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5422A - Apparatus for protecting circuit by controlling battery re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tecting circuit by controlling battery re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5422A
KR20180105422A KR1020170032473A KR20170032473A KR20180105422A KR 20180105422 A KR20180105422 A KR 20180105422A KR 1020170032473 A KR1020170032473 A KR 1020170032473A KR 20170032473 A KR20170032473 A KR 20170032473A KR 20180105422 A KR20180105422 A KR 20180105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value
battery
battery relay
alternator
electr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4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80003B1 (en
Inventor
임영섭
박덕우
장정권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2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003B1/en
Publication of KR20180105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4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0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electronic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0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generators driven by a machine different from the vehicl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4Electric currents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n electric circuit protection device using the battery relay control of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lectric circuit protection device using the battery relay control of construction equipment comprises: a key switch; a battery relay disconnecting or connecting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of a vehicle from or to a power source from the battery; an alternat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voltage in a state that an engine is started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ic device; a current sensor sensing at least one among a current value outputted from the alternator, a current value supplied to the battery, and a current value supplied to the electric device; and a controller comparing a current value sensed by the current sensor with a preset reference current value when a start-off signal of the key switch is generated,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relay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Thus, a surge voltage can be minimized.

Description

건설장비의 배터리 릴레이 제어를 통한 전장회로 보호장치{Apparatus for protecting circuit by controlling battery relay of construction equipment}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on circuit for a battery,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는 건설장비의 배터리 릴레이 제어를 통한 전장회로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At least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 to electrical circuit protection devices through battery relay control of construction equipment.

건설장비에 구비되는 배터리 릴레이는 배터리로부터 차량의 전기장치에 공급전원을 차단 또는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알터네이터는 엔진 가동 시에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The battery relay installed in the construction equipment serves to disconnect or connect the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device of the vehicle from the battery, and the alternator serves to supply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when the engine is running.

종래의 배터리 릴레이는 키 스위치 또는 알터네이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제어되었다. 이에 따라 건설장비의 시동이 오프되면 소정의 알터네이터 전압 이하에서는 배터리 릴레이의 동작이 차단된다. The conventional battery relay was controlled by the voltage output from the key switch or the alternator. Accordingly, when the start-up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is off,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relay is cut off at a predetermined alternator voltage or lower.

그러나, 알터네이터는 배터리 릴레이의 동작이 중지된 상태에서도 관성으로 인하여 일정시간 동안 전압을 생성하므로, 배터리 릴레이의 동작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알터네이터로부터 배터리 충전을 위해 발생된 전류는 서지전압으로 차량의 전기장치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alternator generates a voltag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due to inertia even when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relay is stopped, the current generated for charging the battery from the alternator in the state where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relay is stopp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pparatus is adversely affected.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건설장비의 시동 오프 시, 배터리 릴레이의 동작이 즉시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서지전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capable of minimizing the surge voltage by preventing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relay from being immediately interrupted when the construction equipment is turned off.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건설장비의 배터리 릴레이 제어를 통한 전장회로 보호장치는, 키 스위치와, 배터리로부터 차량의 하나 이상의 전기장치에 공급 전원을 차단 또는 연결하는 배터리 릴레이와, 엔진의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소정의 전압을 출력하여 상기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알터네이터와, 상기 알터네이터에서 출력되는 전류값,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류값, 그리고 상기 전기장치에 공급되는 전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전류센서 및 상기 키 스위치의 시동 오프 신호 발생 시에 상기 전류센서에 의해 센싱된 전류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전류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배터리 릴레이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n electric circuit protection apparatus through battery relay control of a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switch and a switch for disconnecting or connecting a power supply to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of the vehicle from a battery A battery relay, and an alternator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voltage in a state in which the engine is started and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ic device, a current value output from the alternator, a current value supplied to the battery, A current sensor for sensing at least one of the supplied current values and a current value sensed by the current sensor at the time of generating the ignition off signal of the key switch and a predetermined reference current valu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류센서는 상기 알터네이터와 상기 전기장치 사이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알터네이터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전류센서가 센싱한 전류값은 상기 콘트롤러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current sensor is connected between the alternator and the electric device, or connected between the alternator and the battery, and the current value sensed by the current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전류값은, 상기 차량의 하나 이상의 전기장치에 대하여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전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redetermined reference current value is a current value that does not occur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of the vehic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키 스위치의 시동 오프 신호의 발생 시에 상기 전류센서에 의해 센싱된 전류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전류값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 릴레이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roller stops operation of the battery relay when the current value sensed by the current sensor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reference current value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start-off signal of the key switch .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키 스위치의 시동 오프 신호의 발생 시에 상기 전류센서에 의해 센싱된 전류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전류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릴레이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controller causes the battery relay to operate when the current value sensed by the current sensor exceeds the preset reference current value at the time of the generation of the start-off signal of the key switch .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건설장비의 전기장치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서지전압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전기장치의 내구성 증가 및 장비의 수명 증가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서지전압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안전 상의 문제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urge voltage that adversely affects the durability of the electrical equipment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thereby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electrical equipment and the life of the equipment. In addition, a safety problem that can occur due to the surge voltag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배터리 릴레이 제어를 통한 전장회로 보호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건설장비의 배터리 릴레이 제어를 통한 전장회로 보호장치의 배터리 릴레이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FIG. 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lectric circuit protection apparatus through battery relay control of a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battery relay of an electric circuit protection device through battery relay control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of FIG.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hould not be construed to mean, or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Further, when a technical term used herein is an erroneous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chnical terms that can be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re replaced.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a predefined or pri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comprising" or "comprising" or the like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the various elem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r may be further comprised of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Further, the suffix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Furthermore,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It is to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배터리 릴레이 제어를 통한 전장회로 보호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FIG. 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lectric circuit protection apparatus through battery relay control of a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배터리 릴레이 제어를 통한 전장회로 보호장치는, 키 스위치(10), 콘트롤러(20), 배터리 릴레이(30), 알터네이터(40) 및 전류센서(5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an electric circuit protec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battery relay of a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switch 10, a controller 20, a battery relay 30, an alternator 40 And a current sensor 50, as shown in FIG.

키 스위치(10)는 배터리와 배터리 릴레이(30) 사이에 배치되어 배터리와 배터리 릴레이(30)를 단속적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키 스위치(10)의 일단부가 배터리에 연결되어 배터리 전원의 전기장치로의 공급을 위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건설장비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키 스위치(10)의 온(On) 동작시 배터리 전원이 배터리 릴레이(30)로 전달되어 엔진의 시동이 걸리게 된다. The key switch 10 is disposed between the battery and the battery relay 30 to intermittently connect the battery and the battery relay 30. One end of the key switch 1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so as to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for supplying battery power to the electric device. That is, when the key switch 10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driver, the battery power is transmitted to the battery relay 30 to start the engine.

상기 배터리(미도시)는 축전지라고도 하며 건설장비에 구비되어 상기 키 스위치(10)의 동작에 따라 엔진의 시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고 차량의 전기 장치의 작동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터리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마다 전기 에너지가 사용되는 곳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 에너지의 저장소이다. 건설장비에 구비되는 배터리는 후술하는 알터네이터(40)에 의해 충전되기 전에는 재사용되기 어려운 2차 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battery (not shown) is also called a battery, and is provided in a construction equipment, and supplies power for starting the engin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key switch 10 and supplying power for operation of the electric device of the vehicle. The battery is a reservoir of electrical energy that stores electrical energy and supplies power to where electrical energy is used whenever needed. The battery provided in the construction equipment generally uses a secondary battery which is difficult to be reused before it is charged by the alternator 40 described later.

배터리 릴레이(30)는 배터리로부터 차량의 전기장치에 공급 전원을 차단 또는 연결한다. 즉 배터리의 동작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의 전기 장치는 건설장비에 구비되는 전기 시스템의 모든 전기 부품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의 전기 장치의 예로는 건설장비에 구비되는 각종 램프를 포함하고, 건설장비의 작업 장비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 장치 등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 시스템이 될 수 있다.The battery relay 30 disconnects or connects the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device of the vehicle from the battery. That is, it controls the operation power supply of the battery. Here, the electric apparatus of the vehicle includes all the electric parts of the electric system provided in the construction equipment. Examples of the electric apparatus of the vehicle include various lamps provided in the construction equipment, and may be an electric system for driving a hydraulic device or the like for operating the work equipment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알터네이터(40)는 엔진이 구동되는 상태에서 소정의 전압을 발생시켜 배터리에 충전전류를 공급한다.The alternator 40 generates a predetermined voltage in a state where the engine is driven to supply a charging current to the battery.

전류센서(50)는 저가이면서도 높은 정밀도로 상기 알터네이터(40)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값을 센싱할 수 있는 션트 저항(Shunt Register)이며, 상기 션트 저항은 알터네이터(40)와 전기장치 사이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알터네이터(40)와 배터리 사이에 연결됨으로써 알터네이터(40)에서 출력되는 전류값,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류값, 그리고 전기장치에 공급되는 전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할 수도 있다. 전류센서(50)에 의해 센싱된 전류값은 콘트롤러(20)에 전달된다. The current sensor 50 is a shunt resistor capable of sensing a current value supplied through the alternator 40 with low cost and high accuracy and the shunt resistor is connected between the alternator 40 and the electric device Or at least one of a current value supplied from the alternator 40, a current value supplied to the battery, and a current value supplied to the electric device by being connected between the alternator 40 and the battery. The current value sensed by the current sensor 5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0.

콘트롤러(20)는 건설장비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키 스위치(10)의 시동 오프 신호 발생 시에 전류센서(50)로부터 상기 전류센서(50)에 의해 센싱된 전류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전류센서(50)에 의해 센싱된 전류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전류값을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따라 배터리 릴레이(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센싱된 전류값은 알터네이터(40)와 전기장치 사이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알터네이터(40)와 배터리 사이에 연결된 션트 저항에 의해 센싱된 알터네이터(40)에서 출력되는 전류값,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류값, 그리고 전기장치에 공급되는 전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0 acquires the current value sensed by the current sensor 50 from the current sensor 50 when the start-off signal of the key switch 10 is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driver, Compares the current value sensed by the sensor 50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current valu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relay 30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sensed current value may be a current value output from the alternator 40 sensed by a shunt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alternator 40 and the electric device or connected between the alternator 40 and the battery, A current value to be supplied to the electric device, and a current value to be supplied to the electric device.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전류값은, 상기 차량의 하나 이상의 전기장치에 대하여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전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determined reference current value is a current value that does not occur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of the vehicle.

콘트롤러(20)는 키 스위치(10)의 시동 오프 신호 발생 시에 전류센서(50)에 의해 센싱된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전류값 이하인 경우, 배터리 릴레이(30)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The controller 20 stops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relay 30 when the current value sensed by the current sensor 50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current value at the time of generating the start-off signal of the key switch 10. [

또한, 콘트롤러(20)는 키 스위치의 시동 오프 신호의 발생 시에 전류센서(50)에 의해 센싱된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전류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릴레이를 동작시킨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20 operates the battery relay when the current value sensed by the current sensor 50 exceeds a preset reference current value at the time of generation of the start-off signal of the key switch.

종래에는, 건설장비의 시동이 오프되면 소정의 알터네이터(40) 전압 이하에서는 배터리 릴레이(30)의 동작이 차단되며, 알터네이터(40)는 배터리 릴레이(30)의 동작이 중지된 상태에서도 일정시간 동안 전압을 생성하고 이때 발생된 전류는 서지전압으로 차량의 전기장치에 악영향을 미친다. Conventionally, when the starting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is turned off,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relay 30 is cut off when the voltage of the alternator 40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voltage, and the alternator 40 stops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relay 30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current generated at this time has an adverse effect on the electric device of the vehicle by the surge voltage.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콘트롤러(20)는 키 스위치(10)의 시동 오프 신호 발생 시에 전류센서(50)에 의해 센싱된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전류값 이하인 경우에 배터리 릴레이(30)의 동작을 중지시킴으로써 건설장비의 시동 오프 시, 배터리 릴레이의 동작이 즉시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서지전압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value of the current sensed by the current sensor 50 at the time of generating the start-off signal of the key switch 10 is equal to or low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current value, the controller 20 performs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relay 30 The surge voltage can be minimized by preventing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relay from being immediately interrupted when the construction equipment is turned off.

도 2는 도 1의 건설장비의 배터리 릴레이 제어를 통한 전장회로 보호장치의 배터리 릴레이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2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battery relay of an electric circuit protection device through battery relay control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of FIG.

먼저, 건설장비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키 스위치(10)로부터 시동 오프 신호가 발생하면(S210), 전류센서(50)는 알터네이터(40)에서 출력되는 전류값,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류값, 그리고 전기장치에 공급되는 전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한다(S220). First, when a start-off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key switch 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driver (S210), the current sensor 50 calculates the current value output from the alternator 40, the current value supplied to the battery, At least one of current values supplied to the device is sensed (S220).

여기서, 상기 전류센서(50)는 알터네이터(40)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값을 센싱할 수 있는 션트 저항(Shunt Register)일 수 있으며, 알터네이터(40)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값을 센싱하기 위해 상기 션트 저항은 알터네이터(40)와 전기장치 사이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알터네이터(40)와 배터리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The current sensor 50 may be a shunt resistor capable of sensing a current value supplied through the alternator 40. The current sensor 50 may be a shunt resistor for sensing a current value supplied through the alternator 40, The resistor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alternator 40 and the electric device, or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alternator 40 and the battery.

콘트롤러(20)는 상기 전류센서(50)에 의해 센싱된 전류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전류센서(50)에 의해 센싱된 전류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전류값을 비교한다(S230).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전류값은, 차량의 하나 이상의 전기장치에 대하여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전류값으로, 콘트롤러(20)는 단계 S230에서 전류센서(50)에 의해 센싱된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전류값 이하인지 판단한다. The controller 20 acquires the current value sensed by the current sensor 50, and compares the current value sensed by the current sensor 50 with a preset reference current value at step S230. Here, the predetermined reference current value is a current value that does not occur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of the vehicle, and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that the current value sensed by the current sensor 50 in step S230 is a preset reference Current value or less.

단계 S230에서 콘트롤러(20)의 판단 결과, 콘트롤러(20)는 키 스위치의 시동 오프 신호의 발생 시에 전류센서(50)에 의해 센싱된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전류값을 초과하는 경우, 배터리 릴레이(30)를 동작시켜 배터리로부터 차량의 전기장치에 공급 전원을 전달할 수 있다. If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in step S230 that the current value sensed by the current sensor 50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current value at the time of generation of the start-off signal of the key switch, The power supply 30 can be operated to transmit the power supply from the battery to the electric device of the vehicle.

단계 S230에서 콘트롤러(20)의 판단 결과, 전류센서(50)에 의해 센싱된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전류값 이하인 경우에 배터리 릴레이(3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콘트롤러(20)는 전류센서(50)가 소정의 시간 동안에 알터네이터(40)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값을 센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0 stops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relay 30 when the current value sensed by the current sensor 50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current valu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30 and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that the current sensor 50 Can sense the current value supplied through the alternator 40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이상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각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으로 해석되면 아니되며, 본 명세서의 내용을 숙지한 당업자에 의해 서로 조합될 수 있고, 조합될 경우 일부 구성 요소들은 생략될 수도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us,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when combined,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omitted.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example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described. Therefore, various modification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10 : 키 스위치
20 : 콘트롤러
30 : 배터리 릴레이
40 : 알터네이터
50 : 션트 저항
10: Key switch
20: Controller
30: Battery relay
40: alternator
50: Shunt resistance

Claims (5)

키 스위치;
배터리로부터 차량의 하나 이상의 전기장치에 공급 전원을 차단 또는 연결하는 배터리 릴레이;
엔진의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소정의 전압을 출력하여 상기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알터네이터;
상기 알터네이터에서 출력되는 전류값,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류값, 그리고 상기 전기장치에 공급되는 전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전류센서; 및
상기 키 스위치의 시동 오프 신호 발생 시에 상기 전류센서에 의해 센싱된 전류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전류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배터리 릴레이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
를 포함하는 건설장비의 배터리 릴레이 제어를 통한 전장회로 보호장치.
Key switch;
A battery relay for disconnecting or connecting the power supply to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of the vehicle from the battery;
An alternator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voltage in a state in which an engine is started and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ic device;
A current sensor for sensing at least one of a current value output from the alternator, a current value supplied to the battery, and a current value supplied to the electric device; And
A controller that compares a current value sensed by the current sensor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current value when a start-off signal of the key switch is generated, and controls operation of the battery relay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And a battery relay control circuit for protecting the electric circuit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센서는 상기 알터네이터와 상기 전기장치 사이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알터네이터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전류센서가 센싱한 전류값은 상기 콘트롤러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배터리 릴레이 제어를 통한 전장회로 보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rrent sensor is connected between the alternator and the electric device, or is connected between the alternator and the battery,
And the current value sensed by the current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전류값은, 상기 차량의 하나 이상의 전기장치에 대하여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전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배터리 릴레이 제어를 통한 전장회로 보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current value is a current value that does not occur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of the vehic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키 스위치의 시동 오프 신호의 발생 시에 상기 전류센서에 의해 센싱된 전류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전류값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 릴레이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배터리 릴레이 제어를 통한 전장회로 보호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ler stops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relay when the current value sensed by the current sensor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reference current value at the time of the generation of the start- Device for protection of electric circuit by battery relay contro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키 스위치의 시동 오프 신호의 발생 시에 상기 전류센서에 의해 센싱된 전류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전류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릴레이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배터리 릴레이 제어를 통한 전장회로 보호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ler operates the battery relay when the current value sensed by the current sensor exceeds the predetermined reference current value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start-off signal of the key switch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Device for protection of electric circuit by battery relay control.

KR1020170032473A 2017-03-15 2017-03-15 Apparatus for protecting circuit by controlling battery re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KR1023800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473A KR102380003B1 (en) 2017-03-15 2017-03-15 Apparatus for protecting circuit by controlling battery re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473A KR102380003B1 (en) 2017-03-15 2017-03-15 Apparatus for protecting circuit by controlling battery re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422A true KR20180105422A (en) 2018-09-28
KR102380003B1 KR102380003B1 (en) 2022-03-29

Family

ID=63721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473A KR102380003B1 (en) 2017-03-15 2017-03-15 Apparatus for protecting circuit by controlling battery re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00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2376A (en) 2022-06-29 2024-01-05 정충훈 Support apparatus for fixing fr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974B1 (en) * 2009-03-03 2011-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lay in electric drive vehicle
KR20140074569A (en) * 2012-12-10 2014-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ower control system for vehicle batte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974B1 (en) * 2009-03-03 2011-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lay in electric drive vehicle
KR20140074569A (en) * 2012-12-10 2014-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ower control system for vehicle batter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2376A (en) 2022-06-29 2024-01-05 정충훈 Support apparatus for fixing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003B1 (en)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0325B2 (en) Vehicle power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jump-start
US9941692B2 (en) Overvoltage protection for a multivoltage vehicle electrical system
US7123458B2 (en) Method and circuit arrangement for protecting an electric motor from an overload
US20150336523A1 (en) Vehicle power supply apparatus and vehicle power regeneration system
US20150336474A1 (en) Vehicle power supply apparatus and vehicle power regeneration system
EP1705794B1 (en) Power generation controller for vehicle generator
JP2010110091A (en) Load driving device
JP2015512010A (en) Voltage dip stabilizer for automobiles
US20130278055A1 (en) Motor vehicle electrical system having subsystems and a generator system, generato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electrical system
JPH1051976A (en) Controller of generator for vehicle and power generator for vehicle which uses the same
KR20200134976A (en) Battery system and relay control device thereof
CN112805188A (en) Power supply system
EP2635799A1 (en) Activation device and activation method for a dual-battery system
CN112218788A (en) In-vehicle power supply control device and in-vehicle power supply system
KR20180105422A (en) Apparatus for protecting circuit by controlling battery re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US7259470B2 (en) Power control device for vehicle
US7521904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errors in charging lines
US11305669B2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US20140001837A1 (en) Dual Core DC/DC Module for Electrical Vehicle
KR20090114910A (en) battery control system for aircraft
JP6541414B2 (en) Power supply device
KR101501854B1 (en) Driver device of synchronous rectifier
KR2016015047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y in electric vehicle having function of power failure
KR2017000466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fail safe in 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
KR102224405B1 (en) Power control device in electric fiel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