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3444A - Disposing apparatus for excreta - Google Patents

Disposing apparatus for excre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444A
KR20180103444A KR1020170030398A KR20170030398A KR20180103444A KR 20180103444 A KR20180103444 A KR 20180103444A KR 1020170030398 A KR1020170030398 A KR 1020170030398A KR 20170030398 A KR20170030398 A KR 20170030398A KR 20180103444 A KR20180103444 A KR 20180103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elope
pulling
main body
urine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3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88025B1 (en
Inventor
노현길
Original Assignee
노현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현길 filed Critical 노현길
Priority to KR1020170030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025B1/en
Publication of KR20180103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4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0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47K11/026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with continuous tubular film for receiving fae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8Foot- or knee-re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creta disposal system, which comprises: a main body unit having a vertically penetrated arrangement space therein; a urine disposal unit disposed in the arrangement space; and an excrement disposal unit adjacent to the urine disposal unit. Accordingly, urine flows into the urine disposal unit and excrement flows into the excrement disposal unit when a user excretes excreta by sitting on the main body unit so that the urine and excrement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stead of being mixed together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unit.

Description

용변처리장치{Disposing apparatus for excreta}Disposing apparatus for excreta

본 발명은 용변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treatment apparatus.

변기는 똥이나 오줌(이하, 오물이라 함)을 누도록 만든 기구로서 재래식 대변기, 소변기, 양식 변기(대소변 겸용)가 있다. 양식 변기는 모두 수세식이며, 재래식 변기에는 수세식과 급취식이 있다. 재래식 대변기로 비수세식의 것에는 변기의 가장자리만으로 밑이 뚫린 형과 앞쪽에 밑이 있고 뒤쪽만 열려 있는 것 등이 있다. 수세식의 것은 오물의 세정방식에 따라 후급수-전배수식, 사이펀제트식, 전급수-후배수식의 3종류로 나누어진다.A toilet is a device that puts poop or ur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dirt") as a conventional toilet, a urinal, and a toilet. Formal toilets are all flush, traditional flush toilets and fast food. A non-flush toilet with a conventional flusher is a type with an open bottom with only the edge of the toilet, an open front with a bottom, and a rear open only. The flushing method is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cleaning method of the dirt, that is, the post-water-front-end formula, the siphon-jet type, and the pre-water-posterior formulas.

변기가 설치된 화장실은 크게 수세식 화장실과 급취식 화장실로 나눌 수 있다. 수세식 화장실은 방류수세식 화장실과 정화조 수세식 화장실로 구분될 수 있고, 급취식 화장실은 보통 급취식 화장실과 개량 급취식 화장실로 나눌 수 있다.Toilets equipped with a toilet can be roughly divided into a flush toilet and a fast-food toilet. Flush toilets can be divided into flush toilets and septic toilets. Flush toilets can be divided into regular toilets and improved toilets.

방류수세식은 화장실에서 나오는 오물을 직접 방류하수도에 흘려 보내서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이것을 모아 정화하여 방류하는 가장 이상적인 방식이다.The effluent flushing is the ideal way to discharge the sewage from the toilet directly to the sewage drainage system, collecting it at the sewage disposal plant and purifying it.

정화조 수세식은 오물을 방류하는 하수관 설비가 없는 지구에서 수세식 화장실을 설치하는 경우에 필요한 방식이며, 오수를 일반 잡배수용 하수관에 흘러 보내기 전에 개별적으로 또는 집단적으로 설치한 시뇨 정화조를 경유시키는 방식이다.A septic tank flush is a method required when installing a flush toilet in a district where there is no sewer system discharging dirt. It is a method of passing the sewage through separate or collectively installed sewer system before sending sewage to general sewage sewer.

보통 급취식은 대변기 밑에 거름동이 또는 밀폐 콘크리트조 등을 설치하는 방식이며, 예전부터 사용되어 온 가장 일반적인 방식이지만 냄새도 심하고 비위생적이다.Normally, it is a method to install a dirty or airtight concrete tank under the feces, and it is the most common method that has been used in the past, but the smell is bad and unsanitary.

개량 급취식 화장실에는 몇 가지 방식이 있으며, 이것은 변조를 기밀로 하여 밑으로부터의 공기유동을 차단하고 냄새를 막는 방식이다.There are several ways to improve the toilets, which are airtight, and block the air flow from the bottom and prevent odors.

이러한 화장실에서 발생한 오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하수도를 통해 수거하여 종말처리를 하거나 수거, 수집 운반한 뒤 분뇨처리시설에서 처리하게 된다. 이에, 오물 처리를 위한 정화처리시설을 증설해야 하고, 오물처리장치(circular toilet device)를 이용하여 처리해야 하므로 처리에 대한 비용이 발생하였다. 특히, 화장실이 특정 장소에 설치되므로 레저 등의 야외 활동 중 화장실 이용에 다소 어려움이 있다.In order to treat the dirt from such a toilet, it is collected through the sewer, treated at the end, collected, transported and processed at the sewage treatment facility. Accordingly, a purification treatment facility for the treatment of dirt is required to be installed and a treatment is required using a circular toilet device. Especially, since the restroom is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there is a problem in using the restroom among outdoor activities such as leisure.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기 출원(10-2015-0031842호)(2015.03.06.)한 용변처리장치가 등록(10-1677512호)(2016.11.14.)되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applicant has registered (10-1677512) (10.16.1996) on the toilet treatment device of the applicant (10-2015-0031842) (2015.03.06.).

[도 10]을 참고하여 특허등록 제10-1677512호, 명칭: 용변처리장치를 살펴보면, 좌대(130)가 구비된 바디부(100), 바디부(100) 내부에 배치된 홀더 브라켓(140), 홀더 브라켓(140)에 놓이고 봉투가 배치될 수 있는 홀더(120), 봉투를 펼치는 펼침부(200), 펼쳐진 봉투를 자르는 절취부(300) 및 잘린 봉투가 담길 수 있는 보관부(400)를 포함한다.10-1677512 entitled " Toilet treatment apparatus, a body part 100 provided with a seat 130, a holder bracket 140 disposed inside the body part 100, A holder 120 placed on the holder bracket 140 and on which the envelope can be placed, a spreading unit 200 for spreading the envelopes, a cutout 300 for cutting the opened envelopes, and a storage unit 400, .

펼침부(200)는 홀더 브라켓(140)을 기준으로 홀더 브라켓(140) 위에 위치하여 바디부(100)의 내벽에 결합되어 있다. 펼침부(200)는 회전할 수 있고 봉투에 접촉할 수 있는 롤러를 포함한다. 즉, 롤러의 회전으로 봉투는 홀더(120)에서 벗겨지면서 절취부(300)를 통과하여 바디부(100)의 하부로 펼쳐지게 된다.The spreader 200 is positioned on the holder bracket 140 with respect to the holder bracket 140 and is coupled to the inner wall of the body 100. The spreader 200 includes a roller that is rotatable and can contact the envelope. That is, the envelope is peeled off from the holder 120 by the rotation of the rollers, passes through the cut-out portion 300, and is sprea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0.

그러나, 이러한 용변처리장치는 소변과 대변을 분리하여 수거할 수 없었으며, 특히 롤러의 회전력으로만 봉투가 펼쳐지므로 롤러가 봉투 상에서 미끄러지게 되어 봉투의 펼쳐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However, such a toilet can not collect urine and feces separately. In particular, since the envelope is unfolded only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ller, the roller slips on the envelope, and the unfolding of the envelope is not smooth.

그리고 용변이 봉투 내부로 떨어지는 과정 중에 봉투 내부둘레에 묻게 되는데 절취부(300)의 위쪽에 위치한 봉투 부분(홀더 내부에 위치한 부분)에 묻은 용변은 처리되지 못하고 남아 있게 되어 위생적이지 못하였다. 즉, 봉투가 필요 이상으로 풀리게 되면서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In the process of falling into the envelope, the envelope is buri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envelope. The envelope portion (the portion located inside the holder) located above the cutout portion 300 is not treated because it remains untreated. That is, the envelope is loosened more than necessary, and the above-described problem occurs.

등록특허 제 10-1677512호 (2016.11.14.)Patent No. 10-1677512 (Nov. 14, 2016) 등록특허 제 10-1423912호 (2014.07.22.)Registration No. 10-1423912 (July 22, 2014)

본 발명은 소변과 대변을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는 용변처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ilet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collecting urine and feces separately.

본 발명은 용변처리장치의 내부가 관통된 봉투가 안치부에서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풀리도록 하고 봉투의 내부에 묻은 용변을 완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ique that enables an envelope penetrated through the inside of a toilet treatment apparatus to be reliably and reliably released from the mouth portion and to completely treat the inside of the envelope.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변처리장치는 이용자가 앉아 용변활동을 하는 것으로, 내부에 상하 관통된 배치공간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배치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소변 처리부 및 상기 소변 처리부와 이웃한 대변 처리부를 포함하며, 이용자가 상기 본체부에 앉아 용변활동 시 소변은 상기 소변 처리부로 유입되고 대변은 상기 대변 처리부로 유입되어 소변과 대변이 혼합되지 않고 분리되어 상기 본체부 외부로 배출되어 모인다.A toilet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in which a user performs a sitting activity and has a placement space vertically passing through the body, a urine treatment portion disposed in the placement space, Wherein the urine is introduced into the urine treatment unit when the user is sitting on the main body and the faeces is introduced into the faecal treatment unit so that the urine and fec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out mixing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상기 배변 처리부는, 상기 배치공간에 위치하고 봉투가 놓일 수 있는 안치부, 상기 안치부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봉투를 당기고 자를 수 있는 제1 및 제2 당김 컷팅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봉투는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고, 상기 봉투는 상기 안치부 내부를 통해 상기 안치부 하부로 풀리어 상기 제1 및 제2 당김 컷팅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당김 컷팅부는 풀린 상기 봉투를 사이에 두고 접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당김 컷팅부는 상기 승강부의 하강으로 상기 봉투를 상기 본체부 하부로 당길 수 있다.Wherein the defecation processing unit comprises: a safety catching unit disposed in the arrangement space and capable of placing an envelope, a lift unit disposed below the safety catch, and first and second pulling cutters connected to the lift unit and capable of pulling and pulling the envelope, And the envelope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ulling-cut portions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and the envelope may extend from the inner side of the inner portion to the bottom of the inner bottom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pulling-cut portions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the unfolded envelop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first and second pulling-down portions can pull the envelop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by descending the elevating portion.

상기 승강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안치부 아래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고 간격을 두고 있는 제1 및 제2 스크류, 상기 제1 및 제2 스크류와 각각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당김 컷팅부를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승강블록, 상기 제1 및 제2 스크류를 서로 동력 연결하는 동력연결부 및 상기 제1 스크류와 동력 연결된 승강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ing unit includes first and second screw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rotatably disposed below the first and second screw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crews respectively, 1 and the second pulling cut portion, a power connection portion for power coupling the first and second screws, and an elevation driv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screw.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1 및 제2 승강블록과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스크류 회전 시 상기 제1 및 제2 승강블록이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first and second guide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vating blocks and guiding the first and second elevating blocks to move linearly when the first and second screws rotate .

상기 승강부는, 상기 안치부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승강구동부, 그리고 상기 승강구동부의 로드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당김 컷팅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fting and lowering portion may include a lifting and driving portion disposed below the rack and a support connected to the rod of the lifting and driving portion and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pulling and cutting portions.

상기 용변처리장치는 상기 동력연결부 위에 배치되어 있고 경사면을 가지는 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induction part disposed on the power connection part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상기 제1 및 제2 당김 컷팅부는 각각,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상기 봉투와 접할 수 있는 파지블록,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파지블록을 직선 이동시킬 수 있는 파지구동부 및 상기 봉투가 접하는 상기 파지블록 일면에 형성된 융착 커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ulling cut portions each include a grip block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capable of making contact with the envelope, a grip driving portion connected to the lift portion and capable of linearly moving the grip block, And a fused cutt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block.

상기 소변 처리부는, 상기 상면이 개방된 수거공간을 갖는 볼 및 상기 볼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거공간의 소변을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urine treatment section may include a ball having a collection space in which the upper surface is opened, and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ball and discharging urine in the collection space.

상기 용변처리장치는 상기 본체부 상면에 배치되어 있고 중앙부가 상하 관통되어 있으며 이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r may further include a seat that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s a central portion vertically penetrating the seat and on which a user can sit.

상기 좌대의 상면은 적어도 일부분은 관통된 중앙부를 향해 함몰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form may be recessed toward the penetrating central portion.

상기 용변처리장치는,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고 내부가 상기 배치공간과 연결된 회수공간을 가지는 보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oilet bowl treatment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part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part and having a collection space connected to the arrangement space.

상기 보관부는, 상기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며 내부가 상기 배치공간과 연결된 보관본체 및 상기 보관본체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될 수 있고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가 소변회수 공간과 대변회수공간으로 구획된 서랍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may include a storage body that supports the main body and has an interior connected to the arrangement space, and a drawer that is openable from the inside of the storage body to the outside and has an open top, and is partitioned into a urine collection space and a faucet collection space .

상기 용변처리장치는 상기 보관부의 일측은 상기 본체부를 벗어나 돌출되어 있고, 상기 보관부의 돌출부분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발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oilet bowl may further include a footrest part protruding from the body part at one side of the storage part and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art of the storage part.

상기 발 받침부,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상면이 상기 돌출된 부분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돌출된 부분의 상면을 향해 경사진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를 승강시키는 받침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A pedestal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aving an upper surface tilted toward an upper surface of the protruded portion as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ed portion is moved away from the main body portion and a pedestal elevating portion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pedestal .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변처리장치는, 내부에 상하 관통된 배치공간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배치공간에 위치하고 봉투가 놓일 수 있는 안치부, 상기 안치부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봉투를 당기고 자를 수 있는 제1 및 제2 당김 컷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봉투는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고, 상기 봉투는 상기 안치부 내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하부로 풀리어 상기 제1 및 제2 당김 컷팅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당김 컷팅부는 풀린 상기 봉투를 사이에 두고 접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당김 컷팅부는 상기 승강부의 하강으로 상기 봉투를 상기 본체부 하부로 당길 수 있다.A toilet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n arrangement space vertically penetrated therein, a mouth portion positioned in the placement space and capable of placing an envelope, a lift portion disposed below the mouth portion, And a first and a second pulling cut portion connected to the elevating portion and capable of pulling and cutting the envelope, wherein the envelope penetrates the envelo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envelope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the first and second pulling-cut portions can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the loosened envelop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first and second pulling-down portions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ulling- The envelope can be pulled dow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상기 본체부 상면에 배치되어 있고 중앙부가 상하 관통된 좌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대의 하면이 상기 본체부의 상면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좌대의 상면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부 상면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is tilt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a state w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is mov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

상기 보관부의 일측은 상기 본체부를 벗어나 돌출되어 있고, 상기 용변처리장치는 상기 보관부의 돌출부분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면이 경사진 발 받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 받침부의 상면 경사는 상기 본체부에서 멀어질수록 보관부의 상면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And the upper surface inclination of the footrest portion is inclined at an angle of inclina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s the distance increases, it may be inclin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며, 좌대에 앉아 용변활동을 하게 되면 소변은 볼의 내부로 유입되어 수거되고, 대변은 봉투 내부로 유입되어 수거되므로 소변과 대변을 분류하여 수거할 수 있다. 이에 대변과 소변을 분류하여 수거하므로 소변과 대변을 각각 거름, 자원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rine is collected and collected into the inside of the ball when the user operates the toilet while sitting on the left side, and the faeces is collected into the bag and collected, so that the urine and feces can be collected and collected. Therefore, urine and feces can be used as diarrhea and resources,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부의 제1 승강블록과 제2 승강블록이 제1 스크류와 제2 스크류의 상부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파지블록이 풀린 봉투를 사이에 두고 접하면 파지블록은 풀린 봉투 부분을 파지 한 상태가 된다. 이때 승강부의 제1 승강블록과 제2 승강블록이 하강하게 되면 파지블록은 카트리지와 결합된 봉투를 당겨 풀게 되며 풀린 봉투는 카트리지 내부로 유입되어 하우징 하부를 향해 풀릴 수 있다. 파지블록이 봉투를 잡고 당기므로 카트리지에 결합된 봉투는 밀리지 않고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풀리어 하우징 하부를 향해 처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lift block and the second lift block of the lift portion ar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crew and the second screw, when the grip block is brought in contact with the unlocked envelope, And a portion is gripped. At this time, when the first lift block and the second lift block of the elevating part descend, the grip block pulls the envelope combined with the cartridge and unwinds the unlocked envelope to the inside of the cartridge and can be released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The grip block grips and pulls the envelope, so that the envelope attached to the cartridge can be stably and correctly pulled down toward the bottom of the pulley housing without being push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당김 컷팅부와 제2 당김 컷팅부가 카트리지와 결합된 봉투를 카트리지의 길이만큼 당기고, 이후, 상승하여 당겨진 길이만큼 봉투를 컷팅하므로 항상 새로운 봉투 부분이 카트리지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대변이 묻어 있는 봉투가 남아 있지 않도록 완전하게 처리하므로 이후 이용자가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ulling cut portion and the second pulling cut portion pull the envelope combined with the cartridge by the length of the cartridge, and then raise the envelope by the pulled length, . Therefore, the envelope on the stool is completely processed so that it is not left,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sanitary afterward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좌대의 상면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우징 상면을 향해 경사져 있으므로 좌대에 앉아 있는 이용자는 다리를 자연스럽게 들고 몸통은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용변활동 시 가장 이상적인 자세를 유지하므로 용변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is inclin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from one side to the other, the user sitting on the seat can naturally lift the leg and tilt the body forward. Therefore, the ideal posture can be maintained during the activity of the toilet so that the toilet activity can be actively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을 받침대에 올리며 궁둥이 부분이 좌대에 전체적으로 접하게 되어 용변활동 시 좌대에 앉아 있어도 다리 등이 저리지 않아 용변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 is raised on the pedestal and the butt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pedestal as a whole, so that even when sitting on the pedestal while the pedestal is in motion,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변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좌대가 본체부에 놓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를 Ⅲ-Ⅲ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당김 컷팅부와 승강부를 하부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를 상부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3를 Ⅵ-Ⅵ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변처리장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승강부의 다른 실시예에를 나타낸 개략도.
도 9은 본 발명의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에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종래의 용변처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ilet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seat of Fig. 1 is placed on the main body. Fig.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ulling cut portion and the elevation portion of Fig. 3 as viewed from below.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Fig. 4 when viewed from above.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3; Fig.
FIG. 7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 hand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leva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oilet bowl treating apparatus.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Like parts are designated with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변처리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A toilet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Fig.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변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좌대가 본체부에 놓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를 Ⅲ-Ⅲ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당김 컷팅부와 승강부를 하부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를 상부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를 Ⅵ-Ⅵ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ilet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seat of FIG. 1 is placed on a main body part, FIG. 3 is a cross-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pulling cut portion and the elevation portion of FIG. 3 are viewed from below,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FIG. 4 when viewed from above, and FIG. 6 is a cross- FIG.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변처리장치(500)는 본체부(510), 소변 처리부(A) 및 대변 처리부(B)를 포함하며 이용자가 본체부(510)에 앉아 용변활동 시 소변은 소변 처리부(A)로 유입되고 대변은 대변 처리부(B)로 유입되어 소변과 대변이 혼합되지 않고 분리되어 본체부(510) 외부로 배출되어 각각 모이도록 한다.1 to 6, a toilet treatment apparatus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510, a urine treatment unit A, and a faecal treatment unit B, and a user can sit on the main body 510 The urine flows into the urine treatment unit A while the faeces flows into the faecal treatment unit B so that the urine and feces are separated without mixing and discharged outside the main body 510 to be collected.

본체부(510)는 하우징(511) 및 플랜지(512a)를 포함하며 용변처리장치(50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한다.The body portion 510 includes a housing 511 and a flange 512a and forms the overall contour of the toilet treatment apparatus 500.

하우징(511)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하우징(511)의 내부는 상하 관통되어 배치공간(511a)을 갖는다. 도면 [도 1]에서 하우징(511)을 평면에서 본 모양을 원형으로 하였으나 하우징(511)의 모양은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우징(511)은 합성수지, 목재, 도기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housing 511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511 penetrates vertically and has an arrangement space 511a. Although the housing 511 is circular in plan view in FIG. 1, the shape of the housing 511 may vary according to the design. The housing 511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wood, ceramics, or the like.

플랜지(512a)는 하우징(511)의 상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넓이로 형성되어 있다.The flange 512a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511. [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우징(511)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분은 개방될 수 있으며, 개방된 부분에는 도어(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t least a part of the periphery of the housing 511 may be opened, and a doo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opened part.

대변 처리부(B)는, 겹겹이 겹친 봉투가 놓일 수 있는 안치부(520), 승강부(530) 및 제1 및 제2 당김 컷팅부(540b) 를 포함하며 봉투가 안치부(520)에서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풀리면서 처지도록 하고 봉투에 묻은 대변을 완전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The banknote processing section B includes a notch portion 520, a lift portion 530 and first and second pull cutting portions 540b on which envelopes stacked in layers can be placed, Stably loosen the slack so that the feces on the envelope can be completely treated.

안치부(520)는 중앙 부분이 상하 관통되어 플랜지(512a) 아래에 위치하여 배치공간(511a)의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되어있다. 그러나 안치부(520)는 배치공간(511a)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안치부(520)의 상면 내측 부분에는 플랜지(512a)를 향해 돌출된 안착턱(521)이 형성되어 있다.The annular portion 520 is vertically passed through the center portion and is located below the flange 512a and is formed entirely along the periphery of the arrangement space 511a. However, the plurality of notch portions 520 may be form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arrangement space 511a. A seating step 521 protruding toward the flange 512a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inner side portion of the holding portion 520. [

안치부(520)에는 내부가 관통된 원형의 카트리지(522)가 배치되어 있으며 분리될 수 있다. 카트리지(522)의 외부둘레에는 튜브 형태의 봉투(2)가 결합될 수 있다. 봉투(2)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속 겹쳐있으며 외측부분이 카트리지(522) 내부로 유입되어 그 끝아 안치부(520)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A circular cartridge 522 through which the inside is passed is disposed in the guide part 520 and can be separated. An envelope 2 in the form of a tube can be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rtridge 522. The envelope 2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continuously overlaps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and the outer portion may be introduced into the cartridge 522 and positioned below the inner portion 520.

카트리지(522) 하부측 내부둘레가 안착턱(521)의 외부둘레와 접하게 되어 봉투(2)는 안치부(520)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봉투(2)는 공지된 자연분해 친환경 비닐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inn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cartridge 52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mounting jaw 521 so that the envelope 2 can be fixed without moving in the guide portion 520. Envelope (2) can be made from known, naturally degrading, eco-friendly vinyl.

봉투(2)가 원통형의 심지(도시하지 않음)와 결합되어 있는 경우 카트리지(522)는 생략될 수 있다.When the envelope 2 is coupled with a cylindrical wick (not shown), the cartridge 522 may be omitted.

봉투(2)가 결합된 카트리지(522)는 하우징(511)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안치부(520)에 놓인다. 그러나 하우징(511)의 둘레 중 일부분이 개방되어 도어가 설치된 경우 도어를 열어 안치부(520)에 봉투(2)가 결합된 카트리지(522)를 놓일 수 있다.The cartridge 522 to which the envelope 2 is attached is placed on the inner surface portion 520 through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511. However, when a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511 is opened, and the door is installed, the door can be opened to place the cartridge 522 having the envelope 2 attached thereto.

승강부(530)는 제1 스크류(531a), 제2 스크류(531b), 승강구동부(532a), 동력연결부(533), 제1 승강블록(534a) 및 제2 승강블록(534b)을 포함하며 안치부(520) 아래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당김 컷팅부(540b)를 승강시킨다.The elevating portion 530 includes a first screw 531a, a second screw 531b, an elevating driving portion 532a, a power connecting portion 533, a first elevating block 534a and a second elevating block 534b And is disposed below the guide portion 520 to lift the first and second pull cutting portions 540b.

제1 스크류(531a) 및 제2 스크류(531b)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한다. 제1 스크류(531a) 및 제2 스크류(531b)의 상단은 안치부(520)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제2 스크류(531b)의 하단은 하우징(511)의 하면에 형성된 플랜지(512b)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제1 스크류(531a)의 하단은 플랜지(512b)를 관통하고 있다. 제1 스크류(531a)와 제2 스크류(531b)는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The first screw 531a and the second screw 531b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face each other at an interval. The upper ends of the first screw 531a and the second screw 531b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ner teeth 520 and the lower ends of the second screws 531b are connected to the flanges 512b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511, As shown in Fig. The lower end of the first screw 531a passes through the flange 512b. The first screw 531a and the second screw 531b simultaneously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위 설명과 도면에서 제1 스크류(531a) 및 제2 스크류(531b)가 플랜지(512a, 512b)와 연결된 것으로 하였으나 배치공간(511a)의 둘레에 브라켓(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제1 스크류(531a) 및 제2 스크류(531b)가 브라켓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Although the first screw 531a and the second screw 531b are connected to the flanges 512a and 512b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a bracket (not shown) is formed around the arrangement space 511a so that the first screw 531a and the second screw 531b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bracket.

승강구동부(532a)는 플랜지(512b)의 하면에 결합되어 제1 스크류(531a)와 연결되어 있다. 승강구동부(532a)는 모터로 형성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제1 스크류(531a)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이 발생한다.The lifting drive part 532a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512b and connected to the first screw 531a. The elevating driver 532a is formed of a motor and generates power for rotating the first screw 531a when power is applied.

동력연결부(533)는 제1 스크류(531a)와 제2 스크류(531b)를 연결한다. 동력연결부(533)는 제1 스크류(531a)의 동력을 제2 스크류(531b)에 전달하여 제1 스크류(531a)와 동시에 제2 스크류(531b)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동력연결부(533)는 벨트, 풀리 또는 체인, 스프라켓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크류(531a)의 회전력을 제2 스크류(531b)에 전달할 수 있는 구조라면 동력연결부(533)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power connection 533 connects the first screw 531a and the second screw 531b. The power connection unit 533 transmits the power of the first screw 531a to the second screw 531b so that the second screw 531b can rotate simultaneously with the first screw 531a. The power connection portion 533 may be formed of a belt, a pulley, a chain, a sprocket, or the like. If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screw 531a can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screw 531b, the structure of the power connecting portion 533 can be variously changed.

제1 승강블록(534a)은 제1 스크류(531a)와 결합되어 제1 스크류(531a)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제2 승강블록(534b)은 제2 스크류(531b)와 결합되어 제2 스크류(531b)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제1 스크류(531a) 및 제2 스크류(531b)가 동시에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제1 승강블록(534a)과 제2 승강블록(534b)은 동시에 제1 스크류(531a)와 제2 스크류(531b)의 회전방향에 따라 안치부(520) 하면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플랜지(512b)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lift block 534a is coupled with the first screw 531a and can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screw 531a. The second lift block 534b can be coupled with the second screw 531b and can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screw 531b. The first screw 531a and the second screw 531b simultaneously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the first screw 531a and the second screw 531b simultaneously move the first screw 531a and the second screw 531b The flange 512b can be mov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r the flange 512b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lange 512b.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530)는 제1 및 제2 가이드(53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ing part 5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first and second guides 535b.

제1 가이드(535a)는 제1 스크류(531a)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제2 가이드(535b)는 제2 스크류(531b)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535b)의 상단은 플랜지(512a)와 연결되어 있고 하단은 플랜지(512b)와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제1 가이드(535a)와 제2 가이드(535b)는 배치공간(511a)의 둘레에 형성된 브라켓(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535a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crew 531a and the second guide 535b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screw 531b.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s 535b are connected to the flange 512a and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flange 512b. However, the first guide 535a and the second guide 535b may be connected to a bracket (not shown) formed around the arrangement space 511a.

제1 가이드(535a)는 제1 승강블록(534a)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2 가이드(535b)는 제2 승강블록(534b)과 연결되어 있다. 제1 스크류(531a) 회전 시 제1 승강블록(534a)은 제1 스크류(531a)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하려 한다. 그러나 제1 승강블록(534a)이 제1 가이드(535a)와 연결되어 있어 제1 승강블록(534a)은 제1 스크류(531a)를 따라 회전하지 못하고 제1 스크류(531a)의 길이방향(Z)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제2 승강블록(534b)도 제2 가이드(535b)와 연결되어 있어 제2 스크류(531b)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하지 못하고 제2 스크류(531b)의 길이방향(Z)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The first guide 535a is connected to the first lift block 534a and the second guide 535b is connected to the second lift block 534b. When the first screw 531a rotates, the first lift block 534a tries to rotate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screw 531a. However, since the first lift block 534a is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535a, the first lift block 534a can not rotate along the first screw 531a, and the first screw 531a is not rot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Z of the first screw 531a. . ≪ / RTI > The second lift block 534b is also connected to the second guide 535b and can not rotate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screw 531b and can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Z of the second screw 531b.

그러나 제1 가이드(535a) 및 제2 가이드(353b)가 생략된 상태에서 제1 승강블록(534a)과 제2 승강블록(534b)는 배치공간(511a)의 내부둘레에서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도시하지 않음)과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홈과 결합된 제1 승강블록(534a)과 제2 승강블록(534b)은 제1 스크류(531a) 및 제2 스크류(531b) 회전 시 직선 이동할 수 있다.Howeve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guide 535a and the second guide 353b are omitted, the first lift block 534a and the second lift block 534b are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inner space of the arrangement space 511a And can be engaged with a guide groove (not shown). The first lift block 534a and the second lift block 534b coupled to the guide groove can move linearly when the first screw 531a and the second screw 531b rotate.

제1 당김 컷팅부(540a)와 제2 당김 컷팅부(540b)는 안치부(520) 아래에 배치되어 안치부(520) 아래로 풀려있는 봉투(2a)부분을 사이에 두고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The first pulling cutting portion 540a and the second pulling cutting portion 540b are disposed below the holding portion 520 and face each other with a gap between the envelopes 2a released below the holding portion 520 .

제1 당김 컷팅부(540a)는 제1 승강블록(534a)과 연결되어 제1 승강블록(534a)을 따라 이동하며, 제2 당김 컷팅부(540b)는 제2 승강블록(534b)과 연결되어 제2 승강블록(534b)을 따라 이동한다. 제1 승강블록(534a)과 제2 승강블록(534b)이 동시에 움직이므로 제1 당김 컷팅부(540a)와 제2 당김 컷팅부(540b) 또한 동시에 움직인다.The first pulling cut portion 540a is connected to the first lift block 534a and moves along the first lift block 534a and the second pull cut portion 540b is connected to the second lift block 534b And moves along the second lift block 534b. Since the first lift block 534a and the second lift block 534b simultaneously move, the first pulling cut portion 540a and the second pull cutting portion 540b also move simultaneously.

이와 같은 제1 당김 컷팅부(540a) 및 제2 당김 컷팅부(540b)는 각각 파지구동부(541a, 541b), 파지블록(542a, 542b) 및 융착 커팅부(543a, 543b)를 포함한다.The first pulling cutting portion 540a and the second pulling cutting portion 540b include gripping driving portions 541a and 541b, gripping blocks 542a and 542b and fused cutting portions 543a and 543b.

파지구동부(541a, 541b)는 각각 제1 승강블록(534a)과 제2 승강블록(534b)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파지구동부(541a, 541b)는 전동실린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파지구동부(541a, 541b)는 작동유체를 오일 또는 압축공기로 사용하는 액추에이터, 모터와 스크류를 사용하는 엑스링크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grip driving parts 541a and 541b are coupled to the first lift block 534a and the second lift block 534b, respectively. The gripping drivers 541a and 541b are formed in a rolling cylinder structure. However, the gripping drivers 541a and 541b may be formed of an actuator using an operating fluid as oil or compressed air, an X-link using a motor and a screw, or the like.

파지구동부(541a, 541b)를 각각 이루는 전동실린더의 로드는 전동실린더의 본체 구동에 따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로드는 동시에 풀려있는 봉투(2a) 부분을 향해 전진하거나 풀려있는 봉투(2a)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rods of the electric cylinder constituting each of the gripping drivers 541a and 541b can be linearly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y face each other as the electric cylinder is driven. The rod can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ortion of the envelope 2a that is advanced or released toward the portion of the envelope 2a which is released at the same time.

파지블록(542a, 542b)은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풀려있는 봉투(2a) 부분을 사이에 두고 일면이 서로 마주하며 파지구동부(541a, 541b)의 로드와 타면이 결합되어 있다. 파지블록(542a, 542b)은 로드가 풀려있는 봉투(2a) 부분 방향으로 움직이면 풀려있는 봉투(2a) 부분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접하여 풀려있는 봉투(2a) 부분을 잡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로드가 풀려있는 봉투(2a)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면 서로 접한 파지블록(542a, 542b)은 떨어질 수 있다.Each of the grip blocks 542a and 542b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has one side opposed to each other with the loosened envelope 2a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other side of the rod of the grip driving parts 541a and 541b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The gripping blocks 542a and 542b can catch the loosened envelope 2a when they ar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portion of the envelope 2a from which the rods are loosen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rod 2a moves away from the rod 2a, the gripping blocks 542a and 542b abutting each other may fall off.

융착 커팅부(543a, 543b)는 파지블록(542a, 542b)의 일면 중앙에서 파지블록(542a, 542b)의 길이방향(Y)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파지블록(542a, 542b)이 서로 접할 때 융착 커팅부(543a, 543b) 또한 접한다. 융착 커팅부(543a, 543b)는 풀려있는 봉투(2a) 부분에 열을 가하여 기설정된 넓이만큼 융착할 수 있다.The fused cutting portions 543a and 543b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gripping blocks 542a and 542b at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gripping blocks 542a and 542b. When the gripping blocks 542a and 542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usion cutting portions 543a and 543b are also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used cutting portions 543a and 543b can be fused to a predetermined width by applying heat to the loosened envelope 2a.

한편 융착 커팅부(543a, 543b)는 커팅날(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며, 커팅날은 융착 커팅부(543a, 543b)가 풀려있는 봉투(2a) 부분을 융착할 때 융착 중앙부분을 커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usion cutting portions 543a and 543b include a cutting edge (not shown), and the cutting edge cuts the fusion center portion when fusing the envelope 2a in which the fusion cutting portions 543a and 543b are loosened .

소변 처리부(A)는 대변 처리부(B)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볼(700) 및 배출관(710)을 포함한다.The urine treatment section A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ollateral treatment section B and includes a ball 700 and a discharge pipe 710. [

볼(700)은 배치공간(511a)의 내부둘레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면이 개방되어 있다. 볼(700)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소변이 유입될 수 있는 수거공간(701)을 갖는다. 수거공간(701)의 바닥에는 수거공간(701)의 소변이 배출되는 배출구(702)가 형성되어 있다. 볼(700)은 배치공간(511a)의 내부둘레에서 분리될 수 있다.The ball 700 is engaged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arrangement space 511a and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opened. The ball 700 is concave and has a collecting space 701 through which urine can enter. At the bottom of the collection space 701 is formed a discharge port 702 through which urine in the collection space 701 is discharged. The ball 700 can be separated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arrangement space 511a.

배출관(710)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일측이 배출구(702)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하우징(511)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배출관(710)의 일측은 배출구(702)에서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배출관(710)은 배치공간(511a)의 내부둘레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discharge pipe 710 has a predetermined length,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702, and the other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511. One side of the discharge pipe 710 can be separated from the discharge port 702. However, the discharge pipe 7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arrangement space 511a.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변처리장치(500)는 전원공급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oilet treatment apparatus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550.

전원공급부(550)은 본체부(510)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승강부(530)의 승강구동부(532a), 제1 당김 컷팅부(540a) 및 제2 당김 컷팅부(540b)의 파지구동부(541a, 541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들이 동작할 수 있도록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전원공급부(550)는 전지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550)를 전지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승강부(530)의 승강구동부(532a)와 제1 당김 컷팅부(540a), 제2 당김 컷팅부(540b)의 파지구동부(541a, 541b)를 이루는 전동실린더가 작동하도록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55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main body 510 and is connected to the grip driving part 541a of the elevation driving part 532a, the first pulling cutter 540a and the second pulling cutter 540b of the elevation part 530, And 541b, and supplies electric energy to operate them. The power supply unit 550 may be a battery. The power supply unit 550 is not limited to the battery but the power supply unit 550 is not limited to the battery and the power supply unit 530a of the elevation unit 530 and the holding driving units 541a and 541b of the first pulling cut unit 540a and the second pulling cut unit 540b, As long as the electric cylinders constituting the electric motor are operated to supply electric energy.

한편, 승강부(530)의 승강구동부(532a)와 제1 당김 컷팅부(540a), 제2 당김 컷팅부(540b)의 파지구동부(541a, 541b)가 오일 또는 압축공기를 작동유체로 사용하는 액추에이터인 경우 펌프 또는 압축기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vation driving portion 532a of the elevation portion 530 and the holding driving portions 541a and 541b of the first drawing cutting portion 540a and the second drawing cutting portion 540b use oil or compressed air as working fluid If it is an actuator, it may be a pump or a compressor.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변처리장치(500)는 유도부(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oilet treatment apparatus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duction unit 560.

동력연결부(533)가 하우징(511)의 하부 중앙에서 제1 스크류(531a)와 제2 스크류(531b)를 연결하고 있어 대변이 담긴 상태로 밀봉되어 커팅된 봉투(2c)가 하우징(511) 하부로 떨어질 때 동력연결부(533)에 걸릴 수 있다. 유도부(560)는 떨어지는 봉투(2c)가 동력연결부(533)에 걸리지 않고 하우징(511) 하부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power connection portion 533 connects the first screw 531a and the second screw 531b at the lower center of the housing 511 so that the envelope 2c, It can be caught by the power connecting portion 533. The guide portion 560 allows the falling envelope 2c to fall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511 without being caught by the power connection portion 533. [

유도부(560)는 배치공간(511a)에 위치하여 동력연결부(533)의 벨트 위에 배치되어 있다. 유도부(560)를 측면에서 보면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경사면을 갖는다. 유도부(560)를 삼각형 모양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유도부(560)는 경사면을 갖는 패널일 수 있다. 유도부(560)의 경사면은 대변이 담기어 떨어지는 봉투(2c) 부분이 동력연결부(533)의 벨트에 걸리지 않고 하우징(511) 하부로 떨어지도록 유도한다.The guide portion 560 is disposed in the arrangement space 511a and disposed on the belt of the power connection portion 533. [ The guiding portion 560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has an inclined surface. The guide portion 560 is not limited to a triangular shape. The guide portion 560 may be a panel having an inclined surface.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560 guides the portion of the envelope 2c in which the feces is contained to fall dow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511 without being caught by the belt of the power connection portion 533. [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변처리장치(500)는 좌대(570) 및 덮개(5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oilet treatment apparatus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loat 570 and a lid 571.

좌대(570)는 용변처리장치(500)의 이용자가 앉을 수 있는 것으로 하우징(511)의 상면에 놓여 있으며 적어도 일부분이 힌지로 하우징(511)과 연결되어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좌대(570)의 중앙은 상하 관통되어 있다. 좌대(570) 중앙을 관통하는 홀 형상은 용변처리장치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안치부(520)와 카트리지(522)의 중앙을 관통한 홀 형상은 좌대(570)의 홀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seat 570 can be seated by a user of the toilet bowl treatment apparatus 500 and can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511 and at least a part thereof can be connected to the housing 511 with a hinge to move based on the hinge. The center of the platform 570 is vertically penetrated. The shape of the hol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platform 570 can be variously changed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treatment apparatus. The shape of the hol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inner teeth 520 and the cartridge 522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hole of the base 570.

좌대(570)의 중앙을 관통한 홀은 가상의 수직 중심선(570c)을 기준으로 일측은 볼(700)의 수거공간(701)과 연결되고 타측은 카트리지(522) 내부로 유입되어 풀려있는 봉투(2a)의 내부부분과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이용자가 좌대(570)에 앉아 용변활동을 하면 소변은 볼(700)의 수거공간(701)으로 유입될 수 있고, 대변은 풀려있는 봉투(2a)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hole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supporter 570 is connected to the collection space 701 of the ball 700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imaginary vertical center line 570c and the other side of the envelope 2a. ≪ / RTI > Accordingly, when the user sits in the resting seat 570, the urine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llection space 701 of the ball 700, and the feces can be introduced into the envelope 2a.

한편, 좌대(570)에 이용자가 앉았을 때 궁둥이 부분이 접하는 상면 적어도 일부분은 관통된 중앙부의 홀을 향해 함몰되어 있다. 좌대(570)의 함몰된 부분은 궁둥이 부분을 감쌀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n which the butt portion is touched when the user sits on the platform 570, is recessed toward the hole in the central portion. The depressed portion of the seat 570 may wrap the butt portion.

좌대(750)는 구션력을 갖는 폼을 만들어질 수 있다. 좌대(750)의 구션력은 좌대(750)와 접하는 이용자의 궁둥이에 가해지는 통증과 다리 저림을 최소화한다. 폼은 기설정된 강도를 갖는 패널로 지지될 수 있다.The seat (750) can be made of a foam having a seating force. The seating force of the seat (750) minimizes pain and leg stiffness on the user's butt touching the seat (750). The foam may be supported by a panel of predetermined strength.

덮개(571)는 좌대(570)와 함께 힌지로 하우징(511)과 연결되어 있으며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덮개(571)는 좌대(570)를 가려 좌대(570)의 상면에 먼지 등의 오염물이 묻는 것을 예방하며 배치공간(511a)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차단할 수 있다.The cover 571 is connected to the housing 511 by a hinge together with the base 570 and can be moved with respect to the hinge. The cover 571 covers the base 570 to prevent the contaminants such as dust from adher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570 and to block the odor generated in the placement space 511a.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다른 용변처리장치(500)는 보관부(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ther toilet treatment apparatus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580.

보관부(580)는 보관본체(581) 및 서랍(582)을 포함하며 소변과 대변이 담기어 떨어지는 봉투(2c)를 회수한다.The storage portion 580 includes a storage body 581 and a drawer 582, and recovers the envelope 2c in which urine and feces are dropped.

보관본체(581)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하우징(511)의 하부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보관본체(581)와 하우징(511)은 클램프 등의 결합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보관본체(581)의 내부에는 배치공간(511a)과 연결되어 있다.The storage body 581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511. The storage body 581 and the housing 511 are detachably coupled to coupling means (not shown) such as a clamp. The inside of the storage body 581 is connected to the arrangement space 511a.

보관본체(581)의 일측은 하우징(511)을 벗어나 기설정된 넓이를 돌출되어 있다. 이에 보관본체(581)의 일측에는 돌출부분(581a)이 형성되어 있다.One side of the storage body 581 protrudes beyond the housing 511 to a predetermined extent. Thus, a protruding portion 581a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torage body 581.

서랍(582)은 보관본체(581)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서랍(582)은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배치공간(511a)과 연결되어 소변과 대변이 담긴 봉투(2c)가 유입되는 회수공간(583)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회수공간(583)은 대변이 담긴 봉투(2c)가 유입되어 보관될 수 있는 제1 공간(583a)과 배출관(710)과 연결되어 소변이 유입될 수 있는 제2 공간(583b)으로 구획되어 있다. 제1 공간(583a)과 제2 공간(583b)은 격벽으로 구획되어 있다.The drawer 582 is disposed inside the storage body 581 and can be taken out. The drawer 582 is opened in its upper surface and is connected to the arrangement space 511a to form therein a collection space 583 into which an envelope 2c containing urine and feces flows. The recovery space 583 is divided into a first space 583a through which the envelope 2c containing the feces is introduced and stored and a second space 583b through which the urine can be introduced by being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710 . The first space 583a and the second space 583b are partitioned into barrier ribs.

소변과 대변이 담긴 봉투(2c)가 제1 공간(583a)과 제2 공간(583b)에 일정하게 채워지면 서랍(582)은 보관본체(581)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The drawer 582 can be drawn out from the storage body 581 when the envelope 2c containing the urine and the feces is constantly filled in the first space 583a and the second space 583b.

그러나 서랍(582)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대변이 담긴 봉투(2c)는 보관본체(581) 내부로 직접 떨어져 회수될 수 있다.However, the drawer 582 may be omitted. In this case, the envelope 2c containing the feces can be recovered directly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body 581.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변처리장치(500)는 발 받침부(5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oilet treatment apparatus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ootrest portion 590.

발 받침부(590)는 받침대(591) 및 받침 승강부(592)를 포함한다.The footrest portion 590 includes a pedestal 591 and a pedestal elevating portion 592. [

받침대(591)는 돌출부분(581a) 상면에서 기설정된 높이로 돌출되어 있다. 받침대(591)의 상면은 하우징(511)의 외부둘레로부터 멀어질수록 돌출부분(581a)의 상면을 향해 경사져 있다. 받침대(591)는 좌대(570)에 앉아 있는 이용자의 발을 지지하며 경사진 상면에 의해 돌출부분(581a) 상면을 기준으로 이용자의 발뒤꿈치는 발가락보다 높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발을 받침대(591)가 받쳐 들어 올린 상태를 유지하므로 무릎은 상승하여 배꼽과 명치 사이에 위치하며 몸통은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이용자는 좌대(570)에 쭈그리고 앉은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좌대(570)의 오목한 부분이 궁둥이 부분을 자연스럽게 감싸게 되어 이용자는 안락함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이용자는 좌대(570)에 좀 더 편안하고 안정적은 자세로 앉아 용변활동을 할 수 있다.The pedestal 591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581a.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591 is inclin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581a as the distance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using 511 increases. The pedestal 591 supports the user's foot sitting on the platform 570 and the heel of the user can be located higher than the to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jecting portion 581a by the inclined upper surface. Since the foot is supported by the pedestal (591), the knee rises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navel and the base, and the body can be tilted forward. Thus, the user can take a crouching posture on the seat 570. At this time, the concave portion of the seat 570 naturally covers the butt portion so that the user can maintain comfort. Thus, the user can sit in a more comfortable and stable posture on the seat 570 to perform a sitting activity.

여기서 좌대(570)에 앉았을 때 이용자의 발이 지면과 접하면 무릎은 배꼽 아래에 위치하고 허리는 곧게 편상태로 앉게 된다. 이러한 자세는 장운동을 방해하며 장을 막아버리는 문제가 발생하여 쾌변에 어려움이 있다. 최악의 경우 변비, 치질, 과민성대장증후군, 암 등이 유발될 수 있다.Here, when the user's foot touches the ground when sitting on the chair 570, the knee is positioned below the belly button and the waist is positioned in a straightened state. Such a posture has a difficulty in refreshing because it interferes with the jangun-dong and obstructs the bowel. In the worst case, constipation, hemorrhoids, irritable bowel syndrome, cancer and the like can be induced.

그러나 발을 들어 올림으로써 무릎을 올리고 몸통을 전방으로 기울이게 되어 쭈그리고 앉는 효과가 발생한다. 쭈그리고 앉은 자세에 의해 대장 출구가 펴지면서 열리게 되어 시원한 용변활동을 할 수 있다.However, by lifting the foot, the knee is raised and the body is tilted forward, resulting in a squatting effect. The crowded exit is opened by the crouching posture, and it can be opened, and the cool activity can be done.

받침 승강부(592)는 받침대(591)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동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오일 또는 압축공기를 작동유체로 사용하는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액추에이터의 로드와 받침대(591)가 연결되어 있고 로드의 작동으로 받침대(591)는 승강할 수 있다. 이용자의 신체에 따라 받침대(591)의 높이를 조절하여 발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pedestal elevating portion 592 is disposed below the pedestal 591 and is constituted by an electric cylinder. However, it may be an actuator using oil or compressed air as the working fluid. The rod of the actuator is connected to the pedestal 591, and the pedestal 591 can be moved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rod. The height of the pedestal 591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o that the foot can be supported.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변처리장치(500)는 전원공급부(5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작부(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610)는 이용자가 용변활동 시 조작할 수 있다. 먼저, 받침 승강부(592)를 작동하여 받침대(59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이용자가 용변 후 조작부(610)를 조작하면 승강부(530), 제1 당김 컷팅부(540a) 및 제2 당김 컷팅부(540b)가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카트리지(522)와 결합되어 있는 봉투(2)를 당겨 풀려있고 대변이 담긴 봉투(2a) 부분을 커팅할 수 있다.The toilet treatment apparatus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unit 61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550. The operation unit 610 can be operated by the user when the user operates the toilet. First, the position of the pedestal 591 can be adjusted by operating the pedestal elevating part 592. [ When the user operates the post-use control portion 610, the elevating portion 530, the first pulling cut portion 540a, and the second pulling cut portion 540b sequentially operate to form an envelope 2 can be pulled out to cut the envelope 2a portion containing the feces.

다음은 [도 7]을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용변처리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toilet treatment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도 7]의 a)를 참고하면, 카트리지(522)에 결합된 봉투(2)가 안치부(520)에 놓여 있고, 카트리지(522)의 외부둘레로부터 가장멀리 위치한 봉투(2) 부분이 카트리지(522) 상면을 통해 카트리지(522) 내부로 유입되어 안치부(520) 하부로 풀려 있다First, referring to a) in Fig. 7, an envelope 2 attached to the cartridge 522 is placed on the holding portion 520, and a portion of the envelope 2 located farthest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artridge 522 Is introduced into the cartridge 522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artridge 522 and is relea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lding portion 520

풀려있는 봉투(2a) 부분의 끝은 개방되어 있다. 제1 당김 컷팅부(540a)와 제2 당김 컷팅부(540b)는 승강부(530)의 상부측에 위치하며, 제1 당김 컷팅부(540a)와 제2 당김 컷팅부(540b)의 파지블록(542a, 542b)은 풀려있는 봉투(2a) 부분을 사이에 두고 마주한다.The end of the envelope 2a portion that is released is open. The first pulling cutting portion 540a and the second pulling cutting portion 540b ar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elevating portion 530 and the first pulling cutting portion 540a and the second pulling cutting portion 540b, (542a, 542b) face each other with a portion of the envelope (2a) being loosened.

[도 7]의 b)를 참고하면, 파지구동부(541a, 541b)의 로드 작동으로 파지블록(542a, 542b)은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풀려있는 봉투(2a) 부분의 끝부분을 모아 봉투(2a)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접하게 된다. 파지블록(542a, 542b)의 융착 커팅부(543a, 543b)에 의해 개방되어 있고 풀려있는 봉투(2a) 부분의 개방된 끝부분은 융착 접합 밀봉될 수 있다. 풀려있는 봉투(2a) 부분의 융착부분 중 융착 커팅부(543a, 543b)의 커팅날 아래에 위치한 융착부분은 하우징(511) 하부로 떨어질 수 있다. 7B), the gripping blocks 542a and 542b mov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ripping blocks 542a and 542b are tilted by the loading operation of the gripping driving portions 541a and 541b to collect the end portion of the envelope 2a, 2a. The open end of the portion of the envelope 2a which is opened by the fused cutting portions 543a and 543b of the gripping blocks 542a and 542b and is released can be fusion bonded and sealed. The fused portion located under the cutting edge of the fused cutting portions 543a and 543b among the fused portions of the portion of the envelope 2a that has been released can fall dow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511. [

파지블록(542a, 542b)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서로 접한 상태로 유지한다. 그러나 파지블록(542a, 542b)은 풀려있는 봉투(2a) 부분의 융착이 완료되면 파지구동부(541a, 541b)의 작동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떨어질 수 있다.The gripping blocks 542a and 542b do not move in directions away from each other but are kept in contact with each other. However, the gripping blocks 542a and 542b can move away from each other due to the operation of the gripping drivers 541a and 541b when the fusion of the loosened envelope 2a is completed.

[도 3] 및 [도 7]의 c)를 참고하면, 이용자가 용변활동을 위해 좌대(570)에 앉아 발 받침부(590)에 발을 올리므로 용변활동의 최적으로 자세(무릎이 배꼽과 명치 사이에 위치하고 몸통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좌대(570)에 앉을 수 있다. 이에, 이용자가 좌대(570)에 쭈그리고 앉은 자세로 유지하므로 대장 출구가 열리게 되어 시원한 용변활동을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nd FIG. 7C, since the user places his / her foot on the footrest 590 by sitting on the seat 570 for the purpose of the toilet activity, The body is positioned between the teeth and the body is tilted forward). Accordingly, since the user keeps the crotch position in the crotch 570, the exit of the large intestine can be opened, so that a cool use of the toilet can be performed.

여기서, 용변활동으로 발생한 소변은 볼(700)의 수거공간(701)으로 유입되어 배출구(702)로 배출되어 배출관(710)를 통해 제1 공간(583a)으로 유입되어 모아진다. 대변은 풀려있고 개방부가 융착된 봉투(2a)로 떨어져 담길 수 있다. 이때 서로 접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파지블록(542a, 542b)은 봉투(2a)로 떨어진 대변을 지지하여 봉투(2a)가 대변의 무게에 의해 풀리지 않는다.Here, the urine generated by the toilet activity flows into the collection space 701 of the ball 700,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702, flows into the first space 583a through the discharge pipe 710, and is collected. The feces can be released and put away by the envelope (2a) in which the opening is fused. At this time, the grip blocks 542a and 542b,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support the feces separated by the envelope 2a so that the envelope 2a is not released by the weight of the feces.

[도 7]의 d)를 참고하면, 이용자가 용변활동 후 조작부(610)(도 1 참조)를 이용하여 승강부(530)가 하강하도록 조작한다. 승강부(530)의 제1 승강블록(534a)과 제2 승강블록(534b)의 하강으로 풀린 상태에서 대변이 담겨 있는 봉투(2a) 부분은 하우징(511) 하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파지블록(542a, 542b)이 풀려있는 봉투(2a) 부분과 접하고 있으므로 풀려있는 봉투(2a) 부분을 당기게 되어 카트리지(522) 부분의 봉투(2) 부분은 풀리어 카트리지(522) 내부로 유입되고 풀리어 대변이 담긴 봉투(2a) 부분은 하우징(511) 하부로 이동한다. 이에 카트리지(522)의 내부로 카트리지(522) 외부에 위치한 새로운 봉투(2) 부분이 위치한다. 여기서 승강부(530)의 제1 승강블록(534a)과 제2 승강블록(534b)의 하강은 카트리지(522)의 길이보다는 좀더 긴 길이로 하강한다.Referring to d) of FIG. 7, the user manipulates the elevator unit 530 to descend using the manipulating unit 610 (see FIG. 1) after the user. The portion of the envelope 2a in which the feces is contained in the lowered state of the first lift block 534a and the second lift block 534b of the lift portion 530 moves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housing 511. [ At this time, since the gripping blocks 542a and 542b are in contact with the unsealed portion of the envelope 2a, the unsealed envelope 2a is pulled so that the envelope 2 portion of the cartridge 522 is introduced into the full- And the portion of the envelope 2a containing the fulcrum feces move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511. [ A new envelope 2 portion located outside the cartridge 522 is located inside the cartridge 522. [ The descent of the first lift block 534a and the second lift block 534b of the lift portion 530 descends to a length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artridge 522. [

한편, [도 7]의 b)에서 파지블록(542a, 542b)이 서로 떨어진 경우 [도 6]의 d)에서 파지블록(542a, 542b)이 서로 접하도록 파지구동부(541a, 541b)가 동작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gripping blocks 542a and 542b are apart from each other in Fig. 7B, the gripping drivers 541a and 541b are operated such that the gripping blocks 542a and 542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tep can proceed.

[도 7]의 e)를 참고하면, 파지구동부(541a, 541b)의 작동으로 파지블록(542a, 542b)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530)의 제1 승강블록(534a)과 제2 승강블록(534b)의 상승 동작으로 제1 당김 컷팅부(540a) 및 제2 당김 컷팅부(540b)는 상승하여 제1 스크류(531a)와 제2 스크류(531b)의 상부측에 위치한다.Referring to e in FIG. 7, the gripping blocks 542a and 542b can move in directions away from each other by the operation of the gripping drivers 541a and 541b. The first pulling cutting portion 540a and the second pulling cutting portion 540b are moved upward by the upward movement of the first lift block 534a and the second lift block 534b of the lift portion 530, 531a and the second screw 531b.

[도 7]의 f)를 참고하면, 파지구동부(541a, 541b)의 로드 작동으로 파지블록(542a, 542b)은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풀려 있는 봉투(2a) 부분을 모으고 봉투(2a)의 모인 부분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접하게 된다. 파지블록(542a, 542b)의 융착 커팅부(543a, 543b)와 접하는 봉투 부분이 융착되어 카트리지(522)에서 새롭게 풀린 봉투(2a) 부분과 대변이 담겨 밀봉된 봉투(2c) 부분이 구획된다. 이때 융착 커팅부(543a, 543b)의 커팅날에 의해 봉투의 융착부분 중앙이 커팅되어 커팅날 아래에 위치하고 대변이 담기어 밀봉된 봉투(2c) 부분은 커팅된다.The gripping blocks 542a and 542b are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ripping blocks 542a and 542b contact with each other to collect the unfolded portion of the envelope 2a, And the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the gathered portion therebetween. The portion of the envelope in contact with the fused cutting portions 543a and 543b of the gripping blocks 542a and 542b is fused to divide the portion of the envelope 2a newly loosened by the cartridge 522 and the portion of the envelope 2c sealed with the feces. At this time, the center of the fused portion of the envelope is cut by the cutting edge of the fused cutting portions 543a and 543b, and the portion of the envelope 2c where the feces is contained and sealed is cut.

대변이 담긴 봉투(2c)는 하우징(511) 하부로 떨어져 제2 공간(583b)으로 유입되어 회수되어 보관된다. 대변이 담긴 봉투(2c)가 떨어질 때 유도부(560)(도 5 참조)의 안내로 동력연결부(533)에 걸리지 않고 회수공간(583)으로 회수될 수 있다.The envelope 2c containing the feces flows dow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511 and flows into the second space 583b and is recovered and stored. The guide path of the guide portion 560 (see Fig. 5) can be recovered to the collection space 583 without being caught by the power connection portion 533 when the envelope 2c containing the feces is dropped.

회수공간(583)에 대변이 담긴 봉투(2c)가 채워지면 서랍(582)을 보관본체(581)로부터 인출하여 대변이 담긴 봉투(2c)를 비울 수 있다(도 2 참조).When the envelope 2c containing the feces is filled in the collection space 583, the drawer 582 can be taken out of the storage body 581 to empty the envelope 2c containing the feces (see FIG.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용변처리장치는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 용변처리장치(500)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용변처리장치는 유도부(560)는 생략하고 승강부(530b)는 다른 구조를 갖는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ilet bowl treating apparatus has most of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toilet bowl treating apparatus 5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However, the handl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include the guide unit 560, and the elevating unit 530b has a different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변처리장치의 승강부(530b)는 도 8을 참고하면 승강구동부(532b) 및 지지대(536)를 포함하며 제1 당김 컷팅부(540a)와 제2 당김 컷팅부(540b)를 승강시킨다.8, the lifting unit 530b of the toil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532b and a support base 536 and includes a first pulling cut unit 540a and a second pulling cut unit 540b.

승강구동부(532b)는 전원공급부(550)(도 1 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공지의 전동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다. 전동실린더의 본체는 하우징(511)(도 2 참조)의 내부 하부측에 형성된 플랜지(512b)와 결합되어 있다. 전동실린더의 본체에서 인출되고 인입되는 로드는 안치부(520)(도 4 참조)와 마주한다.The elevator driving section 532b is constituted by a known electric cylind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section 550 (see Fig. 1). The main body of the electric cylinder is engaged with a flange 512b formed o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housing 511 (see Fig. 2). The rod drawn out from and drawn into the body of the electric cylinder faces the notched portion 520 (see Fig. 4).

그러나 승강구동부(532b)는 오일 또는 압축공기를 작동유체로 사용하는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However, the elevator shaft portion 532b may be an actuator using oil or compressed air as the working fluid.

지지대(536)는 배치공간(511a)에 위치하여 안치부(520)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대(536)는 배치공간(511a)의 둘레 형상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은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며 중앙부분은 전동실린더의 로드와 연결되어 있다. 지지대(536)는 로드의 움직임에 따라 안치부(520)와 가까워지거나 안치부(520)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지지대(536)를 도면 [도 8]에서 반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하우징(511)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support table 536 is disposed in the arrangement space 511a and is disposed under the guide portion 520. The support base 536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arrangement space 511a, and both ends thereof face each other with an interval, and the central portion is connected to the rod of the electric cylinder. The support base 536 can be moved closer to the inner teeth 520 or away from the inner teeth 520 as the rod moves. Although the support base 536 is illustrated as a semicircular shape in FIG. 8, the support base 536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housing 511.

제1 당김 컷팅부(540a)와 제2 당김 컷팅부(540b)는 하우징(511) 하부측으로 풀려있는 봉투(2a) 부분을 사이에 두고 마주한다. 제1 당김 컷팅부(540a)는 지지대(536)의 일단에 배치되어 있고, 제2 당김 컷팅부(540b)는 지지대(536)의 타단에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pulling cutting portion 540a and the second pulling cutting portion 540b face each other with a portion of the envelope 2a released to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511 therebetween. The first pulling cut portion 540a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support base 536 and the second pull cut portion 540b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base 536. [

이에 제1 당김 컷팅부(540a)와 제2 당김 컷팅부(540b)의 파지블록(542a, 542b)은 풀려있는 봉투(2a) 부분을 사이에 두고 접하여 봉투(2a)를 융착하고 커팅할 수 있다. 제1 당김 컷팅부(540a)와 제2 당김 컷팅부(540b)의 구성과 작용은 [도 1] 내지 [도 7] 실시예에 따른 제1 당김 컷팅부(540a), 제2 당김 컷팅부(540b)와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gripping blocks 542a and 542b of the first pulling cutting portion 540a and the second pulling cutting portion 540b can contact and fuse the envelope 2a with the loosened envelope 2a therebetween, . The first pulling cutter 540a and the second pulling cutter 540b have the same structure and function as those of the first pulling cutter 540a and the second pulling cutter 540a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FIGS. 540b, the duplic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In the other configurations, the configurations of the embodiments of [FIG. 1] through [FIG. 7] may be applied as they ar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용변처리장치는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 용변처리장치(500)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용변처리장치는 소변 처리부(A)를 생략한다. 그리고 좌대(570)는 다른 구조를 갖는다. 소변 처리부(A)의 생략으로 소변과 대변은 봉투 내부로 유입되어 회수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ilet bowl treating apparatus has most of the components of the toilet bowl treating apparatus 500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However, the urine treatment unit 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mits the urine treatment unit A. And the rest 570 has a different structure. By omitting the urine treatment section A, urine and feces can be introduced into the bag and recovered.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511)의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512a)는 배치공간(511a)에 배치된 복수의 리브(513)로 지지되어 있다.9, the flange 512a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51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ribs 513 disposed in the arrangement space 511a.

좌대(570)의 하면은 하우징(511)의 상면과 평행하게 마주한다. 그러나 좌대(570)의 상면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우징(511)의 상면을 향해 점진적으로 경사져 있다. 좌대(570) 상면의 경사각도는 하우징(511)의 상면을 기준으로 30° 내지 40°이다.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er 570 faces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511 in parallel. However,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er 570 is inclined gradually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511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er 570 is 30 ° to 40 °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511.

좌대(570)의 상면이 전체적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이용자의 궁둥이 부분은 좌대(570)의 상면과 전체적으로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경사진 좌대(570)의 상면 때문에 이용자가 좌대(570)에 앉았을 때 다리를 자연스럽게 들어 올리게 되어 배변 시 무릎이 명치와 배꼽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몸통은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이용자는 좌대(570)에 쭈그리고 앉은 자세를 취할 수 있다.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float 570 is inclined as a whole, the user's butt portion can mainta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loat 570 as a whole.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base 570 allows the user to lift the leg naturally when sitting on the base 570, so that the knee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base and the navel during bowel movement, and the torso can be inclined forward. Thus, the user can take a crouching posture on the seat 570.

그러나 좌대(570)의 경사진 상면 때문에 무릎을 올리고 몸통을 전방으로 기울이게 되어 쭈그리고 앉는 효과가 발생한다. 쭈그리고 앉은 자세에 의해 대장 출구가 펴지면서 열리게 되어 시원한 용변활동을 할 수 있다.However, due to the inclined upper surface of the seat 570, the knee is raised and the body is tilted forward, resulting in a squatting effect. The crowded exit is opened by the crouching posture, and it can be opened, and the cool activity can be done.

그리고 발 받침부(590a)는 돌출부분(581a) 상면에서 기설정된 높이로 돌출되어 있다. 발 받침부(590a)의 상면은 하우징(511)에서 멀어질수록 돌출부분(581a)의 상면을 향해 경사져 있다. 발 받침부(590a)는 좌대(570)에 앉아 있는 이용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다. 발 받침부(590a)의 상면 경사에 의해 돌출부분(581a) 상면을 기준으로 이용자의 발뒤꿈치는 발가락보다 높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발을 발 받침부(590a)가 받치고 있으므로 이용자는 좌대(570)에 좀 더 편안하고 안정적은 자세로 앉아 용변 활동을 할 수 있다.The footrest portion 590a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581a. The upper surface of the footrest portion 590a is inclin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projecting portion 581a as the distance from the housing 511 increases. The footrest portion 590a can support a user's foot sitting on the platform 570. [ The heel of the user can be located higher than the to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581a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top surface of the footrest portion 590a. Since the foot is supported by the footrest 590a, the user can sit in the chair 570 in a more comfortable and stable posture and perform the activities.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In the other configurations, the configurations of the embodiments of [FIG. 1] through [FIG. 8] may be applied as they ar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변처리장치는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보관부(580)가 생략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하우징(511)이 지면 또는 화장실 바닥 등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지면 또는 화장실 바닥에는 소변이 유입되는 공간과 대변이 담긴 봉투(2c)가 유입되는 공간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hand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unit 580 is omitted. So that the housing 511 can be installed directly on the ground or the floor of the toilet. In this case, a space in which the urine flows into the floor or the floor of the toilet and a space into which the envelope 2c containing the feces are introduced may be respectively formed.

또한, 보관부(580)가 생략된 용변처리장치는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용변처리장치는 지면 또는 화장실 바닥에 설치되고 지면 또는 화장실 바닥에 형성된 공동공간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소변과 대변이 담긴 봉지은 분류되어 공동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apparatuses in which the storing section 580 is omitted may be arranged at intervals. A plurality of the handling apparatuse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space provided on the floor or toilet floor and formed on the floor or toilet floor. The bag containing the urine and the feces can be classified and introduced into the common space.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부(530)의 제1 승강블록(534a)과 제2 승강블록(534b)이 제1 스크류(531a)와 제2 스크류(531b)의 상부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파지블록(542a, 542b)이 풀려있는 봉투(2a) 부분을 사이에 두고 접하면 파지블록(542a, 542b)은 풀려있는 봉투(2a) 부분을 파지한 상태가 된다. 이때 승강부(530)의 제1 승강블록(534a)과 제2 승강블록(534b)이 하강하게 되면 파지블록(542a, 542b)은 카트리지와 결합된 봉투(2)를 당겨 풀게 되며 풀리는 봉투 부분은 카트리지 내부로 유입되어 하우징(511) 하부를 향해 풀릴 수 있다. 파지블록(542a, 542b)이 봉투를 잡고 당기므로 카트리지(522)에 결합된 봉투(2)는 밀리지 않고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하우징 하부를 향해 풀리어 처질 수 있다.The first lift block 534a and the second lift block 534b of the lift part 530 ar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crew 531a and the second screw 531b and the grip block 542a The gripping blocks 542a and 542b hold the loosened envelope 2a in a state in which the envelope 2a is loosened. At this time, when the first lift block 534a and the second lift block 534b of the lift unit 530 descend, the grip blocks 542a and 542b pull the envelope 2 coupled with the cartridge and unwind the envelope, It can be introduced into the cartridge and unfolded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511. Since the gripping blocks 542a and 542b hold and pull the envelopes, the envelopes 2 coupled to the cartridges 522 can be stably and accurately pulled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without being pushed.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당김 컷팅부(540a)와 제2 당김 컷팅부(540b)가 카트리지(522)와 결합된 봉투(2)를 카트리지(522)의 길이만큼 당기고, 이후, 상승하여 당겨져 풀린 길이만큼 봉투(2a)를 컷팅하므로 항상 새로운 봉투(2) 부분이 카트리지(522)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대변이 묻어 있는 봉투가 발생하지 않아 이후 이용자가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ulling cut portion 540a and the second pulling cut portion 540b pull the envelope 2 coupled with the cartridge 522 by the length of the cartridge 522, The new envelope 2 portion is always located inside the cartridge 522 because the envelope 2a is cut as much as possible. The envelope with the feces does not occur, so the user can use it hygienically afterwards.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2: 봉투 2a: 카트리지에서 풀려있는 봉투 부분
2c: 대변이 담겨 밀봉된 봉투 부분
500: 용변처리장치 510: 본체부
511: 하우징 511a: 배치공간
512a, 512b: 플랜지 513: 리브
B: 대변 처리부
520: 안치부 521: 안착턱
522: 카트리지 530a, 530b: 승강부
531a: 제1 스크류 531b: 제2 스크류
532a, 532b: 승강구동부 533: 동력연결부
534a: 제1 승강블록 534b: 제2 승강블록
535a: 제1 가이드 535b: 제2 가이드
536: 지지대 540a: 제1 당김 컷팅부
540b: 제2 당김 컷팅부 541a, 541b: 파지구동부
542a, 542b: 파지블록 543a, 543b: 융착 커팅부
550: 전원공급부 560: 유도부
570: 좌대 571: 덮개
580: 보관부 581: 보관본체
581a: 돌출부분 581b: 배치홀
581c: 가이드홈 582: 서랍
583: 회수공간 583a: 제1 공간
583b: 제2 공간 590, 590a: 발 받침부
591: 받침대 592: 받침 승강부
610: 조작부
A: 소변 처리부
700: 볼 701: 수거공간
702: 배출구 710: 배출관
2: Envelope 2a: Envelope portion loosened from the cartridge
2c: Envelope portion sealed with feces
500: Handling device 510:
511: Housing 511a: Arrangement space
512a, 512b: flange 513: rib
B:
520: Anchibu 521: Seal chin
522: cartridges 530a, 530b:
531a: first screw 531b: second screw
532a, 532b: a lifting opening portion 533: a power connection portion
534a: first lift block 534b: second lift block
535a: first guide 535b: second guide
536: Support base 540a: First pulling-
540b: second pulling cutting portion 541a, 541b:
542a and 542b: gripping blocks 543a and 543b:
550: power supply unit 560: induction unit
570: Seat 571: Cover
580: Storage part 581: Storage body
581a: projecting portion 581b: placement hole
581c: guide groove 582: drawer
583: Collection space 583a: First space
583b: second space 590, 590a: footrest portion
591: pedestal 592:
610:
A: urine processor
700: Ball 701: Collection space
702: discharge port 710: discharge pipe

Claims (17)

내부에 상하 관통된 배치공간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배치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소변 처리부 및
상기 소변 처리부와 이웃한 대변 처리부
를 포함하며,
이용자가 상기 본체부에 앉아 용변활동 시 소변은 상기 소변 처리부로 유입되고 대변은 상기 대변 처리부로 유입되어 소변과 대변이 혼합되지 않고 분리되어 상기 본체부 외부로 배출되어 각각 모이는
용변처리장치.
A body portion having an arrangement space vertically penetrated therein,
A urine processor disposed in the arrangement space and
[0040] The urine treating unit
/ RTI >
When the user sits in the main body portion, the urine flows into the urine processing portion when the user operates the toilet, the faeces enters the faecal treatment portion and the urine and fec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out being mixed,
A toilet seat.
제1항에서,
상기 배변 처리부는,
상기 배치공간에 위치하고 봉투가 놓일 수 있는 안치부,
상기 안치부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봉투를 당기고 자를 수 있는 제1 및 제2 당김 컷팅부
를 포함하며,
상기 봉투는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고, 상기 봉투는 상기 안치부 내부를 통해 상기 안치부 하부로 풀리어 상기 제1 및 제2 당김 컷팅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당김 컷팅부는 풀린 상기 봉투를 사이에 두고 접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당김 컷팅부는 상기 승강부의 하강으로 상기 봉투를 상기 본체부 하부로 당길 수 있는
용변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efecation processing unit,
A placement portion located in the placement space and in which the envelope can be placed,
An elevating portion disposed below the ring gear;
The first and second pulling cut portions being connected to the elevating portion and capable of pulling and pulling the envelope,
/ RTI >
The envelope may be passed through the in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envelope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ulling-cut portions, The second pulling cut portion can contact the loosened envelope through the first pulling cut portion and the second pulling cut portion can pull the envelop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by the descent of the elevation portion
A toilet seat.
제2항에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안치부 아래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고 간격을 두고 있는 제1 및 제2 스크류,
상기 제1 및 제2 스크류와 각각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당김 컷팅부를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승강블록,
상기 제1 및 제2 스크류를 서로 동력 연결하는 동력연결부 및
상기 제1 스크류와 동력 연결된 승강구동부
를 포함하는
용변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vating unit includes:
First and second screws which ar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are installed to be rotatable below the first and second spacers,
First and second lift block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crews and respectively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pulling cut portions,
A power connection portion for power-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crews to each other,
And a lifting / driving unit
Containing
A toilet seat.
제3항에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1 및 제2 승강블록과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스크류 회전 시 상기 제1 및 제2 승강블록이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를 더 포함하는
용변처리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elevating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lift blocks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lift blocks and guiding the first and second lift blocks to move linearly in the first and second screw rotations,
Further comprising
A toilet seat.
제2항에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안치부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승강구동부, 그리고
상기 승강구동부의 로드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당김 컷팅부를 지지하는 지지대
를 포함하는
용변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vating unit includes:
An elevating and lowering moving part disposed below the inner holding part, and
And a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rod of the elevation driving portion and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pulling-
Containing
A toilet seat.
제2항에서,
상기 동력연결부 위에 배치되어 있고 경사면을 가지는 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용변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guide portion disposed on the power connection portion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제2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당김 컷팅부는 각각,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상기 봉투와 접할 수 있는 파지블록,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파지블록을 직선 이동시킬 수 있는 파지구동부 및
상기 봉투가 접하는 상기 파지블록 일면에 형성된 융착 커팅부
를 포함하는
용변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ulling cut portions each have a pair of first and second pull-
A grip block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capable of contacting with the envelope,
A grip driving part connected to the lifting part and capable of linearly moving the grip block,
A fusing cutting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grip block,
Containing
A toilet seat.
제1항에서,
상기 소변 처리부는,
상기 상면이 개방된 수거공간을 갖는 볼 및
상기 볼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거공간의 소변을 배출하는 배출관
을 포함하는
용변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urine processing unit
The ball having the collection space in which the upper surface is opened, and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ball and discharging urine in the collection space;
Containing
A toilet seat.
제1항에서,
상기 본체부 상면에 배치되어 있고 중앙부가 상하 관통되어 있으며 이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대를 더 포함하는 경사진 용변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unter seat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central portion vertically penetrating the seat, the seat being capable of being seated by a user.
제9항에서,
상기 좌대의 상면은 적어도 일부분은 관통된 중앙부를 향해 함몰되어 있는 용변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is recessed toward a central portion penetrating therethrough.
제1항에서,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고 내부가 상기 배치공간과 연결된 회수공간을 가지는 보관부를 더 포함하는 용변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portion for supporting said body portion and having a collection space connected to said arrangement space inside.
제11항에서,
상기 보관부는,
상기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며 내부가 상기 배치공간과 연결된 보관본체 및
상기 보관본체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될 수 있고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가 소변회수 공간과 대변회수공간으로 구획된 서랍
을 포함하는
용변처리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A storage body which supports the main body and has an inside connected to the arrangement space;
A drawer which is openable from the inside of the storage body to the outside and whose upper surface is open and whose inside is partitioned into a urine collecting space and a faucet collecting space
Containing
A toilet seat.
제11항에서,
상기 보관부의 일측은 상기 본체부를 벗어나 돌출되어 있고, 상기 보관부의 돌출부분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발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용변처리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one side of the storage portion protrudes from the main body portion and further comprises a footrest portion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제13항에서,
상기 발 받침부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상면이 상기 돌출된 부분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돌출된 부분의 상면을 향해 경사진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를 승강시키는 받침 승강부
를 포함하는
용변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footrest portion
A pedestal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inclined toward an upper surface of the protruded portion as the upper surface thereof moves away from the main body por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ed portion,
A pedestal elevating part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pedestal,
Containing
A toilet seat.
내부에 상하 관통된 배치공간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배치공간에 위치하고 봉투가 놓일 수 있는 안치부,
상기 안치부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봉투를 당기고 자를 수 있는 제1 및 제2 당김 컷팅부
를 포함하며,
상기 봉투는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고, 상기 봉투는 상기 안치부 내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하부로 풀리어 상기 제1 및 제2 당김 컷팅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당김 컷팅부는 풀린 상기 봉투를 사이에 두고 접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당김 컷팅부는 상기 승강부의 하강으로 상기 봉투를 상기 본체부 하부로 당길 수 있는
용변처리장치.
A body portion having an arrangement space vertically penetrated therein,
A placement portion located in the placement space and in which the envelope can be placed,
An elevating portion disposed below the ring gear;
The first and second pulling cut portions being connected to the elevating portion and capable of pulling and pulling the envelope,
/ RTI >
The envelope may be inserted through the interior of the envelo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envelope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ulling cuts back to the bottom of the housing through the interior of the housing, The pulling cut portion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osened envelope with the first and second pulling cut portions being capable of pulling the envelop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by the descent of the elevating portion
A toilet seat.
제15항에서,
상기 본체부 상면에 배치되어 있고 중앙부가 상하 관통된 좌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대의 하면이 상기 본체부의 상면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좌대의 상면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부 상면을 향해 경사진 용변처리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is tilt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a state where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 toilet seat.
제15항에서,
상기 보관부의 일측은 상기 본체부를 벗어나 돌출되어 있고, 상기 보관부의 돌출부분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면이 경사진 발 받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 받침부의 상면 경사는 상기 본체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돌출부분의 상면을 향해 경사진
용변처리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one side of the storage portion protrudes from the main body portion an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a footrest portion whose top surface is inclined and the inclination of the top surface of the footrest portion is further away from the main body portion, Sloped toward the top of the part
A toilet seat.
KR1020170030398A 2017-03-10 2017-03-10 Disposing apparatus for excreta KR1019880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398A KR101988025B1 (en) 2017-03-10 2017-03-10 Disposing apparatus for excre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398A KR101988025B1 (en) 2017-03-10 2017-03-10 Disposing apparatus for excret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444A true KR20180103444A (en) 2018-09-19
KR101988025B1 KR101988025B1 (en) 2019-06-11

Family

ID=63719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398A KR101988025B1 (en) 2017-03-10 2017-03-10 Disposing apparatus for excre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02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0365A (en) * 2019-03-18 2019-05-03 江苏华虹新能源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integral household resource-type lavatory
CN110063682A (en) * 2019-04-25 2019-07-30 深圳市乐享医疗科技有限公司 A kind of separating anhydrous closestool of stool and urine
KR20230051843A (en) 2021-10-12 2023-04-19 김상훈 Disposing apparatus for excret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6596A (en) * 1994-02-24 1995-09-12 Akifumi Yamaguchi Toilet bowl with tilted stand
KR101423912B1 (en) 2012-07-06 2014-07-28 유난숙 Toilet seat for facilitating defecation
KR20140118112A (en) * 2013-03-28 2014-10-08 조영상 A toilet stool having for recycle processing equipment of excrements
KR101677512B1 (en) 2015-03-06 2016-11-21 노현길 Toilet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6596A (en) * 1994-02-24 1995-09-12 Akifumi Yamaguchi Toilet bowl with tilted stand
KR101423912B1 (en) 2012-07-06 2014-07-28 유난숙 Toilet seat for facilitating defecation
KR20140118112A (en) * 2013-03-28 2014-10-08 조영상 A toilet stool having for recycle processing equipment of excrements
KR101677512B1 (en) 2015-03-06 2016-11-21 노현길 Toilet apparat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0365A (en) * 2019-03-18 2019-05-03 江苏华虹新能源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integral household resource-type lavatory
CN110063682A (en) * 2019-04-25 2019-07-30 深圳市乐享医疗科技有限公司 A kind of separating anhydrous closestool of stool and urine
CN110063682B (en) * 2019-04-25 2024-04-16 佰翊数据(上海)有限公司 Waterless toilet capable of separating stool from urine
KR20230051843A (en) 2021-10-12 2023-04-19 김상훈 Disposing apparatus for excre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025B1 (en)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025B1 (en) Disposing apparatus for excreta
KR100610584B1 (en) a cot for patient
US9038215B2 (en) Bed with integral toilet
EP2110111A1 (en) Nursing bed
JP2003144497A (en) Care bed
KR100800266B1 (en) Nursing mattress for patients
KR20160081680A (en) Sanitizing pot for pets
KR101750065B1 (en) Commode Chair which is usable by The Old, The Infirm and The Disabled
KR20060084370A (en) Automatic bidet bed for patient
KR102091146B1 (en) Bidet bed with rotary outlet
CN212166041U (en) Nursing bed that multi-purpose old man nurses service
US20110296603A1 (en) Drawstring potty chair liner and related method
JP2016209083A (en) Western style toilet bowl
US2696012A (en) Portable self-contained commode
CN214906325U (en) Toilet chair
KR102040408B1 (en) movement type toilet bowl
KR200413151Y1 (en) a cot for patient
KR101650682B1 (en) The hygiene toilet that do not use water
JP2005152340A (en) Portable toilet with warm water bidet
JP2558883B2 (en) Rotating toilet unit
KR100963234B1 (en) A positioning apparatus of soil tank for automatic disposing patient's excreta
JP3058453U (en) Portable toilet
KR101288333B1 (en) disposing excreta
JP2001029400A (en) Nursing bed with diaper attaching and detaching device
JPH092171A (en) Toilet for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