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904A - 멜팅캔 가열용기 - Google Patents

멜팅캔 가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0904A
KR20180090904A KR1020170004440A KR20170004440A KR20180090904A KR 20180090904 A KR20180090904 A KR 20180090904A KR 1020170004440 A KR1020170004440 A KR 1020170004440A KR 20170004440 A KR20170004440 A KR 20170004440A KR 20180090904 A KR20180090904 A KR 20180090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melting
melted
candle
beeswa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4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이곤
Original Assignee
비틀에코 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틀에코 협동조합 filed Critical 비틀에코 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70004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0904A/ko
Publication of KR20180090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9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2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2Ingredients
    • C11C5/004Ingredients dyes, pigments; products giving a coloured flam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멜팅캔들의 베이스 재료로 인체 및 환경적인 측면에서 유해한 것으로 알려진 파라핀 왁스를 사용하지 않고 100% 꿀벌이 만든 천연밀랍인 비즈왁스를 사용함에 따라 인체와 환경에 나쁜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캔들이 융해된 후 남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비즈왁스를 이용하여 자동차 실내, 신발장 또는 옷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 방향제, 탈취제 또는 천연 제습제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멜팅캔들, 그 가열용기 및 이를 이용한 향기 블렌딩 방법{MELTING CANDLE, HEATING VESSEL AND FRAGRANCE BLEND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멜팅캔들, 그 가열용기 및 이를 이용한 향기 블렌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향기를 발향하는 멜팅캔들을 일정 크기로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서로 다른 향을 갖는 멜팅캔들을 가열용기를 이용하여 동시에 융해시켜 서로 혼합된 향이 발향되도록 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향을 자유롭게 발향시킬 수 있도록 제공하는 멜팅캔들, 그 가열용기 및 이를 이용한 향기 블렌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캔들(candle)은 단순 조명기능과 함께 실내 인테리어 목적으로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카페나 식당 등에서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천연재료를 이용한 캔들이 개발되면서 캔들이 융해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향기를 이용하여 현대인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각종 질병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캔들은 통상적으로 왁스의 일종인 파라핀 왁스 등과 같은 가연성 고체를 일정 형태로 성형하고, 그 중심에 심지를 삽입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심지가 불에 의해 타들어가면서 그 열에 의해 캔들이 융해되는 과정에서 향기를 발생하고 있으나, 심지가 타면서 인체에 유해한 연기를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연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간접 열로 융해되는 멜팅캔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진 종래기술에 따른 멜팅캔들은 심지를 구비한 전통적인 캔들과 마찬가지로 한 가지 향과, 그 향에 어울리는 색소를 사용하여 제조함에 따라 1회 사용시 한 가지 향기만을 발생하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다양한 향기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주원료인 왁스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부분 석유에서 추출한 파라핀 왁스를 사용함에 따라 인체 및 환경 유해성 문제점이 있었다.
KR 20-2016-0000242 U, 2016. 01. 21. KR 10-2015-0086645 A, 2015. 07. 29.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인체와 환경에 유해하지 않으면서, 완전히 융해되어 남는 왁스를 천연 방향제, 탈취제 및 제습제로 활용할 수 있는 멜팅캔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향을 갖는 멜팅캔들을 균일하게 융해시켜 각 멜팅캔들에서 발향되는 향기가 서로 균일하게 혼합되어 블렌딩되도록 하는 가열용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향기를 발향하는 멜팅캔들을 일정 크기로 작게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서로 다른 향을 갖는 멜팅캔들을 가열용기를 이용하여 동시에 균일하게 융해시켜 1회 사용시에도 혼합된 향이 발향되도록 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향을 자유롭게 발향시킬 수 있도록 제공하는 향기 블렌딩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베이스 재료로 꿀벌이 만든 천연밀랍인 비즈왁스를 사용하고, 상기 비즈왁스를 융해시킨 후 융해된 비즈왁스에 향료 및 색소를 첨가하여 고형화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팅캔들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베이스 재료로 꿀벌이 만든 천연밀랍인 비즈왁스를 사용하고, 상기 비즈왁스를 융해시킨 후 융해된 비즈왁스에 서로 다른 향료 및 색소를 첨가하여 고형화하여 캔들을 제조한 다음, 제조된 각 캔들의 접합면에 열을 가해 접착시켜 서로 다른 향과 색상을 갖는 캔들이 적층된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팅캔들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향료 및 색소와 함께 미립자화된 분말 형태의 천연약재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멜팅캔들을 가열하여 융해시키는 가열용기에 있어서, 티라이트가 인입되는 아궁이; 및 상기 아궁이의 상부에 용기 형태로 구비되고, 상부로 투입되는 상기 멜팅캔들로 상기 티라이트에서 제공되는 열을 전달하여 상기 멜팅캔들을 융해시키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용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열부의 상부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멜팅캔들이 각각 수용되는 박스 구조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가열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대는 내부에 수용된 상기 멜팅캔들이 융해되어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열부는 상기 가열부의 상부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멜팅캔들이 각각 꽂아지는 송곳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가열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가열용기의 가열부에 적어도 서로 다른 향을 갖는 2개 이상의 멜팅캔들을 투입시킨 후 상기 티라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멜팅캔들을 동시에 융해시켜 상기 멜팅캔들의 각 향을 서로 혼합시켜 발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블렌딩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캔들의 베이스 재료로 인체 및 환경적인 측면에서 유해한 것으로 알려진 파라핀 왁스를 사용하지 않고 100% 꿀벌이 만든 천연밀랍인 비즈왁스를 사용함에 따라 인체와 환경에 나쁜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캔들이 융해된 후 남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비즈왁스를 이용하여 자동차 실내, 신발장 또는 옷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 방향제, 탈취제 또는 천연 제습제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가열용기의 가열부에 적어도 서로 다른 향을 갖는 2개 이상의 멜팅캔들을 투입시킨 후 티라이트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멜팅캔들을 동시에 융해시켜 상기 멜팅캔들의 각 향을 서로 균일하게 혼합시켜 발향시킴으로써 소비자는 기본적인 향에서부터 고급 유명 향수까지 다양하게 향기를 블렌딩하여 발향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거의 무한대 경우의 수의 향기를 제조할 수 있어 소비자가 직접 골라 자신이 원하는 향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다이(DIY)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가열용기의 가열부에 가열대를 설치하여 상기 가열부를 통해 전달되는 열을 멜팅캔들에 균일하게 전달하고, 이를 통해 상기 가열부로 투입된 복수 개의 멜팅캔들을 거의 동일한 속도(동일한 양)로 융해시켜 각 멜팅캔들에서 발향되는 향기가 서로 균일하게 혼합되어 블렌딩됨으로써 보다 양질의 향기를 발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멜팅캔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멜팅캔들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공정 흐름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향기 블렌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가열용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가열용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멜팅캔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멜팅캔들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멜팅캔들(10)은 캔들의 베이스 재료로 인체 및 환경적인 측면에서 유해한 것으로 알려진 파라핀 왁스를 사용하지 않고 자연유래 성분인 천연왁스를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왁스 중에서도 소이왁스 또는 팜왁스 대신에 수분을 흡수하는 특성을 갖는 비즈왁스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멜팅캔들(10)은 베이스 재료로 100% 꿀벌이 만든 천연밀랍인 비즈왁스를 사용함에 따라 캔들이 융해된 후 남는 비즈왁스를 이용하여 자동차 실내, 신발장 또는 옷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 방향제, 탈취제 또는 천연 제습제로 활용할 수 있다. 즉, 멜팅캔들(10)은 융해되면서 오일 향기는 발향되고, 또한 남는 비즈왁스는 잔향을 머금고 있어 방향제, 탈취제 및 제습제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멜팅캔들(10)은 도 2와 같이, 먼저, 비즈왁스를 융해시킨 후 융해된 비즈왁스에 한가지 향료 및 색소를 첨가한 다음, 비즈왁스를 일정한 형상을 갖는 틀에 부어 고형시켜 멜팅캔들(10)을 제조한다(ST1, ST2, ST3).
이때, 상기 향료 및 색소는 천연향료(아로마 오일) 및 색소를 사용한다. 상기 틀은 제한을 두지 않고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또한, 멜팅캔들(10)은 가열용기(20, 도 3참조)를 이용하여 동시에 2개 또는 3개를 담아 동시에 융해시킬 수 있도록 비교적은 작은 크기로 제작한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10g으로 작은 용량으로 제조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멜팅캔들(10)은 서로 다른 향료 및 색소가 첨가된 캔들을 각각 제조한 후, 이렇게 제조된 캔들의 접합면에 열을 가해 접착(열접착)시켜 서로 다른 향과 색상을 갖는 캔들이 적층된 적층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멜팅캔들(10)만으로도 융해 과정에서 서로 다른 향기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멜팅캔들(10)에는 상기 향료 및 색소에 더하여 다양한 천연약재들이 미립자화된 분말 형태로 더 첨가될 수 있다. 즉, 천연약재가 미립자화된 분말을 상기 향료 및 색소와 함께 첨가함으로써 캔들이 융해되는 과정에서 오일 향에 천연약재의 유익한 성분들이 함께 기화되어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이때, 천연약재는 제한을 두지 않고, 인체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진 모든 약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향기 블렌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가열용기(20), 즉 아로마 워머의 측부에 마련된 아궁이(21)의 내부로 티라이트(30)를 투입시킨다. 그런 다음, 가열용기(20)의 가열부(22)의 상부에 서로 다른 향기를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멜팅캔들(10)을 올려놓는다. 물론, 가열용기(22)의 상부에 멜팅캔들(10)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아궁이(21)의 내부로 티라이트(30)를 투입시켜 멜팅캔들(10)을 가열시켜 융해시킬 수도 있다.
가열용기(20)에 투입된 멜팅캔들(10)은 티라이트(30)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서서히 융해되면서 발향한다. 이때 각 멜팅캔들(10)은 티라이트(30)에 의해 가해지는 열에 의해 융해되는 과정에서 서로 섞여 향기가 혼합된다. 즉, 가열부(22)에 투입된 각 멜팅캔들(10)의 향기는 서로 섞여 블렌딩된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기본적인 향에서부터 고급 유명 향수까지 다양하게 향기를 블렌딩하여 발향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거의 무한대 경우의 수의 향기를 제조할 수 있어 소비자가 직접 골라 자신이 원하는 향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다이(DIY)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가열용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가열용기(20)는 단순히 가열부(22)가 사기 재질의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투입되는 멜팅캔들(10)의 위치에 따라 전달되는 열이 서로 달라 멜팅캔들(10)이 서로 동일한 속도로 균일하게 융해되지 못하여 많이 융해된 멜팅캔들(10)의 향기로 인해 덜 융해된 멜팅캔들(10)의 향기가 묻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가열용기(40)는 가열부(42)로 투입되는 멜팅캔들(10)을 거의 동일한 속도로 융해시켜 각 멜팅캔들(10)에서 발향되는 향기가 서로 균일하게 혼합되어 블렌딩되도록 하기 위해 가열부(42)에 각 멜팅캔들(10)이 내부에 삽입되는 가열대(43)가 구비되고, 이들 가열대(43)는 내부에서 융해된 멜팅캔들(10)이 배출되어 서로 섞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가열대(43)는 멜팅캔들(10)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가열부(42)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열대(43)는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서로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가열용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가열용기(50)는 가열부(52)의 상부에 상부로 돌출된 가열대(53)를 포함한다. 가열대(53)는 도 6에 도시된 박스구조가 아닌 송곳 형상으로 이루어져 멜팅캔들(10)을 송곳에 꽂는 방식으로 투입한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열용기(40, 50)는 가열부(42, 52)에 열 전도성이 우수한 가열대(53)를 설치하여 가열부(42, 52)를 통해 전달되는 열을 멜팅캔들(10)에 균일하게 전달하고, 이를 통해 가열부(42, 52)로 투입된 복수 개의 멜팅캔들(10)을 거의 동일한 속도(동일한 양)로 융해시켜 각 멜팅캔들(10)에서 발향되는 향기가 서로 균일하게 혼합되어 블렌딩됨으로써 보다 양질의 향기를 발향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멜팅캔들
20, 40, 50 : 가열용기
30 : 티라이트

Claims (7)

  1. 베이스 재료로 꿀벌이 만든 천연밀랍인 비즈왁스를 사용하고, 상기 비즈왁스를 융해시킨 후 융해된 비즈왁스에 향료 및 색소를 첨가하여 고형화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팅캔들.
  2. 베이스 재료로 꿀벌이 만든 천연밀랍인 비즈왁스를 사용하고, 상기 비즈왁스를 융해시킨 후 융해된 비즈왁스에 서로 다른 향료 및 색소를 첨가하여 고형화하여 캔들을 제조한 다음, 제조된 각 캔들의 접합면에 열을 가해 접착시켜 서로 다른 향과 색상을 갖는 캔들이 적층된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팅캔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및 색소와 함께 미립자화된 분말 형태의 천연약재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팅캔들.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멜팅캔들을 가열하여 융해시키는 가열용기에 있어서,
    티라이트가 인입되는 아궁이; 및
    상기 아궁이의 상부에 용기 형태로 구비되고, 상부로 투입되는 상기 멜팅캔들로 상기 티라이트에서 제공되는 열을 전달하여 상기 멜팅캔들을 융해시키는 가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상부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멜팅캔들이 각각 수용되는 박스 구조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가열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대는 내부에 수용된 상기 멜팅캔들이 융해되어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용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가열부의 상부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멜팅캔들이 각각 꽂아지는 송곳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가열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용기.
  7. 제 4 항의 가열용기의 가열부에 적어도 서로 다른 향을 갖는 2개 이상의 멜팅캔들을 투입시킨 후 상기 티라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멜팅캔들을 동시에 융해시켜 상기 멜팅캔들의 각 향을 서로 혼합시켜 발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블렌딩 방법.
KR1020170004440A 2017-01-11 2017-01-11 멜팅캔 가열용기 KR201800909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440A KR20180090904A (ko) 2017-01-11 2017-01-11 멜팅캔 가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440A KR20180090904A (ko) 2017-01-11 2017-01-11 멜팅캔 가열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904A true KR20180090904A (ko) 2018-08-14

Family

ID=63230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4440A KR20180090904A (ko) 2017-01-11 2017-01-11 멜팅캔 가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09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657A (ko) * 2018-11-21 2020-05-29 최성천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
KR20200086953A (ko) * 2019-01-10 2020-07-20 울산과학기술원 방향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6645A (ko) 2014-01-20 2015-07-29 (주)바이오시엠 아로마 마사지 오일이 함유되어 있는 향초
KR20160000242U (ko) 2014-07-11 2016-01-21 김옥임 캔들워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6645A (ko) 2014-01-20 2015-07-29 (주)바이오시엠 아로마 마사지 오일이 함유되어 있는 향초
KR20160000242U (ko) 2014-07-11 2016-01-21 김옥임 캔들워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657A (ko) * 2018-11-21 2020-05-29 최성천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
KR20200086953A (ko) * 2019-01-10 2020-07-20 울산과학기술원 방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76963B1 (en) Candle made from multiple wax materials with different melting points
US6033210A (en) Paraffin/petrolatum candl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6214295B1 (en) Decorative cand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S2239304T3 (es) Vela comprimida de multiples capas y metodo de fabricacion.
US20040250464A1 (en) Candle composition and candle kit containing the composition
GB2359821A (en) Products with ETPA-based icons such as candles and room fresheners
JP2010503760A (ja) 視覚的に区別できる領域を有するキャンドル
US20070169404A1 (en) Candle made from multiple wax materials with different melting points
KR20180090904A (ko) 멜팅캔 가열용기
EP3469047B1 (en) Wax melt with filler
US20050164141A1 (en) Scented candle wick
CA2490761C (en) Candle composition and candles made therefrom
RU2006132049A (ru) Таблетка для придания аромата свече
US20170121634A1 (en) Candle with shimmering properties
KR20170050149A (ko) 향초 제조방법
US20160319220A1 (en) Candle having different fragranc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2004502861A (ja) ろうそく用組成物及びろうそく製品の製造方法
JP5554107B2 (ja) 芳香性蝋燭
ES2644533T3 (es) Velas capaces de difundir una pluralidad de sustancias activas volátiles de manera simultánea
US20030226311A1 (en) Creamy candle making compound
US20080157431A1 (en) Tin can sulfur based scented candle and method of making same. This combination provides immediate odor masking of pungent and noxious smells, such as, but not limited to, bathroom odors, fish odor, cigarettes, locker room odors, pet odors and diaper odors.
GB2444256A (en) Encapsulation of droplets of oils or scents within a wax candle
KR20240000460U (ko) 전자레인지를 이용해 만드는 향초와 왁스타블렛 diy키트
US20070245619A1 (en) Therapeutic can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34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809

Effective date: 201911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