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166A - 무선 백홀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백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166A
KR20180093166A KR1020170018344A KR20170018344A KR20180093166A KR 20180093166 A KR20180093166 A KR 20180093166A KR 1020170018344 A KR1020170018344 A KR 1020170018344A KR 20170018344 A KR20170018344 A KR 20170018344A KR 20180093166 A KR20180093166 A KR 20180093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access
wireless
wireless backhaul
access systems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유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18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3166A/ko
Publication of KR20180093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백홀 장치는,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복수의 무선 접속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 기지국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기지국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자원 설정 및 채널 설정을 수행하는 프로토콜부, 및 상기 복수의 무선 접속 시스템과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연결에 필요한 정보 및 코어 망에 연결 시 필요한 정보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토콜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 접속 시스템 각각의 QoS(Quality of Service)와 상기 복수의 무선 접속 시스템 각각이 제공 중인 서비스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무선 접속 시스템 별로 전용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백홀 장치{WIRELESS BACKHAUL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무선 백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 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백홀 장치에 관한 것이다.
4세대(Generation, G) 이동통신 시스템은 6GHz 이하의 셀룰러 주파수를 사용하며 저속 이동환경에 최적화되도록 설계되었다. 즉, 4G 이동통신 시스템은 저속(3km/h)환경에 최적화되고, 중속(~120km/h) 환경에서는 좋은 품질을 제공하며, 고속(~350 km/h) 환경에서는 통신 접속이 끊어지지 않는 정도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이에 반해, 5G 모바일 인터넷 기술은 언제 어디서나 개인당 1 Gbps급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고 최대 600Km/hr의 이동 속도에서도 끊김 없이 Gbps급의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추구하고 있다.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지하철, 고속철 등과 같은 그룹 이동체 내에서의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그룹 이동체에 탑승한 사용자들은 그룹 이동체 외부의 이동통신망을 통해 직접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 받거나, 이동 무선 백홀과 결합된 WLAN(Wireless LAN) 혹은 그룹 이동체 내 소형셀 형태로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최근 그룹 이동체 내에서 5G 인터넷 기술에서 요구되는 Gbps급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이 고려 되고 있으며, 고속으로 이동하는 그룹 이동체 내에서 Gbps급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 백홀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해결하려는 과제는 고속으로 이동하는 그룹 이동체 내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을 수용할 수 있는 무선 백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백홀 장치는,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복수의 무선 접속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 기지국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기지국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자원 설정 및 채널 설정을 수행하는 프로토콜부, 및 상기 복수의 무선 접속 시스템과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연결에 필요한 정보 및 코어 망에 연결 시 필요한 정보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토콜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 접속 시스템 각각의 QoS(Quality of Service)와 상기 복수의 무선 접속 시스템 각각이 제공 중인 서비스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무선 접속 시스템 별로 전용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백홀 장치는 고속으로 이동하는 그룹 이동체 내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들과 코어 망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또한, 그룹 이동체의 이동으로 핸드오버가 필요한 상황에서 무선 접속 시스템들을 대표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함으로써, 핸드오버를 위해 사용되는 제어 메시지를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이 핸드오버 중에도 끊김 없이 데이터를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백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백홀 장치의 연결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백홀 장치의 핸드오버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MT, MS, AMS, HR-MS, SS, PSS, AT, UE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기(relay station, 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 노드(relay node, RN),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진보된 중계기(advanced relay station, A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고신뢰성 중계기(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RS), 소형 기지국[펨토 기지국(femto BS), 홈 노드B(home node B, HNB), 홈 eNodeB(HeNB), 피코 기지국(pico BS), 메트로 기지국(metro BS), 마이크로 기지국(micro BS) 등]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ABS,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RS, RN, ARS, HR-RS, 소형 기지국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송수신기(transceiver)는 단말(terminal),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MT, AMS, HR-MS, SS, PSS, AT, UE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송수신기(transceiver)는 기지국(base station, BS),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기(relay station, 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고신뢰성 중계기(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R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ABS,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RS, HR-R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백홀 장치, 무선 백홀 장치의 연결 제어 방법 및 핸드오버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문서에서, 그룹 이동체는 기차, 지하철, 고속철도, 버스 등 고속으로 이동하며 내부에 다수의 사용자가 탑승하는 이동체를 의미하며, 사용자 단말은 그룹 이동체 내부에 탑승한 사용자의 단말을 의미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은 무선 백홀 장치(10), 사용자 단말(대표 번호 '20'부여), 무선 백홀 스테이션(30) 및 코어 망(4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하나 이상의 무선 접속 기술을 사용하며, 자신이 속한 무선 접속 시스템(대표 번호 '50' 부여)을 통해 무선 백홀 장치(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백홀 장치(10)는 그룹 이동체에 장착되며, 그룹 이동체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20)을 대표하여 코어 망(4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백홀 장치(10)는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함으로써,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5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백홀 장치(10)는 그룹 이동체 내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 IoT) 시스템(50-1)을 통해 사용자 단말(20-1)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무선 백홀 장치(10)는 와이파이(Wi-Fi)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50-2, 50-3)을 통해 사용자 단말(20-2, 20-3)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무선 백홀 장치(10)는 전술한 무선 접속 시스템 기술 외에 새로운 무선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 new RAT)을 사용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50-4)을 통해 사용자 단말(20-4)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20)이 복수의 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의 제어 또는 망 환경에 따라 사용하는 무선 접속 기술을 변경함으로써 무선 접속 시스템(50)을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백홀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의 무선 접속 시스템(50) 이동에 따른 제어 정보를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무선 백홀 스테이션(30)은 기지국 장치로서, 그룹 이동체에 장착된 무선 백홀 장치(10)와 코어 망(40)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백홀 스테이션(30)은 코어 망(40)과 유선/무선으로 연결되며, 무선 백홀 장치(10)와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백홀 스테이션(30)과 코어 망(40)을 무선으로 연결할 경우, 광케이블 연결 등의 작업이 생략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이에 따른 설치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문서에서는 무선 백홀 장치(10)가 다수의 사용자가 탑승하는 그룹 이동체에 탑재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백홀 장치(10)는 드론 등과 같이 다수의 사용자가 탑승하지는 않으나, 복수의 무선 접속 장치가 탑재되는 이동체 내부에 탑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은 이동체 내부에 탑재되는 무선 접속 장치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백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백홀 장치(10)는 인터페이스부(110), 프로토콜부(120) 및 관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0)는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50)들과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부(110)는 무선 접속 시스템(50)들과의 인터페이스를 각각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10)는 각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제어 영역(control plane), 데이터 플레인(data plane) 등을 QoS나 우선 순위 등을 고려하여 처리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프로토콜부(120)는 무선 백홀 스테이션(3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토콜부(120)는 무선 백홀 스테이션(3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자원 설정과, 제어 메시지 전달을 위한 채널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프로토콜부(120)는 사용자 단말(20)의 QoS(Quality Of Service)나 사용 능력에 따라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무선 백홀 스테이션(30) 및 코어 망(40)에 연결 시 각 무선 접속 시스템(50)의 QoS 및 각 무선 접속 시스템(50)으로 제공 중인 서비스를 고려하여 무선 접속 시스템(50) 별로 전용 채널 및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프로토콜부(120)는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50)을 수용하기 위해 프레임 구조를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토콜부(120)는 코어 망(40)으로 제어 메시지나 데이터를 전송할 때, 각 무선 접속 시스템(50)에 할당된 IP(UDP port) 또는 무선 자원 식별 인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3GPP 규격을 따르는 무선 접속 시스템의 경우, 제어 영역(control plane)과 데이터 영역(data plane)이 구분되어 관리된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프로토콜부(120)는 코어 망(40)과 연결 시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구분하는 인자를 이용함으로써, 3GPP EPC(Evolved Packet Core) 장치와 각각의 고유 영역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관리부(130)는 무선 백홀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관리부(130)는 무선 백홀 장치(10)의 내부 설정 및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관리부(130)는 인터페이스부(110)와 무선 접속 시스템(50)의 연결 시 필요한 정보들을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관리부(130)는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20)들을 무선 접속 시스템(50) 별로 구분하고, 각 무선 접속 시스템(50) 별로 필요한 설정 정보, 각 무선 접속 시스템(50)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20)의 정보(컨텍스트(context) 정보) 등을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들은 데이터 통신에 사용하는 무선 접속 기술에 따라서 대응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 구분될 수 있다.
관리부(130)는 무선 백홀 장치(10)가 코어 망(40)과 연결 시 필요한 정보 등을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관리부(130)는 무선 백홀 장치(10)의 핸드오버 시 필요한 정보를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의 무선 백홀 장치(10)에서 인터페이스부(110), 프로토콜부(120) 및 관리부(130)는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나 기타 칩셋,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되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백홀 장치의 연결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의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연결 제어 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백홀 장치(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백홀 장치(10)는 무선 백홀 스테이션(30)와 연동하여 자신을 코어 망(40)에 등록하고, 무선 백홀 장치(10)와 코어 망(40) 사이의 기본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채널을 설정한다(S100).
이후, 하나 이상의 무선 접속 시스템(50)이 무선 백홀 장치(10)에 연결되면, 무선 백홀 장치(10)는 자신에게 연결된 각 무선 접속 시스템(50)의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S110).
상기 S110 단계에서, 무선 백홀 장치(10)는 무선 접속 시스템(50)이 연결을 요청하면, 연결을 요청한 무선 접속 시스템(50)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 대응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50)에 대한 IP 할당 등 필요한 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무선 백홀 장치(10)는 필요한 경우, 연결을 요청한 무선 접속 시스템(50)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백홀 장치(10)는 각 무선 접속 시스템(50)의 QoS 및 각 무선 접속 시스템(50)으로 제공 중인 서비스를 고려하여, 각 무선 접속 시스템(50)과 코어 망(4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용 채널을 설정한다(S120). 즉, 무선 백홀 장치(10)는 전용 채널 설정 제어 메시지를 이용해, 각 무선 접속 시스템(50)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따라서 무선 접속 시스템(50)과 코어 망(40) 사이의 전용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롭게 등록된 무선 접속 시스템(50)이 3GPP계열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QoS가 디폴트 데이터 전송자원과 다를 경우, 무선 백홀 장치(10)는 대응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50)에 대해 코어 망(40)까지의 전용 채널 설정을 할 수 있다.
한편, 새롭게 등록된 무선 접속 시스템(50)의 QoS 요구사항이 디폴트 데이터 전송 자원과 같다면 대응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50)에 대한 전용 채널 설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무선 백홀 장치(10)를 통해 각 무선 접속 시스템(50)의 코어 망(40) 등록이 완료되면, 무선 백홀 장치(10)는 각 무선 접속 시스템(50)에 할당된 데이터 전송 채널을 통해 각 무선 접속 시스템(50)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20)들과 코어 망(40) 사이의 데이터를 중계한다(S130).
한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백홀 장치(10)는 이동체 내부의 무선 접속 시스템(50)들을 대표하여, 핸드 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백홀 장치(10)의 핸드오버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핸드오버 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백홀 장치(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백홀 장치(10)는 현재 자신과 연결 중인 무선 백홀 스테이션(서빙 무선 백홀 스테이션)과의 연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다른 무선 백홀 스테이션(타겟 무선 백홀 스테이션)으로의 핸드오버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백홀 장치(10)는 핸드오버 조건을 만족함에 따라, 타겟 무선 백홀 스테이션(30-1)으로의 핸드오버 절차를 시작한다(S200).
무선 백홀 장치(10)는 핸드오버 절차가 시작됨에 따라, 자신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20)들의 컨텍스트(context) 정보를 사용자 단말(20)들이 속한 무선 접속 시스템(50)으로부터 공유 받는다(S210). 이는 각 사용자 단말(20)이 개별적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대신, 무선 백홀 장치(10)가 사용자 단말(20)들을 대표하여 한꺼번에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 접속 시스템(50)들로부터 사용자 단말(20)들의 컨텍스트 정보를 전달 받은 무선 백홀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들의 컨텍스트 정보를 타겟 무선 백홀 스테이션(30-1)으로 전달하여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한다(S220).
상기 S220 단계에서, 무선 백홀 장치(10)는 자신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20)들의 개별 핸드오버 없이도 사용자 단말(20)들의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들의 컨텍스트 정보를 타겟 무선 백홀 스테이션(30-1)으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무선 접속 시스템(50)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20)들은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 중에도, 끊김 없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230).
무선 백홀 장치(10)가 고속으로 이동하는 그룹 이동체 내에서도 끊김 없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그룹 이동체의 고속 이동 환경에서도 끊김 없는 핸드오버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백홀 장치(10)는 무선 접속 시스템(50)들과 각 무선 접속 시스템(50)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20)들의 컨텍스트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이용하여 무선 백홀 장치(10)의 핸드오버 과정에서 모든 사용자 단말(20)의 핸드오버가 한 번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0)들에게 데이터를 끊김 없이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핸드오버 방식은, 무선 백홀 장치(10)가 대표로 핸드오버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0)들이 개별적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필요가 없어, 핸드오버를 위해 송수신되는 제어 메시지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

  1.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복수의 무선 접속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
    기지국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기지국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자원 설정 및 채널 설정을 수행하는 프로토콜부, 및
    상기 복수의 무선 접속 시스템과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연결에 필요한 정보 및 코어 망에 연결 시 필요한 정보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토콜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 접속 시스템 각각의 QoS(Quality of Service)와 상기 복수의 무선 접속 시스템 각각이 제공 중인 서비스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무선 접속 시스템 별로 전용 채널을 설정하는 무선 백홀 장치.
KR1020170018344A 2017-02-09 2017-02-09 무선 백홀 장치 KR20180093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344A KR20180093166A (ko) 2017-02-09 2017-02-09 무선 백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344A KR20180093166A (ko) 2017-02-09 2017-02-09 무선 백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166A true KR20180093166A (ko) 2018-08-21

Family

ID=63453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344A KR20180093166A (ko) 2017-02-09 2017-02-09 무선 백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31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397003B2 (en) Access to a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network slicing based on pre-configured access category
US10412706B2 (en) Establishing data relay operation between a relay user equipment (relay-UE) device and an out-of-coverage user equipment (UE) device
US20120282932A1 (en) Apparatus and Method
US10893449B2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terminal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US10433297B2 (en)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communic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base station
JP7215484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EP2612519A1 (en) Relay nodes in multi-operator scenario
KR20070042101A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처리 장치 및 방법
CN102801822A (zh) 一种本地网关地址更新方法及装置
EP3267763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20031593A1 (ja) 通信装置
US855995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handover between macro base station and home base station
US91432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ignal path of a radio communication
WO2018223824A1 (zh) 一种业务数据传输方法及装置
KR2016006380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메크로 기지국의 핸드오버방법 및 장치
US11638199B1 (en) Dynamic control of connections with dual-connectivity-capable devices
JP5784460B2 (ja) リレー局装置、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リレータイプ通知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903103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intra-base station handover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372579B1 (ko) 이종망에서 셀룰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
US10548064B1 (en) Controlling relay broadcast of system messaging based on donor base station air interface utilization
WO2014079486A1 (en) Supporting moving relay nodes
WO2016188388A1 (zh) 一种进行服务质量管理的方法
KR20180093166A (ko) 무선 백홀 장치
US2008021920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ing mobile station information in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hop relay scheme
US10433234B2 (en) SDN controlled overlay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