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994A -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994A
KR20180096994A KR1020170023501A KR20170023501A KR20180096994A KR 20180096994 A KR20180096994 A KR 20180096994A KR 1020170023501 A KR1020170023501 A KR 1020170023501A KR 20170023501 A KR20170023501 A KR 20170023501A KR 20180096994 A KR20180096994 A KR 20180096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or
liquid
atomized
atomiza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환
이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라시스산업
(주)앤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라시스산업, (주)앤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라시스산업
Priority to KR1020170023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6994A/ko
Publication of KR20180096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9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 Y02B30/8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는 무화액체를 무화시키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가 구비되는 본체, 본체에 수용되어, 진동자의 진동을 무화액체에 전달하는 전달액체, 본체에 일면에 탈착되며, 무화액체가 수용되는 무화조 및 무화조의 일면에 탈착되며, 전달액체에서 전달되는 진동자의 진동에 의해 무화되는 무화액체의 입자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진동자가 무화되는 액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진동자의 세척이 불필요하며, 분무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육안으로 분무량을 확인할 수 있고, 소음의 발생을 저감시킨다.

Description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 {Atomizing apparatus with vibrator separated}
본 발명은 무화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진동자의 진동을 전달액체로 전달하여 무화액체를 무화 또는 기화시키는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전기나 열에 의해 물을 입자화하거나 수증기로 만들어 실내의 수분을 높이는 장치로써, 그 종류에는 원심분무식 가습기, 가열식 가습기, 초음파 가습기 및 가열식 가습기와 초음파 가습기의 두 가지 방식을 혼합한 복합식 가습기가 있다.
이 중에서 초음파 가습기는 초음파 즉, 사람의 청각으로는 들을 수 없는 높은 일정 주파수의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물속에 놓인 진동자의 크기가 변하면서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주파수의 초음파가 발생되고 물에 진동을 일으켜 물을 입자화시켜 무화시킨다. 초음파 가습기의 경우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해주기 위해 수조에 담긴 물이 본체에 형성된 진동자로 일정량만 흐르게 함으로써 물입자의 발생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구조가 대부분이다.
종래 초음파 가습기의 경우 진동자가 본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진동자의 세척이 불편하고, 사용기간이 경과하면 진동자가 미생물 세균 등에 오염되어 세정이 필요하였다. 세정 시, 본체에는 송풍팬, 회로기판, 파워서플라이 등 여러 가지 전기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진동자를 물로 세척할 경우 위 전기장치들로 물이 들어가 가습기가 고장이 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초음파 가습기의 살균을 위해 물에 타서 사용하는 가습기 살균제가 크게 유행되기도 하였으나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확인되어 근래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실정이다. 이러한 초음파 가습기는 가열식(전열식) 가습기에 비해 가습량이 많고 가동에 필요한 전력의 사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특별한 살균기능이 없어 근래에는 살균기능이 추가된 가습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도 1에는 가습기 중 본체와 수조가 분리되어 있고, 수조에 진동자가 설치되어 청소가 편리한 가습기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0868851호에 개시되어 있는 방향기능이 겸비된 세척이 간편한 초음파 가습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방향기능이 겸비된 세척이 간편한 초음파 가습기는 분무발생기(70)를 본체(60)내에 설치하여 분무발생기의 세척이 유리한 장점이 있으나, 분무발생기에서 발생시키는 분무량이 본체에 담겨 있는 물의 양에 따라 변하는 단점이 있다.
즉, 본체에 많은 물이 담겨있을 경우 분무발생기(70)에 의해 전달되는 진동이 약해 많은 양의 물입자가 생기지 않으며, 이로써 육안으로 분무량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반대로 본체에 비교적 적은 양의 물이 담겨있을 경우 분무발생기에 의해 발생되는 물입자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져 분무량의 조절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체에 비교적 많은 물이 담겨있을 경우에도 분무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분무발생기의 구성 중 진동자의 진동량이 많아야 하고 이로써 물이 줄어들수록 물이 위로 솟구쳐 떨어지는 낙수 소음이 크게 발생하여 사용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진동자가 무화되는 액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진동자의 세척이 불필요한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입자모음판을 구비하여, 분무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육안으로 분무량을 확인할 수 있는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입자모음판이 낙수를 방지하여 소음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진동자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전달하는 매개체를 액체를 사용하여, 진동자의 진동을 원할하게 전달하는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는 무화액체를 무화시키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수용되어, 상기 진동자의 진동을 상기 무화액체에 전달하는 전달액체, 상기 본체에 일면에 탈착되며, 상기 무화액체가 수용되는 무화조 및 상기 무화조의 일면에 탈착되며, 상기 전달액체에서 전달되는 상기 진동자의 진동에 의해 무화되는 상기 무화액체의 입자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무화조의 상기 무화액체의 표면에 배치되는 입자모음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진동자에서 전달되는 진동으로 상기 무화액체의 입자가 진동하여 상기 입자모음판의 표면에 부딪혀 무화되는 상기 무화액체의 입자의 양이 증가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입자모음판은, 무화되는 상기 무화액체의 입자가 배출되기 위해 소정부분이 개구된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입자모음판은, 상기 무화조에서 탈착을 위해 파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발생장치는 무화액체를 무화시키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진동자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진동자 하우징, 상기 진동자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전달액체에서 전달되는 상기 진동자의 진동을 상기 무화액체에 전달하는 전달액체, 상기 본체에 일면에 탈착되며, 상기 무화액체가 수용되는 무화조, 상기 무화조의 일면에 탈착되며, 상기 진동자의 진동에 의해 무화되는 상기 무화액체의 입자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커버 및 상기 진동자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진동자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진동자 하우징은, 상기 본체에서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진동자 하우징은, 일측에 상기 전달액체를 내부에 공급하는 투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무화조의 상기 무화액체의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진동자에서 전달되는 진동으로 상기 무화액체의 입자가 진동하며 일면에 부딪혀 무화되는 상기 무화액체의 입자의 양이 증가되는 입자모음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전달 액체는,물 또는 물보다 비중이 낮으며 인체에 무해한 기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동자가 무화되는 액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진동자의 세척이 불필요할 수 있다.
또한, 입자모음판을 구비하여, 분무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육안으로 분무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입자모음판이 낙수를 방지하여 소음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진동자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전달하는 매개체인 전달액체를 무화액체와 동일한 액체로 사용할 수 있어, 진동자의 진동을 원할하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초음파 가습기의 모습을 분리하여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화 발생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화 발생장치의 모습의 분리하여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화 발생장치의 일측 단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화 발생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화 발생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화 발생장치의 일측 단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화 발생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화 발생장치의 모습의 분리하여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화 발생장치의 일측 단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4을 참조하면,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10)는 본체(110), 무화조(120), 커버(130) 및 입자모음판(140)으로 구성된다.
본체(110)는 상면이 개구되어 전달액체(11)를 수용하는 제1 수용공간(S1)이 형성되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10)의 상면이 개구되어 제 1수용공간(S1)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0)는 제 1수용공간(S1)의 내부 저면과 외부 저면의 사이에 제2수용공간(S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0)의 제2수용공간(S2)에는 송풍팬, 회로기판, 파워서플라이 등의 전기장치(미도시)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조절스위치(111), 진동자(112), 진동자홀더(113), 제 1송풍구(114)로 구비된다.
조절스위치(111)는 분무량을 조절한다. 조절스위치(111)는 본체(110) 외측의 일면에 형성된다. 조절스위치(111)는 회로기판에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하여 진동자의 진동량을 변화시킨다. 또한, 조절스위치(111)는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10)의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진동자(112)는 무화액체(12)를 무화 또는 기화시키는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진동자(112)는 제 1수용공간(S1)의 내부 저면에 배치된다. 진동자(112)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원반형상인 경우가 일반적이다. 진동자(112)는 회로기판의 전류량 변화에 따라 진동자(112)의 크기가 변하면서 진동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진동자(112)는 회로기판에 흐르는 전류량에 따라 진동량이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자(112)는 크기가 반복하여 변화하면서 소정 주파수의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진동자홀더(113)는 진동자(112)를 제 1수용공간(S1)의 내부저면에 고정시킨다. 예를 들어, 진동자홀더(113)는 진동자(112)가 배치된 저면에 진동자(112)의 외면이 노출될 수 있도록 소정부분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진동자홀더(113)는 진동자(112)를 제 1수용공간(S1)의 내부저면에 고정시킨다. 진동자홀더(113)는 진동자(112)가 본체 내부에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10)의 일정한 분무량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진동자홀더(113)는 진동자(112)를 밀폐하여, 전기장치가 수용된 제 2수용공간(S2)으로 전달액체(11)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 1송풍구(114)는 제 1수용공간(S1)의 내부 저면에서 소정간격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 1송풍구(114)는 제 1수용공간(S1)의 내부벽면에 근접하여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1송풍구(114)는 상부면의 소정부분이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 2수용공간(S2)을 관통하도록 개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송풍구(114)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관통되어 개구가 형성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사각관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제 1송풍구(114)는 제 2수용공간(S2)에 수용되는 송풍팬에서 생성되는 공기의 흐름을 연통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10)의 제 1수용공간(S1)에는 전달액체(11)가 수용된다.
전달액체(11)는 진동자(112)의 진동을 무화액체(12)에 전달한다. 이러한, 전달액체(11)는 진동자(112)의 진동을 무화조(120)의 저면에 전달하여 무화액체(12)에 진동자(112)의 진동을 전달한다. 전달액체(11)는 물 또는 물보다 비중이 낮은 기름 등의 액체일 수 있다.
무화조(120)는 본체(110)의 일면에 탈착되며 무화액체(12)가 수용된다. 예를 들어, 무화조(120)는 본체(110)의 상면에 탈착된다. 이러한, 무화조(120)는 상면이 개구되어 제 3수용공간(S3)을 형성하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무화조(120)는 본체(110)의 제 1수용공간(S1)에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제 1수용공간(S1)의 형상에 따라 형상이 제한되며, 직육면체 형상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무화조(120)는 제 1수용공간(S1)이 원형으로 개구되는 형상인 경우,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무화조(120)는 본체(110)의 상면에 안착될 경우, 본체의 제 1수용공간(S1)의 상부 전체를 밀폐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무화 발생장치(10)의 작동간에 본체(110)에 수용되는 전달액체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제 3수용공간(S3)에는 무화액체가 수용된다. 제 3 수용공간(S3)에 수용되는 무화액체(12)는 전달액체(11)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자(112)의 진동으로 무화된다.
따라서, 무화조(120)의 저면의 두께는 0.2mm 내지 5.0mm로 형성될 수 있다. 무화조(120)의 저면이 0.2mm보다 얇으면 무화조(120)의 내구성이 저하되며, 소정기간 이상 사용할 경우 파손될 우려가 높다. 또한, 무화조(120)의 저면이 5.0mm보다 두꺼운 경우, 진동자(112)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 전달되기 어려우며, 자재비가 증가되고, 무게가 무거울 수 있다.
또한, 무화조(12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무화조(120)의 제 3수용공간(S3)에 수용되는 무화액체(12)는 무화되고, 실내의 공기와 혼합되어 습도를 높이면서 제 3수용공간(S3)에 수용되어 있는 무화액체(12)의 양이 감소한다. 따라서, 무화조(120)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제 3수용공간(S3)에 수용되어 있는 무화액체(12)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화액체(12)는 전달액체(11)와 동일한 액체일 수 있다. 즉, 무화액체(12)는 물 또는 물보다 비중이 낮은 기름 등의 액체를 사용할 수 있다. 무화액체는 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3수용공간(S3)의 일측벽에는 제 1수용공간(S1)의 제 1송풍구(114)와 탈착되는 제 2송풍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송풍구(121)는 내부에 관통된 개구가 형성되어 제 1송풍구(114)와 탈착된다. 제 2송풍구(121)는 송풍팬에서 생성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 1송풍구(114)를 통과하여 무화조(120)의 상부에 전달한다. 제 2송풍구(121)는 송풍팬이 수용되는 제 2수용공간(S2)과 연통되어 무화조(120) 내에서 무화된 증기형태의 무화액체(12)를 외부로 배출한다. 즉, 제 2송풍구(121)가 송풍팬의 공기흐름을 제 3수용공간(S3)의 상측에 전달하여 무화되는 무화액체(12)의 입자를 외부로 배출한다.
커버(130)는 무화조(120)의 상면에 탈착될 수 있다. 커버(130)는 외부의 불순물이 무화조(12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커버(130)는 배출커버(131)를 포함한다.
배출커버(13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커버(130)에서 탈착되거나 회전되어 분무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배출커버(131)의 상면은 소정부분이 개구되어 배출구(132)가 형성된다. 이러한, 배출구(132)는 무화되는 무화액체(12)의 입자를 송풍팬의 공기흐름에 따라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10)의 외부로 배출하여 실내의 습도를 높일 수 있다.
커버(130)에는 무화액체(12)의 증기가 모여 액체화되어 낙수로 인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무화조(120)에 많은 양의 무화액체(12)가 수용될 경우, 무화액체(12)의 표면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감소되어 무화되는 무화액체(12)의 양이 감소된다. 이와는 반대로, 무화조(120)에 적은 양의 무화액체(12)가 수용될 경우, 상대적으로 무화되는 무화액체(12)의 양이 증가하여 분무량의 조절이 어렵다. 따라서, 제 3수용공간(S3)에 수용되는 무화액체의 표면에 입자모음판(140)이 배치한다.
입자모음판(140)은 제 3수용공간(S3)을 형성하기 위한 개구와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판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 3수용공간(S3)을 형성하기 위한 개구의 단면이 직사각형인 경우 직사각형 형상의 판형상일 수 있으며, 단면의 형상은 제 3수용공간의 개구의 단면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입자모음판(140)은 투명한 재질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입자모음판(140)은 물보다 비중이 낮은 재질일 수 있다. 이러한 입자모음판(140)은 물위에 떠있는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물속에 일부가 잠기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입자모음판(140)은 진동자(112)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입자모음판(140)은 무화액체(12)의 표면과 맞닿아 있어, 무화된 무화액체(12)로부터 생기는 낙수를 방지하여 낙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입자모음판(140)은 진동자(112)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무화조(120)의 수용된 무화액체(12)의 표면까지 전달될 때 입자모음판(140)에 무화액체(12)의 입자가 부딪히게 되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어 무화되는 무화액체(12)의 입자의 발생량이 증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입자모음판(140)은 배출홀(141), 파지홈(142), 안내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홀(141)은 입자모음판(140)의 상면에는 무화되는 무화액체(12)의 입자가 배출되기 위해 소정부분이 원형으로 복수개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홀(141)은 배출되는 분무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배출홀(141)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배출되는 무화액체(12)의 입자가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파지홈(142)은 입자모음판(140)의 측면의 양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반원형상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파지홈(142)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어 입자모음판(140)의 탈착이 용이할 수 있다.
안내홈(143)은 입자모음판(140)의 제 2송풍구(121)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측면의 타면에 형성되는 개구 형상이다. 안내홈(143)은 무화액체의 수위에 의해, 제 2송풍구(121)를 따라 입자모음판(140)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자모음판(140)의 형상이 제3수용공간(S3)의 개구와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판으로 무화액체(12)의 표면의 전체를 덮는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화조(120)의 일부분 즉 무화조(120)에 수용된 무화액체(12)의 일부를 덮는 형상일 수도 있다.
이러한, 입자모음판(140)은 낙수소음을 저감시키며 무화액체(12)의 증기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입자모음판(14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육안으로 분무량의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10)의 구동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10)는 본체(110)의 제 1수용공간(S1)에 배치되는 진동자(112)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가 본체에 수용된 전달액체(11)를 진동한다. 전달액체(11)는 진동을 무화조(120)의 저면에 전달하고 무화조(120)의 저면에 전달되는 진동은 무화조(120)에 수용된 무화액체(12)에 전달된다. 무화액체(12)에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무화액체(12)의 분자들이 서로 부딪혀 진동을 발생하고 무화액체(12)의 표면까지 전달된다. 표면에 위치한 무화액체(12)의 입자들은 입자모음판(140)에 부딪히며 무화되어, 미세한 입자로 물표면 위로 배출되어 분무가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된 분무는 배출홀(141)에 의해 무화조(120)의 상부로 모이게 되며, 무화조(120) 상부의 분무는 송풍팬에서 전달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10)의 외부로 배출되어 실내공기의 습도를 높이게 된다.
이러한,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10)는 진동자(112)가 무화조(120)와 분리되어 무화액체(12)가 오염되어 무화조(120)의 세척 및 무화액체(12)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무화조(120)만 분리하여 무화조(120)의 세척 및 무화액체(12)의 교체가 가능하여 진동자(112)의 세척이 불필요하다. 즉,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10)는 진동자(112)를 세척하지 않고, 무화액체(12)의 청결을 유지한다.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발생장치에 대하여 도 5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다른 실시예는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진동자 하우징이 더 제공되고, 일 실시예에서 본체에 수용되는 전달액체가 진동자 하우징에 수용되는 점에서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일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도 5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화 발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화 발생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화 발생장치의 일측 단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내지 도 7를 참조하면,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30)는 본체(110), 무화조(120), 커버(130) 및 입자모음판(140)으로 구성된다.
본체(110)는 조절스위치(111), 진동자(112), 진동자홀더(113), 제 1송풍구(1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절스위치(111), 제 1송풍구(114)의 구성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1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무화조(120), 커버(130) 및 입자모음판(140)의 구성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진동자(112)는 제 1수용공간(S1)의 내부저면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으며, 진동자홀더(113)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30)는 진동자 하우징(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자 하우징(310)은 투명 또는 불투명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자 하우징(310)은 진동자(112)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자 하우징(310)은 저면에 개구되어 제 4수용공간(S4)을 형성하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진동자 하우징(310)의 저면은 본체(110)의 내부저면에 배치되어 진동자(112)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진동자 하우징(310)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자 하우징(310)의 제 4수용공간(S4)에는 전달액체(11)가 수용될 수 있다. 즉, 본체(110)의 내부 저면에 배치된 진동자 하우징(310)은 제 4수용공간(S4)에 전달액체(11)를 수용하여 진동자(112)의 진동을 진동자 하우징(310)으로 전달한다.
이러한 진동자 하우징(310)은 본체(110)와 고정될 수 있다. 진동자 하우징(310)이 본체(110)와 고정되는 경우, 진동자 하우징(310) 내부에 수용되는 전달액체(11)는 진동자 하우징(310)이 본체(110)와 밀폐되어 있어 전달액체(11)가 입자화되어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교체 또는 보충이 불필요하다. 또한, 진동자 하우징(310) 내부에 수용되는 전달액체(11)가 오염되지 않아 진동자(112)가 오염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진동자 하우징(310)은 본체(110)와 탈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진동자 하우징(310)이 본체(110)와 탈착되는 경우, 진동자 하우징(310)은 일측에 전달액체(11)를 교체하거나 보충하는 투수홀(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투수홀은 전달액체(11)의 교체나 보충 시에만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무화 발생장치는 투수홀을 개폐하는 투수홀 마개(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진동자 하우징(3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달액체(11)는 물 또는 물보다 비중이 낮으며 인체에 무해한 기름 등의 액체이다. 전달액체(11)로 물을 사용하는 경우 무화조(120)내의 무화액체(12)와 구별되도록 색소를 첨가하여 전달액체(11)의 양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전달액체(11)로 기름을 사용하는 경우 진동자(112)에 물때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위생적이다.
무화조(120)의 저면은 진동자 하우징(310)과 접촉된다. 이러한, 무화조(120) 저면의 두께와 진동자 하우징(310)의 두께는 각각 0.2mm~4.8mm일 수 있다. 즉, 무화조(120) 저면의 두께와 진동자 하우징(310)의 두께의 합이 상술한 일 실시예의 무화조(120) 두께인 0.2mm 내지 5.0mm를 초과하지 않아야 구성이 가능하다.
진동자 하우징(310)을 형성하는 경우, 전달액체(11)의 양을 소량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본체(110)를 세척할 경우, 진동자 하우징(310)의 제 4수용공간(S4)에 수용되는 소량의 전달액체(11)만을 제거하고 세척이 가능하다. 또한, 소량의 전달액체(11)를 사용하여 비용절감에 있어서 효과적이다.
무화조(120)의 진동자 하우징(310)과 접촉하는 면은 진동자 하우징(310)을 둘러싸는 형태로 돌출형성되어 진동자 하우징(310)에 탈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화조(120)의 저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진동자 하우징(310)과 접촉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30)에 구동 방법대해 기술한다.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30)는 본체(110)의 제 1수용공간(S1)에 배치되는 진동자(112)의 진동에 의해 초음파가 발생되어 진동자 하우징(310)의 제 4수용공간(S4)에 수용되는 전달액체(11)에 전달된다. 전달액체(11)는 진동을 진동자 하우징(310)에 전달하고, 진동자 하우징(310)은 무화조(120)의 저면에 전달한다. 무화조(120)의 저면에 전달되는 진동은 무화조(120)에 수용된 무화액체(12)에 전달되어 무화액체(12)의 표면에 위치한 무화액체(12)의 입자들이 입자모음판(140)에 충돌하여 미세한 입자로 물표면 위로 배출되어, 분무가 발생된다. 이러한 분무는 입자모음판(140)의 배출홀(141)에 의해 모여 송풍팬에서 전달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30) 외부로 배출되어 공기중의 습도를 높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30)는 진동자(112)가 무화액체(12)와 분리되어 무화액체(12)가 오염되어 무화조(120)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에도 무화조(120)만 분리하여 세척이 가능해 진동자(112)의 세척 없이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30)의 관리가 용이하다.
이러한,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30)는 실내의 습도를 증가시키는 가습기에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을 확산하거나 휘산시키기 위한 확산기 또는 휘산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진동자가 무화되는 무화액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진동자의 세척이 불필요할 수 있다.
또한, 입자모음판을 구비하여, 분무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육안으로 분무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입자모음판이 낙수를 방지하여 소음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진동자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전달하는 매개체를 액체를 사용하여, 진동자의 진동을 원할하게 전달하는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30 :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
11 : 전달액체 12 : 무화액체
110 : 본체 111 : 조절스위치
112 : 진동자 113 : 진동자홀더
114 : 제 1송풍구 120 : 무화조
121 : 제 2송풍구 130 : 커버
131 : 배출커버 131 : 배출구
140 : 입자모음판 141 : 배출홀
142 : 파지홈 143 : 안내홈
310 : 진동자 하우징 S1 : 제 1수용공간
S2 : 제 2수용공간 S3 : 제 3수용공간
S4 : 제 4수용공간

Claims (10)

  1. 무화액체를 무화시키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수용되어, 상기 진동자의 진동을 상기 무화액체에 전달하는 전달액체;
    상기 본체에 일면에 탈착되며, 상기 무화액체가 수용되는 무화조; 및
    상기 무화조의 일면에 탈착되며, 상기 전달액체에서 전달되는 상기 진동자의 진동으로 무화되는 상기 무화액체의 입자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커버;
    를 포함하는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
  2. 상기 무화조의 상기 무화액체의 표면에 배치되는 입자모음판;
    을 더 포함하는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에서 전달되는 진동으로 상기 무화액체의 입자가 진동하여 상기 입자모음판의 표면에 부딪혀 무화되는 상기 무화액체의 입자의 양이 증가되는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모음판은,
    무화되는 상기 무화액체의 입자가 배출되기 위해 소정부분이 개구된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되는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모음판은,
    상기 무화조에서 탈착을 위해 파지홈이 형성되는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
  6. 무화액체를 무화시키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진동자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진동자 하우징;
    상기 진동자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진동자의 진동을 상기 무화액체에 전달하는 전달액체;
    상기 본체에 일면에 탈착되며, 상기 무화액체가 수용되는 무화조;
    상기 무화조의 일면에 탈착되며, 상기 전달액체에서 전달되는 상기 진동자의 진동에 의해 무화되는 상기 무화액체의 입자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커버; 및
    상기 진동자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진동자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 하우징은,
    상기 본체에서 탈착이 가능한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 하우징은,
    일측에 상기 전달액체를 내부에 공급하는 투수홀이 형성되는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조의 상기 무화액체의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진동자에서 전달되는 진동으로 상기 무화액체의 입자가 진동하며 일면에 부딪혀 무화되는 상기 무화액체의 입자의 양이 증가되는 입자모음판;
    을 더 포함하는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액체는,
    물 또는 물보다 비중이 낮으며 인체에 무해한 기름인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
KR1020170023501A 2017-02-22 2017-02-22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 KR201800969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501A KR20180096994A (ko) 2017-02-22 2017-02-22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501A KR20180096994A (ko) 2017-02-22 2017-02-22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994A true KR20180096994A (ko) 2018-08-30

Family

ID=63453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501A KR20180096994A (ko) 2017-02-22 2017-02-22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69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8186C2 (ru) Увлаж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CA1056690A (en) Medical inhalatio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of the respiratory tract
JP6156357B2 (ja) 加湿装置
US20110156288A1 (en) Ultrasonic aroma humidifier capable of facilitating cleaning
KR20160045934A (ko) 가습 장치
US20060214026A1 (en) Slightly acid solution nebulizer with cleaning function
JP3214558U (ja) 空気清浄器
JP2004216221A (ja) 霧化装置
KR20160083171A (ko) 기화식 및 초음파식 겸용 가습기
WO2012132596A1 (ja) プラズマ発生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洗浄浄化装置
US11628463B2 (en) Atomizing diffuser for gaseous environment cleaning
JP2016090179A (ja) 噴霧装置および噴霧システム
KR20180096994A (ko) 진동자가 분리된 무화 발생장치
CN218013668U (zh) 一种雾化装置及衣物处理设备
JP2011156528A (ja) 振動素子及びそれを含む携帯用水分供給装置
KR101679577B1 (ko) 상부급수식 초음파 가습기
JP2002364890A (ja) ミストの発生装置
CN114222593B (zh) 液体喷雾装置
CN217510868U (zh) 雾化杀菌装置和马桶
KR20170074593A (ko) 초음파 가습기
US11524089B2 (en) Hand wash cleaning and environmental purification diffuser
KR20200043178A (ko) 부유식 휴대용 살균가습기
JP3044431U (ja) 加湿器
KR102036616B1 (ko) 가습모듈
CN214320691U (zh) 一种车内环境净化喷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