스(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100)는, 구성 요소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11)는, 디바이스(200)를 거치할 수 있다.
트레이(11)는,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홀 각각은 소정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홀(116)은, 이물질 차단과 공기의 유동 저항을 고려하여, 1 제곱미터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13)는, 제1 케이스(21)와 커플링 안테나(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13)는, 제1 케이스(21)를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플레이트(13)는 생략될 수 있다.
커플링 안테나(14)는, 트레이(11)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커플링 안테나(14)는, 전송 코일(116)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커플링 안테나(14)는, 이동 통신 신호를 디바이스(200)에 전달할 수 있다. 차량에 구비되는 안테나는, 이동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커플링 안테나(14)는, 차량에 구비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이동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커플링 안테나(14)는, 이동 통신 신호를 디바이스(200)에 전달할 수 있다.
커플링 안테나(14)는, 수신된 이동 통신 신호를 증폭하여,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차량이 산악 지대, 터널 또는 지하차도와 같이, 이동 통신 신호의 수신률이 떨어지는 장소를 주행하는 경우, 디바이스(200)는, 이동 통신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경우, 커플링 안테나(14)는, 수신률이 좋은 차량 안테나를 통해, 이동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디바이스(200)에 전달할 수 있다.
커플링 안테나(14)로 의해, 수신률이 떨어지는 장소에서도, 디바이스는, 이동 통신 신호를 장애없이 수신할 수 있다. 이동 통신 신호를 장애없이 수신함으로써,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에게 이동 통신 신호에 기초한 다양한 기능(예를 들면, TPEG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커플링 안테나(14)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NFC 안테나는, 디바이스(2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FC 안테나는, 디바이스(200)로부터, 디바이스(200)의 온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FC 안테나는, 디바이스(200)로부터, 무선 충전에 요구되는 전기 에너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커플링 안테나(14)는, 생략될 수 있다.
전송 코일(116)는, 트레이(11)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전송 코일(116)는, 커플링 안테나(14)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전송 코일(116)는, 구동부(17)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전송 코일(116)는, 구동부(17)에서 제공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전송 코일(116)는, 구동부(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송 코일(116)는, 구동부(15)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도 10의 4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프로세서(4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전송 코일(116)는, 디바이스(10)에 무선 방식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송 코일(116)는, 공진 결합 방식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송 코일(116)는, 공진 결합 방식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코일 브라켓(16)은, 전송 코일(116)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 브라켓(16)은, 구동부(17)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 브라켓(16)은, 전송 코일(116)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일 브라켓(16)은, 전송 코일(116)를, 구동부(17)에 나사 결합할 수 있다.
구동부(17)는, 전송 코일(116)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17)는, 전송 코일(116)를 구동할 수 있다.
구동부(17)는, 회로 기판 및 프로세서(도 6의 17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은,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에는, 인터페이스부(도 6의 130), 프로세서(도 6의 170), 메모리(도 6의 140) 및 팬 구동부등, 복수의 소자가 실장될 수 있다.
팬 구동부는, 팬모듈(19)에 포함된 팬을 구동할 수 있다. 팬구동부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회로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전송 코일(116)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전송 코일(116)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여, 디바이스(200)에 무선 방식으로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도록 전송 코일(116)를 구동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 싱크(18)는, 구동부(17)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히트 싱크(18)는, 메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히트 싱크(18)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히트 싱크(18)는, 무선 충전 장치(100)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히트 싱크(18)는, 전송 코일(116) 또는 구동부(17)에서 생성된 열을 무선 충전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팬 모듈(19)은, 구동부(17)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팬 모듈(19)은, 트레이(11) 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팬 모듈(19)은, 유로부(23)에서 공기의 순환을 유도할 수 있다.
팬 모듈(19)은, 트레이(11)에 포함된 홀을 통해, 디바이스(200)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거나, 디바이스(200) 주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200) 주변의 공기가 유동되면서, 무선 충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제거할 수 있다.
팬 모듈(19)은, 하나 이상의 팬을 포함할 수 있다. 팬 모듈(19)은, 팬의 회전을 통해, 공기를 배출하거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팬 모듈(19)은, 복수의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팬 모듈(19)은, 제1 팬 및 제2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경우, 제1 팬은, 제1 유로부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거나 공기를 흡입하고, 제2 팬은, 제2 유로부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거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제1 유로부는, 트레이(11)에 포함되는 홀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유로부는, 전송 코일(116)와 구동부(17) 사이, 커플링 안테나(14)와 전송 코일(116) 사이 또는 커플링 안테나(14)와 플레이트(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팬 모듈(19)은, 회전팬(rotating fan), 솔리드 스테이트 팬(solid state fan), 압전팬(piezoelectric fan), 원심팬(blower fan), 축류팬, 사류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팬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팬 모듈에 포함되는 팬과 타 부품 접촉부위에 방진 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
케이스(20)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20)는, 내부에 무선 충전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여 무선 충전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를 보호할 수 있다.
케이스(20)는, 전송 코일(116) 및 구동부(17)를 수용할 수 있다.
케이스(20)는, 탑 케이스(top case)(21), 바텀 케이스(bottom case)(22) 및 유로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 내부에는 유로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유로부(23)는, 팬 모듈(19)이 수용되는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유로부(23)의 일측은, 팬 모듈(19)이 수용되는 공간과 연결된다. 팬 모듈(19) 수용되는 공간은, 팬 모듈 수용부로 명명될 수 있다.
유로부(23)는, 트레이(11)에 형성된 홀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의 외부의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유로부(23)의 타측은, 홀을 통해, 외부의 공간과 연결된다. 여기서, 홀을 통해 연결되는 외부 공간은, 디바이스(200)가 위치하는 공간일 수 있다. 디바이스(200)가 위치하는 공간은, 디바이스(200) 거치부로 명명될 수 있다.
유로부(23)는, 제1 유로(23a), 제2 유로(23b) 및 제3 유로(2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로(23a)는, 제1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은, 수직 방향(예를 들면, 전고 방향)일 수 있다.
제1 유로(23a)는, 일단이 팬 모듈(19)이 수용되는 팬 모듈 수용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유로(23b)는, 제2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향은, 수평 방향(예를 들면, 전장 방향 또는 전폭 방향)일 수 있다.
제2 유로(23b)는, 제1 유로(23a)의 타단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유로(23b)의 일단은, 제2 유로(23a)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유로(23c)는, 제3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방향은, 제1 방향과 소정 각도(예를 들면, 0도 내지 50도)를 가지는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은, 제2 방향과 소정 각도(예를 들면, 40도 내지 90도)를 가지는 방향일 수 있다.
제3 유로(23c)는, 제2 유로의 타단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3 유로(23c)의 일단은, 제2 유로(23b)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유로(23c)의 타단은 트레이(11)에 포함된 홀을 통해, 디바이스(200)가 거치되는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이물질 차단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차단부(24)는, 유로부(23)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차단부(24)는, 트레이(11)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에서 유로부(23)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물질 차단부(24)는, 홀을 통해, 액체가 유입되는 경우, 액체가 팬 구동부(19)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물질 차단부(24)는, 제1 유로(23a) 및 제2 유로(23b)의 연결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차단부(24)는, 격벽 형상으로, 제1 방향(예를 들면, 전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이물질 차단부(24)에 의해, 제2 유로(23b)까지 유입된 이물질이, 이물질 차단부(24)에 가로막혀, 제1 유로(23a)까지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해, 팬 모듈(19)의 고장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한편, 트레이(11)는 탈착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11)를 분리한 후, 이물질 차단부(24)에서 걸러진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유로부(23)는, 팬 모듈(19)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이 점점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팬구동에 의핸 공기 배출시, 더 빠른 속도의 공기를 배출하여, 열 제거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유로(23a)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점점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유로(23b)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점점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유로(23c)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점점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디바이스의 퀵 모션 상태를 예시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시스템(1)은, 무선 충전 장치(100) 및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디바이스(200)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배터리(250)로 구동되는 전자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200)는, 포터블 디바이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파워 트랜스미터(110) 및 프로세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수신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및 출력부(150)를 각각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워 트랜스미터(110), 수신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출력부(150) 및 프로세서(17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100)는, 설명되는 구성 외에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워 트랜스미터(power transmitter)(11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파워 트랜스미터(11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파워 트랜스미터(110)는, 외부(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 또는 차량용 배터리)에서 공급된 전력을 무선 전력 신호(wireless power signal)로 변환하여, 디바이스(200)에 전달할 수 있다.
파워 트랜스미터(110)에 의해 전달되는 무선 전력 신호는, 진동(oscillation)하는 특성을 가진 자기장(magnetic field) 또는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의 형태로 형성된다.
파워 트랜스미터(110)는, 유도 결합 방식 및 또는 공진 결합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전력을 디바이스(200)에 전달할 수 있다.
유도 결합 방식에 의해 전력이 전달되는 경우, 파워 트랜스미터(110)내의 전송 코일(116)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변화되면, 그 전류에 의해 전송 코일(116)을 통과하는 자기장이 변화한다. 변화된 자기장은, 디바이스(200) 내지의 수신 코일(216) 측의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킨다. 유도 기전력에 기초하여, 디바이스(200)에 전기 에너지가 공급된다.
공진 결합 방식에 의해 전력이 전달되는 경우, 파워 트랜스미터(110)에서 교류 전원에 의해 특정한 공진 주파수를 가진 자기장이 형성된다. 형성된 자기장에 의하여 파워 트랜스미터(110)에서 공진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 디바이스(200) 내에서는 공진 현상에 의해 전력이 발생된다.
파워 트랜스미터(110)는, 공진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진 회로는 용량성 회로(capacitors)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공진 주파수는, 전송 코일(116)의 인덕턴스 및 공진 회로의 커패시턴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파워 트랜스미터(110)는, 컨버터(111), 인버터(112), 센싱부(113), 및 전송 코일(116)을 포함할 수 있다.
컨버터(111)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전송할 전력에 적합한 직류 전원으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버터(111)는, DC-DC 컨버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컨버터(111)는, 벅 부스트 컨버터(buck-boost converter)일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가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경우, DC-DC 컨버터(111)는, 차량용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직류 형태의 전기 에너지를, 전송할 전력에 적합하게, 승압 또는 강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버터(111)는, AC-DC 컨버터일 수 있다.
상용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컨버터(111)는, AC-DC 컨버터(111)는, 제공되는 교류 형태의 전기 에너지를, 전송할 전력에 적합하게, 직류 형태의 전기 에너지로로 전환할 수 있다.
컨버터(111)는, 프로세서(170)에서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될 수 있다.
인버터(112)는, 컨버터(111)에서 출력되는 직류 형태의 전기 에너지를 교류 형태의 전기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다.
인버터(112)는, DC-AC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버터(112)는, 풀 브리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112)는, 프로세서(170)에서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될 수 있다.
센싱부(113)는, 파워 트랜스미터(110)를 구성하는 회로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분에서의 전류 또는 전압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싱부(113)는, 컨버터(111)의 출력 노드의 전압값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싱부(113)는, 컨버터(111)의 출력 전류값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싱부(113)는, 전송 코일(116) 양단에 걸리는 전압값을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113)는, 프로세서(170)에서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될 수 있다.
전송 코일(116)은, 인버터(112)에 의해 전환된 교류 형태의 전기 에너지에 기초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송 코일(116)은, 전류의 변화에 따라 자기장을 형성한다.
전송 코일(116)은, 평판 나선 형태 또는 원통형 솔레노이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파워 트랜스미터(110)는, 복수의 전송 코일(116)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송 코일(116)은, 무선으로 전력을 복수의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워 트랜스미터(110)는, 제1 전송 코일 및 제2 전송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송 코일은, 무선으로 전력을 제1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전송 코일은, 무선으로 전력을 제2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파워 트랜스미터(110)가 복수의 전송 코일을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일부의 전송 코일을 통해서는, 유도 결합 방식에 의해 전력을 전달하고, 나머지 일부의 전송 코일을 통해서는, 공진 결합 방식에 의해 전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전송 코일(116)은, 프로세서(170)에서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파워 트랜스미터(110)는, 파라미터 조정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라미터 조정부(114)는, 전력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파라미터는, 전력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전압, 전류, 임피던스 및 주파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파라미터 조정부(114)는, 파라미터를 가변할 수 있는, 장치, 수동 소자 및 능동 소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컨버터(111) 및 인버터(112)는 파라미터 조정부(114)의 하위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파라미터 조정부(114)는, 프로세서(170)에서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무선 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무선 충전 장치(100)와 디바이스(200)간 커플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전송 코일(116)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 및 전송 코일(116) 양단에 걸리는 전압의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 장치(100)와 디바이스(200)간 커플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와 디바이스(200)간 커플링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디바이스(200)에 무선으로 전력이 송신되도록, 파워 트랜스미터(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디바이스(200)의 퀵 모션(quick motion)을 판단할 수 있다.
퀵 모션은, 디바이스(200)의 빠른 이동으로 인해, 디바이스(200)와 무선 충전 장치(200)와의 커플링 상태가 순간적으로 급격하게 바뀌는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도 6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퀵 모션은, 디바이스(200)가 트레이(11)의 일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외부 요인에 의해, 트레이(11)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는 상태일 수 있다.
도 6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퀵 모션은, 디바이스(200)가 트레이(11)위에 위치한 상태에서, 외부 요인에 의해, 트레이(11) 외부로 이동한 후, 다시 트레이(11)위로 이동하는 상태일 수 있다.
도 6c에 예시된 바와 같이, 퀵 모션은, 디바이스(200)가 트레이(11) 위로 순간적으로 놓여지는 상태일 수 있다. 또는, 퀵 모션 상태는, 디바이스(220)의 일부가 트레이(11)에 닿은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디바이스(220)의 전체가 트레이(11)에 놓어지는 상태일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 예시되지는 않지만, 기 설정 시간 이내에, 디바이스(200)의 자세 또는 위치가 변경되는 상태는 디바이스(200)의 퀵 모션으로 이해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퀵 모션에 대한 판단에 기초하여, 전력 전송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디바이스(200)에 퀵 모션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력 전송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디바이스(200)에 퀵 모션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전의 전력 전송 동작을 중단하고, 전력 전송 동작을 재시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디바이스(200)에 퀵 모션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컨버터(111)의 출력값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디바이스(200)에 퀵 모션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컨버터(111)의 출력값을 낮출 수 있다.
도 7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70)는, 전송 코일(116)에 의한 전력 전송값의 변화량을 획득하고, 전력 전송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디바이스(200)의 퀵 모션을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디바이스(200)로, 무선으로 전력이 전송되도록 파워 트랜스 미터(110)를 제어할 수 있다(S710).
프로세서(170)는, 전력 전송값의 변화량이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720).
프로세서(170)는, 파워 트랜스미터(110)를 구성하는 회고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분의 전류값 및 전압값에 기초하여, 전력 전송값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획득되는 전력 전송값에 기초하여, 전력 전송값의 변화량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센싱부(113)를 통해, 컨버터(111)의 출력 전류값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센싱부(113)를 통해, 컨버터(111)의 출력 노드의 전압값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컨버터(111)의 출력 전류값 및 컨버터(111)의 출력 노드의 전압값에 기초하여, 전력 전송값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센싱부(113)를 통해, 전송 코일(116)에 흐르는 전류값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센싱부(113)를 통해, 전송 코일(116) 양단의 전압값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전송 코일(116)에 흐르는 전류값과 전송 코일(116) 양단의 전압값에 기초하여, 전력 전송값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획득되는 전력 전송값에 기초하여, 전력 전송값의 변화량이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전력 전송값의 변화량이 임계값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기 설정 시간 이상 전력 변화 상태가 유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730).
전력 변화량이 임계값 이상인 상태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제공되는 전력이 감소되도록 파워 트랜스 미터(110)를 제어할 수 있다(S740).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전력 전송이 중단되도록 파워 트랜스미터(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컨버터(111)의 출력값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S720 단계에서 전력 전송값의 변화량이 임계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S720 단계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한편, S730 단계에서 전력 변화량이 임계값 이상인 상태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S720 단계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한편, S720 단계와 S730 단계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도 7b는 컨버터(111)의 출력 전류의 그래프를 예시한다.
지시부호 791은 퀵 모션 발생에 따라, 전력 전송값의 변화량의 임계값을 나타난다.
프로세서(170)는, 컨버터(111)의 출력 전압이 고정된 상태에서, 컨버터(111)의 출력 전류값을, 센싱부(113)를 통해, 센싱하여 전력 전송값을 획득할 수 있다.
지시부호 792는,전력 변화량이 임계값 이상인 상태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도 7a의 S710단계와 S720단계 사이에 S715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컨버터(111) 출력 노드 전압이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기준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S72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70)는, 센싱부(113)를 통해, 전송 코일(116)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값을 획득할 수 있다(S910). 프로세서(170)는, 전송 코일(116)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값에 기초하여, 디바이스(200)의 퀵 모션을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전송 코일(116)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920).
전송 코일(116)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값이 제1 임계값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이전의 전력 전송 동작을 중단하고, 전력 전송 동작을 재시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일전 시간 단위로, 센싱부(113)를 통해 획득되는 전송 코일(116) 양단에 걸리는 전압값에 기초하여, 전송 코일(116)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값의 변화량을 획득할 수 있다(S910). 프로세서(170)는, 전송 코일(116)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디바이스(200)의 퀵 모션을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전송 코일(116) 양단에 걸리는 전압값의 변화량이 제2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940).
전송 코일(116) 양단에 걸리는 전압값의 변화량이 제2 임계값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컨버터(111)의 출력값을 조정할 수 있다(S950).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컨버터(111)의 출력값을 낮출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출력부(150)를 통해, 정보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출력부(150)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200) 및 디바이스(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출력부(150)를 통해, 디바이스(200)의 퀵 모션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출력부(150)를 통해, 디바이스(200)의 퀵 모션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출력부(150)를 통해, 충전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출력부(150)를 통해, 퀵 모션 방지를 유도하기 위한 충전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100)가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출력부(150)를 통해, 퀵 모션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유도하는 운전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수신부(120)는, 디바이스(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부(120)는, 디바이스(200)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다른 장치와의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의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다른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회로 및 케이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무선 충전 장치(200)가 차량에 구비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130)는, 경우, 차량에 포함되는 다른 장치와의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수신된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를 프로세서(170)에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프로세서(170)에서 생성되거나 처리된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차량에 포함된 다른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주행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주행 상황 정보는, 차량 외부의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내비게이션 정보 및 차량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는, 오브젝트의 존재 유무에 대한 정보,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 차량과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차량과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정보는, 맵(map) 정보,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 설정 따른 경로 정보, 경로 상의 다양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차선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상태 정보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각종 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상태 정보는, 차량의 자세 정보,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 차량의 기울기 정보, 차량의 중량 정보, 차량의 방향 정보, 차량의 배터리 정보, 차량의 연료 정보,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 정보, 차량의 스티어링 정보, 차량 실내 온도 정보, 차량 실내 습도 정보, 페달 포지션 정보 및 차량 엔진 온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차량과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장치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차량에서 생성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음향 출력 장치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40)는, 각 유닛에 대한 기본 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무선 통신 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프로세서(170)의 하위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판단의 기준이 되는 임계값, 기준값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무선 충전 장치(200) 또는 디바이스(200)와 연관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및 인디케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무선 충전 장치(200) 및 디바이스(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력부(150)는, 디바이스(200)의 퀵 모션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력부(150)는, 디바이스(200)의 퀵 모션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충전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력부(150)는, 퀵 모션 방지를 유도하기 위한 충전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디케이터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는, 외부 오브젝트 검출 알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인디케이터는, 무선 충전 가능 여부 알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파워 트랜스미터(110)에 복수의 전송 코일이 포함되는 경우, 출력부(150)는, 복수의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경우, 복수의 인디케이터는, 복수의 전송 코일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디바이스(20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파워 리시버(210), 송신부(220), 충전부(240), 배터리(25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리시버(210)는, 무선 충전 장치(100)로부터 무선으로 전달되는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파워 리시버(210)는, 수신 코일(216), 정류 회로(retifier)(213) 및 평활 회로(regulator)(214)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220)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신부(220)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충전부(240)는, 파워 리시버(210)를 통해 공급받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250)를 충전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디바이스(2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디바이스의 퀵 모션 발생시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걸리는 전압을 나타낸다.
도 10a는, 디바이스(200)의 퀵 모션 판단에 따른 전력 전송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의 송신부와 수신부의 전압을 예시한다.
도 10b는, 디바이스(200)의 퀵 모션 판단에 따른 전력 전송 동작 제어가 이루어진 경우의 송신부와 수신부의 전압을 예시한다.
도 10a에서는 퀵 모션 발생시 수신부 전압이 급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도 10b에서는 퀵 모션 발생시에도 수신부 전압이 급등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에 의해, 퀵 모션 발생시에도 보다 안정적인 무선 전력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무선 충전 장치
200 : 디바이스

Claims (7)

  1.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충전 장치에 있어서,
    컨버터;
    상기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직류 형태의 전기 에너지를 교류 형태의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는 인버터;
    상기 교류 형태의 전기 에너지에 기초하여, 무선으로 상기 디바이스에 전력을 전송하는 전송 코일; 및
    상기 디바이스의 퀵 모션(quick motion)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전력 전송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 코일에 의한 전력 전송값의 변화량을 획득하고, 상기 전력 전송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퀵 모션을 판단하는 무선 충전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 코일 양단에 걸리는 전압값을 획득하고, 상기 전압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퀵 모션을 판단하는 무선 충전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 코일 양단에 걸리는 전압값의 변화량을 획득하고, 상기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퀵 모션을 판단하는 무선 충전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바이스의 퀵 모션이 판단되는 경우, 전력 전송 동작을 중단하거나, 전력 전송 동작을 재시작하도록 제어하는 무선 충전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바이스의 퀵 모션이 판단되는 경우, 상기 컨버터의 출력값을 조정하는 무선 충전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퀵 모션 방지를 유도하기 위한 충전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무선 충전 장치.

KR1020180031075A 2017-03-20 2018-03-16 무선 충전 장치 KR201801069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73660P 2017-03-20 2017-03-20
US62/473,660 2017-03-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979A true KR20180106979A (ko) 2018-10-01

Family

ID=63877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075A KR20180106979A (ko) 2017-03-20 2018-03-16 무선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69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600B1 (ko) 차량에 구비되는 이동 단말기용 무선 충전 장치 및 차량
US8772978B2 (en)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JP6920646B2 (ja) 異物検出装置、無線送電装置、および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KR101993482B1 (ko) 차량 장착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JP5689587B2 (ja) 電力伝送装置
US9704643B2 (en)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power feeder and power receiver for use in the same
TWI459676B (zh) 非接觸供電系統及非接觸供電系統的金屬異物檢測裝置
US20200091755A1 (en) Inductive charging dock
JP5689682B2 (ja) 誘導電力供給装置
US9712001B2 (en) Power reception apparatus, mediu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al power supplied to a load of power reception apparatus
US20140191717A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20150069254A (ko) 이동단말기 무선충전기
JPWO2017145602A1 (ja) ワイヤレス送電装置、その制御方法、送電制御回路、充電器
JP2020120580A (ja) 給電システムの動作方法
JP2013514748A (ja) 回転アンテナを備えたワイヤレス充電器
JP2017028984A (ja) 送電装置、受電装置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2015008548A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
WO2015083202A1 (ja) アレーコイルシステム
CN109769402B (zh) 无线电力发送设备
KR20180106979A (ko) 무선 충전 장치
KR102483258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JPWO2016067528A1 (ja) 電池内蔵機器
JP5699960B2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
KR101918229B1 (ko) 차량에 구비되는 이동 단말기용 무선 충전 장치 및 차량
KR102077567B1 (ko) 이물질 검출 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