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622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622A
KR20180096622A KR1020187017005A KR20187017005A KR20180096622A KR 20180096622 A KR20180096622 A KR 20180096622A KR 1020187017005 A KR1020187017005 A KR 1020187017005A KR 20187017005 A KR20187017005 A KR 20187017005A KR 20180096622 A KR20180096622 A KR 20180096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cessing
communic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스케 나카야마
마사히로 시미즈
유스케 후지모토
마사히로 와타나베
테츠노리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96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6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142
    • Y02D70/144
    • Y02D70/2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촬상 시스템은, 촬상 장치 및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제1 통신을 수신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하며, 조건 판단을 행하고, 또한, 상기 촬상 장치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촬상 장치에 제2 통신을 보내되, 상기 제2 통신은 적어도 전원 ON 요구 데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본 출원은 2015년 12월 22일 출원된 일본 우선권 특허출원 제2015-249486호의 이익을 구하며, 상기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본 개시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에 통신 기술을 적용한 제품의 사용이 널리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촬상 장치는, 외부의 정보 처리 장치 등으로부터 통신을 통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복수의 촬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각각의 촬상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화상을 리모트 콘트롤러가 가지는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리모트 콘트롤러는, 유저가 조작을 실시하는 일 없이 화상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일본특허공개 제2015-127920호 공보
이러한 리모트 콘트롤러와 촬상 장치를 접속할 때의 조작은, 유저에의 부담이 적고, 또한, 접속 시의 편리성이 요구되지만,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리모트 콘트롤러가 원격으로 제어하는 촬상 장치의 전원 제어의 편리성 향상에 관련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개시에서는, 외부 장치의 전원 ON 제어를 자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촬상 시스템으로서, 촬상 장치; 및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제1 통신을 수신하고, 조건 판단을 행하며, 상기 촬상 장치가 미리 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촬상 장치에 제2 통신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은 적어도 전원 ON 요구 데이터를 포함하는, 촬상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촬상 장치와의 원격 통신 방법으로서,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제1 통신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조건 판단을 행하는 단계; 및 상기 촬상 장치가 미리 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제2 통신을 상기 촬상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은 적어도 전원 ON 요구 데이터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와의 원격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정보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촬상 장치로부터 제1 통신을 수신하는 단계; 조건 판단을 행하는 단계; 및 상기 촬상 장치가 미리 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촬상 장치에 제2 통신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을 행하도록 하는 지령을 기억하고 있으며, 상기 제2 통신은 적어도 전원 ON 요구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개시에 따르면, 외부 장치의 전원 ON 제어를 자동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효과는 반드시 한정적인 것은 아니고, 상기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 효과에 대신하여, 본 명세서에 나타내는 효과 중 어느 한 효과, 또는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발휘되어도 좋다.
[도 1]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의 개요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 및 촬상 장치의 동작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전원 OFF 제어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본 실시형태에 의한 REC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는 것으로 한다.
1.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의 개요
2. 구성
2-1. 정보 처리 장치(10)의 구성
2-2. 촬상 장치(20)의 구성
3. 동작 제어예
3-1. 동작 제어 처리
3-2. 전원 OFF 조작
3-3. REC 조작
4. 결론
<<1.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의 개요>>
우선,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의 개요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정보 처리 장치(10)는, 촬상 장치(20)와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촬상 장치(20)의 동작을 제어하는 리모트 콘트롤러로서 기능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는, 촬상 장치(20)로부터 얻어지는 스루 화상을 리얼타임으로 표시부(15)에 표시하여, 소위 라이브 뷰를 제공한다.
정보 처리 장치(10)와 촬상 장치(20)는, 다른 복수의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는, 제1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과 제1 통신 방식과는 다른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으로서는, IEEE 802.15 규격에 의한 통신(「Bluetooth」(등록상표)라고도 불리며, 이하, 「BT」라고 칭함)을 들 수 있으며,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으로서는, IEEE 802.11 규격에 의한 통신(이하,「Wi-Fi」(등록상표)라 칭함)을 들 수 있다. BT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저전력에서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 및 촬상 장치(20)는, BT로서 「Bluetooth low energy」(이하,「BTLE」라고 칭함)을 이용해도 좋다.
Wi-Fi의 이점으로서는, 대역폭이 넓기 때문에 BT보다 대량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점, 및, 규격에 따라서는 5GHz의 대역을 통신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2.4GHz대 역시 사용되는 국가 및 지역에서는 혼신에 강한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BTLE의 이점으로서 Wi-Fi보다 적은 전력을 소모하는 점, 및 통신 주파수를 호핑(hopping)하면서 통신을 행하기 때문에 전파 방해에 강한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다른 복수의 통신 방식은, 도 1에 나타내는 것 같은 Wi-Fi 및 BT의 두 통신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다른 복수의 통신 방식으로서는, Wi-Fi, BT,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적외선 통신 등의 광라디오 커뮤니케이션, 소리를 이용한 음성 통신,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임의의 방식의 라디오 커뮤니케이션, LAN(Local Area Network)에 의한 통신 등의 임의의 방식의 유선 통신 가운데 2 이상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에 있어서의 조작에 의해 촬상 장치(20)를 동작시키는(즉, 정보 처리 장치(10)가 촬상 장치(20)의 리모트 콘트롤러로서의 역할을 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제어 정보를 촬상 장치(20)에 송신하여 촬상 장치(2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제어 정보에는, 예를 들어, 촬상 명령, 스루(through) 화상(촬상 장치(20)의 촬상부에서 촬영 중인 화상이며, 이른바 라이브 뷰 화상)을 정보 처리 장치(10)에 송신시키는 명령, 촬상 장치(20)의 설정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정보 처리 장치(10)에 송신시키는 명령, 촬상 장치(20)의 설정을 변경시키는 명령 등 가운데, 1 또는 2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는,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밴드 부분(장착 부재의 일례)과 본체 부분(하우징의 일례)을 포함하는 팔찌형 웨어러블 단말이어도 좋다. 이에 의해, 유저는, 예를 들어 잘 쓰는 팔의 반대측의 팔에 정보 처리 장치(10)를 착용하고, 잘 쓰는 팔로 본체의 버튼이나 스위치 등(전원 조작 부재 및 촬상 조작 부재의 일례)을 조작하거나 본체에 설치된 표시부(15)에서, 촬상 장치(20)로부터 얻어지는 스루 화상을 리얼타임으로 확인하거나 할 수 있다(라이브 뷰).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는, 도 1에 나타내는 팔찌형 웨어러블 단말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웨어러블 단말(안경형 웨어러블 단말(안경),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나, 스마트 폰, 휴대전화 단말, 또는 태블릿 단말 등이어도 좋다.
한편, 촬상 장치(20)는, 정보 처리 장치(10)에 있어서의 조작에 의해 동작 제어 가능하고, 그 설치 개소의 적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20)를, 스포츠(예를 들어, 자전거, 런닝, 스노보드, 스키, 드라이브, 서핑, 다이빙 등)를 행하고 있을 동안 헬멧이나 도구에 설치하여 스포츠 중에 보이는 실제감 있는 경치를 핸즈 프리로 촬영할 수 있도록, 소형화, 경량화, 및 강고화(예를 들어, 방수, 방진, 내충격, 내저온 등)된 촬상 장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포츠에 적용 가능한 촬상 장치(20)는, 소형화 및 경량화에 의해 표시 디바이스가 간소화 또는 배제되고 있기 때문에, 촬상 장치(20)의 촬상 제어나 설정 변경 등의 촬상 장치(20)에 대한 조작은, 리모트 콘트롤러로서 기능하는 정보 처리 장치(10) 등의 외부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 상정된다. 또한, 촬상 장치(20)의 하우징은, 그 자체, 또는 도시하고 있지 않은 외부 어태치먼트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인간이나, 탈것 등의 이동체, 또는 정보 처리 단말 등의 다른 물체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촬상 장치(20)는, 예를 들어, 유저의 신체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웨어러블 카메라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촬상 장치(20)는, 설치 위치에 따라서는 유저에 의한 버튼 조작이나 스위치 조작을 행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어서, 촬상 장치(20)의 전원 ON 제어나 정보 처리 장치(10)와의 통신 접속이 자동적으로 확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에 대한 유저 조작에 응답하여, 촬상 장치(20)의 전원 ON 제어 및 정보 처리 장치(10)와 촬상 장치(20)의 통신 접속의 확립을 자동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의 개요에 대해 설명하였다. 계속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 및 촬상 장치(20)의 구성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2. 구성>>
<2-1. 정보 처리 장치(10)의 구성>
도 2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정보 처리 장치(1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는, 제어부(11), 제1 통신부(12), 제2 통신부(13), 조작부(14), 표시부(15) 및 기억부(16)를 갖는다. 예를 들어 도 1의 웨어러블 단말의 본체 부분이 도 2의 각 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며,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부(11)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의 전자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제어부(11)는,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ROM(Read Only Memory), 및 적절히 변화하는 파라미터 등을 일시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부(11)는, 정보 처리 장치(10)에 대한 전원 ON 조작에 응답하여, 제1 통신부(12)에 의해 주변에 존재하는 외부 장치(여기서는, 일례로서 촬상 장치(20)를 이용함)를 검출하고, 검출한 외부 장치에 대해서 전원 ON 요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해, 제어부(11)는, 자동적으로 외부 장치의 전원을 ON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원 ON 요구 데이터를 송신할 때, 제어부(11)는, 외부 장치가 인증이 완료된 상태인지 아닌지의 판단을 행해도 좋다. 인증이 완료된 상태인지 아닌지의 판단은,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와 페어링이 완료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방법에 의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1)는, 검출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장치 식별 정보(예를 들어 Bluetooth 디바이스 주소 등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해당 외부 장치가 정보 처리 장치(10)와 미리 페어링이 완료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페어링이 완료된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해당 외부 장치로 전원 ON 요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여기서는 외부 장치가 인증이 완료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방법의 일례로서 외부 장치가 정보 처리 장치(10)와 페어링이 완료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접속 이력에 기기의 식별자가 있는 등 소정의 방법을 이용하여 인증이 완료된 외부 장치인지 아닌지를 판단해도 좋다. 또한, 제어부(11)는, 인증 완료된 외부 장치로부터 장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장치 상태 정보에 포함되는 라디오 커뮤니케이션 접속 모드 정보(예를 들어 Wi-Fi접속 모드 정보) 및 전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에 대한 전원 ON 제어 및 라디오 커뮤니케이션 접속(예를 들어 Wi-Fi 접속)을 행하는지 아닌지의 조건 판단을 실시해도 좋다.
제1 통신부(12)는, 촬상 장치(20)와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통신부(12)는, 일례로서 BT 통신의 포트 및 송수신 회로(라디오 커뮤니케이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통신부(12)는, 전원 ON 요구 데이터를 BT 통신에 의해 대상의 촬상 장치(20)에 송신한다.
제2 통신부(13)는, 제1 통신 방식과 다른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촬상 장치(20)와 통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2 통신부(13)는, 일례로서 Wi-Fi 통신의 포트 및 송수신 회로(라디오 커뮤니케이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 통신부(13)는, Wi-Fi 통신 접속이 확립된 촬상 장치(20)로부터 계속적으로 스루 화상을 수신하거나, 녹화 ON/OFF 등의 각종 제어 요구 데이터를 촬상 장치(20)에 송신하거나 한다.
조작부(14)는,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을 검출하고, 제어부(11)에 출력한다. 조작부(14)로서는, 예를 들어 전원 ON/OFF 버튼, 녹화 개시/정지 버튼, 스위치, 방향 키, 조그 다이얼 등의 회전형 선택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표시부(15)는, 제어부(11)의 제어 하에, 조작 화면이나, 촬상 장치(20)로부터 송신된 스루 화상의 표시를 행한다. 표시부(15)로서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을 들 수 있다.
기억부(16)는, 플래쉬 메모리 등에 의해 구현되며 제어부(11)가 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파라미터를 격납한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구성은 일례이며,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2-2. 촬상 장치(20)의 구성>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20)의 구성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2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20)는, 제어부(21), 제1 통신부(22), 제2 통신부(23), 조작부(24), 표시부(25), 촬상부(27) 및 기억부(26)을 가진다.
제어부(21)는,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며,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촬상 장치(2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부(21)는, 예를 들어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의 전자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제어부(21)는,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ROM, 및 적절히 변화하는 파라미터 등을 일시 기억하는 RAM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부(21)는, 제1 통신부(22)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전원 ON 요구 데이터를 수신하였을 경우, 촬상 장치(20)의 전원을 ON으로 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촬상 장치(20)의 전원 상태는, 적어도 이하의 3 종류를 포함한다.
·불활성 상태:전원이 끊어져 있는 상태이며, 적어도 촬상부(27)에 의한 화상의 촬상 처리나 제1 통신부(22) 및 제2 통신부(23)에 의한 통신 처리를 하지 않는 상태이다. 단 시계 회로 등 일부의 필요한 회로는 급전이 되고 있어도 좋다. 촬상 장치(20)가 불활성 상태인 경우, 유저는 촬상 장치(20)가 전원 OFF 상태라고 인식할 수 있다.
·스탠바이 상태:촬상부(27)에 의한 화상의 촬상 처리나 Wi-Fi 통신(제2 통신부(23))에 의한 통신 처리 등 적어도 일부의 기능은 사용할 수 없지만, 시스템의 일부는 급전되고 있어서 BT 통신(제1 통신부(22))에 의한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송신, 전원 ON 요구 데이터의 수신 등은 가능한 상태이다. 촬상 장치(20)가 스탠바이 상태인 경우도, 유저는 촬상 장치(20)가 전원 OFF 상태라고 인식할 수 있다.
·전원 ON 상태:촬상부(27)에 의한 촬상이나 Wi-Fi 통신에 의한 스루 화상의 송신 등, 스탠바이 상태보다 많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이다. 또한, BT 통신 및 Wi-Fi 통신의 양쪽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통신부(22)는, 정보 처리 장치(10)와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통신부(22)는, 일례로서 BT 통신의 포트 및 송수신 회로(라디오 커뮤니케이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통신부(22)는, 스탠바이 상태에 있어서, BT 통신에 의해 정기적으로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주변으로 발신한다. 여기서 애드버타이징 패킷은 촬상 장치(20)가 스탠바이 상태에 있을 때 주위의 기기로 촬상 장치(20)의 존재를 알리는 비콘 신호이다. 애드버타이징 패킷은 예를 들어 촬상 장치(20)의 디바이스 식별자(장치 식별 정보의 일례), 이름, 기능, 및 서비스 정보 등을 포함한다.
제2 통신부(23)는, 제1 통신 방식과 다른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와 통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2 통신부(23)는, 일례로서 Wi-Fi 통신의 포트 및 송수신 회로(라디오 커뮤니케이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 통신부(23)는, 전원 ON 상태에 있어서, 촬상부(27)에 의해 취득한 촬상 화상을 스루 화상으로서 Wi-Fi 통신 접속이 확립된 정보 처리 장치(10)에 계속적으로 송신한다.
조작부(24)는,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을 검출하여, 제어부(21)로 출력한다. 조작부(24)로서는, 예를 들어 촬상 장치(20)의 전원 ON/OFF 버튼, 녹화 개시/정지 버튼 및 스위치 등을 들 수 있다.
표시부(25)는, 촬상 장치(20)의 전원 상태, 통신 상태, 배터리 잔량 등과 같은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 등을 표시한다. 표시부(25)로서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을 들 수 있다.
기억부(26)는, 플래쉬 메모리 등에 의해 구현되며 제어부(21)가 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파라미터를 격납한다.
촬상부(27)는, 촬상에 의해 화상(동화상 또는 정지화상)을 생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촬상부(27)는, 예를 들어, 렌즈/촬상 소자와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렌즈/촬상 소자는, 예를 들어, 광학계의 렌즈와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복수 포함한 이미지 센서로 구현된다. 신호 처리 회로는, 예를 들어, AGC 회로나 ADC를 포함하여 촬상 소자에 의해 생성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신호 처리 회로는, 예를 들어 RAW 현상과 관련되는 각종 처리를 행한다. 나아가 신호 처리 회로는, 예를 들어, White Balance 보정 처리나, 색조 보정 처리, 감마 보정 처리, YCbCr 변환 처리, 에지 강조 처리 등 각종 신호 처리를 행해도 좋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2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구성은 일례이며, 본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2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3. 동작 제어예>>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 및 촬상 장치(20)의 동작 제어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는, 촬상 장치(20)와 1 대 1로 통신 접속을 확립하여 하나의 촬상 장치(20)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는 싱글 모드 접속과, 복수의 촬상 장치(20)와 다대 1로 통신 접속을 확립하여 복수의 촬상 장치(20)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는 멀티 모드 접속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하나의 촬상 장치(20)와 싱글 모드로 접속할 때의 동작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3-1. 동작 제어 처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20)는, 소형화, 경량화, 강고화 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유저가 스포츠를 하고 있을 때 헬멧이나 도구에 설치하여 스포츠 중에 보이는 실제감 있는 경치를 핸즈 프리로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치 위치에 따라서는, 유저에 의한 버튼 조작이나 스위치 조작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에 대한 유저에 의한 전원 ON 조작에 응답하여, 촬상 장치(20)의 전원 ON 제어, 및 정보 처리 장치(10)와 촬상 장치(20) 간의 통신 접속을 자동적으로 확립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촬상 장치(20)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 및 촬상 장치(20)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동작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의 제어부(11) 및 촬상 장치(20)의 제어부(21)가 제어를 행함으로써, 도 4에 나타내는 동작 제어 처리를 행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촬상 장치(20)는, 스탠바이 상태에 있어서, BT 통신에 의해 애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발신(비콘 발신)을 계속적으로 행한다(스텝 S103).
다음으로, 정보 처리 장치(10)는, 유저에 의해 전원 ON 조작(구체적으로는 전원 스위치의 누름)을 하여 전원이 들어가면(스텝 S106), 주변에 존재하는 촬상 장치(20)의 검출(이하, 스캔이라 칭함)을 개시한다(스텝 S109).
다음으로, 정보 처리 장치(10)는, 촬상 장치(20)로부터 계속적으로 발신되고 있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면(스텝 S112), 해당 촬상 장치(20)가 정보 처리 장치(10)와 페어링이 완료된 상태인지 아닌지의 판단을 행한다(스텝 S115). 구체적으로는, 정보 처리 장치(10)는, 촬상 장치(20)로부터 발신된 애드버타이징 패킷 내에 포함된 촬상 장치(20)의 식별자(예를 들어 Bluetooth 디바이스 주소)에 기초하여, 해당 촬상 장치(20)가 인증이 완료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미리 행해지는 페어링 처리에서는, 촬상 장치(20)의 Bluetooth 디바이스 주소와 암호 키가 촬상 장치(20)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10)로 송신되어 정보 처리 장치(10)에 보존된다.
다음으로, 정보 처리 장치(10)는, 페어링 판단의 결과, 정보 처리 장치(10)와 페어링이 완료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촬상 장치(20)에 대해서, Scan Request를 BT 통신에 의해 송신한다(스텝 S118).
그 다음으로, 정보 처리 장치(10)는, 촬상 장치(20)로부터 Scan response를 BT 통신에 의해 수신하면(스텝 S121), 조건 판단을 행한다(스텝 S124). Scan response는, 촬상 장치(20)의 Wi-Fi 접속 모드 정보 및 전원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Wi-Fi 접속 모드(싱글 모드 또는 멀티 모드) 및 전원 상태를 확인하고, 촬상 장치(20)가 Connection Request를 송신하는 소정의 조건에 합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소정의 조건이란, 예를 들어 촬상 장치(20)의 Wi-Fi 접속 모드가 정보 처리 장치(10)의 Wi-Fi 접속 모드와 일치하고, 또한 촬상 장치(20)의 전원 상태가 스탠바이 상태(전원 ON의 지시 대기)인 것을 일례로서 들고 있다. 여기서, Wi-Fi 접속 모드의 싱글 모드 및 멀티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싱글 모드의 경우, 촬상 장치(20)는 access point(master device), 정보 처리 장치(10)는 station(slave device)로서 기능하고, 촬상 장치(20)와 정보 처리 장치(10)는 1 대 1로 접속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소정의 조건은, 예를 들어, 촬상 장치(20)와 정보 처리 장치(10)가 최근(즉, 소정의 시간 기간 이내에) 접속되었으며; 촬상 장치(20)와 정보 처리 장치(10)가 접속 이력을 가지며; 촬상 장치(20)와 정보 처리 장치(10)가 올바른 인증 정보를 가지고 있는 등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멀티 모드의 경우, 촬상 장치(20)는 station(slave device), 정보 처리 장치(10)는 access point(master device)로서 기능하고, 촬상 장치(20)와 정보 처리 장치(10)는 다대 1로 접속한다.
다음으로, 정보 처리 장치(10)는, 조건에 합치하는 촬상 장치(20)에, Connection Request를 송신한다(스텝 S127).
그 다음으로, 촬상 장치(20)는,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Connection Request를 수신하면, Connection Request에 따라 촬상 장치(20)의 전원을 ON하고(스텝 S130), Wi-Fi 기동 및 BT 재기동을 실시한다(스텝 S133). 또한, BT 재기동은 실시하지 않고, BT가 기동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촬상 장치(20)는, 정보 처리 장치(10)와 Wi-Fi 접속(스텝 S136) 및 BT 접속을 확립한다(스텝 S139).
또한, 촬상 장치(20)는, 촬상 장치(20)의 카메라(촬상부(27))를 기동하여(스텝 S142), 촬상부(27)에 의해 취득한 촬상 화상을 스루 화상으로서 정보 처리 장치(10)에 Wi-Fi 통신에 의해 송신한다(스텝 S145).
그 다음으로, 정보 처리 장치(10)는, 촬상 장치(20)로부터 송신된 스루 화상을 리얼타임으로 표시부(15)에 표시하고, 라이브 뷰를 제공한다(스텝 S148).
또한, 상술한 촬상 장치(20)의 전원 ON 후의 Wi-Fi 기동, BT 기동, 카메라 기동, 및 스루 화상의 송신이라고 하는 일련의 동작은, 촬상 장치(20)의 전원이 ON 했을 경우에 행해지도록 미리 촬상 장치(20) 측에서 설정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는, 전원 ON 조작을 행하면 자동적으로 촬상 장치(20)를 검출하여 해당 촬상 장치(20)의 전원을 ON 하도록 제어한다. 전원 ON 제어된 촬상 장치(20)는, 정보 처리 장치(10)와의 통신 접속의 확립 및 카메라의 기동을 실시하고, 카메라로 촬상한 스루 화상을 리얼타임으로 정보 처리 장치(10)에 송신하여, 라이브 뷰를 개시한다. 이에 의해, 촬상 장치(20)가 조작하기 어려운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유저가 정보 처리 장치(10)의 전원을 ON 하는 것만으로, 유저에 의한 촬상 장치(20)의 선택 조작이나 전원 ON 지시 조작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촬상 장치(20)의 전원 ON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Wi-Fi 접속 모드가 싱글 모드로서 설정된 경우에 있어서의 1 대 1의 동작 처리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멀티 모드의 경우에 있어서의 다대 1의 동작 처리의 경우도 이와 같이 행해질 수 있다. 즉, 멀티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10)는, 유저에 의한 전원 ON 조작에 의해 전원이 들어가면, 촬상 장치(20)의 검출을 개시하고, 검출한 촬상 장치(20)의 페어링 판단 및 조건 판단을 행하고, 조건에 합치하는 촬상 장치(20)에 대해서 전원 ON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10)는, Wi-Fi 접속이 확립된 촬상 장치(20)의 수가 소정의 최대 접속 수(유저에 의해 설정 가능)에 이를 때까지, 스캔을 계속하여, 복수의 촬상 장치(20)와의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복수의 촬상 장치(20)로부터 취득한 스루 화상은, 정보 처리 장치(10)의 표시부(15)에 일람표로 나타내도 좋고, 선택된 하나의 스루 화상이, 복수의 스루 화상의 선택 아이콘과 함께 표시되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20)는, 촬상 장치(20)의 BT 리모트 콘트롤 전원 설정이 OFF인 경우(즉, 리모트 전원 ON 하지 않는 설정인 경우), 스탠바이 상태이더라도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발신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20)는, BT 리모트 콘트롤 전원 설정이 ON인 경우(즉, 리모트 전원 ON 하는 설정인 경우)에도, 외부 장치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즉, 페어링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발신하지 않도록 제어해도 좋다.
<3-2. 전원 OFF 조작>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는, 기본적인 리모트 조작의 일례로서 촬상 장치(20)에 대한 전원 OFF 제어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OFF 제어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가 촬상 장치(20)와 Wi-Fi 통신 접속 및 BT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촬상 장치(20)로부터 수신한 스루 화상을 표시부(15)에 표시하여 라이브 뷰를 제공하고 있을 때에, 도 5의 상단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에 의해 전원 OFF 조작(예를 들어 전원 버튼의 누름)을 하면, 정보 처리 장치(10)는 BT 통신(예를 들어 BTLE 통신)에 의해 전원 OFF 요구 데이터를 촬상 장치(20)에 송신한다. 또한 촬상 장치(20)에 표시부(25)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25)에는, 시각, 전파 상태, 전원 상태, 전지 잔량 및 통신 상태 등의 각종 정보가 표시된다.
그 다음으로, 도 5의 하단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는 전원을 OFF하고, 촬상 장치(20)도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의 전원 OFF 요구 데이터에 따라, 전원을 OFF 한다.
이와 같이, 유저가 정보 처리 장치(10)의 전원 OFF 조작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접속 중인 촬상 장치(20)의 전원 OFF 제어를 행한다.
(그 외의 전원 OFF 거동)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의 전원 OFF 조작에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접속 중인 촬상 장치(20)의 전원을 OFF 하는 취지를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가 배터리 나감이나 온도 상승에 의해, 유저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강제적으로 전원 OFF 했을 경우, 촬상 장치(20)에 전원 OFF 요구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고, 촬상 장치(20)의 전원은 ON인 채 유지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접속 중인 촬상 장치(20)가 유저 조작 등에 의해 전원 OFF 했을 경우, 정보 처리 장치(10)는 전원 ON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정보 처리 장치(10)(Central 기기) 측 혼자 리모트 전원 연동의 트리거로서 기능할 수 있다.
<3-3. REC 조작>
다음으로, 기본적인 리모트 조작의 다른 예로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리모트 REC 조작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REC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우선, 정보 처리 장치(10) 및 촬상 장치(20)의 전원이 ON 이며, Wi-Fi 통신 접속 및 BT 통신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는, 유저에 의해 REC 버튼이 눌려지면(스텝 S203), REC 개시 요구 데이터를 BT 통신에 의해 촬상 장치(20)에 송신한다(스텝 S206).
다음으로, 촬상 장치(20)는,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송신된 REC 개시 요구 데이터에 따라 녹화를 개시한다(스텝 S209).
그 다음에, 정보 처리 장치(10)의 전원 OFF 버튼이 유저에 의해 눌려지면(스텝 S212), 정보 처리 장치(10)는, 전원 OFF 요구 데이터를 BT 통신에 의해 촬상 장치(20)에 송신한다(스텝 S215).
다음으로, 촬상 장치(20)는,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전원 OFF 요구 데이터에 따라, 녹화를 정지하고(스텝 S218), 전원을 OFF 한다(스텝 S221).
한편, 정보 처리 장치(10)도, 상술한 전원 OFF 버튼의 눌려짐에 따라, 전원을 OFF 한다(스텝 S224).
<<4. 결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는, 유저에 의한 전원 ON 조작에 응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촬상 장치(20))의 전원을 자동적으로 ON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사람이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음은 분명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정보 처리 장치(10), 촬상 장치(20)에 내장되는 CPU, ROM, 및 RAM 등의 하드웨어에, 정보 처리 장치(10), 촬상 장치(20)의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도 작성 가능하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시킨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도 제공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설명적 또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은 아니다. 즉, 본 개시와 관련되는 기술은, 상기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 효과에 대신하여,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분명한 다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촬상 시스템으로서, 촬상 장치; 및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제1 통신을 수신하고, 조건 판단을 행하며, 상기 촬상 장치가 미리 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촬상 장치에 제2 통신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은 적어도 전원 ON 요구 데이터를 포함하는, 촬상 시스템.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은 스캔 응답(scan response)인, 촬상 시스템.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은 접속 요구를 포함하는, 촬상 시스템.
(4) 정보 처리 장치로서, 촬상 장치로부터 제1 통신을 수신하고; 조건 판단을 행하고; 상기 촬상 장치가 미리 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촬상 장치에 제2 통신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통신은 적어도 전원 ON 요구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상기 (4)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6) 상기 (5)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계속적으로 보내지는 상기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촬상 장치와 당해 정보 처리 장치의 페어링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7) 상기 (6)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촬상 장치와 당해 정보 처리 장치의 페어링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촬상 장치에 스캔 요구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8) 상기 (4)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복수의 촬상 장치 중 하나이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미리 결정된 수의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와의 접속이 확립될 때까지 스캐닝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9) 상기 (8)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수는 유저에 의해 설정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상기 (4)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은 스캔 응답인, 정보 처리 장치.
(11) 상기 (4)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은 접속 요구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2) 상기 (4)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은 상기 촬상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미리 결정된 마스터-슬레이브(master-slave) 관계를 갖고 있는지의 여부에 상당하는, 정보 처리 장치.
(13) 상기 (4)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은 상기 촬상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미리 결정된 시간량 내에 최근 접속되었는지의 여부에 상당하는, 정보 처리 장치.
(14) 상기 (4)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은 상기 촬상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미리 결정된 접속 이력을 갖고 있는지의 여부에 상당하는, 정보 처리 장치.
(15) 상기 (4)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 및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각각, 복수의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16) 상기 (1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방식은 BT 규격, Wi-Fi 규격,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규격, 광라디오 커뮤니케이션 규격, 음성 통신 규격, 라디오 커뮤니케이션 규격, 및 유선 통신 규격 중에서 선택되는 2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7) 상기 (4)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부, 통신부 및 표시부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8) 상기 (4)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팔찌형 웨어러블 단말(wearable wristband terminal)인, 정보 처리 장치.
(19) 촬상 장치와의 원격 통신 방법으로서,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제1 통신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조건 판단을 행하는 단계; 및 상기 촬상 장치가 미리 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제2 통신을 상기 촬상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은 적어도 전원 ON 요구 데이터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와의 원격 통신 방법.
(20)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정보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촬상 장치로부터 제1 통신을 수신하는 단계; 조건 판단을 행하는 단계; 및 상기 촬상 장치가 미리 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촬상 장치에 제2 통신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을 행하도록 하는 지령을 기억하고 있으며, 상기 제2 통신은 적어도 전원 ON 요구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21) 정보 처리 장치로서, 유저가 정보 처리 장치의 전원 ON 조작을 행한 것의 검출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라디오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의해 외부 장치의 검출 처리를 개시하고, 상기 검출 처리에 의해 검출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장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한 외부 장치가 인증 완료된 외부 장치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판단 처리를 행하고, 상기 판단 처리의 결과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에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한 전원 ON을 요구하는 전원 ON 요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22) 상기 (21)에 있어서, 상기 장치 식별 정보는 상기 외부 장치의 디바이스 주소인, 정보 처리 장치.
(23) 상기 (21) 또는 (2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 완료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장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조건 판단 처리를 행하고, 조건에 합치하는 상기 외부 장치에 상기 전원 ON 요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
(24) 상기 (2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 상태 정보에 포함되는 라디오 커뮤니케이션 접속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외부 장치의 접속 모드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접속 모드와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전원 ON 요구 데이터를 해당 외부 장치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
(25) 상기 (23) 또는 (2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 상태 정보에 포함되는 전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전원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외부 장치가 전원 ON의 지시 대기 상태인 경우에 상기 전원 ON 요구 데이터를 해당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
(26) 상기 (21)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 ON 상태가 된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라디오 커뮤니케이션 방식과는 상이한 다른 라디오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의한 통신의 확립 처리를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27) 상기 (2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다른 라디오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의한 라디오 커뮤니케이션을 행하지 않고, 상기 라디오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의해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외부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상태인 경우에 송신된 상기 외부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검출 처리를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28) 상기 (2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복수의 상기 외부 장치와 접속 가능한 경우, 상기 다른 라디오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의해 확립된 통신 접속 수가 소정의 접속 수에 이를 때까지, 상기 판단 처리의 결과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에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한 전원 ON을 요구하는 전원 ON 요구 데이터를 송신하는, 정보 처리 장치.
(29) 상기 (28)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커뮤니케이션 방식은 Bluetooth(등록상표)이며, 상기 라디오 커뮤니케이션 방식과는 상이한 다른 라디오 커뮤니케이션 방식은 Wi-Fi(등록상표)인, 정보 처리 장치.
(30) 상기 (21) 내지 (2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촬상 장치이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촬상 장치의 조작을 행하는 리모트 콘트롤러인, 정보 처리 장치.
(31) 상기 (30)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장착 부재를 통해 상기 유저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 ON 조작에 대응하는 전원 조작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촬상 장치의 촬상 조작에 대응하는 촬상 조작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32) 상기 (30) 또는 (31)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수신한 촬상 화상을 리얼타임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33)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프로세서가, 유저가 정보 처리 장치의 전원 ON 조작을 행한 것의 검출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라디오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의해 외부 장치의 검출 처리를 개시하고, 상기 검출 처리에 의해 검출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장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한 외부 장치가 인증 완료된 외부 장치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판단 처리를 행하고, 상기 판단 처리의 결과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에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한 전원 ON을 요구하는 전원 ON 요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34) 컴퓨터를, 유저가 정보 처리 장치의 전원 ON 조작을 행한 것의 검출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라디오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의해 외부 장치의 검출 처리를 개시하고, 상기 검출 처리에 의해 검출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장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한 외부 장치가 인증 완료된 외부 장치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판단 처리를 행하고, 상기 판단 처리의 결과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에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한 전원 ON을 요구하는 전원 ON 요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10: 정보 처리 장치
11: 제어부
12: 제1 통신부
13: 제2 통신부
14: 조작부
15: 표시부
16: 기억부
20: 촬상 장치
21: 제어부
22: 제1 통신부
23: 제2 통신부
24: 조작부
25: 표시부
26: 기억부
27: 촬상부

Claims (20)

  1. 촬상 시스템으로서,
    촬상 장치; 및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제1 통신을 수신하고, 조건 판단을 행하며, 상기 촬상 장치가 미리 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촬상 장치에 제2 통신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은 적어도 전원 ON 요구 데이터를 포함하는, 촬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은 스캔 응답(scan response)인, 촬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은 접속 요구를 포함하는, 촬상 시스템.
  4. 정보 처리 장치로서,
    촬상 장치로부터 제1 통신을 수신하고;
    조건 판단을 행하고,
    상기 촬상 장치가 미리 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촬상 장치에 제2 통신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통신은 적어도 전원 ON 요구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계속적으로 보내지는 상기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촬상 장치와 당해 정보 처리 장치의 페어링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촬상 장치와 당해 정보 처리 장치의 페어링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촬상 장치에 스캔 요구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복수의 촬상 장치 중 하나이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미리 결정된 수의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와의 접속이 확립될 때까지 스캐닝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수는 유저에 의해 설정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은 스캔 응답인, 정보 처리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은 접속 요구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은 상기 촬상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미리 결정된 마스터-슬레이브(master-slave) 관계를 갖고 있는지의 여부에 상당하는, 정보 처리 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은 상기 촬상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미리 결정된 시간량 내에 최근 접속되었는지의 여부에 상당하는, 정보 처리 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은 상기 촬상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미리 결정된 접속 이력을 갖고 있는지의 여부에 상당하는, 정보 처리 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 및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각각, 복수의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방식은 BT 규격, Wi-Fi 규격,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규격, 광라디오 커뮤니케이션 규격, 음성 통신 규격, 라디오 커뮤니케이션 규격, 및 유선 통신 규격 중에서 선택되는 2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부, 통신부 및 표시부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팔찌형 웨어러블 단말(wearable wristband terminal)인, 정보 처리 장치.
  19. 촬상 장치와의 원격 통신 방법으로서,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제1 통신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조건 판단을 행하는 단계; 및
    상기 촬상 장치가 미리 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제2 통신을 상기 촬상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은 적어도 전원 ON 요구 데이터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와의 원격 통신 방법.
  20.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정보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촬상 장치로부터 제1 통신을 수신하는 단계;
    조건 판단을 행하는 단계; 및
    상기 촬상 장치가 미리 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촬상 장치에 제2 통신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을 행하도록 하는 지령을 기억하고 있으며,
    상기 제2 통신은 적어도 전원 ON 요구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87017005A 2015-12-22 2016-11-11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800966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49486A JP6672780B2 (ja) 2015-12-22 2015-12-22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15-249486 2015-12-22
PCT/JP2016/083571 WO2017110297A1 (en) 2015-12-22 2016-11-11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622A true KR20180096622A (ko) 2018-08-29

Family

ID=57471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005A KR20180096622A (ko) 2015-12-22 2016-11-11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310248A1 (ko)
EP (1) EP3395103A1 (ko)
JP (1) JP6672780B2 (ko)
KR (1) KR20180096622A (ko)
CN (1) CN108370542B (ko)
WO (1) WO20171102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9443B2 (ja) * 2015-12-15 2020-10-1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82514B1 (ko) 2018-06-28 2022-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7268486B2 (ja) * 2019-05-31 2023-05-08 株式会社リコー 頭部装着型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画像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1190957A (ja) * 2020-06-04 2021-12-13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および通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7920A (ja) 2013-12-27 2015-07-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11337B (en) * 2004-02-27 2006-12-06 Simon Richard Daniel Modular interface strap for multi-unit wristband and necklace assemblies
JP5020494B2 (ja) * 2005-10-12 2012-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050206B2 (en) * 2006-11-20 2011-11-01 Micropower Technologies, Inc. Wireless network camera systems
JP5242650B2 (ja) * 2010-09-24 2013-07-2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2819410A1 (en) * 2011-01-04 2014-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3D glass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882179B1 (en) * 2012-07-31 2020-04-01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796789B2 (ja) * 2012-12-20 2015-10-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端末、無線端末による携帯情報端末の起動方法
KR102022666B1 (ko) * 2013-05-16 2019-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JP5800249B2 (ja) * 2013-06-21 2015-10-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影条件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27492B1 (ja) * 2013-08-19 2014-06-1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5115626A (ja) * 2013-12-09 2015-06-22 船井電機株式会社 ソースデバイス、シンクデバイス、プログラム、通信システム
JP6383187B2 (ja) * 2014-06-12 2018-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69443B2 (ja) * 2015-12-15 2020-10-1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7920A (ja) 2013-12-27 2015-07-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95103A1 (en) 2018-10-31
CN108370542B (zh) 2021-08-17
JP2017118233A (ja) 2017-06-29
JP6672780B2 (ja) 2020-03-25
CN108370542A (zh) 2018-08-03
US20180310248A1 (en) 2018-10-25
WO2017110297A1 (en)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601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097170A (ja) 電子装置及び携帯用通信装置
US9894253B2 (en) Portable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50029350A1 (en) Imaging apparatu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KR20180096622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US2022040488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503734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51211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864117B2 (en) Program and electronic device
WO2019017091A1 (ja) 複数の通信方式を用いる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652093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200228664A1 (en) Controlled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17199972A (ja) 端末装置、情報取得システム、情報取得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885744A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JP2017147698A (ja) 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